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592B1 -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592B1
KR102273592B1 KR1020140130199A KR20140130199A KR102273592B1 KR 102273592 B1 KR102273592 B1 KR 102273592B1 KR 1020140130199 A KR1020140130199 A KR 1020140130199A KR 20140130199 A KR20140130199 A KR 20140130199A KR 102273592 B1 KR102273592 B1 KR 102273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de
screen
wearable termin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7524A (ko
Inventor
김종곤
김정은
유보미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0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5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37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및 화면상에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웨어러블 단말기는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입력받는 센서 입력부; 상기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하는 단말기 모드 판단부; 화면의 픽셀 배열 방향을 달리하여 출력하는 와치형 표시창; 및 상기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픽셀 배열 가로축을 가지는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와치형 표시창을 통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표시 방법{Apparatus for wear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및 화면상에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설치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신호를 GPS로부터 수신받아 맵 데이터를 적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의 보급이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단말기에는 그 활용 가능 범위에 따라 차량 전용 네비게이션과, 네비게이션 어플리게이션이 구동되는 스마트폰 네비게이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
차량 전용 네비게이션은 화면이 크기 때문에 시인성이 좋고 접속 케이블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설치 후 차량 내부가 깔끔하게 정리가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전용의 네비게이션만의 기능을 사용하기에 성능 대비 가격이 비싸고 사용 빈도나 낮으며 맵 데이터의 업그레이드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스마트폰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되는 스마트폰 네비게이션은, 별도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개인이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점에서 설치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네비게이션의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에 모든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시인성이 나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대체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표시하여 시인성이 높은 단말 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 스마트폰과 무선 연동하여 동작하는 스마트 와치와 같은 웨어러블 단말기(wearable terminal)가 사용되고 있다. 웨어러블 단말기는 몸에 부착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스마트 와치 등이 해당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웨어러블 단말기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연동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14-0084461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네비게이션 안내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웨어러블 단말기를 착용한 보행자의 보행 상태를 고려하여 와치형 표시창 또는 밴드형 표시창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웨어러블 단말기는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입력받는 센서 입력부; 상기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하는 단말기 모드 판단부; 화면의 픽셀 배열 방향을 달리하여 출력하는 와치형 표시창; 및 상기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픽셀 배열 가로축을 가지는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와치형 표시창을 통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웨어러블 단말기는,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입력받는 센서 입력부; 상기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하는 단말기 모드 판단부; 화면의 표시 지점을 달리하여 출력하는 밴드형 표시창; 및 상기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상기 밴드형 표시창에서의 화면의 표시 지점을 결정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입력부는,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지는 카메라;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의 가속도 측정이 이루어지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의 회전각 측정이 이루어지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모드 판단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고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의 회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하며,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보행 모드로 결정하며,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지 않고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와치형 표시창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Z축을 중심으로 XY면이 회전한 회전각만큼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와치형 표시창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상기 보행 모드에서는,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0°~ 10°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 기울여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와치형 표시창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상기 보행 정지 모드에는,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 변화없이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밴드형 표시창의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이 디스플레이된다고 할 때,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각도에 비례하여 화면의 중심점을 밴드형 표시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전체 길이를 D라고 할 때, 상기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중심축을 중심으로 180°회전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을 D/2만큼 이동시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밴드형 표시창의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이 디스플레이되며,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전체 길이를 D라고 할 때, 상기 보행 모드 또는 보행 정지 모드에서는, 상기 기준 지점에서 상기 화면의 중심점을 D/4만큼 이동시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웨어러블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 정보 측정 과정; 상기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하는 단말기 모드 결정 과정; 및 상기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웨어러블 단말기의 와치형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의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달리하여 표시하는 정보 표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웨어러블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 정보 측정 과정; 상기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하는 단말기 모드 결정 과정; 및 상기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웨어러블 단말기의 밴드형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의 표시 지점을 달리하여 표시하는 정보 표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모드 결정 과정은, 상기 이미지에서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고 웨어러블 단말기의 회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하며,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보행 모드로 결정하며, 상기 이미지에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지 않고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표시 과정은, 와치형 표시창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Z축을 중심으로 XY면이 회전한 회전각만큼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표시 과정은, 미리 설정된 밴드형 표시창의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이 디스플레이된다고 할 때,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각도에 비례하여 상기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을 밴드형 표시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표시 과정은,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전체 길이를 D라고 할 때, 상기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중심축을 중심으로 180°회전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을 D/2만큼 이동시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웨어러블 단말기에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정보를 손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웨어러블 단말기를 착용한 보행자의 보행 상태에 따른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화면의 기울기, 화면의 표시 위치를 달리하여 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네비게이션 정보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정보 표시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와치형 표시창을 구비한 웨어러블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
도 4는 밴드형 표시창을 구비한 웨어러블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
도 5는 단말기 응시 상태에서의 웨어러블 단말기의 착용 모습의 그림.
도 6은 사용자 보행 상태에서의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 모습의 그림.
도 7은 사용자 보행 정지 상태에서의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 모습의 그림.
도 8은 사용자 보행 시의 웨어러블 단말기의 회전각을 도시한 모습의 그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와치형 표시창에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와치형 표시창이 손목에 착용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와치형 표시창이 손목과 시선의 관계를 고려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밴드형 표시창에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손목의 회전됨에 따라 밴드형 표시창에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화면의 위치가 달라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행 또는 정지 중에 밴드형 표시창에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화면의 위치가 달라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표시창을 가진 웨어러블 단말기의 정보 표시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표시창을 가진 웨어러블 단말기의 정보 표시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정보 표시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네비게이션 정보 표시 장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포함한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라 함은 네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차량에 거치되어 네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하는 차량 전용 네비게이션, 네비게이션 어플리게이션이 구동되는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가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스마트폰에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주변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길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단속 카메라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휴게소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등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에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참고로 주변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는 네비게이션 지도상에 자신의 현재 위치 주변의 시설물을 표시한 정보이며, 길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안내 정보이며, 단속 카메라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는 속도 위반 차량을 촬영하는 단속 카메라의 위치와 제한 속도를 알리는 정보이며, 휴게소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는 고속도로 상의 휴게소의 위치를 알리는 정보를 말한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와 웨어러블 단말기(100) 간에는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참고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의 출고 당시에 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으며, 또는 구글 마켓 등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웨어러블 단말기(100)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웨어러블 단말기(100)라 함은, 스마트폰 단말기와 연동되어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이 몸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거치대에 부착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소형의 단말기를 말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웨어러블 단말기가 네비게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겠으나, 네비게이션 화면 이외에도 다양한 정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단말기 모드를 결정하며 결정된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표시창에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화면의 픽셀 배열 가로축을 다르게 구성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결정된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표시창의 표시 지점을 달리하여 표시한다. 이를 위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입력부(110), 단말기 모드 판단부(120), 정보 출력부(140),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정보 출력부(140)는, LED, OLDE 등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구현되어,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정보 출력부(140)를 통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구성한 네비게이션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정보 출력부(140)는 와치형 표시창(141)을 가지는 시계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치형 표시창(141)을 가지는 시계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와치형 표시창(141)은 시계줄(141a)에 연결되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창으로서, 네비게이션 화면이 와치형 표시창(141)이 시계줄(141a)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네비게이션 화면의 픽셀 배열 방향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부(140)는 밴드형 표시창(142)을 가지는 시계 타입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줄 역할을 하는 밴드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밴드형 표시창(142)은 시계줄 역할을 하는 밴드의 전체 영역이 밴드형 표시창으로 역할을 하여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밴드의 전체 길이 중에서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되는 지점이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네비게이션 화면의 표시 지점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센서 입력부(110)는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입력받는다. 센서 입력부(110)는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지는 카메라(111)를 구비한다. 또한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112), 회전 관성을 이용하여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113) 등을 포함하는 움직임 측정 센서(11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 정보는 이미지, 움직임량, 회전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가속도 센서(112)는 X축, Y축, Z축 각각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113)는 X축, Y축, Z축 각각의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다.
단말기 모드 판단부(120)는, 측정한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한다.
즉,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응시되고 있는 경우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한다. 카메라(111)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고 동시에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회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보행 정지 상태에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응시하는 경우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움직이지도 않으며 회전되지도 않기 때문에 가속도 센서(112) 및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아무런 값도 측정되지 않는다. 또한 보행 중에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응시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목에 차여진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가속도가 측정될 수는 있지만 손목을 흔들거나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회전각이 측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카메라(111)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고 동시에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회전각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단말기 응시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참고로 측정 시에 움직임이 없다고 판단하는 것은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측정되어 평균되는 값이며 또한 허용 범위내의 움직임은 움직임이 없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정확한 단말기 응시 모드 판단을 위하여 보행자가 정지 상태에서 단말기를 응시하는 경우에만 응시 모드로 판정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단말기 응시 모드는, 카메라(111)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고 동시에 가속도 센서(112) 및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아무런 움직임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에만 단말기 응시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보행 움직임에 의하여 흔들리고 있는 경우에는 보행 모드로 결정한다. 가속도 센서(112) 또는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에 보행 모드로 결정한다.
또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립 상태의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되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정지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한다. 카메라(111)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지 않고 가속도 센서(112) 또는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한다.
또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설정된 임계 범위, 즉, 보행 시의 손목 흔들림에 의한 회전각을 벗어나 흔들리는 경우에는 보행 모드가 아닌 예외 모드로서,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정보 출력부(140)를 오프시켜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결정된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와치형 표시창(141)에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화면의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다르게 구성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결정된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밴드형 표시창(142)의 표시 지점을 달리하여 표시한다.
우선, 와치형 표시창(141)에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화면의 픽셀 배열 가로축을 다르게 구성하여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30)는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픽셀 배열 가로축을 결정하고, 결정된 픽셀 배열 가로축을 가지는 화면을 구성하여 와치형 표시창(141)를 통하여 표시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치형 표시창(141)은 XZ면이 와치형 표시창(141)의 화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화면상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며, 와치형 표시창(141)을 정면으로 바라볼 때 X축은 수평선, Y축은 수직선, Z축은 와치형 표시창(141)의 깊이 두께에 해당할 수 있다. 픽셀이 배열되도록 X축이 픽셀 배열 가로축으로 설정되며, Y축이 픽셀 배열 세로축으로 화면이 구성된다. 픽셀 배열 가로축은 화면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가로축의 픽셀 배열 방향을 말하며, 픽셀 세로축은 화면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세로축의 픽셀 배열 방향을 말한다.
도 10과 같이, 와치형 표시창(141)을 가진 웨어러블 단말기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고 웨어러블 단말기를 올바로 볼 수 있도록 사람의 시선에 맞는 위치에 두고서, X축, Y축, Z축의 기울기를 기준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마다 손목에 웨어러블 단말기의 착용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각 개인별로 초기에 기준축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축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지속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런데, 도 5와 같이 웨어러블 단말기를 응시하는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사용 중에 사용자의 손목 위치에 따라서 와치형 표시창(141)의 화면이 기울어져 보일 수 있다.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이 기울어진 경우에는, 웨어러블 단말기가 Z축을 중심으로 XY면이 회전하게 된다. 이럴 경우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선 기준으로 볼 때 화면이 기울어 보이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측정된 XY면의 회전각만큼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기준축에서 변화시켜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울기 변화된 픽셀 배열 가로축(X')을 가짐으로써 사람 시선 기준으로 볼 때 화면이 기울어지지 않고 항상 동일한 화면 방향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6과 같은 보행 모드에서는 팔이 흔들리는 상황이므로, 와치형 표시창(141)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141)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웨어러블 단말기의 흔들림에 비례하여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기울여서 화면을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0°~ 10°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서 기울여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팔이 지면과 수직인 상태에서는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없이 X축 방향으로 하며, 팔의 흔들림 정도에 따라서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0°~ 10°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서 기울여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은 보행 정지 모드에서는 팔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와치형 표시창(141)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141)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상기 보행 정지 모드에는,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 변화없이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의 설명은 웨어러블 단말기가 도 3에 도시한 와치형 표시창(141)을 구비한 경우에 네비게이션 화면의 픽셀 배열 가로축을 다르게 구성하여 표시하는 예를 설명한 것이다. 웨어러블 단말기가 도 4에 도시한 밴드형 표시창(142)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30)는 결정된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밴드형 표시창(142)의 표시 지점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한다.
우선,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밴드형 표시창(142)의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이 디스플레이된다고 할 때, 밴드형 표시창(142)의 밴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각도에 비례하여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을 밴드형 표시창(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밴드형 표시창(142)을 손목에 착용한 후 다양하게 손목을 위치시켜 밴드형 표시창(142)을 응시할 수 있는데, 손목의 회전 여부와 관련없이 항상 사용자가 밴드형 표시창(142)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착 수단을 가진 밴드형 표시창(142)에서, 기준 지점에 화면의 중심점(S)을 위치시켜 네비게이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고 할 때 밴드형 표시창(142)이 밴드 중심축(C)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한 각도에 비례하여 화면의 중심점을 밴드형 표시창(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변화된 화면의 중심점(S')을 가지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참고로 밴드형 표시창의 웨어러블 단말기를 손목에 착용하여 기준 위치를 초기 설정받은 후, 설정된 기준 위치에서 밴드 중심축(C)을 중심으로 회전된 회전각만큼 비례하여 화면의 중심점을 밴드형 표시창(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 응시 모드의 동작 예로서, 밴드형 표시창(142)의 밴드 전체 길이를 D라고 할 때, 밴드형 표시창(142)의 밴드 중심축을 중심으로 180°회전이 이루어진 경우, 기준 지점에서 네비게이션 화면의 중심점을 D/2만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선이 바라보이는 손등 측의 밴드상에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될 수 있으며, 손을 180°뒤집어 손바닥 측이 시선에 보인다 하더라도 손바닥 측의 밴드상에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보행 모드 또는 정지 모드에서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밴드형 표시창(142)의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이 디스플레이되며, 밴드형 표시창(142)의 밴드 전체 길이를 D라고 할 때, 기준 지점에서 네비게이션 화면의 중심점을 D/4만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행 또는 정지 중의 손목은 90° 회전되어 있는 만큼 그만큼 네비게이션 화면을 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표시창을 가진 웨어러블 단말기의 정보 표시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과정을 가진다(S1510). 측정을 위한 센서로는 카메라(111), 자이로 센서(113) 및 가속도 센서(112)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센싱 정보는 카메라(11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정보,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흔들림 정보,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움직임 회전각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센싱 정보의 측정은,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정보 측정 과정과,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움직임량이나 회전각을 측정하는 과정을 가진다. 움직임량이나 회전각 측정에 앞서 웨어러블 단말기의 기준 위치를 초기값으로 설정받아 저장한다. 기준 위치에서의 움직임량이나 회전각을 측정한다.
센싱 정보 측정이 완료되면, 측정한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하는 단말기 모드 결정 과정을 가진다(S1520).
즉,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응시되고 있는 경우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한다(S1521). 카메라(111)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고 동시에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회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S1521).
또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흔들리고 있는 경우에는 보행 모드로 결정한다(S1522). 가속도 센서(112) 또는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에 보행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S1522).
또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립 상태의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되어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한다(S1523). 카메라(111)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지 않고 가속도 센서(112) 또는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S1523).
단말기 모드 결정이 완료되면,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웨어러블 단말기의 와치형 표시창(141)에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화면의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달리하여 표시하는 정보 표시 과정을 가진다(S1530).
와치형 표시창(141)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Z면이 와치형 표시창(141)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단말기 응시 모드(S1521)에서는, Y축을 중심으로 XZ면이 회전한 회전각만큼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S1531). 도 5와 같이 웨어러블 단말기를 응시하는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사용 중에 사용자의 손목 위치에 따라서 와치형 표시창(141)의 화면이 기울어져 보일 수 있다.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이 기울어진 경우에는, 웨어러블 단말기가 Z축을 중심으로 XY면이 회전하게 된다. 이럴 경우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선 기준으로 볼 때 화면이 기울어 보이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측정된 XY면의 회전각만큼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람 시선 기준으로 볼 때 화면이 기울어지지 않고 항상 동일한 화면 방향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보행 모드(S1522)에서는 팔이 흔들리는 상황이므로, 와치형 표시창(141)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141)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웨어러블 단말기의 흔들림에 비례하여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기울여서 화면을 구성한다(S1522). 바람직하게는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0°~ 10°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서 기울여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팔이 지면과 수직인 상태에서는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없이 X축 방향으로 하며, 팔의 흔들림 정도에 따라서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0°~ 10°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서 기울여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보행 정지 모드(S1523)에서는 팔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와치형 표시창(141)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141)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상기 보행 정지 모드에는,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 변화없이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S1533).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표시창을 가진 웨어러블 단말기의 정보 표시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과정을 가진다(S1610). 측정을 위한 센서로는 카메라(111), 자이로 센서(113) 및 가속도 센서(112)를 포함한 가속도 센서(112) 또는 자이로 센서(113)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센싱 정보는 카메라(11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정보,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흔들림 정보,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움직임 회전각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센싱 정보 측정이 완료되면, 측정한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하는 단말기 모드 결정 과정을 가진다(S1620).
즉,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응시되고 있는 경우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한다(S1621). 카메라(111)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고 동시에 가속도 센서(112) 또는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회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S1621).
또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흔들리고 있는 경우에는 보행 모드로 결정한다(S1622). 가속도 센서(112) 또는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에 보행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S1622).
또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립 상태의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되어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한다(S1623). 카메라(111)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지 않고 가속도 센서(112) 또는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S1623).
단말기 모드 결정이 완료되면, 결정된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웨어러블 단말기의 밴드형 표시창(142)에 표시되는 화면의 표시 지점을 달리하여 표시하는 정보 표시 과정을 가진다(S1630).
따라서 정보 표시 과정(S1630)은, 미리 설정된 밴드형 표시창(142)의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이 디스플레이된다고 할 때, 단말기 응시 모드(S1631)에서는, 밴드형 표시창(142)의 밴드 중심축(C)을 중심으로 회전한 각도에 비례하여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을 밴드형 표시창(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S1631). 또한 정보 표시 과정(S1630)은, 밴드형 표시창(142)의 밴드 전체 길이를 D라고 할 때, 밴드형 표시창(142)의 밴드 중심축(C)을 중심으로 180°회전이 이루어진 경우, 기준 지점에서 화면을 D/2만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보행 모드(S1632) 또는 정지 모드(S1633)에서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밴드형 표시창(142)의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이 디스플레이되며, 밴드형 표시창(142)의 밴드 전체 길이를 D라고 할 때, 기준 지점에서 네비게이션 화면의 중심점을 D/4만큼 이동시켜 네비게이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행 또는 정지 중의 손목은 90° 회전되어 있는 만큼 그만큼 네비게이션 화면을 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10:센서 입력부 111:카메라
112:가속도 센서 113:자이로 센서
120:단말기 모드 판단부 130:제어부
140:정보 출력부 141:와치형 표시창
142:밴드형 표시창

Claims (16)

  1.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입력받는 센서 입력부;
    상기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하는 단말기 모드 판단부;
    화면의 픽셀 배열 방향을 달리하여 출력하는 와치형 표시창; 및
    상기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픽셀 배열 가로축을 가지는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와치형 표시창을 통하여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와치형 표시창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Z축을 중심으로 XY면이 회전한 회전각만큼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보행 모드에서는,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0°~ 10°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 기울여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보행 정지 모드에는,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 변화없이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입력부는,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지는 카메라;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의 가속도 측정이 이루어지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의 회전각 측정이 이루어지는 자이로 센서;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모드 판단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고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의 회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하며,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보행 모드로 결정하며,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지 않고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웨어러블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 정보 측정 과정;
    상기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하는 단말기 모드 결정 과정; 및
    웨어러블 단말기의 와치형 표시창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상기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웨어러블 단말기의 와치형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의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달리하여 표시하는 정보 표시 과정;
    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2. 삭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모드 결정 과정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에서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고 웨어러블 단말기의 회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하며,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보행 모드로 결정하며,
    상기 이미지에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지 않고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 과정은,
    와치형 표시창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Z축을 중심으로 XY면이 회전한 회전각만큼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5. 삭제
  16. 삭제
KR1020140130199A 2014-09-29 2014-09-29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표시 방법 KR102273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199A KR102273592B1 (ko) 2014-09-29 2014-09-29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199A KR102273592B1 (ko) 2014-09-29 2014-09-29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524A KR20160037524A (ko) 2016-04-06
KR102273592B1 true KR102273592B1 (ko) 2021-07-06

Family

ID=5579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199A KR102273592B1 (ko) 2014-09-29 2014-09-29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5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541B1 (ko) * 2016-05-30 2018-07-11 주식회사 카카오 가장자리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1176A (ja) * 2011-09-12 2013-04-04 Seiko Epson Corp 腕装着型の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3191210A (ja) * 2012-03-12 201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携帯用端末機の曲がりを感知する装置及び情報表示装置並びにそれら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205B1 (ko) * 2005-12-27 2007-08-13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휴대용 디지털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방법 및 그휴대용 디지털 기기
KR101295583B1 (ko) * 2010-09-13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1548275B1 (ko) 2012-12-26 2015-08-31 제이와이커스텀(주)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1176A (ja) * 2011-09-12 2013-04-04 Seiko Epson Corp 腕装着型の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3191210A (ja) * 2012-03-12 201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携帯用端末機の曲がりを感知する装置及び情報表示装置並びにそれら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524A (ko)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2189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wearable apparatus including unmanned aerial vehicle, wristwatch including wearable apparatus, method of operat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pparatus for operating unmanned aerial vehicle
JP6919222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2163915B1 (ko) 스마트 와치 및 제어 방법
US20140184476A1 (en) Heads Up Display for a Gun Scope of a Small Arms Firearm
CN105125160B (zh) 一种口腔内窥镜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TWI677814B (zh) 可穿戴式手錶及其顯示方法
JP2004108939A (ja) 測量機の遠隔操作システム
KR102273591B1 (ko)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및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US20190146222A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8737801A (zh) 车载投影的现实运动修正
JP2018082363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20180135395A (ko) 거리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801232B1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によって実行される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9678568B2 (en) Apparatus, system, method for designating displayed items and for controlling operation by detecting movement
EP39405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60091717A1 (en) Head-mounted display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6786985B2 (ja) ナビゲーションベルト、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273592B1 (ko)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표시 방법
US9751607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rotatable device on marine vessel
RU2017102028A (ru) Устройство с функцией показа изобразите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KR102578119B1 (ko)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스마트 안경 작동 방법
JP5174942B2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によって実行される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2018005563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6523522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
JP5036895B2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によって実行される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