KR102277043B1 -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043B1
KR102277043B1 KR1020190126134A KR20190126134A KR102277043B1 KR 102277043 B1 KR102277043 B1 KR 102277043B1 KR 1020190126134 A KR1020190126134 A KR 1020190126134A KR 20190126134 A KR20190126134 A KR 20190126134A KR 102277043 B1 KR102277043 B1 KR 102277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ed power
power supply
amount
detection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3223A (ko
Inventor
김현진
임현옥
조성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26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0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3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3/38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6Controlling of the sharing of output between th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계통정보 및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계통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로 상기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분배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GENERATION CURTAILMENT OF DISTRIBUTED GENER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산전원의 출력 감발이 필요한 경우 각 분산전원 장치별 감발량을 결정하고, 이를 제어신호를 분산전원 연계 장치인 전력변환 장치로 전달하여 각 분산전원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출력 감발에 대한 보상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는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이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발전사업자(의무대상자)가 공급하는 전력 중에서 일정 부분을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급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이다.
정부는 2001년부터 신재생에너지원별로 차등하여 지원하던 발전차액지원제도(FIT, Feed-In Tariff)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2012년부터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을 확대하기 위하여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를 도입하였다.
또한, 최근에 정부는 선진국 수준의 신재생 보급 확대를 목표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의 의무 비율을 상향 조정하고 있으며, 특히 태양광 및 풍력을 향후 신재생 에너지의 중점 전원으로 육성할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대다수 국가가 전력 판매사업자에게 공급의무를 부여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전력공사가 유일한 판매사업자로 경쟁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500MW 이상의 발전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에게 공급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공급 의무 이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인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는 신재생에너지설비에서 생산된 전력임을 증명하는 문서로서, 해당 공급인증서에는 신재생에너지공급자 및 발전설비, 신재생에너지 종류별 공급량 및 공급기간, 유효기간 등이 기록되며, 공급인증기관이 개설한 거래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고, 의무대상자가 정부에 공급인증서를 제출(의무이행)하면 공급인증서는 폐기된다.
또한, 정부는 전원별 기술경제성, 산업, 환경, 정책 등의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신재생에너지 원간 경쟁유도 및 균등발전을 위해 신재생에너지별 가중치를 차등적으로 부여하여 공급인증서를 발급한다. 예컨대, 정부는 태양광에너지의 경우에는 설치 유형에 따라 0.7 내지 5의 가중치를 공급인증서에 부여하고 있고, 기타 신재생에너지의 경우에는 설치 유형에 따라 0.25 내지 5의 가중치를 공급인증서에 부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력거래소 또는 한국전력 등에 신재생에너지를 공급하고자 하는 신재생발전사업자들은,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에 참여하는 절차와 RPS 공급인증서 발급대상 설비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러한 절차들을 통해 완료한 신재생발전사업자들의 수입(또는 수입)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생상된 전력을 전력 시장에 판매하여 획득하는 전력시장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과 공급 의무자에 판매하여 획득하는 RPE 공급인증서 가격을 통해 산정될 수 있다.
여기서, SMP는 급전 전일 이루어지는 가격결정 발전계획에서 주어진 제약조건들을 만족하며 총 발전비용이 최소가 되는 당일 발전량 배분을 통해 결정된다. REC는 신재생 발전설비의 비용을 보전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가중치 수준으로 발급되어 가치를 인정받는다.
즉, 현재까지는 전력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있는 전력시장가격(SMP) 및 공급인증서(REC)가격과, 우선급전(Must-Run) 혜택을 통해 신재생발전사업자의 발전설비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우선급전(Must-Run)은 가격결정 발전계획에서 발전량 배분시 비용에 상관없이 우선적으로 배분하는 방식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보상체계는 계통 입장을 고려하지 않은 발전사업자만을 고려한 전력거래 방식으로 판매자가 원하는 시간과 판매 조건을 입력해야 하므로 계통운영자 입장에서 감발을 목적으로 분산전원을 제한하는 경우에 보상비용을 최소화 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분산전원의 출력 감발이 필요한 경우 각 분산전원 장치별 감발량을 결정하고, 이를 제어신호를 분산전원 연계 장치인 전력변환 장치로 전달하여 각 분산전원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출력 감발에 대한 보상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한 필요가 당업계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산전원의 출력 감발이 필요한 경우 각 분산전원 장치별 감발량을 결정하고, 이를 제어신호를 분산전원 연계 장치인 전력변환 장치로 전달하여 각 분산전원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출력 감발에 대한 보상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계통정보 및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계통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로 상기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분배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계통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을 각각 산출하는 감발량 산출부; 상기 감발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감발량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와 연계된 각각의 전력변환 장치로 전달하는 제어신호 전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위시스템으로부터 시장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발량 산출부는 상기 시장정보, 상기 계통정보 및 상기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아래의 수학식에 대입하여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을 각각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Figure 112019103761709-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9103761709-pat00002
는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
Figure 112019103761709-pat00003
는 시간대별 계통한계가격,
Figure 112019103761709-pat00004
는 REC 평균가격,
Figure 112019103761709-pat00005
는 REC 가중치,
Figure 112019103761709-pat00006
는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
Figure 112019103761709-pat00007
Figure 112019103761709-pat00008
는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 시작 및 종료 시간을 의미함.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계약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감발량 산출부는 상기 계약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을 각각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신호가 소정의 시간내에 상기 전력변환 장치로 입력되지 않으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고신호는 경고음 및 경고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감발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계통정보 및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계통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로 상기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계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감발량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와 연계된 각각의 전력변환 장치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는, 상위시스템으로부터 시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시장정보, 상기 계통정보 및 상기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아래의 수학식에 대입하여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전원 감발 제어 방법.
[수학식]
Figure 112019103761709-pat00009
여기서,
Figure 112019103761709-pat00010
는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
Figure 112019103761709-pat00011
는 시간대별 계통한계가격,
Figure 112019103761709-pat00012
는 REC 평균가격,
Figure 112019103761709-pat00013
는 REC 가중치,
Figure 112019103761709-pat00014
는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
Figure 112019103761709-pat00015
Figure 112019103761709-pat00016
는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 시작 및 종료 시간을 의미함.
또한,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계약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계약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가 소정의 시간내에 상기 전력변환 장치로 입력되지 않으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고신호는 경고음 및 경고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분산전원의 출력 감발이 필요한 경우 각 분산전원 장치별 감발량을 결정하고, 이를 제어신호를 분산전원 연계 장치인 전력변환 장치로 전달하여 각 분산전원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출력 감발에 대한 보상비용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전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발할 수 있고, 계통운영자는 계약 방식에 따라 분산전원의 감발 비중을 조절하여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통이 고도화되어 감발량을 결정하는 변수가 생기더라도 분산전원 감발량 input data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분산전원을 감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 불가능한 설비가 존재하는 경우에 외부로 경고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계통운영자가 설비의 이상 여부를 인지하도록 하여 해당 설비를 보다 신속하게 확인 및 점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RPS 제도 참여 절차와 RPS 공급인증서 발급대상 설비확인 절차의 개괄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신재생발전사업자의 수입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감발 제어 시스템의 개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400)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감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S500)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분배하는 단계(S520)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에 대한 제약조건을 입력하는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장정보를 입력하는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400)를 이용하여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최적화 결과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감발 제어 시스템의 개괄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감발 제어 시스템의 개괄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400)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하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감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S500, S520)를 각각 도시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계통운영자(예를 들어, 사용자 등)는 상위운영자 또는 상위시스템(예를 들어, 전력거래소, 한국전력, 발전사업자, 등)으로부터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할당받아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400)로 전달하고, 상기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400)는 계통운영자로부터 수신된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입력값으로 설정하여 계통운영자가 운영하는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에 대한 감발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400)는 계통운영자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에 대한 정보, 상위운영자 또는 상위시스템으로 수신되는 시장정보, 등을 기반으로 각각의 분산전원 장치에 대한 분산전원 감발량을 결정할 수 있으며, 계통운영자로부터 분산전원 총감발량이 입력값으로 입력되는 경우에 미리 결정된 분산전원 감발량에 기초하여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분배할 수 있다.
이 경우,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400)는 계통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분산전원 장치의 분산전원 감발량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분산전원 장치와 연계된 전력변환 장치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변동성을 갖는 분산전원 장치에 대한 감발 제어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4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분산전원 감발 장치의 감발량 제어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분산전원 감발 제어 방법(S500, S520)의 각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400)는 입력부(410) 및 컨트롤러(420) 등으로 구성될 있다.
입력부(410)는 계통정보, 분산전원 총감발량 등을 포함하는 분산전원 감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10). 예를 들어, 입력부(410)는 계통운영자(이하,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를 구성하는 계통정보, 상위운영자 또는 상위시스템으로부터 할당받은 분산전원 총감발량, 분산전원 감발을 위한 계약조건 등의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컨트롤러(420)는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할당된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로 분배할 수 있다(S520). 구체적으로, 컨트롤러(420)는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된 분산전원 장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분산전원 장치와 연계된 전력변환 장치로 전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참고로, 컨트롤러(420)는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20)는 감발량 산출부(421), 제어신호 생성부(422), 제어신호 전달부(423), 통신부(424), 경고 출력부(425) 및 저장부(426)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감발량 산출부(421)는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되는 계통정보, 분산전원 총감발량, 계약조건, 통신부(424)를 통해 수신되는 시장정보 등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 각각의 감발량을 산출할 수 있다(S521).
여기서, 계통정보는 사용자가 운영하는 계통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배전선로에 대한 정보, 분산전원 기기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계통의 형태에 따라 분산전원 감발에 의한 보상금을 최소화하는 계통의 요소가 각각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계통정보에는 분산전원 장치의 종류와 형태, 분산전원의 발전 가능한 설비용량, 분산전원의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감발량 산출부(421)는 계통정보를 고려하여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감발량 산출부(421)는 분산전원 장치의 발전 가능한 설비용량값 이하의 범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값을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시장정보는 시간대별 전력시장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가격, 신재생에너지 종류별 REC 비중,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장정보에 대한 데이터는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통신부(424)를 통해 상위운영자 또는 상위시스템(예를 들어, 전력거래소, 등)으로부터 수신하여 확보할 수 있다.
분산전원 총감발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위운영자 또는 상위시스템(예를 들어, 전력거래소, 한국전력, 발전사업자, 등)으로부터 할당된 분산전원 장치에 대한 시간대별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의미하며, 입력부(4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계약조건은 감발에 대한 손해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계통을 운영하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 추가 또는 해제되는 계약조건을 의미하며, 사용자는 계약조건을 자유롭게 선택하거나 해제함으로써,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을 보다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계약조건을 분산전원 장치의 상태에 따라 또는 정부의 새로운 정책에 따라 특정한 분산전원 장치를 감발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특정한 분산전원 장치에 대한 감발량을 최대 감발량 이하의 범위에서 형성하도록 설정하고, 동시에 상기 분산전원 장치의 최대 감발량은 해당 분산전원 장치의 설비용량 이하의 범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값으로 결정되도록 설정함으로써, 특정한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이 과도하게 높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사용자는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상이하게 입력하여 계약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영하는 계통에서 용량이 큰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 효과가 미미한 경우 또는 계통의 분산전원 장치의 설치 순서가 늦은 경우 또는 기술 검토시 전압안정도에 영향을 주는 분산전원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등의 계통 환경에 따라 사용자는 아래의 수학식에 입력값을 입력하여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 각각에 대한 감발량을 상이하게 산정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19103761709-pat00017
, 여기서
Figure 112019103761709-pat00018
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값을 의미함.
즉, 감발량 산출부(421)는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되는 계통정보, 분산전원 총감발량, 계약조건 또는 통신부(424)를 통해 수신되는 시장정보 등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아래의 수학식에 대입함으로써, 각각의 분산전원 장치에 대한 최적화된 감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19103761709-pat00019
여기서,
Figure 112019103761709-pat00020
는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
Figure 112019103761709-pat00021
는 시간대별 계통한계가격,
Figure 112019103761709-pat00022
는 REC 평균가격,
Figure 112019103761709-pat00023
는 REC 가중치,
Figure 112019103761709-pat00024
는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
Figure 112019103761709-pat00025
Figure 112019103761709-pat00026
는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 시작 및 종료 시간을 의미함.
제어신호 생성부(422)는 S521 단계를 통해 산출된 분산전원 장치 각각의 감발량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522). 예를 들어, 제어신호 생성부(422)는 감발량 산출부(421)를 통해 생성된 감발량을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분산전원 장치와 연계된 전력변환 장치로 전달함으로써,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 각각에 대한 감발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력변환 장치는 제어신호 생성부(422)를 통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동시에 수신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각각의 전력변환 장치와 연계된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설비용량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 분산전원 장치의 설비용량을 100으로 설정하고, 제어신호 생성부(422)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30으로 가정한다면, 전력변환 장치는 70(예를 들어, 100-30의 값,)의 제어값을 산출하여 상기 전력변환 장치와 연계된 분산전원 장치로 전달하거나 또는, 최대출력율(Watt-Peak Ratio)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 분산전원 장치의 설비용량을 100, 최대출력율을 0.9로 설정하고, 제어신호 생성부(422)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30으로 가정한다면, 전력변환 장치는 60(예를 들어, 100x0.9-30의 값,)의 제어값을 산출하여 상기 전력변환 장치와 연계된 분산전원 장치로 전달함으로써,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신호 전달부(423)는 S522 단계를 통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와 연계된 각각의 전력변환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S523). 구체적으로, 제어신호 전달부(423)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변환 장치와 신호 기술적으로 연계되어 전력변환 장치와 제어신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신호 전달부(423)가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력변환 장치로 전달하는 경우에 전력변환 장치는 분산전원 장치로의 제어신호 전달완료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신호 전달부(423)로 다시 전달함으로써 분산전원 장치에 대한 감발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알릴 수 있다.
한편, 제어신호 전달부(423)가 제어신호를 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전력변환 장치의 고장 또는 통신선의 물리적인 고장으로 인해 분산전원 장치에 대한 제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조명등, 스피커 등의 장치를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 등으로 경고신호(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 등)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력변환 장치 또는 통신선의 이상 여부 등을 알릴 수 있다(S524).
통신부(424)는 상위운영자 또는 상위시스템(예를 들어, 전력거래소, 한국전력, 발전사업자, 등)으로부터 시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24)는 외부와의 직접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유선 및/또는 통신부(424)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감발량 산출부(421), 제어신호 생성부(422), 제어신호 전달부(423), 경고 출력부(425), 저장부(426) 등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수신하여 저장부(426)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텍스트, 이미지, 동화상 등의 컨텐츠, 사용자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24)는 랜(LA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상위운영자 또는 상위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경고 출력부(425)는 제어신호가 소정의 시간내에 전력변환 장치로 입력되지 않으면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경고 출력부(425)는 조명등, 스피커 등의 장치로 구현되어 경고음 또는 경고등을 포함하는 경고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로 경고 신호(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 등)를 실시간으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력변환 장치 또는 통신선의 이상 여부 등을 알릴 수 있다.
저장부(426)는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되는 계통정보, 분산전원 총감발량, 통신부(424)를 통해 수신되는 시장정보,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 등,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에 관련되는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참고로, 저장부(426)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40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의 외부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426)에는 또는 저장부(426)와는 별개로 데이터 백업(data backup)을 위한 추가 메모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420)는 저장부(426)에 저장된 계통정보, 분산전원 총감발량, 시장정보,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 등,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에 관련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백업하여 상기 추가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유실 또는 분실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되는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400)의 각 엘리멘트(410, 420, 421, 422, 423, 424, 425, 426)는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400)의 동작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엘리먼트에 해당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추가의 엘리먼트(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수익을 산출하는 계산부, 등)가 더 구현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에 대한 제약조건을 입력하는 예시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장정보를 입력하는 예시도를 도시하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400)를 이용하여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최적화 결과 예시도를 도시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계통운영자(예를 들어, 사용자 등)는 입력부(410)를 통해 계통운영자가 운영하는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 각각에 대해 가중치를 상이하게 입력하여 계약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통운영자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계통운영자가 운영하는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대상(예를 들어, 풍력에너지A, 태영광에너지B, 태양광에너지C, 등)에 대해 최대 감발량, 분산전원별 가중치, 등을 각각 상이하게 설정함으로써,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 각각에 대한 감발량을 상이하게 선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에 대한 감발을 보다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400)는 통신부(424)를 통해 상위운영자 또는 상위시스템(예를 들어, 전력거래소, 한국전력, 발전사업자, 등)으로부터 시장정보를 수신하여 계통운영자가 운영하는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에 대한 감발량, 감발시간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통운영자는 통신부(424)를 통해 전달되는 시장정보(예를 들어, 시간대별 SMP, REC 가격, 신재생종류별 REC 비중, 등)를 기반으로 계통운영자가 운영하는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대상에 대한 최적화된 감발량과 감발시간을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분산전원 장치에 대한 보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감발량 산출부(421)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되는 계통정보, 분산전원 총감발량, 계약조건, 통신부(424)를 통해 수신되는 시장정보, 등에 기초하여 계통운영자가 운영하는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아래의 수학식에 대입하여 사용자가 운영하는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예를 들어, 풍력에너지A, 태양광에너지B, 태양광에너지C, 태양광에너지D, 등)에 대한 각각의 최적화된 감발정보(예를 들어, 감발량, 감발 지속시간, 등)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19103761709-pat00027
여기서,
Figure 112019103761709-pat00028
는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
Figure 112019103761709-pat00029
는 시간대별 계통한계가격,
Figure 112019103761709-pat00030
는 REC 평균가격,
Figure 112019103761709-pat00031
는 REC 가중치,
Figure 112019103761709-pat00032
는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
Figure 112019103761709-pat00033
Figure 112019103761709-pat00034
는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 시작 및 종료 시간을 의미함.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감발 제어 시스템의 개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 감발 제어 시스템은 상위운영자 또는 상위시스템(예를 들어, 전력거래소, 한국전력, 발전사업자, 등), 복수의 계통운영자 및 분산전원 감발 제어 플랫폼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위운영자 또는 상위시스템으로부터 분산전원 총감발량이 결정되어 계통운영자 각각에 대해 분산전원 총감발량이 할당되는 경우 분산전원 제어플랫폼은 복수의 계통운영자로부터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수신하고, 각각의 계통운영자가 운영하는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에 대한 계통정보, 설비정보 및 시장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계통운영자 각각의 입장에서 보상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화된 분산전원 감발량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각각의 계통운영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즉, 계통이 고도화되면서 수익을 형성하는 방식이 계통별로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분산전원 감발 제어 플랫폼은 이를 고려하여 각각의 계통운영자에게 최적화된 분산전원 감발량을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비용의 측면에서 복수의 계통운영자를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산전원의 출력 감발이 필요한 경우 각 분산전원 장치별 감발량을 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어신호를 분산전원 연계 장치인 전력변환 장치로 전달하여 각 분산전원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출력 감발에 대한 보상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전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발할 수 있고, 계통운영자는 계약 방식에 따라 분산전원의 감발 비중을 조절하여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통이 고도화되어 감발량을 결정하는 변수가 생기더라도 분산전원 감발량 input data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분산전원을 감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 불가능한 설비가 존재하는 경우에 외부로 경고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계통운영자가 설비의 이상 여부를 인지하도록 하여 해당 설비를 보다 신속하게 확인 및 점검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400: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 410: 입력부
420: 컨트롤러 421: 감발량 산출부
422: 제어신호 생성부 423: 제어신호 전달부
424: 통신부 425: 경고 출력부
426: 저장부

Claims (13)

  1.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로서,
    사용자로부터 계통정보 및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계통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로 상기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분배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계통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을 각각 산출하는 감발량 산출부;
    상기 감발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감발량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와 연계된 각각의 전력변환 장치로 전달하는 제어신호 전달부; 및
    상위시스템으로부터 시장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발량 산출부는 상기 시장정보, 상기 계통정보 및 상기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아래의 수학식에 대입하여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을 각각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
    [수학식]
    Figure 112021020001538-pat00061

    여기서,
    Figure 112021020001538-pat00062
    는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
    Figure 112021020001538-pat00063
    는 시간대별 계통한계가격,
    Figure 112021020001538-pat00064
    는 REC 평균가격,
    Figure 112021020001538-pat00065
    는 REC 가중치,
    Figure 112021020001538-pat00066
    는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
    Figure 112021020001538-pat00067
    Figure 112021020001538-pat00068
    는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 시작 및 종료 시간을 의미함.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계약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감발량 산출부는 상기 계약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을 각각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신호가 소정의 시간내에 상기 전력변환 장치로 입력되지 않으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신호는 경고음 및 경고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
  7. 분산전원 감발 제어 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계통정보 및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계통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로 상기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계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감발량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와 연계된 각각의 전력변환 장치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는,
    상위시스템으로부터 시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시장정보, 상기 계통정보 및 상기 분산전원 총감발량을 아래의 수학식에 대입하여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전원 감발 제어 방법.
    [수학식]
    Figure 112021020001538-pat00069

    여기서,
    Figure 112021020001538-pat00070
    는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
    Figure 112021020001538-pat00071
    는 시간대별 계통한계가격,
    Figure 112021020001538-pat00072
    는 REC 평균가격,
    Figure 112021020001538-pat00073
    는 REC 가중치,
    Figure 112021020001538-pat00074
    는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
    Figure 112021020001538-pat00075
    Figure 112021020001538-pat00076
    는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 시작 및 종료 시간을 의미함.
  8. 삭제
  9. 삭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계약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계약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산전원 장치의 감발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전원 감발 제어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가 소정의 시간내에 상기 전력변환 장치로 입력되지 않으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산전원 감발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신호는 경고음 및 경고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분산전원 감발 제어 방법.
  13. 제 7 항 및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90126134A 2019-10-11 2019-10-11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77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134A KR102277043B1 (ko) 2019-10-11 2019-10-11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134A KR102277043B1 (ko) 2019-10-11 2019-10-11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223A KR20210043223A (ko) 2021-04-21
KR102277043B1 true KR102277043B1 (ko) 2021-07-14

Family

ID=75744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134A KR102277043B1 (ko) 2019-10-11 2019-10-11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0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151B1 (ko) * 2016-11-16 2017-05-11 이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송전선 과부하 해소를 위한 전력 계통 관리 방법
KR101827158B1 (ko) * 2016-10-20 2018-02-08 한국전력공사 마이크로그리드용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한 운영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891B1 (ko) * 2016-10-27 2023-08-09 한국전기연구원 신재생기반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최적 운전을 위한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158B1 (ko) * 2016-10-20 2018-02-08 한국전력공사 마이크로그리드용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한 운영 장치 및 방법
KR101734151B1 (ko) * 2016-11-16 2017-05-11 이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송전선 과부하 해소를 위한 전력 계통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223A (ko)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3293B2 (en) Energy resource network
US202100901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vanced energy settlements, network-based messaging, and applications supporting the same on a blockchain platform
Fang et al. Strategic scheduling of energy storage for load serving entities in locational marginal pricing market
Wu Impact of price‐based demand response on market clearing and locational marginal prices
US1155117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economic viability of microgrid
WO20190703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TFORM OF SECURE AND PRIVATE TERM OPERATIONS IN TRANSACTIVE MICROARRAYS
US10559035B2 (en) Uncertainty-flexibility matching engine for inter-temporal electric energy products
CN105809323A (zh) 任务分配方法和系统
JP6471566B2 (ja) 電力流通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4731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Ding et al. Development of energy and reserve pre‐dispatch and re‐dispatch models for real‐time price risk and reliability assessment
KR20190142829A (ko) 블록체인 기반 전력거래용 hems 시스템
KR102277043B1 (ko) 분산전원 감발 제어 장치 및 방법
Prasanta Gupta et al. Stochastic scheduling of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for large‐scale wind power penetration
CN116154760A (zh) 基于区块链的分布式光伏发电点对点交易方法及系统
CN110148293A (zh) 抄表异常处理方法及装置、系统、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20040083626A (ko) 전력 거래량 자동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JP7265737B2 (ja) 再販支援システム、再販支援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2057698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US20230306534A1 (en) Power trading system and power trading method
KR102511931B1 (ko)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
JP6658064B2 (ja) 電力管理装置および電力管理プログラム
JP2006119997A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EP4050548A1 (en) Transaction assistance system and transaction assistance method
KR102288955B1 (ko) 전력 거래 가격정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