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072B1 - 나노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2072B1 KR102272072B1 KR1020190114581A KR20190114581A KR102272072B1 KR 102272072 B1 KR102272072 B1 KR 102272072B1 KR 1020190114581 A KR1020190114581 A KR 1020190114581A KR 20190114581 A KR20190114581 A KR 20190114581A KR 102272072 B1 KR102272072 B1 KR 1022720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tive ingredient
- nanoliposome
- flavonoid
- dissolved phase
- ph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리포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상 베이스, 유상 베이스 및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의 용해상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상 베이스에 상기 유상 베이스 및 상기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의 용해상을 순차적으로 혼합하여 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화액에 상기 유효성분의 용해상을 부가하고 고압 유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효성분의 용해상은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 및 알콕시 글라이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나노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료 유효성분인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성분을 안정화시키고 피부 투과도를 개선할 수 있는 나노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유효성분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나노리포좀은 수상 성분과 유상 성분의 계면 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다양한 화장료 유효성분을 안정화시키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나노리포좀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수상성분에 가용화제로서 폴리에틸렌글라이콜과 같은 폴리올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폴리올을 적용하면 유효성분에 대한 나노리포좀을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61610호에서는 난용성 약물의 안정화를 위하여 글리콜류 용해제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형태의 트리블록 공중합체류를 혼합하여 수상을 제조함으로써 난용성 약물의 안정화를 달성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82984호에서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를 안정화하기 위하여 글리세릴 에스테르 및 폴리올류와 에탄올을 함유하는 혼합액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을 안정화하기 위하여 유기 용매 대신에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는 예도 개시되어 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42026호).
이러한 종래기술들에 사용하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과 같은 폴리올류는 중합 과정에서 발암물질인 1,4-다이옥산이 잔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피이지 프리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13835호를 들 수 있는데, 상기 선행문헌에서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지 않고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 및 설포석시네이트계 용액을 포함하는 피이지 프리 가용화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피이지 프리 형태의 나노리포좀을 제조하는 경우 유효성분의 가용화가 불충분하여 이를 대체하기 위한 물질과 그 구성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27777호에서는 울솔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나노 캡슐화된 화장료를 제조할 때 울솔산을 가용화하는 용매로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톡시디글리콜 등에 용해시키고 있어 피이지 프리로 나노 캡슐을 제조하고 있으나, 이는 울솔산의 용해성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서, 이러한 용매의 선택에 의해 특정 유효성분을 안정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난용성 유효성분을 안정화할 수 있는 나노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폴리올을 가용화제로 사용하지 않고도 난용성 유효성분을 안정화할 수 있는 수상 및 유상 성분을 통해 나노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은 수상 베이스, 유상 베이스 및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의 용해상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상 베이스에 상기 유상 베이스 및 상기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의 용해상을 순차적으로 혼합하여 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화액에 상기 유효성분의 용해상을 부가하고 고압 유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효성분의 용해상은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 및 알콕시 글라이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은 아피제닌(apigenin), 루테올린(luteolin), 제니스테인(genistein), 케르세틴(quercetin), 캠퍼롤(kaempferol),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은 상기 나노리포좀 100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의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알콕시 글라이콜은 에톡시다이글라이콜(ethoxydiglycol), 다이에톡시다이글라이콜(diethoxydiglycol), 부톡시다이글라이콜(butoxydiglycol)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리포좀은 평균 크기가 10㎚ 내지 1㎛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리포좀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난용성 유효성분을 안정화할 수 있는 나노리포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올을 가용화제로 사용하지 않고도 난용성 유효성분을 안정화할 수 있는 수상 및 유상 성분을 통해 나노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리포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나노리포좀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로서 14일 후(a) 및 90일 후(b)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나노리포좀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로서 14일 후(a) 및 90일 후(b)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즉, 수상 베이스, 유상 베이스 및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의 용해상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상 베이스에 상기 유상 베이스 및 상기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의 용해상을 순차적으로 혼합하여 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화액에 상기 유효성분의 용해상을 부가하고 고압 유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수상과 유상을 혼합한 유화액에 유효성분을 부가하여 고압 유화함으로써 나노리포좀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나노리포좀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제조방법과 공정순서 상에서 동일한 것이다.
상기 유효성분의 용해상은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 및 알콕시 글라이콜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던 폴리에틸렌글라이콜(polyethylene glycol, PEG)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알콕시 글라이콜의 수산기는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에 존재하는 수산기와 수소결합을 형성하고 알콕시기는 유상에 용해성을 높여 유효성분 분자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은 아피제닌(apigenin), 루테올린(luteolin), 제니스테인(genistein), 케르세틴(quercetin), 캠퍼롤(kaempferol),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알콕시 글라이콜로는 에톡시다이글라이콜(ethoxydiglycol), 다이에톡시다이글라이콜(diethoxydiglycol), 부톡시다이글라이콜(butoxydiglycol)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콕시 글라이콜 외에 가용성 용매로서 에틸렌 글라이콜, 부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디에틸렌 글라이콜, 디프로필렌 글라이콜과 같은 알킬렌 글라이콜을 사용하는 경우 알콕시 글라이콜과 같은 유효성분의 안정화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알콕시 글라이콜과는 달리 알킬렌 글라이콜은 2개의 수산기를 가지고 있어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분자와 2개의 반응 사이트에서의 결합이 일어나기 때문에 유효성분이 안정화되지 못하고 오히려 부분 분산이나 부분 응집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특히, 난불용성 성분인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분자는 용해상을 제조하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는 가용성 용매의 종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알콕시 글라이콜의 사용은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나노리포좀의 제조를 위해 필수적인 것이다.
난불용성 성분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에톡시 글라이콜을 유효성분과 함께 혼합할 때 수상 베이스에 특정 계면활성제를 일정량 추가하면 더 나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유효성분인 플라보노이드 계열 화합물의 안정적 분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용해상과 혼합된 후 안정화된 유지시간이 증가하여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용해상에 상기 에톡시 글라이콜 외에 다른 첨가제를 추가하는 경우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이 쉽게 불안정화되는 문제점이 있어 용해상이 아닌 수상 베이스에 계면활성제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상 베이스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소량의 계면활성제를 부가함으로써 유상과 수상의 혼합뿐만 아니라 유화액에 상기 용해상을 부가할 때 유효성분이 안정적으로 나노리포좀 내에 포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이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함유되면 나노리포좀의 밀도를 증가시켜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을 안정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베타인(Betaine)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알킬 베타인, 알킬 설포베타인, 아실 베타인, 알킬이미다졸리늄 베타인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타인 계열의 계면활성제 중 C12 내지 C16의 알킬 베타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알킬 베타인으로는 도데실베타인(dodecylbetaine), 테트라데실베타인(tetradecylbetaine), 헥사데실베타인(hexadecylbetaine),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betaine), 코카미도프로필디메틸하이드록시설포베타인(cocamidopropyldimethylhydroxysulphobetai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베타인 계열의 계면활성제는 4차 암모늄이나 포스포늄과 같은 양이온 기와 카복실기와 같은 음이온 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알킬 베타인의 경우 알킬기의 길이에 따라 친수성/소수성 비가 달라지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나노리포좀의 밀도가 조절되며, 알콕시 글라이콜과의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유효성분의 용해상을 기준으로 결정하는데, 이는 수상, 유상 및 용해상이 혼합될 때 계면활성제가 미치는 용해상에의 영향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유효성분의 용해상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록사머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록사머계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EO) 단위와 폴리옥시프로필렌(PO) 단위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로서 상기 베타인 계열의 계면활성제로부터 유래하는 양이온 기와 음이온 기의 분포를 일정하게 하면서 나노리포좀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유효성분을 안정화시켜 나노리포좀의 밀도 균일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록사머계 계면활성제인 EO-PO-EO의 삼중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록사머로는 소수성기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것이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소수성기의 크기가 큰 경우 마이셀의 중심부 직경이 증가하면서 이를 통해 혼합된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작용하는 용해상 및 유상 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이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폴록사머로는 F-127(PO 67mol), L-121(PO 68mol), P-123(PO 함량 70mol) 등을 들 수 있다. 즉, 소수성 부분인 PO가 60몰 이상인 폴록사머의 경우 마이셀을 형성할 때의 직경 면에서 베타인 계열 계면활성제의 분산에 유리한 것으로 추측되었다. 또한, 상기 폴록사머에서 F-127, L-121, P-123은 EO의 총함량이 각각 198, 10, 40몰로서 EO의 분자 길이 면에서 차이가 크나 친수성 기의 길이와 베타인 계열 계면활성제의 혼합에 따른 분산성이나 용해상 및 유상 베이스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병용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함량을 정하게 되며, 유효성분의 용해상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0.05 중량%의 범위에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함량 범위에서 알콕시 글라이콜을 함유하는 유효성분의 용해상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의 용해상에서 상기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은 상기 나노리포좀 100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의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의 함량이 많아지면 나노리포좀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효성분의 함량이 감소할수록 나노리포좀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를 고려하면 적어도 0.01 중량% 이상은 함유해야 유의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은 수상 베이스와 유상 베이스의 유화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수상 베이스와 유상 베이스는 통상의 나노리포좀 제조 시 사용되는 성분들과 차이가 없는 것이다.
상기 수상 베이스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정제수는 통상적으로 유상 및 수상 베이스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70 중량%의 범위에서 함유될 수 있는데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각 성분의 합계량이 100 중량%가 되도록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상 베이스에는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분산제, 연화제, 유화제, 산화방지제, 증점제 등이 첨가되어 형성되는데, 이들의 배합량은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범위와 차이가 없다.
또한, 상기 유상 베이스, 수상 베이스, 유효성분의 용해상은 각각 별도로 제조되어 저장용기에 보관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제조 순서는 상관이 없다.
또한, 상기 수상 베이스에 유상 베이스, 유효성분의 용해상을 차례로 혼합하면서 유화 공정을 수행하는데, 상기 유화 공정이 종료된 후 고압 유화를 수행하여 나노리포좀을 제조하게 된다. 고압 유화 공정은 유화 공정에 의해 얻어진 생성물을 여과한 후 상기 유효성분의 용해상을 투입하고 1,000 내지 1,200 bar의 압력을 가하면서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고압 유화 공정을 통해 얻어지는 나노리포좀은 평균 크기가 10㎚ 내지 1㎛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평균 입경 범위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으로 함유될 때 도포, 흡수 등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리포좀의 제조방법이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시험 평가를 실시하였다.
표 1에서와 같은 비율로 유상 베이스 및 수상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표 1에서 함량은 모두 중량%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Pluronic P-123을 사용하였으며,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을 사용하였다. 유효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계 분자인 아피제닌을 사용하였다.
성분 | 실시예 | 비교예1 | 비교예2 | |
유상 |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 15 | 15 | 15 |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 4 | 4 | 4 | |
콜레스테롤 | 1 | 1 | 1 | |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 4 | 4 | 4 | |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 1 | 1 | 1 | |
토코페릴아세테이트 | 0.3 | 0.3 | 0.3 | |
수상 |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부틸렌글라이콜 | 3 | 3 | 3 | |
1,2-헥산다이올 | 2 | 2 | 2 | |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 | 0.20 | - | - | |
P-123 | 0.15 | - | - | |
유효 성분 |
아피제닌 | 0.1 | 0.1 | 0.1 |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 - | 20 | - | |
PEG-400 | - | 20 | ||
에톡시글라이콜 | 20 | - |
유효성분의 용해상을 제조하기 위하여 100㎖ 비이커에 아피제닌(Apigenin)과 나머지 성분을 투입한 후 70℃에서 투명해질 때까지 용해하였다.
유상 베이스의 제조를 위하여 250㎖ 비이커에 카프릴릭/카프릭 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Cetylethylhexanoate), 콜레스테롤(Cholesterol),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Polyglyceryl-10 Myristate),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을 가한 후 70℃에서 1000rpm의 속도로 아지 교반하며 용해하였다.
수상 베이스의 제조를 위하여 1L의 비이커에 정제수,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에 계면활성제로서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0.2 중량%), P-123(0.15 중량%)을 부가하고 50℃로 가온하여 용해하였다. 이후, 1,200rpm으로 아지 교반하면서 유상 베이스와 유효성분 용해상을 차례로 천천히 첨가하면서 유화를 진행하였다.
제조된 유화액을 여과한 후 1,000~1,200bar에서 유화(SC Hydraulic, 모델명 11-6094ADLO)하여 나노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나노리포좀의 입도를 분석한 결과 표 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입도 분석은 Malvern사의 Nano Z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리포좀 1%를 수분산시킨 후 측정하였다. 또한, 5회 측정한 평균값으로 입도를 결정하였다.
시료 | Z-average(㎚) | Pdl | Undersize results(㎚) | ||
D(0.1) | D(0.5) | D(0.9) | |||
실시예 | 90.25 | 0.144 | 47.1 | 72.3 | 126 |
비교예1 | 171.8 | 0.246 | 29.3 | 123 | 358 |
비교예2 | 143.5 | 0.178 | 62.6 | 119 | 261 |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의 경우 평균 입자 크기가 90.25㎚로 비교예 1, 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나노리포좀을 형성하였다. 또한, D50에서도 실시예의 경우 72.3㎚이나 비교예 1, 2에서는 각각 123, 119㎚로 나타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나노리포좀이 크기가 적으며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에서 D90이 126㎚로 D50과의 차이가 53.7㎚에 불과하나, 비교예 2의 경우 D90이 261㎚로 D50과의 차이가 14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결과로부터 실시예는 입자 크기가 대단히 균일한 나노리포좀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리포좀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1, 2의 나노리포좀을 저온(5℃), 상온(25℃), 고온(45℃)에 방치하고 14일 경과 후 및 90일 경과 후의 아피제닌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아피제닌이 함량은 1,000ppm을 기준으로 유지되는 함량 비율을 계산한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나노리포좀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로서 14일 후(a) 및 90일 후(b)의 결과이다. 나노리포좀의 분석은 Alilent 1100 HPLC Chemstation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Acetonitrile과 5% acetic acid를 9: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고, 컬럼은 Eclipse XDB-C18, 5㎛, 4.6X150㎜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350㎚ 파장, 30℃ 온도 조건에서 1㎕의 시료를 1㎖/min의 속도로 2.5min 동안 주입하면서 컬럼 통과량을 측정하여 수행하였다.
도 2의 결과를 살펴보면, 비교예 1의 경우 14일 경과 시 고온 및 저온에서의 나노리포좀 유지율이 각각 88, 85%에 불과하여 나노리포좀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90일 경과 후 비교예 1의 나노리포좀은 안정성이 급격히 저하되어 측정결과를 얻을 수 없었고, 비교예 2와 실시예를 살펴보면, 비교예 2에서 상온에서의 나노리포좀 유지율이 저하되어 실시예보다는 안정성이 다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의 경우 일반적인 글라이콜인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을 사용하고 있는데, 유효성분에 대한 용해력은 알콕시 글라이콜과 유사하나 실제로는 유효성분을 안정화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비교예 2에서 사용된 PEG-400은 용해보조제로 널리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인데 용해력과 유효성분의 안정화에서는 알콕시 글라이콜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2의 나노리포좀에 대한 피부 투과성을 시험한 결과는 도 3과 같다. 분석은 FDC-6T Transdermal diffusion cell drive system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인공피부로 Merck MILLIPORE Strat-M™ Membrane(Transdermal diffusion Test Mode 25㎜)를 사용하였으며, 수용 챔버(receptor chamber)로는 PBS (phosphate buffer saline)를 사용하였다. 주입량은 Liposome 1g / Apigenin 1,000㎍의 비율로 하였으며, 채취 시간을 5시간으로 하였다.
도 3의 결과를 살펴보면, 비교예 2에서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할 경우 유효성분의 안정화의 측면에서는 실시예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0.1% 아피제닌의 피부 투과도 측면에서는 실시예의 나노리포좀이 비교예 2에 비해 3배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나노리포좀이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할 때 종래의 나노리포좀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피부 투과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며,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5)
- 수상 베이스, 유상 베이스 및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의 용해상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상 베이스에 상기 유상 베이스 및 상기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의 용해상을 순차적으로 혼합하여 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화액에 상기 유효성분의 용해상을 부가하고 고압 유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수상 베이스는 상기 유효성분의 용해상 전체 중량에 대하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01 내지 0.05 중량%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 0.01 내지 0.1 중량%를 부가하여 제조되며,
상기 유효성분의 용해상은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 및 알콕시 글라이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은 아피제닌(apigenin), 루테올린(luteolin), 제니스테인(genistein), 케르세틴(quercetin), 캠퍼롤(kaempferol),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유효성분은 상기 나노리포좀 100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의 범위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 글라이콜은 에톡시다이글라이콜(ethoxydiglycol), 다이에톡시다이글라이콜(diethoxydiglycol), 부톡시다이글라이콜(butoxydiglycol)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따른 나노리포좀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며, 평균 크기가 10㎚ 내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4581A KR102272072B1 (ko) | 2019-09-18 | 2019-09-18 | 나노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4581A KR102272072B1 (ko) | 2019-09-18 | 2019-09-18 | 나노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3187A KR20210033187A (ko) | 2021-03-26 |
KR102272072B1 true KR102272072B1 (ko) | 2021-07-02 |
Family
ID=7525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4581A KR102272072B1 (ko) | 2019-09-18 | 2019-09-18 | 나노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207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22315B1 (ko) * | 2023-03-31 | 2024-01-08 |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 고분자 다당류를 고함량으로 안정하게 포집한 나노베지클의 제조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2763B1 (ko) | 2002-01-17 | 2004-03-12 | 주식회사 태평양 | 경피흡수 촉진 능력이 우수한 식물성 나노입자의 제조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의약용 외용제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7777B1 (ko) | 2001-09-25 | 2004-04-28 | 엔프라니 주식회사 | 나노캡슐화된 울솔산 및 이의 제조방법 |
CA3023725C (en) * | 2009-10-22 | 2021-09-14 | Vizuri Health Sciences Llc | Methods of producing hydrated flavonoids and use thereof in the preparation of topical compositions |
KR102090165B1 (ko) * | 2013-06-24 | 2020-03-17 | 한국콜마주식회사 | 난용성 화장품의 수용액 분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50030971A (ko) * | 2013-09-13 | 2015-03-23 | 한국콜마주식회사 | 난용성 의약품의 수용액상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561610B1 (ko) | 2013-11-28 | 2015-10-22 | 한국화학연구원 | 난용성 약물이 봉입된 리포좀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약학적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682984B1 (ko) | 2015-05-19 | 2016-12-08 | 한국콜마주식회사 |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
KR101742026B1 (ko) | 2016-03-04 | 2017-06-01 | 한국과학기술원 |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폴리에틸렌글리콜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813835B1 (ko) | 2017-02-17 | 2017-12-29 | 이충근 | 피이지 프리 가용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9
- 2019-09-18 KR KR1020190114581A patent/KR1022720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2763B1 (ko) | 2002-01-17 | 2004-03-12 | 주식회사 태평양 | 경피흡수 촉진 능력이 우수한 식물성 나노입자의 제조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의약용 외용제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3187A (ko) | 2021-03-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40053993A1 (en) | Compositions of tocol-soluble therapeutics | |
US20100144899A1 (en) | Method for preparing nano-emulsions | |
KR101762416B1 (ko) | 화장료용 마이셀 조성물 | |
WO1998047486A1 (fr) | Microemulsion | |
JP2007009199A (ja) | 液晶乳化型組成物 | |
KR102272072B1 (ko) | 나노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 |
WO2002009764A1 (en) | Combination compositions | |
KR102541257B1 (ko) |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조성물 | |
CA2041920A1 (en) | Stable emulsion suitable for pharmaceutical administration, the production thereof and emulsion for pharmaceutical use | |
EP2149362B1 (en) | Vesicle-contain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 |
EP3265177B1 (en) | Formulations of hydrophilic compounds | |
JP5121179B2 (ja) | ベシクル含有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10128335A (ko) | pH 응답성 리포솜 | |
ES2359728T3 (es) | Emulsión cosmética de aceite en agua que contiene el 1,2-hexanodiol. | |
JP4886204B2 (ja) | 水中油型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 |
Angelini et al. | Polymeric aggregates in ionic liquids: the green future of the delivery systems | |
KR20200049592A (ko) | 나노리포솜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 |
JP6832059B2 (ja) | 乳化組成物 | |
JP5117208B2 (ja) | 高極性油配合水中油型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及びその水中油型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の製造方法 | |
JPWO2012105485A1 (ja) | 高分子逆ミセルを含む皮膚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Xie et al. | Effect factors of micelle preparation for a pH-sensitive copolymer containing zwitterionic sulfobetaines | |
EP2691080A1 (en) | Menthol liquids composition | |
KR20200132283A (ko) |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Jena et al. | A Review on Game-changing approach for the Oral Administration of Lipophilic Drug: SEDDS | |
KR20090105396A (ko) | 면역억제제를 함유한 안과용 유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