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719B1 - 바이오가스 생물탈황 시설 - Google Patents

바이오가스 생물탈황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719B1
KR102275719B1 KR1020200169380A KR20200169380A KR102275719B1 KR 102275719 B1 KR102275719 B1 KR 102275719B1 KR 1020200169380 A KR1020200169380 A KR 1020200169380A KR 20200169380 A KR20200169380 A KR 20200169380A KR 102275719 B1 KR102275719 B1 KR 102275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unit
circulating water
main body
harmful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종헌
홍성균
장경주
박태영
Original Assignee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filed Critical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Priority to KR102020016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2Hydrogen sulf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95Specific microorg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부가 하나 이상의 단으로 형성됨으로써, 충전부재로 인한 압력이 분산되어 충전부재의 손상이 최소화 될 수 있는 바이오가스 생물탈황 시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오가스 생물탈황 시설{BIOGAS BIOLOGICAL DESULFURIZATION FACILITY}
본 발명은 세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바이오가스 생물탈황 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성 폐기물은 2005년부터 육상 직매립이 금지되고, 2006년에 발효된 런던협약에 따라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되어 육상처리 및 재활용처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최근 유기성 폐기물의 바이오가스화는 해양투기 금지에 따른 대안으로 부상하는 육상처리 방법일 뿐만 아니라, 에너지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 신재생에너지원을 생산하는 시설로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4418호(이하 ‘문헌 1’)의 “선박용 습식 스크러버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습식 스크러버 시스템”에서, 충전(충진)재부가 복수 개의 단으로 설치되는 노즐 어셈블리 하부에 각각 설치된 선박용 습식 스크러버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습식 스크러버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1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노즐 어셈블리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하우징 내부를 통과하는 배연가스의 용해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지만, 세정수가 배수구로 별도로 배수되어 세정수를 주기적으로 유입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21463호(이하 ‘문헌 2’)의 “습식흡수탑을 이용하는 배연탈황장치 순환수 중의 아황산이온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에서, 산화공기와 접촉하는 순환수두의 높이를 연계하여 조절함으로써 탈황효율을 유지시킬 수 있는 습식흡수탑을 이용하는 배연탈황장치 순환수 중의 아황산 이온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2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마그네슘을 중화제로 사용함으로써, 순환수 중의 아황산이온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낮은 pH에서도 안정적인 탈황효율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흡수액이 배기가스와 접촉하여 흡수층을 통과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흡수액의 분사력에 따른 처리효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5337호(이하, ‘문헌 3’)의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에서, 필터층이 일정간격을 두고 2단 이상 형성된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3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2단 이상의 필터층이 구비되어 탈황여재의 교체 시 포화농도에 도달하지 않은 재활용 가능한 탈황여재의 경우, 복수의 필터층 중간에 구비된 밸브 판의 작동으로 단계별 탈황여재를 아래쪽으로 내려 보내어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낙하구 또는 밸브 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막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7570호(이하 ‘문헌 4’)의 “탈황용기 및 이를 이용한 다단식 건식 탈황장치”에서, 2개 이상의 탈황용기가 적층 형태로 형성된 탈황용기 및 이를 이용한 다단식 건식 탈황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4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탈황용기가 적층되도록 형성되어 탈황제 자체의 하중 및 수분에 의해 탈황제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탈황용기를 별도로 분리하고 조립하는 등의 공정이 더 수행되는 단점이 있다.
<배경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441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2146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533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7570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에 유해가스, 지지부(300) 또는 충전부(4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이 포함되도록 형성된 본체(100); 본체(100) 외측 또는 내측으로부터 순환에 의해 유해가스가 제거될 수 있도록 순환부(121)와 연동 형성된 순환수(200); 본체(100) 하측면으로 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지지부(300); 및 지지부(300) 상측에 유해가스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충전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해가스 또는 외부공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본체(10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 송풍부(110)에 의해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순환부(121)는 지지부(300) 또는 충전부(4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 형성되며, 상측으로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충전부(400)는 내측에 하나 이상의 충전부재(410)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충전부가 하나 이상의 단으로 형성됨으로써, 충전부재로 인한 압력이 분산되어 충전부재의 손상이 최소화 될 수 있는 바이오가스 생물탈황 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충전부재 교체 시 충전부재로 인한 본체의 내부 막힘이 최소화 되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바이오가스 생물탈황 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충전부가 하나 이상의 단으로 형성됨으로써, 충전부재로 인한 압력이 분산되어 충전부재의 손상을 최소화 하고, 충전부재의 교체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충전부재 교체 시 충전부재로 인한 본체 내부의 막힘이 최소화 되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더욱이, 충전부가 하나 이상의 단으로 형성됨으로써, 유해가스가 확산에 의해 이동될수록 충전부재에 고르게 접촉됨에 따라 유해가스 제거효율을 높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충전부가 하나 이상의 단으로 형성됨으로써, 충전부재의 교체주기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교체 시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감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충전부에 따라 순환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탈황 또는 충전부 세정을 위한 순환수량이 증가됨으로써, 기-액비가 증가되어 탈황효율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가스 생물탈황 시설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충전부에 충전되는 충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체의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부, 발판부 및 안전바의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 따른 결과 값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그래프이다.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01: 배출구, 110: 송풍부, 111: 유입부, 120: 펌프, 121: 순환부, 130: 투시부, 131: 회전부, 132: 개폐부
200: 순환수
300: 지지부, 310: 지지구조체
400: 충전부, 410: 충전부재, 420: 충전지지부, 430: 제1연결부, 431: 제2연결부
500: 사다리부, 510: 발판, 520: 안전바, 521: 수직바, 522: 수평바
600: 센서부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하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가스 생물탈황 시설은 본체(100), 순환수(200), 지지부(300) 및 충전부(40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본체(100)는 내측에 유해가스, 지지부(300) 또는 충전부(4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이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00) 내부에 유해가스, 지지부(300) 또는 충전부(4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이 포함됨으로써, 유해가스의 흐름에 따라 유해가스에 포함된 유해성분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유해가스는 음폐수로부터 형성된 바이오가스로서, 황화합물이 포함된 바이오가스가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황화수소가 포함된 바이오가스가 적용됨으로써, 확산에 의해 본체(100)를 통과한 바이오가스 내 포함된 황화수소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유해가스 또는 외부공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본체(1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 송풍부(110)에 의해 유입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송풍부(110)에 의해 유해가스 또는 외부공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본체(100) 내에 유입될 수 있다.
만약, 송풍부(110)에 의해 유해가스가 유입될 경우, 유해가스는 확산에 의해 충전부(400)를 통과하여 유해가스 내 포함된 유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체(100) 내측 또는 유해가스가 본체(10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연동 형성된 유입부(111) 내에 형성된 가스농도측정센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0) 내측으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유해가스의 가스농도를 측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이 제어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체(100) 상측의 배출구(101)에 형성된 가스농도측정센서의 값과 본체(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해가스의 농도를 비교하여 유해가스 처리효율을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로, 송풍부(110)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될 경우, 외부공기가 본체(100) 내로 유입되어 충전부(400) 내에 서식하는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송풍부(110)는 외부공기와 연결 형성되고, 본체(100) 내에 유입되는 유해가스로서 산소를 포함하지 않는 메탄 또는 황화수소를 포함하는 유해가스로서 바이오가스가 유입될 경우, 송풍부(110)에 의해 외부공기 유입량을 조절하여 산소를 공급하여 충전부(400)에 서식하는 호기성 미생물의 생육이 활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송풍부(110)에 의해 본체(100) 내 산소농도를 4% 이하로 유지시킬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3%, 가장 바람직하게는 1.5~2% 이하로 유지시킬 수 있다.
만약, 본체(100) 내 산소농도가 4% 이하일 경우, 송풍부(110)의 회전이 빠르게 수행되어 외부공기가 본체(100) 내로 다량 유입되어 미생물에 산소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반대로, 본체(100) 내 산소농도가 4% 이상일 경우, 송풍부(110)의 회전이 느리게 수행되어 외부공기가 본체(100) 내로 소량 유입되어 미생물에 산소를 적게 공급하여 일정량의 산소가 본체(100) 내에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0) 내 산소농도가 4%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본체(100) 내의 산소농도에 의해 본체(100)가 폭발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본체(1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산소를 제외하고 58~60%는 메탄, 38~40%는 이산화탄소 및 미량의 황화수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본체(100) 내 산소농도는 유해가스 내 포함된 유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100) 상측에 형성된 배출구(101)에 형성된 가스농도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출구(101)에 형성된 가스농도측정센서는 본체(1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메탄(CH4), 산소(O2), 황화수소(H2S),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측정하여 본체(1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성분의 농도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이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송풍부(110)가 외부공기와 연결될 경우, 유해가스는 별도의 송풍부(110)에 의해 유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송풍부(110)는 본체(100) 하측에 연동 형성됨으로써, 본체(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해가스가 확산에 의해 본체(100) 상측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로, 송풍부(110)는 본체(100) 하측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유입부(111)와 연동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유입부(111)는 유해가스 또는 외부공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본체(100) 내부에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해가스 또는 외부공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송풍부(110)와 유입부(111)를 차례로 거쳐 본체(100) 내부에 확산됨으로써, 유해가스 내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되거나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체(1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투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시부(130)는 작업자가 본체(100) 외측으로부터 본체(100) 내측에 수행되는 유해가스의 유해물질 제거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100) 내부에 형성되는 순환수(200), 지지부(300) 또는 충전부(4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결함이 발생될 경우, 어느 지점에서 발생이 되었는지 신속하게 확인하고 즉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투시부(130)는 본체(1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나, 선택적으로 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투시부(130)는 충전부(400)를 기준으로 충전부(400)와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 또는 충전부(400)가 형성된 위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만약, 투시부(130)가 충전부(400)를 기준으로 충전부(400)와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경우, 펌프(120) 또는 순환부(121)에 의해 순환수(200)의 분사량 또는 분사속도 등을 포함하는 순환수(200)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투시부(130)가 충전부(400)를 기준으로 충전부(400)가 형성된 위치에 형성될 경우, 충전부(400) 내에 포함된 충전부재(410)의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거나 충전부(400)를 개폐시킴으로써 충전부재(410)를 교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충전부재(410)의 교체는 충전부재(410) 내에 불순물이 남아 유해가스 내에 포함된 유해물질의 제거효율이 저하되었을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투시부(130)의 개폐에 의해 충전부(400) 내에 포함된 충전부재(410)를 교체시킬 경우, 각 층에 형성된 충전부재(410) 전체량의 80% 이하를 교체시킴으로써, 충전부재(410) 교체 시 충전부재(410) 내에 형성된 미생물의 활성기간이 짧아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충전부재(410) 교체 시 전체량의 80% 이상을 교체시킬 경우, 충전부재(410) 교체 후 미생물의 활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해가스 내에 포함된 유해성분의 제거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순환수(200)는 본체(100) 외측 또는 내측으로부터 순환에 의해 유해가스가 제거될 수 있도록 순환부(121)와 연동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순환수(200)는 순환부(121)에 의해 본체(100) 내측에 분사됨으로써, 본체(100) 내부에 유입된 유해가스의 유해성분이 용이하게 제거되거나, 본체(100) 또는 충전부(400)가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유해가스의 유해성분을 용이하게 제거시키기 위한 순환수(200)가 적용될 경우, 순환수(200)는 유해가스 제거를 위한 물질이 적용되거나, 충전부(400)에 충전된 충전부재(410)에 부착 성장되는 미생물 배지가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순환수(200) 본체(100) 또는 충전부(400)가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도록 세척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순환수(200)는 충전부재(410)를 세척하거나, 유해가스를 흡착시켜 충전부재(410)에 유해가스의 접촉률을 높여 충전부재(410)에 서식하는 미생물에 의해 유해가스의 제거효율을 높게 유지시키기 위해 물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유해가스에 포함된 황화수소를 황산염으로 직접산화 시킬 경우, 아래와 같은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H2S+2O2→H2SO4
나아가, 순환수(200)로서 물이 적용시켜 중간생성물질인 황과 함께 황산염으로 산화시킬 경우, 아래와 같은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2H2S+O2→2S+2H2O
2S+2H2O+3O2→2H2SO4
선택적으로, 순환수(200) 온도에 의해 본체(100) 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순환수(200)의 온도가 높아지거나 저하될 경우, 순환수(200)로서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시킴으로써, 본체(100) 내 온도를 제어시킬 수 있다.
이때, 본체(100) 내 온도는 28~45℃로 유지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8~32℃를 유지시킴으로써 충전부(400) 내 미생물의 활성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본체(100) 내 온도가 28~32℃ 범위 외로 유지될 경우, 낮거나 높은 온도에 의해 미생물의 활성이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45℃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고온에 의해 미생물이 사멸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 용도에 알맞은 순환수(200)가 적용됨으로써, 유해가스 제거 또는 본체(100) 세척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순환수(200)가 본체(100) 내부에 용이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순환부(121)와 연동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순환수(200)는 본체(100) 내측 하측에 형성됨으로써, 순환부(121)에 의해 분사된 순환수(200)가 본체(100) 내측에 신속하게 저장되어 본체(100) 내부로부터 순환수(200)의 순환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순환부(121)는 지지부(300) 또는 충전부(4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 형성되며, 상측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순환부(121)는 순환수(200)가 본체(100) 상측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본체(100) 내측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순환부(121)는 지지부(300) 또는 충전부(4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상측방향으로 이격됨과 동시에 본체(100) 내측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지지부(300) 또는 충전부(4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본체(100)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될 경우, 순환부(121)는 지지부(300) 또는 충전부(400)의 간격에 따라 상측으로 이격되어 본체(100) 내측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순환부(121)는 본체(100) 외측을 따라 지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됨과 동시에 단부가 본체(100)를 관통하여 본체(100) 내측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펌프(120)와 연동 형성된 부분의 순환부(121) 단부는 본체(100) 외측에 지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펌프(120)와 마주보는 상측방향에 형성된 순환부(121) 단부는 절곡 형성되어 본체(100)를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순환부(121)는 충전부(400) 각 층과 연동 형성될 수 있도록 분기관 형식으로 절곡 형성됨으로써, 순환수(200)가 충전부(400) 각 층으로 분사되어 유해가스 내에 포함된 유해물질과 순환수(200) 사이의 기-액비가 증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순환수(200) 또는 유해물질 등에 의해 순환부(121)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하며, 순환부(121)의 지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부분에 결함이 발생될 경우, 본체(100) 외측에서 신속하게 보수가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충전부(400)에 따라 순환부(121)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탈황 또는 충전부(400) 세정을 위한 순환수(200) 양이 증가됨으로써, 기-액비가 증가되어 탈황효율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순환수(200)가 순환부(121)에 의해 본체(100) 상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순환부(121)는 펌프(120)와 연동 형성될 수 있다.
펌프(120)가 더 형성됨으로써, 순환수(200)가 순환부(121)로부터 본체(100) 내측 상측까지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해가스 세정 속도 및 세정율을 펌프(120) 간단한 제어에 의한 순환수(200) 분사량을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펌프(120)는 본체(100) 외측으로부터 이격 형성됨으로써, 유해물질 또는 순환수(200) 등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순환부(121)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펌프(120)는 순환부(121)의 위치에 따라 순환수(200)의 분사량이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펌프(120)가 둘 이상 형성될 경우, 하나의 펌프(120)는 순환수(200)와 최 상측에 형성된 충전부(400)와 이격 형성된 순환부(121)와 연동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펌프(120)는 순환수(200)와 최 상측에 형성된 충전부(400)를 제외한 충전부(400)와 이격 형성된 순환부(121)와 연동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체(100) 내에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된 충전부(400)의 각 층의 순환수(200) 분사력 또는 분사량이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펌프(120)에 의해 순환수(200)가 외부로 배출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순환수(200)의 pH 값은 1.4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순환수(200)의 pH 값을 1.5~1.6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순환수(200)의 pH 값이 1.4 이하일 경우, 순환수(400) 내에 포함된 유해가스에 의해 순환수(200)가 오염된 것으로 순환수(200)를 재사용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순환수(200) 내의 pH 값은 본체(100) 또는 순환부(1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된 pH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pH 센서는 순환수(20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순환부(121) 내에 형성되어 순환부(121)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수(200)의 pH 값에 의해 펌프(120)에 의한 순환수(200)의 재순환 또는 배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순환부(121)로부터 순환수(200)가 본체(100) 내부에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순환부(121) 단부에 본체(100)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분사노즐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사노즐은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순환수(200)가 본체(100) 내부에 본체(100) 상측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고르게 분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지지부(300)는 본체(100) 하측면으로 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00)가 본체(100) 하측면으로 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 형성됨으로써, 상측에 충전부(400)가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순환수(200)가 본체(100) 하측 내측에 형성될 경우, 지지부(300)는 순환수(200) 상측면으로 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지지부(300)는 타공망 또는 메시망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본체(100) 상측으로 부터 하측방향으로 분사되는 순환수(200)가 지지부(300)를 통과함과 동시에 본체(100) 하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순환수(200)의 순환이 유연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부(300)는 그레이팅(grating)으로 형성됨으로써, 충전부(4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지지부(300)를 본체(100) 하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더욱 견고하게 이격될 수 있도록 지지부(300) 하측에 철골 등으로 형성된 지지구조체(310)가 더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지지구조체(310)는 순환수(200)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음과 동시에 지지부(3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구조체(310)는 본체(100) 내측에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거나, 판 형식으로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교차 형성된 철골 구조체가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구조체(31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교차 형성된 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충전부(400)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지지부(300)는 본체(100) 하측면으로 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간격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충전부(400)와 하나 이상 단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300)가 일정간격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유해가스가 확산에 의해 본체(100) 하측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순환수(200)가 분사될 경우, 순환수(200)와 유해물질이 접촉되어 하측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충전부(400)는 지지부(300) 상측에 유해가스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지지부(300)가 일정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될 경우, 충전부(400)는 지지부(300) 상측에 위치하여 하나 이상의 단을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시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00) 또는 충전부(400)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단 사이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외부로부터 지지부(300) 또는 충전부(400)에 의해 형성된 단 또는 순환수(200)의 상태를 수시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투시부(130)는 지지부(300) 또는 충전부(400)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단 사이에 형성되거나, 본체(100) 상측 또는 하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순환수(200)의 상태뿐만 아니라, 탈황 효율을 수시로 관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충전부(400)와 지지부(300)가 하나 이상의 단으로 형성될 경우, 충전부(400)에 고르게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유해가스 제거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충전부(400)가 하나 이상의 단으로 형성됨으로써, 충전부재(410)의 교체주기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교체 시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감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충전부재(410)로 인한 충전부(400)의 압력이 분산되어 충전부재(410)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충전부재(410)의 교체가 용이하게 수행될 뿐만 아니라, 충전부재(410)의 교체주기가 길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충전부재(410) 교체 시 충전부재(410)로 인한 본체(100) 내부의 막힘이 최소화되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유해가스가 충전부(400)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충전부(400)는 내측에 하나 이상의 충전부재(41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충전부재(410)가 포함됨으로써, 유해가스가 충전부재(410)와 접촉됨과 동시에 충전부(400)를 관통되어 유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재(410)는 내측에 순환수(200) 내에 포함된 미생물이 용이하게 서식할 수 있도록 충전부재(410)는 충전지지부(420) 및 제1연결부(4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충전지지부(420)는 다각형 또는 원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내측에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충전지지부(420)에 포함된 공간이 충전지지부(420)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순환수(200)가 분산됨과 동시에 충전지지부(420) 내에 형성된 공간을 관통함으로써, 용이하게 순환수(200)의 순환이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1연결부(430)는 충전지지부(420) 내측 또는 외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충전지지부(430)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연결부(430)는 충전지지부(420) 상측 또는 하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외측에 충전지지부(420)를 가로지름과 동시에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430)가 형성됨으로써,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순환수(200)가 순환과정에서 최종 형성되는 충전부재(410)에 용이하게 머무를 수 있고, 충전부재(410)가 외부 충격 또는 압력으로부터 손상되지 않고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제1연결부(430) 내측 또는 외측 단부는 제1연결부(430)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됨으로써, 외부 충격 또는 압력으로부터 충전부재(410)의 변형 또는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충전지지부(420)와 제1연결부(430)가 차례로 적층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미생물이 용이하게 서식될 수 있는 높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충전부재(410) 양단에 충전지지부(420)가 형성됨으로써, 순환수(200) 또는 유해가스 등에 따른 외부 압력으로부터 충전부재(410)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부재(410)의 외형에 의한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연결부(430) 단부에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연결부(43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연결부(431) 단부는 충전지지부(420) 내측면에 맞닿도록 형성됨으로써, 충전지지부(420)와 제1연결부(430)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장 바람직하게, 제2연결부(431) 상측면은 제1연결부(430) 상측 또는 하측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충전지지부(420) 내측면까지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충전지지부(420)로부터 제1연결부(430)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충전부재(410) 내측에 서식할 수 있는 미생물은 유해가스의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유해가스 내 황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는 유황균이 적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해가스 내 포함된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Thiobacillus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비교예 1>
본체(100) 내에 포함되는 충전부(400)는 단일로 형성되며, 순환부(121)는 본체(100) 상측에 형성되어 하측방향으로 순환수(200)를 분사하도록 형성된 후 바이오가스를 통과시켜 18일 동안 유해가스인 황화수소 농도를 측정하였는데, 이 중 황화수소의 최대, 최소 농도 및 본체(100) 내부 압력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1>
본체(100) 내에 포함되는 충전부(400)를 일정간격으로 3단으로 형성시키고, 충전부(400) 각 단에 상측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순환부(121)가 형성되어 각 단에 순환수(200)를 분사하도록 형성된 후 유해가스를 통과시켜 18일 동안 유해가스인 황화수소 농도를 측정하였는데, 이 중 황화수소의 최대, 최소 농도 및 본체(100) 내부 압력을 측정하였다.
이때,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황화수소의 농도는 배출구(101)에 형성된 가스농도측정센서에 의해 황화수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더욱이,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압력은 본체(100) 내에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111) 및 배출구(101)에 각각 PSV(pressure safety valve)를 설치하여 본체(100) 내 가스의 압력차를 측정하였다.
나아가, 순환수(200)의 미생물 안정화 기간 동안 황화수소 농도는 측정을 수행하지 않았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따른 황화수소의 최대 농도는 1,200ppm으로 측정되었고, 최소 농도는 900ppm으로 측정되어 평균 1,050ppm으로 측정되었다.
이에 반해, 실시예 1에 따른 황화수소의 농도는 최대 268ppm으로 측정되었고, 최소 농도는 150ppm으로 측정되어 평균 196ppm으로 측정되었다.
비교예 1과 실시예 1의 황화수소 농도를 비교해보면, 비교예 1은 탈황 시설 설계기준인 500ppm 이하보다 높게 측정되었고, 실시예 1은 500ppm 보다 낮게 측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실시예 1의 값이 비교예 1의 값보다 약 81% 낮게 측정되어 설계 기준대비 유해가스인 황화수소의 처리효율이 상승됨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비교예 1에 의한 본체(100) 내부 압력차는 12.5mbar 이상으로 측정되었으며, 실시예 1에 의한 본체(100) 내부 압력차는 3.0mbar 이하로 측정되었다.
이에 따라, 실시예 1의 압력이 비교예 1의 압력보다 낮게 측정됨을 알 수 있었다.
즉, 비교예 1의 본체(100) 내부의 기체압력보다 실험예 1의 압력이 낮게 측정됨에 따라, 충전부(400)가 일정간격으로 단을 형성할 경우, 충전부(400)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유해가스의 처리효율이 높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가스 생물탈황 시설이 형성되어 충전부(400)가 하나 이상의 단으로 형성됨으로써, 충전부재(410)로 인한 압력이 분산되어 충전부재(410)의 손상을 최소화 하고, 충전부재(410)의 교체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충전부재(410) 교체 시 충전부재(410)로 인한 본체 내부의 막힘이 최소화되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더욱이, 충전부(400)가 하나 이상의 단으로 형성됨으로써, 유해가스가 확산에 의해 이동될수록 충전부재(410)에 고르게 접촉됨에 따라 유해가스 제거효율을 높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충전부(400)가 하나 이상의 단으로 형성됨으로써, 충전부재(410)의 교체주기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교체 시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감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충전부(400)에 따라 순환부(121)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탈황 또는 충전부(400) 세정을 위한 순환수(200)량이 증가됨으로써, 기-액비가 증가되어 탈황효율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일 실시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부(130)의 내측 또는 외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회전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131)는 본체(100) 내부의 유해가스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투시부 외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회전부(131)가 형성됨에 따라, 회전부(131)에 의해 투시부(130)가 회전됨과 동시에 개폐되어, 본체(100) 내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충전부(400) 교체, 본체(100) 세척, 유지 또는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충전부(400) 교체 시 충전부재(410)에 의한 막힘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투시부(130)의 내측 외경은 나사 등을 포함하는 결합부재 또는 합성수지에 의해 유해가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본체(100) 외부에 견고하게 연동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부(130)가 본체(1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경우, 투시부(130)와 본체(100) 사이에 형성된 벽면에 회전부(131)와 연동 형성된 개폐부(13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32)가 형성됨으로써, 회전부(131)에 의해 개폐부(132)가 개폐됨에 따라, 작업자가 직접 충전부재(410) 교체 또는 본체(100) 내부 세척을 수행할 경우,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개폐부(132)의 회전부(131)가 형성된 마주보는 측에는 손잡이부(133)가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외측 또는 내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사다리부(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사다리부(500)가 더 포함됨으로써, 지지부(300) 및 충전부(400)에 의해 형성된 단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작업자의 안전 및 2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다리부(500)는 본체(100) 외측 또는 내측 벽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부(500)가 본체(100) 외측에 형성될 경우, 본체(100) 외측에 발판(510) 및 안전바(5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발판(510)은 본체(100) 외측에 지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발판(510)은 지지부(300) 또는 충전부(400) 사이에 본체(100) 외측에 외측방향으로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0) 유지 또는 보수, 충전부재(410) 교체 등과 같은 작업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발판(510)은 투시부(13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안전바(520)는 발판(510)의 외주면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안전바(520)가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발판(510) 위에서 작업을 수행할 경우, 발판(510) 재질에 의한 미끄러짐, 추락 등의 사고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안전바(520)는 수직바(521) 및 수평바(52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수직바(521)는 발판(510)의 외주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판(510)을 기준으로 발판(510)의 외주면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수직바(521)가 형성됨으로써, 안전바(520)의 기초를 제공함과 동시에, 수평바(522)가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하중 또는 외력에 의해 수평바(522)가 변형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수평바(522)는 수직바(521) 내측 또는 외측에 발판(510)을 기준으로 수평이 되도록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평바(522)는 수직바(521)와 교차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안전바(520)가 안정적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외력 또는 하중으로부터 안전바(520)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수평바(521)는 발판(51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일정간격 형성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안전바(520)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수평바(522)가 형성됨으로써, 위급상황 발생 시 작업자가 수평바(522)를 파지하거나, 안전 용품을 고정시킬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부(500)는 발판부(510)를 관통하여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다리부(500)는 본체(100) 외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작업자가 사다리부(500)에 의한 발판(510)의 이동이 용이하게 수행될 뿐만 아니라, 화재 등 위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4>
본체(100) 내측 일측에 오염도, 온도 또는 산성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6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센서부(600)로서 오염도 측정 센서가 적용될 경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유해가스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제어부에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제어부에 의해 순환수(200) 분사시간, 분사속도 또는 분사압 본체(100) 내부의 온도 또는 산성도를 제어시킴으로써, 유해가스의 유해물질 제거효율은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센서부(600)로서 온도 측정센서가 적용될 경우, 본체(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달함으로써, 온도조절기를 제어시켜 충전부재(410)에 형성된 미생물이 활발하게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0) 내부 온도는 28~45℃로 유지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8~32℃로 유지시킴으로써, 미생물이 활발하게 서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28~32℃ 범위 외로 유지될 경우, 낮거나 높은 온도에 의해 미생물의 활성이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45℃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고온에 의해 미생물이 사멸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센서부(600)로서 산성도 측정센서가 적용될 경우, 본체(100) 내부의 산성도를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달함으로써, 본체(100) 내부를 일정한 pH를 유지시킴으로써, 미생물이 안정적으로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어부는 그림에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작업자가 센서부의 신호를 수신하고 본체(100)와 연동 형성된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도록 본체(100)와 외측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충전부가 하나 이상의 단으로 형성됨으로써, 충전부재로 인한 압력이 분산되어 충전부재의 손상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바이오가스 산업 등의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4)

  1. 내측에 유해가스, 지지부(300) 또는 충전부(4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이 포함되도록 형성된 본체(100);
    본체(100) 외측 또는 내측으로부터 순환에 의해 유해가스가 제거될 수 있도록 순환부(121)와 연동 형성된 순환수(200);
    본체(100) 하측면으로 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지지부(300); 및
    지지부(300) 상측에 유해가스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충전부(400);를 포함하고,
    유해가스 또는 외부공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본체(10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 송풍부(110)에 의해 유입되며,
    순환부(121)는 지지부(300) 또는 충전부(4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 형성되며, 상측으로 이격 형성되고,
    충전부(400)는 내측에 하나 이상의 충전부재(410)를 포함하며,
    송풍부(110)는 본체(100) 내 산소농도를 4% 이하로 유지시키며,
    순환부(121)와 연동 형성되며, 순환수(200)의 순환 또는 배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펌프(120)를 포함하고,
    순환수(200)의 pH 값은 1.4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 생물탈황 시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순환수(200) 온도에 의해 본체(100) 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 생물탈황 시설.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1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투시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 생물탈황 시설.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100) 외측 또는 내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 사다리부(500);
    본체(100) 외측에 지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지지부(300) 또는 충전부(400) 사이에 하나 이상 형성된 발판(510); 및
    발판(510) 외주면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안전바(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 생물탈황 시설.
KR1020200169380A 2020-12-07 2020-12-07 바이오가스 생물탈황 시설 KR102275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380A KR102275719B1 (ko) 2020-12-07 2020-12-07 바이오가스 생물탈황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380A KR102275719B1 (ko) 2020-12-07 2020-12-07 바이오가스 생물탈황 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719B1 true KR102275719B1 (ko) 2021-07-09

Family

ID=7686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380A KR102275719B1 (ko) 2020-12-07 2020-12-07 바이오가스 생물탈황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410B1 (ko) 2022-11-10 2023-10-06 주영일 복합가스 고효율 다단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223A (ko) * 2008-09-17 2010-03-25 주식회사 한독이엔지 고정상 담체 폭기반응조가 병합된 바이오 필터 시스템
KR20150078530A (ko) * 2013-12-31 2015-07-08 이광희 다단 원통형 구조물을 구비하는 스크러버
KR20160117841A (ko) * 2015-03-31 2016-10-11 주식회사 이지이앤엠 일체형 산화 및 흡수에 의한 탈취장치
KR102178669B1 (ko) * 2020-01-16 2020-11-13 김상곤 유해가스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223A (ko) * 2008-09-17 2010-03-25 주식회사 한독이엔지 고정상 담체 폭기반응조가 병합된 바이오 필터 시스템
KR20150078530A (ko) * 2013-12-31 2015-07-08 이광희 다단 원통형 구조물을 구비하는 스크러버
KR20160117841A (ko) * 2015-03-31 2016-10-11 주식회사 이지이앤엠 일체형 산화 및 흡수에 의한 탈취장치
KR102178669B1 (ko) * 2020-01-16 2020-11-13 김상곤 유해가스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410B1 (ko) 2022-11-10 2023-10-06 주영일 복합가스 고효율 다단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155B1 (ko) 고농도 복합 악취 제거용의 일체형 다단 약액세정장치
KR101009339B1 (ko) 전처리부를 구비한 바이오필터식 탈취장치
KR101653368B1 (ko) 약액세정 탈취장치
US20100273242A1 (en) Biological desulfurization apparatus
CN102284245A (zh) 一种以生物滴滤塔处理废气的方法及其专用装置
KR19990008460A (ko) 유출물 처리 시스템
US20130306556A1 (en) Method and a device for treating effluent seawater from a seawater scrubber
KR102202651B1 (ko)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고온가열필터와 산,알카리용액을 사용하는 악취저감 시스템
JP2012193252A (ja) バイオガスの生物脱硫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KR102275719B1 (ko) 바이오가스 생물탈황 시설
CN105833687A (zh) 一种除臭装置
CN104001421A (zh) 一种采用无泡曝气预处理的复合生物除臭工艺与装置
CN203370458U (zh) 废气洗涤塔
KR102297416B1 (ko) 다단 처리방식의 탈취장치
JP5269433B2 (ja) 生物脱硫装置
KR20230126271A (ko) 소화가스 재활용 시스템
KR100943882B1 (ko) 폐가스 처리장치
KR20020073972A (ko) 액상촉매와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황화수소와 VOCs의처리시스템
NL2024365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ammonia from exhaust air from a livestock stable.
US5788843A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treating water
KR102274312B1 (ko) 다단 연속처리구조의 복합 탈취기
KR200380051Y1 (ko) 수질오염 방지수단을 가진 물탱크
KR101864339B1 (ko) 구획된 수조를 갖는 약액세정탑
KR20170031559A (ko) 배기 및 배수 오염물질 저감장치
CN107551709B (zh) 一种漆房废水废气综合处理方法及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