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696B1 -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696B1
KR102274696B1 KR1020200149327A KR20200149327A KR102274696B1 KR 102274696 B1 KR102274696 B1 KR 102274696B1 KR 1020200149327 A KR1020200149327 A KR 1020200149327A KR 20200149327 A KR20200149327 A KR 20200149327A KR 102274696 B1 KR102274696 B1 KR 102274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mask
unit
balls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애진
정태조
정태초
Original Assignee
서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애진 filed Critical 서애진
Priority to KR1020200149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3Jewellery holding or retaining articles, e.g. eye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는, 원통형 금속 볼(1a)과, 상기 볼(1a) 사이를 연결하는 스틱(1b)으로 구성된 볼 체인(1)으로 구성되고, 상기 볼 체인(1)의 단부가 맞대어져 용접 고정되어 마스크(2)를 착용한 사용자의 마스크(2) 상단에 걸쳐지는 코걸이부(11)를 형성하며, 상기 볼 체인(1)의 양측 중간은 착용자의 귀 뒷부분을 통과하여 착용자의 귀에 걸쳐지도록 이루어진 테두리유닛(10)과; 마스크(2) 중앙과 착용자의 귀 사이에 위치하며, 상단과 하단이 상기 테두리유닛(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고, 원통형 금속 볼(1a)과, 상기 볼(1a) 사이를 연결하는 스틱(1b)으로 구성된 볼 체인(1)으로 구성된 두 개의 연결유닛(20)과; 상기 두 연결유닛(20) 사이에 위치하고, 상단과 하단이 상기 테두리유닛(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고, 원통형 금속 볼(1a)과, 상기 볼(1a) 사이를 연결하는 스틱(1b)으로 구성된 볼 체인(1)으로 구성되어 마스크(2) 전면을 장식하는 장식유닛(30)과; 상기 장식유닛(30)의 금속 볼(1a)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마스크(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마스크의 전면을 장식하되 특히 마스크 상단 중앙에 걸쳐지는 코걸이부가 구비되어 이 코걸이부를 통해 심미감을 높여줄 수 있고, 마스크 착용시 코걸이부가 마스크의 상단 부분을 코 측으로 눌러주므로 호흡에 따른 김이 마스크 상측으로 빠져나감으로 인한 안경 김서림 등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되며, 아니라 금속 볼이 항균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항균재가 코팅 처리된 재질로 이루어져 마스크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금속 체인 볼의 용접 조립을 통해 제조되되, 소요되는 체인 볼의 갯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한 마스크용 장신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metal accessory with joint for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t}
본 발명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볼 체인이 조립되어 형성되어 있되, 마스크 상측 중앙에 걸리는 코걸이부가 구비되고,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병균이나 먼지 따위를 막기 위하여 입과 코를 가리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에 마스크 착용은 광산이나 공장 등 분진이 많이 발생하는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해 왔다.
그런데, 근래에는 사스, 메르스에 이어 코로나에 이르기까지 비말이나 공기를 통해 전염되는 급성 전염병이 유행함에 따라 유래없이 다수의 일반인들이 마스크를 착용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눈을 제외한 대부분을 가린 채 상호간의 대면이 이루어져 상대방으로 하여금 미적으로 자신을 어필할 수단이 줄어들게 되었다.
이에 최근에는 마스크에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 브롯지를 달거나, 다양한 캐릭터 등이 인쇄된 마스크를 착용하기도 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금속 장신구를 마스크에 걸거나 하는 사례가 보고된 바는 없다.
다만, "마스크를 내장한 악세서리"(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1914호, 특허문헌 1)에는 인형 안에 포멧을 형성하고 이 포켓에 마스크를 저장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마스크를 장식하는 용도라 보기 어렵다.
KR 20-0321914 (2003.07.22)
본 발명의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마스크의 전면을 장식하되 특히 마스크 상단 중앙에 걸쳐지는 코걸이부가 구비되어 이 코걸이부를 통해 심미감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마스크 착용시 코걸이부가 마스크의 상단 부분을 코 측으로 눌러주므로 호흡에 따른 김이 마스크 상측으로 빠져나감으로 인한 안경 김서림 등을 방지할 수도 있게 하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금속 볼이 항균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항균재가 코팅 처리된 재질로 이루어져 마스크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하여, 금속 체인 볼의 용접 조립을 통해 제조되되, 소요되는 체인 볼의 갯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한 마스크용 장신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통형 금속 볼(1a)과, 상기 볼(1a) 사이를 연결하는 스틱(1b)으로 구성된 볼 체인(1)으로 구성되고, 상기 볼 체인(1)의 단부가 맞대어져 용접 고정되어 마스크(2)를 착용한 사용자의 마스크(2) 상단에 걸쳐지는 코걸이부(11)를 형성하며, 상기 볼 체인(1)의 양측 중간은 착용자의 귀 뒷부분을 통과하여 착용자의 귀에 걸쳐지도록 이루어진 테두리유닛(10)과; 마스크(2) 중앙과 착용자의 귀 사이에 위치하며, 상단과 하단이 상기 테두리유닛(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고, 원통형 금속 볼(1a)과, 상기 볼(1a) 사이를 연결하는 스틱(1b)으로 구성된 볼 체인(1)으로 구성된 두 개의 연결유닛(20)과; 상기 두 연결유닛(20) 사이에 위치하고, 상단과 하단이 상기 테두리유닛(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고, 원통형 금속 볼(1a)과, 상기 볼(1a) 사이를 연결하는 스틱(1b)으로 구성된 볼 체인(1)으로 구성되어 마스크(2) 전면을 장식하는 장식유닛(30)과; 상기 장식유닛(30)의 금속 볼(1a)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마스크(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코걸이부(11)에는 장식부재(4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테두리유닛(10), 연결유닛(20) 및 장식유닛(30)을 구성하는 금속 볼(1a)은 항균재로 이루어져 있거나, 항균재가 코팅 처리된 코팅층(1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20)에는 상기 테두리유닛(10) 상부와 하부의 볼 체인(1)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구(2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마스크의 전면을 장식하되 특히 마스크 상단 중앙에 걸쳐지는 코걸이부가 구비되어 이 코걸이부를 통해 심미감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마스크 착용시 코걸이부가 마스크의 상단 부분을 코 측으로 눌러주므로 호흡에 따른 김이 마스크 상측으로 빠져나감으로 인한 안경 김서림 등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금속 볼이 항균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항균재가 코팅 처리된 재질로 이루어져 마스크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금속 체인 볼의 용접 조립을 통해 제조되되, 소요되는 체인 볼의 갯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한 마스크용 장신구가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 착용 상태를 나타낸 시진.
도 3은 본 발명의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를 펼쳐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서 연결유닛과 테두리유닛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서 테두리유닛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서 연결유닛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간격조절구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서 지그를 이용한 연결유닛 조립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서 고정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 및 설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고정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는 크게 테두리유닛(10), 연결유닛(20) 및 장식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테두리유닛(10)은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금속 장신구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원통형 금속 볼(1a)과, 상기 볼(1a) 사이를 연결하는 스틱(1b)으로 구성된 볼 체인(1)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볼 체인(1) 두 개를 준비한 후, 두 볼 체인(1) 단부측의 볼(1a)을 용접 고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볼 체인(1)의 단부를 서로 마주보도록 한 상태에서 마주한 두 볼(1a)을 용접 고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볼 체인(1)을 연결할 때에는 코걸이부(11)만 형성되며, 두 볼 체인(11)을 연결할 경우에는 코걸이부(11)와 턱지지부(12)가 형성된다.
테두리유닛(10)의 다른 부분은 볼(1a)과 스틱(1b)이 회전 가능한 유연성을 갖는 연결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이 부분이 마스크(2)의 상단에 위치하더라도 마스크(2) 상단에서 쉽게 흘러내리게 된다.
반면, 볼 체인(1)의 마주하는 두 볼(1a)이 용접 고정될 경우 이 부분은 다른 부분과 같이 유연성을 갖지 않고 고정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마스크(2) 상단에 위치할 경우 도 1, 2 등에 도시된 것처럼 위치가 변하지 않고 마스크(2) 상단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코걸이부(11)에는 장식성을 높이기 위하여 장식부재(4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2 및 도 5에는 장식부재(40)가 볼 체인(1)으로 이루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상태는 장식부재(40)를 구성하는 볼(1a)들을 코걸이부(11) 주변의 볼(1a)에 용접함으로써 고정된다.
이렇게 되면 도시된 것처럼 마스크(2)의 상단에 위치한 코걸이부(11)의 하중에 장식부재(40)의 하중이 더해져 마스크(2)의 상단 중앙 부위의 들뜸을 방지하면서 장식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최근 사용되는 마스크 중에는 상부에 코에 압착되는 와이어가 구비된 마스크가 많은데 사용자가 와이어를 밴딩시킴에 있어서 코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밴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마스크의 상단 중앙의 들뜸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과 같이 코걸이부(11) 및 장식부재(40)가 구비된 경우 밴딩부재 상부의 마스크 천을 눌러주게 되어 날숨이 코 부분을 통해서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최근의 마스크들은 착용시 마스크 본체 하부가 착용자의 턱과 접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되어 착용자의 턱과의 사이로 틈이 형성되게 되는 경우가 잦은데, 턱지지부(12)가 형성되는 경우 턱지지부(12)가 마스크(2)의 하부를 착용자의 턱으로 밀착시켜주게 되어 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해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턱지지부(12)에도 볼 체인(1)으로 구성된 장식부재(40)가 용접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장식부재(40)가 볼 체인(1)으로 이루어진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로써 도시한 것일 뿐, 보석류, 귀금속 형상, 캐릭터 등 다양한 형태의 공지의 장신구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한편, 테두리유닛(10)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체인(1)의 양측 중간은 착용자의 귀 뒷부분을 통과하여 착용자의 귀에 걸쳐지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테두리유닛(10)은, 원통형 금속 볼(1a)과, 상기 볼(1a) 사이를 연결하는 스틱(1b)이 연속으로 연결된 선형의 볼 체인(1) 두 개를 준비한 후, 두 볼 체인(1)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여 마스크 착용자의 마스크 상단에 걸쳐지는 코걸이부(11)를 형성하고, 두 볼 체인(1)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여 마스크 착용자의 마스크 하부를 지지하는 턱지지부(12)를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연결유닛(20)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2) 중앙과 착용자의 귀 사이에 위치하며, 상단과 하단이 상기 테두리유닛(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유닛(20) 역시 원통형 금속 볼(1a)과, 상기 볼(1a) 사이를 연결하는 스틱(1b)으로 구성된 볼 체인(1)으로 구성된다.
연결유닛(20)은 한 줄의 볼 체인(1)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비록 용접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강도가 약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귀에 느슨하게 걸려 본 발명의 장신구가 쉽게 귀에서 빠져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연결유닛(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두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7에는 연결유닛(20)을 제조하는 최적의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의 볼 체인(1) 두 개를 한 조로 준비한 후, 두 볼 체인(1)을 나란히 배치하여 양측 선단의 볼(1a)을 용접 고정하여 폐도형의 중간유닛(20a)을 제조한다.
이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중간유닛(20a) 내측으로 상기 테두리유닛(10) 중간이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중간유닛(20a)의 단부측의 4개의 볼(1a) 사이를 테두리유닛(10)의 스틱(1b)이 관통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관통한 스틱(1b)과 연결된 테두리유닛(10)의 볼(1a)을 인접한 4개의 중간유닛(20a)의 볼(1a)과 용접 고정함으로써 연결유닛(20)을 제조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테두리유닛(10)의 양측에 연결유닛(20)을 각각 제조 설치하게 되면 연결유닛(20)을 통해 본 발명의 장신구가 착용자의 귀에 안정적으로 걸려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때, 착용자의 귀의 위치, 귀의 크기, 사용하는 마스크의 크기에 따라 연결유닛(2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유닛(20)에는 상기 테두리유닛(10) 상부와 하부의 볼 체인(1)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구(21)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연결유닛(20)을 구성하기 위해 나란히 배치된 두 볼 체인(1)은 중간의 두 볼(1a) 사이가 스틱(1b)으로 연결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제조시에는 길이가 짧은 총 4개의 볼 체인(1)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간격조절구(21)는 공지의 볼 체인 간격조절구로 대략적으로 그 구조를 설명하면, 양측 단부에 스틱(1b)이 끼워질만한 홀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볼(1a)을 수용할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측벽면은 일부 개방된 형태로 되어 있다.
측벽면의 개방된 부분은 평면상에서 볼(1a)의 이탈을 방지할 정도로 대략 중심 90 ~ 150°의 각도만큼 개방되고, 측벽면의 중간 부분에는 볼(1a)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절개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그 외에 통상의 군번줄 길이조절구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길이조절구(21)를 활용할 경우 연결유닛(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본 발명의 장신구가 양쪽 귀에 안정적으로 걸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장식유닛(30)은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두 연결유닛(20) 사이에 위치하고, 상단과 하단이 상기 테두리유닛(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고, 원통형 금속 볼(1a)과, 상기 볼(1a) 사이를 연결하는 스틱(1b)으로 구성된 볼 체인(1)으로 구성되어 마스크(2) 전면을 장식하게 된다.
도면에서 장식유닛(30)은 여러 개의 볼 체인(1)이 테두리유닛(10)을 따라 수직으로 두 개 배치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장식유닛(30) 역시 일단의 볼(1a)을 상기 테두리유닛(10)의 상부측의 볼(1a)에 용접 연결하고, 타단의 볼(1a)을 상기 테두리유닛(10)의 하부측의 볼(1a)에 용접 연결함으로써 마스크(2) 전면을 장식하게 된다.
고정부재(50)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장식유닛(30)의 금속 볼(1a)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마스크(2)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부재(50)는 접착재, 양면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류들은 본 발명의 장신구와 마스크(2) 사이에 영구 또는 반영구적 결합을 초래하게 되는 반면, 마스크는 통상적으로 하루에서 수일 정도만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세탁을 하는 경우에는 장신구에서 분리되어야 하므로 상기한 구성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를 위한 바람직한 고정부재(50)의 예로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볼(1a)에 결합되는 볼결합부(51)와, 볼결합부(51)에 결합된 채 반대편은 마스크(2)와 착탈이 용이한 후크 또는 벨크로테이프(매직 테이프)와 같은 마스크결합부(5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볼결합부(51)는 볼(1a)을 감싸 강제로 끼우는 형태로 일부가 개방된 라운드진 형태의 내주면을 취하는 개방된 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볼결합부(5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볼(1a)이 아닌 여러 개의 연속된 볼(1a)을 감싸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벨크로테이프는 암수 한 쌍의 테이프로 구성되나, 마스크의 표면은 통상적으로 수 테이프의 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마스크의 표면에 암 테이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한 구성은 장식유닛(30)의 볼(1a)에 볼결합부(51)를 강제로 끼워 결합함과 더불어 마스크결합부(52)는 착탈식으로 마스크(2)에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50)에 의해 마스크 착용 상태에서 본 발명의 장신구의 유동이 심하지 않아 도보나 운동 중의 활동시 장신구의 심한 유동을 억제하여 만족스런 착용감을 제공하고, 심미감을 유지시켜줄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부재(50) 전체 또는 볼결합부(51)는 심미감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투명한 색상을 띄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테두리유닛(10), 연결유닛(20), 장식유닛(30)을 구성하는 금속 볼(1a) 및 장식부재(40)는 은과 같은 항균재로 이루어져 있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과 같은 항균재가 코팅 처리된 코팅층(1c)이 형성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착용에 따른 장신구와 마스크의 접촉 부위의 오염, 또는 세균 증식을 방지할 수 있게 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 테두리유닛(10)을 연결유닛(20)에 관통하고 용접하는 과정을 다수 반복해야 하는데, 볼 체인(1)은 각 볼(1a)과 인접한 스틱(1b)이 유동성 있게 연결되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조립하는 데에 숙련도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지그장치를 구비할 경우 조립 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지그장치는,
중앙에 볼관통공(110)이 형성되어 있는 지그본체(100)와,
일측이 상기 지그본체(100)의 볼관통공(110) 측방에 연결된 채 수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일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채 스틱(1b)이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후크(121)가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수직고정부재(120)로 구성되어 있다.
수직고정부재(120)가 지그본체(100) 상에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본체(100)에 각각 수직 방향의 장방형의 레일홈(122)이 형성되고, 이 레일홈(122)에 수직고정부재(120)의 일단이 끼워져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지그장치의 일부분만을 나타낸 것으로, 지그본체(100)는 아래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레일홈(122) 역시 길게 연장되며, 수직고정부재(120)는 레일홈(12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두개씩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그장치는 양측의 수직고정부재(120)가 각 볼 체인(1)의 상부와 하부 두 스틱(1b)을 잡아 고정해주게 된다.
이때, 볼관통공(110) 역시 길게 연장되어 테두리부재(10)가 내측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할 것이다.
이러한 지그장치를 활용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유닛 제조를 위한 두 볼 체인(1)의 최상단 볼(1a)과 연결된 스틱(1b)을 수직고정부재(120)의 후크(121)에 끼워 고정한 다음, 수 볼 체인(1) 상단의 볼(1a)을 용접 고정한다.
도면에서 도면기호 '3'으로 표시한 부분은 이 용접에 의해 형성된 용접부(3)를 나타낸 것이다.
그런 다음 테두리유닛(10)을 볼관통공(110)으로 통과시킨 다음 중간유닛(20a) 내부의 공간을 통과한 테두리유닛(10)의 볼(1a)과 그 둘레를 감싸고 있는 중간유닛(20a) 상의 볼(1a)들을 다수의 지점에서 용접 고정해주게 되면 연결유닛(20)의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1 : 볼 체인 1a : 볼
1b : 스틱 1c : 코팅층
2 : 마스크 3 : 용접부
10 : 테두리유닛 11 : 코걸이부
12 : 턱지지부 20 : 연결유닛
20a : 중간유닛 21 : 간격조절구
30 : 장식유닛 40 : 장신구
50 : 고정부재 51 : 볼결합부
52 : 마스크결합부
100 : 지그본체 110 : 볼관통공
120 : 수직고정부재 121 : 후크
122 : 레일홈

Claims (4)

  1.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원통형 금속 볼(1a)과, 상기 볼(1a) 사이를 연결하는 스틱(1b)으로 구성된 볼 체인(1) 두 개를 준비한 후, 두 볼 체인(1) 단부측의 볼(1a)을 용접 고정하여, 마스크(2)를 착용한 사용자의 마스크(2) 상단에 걸쳐지는 코걸이부(11)를 형성하며, 상기 볼 체인(1)의 양측 중간은 착용자의 귀 뒷부분을 통과하여 착용자의 귀에 걸쳐지도록 이루어진 테두리유닛(10)을 제조하는 단계와;
    원통형 금속 볼(1a)과, 상기 볼(1a) 사이를 연결하는 스틱(1b)으로 구성된 볼 체인(1) 두 개를 한 조로 준비한 후, 두 볼 체인(1)을 나란히 배치하여 양측 선단의 볼(1a)을 용접 고정하여 폐도형의 중간유닛(20a)을 제조하고, 상기 중간유닛(20a)의 단부측의 4개의 볼(1a) 사이를 테두리유닛(10)의 스틱(1b)이 관통하도록 한 다음 상기 관통한 스틱(1b)과 연결된 테두리유닛(10)의 볼(1a)을 인접한 4개의 중간유닛(20a)의 볼(1a)과 용접 고정하여, 마스크(2) 중앙과 착용자의 귀 사이에 위치하며, 상단과 하단이 상기 테두리유닛(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연결유닛(20)을 제조하는 단계와;
    원통형 금속 볼(1a)과, 상기 볼(1a) 사이를 연결하는 스틱(1b)으로 구성된 볼 체인(1)을 준비한 후, 상기 두 연결유닛(20) 사이의 테두리유닛(10)의 상부와 하부에 일단의 볼(1a)과 타단의 볼(1a)을 용접 연결함으로써 마스크(2) 전면을 장식하는 장식유닛(30)을 제조하는 단계와;
    타측이 마스크(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50)를 준비하여 고정부재(50)의 일측을 상기 장식유닛(30)의 금속 볼(1a)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유닛(20)을 제조하는 단계는,
    중앙에 볼관통공(110)이 형성되어 있는 지그본체(100)와,
    일측이 상기 지그본체(100)의 볼관통공(110) 측방에 연결된 채 수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일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채 스틱(1b)이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후크(121)가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수직고정부재(120)로 구성된 지그장치를 준비한 후,
    중간유닛(20a) 제조를 위한 두 볼 체인(1)의 최상단 볼(1a)과 연결된 스틱(1b)을 수직고정부재(120)의 후크(121)에 끼워 고정한 다음, 두 볼 체인(1) 상단의 볼(1a)을 용접 고정한 다음,
    테두리유닛(10)을 볼관통공(110)으로 통과시킨 후,
    중간유닛(20a) 내부의 공간을 통과한 테두리유닛(10)의 볼(1a)과 둘레를 감싸고 있는 중간유닛(20a) 상의 볼(1a)들을 다수의 지점에서 용접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의 제조 방법.
  2.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에 있어서,
    제 1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코걸이부(11)에는 장식부재(4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유닛(10), 연결유닛(20) 및 장식유닛(30)을 구성하는 금속 볼(1a)은 항균재로 이루어져 있거나, 항균재가 코팅 처리된 코팅층(1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20)에는 상기 테두리유닛(10) 상부와 하부의 볼 체인(1)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구(2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
KR1020200149327A 2020-11-10 2020-11-10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KR102274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327A KR102274696B1 (ko) 2020-11-10 2020-11-10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327A KR102274696B1 (ko) 2020-11-10 2020-11-10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696B1 true KR102274696B1 (ko) 2021-07-13

Family

ID=76858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327A KR102274696B1 (ko) 2020-11-10 2020-11-10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6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914Y1 (ko) 2003-04-29 2003-07-31 김동회 마스크를 내장한 악세서리
KR20080043677A (ko) * 2006-11-14 2008-05-19 이대희 음이온 항균 볼 체인 사슬
JP2018145570A (ja) * 2017-03-07 2018-09-20 株式会社ボックス マスクカバ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914Y1 (ko) 2003-04-29 2003-07-31 김동회 마스크를 내장한 악세서리
KR20080043677A (ko) * 2006-11-14 2008-05-19 이대희 음이온 항균 볼 체인 사슬
JP2018145570A (ja) * 2017-03-07 2018-09-20 株式会社ボックス マスクカバ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32865A5 (ko)
KR101995995B1 (ko) 필터 교체식 마스크
US4153346A (en) Combined sunglasses and ear pendants
KR20180001281U (ko) 마스크
KR102274696B1 (ko)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KR102342573B1 (ko) 코걸이부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 제조방법
KR102151743B1 (ko) 동시사용이 가능한 미용밴드를 갖는 마스크
JP7352270B2 (ja) マスク
KR102292868B1 (ko) 마스크와 볼 체인을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와 그 제조 방법
JP3233581U (ja) マスク
USD937495S1 (en) Wrestling ear guard with detachable mouth guard
US20220134141A1 (en) Sealable face mask
KR102346500B1 (ko) 볼 체인을 이용한 마스크용 금속 장신구의 제조방법
KR200234825Y1 (ko) 방진 및 방풍 마스크
JP2007050196A (ja) 顔用のマスク
JP3182684U (ja) マスク
KR20180061895A (ko) 코 액세서리
JP3107912U (ja) マスク用ゴム掛けピン並びに該ピンを取付けた頭部着用物
JP3231547U (ja) マスク調整具
JP3159668U (ja) 飛沫噴出を防ぐマスク
JP2021031797A (ja) マスク及びマスク用補助具
KR200496659Y1 (ko) 미감이 향상된 감염방지용 마스크
CN209898462U (zh) 一种装饰配件
KR102440298B1 (ko) 턱받이 조절이 가능한 투명위생마스크
KR20220000475U (ko) 귀걸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