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528B1 -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528B1
KR102275528B1 KR1020150047287A KR20150047287A KR102275528B1 KR 102275528 B1 KR102275528 B1 KR 102275528B1 KR 1020150047287 A KR1020150047287 A KR 1020150047287A KR 20150047287 A KR20150047287 A KR 20150047287A KR 102275528 B1 KR102275528 B1 KR 102275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pump
piston
brake system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725A (ko
Inventor
송민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047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528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6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comprising means for attenuating pressure puls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02Air treatment devices
    • B60T17/008Silenc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펌프의 구동에 의해 토출되는 브레이크 오일의 압력맥동을 감쇠시키는 댐핑장치를 구비하는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댐핑장치는, 펌프의 토출단과 연결된 보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면에 브레이크 오일이 흐르는 방향으로 오리피스가 형성되도록 돌출부가 마련된 댐핑 피스톤; 및 상기 보어에 마련되어 상기 댐핑 피스톤을 탄성지지하는 댐핑 스프링;을 포함하는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Hydraulic brake system}
본 발명은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브레이크 오일의 압력맥동을 감쇠시킴은 물론 작동소음을 감소시키는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의 브레이크 측으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모듈레이터블록에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와, 오일을 일시 저장하는 저압어큐뮬레이터 및 고압어큐뮬레이터와, 저압어큐뮬레이터에 저장된 오일을 펌핑하기 위해 저압어큐뮬레이터와 고압어큐뮬레이터 사이에 배치된 펌프 및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설치하고, 이를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유닛(ECU)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브레이크 오일의 액압이 고압으로 형성됨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맥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소정의 댐핑공간을 갖는 고압어큐뮬레이터를 마련하고, 고압어큐뮬레이터를 통하여 배출되는 아웃포트에 오리피스부를 마련하는 등 다양한 구조를 채택하여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서, 공개특허공보 제2001-0046429호에 개시된 문헌에 따르면, 고압어큐뮬레이터에 탄성부재 및 오리피스를 별도로 마련하여 압력맥동을 저감시키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10-0135236호에 개시된 문헌에 따르면, 고압어큐뮬레이이터에 압력맥동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탄성력을 갖는 맥동 감쇠 캡슐을 마련함은 물론, 별도로 오리피스를 마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즉, 이러한 공지된 문헌에는 고압어큐뮬레이터를 통해 배출되는 아웃포트에 오리피스를 필수적으로 가공하거나 장착하여 압력맥동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오리피스를 별도로 가공하거나 조립하여야 함에 따라 오리피스를 마련하기 위해 추가로 가공하는 시간 및 이를 조립하는 시간이 증가함은 물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펌프의 펌핑 작동에 따라 토출 및 흡입되는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급격한 유량 변화에 따른 압력맥동을 감쇠하기 위해서 토출되는 용량에 따라 고압어큐뮬레이터를 설계하여야 하지만 기존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에 마련되는 고압어큐뮬레이터는 단순히 압력맥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목적으로서 구성됨에 따라 효율적인 압력맥동 감쇠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01-0046429 (주식회사 만도, 밍 루) 2001. 06. 15. 공개특허 제10-2010-0135236호 (콘티넨탈 테베스) 2010. 12. 2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은 압력맥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댐핑장치에 오리피스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별도로 모듈레이터블록에 오리피스를 설치하기 위한 가공시간 및 조립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댐핑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용량 및 급격한 유량 변화에 따른 압력맥동을 최소화시키며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펌프의 구동에 의해 토출되는 브레이크 오일의 압력맥동을 감쇠시키는 댐핑장치를 구비하는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댐핑장치는, 펌프의 토출단과 연결된 보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면에 브레이크 오일이 흐르는 방향으로 오리피스가 형성되도록 돌출부가 마련된 댐핑 피스톤; 및 상기 보어에 마련되어 상기 댐핑 피스톤을 탄성지지하는 댐핑 스프링;을 포함하는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브레이크 오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핑 스프링을 지지하며 상기 보어를 폐쇄시키는 캡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은 보어에 압입 결합되며 댐핑 스프링를 지지하는 몸체부와, 상기 댐핑 피스톤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스토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의 스토퍼부에 의해 제한되는 상기 댐핑 피스톤 이동거리는 상기 펌프의 피스톤의 펌핑 작동거리의 절반으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핑 피스톤의 직경은 상기 펌프의 피스톤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핑장치는 상기 펌프에 의해 토출되는 브레이크 오일의 압력이 작은 경우 상기 댐핑 피스톤의 오리피스에 의해 압력맥동이 감소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토출되는 브레이크 오일의 압력이 큰 경우 상기 댐핑 피스톤이 슬라이딩되어 체적이 변화됨에 따라 압력맥동이 감소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은 압력맥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오리피스가 댐핑장치의 댐핑 피스톤에 성형되어 일체로 마련됨에 따라 모듈레이터블록에 별도로 오리피스를 설치하는 공정을 제거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조립 시간 및 가공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댐핑장치의 댐핑 피스톤의 직경을 펌프의 피스톤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하고, 댐핑 피스톤의 작동 거리를 상기 펌프의 피스톤의 펌핑 작동거리의 절반으로 제한하도록 하여 압력맥동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에 마련된 댐핑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에 마련된 댐핑장치를 통해 압력맥동이 감쇠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에 마련된 댐핑장치에 의해 펌프의 펌핑 시 급격한 유량변화가 감소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의 조작력을 받아들이는 브레이크 페달(10)과, 이 브레이크 페달(10)의 답력에 의해 진공압과 대기압 간의 압력차를 이용해 답력을 배가시키는 브레이크 부스터(11)와, 이 브레이크 부스터(11)에 의해 압력을 발생시키는 마스터실린더(20)와, 이 마스터실린더(20)의 제1 포트(21)와 두 개의 차륜(FR, RL)에 마련된 휠 실린더(30)를 연결하여 액압 전달을 제어하는 제1 유압서킷(40A)과, 마스터실린더(20)의 제2 포트(22)와 나머지 두 개의 차륜(FL, RR)에 마련된 휠 실린더(30)로 연결하여 액압 전달을 제어하는 제2 유압서킷(40B)을 구비한다. 제1 유압서킷(40A) 및 제 2 유압서킷(40B)은 모듈레이터블록(40)에 콤팩트하게 설치된다.
제1 유압서킷(40A) 및 제2 유압서킷(40B)은 각각 두 개씩의 휠 실린더(30)측으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들(41, 42)과, 모터(45)의 구동에 의해 휠 실린더(30)측에서 빠져나온 브레이크 오일 또는 마스터실린더(20)로부터 브레이크 오일을 흡입하여 펌핑하는 펌프(44)와, 휠 실린더(30)로부터 빠져나오는 브레이크 오일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저압어큐뮬레이터(43)와, 펌프(44)의 토출구와 마스터실린더(20)를 연결하는 메인유로(47a)와, 마스터실린더(20)의 브레이크 오일이 펌프(44)의 입구로 흡입되게 안내하는 보조유로(48a), 및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41, 42)와 모터(45)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유닛(ECU;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41, 42), 저압어큐뮬레이터(43), 펌프(44), 메인유로(47a) 및 보조유로(48a)는 제1 및 제2 유압서킷(40A, 40B)에 각각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 개의 솔레노이드밸브(41, 42)는 휠 실린더(30)의 상류측 및 하류측과 연계되는데, 이것은 각 휠 실린더(30)의 상류 측에 배치되며 평상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노멀 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41)와, 각 휠 실린더(30)의 하류 측에 배치되며 평상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는 노멀 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42)로 구별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밸브(41, 42)의 개폐작동은 전자제어유닛(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감압 제동에 따라 노멀 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42)가 개방되어 휠 실린더(30)측에서 빠져나온 브레이크 오일은 저압어큐뮬레이터(43)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펌프(44)는 모터(45)에 의해 구동되어 저압어큐뮬레이터(43)에 저장된 브레이크 오일을 흡입하여 토출함으로써 액압을 휠 실린더(30)측 또는 마스터실린더(20) 측으로 전달한다.
또한, 마스터실린더(20)와 펌프(44)의 토출구를 연결하는 메인유로(47a)에는 트랙션 콘트롤 제어(TCS)를 위한 노멀 오픈형 솔레노이드 밸브(47, 이하 TC밸브)가 설치된다. 이 TC밸브(47)는 평상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브레이크 페달(10)을 통한 일반 제동시 마스터실린더(20)에서 형성된 제동 액압이 메인유로(47a)를 통해 휠 실린더(30) 측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보조유로(48a)는 메인유로(47a)에서 분기되어 마스터실린더(20)의 브레이크 오일을 펌프(44)의 입구 측으로 흡입되게 안내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브레이크 오일이 펌프(44) 입구로만 흐르도록 하는 셔틀밸브(48)가 설치되어 있다.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셔틀밸브(48)는 보조유로(48a)의 중도에 설치되어 평상시 폐쇄되고 TCS 모드시 개방되게 작동한다.
한편, 미설명된 참조부호 '49'는 브레이크 오일의 역방향 흐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정한 유로의 위치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이고, 참조부호 '50'은 TC밸브(47)와 셔틀밸브(48)로 전달되는 제동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이다.
상기와 같은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은 제동시 모터(45)의 작동에 따라 펌프(44)로부터 펌핑되는 액압으로부터 압력맥동이 발생하는데,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맥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각 유압서킷(40A, 40B)의 펌프(44) 토출단과 연결된 댐핑장치(100)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에 마련된 댐핑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각각 상기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에 마련된 댐핑장치를 통해 압력맥동이 감쇠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핑장치(100)는 메인유로(47a)상에 마련되어 펌프(44)로부터 토출되는 브레이크 오일의 압력맥동을 감쇠하도록 모듈레이터블록(40)에 형성된 보어(101)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댐핑장치(100)는 보어(1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댐핑 피스톤(110)과, 상기 댐핑 피스톤(110)을 탄성지지하는 댐핑 스프링(120) 및 상기 댐핑 스프링(120)을 지지하며 보어(101)를 폐쇄시키는 캡(130)을 구비한다.
댐핑 피스톤(110)은 일단면에 브레이크 오일이 흐르는 방향으로 오리피스(111)가 형성되도록 돌출부(112)가 마련된다. 돌출부(112)는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즉, 한 쌍의 돌출부(112) 사이의 간격이 오리피스(111)로 이루어진다. 이때, 한 쌍의 돌출부(112)는 브레이크 오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댐핑 피스톤(110)은 펌프(44)의 피스톤(44a)의 직경(D1)과 동일한 직경(D2)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보어(101)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하도록 이동이 제한된다. 예컨대, 댐핑 피스톤(110)의 작동거리(L2)는 펌프(44)의 피스톤(44a)의 작동거리(L1)의 절반만큼 이동하며 펌프(44)로부터 토출되는 브레이크 오일의 압력맥동을 감소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댐핑 피스톤(110)의 직경(D2) 및 작동거리(L2)를 한정한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댐핑 피스톤(110)은 보어(101)와의 사이에 별도의 실링부재를 요구하지 않으며 보어(101)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고, 댐핑 피스톤(110)과 보어(101)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미세 누유는 후술할 캡(130)에 의하여 외부누유가 차단된다.
댐핑 스프링(120)은 댐핑 피스톤(110)과 캡(130) 사이에 개재되어 댐핑 피스톤(11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캡(130)은 모듈레이터블록(40)에 형성된 보어(101)에 압입 결합되어 보어(101)를 폐쇄시키는 몸체부(132)와, 상기 댐핑 피스톤(110)의 작동거리(L2)를 제한하는 스토퍼부(134)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132)는 댐핑 스프링(120)을 지지하며, 상기 보어(101)에 압입 결합됨에 따라 펌프(44)로부터 토출되는 브레이크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토퍼부(134)는 몸체부(132)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댐핑 피스톤(110)의 작동거리(L2)를 제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부(134)는 댐핑 피스톤(110)의 작동거리(L2)가 펌프(44)의 피스톤(44a)의 펌핑 작동거리(L1)의 절반만큼 이동되는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어 댐핑 피스톤(110)의 작동거리(L2)를 제한한다. 즉, 댐핑 피스톤(110)은 댐핑 스프링(120)을 압축하며 이동시 스토퍼부(134)와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몸체부(132)와 스토퍼부(134)는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댐핑장치(110)가 펌프(44)의 펌핑작동(흡입과 토출)에 따라 압력맥동을 감쇠시키는 동작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펌프(44)는 모터(45)의 회전축(미도시)에 설치된 편심베어링(45a)에 의해 피스톤(44a)이 왕복이동함에 따라 브레이크 오일을 흡입하여 토출하게 된다. 즉, 피스톤(44a)은 편심베어링(45a)과 접촉된 상태로 마련되어 편심베어링(45a)의 편심회전에 의해 왕복이동된다. 이러한 펌프(44)의 흡입 및 토출 동작은 편심베어링(45a)이 0°∼360°로 한바퀴 회전시 펌프(44)의 1 사이클이며, 토출에서 흡입시 급격한 유량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댐핑장치(100)가 없는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은 펌프(44)의 펌핑동작시 급격한 유량변화를 감소시키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핑장치(100)가 마련된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경우 펌프(44)의 펌핑동작에 따라 브레이크 오일이 토출시 댐핑 피스톤(110)이 댐핑 스프링(120)을 압축하며 이동됨에 따라 체적 변화가 발생하여 압력맥동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때, 댐핑장치(100)는 펌프(44)로부터 토출되는 유량의 절반의 체적을 구비함에 따라 펌핑동작시 발생되는 급격한 유량변화를 감소키실 수 있게 된다. 즉, 댐핑 피스톤(110)이 펌프(44)의 피스톤(44a) 직경(D1)과 동일한 직경(D2)을 갖추고, 펌프(44)의 피스톤(44a) 작동거리(L1)의 절반만큼 작동됨에 따라 댐핑장치(100)는 펌프(44)로부터 토출되는 유량의 절반 정도 저장할 수 있는 체적을 갖는다. 이에, 펌프(44)의 토출 동작시 토출된 브레이크 오일의 절반은 배출되고, 펌프(44)의 흡입 동작시 댐핑장치(100)에 의해 보어(101)에 저장된 나머지 절반의 브레이크 오일이 댐핑 스프링(120)의 탄성력에 의해 배출된다. 즉, 도 6의 (b)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펌프(44)의 펌핑 동작시 급격한 유량변화를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펌프(44)로부터 토출되는 유량의 절반을 저장하도록 댐핑 피스톤(110)의 직경(D2)을 펌프(44)의 피스톤(44a)과 동일하도록 하며, 댐핑 피스톤(110)의 작동거리(L2)를 펌프(44)의 작동거리(L1)의 절반으로 제한함으로써 균일한 동작에 의해 압력맥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댐핑장치(100)는 펌프(44)의 작동속도가 느린 경우 즉, 펌프(44)로부터 토출되는 브레이크 오일의 압력이 작은 경우 댐핑 피스톤(110)이 움직이지 않아도 댐핑 피스톤(110)에 마련된 오리피스(111)를 통해 압력맥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펌프(44)의 작동속도가 빠른 경우 즉, 펌프(44)로부터 토출되는 브레이크 오의 압력이 큰 경우에는 댐핑 피스톤(110)이 슬라이딩되어 체적이 변화됨에 따라 압력맥동이 감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44 : 펌프 44a : 피스톤
100 : 댐핑장치 110 : 댐핑 피스톤
111 : 오리피스 112 : 돌출부
120 : 댐핑 스프링 130 : 캡
132 : 몸체부 134 : 스토퍼부

Claims (7)

  1. 펌프의 구동에 의해 토출되는 브레이크 오일의 압력맥동을 감쇠시키는 댐핑장치를 구비하는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댐핑장치는,
    펌프의 토출단과 연결된 보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면에 브레이크 오일이 흐르는 방향으로 오리피스가 형성되도록 돌출부가 마련된 댐핑 피스톤; 및
    상기 보어에 마련되어 상기 댐핑 피스톤을 탄성지지하는 댐핑 스프링;을 포함하는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브레이크 오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스프링을 지지하며 상기 보어를 폐쇄시키는 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보어에 압입 결합되며 댐핑 스프링를 지지하는 몸체부와, 상기 댐핑 피스톤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스토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스토퍼부에 의해 제한되는 상기 댐핑 피스톤의 이동거리는 상기 펌프의 피스톤의 펌핑 작동거리의 절반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피스톤의 직경은 상기 펌프의 피스톤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장치는 상기 펌프에 의해 토출되는 브레이크 오일의 압력이 작은 경우 상기 댐핑 피스톤의 오리피스에 의해 압력맥동이 감소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토출되는 브레이크 오일의 압력이 큰 경우 상기 댐핑 피스톤이 슬라이딩되어 체적이 변화됨에 따라 압력맥동이 감소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150047287A 2015-04-03 2015-04-03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KR102275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287A KR102275528B1 (ko) 2015-04-03 2015-04-03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287A KR102275528B1 (ko) 2015-04-03 2015-04-03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725A KR20160118725A (ko) 2016-10-12
KR102275528B1 true KR102275528B1 (ko) 2021-07-09

Family

ID=5717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287A KR102275528B1 (ko) 2015-04-03 2015-04-03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528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151Y1 (ko) * 1998-10-22 2002-10-19 주식회사 만도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저압어큐뮤레이터
KR100344468B1 (ko) 1999-11-12 2002-07-20 주식회사 만도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모듈레이터블록의고압어큐뮬레이터
KR20070105131A (ko) * 2006-04-25 2007-10-30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DE102008047303A1 (de) 2008-02-18 2009-08-2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Pulsationsdämpfungskapsel
KR101782777B1 (ko) * 2013-02-20 2017-09-28 주식회사 만도 피스톤 펌프용 밸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 유닛
KR20140114549A (ko) * 2013-03-19 2014-09-29 주식회사 한라홀딩스 피스톤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725A (ko)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3094B1 (ko)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KR101698881B1 (ko)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맥동 저감 장치
US8875741B2 (en) Pressure damping device for brake system
KR101702840B1 (ko)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맥동 저감 장치
CN107021084B (zh) 制动系统
US8881771B2 (en) Pressure damping device for brake system
KR101556091B1 (ko)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KR101392224B1 (ko) 브레이크 시스템
KR102619005B1 (ko)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맥동 저감 장치
US20140076429A1 (en) Pump Apparatus
KR101622150B1 (ko)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KR102275528B1 (ko)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KR101952236B1 (ko)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KR101402710B1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펌프
KR101478059B1 (ko)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KR101913155B1 (ko)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맥동 저감 장치
KR20200082027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 유닛
KR20150061132A (ko) 브레이크 시스템의 압력 완충장치
KR20110125289A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펌프
KR102285423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오리피스장치
KR101447463B1 (ko)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KR101404318B1 (ko) 댐핑 작용이 부가된 피스톤 펌프 앗세이
KR101021515B1 (ko) 브레이크 시스템의 펌프
KR101937465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 유닛
KR20030072832A (ko)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