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461B1 -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 - Google Patents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461B1
KR102275461B1 KR1020200019202A KR20200019202A KR102275461B1 KR 102275461 B1 KR102275461 B1 KR 102275461B1 KR 1020200019202 A KR1020200019202 A KR 1020200019202A KR 20200019202 A KR20200019202 A KR 20200019202A KR 102275461 B1 KR102275461 B1 KR 102275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nap band
user
stat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은
Original Assignee
서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은 filed Critical 서정은
Priority to KR1020200019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2Devices for holding umbrellas closed, e.g. magnetic device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에 젖은 우산을 접기 위해 수단인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은, 우산에 감겨질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에 의해 우산이 접혀진 후 사용자에 의해 구부러지면,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여 우산이 접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스냅밴드;를 포함하고, 스냅밴드는, 우산의 일측에 구비되는 돌출부재가 인입 가능한 형상의 홈이 우산의 일측과 접촉되는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우산의 일측에 구비됨으로써, 종래 우산의 끈을 대체하여 최대한으로 당기지 않아도 곡선형으로 구부러지거나 직선형으로 펼쳐져 우산을 용이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Umbrella with snap band}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에 젖은 우산을 접기 위해 수단인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또는 양산)은 금속제 살이나 대오리 살에 방수천 또는 유지를 덧발라서 비가 올 때나 태양을 가릴 때 손에 펴들고 머리 위를 가려서 비를 막거나 태양을 가리는 물건으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우산은 서양에서 전해져 온 것이 대부분인데, 초기의 우산은 쇠살을 골조로 한 우산살대(또는 양산살대)와, 비를 막기 위해 상기 우산살대에 발려지는 검정이나 감색 류 등 어두운 색의 원단과, 상기 원단과 우산살대의 한 가운데에 장착되어 금속이나 대·목제로 이루어진 우산대(또는 양산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산대에 결착되어 사람이 우산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 우산(또는 양산)손잡이를 함께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후, 상기 우산 원단인 방수천은 검정 목면천에 방수 처리한 방수포를 사용하게 되었고, 최근에는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어두운 색의 원단 이외에도 방수 처리한 여러 가지 빛깔의 천을 사용하게 되며, 우산살대 역시 무겁고 녹이 쉽게 스며들어 사용하기 불편한 쇠살에서 벗어나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우산은 자동우산과 수동우산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자동우산의 경우 우산살이 펼쳐지려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스프링이 내장되어 구성되는데, 접어진 우산의 걸림부분, 즉 승강관에 형성된 걸림구에 걸려져 결합되는 걸림쇠를 해제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우산이 자동으로 펼쳐지는 원리로 이루어져 있고, 수동우산의 경우 접어진 우산의 걸림부분, 즉 승강관에 형성된 걸림구에 걸려져 결합되는 걸림쇠를 수동으로 해제하여 우산을 펼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우산은 접혀진 후, 빗물이 주변으로 튀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미관상으로 보기 좋게 하기 위해 방수천을 감아 상기 방수천을 고정하기 위한 벨크로즈형의 끈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끈은 사용자에 의해 최대한으로 당겨질 때 상기 방수천을 최대한 감게 되며, 상기 방수천을 최대한 감은 상태로 유지되기 위해 서로 체결 가능한 한 쌍의 똑딱이 단추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끈은 우산 사용시 빗물을 흡수하면서 젖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게 되며, 사용자가 끈을 최대한 당기는 과정에서 사용자 손의 압력에 의해 흡수한 빗물이 사용자의 손에 대량으로 묻게되어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끈을 우산을 접기 위해서는 상기 방수천을 최대한 감은 후 한 쌍의 똑딱이 단추를 체결해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414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908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우산의 끈을 대체하여 최대한으로 당기지 않아도 곡선형으로 구부러지거나 직선형으로 펼쳐져 우산을 용이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우산에 결합되어 우산을 접을 때 사용되어 우산의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산에 부착되어 우산을 접을 때 사용됨과 동시에, 우산으로부터 탈착된 후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되어 사용 가능한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빗물 등의 유체로부터 방수가 가능하여 위생 및 미관상 뛰어난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은, 우산에 감겨질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에 의해 우산이 접혀진 후 사용자에 의해 구부러지면,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여 우산이 접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스냅밴드;를 포함하고, 스냅밴드는, 우산의 일측에 구비되는 돌출부재가 인입 가능한 형상의 홈이 우산의 일측과 접촉되는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우산의 일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우산은, 자동우산 및 수동우산 중 적어도 하나의 우산이다.
또한, 스냅밴드는, 단면이 오목한 구조로 사용자에 의해 구부러지면 둥글게 곡선형으로 말리는 형태로, 직선형으로 펴진 상태에서 곡선형으로 구부러지면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고, 곡선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다시 직선형으로 펼쳐지면 직선 상태를 유지하는 금속 재질의 내부 본체; 및 내부 본체의 외측을 둘러싸 사용자 또는 빗물을 적어도 포함하는 유체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며, 내부 본체의 상태에 따라 곡선형으로 말리거나 직선형으로 펴지는 외부 본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스냅밴드는, 외부 본체의 외측을 둘러싸 내, 외부 본체를 보호하며, 내부 본체의 상태에 따라 곡선형으로 말리거나 직선형으로 펴지고, 유체의 방수를 위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스냅밴드는, 구부러진 상태에서 직선형으로 펼쳐진 후 우산의 일측으로부터 탈착되면,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되어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스냅밴드는, 우산의 일측과 결합되거나, 우산의 일측으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우산의 끈을 대체하여 최대한으로 당기지 않아도 곡선형으로 구부러지거나 직선형으로 펼쳐져 우산을 용이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우산에 결합되어 우산을 접을 때 사용되어 우산의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산에 부착되어 우산을 접을 때 사용됨과 동시에, 우산으로부터 탈착된 후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되어 사용 가능한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빗물 등의 유체로부터 방수가 가능하여 위생 및 미관상 뛰어난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냅밴드가 부착되는 장우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냅밴드가 부착되는 단우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우산 사용에 따른 스냅밴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냅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에 따른 스냅밴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커버가 추가된 본 발명의 스냅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냅밴드를 탈착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는 장우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냅밴드를 탈착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는 단우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우산"이라 한다.)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냅밴드가 부착되는 장우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스냅밴드가 부착되는 단우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우산은 스냅밴드(10)를 갖는 장우산(1) 및 단우산(2)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장우산(1) 또는 단우산(2)은 스프링이 내장되어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는 것이 가능한 자동우산 및 걸림쇠의 수동 해제를 통해 펼쳐지는 것이 가능한 수동우산 중 적어도 하나의 우산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우산은 스냅밴드(10)가 일측에 부착되는 자동 또는 수동형의 장우산(1)이거나, 자동 또는 수동형의 단우산(2)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우산이 장우산(1)이라는 일례로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스냅밴드(10)는 장우산(1)에 감겨질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에 의해 장우산(1)이 접혀진 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구부러지면,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여 장우산(1)의 접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스냅밴드(10)는 장우산(1)의 접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장우산(1)의 일측으로부터 탈부착되거나, 장우산(1)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스냅밴드(10)가 장우산(1)의 일측으로부터 탈부착되는 제1 실시예와 장우산(1)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 실시예를 나누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스냅밴드(10)는 장우산(1)을 접기 위해 장우산(1)의 일측에 부착되거나 장우산(1)의 일측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스냅밴드(10)는 탈부착용으로 마련되는 경우, 장우산(1)을 접기 위한 용도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우산 사용에 따른 스냅밴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냅밴드(10)는 구부러진 상태에서 직선형으로 펼쳐진 후, 장우산(1)의 일측으로부터 탈착된 다음에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스냅밴드(10)는 직선형으로 펼쳐질 때만 탈착 가능한 것은 아니며, 곡선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도 장우산(1)의 일측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다. 또한, 장우산(1)으로부터 탈착된 스냅밴드(10)는 반드시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물체을 감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스냅밴드(10)는 직선형으로 펼쳐지게 된 후 장우산(1)이 펼쳐지는 경우에 장우산(1)의 일측으로부터 탈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장우산(1)의 일측에 부착된 상태에서 스냅밴드(10)가 직선형으로 펼쳐지면, 사용자가 장우산(1)을 펼치는 경우 직선형의 스냅밴드(10)가 사용자와 충돌할 위험성이 있으며, 장우산(1)을 외부에서 사용하는 경우 직선형의 스냅밴드(10)가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의 우산과 충돌할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장우산(1)의 일측으로부터 탈착된 스냅밴드(10)는 별도로 보관하지 않게 되면 분실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 중 가장 부착이 용이한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달리, 장우산(1)이 펼쳐질 때 스냅밴드(10)는 반드시 직선형으로 펼쳐지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스냅밴드(10)가 장우산(1)이 펼쳐지는 형태에 따라 장우산(1)의 일측에 밀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스냅밴드(10)는 장우산(1)이 펼쳐질 때 직선형으로 펼쳐지거나 장우산(1)의 우산포(1b)의 외형에 따라 곡선형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냅밴드(1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일례로 이루어져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냅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에 따른 스냅밴드의 단면도이다.
스냅밴드(10)는 외부 본체(11), 홈(12) 및 내부 본체(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본체(11)는 단면이 오목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사용자와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내부 본체(13)의 외측을 둘러싸며,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본체(11)의 상태 변화에 따라 곡선형으로 말리거나 직선형으로 펴진다.
그리고 외부 본체(11)는 스냅밴드(10)가 장우산(1)의 일측에 부착되어 사용될 시 빗물을 적어도 포함하는 유체와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유체의 방수를 위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 나아가, 외부 본체(11)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특정 메시지가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메시지는 숫자, 문자, 기호, 그림 및 상표 중 적어도 하나 포함하며, 이를 통해 장우산(1)의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들에게 광고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홈(12)은 스냅밴드(10)가 장우산(1)의 일측으로부터 탈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외부 본체(11)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러한 홈(12)은 장우산(1)의 일측에 구비되는 후술될 돌출부재(1a)가 인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우산(1)의 일측으로부터 스냅밴드(10)의 탈부착이 가능토록 한다.
또한, 홈(12)은 장우산(1)의 일측과 접촉되는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타측면을 관통하지는 아니한다. 이를 통해, 장우산(1)의 돌출부재(1a)는 스냅밴드(10)를 관통하는 것이 아니라 홈(12)에 인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홈(12)은 배열 방향에 상관없이 장우산(1)으로부터 스냅밴드(10)의 탈부착이 가능토록 일측면의 양 끝단에 동일한 직경 및 형상을 가지는 제1 홈(12a)과 제2 홈(12b)으로 형성된다.
내부 본체(13)는 단면이 오목한 구조로 사용자에 의해 구부러지면 둥글게 곡선형으로 말리는 형태로, 직선형으로 펴진 상태에서 곡선형으로 구부러지면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고, 곡선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다시 직선형으로 펼쳐지면 직선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내부 본체(13)는 상기와 같이 곡선형으로 구부러진 상태 또는 직선형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금속 재질은 통상적인 스냅밴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내부 본체(13)는 상태 변화에 따라 외부 본체(13)가 동일하게 곡선형으로 구부러지게 되도록 하거나 직선형으로 펼쳐지게 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내부 본체(13)는 외부 본체(11)보다 얇은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상기 스냅밴드(10)의 상태 변화를 위한 수단인 내부 본체(13)가 외부 본체(11)보다 두꺼운 폭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스냅밴드(10)를 구부지도록 하거나, 또는 펼쳐지도록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스냅밴드(10)는 외부 본체(11)가 방수 재질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을 적어도 포함하는 유체의 방수를 위한 커버(14)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커버가 추가된 본 발명의 스냅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버(14)는 외부 본체(11)의 외측을 둘러싸 내, 외부 본체(11, 13)을 보호하며, 내부 본체(13)의 상태에 따라 곡선형으로 말리거나 직선형으로 펴지고, 상기 유체의 방수를 위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버(14)는 외부 본체(11)가 방수 재질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스냅밴드(10)에 추가 구성되는 것으로, 외부 본체(11)가 방수 재질로 이루어지면 제조 비용 절감 등에 의해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4)는 외부 본체(11)와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에 틈을 두어 상기 틈의 간격을 벌리는 과정을 통해 외부 본체(11)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다.
또한, 커버(14)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외부 본체(11)와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탈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4)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특정 메시지가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메시지는 숫자, 문자, 기호, 그림 및 상표 중 적어도 하나 포함하며, 이를 통해 장우산(1)의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들에게 광고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커버(14)는 외부 본체(11)의 메시지와 다른 메시지가 기재됨으로써, 외부 본체(11)와의 부착 또는 탈착을 통해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광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커버(14)는 외부 본체(11)에 부착될 때 외부 본체(11)의 문자와 겹쳐서 보면 특정 메시지를 전달하되, 외부 본체(11)로부터 탈착될 때 서로 다른 특정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문자가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14)는 외부 본체(11)로부터 탈착될 때와 부착될 때마다 다양한 특정 메시지를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냅밴드(10)는 일측면에 형성된 홈(12)을 통해 일측면이 장우산(1)의 일측으로부터 탈부착되도록 하며, 장우산(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밴드(10)의 탈부착을 위한 돌출부재(1a)가 일측에 구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우산(1)은 홈(12)에 인입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재(1a)가 일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돌출부재(1a)는 제1 홈(12a)과 제2 홈(12b)에 각각 인입 가능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장우산(1)의 일측에 부착된 스냅밴드(10)가 갑작스럽게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우산(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끝단이 제1 홈(12a) 또는 제2 홈(12b)의 내벽과 접촉될 정도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돌출부재(1a)는 장우산(1)의 일측 중에서도 장우산(1)이 접힌 상태에서 우산포(1b)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우산포(1b)의 방해 없이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에 구비됨으로써, 장우산(1)이 펼쳐진 상태 뿐만 아니라, 접혀진 상태에서도 스냅부재(1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단우산(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밴드(10)의 탈부착을 위한 돌출부재(2a)가 일측에 구비된다. 다만, 돌출부재(2a)는 돌출부재(1a)와 부호만 달리할 뿐 목적 및 효과가 돌출부재(1a)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실시예 2의 스냅밴드(10)는 상기 실시예 1과 달리, 장우산(1)의 일측으로부터 탈부착되지 않게 장우산(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스냅밴드(10)는 홈(12)과 장우산(1)의 돌출부재(1a) 간의 결합을 통해 곡선형으로 구부러지거나 직선형으로 펼쳐지는 상태 여부와 상관없이 장우산(1)의 일측에 이탈되지 않고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홈(12)과 돌출부재(1a)에는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장우산(1)과 스냅밴드(10)의 결합력은 강화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스냅밴드(10)가 장우산(1)의 일측으로부터 탈부착되는 상기의 실시예 1 또는 스냅밴드(10)가 장우산(1)의 일측에 결합되는 상기의 실시예 2 중 적어도 하나인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 장우산,
1a: 장우산의 돌출부재,
1b: 장우산의 우산포,
2: 단우산,
2a: 단우산의 돌출부재,
2b: 단우산의 우산포,
10: 스냅밴드,
11: 외부 본체,
12: 홈,
12a: 제1 홈,
12b: 제2 홈,
13: 내부 본체,
14: 커버.

Claims (6)

  1. 우산에 감겨질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우산이 접혀진 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구부러지면,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우산이 접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스냅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냅밴드는,
    상기 우산의 일측에 구비되는 돌출부재가 인입 가능한 형상의 홈이 상기 우산의 일측과 접촉되는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상기 우산의 일측에 구비되며,
    단면이 오목한 구조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구부러지면 둥글게 곡선형으로 말리는 형태로, 직선형으로 펴진 상태에서 곡선형으로 구부러지면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고, 곡선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다시 직선형으로 펼쳐지면 직선 상태를 유지하는 금속 재질의 내부 본체;
    상기 내부 본체의 외측을 둘러싸 상기 사용자 또는 빗물을 적어도 포함하는 유체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 본체의 상태에 따라 곡선형으로 말리거나 직선형으로 펴지고, 숫자, 문자, 기호, 그림 및 상표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메시지가 기재된 외부 본체; 및
    상기 외부 본체의 외측을 둘러싸 상기 내, 외부 본체를 보호하며, 상기 내부 본체의 상태에 따라 곡선형으로 말리거나 직선형으로 펴지고, 상기 유체의 방수를 위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외부 본체로부터 탈부착되며, 상기 특정 메시지와 다른 숫자, 문자, 기호, 그림 및 상표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특정 메시지가 기재되어, 상기 외부 본체에 부착될 때 상기 특정 메시지와 상기 다른 특정 메시지의 조합을 통해 또 다른 특정 메시지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은,
    자동우산 및 수동우산 중 적어도 하나의 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밴드는,
    상기 구부러진 상태에서 직선형으로 펼쳐진 후 상기 우산의 일측으로부터 탈착되면,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되어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밴드는,
    상기 우산의 일측과 결합되거나, 상기 우산의 일측으로부터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
KR1020200019202A 2020-02-17 2020-02-17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 KR102275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202A KR102275461B1 (ko) 2020-02-17 2020-02-17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202A KR102275461B1 (ko) 2020-02-17 2020-02-17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461B1 true KR102275461B1 (ko) 2021-07-09

Family

ID=7686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202A KR102275461B1 (ko) 2020-02-17 2020-02-17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4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768B1 (ko) * 2023-11-10 2024-01-09 나코스 유한회사 원터치 묶음구를 포함하는 우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876U (ja) * 2004-03-09 2004-08-26 株式会社リンクスジャパン
KR20130066197A (ko) * 2011-12-12 2013-06-20 곽경선 우산 및 양산용 묶음 장치
KR20130109082A (ko) 2013-09-16 2013-10-07 노경혜 우산 또는 양산 사용시 방수천에 단추나 벨크로즈가 달린 끈을 고정하는 고정수단
KR20160074147A (ko) 2014-12-18 2016-06-28 김현진 우산 또는 양산 고정끈
KR200490427Y1 (ko) * 2018-05-08 2019-12-02 김종구 팔찌 착용용 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876U (ja) * 2004-03-09 2004-08-26 株式会社リンクスジャパン
KR20130066197A (ko) * 2011-12-12 2013-06-20 곽경선 우산 및 양산용 묶음 장치
KR20130109082A (ko) 2013-09-16 2013-10-07 노경혜 우산 또는 양산 사용시 방수천에 단추나 벨크로즈가 달린 끈을 고정하는 고정수단
KR20160074147A (ko) 2014-12-18 2016-06-28 김현진 우산 또는 양산 고정끈
KR200490427Y1 (ko) * 2018-05-08 2019-12-02 김종구 팔찌 착용용 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768B1 (ko) * 2023-11-10 2024-01-09 나코스 유한회사 원터치 묶음구를 포함하는 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461B1 (ko) 스냅밴드를 갖는 우산
US20090223545A1 (en) Umbrella system with support for internal storage of cover and external sliding ribs and stretchers
US5690131A (en) Umbrella
CN209449920U (zh) 伞结构
KR100643157B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US2833297A (en) Umbrella construction
KR20130109082A (ko) 우산 또는 양산 사용시 방수천에 단추나 벨크로즈가 달린 끈을 고정하는 고정수단
KR102498235B1 (ko) 우산 형상 구조체
CN200987422Y (zh) 多功能伞
WO2020032329A1 (ko) 안전 우산
CN216316058U (zh) 一种遮阳伞滑动支架的连接结构
CN215014158U (zh) 一种外翻折叠雨伞
US20190069651A1 (en) Extendable umbrella apparatus
KR200493795Y1 (ko) 엉킴방지와 수밀 기능을 갖는 우산
KR101791814B1 (ko)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우산
CN217538131U (zh) 一种可快速安装的凉蓬
JP3234961U (ja) 折畳まない時も傘の生地を束ねることができる「リバーサルバンド」を備えた二段折畳み傘
KR960003099Y1 (ko) 우산용 커버
CN216723461U (zh) 一种新型伸缩伞中棒
KR20200017073A (ko) 양단에 주름부를 구비한 해먹
KR102007528B1 (ko) 변신 텐트
KR920002611Y1 (ko) 어깨걸이가 부착된 우산
JP2005034278A (ja) 肩掛け用ストラップ付き傘
KR20100065407A (ko) 우산
KR200336639Y1 (ko) 필기구가 구비된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