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272B1 - 컨베이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272B1
KR102273272B1 KR1020190163838A KR20190163838A KR102273272B1 KR 102273272 B1 KR102273272 B1 KR 102273272B1 KR 1020190163838 A KR1020190163838 A KR 1020190163838A KR 20190163838 A KR20190163838 A KR 20190163838A KR 102273272 B1 KR102273272 B1 KR 102273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aggage
scale
weight
scal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231A (ko
Inventor
김동수
이계승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미건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미건에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9016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272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6Other airport installations
    • B64F1/368Arrangements or installations for routing, distributing or loading bagg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6Other airport installations
    • B64F1/366Check-in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4Lugg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컨베이어 시스템은, 공항을 포함하는 시설에 설치되어서 이용자의 수하물 무게를 측정하고 이송하는 스케일 컨베이어와 무인 체크인 장치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수하물이 탑재되어 무게가 측정되는 스케일 컨베이어,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와 연속하여 설치되고,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로부터 수하물을 이송하는 인풋 컨베이어, 수하물이 상기 인풋 컨베이어에 걸쳐지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에서 측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의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CONVEYOR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CONVEYOR SYSTEM}
이하의 설명은 공항을 포함하는 시설에 설치되어 이용자의 수하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이송하는 스케일 컨베이어와 인풋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행기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유인 및 무인의 체크인 카운터에서 탑승수속을 할 때 통상의 운임료 계산 이외에, 수하물에 대해서 별도의 탁송료를 지불하게 된다. 이 때, 수하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서 스케일 컨베이어와 인풋 컨베이어가 설치된다.
스케일 컨베이어와 인풋 컨베이어는 공항터미널의 체크인 카운터에서 연속으로 연결 및 설치된다. 이용자가 수하물을 스케일 컨베이어에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무게가 측정이 되고, 카운터 근무자의 풋 스위치(foot switch) 조작에 의해 인풋 컨베이어로 수하물이 이송된다. 그리고, 체크인 카운터는 여러 개의 인풋 컨베이어가 벨트 컨베이어와 연결되어서, 인풋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수하물이 벨트 컨베이어 라인을 통해 항공기에 이송된다.
통상, 스케일 컨베이어와 인풋 컨베이어는 한 쌍으로 제작 및 설치되어서 운영되는데, 스케일 컨베이어와 인풋 컨베이어는 수하물이 탑재되는 벨트면이 서로 연결되며 소정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기존의 스케일 컨베이어의 경우, 스케일 컨베이어의 길이보다 긴 수하물을 올려놓는 경우 수하물의 일부가 인풋 컨베이어에 걸쳐지면서 수하물의 무게가 분산됨에 따라 무게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스케일 컨베이어에서 측정된 무게에 의해서 수하물의 탁송비를 계산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길이가 긴 수하물의 경우에는, 부정확하게 측정된 무게로 인해 정확한 운임 산출이 어렵고 더불어 초과 운임의 부과가 어려울 수 있어서, 수입 감소 및 공항 수입의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이로 인해, 근무자가 수하물을 스케일 컨베이어의 정상 위치로 일일이 옮겨야 하는 불편을 초래한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스케일 컨베이어의 길이를 길게 제작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스케일 컨베이어가 차지하는 점유 면적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 등록특허 스케일 컨베이어의 제어시스템(한국 등록특허 제10-1118059호 공보)에 의하면, 인풋 컨베이어에 간섭이 되는 경우 근무자가 역회전 버튼을 눌러 스케일 컨베이어를 역회전시키는 경우가 있었으나, 벨트의 구동속도가 빨라서 수하물이 넘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스케일 컨베이어가 이용자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하물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근무자가 역회전을 위해서 버튼을 일일이 누르는 불편이 있다.
그리고 무인 체크인 장치(Self Bag Drop, SBD)는 보통 국제선에 주로 쓰이는데, 무료 운임 기준을 초과하는 수하물의 경우 요금이 과도하게 부과되므로 일부러 수하물을 인풋 컨베이어에 걸치게 하여 무게를 줄이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인 체크인 장치는 개인별 무료 탁송 기준을 설정하면 정확하게 초과 금을 징수하게 된다. 반면, 유인 체크인 카운터에서는 무료 탁송 기준을 어느 정도 초과하더라도, 유동적으로 무료로 처리하여 주는 관례가 있기 때문에, 무인 체크인 장치를 이용하는 이용자와의 형평성 문제가 발생되고, 이는 이용자 측면에서 보면 무인 체크인 장치보다 유인 카운터를 선호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무인 체크인 장치는 위탁하고자 하는 수하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기준 무게 이상을 위탁할 때 추가 요금을 바로 무인 체크인 장치에서 결제하게 되는데, 이용자는 항공사 등에서 정한 등급에 따른 혜택을 적용 받기 어렵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VIP 회원인 경우 무료 수하물의 무게 기준이 일반 회원보다 높은데, 무인 체크인 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등급 혜택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회원 등급에 따른 무게 기준을 적용하여 초과 금액을 산출하고 그에 따라 결제가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인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의 목적은, 스케일 컨베이어 보다 길이가 긴 수하물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무인 체크인 장치와 유인 체크인 카운터 간의 요금 청구의 형평성 문제 해결과 무인 체크인 장치에서 이용자 등급을 차등 적용하여 그에 따른 자동 요금 계산 및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컨베이어 시스템은, 공항을 포함하는 시설에 설치되어서 이용자의 수하물 무게를 측정하고 이송하는 스케일 컨베이어와 무인 체크인 장치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수하물이 탑재되어 무게가 측정되는 스케일 컨베이어,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와 연속하여 설치되고,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로부터 수하물을 이송하는 인풋 컨베이어, 수하물이 상기 인풋 컨베이어에 걸쳐지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에서 측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의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의 회전을 위한 구동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감지 센서의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를 역회전시키고, 체크인 카운터에 구비되는 풋 스위치가 작동하면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를 정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의 역회전 속도가 정회전 속도보다 저속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에서의 검출 신호와 상기 풋 스위치가 작동하여 발생되는 작동 신호 중, 후순위로 발생되는 신호는 무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풋 스위치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감지 센서에서 수하물이 감지되어도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의 역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감지 센서에서 수하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와 상기 인풋 컨베이어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제1 센서, 및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와 상기 인풋 컨베이어의 경계에 설치되는 제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 인근에는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무인 체크인 장치는, 통신 장치와, 각 무인 체크인 장치의 감시 및 제어가능한 서버가 통신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서버 또는 상기 각 무인 체크인 장치에서 기준 무게값이 설정되고, 상기 기준 무게값과 별도로 수하물의 초과 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무료 기준 무게값을 설정하고, 이용자의 수하물의 무게가 상기 무료 기준 무게값을 초과하였을 때 초과된 무게에 대해서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료 기준 무게값은, 상기 기준 무게값에 일정 수치를 더하여 산출하거나, 일정 수치를 곱하여 산출한 값이다. 그리고 상기 무인 체크인 장치는 이용자의 항공권 및 여권을 인식하는 인식장치와 연동되고, 상기 서버와 연동되어 이용자의 등급에 따라 설정되는 설정된 무게값을 상기 무료 기준 무게값과 비교하여 초과된 무게에 대해서 요금을 징수할 수 있다.
한편, 컨베이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공항을 포함하는 시설에 설치되어서 이용자의 수하물 무게를 측정하고 이송하는 스케일 컨베이어와 무인 체크인 장치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케일 컨베이어의 일 측에 구비되는 제1 센서와, 스케일 컨베이어와 인풋 컨베이어의 경계에 구비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센서에서 수하물이 감지되면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를 선택적으로 역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에서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를 역회전시키고, 체크인 카운터에 구비되는 풋 스위치가 작동하면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를 정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의 역회전 속도를 정회전 속도보다 저속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에서의 검출 신호와 상기 풋 스위치가 작동하여 발생되는 작동 신호 중, 후순위로 발생되는 신호는 무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풋 스위치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감지 센서에서 수하물이 감지되어도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의 역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감지 센서에서 수하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와 상기 인풋 컨베이어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수하물의 무게가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감지 센서에서 수하물이 감지되더라도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를 역회전시키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무인 체크인 장치에서는 기준 무게값이 설정되고, 상기 기준 무게값과 별도로 수하물의 초과 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무료 기준 무게값을 설정하고, 이용자의 수하물의 무게가 상기 무료 기준 무게값을 초과하였을 때 초과된 무게에 대해서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상기 무인 체크인 장치는 이용자의 항공권 및 여권을 인식하는 인식장치와 연동되고, 이용자에게 설정된 무게값을 상기 무료 기준 무게값과 비교하여 요금을 징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케일 컨베이어보다 길이가 긴 수하물이 인풋 컨베이어까지 걸쳐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스케일 컨베이어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수하물이 스케일 컨베이어 상에만 위치하도록 하여, 수하물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스케일 컨베이어에서 역회전시 저속으로 역회전시킴으로써 수하물이 낙하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케일 컨베이어의 역회전 및 정지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체크인 카운터의 근무자가 일일이 작동 및 처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근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무인 체크인 장치와 유인 카운터에서의 기준 무게 초과 시 발생하는 요금의 형평성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이용자들이 무인 체크인 장치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의 여권 정보 또는 항공권 정보를 인식하여, 이용자의 등급을 적용함으로써, 이용자 등급에 따른 위탁수하물의 무료 무게 기준값을 차등 적용함으로써 등급에 따라 요금 부과 및 결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과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스케일 컨베이어와 인풋 컨베이어의 평면도들이다.
도 3은 도 1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컨베이어 시스템(10) 및 컨베이어 시스템(10)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과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10)에서 감지 센서(100)를 설명하기 위한 스케일 컨베이어(11)와 인풋 컨베이어(12) 부분의 평면도들이고,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컨베이어 시스템(10)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10)의 모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컨베이어 시스템(10)은 수하물(L)의 무게를 측정하고 이송하기 위한 스케일 컨베이어(11)와 인풋 컨베이어(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컨베이어 시스템(10)은, 유인 체크인 카운터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무인 체크인 장치(Self Bag Drop, SBD)(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일 컨베이어(11)와 인풋 컨베이어(12)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체크인 카운터 및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서 항공기로 이송된다.
스케일 컨베이어(11)는 이용자가 수하물(L)을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수하물(L)의 무게를 측정한다. 스케일 컨베이어(11)는 무게 측정과 더불어 수하물(L)을 인풋 컨베이어(12)로 이송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스케일 컨베이어(11)와 인풋 컨베이어(12)는 한 쌍으로 제작 및 설치되어서 운영되며, 인풋 컨베이어(12)는 스케일 컨베이어(11)로부터 수하물(L)을 받을 수 있도록 스케일 컨베이어(11)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스케일 컨베이어(11)는 이용자 쪽의 높이가 낮고, 뒤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탑재면(11a)이 지면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풋 컨베이어(12)의 탑재면(12a)은 스케일 컨베이어(11)의 탑재면(11a)과 동일 평면 상에서 연장되도록 스케일 컨베이어(11)의 탑재면(11a)과 동일 또는 유사한 각도로 지면에 대해서 경사를 갖는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스케일 컨베이어(11) 및 인풋 컨베이어(12)의 형상은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케일 컨베이어(11)의 길이보다 긴 수하물(L)을 스케일 컨베이어(11)에 올려놓는 경우, 수하물(L)의 일부가 인풋 컨베이어(12)에 걸쳐지면 수하물(L)의 무게가 분산됨에 따라 무게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하물(L)이 인풋 컨베이어(12)에 걸쳐지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100)가 구비되고, 감지 센서(100)와 연동하여 스케일 컨베이어(11)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지 센서(100)는 스케일 컨베이어(11)의 일측 및 스케일 컨베이어(11)와 인풋 컨베이어(12)의 경계 부분에 구비된다.
제1 센서(110)는 스케일 컨베이어(11)의 일측에 구비되어서 스케일 컨베이어(11)에 수하물(L)이 놓였음을 감지한다.
제2 센서(120)는 스케일 컨베이어(11)와 인풋 컨베이어(12)의 경계 부분에 구비되어서 수하물(L)이 인풋 컨베이어(12)에 걸쳤음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센서(110, 120)는 스케일 컨베이어(11) 및 인풋 컨베이어(12)의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광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센서(110, 120)는 광 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스케일 컨베이어(11)와 인풋 컨베이어(12) 상에서 수하물(L)을 감지할 수 있다면 실질적으로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스케일 컨베이어(11)와 인풋 컨베이어(12)의 경계 부분에서 제2 센서(120) 인근에는 표시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121)는 수하물(L)이 인풋 컨베이어(12)에 걸쳐지는 위치 및 제2 센서(120)의 위치임을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레이저 발생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근무자와 이용자는 표시부(121)에서 표시되는 것을 보고 수하물(L)이 인풋 컨베이어(12)에 걸쳐지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120)에서 수하물(L)이 감지되면, 이용자 및 근무자에게 스케일 컨베이어(11)가 역회전함을 알리기 위한 방송 또는 안내 메시지 또는 경고음이 방송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1 및 제2 센서(110, 120)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따라 스케일 컨베이어(11)를 역회전 시킴으로써 수하물(L)을 스케일 컨베이어(11) 상에만 위치하도록 하여, 무게가 부정확하게 검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본 발명의 스케일 컨베이어(11)의 역회전 기능은 인풋 컨베이어(12)에 수하물(L)이 걸쳐져서 무게가 분산되어 부정확한 무게를 측정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서, 스케일 컨베이어(11)에 올려진 수하물(L)이 인풋 컨베이어(12)에 걸쳐지는 경우, 수하물(L)의 대부분은 스케일 컨베이어(11)에 올려져 있고, 수하물(L)의 일부분만 인풋 컨베이어(12)에 걸쳐지게 되므로, 수하물(L)이 걸쳐진 상태에서 스케일 컨베이어(11)가 측정하는 무게의 오차 범위는 수하물(L) 무게의 20% 이내일 수 있다.
그리고, 스케일 컨베이어를 운영하는 항공사 등은 이용자 1인당 무료로 위탁 가능한 수하물의 허용 무게(이하 기준 무게라 함)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 1인당 20kg까지 무료 수하물로 위탁할 수 있고, 이 경우, 20kg를 초과하는 무게에 대해서 위탁 수수료를 청구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무료가 되는 기준 무게값은 항공사마다 상이하고, 인풋 컨베이어(12)에 걸쳐져서 분산되는 무게의 기준도 상기와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인풋 컨베이어(12)에 수하물(L)이 걸쳐지는 모든 경우에 대해서 스케일 컨베이어(11)를 역회전시키지 않고, 수하물(L) 무게가 기준 무게값에 대해서 오차 범위를 고려하여 기준 무게값보다 일정 비율 이상인 경우에만 역회전시킨다. 즉, 인풋 컨베이어(12)에 수하물(L)이 걸쳐진 상태에서 측정되는 수하물(L)의 무게가, 예를 들어, 기준 무게값의 30% 이하로 측정되면 제1 및 제2 센서(110, 120)에서 수하물이 감지되더라도 스케일 컨베이어(11)를 역회전 시키지 않고, 추가 요금 징수 없이 체크인을 처리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구동 모터(133)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를 구비하며, 회로는 감지 센서(100) 및 체크인 카운터(미도시)에 구비되는 풋 스위치(foot switch)(134), 그리고 감지 센서(100)와 풋 스위치(134)의 동작을 위한 인터록(132) 및 인버터(1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제어부(100)의 회로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 많은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풋 스위치(134)는 근무자가 풋 스위치(134)를 조작함으로써 스케일 컨베이어(11)와 인풋 컨베이어(12)를 작동시키고, 수하물(L)을 벨트 컨베이어(미도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이다.
구동 모터(133)는 스케일 컨베이어(11)를 정회전 및 역회전 시키도록 구비된다.
인버터(131)는 주파수를 변조함으로써 구동 모터(133)가 저속으로 역회전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스케일 컨베이어(11)의 정회전 시에는 구동 모터(133)가 60Hz로 출력된다면, 역회전 시에는 주파수를 10Hz 정도로 낮춤으로써 스케일 컨베이어(11)의 속도를 저속으로 역회전할 수 있다.
인터록(132)은 제어부(100)의 동작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체크인 완료 후에 풋 스위치(134)가 작동되면, 스케일 컨베이어(11)의 수하물(L)은 인풋 컨베이어(12)로 이동하게 되는데 수하물(L)의 앞 부분이 인풋 컨베이어(12)의 제2센서에 감지되고 여전히 스케일 컨베이어(11)에 제1선서도 수하물(L) 감지중이라면 스케일 컨베이어(11)의 역회전이 작동되어야 하지만, 인터록(132)에 의해 선순위 동작 명령인 풋스위치(134) 조작에 의한 동작은 스케일 컨베이어(11)의 역회전을 무시하게 된다.
아울러, 인풋 컨베이어(12)에 수하물(L)이 걸쳐져 제1 및 제2센서(110, 120)가 수하물(L)이 감지되어 스케일 컨베이어(11)가 역회전 동작이 시작되면 선순위인 역회전이 종료되기전 풋스위치(134) 조작에 의한 정회전 명령은 무시하고 역회전을 진행하여 제한함으로써 작동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운터 근무자들이 스케일 컨베이어(11) 또는 인풋 컨베이어(12)를 밟고 카운터로 이동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때 스케일 컨베이어(11)에 서있는 경우는 이상이 없으나 인풋 컨베이어(12)의 제2센서(120)에 감지되는 부분을 밟고 서있는 경우는 스케일 컨베이어(11)는 역회전 하게되면 사람이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역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사람에 의해 제1 및 제2센서(110, 120) 감지에 의해 스케일 컨베이어(11)가 역회전하는 경우도 역회전 안내 방송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바람직하게는 1초 내외의 지연 시간 후 역회전 가동이 시작되도록 하여, 사람이 제1 및 제2센서(110, 120)에서 감지되는 위치에 서 있는 경우에도 역회전을 인지할 수 있어서 안전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감지 센서(100)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133)를 작동시킴으로써 스케일 컨베이어(11)를 역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스케일 컨베이어(11)는 감지 센서(100)에 의해서 자동으로 역회전이 가능함과 더불어, 근무자에 의해서 풋 스위치(134)에 의해서 정회전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하물(L)이 스케일 컨베이어(11)의 측정 길이보다 길어서 인풋 컨베이어(12)에 걸쳐지는 경우에는, 제어부(100)에서 스케일 컨베이어(11)를 역회전 시킨다.
이 경우, 스케일 컨베이어(11)는 수하물(L)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저속으로 역회전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케일 컨베이어(11)가 역회전하면, 수하물(L)이 스케일 컨베이어(11) 상에만 위치하게 되고, 수하물(L)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인풋 컨베이어(12)에 수하물(L)이 걸쳐져 있어 제1 및 제2 센서(110, 120)를 감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수하물(L)의 무게가 무료 기준 무게값의 설정값, 예를 들어70% 미만인 경우에는, 스케일 컨베이어(11)를 역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스케일 컨베이어(11)에서 수하물(L)의 무게 측정이 완료되면 풋 스위치(134)가 작동하여 수하물(L)이 인풋 컨베이어(12)로 이동되고, 상기 인풋 컨베이어(12) 앞으로 다른 수하물이 접근하지 않으면 근무자가 풋 스위치(134)를 작동시켜서 수하물(L)이 벨트 컨베이어(미도시)로 이동되어서 수하물 처리장의 케로셀(미도시)로 이동된다.
여기서, 스케일 컨베이어(11)에서 무게 측정이 완료되면, 풋 스위치(134)를 작동시키면 스케일 컨베이어(11)와 인풋 컨베이어(12)가 동시에 작동하게 되고, 감지 센서(100)에서 수하물(L)이 다시 감지된다. 이 경우에는 수하물(L)의 무게 측정이 완료되었으므로 인터록에 의해 감지 센서(100)의 검출 신호를 무시하고 스케일 컨베이어(11)가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센서(120)에서 수하물(L)의 끝까지 검출하도록 한 후 검출이 완료되면, 스케일 컨베이어(11)와 인풋 컨베이어(12)를 정지시킨다. 이후에는 새로운 이용자가 스케일 컨베이어(11)에 새로운 수하물(L)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며, 새로운 수하물(L)이 먼저 이송되고 있는 수하물(L)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무인 체크인 장치(21)는 복수 개 이상이 설치되어, 근무자 없이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체크인과 수하물(L)의 위탁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다.
무인 체크인 장치(21)는 이용자의 여권 또는 항공권을 인식하는 스캐너가 구비될 수 있으며, 체크인을 하기 위한 기본 기능으로 수하물용 태그 발행과 무료 기준을 초과하는 수하물(L) 무게에 대한 요금 청구 및 요금 결제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각 무인 체크인 장치(21)는 그 자체에 통신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통신 장치는 통신 라인을 통해 서버(20)연결된다.
서버(20)는 각 무인 체크인 장치(21)의 가동 상태를 감시 및 모니터링 하거나, 일정 기준을 설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무인 체크인 장치(21) 자체에서도 이용자의 체크인에 필요한 기능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무인 체크인 장치(21)는 유인 체크인 카운터와 달리 설정된 기준에 의해서만 작동된다. 특히, 이용자의 위탁수하물(L)의 무료 기준 무게를 초과하는 수하물(L)에 대해서는 단 1kg만 초과되어도 요금이 청구되고, 청구된 요금을 납부하여야만 체크인이 완료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유인 체크인 카운터에서는 근무자가 이용자와 대면하여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기준 무게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어느 정도의 초과 무게에 대해서는 추가 요금을 징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무인 체크인 장치(21)와 유인 체크인 카운터 사이에서 요금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가 무인 체크인 장치(21)의 이용을 꺼려할 수 있다. 그런데, 점차 무인 체크인 장치(21)를 확대해 가는 추세이므로, 무인 체크인 장치(21)에서의 형평성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요구된다.
무인 체크인 장치(21) 또는 서버(20)에서 무료 무게의 기준을 달리 설정하거나, 초과되는 일정 범위 내에서는 초과 요금을 징수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무인 체크인 장치(21)에는 이용자의 여권 정보 또는 항공권 정보를 인식하여, 인식된 이용자 정보에 따른 등급에 따라 무료 기준 무게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무인 체크인 장치(21)는 통신에 의해 이용자의 개인 정보(예를 들어, 항공사에서 지정되는 개인별 등급 등)를 이용하여 수하물(L)의 무료 무게 기준값이 설정될 수 있다. 이용자의 개인 정보와 항공사에서 설정된 개인 등급에 의한 무료 무게 기준에 의해 이용자 별로 다른 수하물(L)의 무료 기준 무게값을 적용하고, 추가된 무게에 대해서만 요금 청구 및 그에 따른 결제가 처리되게 할 수 있다. 결제 방법으로서는 신용카드 결제를 포함하여 다양한 결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하물(L)의 길이가 스케일 컨베이어(11)의 길이보다 길어서 인풋 컨베이어(12)에 걸쳐지는 경우, 감지 센서(100) 및 제어부(100)에 의해서 스케일 컨베이어(11)가 자동으로 역회전함에 따라, 수하물(L)이 인풋 컨베이어(12)에 걸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수하물(L)이 인풋 컨베이어(12)에 걸쳐지면서 무게가 분산됨에 따라 무게 측정이 부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수하물(L)이 인풋 컨베이어(12)에 걸쳐진 상태라면, 제1 센서(110)에서 수하물(L)이 감지된 상태에서(제1 센서(110)가 "On" 되는 것이라 함)(S11), 제2 센서(120)에서도 수하물(L)이 감지되고(제2 센서(120)가 "On" 되는 것이라 함)(S12), 이에, 제어부(100)는 구동 모터(133)를 역회전시킨다(S14).
제어부(100)는 구동 모터(133)를 역회전시키는 동안, 인풋 컨베이어(12)에서 수하물이 제거되어서 제2 센서(120)에서 수하물(L)이 감지되지 않을 때(제2 센서(120)가 "Off" 되는 것이라 함)까지(S15), 구동 모터(133)를 역회전 시키게 된다. 즉, 구동 모터(133)가 역회전 되는 동안 제2 센서(120)에서 수하물(L)가 On 상태라면 구동 모터(133)의 역회전을 유지하고, 제2 센서(120)가 Off 되면 구동 모터(133)를 정지시키고(S16), 수하물(L)의 무게를 측정한다(S17).
그리고, 제1 센서(110)에서 수하물(L)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 또는 제1 센서(110)에서 수하물(L)이 감지되더라도, 제2 센서(120)에서 수하물(L)이 감지되지 않으면 구동 모터(133)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13).
여기서, 수하물(L)의 기준 무게값과 별도로 설정되는 무료 기준 무게값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센서(110, 120)에서 수하물(L)이 감지되더라도 스케일 컨베이어(11)를 역회전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케일 컨베이어(11)에서 수하물(L)의 무게 측정이 완료된 후에는 풋 스위치(134)가 작동하여 스케일 컨베이어(11)가 정회전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감지 센서(100)에서 수하물(L)이 다시 감지되더라도 감지 센서(100)의 검출 신호를 무시하고 스케일 컨베이어(11)가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센서(120)에서 수하물(L)의 끝까지 검출하도록 한 후 검출이 완료되면, 스케일 컨베이어(11)와 인풋 컨베이어(12)를 정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가 감지 센서(100)에서 수하물(L)이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서 스케일 컨베이어(11)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수하물(L)이 인풋 컨베이어(12)에 걸쳐진 경우에 자동으로 수하물(L)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수하물(L)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수하물(L)이 인풋 컨베이어(12)에 걸쳐진 경우에도 자동으로 수하물(L)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근무자가 수하물(L)을 이동시키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서, 근무자의 근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스케일 컨베이어(11)와 인풋 컨베이어(12)의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스케일 컨베이어(11)와 인풋 컨베이어(12)를 한 쌍으로 하지 않고 일체형으로 제작하거나, 스위치 등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사상 범위 내에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컨베이어 시스템(10)이 적용되는 장소를 공항으로 설명하였으나 항만과 기차 등 이용자의 교통수단 이용과 지참한 수하물(L)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이 필요한 장소라면,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컨베이어 시스템
11: 스케일 컨베이어
11a: 스케일 컨베이어의 탑재면
12: 인풋 컨베이어
12a: 인풋 컨베이어의 탑재면
20:서버
21: 무인 체크인 장치
100: 제어부
110, 120: 감지 센서
130: 제어회로
131: 인버터
132: 인터록
133: 스케일 컨베이어의 구동 모터
134: 풋 스위치
L: 수하물

Claims (15)

  1. 공항을 포함하는 시설에 설치되어서 이용자의 수하물 무게를 측정하고 이송하는 스케일 컨베이어와 무인 체크인 장치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수하물이 탑재되어 무게가 측정되는 스케일 컨베이어;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와 연속하여 설치되고,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로부터 수하물을 이송하는 인풋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제1센서와,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와 상기 인풋 컨베이어의 경계에 구비되며 상기 인풋 컨베이어의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제2센서를 포함하고, 수하물이 상기 인풋 컨베이어에 걸쳐지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에서 수신되는 검출 신호와 체크인 카운터에 구비되는 풋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의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를 역회전시키고, 상기 검출 신호와 상기 작동 신호 중, 후순위로 발생되는 신호는 무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풋 스위치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감지 센서에서 수하물이 감지되어도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의 역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감지 센서에서 수하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와 상기 인풋 컨베이어를 정지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의 회전을 위한 구동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감지 센서의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를 정회전 속도보다 저속으로 역회전시키고, 체크인 카운터에 구비되는 풋 스위치가 작동하면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를 정회전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 인근에는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더 구비되는 컨베이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체크인 장치는, 통신 장치와, 각 무인 체크인 장치의 감시 및 제어가능한 서버가 통신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서버 또는 상기 각 무인 체크인 장치에서 기준 무게값이 설정되고,
    상기 기준 무게값과 별도로 수하물의 초과 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무료 기준 무게값을 설정하고,
    이용자의 수하물의 무게가 상기 무료 기준 무게값을 초과하였을 때 초과된 무게에 대해서 요금을 부과하고,
    상기 무료 기준 무게값은, 상기 기준 무게값에 일정 수치를 더하여 산출하거나, 일정 수치를 곱하여 산출한 값인 컨베이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체크인 장치는 이용자의 항공권 및 여권을 인식하는 인식장치와 연동되고, 상기 서버와 연동되어 이용자의 등급에 따라 설정되는 설정된 무게값을 상기 무료 기준 무게값과 비교하여 초과된 무게에 대해서 요금을 징수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9. 공항을 포함하는 시설에 설치되어서 이용자의 수하물 무게를 측정하고 이송하는 스케일 컨베이어와 무인 체크인 장치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케일 컨베이어의 일 측에 구비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와 인풋 컨베이어의 경계에 구비되어 상기 인풋 컨베이어의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수하물이 상기 인풋 컨베이어에 걸쳐지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센서에서 수하물이 감지되면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를 선택적으로 역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에서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를 역회전시키고,
    체크인 카운터에 구비되는 풋 스위치가 작동하면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를 정회전시키고,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의 역회전 속도를 정회전 속도보다 저속으로 작동시키고,
    상기 감지 센서에서의 검출 신호와 상기 풋 스위치가 작동하여 발생되는 작동 신호 중, 후순위로 발생되는 신호는 무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풋 스위치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감지 센서에서 수하물이 감지되어도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의 역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감지 센서에서 수하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와 상기 인풋 컨베이어를 정지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하물의 무게가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감지 센서에서 수하물이 감지되더라도 상기 스케일 컨베이어를 역회전시키지 않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체크인 장치에서는 기준 무게값이 설정되고,
    상기 기준 무게값과 별도로 수하물의 초과 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무료 기준 무게값을 설정하고,
    이용자의 수하물의 무게가 상기 무료 기준 무게값을 초과하였을 때 초과된 무게에 대해서 요금을 부과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체크인 장치는 이용자의 항공권 및 여권을 인식하는 인식장치와 연동되고, 이용자에게 설정된 무게값을 상기 무료 기준 무게값과 비교하여 요금을 징수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90163838A 2019-12-10 2019-12-10 컨베이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73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838A KR102273272B1 (ko) 2019-12-10 2019-12-10 컨베이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838A KR102273272B1 (ko) 2019-12-10 2019-12-10 컨베이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231A KR20210073231A (ko) 2021-06-18
KR102273272B1 true KR102273272B1 (ko) 2021-07-06

Family

ID=7662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838A KR102273272B1 (ko) 2019-12-10 2019-12-10 컨베이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2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4914A (ko) 2022-09-07 2024-03-15 주식회사 리페어코리아 이송물의 무게와 부피 측정 및 종류 판별이 가능한 지능형 컨베이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059B1 (ko) * 2008-09-30 2012-02-24 한국공항공사 스케일컨베이어의 제어시스템
MY177646A (en) * 2014-02-28 2020-09-23 Icm Airport Technics Australia Pty Ltd Luggage processing station and system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4914A (ko) 2022-09-07 2024-03-15 주식회사 리페어코리아 이송물의 무게와 부피 측정 및 종류 판별이 가능한 지능형 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231A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4777B1 (ko) 수하물 처리 스테이션 및 그 시스템
RU2616492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ема и регистрации багажа на рейсах авиакомпаний
CN106780790B (zh) 一种基于多元化全智能停车和收费管理系统的控制方法
US9518861B2 (en) Luggage control and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KR102273272B1 (ko) 컨베이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9469507B (zh) 一种煤矿运销系统
KR101136393B1 (ko) 과중량 차량 적발 및 단속 시스템
CN102765589A (zh) 一种运输盒自动循环使用的输送系统
KR101796202B1 (ko) 계중 센서를 이용한 무인 과적 단속 시스템
KR101118059B1 (ko) 스케일컨베이어의 제어시스템
CN108492064A (zh) 一种大宗货物的物流费用结算系统
CN102096953A (zh) 基于动态衡称重的收费车型分类方法及其设备
KR20080024874A (ko) 트럭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JP2020196602A (ja) 荷物管理システム、荷物管理方法、プログラム
KR101390774B1 (ko) 기계식 주차장 관리 시스템
CN102954759A (zh) 箱体运输测算装置及箱体运输测算方法
CN107688914A (zh) 铁路行李托运系统及方法
KR101731341B1 (ko) 과적 차량 무인 단속 시스템
KR20200043043A (ko) 무인 과적 단속 시스템
CN210466462U (zh) 混凝土生产运输调度管理系统
JPH06242823A (ja) 携帯荷物自動搬送車
KR100760499B1 (ko) 골재 채취장의 차량 계량 및 관리 시스템과 방법
CN207883140U (zh) 一种基于nb超声波的车位检测系统
KR102213186B1 (ko) 수화물 사이즈 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화물 자동 위탁 방법
KR20190061006A (ko) 항공기 파라미터의 실시간 결정을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