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931B1 -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931B1
KR102511931B1 KR1020220152239A KR20220152239A KR102511931B1 KR 102511931 B1 KR102511931 B1 KR 102511931B1 KR 1020220152239 A KR1020220152239 A KR 1020220152239A KR 20220152239 A KR20220152239 A KR 20220152239A KR 102511931 B1 KR102511931 B1 KR 102511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chase
equipment
user
solar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은
Original Assignee
이온어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온어스(주) filed Critical 이온어스(주)
Priority to KR102022015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90Financial instruments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e.g. environmental taxes, subsidies or financing
    • Y02P90/95CO2 emission certificates or credits tr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6Energy services, e.g. dispersed generation or demand or load or energy savings aggreg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은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한 구매형, 구독형 및 지분 투자형을 포함하는 태양광 장비 구매 형태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어떤 구매 형태를 이용할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 사용자의 태양광 장비에 대한 구매 형태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태양광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부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 태양광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부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사업성을 검토하는 동작 및 사업성 검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최종 구매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부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사업성을 검토하는 동작은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부지에 대한 일조량, 일사량, 강수 비율, 날씨가 맑은 날의 비율, 평균 일조시간, 경사도, 부지의 부동산 시세, 진입도로 확보 여부, 주변 민가의 수, 임야인지 또는 평지인지 여부 및 부지의 방향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태양광 장비 설치에 따른 비용 및 일일 평균 발전량을 예상하는 동작, 예상되는 일일 평균 발전량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상쇄배출권(Korean Credit Unit)의 수를 계산하는 동작, 계산된 상쇄배출권의 수 및 현재 시세에 기반하여 상쇄배출권을 판매 시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수익을 계산하는 동작,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수익과 태양광 장비 설치에 따른 비용 및 구매 기간을 고려하여 구매 기간동안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수익에 대해 현재 가치 할인법에 따라 계산된 금액이 태양광 장비 설치에 따른 비용을 일정 수준 초과하는 경우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현재 가치 할인법은 미래의 금액을 현재가치로 환산하는 방법을 의미하고, 구매형은 상기 태양광 장비를 한 번의 결제로 구매하는 구매 방법을 의미하고, 구독형은 사전에 설정된 기간에 따라 매월 일정한 렌탈비를 지불하고 상기 태양광 장비를 이용하는 구매 방법을 의미하고, 지분 투자형은 사전에 설정된 기간에 따라 매월 일정한 렌탈비 및 상기 태양광 장비의 지분 구입비를 지불하고 사전에 설정된 기간 이후 상기 태양광 장비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하는 구매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 {METHOD FOR SOLAR POWER INSTALLATION AND MANAGEMENT}
아래 실시예들은 태양광 발전 장비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파리 기후 총회 이후 신기후 체제에 대응하는 에너지 수급 시스템의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발전부문에서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다국적 비영리 단체 기후그룹(The Climate Group)이 2014년 처음 소개한 것으로서,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기만 사용하겠다는 기업의 공개 선언인 RE100(Renewable Energy 100%) 캠페인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각국의 환경 규제가 강해지고, 기후 변화를 걱정하는 일반 소비자들의 압박 흐름이 나타나면서, RE100 캠페인 참여가 기업 이미지를 좋게 하는 홍보 전략 차원을 넘어서, 이미 참여한 글로벌 기업이 협력 업체에게 참여를 요구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화석 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빛을 태양광 발전 패널에 집광시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기를 얻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 발전소 내에 다양한 구성들은 태양광을 수광하기 위해 빛이 잘 드는 옥외의 양지에 설치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소 내 태양광을 수광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패널 뿐만 아니라, 패널에서 변환된 직류 전기 에너지를 교류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인버터, 직류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교류 전기 에너지를 전력 계통에 연계하는 배전반 등의 다양한 설비도 옥외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 과정은 특히 개인에게는 비용의 부담이 될 수 있으며, 설치 후에는 관리의 부담이 생길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경우, 개인 또는 기업은 생산된 전력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온실가스배출권의 형태로 다른 기업에 판매할 수도 있다. 기업들은 할당배출권(Korean Allowance Unit, KAU)의 형태로 비용을 지불하고 탄소를 배출할 수 있으나, 할당배출권의 규모가 부족하여 생산 활동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이에 개인은 태양광 발전으로 발생한 온실가스 감축량에 따른 KOC(Korean Offset Credit)를 상쇄배출권(Korean Credit Unit, KCU)으로 전환하여 할당배출권이 부족한 기업에게 판매할 수 있다. 그러나 개인 사업자의 경우, 태양광 발전으로 생산된 전력 규모나 온실가스 감축량에 따른 KOC의 양이 미미하기 때문에 기업에서는 개인들과 일일히 거래하기 어려울 수 있다. 개인도 할당배출권의 규모가 부족한 기업이 어디에 있는지 또는 상쇄배출권(KCU)이 어느 정도의 가격으로 어떠한 절차를 거쳐 거래되는지 알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선행문헌 0001) 한국공개특허 10-2015-0096013호 (선행문헌 0002) 한국공개특허 10-2014-0119346호 (선행문헌 0003) 한국공개특허 10-2021-0156715호 (선행문헌 0004) 한국공개특허 10-2011-0007007호
본 문서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은 태양광 발전 장비의 설치 부담을 줄이고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태양광 발전 장비를 일거에 구매하는 것이 아닌 일정 기간 동안 구독(또는 렌탈)하는 방식을 제공하거나, 기간을 나눠 지분 투자형으로 태양광 발전 장비의 지분을 나눠서 구매하는 방식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본 문서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은 소규모의 개인 또는 기업들의 상쇄배출권(KCU)을 기업에게 판매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은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한 구매형, 구독형 및 지분 투자형을 포함하는 태양광 장비 구매 형태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어떤 구매 형태를 이용할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 사용자의 태양광 장비에 대한 구매 형태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태양광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부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 태양광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부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사업성을 검토하는 동작 및 사업성 검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최종 구매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부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사업성을 검토하는 동작은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부지에 대한 일조량, 일사량, 강수 비율, 날씨가 맑은 날의 비율, 평균 일조시간, 경사도, 부지의 부동산 시세, 진입도로 확보 여부, 주변 민가의 수, 임야인지 또는 평지인지 여부 및 부지의 방향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태양광 장비 설치에 따른 비용 및 일일 평균 발전량을 예상하는 동작, 예상되는 일일 평균 발전량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상쇄배출권(Korean Credit Unit)의 수를 계산하는 동작, 계산된 상쇄배출권의 수 및 현재 시세에 기반하여 상쇄배출권을 판매 시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수익을 계산하는 동작,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수익과 태양광 장비 설치에 따른 비용 및 구매 기간을 고려하여 구매 기간동안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수익에 대해 현재 가치 할인법에 따라 계산된 금액이 태양광 장비 설치에 따른 비용을 일정 수준 초과하는 경우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현재 가치 할인법은 미래의 금액을 현재가치로 환산하는 방법을 의미하고, 구매형은 상기 태양광 장비를 한 번의 결제로 구매하는 구매 방법을 의미하고, 구독형은 사전에 설정된 기간에 따라 매월 일정한 렌탈비를 지불하고 상기 태양광 장비를 이용하는 구매 방법을 의미하고, 지분 투자형은 사전에 설정된 기간에 따라 매월 일정한 렌탈비 및 상기 태양광 장비의 지분 구입비를 지불하고 사전에 설정된 기간 이후 상기 태양광 장비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하는 구매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문서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은 태양광 발전 장비의 설치 부담을 줄이고 수익 상황에 따라 구독을 계속 할지 또는 철회할지 결정할 수 있어 태양광 발전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더 많은 사람이 태양광 발전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본 문서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은 상쇄배출권(KCU)이 필요한 기업에게는 개인 또는 소규모 기업들의 상쇄배출권(KCU)을 모아서 전달하여 니즈를 충족시키고, 개인 또는 소규모 기업들에게는 소규모의 상쇄배출권(KCU)이라도 판매할 수 있는 창구를 제공하여 태양광 발전에 따른 수익을 창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시된 구성 중 일부가 생략 또는 치환 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서버 또는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각 구성 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써,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상술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술한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다양한 파일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20)의 동작에 따라 저장된 파일 데이터들은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10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의 동작들은 메모리(13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을 로딩(loading)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가 전자 장치 상에서 구현할 수 있는 연산 및 데이터 처리 기능에는 한정됨이 없을 것이나, 이하에서는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를 수행하는 기능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동작 210에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태양광 장비 구매 형태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한 구매형, 구독형 및 지분 투자형을 포함하는 태양광 장비 구매 형태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어떤 구매 형태를 이용할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구매형은 상기 태양광 장비를 한 번의 결제로 구매하는 구매 방법을 의미하고, 구독형은 사전에 설정된 기간에 따라 매월 일정한 렌탈비를 지불하고 상기 태양광 장비를 이용하는 구매 방법을 의미하고, 지분 투자형은 사전에 설정된 기간에 따라 매월 일정한 렌탈비 및 상기 태양광 장비의 지분 구입비를 지불하고 사전에 설정된 기간 이후 상기 태양광 장비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하는 구매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동작 220에서, 프로세서(120)는 태양광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부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동작 230에서, 프로세서(120)는 부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태양광 장비 설치에 대한 사업성을 검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부지에 대한 일조량, 일사량, 강수 비율, 날씨가 맑은 날의 비율, 평균 일조시간, 경사도, 부지의 부동산 시세, 진입도로 확보 여부, 주변 민가의 수, 임야인지 또는 평지인지 여부 및 부지의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태양광 장비 설치에 따른 비용 및 일일 평균 발전량을 예상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상되는 일일 평균 발전량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상쇄배출권(Korean Credit Unit)의 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쇄배출권의 수 및 현재 시세에 기반하여 상쇄배출권을 판매 시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수익을 계산하고,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수익과 태양광 장비 설치에 따른 비용 및 구매 기간을 고려하여 구매 기간동안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수익에 대해 현재 가치 할인법에 따라 계산된 금액이 태양광 장비 설치에 따른 비용을 일정 수준 초과하는 경우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현재 가치 할인법은 미래의 금액을 현재가치로 환산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동작 240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업성 검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최종 구매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동작 310에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사업성 검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최종 구매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 요청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동작 320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매월 생산되는 전력을 상쇄배출권으로 교환하고, 자동으로 판매 후 수익을 얻는 것으로 선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동작 325에서, 프로세서(120)는 매월 획득한 수익 및 누적 수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330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매월 생산되는 전력을 상쇄배출권으로 교환하되 판매하지 않고 모아두는 것으로 선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동작 335에서, 프로세서(120)는 획득한 상쇄배출권의 수 및 가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340에서, 프로세서(120)는 태양광 장비의 효율 및 교체 여부, 구매 당시 예상된 수익률과 실제 수익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성 검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최종 구매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은 매월 생산되는 전력을 상쇄배출권으로 교환하고, 자동으로 판매 후 수익을 얻을 지 또는 매월 생산되는 전력을 상쇄배출권으로 교환하되 판매하지 않고 모아둘 것인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상쇄배출권을 자동 판매 후 수익을 얻는 것으로 선택함에 기반하여 매월 획득한 수익 및 누적 수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사용자가 매월 생산되는 전력을 상쇄배출권으로 교환하되 판매하지 않고 모아두는 것으로 선택함에 기반하여 매월 획득한 상쇄배출권의 수, 누적된 상쇄배출권의 수 및 현재 상쇄배출권의 가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및 사용자의 구매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기간이 지남에 기반하여 태양광 장비의 효율 및 교체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 당시 예상된 수익률과 설정된 기간까지의 실제 수익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동작 410에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한국 전력의 단가를 기준으로 일일 평균 발전량에 따른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동작 420에서, 프로세서(120)는 태양광 장비 설치 전과 후를 비교하여 전력 소비에 따른 기본 요금 절감분을 계산할 수 있다.
동작 430에서, 프로세서(120)는 태양광 장비의 발전량에 따라 사용되지 않은 한국전력의 전력에 대한 부가 가치세를 계산할 수 있다.
동작 440에서, 프로세서(120)는 획득한 온실가스배출권 또는 상쇄배출권의 가격을 계산할 수 있다.
동작 450에서, 프로세서(120)는 한국 전력의 단가를 기준으로 한 일일 평균 발전량에 따른 요금, 전력 소비에 따른 기본 요금 절감분, 사용되지 않은 한국전력의 전력에 대한 부가 가치세 및 온실가스배출권 또는 상쇄배출권의 가격을 합산하여 태양광 장비 설치 비용과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은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한 구매형, 구독형 및 지분 투자형을 포함하는 태양광 장비 구매 형태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어떤 구매 형태를 이용할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한 구매형, 구독형 및 지분 투자형을 포함하는 태양광 장비 구매 형태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어떤 구매 형태를 이용할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은 공동 구매형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공동 구매 형태를 이용할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동 구매형은 복수의 투자자들을 모집하여 복수의 투자자별로 분할된 금액을 지불하고, 지불된 금액의 비율에 따라 태양광 장비 설치에 따른 수익을 받는 구매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태양광 장비에 대한 구매 형태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태양광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부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태양광 장비에 대한 구매 형태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태양광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부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은 사용자가 태양광 장비의 구매 형태를 상기 공동 구매형으로 입력함에 기반하여 모집을 원하는 인원 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 태양광 장비를 공동으로 구매할 사용자를 모집하는 요청 메시지를 SNS 상에 업로드하는 동작, 다른 참여자로부터 태양광 장비 구매 시 담당할 금액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수신된 다른 참여자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다른 참여자와 함께 태양광 장비의 구매를 진행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내지 도 4의 순서도에서 프로세스 단계들, 방법 단계들, 알고리즘들 등이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이 본 발명에서 기술된 순서로 수행 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단계들이 비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 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묘사에 의한 프로세스의 예시는 예시된 프로세스가 그에 대한 다른 변화들 및 수정들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 또는 그의 단계들 중 임의의 것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필수적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따르면, 태양광 장비에 설치되어 발전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5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엣지 노드를 통해 발전량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540)로 업로드할 수 있다. 엣지 노드 소유자는 발전량에 비례하는 온실가스배출권 또는 상쇄배출권을 지급받을 수 있다. 엣지 노드는 지급된 온실가스배출권 또는 상쇄배출권에 대한 가격, 엣지 노드 ID및 엣지 노드 소유자의 ID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540) 상에 업로드할 수 있다. 정부 기관의 서버(530)는 발전량에 비례하는 온실가스배출권 또는 상쇄배출권을 엣지 노드 소유자에게 지급하고, 지급 사실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540) 상에 업로드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540)는 다른 참여자들의 노드(520) 상에서 온실가스배출권 또는 상쇄배출권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는 트랜잭션을 전송받을 수 있다. 엣지 노드는 온실가스배출권 또는 상쇄배출권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는 트랜잭션을 전송 받아 검증 후 온실가스배출권 또는 상쇄배출권에 대한 소유권 이전에 대한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540)로 전송할 수 있다. 엣지 노드는 지급된 온실가스배출권 또는 상쇄배출권의 구매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업로드할 수 있다. 정부 기관의 서버(530)는 지급된 온실가스배출권 또는 상쇄배출권의 구매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은 태양광 장비에 설치되어 발전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5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엣지 노드를 통해 발전량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540)로 업로드하는 동작, 엣지 노드 소유자에게 발전량에 비례하는 온실가스배출권 또는 상쇄배출권을 지급받는 동작, 지급된 온실가스배출권 또는 상쇄배출권에 대한 가격, 엣지 노드 ID및 엣지 노드 소유자의 ID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540) 상에 업로드하는 동작 및 다른 노드(520) 상에서 상기 온실가스배출권 또는 상쇄배출권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는 트랜잭션(transaction)이 전송되고, 상기 엣지 노드 상에서 상기 온실가스배출권 또는 상쇄배출권에 대한 소유권 이전에 대한 트랜잭션이 전송됨에 기반하여 지급된 온실가스배출권 또는 상쇄배출권의 구매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540) 상에 업로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전자 장치(101)에 의해 수행되는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에 있어서,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한 구매형, 구독형 및 지분 투자형을 포함하는 태양광 장비 구매 형태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어떤 구매 형태를 이용할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
    사용자의 태양광 장비에 대한 구매 형태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태양광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부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
    상기 태양광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부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사업성을 검토하는 동작;
    사업성 검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최종 구매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
    사용자가 상쇄배출권을 자동 판매 후 수익을 얻는 것으로 선택함에 기반하여 매월 획득한 수익 및 누적 수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사용자가 매월 생산되는 전력을 상쇄배출권으로 교환하되 판매하지 않고 모아두는 것으로 선택함에 기반하여 매월 획득한 상쇄배출권의 수, 누적된 상쇄배출권의 수 및 현재 상쇄배출권의 가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및
    사용자의 구매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기간이 지남에 기반하여 태양광 장비의 효율 및 교체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 당시 예상된 수익률과 설정된 기간까지의 실제 수익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며,상기 태양광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부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사업성을 검토하는 동작은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부지에 대한 일조량, 일사량, 강수 비율, 날씨가 맑은 날의 비율, 평균 일조시간, 경사도, 부지의 부동산 시세, 진입도로 확보 여부, 주변 민가의 수, 임야인지 또는 평지인지 여부 및 부지의 방향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태양광 장비 설치에 따른 비용 및 일일 평균 발전량을 예상하는 동작;
    예상되는 일일 평균 발전량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상쇄배출권(Korean Credit Unit)의 수를 계산하는 동작;
    계산된 상쇄배출권의 수 및 현재 시세에 기반하여 상쇄배출권을 판매 시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수익을 계산하는 동작;및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수익과 태양광 장비 설치에 따른 비용 및 구매 기간을 고려하여 구매 기간동안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수익에 대해 현재 가치 할인법에 따라 계산된 금액이 태양광 장비 설치에 따른 비용을 일정 수준 초과하는 경우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사업성 검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최종 구매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은
    매월 생산되는 전력을 상쇄배출권으로 교환하고, 자동으로 판매 후 수익을 얻을 지 또는 매월 생산되는 전력을 상쇄배출권으로 교환하되 판매하지 않고 모아둘 것인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현재 가치 할인법은 미래의 금액을 현재가치로 환산하는 방법을 의미하고,
    상기 구매형은 상기 태양광 장비를 한 번의 결제로 구매하는 구매 방법을 의미하고,
    상기 구독형은 사전에 설정된 기간에 따라 매월 일정한 렌탈비를 지불하고 상기 태양광 장비를 이용하는 구매 방법을 의미하고,
    상기 지분 투자형은 사전에 설정된 기간에 따라 매월 일정한 렌탈비 및 상기 태양광 장비의 지분 구입비를 지불하고 사전에 설정된 기간 이후 상기 태양광 장비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하는 구매 방법을 의미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부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사업성을 검토하는 동작은
    계절별 및 시간별 한국 전력의 단가를 기준으로 일일 평균 발전량에 따른 요금을 계산하는 동작;
    태양광 장비 설치 전과 후를 비교하여 전력 소비에 따른 기본 요금 절감분을 계산하는 동작;
    태양광 장비의 발전량에 따라 사용되지 않은 한국전력의 전력에 대한 부가 가치세를 계산하는 동작;
    태양광 장비의 발전량에 따라 획득한 온실가스배출권 또는 상쇄배출권의 가격을 계산하는 동작;및
    한국 전력의 단가를 기준으로 한 일일 평균 발전량에 따른 요금, 전력 소비에 따른 기본 요금 절감분, 사용되지 않은 한국전력의 전력에 대한 부가 가치세 및 온실가스배출권 또는 상쇄배출권의 가격을 합산하여 태양광 장비 설치 비용과 비교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20152239A 2022-11-15 2022-11-15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 KR102511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2239A KR102511931B1 (ko) 2022-11-15 2022-11-15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2239A KR102511931B1 (ko) 2022-11-15 2022-11-15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931B1 true KR102511931B1 (ko) 2023-03-20

Family

ID=8579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2239A KR102511931B1 (ko) 2022-11-15 2022-11-15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931B1 (ko)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0299A (ja) * 2006-12-25 2007-03-29 Sanyo Electric Co Ltd 二酸化炭素排出権の取引方法及び取引システム
KR20110007007A (ko) 2009-07-15 2011-01-21 김덕균 온라인 온실가스배출권 예탁, 대출, 거래, 및 교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19346A (ko) 2013-03-29 2014-10-10 (주)네오비엔에스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1034A (ko) * 2013-06-27 2015-01-3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설비 최적 배치시스템 및 최적 배치방법, 및 태양광 발전설비 최적 배치방법이 프로그래밍되어 저장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50096013A (ko) 2014-02-13 2015-08-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재생 에너지 공급인증서와 온실가스 배출권을 판매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22614A (ko) * 2014-08-20 2016-03-02 한국전력공사 분산형 태양광발전소의 경제성 검토 장치 및 방법
KR20160137335A (ko) * 2015-05-21 2016-11-30 주식회사 에코시안 신 재생 에너지 발전설비의 사업성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KR101893340B1 (ko) * 2018-04-04 2018-09-04 에너지코리아 주식회사 태양광발전시설 부지 타당성 분석 시스템
KR20200013926A (ko) * 2018-07-31 2020-02-10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의 수익성 예측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6877A (ko) * 2020-09-28 2020-10-1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연료전지 발전사업의 설계방법 및 설계장치
KR20210110536A (ko) * 2019-07-18 2021-09-0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의 경제성 평가 방법
KR20210123714A (ko) * 2020-04-03 2021-10-14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
KR20210146684A (ko) * 2020-05-27 2021-12-06 주식회사 에이치에너지 사업장 수요 특성을 고려한 최적 ess 사업성 평가 방법
KR20210156715A (ko) 2020-06-18 2021-12-27 기술보증기금 탄소가치평가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6543A (ko) *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센텀인터넷 태양광 데이터를 활용한 예상 발전량 산정과 거래조건별 경제성 분석 장치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0299A (ja) * 2006-12-25 2007-03-29 Sanyo Electric Co Ltd 二酸化炭素排出権の取引方法及び取引システム
KR20110007007A (ko) 2009-07-15 2011-01-21 김덕균 온라인 온실가스배출권 예탁, 대출, 거래, 및 교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19346A (ko) 2013-03-29 2014-10-10 (주)네오비엔에스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1034A (ko) * 2013-06-27 2015-01-3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설비 최적 배치시스템 및 최적 배치방법, 및 태양광 발전설비 최적 배치방법이 프로그래밍되어 저장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50096013A (ko) 2014-02-13 2015-08-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재생 에너지 공급인증서와 온실가스 배출권을 판매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22614A (ko) * 2014-08-20 2016-03-02 한국전력공사 분산형 태양광발전소의 경제성 검토 장치 및 방법
KR20160137335A (ko) * 2015-05-21 2016-11-30 주식회사 에코시안 신 재생 에너지 발전설비의 사업성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KR101893340B1 (ko) * 2018-04-04 2018-09-04 에너지코리아 주식회사 태양광발전시설 부지 타당성 분석 시스템
KR20200013926A (ko) * 2018-07-31 2020-02-10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의 수익성 예측시스템 및 방법
KR20210110536A (ko) * 2019-07-18 2021-09-0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의 경제성 평가 방법
KR20210123714A (ko) * 2020-04-03 2021-10-14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
KR20210146684A (ko) * 2020-05-27 2021-12-06 주식회사 에이치에너지 사업장 수요 특성을 고려한 최적 ess 사업성 평가 방법
KR20210156715A (ko) 2020-06-18 2021-12-27 기술보증기금 탄소가치평가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6877A (ko) * 2020-09-28 2020-10-1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연료전지 발전사업의 설계방법 및 설계장치
KR20220056543A (ko) *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센텀인터넷 태양광 데이터를 활용한 예상 발전량 산정과 거래조건별 경제성 분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685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vanced energy settlements, network-based messaging, and applications supporting the same on a blockchain platform
US202303162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vanced Energy Settlements, Network-Based Messaging, and Applications Supporting the Same
Bird et al. Wind and solar energy curtailment: Experience and practices in the United States
US20210224903A1 (en) Vertical global energy online trading platform
Dagoumas et al. An integrated model for assessing electricity retailer’s profitability with demand response
US20090157545A1 (en) Facilitating the ownership of solar-powered electricity-generating systems
Mohan et al. Realistic energy commitments in peer-to-peer transactive market with risk adjusted prosumer welfare maximization
JP7018958B2 (ja) 異時点間電気エネルギー製品のための不確かさ・柔軟性マッチングエンジン
US20160284034A1 (en) Approach For Processing Attribution Rights Data Across Networks
Sisodia et al. Strategic business risk evaluation for sustainable energy investment and stakeholder engagement: A proposal for energy policy development in the Middle East through Khalifa funding and land subsidies
Li et al. A decentralized peer-to-peer control scheme for heating and cooling trading in distributed energy systems
Saxena et al. Impact of LRIC pricing and demand response on generation and transmission expansion planning
KR102592162B1 (ko) 조정된 조화된 조건들에서 에너지 서브-시스템들 사이의 에너지의 교환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제어 센터; 에너지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저장 매체
Pasqui et al. A new smart batteries management for Renewable Energy Communities
Heuninckx et al. Practical problems before privacy concerns: How European energy community initiatives struggle with data collection
Lee et al. Optimal sourcing strategy for enterprises to achieve 100% renewable energy
Kusakana Optimal peer‐to‐peer energy sharing between grid‐connected prosumers with different demand profiles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Betz et al. Photovoltaic energy competitiveness and risk assessment for the South African residential sector
Narula et al. Will Net Metering Model for Residential Rooftop Solar PV Projects Work in Delhi?–A Financial Analysis
KR102511931B1 (ko) 태양광 발전 설치 및 관리 방법
KR102542717B1 (ko) 유연 수요 자원 정보를 생성하는 디지털 트윈 프로그램
Shenot et al. Capturing More Value from Combinations of PV and Other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Bhatt et al. Analysis of Rooftop Solar Photovoltaic System Across the Indian States: Learnings for Sustainable Infrastructure
Cory et al. Power purchase agreement checklist for state and local governments
Corbus et al. California-Wyoming Grid Integration Study: Phase 1--Economic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