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378B1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Using Head Mount Display - Google Patents
Method, Apparatus and System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Using Head Mount Displ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1378B1 KR102271378B1 KR1020200001891A KR20200001891A KR102271378B1 KR 102271378 B1 KR102271378 B1 KR 102271378B1 KR 1020200001891 A KR1020200001891 A KR 1020200001891A KR 20200001891 A KR20200001891 A KR 20200001891A KR 102271378 B1 KR102271378 B1 KR 1022713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gnitive function
- content
- wearable display
- function improvement
- sensing dat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7—Head Mounted Displays [HM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8—Other bio-electrical signals
- A61M2230/10—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phys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esthesi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인지기능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using a wearable display.
급속한 고령사회 진입 및 다양한 생물심리학적 요인들에 의해 사회문제적 인지기능 장애 및 뇌신경질환 환자의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의 인지기능 검사 및 진단은 문진, 설문 기반 인지기능 검사에 의해 이루어지고, 인지장애 치료 및 증상완화는 약물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인지기능 검사는 검사 수행시간이 통상 15분 정도로 선별 검사로서의 시간 효율이 부족하고, 지필식 검사이므로 시각, 청각, 운동 능력 등에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는 검사를 시행할 수 없어 시행 자체가 어려운 사람이 적지 않다. 또한, 인지기능 개선 및 인지장애 치료 약물은 부작용이 있으며, 직접적인 치료가 아닌 증상 개선에 대한 대증적인 요법에 해당하는 약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재 진단 및 치료 기술의 미비한 부분 및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해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인지기능 측정 방법(예컨대, 뇌파 측정 등) 및 부작용이 최소화된 치료 방법(예컨대, 신경 광선 자극 치료 등)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Due to the rapid entry into an aging society and various biopsychological factors, the population of patients with socially problematic cognitive dysfunction and cranial nerve disease is increasing. Currently, cognitive function tests and diagnosis are made by questionnaires and questionnaire-based cognitive function tests, and treatment and symptom relief of cognitive disorders are mainly made with drugs. The currently applied cognitive function test usually takes about 15 minutes to perform, so it is inefficient as a screening test, and since it is a paper-based test,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test because it cannot be performed on people with disabilities such as vision, hearing, and motor skills. There are not many people. In addition, drugs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treating cognitive disorders have side effects, and drugs corresponding to symptomatic therapy for symptom improvement rather than direct treatment are mainly used. The need for a scientific and quantitative cognitive function measurement method (eg, EEG measurement) and a treatment method with minimal side effects (eg, nerve light stimulation treatment, etc.) is increasing in order to solve the inadequacies and side effects of these current diagnostic and treatment technologies. have.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뇌파감지 센서가 구비된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측정된 뇌파를 분석하여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착용한 사용자의 인지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인지기능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se conventional problems are cognitive functions capable of confirm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display by analyzing the EEG measured using the wearable display equipped with at least one EEG sensor. It is to provide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뇌파감지 센서가 구비된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측정된 뇌파에 대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인지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인지기능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user by providing optimized content to the use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EEG measured using a wearable display equipped with at least one EEG sensor. It is to provide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using a wearable displa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인지기능 개선방법은, 전자장치가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복수개의 뇌파감지센서 및 복수개의 광원을 구비한 착용형 디스플레이의 착용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에서 획득된 제1 센싱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제1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컨텐츠 전송 후에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에서 획득된 제2 센싱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인지기능 개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method using a weara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n electronic device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s a wearable type having a plurality of EEG sensors and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receiving and analyzing the first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wearable display when a wear completion signal of the display is received; the electronic device transmits, by the electronic device, the content provided by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first sensing data to the wearable display and receiving and analyzing, by the electronic device, the second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wearable display after transmitting the content to confirm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또한, 컨텐츠를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가 상기 광원에서 일정 광량의 광을 조사하는 컨텐츠이면 상기 광원의 제어필요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광원이 제어가 필요하면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광원에서 조사하는 광량을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wearable display includes extracting the content based on the first sensing data, and if the content is content irradia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t is determined whether control of the light source is required. Checking, when the light source needs control, the wearable display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wearable display to control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또한,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인지개선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인지개선 레벨에 대응되는 상기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extracting of the content may include checking a preset cognitive improvement level and extract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improvement level.
또한, 인지기능 개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된 컨텐츠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컨텐츠를 변경하여 변경된 컨텐츠를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fter confirming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racted content needs to be chang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hanging the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changed content to the wearable display.
또한, 인지기능 개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인지기능 개선정보에 대한 공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신호에 따라 상기 인지기능 개선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fter confirming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receiving a shared signal for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to at least one server according to the shared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제1 센싱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뇌파감지센서에서 획득된 상기 제1 센싱데이터의 뇌파 주파수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뇌파 주파수에 대한 뇌파 주파수 대역의 세기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receiving and analyzing the first sensing data may include separating the EEG frequency of the first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EEG sensor and confirming the strength of the EEG frequency band for the separated EEG frequenc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또한, 인지기능 개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센싱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확인된 뇌파 주파수 대역의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전송 후의 뇌파의 변화 및 개선도를 분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tep of confirming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is a step of analyzing the change and improvement of the EEG after the content transmission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EEG frequency band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cond sensing data. .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인지기능 개선 장치는,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복수개의 뇌파감지센서 및 복수개의 광원을 구비한 착용형 디스플레이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에서 획득된 제1 센싱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 후에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에서 획득된 제2 센싱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인지기능 개선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using a weara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a wearable display having a memory for storing an applica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 plurality of EEG sensors, and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receiving the first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wearable display and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content provided by the application to the wearable display based on the first sensing data, and after transmitting the cont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analyzing the second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wearable display to check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광원에서 일정 광량의 광을 조사하는 컨텐츠이면 상기 광원의 제어필요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광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extracts content based on the first sensing data, and if the content is content irradia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the control unit checks whether control of the light source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amount of light in the wearable displa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that can be controlled.
또한, 제어부는, 기설정된 인지개선 레벨에 대응되는 상기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xtract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a preset cognitive improvement level.
또한,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컨텐츠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컨텐츠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racted content needs to be changed, the controller changes the content.
또한,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인지기능 개선정보에 대한 공유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인지기능 개선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to at least one server based on a shared signal for the received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또한, 제어부는, 상기 뇌파감지센서에서 획득된 상기 제1 센싱데이터의 뇌파 주파수를 분리하고, 뇌파 주파수 대역의 세기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EG frequency of the first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EEG sensor is separated, and the strength of the EEG frequency band is checked.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싱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확인된 뇌파 주파수 대역의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전송 후의 뇌파의 변화 및 개선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EEG frequency band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cond sensing dat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alysis of the change and improvement of the EEG after the content transmission.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인지기능 개선 시스템은, 복수개의 뇌파감지센서 및 복수개의 광원을 구비한 착용형 디스플레이,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로부터 수신된 제1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 후에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로부터 수신된 제2 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인지기능 개선정보를 확인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인지기능 개선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system using a weara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display having a plurality of EEG sensors and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based on the first sensing data received from the wearable display An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content provided by an applica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to the wearable display, and analyzing second sensing data received from the wearable display after transmitting the content to confirm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server for sharing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인지기능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뇌파감지 센서가 구비된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측정된 뇌파를 분석함으로써 장소나 시간의 구애 없이 누구나 편하게 인지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using a weara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EEG measured using a wearable display equipped with at least one EEG sensor, regardless of place or time. It has the effect that anyone can conveniently measure cognitive fun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인지기능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뇌파감지 센서가 구비된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측정된 뇌파에 대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기능을 실시간으로 확인 및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using a weara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ptimized for the use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EEG measured using the wearable display equipped with at least one EEG sensor. By providing content, it is possible to check and improve the user's cognitive function in real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개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의 인지기능 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착용형 디스플레이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improving a cognitive fun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content from an electronic device to a weara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ions such as “or” and “at least one” may indicate one of the words listed togeth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For example, “A or B” or “at least one of A and B” may include only one of A or B, or both A and B.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개선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지기능 개선시스템(10)은 착용형 디스플레이(100), 전자장치(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cognitive
착용형 디스플레이(100)는 전자장치(200)와의 통신을 통해 전자장치(200)로부터 인지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은 착용형 디스플레이(100)는 하기의 도 2를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Th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100, 이하, HMD(100)라 함)는 인지능력을 개선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두부에 착용하는 장치로,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감지하고,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HMD(100)는 제1 통신부(110), 광원부(120), 센서부(130), 제1 입력부(140), 제1 표시부(150), 제1 메모리(160) 및 제1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wearable display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HMD 100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worn on the head by a user who wants to improve cognitive ability, and is worn on the user's head to receive the user's brain waves. may be detected, and content received from the
제1 통신부(110)는 전자장치(2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1 통신부(110)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광원부(120)는 RGB(Red, Green, Blue)광을 조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레이저 및 할로겐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RGB광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부(120)는 제1 표시부(150)의 내부 즉, HMD(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안구 근처에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RGB컬러의 조합으로 형성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The
또한, LED광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부(120),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는 광원부(120) 및 할로겐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부(120)가 사용자의 안구 근처에서 광을 조사하게 되면 사용자가 위험할 수 있으므로, HMD(100) 착용 시 사용자의 두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신경에 직접적인 광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LED광, 레이저 및 할로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사할 수 있는 광원부(120)에서 조사되는 적색광의 파장은 550~700nm의 파장 대역이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근적외선의 파장은 800 ~ 900nm의 파장 대역이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센서부(130)는 HMD(100)를 두부에 착용한 사용자의 두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복수의 뇌파감지센서를 포함한다. The
제1 입력부(140)는 HMD(100)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제1 입력부(140)는 키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널, 조그 셔틀, 터치 키 및 메뉴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제1 표시부(150)는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표시한다. 제1 표시부(15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아울러, HMD(100)는 HMD(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제1 표시부(150)에 표시된 컨텐츠를 가상 현실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제1 표시부(150)와 사용자의 안구 사이에 복수의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The
제1 메모리(160)는 HMD(1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제1 메모리(160)는 전자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해 PIN CODE, HMD(100)의 고유번호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제1 제어부(170)는 제1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전자장치(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면, 센서부(130)를 활성화하여 센서부(130)에서 획득된 제1 센싱데이터를 전자장치(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170)는 전자장치(200)에서 제1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신된 컨텐츠를 광원부(120) 또는 제1 표시부(150)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하도록 광원부(120) 또는 제1 표시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이어서 제1 제어부(170)는 센서부(130)를 제어하여 컨텐츠 출력 시에 변화되는 뇌파와 관련된 제2 센싱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획득하여 전자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When the
전자장치(200)는 HMD(100)와의 통신을 통해 HMD(100)로부터 사용자의 뇌파에 대한 제1 센싱데이터를 수신한다. 전자장치(200)는 제1 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인지기능 레벨을 확인하고, 인지기능 레벨을 기반으로 인지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컨텐츠를 HMD(100)로 전송한다. 이어서, 전자장치(200)는 컨텐츠를 HMD(100)로 전송한 이후에 HMD(100)로부터 수신된 제2 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컨텐츠에 대한 효과 등을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확인된 결과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장치(200)는 하기의 도 3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Th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의 저장 및 실행이 가능하고, HMD(100)와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의 장치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장치(200)는 제2 통신부(210), 제2 입력부(220), 제2 표시부(230), 제2 메모리(240) 및 제2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 the
제2 통신부(210)는 HMD(100) 및 서버(3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2 통신부(210)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5G(5th generation communic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제2 입력부(220)는 전자장치(200)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제2 입력부(220)는 키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널, 조그 셔틀, 터치 키 및 메뉴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2 표시부(230)는 전자장치(200)의 동작과 관련된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제2 표시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The second display unit 230 displays display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제2 메모리(240)는 전자장치(2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제2 메모리(240)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해 HMD(100)로 전송할 컨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메모리(240)는 컨텐츠를 HMD(100)로 전송하기 이전에 HMD(100)로부터 수신된 제1 센싱데이터와, 컨텐츠를 HMD(100)로 전송한 이후에 HMD(100)로부터 수신된 제2 센싱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한다. 또한, 제2 메모리(240)는 컨텐츠를 HMD(100)로 전송한 이후에 제1 센싱데이터와 제2 센싱데이터를 비교하여 확인된 각 파장의 변화도 및 인지기능 개선도를 결과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제2 메모리(240)는 저장된 결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복수의 서버(300)로의 접속 주소 등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econd memory 240 stores operation programs of the
제2 제어부(250)는 제2 입력부(220)의 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2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HMD(100)와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HMD(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는, 카드게임, 틀린그림찾기 게임, 동영상데이터, RGB광원을 이용한 컬러영상데이터 등 인지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 여러 종류의 컨텐츠일 수 있으며, VR(Virtual Reality)/AR(Augmented Reality) 컨텐츠일 수 있다. The
제2 제어부(250)는 HMD(100)로부터 사용자가 HMD(100)를 두부에 착용 완료함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고, HMD(100)에 구비된 센서부(130)에서 감지된 제1 센싱데이터를 수신한다. 제2 제어부(250)는 HMD(100)로부터 수신된 제1 센싱데이터의 분석을 수행하여 제1 센싱데이터의 주파수를 분리하여 주파수 대역 예컨대, 뇌파 주파수 대역인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및 감마파에 대한 세기를 각각 확인한다. 이를 통해, 제2 제어부(250)는 외부 자극이 없는 평상 시의 사용자에 대한 인지기능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 The
제2 제어부(250)는 확인된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및 감마파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컨텐츠를 확인하여 추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50)는 제1 센싱데이터의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확인된 사용자의 인지기능 레벨만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인지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지기능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목표로 인지개선 레벨을 기설정한 상태이면 제2 제어부(250)는 인지개선 레벨과 확인된 사용자의 인지기능 레벨을 함께 고려하여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50)는 추출된 컨텐츠를 HMD(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일 수 있다. The
제2 제어부(250)는 HMD(100)로 컨텐츠를 전송한 이후에 HMD(100)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2 센싱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제2 센싱데이터는 사용자가 HMD(100)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에 의해 자극을 받아 변화가 발생한 뇌파에 대한 센싱데이터일 수 있다. 제2 제어부(250)는 제2 센싱데이터의 분석을 수행하여 주파수 대역 예컨대, 뇌파 주파수 대역인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및 감마파에 대한 세기를 각각 확인한다. 제2 제어부(250)는 HMD(100)로 컨텐츠를 전송하기 이전에 수신된 제1 센싱데이터와 HMD(100)로 컨텐츠를 전송한 이후에 수신된 제2 센싱데이터 각각에서 확인된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및 감마파를 비교하여 각 파장의 변화도 및 인지기능 개선도를 결과 정보로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전자장치(200)는 인지기능의 개선도를 확인할 수 있고, 개선도를 통해 인지기능에 대한 치료 및 완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After the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제2 제어부(250)는 제2 입력부(220)를 통해 결과에 대한 공유신호가 수신되면 공유신호를 기반으로 산출된 결과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When a shared signal for a result is received through the
서버(300)는 전자장치(200)와의 통신을 통해 결과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서버(300)는 결과 정보를 연구데이터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소에서 운영하는 서버,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한 컨텐츠에 대한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임상시험을 수행하는 임상시험 센터에서 운영하는 서버,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회사에서 운영하는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마켓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403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HMD(100)와 연결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전자장치(200)는 HMD(100)와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어플리케이션은 HMD(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는, 카드게임, 틀린그림찾기 게임, 동영상데이터, RGB광원을 이용한 컬러영상데이터 등 인지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 여러 종류의 컨텐츠일 수 있으며, VR(Virtual Reality)/AR(Augmented Reality) 컨텐츠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405단계에서 HMD(100)는 사용자가 HMD(100)를 두부에 착용 완료하였음을 확인하고 407단계를 수행한다. 407단계에서 HMD(100)는 HMD(100)에 구비된 뇌파감지센서(이하, 센서부(130)라 함)에서 감지된 뇌파에 대한 센싱데이터(이하, 제1 센싱데이터라 함)를 획득한다. In
409단계에서 HMD(100)는 획득된 제1 센싱데이터를 전자장치(200)로 전송하고, 411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HMD(100)로부터 수신된 제1 센싱데이터의 분석을 수행한다. 이때, 전자장치(200)는 제1 센싱데이터의 주파수를 분리하여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및 감마파에 대한 세기를 각각 확인한다. 이를 통해, 전자장치(200)는 평상 시 사용자의 인지기능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 In step 409 , the
413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및 감마파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컨텐츠를 확인하여 추출한다. 이때, 전자장치(200)는 제1 센싱데이터의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확인된 사용자의 인지기능 레벨만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인지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고, 사용자가 기설정한 인지개선 레벨과 확인된 사용자의 인지기능 레벨을 함께 고려하여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415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추출된 컨텐츠를 HMD(100)로 전송한다. In
417단계에서 HMD(100)는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한다. 419단계에서 HMD(100)는 컨텐츠를 출력하면서 지속적으로 센싱데이터(이하, 제2 센싱데이터라 함)를 획득한다. 421단계에서 HMD(100)는 획득된 제2 센싱데이터를 전자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때, HMD(100)는 제2 센싱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In
423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제2 센싱데이터의 분석을 수행한다. 이때, 전자장치(200)는 제2 센싱데이터의 주파수를 분리하여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및 감마파에 대한 세기를 각각 확인한다. 425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컨텐츠 전송 이전에 수신된 제1 센싱데이터와 컨텐츠 전송 이후에 수신된 제2 센싱데이터 각각에서 확인된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및 감마파를 비교하여 각 파장의 변화도 및 인지기능 개선도를 결과 정보로 저장한다. In
427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결과에 대한 공유신호가 수신되면 429단계를 수행한다. 429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공유신호를 기반으로 산출된 결과 정보를 서버(300)에 전송한다. 431단계에서 서버(300)는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결과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서버(300)는 결과 정보를 연구데이터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소에서 운영하는 서버,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한 컨텐츠에 대한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임상시험을 수행하는 임상시험 센터에서 운영하는 서버 및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회사에서 운영하는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의 인지기능 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improving a cognitive fun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501단계에서 제2 제어부(250)는 제2 입력부(220)의 입력에 따라 제2 메모리(240)에 저장된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503단계에서 제2 제어부(250)는 HMD(100)와의 연결여부를 확인한다. 503단계의 확인결과, HMD(100)와 연결이 완료되면 제2 제어부(250)는 505단계를 수행하고, HMD(100)와의 연결이 완료되지 않으면 HMD(100)와의 연결완료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Referring to FIG. 5 , in
505단계에서 제2 제어부(250)는 HMD(100)로부터 사용자가 HMD(100)를 두부에 착용 완료하였는지에 대한 착용완료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505단계에서 제2 제어부(250)는 착용완료신호가 수신되면 507단계를 수행하고, 착용완료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착용완료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In
507단계에서 제2 제어부(250)는 HMD(100)로부터 센싱데이터(이하, 제1 센싱데이터라 함)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센싱데이터의 분석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50)는 제1 센싱데이터의 주파수를 분리하여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및 감마파에 대한 세기를 각각 확인한다. 이를 통해, 제2 제어부(250)는 평상 시 사용자의 인지기능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 In
이어서, 509단계에서 제2 제어부(250)는 분석결과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HMD(100)로 전송한다. 이는 하기의 도 6을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착용형 디스플레이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Next, in
도 6을 참조하면, 601단계에서 제2 제어부(250)는 제1 센싱데이터의 분석결과에 따라 HMD(100)에 제공할 수 있는 최적의 컨텐츠를 추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50)는 제1 센싱데이터의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확인된 사용자의 인지기능 레벨만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인지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50)는 사용자가 기설정한 인지개선 레벨과 확인된 사용자의 인지기능 레벨을 함께 고려하여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기준이 되는 인지기능 레벨을 1에서 10까지 분류할 수 있고, 제1 센싱데이터의 분석결과 확인된 사용자의 인지기능 레벨이 4이면, 제2 제어부(250)는 인지기능 레벨을 3까지 개선시킬 수 있는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인지기능 레벨이 4이고, 인지개선 레벨이 1로 설정된 상태이면, 4와 1의 중간 레벨인 2 또는 3까지 개선시킬 수 있는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in
603단계에서 제2 제어부(250)는 추출된 컨텐츠가 광원 제어가 필요한 컨텐츠이면 605단계를 수행하고, 광원 제어가 필요하지 않은 컨텐츠이면 607단계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50)는 추출된 컨텐츠가 HMD(100)에 구비된 광원부(120)를 통해 일정 광량의 광을 조사하는 컨텐츠일 경우, HMD(100)에서 사용자의 눈에 무리가 되지 않는 정도의 광량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HMD(10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신호는 광 조사시의 광량이 최대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광원부(12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일 수 있다. In
607단계에서 제2 제어부(250)는 601단계에서 추출된 컨텐츠를 HMD(100)로 전송한다. 이때, HMD(100)는 제2 제어부(25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하면서 지속적으로 센서부(130)를 통해 센싱데이터(이하, 제2 센싱데이터라 함)을 획득할 수 있다. 609단계에서 제2 제어부(250)는 HMD(100)에서 획득된 제2 센싱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50)는 제2 센싱데이터의 주파수를 분리하여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및 감마파에 대한 세기를 각각 확인한다. 제2 제어부(250)는 제1 센싱데이터와 제2 센싱데이터로부터 확인된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및 감마파의 세기 차이를 각각 확인하여 각 파장의 변화도 및 인지기능 개선도를 확인한다. In
611단계에서 제2 제어부(250)는 제2 센싱데이터의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607단계에서 HMD(100)로 전송한 컨텐츠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613단계를 수행하고, 변경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511단계로 리턴한다. 613단계에서 제2 제어부(250)는 제2 센싱데이터의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변경하여 변경된 컨텐츠를 HMD(100)로 재전송하고 도 5의 511단계로 리턴한다. 제2 제어부(250)가 사용자의 인지기능 레벨이 4이고, 인지개선 레벨이 1로 설정된 상태에서 인지기능 레벨을 2까지 개선시킬 수 있는 컨텐츠를 추출하여 HMD(100)로 전송한 경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제어부(250)는 제2 센싱데이터의 분석결과 인지기능 레벨을 2까지 개선시킬 수 있는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컨텐츠로 확인된 경우 제2 제어부(250)는 인지기능 레벨을 3까지 개선시킬 수 있는 컨텐츠로 변경하여 HMD(1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이어서, 511단계에서 제2 제어부(250)는 제2 센싱데이터의 분석결과를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50)는 제1 센싱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확인된 사용자의 인지기능 레벨, 인지기능 레벨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한 컨텐츠, 제2 센싱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컨텐츠 제공에 따라 변화된 사용자의 인지기능 레벨 등을 결과정보로 확인하여 제2 메모리(240)에 저장한다. 아울러, 컨텐츠를 변경한 경우, 제2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인지기능 레벨과 기설정된 인지개선 레벨 두 가지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 컨텐츠, 변경 컨텐츠 등을 결과 정보로 확인하여 제2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제어부(250)는 컨텐츠 추출 시 인지기능 레벨과 인지개선 레벨 중 어떤 레벨에 가중치를 더 주어야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인지기능 레벨과 비교하여 인지개선 레벨이 임계치 이상 높을 경우 컨텐츠 추출 이전에 인지개선 레벨을 변경할 수 있도록 HMD(100)로 안내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Next, in
513단계에서 제2 제어부(250)는 제2 입력부(220)를 통해 결과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신호가 수신되면 515단계를 수행하고, 공유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515단계에서 제2 제어부(250)는 공유신호에 대응되는 서버(300)로 결과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제2 제어부(250)는 결과 정보를 연구데이터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소에서 운영하는 서버,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한 컨텐츠에 대한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임상시험을 수행하는 임상시험 센터에서 운영하는 서버 및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회사에서 운영하는 서버 등으로 결과정보를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 In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for specific examples in order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상기 전자장치가 복수개의 뇌파감지센서 및 사용자의 두부에 위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경에 직접적인 광자극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광원을 구비한 착용형 디스플레이의 착용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에서 획득된 제1 센싱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제1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출한 컨텐츠를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되, 상기 추출된 컨텐츠가 광원제어가 필요한 컨텐츠이면 상기 복수개의 광원에서 조사하는 광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컨텐츠 전송 후에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에서 획득된 제2 센싱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인지기능 개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개선방법.executing, by the electronic device,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content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The electronic device is located on the head of the user and a plurality of EEG sensors, and when a wear completion signal of the wearable display hav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providing direct optical stimulation to the user's nerves is received, the wearable display obtained from the receiving and analyzing the first sensed data;
The electronic device transmits the content extracted based on the first sensing data to the wearable display, and if the extracted content is content requiring light source control, a control signal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transmitting to the wearable display; and
receiving and analyzing, by the electronic device, the second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wearable display after transmitting the content to confirm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method comprising a.
상기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인지개선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인지개선 레벨에 대응되는 상기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개선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extracting the content,
checking a preset level of cognitive improvement;
extract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improvement level;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method comprising a.
상기 인지기능 개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된 컨텐츠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컨텐츠를 변경하여 변경된 컨텐츠를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개선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After confirming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changed content to the wearable display by changing the cont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racted content needs to be changed;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인지기능 개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인지기능 개선정보에 대한 공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신호에 따라 상기 인지기능 개선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개선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After confirming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receiving a shared signal for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to at least one server according to the shared signal;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제1 센싱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뇌파감지센서에서 획득된 상기 제1 센싱데이터의 뇌파 주파수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뇌파 주파수에 대한 뇌파 주파수 대역의 세기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개선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ceiving and analyzing the first sensed data,
separating the EEG frequency of the first sensed data obtained from the EEG sensor; and
checking the strength of the EEG frequency band for the separated EEG frequency;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method comprising a.
상기 인지기능 개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센싱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확인된 뇌파 주파수 대역의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전송 후의 뇌파의 변화 및 개선도를 분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개선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confirming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nalyzing the change and improvement of the EEG after the content transmission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EEG frequency band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cond sensing data.
복수개의 뇌파감지센서 및 사용자의 두부에 위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경에 직접적인 광자극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광원을 구비한 착용형 디스플레이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에서 획득된 제1 센싱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출한 컨텐츠를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되, 상기 추출된 컨텐츠가 광원제어가 필요한 컨텐츠이면 상기 복수개의 광원에서 조사하는 광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 후에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에서 획득된 제2 센싱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인지기능 개선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개선장치.a memory for storing an applica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wearable display having a plurality of EEG sensors and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positioned on the user's head to provide direct optical stimulation to the user's nerves; and
Receive the first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wearable display and transmit the content extracted based on the first sensing data to the wearable display. If the extracted content is content requiring light source control,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is irradiated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used, and receives and analyzes second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wearable display after transmitting the content to confirm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apparatus comprising a.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인지개선 레벨에 대응되는 상기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개선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is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extract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a preset cognitive improvement leve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컨텐츠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컨텐츠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개선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unit is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is change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extracted content needs to be changed.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인지기능 개선정보에 대한 공유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인지기능 개선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개선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unit is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trolled to transmit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to at least one server based on the received shared signal for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뇌파감지센서에서 획득된 상기 제1 센싱데이터의 뇌파 주파수를 분리하고, 뇌파 주파수 대역의 세기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개선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is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EEG frequency of the first sensing data acquired by the EEG sensor is separated and the strength of the EEG frequency band is check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싱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확인된 뇌파 주파수 대역의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전송 후의 뇌파의 변화 및 개선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개선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unit is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brain wave frequency band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cond sensing data, the change and improvement of the brain wave after the content transmission is analyzed.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로부터 수신된 제1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추출된 컨텐츠를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되, 상기 추출된 컨텐츠가 광원제어가 필요한 컨텐츠이면 상기 복수개의 광원에서 조사하는 광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 후에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로부터 수신된 제2 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인지기능 개선정보를 확인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인지기능 개선정보를 공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개선시스템.A wearable display having a plurality of EEG sensors and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positioned on the user's head to provide direct optical stimulation to the user's nerves;
Based on the first sensing data received from the wearable display, the content extracted from the applica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s transmitted to the wearable display. If the extracted content is content requiring light source control,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is irradiated. an electronic device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used, and analyzes second sensed data received from the wearable display after transmitting the content to confirm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server for sharing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1891A KR102271378B1 (en) | 2020-01-07 | 2020-01-07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Using Head Mount Display |
PCT/KR2020/018259 WO2021141262A1 (en) | 2020-01-07 | 2020-12-14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by using wearable displ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1891A KR102271378B1 (en) | 2020-01-07 | 2020-01-07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Using Head Mount Displa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1378B1 true KR102271378B1 (en) | 2021-06-29 |
KR102271378B9 KR102271378B9 (en) | 2022-10-21 |
Family
ID=76626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1891A KR102271378B1 (en) | 2020-01-07 | 2020-01-07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Using Head Mount Display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1378B1 (en) |
WO (1) | WO2021141262A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30204A (en) | 2016-05-18 | 2017-11-28 | 주식회사 메딕션 | Mental illness improvement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contents and bio-signal analysis |
KR20180045278A (en) * | 2016-10-25 | 2018-05-04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Virtual Reality Recognition Rehabilitation System based on Bio Sensors |
KR20180068917A (en) * | 2018-06-08 | 2018-06-22 | 주식회사 옴니씨앤에스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mental health using biological information |
KR20190061826A (en) * | 2017-11-28 | 2019-06-05 | (주)블라우비트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omplex biometric data c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panic disorder |
KR102050917B1 (en) * | 2019-06-03 | 2019-12-02 | (주)인스파이어팩토리 | System and device for dementia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430641A (en) * | 2015-03-24 | 2017-12-01 | 阿雷斯贸易股份有限公司 | Patient care system |
-
2020
- 2020-01-07 KR KR1020200001891A patent/KR102271378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0-12-14 WO PCT/KR2020/018259 patent/WO202114126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30204A (en) | 2016-05-18 | 2017-11-28 | 주식회사 메딕션 | Mental illness improvement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contents and bio-signal analysis |
KR20180045278A (en) * | 2016-10-25 | 2018-05-04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Virtual Reality Recognition Rehabilitation System based on Bio Sensors |
KR20190061826A (en) * | 2017-11-28 | 2019-06-05 | (주)블라우비트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omplex biometric data c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panic disorder |
KR20180068917A (en) * | 2018-06-08 | 2018-06-22 | 주식회사 옴니씨앤에스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mental health using biological information |
KR102050917B1 (en) * | 2019-06-03 | 2019-12-02 | (주)인스파이어팩토리 | System and device for dementia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141262A1 (en) | 2021-07-15 |
KR102271378B9 (en) | 2022-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92222B2 (en) | Flicker and frequency doubling in virtual reality | |
US20180333092A1 (en) | Portable ocular response test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 |
JP2022502221A (en) |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eye examinations and measurements | |
US10357151B2 (en) | Method of identifying and eye disorder of an observer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 |
US10709328B2 (en) | Main module, system and method for self-examination of a user's eye | |
Bossi et al. | A comparison of tests for quantifying sensory eye dominance | |
CN108882843B (en) | Vision examination method, vision examination instrument, and download server storing program for vision examination method | |
KR20170093645A (en) | Electronic apparatus, portable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
US9174067B2 (en) | System for treating light treatable conditions and associated methods | |
WO2010063064A1 (en) | Pupillary assessment method and apparatus | |
US20190014981A1 (en) | Visual and mental testing using virtual reality hardware | |
KR102366251B1 (en) | Method and system for human body medical examination using chatbot inpuiry | |
KR102406285B1 (en) |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VR device | |
EP4378442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based eye exercise and visual perception training | |
US20220160223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Evaluating Vision Acuity and/or Conducting Visual Field Tests in a Head-Mounted Vision Device | |
KR20020013547A (en) | Visual test utilizing color frequency doubling | |
KR102271378B1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Using Head Mount Display | |
CN109310315B (en) | Visual field visual acuity test system, visual field visual acuity test device, visual field visual acuity test method, storage medium, and server device | |
Hwang et al. | Positive and negative polarity contrast sensitivity measuring app | |
KR20210069495A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JP6135324B2 (en) | Color vision prosthesis device and color vision prosthesis method | |
WO2019050049A1 (en) | Ophthalmic equipment,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 |
WO2022115860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evaluating vision acuity and/or conducting visual field tests in a head-mounted vision device | |
JP7088198B2 (en) | Ophthalmic equipment, management equipment, and management methods for ophthalmic equipment | |
KR20220056652A (en) | recognition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