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245B1 - Bridge Structures with Improved Movement Performance due to Thermal Expansion or Contraction - Google Patents
Bridge Structures with Improved Movement Performance due to Thermal Expansion or Contra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4245B1 KR102274245B1 KR1020200090254A KR20200090254A KR102274245B1 KR 102274245 B1 KR102274245 B1 KR 102274245B1 KR 1020200090254 A KR1020200090254 A KR 1020200090254A KR 20200090254 A KR20200090254 A KR 20200090254A KR 102274245 B1 KR102274245 B1 KR 1022742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bridge
- contraction
- steel beam
- expan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 변화에 따른 거더의 팽창수축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의한 상부 구조물에 발생하는 하중과 교량 지점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최소화함으로써 온도 신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한편,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도 간편하게 구축할 수 있는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by minimizing the load generated on the upper structure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and the load acting on the bridge point portion by mak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ovement of the girder smoothly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the tempera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that maximizes structural stability against new construction and has a simple structure and easy construction.
일반적으로, 지주식 교량은, 강관 또는 콘크리트 말뚝으로 구성된 지주를 설치하고, 지주의 상부에 코핑부(Coping)를 설치하며, 코핑부의 상부 양측에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거더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한 후, 거더 위에 교량 발판 및 난간을 설치한 형태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 post-type bridge is installed by installing a post composed of a steel pipe or concrete pile, installing a coping on the upper part of the post, and continuously connecting gird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on both upper sides of the coping part. After that, the bridge scaffolding and railing are installed on the girder.
이러한 지주식 교량은 계절의 변화나 일교차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해 지주식 교량의 거더가 교량 길이방향으로 신축(수축 및 팽창)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In such a post-type bridge,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girder of the post-type bridge expands and contracts (contracts and expa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due to the change of season or temperature chang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강재로 제작된 구조물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해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이 크게 발생한다. 거더에서 발생한 온도 신축에 의해, 거더와 코핑부가 볼트 체결 또는 용접으로 결합(연결) 되는 연결부위에 하중이 작용하게 되고, 거더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이 코핑부와 거더의 연결부위를 통해 지주로 전달되어, 연결부위의 응력 집중에 따른 변형이나 파단 문제뿐만 아니라 전체 교량의 구조적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Structures made of steel are more prone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due to temperature changes compared to concrete structures. Due to the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generated in the girder, the load acts on the connecting part where the girder and the coping part are joined (connected) by bolting or welding, and the load acting from the girder is transmitted to the post through the connecting part of the coping part and the girder , problems may arise in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entire bridge as well as deformation or fracture problems due to stress concentration in the connection par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이웃하는 거더 사이에 온도 신축에 대비한 간격을 확보하고, 이웃하는 거더 단부의 하단 플랜지에 교량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을 형성하여, 그 장공과 코핑부에 볼트를 상하로 관통시켜 너트로 체결하여 볼트에 대한 장공(slot)의 상대적 이동(또는 장공에 대한 볼트의 상대적 이동)을 허용해 둠으로써, 거더에 발생한 온도 신축 거동이 장공과 볼트의 이동에 의해 해소(흡수)되어 코핑부나 지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ior art, a gap is secured between neighboring girders for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and a long ho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is formed on the lower flange of the end of the neighboring girder, and the long hole and the coping part are bolted. The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occurring in the girder is resolved by the movement of the long hole and the bolt by allow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slot to the bolt (or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olt to the long hole) (absorbed) and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coping part or the post.
이처럼 종래에는 거더의 온도 신축에 의한 거동을 장공의 길이만큼 허용하고는 있지만, 실제 시공 시에는 거더가 들뜨거나 상하로 진동하지 못하도록 볼트와 너트를 강하게 조여야만 하기 때문에, 온도 신축 발생시 거더의 거동에 저항하거나 거동을 불가능하게 만들어 실제 시공된 교량에서는 설계 시에 기대한 만큼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어렵고, 그에 따라 설계 시에 예측하지 못했던 전체 교량의 구조적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한다.As such, conventionally, the behavior of the girder by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is allowed as much as the length of the long hole, but in actual construction, the bolts and nuts must be tightened strongly to prevent the girder from lifting up or vibrating up and down, so the behavior of the girder when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occurs. In a bridge that is actually constructed by resisting or making it impossible to move, it is difficult to fully demonstrate its function as expected at the time of design, and accordingly, a problem arises i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entire bridge, which was not predicted at the time of design.
또한, 이처럼 온도 신축에 따른 거동이 완전히 흡수되지 못함에 따라 연결부위에 응력이 집중하게 되므로, 응력 집중에 따른 파손이나 변형에 대비하여 거더와 코핑부의 규격(두께, 너비 등)을 크게 만들어야 함으로써 교량 시공 비용이나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In addition, as the behavior due to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is not completely absorbed, stress is concentrated in the connection part. Therefore, the size (thickness, width, etc.) of the girder and the coping part must be made large in preparation for damage or deformation caused by the stress concentration.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construction cost or maintenance cost increas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 변화에 따른 온도 신축 운동(거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의한 거더 상부 구조물에 발생하는 하중과 교량 지점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그에 따라 응력 발생 및 변형을 방지하여 전체 교량의 구조적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을 제공하는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moothly perform temperature expansion/contraction movement (behavior)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so that the load generated in the upper structure of the girder due to temperature change and the bridg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that maximizes structural safety of the entire bridge by minimizing the load acting on the branch and thus preventing stress generation and de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은 첫 번째 목적을, 간단한 구조와 간편한 시공으로 구현할 수 있는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을 제공하는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that can be implemented with a simple structure and simple construction for the first object as described above.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은,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지주(100)를 포함하는 교각 구조물(100a)과, 상기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에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설치되는 거더(300)를 포함하며; 상기 거더(300)의 길이방향 중앙 지점을 상기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에 고정한 고정부(10)로 구성하고, 교량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거더(300)의 단부가 마주하는 지점은 온도 신축 거동에 대비한 간격(G)을 유지하여 상기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에 교량 길이방향으로 온도 신축 거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부(20)로 구성하며; 상기 가동부(20)는, 상기 이웃하는 거더(300)의 폭 방향 양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에 고정되며,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가로 장공(516)이 형성되어 있는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와, 한쪽 단부가 상기 이웃하는 거더(300)의 폭 방향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반대측 단부가 거더(300)의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가로 장공(516)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로 장공(516)을 따라 교량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함과 함께 상기 가로 장공(516)에 의해 상하 방향 움직임은 제한되는 스터드 축(5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웃하는 거더(300)의 교량 길이방향 신축 거동은, 스터드 축(550)이 가로 장공(516)을 따라 교량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것에 의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이웃하는 거더(300)의 상하 방향 거동은, 가로 장공(516)에 의해 스터드 축(550)의 상하 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에 의해 엄격하게 제한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bridge longitudinal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of the neighboring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는, 상기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에 고정되는 하부판(512)과, 상기 하부판(512)의 폭 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상향 연장판(514)을 포함하며, 상기 상향 연장판(514)에 상기 가로 장공(516)이 교량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In the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ansion-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두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 사이의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에는, 탄성 패드(600)가 설치되고, 상기 거더(300)의 저면은 상기 탄성 패드(600) 위에 안착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축(550)은, 상기 거더(300)의 측면에 한쪽 단부가 일체로 고정되는 축부(552)와, 상기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가로 장공(516)을 통과한 상기 축부(552)의 바깥쪽의 단부에 형성되는 머리부(554)를 포함하며, 상기 머리부(554)에 의해, 상기 스터드 축(550)이 상기 가로 장공(516)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거더(300)의 폭 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교각 구조물(100a)은, 교량의 폭에 대응한 길이를 가지는 코핑부(200)가 하나의 지주(100)에 안착하여 고정되는 단주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핑부(200)의 상면이 상기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을 이루며, 상기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인 상기 코핑부(200)의 상면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상기 거더(30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In the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코핑부(200)는,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 또는 강-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 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더(300)는, 웹(312)과, 상기 웹(312)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314) 및 하부 플랜지(316)를 포함하는 강재 빔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하부 플랜지(316)가 상기 코핑부(200)의 상면에 안착 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In the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코핑부(200)는, 웹(212)과, 상기 웹(212)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214) 및 하부 플랜지(216)를 구비하는 한 쌍의 강재 빔(210)을 포함하여, 한 쌍의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 및 하부 플랜지(216)를 서로 맞댄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맞댄 상기 상부 플랜지(214) 및 하부 플랜지(216), 그리고 마주보는 두 웹(212)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222)와, 상기 콘크리트(222)의 상부 및 하부에 일체화 매립되어 끝 부분이 상기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 및 하부 플랜지(216)의 두께만큼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는 강재 연결판(224)을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을 포함하며, 맞대어진 상기 강재 빔(210)의 두 상부 플랜지(214)와 위쪽의 강재 연결판(224)을 용접 접합하여 일체화하고, 맞대어진 상기 강재 빔(210)의 두 하부 플랜지(216)와 아래쪽의 강재 연결판(224)을 용접 접합으로 일체화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the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코핑부(200)는, 상기 강재 빔(210)의 길이(W1)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길이(W2)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과 강재 빔(210)의 길이가 동일한 구조의 코핑부(200)는, 고정부(10) 또는 가동부(20) 중 어느 한 지점에 설치되거나, 고정부(10) 및 가동부(20)의 양 지점에 모두 설치되되, 고정부(10)에 설치될 때에는, 상기 강재 빔(210)의 하부 플랜지(216)에 체결공(218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a)을 통해 지주(100)의 상단과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한편, 상기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에 체결공(218b)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b)을 통해 거더(300)의 하부 플랜지(316)와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취하고, 가동부(20)에 설치될 때에는, 상기 강재 빔(210)의 하부 플랜지(216)에 체결공(218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a)을 통해 상기 지주(100)의 상단과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한편, 상기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에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하부판(512)에 형성된 체결공(518)에 대응하는 체결공(218c)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c)(518)을 통해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와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하부판(512)을 체결구(52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the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코핑부(200)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이 거더(300)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길이(W2)가 강재 빔(210)의 길이(W1)보다 짧게 이루어지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길이(W2)가 강재 빔(210)의 길이(W1)보다 짧게 이루어진 구조의 코핑부(200)는, 고정부(10) 또는 가동부(20) 중 어느 한 지점에 설치되거나, 고정부(10) 및 가동부(20)의 양 지점에 모두 설치되되, 고정부(10)에 설치될 때에는, 상기 강재 빔(210)의 하부 플랜지(216)에 체결공(218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a)을 통해 지주(100)의 상단과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한편, 상기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에 체결공(218b)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b)을 통해 거더(300)의 하부 플랜지(316)와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취하고, 가동부(20)에 설치될 때에는, 상기 강재 빔(210)의 하부 플랜지(216)에 체결공(218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a)을 통해 상기 지주(100)의 상단과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한편, 상기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에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하부판(512)에 형성된 체결공(518)에 대응하는 체결공(218c)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c)(518)을 통해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와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하부판(512)을 체결구(52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the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코핑부(200)는, 상기 강재 빔(210)이 거더(300)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강재 빔(210)의 길이(W1)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길이(W2)보다 짧게 이루어지며, 강재 빔(210)의 길이(W1)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길이(W2)보다 짧게 이루어진 구조의 코핑부(200)는, 고정부(10) 지점에 설치되되, 고정부(10)에서, 상기 강재 빔(210)의 하부 플랜지(216)에 체결공(218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a)을 통해 지주(100)의 상단과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한편,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양측 상면에 거더(300)의 하부 플랜지(316)를 안착시켜 고정하되,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상부에는 앵커(532)를 매립하고, 상기 앵커(532)를 상기 거더(300)의 하부 플랜지(316)에 통과시켜 너트(534)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the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교각 구조물(100a)은, 교량의 폭 방향 양측에 상기 지주(100)를 설치한 복주식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의 지주(100)는 각각, 상단에 지지 플레이트(120)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가 상기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을 이루며, 양측 지주(100)의 지지 플레이트(120) 상면에 각각 상기 거더(300)가 안착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에 의하면, 가동부(20)가, 거더(300)에 스터드 축(550)을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가로 장공(516)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관통시킨 간단한 구조에 의해 거더(300)가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도 신축에 따른 거더(300)의 교량 길이방향 거동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따라서, 온도 변화에 의한 수평하중과 교량 지점부에 작용하는 횡 하중을 제거하여 온도 신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극대화되며, 또 한편으로는,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 기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Therefore, the structural stability against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is maximized by removing the horizontal load caused by temperature change and the lateral load acting on the bridge point, and 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can be reduced due to the simple structure and easy construction.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코핑부(200)는, 강재의 빔(210)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을 감싸는 형태의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 또는 강-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 거더로 이루어짐으로써, 코핑부의 강성이 한층 증대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이러한 코핑부(200)를 고정부(10) 또는 가동부(20)의 코핑부로서 설치하는 경우에는, 코핑부(200)의 가운데에 하나의 지주(100)만 받치더라도, 코핑부(200)가 거더(300) 및 교량 상판의 하중, 그리고 교량 위를 이동하는 자전거, 사람, 차량 등의 하중을 충분히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코핑부(200)의 가운데에 하나의 지주(100)만을 설치하는 이른바 '단주식 교량'을 간단한 구조로 쉽게 구현할 수가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또한, 본 발명은 단주식 교량이나 복주식 교량 어디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either a single column bridge or a double column bridg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전체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의 고정부(10)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의 가동부(20)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신축 허용 연결장치(500)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도 3a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d는, 도 3c의 신축 허용 연결장치(500)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의 가동부(20)의 시공 과정을 차례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코핑부(200)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코핑부의 제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코핑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코핑부를 고정부(10)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코핑부의 분리 사시도 이다.
도 7a는, 제2실시예에 따른 코핑부를 가동부(20)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코핑부의 분리 사시도 이다.
도 8a는, 제3실시예에 따른 코핑부를 가동부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코핑부의 분리 사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전체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a는, 도 9의 고정부(10)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교량 폭 방향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9의 가동부(20)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신축 허용 연결장치(500)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c는, 도 11a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교량 폭 방향 단면도)이다.
도 11d는, 도 11c의 신축 허용 연결장치(500)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G. 2B is a view viewed from the direction 'A' of FIG. 2A.
FIG. 3A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G. 3B is an enlarged view of the extension-allowing
FIG. 3C is a view viewed from the direction 'B' of FIG. 3A .
FIG. 3D is an enlarged view of the extension-allowing
4A to 4D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5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5B is a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ping unit shown in FIG. 5A.
6A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p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ping unit is applied to the fixing
6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ping unit shown in FIG. 6A .
7A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ping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7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ping unit shown in FIG. 7A .
8A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ping par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applied to a movable part.
8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ping part shown in FIG. 8A.
9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A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xing
Fig. 10B is a view (cross-sectional vie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as seen from the side of Fig. 10A.
11A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G. 11B is an enlarged view of the extension-allowing
Fig. 11C is a view (cross-sectional vie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as seen from the side of Fig. 11A.
FIG. 11D is an enlarged view of the extension-allowin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의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perform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교량 구조물의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of bridge structure>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전체 구조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은,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유지하여 교각 구조물(100a)이 설치되고, 이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도 2a, 2b 참조)에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거더(300)가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1 , in the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교각 구조물(100a)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주(100)의 상부에 코핑부(200)가 더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코핑부(200)의 상면이 본 명세서에서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이 된다.The
코핑부(200)는, 교량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져 교량의 폭 방향으로 건너지르도록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coping
코핑부(200)의 상부 양측에는,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거더(300)가 연속적으로 이어서 설치된다.On both upper sides of the coping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거더(300)의 온도 신축 거동을 허용하지 않는 지점을 고정부(10)라고 하고,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거더(300)의 온도 신축 거동을 허용하는 지점을 가동부(20)라고 한다.The point that does not allow the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of the
고정부(10)는, 거더(300)의 길이방향 중앙 지점을 교각 구조물(100a)에 강고하게 고정한 지점이다.The fixing
가동부(20)는, 교량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거더(300)의 마주보는 단부를 온도 신축 거동에 대비한 간격(G)(도 3a 참조)을 유지한 상태에서,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에 교량 길이방향으로 온도 신축 거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점이다.The
이처럼, 거더(300)의 교량 길이방향 중앙 지점에 고정부(1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10)에 대해 교량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지점은, 교량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거더(300)의 마주보는 2개의 단부를 함께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에 지지하는데, 교각 구조물(100a)에 대해 거더(300)가 교량 길이방향으로 온도 신축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거동을 허용하는 가동부(20)로 구성한다.As such, the fixing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10)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a에는 도 1의 고정부(10)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는 도 2a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2A and 2B are views showing the fixing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를 이루는 교각 구조물(100a)은, 하나의 지주(100) 위에, 교량의 폭 방향으로 교량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코핑부(200)가 설치되어, 지주(100)에 대해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한 형태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코핑부(200)의 상면은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을 이루며, 이러한 코핑부(200)의 폭 방향 양측 단부 부분의 상면에는 거더(300)를 안착시키고, 체결구(250)를 통해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upper surface of the coping
거더(300)의 상부에는 교량 상판 구조물(400)이 설치된다.The bridge
교량 상판 구조물(400)은 자전거, 사람, 또는 차량이 밟고 지나가는 바닥 구조물로서, 난간 기초(402), 상부 바닥재(410) 및 난간(420)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상부 바닥재(410)는, 양쪽의 거더(300) 사이에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거더(300)의 내측에는 수직 보강재(302)를 수직으로 연장한 형태로 부착해 두고, 가로보(304)를 양측의 수직 보강재(302)를 잇는 형태로 배치한 후 체결부재(306)를 통해 연결한 받침 구조물을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해 두며, 그 위에 상기 상부 바닥재(410)의 장선재(412)를 교량의 폭 방향으로 여러 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한 후, 장선재(412) 위에 발판(414)을 올려 고정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The
난간 기초(402)는 거더(300) 상단에 설치되고, 그 난간 기초(402) 위에 난간(420)(도 2b 참조)이 설치된다.The
다음으로,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부(2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3a에는 도 1의 가동부(20)를 확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도 3a의 신축 허용 연결장치(500)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3c에는 도 3a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3d에는 도 3c의 신축 허용 연결장치(500)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Next, FIGS. 3A to 3D show the
본 발명에 따른 가동부(20)는, 거더(300)를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 또는 코핑부(200)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종래의 형태가 아니라, 거더(300)가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더(300)의 교량 길이방향의 온도 신축 거동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함과 더불어 거더(300)의 상하방향 움직임까지 엄격하게 제한되도록 하며, 이러한 기능을 매우 간단한 구조로 구현한 것이다.The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가동부(20)는, 상기 교량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거더(300)의 폭 방향 양측면에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를 배치하고, 이웃하는 두 거더(300)로부터 각각 스터드 축(550)을 연장하여 상기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에 교량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관통시킨 형태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S. 3A to 3D , the
구체적으로,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는, 코핑부(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는 가로 장공(516)이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allowing
스터드 축(550)은, 이웃하는 두 거더(300)로부터 각각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가로 장공(516)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스터드 축(550)은, 가로 장공(516) 내에서 가로 장공(516)을 따라(교량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한다(미끄럼 이동하도록 안내된다).The
따라서, 이웃하는 거더(300)의 교량 길이방향 신축 거동(온도 신축 거동)은, 스터드 축(550)이 가로 장공(516)을 따라 교량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스터드 축(550)이 가로 장공(516)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어떠한 방해 요소(예를 들어, 종래에 코핑부에 대해 거더가 들뜨거나 상하로 진동하지 못하도록 안내 볼트와 너트를 강하게 조이는 것에 의해 미끄럼 이동을 방해하는 요소)도 없다.Accordingly, the bridge longitudinal stretching behavior (temperature stretching behavior) of the neighboring
이와 함께, 이웃하는 거더(300)의 상하 방향 거동은, 상기 가로 장공(516)에 의해 상기 스터드 축(550)의 상하 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에 의해 제한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neighboring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re specific embodiment for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는, 코핑부(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부판(512)과, 하부판(512)의 폭 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상향 연장판(5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expansion and
상향 연장판(514)에는, 가로 장공(516)이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다.In the upwardly extending
이러한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는, 그것의 상향 연장판(514)이 거더(300)의 폭 방향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그것의 하부판(512)을 체결구(520)에 의해 코핑부(200)의 상단에 체결하여 고정한다.This stretch-permissible connecting
한편, 거더(300)의 양측에 배치된 두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 사이에서, 코핑부(200)의 상면(100b)에는 탄성 패드(600)를 설치할 수 있다.Meanwhile, an
상기 거더(300)는, 그것의 저면이 탄성 패드(600) 위에 안착 된다. 거더(300)가 온도 신축에 의해 거동함에 따라 탄성 패드(600)가 탄성적으로 변형함으로써, 거더(300)의 거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탄성 패드(60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두 거더(300)마다 각각 하나씩 설치하여, 각자 두 거더(300)의 온도 신축 거동에 대응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 the
탄성 패드(600)는, 고무판이나 플라스틱판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한편, 도 3d(도 4c 병행 참조)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 축(550)은, 거더(300)의 측면에 한쪽 단부가 일체로 고정되는 축부(552)와,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가로 장공(516)을 통과한 축부(552)의 바깥쪽의 단부에 형성되는 머리부(55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3D (see FIG. 4C in parallel), the
스터드 축(550)의 머리부(554)는, 스터드 축(550)이 가로 장공(516)으로부터 교량 폭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거더(300)의 불필요한 폭 방향 거동도 제한할 수 있어, 교량의 구조적 안정성도 추가로 도모할 수 있다.The
스터드 축(550)은, 상기 거더(300)의 측면, 즉, 웹(web)(312)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사체결도 가능하다.The
스터드 축(550)을 상기 거더(300)의 측면에 용접할 때에는, 이른바 '스터드 용접 건(stud welding gun)' 또는 '스터드 용접기용 용접건' 또는 '아크 스터드 용접기' 또는 '저항 스터드 용접기'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용접할 수 있다.When welding the
예를 들어, 스터드 축(550)의 머리부(554) 부분을 바깥 방향으로 하고, 바깥쪽에서 축부(552)를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가로 장공(516)에 관통시켜 축부(552)의 단부를 거더(300)의 웹(312) 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스터드 용접 건으로 상기 스터드 축(550)의 머리부(554)를 파지한 후, 웹(312)과 스터드 축(550)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용착하거나, 저항 발열을 이용하여 압접 한다. 이처럼 머리부(554)와 축부(552)로 이루어지는 스터드 축(550)을 구비하고, 스터드 축(550)의 축부(552)를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가로 장공(516)을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통과시켜 축부(552)의 단부를 거더(300)의 웹(312) 측면에 용접에 의해 직접 고정하는 것에 의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 축(550)의 머리부(554)는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상향 연장판(514)에 간격(틈새)을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즉,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기술처럼, 스터드 축(550)의 머리부(554)를 예를 들어 너트 통해 상향 연장판(514)에 조임으로써 상향 연장판(514)의 양면에 머리부(554)와 너트가 가압되거나 밀착되지 않음으로써), 거더(300) 및 스터드 축(550)이 교량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어떠한 요소도 없게 된다.For exampl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동부(20)는, 거더(300)에 스터드 축(550)을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가로 장공(516)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관통시킨 간단한 구조에 의해, 코핑부(200)에 대해 거더(300)가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더(300)의 교량 길이방향의 온도 신축 거동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진다.In this way, the
이와 더불어, 거더(300)의 상하방향 움직임은, 상기 스터드 축(550)이 가로 장공(516) 내에서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극도로 제한되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제한되며, 그에 따라 교량의 구조적 안정성이 극대화된다.In additio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다음으로, 도 4a 내지 도 4d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의 가동부(20)의 시공 과정의 일례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Next, FIGS. 4A to 4D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0) 위에 코핑부(200)를 올려 체결구(250)로 체결한다.First, as shown in FIG. 4A , the coping
이어서, 코핑부(200)의 교량 폭 방향 양측 단부 부분에 각각 탄성 패드(600)를 얹은 후, 탄성 패드(600) 위에 거더(300)를 안착시킨다.Next, after placing the
이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거더(300)의 양측에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를 배치하고,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하부판(512)에 형성된 체결공(518)에 체결구(520)를 삽입하여 코핑부(200)(즉,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에 체결한다. 그러면, 거더(300) 및 탄성 패드(600)는, 그것의 교량 폭 방향 양측이 상기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에 의해 막힌 상태에서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거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b , the expansion and
이어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거더(300)의 양측에서 스터드 축(550)을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가로 장공(516)을 관통하여 삽입하고, 스터드 축(550)의 단부를 거더(300)의 측면에 맞댄 상태에서 전술한 스터드 용접건을 사용하여 스터드 축(550)을 거더(300)의 측면에 접합시켜 일체화한다.Then, as shown in Figure 4c, the
이어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거더(300)를 이용하여 교량 상판 구조물(400)을 설치한다. 교량 상판 구조물(400)의 설치는, 앞에서 도 2a 내지 도 2b를 통해 설명한 것처럼, 거더(300)의 내측에 수직 보강재(302)를 수직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부착해 두고, 가로보(304)를 양측의 수직 보강재(302)를 잇는 형태로 배치한 후 체결부재(306)를 통해 연결한다. 이러한 받침 구조물(가로보(304) 및 수직 보강재(302))를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해 둔다.Next, as shown in FIG. 4D , the
그리고 가로보(304) 상단에, 상부 바닥재(410)의 장선재(412)를 교량의 폭 방향으로 여러 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한 후, 장선재(412) 위에 발판(414)을 올려 고정하며, 발판(414)의 폭 방향 양측 단부 부분에서 거더(300)의 상면에 난간(420)를 설치한다.And on the upper end of the
다음으로,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코핑부(200)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5a에는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는 제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Next, FIGS. 5A to 5B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코핑부(200)는, 웹(212)과, 웹(212)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214) 및 하부 플랜지(216)를 구비하는 한 쌍의 강재 빔(21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5A to 5B , the
한 쌍의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 및 하부 플랜지(216)는 서로 맞대어 결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서로 맞댄 상부 플랜지(214) 및 하부 플랜지(216), 그리고 마주보는 두 웹(212)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을 포함한다.It includes a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은, 양쪽의 상부 플랜지(214), 하부 플랜지(216) 및 웹(212)이 이루는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222)와, 콘크리트(222)의 상부 및 하부에 일체화 매립되어 끝 부분이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 및 하부 플랜지(216)의 두께만큼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는 강재 연결판(224)을 구비한다.The precast
상기 강재 연결판(224)은 'T'자 모양으로 하여 콘크리트(222) 타설 시 매립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The
양쪽 상부 플랜지(214)의 마주보는 단부면 및 하부 플랜지(216)의 마주보는 단부면에는, 용접을 위한 경사면(214a)을 형성할 수 있다. 양쪽의 경사면(214a)에 의해 용접 그루브가 형성된다.A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 내부에는 철근(226)을 매립하여 부착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Reinforcing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을 가운데 두고, 양측에서 강재 빔(210)을 밀착시켜, 상, 하의 두 강재 연결판(224)의 양쪽에, 각각 두 상부 플랜지(214)와 두 하부 플랜지(216)를 맞댄다.As shown in Fig. 5b, the precast
맞대어진 강재 빔(210)의 두 상부 플랜지(214)와 위쪽의 강재 연결판(224)을 용접 접합하여 일체화한 후, 뒤집어서, 맞대어진 강재 빔(210)의 두 하부 플랜지(216)와 아래쪽의 강재 연결판(224)을 용접 접합하여 일체화한다.The two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코핑부(200)는, 강재의 빔(210)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을 감싸는 형태의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 또는 강-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 거더로 이루어짐으로써, 코핑부의 강성을 한층 증대할 수 있다.The coping
따라서, 이러한 코핑부(200)를 고정부(10) 또는 가동부(20)의 교각 구조물(100a)의 한 요소로서 설치하는 경우에는, 코핑부(200)의 가운데에 하나의 지주(100)만 받치더라도, 코핑부(200)가 거더(300) 및 교량 상판 구조물(400)의 하중, 그리고 교량 위를 이동하는 자전거, 사람, 차량 등의 하중을 충분히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installing this coping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특별한 형태의 코핑부(200)에 의해, 교량의 폭 방향으로 2개의 지주를 설치하지 않고, 가운데에 하나의 지주(100)만을 설치하는 단주식 교량을 간단한 구조로 쉽게 구현 가능하다.That is, by the coping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코핑부(200)는, 앞의 도 1 내지 도 4d와 같이 적용된다.The
이러한 제1실시예에 따른 코핑부(200)는, 강재 빔(210)의 길이(W1)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길이(W2)와 동일하게 이루어진 형태이다.The coping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과 강재 빔(210)의 길이가 동일한 구조의 코핑부(200)는, 도 1 내지 도 4d와 같이, 고정부(10) 또는 가동부(20) 중 어느 한 지점에 설치하거나, 고정부(10) 및 가동부(20)의 양 지점에 모두 설치할 수 있다.The precast
제1실시예에 따른 코핑부(200)가 고정부(10)에 설치될 때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 빔(210)의 하부 플랜지(216)에 체결공(218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a)을 통해 지주(100)의 상단과 볼트-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한다.When the coping
또한, 상기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에 체결공(218b)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b)을 통해 거더(300)의 하부 플랜지(316)와 볼트-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한다.In addition, by forming a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코핑부(200)가 가동부(20)에 설치될 때에는, 도 3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 빔(210)의 하부 플랜지(216)에 체결공(218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a)을 통해 지주(100)의 상단과 볼트-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ping
또한,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에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하부판(512)에 형성된 체결공(518)에 대응하는 체결공(218c)을 형성하여, 체결공(218c)(518)을 통해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와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하부판(512)을 볼트-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구(520)로 체결하여 고정한다.In addition, by forming a
다음으로, 도 6a 내지 도 6b,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코핑부(200)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6a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코핑부(200)를 고정부(10)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6b에는, 도 6a에 도시된 코핑부의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a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코핑부를 가동부(20)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7b에는 도 7a에 도시된 코핑부의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Next, FIGS. 6A to 6B and FIGS. 7A to 7B are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코핑부(20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이 거더(300)보다 교량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길이(W2)가 강재 빔(210)의 길이(W1)보다 짧게 이루어진 형태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6a to 6b, the coping
이처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길이(W2)가 강재 빔(210)의 길이(W1)보다 짧게 이루어진 구조의 코핑부(200)는, 고정부(10) 또는 가동부(20) 중 어느 한 지점에 설치되거나, 고정부(10) 및 가동부(20)의 양 지점에 모두 설치할 수 있다.As such, the coping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코핑부(200)를 고정부(20)에 설치할 때에는, 강재 빔(210)의 하부 플랜지(216)에 체결공(218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a)을 통해 지주(100)의 상단과 볼트-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한다.6A to 6B, when installing the coping
또한,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에 체결공(218b)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b)을 통해 거더(300)의 하부 플랜지(316)와 볼트-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한다.In addition, by forming a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코핑부(200)를 가동부(20)에 설치할 때에는, 강재 빔(210)의 하부 플랜지(216)에 체결공(218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a)을 통해 상기 지주(100)의 상단과 볼트-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한다.7A to 7B, when installing the coping
또한,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에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하부판(512)에 형성된 체결공(518)에 대응하는 체결공(218c)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c)(518)을 통해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와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하부판(512)을 볼트-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구(520)로 체결한다.In addition, by forming a
다음으로,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코핑부(200)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8a에는 제3 실시예의 코핑부(200)를 가동부(20)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8b에는 도 8a에 도시된 코핑부(200)의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Next, FIGS. 8A to 8B are for explaining the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코핑부(200)는, 강재 빔(210)이 거더(300)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강재 빔(210)의 길이(W1)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길이(W2)보다 짧게 이루어진 형태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8a to 8b, the coping
이처럼 강재 빔(210)의 길이(W1)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길이(W2)보다 짧게 이루어진 구조의 제 실시예에 따른 코핑부(200)는, 고정부(10) 지점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uch, the coping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코핑부(200)를 고정부(10)에 설치할 때에는, 강재 빔(210)의 하부 플랜지(216)에 체결공(218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a)을 통해 지주(100)의 상단과 볼트-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한다.8A to 8B, when installing the coping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양측 상면에 거더(300)의 하부 플랜지(316)를 안착시켜 앵커 장치(530)로 고정한다.In addition, the
구체적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상부에는 앵커(532)를 매립하고, 상기 앵커(532)를 거더(300)의 하부 플랜지(316)에 통과시켜 너트(534)로 체결하여 고정한다.Specifically, the
<교량 구조물의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of bridge structure>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전체 구조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9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도 9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은, 교각 구조물(100a)이 지주(100)를 포함하고, 이 지주(100) 위에 곧바로 거더(300)를 설치한 형태이다. 즉, 제1실시예에서의 코핑부(200)가 없는 구조이다.9, in the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따라서,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은 지주(100)의 상면이 된다.Accordingly, the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거더(300)의 온도 신축 거동을 허용하지 않는 고정부(10)와 온도 신축 거동을 허용하는 가동부(20)를 가진다.It has a fixed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은, 이처럼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은 지주(100)의 상면이 되고, 지주(100)의 상면에 거더(300)가 설치되는 형태로서, 교각 구조물(100a)의 구성 및 지주(100)의 지주(100)의 상면에 거더(300)가 안착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d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In the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is way, the
도 10a 및 10 2b는 제2실시예에 따는 고정부(10)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a에는 도 9의 고정부(10)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b에는 도 10a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교량 폭 방향 단면도)이 도시되어 있다.10A and 10 2B show the fixing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 구조물(100a)은, 교량의 폭 방향 양측에 지주(100)를 설치한 복주식으로 이루어지고, 양측 지주(100)의 상면(100b)에 각각 거더(300)가 안착 된다.As shown in Figures 10a and 10b, the
지주(100)는, 기둥(110)과, 이 기둥(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120), 기둥(110)과 지지 플레이트(120)를 연결하고 보강하는 리브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The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는 두 장의 판을 겹쳐서 강성을 더 부여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The
거더(300)는,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이면서 지주(100)의 상면인 지지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안착하며, 거더(300)를 지지 플레이트(120)에 대해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교량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된 두 기둥(110) 사이에 보강재(150)를 설치하여 보강할 수 있다.It can be reinforced by installing the reinforcing
거더(300)의 상부에는 교량 상판 구조물(400)이 설치된다.The bridge
교량 상판 구조물(400)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다음으로, 도 11a 내지 도 11d는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부(2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1a에는 도 9의 가동부(20)를 확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1b에는 도 11a의 신축 허용 연결장치(500)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11c에는 도 11a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교량 폭 방향 단면도)이 도시되어 있고, 도 11d에는 도 11c의 신축 허용 연결장치(500)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Next, FIGS. 11A to 11D show the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면, 가동부(20)는, 교량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거더(300)의 폭 방향 양측면에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를 배치하고, 이웃하는 거더(300)로부터 스터드 축(550)을 연장하여 상기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에 교량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관통시킨 형태로 이루어진다.11A to 11D, the
구체적으로,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는, 지주(100)의 상면(100b)인 지지 플레이트(12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는 가로 장공(516)이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allowing
스터드 축(550)은, 이웃하는 두 거더(300)로부터 각각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가로 장공(516)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스터드 축(550)은, 가로 장공(516) 내에서 가로 장공(516)을 따라(교량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한다(미끄럼 이동하도록 안내된다).The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expansion-
거더(300)의 양측에 배치된 두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 사이에서, 지지 플레이트(120)의 상면(100b)에는 미끄럼 거동 안내용 탄성 패드(600)가 설치된다.An
상기 거더(300)는, 그것의 저면이 탄성 패드(600) 위에 안착 된다. 거더(300)가 온도 신축에 의해 거동함에 따라 탄성 패드(600)가 탄성적으로 변형함으로써, 거더(300)의 거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탄성 패드(600)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두 거더(300)마다 각각 하나씩 설치하여, 각자 두 거더(300)의 온도 신축 거동에 대응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11A and 11B , the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비해, 위와 같은 구성, 즉, 교각 구조물(100a)이 지주(100)만으로 이루어지고,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이 상기 지주(100)의 상면이 되는 한편 지주(100)의 상면은 지지 플레이트(120)로 이루어지는 구성, 이러한 지주(100)의 지지 플레이트(120)에 거더(300) 및 신축 허용 연결장치(500)가 설치되는 구성만이 다르고, 나머지의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하다.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bove, that is, the
그러므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10: 고정부
20: 가동부
100a: 교각 구조물
100b: 상면
100: 지주
110: 기둥
120: 지지 플레이트
130: 리브 플레이트
200: 코핑부
210: 강재 빔
212: 웹(web)
214: 상부 플랜지
214a: 경사면
216: 하부 플랜지
218a ~ 218c : 체결공
22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
222: 콘크리트
224: 연결판
226: 철근
250: 체결구
300: 거더
302: 수직 보강재
304: 가로보
306: 체결부재
312: 웹
314: 상부 플랜지
316: 하부 플랜지
400: 교량 상판 구조물
402: 난간 기초
410: 상부 바닥재
412: 장선재
414: 발판
420: 난간
500: 신축 허용 연결장치
510: 신축 허용 연결부재
512: 하부판
514: 상향 연장판
516: 가로 장공
518: 체결공
520: 체결부재
530: 앵커
532: 스터드
534: 너트
550: 스터드 축
552: 축부
554: 머리부
600: 탄성 패드10: fixed part
20: movable part
100a: pier structure
100b: top
100: holding
110: pillar
120: support plate
130: rib plate
200: coping unit
210: steel beam
212: web (web)
214: upper flange
214a: slope
216: lower flange
218a ~ 218c: fasteners
220: precast concrete beam
222: concrete
224: connection plate
226: rebar
250: fastener
300: girder
302: vertical stiffener
304: crossbeam
306: fastening member
312: web
314: upper flange
316: lower flange
400: bridge deck structure
402: handrail base
410: upper flooring
412: Jang Seon-jae
414: scaffold
420: handrail
500: telescopic connection device
510: stretchable connection member
512: lower plate
514: upward extension plate
516: horizontal long hole
518: fastener
520: fastening member
530: anchor
532: stud
534: nut
550: stud shaft
552: shaft
554: head
600: elastic pad
Claims (11)
상기 거더(300)의 길이방향 중앙 지점을 상기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에 고정한 고정부(10)로 구성하고, 교량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거더(300)의 단부가 마주하는 지점은 온도 신축 거동에 대비한 간격(G)을 유지하여 상기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에 교량 길이방향으로 온도 신축 거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부(20)로 구성하며,
상기 가동부(20)는,
상기 교량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거더(300)의 단부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두 거더(300)의 폭 방향 양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에 고정되는 하부판(512)과, 상기 하부판(512)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상향 연장판(514)과, 상기 상향 연장판(514)에 교량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로 장공(516)을 포함하는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와,
가로 장공(516) 내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축부(552)와, 상기 축부(552)의 바깥쪽 단부에 형성되는 머리부(554)를 포함하는 스터드 축(550)을 구비하며,
가로 장공(516) 내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축부(552)와, 상기 축부(552)의 바깥쪽 단부에 형성되는 머리부(554)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두 거더(300)마다 폭방향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스터드 축(550)을 구비하며,
상기 스터드 축(550)의 축부(552)를 상기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가로 장공(516)을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통과시킨 후, 상기 축부(552)의 단부를 상기 거더(300)의 웹(312) 측면에 용접에 의해 직접 고정되며, 상기 스터드 축(550)이 상기 가로 장공(516) 내에서 교량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스터드 축(550)의 머리부(554)가 상기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상향 연장판(514)에 밀착되지 않고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
A pier structure 100a including posts 100 installed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and a girder 300 continuously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on the upper surface 100b of the pier structure 100a ), including
The longitudinal center point of the girder 300 is composed of a fixing part 10 fixed to the upper surface 100b of the pier structure 100a, and the end of the girder 300 adjacent in the bridge longitudinal direction faces the point It consists of a movable part 20 that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100b of the pier structure 100a to enable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by maintaining a gap G against the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The movable part 20,
The lower plate (100b) fixed to the upper surface (100b) of the pier structure (100a) a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wo girders (300) in the width direction with the ends of the two girders (300) adjac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512), an upward extension plate 514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plate 512, and a transverse long hole 516 extending horizontally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ridge to the upward extension plate 514. a member 510, and
a stud shaft (550) comprising a shaft portion (552) slidable within a transverse elongated hole (516) and a head portion (554) formed at an outer end of the shaft portion (552);
It includes a shaft portion 552 that is slidable within the transverse long hole 516, and a head portion 554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shaft portion 552, and is located on both sides of each of the two adjacent girders 300 in the width direction. It has a stud shaft 550 that is fixed,
After passing the shaft portion 552 of the stud shaft 550 through the horizontal long hole 516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llowable connecting member 510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end of the shaft portion 552 is connected to the web of the girder 300 . (312) fixed directly to the side by welding, the head 554 of the stud shaft 550 so as not to prevent the stud shaft 550 from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within the transverse long hole 516. A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maintain a gap without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pwardly extending plate 514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ermitting connection member 510.
상기 두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 사이의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에는, 탄성 패드(600)가 설치되고,
상기 거더(300)의 저면은 상기 탄성 패드(600) 위에 안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An elastic pad 6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100b of the pier structure 100a between the two stretchable connection members 510,
The lower surface of the girder (300) is a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ated on the elastic pad (600).
상기 교각 구조물(100a)은, 교량의 폭에 대응한 길이를 가지는 코핑부(200)가 하나의 지주(100)에 안착하여 고정되는 단주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핑부(200)의 상면이 상기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을 이루며,
상기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인 상기 코핑부(200)의 상면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상기 거더(3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pier structure 100a is made of a single column type in which a coping part 200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bridge is seated on one post 100 and fixed,
The upper surface of the coping part 200 forms the upper surface 100b of the pier structure 100a,
The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irder 300 is install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ping part 200, which is the upper surface 100b of the pier structure 100a.
상기 코핑부(200)는, 강-콘크리트 합성 거더 또는 강-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 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더(300)는, 웹(312)과, 상기 웹(312)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314) 및 하부 플랜지(316)를 포함하는 강재 빔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하부 플랜지(316)가 상기 코핑부(200)의 상면에 안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ping part 200 is made of a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or steel-precast concrete composite girder,
The girder 300 is made of a steel beam including a web 312 and an upper flange 314 and a lower flange 316 formed at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web 312 , and the lower flange 316 . A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ping part (200).
상기 코핑부(200)는,
웹(212)과, 상기 웹(212)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214) 및 하부 플랜지(216)를 구비하는 한 쌍의 강재 빔(210)을 포함하여, 한 쌍의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 및 하부 플랜지(216)를 서로 맞댄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맞댄 상기 상부 플랜지(214) 및 하부 플랜지(216), 그리고 마주보는 두 웹(212)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222)와, 상기 콘크리트(222)의 상부 및 하부에 일체화 매립되어 끝 부분이 상기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 및 하부 플랜지(216)의 두께만큼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는 강재 연결판(224)을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을 포함하며,
맞대어진 상기 강재 빔(210)의 두 상부 플랜지(214)와 위쪽의 강재 연결판(224)을 용접 접합하여 일체화하고, 맞대어진 상기 강재 빔(210)의 두 하부 플랜지(216)와 아래쪽의 강재 연결판(224)을 용접 접합하여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ping unit 200,
A pair of steel beams (including a pair of steel beams 210 having a web 212 and an upper flange 214 and a lower flange 216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eb 212) The upper flange 214 and the lower flange 216 of 210 are made in the form of facing each other,
The upper flange 214 and the lower flange 216 facing each other, and the concrete 222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opposing webs 212 , and the end portion integrally embedd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ncrete 222 . and a precast concrete beam 220 having a steel connecting plate 224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by the thickness of the upper flange 214 and the lower flange 216 of the steel beam 210,
The two upper flanges 214 and the upper steel connecting plate 224 of the steel beam 210 are buttted together to be integrated, and the two lower flanges 216 and the lower steel of the steel beam 210 are buttted. A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late 224 is welded and integrated.
상기 코핑부(200)는, 상기 강재 빔(210)의 길이(W1)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길이(W2)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과 강재 빔(210)의 길이가 동일한 구조의 코핑부(200)는,
고정부(10) 또는 가동부(20) 중 어느 한 지점에 설치되거나, 고정부(10) 및 가동부(20)의 양 지점에 모두 설치되되,
고정부(10)에 설치될 때에는, 상기 강재 빔(210)의 하부 플랜지(216)에 체결공(218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a)을 통해 지주(100)의 상단과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한편, 상기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에 체결공(218b)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b)을 통해 거더(300)의 하부 플랜지(316)와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취하고,
가동부(20)에 설치될 때에는, 상기 강재 빔(210)의 하부 플랜지(216)에 체결공(218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a)을 통해 상기 지주(100)의 상단과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한편, 상기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에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하부판(512)에 형성된 체결공(518)에 대응하는 체결공(218c)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c)(518)을 통해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와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하부판(512)을 체결구(52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ping part 200, the length W1 of the steel beam 210 is made equal to the length W2 of the precast concrete beam 220,
The precast concrete beam 220 and the coping part 200 having the same length of the steel beam 210 are,
It is installed at any one point of the fixed part 10 or the movable part 20, or is installed at both points of the fixed part 10 and the movable part 20,
When installed in the fixing part 10, a fastening hole 218a is formed in the lower flange 216 of the steel beam 210, and the upper end of the post 100 and the fastener ( 250), while forming a fastening hole 218b in the upper flange 214 of the steel beam 210, and the lower flange 316 of the girder 300 through the fastening hole 218b It takes a structure for fastening and fixing with fasteners 250,
When installed in the movable part 20, a fastening hole 218a is formed in the lower flange 216 of the steel beam 210, and the upper end of the post 100 and the fastener ( 250), 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hole 218c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518 formed in the lower plate 512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llowable connecting member 510 to the upper flange 214 of the steel beam 210.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flange 214 of the steel beam 210 and the lower plate 512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llowable connecting member 510 are fastened with the fastener 520 through the fastening holes 218c and 518 to be fixed A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takes
상기 코핑부(200)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이 거더(300)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길이(W2)가 강재 빔(210)의 길이(W1)보다 짧게 이루어지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길이(W2)가 강재 빔(210)의 길이(W1)보다 짧게 이루어진 구조의 코핑부(200)는, 고정부(10) 또는 가동부(20) 중 어느 한 지점에 설치되거나, 고정부(10) 및 가동부(20)의 양 지점에 모두 설치되되,
고정부(10)에 설치될 때에는, 상기 강재 빔(210)의 하부 플랜지(216)에 체결공(218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a)을 통해 지주(100)의 상단과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한편, 상기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에 체결공(218b)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b)을 통해 거더(300)의 하부 플랜지(316)와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취하고,
가동부(20)에 설치될 때에는, 상기 강재 빔(210)의 하부 플랜지(216)에 체결공(218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a)을 통해 상기 지주(100)의 상단과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한편, 상기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에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하부판(512)에 형성된 체결공(518)에 대응하는 체결공(218c)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c)(518)을 통해 강재 빔(210)의 상부 플랜지(214)와 신축 허용 연결부재(510)의 하부판(512)을 체결구(52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coping part 200 , the length W2 of the precast concrete beam 220 is the length of the steel beam 210 so that the precast concrete beam 220 is located inside the girder 300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made shorter than (W1),
The coping part 20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W2 of the precast concrete beam 220 is shorter than the length W1 of the steel beam 210 is located at any one point of the fixed part 10 or the movable part 20 . Doedoe installed or installed at both points of the fixed part 10 and the movable part 20,
When installed in the fixing part 10, a fastening hole 218a is formed in the lower flange 216 of the steel beam 210, and the upper end of the post 100 and the fastener ( 250), while forming a fastening hole 218b in the upper flange 214 of the steel beam 210, and the lower flange 316 of the girder 300 through the fastening hole 218b It takes a structure for fastening and fixing with fasteners 250,
When installed in the movable part 20, a fastening hole 218a is formed in the lower flange 216 of the steel beam 210, and the upper end of the post 100 and the fastener ( 250), 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hole 218c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518 formed in the lower plate 512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llowable connecting member 510 to the upper flange 214 of the steel beam 210.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flange 214 of the steel beam 210 and the lower plate 512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llowable connecting member 510 are fastened with the fastener 520 through the fastening holes 218c and 518 to be fixed A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takes
상기 코핑부(200)는, 상기 강재 빔(210)이 거더(300)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강재 빔(210)의 길이(W1)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길이(W2)보다 짧게 이루어지며,
강재 빔(210)의 길이(W1)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길이(W2)보다 짧게 이루어진 구조의 코핑부(200)는, 고정부(10) 지점에 설치되되,
고정부(10)에서,
상기 강재 빔(210)의 하부 플랜지(216)에 체결공(218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18a)을 통해 지주(100)의 상단과 체결구(25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한편,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양측 상면에 거더(300)의 하부 플랜지(316)를 안착시켜 고정하되,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20)의 상부에는 앵커(532)를 매립하고, 상기 앵커(532)를 상기 거더(300)의 하부 플랜지(316)에 통과시켜 너트(534)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ping portion 200, the length W1 of the steel beam 210 is the length of the precast concrete beam 220 so that the steel beam 210 is locat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girder 300 ( It is made shorter than W2),
The coping part 20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W1 of the steel beam 210 is shorter than the length W2 of the precast concrete beam 220 is installed at the fixed part 10 point,
In the fixing part (10),
A fastening hole 218a is formed in the lower flange 216 of the steel beam 210, and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post 100 through the fastening hole 218a and fastened with a fastener 250,
The lower flanges 316 of the girder 300 are seated and fixed on both upper surfaces of the precast concrete beam 220, and the anchor 532 is embedded in the upper part of the precast concrete beam 220, and the anchor ( 532) is passed through the lower flange 316 of the girder 300 and fastened with a nut 534 to take a structure to be fixed.
상기 교각 구조물(100a)은, 교량의 폭 방향 양측에 상기 지주(100)를 설치한 복주식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의 지주(100)는 각각, 상단에 지지 플레이트(120)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가 상기 교각 구조물(100a)의 상면(100b)을 이루며,
양측 지주(100)의 지지 플레이트(120) 상면에 각각 상기 거더(300)가 안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신축 거동 성능이 향상된 교량 구조물.According to claim 1,
The pier structure 100a is made of a double-post type in which the posts 10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ridge in the width direction,
Support plates 120 ar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posts 100 on both sides,
The support plate 120 forms the upper surface 100b of the pier structure 100a,
A bridge structure with improved temperature expansion and contraction behavior, characterized in that the girder 3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20 of both sides of the post 100, respective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0254A KR102274245B1 (en) | 2020-07-21 | 2020-07-21 | Bridge Structures with Improved Movement Performance due to Thermal Expansion or Contra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0254A KR102274245B1 (en) | 2020-07-21 | 2020-07-21 | Bridge Structures with Improved Movement Performance due to Thermal Expansion or Contra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4245B1 true KR102274245B1 (en) | 2021-07-07 |
Family
ID=7686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0254A KR102274245B1 (en) | 2020-07-21 | 2020-07-21 | Bridge Structures with Improved Movement Performance due to Thermal Expansion or Contra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4245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81317A (en) * | 1992-08-31 | 1994-03-22 | Marufuji Shiitopairu Kk | Semi-mobile support structure for bridge |
KR200402162Y1 (en) | 2005-08-29 | 2005-11-28 | 명보산공 주식회사 | Temporary works bridge |
KR100949292B1 (en) | 2009-06-01 | 2010-03-23 |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 Construction method for supports of temporary bridge dealing with thermal strain |
KR101801370B1 (en) * | 2017-04-20 | 2017-11-27 | (주) 대현이엔씨 | Shearing stress with improved bicycle road for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1962574B1 (en) * | 2018-06-22 | 2019-03-27 |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 Steel-Composite Girder with Precast Concrete Beam and Bridge with the Same |
KR102034502B1 (en) * | 2019-01-30 | 2019-10-21 | 주식회사 하이브리텍 | Temporary bridge that is not affected by temperature load using slip pads and separation prevention devic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2020
- 2020-07-21 KR KR1020200090254A patent/KR10227424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81317A (en) * | 1992-08-31 | 1994-03-22 | Marufuji Shiitopairu Kk | Semi-mobile support structure for bridge |
KR200402162Y1 (en) | 2005-08-29 | 2005-11-28 | 명보산공 주식회사 | Temporary works bridge |
KR100949292B1 (en) | 2009-06-01 | 2010-03-23 |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 Construction method for supports of temporary bridge dealing with thermal strain |
KR101801370B1 (en) * | 2017-04-20 | 2017-11-27 | (주) 대현이엔씨 | Shearing stress with improved bicycle road for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1962574B1 (en) * | 2018-06-22 | 2019-03-27 |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 Steel-Composite Girder with Precast Concrete Beam and Bridge with the Same |
KR102034502B1 (en) * | 2019-01-30 | 2019-10-21 | 주식회사 하이브리텍 | Temporary bridge that is not affected by temperature load using slip pads and separation prevention devic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4220B1 (en) | Steel pipe girder used bridge | |
WO2006038620A1 (en) | Joined part structure of pedestal and method of joining pedestal | |
JP2007077630A (en) | Continuous girder using precast main-girder segment, and its erection method | |
JP2021032078A (en) | Replaceable high energy dissipative prefabricated prestressed shear wall with built-in steel braces | |
JP3844743B2 (en) |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2167960B1 (en) | Steel Pipe Girder for Bridge with Improved Reinforcement Structure | |
KR20160097888A (en) | End Continuing Structure for Truss Decks | |
KR102067254B1 (en) | Negative moment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girder and cross bea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JP4669464B2 (en) | Sidewalk super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idewalk superstructure | |
KR101892073B1 (en) | Composite Structure Rahmen using Steel Pip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20090092105A (en) | Method of construction for building psc(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163560B1 (en) | Girdir and bridge having soundproof wall using the same | |
KR101013009B1 (en) | Apparatus having a girder connection anchor plate and the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for a psc girder bridge by using the same apparatus | |
KR102274245B1 (en) | Bridge Structures with Improved Movement Performance due to Thermal Expansion or Contraction | |
JP7266808B1 (en) | Main girder continuous rigid connection method | |
JP4696843B2 (en) | Composite beam structure | |
JP6706071B2 (en) | Function-separated damping structure for bridges | |
KR100648046B1 (en) | Beam and Girder Reinforcing Apparatus using External Post-Tension and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ame | |
JP3877995B2 (en) | How to build a string string bridge | |
KR100949584B1 (en) | Pre-cast concrete elment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for upper portion of bridge | |
KR101001905B1 (en) | Steel plate girder bridge construction method with fixing its ends | |
KR102490192B1 (en) | Bridge upper structure and the method constructing bridge upper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100506572B1 (en) | Steel beam constructed prestressing segmental compon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712430B1 (en) | Beam-Slab Pannel Joint Structure | |
KR101585072B1 (en) | Performance Improvement and Seismic Reinforcement using Reinforcement Structure of Bridge Structur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