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551B1 - 영상 획득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획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551B1
KR102271551B1 KR1020200108870A KR20200108870A KR102271551B1 KR 102271551 B1 KR102271551 B1 KR 102271551B1 KR 1020200108870 A KR1020200108870 A KR 1020200108870A KR 20200108870 A KR20200108870 A KR 20200108870A KR 102271551 B1 KR102271551 B1 KR 102271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put
unit
input unit
opt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철형
김병훈
하삼목
노중암
Original Assignee
미래청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청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청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8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551B1/ko
Priority to KR1020210082698A priority patent/KR20220027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5/225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Pickup Tubes, Image-Amplification Tubes, And Stora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획득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부; 영상입력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증폭하는 영상증폭관; 및 영상증폭관으로부터 증폭된 영상을 입력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하되, 영상입력부의 입력단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각각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해 배치되고, 영상이 입력되는 방향에 따라 영상을 시간에 따라 분할하도록 영상입력부와 영상증폭관 사이에는 셔터부가 위치된다.

Description

영상 획득장치{Apparatus for obtaining image}
본 발명은 영상 획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단가를 낮추면서 여러 방향으로부터 고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획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야간 촬영장치들은 주로 감시카메라에 적용되고 있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적외선 주사를 통해 반사되는 적외선을 저조도용 촬상소자로 관측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저조도 야간 촬영장치는 적외선 LED를 이용하므로 관측거리가 짧고 낮은 조도에서의 관측성능이 저조하여 원거리의 피사체는 식별이 곤란하여 사용상의 한계가 있었다.
특히, 야간 활영장치가 국방상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일례로 군 기지 등 주요 시설물의 보호 및 보안을 위해 적의 접근을 방지하는 군용 감시 장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적의 신속한 탐지를 위한 보다 선명한 관측 영상의 획득이 더욱 필요하다.
보다 선명한 영상을 얻기 위해, 미세한 빛을 수만배로 증폭해주는 광증폭관(Image Intensifier Tube)을 채용함으로써 관측이 어려운 야간에 사물을 감시할 수 있다.
그러나, 여러 방향을 감시할 경우, 고가의 광증폭관을 감시할 각각의 방향별로 설치해야 되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특016559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하나의 광증폭관을 사용하여 여러 방향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획득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는, 외부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부; 영상입력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증폭하는 영상증폭관; 및 영상증폭관으로부터 증폭된 영상을 입력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하되, 영상입력부의 입력단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각각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해 배치되고, 영상이 입력되는 방향에 따라 영상을 시간에 따라 분할하도록 영상입력부와 영상증폭관 사이에는 셔터부가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영상입력부는, 입력된 영상을 축소하는 제1광학체로 구성된 입력단과,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전달하는 영상전달부와, 영상을 확대하는 제2광학체로 구성되어 영상전달부로부터 영상을 전달받아 확대 출력하는 출력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전달부는, 광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셔터부는, 유리판 사이의 액정, 및 유리판에 각각 형성된 ITO(indium tin oxide)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셔터부는, 소정 단위시간동안 영상입력부의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영상을 방향별로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한 방향에 배치되는 영상입력부의 입력단은, 영상입력부의 입력단이 배치되는 방향의 수에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한 방향에 배치되는 영상입력부의 출력단은, 영상입력부의 입력단이 배치되는 방향의 수에 따라 마련되고, 영상입력부의 출력단에 각각 구비된 제2광학체는 입력된 영상을 영상증폭관 입력부 크기보다 3% 내지 5% 확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영상표시부는, 전하결합소자(Charge-Coupled Device)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광학체는 광섬유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광학체는 광섬유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광학체의 최대직경은 50 ㎛ 내지 300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이 입력되는 방향별로 시간에 따라 영상을 분할할 수 있는 셔터부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영상증폭관으로 복수개의 방향을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방향에 배치되는 영상입력부의 입력단의 개수가 영상입력부의 입력단이 배치되는 방향의 수에 따라 마련됨으로써 방향에 따라 시분할 입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방향에 배치된 영상입력부의 입력단의 수에 따라 마련된 복수개의 영상입력부의 출력단에는 입력 영상을 소정 크기로 확대시키는 광학체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영상증폭관의 입력부(광음극판(Photocathode))에 입력되는 입력 영상이 중첩되며 하나의 영상으로 보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에 구비된 영상입력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입력부의 입력단 및 영상전달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영상입력부의 입력단 및 출력단의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영상입력부의 출력단을 통과한 영상이 영상증폭관의 광음극판에 중첩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에 구비된 셔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에 구비된 영상증폭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와 "기", "모듈"과 "부", "유닛"과 "부", "장치"와 "시스템"등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 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100)은, 외부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부(110)와, 영상입력부(110)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증폭하는 영상증폭관(150)과, 영상증폭관(150)으로부터 증폭된 영상을 입력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표시부(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영상 획득장치(100)에 구비된 영상입력부(110)은, 영상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영상이 다수의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입력될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해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입력단이 구비되는데, 각 방향별로 입력된 영상을 시간에 따라 분할하여 하나의 영상증폭관(150)으로 입력시키기 위해 영상입력부(110)와 영상증폭관(150) 사이에는 셔터부(130)가 위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영상 획득장치(100)는 고가의 장비인 영상증폭관(150)을 하나만 사용하여 복수개의 방향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고품질로 획득하여 야간 감시기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에 구비된 영상입력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입력부의 입력단 및 영상전달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영상입력부의 입력단 및 출력단의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영상입력부(110)는 입력 영상을 축소하는 제1광학체(111)로 구성된 입력단과,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전달하는 영상전달부(113)와, 영상전달부로부터 영상을 전달받아 확대하는 제2광학체(115)로 구성되는 출력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광학체(111)와 제2광학체(115)를 연결하는 영상전달부(113)는, 광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광섬유를 통해 영상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영상을 축소한 이후에 다시 확대하여 복원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영상전달부(113)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1광학체(111) 및 제2광학체(115)를 구비하게 된다.
여기서, 제1광학체(111)는 영상이 입력되는 면이 볼록렌즈로 형성되어 영상을 축소시키게 되며, 제2광학체(115)는 영상이 출력되는 면이 볼록렌즈로 형성되어 영상을 확대시키게 됨으로써 축소된 영상이 미세한 광섬유를 통해 전달된 이후 확대되어 출력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광학체(111)는 광섬유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광학체(115)는 광섬유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영상을 영상증폭관(150)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입력부의 입력단 및 영상전달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소정 직경(2r)을 갖는 영상입력부(110)의 제1광학체(111)가 광섬유로 구성된 영상전달부(113)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광학체(111)의 최대직경은 50 ㎛ 내지 30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광학체(111)가 이러한 범위의 직경을 가질 경우,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이 보다 선명하고 명확하게 획득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의 방향을 향해 영상입력부(110)의 제1광학체(111)가 배치되고, 각 방향별로 3개의 제1광학체(111)가 서로 근접하게 설치된다. 일례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제1광학체(111)가 정면에서 볼때 대략 3각형을 이루며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한 방향에 배치되는 영상입력부(110)의 입력단의 개수는, 영상입력부(110)의 입력단이 배치되는 방향의 수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것은 후술할 셔터부(130)에 의해 영상입력부(110)의 입력단이 배치된 방향의 수만큼 입력 영상이 시분할되고 이에 따라 입력 영상의 광량이 방향의 수만큼 감소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방향의 수에 대응되게 영상입력부(110)의 입력단의 개수를 결정함으로써 광량의 감소를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한 방향에 배치되는 영상입력부(110)의 출력단은, 동일한 이유로 인한 광량의 감소를 보상하도록 영상입력부(110)의 입력단이 배치되는 방향의 수에 따라 마련될 수 있으며,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3개의 제2광학체(115)가 정면에서 볼때 대략 3각형을 이루며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영상입력부(110)의 출력단이 대략 3각형을 이루며 최대한 밀착되게 배치될 경우, 전술한 광량의 보상 뿐만 아니라 별도의 추가 광학체를 사용하지 않고 제2광학체(115)의 광학성능을 조절함으로써 3개로 출력되는 영상을 다시 중첩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복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영상입력부의 출력단을 통과한 영상이 영상증폭관의 광음극판에 중첩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한 방향에 설치된 3개의 제2광학체(115)를 각각 통과한 3개의 영상들(a,b,c)은 영상증폭관 입력부 크기에 비해 3% 내지 5% 확대된 다음, 영상증폭관(150)의 광음극판(151)에 투영된다. 전술한 범위로 영상들(a,b,c)을 확대하면서 제2광학체(115)의 광학성능을 조절할 경우, 영상이 거의 왜곡되지 않으며 하나의 영상증폭관 입력부에 입력영상으로 인식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 획득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광학체(111)과 광섬유로 구성된 영상전달부(113) 및 제2광학체(115)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영상입력부(110)를 구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공지된 렌즈(미도시)와 반사체(미도시)를 조합하여 여러방향에서 입력된 복수개의 영상을 하나의 광증폭관(150)으로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에 구비된 셔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셔터부(130)는, 한 쌍의 유리판(131,132)과, 유리판(131,132) 사이의 액정(135), 및 유리판(131,132)에 각각 형성된 전극판(137,13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극판(137,138)은 입력 영상이 셔터부(13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전극인 ITO(indium tin oxid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터부(130)는 전극판(137,138)과 연결된 스위치(139)에 의해 액정(135)에 전압이 인가되거나 인가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셔터부(130)로 입력되는 영상을 차단시키거나 통과시킴으로써 서로 상이한 다수의 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시간에 따라 각각 분할할 수 있게 된다.
즉, 액정(135)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 액정(135)은 트위스트 모양으로 배치되어 전면 유리판(131)을 통해 입력된 영상의 방향이 90도만큼 틀어지면서 후면 유리판(132)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반해, 액정(135)에 전압이 인가될 경우, 액정(135)은 가지런한 상태의 모양으로 배치되어 전면 유리판(131)을 통해 입력된 영상의 방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후면 유리판(132)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셔터부(130)는, 소정 단위시간동안 영상입력부(110)의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영상을 방향별로 분할할 수 있다. 일례로,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가 18 fps인 경우, 상기 단위시간은 1/18초가 된다. 3개의 방향으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을 경우, 셔터부(130)는 영상입력부(110)의 제2광학체(115)의 위치에 대응되게 각 방향별로 할당된 영역중 하나에 대해 1/(18*3)초 동안 개방하고 나머지 2개의 방향에 할당된 영역은 폐쇄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에 구비된 영상증폭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증폭관(150)은 입력 영상을 초기 전자(10)로 전환하는 광음극판(Photocathode, 151)와, 초기 전자(10)를 증폭하여 증폭 전자(20)를 방출하는 미세채널판(Micro Channel Plate, 153)과, 방출된 증폭 전자(20)에 의해 발광되는 형광화면(Phosphor Screen, 155)을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입력부(110)의 제2광학체(115)로부터 출력되어 셔터부(130)을 관통한 영상은 감시 방향에 따라 출력되는 위치가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여 동일한 위치에서 광음극판(151)로 입사시키기 위한 광학계(미도시)가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영상증폭관(150)은 전술한 영상입력부(110)로부터 입사되는 영상(광자)를 광음극판(151)에서 전자(10)로 전환하고, 광섬유로 제작되어 행렬형태로 미세채널이 다수개 배열된 미세채널판(153)이 전환된 전자(10)를 증폭하며, 증폭된 전자(20)가 형광화면(155)에 입사되어 형광화면(155)에서 다시 영상(광자)를 방출함으로써 영상을 증폭하게 된다.
즉, 영상을 구성하는 빛의 광자가 광음극판(151) 표면에 입사하면 광음극판(151) 내측에서 전자(10)가 방출되고 전자(10)는 고전압에 의해 미세채널판(153)을 통과하면서 증폭되어 수천 내지 수만배의 방출 전자(20)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방출 전자(20)는 형광화면(155)에 도달하여 광자형태로 발광시켜 사람이 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원리로 광증폭된 영상(일례로, 야간 영상)은 이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부(170)로 전달되게 된다.
영상표시부(170)는 촬상소자인 전하결합소자(Charge-Coupled Device)가 사용될 수 있다. 전하결합소자는 고체 촬상소자중의 하나로서 빛 에너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수천만 화소를 포함하는 집적회로가 내장된 이미지 센서이다.
영상증폭관(150)의 형광화면(155)과 영상표시부(170)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수단이 포함되는데, 커플링 수단은 렌즈 광학계를 이용한 렌즈 커플링 또는 광섬유를 이용한 광섬유 커플링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 획득장치(100)에서 영상증폭관(150)을 통해 광증폭된 영상은 커플링 수단을 통해 전하결합소자에 결상되고, 전하결합소자 내에서 전자적으로 주사되면서 전기신호로 변환해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영상표시부(170)은 3개의 방향으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을 경우, 각 방향별로 구분되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하나의 화면을 다수개 분할하여 감시방향에 따른 영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시간차를 두고 방향별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모두 표시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100)은 영상이 입력되는 방향에 따라 영상을 시간에 따라 분할할 수 있는 셔터부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영상증폭관으로 복수개의 방향을 감시할 수 있게 되어 제조 단가를 낮출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 획득장치(100)에 영상증폭관을 포함시킴으로써 보다 향상된 야간 감시능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영상 획득장치
110: 영상입력부
130: 셔터부
150: 영상증폭관
151: 광음극판
153: 미세채널판
155: 형광화면
170: 영상표시부

Claims (10)

  1. 외부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부;
    영상입력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증폭하는 영상증폭관; 및
    영상증폭관으로부터 증폭된 영상을 입력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하되,
    영상입력부의 입력단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각각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해 배치되고,
    영상이 입력되는 방향에 따라 영상을 시간에 따라 분할하도록 영상입력부와 영상증폭관 사이에는 셔터부가 위치되고,
    영상입력부는,
    입력된 영상을 축소하는 제1광학체로 구성된 입력단과,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전달하는 영상전달부와, 영상을 확대하는 제2광학체로 구성되어 영상전달부로부터 영상을 전달받아 확대 출력하는 출력단을 포함하고,
    한 방향에 배치되는 영상입력부의 입력단은,
    영상입력부의 입력단이 배치되는 방향의 수에 따라 마련되는, 영상 획득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영상전달부는, 광섬유로 구성되는, 영상 획득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셔터부는,
    ITO(indium tin oxide) 전극으로 형성된 투명 전극판을 각각 포함하는 한쌍의 유리판과, 유리판 사이의 액정을 포함하는, 영상 획득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셔터부는,
    소정 단위시간동안 영상입력부의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영상을 방향별로 분할하는, 영상 획득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방향에 배치되는 영상입력부의 출력단은,
    영상입력부의 입력단이 배치되는 방향의 수에 따라 마련되고,
    영상입력부의 출력단에 각각 구비된 제2광학체는 입력된 영상을 영상증폭관 입력부 크기에 비해 3% 내지 5% 확대시키도록 구성되는, 영상 획득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영상표시부는,
    전하결합소자(Charge-Coupled Device)로 구성되는, 영상 획득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광학체는 광섬유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광학체는 광섬유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영상 획득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광학체의 최대직경은 50 ㎛ 내지 300 ㎛인, 영상 획득장치.
KR1020200108870A 2020-08-27 2020-08-27 영상 획득장치 KR102271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870A KR102271551B1 (ko) 2020-08-27 2020-08-27 영상 획득장치
KR1020210082698A KR20220027748A (ko) 2020-08-27 2021-06-24 영상 획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870A KR102271551B1 (ko) 2020-08-27 2020-08-27 영상 획득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698A Division KR20220027748A (ko) 2020-08-27 2021-06-24 영상 획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551B1 true KR102271551B1 (ko) 2021-07-01

Family

ID=768598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870A KR102271551B1 (ko) 2020-08-27 2020-08-27 영상 획득장치
KR1020210082698A KR20220027748A (ko) 2020-08-27 2021-06-24 영상 획득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698A KR20220027748A (ko) 2020-08-27 2021-06-24 영상 획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715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507U (ko) * 1985-06-25 1987-02-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타자기의 프린터 헤드 구동장치
KR0165592B1 (ko) 1995-12-29 1999-04-15 김광호 관측장비의 주간 야간 겸용 영상증폭관 시스템장치
KR100721155B1 (ko) * 2005-10-21 2007-05-23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정 셔터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및 액정 셔터를이용한 카메라
JP2009031288A (ja) * 2007-07-26 2009-02-12 General Electric Co <Ge> 現場機械検査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451835B1 (ko) * 2013-09-09 2014-10-16 한국원자력연구원 연속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507U (ko) * 1985-06-25 1987-02-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타자기의 프린터 헤드 구동장치
KR0165592B1 (ko) 1995-12-29 1999-04-15 김광호 관측장비의 주간 야간 겸용 영상증폭관 시스템장치
KR100721155B1 (ko) * 2005-10-21 2007-05-23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정 셔터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및 액정 셔터를이용한 카메라
JP2009031288A (ja) * 2007-07-26 2009-02-12 General Electric Co <Ge> 現場機械検査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451835B1 (ko) * 2013-09-09 2014-10-16 한국원자력연구원 연속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748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5452B2 (en) Intensified hybrid solid-state sensor
JP4310190B2 (ja) インテンシファイハイブリッド固体センサ
US3971931A (en) Led image tube light valve
US8860831B1 (en) Brightness tracking light sensor
KR102271551B1 (ko) 영상 획득장치
US6326604B1 (en) Optical intensification system, including an image intensifier, for viewing an input source through a lens as a virtual image or as a real image
KR102271555B1 (ko) 컬러 영상 획득장치
US5381000A (en) Image intensifier with modified aspect ratio
US20160165104A1 (en) Localized bright source suppression
US4730141A (en) Imaging tube having a reflective photocathode and internal optical means
US4239960A (en) Recirculating light amplifier with optical feedback
US11832500B2 (en) Multi-functional pixels designed for transmission matching in transparent displays having transparent regions between the pixels
JP5361000B2 (ja) X線画像撮影装置、x線イメージインテンシファイア及び画像増強方法
US11988819B2 (en) Reduced thickness night vision device
RU2008131815A (ru) Рентгенооптический эндоскоп
WO2006117778A2 (en) Compact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angular resolution imaging
KR200281454Y1 (ko) 광증폭관과 촬상소자를 조합한 야간 촬영장치
CN1362868A (zh) 光学成象装置中作为多检测器的ccd阵列
CN117075325A (zh) 一种观察系统
IT202100014987A1 (it) Sistema opto-elettronico a periscopio
JP2001117020A (ja) イメージ増強装置の改良およびそれに関連する改良
JPH0980319A (ja) 内視鏡装置
JP2006119551A (ja) 立体光学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光学像表示窓装置
KR20030083950A (ko) 광증폭관과 촬상소자를 조합한 야간 촬영장치
GB2107150A (en) Electro-optical conver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