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155B1 -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155B1
KR102274155B1 KR1020210009107A KR20210009107A KR102274155B1 KR 102274155 B1 KR102274155 B1 KR 102274155B1 KR 1020210009107 A KR1020210009107 A KR 1020210009107A KR 20210009107 A KR20210009107 A KR 20210009107A KR 102274155 B1 KR102274155 B1 KR 102274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racket
connection bracket
bar connec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원
Original Assignee
(주)유원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원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유원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009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04F11/1804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양단부의 내주면에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는 관형상의 핸드바 본체; 상기 핸드바 본체의 양단부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길이조절 바; 상기 길이조절 바의 상기 핸드바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단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반구보다는 큰 직경의 맞춤홈을 형성하는 연결홈부에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축 결합되도록 일측면으로 구형의 연결돌부가 형성되고, 두께 방향으로 일정 폭이 직경의 중심부로 외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일정 깊이의 록킹홈을 형성하는 바 연결브라켓; 상기 바 연결브라켓과 대응되는 난간 측벽에 매설되도록 판면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단부가 후크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앵커를 형성하며, 두께 방향으로 일정 폭이 직경의 중심부로 외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일정 깊이의 록킹홈을 형성하는 고정 브라켓; 하부에는 상기 바 연결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형성되는 록킹홈의 내주면 반경보다는 작지 않은 반경으로 하향 개방되도록 하면서 상기 바 연결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록킹홈에 각각 양면이 맞춤 삽입되면서 상기 바 연결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이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바 연결브라켓의 일측면으로부터 스크류체결에 의해 상기 바 연결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이 동시에 상기 난간 측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쐐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OF HAND RAIL FOR BALUSTRADE}
본 발명은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바 본체의 양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한 길이조절 바의 단부에 연결된 바 연결브라켓과 난간 측벽에 고정되도록 한 고정 브라켓간이 상호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쐐기판에 의해 양 브라켓이 매우 신속하고 상호 견고하게 고정 및 연결되도록 하는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건물이나 아파트 등의 발코니 또는 복도 등에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높이의 난간이 설치된다.
즉, 아파트 등의 공동 주거형 주택의 경우, 법규상 거실 외측으로 발코니를 배치하고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는 창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발코니에는 난간이 설치되어 사람이 아래로 추락하거나 물품 등이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대의 역할을 한다.
발코니는 원래 물품 등을 보관하는 공간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발코니를 단순한 물품보관 공간이 아닌 주거 실내 공간의 일부로 사용하는 세대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발코니를 한정된 주거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발코니 난간은 시공사 측에서 주로 금속의 구조물로 실외와 개방되게 일정 높이로 설치한다.
건축물 난간은 외부에서 보이는 미관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며, 이를 구성하는 지지대도 원형이나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건물의 발코니 난간은 발코니를 형성하는 벽체의 끝난 내,외측에 난간을 이루는 핸드바 양측과 상기 핸드바의 하부에 등 간격으로 연결 위치되는 세로 지지대 하부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세로 지지대 사이에는 가로바와 세로바를 연결 설치하여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시공을 위해서는 완성된 형태의 발코니 난간을 발코니가 배치된 해당 층으로 이송하기 위해 리프트나 엘리베이터와 같은 장치들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이송 과정에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또한, 건물의 층수가 높고 통로가 좁은 경우에는 이송이 불가능하여 별도의 수단을 통해 이송하거나, 개별적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파손의 우려도 존재하였다.
또, 난간을 이루는 핸드바 양측과 세로 지지대 하부의 연결을 위해서는 벽체에 이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 부품을 벽체 양성 과정에서부터 미리 형성시켜 주거나, 아니면 핸드바 양측과 세로 지지대 하부를 앙카 볼트를 사용하여 벽체에 고정시켜 주어야만 하기 때문에, 시공이 어렵고 연결 벽체의 부분 손상 현상이 많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발코니 난간을 부품 상태로 분해하여 건물의 해당 층에서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시도도 있었다.
등록특허 제0540299호(2005.12.26.)의 공동주택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에서는 선단부에 걸림턱부를 갖는 체결판이 고정결합되는 난간 핸드바와, 이 난간 핸드바의 선단 외부면에 위치되어 폭조절볼트에 의해 4조각으로 분리되면서 내주연을 가변시켜 난간 핸드바 선단에 고정되도록 하는 폭조절브라켓과, 4조각으로 나뉜 폭조절브라켓을 연결하면서 보호하는 연결커버와, 폭조절볼트에 의해 4조각이 한 몸으로 결합된 폭조절브라켓을 난간 측벽에 고정시키는 브라켓고정판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즉, 다양한 굵기나 두께의 난간 핸드바를 견고히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으면서 상호 간의 결속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강도를 더욱 강하고 사용수명이 더욱 길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난간 핸드바에 의해서는 난간 측벽에 고정되는 브라켓고정판과의 결합력이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난간 측벽과의 길이 조절이 난해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특허 제0540299호(2005.12.26.)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핸드바 본체로부터 일정 길이 인출입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길이조절 바와 난간 측벽에 매설되는 고정 브라켓에 다양한 각도에서 연결되게 함으로써 핸드바를 보다 견고하고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는, 양단부의 내주면에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는 관형상의 핸드바 본체; 상기 핸드바 본체의 양단부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길이조절 바; 상기 길이조절 바의 상기 핸드바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단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반구보다는 큰 직경의 맞춤홈을 형성하는 연결홈부에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축 결합되도록 일측면으로 구형의 연결돌부가 형성되고, 두께 방향으로 일정 폭이 직경의 중심부로 외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일정 깊이의 록킹홈을 형성하는 바 연결브라켓; 상기 바 연결브라켓과 대응되는 난간 측벽에 매설되도록 판면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단부가 후크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앵커를 형성하며, 두께 방향으로 일정 폭이 직경의 중심부로 외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일정 깊이의 록킹홈을 형성하는 고정 브라켓; 하부에는 상기 바 연결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형성되는 록킹홈의 내주면 반경보다는 작지 않은 반경으로 하향 개방되도록 하면서 상기 바 연결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록킹홈에 각각 양면이 맞춤 삽입되면서 상기 바 연결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이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바 연결브라켓의 일측면으로부터 스크류체결에 의해 상기 바 연결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이 동시에 상기 난간 측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쐐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바 연결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각 록킹홈의 내경부를 이루도록 사각의 맞춤돌기가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쐐기판은 양측의 판재간 간격이 상기 바 연결브라켓과 고정 브라켓의 상호 밀착되는 판재의 두께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양측방과 하향 개방되게 끼움홈을 형성하면서 양측의 판재에는 수평 관통되는 동시에 하향 개방되도록 형성한 록킹홈의 내경부를 이루는 맞춤돌기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축 가이드홀을 형성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에 의해서 난간 측벽에 보다 간단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난간 측벽과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를 예시한 분리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에서 핸드바 본체에 질이조절 바를 연결한 구성을 예시한 요부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에서 바 연결브라켓을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에서 고정브라켓을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에서 쐐기판을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에 의해 바 연결브라켓에 고정브라켓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에 의한 작동 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는 핸드바 본체(10)와 길이조절 바(20)와 바 연결브라켓(30)과 고정브라켓(40)과 쐐기판(5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핸드바 본체(10)는 사각형 또는 원통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는 일정 간격마다 외주면 하부에 상단부가 일체로 연결되거나 상단부로부터 일체로 일정 높이의 지지대(미도시)가 하부로 구비되도록 하며, 각 지지대는 난간 바닥면에 근접시켜 설치되도록 한다.
즉, 핸드바 본체(10)는 난간의 상단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핸드바 본체(10)에는 일정 길이마다 지지대를 형성하면서 전 길이에 대해 상단부와 함께 하단부가 난간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대(미도시)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핸드바 본체(10)에는 일정 길이마다 지지대가 구비되도록 하면서 이들 지지대들은 비교적 좁은 폭을 이격하여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지지대들은 하단부가 핸드바 본체(10)와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대(미도시)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며, 이들 핸드바 본체(10)와 복수의 지지대들과 연결대는 하나 이상의 고정대에 의해서 난간 바닥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만, 핸드바 본체(10)의 양단부는 내주면에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가이드 돌기(11)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핸드바 본체(10)의 양단부에는 일정 길이로 길이조절 바(2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길이조절 바(20)는 도 2에서와 같이 핸드바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외주면에 가이드 홈(21)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길이조절 바(20)는 핸드바 본체(10)의 내부에서 양단부로부터 각각 인출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봉형의 구성이다.
이들 길이조절 바(20)는 각각 핸드바 본체(10)로부터 인출되는 단부에 핸드바 본체(10)보다는 큰 면적으로 바 연결브라켓(30)이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 연결브라켓(30)은 핸드바 본체(10)의 단면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핸드바 본체(10)의 단부에 걸려져 길이조절 바(20)의 삽입 길이를 제한되도록 한다.
길이조절 바(20)의 단부에서 바 연결브라켓(30)은 일정 두께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이때의 바 연결브라켓(30)은 길이조절 바(20)에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홈부(22)에 형성되는 반구보다는 큰 직경의 맞춤홈(220)으로 구형의 연결돌부(31)가 이탈방지되도록 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바 연결브라켓(30)은 구형의 연결돌부(31)가 길이조절 바(20)측 연결홈부(22)의 맞춤홈(220)에 이탈방지되게 삽입되도록 하여 연결홈부(22)에 결합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도 3에서와 같이 바 연결브라켓(30)의 연결돌기(31)를 형성하는 일측면에 대응되는 타측면으로는 두께 중간 부위의 외경이 축소되도록 하는 록킹홈(32)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록킹홈(32)은 바 연결브라켓(30)의 폭 중간 부위를 외경이 보다 축소되도록 하여 직경 중앙 부위로 일정 반경이 요입되도록 하여 형성한다.
바 연결브라켓(30)과 대응되는 난간 측벽에는 고정 브라켓(40)이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고정 브라켓(40)은 난간 측벽에 매설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 브라켓(40)은 도 4에서와 같이 바 연결브라켓(40)과 대응되는 위치의 난간 측벽에 일정 깊이가 매설되도록 판면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단부가 후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앵커(41)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고정 브라켓(40)은 바 연결브라켓(30)과 마찬가지로 두께 방향으로 일정 폭이 직경의 중심부로 외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일정 깊이의 록킹홈(42)을 형성하도록 한다.
즉, 고정 브라켓(40)은 바 연결브라켓(30)과 면밀착되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앵커(41)를 형성하는 면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판면에는 바 연결브라켓(30)에서와 동일한 깊이와 형상으로 록킹홈(42)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호 면밀착되는 바 연결브라켓(30)과 고정 브라켓(40)의 각 록킹홈(32)(42)에는 쐐기판(50)의 맞춤 결합되면서 바 연결브라켓(30)과 고정 브라켓(40)과 함께 스크류체결에 의해서 난간 측벽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고정 브라켓(40)은 바 연결브라켓(30)과 동일한 단면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각 록킹홈(32)(42)의 내경부 또한 동일한 단면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쐐기판(50)은 도 5에서와 같이 양측의 판재간 간격이 바 연결브라켓(30)과 고정 브라켓(40)의 상호 밀착되는 판재의 두께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끼움홈(51)을 형성하면서 끼움홈(51)은 양측방과 하향 개방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끼움홈(51) 상부의 양측면간은 상호 연결되도록 하면서 양측의 판재는 바 연결브라켓(30)과 고정 브라켓(4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그보다 더 하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양측의 판재에는 각 판재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폭과 높이로서 수평 관통되도록 하여 축 가이드홀(52)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축 가이드홀(52)은 쐐기판(50)의 양측 판재가 수평 관통되도록 하면서 하향 개방되도록 하여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 즉 바 연결브라켓(30)과 고정 브라켓(40)에 형성되는 록킹홈(32)(42)의 내경부를 이루는 사각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맞춤돌기(33)(43)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쐐기판(50)는 바 연결브라켓(30)과 고정 브라켓(40)의 상부에서 양측의 판면이 각각의 록킹홈(32)(42)으로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동시에 바 하향 개방되도록 하는 축 가이드홀(52)에는 바 연결브라켓(30)과 고정 브라켓(40)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돌기(33)(43)의 상부면과 양측면을 감싸도록 맞춤 결합되도록 한다.
이렇게 쐐기판(50)에 의해 연결되는 바 연결브라켓(30)과 고정 브라켓(40)은 바 연결브라켓(30)의 일측에서부터 스크류체결에 의해 이들 결합구조가 난간 측벽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에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되는 난간 측벽의 성형 시 우선 고정 브라켓(40)이 매설 고정되도록 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난간 측벽(60)에는 핸드바 본체(10)의 높이에서 바 연결브라켓(30)과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브라켓(40)의 앵커(41)가 매립되도록 미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양측의 난간 측벽(60)에 앵커(41)가 각각 매립되도록 한 고정 브라켓(40)의 사이에는 난간 측벽(60) 사이의 길이보다는 짧은 길이의 난간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러한 난간은 상단에 수평으로 핸드바가 형성되며, 핸드바의 양단부에는 핸드바 본체(10)의 내부로 길이조절 바(2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양측의 난간 측벽(60) 사이에 이미 앵커(41)에 의해 매설 고정된 고정 브라켓(40)에 길이조절 바(20)의 단부에 다양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바 연결 브라켓(30)이 면간 밀착되도록 길이조절 바(20)를 이동시킨다.
난간 측벽(60)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40)에 바 연결 브라켓(20)이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7에서와 같이 상부로부터 쐐기판(50)을 연결한다.
쐐기판(50)에는 양측의 판면 사이에 끼움홈(51)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 끼움홈(51)에 고정 브라켓(40)과 바 연결 브라켓(30)의 상호 밀착되도록 한 한 쌍의 판재가 삽입되도록 하는 동시에 양측의 판재는 바 연결 브라켓(30)과 고정 브라켓(40)에 각각 형성한 록킹홈(32)(42)에 삽입되도록 한다.
즉, 쐐기판(50)은 면간 밀착한 바 연결 브라켓(30)과 고정 브라켓(40)에 억지끼움에 의해서 상부로부터 삽입되면서 바 연결 브라켓(30)과 고정 브라켓(40)이 상호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다.
쇄기판(50)에 의해 바 연결 브라켓(30)과 고정 브라켓(40)이 상호 결합되면 이렇게 결합된 바 연결 브라켓(30)과 고정 브라켓(40)과 쇄기판(50)이 스크류 체결에 의해 난간 측벽(6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미 난간 측벽(6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고정 브라켓(40)에 핸드바 본체(10)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한 길이조절 바(20)의 선단에 연결된 바 연결브라켓(30)을 면간 밀착되도록 한 후 간단히 쐐기판(50)을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시켜 바 연결브라켓(30)과 고정브라켓(40)이 상호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므로 현장에서의 난간 고정을 위한 작업이 매우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매우 견고하게 고정되게 함으로써 난간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키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핸드바 본체
11 : 가이드 돌기
20 : 길이조절 바
21 : 가이드홈 210 : 맞춤홈
22 : 연결부
30 : 바 연결브라켓
31 : 연결돌부 32 : 록킹홈
33 : 걸림돌기
40 : 고정브라켓
41 : 앵커 42 : 록킹홈
43 : 걸림돌기
50 : 쐐기판
51 : 끼움홈 52 : 축 가이드홀

Claims (3)

  1. 양단부의 내주면에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는 관형상의 핸드바 본체;
    상기 핸드바 본체의 양단부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길이조절 바;
    상기 길이조절 바의 상기 핸드바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단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반구보다는 큰 직경의 맞춤홈을 형성하는 연결홈부에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축 결합되도록 일측면으로 구형의 연결돌부가 형성되고, 두께 방향으로 일정 폭이 직경의 중심부로 외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일정 깊이의 록킹홈을 형성하는 바 연결브라켓;
    상기 바 연결브라켓과 대응되는 난간 측벽에 매설되도록 판면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단부가 후크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앵커를 형성하며, 두께 방향으로 일정 폭이 직경의 중심부로 외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일정 깊이의 록킹홈을 형성하는 고정 브라켓;
    하부에는 상기 바 연결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형성되는 록킹홈의 내주면 반경보다는 작지 않은 반경으로 하향 개방되도록 하면서 상기 바 연결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록킹홈에 각각 양면이 맞춤 삽입되면서 상기 바 연결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이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바 연결브라켓의 일측면으로부터 스크류체결에 의해 상기 바 연결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이 동시에 상기 난간 측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쐐기판;
    으로 이루어지는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 연결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각 록킹홈의 내경부를 이루도록 사각의 맞춤돌기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쐐기판은 양측의 판재간 간격이 상기 바 연결브라켓과 고정 브라켓의 상호 밀착되는 판재의 두께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양측방과 하향 개방되게 끼움홈을 형성하면서 양측의 판재에는 수평 관통되는 동시에 하향 개방되도록 형성한 록킹홈의 내경부를 이루는 맞춤돌기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축 가이드홀을 형성하는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KR1020210009107A 2021-01-22 2021-01-22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KR102274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107A KR102274155B1 (ko) 2021-01-22 2021-01-22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107A KR102274155B1 (ko) 2021-01-22 2021-01-22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155B1 true KR102274155B1 (ko) 2021-07-08

Family

ID=7689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107A KR102274155B1 (ko) 2021-01-22 2021-01-22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1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299B1 (ko) 2005-09-16 2006-01-10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KR102165225B1 (ko) * 2020-05-25 2020-10-13 이미영 관절 브라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299B1 (ko) 2005-09-16 2006-01-10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KR102165225B1 (ko) * 2020-05-25 2020-10-13 이미영 관절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90929A (en) Railing
AU2019232888B2 (en) A void platfor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platform support across a building void
US20070056799A1 (en) Scaffold device
KR10056300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안전 난간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200418247Y1 (ko) 건축용 비계
US7780122B1 (en) Telescopic pipe support system
WO2019227174A1 (en) Connection system
KR102216002B1 (ko) 건축용 가설 지지대
KR102274155B1 (ko) 공동주택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KR102058423B1 (ko)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011629B1 (ko) 슬라브 트러스 시스템
KR100887366B1 (ko) 지붕슬래브 형성을 위한 거푸집 받침 장치
KR100665340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시공 데크의 설치 구조
KR200291531Y1 (ko) 파이프 서포트용 고정핀
US3554495A (en) Precast concrete rail construction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101920252B1 (ko) 계단 난간
KR20200098233A (ko) 신축건물 공사용 추락방지 안전지지대
KR200384367Y1 (ko) 건축용 서포트
KR20200001968U (ko) 건물공사용 임시 안전난간대
KR101354170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발코니 난간
KR100740945B1 (ko) 건축 구조물 안전 계단 설치구조
KR102665158B1 (ko) 피난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확장형 조립식 발코니
KR200388070Y1 (ko) 조적 보강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