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825B1 - 광섬유 커넥터의 연결상태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 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 커넥터의 연결상태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825B1
KR102273825B1 KR1020210006910A KR20210006910A KR102273825B1 KR 102273825 B1 KR102273825 B1 KR 102273825B1 KR 1020210006910 A KR1020210006910 A KR 1020210006910A KR 20210006910 A KR20210006910 A KR 20210006910A KR 102273825 B1 KR102273825 B1 KR 102273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coupled
terminal
fixing memb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이삭
Original Assignee
(주)블루코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코어컴퍼니 filed Critical (주)블루코어컴퍼니
Priority to KR1020210006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Accessories for testing or observation of conn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30Testing of optical devices, constituted by fibre optics or optical wave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identification of connection, e.g. right plug to the right socket or full engagement of the mating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레이저 장치용 광섬유 커넥터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광섬유 커넥터의 연결상태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이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레이저 장치용 광섬유 커넥터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광섬유 케이블에 인장력이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호 연결된 광섬유 커넥터를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섬유 커넥터의 연결상태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 장치 {A laser device that checks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fiber optic connector}
본 발명은 한 쌍의 레이저 장치용 광섬유 커넥터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광섬유 커넥터의 연결상태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모듈은 레이저장치의 내부에 수용되며, 레이저광을 생성하여 광섬유커플러를 통해 레이저광을 집중시켜 외부로 출력시키는 역할을 하며, 통상적으로 한 쌍의 광섬유 커넥터의 연결에 의하여 레이저모듈에서 생성된 레이저광이 광섬유 케이블로 전달된다. 이 때 광섬유 커넥터는 주로 SMA 커넥터가 사용된다.
즉, 한 쌍의 광섬유 커넥터가 제대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레이저모듈에서 출력된 레이저광이 광섬유 케이블로 전달되지 않는다. 문제는 레이저광이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한 쌍의 광섬유 커넥터가 제대로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것으로 착각하고 시술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광섬유 케이블에 인장력이나 외력이 작용하여 한 쌍의 광섬유 커넥터가 상호 분리되는 경우에는, 부품에 충격이 가해져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레이저출력 품질이 저하되거나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등록특허 제10-1235380호 (2013.02.14.)
본 발명은 한 쌍의 레이저 장치용 광섬유 커넥터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광섬유 커넥터의 연결상태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광을 생성하고, 광섬유커플러(110)를 통해 레이저광을 집중시켜 외부로 출력시키는 레이저모듈(100); 상기 광섬유커플러(110)의 전단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배치되는 서포터(200); 상기 서포터(2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출력모듈(300); 상기 출력모듈(300)을 둘러싸고 형성되되, 출력모듈(300)이 서포터(200)에 결합시 출력모듈(300)이 서포터(200)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서포터(20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400); 상기 서포터(200)의 일측에 결합되되, 자성체(410)의 자성 변화에 따라 온/오프(ON/OFF) 동작되는 리드스위치(500); 상기 리드스위치(500) 및 서포터(200)의 제1,2단자(240,250)에 직렬적으로 연결되되,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시 리드스위치(500)가 온(ON) 동작됨과 동시에 제1단자(240)가 고정부재(400)의 제3단자(440)에 연결되고, 제2단자(250)가 고정부재(400)의 제4단자(450)에 연결됨으로써, 전원부(7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알람신호가 발생되는 신호발생수단(600); 상기 리드스위치(500)와 신호발생수단(600) 간의 전원공급라인 상에 설치되는 전원부(700);을 포함하되, 상기 서포터(200)는 출력모듈(300)의 제2커넥터(310)에 결합되는 제1커넥터(210)와, 고정부재(400)의 제1결합돌기(420)에 결합되는 제1결합홈(220)과, 고정부재(400)의 제2결합돌기(430)에 결합되는 제2결합홈(230)과, 상기 제1결합홈(220)의 단부에 형성되되, 신호발생수단(600)의 일단과 회로연결되는 제1단자(240)와, 상기 제2결합홈(230)의 단부에 형성되되, 신호발생수단(600)의 타단과 회로연결되는 제2단자(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모듈(300)은 서포터(200)의 제1커넥터(210)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310)와, 상기 제2커넥터(310)에 연결되어, 레이저모듈(100)에서 출력된 레이저광을 전송하는 광섬유케이블(32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400)는 고정부재(4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자성체(410)와, 서포터(200)의 제1결합홈(220)에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420)와, 서포터(200)의 제2결합홈(230)에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430)와, 상기 제1결합돌기(420)의 단부에 형성되되,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시 서포터(200)의 제1단자(240)에 연결되는 제3단자(440)와, 상기 제2결합돌기(430)의 단부에 형성되되, 제3단자(440)와 회로연결되고,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시 서포터(200)의 제2단자(250)에 연결되는 제4단자(450)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스위치(500)는 ⅰ)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시 온(ON) 동작되되, ⅱ)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해제시 오프(OFF)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넥터의 연결상태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 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광이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레이저 장치용 광섬유 커넥터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광섬유 케이블에 인장력이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호 연결된 광섬유 커넥터를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의 일부구성인 출력모듈과 고정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고정부재가 서포터에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고정부재가 서포터에 결합되기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 중 "상", "하" 등의 방향 한정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일 뿐, 기준선(또는 도면)을 달리하면 방향도 달리 지시될 것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레이저 장치용 광섬유 커넥터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광섬유 커넥터의 연결상태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한 쌍의 레이저 장치용 광섬유 커넥터란 후술할 서포터(200)의 제1커넥터(210)와, 출력모듈(300)의 제2커넥터(310)를 통칭하는 용어로 정의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의 일부구성인 출력모듈과 고정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고정부재가 서포터에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고정부재가 서포터에 결합되기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의 광섬유 커넥터의 연결상태 확인 시스템 구조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모듈(100)과, 서포터(200)와, 출력모듈(300)과, 고정부재(400)와, 리드스위치(500)와, 신호발생수단(600)과, 전원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레이저모듈(100)에 대해 설명한다. 레이저모듈(100)은 레이저광을 생성하고, 광섬유커플러(110)를 통해 레이저광을 집중시켜 외부로 출력시키는 부분이다.
서포터(200)에 대해 설명한다. 서포터(200)는 상기 광섬유커플러(110)의 전단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배치되는 부분으로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서포터(200)는 제1커넥터(210)와, 제1결합홈(220)과, 제2결합홈(230)과, 제1단자(240)와, 제2단자(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210)에 대해 설명한다. 제1커넥터(210)는 출력모듈(300)의 제2커넥터(31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서포터(20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공지의 SMA 905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제1결합홈(220)에 대해 설명한다. 제1결합홈(220)은 고정부재(400)의 제1결합돌기(42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제1결합홈(220)의 단부에는 제1단자(24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단자(240)는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발생수단(600)의 일단과 회로연결되는 부분이다. 도 10 내지 도 11에서 회로연결은 파란색 선으로 표시하였다.
제2결합홈(230)에 대해 설명한다. 제2결합홈(230)은 고정부재(400)의 제2결합돌기(43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제2결합홈(230)의 단부에는 제2단자(25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단자(250)는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발생수단(600)의 타단과 회로연결되는 부분이다. 도 10 내지 도 11에서 회로연결은 파란색 선으로 표시하였다.
출력모듈(300)에 대해 설명한다. 출력모듈(300)은 상기 서포터(2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서포터(200)의 제1커넥터(210)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310)와, 상기 제2커넥터(310)에 연결되어, 레이저모듈(100)에서 출력된 레이저광을 전송하는 광섬유케이블(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400)에 대해 설명한다. 고정부재(400)는 상기 출력모듈(300)을 둘러싸고 형성되되, 출력모듈(300)이 서포터(200)에 결합시 출력모듈(300)이 서포터(200)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서포터(20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고정부재(400)는 자성체(410)와, 제1결합돌기(420)와, 제2결합돌기(430)와, 제3단자(440)와, 제4단자(450)와, 제2커넥터삽입홈(460)과, 가압부재삽입홈(4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커넥터삽입홈(460)은 출력모듈(300)의 제2커넥터(310)가 삽입되는 부분이고, 가압부재삽입홈(470)은 소정의 가압부재(20,20')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즉, 제2커넥터삽입홈(460)에 출력모듈(300)의 제2커넥터(310)가 삽입될 수 있고, 이 경우 고정부재(400)의 가압부재삽입홈(470)에 가압부재(20,20')를 삽입함으로써, 제2커넥터(310)가 가압부재(20,20')에 의해 가압되도록 하여, 제2커넥터(310)가 제2커넥터삽입홈(460)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자성체(410)에 대해 설명한다. 자성체(410)는 고정부재(400)의 단부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비접촉식 방식을 이용하여 후술할 리드스위치(500)를 온/오프(ON/OFF)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결합돌기(420)에 대해 설명한다. 제1결합돌기(420)는 서포터(200)의 제1결합홈(22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제1결합돌기(420)의 단부에는 제3단자(44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단자(440)는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시 서포터(200)의 제1단자(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2결합돌기(430)에 대해 설명한다. 제2결합돌기(430)는 서포터(200)의 제2결합홈(23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제2결합돌기(430)의 단부에는 제4단자(45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4단자(450)는 제3단자(440)와 회로연결되고(도 10,11 참조),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시 서포터(200)의 제2단자(2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도 10 내지 도 11에서 회로연결은 파란색 선으로 표시하였다.
리드스위치(500)에 대해 설명한다. 리드스위치(500)는 상기 서포터(200)의 일측에 결합되되, 자성체(410)의 자성 변화에 따라 온/오프(ON/OFF) 동작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드스위치(500)는 ⅰ)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시 자성체(410)와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온(ON) 동작되되(도 11 참조), ⅱ)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해제시 자성체(410)와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오프(OFF) 동작된다(도 10 참조).
신호발생수단(600)에 대해 설명한다. 신호발생수단(600)은 상기 리드스위치(500) 및 서포터(200)의 제1,2단자(240,250)에 직렬적으로 연결되되,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시 리드스위치(500)가 온(ON) 동작됨과 동시에 제1단자(240)가 고정부재(400)의 제3단자(440)에 연결되고, 제2단자(250)가 고정부재(400)의 제4단자(450)에 연결됨으로써(도 11 참조), 전원부(7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알람신호가 발생되는 부분이다.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된 때에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200)의 제1커넥터(210)와 출력모듈(300)의 제2커넥터(310)가 정확하게 연결된다. 이 때, 신호발생수단(600)에서 알람신호가 발생되기 때문에, 레이저광의 조사여부가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더라도, 서포터(200)의 제1커넥터(210)와 출력모듈(300)의 제2커넥터(310)가 제대로 연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신호발생수단(600)은 LED 램프와 같은 시각적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고, 스피커와 같은 청각적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전원부(700)에 대해 설명한다. 전원부(700)는 상기 리드스위치(500)와 신호발생수단(600) 간의 전원공급라인 상에 설치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의 실시예들을 요약하면, 아래의 같이 3가지 실시예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레이저모듈(100), 서포터(200), 출력모듈(300), 고정부재(400), 리드스위치(500), 신호발생수단(600) 및 전원부(700)를 포함하되, ⅰ) 상기 고정부재(400)의 단부에는 자성체(410)가 형성되고, ⅱ) 상기 리드스위치(500)는 자성체(410)의 자성 변화에 따라 온/오프(ON/OFF) 동작되며, ⅲ) 상기 신호발생수단(600)은 리드스위치(500)의 온(ON) 동작시 전원부(7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알람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레이저모듈(100), 서포터(200), 출력모듈(300), 고정부재(400), 신호발생수단(600) 및 전원부(700)를 포함하되, ⅰ) 상기 서포터(200)는 제1,2결합홈(220,230)과, 제1,2단자(240,250)를 포함하고, ⅱ) 상기 고정부재(400)는 제1,2결합돌기(420,430)와, 제3,4단자(440,450)를 포함하며, ⅲ) 상기 신호발생수단(600)은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시 제1단자(240)가 제3단자(440)에 연결되고, 제2단자(250)가 제4단자(450)에 연결됨으로써, 전원부(7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알람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상기 제1,2실시예의 특징이 합쳐진 것으로서, 레이저모듈(100), 서포터(200), 출력모듈(300), 고정부재(400), 리드스위치(500), 신호발생수단(600) 및 전원부(700)를 포함하되, ⅰ) 상기 서포터(200)는 제1,2결합홈(220,230)과, 제1,2단자(240,250)를 포함하고, ⅱ) 상기 고정부재(400)는 자성체(410)와, 제1,2결합돌기(420,430)와, 제3,4단자(440,450)를 포함하며, ⅲ) 상기 리드스위치(500)는 자성체(410)의 자성 변화에 따라 온/오프(ON/OFF) 동작되며, ⅳ) 상기 신호발생수단(600)은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시 리드스위치(500)가 온(ON) 동작됨과 동시에 제1단자(240)가 제3단자(440)에 연결되고, 제2단자(250)가 제4단자(450)에 연결됨으로써, 전원부(7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알람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레이저모듈
110 : 광섬유커플러
200 : 서포터
210 : 제1커넥터
220 : 제1결합홈
230 : 제2결합홈
240 : 제1단자
250 : 제2단자
300 : 출력모듈
310 : 제2커넥터
320 : 광섬유케이블
400 : 고정부재
410 : 자성체
420 : 제1결합돌기
430 : 제2결합돌기
440 : 제3단자
450 : 제4단자
460 : 제2커넥터삽입홈
470 : 가압부재삽입홈
500 : 리드스위치
600 : 신호발생수단
700 : 전원부
10 : 프레임
20, 20' : 가압부재

Claims (4)

  1. 레이저광을 생성하고, 광섬유커플러(110)를 통해 레이저광을 집중시켜 외부로 출력시키는 레이저모듈(100);
    상기 광섬유커플러(110)의 전단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배치되는 서포터(200);
    상기 서포터(2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출력모듈(300);
    상기 출력모듈(300)을 둘러싸고 형성되되, 출력모듈(300)이 서포터(200)에 결합시 출력모듈(300)이 서포터(200)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서포터(20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400);
    서포터(200)의 제1,2단자(240,250)에 연결되되,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시 제1단자(240)가 고정부재(400)의 제3단자(440)에 연결되고, 제2단자(250)가 고정부재(400)의 제4단자(450)에 연결됨으로써, 전원부(7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알람신호가 발생되는 신호발생수단(600);
    상기 신호발생수단(600)의 전원공급라인 상에 설치되는 전원부(700);를 포함하되,

    상기 서포터(200)는
    출력모듈(300)의 제2커넥터(310)에 결합되는 제1커넥터(210)와,
    고정부재(400)의 제1결합돌기(420)에 결합되는 제1결합홈(220)과,
    고정부재(400)의 제2결합돌기(430)에 결합되는 제2결합홈(230)과,
    상기 제1결합홈(220)의 단부에 형성되되, 신호발생수단(600)의 일단과 회로연결되는 제1단자(240)와,
    상기 제2결합홈(230)의 단부에 형성되되, 신호발생수단(600)의 타단과 회로연결되는 제2단자(250)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모듈(300)은
    서포터(200)의 제1커넥터(210)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310)와,
    상기 제2커넥터(310)에 연결되어, 레이저모듈(100)에서 출력된 레이저광을 전송하는 광섬유케이블(32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400)는
    서포터(200)의 제1결합홈(220)에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420)와,
    서포터(200)의 제2결합홈(230)에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430)와,
    상기 제1결합돌기(420)의 단부에 형성되되,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시 서포터(200)의 제1단자(240)에 연결되는 제3단자(440)와,
    상기 제2결합돌기(430)의 단부에 형성되되, 제3단자(440)와 회로연결되고,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시 서포터(200)의 제2단자(250)에 연결되는 제4단자(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넥터의 연결상태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 장치.
  2. 레이저광을 생성하고, 광섬유커플러(110)를 통해 레이저광을 집중시켜 외부로 출력시키는 레이저모듈(100);
    상기 광섬유커플러(110)의 전단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배치되는 서포터(200);
    상기 서포터(2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출력모듈(300);
    상기 출력모듈(300)을 둘러싸고 형성되되, 출력모듈(300)이 서포터(200)에 결합시 출력모듈(300)이 서포터(200)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서포터(20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400);
    상기 서포터(200)의 일측에 결합되되, 자성체(410)의 자성 변화에 따라 온/오프(ON/OFF) 동작되는 리드스위치(500);
    상기 리드스위치(500) 및 서포터(200)의 제1,2단자(240,250)에 직렬적으로 연결되되,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시 리드스위치(500)가 온(ON) 동작됨과 동시에 제1단자(240)가 고정부재(400)의 제3단자(440)에 연결되고, 제2단자(250)가 고정부재(400)의 제4단자(450)에 연결됨으로써, 전원부(7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알람신호가 발생되는 신호발생수단(600);
    상기 리드스위치(500)와 신호발생수단(600) 간의 전원공급라인 상에 설치되는 전원부(700);를 포함하되,

    상기 서포터(200)는
    출력모듈(300)의 제2커넥터(310)에 결합되는 제1커넥터(210)와,
    고정부재(400)의 제1결합돌기(420)에 결합되는 제1결합홈(220)과,
    고정부재(400)의 제2결합돌기(430)에 결합되는 제2결합홈(230)과,
    상기 제1결합홈(220)의 단부에 형성되되, 신호발생수단(600)의 일단과 회로연결되는 제1단자(240)와,
    상기 제2결합홈(230)의 단부에 형성되되, 신호발생수단(600)의 타단과 회로연결되는 제2단자(250)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모듈(300)은
    서포터(200)의 제1커넥터(210)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310)와,
    상기 제2커넥터(310)에 연결되어, 레이저모듈(100)에서 출력된 레이저광을 전송하는 광섬유케이블(32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400)는
    고정부재(4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자성체(410)와,
    서포터(200)의 제1결합홈(220)에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420)와,
    서포터(200)의 제2결합홈(230)에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430)와,
    상기 제1결합돌기(420)의 단부에 형성되되,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시 서포터(200)의 제1단자(240)에 연결되는 제3단자(440)와,
    상기 제2결합돌기(430)의 단부에 형성되되, 제3단자(440)와 회로연결되고,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시 서포터(200)의 제2단자(250)에 연결되는 제4단자(450)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스위치(500)는
    ⅰ)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시 온(ON) 동작되되, ⅱ) 고정부재(400)가 서포터(200)에 결합해제시 오프(OFF)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넥터의 연결상태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10006910A 2021-01-18 2021-01-18 광섬유 커넥터의 연결상태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 장치 KR102273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910A KR102273825B1 (ko) 2021-01-18 2021-01-18 광섬유 커넥터의 연결상태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910A KR102273825B1 (ko) 2021-01-18 2021-01-18 광섬유 커넥터의 연결상태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825B1 true KR102273825B1 (ko) 2021-07-06

Family

ID=7686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910A KR102273825B1 (ko) 2021-01-18 2021-01-18 광섬유 커넥터의 연결상태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682A1 (ko) * 2022-03-24 2023-09-2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광섬유 케이블 마그네틱 커플링 어댑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4750A (ja) * 2000-06-21 2002-06-21 Mitsubishi Cable Ind Ltd 接続検知機能付きコネクタ、接続検知機能付き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接続検知機能付き光ファイバケーブルを用いた機器制御機構
US20020081080A1 (en) * 2000-12-22 2002-06-27 Olav Balle-Petersen Connector assembly
JP2004342779A (ja) * 2003-05-14 2004-12-02 Keyence Corp レーザ加工装置およびその冷却方法
KR101235380B1 (ko) 2011-07-29 2013-02-20 주식회사 이상테크 고출력 레이저용 광커넥터
JP2017026830A (ja) * 2015-07-23 2017-02-02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光ファイバ着脱コネクタ、レーザ装置、照明装置、加工装置、治療装置及び光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4750A (ja) * 2000-06-21 2002-06-21 Mitsubishi Cable Ind Ltd 接続検知機能付きコネクタ、接続検知機能付き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接続検知機能付き光ファイバケーブルを用いた機器制御機構
US20020081080A1 (en) * 2000-12-22 2002-06-27 Olav Balle-Petersen Connector assembly
JP2004342779A (ja) * 2003-05-14 2004-12-02 Keyence Corp レーザ加工装置およびその冷却方法
KR101235380B1 (ko) 2011-07-29 2013-02-20 주식회사 이상테크 고출력 레이저용 광커넥터
JP2017026830A (ja) * 2015-07-23 2017-02-02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光ファイバ着脱コネクタ、レーザ装置、照明装置、加工装置、治療装置及び光通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682A1 (ko) * 2022-03-24 2023-09-2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광섬유 케이블 마그네틱 커플링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0335B2 (ja) 小さいフォーム・ファクタのプラグ式(sfp)光トランシーバ用モジュール及び方法
US6652155B2 (en) Optical connector plug
US5113467A (en) Laser transmitter interlock
US6061373A (en) Safety interlocking system for an optical fiber amplifier and pump source
US20040142602A1 (en) Sensor system and connector used therefor
KR20040092433A (ko) 전기-광학 복합 접속기, 전기-광학 복합 케이블 및 이것을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KR102273825B1 (ko) 광섬유 커넥터의 연결상태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 장치
US8858095B2 (en) Optical-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resilient member for urging ferrule against lens member
US20170207585A1 (en) Traceable cable system, traceable cable assembly and connector
CN113219599B (zh) 一种光模块以及光通信设备
US20180227057A1 (en) Optical transceiver and control method for optical transceiver
JP2003223694A (ja) センサシステム、そのセンサユニット、通話ユニット及び終端ユニット
JP2004260027A (ja) レーザ光漏出防止装置
CN211505959U (zh) 一种带有光纤固定器的线对板连接器
CN110888198B (zh) 光纤衰减器
JP2000180663A (ja) 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監視システム
JPH03276107A (ja) 光回線の使用状態判別装置
JP2014132284A (ja) 光接続構造
CN218974638U (zh) 一种光电混合光纤连接器适配组件
CN220381325U (zh) 一种光纤耦合装置
JP5314208B1 (ja) 光接続構造体
KR19990078216A (ko) 광분기모듈
JP6083802B2 (ja) 光接続構造
JP2017097371A (ja) 光プラグおよび光プラグ受け
JPS62102204A (ja) 接続状態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