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877B1 - 구강개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색상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강개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색상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877B1
KR102276877B1 KR1020200018097A KR20200018097A KR102276877B1 KR 102276877 B1 KR102276877 B1 KR 102276877B1 KR 1020200018097 A KR1020200018097 A KR 1020200018097A KR 20200018097 A KR20200018097 A KR 20200018097A KR 102276877 B1 KR102276877 B1 KR 102276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opening
oral cavity
oral
back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휘현
민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200018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3/00Instruments for depressing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견본이 착탈 가능한 구강개구기로서, 사용자의 구강에 접촉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상에서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치아 견본이 전방에 결합되는 배경부 및 상기 배경부에서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측정 대상 치아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측정 대상 치아가 구강 내부와 격리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격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강개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색상 측정 시스템{Oral Opening Device and Teeth Color Measure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강개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색상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제성을 가지면서 색상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강개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색상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치아는 노화에 따라 빠지게 되고, 특히 사고 또는 충치와 같은 원인으로 인해 청년일 때 치아가 빠지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빠진 치아의 자리에 새로운 인조 치아를 잇몸뼈에 직접 심어 주는 임플란트 또는 상실된 치아의 옆 치아를 지지대로 삼아 인공치아를 연결하는 브릿지가 인공 치아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시술이다. 이러한 시술들에 사용되는 인공 치아는 외관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새로운 치아 주변의 치아 색상과 가능한 한 유사한 색상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인공 치아 제작을 위해서 치아 본과 피시술자의 치아 색상 정보 및 치아의 촬영 이미지를 기공소로 전달하게 된다. 이 때, 의사의 육안으로 측정하거나 디지털 쉐이드로 불리는 색상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치아 색상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다만, 디지털 쉐이드는 고가인데다 사용법이 복잡하고, 외부 조명 간섭 및 측정 각도에 따라 치아 색상 정보가 매번 다르게 측정되는 단점이 있어 육안 확인 방법이 더 널리 사용된다.
다만, 단순한 육안 측정은 객관성이 결여될 우려가 있는 바, 쉐이드 가이드(치아 색상 견본 틀)을 이용하여 피시술자에게 남아 있는 실제 치아와 색상을 비교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때 종래의 구강개구기가 피시술자에게 장착될 경우, 별도의 치아 색상 견본 틀을 입술 앞에 대고 비교하게 되므로 구강 내에 위치한 실제 치아와 구강 외에 위치하는 쉐이드 가이드의 조명 환경 차이 때문에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조명 환경 차이로 인한 오차로 인해 부정확한 치아 색상 정보가 기공소에 전달될 경우 피시술자의 만족도가 감소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오차가 심각한 경우 기 제작된 인조 치아를 폐기하고 다시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 비용이 급상승하고 자원 낭비를 초래할 위험도 있다. 따라서 색상 정보의 오차를 최대한 줄이는 구강개구기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육안 측정 후 실제 치아 및 치아 색상 견본 틀을 촬영할 때 사용되는 카메라는 크게 스마트폰 카메라와 DSLR로 크게 구분된다. DSLR의 경우 고가이며 크고 무거운데다 세팅이 불편한 한계가 있으며 스마트폰 카메라는 화질 상승과 더불어 현재 치과용 촬영 지원 장비의 등장으로 점차 활용이 잦아지는 추세이나 외부 조명에 의한 색상 왜곡이 없는 정확한 측정을 위한 세팅이 불편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또한 DSLR과 스마트폰 카메라 중 어느 것을 사용하더라도 촬영하는 인력과 별도로 색상 비교를 위해 디지털 쉐이드를 구강 앞에 위치하는 인력이 필요하므로 과도한 인건비가 소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면서 저비용으로 치아 색상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는 구강개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촬영 세팅이 단순화되고 요구 인력이 감소하면서도 정확한 색상 측정이 가능한 치아 색상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치아 견본이 착탈 가능한 구강개구기로서, 사용자의 구강에 접촉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상에서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치아 견본이 전방에 결합되는 배경부 및 상기 배경부에서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측정 대상 치아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측정 대상 치아가 구강 내부와 격리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격리부를 포 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개구부상에서 후방으로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둘레를 따라 돌출된 측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측벽의 후단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둘레를 가지며 확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구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측벽의 전단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둘레를 가지며 확장 형성되어 상기 구강개구기의 삽입 깊이를 고정하는 깊이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리부는 상기 배경부의 단부에서 L자의 만곡된 형상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경부는 일정 면적을 가지며 상기 본체에서 상기 개구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배경판 및 상기 배경판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치아 견본과 결합되는 탭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탭 지지대는 상기 치아 견본이 상기 배경판 상에서 배치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탭 지지대는, 홈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치아 견본이 삽입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수단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돌출된 방향을 따라 홈의 폭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또한, 상기 배경부는 면적의 적어도 일부에 관통 형성된 보조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치아 색상 측정 시스템은 상술한 구강개구기, 및 상기 구강개구기가 삽입된 구강 내 실제 치아 및 치아 견본을 촬영하여 얻어진 시각 정보를 이미지로 출력하는 촬영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 카메라는 상기 촬영 카메라의 바디 또는 렌즈에 결합 가능한 외광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개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측정시스템에 의하면,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면서 저비용으로 치아 색상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색상 측정 시스템에 따르면, 간단하게 측정대상치아의 배경을 차단한 상태로 치아견본을 교체하며 치아의 색상 촬영이 가능하므로, 촬영 세팅이 단순화되고 인력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개구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구강개구기에서 이탈방지부만 형성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구강개구기에서 깊이조절부만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구강개구기에서 배경부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개구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치아견본의 위치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구강개구기에서 탭 지지대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구강개구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구강개구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구강개구기를 포함하는 치아 색상 측정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개구기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개구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구강개구기에서 이탈방지부만 형성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구강개구기에서 깊이조절부만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구강개구기에서 배경부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개구기(100)를 살펴보면, 크게 본체(102), 배경부(107) 및 격리부(110)를 포함한다.
본체(102)는 사용자의 구강에 접촉하여 상기 구강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본체(102)의 중앙에는 개구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03)를 통해 전치(앞니)를 포함하는 치아들 또는 상기 치아들 중 일부가 탈락되어 형성된 예비 공간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04), 이탈방지부(105) 및 깊이 고정부(106)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104)은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개구부(103) 상에서 후방으로 개구부(103)의 둘레를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측벽(104)은 사용자의 입술 또는 구강 점막과 같은 표피에 접촉됨으로써 구강을 개방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동시에 후술될 배경부(107)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측벽(104)은 착용자의 입술과 부드럽게 맞닿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구강개구기(100)의 착용감이 증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104)은 사람의 통상적인 입술 형상과 유사하도록 상부 또는 하부의 중간 지점이 개구부의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일부 만곡된 형상(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측벽(104)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단순한 타원 형상의 측벽(104)이 형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측벽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불연속적인 형상 또는 완전히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형상들이 측벽(104)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105)는, 사용자의 구강에 안착된 상기 본체(10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측벽(104)의 후방 단부에 구비되어 둘레를 따라 확장된 형태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이탈 방지부(105)는 측벽(104)의 외측 둘레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둘레를 가지며 측벽(104)의 후단에서 확장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입술 내측 구강 점막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구강개구기(100)가 사용자의 구강에서 이탈될 확률을 감소시키고 구강의 개방 상태 유지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10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측벽(104)의 후단에서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방지부(105)는 한 쌍으로 상기 측벽(104)의 둘레를 따라 양측에 대칭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부(105)는 측벽(104)의 후단에 배치되어 착용 시 사용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며, 구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깊이 고정부(106)는 측벽(104)의 외측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둘레를 가지며 측벽(104)의 후단에서 확장 형성될 수 있다. 깊이 고정부(106)에 의해 구강개구기(100)와 사용자의 입술 내측 구강 점막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구강개구기(100)가 사용자의 구강에서 이탈될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구강 내 삽입 깊이가 일정한 정도로 고정됨으로써 치아 견본(도 8의 10)과 실제 치아 사이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2)는 측벽(104), 이탈방지부(105) 및 깊이고정부(106)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구강에 안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104)에 상기 이탈방지부(105) 또는 깊이고정부(106)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배경부(107)는 본체(102) 상에서 개구부(103)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배경부(107)는 측정 대상 치아의 상대측 치아를 전방으로부터 차단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측정 대상 치아가 윗니일 경우 배경부(107)는 아랫니 전면에 배치되며, 측정 대상 치아가 아랫니일 경우 배경부(107)는 윗니 전면에 배치된다. 배경부(107)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개구부(103)의 일부 영역은 측정 대상 치아를 전방으로 노출시키므로, 배경부(107)의 면적은 개구부(103)의 면적보다 작다. 상기 차단에 의해 측정 대상이 아닌 치아에 의한 반사광 또는 산란광을 최소화함으로써 치아 색상 측정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배경부(107)의 전면에는 치아 견본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치아 견본(10)은 본 발명의 구강개구기를 위해 맞춤형으로 특수 제작될 수 있으나 기 제조된 쉐이드 가이드(shade guide, 치아 색상 견본)가 선택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경부(107)는 일정 면적을 가지며 본체(502)에서 개구부(503)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배경판(108) 및 배경판(108)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아 견본과 결합될 수 있는 탭 지지대(109)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배경판(10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차단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2)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경판은 사용자의 치아 색상과 상반되는 색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정 대상치아가 아닌 상악 또는 하악 중 어느 하나의 전방에 배치되어 시각적으로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탭 지지대(109)는 후술하는 치아 견본(10)이 결합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홈 형태로 함몰 형성되어 치아 견본(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수단(112)을 가질 수 있다. 결합수단(112)은 배경판(108)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치아 견본(10)은 결합수단(112)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별도의 접착 부재나 점착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탭 지지대(109)가 치아 견본을 고정하기 위해 갖는 구성요소는 결합수단(112)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변형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탭 지지대(109)는 치아 견본에 의해 관통되는 고리 형상일 수 있다. 또는 탭 지지대(109)는 개구부가 형성된 치아 견본(미도시)을 끼울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탭 지지대(109)에 결합된 치아 견본(10)의 배치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탭 지지대(109)가 구성될 수 있다. 치아 견본(10)의 인조 치아가 측정 대상 치아로부터 멀리 배치될수록 시술자 또는 렌즈와의 거리 차이, 광 반사각의 차이 및 반사 또는 투과되는 광량의 차이로 인해 색상 측정 오차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색상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상기 인조 치아의 위치를 측정 대상 치아와 가깝게 배치함이 바람직하므로 치아 견본(10)의 배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탭 지지대(109)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배경부(107)는 상기 배경판(108) 및 상기 탭 지지대(109)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여 사용자의 상악 또는 하악 중 어느 하나를 시각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치아 견본(10)이 체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배경부(107)는 별도의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배경판(108)의 전방에서 상기 결합수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치아 견본(10)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지지판은 상기 치아견본이 상기 배경판(108)에 결합 시 결합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치아견본(10)이 전방으로 돌출 되도록 결합 위치를 조절한다.
물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배경부(107)가 상기 배경판(108) 및 상기 탭 지지부(109)만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치아 견본(10)은 단순히 하나의 견본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치아견본(10)이 상기 연결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가 상술한 상기 탭 지지부(109)에 채결 됨으로써 상기 배경부(107)에 상기 치아견본(10)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치아 견본(10)은 별도의 접착 부재를 이용해 배경부(107)에 치아 견본(10)이 접착되거나 또는 점착과 같은 방식으로 치아 견본이 배경부(107)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배경부(107)는 상술한 상기 탭 지지부(109)가 별도로 구비되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경부(107)은 전술한 것과 같이 치아 견본(10)과 직간접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인 바, 치아 색상을 육안으로 측정하거나 촬영할 때 치아 견본의 배경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색상 측정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불필요한 빛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을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배경부(107)의 재질은 구강 내측의 반사광 또는 산란광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한 불투명한 재질 및/또는 구강 외측의 반사광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한 저반사 재질일 수 있다.
한편, 격리부(110)는 배경부(107)에서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측정대상치아의 후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격리부(110)는 구강개구기(100) 장착 시 상기 측정대상치아가 구강 내부와 격리되어 개구부(103)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실제 치아를 육안으로 관찰 시 또는 촬영 시, 구강 내부에서 잔류하는 반사광 또는 산란광이 상기 색상 측정될 치아의 색상에 영향을 미쳐 측정 오차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구강개구기에 격리부(110)가 구비됨으로써 구강 내부 잔류하는 광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치아 색상 판단이 가능해지고, 인공 치아 재생산에 드는 비용 및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인공 치아 제작 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측정 대상 치아와 격리부(110) 사이의 반사광 또는 산란광에 의해 치아 색상 측정치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리부(110)는 상기 측정 대상 치아와 거리가 최소화되면서 각 치아와의 간격이 일정한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격리부(110)는 구강개구기(100) 장착 시 실제 치아와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기 설정된 원호(circular arc)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격리부(110)는 배경부(107)의 단부에서 L자로 만곡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L자 형상의 단부는 측벽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격리부(110)가 L자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측정 대상 치아와의 물리적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물리적 간섭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착용자의 불쾌감, 치아 색상 측정치 왜곡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격리부(110)의 형상이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격리부(110)는 제조 공정 단순화 또는 시술 편의성을 위해 만곡된 부분이 없이 평탄한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개구기를 살펴보았으며,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개구기의 사용 상태에 대해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개구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치아견본의 위치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통상적인 치아 견본(10)은 인조 치아(10-1), 색상 정보 태그(10-3) 및 인조 치아 (10-1) 및 색상 정보 태그(10-3)를 연결하는 연결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른 구성의 치아 견본이라도 본 발명의 구강개구기에 착탈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치아 견본(10)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인조 치아(10-1)에 상기 연결부(10-2)와 테그(10-3)을 포함하며, 복수의 탭 지지대(109)들이 홈 형태의 결합수단(112)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도시된 바와 같이 탭 지지대(109)의 폭이 연결부(10-2)보다 길이가 짧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탭 지지대(109)의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인해 치아 견본(1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대상 치아의 방향으로 치아 견본(10)에 힘을 가하여 연결부(10-2)를 슬라이딩하면 측정 대상 치아와 인조 치아들(10-1)의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례로 측정 대상 치아가 3번 전치라면 도 6과 같이 치아 견본(10)을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3번 전치 바로 아래에 1' 및 2' 인조 치아들(10-1)이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개구기는 상술한 상기 탭 지지대(109)에 상기 치아견본(10)이 결합되며, 상기 탭 지지대(109)의 폭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개구기의 탭 지지대 형태를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강개구기에서 탭 지지대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7의 (a)를 살펴보면, 탭 지지대(109)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수단(112)이 폭을 가지며 홈 형태로 형성되고, 형성된 홈의 폭이 돌출된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즉, 결합수단(112)의 폭 감소율은 도시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를 살펴보면, 결합수단(112)에 치아 견본(10)이 삽입되었을 때 결합수단(112)의 돌출된 말단의 폭이 치아 견본(1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112)의 폭이 돌출된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상기 치아 견본(10)의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고정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개구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강개구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구강개구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나 측벽(104) 내측에 고정홈(114)이 구비된다는 점이 다르다.
고정홈(114)에 치아 견본(1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고정홈(114)이 측벽(104)의 내면에 구비됨으로써 배경판(108)에 대한 치아 견본(10)의 상대적인 길이에 무관하게 배경판(108) 상에 치아 견본(10)을 배치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이 상기 고정홈(114)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치아 견본이 상기 배경판(108)에 복수 개의 지점으로 결합 됨으로써 결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구강개구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기본적인 구성은 유사하지만 상기 배경부(107)의 구성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경부(107) 중앙에 보조 개구부(111)가 배치될 수 있다. 보조 개구부(111)는 치아 견본(10)이 배경부(107) 또는 탭 지지대(109)와 결합될 시 인조 치아(10-1)의 후면에 대응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탭 지지대(109)에 결합된 상태인 치아 견본(10)은 인조 치아(10-1)의 후방에 연결부(10-2)와의 결합을 위한 부재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결합을 위한 부재에 의해 인조 치아(10-1) 후방이 돌출될 수 있다. 특히 치아 견본(10)이 배경부(107) 또는 탭 지지대(109)와 같은 그 하위 구성요소에 결합될 경우, 인조 치아(10-1)와 배경부(107) 간에 서로 물리적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 견본(10)이 배경부(107) 또는 탭 지지대(109)에 결합된 채로 슬라이딩할 때 마찰에 의해 치아 견본(10) 또는 배경부(107) 또는 탭 지지대(109)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물리적 간섭에 의해 연결부(10-2)가 의도치 않게 전방으로 만곡될 수 있으며 이는 조명 반사각과 같은 촬영 환경에 영향을 주어 색상 측정치가 왜곡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보조 개구부(111)가 배치됨으로써 치아 견본(10)이 배경부(107)와 서로 물리적 간섭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물리적 간섭 현상에 의해 결합된 치아 견본(10)의 각도가 변형됨으로써 발생 가능한, 색상 측정 왜곡 및 치아 견본(10)의 내구성 약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개구부(111)가 배치된 경우, 인조 치아(10-1)의 후방이 돌출되지 않은 치아 견본(10)을 사용할 경우에는 물리적 간섭 없이 연결부(10-2)의 일부분을 후방으로 만곡시켜 인조 치아(10-1)의 배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조 치아(10-1)의 배치 변경에 의해 상기 측정 대상 치아와 치아 견본(10)의 거리를 최소화 하거나 조명 반사각 배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강개구기를 포함하는 치아 색상 측정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색상 측정 시스템(1000)은 구강개구기(100) 및 촬영 카메라(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강개구기(100)의 경우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촬영카메라(130)는 상기 구강개구기(100)와 별도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 카메라(130)는 촬영 및 이미지 표시 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실제 치아 및 치아 견본이 포함된 시각 정보를 수렴하는 렌즈 및 상기 시각 정보를 아날로그적 또는 디지털적으로 변환한 정적 이미지 또는 동적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위치와 크기는 도 10에 도시된 것에 한하지 않으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촬영 카메라(130)와 별도로 독립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구강 촬영 시 구도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바디의 저면, 측면 또는 후면에 파지부(140)가 결합될 수 있다.
촬영 카메라(130)의 바디(160) 또는 렌즈(미도시)에 외광 차단부(180)가 결합될 수 있다. 외광 차단부(180)는 상기 바디와 별도의 모듈로서 제작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외광 차단부(180)는 구강개구기(400)의 측벽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구강개구기(400)와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광 차단부(180)가 구강개구기(400)의 전면과 접촉되거나 맞물리거나 인접된 상태로 육안 관찰 및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구강개구기(400)와의 이격이 최소화됨으로써 촬영 색상 측정 시스템(1000) 구동 시 외광의 영향에 의해 치아 색상이 왜곡 측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광 차단부(180)는 일종의 어둠 상자 역할을 하므로 별도 조명 장치가 있어야 가시적인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외광 차단부의 내벽(미도시), 촬영 카메라 바디(160) 또는 상기 렌즈 주변에 조명 장치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치아 색상 측정 시스템(1000)에 촬영 제어 스위치(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촬영 제어 스위치(170)는 촬영 카메라(130)에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촬영 여부 결정에 대한 정보를 전기적 신호 또는 기계적 신호로 촬영 카메라(13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영 제어 스위치(170)는 촬영 카메라(130) 또는 파지부(140)에 내장될 수 있으나 분리된 별도 장치(미도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촬영 제어 스위치(170) 및/또는 촬영 카메라(130)에 블루투스, 와이파이, 비콘 또는 NFC 같은 기술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수요자가 촬영 여부 결정에 대한 정보를 전자기파 신호로 상기 촬영 카메라로 송신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치아 색상 측정 견본 탭
100: 구강개구기
102: 본체
103: 개구부
104: 측벽
107: 배경부
105: 이탈 방지부
106: 깊이 고정부
109: 탭 지지대
110: 격리부
111: 보조 개구부
112: 결합수단
130: 측정 카메라
140: 파지부
150: 디스플레이
160: 촬영 카메라의 바디
170: 촬영 제어 스위치
180: 외광 차단부
1000: 치아 색상 측정 시스템

Claims (11)

  1. 치아 견본이 착탈 가능한 구강개구기로서,
    사용자의 구강에 접촉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상에서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치아 견본이 결합되는 배경부; 및
    상기 배경부에서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가 측정 대상 치아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측정 대상 치아가 구강 내부와 격리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격리부;
    를 포함하는 구강개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개구부상에서 후방으로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둘레를 따라 돌출된 측벽을 포함하는 구강개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측벽의 후단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둘레를 가지며 확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구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구강개구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측벽의 전단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둘레를 가지며 확장 형성되어 상기 구강개구기의 삽입 깊이를 고정하는 깊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구강개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는,
    상기 배경부의 단부에서 L자의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구강개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부는,
    일정 면적을 가지며 상기 본체에서 상기 개구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배경판; 및
    상기 배경판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치아 견본과 결합되는 탭 지지대;

    를 포함하는 구강개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탭 지지대는,
    상기 치아 견본이 상기 배경판 상에서 배치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구강개구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탭 지지대는,
    홈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치아 견본이 삽입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수단을 가지도록 구강개구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돌출된 방향을 따라 홈의 폭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구강개구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부는,
    면적의 적어도 일부에 관통 형성된 보조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구강개구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강개구기; 및
    상기 구강개구기가 삽입된 구강 내 실제 치아 및 치아 견본을 촬영하여 얻어진 시각 정보를 이미지로 출력하는 촬영 카메라;
    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카메라는
    상기 촬영 카메라의 바디 또는 렌즈에 결합 가능한 외광 차단부를 포함하는 치아 색상 측정 시스템.
KR1020200018097A 2020-02-14 2020-02-14 구강개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색상 측정 시스템 KR102276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097A KR102276877B1 (ko) 2020-02-14 2020-02-14 구강개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색상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097A KR102276877B1 (ko) 2020-02-14 2020-02-14 구강개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색상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877B1 true KR102276877B1 (ko) 2021-07-14

Family

ID=76863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097A KR102276877B1 (ko) 2020-02-14 2020-02-14 구강개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색상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8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360B1 (ko) 2021-10-18 2022-04-01 손명훈 치아의 쉐이드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5263A (ja) * 2001-04-27 2002-12-10 Ivoclar Vivadent Ag 歯科用カメラ
US20040043350A1 (en) * 1996-01-02 2004-03-04 Jung Wayne 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teeth
JP2007167142A (ja) * 2005-12-19 2007-07-05 Olympus Corp 歯科用歯測定装置用コンタクトキャップおよび歯科用歯測定装置による測定方法
WO2018080413A2 (en) * 2016-10-31 2018-05-03 Cil Koray Dental color determination system integrated to mobile phones and table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3350A1 (en) * 1996-01-02 2004-03-04 Jung Wayne 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teeth
JP2002355263A (ja) * 2001-04-27 2002-12-10 Ivoclar Vivadent Ag 歯科用カメラ
JP2007167142A (ja) * 2005-12-19 2007-07-05 Olympus Corp 歯科用歯測定装置用コンタクトキャップおよび歯科用歯測定装置による測定方法
WO2018080413A2 (en) * 2016-10-31 2018-05-03 Cil Koray Dental color determination system integrated to mobile phones and table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360B1 (ko) 2021-10-18 2022-04-01 손명훈 치아의 쉐이드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batabaian et al. Visual and digital tooth shade selection methods, related effective factors and conditions, and their accuracy and precision: A literature review
CN1829468B (zh) 耳镜
CN1984599B (zh) 耳镜尖端元件和相关使用方法
DK3198891T3 (en) DEVICE FOR PRINTING THE EAR
WO2013141502A1 (ko) 치과용 3차원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스캐닝 방법
JP3644932B2 (ja) 歯科用カメラ
US11599997B2 (en) Dental imaging device
JP2005000652A (ja) 歯科用カラー画像システム
WO2018155630A1 (ja) 撮影評価・検出ユニット及び光学装置
CN107072476B (zh) 观察装置
EP36508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lor of teeth
KR20170093445A (ko) 칼라 패턴을 이용한 치과용 3차원 스캐너
KR102276877B1 (ko) 구강개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색상 측정 시스템
EP3446619B1 (en) Endoscope system and processor device
JP2012213575A (ja) 眼科撮影装置
JP2011087651A5 (ko)
WO20131515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acquisition and processing
CN108309492B (zh) 一种完全数字化定制牙科修复体的方法
Bister et al. Comparison of 10 digital SLR cameras for orthodontic photography
WO2022008533A1 (en) Dental imaging device
WO2019022361A1 (ko)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JP2020116147A (ja) 内視鏡システム
JP4695440B2 (ja) 歯科用歯測定装置用コンタクトキャップ
KR20210033270A (ko) 개구기 및 이의 사용방법
KR102382360B1 (ko) 치아의 쉐이드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