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684B1 - 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s getting-off-information in public transport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s getting-off-information in public trans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684B1
KR102271684B1 KR1020190117987A KR20190117987A KR102271684B1 KR 102271684 B1 KR102271684 B1 KR 102271684B1 KR 1020190117987 A KR1020190117987 A KR 1020190117987A KR 20190117987 A KR20190117987 A KR 20190117987A KR 102271684 B1 KR102271684 B1 KR 102271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information
terminal
seat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9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6052A (en
Inventor
전준교
Original Assignee
전준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준교 filed Critical 전준교
Priority to KR1020190117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684B1/en
Publication of KR20210036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0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6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은 하차하려는 승객의 하차 지점과 좌석 위치를 승차하려는 승객의 단말기로 제공하여 좌석의 배분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대중교통의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착석자 단말기 및 승차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대중교통차량 내의 좌석에 앉은 착석자의 착석자 단말기로부터 하차 정보를 전송받는 하차 정보 접수부; 및 하차 정보 접수부에 전송된 하차 정보에 기초하여 하차할 착석자가 발생할 좌석 위치 정보를 승차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좌석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Passenger alight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disembarkation point and seat position of the passenger who wants to get off to the terminal of the passenger who wants to get on, so that the seat allocation can be made rationally. A disembark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disembark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connected to a occupant terminal and a occupant terminal through a network and receiving disembarkation information from the occupant's terminal seated in a seat in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and a seat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seat location information where a seated person to be disembarked will occur based on the aligh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alight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to the passenger terminal.

Description

대중교통의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s getting-off-information in public transport}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s getting-off-information in public transport}

본 발명은 대중교통에서 하차하려는 승객 정보를 승차하려는 승객에게 전달하기 위한 대중교통의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차하려는 승객의 하차 지점과 좌석 위치를 승차하려는 승객의 단말기로 제공하여 좌석의 배분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대중교통의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for delivering information of passengers who want to get off from public transportation to passengers who want to get on, and more particularly, provided to the terminal of passengers who want to get off at the disembarkation point and seat position of the passenger who wants to get off It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getting off passengers in public transportation so that seat allocation can be made rationally.

지하철이나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차량은 지정 좌석제로 운영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요금을 내고도 누구는 앉아서 가지만, 누구만 서서 가는 불평등을 경험하게 된다.Since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s such as subways and buses do not operate on a reserved seat system, some people sit and go, but only others stand, even if they pay the same fare.

특히, 누가 먼저 하차할지를 모르는 상황에서 자신이 서있는 앞의 좌석에 앉아있는 승객이 빨리 하차하기를 바라며 서있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고, 이는 순전히 운에 의지하여 좌석을 배정받게 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므로, 이로 인해 승객 사이의 다툼으로 이어지기까지 한다. 따라서, 이러한 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In particular, in a situation where you do not know who will get off first, the reality is that the passenger sitting in the seat in front of you has no choice but to stand hoping to get off quickly. This can even lead to quarrels between passengers. Therefor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mprove this inequality.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대중교통의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차량을 이용하는 승객들에게 하차 승객의 하차 정보를 제공하여 합리적으로 하차 예정 좌석의 배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대중교통의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getting off passengers in public transportation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getting off passengers to passengers using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s such as buses or subways, so a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getting off passengers rationally. It is to provide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passenger alighting of public transportation so that distribution can be mad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대중교통의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getting off passengers in public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another task that i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abl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의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은, 착석자 단말기 및 승차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대중교통차량 내의 좌석에 앉은 착석자의 착석자 단말기로부터 하차 정보를 전송받는 하차 정보 접수부; 및 하차 정보 접수부에 전송된 하차 정보에 기초하여 하차할 착석자가 발생할 좌석 위치 정보를 승차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좌석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A 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for public transpor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connected to a seated passenger terminal and a passeng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 disembark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isembarkation information from the seated terminal; and a seat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seat location information where a seated person to be disembarked will occur based on the aligh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alight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to the passenger terminal.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은 대중교통차량에 승차할 승차자의 승차자 단말기로부터 승차 정보를 전송받는 승차 정보 접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board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boarding information from a passenger terminal of a passenger who is to board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하차 정보는 착석자의 좌석 위치 및 하차 예정지를 포함하며, 승차 정보는 승차자의 승차 예정지 및 하차 예정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lighting information may include a seat position and a scheduled disembarkation location of the occupant, and the riding information may include an expected boarding and disembarkation destination of the passenger.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은 착석자 단말기가 하차 정보 접수부에 착석 사실 및 착석 차량 정보를 전송하면, 착석 차량의 좌석배치도를 착석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착석자가 좌석배치도에서 자신의 좌석에 해당하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좌석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seated terminal transmits the seated fact and seated vehicle information to the alighting information reception unit, the passenger alight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ransmits the seat map of the seated vehicle to the seated terminal to selec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his/her seat on the seat map. It may further include a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to enable.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은 착석자 단말기가 하차 정보 접수부에 착석 사실을 전송하면, 착석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착석자가 착석한 대중교통차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대중교통차량의 좌석배치도를 착석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착석자가 좌석배치도에서 자신의 좌석에 해당하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좌석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seated terminal transmits the seated fact to the alighting information reception unit, the passenger alight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ated terminal to confirm the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in which the seated person is seated, and sits the confirmed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s seating chart It may further include a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transmits to the child terminal so that the seated person can selec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his or her seat on the seating chart.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은 승차자 단말기가 승차 정보 접수부에 승차 예정지 및 승차 예정 차량을 전송하면, 승차자가 승차 예정지에서 승차 예정 차량에 탑승한 후에 착석자의 하차가 일어날 좌석들을 좌석배치도에서 하차 순서대로 표시하여 전송하는 좌석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passenger terminal transmits the expected boarding location and the expected boarding vehicle to the boarding information reception unit, the passenger alight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displays the seats where the passenger will get off after boarding the expected boarding vehicle at the boarding location in the order of getting off on the seating chart. It may further include a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to transmit.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은 승차자 단말기가 승차 정보 접수부에 승차 예정 사실을 전송하면, 승차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승차 예정지에서 승차하여 하차 예정지에서 하차할 수 있는 대중교통차량 정보를 제공하고, 승차자가 승차할 승차 예정 차량을 선택하면, 승차자가 승차 예정지에서 승차 예정 차량에 탑승한 후에 착석자의 하차가 일어날 좌석들을 좌석배치도에서 하차 순서대로 표시하여 전송하는 좌석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provides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information that allows the passenger to get on at the expected boarding point and get off at the expected boarding point by check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 when the passenger terminal transmits the boarding schedule to the boarding information reception unit. When a vehicle to be boarded is selected,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displays and transmits the seats in which the passenger will be disembarked in the order of disembarkation in the seating chart after the passenger boards the vehicle scheduled to be boarded at the intended boarding location.

승차자가 좌석배치도에서 하차 순서대로 표시된 좌석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좌석 정보 제공부에 전송하면, 좌석 정보 제공부는 다른 승차자에게는 상기 선택된 좌석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passenger selects any one of the seats displayed in the order of getting off on the seat map and transmits it to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may not provide the selected seat information to other passengers.

승차자가 승차 예정 차량에 탑승하며 승차자 단말기를 승차 예정 차량의 요금 체결부에 태깅하면, 승차자 단말기는 승차 정보 접수부에 승차 사실을 전송하고,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은 승차자 단말기의 태깅 순서 대로, 하차가 발생하는 좌석 정보를 하차 순서 대로 제공하되, 어느 하나의 승차자 단말기에 전송된 좌석 정보는 다른 승차자 단말기에는 전송되지 않도록 하는 좌석 할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a passenger boards a vehicle to be boarded and tags the passenger terminal to the fare connection unit of the vehicle to be boarded, the passenger terminal transmits the fact of boarding to the boarding information reception unit, and the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proceeds in the order of tagging of the passenger terminal. The generated seat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order of getting off, but the seat information transmitted to any one passeng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seat allocator that prevents it from being transmitted to another passenger terminal.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은 착석자 단말기와 승차자 단말기가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것이 확인되면, 착석자 단말기와 승차자 단말기에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매칭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의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은, 착석자 단말기 및 승차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대중교통차량 내의 좌석에 앉은 착석자의 착석자 단말기로부터 하차 정보를 전송받는 하차 정보 접수부; 하차 정보 접수부에 전송된 하차 정보에 기초하여 하차할 착석자가 발생할 좌석 위치 정보를 승차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좌석 관리부; 및 대중교통차량에 승차할 승차자의 승차자 단말기로부터 승차 정보를 전송받는 승차 정보 접수부를 포함하되, 하차 정보는 착석자의 좌석 위치 및 하차 예정지를 포함하며, 승차 정보는 승차자의 승차 예정지 및 하차 예정지를 포함하고, 각 좌석에는 충전이 가능한 USB 단자 및 USB 연결 라인이 설치되며, 착석자가 각자의 좌석에서 자신의 착석자 단말기를 USB 단자 및 USB 연결 라인에 연결하여 착석자 단말기가 USB 단자에 연결되면, 대중교통차량에 설치되고 USB 단자에 연결된 USB 고유번호전송부가 착석자 단말기로 상기 연결된 USB 단자의 고유번호를 전송하며, 착석자 단말기는 전송받은 USB 단자의 고유 번호를 하차 정보 접수부에 전송하고, 좌석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전송된 USB 단자의 고유 번호를 바탕으로 노선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대중교통차량의 USB 단자의 고유 번호에 해당하는 좌석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The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matching notification unit that transmits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seated terminal and the passenger terminal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eated terminal and the passenger terminal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 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for public transpor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connected to a seated passenger terminal and a passeng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 disembark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disembarkation information from a seated person terminal; a seat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seat location information where a seated person to be disembarked will occur to the passenger terminal based on the aligh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alight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d a boarding information reception unit that receives boarding information from the rider's terminal of a passenger who is to get on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wherein the alighting information includes the seat position of the occupant and the expected drop off location, and the boarding information includes the expected boarding and alighting location of the passenger Each seat is equipped with a USB terminal and USB connection line that can be charged, and the seated person connects his/her terminal to the USB terminal and USB connection line in each seat, and when the seated person's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the public A USB unique number transmission unit installed in a transportation vehicle and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transmits the unique number of the connected USB terminal to the seated occupant terminal, and the seated occupant terminal transmits the received unique number of the USB terminal to the alight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d seat information The providing unit may check the sea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nique number of the USB terminal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stored in the route information database based on the transmitted unique number of the USB terminal.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대중교통의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은,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차량을 이용하는 승객들에게 하차 승객의 하차 정보를 제공하여 합리적으로 하차 예정 좌석의 배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disembarkation information to passengers using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such as a bus or subway to rationally allocate disembarkation scheduled seats make this happen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effects that can be achieved by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ssenger aligh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r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able to be understood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 하차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하차 예정 좌석을 단말기에 표시한 상태를 도시한다.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herei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getting off passeng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to display a scheduled disembarkation seat provided by the 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identifier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n particula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to the contrary,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or each more subdivided function. In addition, each of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that each component is responsible for,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of each of the components may have different function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may be performed exclusively by the component.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ur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 하차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 aligh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착석자 단말기(10) 및 승차자 단말기(20)와 네트워크(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하차 정보 접수부(110), 승차 정보 접수부(120), 좌석 관리부(130), 좌석 정보 제공부(140), 좌석 할당부(150), 매칭 알림부(160), 노선정보 데이터베이스(170) 및 포인트 제공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착석자는 대중교통차량에 탑승하여 좌석에 앉아있는 승객을 의미하며, 착석자 단말기(10)는 착석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승차자는 대중교통차량에 승차하려고 대기하거나, 대중교통차량에 승차하는 승객을 의미하며, 승차자 단말기(20)는 승차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이다.The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seated occupant terminal 10 and the occupant terminal 20 through the network 50, and includes a disembark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0 and a boarding information reception unit. 120 , a seat management unit 130 , a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 a seat allocating unit 150 , a matching notification unit 160 , a route information database 170 , and a point providing unit 180 may be included. . The seated person means a passenger sitting in a seat on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and the seated person terminal 10 is a terminal used by the seated person. A passenger means a passenger waiting to get on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or riding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and the passenger terminal 20 is a terminal used by the passenger.

착석자 및 승차자는 착석자 단말기(10) 및 승차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100)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착석자 단말기(10) 및 승차자 단말기(20)에서 구동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웹 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한 후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도록 하거나, 착석자 단말기(10) 및 승차자 단말기(20)에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The seated occupant and the occupant may access the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using the seated occupant terminal 10 and the passenger terminal 20 to exchange signals with the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 The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displays a web page through a web browser driven by the seated occupant terminal 10 and the passenger terminal 20, logs in on the web page, and then accesses the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Alternatively, an application accessible to the passenger alight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may be installed and driven in the seated occupant terminal 10 and the passenger terminal 20 .

착석자 단말기(10) 및 승차자 단말기(20)는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탑(Desktop), 랩탑(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착석자 단말기(10) 및 승차자 단말기(20)는 네트워크(5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ccupant's terminal 10 and the occupant's terminal 2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50 .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In addition, the occupant's terminal 10 and the occupant's terminal 2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device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50 . A terminal device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and a PD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ersonal Digital Assistan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terminals, smartphones, It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smart pad, a tablet PC, and the like.

여기서, 네트워크(50)는, 복수의 단말기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50 means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each node,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an example of such a network includes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 Long Long (LTE) network. Term Evolution) network, 5G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a Bluetooth (Bluetooth)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etc.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하차 정보 접수부(110)는 대중교통차량 내의 좌석에 앉은 착석자의 착석자 단말기(10)로부터 하차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S110). 하차 정보는 착석자의 좌석 위치 및 하차 예정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light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alighting information from the occupant's terminal 10 of a seated person sitting in a seat in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S110). The disembark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seat position of the occupant and an expected disembarkation destination.

좌석 위치는 좌석 정보 제공부(140)가 제공하는 좌석배치도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하차 예정지는 좌석 정보 제공부(140)가 제공하는 대중교통차량의 노선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좌석 배치도와 노선도는 착석자 단말기(10)에 표시될 수 있다. 승객은 대중교통차량에 타고, 빈 좌석에 앉게 되면 바로 착석자의 좌석 위치 및 하차 예정지를 착석자 단말기(10)에 입력할 수 있다.The seat position may be selected from the seating chart provided by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 and the scheduled drop off location may be selected from the route map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provided by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 The seat layout and route map may be displayed on the seated person terminal 10 . When a passenger gets on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and sits in an empty seat, the seat position and the expected disembarkation address of the occupant may be input into the occupant terminal 10 immediately.

착석자가 하차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 포인트 제공부(180)는 착석자의 회원 계정으로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S120), 포인트는 현금으로 환전 가능하거나, 물건을 구매할 때 현금처럼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포인트에 의해 착석자는 자신의 하차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할 동기를 가지게 된다.When the seated person provides getting off information, the point providing unit 180 may provide the points to the seated person's member account (S120), and the points may be exchanged for cash or used like cash when purchasing goods. Due to these points, the seated person has a motivation to actively provide his/her getting off information.

승차 정보 접수부(120)는 대중교통차량에 승차할 승차자의 승차자 단말기(20)로부터 승차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S130). 승차 정보는 승차자의 승차 예정지 및 하차 예정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id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may receive riding information from the passenger terminal 20 of the passenger who will ride the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S130). The boarding information may include a scheduled boarding location and an expected getting off location of the rider.

승차 예정지와 하차 예정지는 버스정류장일 수 있고, 지하철역 승강장일 수 있으며, 버스정류장 번호로 특정되거나, 지하철역 탑승위치 번호로 특정될 수 있다. 승객은 버스나 지하철을 기다리면서 자신이 위치한 정류장이나 지하철역을 승차자 단말기(20)에 표시되는 노선도에서 입력할 수 있으며, 하차예정지도 승차자 단말기(20)에 표시되는 노선도에서 입력할 수 있다. 노선도는 좌석 정보 제공부(140)에 의해 제공된다. 하차 예정지를 입력하는 이유는 대중교통차량의 하차 예정 좌석의 배정을 할 때에 탑승 거리가 긴 승객에게 우선적으로 좌석을 배정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The scheduled boarding and disembarking locations may be a bus stop, may be a subway station platform, and may be specified by a bus stop number, or may be specified by a subway station boarding position number. While waiting for the bus or subway, the passenger may input the stop or subway station where he/she is located from the route map displayed on the passenger terminal 20, and may input a disembarkation schedule map from the route map displayed on the passenger terminal 20. The route map is provided by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 The reason for entering the expected get-off location is that when allocating the scheduled get-off seat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the seat may be preferentially assigned to the passenger with a long boarding distance.

좌석 관리부(130)는 하차 정보 접수부(110)에 전송된 하차 정보에 기초하여 하차할 착석자가 발생할 하차 예정 좌석의 위치 정보를 승차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S140). 승차자에게 하차 예정 좌석을 배정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The seat management unit 130 may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of a seat to which the occupant to get off will occur to the passenger terminal 20 based on the disembark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disembark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0 ( S140 ). Various methods can be applied to the method of allocating the seat to be disembarked to the passeng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하차 예정 좌석을 단말기에 표시한 상태를 도시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to display a scheduled disembarkation seat provided by the 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좌석 정보 제공부(140)는 착석자 단말기(10)에 좌석배치도와 차량 노선도를 표시하여, 착석자가 하차 정보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착석자는 착석자 단말기(10)에 표시된 좌석배치도에서 자신의 좌석에 해당하는 위치를 누르기만 하면 된다.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displays the seat arrangement map and the vehicle route map on the seated person terminal 10 so that the seated person can easily input getting off information. That is, the seated person only needs to pres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his/her seat on the seat layout diagram displayed on the seated person terminal 10 .

또한, 좌석 정보 제공부(140)는 승차자 단말기(20)에 좌석배치도와 차량 노선도를 표시하여, 승차자가 승차 정보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승차자는 승차자 단말기(20)에 표시된 차량 노선도에서 자신이 승차하려는 차량과 승차 위치를 누르기만 하면 되고, 승차자 단말기(20)에 표시된 좌석배치도에서 하차 예정 좌석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displays the seat arrangement map and the vehicle route map on the passenger terminal 20 so that the passenger can easily input the riding information. That is, the passenger only needs to press the vehicle he/she wants to board and the boarding position on the vehicle route map displayed on the passenger terminal 20 , and can easily check the seat scheduled to get off from the seat layout displayed on the passenger terminal 20 .

착석자 단말기(10)가 하차 정보 접수부(110)에 착석 사실 및 착석 차량 정보를 전송하면, 좌석 정보 제공부(140)는 착석 차량의 좌석배치도를 착석자 단말기(10)로 전송하여 착석자가 좌석배치도에서 자신의 좌석에 해당하는 위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seated occupant terminal 10 transmits the seated fact and seated vehicle information to the alight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transmits the seating chart of the seated vehicle to the occupant's terminal 10 so that the seated person is seated. You can have them choose the location that corresponds to their seat on the layout.

한편, 착석자가 착석 차량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착석자 단말기(10)가 하차 정보 접수부(110)에 착석 사실을 전송하면, 좌석 정보 제공부(140)는 착석자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착석자가 착석한 대중교통차량을 확인할 수 있다. Meanwhil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seated person from directly inputting seated vehicle information. When the seated occupant terminal 10 transmits the fact of occupancy to the alight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ccupant's terminal 10 to confirm the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in which the occupant is seated. have.

즉, 착석자의 착석 사실이 하차 정보 접수부(110)에 전송된 때에, 착석자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도 함께 하차 정보 접수부(110)에 전송이 되고, 좌석 정보 제공부(140)는 그 시간에 착석자 단말기(10)의 위치를 운행하는 대중교통차량 정보를 노선정보 데이터베이스(170)로부터 전송받는다. 또한, 착석자 단말기(10)의 위치 이동을 계속 추적하여, 해당 대중교통정보차량의 노선 경로를 벗어나는지를 체크함으로써, 노선정보 데이터베이스(170)로부터 전송받은 대중교통차량 정보가 맞는 것인지를 검증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act that the seated person is seated is transmitted to the getting off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ated person terminal 10 is also transmitted to the getting off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 and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is the time.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information operating the location of the seated terminal 10 is transmitted from the route information database 170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verify whether the public transport vehic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oute information database 170 is correct by continuously tracking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seated occupant terminal 10 and checking whether it deviates from the route route of the corresponding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vehicle. have.

노선정보 데이터베이스(170)에는 대중교통차량들의 노선 정보와 운행 시간 정보가 저장되며, 시간과 위치만 입력이 되면, 입력된 시간 및 위치에 해당되는 대중교통차량이 검색될 수 있다. The route information database 170 stores route information and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s, and when only time and location are input,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input time and location can be searched.

노선정보 데이터베이스(170)는 대중교통차량들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운행정보에 의해 노선 정보와 운행 시간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대중교통차량들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운행정보는 대중교통차량들로부터 직접 전송받을 수도 있으며, 대중교통차량들의 운행 주체가 운영하는 운행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받을 수도 있다.The route information database 170 may update route information and operation time information in real time based on real-time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s. The real-time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s may be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s, or may be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operated by the operating entity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s.

좌석 정보 제공부(140)는 착석자 단말기(10)의 차량 내 위치 정보에 의해 확인된 착석 차량의 좌석배치도 상의 대응 위치를 착석자 단말기(10)에 표시하여 착석자가 앉아 있는 좌석이 좌석배치도에 표시된 대응 좌석에 해당되는지 착석자로 하여금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displays the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seating chart of the seated vehicle confirmed by the in-vehicl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ated person terminal 10 on the occupant terminal 10 so that the seat on which the occupant is sitting is shown in the seating chart. The seated person may be asked to confirm whether the indicated corresponding seat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seat.

좌석 정보 제공부(140)는 착석자 단말기(10)의 차량 내 위치 정보는 차량 내에 설치된 와이파이 신호 발생기들, 블루투스 신호 발생기들, 및/또는 비콘들에서 발하는 신호 강도를 통해 삼변측량법을 이용하여 착석자 단말기(10)의 차량 내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신호 발생기들은 좌석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in-vehicl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ccupant terminal 10 is seated using trilateration through the signal strength emitted by Wi-Fi signal generators, Bluetooth signal generators, and/or beacons installed in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position in the vehicle of the own terminal 10 . Signal generators are preferably installed for each seat.

대안적으로는, 대중교통차량의 각 좌석에 충전이 가능한 USB 단자 및 USB 연결 라인이 설치될 수 있으며, 착석자는 각자의 좌석에서 자신의 착석자 단말기(10)를 USB 단자 및 USB 연결 라인에 연결하게 된다. 착석자 단말기(10)가 USB 단자에 연결되면, 대중교통차량에 설치되고 USB 단자에 연결된 USB 고유번호전송부가 착석자 단말기(10)로 해당 USB 단자의 고유번호를 전송하게 되고, 착석자 단말기(10)는 이 USB 단자의 고유 번호를 하차 정보 접수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좌석 정보 제공부(140)는 전송된 USB 단자의 고유 번호를 바탕으로 노선정보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해당 차량의 USB 단자의 고유 번호에 해당하는 좌석 위치를 확인하여 착석자 단말기(10)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Alternatively, a USB terminal capable of charging and a USB connection line may be installed in each seat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and the seated person connects his/her terminal 10 to the USB terminal and the USB connection line in each seat. will do When the occupant's terminal 10 is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a USB unique number transmission unit installed in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and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transmits the uniqu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USB terminal to the occupant's terminal 10, and the occupant's terminal ( 10) may transmit the unique number of the USB terminal to the alight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confirms the sea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nique number of the USB terminal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route information database 170 based on the transmitted unique number of the USB terminal, location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또한, 좌석 정보 제공부(140)는 차량 내의 착석자 단말기(10)들 및/또는 승차자 단말기(20)들 사이의 다이렉트 근거리 통신 연결을 통해, 하나의 단말기에 연결된 복수개의 단말기들의 신호 강도를 획득하여, 차량 내의 모든 단말기들의 상대적인 거리를 확인하고, 이 모든 단말기들의 상호 간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 상대적인 위치를 차량에 오버랩시켜 단말기들의 차량 내 위치를 계산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obtains the signal strength of a plurality of terminals connected to one terminal through direct short-distanc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occupant terminals 10 and/or the passenger terminals 20 in the vehicle. Thus, the relative distances of all terminals in the vehicle may be checked, and the relative positions determined by the mutual spacing of all terminals may be overlapped with the vehicle to calculate the in-vehicle positions of the terminals.

좌석 정보 제공부(140)는 승차자 단말기(20)에 좌석배치도와 차량 노선도를 표시하여, 승차자가 승차 정보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displays the seat arrangement map and the vehicle route map on the passenger terminal 20 so that the passenger can easily input the riding information.

승차자 단말기(20)가 승차 정보 접수부(120)에 승차 예정지 및 승차 예정 차량을 전송하면, 좌석 정보 제공부(140)는 승차자가 승차 예정지에서 승차 예정 차량에 탑승한 후에 착석자의 하차가 일어날 하차 예정 좌석들을 좌석배치도에서 하차 순서대로 1, 2, 3, 4 ??. 등의 번호로 표시하여 전송할 수 있다. 번호 대신에 착석자가 하차 정보 접수부에 전송했던 하차 예정지의 이름이 표시될 수도 있다. When the passenger terminal 20 transmits the expected boarding location and the boarding vehicle to the board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is scheduled to disembark after the passenger boards the boarding scheduled vehicle at the boarding scheduled location. Seats 1, 2, 3, 4 ??. It can be transmitted by displaying it with a number, etc. Instead of the number, the name of the expected drop off destination transmitted by the seated person to the alighting information reception unit may be displayed.

한편, 승차자가 착석 차량 정보를 승차자 단말기(20)에 직접 입력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승차자 단말기(20)가 승차 정보 접수부(120)에 하차 예정지를 전송하면, 좌석 정보 제공부(140)는 승차자 단말기(2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가장 가까운 승차 예정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승차 예정지에서 승차하여 하차 예정지에서 하차할 수 있는 대중교통차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passenger from directly inputting the seated vehicle information into the passenger terminal 20 . When the passenger terminal 20 transmits the expected get off location to the board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check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 20 to select the nearest boarding destination, and selects the selected boarding destin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s that can get on and get off at the destination.

즉, 승차자의 하차 예정지가 승차 정보 접수부(120)에 전송된 때에, 승차자 단말기(20)의 현재 위치 정보도 승차 정보 접수부(120)에 함께 전송이 되고, 좌석 정보 제공부(140)는 그 시간에 승차자 단말기(20)의 위치로부터 탑승이 가능한 대중교통차량 정보를 노선정보 데이터베이스(170)로부터 전송받는다. That is, when the expected departure location of the passenger is transmitted to the rid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 20 is also transmitted to the rid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 and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is the time From the loc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 20, information on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s capable of boarding is transmitted from the route information database 170.

승차자가 승차자 단말기(20)에 표시된 승차 가능 차량들 중에서 승차할 승차 예정 차량을 선택하면, 좌석 정보 제공부(140)는 승차자가 승차 예정지에서 승차 예정 차량에 탑승한 후에 착석자의 하차가 일어날 하차 예정 좌석들을 좌석배치도에서 하차 순서대로 하차 예정 좌석에 1, 2, 3, 4?? 와 같이 번호로 표시하여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passenger selects a vehicle to be boarded from among available vehicles displayed on the passenger terminal 20,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is scheduled to disembark after the passenger boards the vehicle scheduled to be boarded at the intended boarding location. Seats 1, 2, 3, 4?? It can be transmitted by displaying it as a number.

승차자가 좌석배치도에서 하차 순서대로 표시된 하차 예정 좌석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좌석 정보 제공부(140)에 전송하면(S150), 좌석 정보 제공부(140)는 다른 승차자에게는 상기 선택된 하차 예정 좌석의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passenger selects any one of the scheduled getting off seats displayed in the order of getting off in the seating chart and transmits it to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S150),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provides other passengers with the selected alighting scheduled seat. information may not be provided.

승차자에게 승차 순서 대로 좌석을 배정하기 위하여, 승차자가 버스에 탑승하는 순간에 하차 예정 좌석을 승차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승차자가 승차 예정 차량에 탑승하며 승차자 단말기(20)를 승차 예정 차량의 요금 체결부에 태깅하면, 승차자 단말기(20)는 승차 정보 접수부(120)에 승차자의 승차 사실을 전송하게 된다. 좌석 할당부(150)는 승차자 단말기(20)의 태깅 순서 대로, 하차 예정 좌석 정보를 하차 예정 순서 대로 제공하되, 어느 하나의 승차자 단말기(20)(예를 들어 가장 먼저 승차한 승차자의 승차자 단말기)에 전송되어 승차자에 의해 선택된 좌석 정보는 다른 승차자 단말기(20)(예를 들어, 두번째로 승차한 승차자의 단말기)에는 전송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버스에 탑승하는 순서 대로 하차 예정 좌석이 할당될 수 있다.In order to allocate seats to passengers in the order of boarding, a seat to be disembarked may be transmitted to the passenger at the moment the passenger boards the bus. When the passenger boards the vehicle to be boarded and tags the passenger terminal 20 to the fare connection unit of the vehicle scheduled to be boarded, the passenger terminal 20 transmits the passenger's boarding fact to the board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 The seat allocator 150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eat scheduled for getting off in the order of tagging of the passenger terminal 20, in the order of getting off schedule, but any one of the passenger terminals 20 (for example, the passenger terminal of the first passenger) The seat information transmitted to and selected by the passenger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other passenger terminal 20 (eg, the terminal of the second passenger). In this way, seats scheduled to get off the bus can be assigned in the order in which they board the bus.

좌석 할당부(150)는 승차자에게 탑승 거리 대로 좌석을 배정할 수도 있다. 좌석 할당부(150)는 승차자를 탑승 거리 (하차 예정지와 승차 예정지 사이의 거리) 순에 따라서 정렬하고, 하차 예정자의 숫자만큼 탑승 거리가 긴 승차자들만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탑승 거리가 가장 긴 승차자에게 가장 먼저 하차가 일어나는 좌석을 할당하고, 탑승 거리가 두번째로 긴 승착자에게 두번째로 하차가 일어나는 좌석을 할당하고, 탑승 거리가 세번째로 긴 승착자에게 세번째로 하차가 일어나는 좌석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하차 예정 좌석을 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효율적이고 빠른 할당을 위해 각 승차자는 할당받는 하나의 하차 예정 좌석 외의 정보는 제공되지 않는다.The seat allocator 150 may allocate a seat to a passenger according to a boarding distance. The seat allocator 150 may sort passengers in the order of the boarding distance (the distance between the expected get-off point and the scheduled boarding location), and select only those riders whose boarding distance is as long as the number of expected alighting people. Then, the first disembarkation seat is assigned to the passenger with the longest boarding distance, the second disembarkation seat is assigned to the second longest boarding distance, and the third disembarkation occurs to the third long boarding distance. Seats scheduled for disembarkation can be assigned in a manner that allocates seats where In this case, for efficient and quick allocation, no information is provided other than one scheduled disembarkation seat allocated to each passenger.

한편, 승차자가 자신이 선택한 하차 예정 좌석 앞에 정확히 위치한 것인지를 알려주기 위하여, 매칭 알림부(160)는 착석자 단말기(10)와 승차자 단말기(20)가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것이 확인되면, 착석자 단말기(10)와 승차자 단말기(20)에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60). 이러한 방식에 의해, 승차자는 자신이 배정받은 하차 예정 좌석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포인트 제공부(180)는 착석자의 회원 계정에 포인트를 부여하여, 하차 예정 좌석 배정 절차가 마무리된 것에 대한 보상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form whether the passenger is accurately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at to be disembarked from, the matching notification unit 160 determines that the seated occupant terminal 10 and the occupant's terminal 20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ated occupant terminal A notif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10) and the passenger terminal 20 (S160). In this way, the passenger can recognize that he or she is accurately positioned in the assigned seat to be disembarked. In this case, the point providing unit 180 may award points to the member account of the seated person to compensate for the completion of the disembarkation scheduled seat assignment procedure.

한편, 착석자 단말기(10)들과 승차자 단말기(20)들은 단말기들 사이의 직접적인 통신을 통해 하차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승차자들이 차량에 탑승하는 순간 차량 내의 착석자 단말기(10)들과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상호 간에 연결되며, 승차자 단말기(20)에는 각 좌석의 하차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 표시된 하차 정보를 바탕으로 승차자들은 서있는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Meanwhile, the occupant's terminals 10 and the passenger terminals 20 may obtain getting off information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At the moment when passengers board the vehicle,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occupant terminals 10 in the vehicle, and disembarkation information of each seat may be displayed on the occupant terminal 20, based on the displayed disembarkation information. This determines where the riders stand.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The functional opera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subject matter can be implemented in a digital electronic circuit,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including the structures disclosed herein and structural equivalents thereof, or in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Do.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are one or more computer program products, ie one or more modules directed to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ncoded on a tangible program medium for execution by 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data processing device. can be implemented. A tangible program medium may be a radio wave signal or a computer-readable medium. A radio wave signal is an artificially generated signal, eg a machine generated electrical, optical or electromagnetic signal, that is generated to encode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to an appropriate receiver device for execution by a comput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 machine-readable storage device, a machine-readable storage substrate, a memory device, a combination of materials that affect a machine-readable radio wave signal,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also known as a program,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 script or code) may be written in any form of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 or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 and may be written as a stand-alone program or module; It can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a file in a file system. A program may be in a single file provided to the requested program, or in multiple interacting files (eg, files that store one or more modules, subprograms, or portions of code), or portions of files that hold other programs or data. (eg, one or more scripts stored within a markup language document).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 또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be executed on a single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located at one site or distributed over a plurality of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 network.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Additionally, the logic flows and structural block diagrams described herein describe corresponding acts and/or specific methods supported by corresponding functions and steps supported by the disclosed structural means, and corresponding software. It can also be used to build structures and algorithm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The processes and logic flows described herein may be performed by one or more programmable processors executing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to perform functions by operating on input data and generating output.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Processors suitable for the execution of computer programs include, for example, both general and special purpose microprocessors and any one or more processors of any kind of digital computer. Typically, the processor will receive instructions and data from read-only memory, random access memory, or both.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A key component of a computer is one or more memory devices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data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instructions. In addition, a computer is generally operably coupled to receive data from, transfer data to, or both of one or more mass storage devices for storing data, such as, for example, magnetic, magneto-optical disks or optical disks. or will include However, the computer need not have such a device.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The present description sets forth the best mode of the invention, and provides examples to illustrate the invention, an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invention. This written specification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s presented.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Accordingly,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hort, in order to achieve the intende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nclude all 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drawings or follow all the orders shown in the drawings. indicate that it may be within the scope

110: 하차 정보 접수부
120: 승차 정보 접수부
130: 좌석 관리부
140: 좌석 정보 제공부
150: 좌석 할당부
160: 매칭 알림부
170: 노선정보 데이터베이스
180: 포인트 제공부
110: alighting information reception department
120: Rid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30: seat management department
140: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seat allocation
160: matching notification unit
170: route information database
180: point provider

Claims (10)

착석자 단말기 및 승차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대중교통차량 내의 좌석에 앉은 착석자의 착석자 단말기로부터 하차 정보를 전송받는 하차 정보 접수부;
하차 정보 접수부에 전송된 하차 정보에 기초하여 하차할 착석자가 발생할 좌석 위치 정보를 승차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좌석 관리부; 및
대중교통차량에 승차할 승차자의 승차자 단말기로부터 승차 정보를 전송받는 승차 정보 접수부를 포함하되,
하차 정보는 착석자의 좌석 위치 및 하차 예정지를 포함하며, 승차 정보는 승차자의 승차 예정지 및 하차 예정지를 포함하고,
각 좌석에는 충전이 가능한 USB 단자 및 USB 연결 라인이 설치되며,
착석자가 각자의 좌석에서 자신의 착석자 단말기를 USB 단자 및 USB 연결 라인에 연결하여 착석자 단말기가 USB 단자에 연결되면, 대중교통차량에 설치되고 USB 단자에 연결된 USB 고유번호전송부가 착석자 단말기로 상기 연결된 USB 단자의 고유번호를 전송하며, 착석자 단말기는 전송받은 USB 단자의 고유 번호를 하차 정보 접수부에 전송하고,
좌석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전송된 USB 단자의 고유 번호를 바탕으로 노선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대중교통차량의 USB 단자의 고유 번호에 해당하는 좌석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
A 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 alighting information connected to a seated passenger terminal and a passeng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the system comprising:
a disembark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ing disembarkation information from a occupant's terminal of a seated person seated in a seat in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a seat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seat location information where a seated person to be disembarked will occur to the passenger terminal based on the aligh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alight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d
Including a riding information reception unit that receives riding information from the passenger terminal of a passenger who will board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The alighting information includes the seat position of the occupant and the expected disembarkation location, and the boarding information includes the expected boarding and disembarkation location of the passenger,
Each seat is equipped with a USB port for charging and a USB connection line.
When the occupant's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by connecting his/her terminal to the USB terminal and USB connection line in each seat, the USB unique number transmission unit installed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and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is sent to the occupant's terminal. transmits the unique number of the connected USB terminal, and the seated terminal transmits the received unique number of the USB terminal to the alighting information reception unit,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based on the unique number of the transmitted USB terminal, stored in the route information database, the passenger alight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confirm the sea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nique number of the USB terminal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좌석 정보 제공부는
승차자 단말기가 승차 정보 접수부에 승차 예정지 및 승차 예정 차량을 전송하면, 승차자가 승차 예정지에서 승차 예정 차량에 탑승한 후에 착석자의 하차가 일어날 좌석들을 좌석배치도에서 하차 순서대로 표시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When the passenger terminal transmits the scheduled boarding location and the boarding vehicle to the boarding information reception unit, after the passenger boards the boarding plan at the boarding location, the seats where the seated person will get off are displayed in the order of getting off on the seating chart and transmitted, characterized in that Passenger disembarkatio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좌석 정보 제공부는
승차자 단말기가 승차 정보 접수부에 승차 예정 사실을 전송하면, 승차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승차 예정지에서 승차하여 하차 예정지에서 하차할 수 있는 대중교통차량 정보를 제공하고, 승차자가 승차할 승차 예정 차량을 선택하면, 승차자가 승차 예정지에서 승차 예정 차량에 탑승한 후에 착석자의 하차가 일어날 좌석들을 좌석배치도에서 하차 순서대로 표시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When the passenger terminal transmits the boarding schedule to the boarding information reception un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 is checked to provide information on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s that allow passengers to board at the expected boarding point and get off at the expected boarding point, and select the vehicle to be boarded by the passenger. When selected, after the passenger boards the expected vehicle at the expected boarding location, the passenger alight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s where the seated person will get off are displayed in the order of getting off on the seating chart and transmitted.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승차자가 좌석배치도에서 하차 순서대로 표시된 좌석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좌석 정보 제공부에 전송하면, 좌석 정보 제공부는 다른 승차자에게는 상기 선택된 좌석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n the passenger selects any one of the seats displayed in the order of getting off on the seat map and transmits it to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e seat information providing unit does not provide the selected seat information to other passengers.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승차자가 승차 예정 차량에 탑승하며 승차자 단말기를 승차 예정 차량의 요금 체결부에 태깅하면, 승차자 단말기는 승차 정보 접수부에 승차 사실을 전송하고,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은
승차자 단말기의 태깅 순서 대로, 하차가 발생하는 좌석 정보를 하차 순서 대로 제공하되, 어느 하나의 승차자 단말기에 전송된 좌석 정보는 다른 승차자 단말기에는 전송되지 않도록 하는 좌석 할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n a passenger boards the vehicle to be boarded and tags the passenger terminal to the fare payment unit of the vehicle to be boarded, the passenger terminal transmits the ride information to the ride information reception
Passenger alight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 passeng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at allocator that provides seat information in which disembarkation occurs in the order of tagging of the passenger terminal in the order of disembarkation, but the seat information transmitted to one passenger termi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other passenger terminal Alighting informa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은
착석자 단말기와 승차자 단말기가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것이 확인되면, 착석자 단말기와 승차자 단말기에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매칭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하차 정보 제공 시스템.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 alighting informatio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eated terminal and the passenger terminal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matching notification unit that transmits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seated person terminal and the passenger terminal.
KR1020190117987A 2019-09-25 2019-09-25 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s getting-off-information in public transport KR1022716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987A KR102271684B1 (en) 2019-09-25 2019-09-25 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s getting-off-information in public trans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987A KR102271684B1 (en) 2019-09-25 2019-09-25 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s getting-off-information in public trans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052A KR20210036052A (en) 2021-04-02
KR102271684B1 true KR102271684B1 (en) 2021-07-01

Family

ID=7546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987A KR102271684B1 (en) 2019-09-25 2019-09-25 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s getting-off-information in public trans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68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0197A (en) * 2022-03-25 2022-06-07 广州通达汽车电气股份有限公司 Getting-off reminding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ublic transport means
CN115358645B (en) * 2022-10-21 2023-01-17 安徽中科中涣信息技术有限公司 Bus passenger flow monitoring and dispatching management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6096A (en) * 2004-01-30 2005-08-11 Hitachi Software Eng Co Ltd Seat providing system
KR101674480B1 (en) 2015-09-02 2016-11-09 박병훈 Method for providing available seat notice service
KR101844323B1 (en) * 2017-01-24 2018-04-02 주식회사 서버스 System, method and user device for providing seat inform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338A (en) * 2016-06-28 2016-07-13 김지연 Intelligent public transpot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6096A (en) * 2004-01-30 2005-08-11 Hitachi Software Eng Co Ltd Seat providing system
KR101674480B1 (en) 2015-09-02 2016-11-09 박병훈 Method for providing available seat notice service
KR101844323B1 (en) * 2017-01-24 2018-04-02 주식회사 서버스 System, method and user device for providing seat inform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052A (en)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6517C2 (en) Passenger seat pairing system
US109297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JP6487411B2 (en) Transportation means calling service system and transportation means calling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US10405141B2 (en) Wireless beacon devices for use in tracking user locations during group travel
KR102271684B1 (en) System for providing passenger's getting-off-information in public transport
US20150142497A1 (en) On-demand vehicle service management device, on-demand vehicle service management method, and on-demand vehicle service management system
CN101241612A (en) Self-help checking-in method and system
CN104010348A (en) Passenger mobile station registration with a passenger communications system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CN106327145A (en) Mobile phone APP-based train rid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CN106571842B (en) Online order taxi operation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3164751A (en) Indefinite station non-fixed-line public traffic oper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JP6866151B2 (en) Passenger communication system
CN105427076A (en) Cloud computing based express delivery method
JP3734799B2 (en) Immediate vehicle entry / exit system, method and program
JP70079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and programs
US20210390479A1 (en) Vehicle allocation plan device, vehicle allocation plan system, and vehicle allocation plan program
KR1016005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Total Taxi Call Center
CN102129734A (en) Clearance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telephone boarding check
JP2005092732A (en)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system in passenger vehicle
KR101844323B1 (en) System, method and user device for providing seat inform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JP2009181530A (en) Taxi sharing management method, system, and device
JP6608888B2 (en) Transportation means management apparatus, transportation means management system, transportation means management method, and transportation means management program
Sarma Bus tracking & ticketing using ussd
CN111192031B (en) Electronic bill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JP5000349B2 (en) Transfer ticket issu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