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383B1 -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383B1
KR102275383B1 KR1020207000166A KR20207000166A KR102275383B1 KR 102275383 B1 KR102275383 B1 KR 102275383B1 KR 1020207000166 A KR1020207000166 A KR 1020207000166A KR 20207000166 A KR20207000166 A KR 20207000166A KR 102275383 B1 KR102275383 B1 KR 102275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gistration mode
session
amf
function e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042A (ko
Inventor
후청 왕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8/09002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223974A1/zh
Publication of KR20200013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04W36/004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of quality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3Cell handover without a predetermined boundary, e.g. virtual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방법에서, 세션 확립 요청을 송신하는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워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등록 모드가 단일 등록 모드이거나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할 때, 상기 단말에 대해 세션 접속을 확립할 때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도록 결정한다. 본 발명은, 단말이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세션 접속을 확립할 때, 상기 SMF가 QoS 파라미터들 사이의 매핑을 수행할지를 결정할 수 없으며, 상기 SMF가 항상 QoS 파라미터들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면 이중 등록에서 동작하는 단말의 불필요한 시그널링 절차가 발생되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2017년 6월 6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 번호 제201710418244.5호,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및 2017년 8월 9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 번호 제201710677595.8호,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를 발명 명칭으로 하는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출원에 통합되어 본 출원의 일 부분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속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5G (The Fifith Generation Mobile Network) 모바일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AMF (Access Control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사이의 Nx 인터페이스는 선택적으로 지원되며, Nx 인터페이스가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경우 5G 시스템과 EPS (Evolved Packet System) 간의 핸드오버가 지원될 수 있으며, 이때 MME와 AMF간에 이동성 컨텍스트와 세션 접속 컨텍스트를 포함한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가 전달되어야 한다. 단말이 Nx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때, 네트워크는 등록 모드를 단일 장비 모드(single registration mode)로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현재 단말에 의해 지원되어야하는 동작 모드이다.
Nx 인터페이스가 모바일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경우, 5G 시스템과 LTE (Long-Term Evolution) 시스템 사이의 핸드오버는 지원되지 않으며, 이때 인터워킹을 지원하기 위해 모바일 네트워크는 단말에 대해 이중 등록 모드(dual registration mode)를 요구하며 즉, 5G 시스템과 EPS 모두에 등록되는 것이다. 이중 등록 모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지원하기 위해 네트워크에서 제어 플레인의 세션 관리 기능 (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 웨이 제어 (PDN GateWay-Control, PGW-C)의 기능도 지원해야 한다. EPS와 5G 시스템간에 이동하는 단말의 세션 접속은 핸드오버 등록(Handover registration)을 통해 항상 동일한 사용자 플레인 앵커에 고정될 수 있다.
이중 등록된 단말은 SR (Single-Radio) 가능 및 DR (Dual-Radio) 가능 단말로 더 분할된다. SR 단말은 한 번에 일 측과의 세션 접속만 유지할 수 있다. 즉, EPS 또는 5G 시스템에서만 세션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UE가 EPS와 5G 시스템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우 패킷이 필연적으로 손실되므로 원활한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할 수 없다. DR 단말은 EPS 및 5G 시스템 모두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 이동하는 경우 make-before-break 방식으로 연결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다. 즉, 대상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시에 소스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여전히 수신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액세스를 보장한다.
단말이 적용될 단일 등록 모드 또는 이중 등록 모드에 대해 네트워크와 협상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등록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이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일 인터워킹 모드가 지원되더라도 PGW-C 기능이 있는 SMF가 게이트웨이 앵커의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실제로 배치하여 현재 네트워크 모두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밍 시나리오에서 다른 운영자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운영자 네트워크와 액세스 대상의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인터워킹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단일 등록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을 서빙하기 위해, PGW-C 기능을 지원하는 SMF는 세션을 확립하면서 상이한 시스템에서 QoS (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해야하고; 이중 등록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를 서빙하기 위해, PGW-C 기능을 지원하는 SMF는 상이한 시스템에서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PGW-C 기능을 지원하는 SMF가 단말의 등록 모드를 식별할 수없고, 단말을 다르게 취급할 수 없거나, SMF가 단말에서 수신된 세션 요청이 관련된 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세션 접속이 확립될 때 SMF는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없다. SMF가 항상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면 기본적으로 이중 등록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의 불필요한 시그널링 절차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PGW-C 기능을 지원하는 SMFF가 단말의 등록 모드를 식별할 수 없고 단말을 다르게 취급할 수 없으며 또는 SMF는 단말에서 수신된 세션 요청이 관련된 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없으므로, 단말이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세션 접속을 확립할 때, 상기 SMF가 QoS 파라미터들 사이의 매핑을 수행할지를 결정할 수 없으며, 상기 SMF가 항상 QoS 파라미터들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면 이중 등록에서 동작하는 단말의 불필요한 시그널링 절차가 발생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제1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방법은 모바일 네트워크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에서, 세션 확립 요청을 송신하는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하거나, 단말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한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등록 모드가 단일 등록 모드이거나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할 때, 상기 단말에 대해 세션 접속을 확립할 때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도록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세션 확립 요청을 송신하는 단말의 등록 모드을 결정하는 경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ccess Control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에 의해 제공된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단일 등록 모드 또는 이중 등록 모드로 결정하고,
또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세션 확립 요청 메세지에 포함된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단일 등록 모드 또는 이중 등록 모드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에 의해 제공된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단일 등록 모드 또는 이중 등록 모드로 결정하는 경우,
수신된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상기 세션 확립 요청을 포워딩하는 동안 제공되는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에서, 또한,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 업데이트 과정에서,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가 변경되면, 수신된,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에 의해 제공된 상기 단말의 변경된 등록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한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한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한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의 지시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의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의 지시는,
세션 확립 요청에 포함된,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또는,
상기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에 의해 제공된 EPS시스템 베어러 식별자를 나타내기 위한 지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면 상기 단말에 대해 세션 접속을 확립할 때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도록 결정하는 경우,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때,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세션 접속이 5G시스템에서 확립될 때 상기 세션 접속에 대응하는 QoS 파라미터를 EPS시스템의 QoS 파라미터로 매핑하고, 또는,
상기 세션 접속이 EPS시스템에서 확립될 때 상기 세션 접속에 대응하는 QoS 파라미터를 5G시스템의 QoS 파라미터로 매핑한다.
제2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장치 ,모바일 네트워크에 적용되며, 상기 장치는, 세션 확립 요청을 송신하는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하거나, 단말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한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는 제1 결정 모듈; 및
상기 등록 모드가 단일 등록 모드이거나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할 때, 상기 단말에 대해 세션 접속을 확립할 때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도록 결정하기 위하는 제2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에 의해 제공된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단일 등록 모드 또는 이중 등록 모드로 결정하기 위하는 제1 결정 서브모듈, 또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세션 확립 요청 메세지에 포함된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단일 등록 모드 또는 이중 등록 모드로 결정하기 위하는 제2 결정 서브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결정 서브모듈은 수신된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상기 세션 확립 요청을 포워딩하는 동안 제공되는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 업데이트 과정에서,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가 변경되면, 수신된,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에 의해 제공된 상기 단말의 변경된 등록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하기 위하는제3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한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의 지시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의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의 지시는,
세션 확립 요청에 포함된,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또는,
상기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에 의해 제공된 EPS시스템 베어러 식별자를 나타내기 위한 지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때,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세션 접속이 5G시스템에서 확립될 때 상기 세션 접속에 대응하는 QoS 파라미터를 EPS시스템의 QoS 파라미터로 매핑하고, 또는,
상기 세션 접속이 EPS시스템에서 확립될 때 상기 세션 접속에 대응하는 QoS 파라미터를 5G시스템의 QoS 파라미터로 매핑한다.
제3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를 수행할 때 위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션 관리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4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가 저장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위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션 관리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5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세션 확립 요청을 송신하는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하거나, 단말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한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등록 모드가 단일 등록 모드이거나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할 때, 상기 단말에 대해 세션 접속을 확립할 때 상이한 시스템의 QoS (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 사이의 맵핑을 수행하도록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솔루션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효과를 이른다.
PGW-C 기능을 지원하는 SMF는 단말의 등록 모드 또는 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등록 모드 또는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여, 상기 SMF가 세션 접속을 위해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맵핑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배경 기술에서 5G시스템 및 EPS시스템 인터워킹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모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방법의 제1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방법의 제2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방법의 제3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방법의 제4 흐름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방법의 제5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장치의 제1 개략도이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에 관한 기술 솔루션은,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세션 확립 요청을 송신하는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해 세션 접속을 확립할 때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위 기술 솔루션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하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 양태로 기술 솔루션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방법은 모바일 네트워크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101에서, 세션 확립 요청을 송신하는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하거나,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한 네트워크 측 장치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S102에서, 상기 등록 모드가 단일 등록 모드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면 상기 단말에 대해 세션 접속을 확립할 때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도록 결정한다.
특히, 단계 S101은 다음과 같다.
AMF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단일 등록 모드 또는 이중 등록 모드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SMF는 AMF가 상기 세션 확립 요청을 포웡딩하는 동안 AMF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한다. 또는, SMF는 AMF가 상기 SMF의 세션 관리 요청에 응답하는 동안 AMF에 의해 리턴된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한다. 또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세션 확립 요청 메세지에 포함된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단일 등록 모드 또는 이중 등록 모드로 결정한다. 단계 S101 이전에, 상기 방법은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SMF는 상기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한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를 결정한다.
또는,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의 지시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의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를 결정한다.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의 지시는 상기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에 의해 운반되는, 세션 확립 요청에 포함된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에 의해 제공된 EPS시스템 베어러 식별자를 나타내기 위한 지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SMF는 PGW-C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단계 S101에서 결정된 단말의 등록 모드는 단말이 이동하는 동안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가 변경되면, 단말의 등록 모드는 AMF에 의해 제공된 단말의 변경된 등록 모드에 따라 결정된다.
단계 S101이 수행된 후, 단계 S102는 특히 다음과 같이 계속 수행된다.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가 단일 등록 모드인 경우,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에서 매핑이 수행된다. 특히,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가 단일 등록 모드인 경우,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5G 시스템 QoS 파라미터와 EPS QoS 파라미터 사이에 맵핑이 수행된다. 또는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때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이 수행된다.
세션 접속이 5G 시스템에서 확립되면, 상기 세션 접속에 대응하는 QoS 파라미터는 EPS QoS 파라미터로 매핑되고; EPS에서 세션 접속이 확립되면, 세션 접속에 대응하는 QoS 파라미터는 5G 시스템 QoS 파라미터로 매핑된다.
또한,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가 이중 등록 모드인 경우,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에 맵핑이 수행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가 이중 등록 모드인 경우, 모바일 네트워크의 5G 시스템 QoS 파라미터와 모바일 네트워크의 EPS QoS 파라미터 사이에는 맵핑이 수행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술 솔루션에서, 단말의 등록 모드가 단일 등록 모드인 경우, 즉, 단말은 5G 시스템 또는 EPS에만 등록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 경우, 5G 시스템 QoS 파라미터와 EPS QoS 파라미터 사이에 매핑이 수행되므로, 단말의 세션 접속은 단말이 EPS 시스템과 5G 시스템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 항상 동일한 사용자 플레인 앵커에 고정된다. 단말의 등록 모드가 이중 등록 모드인 경우, 즉 단말이 5G 시스템 및 EPS 시스템 모두에 등록된 경우, 단말의 세션 접속은 항상 동일한 사용자 플레인 앵커에 고정되어 따라서, 모바일 네트워크의 5G 시스템 QoS 파라미터와 모바일 네트워크의 EPS QoS 파라미터 사이에 맵핑이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이 모바일 네트워크의 상이한 시스템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 단말의 세션 접속의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예를 통해 추가로 설명될 것이며, 도 2는 세션을 확립하는 동안 단말의 세션 관리 방법을 도시하며, 여기서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201에서, AMF는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와 협상한다.
단계 S202에서, SMF는 AMF를 통해 단말에 의해 개시된 세션 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단말에 의해 개시된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하면, SMF는 세션 확립 요청을 송신하는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 단말의 등록 모드는 다음 두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말의 등록 모드가 결정되는 다음의 두 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제1 방식에서, 단말의 등록 모드는 AMF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의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은 먼저 세션 확립 요청을 전송하고, AMF가 세션 확립 요청을 SMF에 포워딩할 때, AMF는 세션 확립 요청을 송신하는 단말의 등록 모드 정보를 SMF에게 지시한다. 또는 SMF는 AMF가 SMF의 세션 관리 요청에 응답하는 동안 AMF에 의해 리턴된 단말의 등록 모드에 따라 단말의 등록 모드 정보를 결정한다.
제2 방식에서, 단말의 등록 모드는 단말에 의해 제공된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SMF가 상기 단말의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할 때, 단말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요청에 단말의 등록 모드 정보가 포함된다.
단계 S203에서, SMF는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에 따라, 단말에 대한 세션 접속을 확립할 때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것은 특히 상기 단계 S10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5G 시스템과 EPS 시스테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세션 접속을 확립하였으며, 세션 관리 방법은 특히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301에서, 세션 접속을 확립한다.
단계 S302에서, 단말이 이동하는 동안 단말에 의해 등록 모드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한다.
단계 S303에서, 등록 모드 업데이트 절차에서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가 변경될 때, AMF에 의해 제공된 단말의 변경된 등록 모드에 따라 SMF는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 단말의 등록 모드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제1 방식에서, AMF는 단말의 등록 모드가 변경되었다고 결정할 때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에서 세션 접속에 대응하는 SMF의 식별자 (ID)에 따라 인터워킹을 지원하는 SMF를 결정한다. AMF는 인터워킹을 지원하는 SMF에 변경된 등록 모드를 통지한다. SMF는 AMF에 의해 통지된 변경된 등록 모드에 따라 단말의 변경된 등록 모드를 결정한다.
제2 방식에서, 단말은 등록 모드가 변경되었다고 결정하면, 세션 수정 절차를 개시하고, 등록 모드가 변경되었음을 SMF에 통지한다. SMF은 통지에 따라 단말의 변경된 등록 모드를 결정한다. S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면, 단계 S304가 계속 수행된다.
단계 S304에서, SMF는 상기 단말의 변경된 등록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해 세션 접속을 확립할 때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것은 특히 상기 단계 S10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U (Packet Data Unit) 세션은 특히 PDU 세션 확립 절차에서 다음 단계들에 의해 관리된다.
단계 S401에서, AMF는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U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 S402에서, AMF는 PDU 세션을 확립하기 위해 SMF를 요청하고, 세션 확립 요청에서 AMF가 SMF에 대한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냐타낸다.
단계 S403에서, SMF는 AMF에 의해 제공된 바와 같이 상기 AMF가 인터워킹, 즉 N26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들 사이의 매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면 서로 다른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간에 매핑이 수행된다.
단계 S404에서, PDU 세션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확립된다.
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U 세션은 특히 PDU 세션 확립 절차에서 다음 단계들에 의해 관리된다.
단계 S501A에서, UE(User Equipment)는 방문 대상 네트워크 VPLMN(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에서 PDU 세션 확립 절차를 개시하고,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AMF는 UE에 의해 전송된 PDU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 S502A에서, AMF가 UE에 대한 홈 SMF로의 PDU 세션을 확립하기로 결정하면, 즉 PDU 세션의 앵커가 홈 네트워크에 위치하면, AMF는 방문된 SMF(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V-SMF) 및 홈 SMF (H-SMF)를 선택한 다음, 세션 확립 요청을 V-SMF에 송신하고, 요청 메세지에는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인터워킹(AMF가 N26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503A에서, V-SMF가 AMF의 요청을 수신한 후, V-SMF는 세션 확립 요청을 H-SMF에 송신하고, 요청은 방문 대상 네트워크에서의 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를 포함한다. 이 지시는 AMF로부터 수신될 수 있거나, V-SMF에서 정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V-SMF에 의해 세션 확립 요청에 포함되는 지시, 또는 EPS 베어러 식별자를 나타내기 위해 V-SMF에 의해 제공되는 지시일 수 있다.
단계 S504A에서, H-SMF가 V-SMF의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한 후, H-SMF는 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맵핑을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즉, AMF가 N26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입에 따라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맵핑을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면 서로 다른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에 매핑이 수행된다.
단계 S505A에서, PDU 세션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확립된다.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U 세션은 특히 PDU 세션 확립 절차에서 다음 단계들에 의해 관리된다.
단계 S501B에서, UE는 PDU 세션 확립 절차를 개시한다.
단계 S502B에서, AMF는 UE에 의해 전송된 PDU 세션 요청을 수신하면 PDU 세션 요청을 SMF에 송신한다. 이때 UE가 방문 대상 네트워크에 위치하면, AMF는 PDU 세션 요청을 V-SMF에 송신한다.
단계 S503B에서, SMF 또는 V-SMF가 요청을 수신한 후, SMF 또는 V-SMF는 세션에 대한 EPS 베어러 ID (EBI)를 할당하기 위해 AMF를 요청하는 요청을 AMF에 송신한다.
단계 S504B에서, AMF는 AMF에 의해 지원되는 인터워킹에 따라 PDU 세션에 대해 EBI를 할당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AMF가 N26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면, AMF는 PDU 세션에 대해 EBI를 할당하고, 그렇지 않으면 AMF는 EBI를 할당하지 않는다. 할당 결과는 응답으로 SMF 또는 V-SMF로 반환된다.
단계 S505B에서, SMF는 EBI 할당 결과에 따라 QoS 파라미터를 EPS에 매핑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EBI가 할당되면, SMF는 QoS 파라미터를 매핑하기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SMF는 QoS 파라미터를 맵핑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V-SMF는 EBI 할당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인터워킹을 결정한 후,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된는 인터워킹 및/또는 EBI를 H-SMF에 송신한다.
단계 S506B에서, H-SMF가 V-SMF로부터 EBI를 수신하면, QoS 파라미터를 EPS에 매핑하고,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인터워킹이 N26이 지원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면, QoS 파라미터를 EPS에 맵핑하지 않는다.
단계 S507B에서, PDU 세션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확립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장치는 모바일 네트워크에 적용되며, 상기 장치는,
세션 확립 요청을 송신하는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하거나, 단말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한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모듈(601); 및
상기 등록 모드가 단일 등록 모드이거나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할 때, 상기 단말에 대해 세션 접속을 확립할 때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도록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모듈(602)을 포함마한다.
상기 제1 결정 모듈(601)은 제1 결정 서브모듈 또는 제2 결정 서브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결정 서브모듈은 AMF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단일 등록 모드 또는 이중 등록 모드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결정 서브모듈은, AMF가 상기 세션 확립 요청을 포웡딩하는 동안 AMF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한다. 또는, 제1 결정 서브모듈은 AMF가 상기 SMF의 세션 관리 요청에 응답하는 동안 AMF에 의해 리턴된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한다. 또는, 상기 제2 결정 서브모듈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세션 확립 요청 메세지에 포함된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단일 등록 모드 또는 이중 등록 모드로 결정한다. 상기 장치는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결정 모듈(6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한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를 결정한다.
또는, 상기 제1 결정 모듈(601)은,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의 지시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의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를 결정한다.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의 지시는, 상기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에 의해 운반되는 세션 확립 요청에 포함된,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를 포하하거나, 또는, 상기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에 의해 제공된 EPS시스템 베어러 식별자를 나타내기 위한 지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SMF는 PGW-C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상기 세션 관리 장치는 제3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단말의 등록 모드는 단말이 이동하는 동안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제3 결정 모듈은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가 변경되면,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에 의해 제공된 상기 단말의 변경된 등록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한다.
상기 제2 결정 모듈(602)은 또한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가 단일 등록 모드인 경우,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가 단일 등록 모드인 경우,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5G 시스템 QoS 파라미터와 EPS 시스템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한다. 또는, 상기 제2 결정 모듈(602)은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때,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한다.
제2 결정 모듈은 세션 접속이 5G 시스템에서 확립되면 상기 세션 접속에 대응하는 QoS 파라미터를 EPS시스템의 QoS 파라미터로 매핑하고, 세션 접속이 EPS시스템에서 확립될 때 상기 세션 접속에 대응하는 QoS 파라미터를 5G시스템의 QoS 파라미터로 매핑한다.
또한,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가 이중 등록 모드인 경우,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에는 맵핑이 수행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가 이중 등록 모드일 때 모바일 네트워크의 5G 시스템 QoS 파라미터와 모바일 네트워크의 EPS QoS 파라미터 사이에는 맵핑이 수행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세션 관리 장치의 동작 원리는 상기 세션 관리 방법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술 솔루션에서, 단말의 등록 모드가 단일 등록 모드인 경우, 즉, 단말은 5G시스템 또는 EPS시스템에만 등록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할 때, 5G 시스템 QoS 파라미터와 EPS QoS 파라미터 사이에 맵핑이 수행되므로, 단말의 세션 접속은 단말이 EPS 시스템과5G 시스템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 항상 동일한 사용자 플레인 앵커에 고정된다. 단말의 등록 모드가 이중 등록 모드인 경우, 즉 단말이 5G 시스템 및 EPS 시스테 모두에 등록된 경우, 단말의 세션 접속은 모두 동일한 사용자 플레인 면 앵커에 고정된다. 따라서, 모바일 네트워크의 5G 시스템 QoS 파라미터와 모바일 네트워크의 EPS QoS 파라미터 사이에 맵핑이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이 모바일 네트워크의 상이한 시스템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 단말의 세션 접속의 연속성이 여전히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위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션 관리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위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션 관리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세션 확립 요청을 송신하는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하거나, 단말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한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등록 모드가 단일 등록 모드이거나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할 때, 상기 단말에 대해 세션 접속을 확립할 때 상이한 시스템의 QoS (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 사이의 맵핑을 수행하도록 결정한다.
통신 장치의 특정 구현은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의 구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솔루션은 적어도 다음의 기술적 효과 또는 장점이 있다.
PGW-C 기능을 지원하는 SMF는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하거나 또는 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등록 모드 또는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여, 상기 SMF가 세션 접속을 위해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맵핑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기본적인 창조성 개념만 알게 된다면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 다른 변경과 수정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되는 청구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경과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분명한 것은, 본 분야의 동상 지식을 가진 당업자들은 본 출원에 대해 각종 수정 및 변경을 실행하며 또한 본 출원의 주제 및 범위를 떠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본 출원의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이 본 출원의 청구항 및 동등 기술 범위내에 속하는 경우, 본 출원은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18)

  1. 세션 확립 요청을 송신하는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하거나, 단말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한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 모드가 단일 등록 모드이거나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할 때, 상기 단말에 대해 세션 접속을 확립할 때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한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의 지시 또는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의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확립 요청을 송신하는 단말의 등록 모드을 결정하는 경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단일 등록 모드 또는 이중 등록 모드로 결정하고,
    또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세션 확립 요청 메세지에 포함된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단일 등록 모드 또는 이중 등록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단일 등록 모드 또는 이중 등록 모드로 결정하는 경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상기 세션 확립 요청을 포워딩하는 동안 상기 AMF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의 지시는,
    세션 확립 요청에 포함된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지시, 또는,
    상기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에 의해 제공된 EPS시스템 베어러 식별자를 나타내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관리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면 상기 단말에 대해 세션 접속을 확립할 때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도록 결정하는 경우,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때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세션 접속이 5G시스템에서 확립될 때 상기 세션 접속에 대응하는 QoS 파라미터를 EPS시스템의 QoS 파라미터로 매핑하고, 또는,
    상기 세션 접속이 EPS시스템에서 확립될 때 상기 세션 접속에 대응하는 QoS 파라미터를 5G시스템의 QoS 파라미터로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관리 방법.
  7. 세션 확립 요청을 송신하는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하거나, 단말에 의해 송신된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한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는 제1 결정 모듈; 및
    상기 등록 모드가 단일 등록 모드이거나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인터워킹을 지원할 때, 상기 단말에 대해 세션 접속을 확립할 때 상이한 시스템의 QoS (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 사이의 맵핑을 수행하도록 결정하기 위하는 제2 결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정 모듈은,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의 지시 또는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의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세션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단일 등록 모드 또는 이중 등록 모드로 결정하기 위하는 제1 결정 서브모듈; 또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세션 확립 요청 메세지에 포함된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단일 등록 모드 또는 이중 등록 모드로 결정하기 위하는 제2 결정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세션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서브모듈은,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상기 세션 확립 요청을 포워딩하는 동안 상기 AMF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등록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세션 관리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의 지시는,
    세션 확립 요청에 포함된 상기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AMF)가 인터워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지시; 또는,
    상기 방문 대상 네트워크의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SMF)에 의해 제공된 EPS시스템 베어러 식별자를 나타내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세션 관리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시스템의 Qo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세션 접속이 5G시스템에서 확립될 때 상기 세션 접속에 대응하는 QoS 파라미터를 EPS시스템의 QoS 파라미터로 매핑하고, 또는,
    상기 세션 접속이 EPS시스템에서 확립될 때 상기 세션 접속에 대응하는 QoS 파라미터를 5G시스템의 QoS 파라미터로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세션 관리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207000166A 2017-06-06 2018-06-06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275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418244.5 2017-06-06
CN201710418244 2017-06-06
CN201710677595.8A CN109005565B (zh) 2017-06-06 2017-08-09 一种会话管理方法和装置
CN201710677595.8 2017-08-09
PCT/CN2018/090027 WO2018223974A1 (zh) 2017-06-06 2018-06-06 一种会话管理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042A KR20200013042A (ko) 2020-02-05
KR102275383B1 true KR102275383B1 (ko) 2021-07-08

Family

ID=6457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166A KR102275383B1 (ko) 2017-06-06 2018-06-06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12895B2 (ko)
EP (1) EP3637851B1 (ko)
JP (1) JP6980172B2 (ko)
KR (1) KR102275383B1 (ko)
CN (1) CN1090055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3233A (zh) * 2017-11-03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网元、终端装置和系统
WO2019134181A1 (zh) * 2018-01-05 2019-07-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和设备
CN110461013A (zh) * 2018-05-08 2019-11-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元选择方法及装置
CN110831086B (zh) * 2018-08-10 2022-09-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指示信息的发送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
JP7285939B2 (ja) * 2019-02-18 2023-06-02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接続確立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1787519A (zh) * 2019-04-03 2020-10-16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选择终端工作方式的方法及设备
EP3932117A4 (en) * 2019-05-07 2022-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PLMN SELECTION IN A DUAL RECORDING MODE
CN110944367B (zh) * 2019-12-20 2021-12-24 广东工业大学 一种4g与5g互操作的方法
CN116506837A (zh) * 2022-01-21 2023-07-28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系统间互操作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58871B (zh) * 2010-02-12 2016-04-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适应终端差异化的通信方法、系统、控制站及终端
CN101969634B (zh) 2010-06-12 2014-09-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用户数据的同步方法和系统
US8787172B2 (en) * 2010-06-21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QoS context transfer during inter radio access technology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08636B2 (en) * 2010-06-21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QoS context transfer during inter radio access technology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310737A1 (en) * 2010-06-21 2011-12-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qos context transfer during inter radio access technology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25344B1 (ko) * 2016-09-30 2021-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신규 무선 통신 아키텍쳐에서 듀얼-커넥티비티를 성립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632915B (zh) * 2017-03-20 2022-07-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在4g和5g网络间移动的方法、装置和设备
CN110431862B (zh) * 2017-03-20 2020-11-03 华为技术有限公司 承载标识分配方法、装置、系统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888036A (zh) * 2017-03-20 202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系统间移动方法、用户设备和存储介质
CN110651499B (zh) * 2017-05-02 2022-07-12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装置、无线通信系统以及无线通信方法
CN108811000B (zh) * 2017-05-05 2021-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参数的确定方法及通信实体
EP3952449B1 (en) * 2017-05-08 2023-04-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between communications systems
CN113316223B (zh) * 2017-05-08 2022-10-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状态切换方法及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S2-172152*
3GPP S2-17224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05565A (zh) 2018-12-14
CN109005565B (zh) 2022-11-04
EP3637851A4 (en) 2020-05-06
US11012895B2 (en) 2021-05-18
KR20200013042A (ko) 2020-02-05
US20200383011A1 (en) 2020-12-03
EP3637851A1 (en) 2020-04-15
JP6980172B2 (ja) 2021-12-15
JP2020522957A (ja) 2020-07-30
EP3637851B1 (en)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383B1 (ko)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838811B2 (en) Inter-network change method and apparatus, and related device
US10693677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tunnel identifier allocation
US11844142B2 (en)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US93073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user equipment mobi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17751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of handover
KR102287142B1 (ko) 데이터 포워딩 방법, 장치, 네트워크 기능 엔티티 및 smf 엔티티
KR102371810B1 (ko)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624145B2 (en) Service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EP3837888B1 (en) User plane setup during 5g system to evolved packet system handover
US10945180B2 (en) Mobility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2536020B1 (ko) 다중 액세스에 걸쳐 트래픽을 분할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팅 디바이스
US20230224770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3053133A1 (zh) 业务数据传输处理方法、设备以及通信系统
KR20130035143A (ko) 로컬 네트워크에서 로컬 엑세스와 음성 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12104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시스템 노드와 데이터 서비스 망 노드 간 연결 설정 방법
JP2022520568A (ja) 接続確立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11137715A1 (zh) 单信道语音连续性实现方法及系统
WO2018223974A1 (zh) 一种会话管理方法和装置
WO2018191952A1 (zh) 网络切换方法、装置与系统
US10993102B2 (en) Localized routing in mobile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