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934B1 -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934B1
KR102276934B1 KR1020190084679A KR20190084679A KR102276934B1 KR 102276934 B1 KR102276934 B1 KR 102276934B1 KR 1020190084679 A KR1020190084679 A KR 1020190084679A KR 20190084679 A KR20190084679 A KR 20190084679A KR 102276934 B1 KR102276934 B1 KR 102276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cholamine
substrate
group
graft
dop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736A (ko
Inventor
전준표
천자영
이두연
김신애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84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934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9D187/005Block or graft polym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01/00 - C09D185/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nti-friction or anti-adhesiv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1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dhesive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25Am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질에 카테콜아민, 예를 들어 도파민을 도입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카테콜아민이 그라프트된,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은 방사선 존재 하에 용액 중에서 기질에 카테콜아민을 그라프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 및 이의 제조방법{Catecholamine-grafted substrat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질에 카테콜아민을 도입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카테콜아민이 그라프트된,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홍합은 특별한 비수용성 접착제를 생산 및 분비하므로, 효과적인 내수성 바이오-접착제에 대한 잠재적 원료로서 연구되고 있으며, 홍합 유래의 고분자를 이용한 표면 처리 기술로서 도파민을 이용한 코팅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도파민은 카테콜과 아민 작용기를 가지는 분자량 153 Da의 단분자 물질이다. 도파민은 2007년 바다 속 환경과 동일한 조건(pH 8.5)의 도파민 수용액에 표면을 개질하고자 하는 물질을 넣었다가 꺼내면 물질의 표면에서 카테콜의 산화에 의해 폴리도파민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보고 되었다.
폴리도파민은 홍합이 수중 환경에서 그 접착 단백질을 통해 다양한 표면에서 접착력을 가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표면의 화학적 성질에 관계없이 다양한 표면에 모두 뛰어난 표면 부착능력을 보여 준다. 특이적 표면 부착 능력뿐만 아니라 도파민, 구체적으로 폴리도파민을 이용한 표면 개질은 그 자체의 화학적 성질에 의한 차 표면 개질이 가능하여 다양한 응용 방면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표면에 형성되는 폴리도파민 코팅 막은 여전히 카테콜 작용기를 가지고 있는데 카테콜 작용기는 산화, 환원 능력 및 아민 작용기와의 공유결합 형성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원하는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를 형성하거나 아민 작용기를 가지는 다양한 분자를 표면에 역시 2차 표면개질로써 도입할 수 있다. 또한, 표면의 친수성 정도를 조절하거나, 젤라틴이나 염기성 섬유모세포생장인자(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와 같은 생체활성분자를 표면에 성공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이에 따라 도파민을 이용한 표면 개질 방법은 접착성뿐만 아니라 생체 재료의 중요한 요소인 생적합성 코팅 기법으로서 다양한 접착성 생체 재료 개발 및 조직 공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로 작용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카테콜아민인 도파민 코팅 기술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알려진 도파민 코팅 기술은 알칼리 용매(pH 8.5)에 도파민을 용해하여 폴리도파민 용액을 제조하고, 기질을 폴리도파민 용액에 침지하여 도파민의 기능성 그룹을 도입하는 방법인데, 이때 폴리도파민 코팅을 위해서 알칼리 영역에서 반응을 진행하거나, 중성 또는 산성 영역에서 반응을 진행하고자 할 때 폴리도파민으로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한 중합을 진행하기 위해 산화제를 추가로 첨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코팅 이후에 생성되는 다량의 폴리도파민 폐액의 처리 문제 또한 있으며, 폴리도파민으로의 코팅 표면 형상이 균질하지 못하는 문제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코팅 형태가 도파민의 형태가 아닌 폴리도파민의 형태이기 때문에 도입하고자 하는 양을 코팅 시간에 따라 조절해야 하므로 정확한 도입량의 측정이 어렵고, 과량으로 도입될 경우 섬유 등의 기공이 존재하는 물질에서 기공이 막히는 현상 또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질에 카테콜아민을 구조적 변화 없이 빠른 시간 내에 도입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카테콜아민의 중합을 유도하기 위한 산화제와 같은 화학 첨가제의 사용 없이도 기질에 카테콜아민을 코팅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사선 존재 하에 용액 중에서 기질에 카테콜아민을 그라프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선으로 유도된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기질에 카테콜아민의 구조 변화 없이, 예컨대 카테콜아민 단량체의 형태로 카테콜아민을 도입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질에 도파민 단량체의 형태로 도파민을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종래 폴리도파민 용액을 이용하는 도파민과 같은 카테콜아민의 코팅 기술 대비 기질에 카테콜아민을 도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카테콜아민 폐액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테콜아민이 그라프트화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그라프트되는 카테콜아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전자선 조사 순서를 달리하였을 때, 전자선의 조사량에 따른 그라프트율의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도파민 농도에 따른 그라프트율의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도파민 농도에 따른 용액의 pH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2와 도 3의 그래프를 동시에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카테콜아민은 벤젠 고리의 오소(ortho) 위치에 하이드록시기(-OH)를 포함하며, 파라(para) 위치에 다양한 알킬아민을 가지는 단분자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테콜아민은 위와 같은 구조로부터 파생되는 다양한 화합물을 함께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도파민, 도파민퀴논, 알파-메틸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알파-메틸오파, 드록시도파 및 5-하이드록시도파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파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테콜아민을 나타낸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71747213-pat00001
이하에서, 본 발명의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질'은 방사선에 의해 라디칼이 생성될 수 있는 물질인 것, 구체적으로 가교형의 안정한 고분자일 수 있다. 그러한 물질로는, 예를 들어 고분자 섬유, 필름, 하이드로겔, 파이프, 전선 및 타이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직물 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섬유는 탄소-탄소, 탄소-산소 등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 폴리카보네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불소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테콜아민으로서 도파민이 그라프트화된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은 방사선 존재 하에 용액 중에서 기질에 카테콜아민을 그라프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사선은, 카테콜아민 함유 용액에 기질을 혼합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에 의해 존재하게 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기질을 함유하는 용액에 카테콜아민을 첨가하기 전에, 기질을 함유하는 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존재하게 되는 것일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은 카테콜아민 함유 용액에 기질을 혼합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콜아민과 기질을 함께 함유하는 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경우, 조사된 방사선이 기질에 라디칼의 생성을 유도하고, 이때 생성되는 라디칼과 카테콜아민의 히드록시기 및/또는 아민기의 결합으로 인해 기질에 카테콜아민이 도입되는 것으로 유추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전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은 기질 함유 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한 후, 카테콜아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질과 코팅 물질이 함께 포함되는 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경우 기질뿐만 아니라 코팅 물질 자체에도 라디칼이 생성되어 코팅 물질 간의 가교 반응에 의해 그라프트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카테콜아민은 방사선이 조사되는 경우 카테콜아민 단량체가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단량체 간의 결합 반응보다 활성화된 카테콜아민 단량체의 기질과의 반응이 더욱 우세하여 기질과 카테콜아민이 함께 포함된 용액에 방사선이 조사되는 경우에도 기질과 카테콜아민이 높은 수율로 그라프트화 될 수 있다.
카테콜아민의 그라프트율(Grafting yield, GY)의 측면에서, 카테콜아민 함유 용액에 기질을 혼합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는 것이 기질 함유 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한 후 카테콜아민을 첨가하는 것보다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그라프트율'은 반응 전의 기질의 중량(Wo)에 대해 그라프트 반응에 의한 중량 증가분(△W)을 백분율(△W/Wo X 100 (%))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의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5% 이상의 그라프트율, 예를 들어 10% 이상의 그라프트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가 수행되는 용액은, 카테콜아민의 농도가 예컨대 0.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0.5 내지 6 중량%, 0.5 내지 5 중량%, 0.5 내지 4 중량%, 0.5 내지 3 중량%, 0.5 내지 2 중량% 또는 1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카테콜아민의 그라프트율은 카테콜아민의 농도가 1 내지 2 중량%인 경우 가장 우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카테콜아민의 농도가 상기 범위에 미달하는 경우 기질과의 반응 확률의 측면에서 반응에 참여하는 카테콜아민 단량체 수가 적기 때문에 그라프트율이 낮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카테콜아민의 농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과량인 경우 카테콜아민 단량체의 증가에 따라 용액의 pH가 증가하여 카테콜아민의 그라프트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테콜아민의 농도는 용액 중의 기질을 제외한 상태에서의 농도를 나타낸다.
또한, 기질에 카테콜아민이 그라프트되는 반응은 약산성 내지 약염기성의 용액에서 강한 반응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강산성 용액에서는 반응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가 수행되는 용액의 pH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4 내지 7, 예를 들어 4.4 내지 6.5, 5 내지 6 또는 5.4 내지 6일 수 있다.
상기 용액의 pH 조절을 위해 상기 용액은 알칼리 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은 상기 그라프트화 반응 이전에 상기 용액에 알칼리 염을 더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되는 상기 알칼리 염은 목적하는 용액의 pH에 따라 그 종류와 양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것이나, 예를 들어 Na+, Li+, K+, NH4 +, Ca2+, Cl- 및 NH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은, 방사선 존재 하에 기질에 카테콜아민이 그라프트화하는 단계 이전에 용액에 질소 퍼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질소 퍼징함으로써 용액 내 용존산소를 제거함으로써, 방사선에 의해 산소 라디컬이 생성되고 카테콜아민의 그라프트화 반응에 부반응을 야기하는 것을 예방하여 카테콜아민의 그라프트화 반응 시간을 단축하고 반응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질소 퍼징 단계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수단이나 방법에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질소 퍼징으로 용존 산소를 제거해도 반응 용기가 공기 내 산소와 접촉함으로써 시료에 일부 과산화물이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금속염, 예를 들어 Ag+, Fe2+, Cu2+, Zn2+, Ni2+, Co+ 및 Pb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염을 반응 용액에 첨가하여 카테콜아민의 그라프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첨가된 금속염은 예를 들어 아래의 식 1과 같은 기전을 통해, 과산화물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OH 라디칼에 전자를 제공함으로써 카테콜아민간의 중합을 억제하여 그라프트화율을 개선할 수 있다.
[식 1]
ROOH + Fe2+ -> RO· + OH- + Fe3+
상기 카테콜아민의 그라프트화를 유도하는 방사선은 예를 들어 전자선, 감마선, 알파선, 베타선, 중성자선 및 X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방사선의 에너지와 카테콜아민의 그라프트화 반응의 효율성의 측면에서 상기 방사선은 전자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조사되는 방사선의 조사량은 용액 내 기질 및/또는 카테콜아민의 양, 목적하는 그라프트율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것이나, 예를 들어 상기 방사선은 1 내지 500 kGy의 조사량으로 조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사선은 10 내지 500 kGy, 50 내지 300 kGy, 50 내지 200 kGy, 80 내지 150 kGy, 예컨대 100 kGy의 조사량으로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용액은 용매로서 물 이외에도, 탄화수소류, 알코올류, 알데히드류, 에테르류, 에스터류, 케톤류 및 글리콜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류는 휘발유, 등유, 노말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디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탄, 디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등과 같은 지방족 염화탄화수소, 클로로벤젠, ortho-디클로로벤젠 등과 같은 방향족 염화탄화수소, 디메틸설폭사이드 등과 같은 유기 황 화합물, 디메틸포름아미드 등과 같은 포름산아미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알코올류는 1-부탄올, 2-부탄올, 이소부틸알코올, 이소펜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테르류는 에틸에테르, 디옥산(dioxane), 테트라하이드로부탄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에스터류는 초산메틸, 초산에틸, 초산프로필, 초산이소프로필, 초산부틸, 초산이소부틸, 초산펜틸, 초산이소펜틸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케톤류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글리콜유도체는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용매로서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은 방사선으로 유도된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을 제공한다.
상기 방사선은 예를 들어 전자선, 감마선, 알파선, 베타선, 중성자선 및 X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방사선의 에너지와 카테콜아민의 그라프트화 반응의 효율성의 측면에서 상기 방사선은 전자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질은 방사선에 의해 라디칼이 생성될 수 있는 물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분자 섬유, 필름, 하이드로겔, 파이프, 전선 및 타이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섬유는 탄소-탄소, 탄소-산소 등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 폴리카보네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불소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파민 그라프트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제조]
실험예 1. 방사선의 조사 순서에 따른 그라프트화율의 측정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앱스필)와 도파민(SIGMA, Dopamine hydrochloride)을 준비하였다.
먼저,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A4 크기(210*297 mm)로 용기에 투입한 후, 질소 퍼징을 한 뒤 전자선을 조사하였다. 전자선은 1.2 MeV*36.9 mA*8 m/min의 조건에서 총 100 kGy를 조사하였다. 전자선을 조사한 후 도파민 수용액을 첨가하여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도파민을 그라프트화하였다(도 1, pre).
또한, 상기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용기에 투입한 후 도파민 수용액을 첨가하여 질소 퍼징을 한 뒤 전자선을 조사하여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도파민을 그라프트화하였다(도 1, simultaneous). 전자선 조사 조건은 위의 pre 실험과 동일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도파민을 그라프트화하였을 때 전자선 조사량에 따른 그라프트화율을 측정하였으며, 하기 표 1과 도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라프트화율의 측정은 그라프트 반응 전과 후의 중량을 측정하여 반응 전의 기질의 중량(Wo)에 대해 그라프트 반응에 의한 중량 증가분(△W)을 백분율(△W/Wo X 100 (%))을 구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Dose (kGy) Simultaneous G.Y (%) Pre G.Y (%)
50 8.14 3.02
100 12.31 3.28
150 11.94 4.56
표 1 및 도 1의 결과에서와 같이, 도파민 그라프트는 도파민과 기질을 함께 전자선을 조사하였을 때가, 기질에 전자선을 조사한 후 도파민을 첨가한 경우 대비 훨씬 더 높은 그라프트율을 보였으며, 이는 전자선 조사에 의해 도파민 단량체가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단량체가 그라프트 반응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유추되었다.
실험예 2. 도파민의 농도에 따른 그라프트화율의 측정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A4 크기(210*297 mm)로 용기에 투입한 후, 도파민 용액을 혼합한 후 질소 퍼징을 한 뒤 전자선을 조사하여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도파민을 그라프트화하였다. 전자선 조사 조건은 위의 실험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도파민을 그라프트화하였을 때 도파민 용액 내 도파민의 농도에 따른 그라프트화율을 측정하였으며, 하기 표 2와 도 2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라프트화율의 측정은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도파민 농도에 따라 전자선 조사 전의 반응 용액의 pH를 pH미터(HM-25R, DKK-TOA corporation)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과 도 3에 나타내었으며, 도파민 농도에 따른 반응 용액의 pH 변화와 그라프트율의 변화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파민 농도 (wt%) G.Y (%)
0.2 0.19
0.5 0.37
1 12.31
3 5.52
5 1.51
7 0.16
도파민 농도 (wt%) pH
0.2 6.25
0.5 5.81
1 5.43
3 5.01
5 4.73
7 4.46
위의 결과를 통해, 도파민 농도가 낮을 경우, 구체적으로 1 wt% 미만인 경우 반응 확률 측면에서 반응에 참여하는 단량체 수가 낮기 때문에 그라프트율이 낮고, 도파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구체적으로 0.2 내지 1 wt%에서는 단량체 농도의 증가로 인해 그라프트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1 wt% 초과되는 농도에서는 단량체 증가에 따라 용액의 pH가 감소함과 동시에 도파민의 그라프트율이 급격히 저감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도파민의 경우 약산성 내지 중성 영역에서 강한 반응성을 갖는 것으로 유추되었으며, 위와 같은 이유로 도파민의 농도가 1 wt% 내지 2 wt% 사이에서 가장 높은 그라프트율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25)

  1. 카테콜아민 함유 용액에 기질을 혼합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질의 혼합 전 카테콜아민 함유 용액 중의 카테콜아민의 농도가 0.5 내지 6 중량%인 것인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액 중의 카테콜아민의 농도가 1 내지 2 중량%인 것인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액의 pH가 4 내지 7인 것인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용액의 pH가 5.4 내지 6인 것인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화 단계 이전에 질소 퍼징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질은 고분자 섬유, 필름, 하이드로겔, 파이프, 전선 및 타이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직물 또는 부직포인 것인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 폴리카보네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불소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인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1 내지 500 kGy의 조사량으로 조사하는 것인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전자선, 감마선, 알파선, 베타선, 중성자선 및 X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인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전자선인 것인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알칼리 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염은 Na+, Li+, K+, NH4 +, Ca2+, Cl- 및 NH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인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용매로서 물, 탄화수소류, 알코올류, 알데히드류, 에테르류, 에스터류, 케톤류 및 글리콜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디메틸포름산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카테콜아민의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테콜아민은 도파민, 도파민퀴논, 알파-메틸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알파-메틸오파, 드록시도파 및 5-하이드록시도파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카테콜아민의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카테콜아민은 도파민을 포함하는 것인 카테콜아민의 그라프트화 기질의 제조방법.
  20. 카테콜아민 함유 용액에 기질을 혼합한 후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방사선으로 유도된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전자선, 감마선, 알파선, 베타선, 중성자선 및 X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인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기질은 고분자 섬유, 필름, 하이드로겔, 파이프, 전선 및 타이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인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
  23. 청구항 20에 있어서,
    5% 이상의 그라프트율을 갖는 것인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
  24.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카테콜아민은 도파민, 도파민퀴논, 알파-메틸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알파-메틸오파, 드록시도파 및 5-하이드록시도파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
  25.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카테콜아민은 도파민을 포함하는 것인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
KR1020190084679A 2019-07-12 2019-07-12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6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679A KR102276934B1 (ko) 2019-07-12 2019-07-12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679A KR102276934B1 (ko) 2019-07-12 2019-07-12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736A KR20210007736A (ko) 2021-01-20
KR102276934B1 true KR102276934B1 (ko) 2021-07-13

Family

ID=74304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679A KR102276934B1 (ko) 2019-07-12 2019-07-12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9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95685B (zh) * 2021-01-23 2023-09-05 济南大学 一种比色检测葡萄糖的纳米酶的制备方法及应用
CN114574984B (zh) * 2022-03-15 2024-01-12 陕西美戈尔衣业有限公司 一种抗静电面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9172A (en) * 1993-01-19 1993-07-20 Medtronic, Inc. Modification of polymeric surface by graft polymerization
KR101124619B1 (ko) * 2010-03-03 2012-03-20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을 이용한 고분자 재료 표면 위에 나노 재료 고정화 및 패턴 형성 방법
KR101603602B1 (ko) * 2014-07-09 2016-03-16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폴리도파민 코팅 고분자 기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91688B1 (ko) * 2017-01-04 2018-08-24 한국원자력연구원 헤파린이 도입된 고분자 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재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736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934B1 (ko) 카테콜아민 그라프트화 기질 및 이의 제조방법
Desai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polyethylene
Uchida et al. Surface graft polymerization of acrylamide onto poly (ethylene terephthalate) film by UV irradiation
KR102190865B1 (ko) 항균성 고분자 코팅 조성물 및 항균성 고분자 필름
Sakai et al. Photodegradation and radiation degradation
CN1332988C (zh) 氟橡胶模塑产品及其生产方法
EP3578616B1 (en) Antimicrobial polymer coating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polymer film
EP3819345A1 (en) Antibacterial polymer coating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polymer film
EP2109632B1 (fr) Materiau comprenant des polyazacycloalcanes, greffes sur des fibres de polypropylen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procede d'elimination de cations metalliques d'un liquide
KR101124619B1 (ko) 방사선을 이용한 고분자 재료 표면 위에 나노 재료 고정화 및 패턴 형성 방법
EP3795647A1 (en) Antibacterial polymer coating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polymer film
JPWO2020202320A1 (ja) コンタクトレンズ消毒用過酸化水素の分解触媒およびその製造方法
Gargan et al. Pre-irradiation grafting of hydrophilic monomers onto polyethylene—I. The influence of homopolymerisation inhibitors
EP0535750B1 (en) Method for grafting hydrophilic monomers containing double bonds onto formed bodies with polymer surfaces
Bhattacharya et al. Basic features and techniques
AU2016267435A1 (en) Antithrombotic material
JP3130364B2 (ja) 表面潤滑性付与剤
CN106040232B (zh) 用于废水处理的催化剂、制备催化剂的方法和包括催化剂的废水处理设备
JP6693062B2 (ja) 六価クロム回収用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
Mhaske et al. Cross-linking of polymers by various radiations: Mechanisms and parameters
KR101882477B1 (ko) 폴리카프로락톤과 콜라겐 복합 나노 섬유의 가교 방법 및 이에 의해 가교된 폴리카프로락톤과 콜라겐 복합 나노 섬유
KR20150083707A (ko) 방사선을 이용한 고흡수성 섬유의 제조 방법
JP3085478B2 (ja) 抗菌性樹脂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Wang et al. Surface photografting of low-density polyethylene films and its relevance to photolamination
CN115450047B (zh) 一种高模量碳纤维接枝甲基丙烯酸缩水甘油酯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