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599B1 - 착자장치 및 착자방법 - Google Patents

착자장치 및 착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599B1
KR102272599B1 KR1020217007404A KR20217007404A KR102272599B1 KR 102272599 B1 KR102272599 B1 KR 102272599B1 KR 1020217007404 A KR1020217007404 A KR 1020217007404A KR 20217007404 A KR20217007404 A KR 20217007404A KR 102272599 B1 KR102272599 B1 KR 102272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gnetizing
magnetic field
magnet material
outer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1067A (ko
Inventor
슈이치 키시
Original Assignee
다이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gnetising or demagnetising
    • H01F13/003Methods and devices for magnetising permanent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21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containing a coupling
    • F04D13/02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containing a coupling a magnetic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마그넷 구동펌프를 구동시키는 마그넷 커플링 기구와 같이 비교적 작은 자석재료를 착자시킬 때, 착자 동작을 복수 회 수행하지 않아 비용을 억제하고, 피착자물의 착자 정도도 높인다. 중공 원통형의 아우터 요크와, 피착자물이며, 아우터 요크의 내면 그리고 동일한 둘레 상에 등간격으로 짝수 개 배치되는 자석재료와, 자석재료의 내측에 배치되어 자석재료의 내측 길이와 대략 동일한 외주 길이를 구비함과 동시에, 대향하는 자석재료 쪽으로, 인접하는 것끼리 역극의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계 발생부를 자석재료와 동수 구비하는 착자기와, 착자기에 접속되어 자계 발생부에 전류를 1회만 흘림으로써 자석재료의 착자에 필요한 자계를 발생시키는 전원장치를 갖고, 하나의 자석재료의 중심과 대향하는 자계 발생부의 중심이, 아우터 요크 내부의 둘레 방향에서, 360°를 자석재료 수의 2배의 수로 나눈 각도 이하만큼 어긋나 있다.

Description

착자장치 및 착자방법
마그넷 구동펌프에서의 마그넷 커플링 기구를 구성하는 자석을 착자(着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자기작용에 의해 기어 등의 구동체를 구동시키는 마그넷 커플링(자기 커플링) 기구를 갖는 펌프의 시장요구는 근래 더욱 높아지는 경향을 가진다. 이러한 마그넷 커플링 기구를 갖는 펌프 업계에서, 기어 펌프는 마그넷 커플링에 사용되는 자석의 고성능화에 따라 다양한 유체에 채용되고 있다. 특히, 고점도 유체의 정량 이송이나 계량 이송 또는 유압 동력 전달장치에서는 고압력 발생기로서 다양한 회전 속도 영역(回轉速度域)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모터나 발전기 등의 회전기의 구동 기구에서 사용되는 자석을 효율적으로 착자시키는 방법에 관해서는 종래 활발히 연구·개발이 이루어지며, 그 성과가 다수 특허 출원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로터에 고정한 복수의 희토류 자석에 대해서 높은 착자율로 착자를 수행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특허문헌 2에서는, "무착자 부분을 가능한 한 줄인 고성능인 자석을 간단한 방법으로 이루고, 굵은 선의 여자 코일을 채용함으로써 요크의 펑크를 방지할 수 있는 착자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2002-124414호 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2002-204542호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대규모 회전기의 구동 기구에서의 기술이며, 비교적 작은 자석재료를 착자시키는 동작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종래기술은 모두 착자동작이 복수 회 이루어지는 것에 기초하여, 자석재료를 착자시키는 작업 전체로서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마그넷 구동펌프를 구동시키는 마그넷 커플링 기구와 같이 비교적 작은 자석재료를 착자시킬 때, 착자동작을 복수 회 수행하지 않아 비용을 억제하고, 피착자물의 착자 정도도 높이는 착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하는 착자장치의 일 형태는 강자성체로 형성되고, 중공 원통형의 아우터 요크와, 이방성 자석의 피착자물이며, 상기 아우터 요크의 내면에, 그리고, 동일한 둘레 상에 등간격으로 짝수 개 배치되는 제1 자석재료와, 상기 제1 자석재료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자석재료의 내측 길이와 대략 동일한 외주 길이를 구비함과 동시에, 철심과 상기 철심 주위에 감기는 코일로 구성되고, 상기 코일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대향하는 상기 제1 자석재료 쪽으로 자계를 발생시키는 제1 자계 발생부이며, 인접하는 것끼리 역극의 자계를 발생시키는 상기 제1 자계 발생부를, 상기 제1 자석재료와 동수(同數) 구비하는 제1 착자기(着磁器)와, 상기 제1 착자기에 접속되어 상기 코일에 전류를 1회만 흘림으로써 상기 제1 자석재료의 착자에 필요한 자계를 발생시키는 착자 전원장치를 갖는 착자장치이며, 하나의 상기 제1 자석재료의 중심과 상기 하나의 제1 자석재료에 대향하는 상기 제1 자계 발생부 중심이, 상기 아우터 요크 내부의 둘레 방향(周方向)에서, 360°를 상기 제1 자석재료 개수의 2배의 수로 나눈 각도 이하만큼 어긋나며, 상기 제1 자석재료 및 상기 아우터 요크로 구성되는 아우터 마그넷이, 이너 마그넷과의 자기결합에 의해 펌프의 구동체를 구동시키는 마그넷 커플링 기구를 형성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하는 착자장치는 마그넷 구동펌프를 구동시키는 마그넷 커플링 기구와 같이 비교적 작은 자석재료를 착자시킬 때, 착자 동작을 복수 회 수행하지 않아 비용을 억제하고, 피착자물의 착자 정도도 높인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아우터 마그넷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착자기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너 마그넷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자석재료와 제1 자계 발생부와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2 자석재료와 제2 자계 발생부와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착자장치에 의한 착자성능의 계측 결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그넷 구동펌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착자장치의 구조)
도 1 내지 7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착자장치(1)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아우터 마그넷(24)(아우터 요크(2) 및 제1 자석재료(4)를 포함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제1 착자기(着磁器)(6)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이너 마그넷(26)(이너 요크(16) 및 제2 자석재료(18)를 포함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5는, 착자 동작 시에서의 자석재료(4, 18)와 자계 발생부(8, 22)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착자장치(1)에 의한 착자성능의 계측 결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마그넷 구동펌프(3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착자장치(1)는, 아우터 요크(2), 제1 자석재료(4), 제1 착자기(6), 착자 전원장치(14), 이너 요크(16), 제2 자석재료(18), 제2 착자기(20)를 가진다.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 요크(2)는 탄소강과 같은 강자성체로 형성되며, 중공 원통형 또는 컵형의 형상을 이루는 부위이다.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자석재료(4)는 네오디뮴 자석, 사마륨·코발트 자석 등의 이방성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착자장치(1)에 의한 착자대상이 되는 피착자물이다. 제1 자석재료(4)는 아우터 요크(2)의 내면에, 그리고, 동일한 둘레 상에 등간격으로 짝수 개 배치된다. 각 제1 자석재료(4)는 미세한 차는 있으나 대략 동일한 형상이다. 제1 자석재료(4)는 직방체와 같은 형상이라도 좋고, 또한, 아우터 요크(2)의 내면을 따른 동심원 형상을 이루어도 좋고, 이 경우, 대략 동일한 형상의 제1 자석재료(4)는 연접(連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착자기(6)는 제1 자석재료(4)와 동수의 제1 자계 발생부(8)를 구비한다. 제1 자계 발생부(8)는, 철심(10)과, 철심(10) 주위에 감기는 코일(12)로 구성되며, 코일(12)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대향하는 제1 자석재료(4) 쪽으로 자계를 발생시키는 부위이다. 제1 자계 발생부(8)는 제1 자석재료(4)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1 자석재료(4)의 내측 길이와 대략 동일한 외주 길이를 구비한다. 또한, 인접하는 제1 자계 발생부(8)는 각각 역극(逆極)의 자계를 발생시킨다.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요크(16)는 탄소강과 같은 강자성체로 형성되며, 원통형(원주형)의 형상을 이루는 부위이다. 단, 이너 요크(16)는 자석의 형상에 정합하여 다각형 형상이라도 좋다.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자석재료(18)는 네오디뮴 자석, 사마륨·코발트 자석 등의 이방성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착자장치(1)에 의한 착자대상이 되는 피착자물이다. 제2 자석재료(18)는 이너 요크(16)의 외면에, 그리고, 동일한 둘레 상에 등간격으로 짝수 개 배치된다. 각 제2 자석재료(18)는 미세한 차는 있으나, 대략 동일한 형상이다. 제2 자석재료(18)는 직방체와 같은 형상이라도 좋고, 또한, 이너 요크(16)의 외면을 따른 동심원 형상을 이루어도 좋으며, 이 경우, 대략 동일한 형상의 제2 자석재료(18)는 연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제2 착자기(20)는 제2 자석재료(18)와 동수의 제2 자계 발생부(22)를 구비한다. 제2 자계 발생부(22)는, 철심(10)과, 철심(10) 주위에 감기는 코일(12)로 구성되며, 코일(12)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대향하는 피착자물인 제2 자석재료(18) 쪽으로 자계를 발생시키는 부위이다. 제2 자계 발생부(22)는 제2 자석재료(18)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2 자석재료(18)의 외측 길이와 대략 동일한 내주 길이를 구비한다. 또한, 인접하는 제2 자계 발생부(22)는 각각 역극의 자계를 발생시킨다.
착자 전원장치(14)는 제1 착자기(6)에 접속되고, 코일(12)에 큰 전류를 1회만 흘림으로써, 제1 자석재료(4)의 착자에 필요한 큰 자계를 발생시킨다. 또한, 착자 전원장치(14)는 제2 착자기(20)에 접속되고, 코일(12)에 큰 전류를 1회만 흘림으로써, 제2 자석재료(18)의 착자에 필요한 큰 자계를 발생시킨다.
착자 전원장치(14)는 교류전원을 충전회로에서 제어하고 변압기로 승압시키며, 그 후, 정류회로에서 직류로 변환하여 콘덴서 뱅크에 전하를 저축한다. 그리고, 착자 전원장치(14)는 이 저축된 에너지에 대해서 방전회로를 ON으로 하여, 순간적으로 코일(12)에 큰 전류를 흘려 착자에 필요한 고자계를 발생시킨다.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자장치(1)에서는 제1 자석재료(4)의 중심과 제1 자석재료(4)에 대향하는 제1 자계 발생부(8)의 중심이, 아우터 요크(2) 내부의 둘레 방향에서, 360°를 제1 자석재료(4) 개수의 2배의 수로 나눈 각도 이하만큼 어긋나 있다. 즉, 착자장치(1)에서는 아우터 요크(2) 내부의 둘레 방향에서, 제1 자계 발생부(8)의 단부와 개개의 제1 자석재료(4)의 단부가 일치하지 않고 어긋나 있으며, 양단부 둘레 방향의 어긋남 각은 360° ÷ "제1 자석재료(4)의 개수" ÷ 2 이하가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자장치(1)에서는 제2 자석재료(18)의 중심과 제2 자석재료(18)에 대향하는 제2 자계 발생부(22)의 중심이, 이너 요크(16)의 둘레 방향에서, 360°를 제2 자석재료(18) 개수의 2배의 수로 나눈 각도 이하만큼 어긋나 있다. 즉, 착자장치(1)에서는 이너 요크(16)의 둘레 방향에서, 제2 자계 발생부(22)의 단부와 개개의 제2 자석재료(18)의 단부가 일치하지 않고 어긋나 있으며, 양단부의 반경 방향의 어긋남 각은 360° ÷ "제2 자석재료(18)의 개수" ÷ 2 이하가 된다.
상기와 같이, 자석재료(4, 18)의 중심과 자계 발생부(8, 22)의 중심이 둘레 방향에서 어긋남으로써, 착자장치(1)가 착자 동작을 복수 회 수행하지 않아 비용을 억제하고, 피착자물(4, 18)의 착자 정도도 높일 수 있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의 착자장치와 같이, 둘레 방향에서, 자계 발생부의 단부와 개개의 자석재료의 단부를 일치시키고, 착자 전원장치에 의해 착자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인접하는 자석 재료 사이(틈새)가 미착자 영역이 된다. 이 미착자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인접하는 자석재료 사이 반(反)자장 영역이 형성되고, 또한, 여기에는 역극이 출현하기 쉬워지므로 손실이 된다.
한편, 착자장치(1)와 같이, 둘레 방향에서, 자계 발생부(8, 22)의 단부와 개개의 자석재료(4, 18) 단부를 일치시키지 않고, 어긋나게 배치하는 경우, 1개의 자석재료(4, 18) 중에 N극 영역과 S극 영역이 출현한다. 그리고 이 경우, 인접하는 자석재료(4, 18)의 이음매 부위가 동일한 극이 되고, 종래 방법에서 반자장 영역 밖으로 자계가 빠져나가기 어려운 상태에서, 이음매 부위에서 발생하는 반발 자장이 보다 강한 자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도 6은, 상기 어긋남 각도를 변화시킨 경우, 풀 착자(도면 중의 100% 기준선)에 비해 착자장치(1)에 의한 자석재료(4, 18)의 착자 정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계측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6에서는 제1 자석재료(4)의 개수를 8개로 한다.
도 6에서 도시하는 계측 결과에서는, 상기 어긋남 각도가 커짐에 따라 착자의 정도가 개선되며, 어긋남 각도가 22.5°(=360° ÷ "제1 자석재료(4)의 개수 = 8개" ÷ 2)일 때, 착자의 정도는 피크가 되며, 풀 착자 상태를 초과하는 결과가 된다. 또한, 풀 착자는 공심(空心) 코일 내에서 자석 단일체(單體)에 충분히 강한 자계를 인가함으로써 수행되고, 이 때 자석은 거의 포화자화(飽和磁化)에 달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자기(1)에 의해 착자된 제1 자석재료(4) 및 아우터 요크(2), 및, 제2 자석재료(18) 및 이너 요크(16)는 펌프(30)의 구동체로서 사용된다. 아우터 요크(2) 및 제1 자석재료(4)의 조합은 아우터 마그넷(24)으로 불리며, 이너 요크(16) 및 제2 자석재료(18)의 조합은 이너 마그넷(26)으로 불린다.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30)는 아우터 마그넷(24)과 이너 마그넷(26)의 자기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마그넷 커플링 기구(28)에 의해서 구동체가 구동되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근거하여 착자장치(1)는 마그넷 구동펌프(30)를 구동시키는 마그넷 커플링 기구(28)와 같이 비교적 작은 자석재료(4, 18)를 착자시킬 때, 착자 동작을 복수 회 수행하지 않아 비용을 억제하고, 피착자물(4, 18)의 착자 정도도 높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착자장치의 사용방법)
도 4, 5 및 6을 이용하여 착자장치(1)에 의한 착자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자장치(1)에서, 제1 자석재료(4)의 중심과 제1 자석재료(4)에 대향하는 제1 자계 발생부(8)의 중심이, 아우터 요크(2) 내부의 둘레 방향에서 360°를 제1 자석재료(4) 개수의 2배의 수로 나눈 각도 이하만큼 어긋나 있고, 제1 착자기(6)에 아우터 요크(2) 및 제1 자석재료(4)를 설치한다. 즉, 착자장치(1)에서는 아우터 요크(2) 내부의 둘레 방향에서, 제1 자계 발생부(8)의 단부와 개개의 제1 자석재료(4)의 단부가 일치하지 않고 어긋나 있으며, 양단부 둘레 방향의 어긋남 각은 360° ÷ "제1 자석재료(4)의 개수" ÷ 2 이하가 된다.
착자 전원장치(14)에서, 교류전원을 충전회로에서 제어하여 변압기로 승압시키고, 그 후, 정류회로에서 직류로 변환하여 콘덴서 뱅크에 전하를 저축한다. 그리고, 착자 전원장치(14)에서, 이 저축된 에너지에 대해서 방전회로를 ON으로 하고, 순간적으로 코일(12)에 통전, 코일(12)에 큰 전류를 흘려 착자에 필요한 고자계를 발생시킨다. 이 착자 동작은 아우터 요크(2) 및 복수의 제1 자석재료(4)로 형성되는 1쌍의 아우터 마그넷(24)에 대해 1회만 이루어진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자장치(1)에서 제2 자석재료(18)의 중심과 제2 자석재료(18)에 대향하는 제2 자계 발생부(22)의 중심이, 이너 요크(16)의 둘레 방향에서 360°를 제2 자석재료(18) 개수의 2배의 수로 나눈 각도 이하만큼 어긋나 있고, 제2 착자기(20)에 이너 요크(16) 및 제2 자석재료(18)를 설치하는 즉, 착자장치(1)에서는 이너 요크(16)의 둘레 방향에서 제2 자계 발생부(22)의 단부와 개개의 제2 자석재료(18)의 단부가 일치하지 않고 어긋나 있으며, 양단부의 반경 방향의 어긋남 각은 360° ÷ "제2 자석재료(18)의 개수" ÷ 2 이하가 된다.
착자 전원장치(14)에서, 교류전원을 충전회로에서 제어하여 변압기로 승압시키고, 그 후, 정류회로에서 직류로 변환하여 콘덴서 뱅크에 전하를 저축한다. 그리고, 착자 전원장치(14)에서, 이 저축된 에너지에 대해 방전회로를 ON으로 하고, 순간적으로 코일(12)에 통전, 코일(12)에 큰 전류를 흘려 착자에 필요한 고자계를 발생시킨다. 이 착자 동작은 이너 요크(16) 및 복수의 제2 자석재료(18)로 형성되는 1쌍의 이너 마그넷(26)에 대해 1회만 이루어진다.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착자장치(1)에 의한 착자방법에 의해 적어도 자석재료(4, 18)와 자계 발생부(8, 22)가 어긋나지 않고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자석재료(4, 18) 착자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착자장치(1)에 의한 착자방법에서는 자석재료(4, 18)와 자계 발생부(8, 22)와의 어긋남의 크기가 특정 범위인 경우, 자석재료(4, 18)의 착자의 정도를, 풀 착자 상태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착자장치(1)에 의한 착자방법은 마그넷 구동펌프(30)를 구동시키는 마그넷 커플링 기구(28)와 같이 비교적 작은 자석재료(4, 18)를 착자시킬 때, 착자 동작을 복수 회 수행하지 않아 비용을 억제하고, 피착자물(4, 18)의 착자 정도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1: 착자장치
2: 아우터 요크
4: 제1 자석재료
6: 제1 착자기
8: 제1 자계 발생부
10: 철심
12: 코일
14: 착자 전원장치
16: 이너 요크
18: 제2 자석재료
20: 제2 착자기
22: 제2 자계 발생부
24: 아우터 마그넷
26: 이너 마그넷
28: 마그넷 커플링 기구
30: 마그넷 구동펌프

Claims (6)

  1. 강자성체로 형성되고, 중공 원통형의 아우터 요크와,
    이방성 자석의 피착자물이며, 상기 아우터 요크의 내면에, 그리고, 동일한 둘레 상에 등간격으로 짝수 개 배치되는 제1 자석재료와,
    상기 제1 자석재료의 내측에 배치되고, 철심과 상기 철심 주위에 감기는 코일로 구성되며, 상기 코일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대향하는 상기 제1 자석재료 쪽으로 자계를 발생시키는 제1 자계 발생부이며, 인접하는 것끼리 역극의 자계를 발생시키는 상기 제1 자계 발생부를 상기 제1 자석재료와 동수 구비하는 제1 착자기와,
    상기 제1 착자기에 접속되고, 상기 코일에 전류를 1회만 흘림으로써 상기 제1 자석재료의 착자에 필요한 자계를 발생시키는 착자 전원장치를 갖는 착자장치로서,
    하나의 상기 제1 자석재료의 중심과 상기 하나의 제1 자석재료에 대향하는 상기 제1 자계 발생부의 중심이, 상기 아우터 요크 내부의 둘레 방향에서 360°를 상기 제1 자석재료 개수의 2배의 수로 나눈 각도 이하만큼 어긋나 있고,
    상기 제1 자석재료 및 상기 아우터 요크로 구성되는 아우터 마그넷이, 이너 마그넷과의 자기 결합에 의해 펌프의 구동체를 구동시키는 마그넷 커플링 기구를 형성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재료끼리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재료가, 상기 아우터 요크의 내면을 따른 동심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자석재료가 연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자장치.
  4. 강자성체로 형성되고, 중공 원통형의 아우터 요크와,
    이방성 자석의 피착자물이며, 상기 아우터 요크의 내면에, 그리고, 동일한 둘레 상에 등간격으로 짝수 개 배치되는 제1 자석재료와,
    상기 제1 자석재료의 내측에 배치되고, 철심과 상기 철심 주위에 감기는 코일로 구성되며, 상기 코일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대향하는 상기 제1 자석재료 쪽으로 자계를 발생시키는 제1 자계 발생부이며, 인접하는 것끼리 역극의 자계를 발생시키는 상기 제1 자계 발생부를 상기 제1 자석재료와 동수 구비하는 제1 착자기와,
    상기 제1 착자기에 접속되고, 상기 코일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상기 제1 자석재료의 착자에 필요한 자계를 발생시키는 착자 전원장치를 갖는 착자장치를 사용하는 착자방법으로서,
    하나의 상기 제1 자석재료의 중심과 상기 하나의 제1 자석재료에 대향하는 상기 제1 자계 발생부의 중심을, 상기 아우터 요크 내부의 둘레 방향에서 360°를 상기 제1 자석재료 개수의 2배의 수로 나눈 각도 이하가 되도록 비켜 놓고,
    인접하는 것끼리 역극이 되도록 상기 제1 자석재료를 착자시키기 위해 필요한 자계를 발생시키는 전류를 상기 착자 전원장치로부터 상기 코일에 1회만 흘림으로써 상기 제1 자석재료의 착자를 수행하고,
    상기 제1 자석재료 및 상기 아우터 요크로 구성되는 아우터 마그넷이, 이너 마그넷과의 자기 결합에 의해 펌프의 구동체를 구동시키는 마그넷 커플링 기구를 형성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자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재료끼리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자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재료가, 상기 아우터 요크의 내면을 따른 동심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자석재료가 연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자방법.
KR1020217007404A 2019-10-01 2020-04-10 착자장치 및 착자방법 KR102272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81689 2019-10-01
JP2019181689A JP6664767B1 (ja) 2019-10-01 2019-10-01 着磁装置、着磁方法及びマグネット駆動のポンプ
PCT/JP2020/016211 WO2021065057A1 (ja) 2019-10-01 2020-04-10 着磁装置及び着磁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067A KR20210041067A (ko) 2021-04-14
KR102272599B1 true KR102272599B1 (ko) 2021-07-02

Family

ID=7000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404A KR102272599B1 (ko) 2019-10-01 2020-04-10 착자장치 및 착자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64767B1 (ko)
KR (1) KR102272599B1 (ko)
CN (1) CN112103025B (ko)
TW (1) TWI712056B (ko)
WO (1) WO20210650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6166A (ko) 2021-12-22 2023-06-3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더블 스포크 타입 회전자의 착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5851A (zh) * 2021-02-04 2021-04-09 沈阳农业大学 一种磁化催陈设备及催陈方法
KR20230001591A (ko) 2021-06-28 2023-01-05 김주용 이방성 3d 영구자석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0309A1 (ja) 2016-01-27 2017-08-03 三菱電機株式会社 着磁方法、回転子、電動機およびスクロール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1118U (ko) * 1978-12-20 1980-06-24
JPS62203536A (ja) * 1986-03-03 1987-09-08 Yaskawa Electric Mfg Co Ltd サ−ボモ−タのマグネツト着磁方法
JP2002124414A (ja) 2000-08-11 2002-04-26 Sumitomo Special Metals Co Ltd 希土類磁石の着磁方法および回転機の製造方法
JP3685716B2 (ja) 2000-12-28 2005-08-24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軸方向空隙型モータ用永久磁石の着磁方法、同着磁方法により作成された永久磁石およびその磁石を作成する着磁装置、同磁石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モータ。
JP2007142083A (ja) * 2005-11-17 2007-06-07 Kaneka Corp マグネットローラ
WO2009077376A1 (de) * 2007-12-14 2009-06-25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absorbierender polymerpartikel
JP6458225B2 (ja) * 2017-03-24 2019-01-30 大東工業株式会社 マグネットギアポン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0309A1 (ja) 2016-01-27 2017-08-03 三菱電機株式会社 着磁方法、回転子、電動機およびスクロール圧縮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6166A (ko) 2021-12-22 2023-06-3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더블 스포크 타입 회전자의 착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15750A (zh) 2021-04-16
CN112103025A (zh) 2020-12-18
KR20210041067A (ko) 2021-04-14
TWI712056B (zh) 2020-12-01
WO2021065057A1 (ja) 2021-04-08
JP6664767B1 (ja) 2020-03-13
JP2021057537A (ja) 2021-04-08
CN112103025B (zh)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599B1 (ko) 착자장치 및 착자방법
JP6223418B2 (ja) 永久磁石の磁束密度が強化された改良型dc電気モータ/ジェネレータ
US10965174B2 (en) Power generator
SE465696B (sv) Elektrisk motor och anordning foer matning av en saadan motor
US20130187504A1 (en) Dynamo-electric machine
US10693331B2 (en) Synchronous machine with magnetic rotating field reduction and flux concentration
CN102044921A (zh) 电机中的未磁化永磁体段的磁化
CN111313642A (zh) 具有永磁激励的内定子的电机
US10122230B2 (en) Permanent-field armature with guided magnetic field
EP2493055A2 (en) Permanent-magnet type electric rotating machine
CN102577054A (zh) 线性马达
US20150022043A1 (en) Electric motor
EP4050761A1 (en) Wound stator core, stator comprising such a co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RU2718537C1 (ru) Способ намагничивания и сборки кольца Хальбаха ротора электромашины (варианты)
RU2609524C1 (ru) Многофазный мотор-генератор с магнитным ротором
CN109075680B (zh) 旋转发电机
RU2586116C1 (ru)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с возвратно-поступательным движением якоря
KR101772271B1 (ko) 역기전력 저감 발전장치
US20100308675A1 (en) External split field generator
AU2020200468A1 (en) Permanent magnet flux ring generator
KR20200122528A (ko) 비 자성체 코어 발전방식
CN105846616A (zh) 隐形磁极与凸极电磁混合励磁发电装置转子生产方法
JPH0628945Y2 (ja) 永久磁石型電動機
KR950008391B1 (ko) 코일리스(coilless) 모터
RU2566099C1 (ru) Многовитковая униполярная машина без скользящих конта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