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187B1 - 듀얼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합민원발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 - Google Patents

듀얼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합민원발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187B1
KR102273187B1 KR1020210004435A KR20210004435A KR102273187B1 KR 102273187 B1 KR102273187 B1 KR 102273187B1 KR 1020210004435 A KR1020210004435 A KR 1020210004435A KR 20210004435 A KR20210004435 A KR 20210004435A KR 102273187 B1 KR102273187 B1 KR 102273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tificate
issuance
integrated
civil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창범
Original Assignee
한국타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피(주) filed Critical 한국타피(주)
Priority to KR102021000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8Management of the backup or restore proc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1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an embedded system, i.e.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 a certain function in mobile devices, printers, automotive or aircraf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8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in client-server-printer devic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58Access network architectures
    • H04L12/2861Point-to-multipoint connection from the data network to the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통합민원발급기(100)가 제공된다. 상기 통합민원발급기(100)는 민원인이 요청한 증명서를 발급하기 위해 필요한 증명서 파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인증기(110); 및 상기 인증기(110)에서 생성된 증명서 파일에 대응하는 증명서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프린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합민원발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AN INTEGRATED CIVIL DISPENSER CAPABLE OF DUAL NETWORK AND A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듀얼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합민원발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담당자 PC의 상태와 무관하게 항상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에서도 액세스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듀얼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합민원발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민원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민원서류발급서비스를 대상으로 통합 운영되는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관공서(예를 들어, 주민센터, 동사무소, 시청, 구청, 경찰서, 등기소, 법원 등)에 통합민원발급기를 배치함으로써 필요한 민원 서류를 민원인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 관공서에는 다양한 민원 서류(예를 들어, 졸업증명서, 성적증명서, 주민등록등본, 호적등본, 등기부등본 등)를 발급하기 위한 민원 창구를 마련하고 있고, 민원 서류 신청을 위한 민원 신청서 작성대를 구비하며, 민원 신청서 작성대에는 민원인이 작성할 다양한 민원 서류가 비치되어 있고, 각 민원 창구에는 민원인의 주소지 관할 범위를 넘어 전국 어느 곳의 관공서에서도 민원 서류를 발급해주고 있다. 민원인은 민원 서류의 신청 및 발급을 위해서 관공서를 방문하여 민원 서류 신청서를 기재하고, 이를 담당자에게 제출하면 담당자가 해당 민원 창구에서 민원 신청서를 접수, 입력, 출력, 천공/편철, 회계하는 등의 절차를 거치게 된다.
도 1은 관공서 등에 보급되어 있는 일반적인 통합민원발급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관공서 내에는 복수의 담당자 PC(2)가 구비되는데, 통합민원발급기(1)가 복수의 담당자 PC(2) 중에서 특정 담당자 PC(2)에 로컬하게 연결되고, 통합민원발급기(1) 내에 구비된 프린터가 망(3)을 통해 다른 담당자 PC(2)와 공유됨으로써 다른 담당자 PC(2)는 통합민원발급기(1)를 이용하여 민원 서류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실제 관공서에서는 일반적으로 특정 담당자 PC(2)가 통합민원발급기(1)의 프린터 서버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i) 통합민원발급기(1)를 사용하여 증명서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특정 담당자 PC(2)가 항상 켜져 있어야만 하고, (ii) 특정 담당자 PC(2)에 이상이 있는 경우(예를 들어, 고장, 장애 등)에는 통합민원발급기(1)의 사용이 불가능하며, (iii) 관공서 내에서 복수의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에 다른 네트워크에서는 통합민원발급기(1)에 액세스하지 못한다는 제약이 있다.
그러므로, 특정 담당자 PC의 상태와 무관하게 항상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에서도 액세스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새로운 타입의 통합민원발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당업계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담당자 PC의 상태와 무관하게 항상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민원인 및 담당자 모두의 편의를 개선하는 듀얼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합민원발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네트워크에서도 액세스 가능하도록 구현되고, 그에 따라 네트워크 분리로 인해 통합민원발급기를 추가 구매해야 하는 재정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는 듀얼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합민원발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민원발급기는, 민원인이 요청한 증명서를 발급하기 위해 필요한 증명서 파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인증기; 및 상기 인증기에서 생성된 증명서 파일에 대응하는 증명서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프린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기는, 상기 프린터에서 출력된 증명서에 대한 인증 작업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기는, 복수의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PC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C 보드는, 각각이 상이한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카드가 장착되는 복수의 프린터 서버를 포함하는 프린터 서버 모듈; 및 상기 프린터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생성된 증명서 파일을 상기 프린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프린터 서버 각각은 논리적(logical) 프린터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C 보드는, 증명서 발급 통계, 발급기 로그(log), 발급기 실시간 모니터링 및 데이터 백업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모듈은, 증명서발급데이터를 송신하는 담당자 PC의 네트워크를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프린터 서버 중 상기 식별된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프린터 서버로 라우팅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민원발급시스템은, 상기의 통합민원발급기; 및 상기 통합민원발급기와 네트워크로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담당자 P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민원발급시스템은, 상기 담당자 PC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담당자 PC로부터의 증명서발급요청에 응답하여 증명서발급데이터를 상기 담당자 PC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기관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민원발급기는 증명서 발급에 관한 진행 사항 및 수수료 정보를 상기 담당자 PC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합민원발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에 의하면, 담당자 PC의 상태와 무관하게 항상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민원인 및 담당자 모두의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합민원발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에 의하면, 다른 네트워크에서도 액세스 가능하도록 구현되고, 그에 따라 네트워크 분리로 인해 통합민원발급기를 추가 구매해야 하는 재정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통합민원발급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민원발급시스템(1000)의 개략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민원발급기(100)의 블록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인증기(110)에 구비되는 PC 보드(111)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합민원발급시스템(1000)을 활용한 증명서 발급 단계(S500)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통합민원발급기(100)가 구비되는 환경에서의 데이터베이스 통합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민원발급시스템(1000)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민원발급기(100)는 관공서(예를 들어, 주민센터, 동사무소, 시청, 구청, 경찰서, 등기소, 법원 등) 내에 배치되어 관공서를 직접 방문하는 민원인이 담당자에게 요청하는 증명서를 출력하고 인증하는 장비 또는 장치에 해당하고, 이러한 통합민원발급기(100)는 민원인이 관공서 담당자의 도움 없이 스스로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수단, 출력 수단, 안내 수단 등이 구비되는 무인민원발급기와는 구별된다.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민원발급기(100)는 특정 담당자 PC에 로컬하게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통합민원발급기(100) 자체가 복수의 네트워크(400a, 400b)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민원발급기(100)는 제1 네트워크(400a)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1 담당자 PC(200a)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2 네트워크(400b)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담당자 PC(200b)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복수의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PC 보드(111, 도 3 참조)가 통합민원발급기(100)의 인증기(110, 도 3 참조)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인증기(110) 및 PC 보드(111)의 보다 세부적인 구성, 동작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3에서 다시 기술하기로 한다.
도 2에 개념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민원발급기(100)는 특정 PC에 로컬하게 연결되는 대신에 그 자체가 복수의 네트워크(400a, 400b)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특정 담당자 PC의 상태와 무관하게 항상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를 통한 액세스도 가능하므로 기존에 네트워크 분리로 인해 통합민원발급기를 추가로 구매해야만 했던 재정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듀얼 네트워크가 지원되는 통합민원발급기(100)를 활용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1000)의 개략도가 도 2b에 도시된다.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담당자 PC(200a, 200b) 각각은 기관 서버(3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의 네트워크(400a, 400b)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민원발급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관 서버(3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담당자 PC(200a)는 제1 네트워크(400a)를 통해 통합민원발급기(100)와 연결될 수 있고, 기관 서버(3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담당자 PC(200b)는 제2 네트워크(400b)를 통해 통합민원발급기(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통합민원발급기(100)에 대한 듀얼 네트워크의 지원은 통합민원발급기(100)의 인증기(110)에 추가로 구비되는 PC 보드(111)에 의해 구현 가능함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다.
참고로,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통합민원발급기(100)에 지원 가능한 다중-네트워크 방식으로서 2개의 네트워크를 수반하는 듀얼(dual) 네트워크를 예시적으로 기술하고, 그러한 듀얼 네트워크로서 무선(wireless) 네트워크-유선(wired) 네트워크, 사설(private) 네트워크-공공(public) 네트워크, 외부 네트워크-내부 네트워크 등이 고려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3개 또는 그 초과의 상이한 네트워크에 통합민원발급기(100)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활용될 수도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담당자 PC(200)가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로 구현됨을 예시로 기술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 패드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사용자 단말로서 담당자 PC(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관공서를 방문하여 증명서를 발급받고자 하는 민원인은 관공서 내 배치된 복수의 담당자 PC 중 임의의 담당자 PC를 활용하여(즉, 특정 PC의 꺼짐 또는 고장으로 인한 불편함을 경험함이 없이), 희망하는 증명서를 신속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발급받을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복수의 네트워크가 병렬식으로 구성되는 일 예를 도시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집중식 네트워크, 환원형 네트워크 등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민원발급기(100), 통합민원발급시스템(1000) 및 이에 기초하는 증명서 발급/출력 방식이 실질상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민원발급기(100)의 블록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인증기(110)에 구비되는 PC 보드(111)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민원발급기(100)는 인증기(110)와, 프린터(120)와, DB(데이터베이스, 1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인증기(110)와 프린터(120)는 중계기(미도시)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인증기(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민원발급기(100)가 복수의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민원인이 요청한 증명서를 발급하기 위한 증명서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프린터(120)에서 출력되어 전달되는 증명서에 대한 인증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증기(110)는 PC 보드(111)와 인증 모듈(112)로 구성될 수 있고, PC 보드(111)는 복수의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민원인이 요청한 증명서를 발급하기 위한 증명서 파일(예를 들어, 증명서출력파일 등)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인증 모듈(112)은 프린터(120)에서 출력이 완료되어 전달되는 증명서에 대한 소정의 인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PC 보드(111)에는 통합민원발급기 프린터 서버 소프트웨어(S/W)가 프로그래밍될 수 있고, PC 보드(111)에 프로그래밍된 통합민원발급기 프린터 서버 소프트웨어(S/W)가 실행됨으로써 네트워크 액세스, 증명서발급파일(SPL) 수신, 증명서 정보 추출, 증명서출력파일(EMF) 재생성, 증명서출력명령 송신, 증명서 발급진행사항 및 수수료 정보 전달 등의 동작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PC 보드(111)의 보다 세부적인 구성과 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일련의 동작들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3b 및 도 4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프린터(120)는 인증기(110)에서 생성된 증명서 파일에 대응하는 증명서를 출력할 수 있다. 프린터(120)에 의해 출력된 증명서는 중계기를 통해 인증기(110)로 전달될 수 있고, 인증기(110)의 인증 모듈(112)에 의해 직인, 천공, 편철, 증지날인 등의 인증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참고로, 인증 모듈(112)에는 인증 모듈(112)의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인증기관리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고, 인증기관리프로그램은 증명서의 종류에 따른 인증 방법이 미리 저장되어 있어 생성된 증명서의 종류를 확인한 후에 확인된 증명서의 종류에 따른 인증 방법에 따라 인증 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증 모듈(112)은 인증기관리프로그램에 의해 확인되는 인증 방법을 DB(130)에 저장할 수 있고, 증명서가 공급되면 DB(130)에 저장된 인증 방법에 따라 인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인증 모듈(112)은 받침대 및 받침대 상부에 구비되는 인증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인증 유닛은 인증 모듈(112)로 공급되는 증명서에 직인을 찍는 날인수단과, 증명서에 간인용 구멍을 뚫는 펀치와, 증지를 인쇄하는 증지인쇄수단과, 날인/펀치/증지 인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제어수단에 연결된 입력수단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인증 모듈(112)의 구성은 통합민원발급기(100)의 배치 장소,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활용될 수 있다.
DB(130)에는 관공서의 증명서 발급과 관련한 임의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별 발급 통계, 증명서별 발급 통계, 통합민원발급기(100)별 발급 통계, 사용자(또는 민원인) 정보, 수수료 정보, 소모품 정보, 통합민원발급기(100)의 환경설정정보, 담당자 PC(200)의 정보, 기관 서버(300)의 정보, 네트워크(400a, 400b)의 정보, 증명서 발급진행상황 정보, 증명서발급파일의 정보, 증명서출력파일의 정보, 등이 DB(130)에 저장될 수 있다.
참고로, DB(13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민원발급기(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거나, 또는 별도의 외부 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관공서에 복수의 통합민원발급기(100)가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통합민원발급기(100) 중 어느 하나의 통합민원발급기(100)에 구비되는 DB(130)가 다른 통합민원발급기(100)의 DB(130)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5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민원발급기(100)의 인증기(110)에 구비되는 PC 보드(111)의 세부 블록도이다. PC 보드(111)에는 통합민원발급기 프린터 서버 소프트웨어(S/W)가 프로그래밍될 수 있고, 프로그래밍된 통합민원발급기 프린터 서버 소프트웨어(S/W)에 의해 구현되는 다양한 동작들이 프린터 서버 모듈(111a), EMF 변환 모듈(111b), EMF 생성 모듈(111c), 정보 추출 모듈(111d), 관리 모듈(111e), 통신 모듈(111f)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민원발급기(100)가 2개의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에, 통합민원발급기(100)에는 2개의 프린터 서버(제1 프린터 서버(111a-1), 제2 프린터 서버(111a-2))가 생성되어 활용될 수 있고, 여기서 제1 프린터 서버(111a-1) 및 제2 프린터 서버(111a-2)는 각각 논리적(logical) 프린터 서버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프린터 서버(111a-1)에는 제1 네트워크(400a)에 액세스할 수 있는 제1 네트워크 카드가 장착될 수 있고, 제2 프린터 서버(111a-2)에는 제2 네트워크(400b)에 액세스할 수 있는 제2 네트워크 카드가 장착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카드이지만 상이한 2개의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는 네트워크 카드(예를 들어, 듀얼 랜 카드 등)가 프린터 서버 모듈(111a)에 장착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여기서, 두 네트워크(400a, 400b)에 대한 효율적인 라우팅을 구현하기 위해서, 내부 라우팅 테이블 구성이 PC 보드(111)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린터 서버 모듈(111a)에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관공서에 민원인이 방문하여 증명서 발급신청서를 작성하고 수수료와 함께 발급 담당자에게 제출함으로써 증명서 발급을 요청하면, 담당자의 입력에 의해 사용자 정보, 증명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증명서발급요청이 담당자 PC(200)로부터 기관 서버(300)로 송신되고, 그에 응답하여 기관 서버(300)로부터 담당자 PC(200)로 증명서발급파일이 수신되어 다시 통신 모듈(111f)을 통해 PC 보드(111)로 전달될 수 있다.
기관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증명서발급파일은 예를 들어 SPL(스풀링; spooling) 파일일 수 있거나 또는 기관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파일이 담당자 PC(200)에 의해 해당 증명서에 맞는 SPL 파일로 포맷팅할 수 있는데, 이러한 SPL 파일로부터는 수수료 정보, 직인 정보, 소인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없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F 변환 모듈(111b)은 수신된 SPL 파일을 수수료 정보, 직인 정보, 소인 정보 등의 추출이 가능한 EMF(Enhanced Meta File)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참고로, EMF 파일은 그래픽 인쇄 시에 WMF(Window Meta File) 파일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한 32 비트 확장 버전에 해당하며, 프린터(120)와 독립적이기 때문에 프린터(120)의 해상도와 상관 없이 그래픽의 크기가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EMF 변환 모듈(111b)에 의해 SPL 파일이 EMF 파일로 변환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추출 모듈(111d)은 변환된 EMF 파일로부터 수수료 정보, 직인 정보, 소인 정보, 증명서 종류 정보, 페이지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정보 추출 모듈(111d)에 의해 수수료 정보, 직인 정보, 소인 정보, 증명서 종류 정보, 페이지 정보 등이 추출되면, 본 발명에 따른 EMF 생성 모듈(111c)은 추출된 정보에 대응하는 수입 증지 및 기관장명을 변환된 EMF 파일에 추가함으로써 EMF 파일을 재생성(또는 재구성)할 수 있다. 재생성된 EMF 파일은 증명서출력파일로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현될 수 있는 통신 모듈(111f)을 통해 프린터(120)로 송신될 수 있다.
관리 모듈(111e)은 PC 보드(111)가 수행하는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하고, 예를 들어 관리 모듈(111e)은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 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관리 모듈(111e)은 통합민원발급기(100)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관리할 수 있으며, 통합민원발급기(100)의 실시간 모니터링은 통합민원발급기(100)의 자체 운영체제(OS, 예를 들어 Linux 등)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또한, 관리 모듈(111e)은 사용자별 또는 증명서별 일간, 주간, 월간, 분기간, 연간 발급 및 정산 통계를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별 또는 증명서별 일간, 주간, 월간, 분기간, 연간 발급 및 정산 통계를 실시간으로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며, 추가로 관리 모듈(111e)은 통합민원발급기(100)의 로그(log)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모듈(111e)은 DB(130)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백업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관리 모듈(111e)에 의한 데이터 백업은 일 단위로, 주 단위로, 월 단위로, 분기 단위로 또는 년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참고로, 관리 모듈(111e)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백업은 환경설정파일 원격지 백업 설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민원발급기(100)는 DB(130) 외에도 데이터 백업을 위한 메모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거나, 또는 DB(130) 내에 백업을 위한 메모리 공간을 별도로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 모듈(111e)은 증명서 발급과 관련한 다양한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보고서는 증명서 발급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엑셀(Excel) 파일의 형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모듈(111e)은 사용자별 또는 증명서별 일간, 주간, 월간, 분기간, 연간 발급 및 정산 통계를 실시간으로 취합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엑셀 등의 보고서 형태로 가공하여 적어도 하나의 담당자 PC(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모듈(111e)은 통합민원발급기(100)의 소모품을 통합 관리할 수 있고, 소모품 소진에 대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모듈(111e)은 통합민원발급기(100)에 구비되는 소모품(예를 들어, 토너, 드럼, 용지 등)의 현재 양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소모품의 양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 시각적인 및/또는 청각적인 소진 알림(예를 들어, “토너 잔류량이 5%입니다”)을 생성하여 통합민원발급기(100)의 표시부(미도시)에 출력하거나 또는 통신 모듈(111f)을 통해 담당자 PC(2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모듈(111e)은 검출된 소모품의 양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 소진에 대한 메시지를 관공서와 사전 계약된 외부 업체(예를 들어, 토너 소진의 경우 토너 공급 업체 등)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관리 모듈(111e)은 통합민원발급기(100)를 구동하는 하드웨어(H/W)의 동작 이상 여부를 체크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고, 하드웨어(H/W)의 동작 이상이 확인되면 동작 이상 알림을 생성하여 통합민원발급기(100)의 표시부(미도시)에 출력하거나 또는 통신 모듈(111f)을 통해 담당자 PC(200)에 송신할 수 있다.
참고로, 통합민원발급기(100)에 표시부가 구비되는 경우에, 표시부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통합민원발급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수단은,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민원발급기(100)는 복수의 네트워크에 대해 액세스 가능하고, 관공서 내 배치되는 복수의 담당자 PC(200)는 복수의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서 관리 모듈(111e)은 증명서발급파일 또는 증명서발급데이터를 송신하는 담당자 PC(200)의 네트워크를 식별하고, 프린터 서버 모듈(111a)에 구비되는 복수의 프린터 서버(111a-1, 111a-2) 중에서 식별된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프린터 서버로 라우팅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111f)은 통합민원발급기(100)와 담당자 PC(200) 사이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활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통신 모듈(111f)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통신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통신 방식이 반드시 TCP/IP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 모듈(111f)은 통합민원발급기(100) 내에서 인증기(110)와 프린터(120) 사이의 데이터 전달에 추가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PC 보드(111)가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민원발급기(100)는 관공서에서 지원 가능한 모든 종류의 증명서(예를 들어, 주민행정증명서, 건축행정증명서, 지적행정증명서, 법원행정증명서 등)를 발급 및 출력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민원인이 2가지 이상의 증명서를 신청하는 경우에 각각의 창구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증명서 발급에 소비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그리고 혼잡한 창구와 여유로운 창구의 담당자 업무 불균형을 또한 해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합민원발급시스템(1000)을 활용한 증명서 발급 단계(S500)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민원인이 관공서를 방문하여 담당자에게 신분증을 제시하면서 증명서(예를 들어, 주민등록등본 등)의 발급을 요청하면, 담당자가 증명서 발급 정보(사용자 정보, 증명서 종류, 발급 매수 등)를 담당자 PC(200)에 입력함으로써 증명서발급요청이 담당자 PC(200)로부터 기관 서버(300)로 송신될 수 있다(S511). 참고로, 도 2b 및 도 4에는 단일의 기관 서버(300)를 도시하고 있지만, 각각의 증명서마다 이를 관할하는 다양한 기관의 기관 서버(300)가 존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담당자 PC(200)로부터 송신되는 증명서발급요청에 포함되는 증명서 종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증명서를 관할하는 기관의 기관 서버(300)로 증명서발급요청이 송신될 수 있다.
기관 서버(300)에 증명서발급요청이 수신되면(S511), 기관 서버(300)는 그에 응답하여 증명서발급데이터, 예를 들어 SPL 파일을 담당자 PC(200)에 송신할 수 있다(S512).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관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파일은 SPL 파일이 아닐 수 있고, 담당자 PC(200)에서 해당 증명서에 맞는 SPL 파일로서 포맷팅될 수도 있다.
담당자 PC(200)에 증명서발급데이터가 수신되면(S512), 수신된 증명서발급데이터는 담당자 PC(200)로부터 인증기(110)로 전달될 수 있다(S513). 여기서, 담당자 PC(200)가 증명서발급데이터의 중계 역할을 하는 도 4와는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SPL 파일의 증명서발급데이터가 기관 서버(300)로부터 인증기(110)로 직접 송신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SPL 파일로부터는 수수료 정보, 직인 정보, 소인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없다. 이를 위해, EMF 변환 모듈(111b)은 수신된 SPL 파일을 수수료 정보, 직인 정보, 소인 정보 등의 추출이 가능한 EMF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S514).
EMF 변환 모듈(111b)에 의해 SPL 파일이 EMF 파일로 변환되면(S514), 정보 추출 모듈(111d)은 변환된 EMF 파일로부터 수수료 정보, 직인 정보, 소인 정보, 증명서 종류 정보, 페이지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S515).
정보 추출 모듈(111d)에 의해 수수료 정보, 직인 정보, 소인 정보, 증명서 종류 정보, 페이지 정보 등이 추출되면(S515), EMF 생성 모듈(111c)은 추출된 정보에 대응하는 수입 증지 및 기관장명을 추가하여 EMF 파일을 재생성(또는 재구성)할 수 있다(S516).
재생성된 EMF 파일은 증명서출력명령의 타입으로 통신 모듈(111f)을 통해 프린터(120)로 송신될 수 있고(S517), 프린터(120)는 수신된 증명서출력명령에 기초하여 증명서를 출력할 수 있으며(S518), 출력된 증명서를 중계기(미도시)를 경유하여 인증기(110)로 전달할 수 있다(S519). 참고로, 출력된 증명서를 인증기(110)로 전달함에 있어, 프린터(120)는 증명서 발급의 결과(완료 또는 장애)를 추가로 인증기(11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인증기(110)의 인증 모듈(112)은 출력된 증명서에 대해 인증 작업을 수행할 있고(S520), 예를 들어 수신된 증명서의 종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증명서에 맞는 직인의 종류 및 위치에 따라 날인을 한 후에 미리 정해진 규격에 따라 천공 및 편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인증 작업이 완료되면 인증기(110)는 담당자에게 인증된 증명서를 자동으로 배출하여 주는 것과 동시에 증명서 발급진행사항 및 수수료 정보를 담당자 PC(200)에 송신할 수 있고(S521), 여기서 증명서 발급진행사항에는 인증 작업의 완료 또는 취소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기(110)는 증명서 발급진행사항 및 수수료 정보를 담당자 PC(200)에 더하여 추가로 사용자 단말(미도시), 예를 들어 민원인이 소유하는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담당자 PC(200)는 시간적으로 먼저 진행된 증명서의 출력 및 인증 작업이 완료 또는 취소되었음을 확인한 후에만 후속 증명서에 관한 증명서발급데이터를 통합민원발급기(100),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증기(110)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복수의 증명서 처리가 동시에 수행됨에 따른 통합민원발급기(100) 장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민원발급시스템(1000)은 담당자가 통합민원발급기(100)를 이용하여 한번에 여러 개의 증명서를 출력할지라도, 프린터(120)에서 먼저 인쇄된 증명서를 인증기(110)로 공급하여 인증 작업을 해야지만 후속 증명서가 프린터(120)로 인쇄되도록 함으로써 프린터(120)에서 인쇄된 증명서의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후속 증명서가 추가로 입력됨으로써 증명서 순서가 뒤섞이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하나의 통합민원발급기(100)에 복수의 증명서발급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시간적으로 먼저 접수되는 순서로 증명서 출력 및 인증 작업이 수행되도록 구현할 수 있거나, 또는 관공서의 설치 환경, 특수성 등을 고려하여 다른 기준(예를 들어, 설정된 우선순위 등)에 따라 복수의 증명서발급요청에 대한 발급 처리가 순차로 수행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되는 일련의 단계들을 통해 생성 및 전달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증명서발급파일(SPL), 증명서출력파일(EMF), 사용자 정보, 증명서 종류 정보, 페이지 정보, 직인 정보, 인증 정보, 수수료 정보 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민원발급기(100)의 DB(13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통합민원발급기(100)가 구비되는 환경에서의 데이터베이스 통합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관공서에는 하나의 통합민원발급기(100)가 배치되어 활용될 수 있지만, 관공서의 크기와 규모가 큰 경우에 복수의 통합민원발급기(100)가 배치되어 민원인에게 증명서 발급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통합민원발급기(100)가 구비되는 환경에서의 데이터베이스 통합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가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400a)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합민원발급기(100-3, 100-4)와 제2 네트워크(400b)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합민원발급기(100-1, 100-2)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합민원발급기(참고로, 도 5에서는 4개로 예시함; 100-1, 100-2, 100-3, 100-4)가 구비되고, 이 중 하나의 통합민원발급기(100-1)를 마스터(master)로 지정함으로써 슬레이브(slave)로 지정되는 나머지 통합민원발급기(100-2, 100-3, 100-4)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통합민원발급시스템(1000)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으로서, 마스터 통합민원발급기(100-1)의 통합 DB(130-1)는 슬레이브 통합민원발급기(100-2, 100-3, 100-4)의 개별 DB(130-2, 130-3, 130-4)를 통합 관리할 수 있고, 이러한 통합 DB 관리를 통해서 특정 기관 또는 전체 기관의 제증명 통계를 일간, 주간, 월간, 분기간, 연간 등으로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통해서 소프트웨어 자동 업데이트 기능이 제공될 수 있고, 각 통합민원발급기의 소모품 통합 관리가 또한 가능하며(예를 들어, 각 통합민원발급기의 소모품 소모 리스트를 제공함), 통합민원발급기가 추가되는 경우에 자동 설정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통해서 자동 백업 기능이 제공될 수 있고(예를 들어, 일/주/월/년의 백업 위치를 지정함), 슬레이브 통합민원발급기(100-2, 100-3, 100-4)의 하드웨어(H/W) 에러가 자동으로 감지될 수 있으며, 통합민원발급기(100)의 에러 로그가 통합 관리될 수 있고, 통합민원발급기(100)의 환경설정 백업 및 배포가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합민원발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에 의하면, 담당자 PC의 상태와 무관하게 항상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민원인 및 담당자 모두의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합민원발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에 의하면, 다른 네트워크에서도 액세스 가능하도록 구현되고, 그에 따라 네트워크 분리로 인해 통합민원발급기를 추가 구매해야 하는 재정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통합민원발급기
110: 인증기
111: PC 보드
111a: 프린터 서버 모듈
111b: EMF 변환 모듈
111c: EMF 생성 모듈
111d: 정보 추출 모듈
111e: 관리 모듈
111f: 통신 모듈
120: 프린터
200: 담당자 PC
300: 기관 서버
400: 네트워크
1000: 통합민원발급시스템

Claims (10)

  1. 통합민원발급기(100)로서,
    통합민원발급기 프린터 서버 소프트웨어(S/W)가 프로그래밍되어 복수의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PC 보드(111)를 포함하고, 민원인이 요청한 증명서를 발급하기 위해 필요한 증명서 파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인증기(110); 및
    상기 인증기(110)에서 생성된 증명서 파일에 대응하는 증명서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프린터(120)를 포함하고,
    상기 PC 보드(111)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카드가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프린터 서버(111a-1, 111a-2)를 포함하는 프린터 서버 모듈(111a);
    증명서발급파일 또는 증명서발급데이터를 송신하는 담당자 PC(200)의 네트워크를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프린터 서버(111a-1, 111a-2) 중에서 상기 식별된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프린터 서버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되는 관리 모듈(111e);
    수신된 SPL 파일을 수수료 정보, 직인 정보 및 소인 정보의 추출이 가능한 EMF 파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EMF 변환 모듈(111b); 및
    상기 변환된 EMF 파일에서 추출된 정보에 대응하는 수입 증지 및 기관장명을 상기 변환된 EMF 파일에 추가하여 EMF 파일을 재생성하도록 구성되는 EMF 생성 모듈(111c)을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기(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기(110)는, 상기 프린터(120)에서 출력된 증명서에 대한 인증 작업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통합민원발급기(100).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C 보드(111)는,
    상기 프린터(12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생성된 증명서 파일을 상기 프린터(12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111f)을 더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기(10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린터 서버(111a-1, 111a-2) 각각은 논리적(logical) 프린터 서버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민원발급기(100).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모듈(111e)은, 증명서 발급 통계, 발급기 로그(log), 발급기 실시간 모니터링 및 데이터 백업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통합민원발급기(100).
  7. 삭제
  8. 제 1 항에 따른 통합민원발급기(100); 및
    상기 통합민원발급기(100)와 네트워크로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담당자 PC(200)를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1000).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담당자 PC(2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담당자 PC(200)로부터의 증명서발급요청에 응답하여 증명서발급데이터를 상기 담당자 PC(20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기관 서버(300)를 더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1000).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민원발급기(100)는 증명서 발급에 관한 진행 사항 및 수수료 정보를 상기 담당자 PC(20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1000).
KR1020210004435A 2021-01-13 2021-01-13 듀얼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합민원발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 KR102273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435A KR102273187B1 (ko) 2021-01-13 2021-01-13 듀얼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합민원발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435A KR102273187B1 (ko) 2021-01-13 2021-01-13 듀얼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합민원발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187B1 true KR102273187B1 (ko) 2021-07-05

Family

ID=7689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435A KR102273187B1 (ko) 2021-01-13 2021-01-13 듀얼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합민원발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1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667A (ko) * 2003-01-06 2003-10-10 (주)아이티엠 공용 프린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635664B1 (ko) * 2002-05-11 2006-10-17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증명서 자동발급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664B1 (ko) * 2002-05-11 2006-10-17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증명서 자동발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79667A (ko) * 2003-01-06 2003-10-10 (주)아이티엠 공용 프린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1561C2 (ru) Система машин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и способ ее эксплуатации
US20240020392A1 (en) Enabling reliable communications between computing instances
EP1986118A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gital certificates on a remote device
CN109741019B (zh) 基于政务数据调用的一证通办方法及系统
US201101620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 remote processing
CN103907143A (zh) 使用无标签数据交换格式进行金融交易通信的系统和方法
CN105225071A (zh) 基于二维码的电力通信标识管理方法
CN112104688A (zh) 一种综合业务型移动作业终端应用管理系统
CN109586946B (zh) 异常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273187B1 (ko) 듀얼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합민원발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민원발급시스템
CN102077171B (zh) 用于中央计算机与机器控制装置之间的远程通信的系统和方法
AU2019204692A1 (en) Improved check-in kiosk and system
US8117334B2 (en) System and methods for workflow management
JP2002063324A (ja) 集中業務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5008437B2 (ja) 系統作業支援システム
CN110663218B (zh) 加密对象管理方法和加密对象管理系统
CN113206878A (zh) 多终端集群组网通信控制方法、装置、服务器及集群组网
JP6353149B1 (ja) 電力輸送部門業務支援システム
JP3702294B2 (ja) ソフトウェア開発システム
CN114826902B (zh) 一种跨地域运维数据的存储方法及装置
JP2013200607A (ja) 配信サーバー
JP2016081162A (ja) 管理装置、情報処理装置、管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53336B2 (ja) プログラムリリース管理システム
CN113343635A (zh) 一种主机数据交换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8090506A (ja) 帳票処理システム、同システム用の連携処理装置および帳票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