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957B1 - Seeding tube - Google Patents

Seeding tu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957B1
KR102276957B1 KR1020180168651A KR20180168651A KR102276957B1 KR 102276957 B1 KR102276957 B1 KR 102276957B1 KR 1020180168651 A KR1020180168651 A KR 1020180168651A KR 20180168651 A KR20180168651 A KR 20180168651A KR 102276957 B1 KR102276957 B1 KR 102276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handle
shovel
lower side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6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9087A (en
Inventor
조준래
Original Assignee
조준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래 filed Critical 조준래
Priority to KR1020180168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957B1/en
Publication of KR20200079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0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9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2Hand tools for making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채로 씨앗이나 육묘 묘를 파종하는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파종관의 하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모종삽 하측이 평평한 형태를 이루게 하여, 씨앗이 동일 깊이로 심겨지게 하는 한편 육묘 묘가 구덩이 안에서 밑면이 밀착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 형태의 파종관을 구비하되 상기 파종관의 상측은 깔때기 형태의 투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파종관의 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의 상측으로 손잡이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손잡이의 하측으로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의 하측에는 하측이 서로 모아지거나 벌어지는 한 쌍의 모종삽이 결합되게 하고, 상기 모종삽의 상측에는 고리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고리에는 핸들에 의해 당겨지는 연결대를 결합하고, 상기 연결대에는 복귀 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wing machine for sowing seeds or seedlings while standing, wherein the lower side of a pair of shovel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owing tube forms a flat shape, so that the seeds are planted at the same depth while the seedlings are planted in the pit. to make the underside stick.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eding tube in the form of a pipe, but the upper side of the seeding tube forms an inlet in the form of a funnel, is provided with a holder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sowing tube, and is provided with a handle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A handle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and a pair of seedling shovels whose lower sides are gathered or spread apart ar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and a ring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ide of the seedling shovel, and the ring is pulled by the handle The connecting rod is coupled, and a return spring is installed on the connecting rod.

Description

파종기{Seeding tube}Seeding tube

본 발명은 선 채로 한 손으로 씨앗이나 육묘 묘를 파종하는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파종관의 하측에 결합되는 모종삽의 하측이 평평한 형태를 갖게 함으로써, 씨앗이 동일 깊이로 심겨지게 하는 한편 육묘 묘의 하측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땅에 밀착되어 이식되게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wing machine for sowing seeds or seedlings with one hand while standing, and by making the lower side of the seedling shovel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owing tube have a flat shape, the seeds are planted at the same depth while at the bottom of the seedling seedling It is to be transplan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without forming a space.

콩이나 옥수수, 마늘, 감자 같은 종자를 파종하거나 육묘 묘를 이식하기 위해서, 두둑을 덮은 비닐을 뚫고 구덩이를 파준 상태에서 씨앗이나 육묘 묘를 구덩이에 넣고 흙으로 덮어주는 여러 단계의 작업을 하게 되어,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들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 채로 한 손으로 종자나 육묘 묘를 파종, 이식하는 파종기는 파이프 형태의 파종관의 하측에 벌어지고 오므라지는 한 쌍의 모종삽을 설치하는 한편 상부 측면으로 상기 모종삽을 벌리는 핸들을 설치함으로써, 모종삽을 오므린 상태로 모종삽이 흙에 박히도록 한 후 파종관의 내부에 씨앗이나 육묘 묘를 넣고 핸들을 당겨 모종삽을 벌리면, 구덩이가 파지면서 씨앗이나 육묘 묘가 구덩이에 넣어지고, 이 상태에서 파종관을 상부로 들어 올리면 씨앗의 파종이나 육묘 묘의 이식이 완료되는 파종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파종기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종관(10)의 하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모종삽(5)은 하측을 오므린 상태에서 앞측으로 보아서 대체적으로 U자 형태나 V자 형태를 갖게 되므로, 크기가 작은 씨앗(1)은 도 4와 같이 모종삽(5)이 서로 맞닿는 형태인 U자 형태의 바닥면으로 파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종삽(5)에서의 씨앗(1)의 위치에 따라서 파종 깊이가 다르게 되어 발아시기가 일정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는 한편 도 5와 같이 씨앗(1)이 겹치고 뭉친 상태로 파종이 이루어지거나, 마늘(2)의 경우는 뿌리 부위가 하측을 향하게 파종이 이루어져야 하나, 도 7과 같이 모종삽(5)에 의해 형성된 하부 공간이 넓어서 눕혀진 채로 파종이 이루어지게 되어 옆으로 발아가 이루어지는 한편 도 8과 같이 마늘(2)의 하부에 공간이 형성된 채로 파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아 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모종삽(5)으로 육묘 묘(3)를 이식하는 경우도 모종삽(5)으로 형성되는 구덩이의 바닥면이 U자 또는 V자 형태로 가운데가 오목하게 파여지게 되고, 육묘 묘(3)의 밑면이 평평함으로 육묘 묘(3)의 뿌리가 바닥에 닿지 않은 채로, 즉 육묘 묘(3)의 하측으로 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이식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육묘 묘(3)의 활착이 불량하거나 고사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파종기에 적용되는 모종삽이 U자 형태나 V자 형태로 이루어져서 모종삽이 벌어지면서 구덩이를 만들 때, 바닥면이 평평하지 못하고 오목하게 파여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모종삽의 형태를 변경하지 않으면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이다.
또한, 모종삽으로 구덩이를 만들 때, 파종하는 씨앗의 종류와 작업형태에 따라서 모종삽의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하여 구덩이의 크기를 일정하게 할 필요성이 발생하는 바, 현재와 같이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는 방식으로는 불편함이 따를 수밖에 없어, 모종삽을 벌리게 되는 핸들이 움직이는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모종삽이 벌어져 형성되는 구덩이의 크기를 일정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고구마의 파종은 줄기 묘로 심게 되는 데, 줄기에 잎이 붙어있고 길이도 20cm ~30cm정도 되며, 파종 형태도 수평으로 뉘어서 심어야 하기 때문에, 파종관으로 투입하여 파종할 수가 없어 손으로 직접 넣어줄 수 있는 특별한 형태를 갖는 모종삽의 필요성이 있다.
또한, 파종관에 직접 손잡이와 핸들과 모종삽을 결합함으로 인하여, 파종관이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용접을 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한다든가 하여 파종기의 무게를 경량화하기가 어렵고, 파종관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없어서, 고정대를 설치함으로 고정대에 손잡이와 핸들과 모종삽을 결합하게 함으로 파종관을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In order to sow seeds such as beans, corn, garlic, or potatoes or transplant seedling seedlings, a pit is dug through the plastic covering the ridge, and the seed or seedling seedling is put into the pit and covered with soil. There was a problem that required a lot of time and labo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lanter that sows and transplants seeds or seedlings with one hand while standing, installs a pair of shovels that open and retract at the bottom of the pipe-shaped sowing tube, while spreading the shovel to the upper side. By installing the handle, the seedling shovel is put into the soil while the shovel is closed, put the seed or seedling seedling inside the sowing tube, and pull the handle to open the seedling shovel, the pit is dug and the seed or seedling seedling is put into the pit. , a sowing machine has been developed that completes the sowing of seeds or transplantation of seedlings by lifting the seeding tube upward in this state.
However, as shown in FIGS. 19 and 20, a pair of seedling shovels 5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eding tube 10 are generally U-shaped or V-shaped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a state where the lower side is closed. Since the seed 1 has a shape of a shape, the seed 1 in the seedling shovel 5 is sown with a U-shaped bottom surface, which is a form in which the seedling shovel 5 contacts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 The seeding depth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location, so the germination time is not constant.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sowing is performed with the seeds (1) overlapping and agglomerated, or in the case of garlic (2), the root part faces downward. Although sowing should be done, as shown in FIG. 7 , the lower space formed by the seedling shovel 5 is wide and sowing is made while lying down, so that germination is made sideways while sowing is performed with a spac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garlic 2 as shown in FIG. 8 . Since this is do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ermination state is poor.
In addition, in the case of transplanting the seedling seedlings 3 with the seedling shovel 5 as shown in FIGS. 10 and 11 , the bottom surface of the pit formed with the seedling shovel 5 is dug in a U-shape or V-shape, concave in the center, , since the bottom of the seedling seedling (3) is flat, transplantation can be made without the root of the seedling seedling (3) touching the floor, that is, in a state where a space is formed below the seedling seedling (3) There is a problem that may cause poor survival or death.
This problem occurs because the seedling shovel applied to the planting machine is formed in a U-shape or V-shape, and when the shovel is opened and a pit is made, the bottom surface is not flat and is dug concave. Do not change the shape of the seedling shovel. Otherwise, these are difficult problems to solve.
In addition, when making a pit with a seedling shovel,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opening angle of the seedling shovel according to the type of seed to be sown and the type of work to make the size of the pit constant. is inevitably accompanied by inconvenience, so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ize of the pit formed by the opening of the shovel to a certain degree by adjusting the interval at which the handle that opens the shovel moves.
Also, sweet potatoes are planted as stem seedlings, which have leaves attached to the stem and are about 20 to 30 cm in length. There is a need for a seedling trowel with a special shape that can be used.
In addition, since the handle, handle, and seedling shovel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eding tube,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eeding machine by allowing the seeding tube to receive force or by using a material that can be welded. It is not possible to do so, so it is necessary to attach a handle, a handle, and a seedling shovel to the fixture by installing a fixture, so that the seeding tube can be detached and used.

국내 특허등록 10-1470260호(2014.12.01. 등록)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0-1470260 (Registered on Dec. 1, 2014) 국내 실용신안공개 20-2014-0002598호(2014.05.07. 공개)Domest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4-0002598 (released on May 7, 2014) 국내 특허등록 10-1765270호(2017.07.31. 등록)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0-1765270 (Registered on July 31, 2017) 국내 실용신안공개 20-2014-0000928호(2014.02.11. 공개)Domest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4-0000928 (released on Feb. 11, 2014)

본 발명은 파종기를 구성하는 모종삽의 하측이 U자나 V자 형태를 이룬 상태에서 구덩이가 만들어질 때 구덩이가 오목하게 파여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들, 즉 크기가 작은 씨앗을 파종하는 경우 파종 깊이에 차이가 나서 발아가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나 씨앗이 뭉쳐서 파종되는 문제와, 육묘 묘를 심었을 때 밑바닥에 밀착되지 못하고 뿌리 밑에 공간이 생김으로 활착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파종기의 모종삽이 V자 형태를 이룬 상태에서 모종삽의 끝 부분이 좁아지게 되어 마늘 같이 큰 씨앗은 중간에 들려진 상태로 파종되게 되거나, U자 형태를 이룬 상태에서 모종삽의 끝 부분이 넓게 되어 마늘 같은 것이 옆으로 드러눕게 되어 마늘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파종기의 모종삽이 핸들 조작으로 벌어지게 되는 데, 작업의 종류에 따라서 모종삽의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하여 구덩이의 크기를 조절해야 할 경우에, 이것을 감각으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하고 부정확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고구마 순을 파종하는 것과 같이 파종관으로 투입하여 파종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종삽에 고구마 순을 직접 넣어서 옆으로 뉘어지게 파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파종관에 직접 손잡이와 핸들과 모종삽을 결합함으로써, 파종관이 힘을 받을 수 있도록 견고성이 요구되어 파종기의 무게가 무겁게 되는 것을 해결하여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blem that occurs because the pit is dug concave when the pit is made in a state where the lower side of the seedling shovel constituting the seeding machine forms a U- or V-shape, that is, the difference in the sowing depth when sowing small-sized seeds Then, we try to solve the problem of inconsistent germination, the problem of seeds being sown due to clumping, and the problem of poor growth due to the lack of adhesion to the bottom and space under the root when seedlings are pla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edling shovel of the planting machine forms a V-shape, the tip of the shovel is narrowed, so that large seeds like garlic are sown in the middle lifted state, or the tip of the seedling shovel is wide in the U-shaped state. This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quality of garlic is deteriorated as things like garlic are lying on their sid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inconvenient and inaccurate problem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pit by adjusting the opening angle of the seedling shovel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in which the seedling shovel of the planter is opened by the handle operation, and this must be adjusted by sense. want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it is not suitable for sowing by putting in a sowing tube like sowing sweet potato shoots, and it is to put sweet potato shoots directly into a seedling shovel so that they can be sown lying sideway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by solving the heavy weight of the seeding machine by coupling the handle, the handle, and the seedling shovel directly to the seeding tube, which requires rigidity so that the seeding tube can receive force.

본 발명은 파이프 형태의 파종관을 구비하되 상기 파종관의 상측은 깔때기 형태의 투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파종관의 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의 상측으로 손잡이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손잡이의 하측으로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의 하측에는 하측이 서로 모아지거나 벌어지는 한 쌍의 모종삽이 결합되게 하고, 상기 모종삽의 상측에는 고리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고리에는 핸들에 의해 당겨지는 연결대를 결합하고, 상기 연결대에는 복귀 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모종삽은 상부 양측이 서로 결합되는 한편 하나의 모종삽에는 상부 측면으로 돌출된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고리를 연결대로 당기면 모종삽의 하측이 서로 벌어지고, 고리를 당기지 않으면 모종삽의 하측이 서로 맞물리게 된다.
본 발명의 모종삽은 하측이 평평한 형태를 갖고 측면이 눌린 형태를 갖는 것이어서, 정면에서 보면 벌어진

Figure 112021009709811-pat00031
형태를 갖게 되어 구덩이가 파질 때 바닥이 평평하게 되도록 한다.
모종삽의 내경이 끝까지 필요한 만큼 유지되게 함으로 마늘과 같이 방향성을 가지고 세워지게 파종하는 것들이 그 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모종삽의 넓이는 통상적으로 3cm~6cm이지만, 이를 15cm~20cm 전후로 넓게 하고 모종삽의 결합 위치를 변경하거나 모종삽의 옆면을 개방함으로 고구마순 등을 손으로 넣어서 옆으로 뉘어서 파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핸들 위치에는 핸들을 상하로 움직이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멍을 수 개 형성하고, 볼트나 핀으로 이루어지는 스톱퍼를 구비함으로써 스톱퍼를 어느 구멍에 끼우느냐에 따라 모종삽이 벌어지는 각도를 일정하게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기존 파종기에서 모종삽을 정면에서 보면 벌어진
Figure 112021009709811-pat00032
형태를 갖게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eding tube in the form of a pipe, but the upper side of the seeding tube forms an inlet in the form of a funnel, is provided with a holder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sowing tube, and is provided with a handle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A handle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and a pair of seedling shovels whose lower sides are gathered or spread apart ar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and a ring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ide of the seedling shovel, and the ring is pulled by the handle It is made by combining a connecting rod and installing a return spring on the connecting rod, and the pair of upper both sides of the pair of shovels are coupled to each other while one seedling shovel forms a ring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seedling shovel when pulling the ring with the connecting rod Thes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f you do not pull the ring, the lower part of the shovel will engage with each other.
The seedling shove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at shape on the lower side and a pressed shape on the side, so that when viewed from the front,
Figure 112021009709811-pat00031
shape so that the floor is level when the pit is dug.
By keep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seedling shovel as needed until the end, things that are planted with directionality, such as garlic, can maintain that direction.
The width of a seedling shovel is usually 3cm~6cm, but it should be widened to around 15cm~20cm, and by changing the bonding position of the seedling shovel or opening the side of the seedling shovel, put sweet potato shoots, etc. by hand, and lay it aside for sowing.
In the handle position, there are several holes that can adjust the distance of moving the handle up and down, and a stopper made of a bolt or pin is provided so that the angle at which the seedling shovel is opened can be uniformly limited depending on which hole the stopper is inserted into. .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edling shovel is viewed from the front in the existing planter, the
Figure 112021009709811-pat00032
can take shape.

본 발명은 선 채로 한 손으로 씨앗의 파종이나 육묘 묘의 이식이 이루어지는 파종기에서, 파종관의 측면에 상측과 하측으로 손잡이와 핸들 및 모종삽을 설치한 고정대를 고정시키되 상기 모종삽에는 파종관을 통하여 씨앗이나 육묘 묘가 투입되게 하는 한편 핸들을 당기면 벌어져 씨앗이나 육묘 묘를 배출시키게 되는 것으로, 파종관에 직접 손잡이와 핸들과 모종삽을 결합하는 형태에 비하여 파종관의 무게를 경량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종삽은 하측이 U자나 V자 형태를 가짐에 따라서 구덩이의 밑면이 오목하게 파여지는 기존 방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측을 평평하게 벌어진

Figure 112021009709811-pat00033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씨앗의 파종 깊이가 일정하게 이루어져 발아시기를 일정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육묘 묘의 파종시 육묘 묘의 밑면이 구덩이에 밀착하게 되어 활착이 잘 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U자나 V자 형태의 모종삽은 마늘과 같이 방향성을 가지고 세워서 파종되는 씨앗의 파종을 위하여 모종삽의 내부 공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만들기가 어려우나, 본 발명에서는 모종삽의 끝 부분이 평평한 벌어진
Figure 112021009709811-pat00034
형태를 갖도록 하여 모종삽의 내부 공간을 끝까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마늘이 드러눕게 되거나 뿌리가 들리는 현상이 없이 똑바로 세워져서 뿌리가 바닥에 닿게 파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 발아가 잘 되게 할뿐 아니라 고품질의 마늘 생산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종삽의
Figure 112021009709811-pat00035
자 형태를 가로로 길게 확장하고 모종삽의 연결부 위치를 변경하거나 모종삽의 옆면 일측을 개방하는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고구마순과 같이 파종관을 통하여 파종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은 줄기 묘를 손으로 직접 모종삽의 측면으로 넣어서 수평으로 뉘어서 파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종삽을 벌리는 핸들이 움직이는 거리를 조절하는 구멍을 설치함으로써, 모종삽이 벌어지는 각도를 간단하게 스톱퍼의 위치를 조절하여 일정한 크기를 갖는 구덩이를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owing machine for sowing seeds or transplanting seedlings with one hand while standing, and fixing a holder with a handle, a handle, and a seedling shovel installed on the top and bottom sides of the sowing tube, but the seedling shovel has seeds or seedlings through the sowing tube As the seedling seedlings are put in and the handle is pulled, the seed or seedling seedlings can be discharged by pulling the handle, and the weight of the seeding tube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type that directly combines the handle, the handle and the seedling shovel to the sowing tube.
The seedling shove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at lower si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existing method in which the bottom of the pit is concave as the lower side has a U or V shape.
Figure 112021009709811-pat00033
By having the shape, the seeding depth is made constant, so that the germination time is constant, and the bottom of the seedling seedlings are closely adhered to the pit during sowing of the seedling seedlings, so that the seedlings are well establish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U-shaped or V-shaped seedling shovel has a direction like garlic and it is difficult to keep the internal space of the seedling shovel constant for sowing seed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p of the seedling shovel is flat
Figure 112021009709811-pat00034
By making the shape so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seedling shovel can be kept constant to the end, the garlic is erected upright without the phenomenon that the root is lifted or the root is raised so that the sowing is done with the root touching the floor, so that not only germination is good but also high quality of garlic produc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edling shovel
Figure 112021009709811-pat00035
By extending the ruler shape horizontally and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shovel or having a structure that opens one side of the shovel, stem seedlings that are not suitable for sowing through the seedling tube, such as sweet potato shoots, can be directly removed by hand. It can be planted by laying it horizont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asily making a hole having a certain size by simpl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opper at the angle at which the seedling shovel is opened by installing a hole for adjusting the distance that the handle opening the seedling shovel moves.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모종삽을 벌린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파종관과 고정대 분해 정면도
도 4는 기존 모종삽으로 씨앗을 파종하는 상태도
도 5는 기존 모종삽으로 씨앗을 파종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모종삽의 씨앗 파종하는 상태도
도 7은 기존 모종삽으로 마늘을 파종하는 상태도
도 8은 기존 모종삽으로 마늘을 파종하는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모종삽의 마늘 파종하는 상태도
도 10은 기존 모종삽으로 육묘 묘를 이식하는 상태도
도 11은 기존 모종삽으로 육묘 묘를 이식하는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모종삽의 육묘 묘 이식하는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모종삽 실시예 설명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모종삽 실시예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모종삽을 넓게 형성한 상태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넓은 모종삽에 줄기 묘를 넣는 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줄기 묘를 모종삽에 넣은 상태의 사시도
도 19는 기존의 파종기 정면도
도 20은 기존의 파종기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측면도
1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seedling shovel sprea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the seeding tube and the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of sowing seeds with an existing seedling shovel
5 is a state diagram of sowing seeds with an existing seedling shovel
Figure 6 is a state diagram of sowing seed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dling shovel
7 is a state diagram of sowing garlic with an existing seedling shovel
8 is a state diagram of sowing garlic with an existing seedling shovel
9 is a state diagram of sowing garlic of the present invention seedling shovel
10 is a state diagram of transplanting a seedling seedling with an existing seedling shovel
11 is a state diagram of transplanting a seedling seedling with an existing seedling shovel
12 is a state diagram of seedling seedling transpla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edling shovel
1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eedling shove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side views of a seedling shove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de-formed seedling shovel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tate diagram of putting a stem seedling in a wide seedling shovel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tem seed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a seedling shovel
19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planter
20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planter
21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파종관에 손잡이와 핸들과 모종삽을 직접 고정하거나, 파종관과 별도로 고정대를 설치하여 고정대에 손잡이와 핸들과 모종삽을 고정한 후 고정대에 파종관을 고정하거나, 파종관을 결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모종삽의 형태를 변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파종관은 상측에 투입구가 형성되며 원통형이나 각관의 형태로 하여 그 내부 공간으로 씨앗이나 모종이 투입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직경을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파종관의 하측에 모종삽을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고정대를 파종관에 결합시켜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고정대는 상측에 손잡이와 핸들을 설치하는 한편 하측으로는 한 쌍의 모종삽을 설치하고, 상기 모종삽과 핸들은 연결대로 연결함으로써, 핸들을 들어 올릴 때 연결대가 당겨지면서 모종삽이 벌어지게 하고, 모종삽을 오므리기 위해서는 연결대에 설치되는 복귀 스프링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복귀 스프링은 연결대 또는 모종삽에 설치하거나 핸들에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복귀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저절로 닫히게 한 상태에서 모종의 투입과 구덩이 파기가 이루어지고, 핸들을 당길 때 모종삽이 벌어져서 파종이 이루어지게 한 후에 핸들을 놓으면 자동적으로 닫히게 된다.
본 발명은 고정대를 설치하고 고정대에 파종관을 착탈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파종관을 경량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한편 파종관을 씨앗이나 모종의 종류에 따라 직경을 달리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정대를 설치함으로 고정대나 고정대와 연결된 손잡이 파이프 공간을 통하여 물을 공급하고 핸들과 결합된 레버에 의하여 핸들을 들어 올릴 때 물이 공급되게 함으로 파종과 동시에 물을 줄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고정대에는 손잡이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 하측에 핸들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핸들의 선단에는 모종삽에 연결되는 연결대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대에는 복귀 스프링을 설치하여 복원력을 받게 하며, 상기 고정대의 하측에는 고정 모종삽의 상측이 고정되고, 상기 모종삽에는 쌍을 이루도록 회동 모종삽을 연결하되 상측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연결하여 하측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게 하고, 상기 회동되는 모종삽에는 측면으로 돌출되는 고리를 형성한 후 상기 고리에 연결대가 연결되게 함으로써, 핸들을 당기면 모종삽의 하부가 벌어지고, 핸들을 놓으면 복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모종삽의 하부가 오므려지게 된다.
본 발명의 손잡이와 핸들 사이에 핸들이 걸릴 수 있는 위치에 적당한 간격의 조절 구멍들을 형성하고, 고정핀이나 고정볼트를 끼워서 핸들이 들려지는 거리를 조절함으로, 모종삽이 벌어져 파지는 구덩이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며, 고정 핀은 손잡이 주변에 끈으로 연결하여 잃지 않고 휴대되게 한다.
본 발명의 고정대에 파종관의 측면을 밴드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파종관의 하측은 모종삽의 내측으로 씨앗이나 육묘 묘를 투입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되게 하며, 상기 파종관의 직경과 모종삽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의 크기는 파종되는 씨앗이나 작물의 종류 또는 육묘 묘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모종삽은 통상의 파종기의 하단이 U자나 V자 형태를 이루는 것에서 벌어진

Figure 112021009709811-pat00036
형태를 이루게 하는 것으로, 이렇게 모종삽 하단의 형태를 변경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모종삽의 하단이 U자 형태나 V자 형태를 이루게 되면, 모종삽이 벌려서 구멍을 만들 때, 바닥면이 오목하게 파지게 되어, 씨앗이 구덩이 가운데 심어지는 것과 측면에 심어지는 것의 파종 깊이에 차이가 나게 되며, 하단이 평평한 육묘 묘가 오목한 구덩이에 밀착되지 못하고 하측으로 뿌리가 닿지 않는 오목한 공간이 생기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모종삽의 하단을 벌어진
Figure 112021009709811-pat00037
형태로 개량함으로써, 구덩이 바닥이 평평하게 파여져서 씨앗이 가운데 심어지든 측면에 심어지든 동일한 깊이로 파종이 이루어지는 한편, 하단이 평평한 육묘 묘가 구덩이의 평평한 바닥에 밀착되어 공간이 생기지 않은 채로 이식할 수 있다.
또한 모종삽의 하단을 U자 형태나 V자 형태로 하게 되면, 파종관의 내부 공간을 하단까지 순차적으로 좁아지게 하는 등 원하는 공간으로 만들 수 없게 되며, 마늘과 같이 방향성을 가지고 똑바로 세워져서 파종되어야 하는 경우에, 밑이 너무 넓어서 드러누워지게 되거나 밑이 너무 좁아서 중간 공간에 걸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모종삽의 하단을 벌어진
Figure 112021009709811-pat00038
형태로 개량하게 되면 모종삽으로 이루어지는 구덩이의 내부 공간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으며 하단까지 그 공간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구마 순을 파종할 때는 고구마 순을 파종관으로 투입하여 파종할 수 없으며, 파종도 수직 방향으로 세워서 파종하는 것이 아니라 옆으로 뉘어서 평평하게 심어지게 해야 하는데, 이런 용도에 맞게 하려면 모종삽의 하단을 평평하게
Figure 112021009709811-pat00039
형태로 하여 15cm ~ 20cm 전후로 넓게 하여야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 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은 고정대(20)를 구비한 개량된 파종기에 관한 것이며, 이하 설명은 고정대(20)를 구비한 개량된 파종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파종관(10)과 모종삽(30)(31),(30a)(31a)을 크기별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한편 모종삽(30)(31),(30a)(31a)의 하측이 평평한 동시에 폭이 넓지 않도록 함으로써, 모종삽(30)(31),(30a)(31a)의 정면이 벌어진
Figure 112021009709811-pat00040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파종관(10)은 일정 내경과 길이를 갖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종관(10)의 상측에는 씨앗(1)이나 육묘 묘(3)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깔때기 형태의 투입구(11)를 형성하며, 파종관(10)의 하측으로 배출되는 씨앗(1)이나 육묘 묘(3)는 모종삽(30)(31),(30a)(31a)의 내측 하부에서 정렬된 후 동일한 깊이로 파종되거나 하측 공간이 형성되지 않은 채로 육묘 묘(3)의 이식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고정대(20)에는 파종관(10)을 통상의 고정수단(50)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대(20)의 상측에는 측면으로 손잡이(21)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1)의 하측에는 손잡이(21)와 수평되게 핸들(41)을 설치하되 상기 핸들(41)은 연결대(40)의 일측에 결합된 채로 상하로 운동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20)의 하측에는 한 쌍의 모종삽(30)(31),(30a)(31a) 중 하나의 모종삽(30)(30a)의 내측이 고정되고, 상기 모종삽(30)(30a)의 상측에는 또 다른 모종삽(31)(31a)이 결합핀(33)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모종삽(30)(31),(30a)(31a)의 하측이 벌어지거나 모아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모종삽(31)(31a)의 상측에는 측면으로 돌출되는 고리(32)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32)와 핸들(41) 사이는 연결대(40)를 연결한다.
여기서, 연결대(40)에는 복귀 스프링(42)을 설치함으로써, 연결대(40)가 항시 하측으로 밀리는 힘을 받도록 하여, 모종삽(30)(31),(30a)(31a)이 결합핀(33)을 중심으로 하측이 모아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연결대(40)는 핸들(41)을 위로 당길 경우 상부로 이동하면서 모종삽(30)(31),(30a)(31a)의 하측이 벌어지게 한다.
이때, 핸들(41)이 연결대(40)를 상부로 들어 올리는 상측으로 핀 형태의 스톱퍼(23)를 끼울 수 있는 구멍(22)을 형성함으로써, 스톱퍼(23)를 구멍(22)에 끼워서 핸들(41)로 연결대(40)를 들어 올리는 거리가 조절되게 함으로, 모종삽(30)(31),(30a)(31a)이 벌어지는 각도를 일정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게 되며, 스토퍼는 손잡이(21) 등에 줄(24)로 연결하여 휴대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한 쌍의 모종삽(30)(31),(30a)(31a)은 고정대(20)의 하측에 고정된 고정 모종삽(30)(30a)과 연결대(40)의 당김에 의해 회동하면서 하측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회동 모종삽(31)(31a)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고정 모종삽(30)(30a)과 회동 모종삽(31)(31a)은 상측이 결합핀(33)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하측이 모아지게 회동하거나 하측이 벌어지게 회동하며, 파종관(10)의 하측은 고정 모종삽(30)(30a)의 내측에 위치하여 파종관(10)을 타고 투입되는 씨앗(1)이나 육묘 묘(3)가 모종삽(30)(31),(30a)(31a)의 내측으로 받쳐질 수 있도록 한다.
모종삽(30)(31),(30a)(31a)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은 벌어진
Figure 112021009709811-pat00041
형태를 갖도록 하여 도 6과 같이 씨앗(1)은 모종삽(30)(31),(30a)(31a)의 바닥에서 평평한 상태로 놓이게 되어 파종 깊이가 일정하게 이루어짐으로 발아시기가 일정하게 이루어지며, 도 4와 같이 모종삽(50)이 U자 형태로 이루어져 바닥이 오목하게 됨으로써 씨앗(1)의 파종 깊이가 차이가 나서 발아시기가 일정하지 않게 되거나, 도 5와 같이 씨앗(1)이 뭉치고 겹쳐서 파종되는 일을 없애게 된다.
본 발명은 도 12와 같이 모종삽(30)(31),(30a)(31a)으로 형성되는 구덩이의 바닥이 평평하게 파여서 육묘 묘(3)의 바닥과 밀착이 이루어져서 뿌리의 활착이 잘 되게 되며, 도 10이나 도 11과 같이 기존 U자나 V자 형태의 모종삽(5)으로 이루어지는 구덩이에서 발생하는 오목한 곳으로 인하여 육묘 묘(3)의 바닥과 구덩이 사이의 공간이 생겨서 활착이 불량하게 되는 일이 없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6 내지 도 18과 같이 모종삽(60)(60a)의
Figure 112021009709811-pat00042
형태를 활용하여 그 일부를 변형하여 파종관(10)으로 파종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줄기 묘(4)(예, 고구마 순 묘 등)를 직접 손으로 넣어서 눕혀지게 파종되게 하기 위하여, 모종삽(60)(60a)의 넓이를 통상 3cm~6cm 전후에서 15cm~ 20cm 전후로 크게 확대하고, 직접 손으로 줄기를 넣을 수 있도록 모종삽(60)(60a)의 일 측의 옆면의 일부가 개방되게 개방부위(61)를 형성하거나, 한 쌍의 모종삽(60)(60a)을 결합하는 결합 핀 중 하나를 중간의 위치에 설치함으로 줄기 묘(4)를 옆으로 뉘어서 투입하고, 모종삽(60)(60a)을 벌렸을 때 줄기 묘(4)가 눕혀서 구덩이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함으로, 고구마 순을 비닐멀칭 된 두둑에 수평으로 파종할 수 있게 하여, 고구마 파종을 편하게 하고 고구마의 품질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직접 줄기 묘(4)를 모종삽(60)(60a)의 개방부위(61)를 이용하여 넣는 구조를 취할 때는 파종관(10)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고정대(20)의 길이를 짧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마늘(2)은 도 9와과 같이 모종삽(30)(31),(30a)(31a)의 바닥에서 뿌리가 하측을 향한 채로 놓이게 파종하여야 하기 때문에, 모종삽(30)(31),(30a)(31a)로 이루어지는 내부의 공간이 마늘(2)의 굵기와 길이 사이의 크기가 되게 하는 벌어진
Figure 112021009709811-pat00043
형태의 구덩이를 이루게 하여, 마늘(2)은 세워진 채로 파종이 이루어지며, 도 7과 같이 기존 U자 형태의 모종삽(5)에서 발생하는 마늘(2)이 드러눕는 현상이나, 도 8과 같이 마늘(2)의 하측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으며, V자 형태의 모종삽에서 발생하는 마늘의 뿌리가 공중에 걸리는 현상도 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은 도 21과 같이 기존 파종기의 파종관(10) 하측에 벌어진
Figure 112021009709811-pat00044
형태의 모종삽(30)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기존 파종기의 모종삽(30)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씨앗(1)과 마늘(2) 및 육묘 묘(3)의 등의 파종이나 이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종삽(30)(31a)이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모종삽(30)(31)이 벌어지는 각도에 따라서 구덩이의 크기와 모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작업의 종류에 따라서 벌어지는 정도를 달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
고정대(20)에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21)와 손잡이 하측에 위치한 핸들(41)과, 핸들(41)에 연결된 연결대(42)가 모종삽의 고리(32)에 연결되어 핸들(41)이 들려지는 길이만큼 모종삽(30)(31)이 벌어지는 구조이므로, 손잡이(21) 부근에 상하로 수 개의 고정구멍(22)를 설치하고, 스톱퍼(23)을 아래 구멍에 끼우면 핸들(41)이 들려지는 길이가 짧아져서 모종삽(30)(31)이 적게 벌어지며, 스톱퍼(23)를 윗 쪽 구멍에 끼우면 핸들(41)이 들려지는 길이가 좀 더 길어져서 모종삽(30)(31)이 좀 더 크게 벌어지게 된다.
씨앗(1)을 파종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모종삽(30)(31)의 하부가 오므라진 상태에서 씨앗(1)을 투입구(11)로 투입하면, 씨앗(1)은 모종삽(30)(31)이 서로 맞물리는 면에 받쳐지게 되고, 이때 씨앗(1)은 도 6과 같이 수평으로 같은 높이를 갖기 때문에 모종삽(30)(31)을 오므린 상태로 흙에 찔러준 후 핸들(41)을 당겨 모종삽(31)을 벌리게 되면, 씨앗(1)은 파종이 이루어지게 되며, 씨앗(1)이 일정한 깊이를 갖고 파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아시기가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기존의 모종삽(5)이 도 4와 같이 U자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씨앗(1)이 파종되는 깊이가 다르게 되는 바, 참깨 무 배추 씨앗과 같이 작은 씨앗에 있어서 1~2cm의 깊이의 차이는 씨앗의 크기의 몇 배의 차이가 된다.
또한 모종삽(5)이 도 5와 같이 V자 형태를 이루게 되면, 작은 씨앗(1)은 한군데 모여지게 파종되고, 콩이나 마늘과 같이 굵은 씨앗은 밑의 홈에 걸리거나 뿌리가 밑에서 뜨게 된다.
또한, 육묘 묘(3)를 이식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도 12과 같이 육묘 묘(3)가 세워진 채로 투입되고, 벌어진
Figure 112021009709811-pat00045
형태의 모종삽(30a)(31a)을 땅에 박고, 핸들(41)을 당겨 연결대(40)로 모종삽(31a)을 벌림으로써 모종삽(30a)(31a)에 의해 구덩이가 형성되는 동시에 육묘 묘(3)가 구덩이의 중앙에 이식되고, 모종삽(30a)(31a)이 벌어진
Figure 112021009709811-pat00046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종삽(30a)(31a)으로 형성되는 구덩이 바닥면이 평평하여 육묘 묘의 하측이 흙에 밀착된 채로 이식이 이루어지고, 활착율이 높아지게 된다.
기존의 모종삽(5)은 도 10과 같이 U자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육묘 묘(3)가 이식될 구덩이를 팔 때 구덩이가 오목하게 파이기 때문에 육묘 묘(3)를 이식할 때 육묘 묘(3)의 하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 11과 같이 V자 형태는 그 공간이 더욱 크게 되어, 육묘 묘의 파종기로서는 사용을 할 수 없게 된다.
마늘(2) 파종의 경우를 살펴본다.
마늘의 경우는 마늘편의 뿌리가 밑으로 향하여 세워지게 파종이 되어야 하는 특수한 문제가 있다. 모종삽(30)(31)의 내부 공간이 마늘(2)이 눕혀지지 않고 세워질 수 있는 면적, 즉, 폭이 마늘편의 굵기보다 넓고 마늘편의 길이 보다 좁은 공간을 가져야 하고, 마늘의 하부에 적당하게 파종구덩이가 좁아져야 한다.
파종관(10)으로 마늘(2)을 투입할 때 뿌리가 하측을 향하게 하여 투입하면 마늘(2)은 도 9와 같이 뿌리가 모종삽(30)(31)의 바닥에 닿은 채로 세워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모종삽(30)(30)을 땅에 박고 벌리게 되면, 마늘(2)은 뿌리가 하측을 향한 채로 파종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마늘(2)의 발아가 잘 이루어지게 되고 마늘의 품질도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종삽(30)(31)의 내부가 마늘(2)이 돌지 않을 정도의 면적을 갖게 하며, 벌어진
Figure 112021009709811-pat00047
형태이기 때문에 모종삽의 하단까지 일정한 넓이로 좁아질 수 있게 하여, 마늘이 눕혀지거나 또는 마늘의 뿌리가 들리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도 7과 같은 U자 형태 모종삽(5)의 내부 공간은 하단을 적당하게 좁혀줄 수 없고, 원형의 넓이로 벌어지게 되어 마늘(2)이 옆으로 누운 상태가 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기존의 도 8과 같이 V자 형태의 모종삽은 내부공간의 끝이 좁아져서 마늘이 파종관에 끼기 때문에 하측으로 내려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마늘(2)의 파종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뿌리 부분이 들리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연결대(40)에는 핸들(41)을 당겼을 때 압축되고, 핸들(41)을 놓았을 때 연결대(40)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42)이 설치되는 것으로, 평상시 핸들(41)을 당기지 않았을 때 모종삽(30)(31),(30a)(31a)이 오므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복귀 스프링(42)은 연결대(40)나 손잡이(21)와 핸들(41)의 결합부나 모종삽에 설치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directly fixing the handle, the handle and the seedling shovel to the sowing tube, or by installing a holder separately from the sowing tube to fix the handle, the handle, and the seedling shovel to the fixture, and then fixing the seeding tube to the fixture, or without combining the sowing tube. And it will change the shape of the seedling shovel.
The seedling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let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or square tube, seeds or seedlings can be put into the inner space, and can be used with different diameters as needed, and a seedling shovel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owing tube. It will be used in combination, or it will be used by combining the fixture with the seeding tube.
The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pair of shovels on the lower side while installing a handle and a handle on the upper side, and connects the seedling shovel and the handle with a connecting rod, so that the seedling shovel is opened while the connecting rod is pulled when the handle is lifted, In order to close the seedling shovel, it is done through a return spring installed on the connecting rod, but the return spring can be installed on the connecting rod or the seedling shovel or installed on the handle. When the handle is pulled, the seedling shovel is opened to allow sowing to be done, and then the handle is released and it is automatically close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fixture and to attach and detach the seeding tube from the fixture, and it can be used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seeding tube, while the sowing tube can be replaced with a different diameter depending on the type of seeds or seedlings.
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fixture,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fixture or the handle pipe space connected to the fixture, and water is supplied when the handle is lifted by the lever coupled to the handle, so that it can be watered at the same time as sowing.
A handle is installed on the holder in a fixed state, a handle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a connection rod connected to a seedling shovel is connected to the tip of the handle, and a return spring is installed on the connection rod to receive a restoring force, The upper side of the fixed seedling shovel is fixed to the lower side, and a rotating seedling shovel is connected to the seedling shovel to form a pair, but the lower side is opened or closed by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side. Then,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rod to the ring, when the handle is pulled, the lower part of the seedling shovel is opened, and when the handle is released, the lower part of the seedling shovel is clos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By forming adjustment holes at an appropriate interval between the handle and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position where the handle can be caught, and adjusting the distance at which the handle is lifted by inserting a fixing pin or a fixing bolt, the size of the hole in which the seedling shovel is opened is fixed. The fixing pin is attached with a string around the handle so that it can be carried without losing it.
The side of the seeding tube is fixed to the fix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fixing means such as a band, and the lower side of the seeding tube is fixed at a position where seeds or seedlings can be inserted into the seedling shovel, the seeding tube The diameter of the seedling and the size of the internal space consisting of the seedling shovel ar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type of seed or crop to be sown or the size of the seedling.
The seedling shov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read from the lower end of a conventional planter forming a U-shape or V-shape.
Figure 112021009709811-pat00036
Changing the shape of the bottom of the shovel in this way i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When the bottom of the shovel forms a U-shape or V-shape, when the shovel is widened to make a hole, the bottom surface is digged concave, so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owing depth between seeds planted in the middle of the pit and those planted on the side. This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a seedling seedling with a flat bottom does not adhere to the concave pit and creates a concave space where the root does not touch the lower sid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seedling shovel is
Figure 112021009709811-pat00037
By improving the shape, the bottom of the pit is dug flat, so that the seeds are sown at the same depth whether the seeds are planted in the center or on the side, while seedlings with a flat bottom can be transplanted without leaving a space because the seedlings with a flat bottom adhere to the flat bottom of the pit. have.
In addition, if the lower end of the seedling shovel is made in a U-shape or V-shape, it is impossible to make the desired space such as narrowing the inner space of the seeding tube sequentially to the lower end. In this case, the bottom is too wide to lie down, or the bottom is too narrow to get caught in the middle space. However, the bottom of the shovel
Figure 112021009709811-pat00038
If the shape is improved, the inner space of the pit made of the seedling shovel can be freely formed and the space can be maintained up to the bottom.
In addition, when sowing sweet potato shoots, it is not possible to sow by putting the sweet potato shoots into the sowing tube, and sowing should also be done by laying flat on the side instead of standing upright for sowing. For this purpose, flatten the bottom of the seedling shovel. to do
Figure 112021009709811-pat00039
It becomes possible when it is widened to around 15cm ~ 20cm in shape.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planter having a fixture 20 as shown in FIG. 1 ,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improved planter having a fixture 20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edling tube 10 and the seedling shovels 30, 31, 30a and 31a are combined and used by size, while the lower side of the seedling shovels 30, 31, 30a, and 31a is flat at the same time. By not making the width wide, the front of the seedling shovels 30, 31, 30a and 31a is widened.
Figure 112021009709811-pat00040
is made in the form
The seeding tub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 certain inner diameter and length, and on the upper side of the seeding tube 10, a funnel-shaped inlet ( 11), the seeds (1) or seedlings (3)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sowing tube 10 are aligned at the lower inner side of the seedling shovels 30, 31, 30a, 31a, and then have the same depth The seedling seedling (3) is transplanted without being sown or the lower space is formed.
The seeding tube 10 is detachably fixed to the fixing tabl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 conventional fixing means 50, and the handle 2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table 20, and the handle A handle 41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21 horizontally with the handle 21 , but the handle 41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while being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rod 40 , and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20 . The inside of one of the pair of seedling shovels 30, 31, 30a and 31a is fixed to the, and the other seedling shovel 31 is on the upper side of the seedling shovel 30, 30a. ) (31a) is coupled by the coupling pin 33,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seedling shovels 30, 31, 30a, 31a can be opened or gathered, and the upper side of the seedling shovels 31, 31a A ring 32 protruding to the side is formed, and a connecting rod 40 is connected between the ring 32 and the handle 41 .
Here, by installing a return spring 42 to the connecting rod 40, the connecting rod 40 is always subjected to a downward force, so that the seedling shovels 30, 31, 30a, and 31a are coupled to the coupling pin 33. The lower side of the shovels 30, 31, 30a, and 31a are widened while moving upward when the handle 41 is pulled upward, and the connecting rod 40 opens the lower side of the seedling shovels 30, 31, 30a and 31a.
At this time, the handle 41 forms a hole 22 through which a pin-shaped stopper 23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41 lifting the connecting rod 40 upward, so that the stopper 23 is inserted into the hole 22 and the handle ( 41) to adjust the lifting distance of the connecting rod 40, so that the angle at which the seedling shovels 30, 31, 30a, and 31a are opened can be made constant, and the stopper is attached to the handle 21, etc. Connect it with a string (24) to make it port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seedling shovels 30, 31, 30a, 31a is rotated by pulling of the fixed seedling shovels 30 and 30a and the connecting rod 40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stationary 20. It is made of a rotating seedling shovel 31, 31a that opens or closes the lower side, and the fixed seedling shovel 30, 30a and the rotating seedling shovel 31, 31a have the upper side coupled by a coupling pin 33 The lower side rotates to gather or the lower side rotates to open, and the lower side of the seeding tube 10 is located inside the fixed seedling shovels 30 and 30a and the seeds (1) or seedlings that are inserted through the sowing tube 10 The seedling (3) can be supported on the inside of the seedling shovels (30) (31), (30a) (31a).
The shape consisting of the seedling shovels 30, 31, 30a and 31a is
Figure 112021009709811-pat00041
To have a shape, the seed 1 is placed in a flat state at the bottom of the seedling shovels 30, 31, 30a, 31a as shown in FIG. 6, so that the seeding depth is made constant, so that the germination time is made constant, As shown in FIG. 4, the seedling shovel 50 is made in a U shape and the bottom is concave, so that the seeding depth of the seeds 1 is different, so that the germination time is not constant, or the seeds 1 are clustered and overlapped as shown in FIG. will eliminate w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the bottom of the pit formed with the seedling shovels 30, 31, 30a, and 31a is dug flat,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seedling seedling 3, so that the rooting is good. , As shown in FIGS. 10 and 11, a space between the bottom of the seedling seedling 3 and the pit is created due to the concave that occurs in the pit made of the existing U- or V-shaped seedling shovel 5, resulting in poor survival. there will be no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edling shovel 60, 60a as shown in FIGS. 16 to 18.
Figure 112021009709811-pat00042
In order to use the shape to transform a part of it and put the stem seedlings 4 (eg, sweet potato pure seedlings, etc.) that are not suitable for sowing with the sowing tube 10 by hand so that they are planted lying down, the seedling shovel 60 The width of (60a) is usually enlarged from around 3cm to 6cm to around 15cm to 20cm, and a part of the side of one side of the seedling shovel (60) (60a) is opened so that the stem can be directly inserted by hand. Or, by installing one of the coupling pins for coupling a pair of shovels 60 and 60a in an intermediate position, the stem seedlings 4 are placed sideways and the seedling shovels 60 and 60a are spread apart. By allowing the stem seedlings (4) to lie down and enter the pit, it is possible to sow the sweet potato shoots horizontally on the vinyl-mulched ridge, thereby making it easier to sowing sweet potatoes and increasing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sweet potatoes.
In addition, when taking the structure to put the stem seedlings 4 directly using the open part 61 of the seedling shovels 60 and 60a as described above, the seeding tube 10 may not be installed, and the You can also shorten the length.
In the present invention, garlic (2) is to be sown so that the root is facing downward at the bottom of the seedling shovels 30, 31, 30a, 31a as shown in FIG. 9, so the seedling shovels 30, 31, ( 30a) The space between the thickness and the length of the garlic (2) inside the space made up of 31a
Figure 112021009709811-pat00043
By forming a pit in the form of a pit, the garlic (2) is sown while standing, and as shown in FIG. 7, the garlic (2) occurring in the existing U-shaped seedling shovel (5) is laid down, but garlic as shown in FIG. There is no space on the lower side of (2), and the phenomenon of the garlic root hanging in the air from the V-shaped seedling shovel disappears.
The present invention is spread on the lower side of the seeding tube 10 of the conventional seeding machine as shown in FIG.
Figure 112021009709811-pat00044
The seedling shovel 30 of the form can be combined, and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seedling shovel 30 of the existing planter, the problem of sowing or transplanting of seeds (1), garlic (2), and seedling seedlings (3) can be solved. have.
In the present invention, look at the case of adjusting the angle at which the seedling shovel 30, 31a is opened.
Since the size and shape of the pit varies accor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seedling shovels 30 and 31 are opened, there is a need to vary the degree of opening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The handle 21 connected to the holder 20, the handle 41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and the connecting rod 42 connected to the handle 41 are connected to the ring 32 of the seedling shovel so that the handle 41 is lifted. Since the seedling shovels 30 and 31 are widened as much as the length, several fixing holes 22 ar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handle 21, and the handle 41 is lifted when the stopper 23 is inserted into the hole below. is shortened so that the seedling shovels 30 and 31 open less, and when the stopper 23 is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the handle 41 is lifted a little longer, so the seedling shovels 30 and 31 open a little larger. will lose
A case of sowing a seed (1) will be described.
When the seed 1 is put into the inlet 11 in a state where the lower part of the seedling shovels 30 and 31 is closed, the seed 1 is supported on the surface where the seedling shovels 30 and 31 engage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Since the seed 1 has the same height horizontally as in FIG. 6 , after stabbing the seedling shovels 30 and 31 into the soil in a closed state, pulling the handle 41 to open the seedling shovel 31, the seed (1) ) is sown, and since the seeds 1 have a certain depth and are sow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germination period is made constant.
That is, since the existing seedling shovel 5 is made in a U-shape as shown in FIG. 4 , the depth at which the seeds 1 are sown is different. For small seeds such as sesame radish cabbage seeds, the difference in depth is 1 to 2 cm. is several times the size of the seed.
In addition, when the seedling shovel 5 forms a V-shape as shown in FIG. 5 , the small seeds 1 are sown in one place, and thick seeds such as beans or garlic are caught in the grooves below or the roots are floating from the bottom.
In addition, a case in which the seedling seedling 3 is transplanted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2, the seedling seedlings 3 are placed in an upright state, and
Figure 112021009709811-pat00045
By driving the seedling shovels 30a and 31a of the shape into the ground, pulling the handle 41 and opening the seedling shovel 31a with the connecting rod 40, a pit is formed by the seedling shovels 30a and 31a and the seedling seedlings 3 ) is implanted in the center of the pit, and the seedling shovels (30a) (31a) are opened
Figure 112021009709811-pat00046
Since it is made in the shape, the bottom surface of the pit formed by the seedling shovels 30a and 31a is flat,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seedling seedling is transplan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oil, and the survival rate is increased.
Since the existing seedling shovel 5 is made in a U-shape as shown in FIG. 10, the pit is dug concave when the pit to be transplanted is dug, so when transplanting the seedling seedling (3), the seedling seedling (3) ), there is a problem that a space is formed under th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the V-shape has a larger space, so it cannot be used as a seeding machine for seedlings.
Let's look at the case of sowing garlic (2).
In the case of garlic, there is a special problem in that the roots of garlic pieces must be sown so that they are erected facing down. The inner space of the seedling shovels 30 and 31 should have a space in which the garlic 2 can be erected without being laid down, that is, the width is wider than the thickness of the garlic piece and narrower than the length of the garlic piece, and properly sown in the lower part of the garlic The pit should be narrowed.
When the garlic (2) is put into the seeding tube (10), if the root is placed facing downward, the garlic (2) is erected with the root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seedling shovels 30 and 31, as shown in FIG. When the seedling shovels (30) (30) are driven into the ground and spread apart in this state, the garlic (2) is sown with the roots facing downward, and this results in good germination of the garlic (2) and the quality of the garlic. It has an excellent eff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seedling shovels 30 and 31 has an area such that the garlic 2 does not rotate, and
Figure 112021009709811-pat00047
Because of its shape, it can be narrowed to a certain width up to the bottom of the seedling shovel, so that the garlic is not laid down or the root of the garlic is lifted.
However,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ventional U-shaped seedling shovel 5 as shown in FIG. 7 cannot properly narrow the lower end, and it opens in a circular width, and the garlic 2 is in a state lying on its side. , As in the conventional V-shaped seedling shovel, as shown in FIG. 8, the end of the internal space is narrowed so that the garlic is caught in the sowing tube, so it is not lowered down or the root part is lifted even if the garlic (2) is planted. there will be
The connecting rod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ressed when the handle 41 is pulled, and a return spring 42 that provides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nnecting rod 40 when the handle 41 is released is installed, and the handle 41 is usually ), the seedling shovels 30, 31, and 30a and 31a remain closed.
The return spring 42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40 or the handle 21 and the handle 41 or a seedling shovel.

1 : 씨앗 2 : 마늘
3 : 육묘 묘 10 : 파종관
20 : 고정대 21 : 손잡이
22 : 구멍 23 : 스톱퍼
24 : 줄 30,31,30a,31a,60,60a : 모종삽
32 : 고리 33 : 결합핀
40 : 연결대 41 : 핸들
42 : 복귀 스프링 50 : 고정수단
61 : 개방부위
1: Seed 2: Garlic
3: Seedling seedlings 10: Sowing tube
20: fixture 21: handle
22: hole 23: stopper
24: line 30,31,30a,31a,60,60a: seedling shovel
32: ring 33: coupling pin
40: connecting rod 41: handle
42: return spring 50: fixing means
61: open part

Claims (6)

파이프 형태의 파종관(10)을 구비하되 상기 파종관(10)의 상측은 깔때기 형태의 투입구(11)를 설치하고,
상기 파종관(10)의 측면으로 고정수단(50)에 의해 착탈되는 고정대(2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20)의 상측으로 손잡이(21)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손잡이(21)의 하측으로 연결대(40)에 일측이 결합된 채로 상하로 운동하는 핸들(4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20)의 하측에는 고정 모종삽(30)을 고정시키되 고정 모종삽(30)의 내측으로 파종관(10)의 하측이 위치되게 하고,
상기 고정 모종삽(30)의 상측으로 회동 모종삽(31)을 결합시켜 모종삽(30)(31)의 하측이 서로 모아지거나 벌어지게 하되 핸들(41)이 연결대(40)를 상부로 들어 올리는 상측으로 핀 형태의 스톱퍼(23)를 끼우는 구멍(22)을 형성하는 한편 스톱퍼(23)가 구멍(22)에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서 핸들(41)의 움직이는 거리가 제한되어 핸들(41)에 연결된 연결대(40)의 이동거리가 제한되며 모종삽(30)(31)을 벌리는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회동 모종삽(31)의 상측에는 측면으로 돌출되는 고리(32)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32)에는 핸들(41)의 일측과 연결대(40)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대(40)에는 복귀 스프링(42)을 설치하고,
상기 파종관(10)의 하측과 연결대(40)의 하측에 각각 결합되어 하측이 모아지거나 벌어지는 한 쌍의 모종삽(30)(31),(30a)(31a)의 하측 끝은 벌어진
Figure 112021053095919-pat00072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Provided with a seeding tube 10 in the form of a pipe, but the upper side of the seeding tube 10 installs an inlet 11 in the form of a funnel,
A fixing base 20 detachable by a fixing means 50 to the side of the seeding tube 10 is provided,
A handle 41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21 while one side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rod 40 while moving up and down while forming the handle 21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20,
A fixed seedling shovel 30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20, and the lower side of the seeding tube 10 is positioned inside the fixed seedling shovel 30,
By coupling the rotating seedling shovel 31 to the upper side of the fixed seedling shovel 30, the lower sides of the seedling shovels 30 and 31 are gathered or spread apart, but the handle 41 lifts the connecting rod 40 upward. While forming the hole 22 for inserting the stopper 23 in the form of the stopper 23, the moving distance of the handle 41 is limited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stopper 23 is inserted into the hole 22, so the connecting rod 40 connected to the handle 41 ) is limited and the angle of opening the seedling shovels 30 and 31 is adjusted,
A ring 32 protruding to the sid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tating seedling shovel 31,
The ring 3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andle 41 by a connecting rod 40, but a return spring 42 is installed in the connecting rod 40,
The lower end of a pair of seedling shovels 30, 31, 30a, and 31a that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eding tube 10 and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40 so that the lower side is gathered or spread apart
Figure 112021053095919-pat00072
Seed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 the for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파종관(10)은 파종하는 씨앗(1)이나 육묘 묘(3) 의 작물의 종류에 따라 직경을 달리하여 고정대(20)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The seed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eding tube (10) is fixed to the fixing table (20) with a different diameter depending on the type of crop of the seed (1) to be sown or the seedling (3). 삭제delete 고정대(2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20)의 상측으로 손잡이(21)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손잡이(21)의 하측으로 연결대(40)에 일측이 결합된 채로 상하로 운동하는 핸들(4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20)의 하측에는 고정 모종삽(60)을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 모종삽(60)의 상측으로 회동 모종삽(60a)을 결합시켜 모종삽(60)(60a)의 하측이 서로 모아지거나 벌어지게 하고,
상기 모종삽(60)(60a)은 통상의 넓이 3cm ~6cm 보다 넓은 15cm ~20cm로 제작하되 하측이 벌어진
Figure 112021053095919-pat00073
형태로 제작하고, 상기 모종삽(60)(60a)의 일측은 줄기 묘를 넣을 수 있는 개방부위(61)를 형성하고,
상기 회동 모종삽(60a)의 상측에는 측면으로 돌출되는 고리(32)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32)에는 핸들(41)의 일측과 연결대(40)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대(40)에는 복귀 스프링(42)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Provided with a fixing base (20),
A handle 41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21 while one side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rod 40 while moving up and down while forming the handle 21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20,
The fixed seedling shovel 60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table 20, and the rotating seedling shovel 60a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ed seedling shovel 60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seedling shovel 60, 60a is gathered or spread apart,
The seedling shovels (60) (60a) are manufactured in 15cm to 20cm wider than the usual 3cm to 6cm in width, but the lower side is opened
Figure 112021053095919-pat00073
Manufactured in the form, one side of the seedling shovels 60 and 60a forms an open part 61 that can put the stem seedlings,
A ring 32 protruding to the sid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tating seedling shovel 60a,
The ring (3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andle (41) with a connecting rod (40), and a return spring (42) is installed on the connecting rod (40).
삭제delete
KR1020180168651A 2018-12-24 2018-12-24 Seeding tube KR1022769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651A KR102276957B1 (en) 2018-12-24 2018-12-24 Seeding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651A KR102276957B1 (en) 2018-12-24 2018-12-24 Seeding t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087A KR20200079087A (en) 2020-07-02
KR102276957B1 true KR102276957B1 (en) 2021-07-13

Family

ID=7159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651A KR102276957B1 (en) 2018-12-24 2018-12-24 Seeding tu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9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740B1 (en) 2020-07-24 2023-02-28 박성배 sowing system for selective suction and dropping of seeds
KR102633319B1 (en) 2020-11-25 2024-02-05 황경봉 Seeding machine
KR102633951B1 (en) * 2021-04-13 2024-02-06 주식회사 부농테크 Seed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749Y1 (en) * 2001-08-23 2001-11-26 전광진 plant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928U (en) 2012-07-31 2014-02-11 지종욱 Seed Sawing Machine
KR20140002598U (en) 2012-10-25 2014-05-07 전도현 Seeding machine
KR101470260B1 (en) 2013-12-25 2014-12-12 서영석 planter
KR101765270B1 (en) 2015-10-16 2017-08-04 조준래 Auxiliary seeding tube
KR20170064723A (en) * 2015-12-02 2017-06-12 최기봉 Multiple Transplanter for Seedlings of one han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749Y1 (en) * 2001-08-23 2001-11-26 전광진 pla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087A (en)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957B1 (en) Seeding tube
CN102870537B (en) Oilseed rape transplanting method and special transplanting machine
KR102037034B1 (en) Manual Seeder
KR102228840B1 (en) A seeding machine
KR20200012313A (en) Seeding transplanter with soil covering function
KR200444544Y1 (en) Seedling-transplanting machine
KR101919004B1 (en) Upright arrangement planter device of garlic seed
KR20080082044A (en) Multi-breed seeder
KR200444545Y1 (en) Multi-Breed Seeder and Seedling-transplanting machine
KR20160097575A (en) planter
KR200412938Y1 (en) Trowel
KR20170002990U (en) Seeding machine
CN206698655U (en) Millet corn coarse cereals mulch film spreading and seeding machine
CN109328555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paddy earthing seed-sowing machine and its application method
KR200428578Y1 (en) Seeder
CN213368604U (en) Seedling-raising seeder with secondary spraying
KR20160119479A (en) Seedling transplanting and soil release a seedling transplanting cultivation a sower
KR102386731B1 (en) The Multi-purpose planter which promotes ease of operation
CN201015274Y (en) Multifunctional artificial dibbler
CN210157620U (en) Gardening seed sowing machine
CN108605688B (en) Artemisia argyi planting method
CN2461249Y (en) Multifunctional seeder
CN107484474B (en) Full-automatic green Chinese onion transplanting machine
CN207531324U (en) A kind of Portable sowing transplantation device
CN207382856U (en) Portable fixed density sow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