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960B1 - 제환기의 성형롤러 - Google Patents

제환기의 성형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960B1
KR102276960B1 KR1020200094403A KR20200094403A KR102276960B1 KR 102276960 B1 KR102276960 B1 KR 102276960B1 KR 1020200094403 A KR1020200094403 A KR 1020200094403A KR 20200094403 A KR20200094403 A KR 20200094403A KR 102276960 B1 KR102276960 B1 KR 102276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pill
roller
protrusion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옥
Original Assignee
정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옥 filed Critical 정희옥
Priority to KR1020200094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5Agglomeration or granulation by extrusion or by pressing, e.g. through small holes, through sieves or betwee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 movable member, e.g. a roll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20Extrusion means, e.g. for producing pharmaceutical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26D2007/202Rollers or cylinders being pivoted during ope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환기의 성형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죽된 환약원료를 길이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된 장환노즐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환기의 성형롤러에 있어서, 환약원료를 환으로 형성하기 위해 회전하는 롤러가 서로 마주보며 한 쌍으로 배치된 롤러부와 롤러부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 및 환약원료가 돌기부에 진입하여 절단된 후, 환약원료가 돌기부에 일시적으로 흡착되게 하는 논슬립부를 포함하는 제환기의 성형롤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환기의 성형롤러{PILL MACHINE FOR MOLDING ROLLER}
본 발명은 제환기의 성형롤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부로 환약원료가 진입 시 돌기부에 의해 환약원료를 절단하고 환으로 형성 시, 기름기가 혼합되어 표면이 미끄러운 환약원료를 일시적으로 흡착시키는 논슬립부를 돌기부에 형성하여 미끄러운 환약원료도 환으로 형성시키는 제환기의 성형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약(丸藥)은 가루로 만든 약재에 꿀, 풀 등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일정 모양으로 빚은 약을 지칭한다.
부형제의 종류에 따라 밀환(蜜丸), 호환(湖丸), 수환(水丸), 약즙환, 엑스환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된다.
이러한 환약(丸藥)은 그 크기가 작아 휴대와 저장이 간편하고 복용이 편할 뿐 아니라 체내에서의 흡수가 완만하여 만성질병 및 허약에 의한 질병 등과 같은 치료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환약을 제조하는 제환기 대부분은 약재와 부형제를 일정한 비율로 반죽하여 혼합하는 혼합기와 혼합기로부터 공급받은 반죽상태의 환약 재료를 일정한 굵기로 성형하는 장환기와 장환기에 의해 성형된 일정한 굵기의 장환을 다수의 구형(求刑)으로 성형하는 절환기와 절환기에 의해 구형으로 성형된 일정한 크기의 환약만을 선별하는 선별기와 선별기에 의해 선별된 환약만을 완전한 구형으로 2차 가공하는 정환기 및 정환기를 거친 환약을 건조시키는 건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환약 재료를 장환(長丸)의 형태로 성형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존의 장환기는 대부분 유압식 압출기를 통해 환약 재료를 압출 성형함과 동시에 성형된 환약 재료를 절단기를 이용하여 장환(長丸)의 형태로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장환기는 환약 재료를 압출 성형하여 일정 길이의 장환(長丸)으로 절단하는 과정을 거친 후, 장환을 다시 절환기로 투입함으로써, 그 공정이 복잡해지고 그에 따른 제조시간도 상당히 오래 걸렸다.
이로 인해, 단위 시간당 장환(長丸)을 생산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단작업 또는 장환(長丸)을 절환기로 투입하는 과정이 대부분 수작업으로 진행되므로 최종적으로는 환약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근래에는 성형롤러를 이용한 환 제조장치가 개발되어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들이 많이 개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환기 역시 호퍼에서 공급된 환약 재료가 성형롤러를 통과하면서 장환(長丸) 형태로 성형된 후 일정하게 분리되어 일렬로 절환기로 투입되어야 하나, 환약 재료의 점착성으로 인해 성형된 환약 일부가 성형홈에서 일정하게 분리되지 않고 점착된 상태로 성형롤러와 함께 회전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일정 크기와 밀도를 지닌 양질의 환약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생산성이 하락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7423호(2014.08.28.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롤러부로 환약원료가 진입 시 돌기부에 의해 환약원료를 절단하고 환으로 형성 시, 기름기가 혼합되어 표면이 미끄러운 환약원료를 일시적으로 흡착시키는 논슬립부를 돌기부에 형성하여 미끄러운 환약원료도 환으로 형성시키는 새로운 구조의 제환기의 성형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논슬립부는 돌기부의 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반원, 반타원, 삼각형 및 사다리꼴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논슬립홈을 형성하는 제환기의 성형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반죽된 환약원료를 길이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된 장환노즐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환기의 성형롤러에 있어서,
상기 환약원료를 환으로 형성하기 위해 회전하는 롤러가 서로 마주보며 한 쌍으로 배치된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 및
상기 환약원료가 상기 돌기부에 진입하여 절단된 후, 상기 환약원료가 상기 돌기부에 일시적으로 흡착되게 하는 논슬립부를 포함하는
제환기의 성형롤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환기의 성형롤러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서로 다른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돌기부를 서로 엇갈리게 교차회전하여 상기 장환노즐에서 토출되는 상기 환약원료를 일정크기로 절단시키고, 길이방향을 축으로 서로 교차되게 직선왕복이동을 함으로써, 절단된 상기 환약원료를 환의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환기의 성형롤러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롤러부의 원주보다 넓은 지름상에 위치하여 상기 롤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삼각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환약원료를 절단하는 돌기유닛; 및 상기 돌기유닛이 상기 롤러부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돌기유닛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절단된 상기 환약원료가 수용된 공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환기의 성형롤러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돌기부의 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반원, 반타원, 삼각형 및 사다리꼴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논슬립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환기의 성형롤러는 롤러부로 환약원료가 진입 시 돌기부에 의해 환약원료를 절단하고 환으로 형성 시, 기름기가 혼합되어 표면이 미끄러운 환약원료를 일시적으로 흡착시키는 논슬립부를 돌기부에 형성하여 미끄러운 환약원료도 환으로 형성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논슬립부는 돌기부의 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반원, 반타원, 삼각형 및 사다리꼴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논슬립홈을 형성하여 미끄러운 환약원료가 롤러부로부터 이탈되거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환기의 성형롤러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환기의 성형롤러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환기의 성형롤러의 롤러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환기의 성형롤러 논슬립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환기의 성형롤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환기의 성형롤러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배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환기의 성형롤러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환기의 성형롤러의 롤러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환기의 성형롤러 논슬립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환기의 성형롤러(10)는 롤러부(100), 돌기부(200) 및 논슬리부(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환기의 성형롤러(10)는 반죽된 환약원료를 길이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11a)가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된 장환노즐(11)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환기의 성형롤러에 있어서, 환약원료를 환으로 형성하기 위해 회전하는 롤러가 서로 마주보며 한 쌍으로 배치된 롤러부(100), 롤러부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200) 및 환약원료가 돌기부에 진입하여 절단된 후, 환약원료가 돌기부에 일시적으로 흡착되게 하는 논슬립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환기는 몸체의 상부에 재와 부형제를 일정한 비율로 반죽하여 혼합한 환약원료가 저장된 호퍼가 설치되고, 호퍼의 일측에 환약원료를 국수형태로 압축해주는 장환노즐(11)이 설치된다.
장환노즐(11)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내부로 환약원료가 이동하여 외주면에 형성된 토출구(11a)를 통해 환약원료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국수형태로 토출되어 롤러부(100)로 이동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롤러부(100)는 장환노즐(11)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회전으로 국수형태의 환약원료를 절단하고 환으로 형성시킨다.
즉, 롤러부(100)는 환약원료를 환으로 형성하기 위해 회전하는 롤러가 서로 마주보며 한 쌍으로 배치된다.
이를 위해, 후술하는 돌기부(200) 및 논슬립부(300)가 형성된다.
이러한 롤러부(100)는 서로 다른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돌기부(200)를 서로 엇갈리게 교차회전하여 장환노즐(11)에서 토출되는 환약원료를 일정크기로 절단시키고, 길이방향을 축으로 서로 교차되게 직선왕복이동을 함으로써, 절단된 환약원료를 환의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돌기부(200)는 롤러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돌기부(200)는 돌기유닛(210) 및 공간부(220)를 더 포함한다.
돌기유닛(210)은 롤러부(100)의 원주보다 넓은 지름상에 위치하여 롤러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삼각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환약원료를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공간부(220)는 돌기유닛(210)이 롤러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돌기유닛(2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절단된 환약원료가 수용된다.
특히, 공간부(220)는 절단된 환약원료를 수용한 상태에서 롤러부(100)의 직선왕복이동으로 환약원료를 마찰하여 점진적으로 환의 형상으로 형성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논슬립부(300)는 환약원료가 돌기부(200)에 진입하여 절단된 후, 환약원료가 돌기부(200)에 일시적으로 흡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환약원료 중 홍화씨, 들깨와 같이 기름기가 있는 원료의 경우 표면이 미끄럽기 때문에 롤러부(100)에 안착되지 못하고 이탈하거나 낙하한다. 이로 인해, 둥굴고 매끄러운 성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환기의 성형롤러(10)는 논슬립부(300)를 형성하여 기름기가 있는 환약원료를 돌기유닛(210)이 절단 후, 돌기유닛(210) 및 공간부(220)에 일시적으로 흡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위해, 논슬립부(300)는 논슬립홈(310)을 더 포함한다.
논슬립홈(310)은 돌기부(200)의 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반원, 반타원, 삼각형 및 사다리꼴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홈이다.
즉, 논슬립홈(310)은 절단된 환약원료의 일부분이 일시적으로 끼워지게 하여 롤러부(100)의 회전에도 소정의 시간동안 이탈되거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표면이 미끄러운 환약원료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환약원료의 모양이 더욱 구 형상으로 성형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제환기의 성형롤러
11 : 장환노즐
11a : 토출구
100 : 롤러부
200 : 돌기부
210 : 돌기유닛
220 : 공간부
300 : 논슬립부
310 : 논슬립홈

Claims (3)

  1. 반죽된 환약원료를 길이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된 장환노즐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환기의 성형롤러에 있어서,
    상기 환약원료를 환으로 형성하기 위해 회전하는 롤러가 서로 마주보며 한 쌍으로 배치된 롤러부;
    상기 롤러부 외주면의 원주보다 넓은 지름상에 위치하여 상기 롤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삼각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환약원료를 절단하는 돌기유닛 및 상기 돌기유닛이 상기 롤러부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돌기유닛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절단된 상기 환약원료가 수용된 공간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돌기부; 및
    상기 환약원료가 상기 돌기부에 진입하여 절단된 후, 상기 환약원료가 상기 돌기부에 일시적으로 흡착되게 하는 논슬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서로 다른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돌기부를 서로 엇갈리게 교차회전하여 상기 환약원료를 일정크기로 절단시키고, 길이방향을 축으로 서로 교차되게 직선왕복이동을 함으로써, 절단된 상기 환약원료를 환의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환기의 성형롤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돌기부의 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반원, 반타원, 삼각형 및 사다리꼴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논슬립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환기의 성형롤러.
KR1020200094403A 2020-07-29 2020-07-29 제환기의 성형롤러 KR102276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403A KR102276960B1 (ko) 2020-07-29 2020-07-29 제환기의 성형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403A KR102276960B1 (ko) 2020-07-29 2020-07-29 제환기의 성형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960B1 true KR102276960B1 (ko) 2021-07-12

Family

ID=7685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403A KR102276960B1 (ko) 2020-07-29 2020-07-29 제환기의 성형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9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594B1 (ko) * 2005-12-20 2007-01-04 안상준 제환기
KR20080004862U (ko) * 2007-04-19 2008-10-23 김철중 구형물 제조장치
KR101437423B1 (ko) 2011-12-21 2014-09-11 권오익 다공판이 구비된 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594B1 (ko) * 2005-12-20 2007-01-04 안상준 제환기
KR20080004862U (ko) * 2007-04-19 2008-10-23 김철중 구형물 제조장치
KR101437423B1 (ko) 2011-12-21 2014-09-11 권오익 다공판이 구비된 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722257T2 (de) Arzneiverabreichung und verpackung
JP2020199234A (ja) バイオ医薬品を速く生産してペレットに製造する機械
DE69831517T2 (de) Vorrichtung mit eingriffssicherem Verschluss
CN1112945C (zh) 粉剂吸入器
EA004777B1 (ru) Непрерывное производств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го гранулята
TWI787269B (zh) 擠製器螺桿、具有擠製器螺桿的擠製裝置、和用於將塑料塑化的方法
US7316500B2 (en) Pin extruder
CA23432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tablets
KR102276960B1 (ko) 제환기의 성형롤러
JP2020536734A (ja) 混合混練機用の非対称3ブレードスクリュー型シャフト
EP1332034B1 (de) Ring-extruder-einzug
KR101437423B1 (ko) 다공판이 구비된 환 제조장치
KR100664594B1 (ko) 제환기
JPS6219427A (ja) スクリユ−押出機
US4052038A (en) Screw extruder for thermoplastics synthetic materials or elastomers
KR20150140608A (ko)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
KR101219765B1 (ko) 불량방지 기능을 갖는 담배필터 로드 향 입상 투입장치
KR101528705B1 (ko) 제환기의 성형롤러
US20220001589A1 (en) Mixing and Plasticating Machine Having Effective Venting in the Region of the Feed, and Method Related Thereto
RU2800437C2 (ru) Смесительная и месильная машина с эффективной вытяжной вентиляцией в области подачи
JP2006503725A (ja) 混合装置
KR920700867A (ko) 압축 성형 장치
RU193817U1 (ru) Экструдер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разнородных вторичных полимерных материалов
RU204051U1 (ru) Экструдер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разнородных вторичных полимерных и стро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GB2253807A (en) A tool head for the extrusion of rigid or flexible tubular preforms of thermally plasticised plastic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