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946B1 -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946B1
KR102272946B1 KR1020190033340A KR20190033340A KR102272946B1 KR 102272946 B1 KR102272946 B1 KR 102272946B1 KR 1020190033340 A KR1020190033340 A KR 1020190033340A KR 20190033340 A KR20190033340 A KR 20190033340A KR 102272946 B1 KR102272946 B1 KR 102272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sthma
user
asthma inhaler
inha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3339A (ko
Inventor
조재형
최규동
안영환
Original Assignee
(주)아이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쿱 filed Critical (주)아이쿱
Priority to KR1020190033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94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9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4Other medical applications inducing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stress, e.g. applications for stress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92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telemetric means, e.g. radio or optical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ntist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천식흡입장치가 사용자의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수행하는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천식흡입기의 흡입시작시점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흡입시작시점에 상기 사용자의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단말 및 서비스 제공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ASTHMA INHALER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IN MEDICAL COUNSELING BASED ON ASTHMA INHALER USAGE INFORMATION}
본 발명은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활용하여 의료상담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천식(喘息, Asthma)이란, 호흡 곤란을 일으키는 염증성 기도 폐쇄 질환이며,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이란, 유해한 입자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폐에 비정상적인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서 이로 인해 점차 기류 제한이 진행되어 폐 기능이 저하되고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호흡기 질환을 말한다.
이러한 천식 또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있는 환자의 치료에서 약물 흡입치료는, 폐에 약물이 도달하게 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자세히, 약물 흡입치료는, 전용 흡입기를 통해 환자에게 약물을 투약하는 치료방식으로, 약물을 가장 필요로 하는 장소에 직접적으로 도달시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약물의 잠재적인 전신적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약물 흡입치료에 사용되는 흡입제는,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지속적으로 조절하고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질병조절제'와 좁아진 기도를 단시간에 확장시키는 응급약물인 '증상완화제'로 구분되며, 휴대용 천식흡입기에 의해 사용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천식흡입기는, 흡입 용기에 따라 정량식흡입기(Metered Dose Inhaler)와 건조분말흡입기(Dry Powder Inhaler)로 나뉜다.
특히, 정량식흡입기는, 추진제에 의해 알루미늄 캔 등 밀폐된 용기에 약물을 내장하고 있는 카트리지(Cartridge)로부터 흡입제가 일정량씩 분사되는 에어로솔 제품으로서, 라피헬러·에보할러·레스피맷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천식흡입기를 사용한 약물 흡입치료는, 환자가 어떤 상태와 환경에서 천식흡입기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환자가 약물을 투여한 이후, 의사와 문진하며 천식흡입기 사용 시의 상태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의 진료에 의존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환자가 천식흡입기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사용하는지 정확히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천식흡입기를 사용할 때의 흡입량, 흡입방법에 대한 복약지도를 통해 사용 효과를 증진시키는 방법 외의 별도의 지침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잘못된 방식이나 불필요한 상황에서 천식흡입기를 남용하거나 오용할 경우, 약물의 전달을 감소시키고 질병을 충분히 조절하지 못하여 위급한 상황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해결책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최근 발전하고 있는 디지털 의료기기, IT(정보기술) 환자 모니터링 기술 등의 도입으로, 환자 중심의 맞춤형 의료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과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시스템은, 환자의 상태나 복약 과정을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또는 전자건강기록(EHR, Electronic Health Record)과 같은 객관적인 데이터로 기록해 의사와 공유함으로써, 환자 중심의 맞춤형 의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KR 10-2008-0044343 A
본 발명은, 디지털(Digital) 천식흡입기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정보를 분석하여 의료상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세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어떤 신체상태와 환경에서 천식흡입기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천식흡입기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올바르게 사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탑재한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천식흡입기의 효과적이고 올바른 사용을 보조하기 위하여, 획득된 작동정보를 기반으로 천식흡입기의 사용을 보조하는 안내신호를 제공하는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보다 효율적인 천식흡입기의 사용을 위하여, 카트리지의 정보 및/또는 잔여 사용량을 제공하고, 사용한 천식흡입기의 흡입구를 소독하는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획득된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공유하고 활용하기 위하여, 유/무선 통신으로 외부의 단말 및/또는 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천식흡입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천식 관련 의료상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의료상담을 보조할 수 있는 다양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시각 콘텐츠로 생성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공되는 시각 콘텐츠 상에 상담자의 상담 내용을 손쉽고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사용자(즉, 피상담자)에게 공유하여 의료상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식흡입기 사용정보에 기반한 의료상담 보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천식흡입장치가 사용자의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수행하는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천식흡입기의 흡입시작시점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흡입시작시점에 상기 사용자의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단말 및 서비스 제공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천식흡입장치의 동작에 기반한 천식흡입기 작동정보, 사용자 바이오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천식흡입기 작동정보는, 흡입시작시점 정보, 흡입량 정보 및 흡입완료시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이며, 상기 사용자 바이오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 정보, 산소포화도 정보, 체온 정보, 심전도 정보, 운동정보 및 심박변이도에 기반한 스트레스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기 외부 환경정보는, 상기 천식흡입장치의 외부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획득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천식흡입장치 사용 안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 안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천식흡입기 작동정보 및 카트리지 잔여 사용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유닛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상기 천식흡입장치의 흡입구를 소독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이 카트리지를 촬영하여 카트리지 정보를 획득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정보는, 상기 카트리지의 이미지, 상표명, 총용량 및 제조연월일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출력하여 의료상담을 보조하기 위한 단말에서 수행되는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으로서, 천식흡입장치로부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시각화한 상기 천식 관련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천식흡입장치의 동작에 기반한 천식흡입기 작동정보, 사용자 바이오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상기 천식 관련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의 의료상담 보조 이미지에 필기, 음성, 편집 및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입력을 구현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인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담 내용을 기록한 입력을 기반으로 천식 관련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천식흡입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에 흡입제를 수용하는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카트리지 고정부; 상기 카트리지의 흡입제를 방출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흡입구 캡;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흡입제 방출을 제어하는 약제 방출 단추; 상기 천식흡입장치의 사용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센싱유닛; 상기 천식흡입장치의 사용정보를 송신하는 통신유닛; 및 상기 센싱유닛에서 감지되는 상기 천식흡입장치 사용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천식흡입장치의 사용정보를 단말 또는 서버로 송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바이오정보(즉, 생체정보), 외부 환경정보 및/또는 천식흡입기의 작동정보를 획득하여 천식흡입기 사용에 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천식 환자인 사용자의 치료 및 관리에 대한 소상한 정보를 획득해 분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객관적인 정량 데이터에 기반한 천식 관련 의료상담이 구현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획득된 천식흡입기의 작동정보를 기반으로 천식흡입기의 사용을 보조하는 안내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안내신호에 따라 적절한 흡입시간, 흡입량에 맞추어 천식흡입기를 올바르게 동작하도록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카트리지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는 카트리지의 기본정보, 소비패턴 정보 및/또는 수량 정보 등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중인 카트리지의 잔여 사용량을 산출해 표시함으로써 천식흡입기를 작동할 시에 내장된 흡입제 잔량이 부족하여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천식흡입기의 흡입구를 소독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흡입구에서의 각종 균 번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획득된 다양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단말 및/또는 서버와 공유함으로써, 사용자(즉, 환자)가 자신의 천식흡입기 사용 기록을 상담자(즉, 의사)에게 전달하고 피드백을 받도록 보조하며, IT기술을 이용한 효과적인 천식흡입기 사용자 모니터링 및 관리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획득된 다양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및/또는 의료상담 콘텐츠와 같은 시각 콘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상담자(즉, 의사)가 사용자(즉, 환자)의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료상담 및 치료계획을 설계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한 피드백을 통해 올바른 천식 질환 관리의 선순환 고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제공되는 시각 콘텐츠 상에 상담자의 상담 내용을 손쉽고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사용자(즉, 피상담자)에게 제공함으로써, IT기술을 이용한 차별화된 의료상담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와 카트리지 외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담자 단말 외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가 천식흡입기 작동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에 장착된 카트리지의 잔여 사용량을 출력하는 7세그먼트 표시기(Seven-segment display)의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가 유브이 엘이디 램프(UV LED LAMP)를 통해 흡입구를 소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 관련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카트리지 정보를 출력하는 일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담자 단말에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담자 단말에서 출력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상에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일례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시스템은,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100: 이하, 천식흡입장치), 단말(200), 의료상담 보조서비스 제공서버(300: 이하, 서비스 제공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자세히, 네트워크는 천식흡입장치(100), 단말(200) 및 서비스 제공서버(300)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 기반의 의료상담 보조 시스템은, 디지털 천식흡입기인 천식흡입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의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정보를 분석하여 천식 관련 의료상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및/또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과적인 설명을 위하여 사용자(즉, 피상담자)를 환자로, 상담자를 의사로, 상담은 의료관련 상담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사용정보 기반의 의료상담 보조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자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에 필요한 용어에 대해 먼저 정의하고자 한다.
<천식흡입기 사용정보>
먼저,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란, 사용자가 천식흡입장치(100)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전반적인 관련 정보를 의미하며, 실시예에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는, 천식흡입기 작동정보, 천식흡입기 사용자 바이오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천식흡입기 작동정보는, 사용자가 천식흡입장치(100)를 구동하여 약물을 흡입하는 시작 시각에 대한 정보인 흡입시작시점 정보, 약물을 얼마나 복용하였는지를 측정하여 나타내는 흡입량 정보 및 천식흡입장치(100)를 통한 약물의 투여를 종료하는 시각에 대한 정보인 흡입완료시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바이오정보는, 천식흡입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의미하며, 실시예에서 사용자 바이오정보는, 사용자의 심박 정보, 산소포화도 정보, 체온 정보, 심전도 정보, 운동정보(즉, 신체활동량 정보) 및 심박변이도에 기반한 스트레스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정보는, 천식흡입장치(100)의 외부 환경(즉, 천식흡입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는, 의료관련 이미지, 동영상, 애니메이션 또는 텍스트들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형성되며, 상담자 단말(202)을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의료상담을 보조할 수 있다.
자세히,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는, 의료상담을 보조하기 위한 시청각 자료들을 포함할 수 있고, 실시예에서 시청각 자료는, 질병진단 콘텐츠, 치료방법 콘텐츠, 약물상담 콘텐츠, 진료비용 콘텐츠, 보험 정보 콘텐츠, 서명 콘텐츠, 기타 콘텐츠 및 전술한 콘텐츠들을 통합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에는, 신체기관 이미지, 질병 정보, 치료법 이미지, 치료법 정보, 약물 복약방법, 약물 정보 및 보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나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의료상담 콘텐츠을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각종 정보도 보조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관련 데이터(Electric Health Record, EHR)들을 기초로 생성된 시각 콘텐츠일 수 있다.
여기서, 의료관련 데이터란, 데이터를 측정하는 디바이스(Divice)에 의해 의료와 관련하여 측정된 각종 데이터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의료관련 데이터는, 천식흡입장치(100)에 의해 획득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 단말(200)에서 생성된 카트리지 정보, 서비스 제공서버(300)로부터 생성된 천식 유발요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는, 상담자의 선택에 따라 반응하는 인터랙션 콘텐츠일 수 있으며, 병원 서버나 병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전자의무기록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는, 상담자 단말(202)에서 의사의 선택에 따라 상담에 활용되도록 표시되며, 상담자 단말(202)은 선택된 복수의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의사가 상담에 활용하기 쉽게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의료상담 콘텐츠>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의료상담 콘텐츠는, 전술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상에 상담자에 의해 입력된 상담 내용이 추가되어 생성된 콘텐츠일 수 있다. 즉, 의료상담 콘텐츠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 상담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을 위해, 상담자 단말(202)에서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들로 구성된 의료상담 콘텐츠 작성 화면이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와 함께 제공되고,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상에 상담 내용이 입력되어 의료상담 콘텐츠가 생성될 수 있다.
다만,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가 인터랙션 콘텐츠이거나, 움직임이 있는 콘텐츠인 경우, 상담 내용을 입력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의 경우에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의 일 장면을 보조 이미지로 캡쳐한 후 캡쳐된 보조 이미지 상에 상담 내용이 입력될 수 있다.
자세히,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는, 표시된 의료상담 보조 이미지 상에 상담자가 필기, 음성, 편집 및/또는 영상을 입력하도록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는, 의료상담 보조 이미지 상에 상담자의 필기입력을 감지하는 필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의료상담 보조 이미지를 표시하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상담자 단말(202)은,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가 합쳐진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식의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담 내용과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 매칭된 의료상담 콘텐츠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는, 상담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서버(300)로 송신되어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사용정보 기반의 의료상담 보조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 천식흡입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천식흡입장치(100)는, 디지털 방식으로 일련의 기능을 동작하는 전자 천식흡입기로서, 천식흡입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천식흡입장치(100)는, 획득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분석해 활용할 수 있으며, 단말(200) 및/또는 서비스 제공서버(300)와 획득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자세히, 천식흡입장치(100)는, 자체 통신유닛을 통해 1) 획득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고,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수신한 단말(200)을 통해 획득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서비스 제공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천식흡입장치(100)는, 자체 통신유닛을 통해 2) 획득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서비스 제공서버(300)로 다이렉트(Direct) 송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천식흡입장치(100)는,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서비스 제공서버(300)로 다이렉트 송신하는 경우, 천식흡입장치(100) 자체에 환자 식별을 위한 사용자 식별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천식흡입장치(100)는, 천식흡입장치(100)를 사용하는 환자를 식별하여, 획득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가 상기 식별된 환자에 대한 천식관련 정보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천식흡입장치(100)는, 사용자(환자) 식별을 위하여 자체에 사용자 인증 수단 및/또는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식흡입장치(100)는, 센싱유닛에 지문 인식 센서(Sensor)를 포함하여 사용자 지문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천식흡입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입력유닛을 포함하여 사용자 식별번호 및/또는 아이디 등과 같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천식흡입장치(100)는, 천식흡입장치(100)를 사용하는 환자를 사용자 인증 수단 및/또는 입력 수단을 기반으로 식별할 수 있고, 획득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식별된 환자와 연계하여 서비스 제공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천식흡입장치(100)는, 약물을 분사하는 천식흡입기의 본래 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디지털 기기로, 상기 디지털 기기에 새로운 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천식흡입장치(100)는, 기존의 아날로그식 천식흡입기에 장착되어, 상기 아날로그식 천식흡입기를 사용하는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기기일 수도 있다.
자세히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천식흡입장치(100)는, 바디부(110), 카트리지 고정부(120), 흡입구(130), 흡입구 캡(135), 약제 방출 단추(140), 센싱유닛(150), 통신유닛(160), 출력유닛(170), 메모리(180) 및 프로세서(19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바디부(110)는, 천식흡입장치(100)의 몸체를 의미하며,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의 단단한 구조(Solid structure)로 형성될 수 있고, 천식흡입장치(100)의 일부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과 카트리지가 배치될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카트리지 고정부(120)는, 카트리지(101)가 천식흡입장치(100)에 원활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101)와 천식흡입장치(100) 간의 결합 및 분리를 보조할 수 있다.
여기서, 카트리지(101)는, 천식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인 흡입제를 내장하고 있는 밀폐 용기를 의미하며, 천식흡입장치(100)의 추진제에 의해 카트리지(101) 내부의 흡입제가 일정량씩 분사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흡입구(130)는, 사용자가 천식흡입장치(100)를 통해 약물을 흡입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흡입구(13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약물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들숨과 날숨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기압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압 센서는, 흡입구(130)에서 약물 흡입에 따라 발생된 기압의 변화를 센싱하여 천식흡입장치(100)의 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흡입구 캡(135)은, 천식흡입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 흡입구(130)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흡입구(130)는 사용자의 구강이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세균의 증식을 막고 발생된 균을 소독하기 위하여, 흡입구 캡(135)의 일측에는 유브이 엘이디 램프(137: UV LED LAMP)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브이 엘이디 램프는, 흡입구(130)를 흡입구 캡(135)으로 밀폐시 동작하여 흡입구(130)으로 자외선 대역의 광을 출력하여 흡입구(130)를 소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약제 방출 단추(140)는, 바디부(110)에 배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약제 방출 단추(14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서 카트리지(101) 내의 흡입제를 에어로졸 방식으로 분사시킬 수 있는 버튼일 수 있다.
이러한 약제 방출 단추(140)에는, 사용자에 의해가해진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센싱유닛(150)은,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센싱유닛(150)은, 작동감지 센서(151), 바이오 센서(152) 및 외부환경측정 센서(15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먼저 작동감지 센서(151)는, 천식흡입기 작동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센서들을 포함하며, 3축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s) 센서, 기압 센서 및/또는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3축 미세전자기계시스템 센서(이하, 3축 MEMS 센서)란, 초소형의 고감도 센서로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감지를 통해 외부 환경에 대한 감시, 검출 및 모니터링을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3축 MEMS 센서는, 천식흡입장치(100)의 가속도와 기울기를 센싱하여 천식흡입기 작동정보의 흡입시작시점 정보 및/또는 흡입완료시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기압 센서는, 흡입구(130) 상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들숨 및 날숨에 의한 압력을 센싱하여 사용자의 천식흡입장치(100) 동작에 대한 모니터링을 보조할 수 있으며, 천식흡입기 작동정보의 흡입시작시점 정보, 흡입량 정보 및/또는 흡입완료시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는, 약제 방출 단추(140) 상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압력 입력을 센싱하여, 카트리지(101) 내의 흡입제가 얼마나 분사되어 사용자에게 투여되었는지를 센싱해 천식흡입기 작동정보의 흡입완료시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바이오 센서(152)는, 사용자 바이오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바이오 센서(152)는,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는 심박 센서,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산소포화도 센서,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 센서,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센서, 신체활동량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및 심박변이도에 따른 스트레스 지수를 센싱하는 심박변이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심전도 센서는, 천식 환자의 상태 파악에 중요한 정보인 심전도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천식흡입장치(100)를 사용할 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하기 용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전도 센서는, 약제 방출 단추(1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심장 박동의 변이 정도를 파악하는 심박변이도 센서는, 천식 환자의 상태와 높은 연관성을 가지는 스트레스 지수를 효과적으로 파악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외부환경측정 센서(153)는, 외부 환경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센서들을 포함하며, 온도 센서 및/또는 습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유닛(160)은, 천식흡입장치(100)와 단말(200) 및/또는 서버 사이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천식흡입기 사용정보에 기반한 의료상담 보조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단말(200) 및/또는 서버와 송수신하는 일련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더하여, 실시예에서 통신유닛(160)은, GPS, Wi-Fi 네트워크, GLONASS 및 다른 글로벌 네비게이션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천식흡입장치(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력유닛(170)은,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각종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출력유닛(170)은, 7세그먼트 표시기(171: Seven-segment display), LED 디스플레이(172), 햅틱 출력유닛(173) 및 오디오 출력유닛(17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먼저 7세그먼트 표시기(171)는, 7개의 획으로 숫자나 문자를 나타내는 표시 장치로서, 천식흡입장치(100)의 바디부(110) 상에 장착되어 카트리지(101) 잔여 사용량 정보, 약물 흡입 시간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LED 디스플레이(172)는, 천식흡입장치(100)가 작동과 관련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디스플레이(172)는, 흡입제를 더 흡입해야하는 경우에는 적색광을 출력하고, 기설정된 량 이상의 흡입제 흡입 시 녹색광을 출력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천식흡입장치(100)의 사용에 대한 안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햅틱 출력유닛(173)은, 진동신호를 이용하여 천식흡입장치(100)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 햅틱 출력유닛(173)은, 흡입완료시점에 진동신호를 출력하여 흡입을 종료하라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햅틱 출력유닛(173)은 흡입시작시점 이후 소정의 시간 경과 시 흡입완료시점으로 판단하여 진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유닛(174)은, 오디오(즉, 소리)를 통해 천식흡입장치(100)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 오디오 출력유닛(174)은, 흡입시작시점과 흡입종료시점을 알리는 경우, 각 경우에 따라 각기 다른 오디오를 출력하여 해당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천식흡입장치(100)는, 바디부 상에 이벤트 버튼(Event butto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천식흡입장치(100)는, 사용자가 심각한 호흡곤란 증상을 유발하는 등의 긴급 상황에 처한 경우, 이러한 긴급 상황을 알리고 대처할 수 있는 이벤트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이벤트 버튼은, 사용자의 입력을 받았을 시, 사용자의 입력을 받은 때의 긴급 상황 발생 시각, 사용자의 천식호흡기 사용정보 등을 메모리(180)에 기록할 수 있고, 기설정된 전화번호(예컨대, 사용자가 미리 등록해 놓은 전화번호 또는 119 등)로 응급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천식호흡장치(100)는, 메모리(180)에 기록된 긴급 상황 발생 시의 사용자 천식호흡기 사용정보 등을 단말(200) 및/또는 서비스 제공서버(300)로 송신하여 추후 사용자의 의료상담 진행 시 활용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모리(18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190)는, 전술한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9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 단말
다음으로, 단말(200)은,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인 스마트 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및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은, 고정형 단말인 데스크 탑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울트라북(ultrabook)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이 유/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2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주체에 따라 그 역할이 구분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단말(200)은, 환자의 사용자 단말(201), 의사의 상담자 단말(202) 및 콘텐츠 제작자의 콘텐츠 제공 단말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201)은, 천식흡입장치(100)로부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상담자 단말(202) 및/또는 서비스 제공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1)은, 천식흡입장치(100)에서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의 한계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천식흡입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외부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한 천식흡입장치(100)의 통신유닛(160)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1)은,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추가 생성된 가공 정보(이하, 추가 가공 정보)를 해당 외부 환경정보에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1)은, 추가 가공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생성된 외부 환경 가공정보를 천식흡입장치(100) 및/또는 서비스 제공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사용자 단말(201)은,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해당 위치의 보다 광범위한 온도 및/또는 습도 정보(즉, 기상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위치에 대한 공기 중 미세먼지농도 정보를 획득하여 추가 가공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201)은, 생성된 추가 가공 정보를 해당 위치 정보를 제공한 천식흡입장치(100)의 외부 환경정보에 포함시켜 외부 환경 가공정보로 생성하고, 생성된 외부 환경 가공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201)은, 천식흡입장치(100) 사용시점의 위치 정보에 따른 기상 정보 및/또는 미세먼지농도 정보 등을 더 수집해 제공하여, 천식흡입장치를 통해 보다 광범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1)은, 천식흡입기 사용정보에 포함된 천식흡입기 작동정보, 사용자 바이오정보 및/또는 외부 환경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그래픽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하여, 사용자 단말(201)은,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가 정보를 얻고자 하는 카트리지(101)를 촬영하여 해당 카트리지(101)에 관한 카트리지 정보를 획득해 저장할 수 있으며, 획득된 카트리지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1)은, 의료상담 내용을 포함하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상담자 단말(202)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필요할 때 수신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진료 기억을 상기시키고 이후 의료사고 시 사고에 대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더하여, 사용자 단말(201)은,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설문지 형식의 질의응답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서비스 제공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내는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천식의 발병률과 정신적 질환의 유무는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자세히, 천식 환자에서는 일반인에 비해 우울, 불안, 공황 장애 등의 정신 질환이 더욱 자주 동반되고,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질환도 천식과 관련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불안과 우울 등의 정신질환이 있으면 천식의 발생이 증가되고, 반대로 천식이 있으면 불안과 우울 등의 질환이 잘 발생한다. 정신질환과 천식의 관련성은 천식의 중증도에 관계없이 모든 천식에서 나타 날 수 있고, 조절되지 않는 중증 천식 환자들에서 경증 및 중등도 천식 환자에 비해 불안과 우울 등의 정신질환이 더 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1)은,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면밀하게 파악하여 정신적 질환의 유무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천식의 발병률을 추정해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조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세히, 사용자 단말(201)은, 사용자 스트레스 지수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서비스 제공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1)은, 상기 사용자 스트레스 지수 분석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통하여 객관식, 주관식 또는 서술형 등 다양한 형태로 스트레스 지수와 관련된 질의를 제공하는 설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1)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설문지에 대한 응답 입력을 받을 수 있으며, 입력받은 응답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1)은, 산출된 스트레스 지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천식 발병률을 예측하여 이에 따른 적절한 조치(예컨대, 천식 예방 생활습관 지도 등)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201)은, 자체적으로 산출된 스트레스 지수를 분석해 사용자의 천식 발병률을 예측할 수도 있고, 산출된 스트레스 지수를 서비스 제공서버(300)로 송신하여 천식 발병률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201)은, 사용자 스트레스 지수를 파악할 수 있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의 천식 발병률을 예측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천식발병률을 저감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천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더하여, 사용자 단말(201)은,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등을 통하여, 천식흡입장치(100)를 사용한 이후 환자의 체감 반응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체감 반응정보란, 천식흡입장치(100)의 사용효과 여부 및/또는 효과의 정도 등과 같이 천식흡입장치(100)를 사용한 이후에 환자가 체감하는 효과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1)은, 먼저 천식흡입장치(100)에 대한 사용효과 여부 및/또는 효과의 정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체감 반응정보를 질의응답 형식으로 획득할 수 있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서비스 제공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1)은, 출력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통한 사용자(환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해당 환자의 천식흡입장치(100)에 대한 체감 반응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201)은, 서로 다른 이종의 천식흡입장치들에 대해 각각 사용후 체감 반응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사용자 단말(201)은, 제 1 천식흡입장치를 사용한 다음 체감 반응정보를 사용자 단말(201)을 통해 입력할 경우, 제 1 천식흡입장치의 사용 정보에 매칭하여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체감 반응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1)은, 천식흡입장치의 사용시점에 연관하여 천식흡입장치별 체감 반응정보를 각각 매칭 저장하여, 추후 사용환경이나 사용자에게 적합한 천식흡입장치 또는/및 천식흡입제 종류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201)은, 천식흡입장치(100)를 사용한 이후의 환자의 체감 반응정보를 수집하여, 천식흡입장치(100)의 사용에 대한 부가적인 환자 반응관련 정보를 의료상담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효용성 있는 천식흡입기 사용정보에 기초한 의료상담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담자 단말(202)은, 천식흡입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에 기반한 각종 정보를 천식 관련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상담자 단말(202)은, 상담자가 피상담자(즉, 사용자)의 의료상담을 진행할 때,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시각화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출력하여, 효과적인 의료상담이 진행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상담자 단말(202)은, 상담 내용을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상담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상담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담 내용이 추가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사용자(즉,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단말은,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작성하여 서비스 제공서버(300)에 등록하고, 등록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유료로 판매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제공 단말은,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하는 상담자 단말(202) 또한 포함할 수 있으며, 상담자 단말(202)은, 의료상담 콘텐츠를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로 서비스 제공서버(300)에 등록하고 그에 다른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말(200)을 이루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 내지 5를 참조하면, 단말(200)은, 통신부(210), 입력부(220), 디스플레이부(230), 터치스크린(235: touch screen), 센서부(260), 카메라(240), 저장부(250), 마이크(270), 스피커(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210)는, 천식흡입기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의료상담 보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신부(210)는, 천식흡입장치(100), 타유저의 단말(200) 또는 서비스 제공서버(300) 등과 통신하여 의료관련 데이터,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및/또는 의료상담 콘텐츠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외부 프린터로 전송하여, 의료상담 콘텐츠를 오프라인 출력물로 프린팅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200),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부(220)는,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초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로, 입력부(220)는, 사용자 단말(201)에서 카트리지(101) 촬영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담자 단말(202)에서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상담자의 상담 내용에 대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230)는, 의료관련 데이터,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및 의료상담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된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단말(200)은,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받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입력부(220) 상에 디스플레이부(230)가 결합된 터치스크린(23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200)은, 터치스크린(235)의 터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담자의 필기를 터치 입력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메라(240)는, 사용자 단말(201)에서 카트리지(101)를 촬영하여 카트리지 정보를 획득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상담자 단말(202)에서 진료 및 의료상담 과정들을 촬영하여 상담 내용을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240)는, 단말(200)의 전면 또는/및 후면에 배치되어 배치된 방향측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단말(2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담자 및/또는 사용자(즉, 피상담자)와 떨어진 외부 시점에서 진료 과정을 촬영할 수도 있다.
단말(200)의 외부에 카메라(240)가 배치된 경우, 카메라(240)는, 통신부(210)를 통해 제어부(290)로 촬영한 진료 과정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카메라(240)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카메라(24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240)는, 영상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29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저장부(2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기 사용정보에 기초한 의료상담 보조 방법을 제공하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50)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2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센서부(260)는, 사용자 단말(201)에서 추가적인 사용자 바이오정보 및/또는 외부 환경정보를 센싱하여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이크(270)는, 상담자 단말(202)에서 상담자(즉, 의사)와 피상담자(즉, 환자)의 음성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음성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상담 내용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피커(280)는, 상담자 단말(202)에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및/또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290)는, 천식흡입기 사용정보에 기반한 의료상담 보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9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 서비스 제공서버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천식흡입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 등을 포함한 의료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의료관련 데이터에 기반하여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생성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상담자 단말(202)로부터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상담자의 요청에 따라 수신하고, 수신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에 포함시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천식흡입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수신한 외부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제공할 경우에, 해당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한 천식흡입장치(100)의 통신유닛(160) 및/또는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추가 생성된 추가 가공 정보를 해당 외부 환경정보에 더 포함하여 외부 환경 가공정보를 생성해 단말(200) 및/또는 천식흡입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해당 위치의 보다 광범위한 온도 및/또는 습도 정보(즉, 기상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위치에 대한 공기 중 미세먼지농도 정보를 획득하여 추가 가공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생성된 추가 가공 정보를 해당 위치 정보를 제공한 천식흡입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201)의 외부 환경정보에 포함시켜 외부 환경 가공정보로 생성하고, 생성된 외부 환경 가공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서비스 제공서버(300)가 추가 가공 정보(예컨대, 기상 정보 및/또는 미세먼지농도 정보 등)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천식흡입장치(100) 및/또는 단말(200)에서 추가 가공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실시예 또한 가능할 것이다.
또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천식을 유발하는 원인을 분석한 정보인 천식 유발요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천식흡입기 사용정보의 외부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급격한 온도 및/또는 습도의 변화, 공기질의 상태 저하 등과 같은 천식 유발 원인을 도출하여 천식 유발요인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천식 유발요인 정보를 생성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생성된 천식 유발요인 정보를 단말(200)로 송신하여 상담자가 사용자와 의료상담을 수행할 시에 활용하게 함으로써, 천식흡입기 사용정보에 기반한 의료상담이 효과적으로 수행되게 보조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제작자와 상담자 사이에서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제작자의 콘텐츠 제공 단말로부터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수신하여 등록하고, 이후 상담자가 상기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요청할 경우에, 소정의 대가를 받고, 받은 대가의 적어도 일부를 제작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상담자가 필요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검색하는 보조 콘텐츠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상담자가 선택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상담자 단말(202)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사용자 계정과 매칭하여 의료상담 콘텐츠, 의료관련 데이터 및 전자의무기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상담자 단말(202)에서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정보를 요구할 경우,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데이터 송수신부, 데이터 처리부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데이터 송수신부는, 단말(200) 또는/및 외부 서버와 천식흡입기 사용정보 기반의 의료상담 보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주고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처리부는, 천식흡입기 사용정보 기반의 의료상담 보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부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천식흡입기 사용정보에 기반한 의료상담 보조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특히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들을 검색 가능하게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 계정들과 계정에 매칭하여 의료관련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 천식흡입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
이하, 천식흡입기 사용정보에 기반하여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에 대해 천식흡입장치(100)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천식흡입기 사용정보 기반의 의료상담 보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은, 천식흡입장치(100)의 메모리(180)에 저장되어 램을 통해 프로세서(190)가 독출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천식흡입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메모리(180)에서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이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장치(100)가 동작하는 방법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천식흡입장치(100)는, 천식흡입기 작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01)
자세히, 천식흡입장치(100)는, 천식흡입기 작동정보가 포함하는 흡입시작시점 정보, 흡입량 정보 및 흡입완료시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1)을 참조하면, 천식흡입장치(100)는, 흡입시작시점 정보를 3축 MEMS 센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천식흡입장치(100)는, 천식흡입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한 천식흡입장치(100) 몸체의 이동 또는/및 회전동작을 3축 MEMS 센서로 센싱하여, 사용자의 약물 흡입을 위한 시작동작을 감지할 수 있고, 시작동작을 감지한 때의 시각을 수집하여 흡입시작시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천식흡입장치(100)는, 3축 MEMS 센서를 통해 수직 이동 또는 수평 이동을 감지하여, 흡입시작시점 정보 및 사용자가 천식흡입장치(100)를 정확한 방식으로 사용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천식흡입장치(100)는, 3축 MEMS 센서를 통해 가속도 및/또는 기울기를 센싱하여 회전동작을 감지함으로써, 천식흡입기의 형태(예컨대, L자 형태, I자 형태 등)에 관계없이 시작동작을 센싱해 흡입시작시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7-(2)를 참조하면, 천식흡입장치(100)는, 흡입량 정보를 흡입구(130) 상에 장착된 기압 센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천식흡입장치(100)는, 사용자의 약물 흡입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흡입구(130)에 발생하는 압력을 기압 센서를 통해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천식흡입장치(100)는, 사용자의 들숨에 의한 압력 정보를 기반으로 흡입된 약물량을 산출하여 흡입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천식흡입장치(100)는, 들숨 시점과 날숨 시점 사이의 시간에 비례해 흡입된 약물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천식흡입장치(100)는, 사용자의 들숨에 의한 압력과 날숨에 의한 압력의 차이를 산출하여 실제 약물에 대한 흡입이 충분하게 이루어졌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도 7-(3)을 참조하면, 천식흡입장치(100)는, 흡입완료시점 정보를 약제 방출 단추(140)의 압력 센서, 기압 센서 및 3축 MEMS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천식흡입장치(100)는, 약제 방출 단추(140)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압력 입력을 압력 센서를 통해 센싱할 수 있고, 센싱된 압력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약물에 대한 흡입동작의 종료시점을 판단하여 흡입완료시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천식흡입장치(100)는, 가해지는 압력의 정도에 따라 실시간으로 흡입완료시점까지 남아있는 시간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흡입 종료시점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종료 대기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천식흡입장치(100)는, 흡입구(130)의 기압 센서를 통해 획득된 흡입량 정보를 기반으로 흡입완료시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천식흡입장치(100)는, 흡입량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충분한 약물 흡입을 수행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흡입완료시점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단축시킬 수 있고, 충분한 약물 흡입이 수행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흡입완료시점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연장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천식흡입장치(100)는, 3축 MEMS 센서를 통하여 종료 대기 시간이 소진되기 이전에 천식흡입장치(100)가 사용자의 구강에서 이탈되는 등의 방해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를 감지하여, 충분한 약물 흡입이 수행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흡입완료시점 정보를 연장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천식흡입장치(100)는, 다양한 센서를 통해 천식흡입기 작동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가 올바른 방식으로 천식흡입장치(100)를 사용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고, 추후 천식흡입장치(100)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 제공하는 각종 정보의 기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천식흡입장치(100)는, 사용자 날숨정보를 체크할 수 있다. (S103)
자세히, 천식흡입장치(100)는, 흡입구(130)의 기압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흡입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충분한 날숨을 내쉬고 흡입을 시작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천식흡입장치(100)는, 기압 센서를 통한 사용자의 날숨 모니터링을 통해 사용자의 날숨량을 측정한 날숨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날숨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충분한 날숨을 수행한 후 흡입동작을 진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자세히, 천식흡입장치(100)는, 약물 흡입 전 사용자가 흡입구를 통해 날숨을 뱉도록 하며, 이때 흡입구를 통한 날숨량을 측정하여 소정의 날숨량 이상일 때 알람을 주어, 소정의 날숨량 이상 날숨을 수행한 이후 약물을 흡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천식흡입장치(100)는, 획득된 천식흡입기 작동정보를 기반으로 천식흡입장치(100) 사용 안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S105)
자세히, 천식흡입장치(100)는, 사용자가 천식흡입장치(100)를 올바르게 사용하여 적절한 약물 흡입을 수행하도록 보조하는 사용 안내신호를 각종 출력유닛(17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천식흡입장치(100)는, 출력유닛(170)이 포함하는 7세그먼트 표시기(171), LED 디스플레이(172), 햅틱 출력유닛(173) 및 오디오 출력유닛(17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천식흡입장치(100) 사용 안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로, 천식흡입장치(100)는, 7세그먼트 표시기(171)를 통해 카트리지(101) 잔여 사용량 정보, 약물 흡입 시간정보(즉, 종료 대기 시간) 등을 표시하여 사용 안내신호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천식흡입장치(100)는, LED 디스플레이(172)를 통하여 천식흡입장치(100)가 동작하는 도중에 지속적으로 흡입해야하는 경우에는 적색광을 출력하고, 흡입이 완료된 경우에는 녹색광을 출력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천식흡입장치(100)의 사용에 대한 안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더하여, 천식흡입장치(100)는, 햅틱 출력유닛(173)을 통해 흡입완료시점을 알리는 진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오디오 출력유닛(174)을 통하여 흡입시작시점과 흡입종료시점을 알리는 소리신호를 출력해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천식흡입장치(100)는, 다양한 출력유닛(17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천식흡입장치(100)의 사용을 보조하는 사용 안내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적당량의 약물을 적정 시간동안 흡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천식흡입장치(100)는, 천식흡입장치(10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07)
자세히, 천식흡입장치(100)는,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천식흡입기 작동정보, 사용자 바이오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를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천식흡입기 작동정보는, 흡입시작시점 정보, 흡입량 정보 및/또는 흡입완료시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싱유닛(150)의 작동감지 센서(151)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바이오정보는, 천식흡입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의미하며, 사용자의 심박 정보, 산소포화도 정보, 체온 정보, 심전도 정보 및/또는 운동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센싱유닛(150)의 바이오 센서(152)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천식흡입장치(100)는, 사용자 바이오정보를 천식 흡입제 흡입 전과 흡입 후에 각각 측정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천식흡입장치(100)는, 약물을 흡입하기 전과 흡입한 후의 사용자 생체 상태를 센싱함으로써, 천식흡입장치(100) 사용을 통한 사용자의 신체 변화를 소상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정보는, 천식흡입장치(100)의 외부 환경(즉, 천식흡입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및/또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센싱유닛(150)의 외부환경측정 센서(153) 및/또는 위치 센서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정보는, 단말(200) 및/또는 서비스 제공서버(3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하여 획득되거나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자세히, 천식흡입장치(100)는, 획득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단말(200) 및/또는 서비스 제공서버(300)로 송신한 이후, 단말(200) 및/또는 서비스 제공서버(300)로부터 추가 가공 정보가 포함된 외부 환경 가공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가공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환경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식흡입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추가 생성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포함된 외부 환경 가공정보를 수신하여 외부 환경정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천식흡입장치(100)는, 자체적으로 추가 가공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환경정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천식흡입장치(100)는, 사용자의 바이오정보(즉, 생체정보), 외부 환경정보 및/또는 천식흡입기의 작동정보를 획득하여 천식흡입기 사용에 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치료 및 관리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획득해 분석하고 제공하여, 이를 통해 보다 명확한 근거에 기반해 의사나 사용자가 정확한 천식 원인을 파악하고 천식흡입기의 올바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계속해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한 천식흡입장치(100)는, 획득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단말(200) 및 서비스 제공서버(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송신할 수 있다. (S109)
자세히, 천식흡입장치(100)는, 획득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통신유닛(160)을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200) 및/또는 서비스 제공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즉, 사용자 단말(201)과 별도의 연결이 없어도 자체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천식흡입장치(100)는,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서비스 제공서버(300)로 다이렉트 송신하는 경우, 천식흡입장치(100) 자체에서 사용자(환자)를 식별하여 해당 환자와 연계해 서비스 제공서버(300)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천식흡입장치(100)는, 사용자(환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인증 수단 및/또는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식흡입장치(100)는, 센싱유닛(150)의 지문 인식 센서(Sensor)를 통해 사용자 지문을 통한 사용자 식별을 수행할 수도 있고, 입력유닛을 통해 사용자 식별번호 및/또는 아이디 등과 같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식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천식흡입장치(100)는, 획득된 다양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단말(200) 및/또는 서버와 공유함으로써, 사용자(즉, 환자)가 자신의 천식흡입기 사용 기록을 상담자(즉, 의사)에게 전달하고 피드백을 받도록 보조하며, IT기술을 이용한 효과적인 천식흡입기 사용자 모니터링 및 관리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천식흡입기에 장착되는 카트리지(101)는, 소정의 횟수(예컨대, 60회 등) 만큼의 사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천식흡입기를 사용하다 보면, 남은 사용량을 정확히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천식흡입장치(100)는, 장착중인 카트리지(101)에 내장된 천식 흡입제의 잔여 사용량을 산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S111)
자세히, 천식흡입장치(100)는, 흡입구(130)의 기압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흡입량 정보를 기반으로 잔여 흡입횟수를 나타내는 잔여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로, 천식흡입장치(100)는, 흡입량 정보를 기초로 카트리지(101)에 남은 잔여 흡입량을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잔여 흡입량을 잔여 흡입횟수로 환산하여 잔여 사용량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천식흡입장치(100)는, 흡입구(130)의 기압 센서를 통하여 날숨 및 들숨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날숨 및 들숨 정보를 기반으로 실제 흡입이 이루어진 횟수를 카운팅하여 잔여 사용량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천식흡입장치(100)는, 산출된 잔여 사용량을 출력유닛(170)의 7세그먼트 표시기(171)를 통해 도 8과 같이 디스플레이하거나, 오디오 출력유닛(174)을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천식흡입장치(100)는, 천식흡입장치(100)에 장착된 카트리지(101)의 잔여 사용량을 산출해 제공함으로써, 흡입제 잔량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위급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천식흡입장치(100)는, 산출된 잔여 사용량 정보를 단말(200) 및/또는 서비스 제공서버(300)로 송신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천식흡입장치(100)는, 흡입구(130)의 소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113)
자세히, 도 9를 참조하면, 천식흡입장치(100)는, 사용자가 천식흡입장치(100)를 사용할 때 흡입구(130) 상에 구강을 밀착함으로써 흡입구(130)에 묻게 된 체액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균을 소독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천식흡입장치(100)는, 흡입구(130) 덮개 부분인 흡입구 캡(135)에 유브이 엘이디 램프(137: UV LED LAMP)를 장착하여 유브이(UV)광을 조사함으로써, 흡입구(130) 소독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천식흡입장치(100)는, 유브이(UV)광을 통해 흡입구(130) 소독을 수행하여 흡입구(130)에서의 각종 균 번식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천식흡입장치(100)는, 천식흡입기 사용과 관련된 다방면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올바른 천식흡입기의 사용을 보조함으로써,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천식흡입기를 이용하도록 보조할 수 있고, 천식흡입기 사용정보에 기반한 의료상담 보조 서비스가 원활하게 구현되게 할 수 있다.
- 사용자 단말에서 천식흡입장치 및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
이하에서는, 천식흡입장치(100)로부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1)에서 천식흡입장치(100) 및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1)에서 천식흡입장치(100) 및 천식 관련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1)은, 먼저 천식흡입장치(100)로부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201)
또한, 사용자 단말(201)은, 자체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 바이오정보(예컨대, 체온, 심전도 정보 등) 및 외부 환경정보(예컨대, 온도, 습도, 위치 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1)은, 추가적으로 획득된 사용자 바이오정보 및/또는 외부 환경정보를 추가 가공 정보로 생성하고, 생성된 추가 가공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바이오 가공정보 및/또는 외부 환경 가공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201)은, 획득된 외부 환경 가공정보를 천식흡입장치(100) 및/또는 서비스 제공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1)은, 수신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S203)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1)은, 수신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1)은, 천식흡입장치(100)로부터 카트리지(101) 잔여 사용량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S205)
이때, 사용자 단말(201)은, 카트리지(101) 잔여 사용량을 산출하는 일련의 동작에 대한 데이터 처리의 일부를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201)은, 천식흡입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천식흡입기 사용과 관련된 일련의 정보들을 편리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1)은, 카트리지(101)를 촬영하여 카트리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207)
자세히, 사용자 단말(201)은, 카메라(240)를 이용해 카트리지(101)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카트리지(101)의 이미지, 상표명, 총용량 및/또는 제조연월일 정보 등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1)은, 획득된 카트리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카트리지(101)에 대한 소비패턴 정보 및 소비수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정보를 카트리지 정보에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사용자 단말(201)은, 획득된 카트리지 정보를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카트리지 정보를 상담자 단말(202) 및/또는 서비스 제공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계속해서, 사용자 단말(201)은, 획득된 카트리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S209)
자세히,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1)은, 카메라(240)로 촬영한 카트리지(101)에 대한 카트리지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1)은, 획득된 카트리지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는 카트리지(101)에 대한 기본정보를 쉽게 파악하게 할 수 있고, 카트리지(101)에 대한 소비패턴 정보 및/또는 소비수량 정보 등을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1)은, 천식흡입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자체적으로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천식흡입기 사용을 보조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천식흡입장치(100) 및 천식 관련 의료상담 보조 서비스가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 상담자 단말에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담자 단말(202)에서 천식 관련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담자 단말(202)에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담자 단말(202)은, 천식흡입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천식 관련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S301, S303)
자세히, 상담자 단말(202)은, 서비스 제공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천식 관련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통하여, 천식흡입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수신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 즉, 사용자(즉, 피상담자)가 천식흡입장치(100)를 사용할 시의 천식흡입기 작동정보, 사용자 바이오정보 및/또는 외부 환경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담자 단말(202)은, 수신된 의료관련 데이터에 적합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자동으로 검색해 선정할 수 있고, 실시예에서 상담자 단말(202)은, 수신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에 적합한 천식 관련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검색해 선출하여 상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상기 천식 관련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담자 단말(202)은, 상담자의 입력에 따라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출력할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더하여, 다른 실시예에서 상담자 단말(202)은, 서비스 제공서버(300)에서 생성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에 기초한 천식 관련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식으로 천식 관련 의료상담을 보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담자 단말(202)은, 획득된 다양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상담자(즉, 의사)가 사용자(즉, 환자)의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료상담 및 치료계획을 설계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한 피드백을 통해 올바른 천식 질환 관리을 위한 선순환 고리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천식흡입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수신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천식을 유발하는 원인을 분석한 정보인 천식 유발요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천식 유발요인 정보를 생성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생성된 천식 유발요인 정보를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담자 단말(202)은, 위와 같이 서비스 제공서버(300)에서 생성된 천식 유발요인 정보를 서비스 제공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S305)
이때, 다른 실시예에서 상담자 단말(202)은, 천식 유발요인 정보를 생성하는 일련의 과정 또는 일부 동작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천식 유발요인 정보를 수신한 상담자 단말(202)은, 수신된 천식 유발요인 정보를 천식관련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S307)
여기서 상담자 단말(202)은, 수신된 의료관련 데이터에 적합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자동으로 검색해 선정할 수 있고, 실시예에서 상담자 단말(202)은, 수신된 천식 유발요인 정보에 적합한 천식 관련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검색해 선출하여 상기 천식 유발요인 정보를 상기 천식 관련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30)로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담자 단말(202)은, 상담자의 입력에 따라 천식 유발요인 정보를 출력할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더하여, 다른 실시예에서 상담자 단말(202)은, 서비스 제공서버(300)에서 생성된 천식 유발요인 정보에 기초한 천식 관련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식으로 천식 관련 의료상담을 보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담자 단말(202)은, 획득된 천식 유발요인 정보를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통해 제공하여, 상담자가 사용자와의 천식질환 관련 의료상담을 수행함에 있어 명확한 근거에 기반하여 분석된 사용자의 천식 유발 원인정보를 활용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천식 관련 의료상담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천식 관련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로 수신된 다양한 정보를 출력한 상담자 단말(202)은, 출력된 천식 관련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상에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309)
자세히, 상담자 단말(202)은, 표시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의 의료상담 보조 이미지 상에 필기, 음성, 편집 및/또는 영상을 입력하도록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 도 13을 참조하면, 상담자 단말(202)은, 디스플레이된 의료상담 보조 이미지 상에 상담자의 필기입력을 감지하는 필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담자 단말(202)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통하여, 상담자가 의료상담을 진행하는 도중에 필요시하는 기록 동작을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 상담자 단말(202)은, 제공된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담자의 입력을 기초로 천식 관련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하고 출력할 수 있다. (S311)
자세히, 상담자 단말(202)은, 전술한 천식 관련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상에 상담자에 의해 입력된 상담 내용을 추가하여 천식 관련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천식 관련 의료상담 콘텐츠를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담자 단말(202)은, 생성된 천식 관련 의료상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하여 상담자와 사용자의 의료상담 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담자 단말(202)은, 생성된 천식 관련 의료상담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1) 및 서비스 제공서버(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송신할 수 있다. (S313)
자세히, 상담자 단말(202)은, 생성된 천식 관련 의료상담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1)로 송신하여 사용자(즉, 피상담자)가 편리하게 확인하고 활용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상담자 단말(202)은, 상담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 천식 관련 의료상담 콘텐츠를 서비스 제공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고, 천식 관련 의료상담 콘텐츠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수신된 천식 관련 의료상담 콘텐츠를 천식 관련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에 포함하여 추후 상담자의 요청 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담자 단말(202)은,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담자의 의료상담 관련 기록을 포함하는 천식 관련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천식 관련 의료상담 콘텐츠를 사용자(즉, 피상담자) 및/또는 서비스 제공서버(300)에 제공함으로써,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한 차별화된 의료상담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장치(100)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바이오정보(즉, 생체정보), 외부 환경정보 및/또는 천식흡입기의 작동정보를 획득하여 천식흡입기 사용에 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천식 환자인 사용자의 치료 및 관리에 대한 소상한 정보를 획득해 분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명확한 근거에 기반한 천식 관련 의료상담이 구현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장치(100)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획득된 천식흡입기의 작동정보를 기반으로 천식흡입기의 사용을 보조하는 안내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안내신호에 따라 적절한 흡입시간, 흡입량에 맞추어 천식흡입기를 올바르게 동작하도록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장치(100)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카트리지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는 카트리지(101)의 기본정보, 소비패턴 정보 및/또는 수량 정보 등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중인 카트리지(101)의 잔여 사용량을 산출해 표시함으로써 천식흡입기를 작동할 시에 내장된 흡입제 잔량이 부족하여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장치(100)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천식흡입기의 흡입구(130)를 소독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흡입구(130)에서의 각종 균 번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장치(100)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획득된 다양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단말(200) 및/또는 서버와 공유함으로써, 사용자(즉, 환자)가 자신의 천식흡입기 사용 기록을 상담자(즉, 의사)에게 전달하고 피드백을 받도록 보조하며, IT기술을 이용한 효과적인 천식흡입기 사용자 모니터링 및 관리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장치(100)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획득된 다양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및/또는 의료상담 콘텐츠와 같은 시각 콘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상담자(즉, 의사)가 사용자(즉, 환자)의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료상담 및 치료계획을 설계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한 피드백을 통해 올바른 천식 질환 관리의 선순환 고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식흡입장치(100)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은, 제공되는 시각 콘텐츠 상에 상담자의 상담 내용을 손쉽고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사용자(즉, 피상담자)에게 제공함으로써, IT기술을 이용한 차별화된 의료상담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180)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7)

  1. 천식흡입장치 및 상기 천식흡입장치와 연동된 단말에서 사용자의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상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수행하는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천식흡입기의 흡입시작시점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흡입시작시점에 상기 사용자의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단말 및 서비스 제공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천식흡입기의 흡입시작시점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천식흡입장치의 몸체의 이동을 센싱하여 상기 천식에 대한 약물 흡입의 시작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시작시점에 상기 사용자의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흡입시작시점 이후 기압 센서가 상기 약물에 대한 흡입량 정보 및 흡입완료시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약물을 흡입하기 전 상기 사용자의 제 1 바이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약물을 흡입한 이후 상기 사용자의 제 2 바이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천식흡입장치의 사용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외부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 1 바이오 정보 및 제 2 바이오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 정보, 산소포화도 정보, 체온 정보, 심전도 정보 및 운동정보 및 심박변이도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와, 상기 생체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스트레스 지수를 포함하고,
    상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 및 상기 외부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천식 유발요인 정보를 획득하고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천식흡입장치 사용 안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 안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천식흡입기 작동정보 및 카트리지 잔여 사용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유닛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식흡입장치의 흡입구를 소독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카트리지를 촬영하여 카트리지 정보를 획득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정보는,
    상기 카트리지의 이미지, 상표명, 총용량 및 제조연월일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
  6.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출력하여 의료상담을 보조하기 위한 단말에서 수행되는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으로서,
    천식흡입장치로부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시각화한 천식 관련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천식흡입장치의 동작에 기반한 천식흡입기 작동정보, 사용자 바이오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천식흡입장치의 몸체의 이동을 센싱하여 획득되는 흡입시작시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흡입시작시점 이후 기압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약물 흡입량 정보 및 흡입완료시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약물을 흡입하기 전 사용자의 제 1 바이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약물을 흡입한 이후 상기 사용자의 제 2 바이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천식흡입장치의 사용에 따른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외부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 1 바이오 정보 및 제 2 바이오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 정보, 산소포화도 정보, 체온 정보, 심전도 정보 및 운동정보 및 심박변이도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와, 상기 생체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스트레스 지수를 포함하고,
    상기 천식흡입기 사용정보 및 상기 외부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천식 유발요인 정보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천식 관련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의 의료상담 보조 이미지에 필기, 음성, 편집 및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입력을 구현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인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담 내용을 기록한 입력을 기반으로 천식 관련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

KR1020190033340A 2019-03-25 2019-03-25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 Active KR102272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340A KR102272946B1 (ko) 2019-03-25 2019-03-25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340A KR102272946B1 (ko) 2019-03-25 2019-03-25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339A KR20200113339A (ko) 2020-10-07
KR102272946B1 true KR102272946B1 (ko) 2021-07-06

Family

ID=72883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340A Active KR102272946B1 (ko) 2019-03-25 2019-03-25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9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439A1 (ko) * 2021-10-19 2023-04-27 주식회사 페어코드 인헬러용 정보수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619B1 (ko) * 2020-11-13 2023-04-2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방법 및 기록매체
EP4283595A4 (en) * 2021-01-28 2024-03-13 Intin Inc. METHOD FOR GUIDING THE USE OF AN INHALER AND USER TERMIN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6851A2 (en) * 2006-03-29 2007-11-08 Intelliject, Ll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ment delivery
US20150112707A1 (en) * 2013-10-19 2015-04-23 CoheroHealth, LLC Interactive respiratory device usage tracking system
US20180056018A1 (en) * 2016-08-31 2018-03-01 Cephalon, Inc. Inhal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JP2018533412A (ja) * 2015-10-30 2018-11-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呼吸の訓練、観察及び/又は補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18355D0 (en) 2005-09-08 2005-10-19 Glaxo Group Ltd An inhaler
EP3031486A1 (en) * 2014-12-09 2016-06-15 CONARIS research institute AG Medication cartridges for optimised dos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6851A2 (en) * 2006-03-29 2007-11-08 Intelliject, Ll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ment delivery
US20150112707A1 (en) * 2013-10-19 2015-04-23 CoheroHealth, LLC Interactive respiratory device usage tracking system
JP2018533412A (ja) * 2015-10-30 2018-11-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呼吸の訓練、観察及び/又は補助装置
US20180056018A1 (en) * 2016-08-31 2018-03-01 Cephalon, Inc. Inhal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439A1 (ko) * 2021-10-19 2023-04-27 주식회사 페어코드 인헬러용 정보수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339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8736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measure, aid and correct the use of inhalers
CN104768460B (zh) 用于测量肺容量和耐力的系统和方法
US107437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n agent to a user&#39;s lungs and for simultaneously monitoring lung health
KR102272946B1 (ko)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
Mehta Dry powder inhalers: a concise summary of the electronic monitoring devices
WO201716576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llecting spirometry data
JP5866335B2 (ja) 患者により排せつされる総二酸化炭素の要素の測定
CN104470427A (zh) 用于监测患者的肺功能的方法和系统
CN104093356A (zh) 个人肺活量计
Häußermann et al. Smart dry powder inhalers and intelligent adherence management
JP2007181724A (ja) ネブライザおよびネブライザにおける薬量検出方法
CN112040864A (zh) 用于测量呼吸气流的装置和方法
CN109640819B (zh) 用于检测对象的哮喘发作或哮喘的设备、系统和方法
JP2023506534A (ja) 吸入器システム
JP4008953B2 (ja) 呼吸機能検査装置
US20190134339A1 (en) Portable inhalator device
KR102662560B1 (ko)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및 사용자 단말
JP2018000322A (ja) ネブライザおよびプログラム
Mysovskikh et al. Flowrate Sensing and Measurement in Smart Inhalers
Morales et al. A microcontroller based system for controlling patient respiratory guidelines
KR20230055635A (ko) 인헬러용 정보수집장치
Jiménez-Ramírez et al. A Microcontroller Based System for Controlling Patient Respiratory Guidelines
Jamaa et al. DIGITAL HEALTH: ADDRESSING MODERN HEALTHCARE CHALLENGES WITH SENSORS
Sesli et al. DESIGN OF A PATIENT MONITORING DEVICE FOR EFFECTIVE INHALER MEDICATION U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