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032B1 - apparatus for auto attaching rubber of TV stand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uto attaching rubber of TV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032B1
KR102271032B1 KR1020190151080A KR20190151080A KR102271032B1 KR 102271032 B1 KR102271032 B1 KR 102271032B1 KR 1020190151080 A KR1020190151080 A KR 1020190151080A KR 20190151080 A KR20190151080 A KR 20190151080A KR 102271032 B1 KR102271032 B1 KR 102271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pallet
cylinder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0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62880A (en
Inventor
진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준베스트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준베스트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준베스트진테크
Priority to KR1020190151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032B1/en
Publication of KR2021006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8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0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75Displays, monitors, TV-sets, computer scree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는 러버를 수용하는 러버 지그가 구비되는 제1러버 파렛트; 상기 제1러버 파렛트와 교환되며, 상기 러버 지그가 구비되는 제2러버 파렛트; 상기 제1러버 파렛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러버 파렛트를 승하강시키는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 상기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을 이동시키는 제1로드레스 실린더; 상기 제2러버 파렛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2러버 파렛트를 이동시키는 제2로드레스 실린더; 및 상기 제1러버 파렛트 또는 상기 제2러버 파렛트를 지지하는 핀업실린더; 를 포함한다.A rubber automatic attachment device for a TV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ubber pallet provided with a rubber jig for accommodating the rubber; a second rubber pallet exchanged with the first rubber pallet and provided with the rubber jig; a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coupled to the first rubber pallet to elevate the first rubber pallet; a first loadless cylinder coupled to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to move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a second rodless cylinder coupled to the second rubber pallet to move the second rubber pallet; and a pin-up cylinder supporting the first rubber pallet or the second rubber pallet. includes

Description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apparatus for auto attaching rubber of TV stand}Rubber automatic attachment device for TV stand {apparatus for auto attaching rubber of TV stand}

본 발명은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러버 벨트로부터 러버를 자동으로 분리하여 적재한 후 TV스탠드의 저면에 자동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rubber attachment device for a TV stand, and to an automatic rubber attachment apparatus for a TV stand capable of automatically attaching rubber to the bottom surface of a TV stand after automatically separating and loading the rubber from a rubber belt.

최근 TV(Television)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슬림화로 인하여 더 얇고 가벼운 TV가 개발되고 있으며 제품 본연의 기능 보강과 함께 거실 등 생활공간 내에서 가구 등과 함께 인테리어를 구성하는 제품으로 활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inner and lighter TVs are being developed due to the slimming of display panels, and they are being used as products that compose interiors with furniture in living spaces such as living rooms as well as reinforcing the original functions of the products.

이러한 TV는 벽걸이 또는 TV스탠드에 거치하여 사용하는데, TV스탠드의 경우 슬림화 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맞추어 미려함을 확보할 수 있도록 얇거나 만곡된 형태의 TV스탠드가 디자인되고 있다.Such TVs are used by being mounted on a wall-mounted or TV stand. In the case of TV stands, thin or curved TV stands are being designed to secure aesthetics according to a slimmed display panel.

도 1에는 이렇게 미려하게 제작된 TV스탠드(S)가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TV스탠드(S)는 바닥이나 가구 표면에 지지되는 만곡부(SR), 만곡부(SR)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에 결합되는 넥부(SN)를 포함한다.1 shows a TV stand (S) beautifully manufactured in this way. The TV stand S includes a curved portion SR supported on a floor or furniture surface, and a neck portion S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urved portion SR and coupled to the display panel.

여기서, 만곡부(SR)는 바닥이나 가구 표면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기능해야 하므로, 만곡부(SR)의 저면에는 도 2의 (a) 또는 (b)와 같이 복수개의 러버(R)가 부착되어 있다.Here, since the curved part SR should be firmly supported on the floor or furniture surface to function not to slip, a plurality of rubbers R ar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urved part SR as shown in (a) or (b) of FIG. 2 . have.

TV 제조업체에서는 이러한 러버(R)를 TV스탠드(S)에 부착 시, 생산자가 지그에 TV스탠드(S)의 저면이 노출되도록 TV스탠드(S)를 적치하고, 노출된 TV스탠드(S)의 저면에 러버(R)를 수작업으로 부착한다. When a TV manufacturer attaches this rubber (R) to a TV stand (S), the producer places the TV stand (S) on the jig so that the bottom of the TV stand (S) is exposed, and the bottom of the exposed TV stand (S). Attach the rubber (R) manually.

이때,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러버 벨트(B)로부터 가로 및 세로로 절단된 각 러버(R)를 수작업으로 하나씩 분리한 후 부착해야 하므로, 작업 소요 시간이 과다하게 증가하여 생산성이 감소하며, 수작업에 의한 부착으로 부착 정확도도 감소하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since each rubber R cut horizontally and vertically from the rubber belt B must be manually separated and attached one by one, the work required time is excessively increased and productivity is reduced. , the attachment accuracy is also reduced due to manual attachment.

특히, 도 2의 X축 및 Y축을 기준으로, 도 2의 (a)에 도시된 러버(R)는 Y축에 평행하게 부착되나, 도 2의 (b)와 같이 각 러버(R)가 Y축에 소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부착되는 경우에는 러버(R)가 부착위치(SP)로부터 벗어나거나 슬립이 발생하여 부착 정확도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택트 타임(tact time)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based on the X and Y axes of FIG. 2, the rubber R shown in FIG. 2 (a) is attached parallel to the Y axis, but as shown in FIG. 2 (b), each rubber R is Y When attached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ax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ubber R deviates from the attachment position SP or slip occurs, so that the attachment accuracy is remarkably reduced and the tact time is greatly increased.

따라서, 러버 벨트로부터 자동으로 러버를 분리하고, TV스탠드의 저면에 자동으로 러버를 부착하여 부착 정확도를 향상하고, 택트 타임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ic rubber attachment device for TV stand that can automatically separate the rubber from the rubber belt and automatically attach the rubber to the bottom of the TV stand to improve the attachment accuracy and reduce the tact time to increase productivity. it is necessar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러버 벨트로부터 러버를 자동으로 분리하여 적재한 후 TV스탠드의 저면에 자동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rubber attachment device for a TV stand capable of automatically attaching the rubber to the bottom of the TV stand after automatically separating and loading the rubber from the rubber bel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는 러버를 수용하는 러버 지그가 구비되는 제1러버 파렛트; 상기 제1러버 파렛트와 교환되며, 상기 러버 지그가 구비되는 제2러버 파렛트; 상기 제1러버 파렛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러버 파렛트를 승하강시키는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 상기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을 이동시키는 제1로드레스 실린더; 상기 제2러버 파렛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2러버 파렛트를 이동시키는 제2로드레스 실린더; 및 상기 제1러버 파렛트 또는 상기 제2러버 파렛트를 지지하는 핀업실린더; 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rubber attachment device for a TV stand, comprising: a first rubber pallet provided with a rubber jig for accommodating the rubber; a second rubber pallet exchanged with the first rubber pallet and provided with the rubber jig; a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coupled to the first rubber pallet to elevate the first rubber pallet; a first loadless cylinder coupled to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to move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a second rodless cylinder coupled to the second rubber pallet to move the second rubber pallet; and a pin-up cylinder supporting the first rubber pallet or the second rubber pallet. includes

또한, 상기 핀업실린더는, 상기 제1러버 파렛트의 하부 또는 상기 제2러버 파렛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핀업헤드; 및 상기 핀업헤드가 구비되고 상기 핀업헤드를 승하강시키는 핀업실린더 바디; 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n-up cylinder may include a pin-up head disposed under the first rubber pallet or under the second rubber pallet; and a pin-up cylinder body provided with the pin-up head and configured to elevate the pin-up head; may include.

또한, 상기 제1러버 파렛트는 상기 제2로드레스 실린더에 인접한 테두리에 제1핀홀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러버 파렛트는 상기 제1로드레스 실린더에 인접한 테두리에 제2핀홀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ubber pallet is formed by opening a first pinhole on an edge adjacent to the second rodless cylinder, and the second rubber pallet is formed by opening a second pinhole on an edge adjacent to the first rodless cylinder can be

또한, 상기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은, 상기 제1로드레스 실린더에 결합되는 실린더 지지브라켓; 상기 실린더 지지브라켓에 결합되는 파렛트 승하강실린더; 및 일측이 상기 파렛트 승하강실린더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러버 파렛트에 결합되는 파렛트 지지플레이트; 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a cylinder support bracket coupled to the first rodless cylinder; a pallet elevating cylinder coupled to the cylinder support bracket; and a pallet support plate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pallet elevating cylinder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first rubber pallet; may include.

또한, 상기 핀업실린더는,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로드레스 실린더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핀업실린더;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로드레스 실린더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핀업실린더;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로드레스 실린더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핀업실린더; 및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로드레스 실린더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4핀업실린더; 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n-up cylinder may include: a first pin-up cylinder disposed in front and adjacent to the second rodless cylinder; a second pin-up cylinder disposed in front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rodless cylinder; a third pin-up cylinder disposed at the rear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rodless cylinder; and a fourth pin-up cylinder disposed at the rear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rodless cylinder; may include.

또한, 상기 러버가 상기 제1러버 파렛트의 상기 러버 지그에 적재될 때, 상기 제1러버 파렛트는 하강하고 상기 제4핀업실린더는 승강하여 상기 제1러버 파렛트를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ubber is loaded on the rubber jig of the first rubber pallet, the first rubber pallet may be lowered and the fourth pin-up cylinder may be raised and lowered to support the first rubber pallet.

또한, 상기 러버가 상기 제2러버 파렛트의 상기 러버 지그에 적재될 때, 상기 제3핀업실린더는 승강하여 상기 제2러버 파렛트를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ubber is loaded on the rubber jig of the second rubber pallet, the third pin-up cylinder may be raised and lowered to support the second rubber pallet.

또한, 상기 러버가 상기 제1러버 파렛트의 상기 러버 지그로부터 흡착될 때, 상기 제1러버 파렛트는 하강하고 상기 제1핀업실린더는 승강하여 상기 제1러버 파렛트를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ubber is adsorbed from the rubber jig of the first rubber pallet, the first rubber pallet may descend and the first pin-up cylinder may be raised and lowered to support the first rubber pallet.

또한, 상기 러버가 상기 제2러버 파렛트의 상기 러버 지그로부터 흡착될 때, 상기 제2핀업실린더는 승강하여 상기 제2러버 파렛트를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ubber is adsorbed from the rubber jig of the second rubber pallet, the second pin-up cylinder may move up and down to support the second rubber pallet.

또한, 상기 제1러버 파렛트는 승강한 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러버 파렛트는 상기 제1러버 파렛트가 승강하기 전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ubber pallet may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after being lifted, and the second rubber pallet may be moved to a position before the first rubber pallet is moved up and dow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는 자동으로 러버 벨트(B)에서 러버(R)를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적재한 후 TV스탠드(S)의 저면에 위치한 복수개의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자동으로 부착하므로, 택트 타임이 감소하여 생산성이 증가되고 부착 정확도가 현저하게 상승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rubber attachment apparatus for a TV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rubber attachment apparatus for a TV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separates the rubber (R) from the rubber belt (B) and individually Since the rubber (R) is automatically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attachment positions (SP)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V stand (S) after loading, the tact time is reduced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significantly increase the attachment accuracy.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일반적인 TV스탠드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러버의 부착위치가 도시된 TV스탠드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러버 벨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벨트 로딩부(10) 및 러버 분리부(2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벨트 이재유닛(120) 및 러버 벨트 리프트유닛(110)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부(20)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유닛(220)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러버 분리유닛(220)의 분해사시도로, 전방 러버 분리유닛(220)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러버 분리유닛(220)의 분해사시도로, 후방 러버 분리유닛(220)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전방 러버 분리유닛(220)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후방 러버 분리유닛(220)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저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유닛(220)의 내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유닛(220)의 러버 분리 동작 순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유닛의 동작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적재유닛(230)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유닛(220)의 러버 적재 동작 순서도이다.
도 26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유닛(220)의 동작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노즐부(2241) 및 후방 노즐부(2242)의 동작도이다.
도 29는 러버 분리유닛(220)이 러버 적재유닛(230)에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한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부착유닛(310)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부착유닛(310)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부착유닛(310)의 정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핑거(317)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부착부(30)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부착유닛(310)과 러버 적재유닛(230)의 사시도이다.
도 36은 러버 부착유닛(310) 흡착하는 러버(R)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개략도이다.
도 37은 러버 부착유닛(310) 흡착하는 러버(R)의 또 다른 위치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개략도이다.
도 38은 러버 부착유닛(310)이 러버(R)를 흡착한 후 회전하는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9는 러버 부착유닛(310)이 TV스탠드(S)에 러버(R)를 개별적으로 부착하기 위해 TV스탠드(S)에 접근한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0은 러버 부착유닛(310)이 TV스탠드(S)의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부착하는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1은 러버 부착유닛(310)이 또 다른 TV스탠드(S)의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부착하는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 지그(320)에 TV스탠드(S)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S)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2의 정면도이고,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 플레이트(321)의 평면도이다.
도 46은 도 42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모듈(324)의 사시도이다.
도 48은 도 47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9는 도 47의 정면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모듈(3241) 및 링크모듈(3243)의 사시도이다.
도 51 내지 도 5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모듈(324)의 동작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러버 적재유닛(240)의 평면도이다.
도 55는 도 54에서 사이드 프레임(2413) 및 베이스 프레임(2411)을 제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러버 적재유닛(240)의 사시도이다.
도 56은 도 55의 측면도이다.
도 57은 도 55에 도시된 핀업실린더(290)의 배치 상태도이다.
도 58 내지 도 60은 제1러버 파렛트(251)에 러버(R)가 적재되기 위해 제1러버 파렛트(251)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동작도이다.
도 61 내지 도 63은 제2러버 파렛트(253)에 러버(R)가 적재되기 위해 제2러버 파렛트(253)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동작도이다.
도 64 내지 도 65는 제1러버 파렛트(251)로부터 러버(R)가 흡착되기 위해 제1러버 파렛트(251)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동작도이다.
도 66 내지 도 67은 제2러버 파렛트(253)로부터 러버(R)가 흡착되기 위해 제2러버 파렛트(253)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동작도이다.
도 68 내재 70은 제1러버 파렛트(251)와 제2러버 파렛트(253)가 서로 교환되는 동작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TV stand.
2 (a) and (b) are bottom views of the TV stand showing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rubber.
3 is a plan view of a rubber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rubber attachment device for a TV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n automatic rubber attachment device for a TV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belt loading part 10 and the rubber separating par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of FIG. 6 .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belt transfer unit 120 and the rubber belt lift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FIG. 8 ;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10 .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separating unit 220 ,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rubber separating unit 220 .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rubber separation unit 220 .
15 is a side view of the front rubber separation unit 220 shown in FIG. 13 .
16 is a side view of the rear rubber separation unit 220 shown in FIG. 14 .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bottom view of FIG. 17 .
19 is an inner side view of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ubber separation operation of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to 23 are operation diagrams of a rubber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loading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ubber loading operation of the rubber separating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to 27 are operation diagrams of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front nozzle unit 2241 and the rear nozzle unit 224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individually stacks the rubber R on the rubber loading unit 23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30 is a perspective view of a rubber attachment uni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front view of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ttachment finger 31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nd the rubber loading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6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position of the rubber (R) adsorbed by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
37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position of the rubber R to which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is adsorbed.
FIG. 38 is a view showing that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rotates after adsorbing the rubber (R).
39 is a view showing that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pproaches the TV stand (S) to individually attach the rubber (R) to the TV stand (S).
40 is a view showing that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ttaches the rubber (R)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of the TV stand (S).
41 is a view showing that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ttaches the rubber (R)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of another TV stand (S).
42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TV stand S is coupled to the TV stand jig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V stand (S)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4 is a front view of Figure 42, Figure 45 is a plan view of the jig plate 3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2 .
4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ing module 3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47 .
Fig. 49 is a front view of Fig. 47;
50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ok module 3241 and a link module 324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1 to 53 are operation diagrams of the holding module 3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4 is a plan view of the rubber loading unit 2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loading unit 2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ide frame 2413 and the base frame 2411 are removed in FIG. 54 .
Fig. 56 is a side view of Fig. 55;
FIG. 57 is an arrangement state diagram of the pin-up cylinder 290 shown in FIG. 55 .
58 to 60 are operation views in which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horizontally disposed in order to load the rubber R on the first rubber pallet 251 .
61 to 63 are operation diagrams in which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horizontally disposed in order to load the rubber R on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64 to 65 are operation diagrams in which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horizontally arranged so that the rubber R is adsorbed from the first rubber pallet 251 .
66 to 67 are operation diagrams in which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horizontally arranged so that the rubber R is adsorbed from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68 is an operation diagram in which the first rubber pallet 251 and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are exchang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Even if the terms are the same, if the indicated parts are different, it is to be said in advance that the reference numerals do not match.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operators such as experimenters and measurers, and thus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automatic rubber attachment device for a TV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의 평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rubber attachment apparatus for a TV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view of the automatic rubber attachment apparatus for a TV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는 복수개의 러버(R)가 집합된 러버 벨트(B)를 이송방향으로 로딩하는 러버 벨트 로딩부(10), 러버 벨트 로딩부(10)에 연결되고, 러버 벨트 로딩부(10)로부터 이송받은 러버 벨트(B)에서 복수개의 러버(R)를 분리한 후 분리된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시키는 러버 분리부(20), 및 러버 분리부(20)로부터 러버(R)를 이송하여 TV스탠드(S)의 복수개의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부착하는 러버 부착부(30)를 포함한다.4 to 5 , in the automatic rubber attachment device for TV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ubber belt loading unit (B) in which a plurality of rubbers (R) is aggregated is load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 10), is connected to the rubber belt loading unit 10, and separates the plurality of rubbers R from the rubber belt B transferred from the rubber belt loading unit 10, and then separates the separated rubbers R The rubber separation part 20 to load it, and the rubber attachment part for transferring the rubber R from the rubber separation part 20 and attaching the rubber R to the plurality of attachment positions SP of the TV stand (S) ( 30).

프레임은 외관을 구성한다. 프레임에는 각종 장치들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은 편의상 이송파트 프레임(FR1) 및 부착파트 프레임(FR2)로 구분하여 설명하나, 이에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프레임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The frame constitutes the exterior. Various devices are coupled to the frame. Th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being divided into a transport part frame (FR1) and an attachment part frame (FR2) for convenience,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frame.

이송파트 프레임(FR1)은 후술하는 러버 벨트 로딩부(10) 및 러버 분리부(20)의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부착파트 프레임(FR2)은 러버 부착부(30)의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이하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프레임은 이송파트 프레임(FR1) 또는 부착파트 프레임(FR2) 중 하나를 가리키는 것으로 설명한다.The transfer part frame FR1 is a frame that supports the components of the rubber belt loading unit 10 and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The attachment part frame FR2 is a frame that supports the components of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 Hereinafter,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frame will be described as indicating one of the transfer part frame (FR1) or the attachment part frame (FR2).

러버 벨트 로딩부(10)는 이송파트 프레임(FR1)에 구비된다. 러버 벨트 로딩부(10)는 러버 벨트(B)를 로딩(loading)한다. 여기서, 로딩(loading)은 러버 벨트(B)를 공급하고 적재하여 이송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 경우, 러버 벨트 로딩부(10)는 러버 벨트(B)를 이송방향으로 로딩한다.The rubber belt loading part 10 is provided in the transfer part frame FR1. The rubber belt loading unit 10 loads the rubber belt (B). Here, the loading (loading)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rubber belt (B) is supplied and loaded and transported. In this case, the rubber belt loading unit 10 loads the rubber belt B in the transport direction.

여기서, 이송방향은 러버 벨트 로딩부(10)에서 러버 분리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4 및 5에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송방향은 상기 방향을 가리킨다.Here, the transfer direction is defined as a direction from the rubber belt loading part 10 to the rubber separating part 20 . 4 and 5, the conveying direction is indi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Hereinafter, the conveying direction refers to the above direction unless there is a special circumstance.

러버 벨트(B)는 도 3과 같이 가로 및 세로로 절단되고 저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복수개의 러버(R) 및 각 러버(R)의 저면에 부착된 이형지(FL)를 포함한다. 이하, 도 3에 도시된 러버 벨트(B)의 전방, 후방, 가로행, 세로열을 기준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The rubber belt (B) includes a plurality of rubbers (R) cut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s shown in FIG. 3 and an adhesiv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and a release paper (FL)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each rubber (R). Hereinafter, the front, rear, horizontal row, and vertical column of the rubber belt (B) shown in FIG. 3 will be defined based on the description.

러버(R)는 러버 벨트(B)에 복수개가 집합되어 있다. 각 러버(R)는 대형 러버(R)가 가로 및 세로로 절단되어 형성된다. 이때, 각 러버(R)들은 인접한 러버(R)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러버 벨트(B)에서 각 러버(R)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A plurality of rubbers R are assembled on the rubber belt B. Each rubber (R) is formed by cutting a large rubber (R)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t this time, since each rubber R is in contact with the adjacent rubber R, each rubber R may 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rubber belt B.

러버(R)는 최종적으로 TV스탠드(S)의 저면에 부착된다. 이 경우, 러버(R)는 TV스탠드(S)의 저면에 형성된 부착위치(SP)에 부착된다. 이때, 부착위치(SP)는 TV스탠드(S)의 저면에 복수개가 위치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러버(R)의 저면에 도포된 점착제에 의해 부착위치(SP)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점착제는 러버 벨트(B)에서 러버(R)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게 할 수도 있다.The rubber (R) is final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V stand (S). In this case, the rubber (R)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V stand (S). At this time, a plurality of attachment positions SP are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V stand S,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it may be attached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by the adhesiv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ubber R. In addi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prevent the rubber R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rubber belt B.

이형지(FL)는 러버(R)의 저면에 도포된 점착제가 오염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이형지(FL)는 러버 벨트(B)로부터 분리된다. 이 경우, 이형지(FL)는 러버 분리부(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The release paper FL functions to protect the adhesiv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ubber R from being contaminated. The release paper FL is separated from the rubber belt B. In this case, the release paper FL may be separated from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러버 분리부(20)는 이송파트 프레임(FR1)에 구비된다. 러버 분리부(20)는 러버 벨트 로딩부(10)에 연결될 수 있다. 러버 분리부(20)는 러버 벨트 로딩부(10)로부터 러버 벨트(B)를 이송받는다.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is provided in the transfer part frame FR1.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may be connected to the rubber belt loading unit 10 .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receives the rubber belt B from the rubber belt loading unit 10 .

러버 분리부(20)는 러버 벨트(B)에서 복수개의 러버(R)를 분리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러버 밸트(B)의 가로 및 세로로 절단된 각각의 러버(R)를 도 2에 도시된 TV스탠드(S)의 저면의 부착위치(SP)에 부착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분리한다.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separates the plurality of rubbers R from the rubber belt B. That is, each of the rubbers (R) cut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f the rubber belt (B) shown in FIG. 3 can be individually attached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V stand (S) shown in FIG. 2 . separated by

다시 말해서, 도 2에 도시된 하나의 부착위치(SP)에는 하나의 러버(R)가 부착되는데, 하나의 부착위치(SP)에 하나의 러버(R)를 부착하려면 러버 벨트(B)로부터 각 러버(R)를 개별적으로 분리한 후 각각의 부착위치(SP)에 각각의 러버(R)를 부착하여야 한다. In other words, one rubber R is attached to one attachment position SP shown in FIG. 2, and to attach one rubber R to one attachment location SP, each After the rubber (R) is individually separated, each rubber (R) must be attached to each attachment position (SP).

이 경우, 러버 분리부(20)는 후술하는 러버 부착부(30)가 각 부착위치(SP)에 각 러버(R)를 부착할 수 있도록, 러버 벨트(B)에서 복수개의 러버(R)를 개별적으로 분리한다. In this case,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is configured to attach a plurality of rubbers (R) from the rubber belt (B) so that the rubber attaching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can attach each rubber (R) to each attachment position (SP). Separated individually.

러버 분리부(20)는 분리된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한다. 즉, 후술하는 러버 부착부(30)가 개별적으로 분리된 러버(R)를 그대로 이송할 수 있도록, 각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한다.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loads the separated rubbers R to be individually spaced apart. That is, each rubber R is individually loaded to be spaced apart so that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to be described later can transfer the individually separated rubbers R as they are.

러버 부착부(30)는 부착파트 프레임(FR2)에 구비된다. 러버 부착부(30)는 러버 분리부(20)로부터 러버(R)를 이송한다. 이 경우, 러버(R)는 상술한 것과 같이 러버 분리부(20)에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이격되게 적재되어 있어, 러버 부착부(30)는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흡착하여 이송한다.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is provided in the attachment part frame FR2.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transfers the rubber R from the rubber separation part 20 . In this case, the rubber R is individually separated and stacked on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as described above, and the rubber attachment unit 30 individually adsorbs and transports the rubber R to be spaced apart.

러버 부착부(30)는 러버 분리부(20)로부터 러버(R)를 이송하여 TV스탠드(S)의 부착위치(SP)에 부착시킨다. 러버 부착부(30)는 TV스탠드(S)의 각 부착위치(SP)에 각 러버(R)를 개별적으로 부착한다.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transfers the rubber R from the rubber separation part 20 and attaches it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of the TV stand S.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individually attaches each rubber R to each attachment position SP of the TV stand S.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automatically attaching rubber for a TV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방법은 복수개의 러버(R)가 집합된 러버 벨트(B)를 러버 벨트 로딩부(10)가 로딩하는 러버 벨트 로딩단계, 러버 분리부(20)가 러버 벨트 로딩부(10)로부터 이송받은 러버 벨트(B)에서 복수개의 러버(R)를 분리한 후 분리된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하는 러버 분리적재단계, 및 러버 부착부(30)가 러버 분리부(20)로부터 러버(R)를 이송하여 TV스탠드(S)의 복수개의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부착하는 러버 부착단계를 포함한다.A rubber belt loading step in which the rubber belt loading unit 10 loads the rubber belt (B) in which a plurality of rubbers (R) are aggregated, the rubber belt loading step, the rubber separation unit ( 20) separating the plurality of rubbers (R) from the rubber belt (B) transferred from the rubber belt loading unit 10, and then separately loading the separated rubbers (R) separately and separately from the rubber belt loading unit (10), and rubber attachment It includes a rubber attachment step of attaching the rubber (R) to the plurality of attachment positions (SP) of the TV stand (S) by transferring the rubber (R) from the part (30) to the rubber separating part (20).

러버 벨트 로딩단계에서는 러버 벨트 로딩부(10)가 러버 벨트(B)를 로딩한다. 이 경우, 러버 벨트 로딩부(10)는 러버 벨트(B)를 이송방향으로 로딩한다. In the rubber belt loading step, the rubber belt loading unit 10 loads the rubber belt (B). In this case, the rubber belt loading unit 10 loads the rubber belt B in the transport direction.

러버 분리적재단계에서는 러버 분리부(20)가 러버 벨트 로딩부(10)로부터 이송받은 러버 벨트(B)에서 복수개의 러버(R)를 분리한다. 이후, 러버 분리부(20)는 분리된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한다.In the rubber separation and loading step,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separates the plurality of rubbers R from the rubber belt B transferred from the rubber belt loading unit 10 . Thereafter,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loads the separated rubbers R to be individually spaced apart.

이 경우, 러버 분리부(20)는 후술하는 러버 부착부(30)가 각 부착위치(SP)에 각 러버(R)를 부착할 수 있도록, 러버 벨트(B)에서 복수개의 러버(R)를 분리한다.In this case,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is configured to attach a plurality of rubbers (R) from the rubber belt (B) so that the rubber attaching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can attach each rubber (R) to each attachment position (SP). separate

러버 분리적재단계에서 러버 분리부(20)는 분리된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한다. 즉, 후술하는 러버 부착부(30)가 개별적으로 분리된 러버(R)를 그대로 이송할 수 있도록, 각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한다. In the rubber separation and loading step,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loads the separated rubbers R to be individually spaced apart. That is, each rubber R is individually loaded to be spaced apart so that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to be described later can transfer the individually separated rubbers R as they are.

러버 부착단계에서는 러버 부착부(30)가 러버 분리부(20)로부터 러버(R)를 이송한다. 이 경우, 러버(R)는 상술한 것과 같이 러버 분리부(20)에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이격되게 적재되어 있어, 러버 부착부(30)는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흡착하여 이송한다. In the rubber attachment step,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transfers the rubber R from the rubber separation part 20 . In this case, the rubber R is individually separated and stacked on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as described above, and the rubber attachment unit 30 individually adsorbs and transports the rubber R to be spaced apart.

러버 부착단계에서 러버 부착부(30)는 러버 분리부(20)로부터 러버(R)를 이송하여 TV스탠드(S)의 부착위치(SP)에 부착시킨다. 이 경우, TV스탠드(S)의 저면에는 부착위치(SP)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러버 부착부(30)는 러부 부착부는 TV스탠드(S)의 각 부착위치(SP)에 각 러버(R)를 개별적으로 부착한다. 이때, TV스탠드(S)는 부착위치(SP)가 위치된 저면이 노출되도록 반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In the rubber attachment step,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transfers the rubber R from the rubber separation part 20 and attaches it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of the TV stand S. In this case, a plurality of attachment positions SP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V stand S. In the rubber attachment portion 30 , the rubber attachment portion individually attaches each rubber R to each attachment position SP of the TV stand S. At this time, the TV stand (S) may be arranged invert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where the attachment position (SP) is located is expo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는 자동으로 러버 벨트(B)에서 러버(R)를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적재한 후 TV스탠드(S)의 저면에 위치한 복수개의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자동으로 부착하므로, 택트 타임이 감소하여 생산성이 증가되고 부착 정확도가 현저하게 상승하게 된다.The rubber automatic attachment device for a TV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separates the rubber (R) from the rubber belt (B) and individually loads the plurality of attachment positions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TV stand (S) ( Since the rubber (R) is automatically attached to the SP), the tact time is reduced, thereby increasing productivity and remarkably increasing the attachment accuracy.

이하, 도 6 내지 도 3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6 to 38,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rubber automatic attachment device for TV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벨트 로딩부(10) 및 러버 분리부(2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벨트 이재유닛(120) 및 러버 벨트 리프트유닛(110)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belt loading part 10 and the rubber separating par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of FIG. 6 , and FIG. 8 is a rub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lt transfer unit 120 and the rubber belt lift unit 110 , and FIG. 9 is a side view of FIG. 8 .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벨트 로딩부(10)는 러버 벨트(B)를 공급하는 러버 벨트 리프트유닛(110), 및 러버 벨트 리프트유닛(110)에서 공급된 러버 벨트(B)를 흡착하여 러버 분리부(20)로 이송하는 러버 벨트 이재유닛(120)을 포함한다. 6 to 9 , the rubber belt loading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ubber belt lift unit 110 for supplying a rubber belt B, and a rubber belt lift unit 110. and a rubber belt transfer unit 120 for adsorbing the supplied rubber belt B and transferring it to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

러버 벨트 리프트유닛(110)은 러버 벨트(B)를 공급한다. 러버 벨트(B)는 러버 벨트(B) 리프트 유닛에 복수개가 적층될 수 있다. 러버 벨트(B) 리프트 유닛은 하나 이상의 러버 벨트(B)를 러버 벨트 이재유닛(120)으로 공급한다.The rubber belt lift unit 110 supplies the rubber belt (B). A plurality of rubber belts (B) may be stacked on the rubber belt (B) lift unit. The rubber belt (B) lift unit supplies one or more rubber belts (B) to the rubber belt transfer unit 120 .

러버 벨트 이재유닛(120)은 이송파트 프레임(FR1)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러버 벨트 이재유닛(120)은 러버 벨트 리프트유닛(110)에서 러버 분리부(20)까지 이동할 수 있다.The rubber belt transfer unit 120 may be movably provided on the transfer part frame FR1. In this case, the rubber belt transfer unit 120 may move from the rubber belt lift unit 110 to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

러버 벨트 이재유닛(120)은 러버 벨트 리프트유닛(110)에서 공급된 러버 벨트(B)를 흡착할 수 있다. 러버 벨트 이재유닛(120)은 러버 벨트(B)를 흡착하여 이송한다. 러버 벨트 이재유닛(120)은 러버 벨트(B)를 이송방향으로 이송한다. 이 경우, 러버 벨트 이재유닛(120)은 러버 벨트(B)를 러버 분리부(20)로 이송할 수 있다.The rubber belt transfer unit 120 may adsorb the rubber belt B supplied from the rubber belt lift unit 110 . The rubber belt transfer unit 120 adsorbs and transports the rubber belt (B). The rubber belt transfer unit 120 transfers the rubber belt B in the transfer direction. In this case, the rubber belt transfer unit 120 may transfer the rubber belt B to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벨트 리프트유닛(110)은 외관을 형성하는 리프트 프레임(111), 리프트 프레임(111)의 상단에 구비되어 러버 벨트(B)가 적재되는 적재함(119), 적재함(119)의 내부에 구비되고 적재함(119)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면에 러버 벨트(B)가 적재되는 리프트 플레이트(118), 리프트 프레임(111)에 구비되고 일단이 리프트 플레이트(118)에 결합되는 리프트 바(116), 리프트 바(116)의 타단에 구비되어 리프트 바(116)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바디(117), 리프트 바디(117)와 리프트 프레임(111) 사이에 구비되는 리프트 엘엠가이드(115), 리프트 바디(11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리프트 바디(117)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볼스크류(114), 리프트 볼스크류(11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112), 및 적재함(119)의 상단에 구비되어 적재함(119)의 상단으로 승강된 러버 벨트(B)를 감지하는 리프트 포토센서(110S)를 포함한다.Here, the rubber belt lift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ift frame 111 and the lift frame 111 forming the exterior, and a loading box 119 in which the rubber belt B is loaded. , a lift plate 118 provided inside the loading box 119 and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oading box 119 on which a rubber belt B i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a lift frame 111 having one end provided on the lift plate 118 a lift bar 116 coupled to the lift bar 116 , a lift body 117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ift bar 116 to elevate the lift bar 116 , and a lift provided between the lift body 117 and the lift frame 111 . LM guide 115, a lift ball screw 114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ift body 117 to elevate the lift body 117, a servo motor 112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lift ball screw 114, And it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loading box 119 and includes a lift photosensor 110S for detecting the rubber belt (B) raised to the top of the loading box (119).

리프트 프레임(111)은 외관을 형성한다. The lift frame 111 forms an exterior.

적재함(119)에는 러버 벨트(B)가 적재된다. 적재함(119)은 리프트 프레임(111)의 상단에 구비된다.The loading box 119 is loaded with a rubber belt (B). The loading box 119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ift frame 111 .

리프트 플레이트(118)는 적재함(119)의 내부에 구비된다. 리프트 플레이트(118)는 적재함(119)의 하단에 구비된다. 리프트 플레이트(118)는 적재함(119)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리프트 플레이트(118)의 상면에는 러버 벨트(B)가 하나 이상 적재될 수 있다. The lift plate 118 is provided in the loading box 119 . The lift plate 118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oading box 119 . The lift plate 118 is provided in the loading box 119 to be able to elevate. One or more rubber belts B may be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 plate 118 .

리프트 바(116)는 리프트 프레임(111)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리프트 바(116)의 일단은 리프트 플레이트(118)의 저면에 결합된다. The lift bar 116 is provided on the lift frame 111 to be elevating. One end of the lift bar 116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ift plate 118 .

리프트 바디(117)는 리프트 바(116)의 타단에 구비된다. 리프트 바디(117)는 후술하는 리프트 볼스크류(114)에 의해 승하강된다. 이때, 리프트 바디(117)는 리프트 바(116)를 승하강시켜, 리프트 플레이트(118)가 적재함(119) 내부에서 승하강되도록 한다.The lift body 117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ift bar 116 . The lift body 117 is raised and lowered by a lift ball screw 114 to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lift body 117 elevates the lift bar 116 so that the lift plate 118 is raised and lowered inside the loading box 119 .

리프트 엘엠가이드(115)는 리프트 바디(117)와 리프트 프레임(111)사이에 구비된다. 리프트 엘엠가이드(115)는 리프트 바디(117)가 리프트 프레임(111)에 슬라이딩되게 한다.The lift LM guide 115 is provided between the lift body 117 and the lift frame 111 . The lift LM guide 115 allows the lift body 117 to slide on the lift frame 111 .

리프트 볼스크류(114)는 리프트 프레임(111)에 구비된다. 리프트 볼스크류(114)는 리프트 바디(11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리프트 볼스크류(114)는 후술하는 서보모터(112)의 구동력을 기어부(113)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어, 리프트 바디(117)를 승하강시킨다. 리프트 바디(117)가 승하강되면, 상술한 것과 같이 리프트 바(116)가 승하강되어, 리프트 플레이트(118)가 승하강 될 수 있다. The lift ball screw 114 is provided in the lift frame 111 . The lift ball screw 11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ift body 117 . The lift ball screw 114 is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servo motor 112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gear unit 113 to raise and lower the lift body 117 . When the lift body 117 is raised and lowered, the lift bar 116 may be raised and lowe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lift plate 118 may be raised and lowered.

서보모터(112)는 리프트 프레임(111)에 구비된다. 서보모터(112)는 리프트 볼스크류(114)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 경우, 서보모터(112)의 구동력은 기어부(113)를 통해 리프트 볼스크류(114)로 전달될 수 있다.The servo motor 112 is provided in the lift frame 111 . The servomotor 112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lift ball screw 114 . In this case, the driving force of the servo motor 112 may be transmitted to the lift ball screw 114 through the gear unit 113 .

리프트 포토센서(110S)는 적재함(119)의 상단에 구비된다. 리프트 포토센서(110S)는 적재함(119)의 상단으로 승강된 리프트 플레이트(118)의 상면에 적재된 상기 러버 벨트(B)를 감지한다. 즉, 리프트 포토센서(110S)는 리프트 플레이트(118)가 승강되면, 리프트 플레이트(118)의 상면에 적재된 러버 벨트(B)가 적재함(119)의 상단에 위치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리프트 포토센서(110S)는 레이저 위치 센서로 실시될 수 있다.The lift photosensor 110S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oading box 119 . The lift photosensor 110S detects the rubber belt B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 plate 118 raised to the top of the loading box 119 . That is, when the lift plate 118 is lifted, the lift photosensor 110S may detect that the rubber belt B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 plate 118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loading box 119 . The lift photosensor 110S may be implemented as a laser position sensor.

서보모터(112)가 작동하여 최종적으로 리프트 플레이트(118)가 승강되면 러버 벨트(B)가 적재함(119)의 상면으로 승강된다. 이후, 러버 벨트 이재유닛(120)이 러버 벨트(B)를 흡착할 수 있다.When the servo motor 112 is operated to finally lift the lift plate 118 , the rubber belt B is lif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box 119 . Then, the rubber belt transfer unit 120 may adsorb the rubber belt (B).

만약, 적재함(119)의 상면으로 승강된 리프트 플레이트(118)에 러버 벨트(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리프트 포토센서(110S)는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리프트 포토센서(110S)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는 러버 벨트(B)를 추가 공급하거나 사용자에게 러버 벨트(B)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If the rubber belt B does not exist on the lift plate 118 rai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box 119, the lift photosensor 110S may transmit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 unit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lift photosensor 110S may additionally supply the rubber belt (B) or transmit a signal that the rubber belt (B) does not exist to the user.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벨트 이재유닛(120)은 적재함(119)의 상면으로 이동되는 이재유닛 플레이트(123), 이재유닛 플레이트(123)에 결합되어 이재유닛 플레이트(123)를 승하강시키는 이재유닛 업다운모듈(122), 이재유닛 플레이트(123)에 구비되어 상기 러버 벨트(B)의 상면을 흡착하는 이재유닛 흡착노즐(124), 및 이재유닛 업다운모듈(122)에 결합되어 이재유닛 업다운모듈(122)을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재유닛 이동모듈(121)을 포함한다.Here, the rubber belt transfer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plate 123 and the transfer unit plate 123 that are mov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box 119 to form the transfer unit plate 123 . The transfer unit up-down module 122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transfer unit adsorption nozzle 124 provided on the transfer unit plate 123 to adsorb the upper surface of the rubber belt B, and the transfer unit up-down module 122 are coupled to it. and a transfer unit moving module 121 for moving the transfer unit up-down module 122 in the transfer direction.

이재유닛 플레이트(123)는 적재함(119)의 상면으로 이동된다. 이재유닛 플레이트(123)는 적재함(119)의 상면으로 승강된 러버 벨트(B)에 대향될 수 있다. 이재유닛 플레이트(123)는 후술하는 이재유닛 업다운모듈(122)에 의해 적재함(119)의 상면에 배치된 러버 벨트(B)로 승하강될 수 있다. The transfer unit plate 123 is mov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box 119 . The transfer unit plate 123 may be opposed to the rubber belt B rai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box 119 . The transfer unit plate 123 may be raised and lowered to the rubber belt B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box 119 by a transfer unit up-down module 122 to be described later.

이재유닛 업다운모듈(122)은 이재유닛 플레이트(123)에 결합된다. 이재유닛 업다운모듈(122)은 이재유닛 플레이트(123)를 승하강시킨다. 이재유닛 업다운모듈(122)은 서보 유압실린더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The transfer unit up-down module 122 is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plate 123 . The transfer unit up-down module 122 elevates the transfer unit plate 123 . The transfer unit up-down module 122 may be implemented as a servo hydraulic cylinder,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이재유닛 흡착노즐(124)은 이재유닛 플레이트(123)에 구비된다. 이재유닛 흡착노즐(124)은 공압제어기구(미도시)에 연결되어 흡기상태 및 파기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suction nozzle 124 is provided on the transfer unit plate 123 . The transfer unit adsorption nozzle 124 may be connected to a pneumatic control mechanism (not shown) to operate in an intake state and a discard state.

이재유닛 흡착노즐(124)은 적재함(119)의 상면에 승강된 러버 벨트(B)의 상면을 흡착할 수 있다. 이재유닛 흡착노즐(124)이 흡기상태로 작동하면, 러버 벨트(B)를 흡착하여 이재유닛 플레이트(123)와 함께 이동된다.The transfer unit adsorption nozzle 124 may adsorb the upper surface of the rubber belt (B) rai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box 119 . When the transfer unit suction nozzle 124 operates in the intake state, the rubber belt B is absorbed and moved together with the transfer unit plate 123 .

이재유닛 이동모듈(121)은 일측이 이송파트 프레임(FR1)에 결합된다. 이재유닛 이동모듈(121)은 이송파트 프레임(FR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재유닛 이동모듈(121)은 타측이 이재유닛 업다운모듈(122)에 결합된다. 이재유닛 이동모듈(121)은 이재유닛 업다운모듈(122)을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이재유닛 이동모듈(121)은 이재유닛 업다운모듈(122)을 러버 분리부(20)로 이동시켜, 러버 벨트(B)를 러버 분리부(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One side of the transfer unit moving module 121 is coupled to the transfer part frame FR1. The transfer unit moving module 121 is movably coupled to the transfer part frame FR1. The other side of the transfer unit moving module 121 is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up-down module 122 . The transfer unit moving module 121 moves the transfer unit up-down module 122 in the transfer direction. In this case, the transfer unit moving module 121 may move the transfer unit up/down module 122 to the rubber separating unit 20 to move the rubber belt B to the rubber separating unit 20 .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재유닛 이동모듈(121)은 이송파트 프레임(FR1)에 결합되는 이송 에어실린더(1211), 일측이 이송 에어실린더(1211)에 결합되고 타측이 이재유닛 업다운모듈(122)에 결합되어 이송 에어실린더(1211)에 의해 이송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재유닛 연결프레임(1212)을 포함하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Here, the transfer unit moving module 1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fer air cylinder 1211 coupled to the transfer part frame FR1, one side is coupled to the transfer air cylinder 1211, and the other side is the transfer unit up and down. It is coupled to the module 122 and includes a transfer unit connection frame 1212 that is moved in the transfer direction by the transfer air cylinder 1211,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 도 10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부(2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1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부(20)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저면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10 .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부(20)는 러버 벨트 로딩부(10)로부터 러버 벨트(B)를 이송받는 러버 이송유닛(210), 및 러버 이송유닛(210)으로부터 이송된 러버 벨트(B)에서 복수개의 러버(R)를 분리하는 러버 분리유닛(220)을 포함한다.10 to 11 ,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ubber conveying unit 210 that receives a rubber belt B from the rubber belt loading unit 10, and a rubber conveying unit. and a rubber separation unit 220 for separating the plurality of rubbers R from the rubber belt B transferred from the unit 210 .

러버 이송유닛(210)은 이송파트 프레임(FR1)에 구비된다. 러버 이송유닛(210)은 러버 벨트 로딩부(10)에 연결된다. 러버 이송유닛(210)은 러버 벨트 로딩부(10)로부터 러버 벨트(B)를 이송받는다. 이때, 러버 이송유닛(210)은 러버 벨트 이재유닛(120)으로부터 러버 벨트(B)를 이송받을 수 있다. 러버 이송유닛(210)은 러버 벨트 이재유닛(120)으로부터 이송받은 러버 벨트(B)를 이송방향을 따라 러버 분리유닛(220)으로 이송한다. The rubber transfer unit 210 is provided in the transfer part frame FR1. The rubber transfer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rubber belt loading unit 10 . The rubber transfer unit 210 receives the rubber belt B from the rubber belt loading unit 10 . In this case, the rubber transfer unit 210 may receive the rubber belt B from the rubber belt transfer unit 120 . The rubber transfer unit 210 transfers the rubber belt B transferred from the rubber belt transfer unit 120 to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along the transfer direction.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이송유닛(210)은 러버 벨트(B)를 적재하여 러버 분리유닛(220)으로 러버 벨트(B)를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211), 이송 컨베이어(211)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송 컨베이어(211)에 적재된 러버 벨트(B)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212), 및 이송 컨베이어(211)에 구비되어 이송 컨베이어(211)를 구동하는 이송 컨베이어 구동부(213)를 포함한다. Here, the rubber transport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ort conveyor 211 and a transport conveyor 211 for loading the rubber belt B and transporting the rubber belt B to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 )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roller 212 for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rubber belt B loaded on the transfer conveyor 211, and a transfer conveyor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transfer conveyor 211 to drive the transfer conveyor 211 (213).

이송 컨베이어(211)에는 러버 벨트(B)가 적재된다. 이송 컨베이어(211)는 러버 분리유닛(220)으로 러버 벨트(B)를 이송한다. 이때, 러버 벨트(B)는 이형지(FL)가 존재하는 상태로 이송된다. A rubber belt B is loaded on the transfer conveyor 211 . The transfer conveyor 211 transfers the rubber belt B to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 At this time, the rubber belt (B) is transferred in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paper (FL) is present.

이송 컨베이어 구동부(213)는 이송 컨베이어(211)의 일측에 구비된다. 이송 컨베이어 구동부(213)는 이송 컨베이어(211)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이송 컨베이어(211)가 러버 분리유닛(220)으로 러버 벨트(B)를 이송시킬 수 있다. The transfer conveyor driving unit 21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conveyor 211 . The transfer conveyor driving unit 213 drives the transfer conveyor 211 . Accordingly, the transfer conveyor 211 may transfer the rubber belt B to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

이송 컨베이어(211)의 일측에는 지지롤러(212)가 구비된다. 지지롤러(212)는 이송 컨베이어(211)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러버 벨트(B)의 상면을 지지한다.A support roller 21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conveyor 211 . The support roller 212 supports the upper surface of the rubber belt B that is loaded and transported on the transfer conveyor 211 .

실시예에 따라, 이송 컨베이어(211)에서 이송되는 러버 벨트(B) 중 이송 컨베이어(211)에 러버 벨트(B)의 저면이 완전하게 접촉되지 않고, 러버 벨트(B)가 접히거나 뒤틀려 러버 벨트(B)의 상면이 돌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rubber belt (B) does not completely contact the transfer conveyor 211 among the rubber belts (B)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conveyor 211, and the rubber belt (B) is folded or twisted. The upper surface of (B) may protrude.

이 경우, 지지롤러(212)가 이송 컨베이어(211)에서 이송되는 러버 벨트(B)의 상면을 지지하여, 러버 벨트(B)의 저면을 이송 컨베이어(211)에 완전하게 접촉시켜 러버 벨트(B)를 러버 분리유닛(220)으로 안정적으로 이송되게 한다. In this case, the support roller 212 supports the upper surface of the rubber belt B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conveyor 211, and completely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rubber belt B with the transfer conveyor 211, so that the rubber belt B ) to be stably transferred to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

러버 분리유닛(220)은 이송파트 프레임(FR1)에 구비된다. 러버 분리유닛(220)은 이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러버 분리유닛(220)은 러버 이송유닛(210)에서 러버 적재유닛(230)까지 이동할 수 있다.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is provided in the transfer part frame FR1.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may move in the transport direction.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may move from the rubber transfer unit 210 to the rubber loading unit 230 .

이 경우, 러버 분리유닛(220)은 러버 분리유닛(220)을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분리유닛 이동모듈(227)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유닛 이동모듈(227)은 이송파트 프레임(FR1)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엘엠가이드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In this case, the rubber separating unit 220 may include a separating unit moving module 227 for moving the rubber separating unit 220 in the transport direction. The separation unit moving module 227 may be implemented as an LM guide movably provided on the transfer part frame FR1,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러버 분리유닛(220)은 러버 이송유닛(210)으로부터 이송된 러버 벨트(B)에서 러버(R)를 분리한다. 이 경우, 러버 분리유닛(220)은 복수개의 러버(R)가 집합된 러버 벨트(B)에서 러버(R)를 분리한다.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separates the rubber R from the rubber belt B transferred from the rubber transfer unit 210 . In this case,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separates the rubber R from the rubber belt B in which the plurality of rubbers R are aggregated.

상술한 것과 같이, TV스탠드(S)의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부착할 때 하나의 부착위치(SP)에는 하나의 러버(R)가 부착되는데, 러버 분리유닛(220)은 러버 벨트(B)로부터 각 러버(R)를 분리시켜, 후술하는 러버 부착부(30)가 각 부착위치(SP)에 각 러버(R)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ubber R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location SP of the TV stand S, one rubber R is attached to one attachment location SP, and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is Each rubber R is separated from the rubber belt B so that a rubber attachment part 30 to be described later can attach each rubber R to each attachment position SP.

여기서, 실시예에 따라 러버 분리유닛(220)은 러버 벨트(B)의 전방 세로열의 러버(R1)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러버 분리유닛(220)은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분리할 수 있다. He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may separate the rubber R1 in the front vertical row of the rubber belt B. In addition,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may separate the rubber R to be individually spaced apart.

이후, 러버 분리유닛(220)은 분리된 러버(R)를 후술하는 러버 적재유닛(230)에 적재한다. 이 경우, 러버 분리유닛(220)은 러버(R)를 러버 적재유닛(230)에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시킨다.Thereafter,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loads the separated rubber R on a rubber loading unit 230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loads the rubber R on the rubber loading unit 23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즉, 러버 부착부(30)가 러버(R)를 추가적으로 분리하지 않고 곧 바로 각 부착위치(SP)에 각 러버(R)를 부착할 수 있도록, 러버 분리유닛(220)은 분리된 러버(R)를 러버 적재유닛(230)에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시킨다.That is, so that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can directly attach each rubber R to each attachment position SP without additionally separating the rubber R,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is separated from the rubber R ) is separately loaded on the rubber loading unit 230 .

이에 따라, 러버 부착부(30)가 추가적으로 러버(R)를 분리할 필요 없이 러버 적재유닛(230)에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된 러버(R)를 이송하여, TV스탠드(S)의 부착위치(SP)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transfers the rubbers (R) individually and spaced apart to the rubber loading unit 230 without the need to additionally separate the rubbers (R), and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TV stand (S) ( SP) can be attached.

이하,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유닛(22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8 ,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유닛(220)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러버 분리유닛(220)의 분해사시도로, 전방 러버 분리유닛(220)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러버 분리유닛(220)의 분해사시도로, 후방 러버 분리유닛(220)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전방 러버 분리유닛(220)의 측면도이며,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후방 러버 분리유닛(220)의 측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의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저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유닛(220)의 내측면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separating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separating unit 220,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rubber separating unit 220, and FIG. 14 is a rubber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ion unit 220,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rubber separation unit 220, FIG. 15 is a side view of the front rubber separation unit 220 shown in FIG. 13, and FIG. 16 is the rear rubber shown in FIG. It is a side view of the separation unit 220,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bottom view of FIG. 17, and FIG. 19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inner side view of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according to FIG.

도 12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유닛(220)은 외관을 형성하며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는 하우징(221), 하우징(221)에 구비되는 분리유닛 업다운모듈(222), 분리유닛 업다운모듈(222)에 결합되어 분리유닛 업다운모듈(222)에 의해 승하강되는 분리유닛 프레임(223), 분리유닛 프레임(223)에 결합되어 러버 벨트(B)로 승하강되며, 러버 벨트(B)의 전방 세로열의 러버(R1)를 흡착하는 러버 분리노즐모듈(224), 분리유닛 프레임(223)에 구비되어,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전방 세로열의 러버(R1)를 흡착한 상태에서, 전방 세로열의 후방 세로열에 있는 러버(RN)를 가압하는 러버 푸쉬모듈(225), 및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전방 세로열의 러버(R1)를 흡착 시, 러버 벨트(B)의 하단에 배치되어 러버(R)를 분리시키는 하단 분리모듈(226)을 포함한다. 12 to 19,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exterior and moves in the transport direction, the housing 221, and the separation unit up-down module provided in the housing 221 ( 222), the separation unit frame 223 coupled to the separation unit up-down module 222 and raised and lowered by the separation unit up-down module 222, and the separation unit frame 223 coupled to the rubber belt B. ,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for adsorbing the rubber (R1) in the front column of the rubber belt (B), is provided in the separation unit frame 223, and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is the rubber in the front column (R1) When the rubber push module 225, which presses the rubber (RN) in the rear column of the front column, and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adsorbs the rubber (R1) in the front column, the rubber belt ( It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B) and includes a lower separation module 226 for separating the rubber (R).

하우징(221)은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221)은 분리유닛 이동모듈(227)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221)은 분리유닛 이동모듈(227)에 의해 이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housing 221 forms an exterior. The housing 221 may be coupled to the separation unit moving module 227 . In this case, the housing 221 may be moved in the transfer direction by the separation unit moving module 227 .

분리유닛 업다운모듈(222)은 하우징(221)에 구비된다. 분리유닛 업다운모듈(222)은 하우징(22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분리유닛 업다운모듈(222)은 후술하는 분리유닛 프레임(223)을 승하강시킨다. 이 경우, 분리유닛 업다운모듈(222)은 서보 유압실린더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분리유닛 업다운모듈(222)은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승하강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The separation unit up-down module 222 is provided in the housing 221 . The separation unit up-down module 222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housing 221 . The separation unit up-down module 222 elevates the separation unit frame 223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separation unit up-down module 222 may be implemented as a servo hydraulic cylinder,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paration unit up-down module 222 may perform an elevating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 unit (not shown).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유닛 업다운모듈(222)은 이송방향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업다운모듈(2221) 및 전방 업다운모듈(2221)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 업다운모듈(2222)을 포함한다. 이때, 전방 업다운모듈(2221) 및 후방 업다운모듈(2222)은 각각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승하강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으면 전방 업다운모듈(2221) 및 후방 업다운모듈(2222)은 동일하게 작동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Here, the separation unit up-down module 22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up-down module 2221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transport direction and a rear up-down module 2222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ont up-down module 2221. include At this time, the front up-down module 2221 and the rear up-down module 2222 may each perform an elevating/lowering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Hereinafter,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front up-down module 2221 and the rear up-down module 2222 will be described as operating in the same manner.

분리유닛 프레임(223)은 분리유닛 업다운모듈(222)에 결합된다. 이 경우, 분리유닛 프레임(223)의 일측이 분리유닛 업다운모듈(222)에 결합된다. 분리유닛 프레임(223)은 분리유닛 업다운모듈(222)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다. The separation unit frame 223 is coupled to the separation unit up-down module 222 . In this case, one side of the separation unit frame 223 is coupled to the separation unit up-down module 222 . The separation unit frame 223 may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separation unit up-down module 222 .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유닛 프레임(223)은 이송방향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프레임(2231) 및 전방 프레임(2231)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 프레임(2232)을 포함한다. 이때, 전방 프레임(2231) 및 후방 프레임(2232)은 각각 전방 업다운모듈(2221) 및 후방 업다운모듈(2222)의 승하강동작에 따라 승하강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으면 전방 프레임(2231) 및 후방 프레임(2232)은 동일하게 작동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Here, the separation unit frame 22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frame 2231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transport direction and a rear frame 2232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ont frame 2231 . At this time, the front frame 2231 and the rear frame 2232 may be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front up-down module 2221 and the rear up-down module 2222, respectively. Hereinafter, unless otherwise described, the front frame 2231 and the rear frame 2232 will be described as operating in the same manner.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은 분리유닛 프레임(223)에 결합된다. 이 경우, 분리유닛 프레임(223)의 타측이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에 결합된다. 분리유닛 업다운모듈(222)에 의해 분리유닛 프레임(223)에 승하강되면, 러버 분리노즐모듈(224)도 함께 승하강된다.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is coupled to the separation unit frame 223 . In this case,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ion unit frame 223 is coupled to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 When the separation unit frame 223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separation unit up-down module 222,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is also raised and lowered.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에는 복수개의 분리노즐(2245)이 일렬로 배치된다. 이 경우, 분리노즐(2245)은 후술하는 러버 벨트(B)의 세로열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separation nozzles 2245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 In this case, the separation nozzle 2245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a vertical column of the rubber belt 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은 솔레노이드 밸브모듈(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모듈은 분리노즐(2245)에 연결될 수 있다.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may be connected to a solenoid valve module (not shown). In this case, the solenoid valve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nozzle 2245 .

솔레노이드 밸브모듈은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에 공압을 포함한 유압을 인가 또는 해제한다.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에 유압이 인가되면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은 흡기상태로 동작하며, 유압이 해제되면 흡기가 해제된 파기상태로 동작한다.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흡기상태로 동작하면 러버(R)를 흡착하고, 파기상태로 동작하면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에 흡착된 러버(R)를 이탈시킨다. The solenoid valve module applies or releases hydraulic pressure including pneumatic pressure to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 When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operates in an intake state, and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released, it operates in a discard state in which intake air is released. When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operates in the intake state, the rubber R is adsorbed, and when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operates in the discard state, the rubber R adsorbed to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is released.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은 분리유닛 업다운모듈(222)에 의해 러버 벨트(B)로 승하강된다. 이 경우, 러버 벨트(B)의 상면에 대해 하강될 수 있다.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is raised and lowered to the rubber belt B by the separation unit up-down module 222 . In this case, it may be lowered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ubber belt (B).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은 전방 프레임(2231)에 결합되고, 제1돌출부(22431)와 제1함몰부(22433)가 교차되게 형성되는 전방 노즐거치대(2243), 제1돌출부(22431)에 구비되는 전방 노즐부(2241), 후방 프레임(2232)에 결합되고, 전방 노즐거치대(2243)의 제1돌출부(22431)와 제1함몰부(22433)에 대응되는 제2돌출부(22441)와 제2함몰부(22443)가 교차되게 형성되는 후방 노즐거치대(2244), 및 제2돌출부(22441)에 구비되어 제1함몰부(22433)에 인입되는 후방 노즐부(2242)를 포함한다. Here,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ront frame 2231, and a front nozzle holder ( 2243), the front nozzle part 2241 provided in the first protrusion 22431, coupled to the rear frame 2232, the first protrusion 22431 and the first recessed part 22433 of the front nozzle holder 2243 The rear nozzle holder 2244 in which the corresponding second protrusion 22441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22443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and the second protrusion 22441 are provided in the rear nozzle to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concave portion 22433 part 2242 .

전방 노즐거치대(2243)는 전방 프레임(2231)에 결합된다. 전방 노즐거치대(2243)는 전방 프레임(2231)에 의해 승하강된다.The front nozzle holder 2243 is coupled to the front frame 2231 . The front nozzle holder 2243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front frame 2231 .

전방 노즐거치대(2243)에는 제1돌출부(22431)와 제1함몰부(22433)가 교차되게 형성된다. 제1돌출부(22431)와 제1함몰부(22433)는 복수개가 형성된다. 즉,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방 노즐거치대(2243)는 제1돌출부(22431)와 제1함몰부(22433)가 요철을 형성한다.In the front nozzle holder 2243, the first protrusion 22431 and the first depression 22433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2431 and first depressions 22433 are formed. That is, as shown in FIG. 15 , in the front nozzle holder 2243 , the first protrusion 22431 and the first depression 22433 form an unevenness.

전방 노즐부(2241)는 복수개의 분리노즐(2245)을 포함한다. 전방 노즐부(2241)는 전방 노즐거치대(2243)에 구비된다. 전방 노즐부(2241)는 제1돌출부(22431)에 구비된다. 이 경우, 각 분리노즐(2245)은 각 제1돌출부(22431)에 구비된다. The front nozzle unit 2241 includes a plurality of separation nozzles 2245 . The front nozzle part 2241 is provided on the front nozzle holder 2243 . The front nozzle part 2241 is provided in the first protrusion part 22431 . In this case, each separation nozzle 2245 is provided on each first protrusion 22431 .

후방 노즐거치대(2244)는 후방 프레임(2232)에 결합된다. 후방 노즐거치대(2244)는 후방 프레임(2232)에 의해 승하강된다.The rear nozzle holder 2244 is coupled to the rear frame 2232 . The rear nozzle holder 2244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rear frame 2232 .

후방 노즐거치대(2244)에는 제2돌출부(22441)와 제2함몰부(22443)가 교차되게 형성된다. 제2돌출부(22441)와 제2함몰부(22443)는 복수개가 형성된다. 즉,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방 노즐거치대(2244)는 제2돌출부(22441)와 제2함몰부(22443)가 요철을 형성한다.A second protrusion 22441 and a second depression 22443 are formed in the rear nozzle holder 2244 to cross each other.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2441 and second depressions 22443 are formed. That is, as shown in FIG. 16 , in the rear nozzle holder 2244 , the second protrusion 22441 and the second depression 22443 form irregularities.

후방 노즐부(2242)는 복수개의 분리노즐(2245)을 포함한다. 후방 노즐부(2242)는 후방 노즐거치대(2244)에 구비된다. 후방 노즐부(2242)는 제2돌출부(22441)에 구비된다. 이 경우, 각 분리노즐(2245)은 각 제2돌출부(22441)에 구비된다. The rear nozzle part 2242 includes a plurality of separation nozzles 2245 . The rear nozzle part 2242 is provided on the rear nozzle holder 2244 . The rear nozzle part 2242 is provided on the second protrusion part 22441 . In this case, each separation nozzle 2245 is provided on each second protrusion 22441 .

여기서, 후방 노즐거치대(2244)의 제2함몰부(22443)는 전방 노즐거치대(2243)의 제1돌출부(2243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후방 노즐거치대(2244)의 제2돌출부(22441)는 전방 노즐거치대(2243)의 제1함몰부(2243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Here, the second recessed portion 22443 of the rear nozzle holder 224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22431 of the front nozzle holder 2243 . In addition, the second protrusion 22441 of the rear nozzle holder 224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cessed portion 22433 of the front nozzle holder 2243 .

이 경우, 도 13 및 14와 같이, 후방 노즐부(2242)는 제2돌출부(22441)에 구비되어 제1함몰부(22433)에 인입된다. 마찬가지로, 전방 노즐부(2241)는 제1돌출부(22431)에 구비되어 제2함몰부(22443)에 인입된다. 이에 따라, 전방 노즐부(2241) 및 후방 노즐부(2242)는 일렬로 배치된다. 이 경우, 전방 노즐부(2241) 및 후방 노즐부(2242)의 분리노즐(2245)은 러버 벨트(B)의 세로열에 대응되게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13 and 14 , the rear nozzle part 2242 is provided in the second protrusion part 22441 and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depression part 22433 . Similarly, the front nozzle part 2241 is provided in the first protrusion 22431 and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recessed part 22443 . Accordingly, the front nozzle part 2241 and the rear nozzle part 2242 are arranged in a line. In this case, the separation nozzles 2245 of the front nozzle part 2241 and the rear nozzle part 2242 may be arranged in a row to correspond to the vertical row of the rubber belt (B).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전방 노즐거치대(2243)와 후방 노즐거치대(2244)는 상대운동 할 수 있다. 즉, 전방 업다운모듈(2221) 또는 후방 업다운모듈(2222) 중 어느 하나만 작동하고 다른 하나가 미작동하는 경우, 전방 노즐거치대(2243) 또는 후방 노즐거치대(2244) 중 어느 하나만 승하강하고 다른 하나는 현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ront nozzle holder 2243 and the rear nozzle holder 2244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That is, when either one of the front up-down module 2221 or the rear up-down module 2222 operates and the other does not work, only one of the front nozzle holder 2243 or the rear nozzle holder 2244 is raised and lowered and the other is currently position can be maintained.

즉, 후방 업다운모듈(2222)이 작동하여 후방 노즐부(2242)가 하강되고, 전방 업다운모듈(2221)이 미작동하여 전방 노즐부(2241)가 현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방 노즐거치대(2243)의 제1돌출부(22431)와 제1함몰부(22433)에 대해 후방 노즐거치대(2244)의 제2함몰부(22443)와 제2돌출부(22441)가 슬라이딩되어, 후방 노즐거치대(2244)만 하강할 수 있다. 또한, 반대의 동작도 가능하다.That is, the rear up-down module 2222 operates to lower the rear nozzle unit 2242 , and the front up-down module 2221 does not operate, so that the front nozzle unit 2241 may maintain its current position. In this case, the second depression 22443 and the second projection 22441 of the rear nozzle holder 2244 are slid with respect to the first projection 22431 and the first depression 22433 of the front nozzle holder 2243. , only the rear nozzle holder 2244 can be lowered. The reverse operation is also possible.

이하에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전방 노즐부(2241), 전방 노즐거치대(2243), 후방 노즐부(2242), 후방 노즐거치대(2244)는 동일하게 작동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전방 노즐부(2241) 및 후방 노즐부(2242)가 상이하게 작동하는 것에 대하여는 별도로 설명한다. Hereinafter,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front nozzle unit 2241, the front nozzle holder 2243, the rear nozzle unit 2242, and the rear nozzle holder 2244 are described as operating in the same way, and the front nozzle unit 2241 And the operation of the rear nozzle unit 2242 differently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러버 푸쉬모듈(225)은 분리유닛 프레임(223)에 구비된다. 러버 푸쉬모듈(225)은 분리유닛 프레임(223)으로부터 승하강될 수 있다. 러버 푸쉬모듈(225)은 분리유닛 업다운모듈(222)과 별개로 분리유닛 프레임(223)으로부터 승하강될 수 있다. 러버 푸쉬모듈(225)은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승하강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The rubber push module 225 is provided in the separation unit frame 223 . The rubber push module 225 may be raised and lowered from the separation unit frame 223 . The rubber push module 225 may be raised and lowered from the separation unit frame 223 separately from the separation unit up-down module 222 . The rubber push module 225 may perform an elevating/lowering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ler (not shown).

러버 푸쉬모듈(225)은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전방 세로열의 러버(R1)를 흡착한 상태에서, 전방 세로열의 후방 세로열에 있는 러버(RN)를 가압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The rubber push module 225 presses the rubber RN in the rear column of the front column while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adsorbs the rubber R1 in the front colum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푸쉬모듈(225)은 분리유닛 프레임(223)에 고정 결합되는 푸쉬 플레이트 업다운모듈(2251), 및 푸쉬 플레이트 업다운모듈(2251)에 결합되어, 푸쉬 플레이트 업다운모듈(2251)에 의해 승하강되는 푸쉬 플레이트(2252)를 포함한다.Here, the rubber push module 22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push plate up-down module 2251 fixedly coupled to the separation unit frame 223, and the push plate up-down module 2251, and the push plate up-down module. It includes a push plate 2252 that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module 2251 .

푸쉬 플레이트 업다운모듈(2251)은 분리유닛 프레임(223)에 고정 결합된다. 푸쉬 플레이트 업다운모듈(2251)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승하강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The push plate up-down module 2251 is fixedly coupled to the separation unit frame 223 . The push plate up-down module 2251 may perform an elevating/lowering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푸쉬 플레이트(2252)는 푸쉬 플레이트 업다운모듈(2251)에 결합된다. 푸쉬 플레이트(2252)는 푸쉬 플레이트 업다운모듈(2251)에 의해 승하강된다. 푸쉬 플레이트(2252)가 하강되면 러버 벨트(B)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The push plate 2252 is coupled to the push plate up-down module 2251 . The push plate 2252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push plate up-down module 2251 . When the push plate 2252 is lowered, it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ubber belt (B).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러버 벨트(B)의 전방 세로열의 러버(R1)를 흡착한 상태에서, 푸쉬 플레이트(2252)가 하강하여 전방 세로열의 후방 세로열에 있는 러버(RN)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In a state where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adsorbs the rubber R1 in the front column of the rubber belt B, the push plate 2252 descends to press the rubber RN in the rear column of the front column. hav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하단 분리모듈(226)은 이송파트 프레임(FR1)에 구비될 수 있다. 하단 분리모듈(226)은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단 분리모듈(226)은 러버 이송유닛(210)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단 분리모듈(226)은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하단 분리모듈(226)은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에 흡착된 러버(R)를 러버 벨트(B)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The lower separation module 226 may be provided in the transfer part frame FR1. The lower separation module 226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 The lower separation module 226 may be disposed at an end of the rubber transfer unit 210 . The lower separation module 226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lower separation module 226 may separate the rubber R adsorbed to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from the rubber belt B.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 분리모듈(226)은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의 저면에 위치되어 러버 벨트(B)가 인입되는 엔드 프레임(2261), 엔드 프레임(2261)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분리 플레이트(2262), 분리 플레이트(2262)의 일단에 구비되어 러버(R)가 안착되는 분리 엣지(2263), 분리 플레이트(2262)에 결합되어 분리 플레이트(2262)를 승하강시키는 분리 플레이트 업다운모듈(2264), 엔드 프레임(2261)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엔드 프레임(2261)에 인입된 상기 러버 벨트(B)를 감지하는 러버 감지센서(2267), 엔드 프레임(2261)에 구비되어 러버 벨트(B)의 이형지(FL)를 롤링하는 이형지 롤러(2265)를 포함한다.Here, the lower separation module 22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and faces the end frame 2261 and the end frame 2261 into which the rubber belt B is introduced. Separation plate 2262 that is arranged to be, a separation edge 2263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paration plate 2262 on which the rubber R is seated, is coupled to the separation plate 2262 to elevate the separation plate 2262 The plate up-down module 2264, a rubber sensor 2267 disposed adjacent to the end frame 2261 to detect the rubber belt B introduced into the end frame 2261, and the end frame 2261 are provided in rubber and a release paper roller 2265 for rolling the release paper FL of the belt B.

엔드 프레임(2261)은 이송파트 프레임(FR1)에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엔드 프레임(2261)은 러버 이송유닛(210)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end frame 2261 may be provided in the transfer part frame FR1.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nd frame 2261 may be provided in the rubber transfer unit 210 .

엔드 프레임(2261)은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의 하부에 위치된다. 엔드 프레임(2261)에는 러버 벨트(B)가 인입된다. 여기서, 엔드 프레임(2261)에 러버 벨트(B)가 인입되어,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의 하부에 러버 벨트(B)가 위치되는 경우를 러버 분리위치로 정의한다.The end frame 2261 is located below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 A rubber belt B is introduced into the end frame 2261 . Here, a case where the rubber belt B is inserted into the end frame 2261 and the rubber belt B is positioned under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is defined as a rubber separation position.

분리 플레이트(2262)는 엔드 프레임(2261)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분리 플레이트(2262)는 승하강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 플레이트(2262)는 엔드 프레임(2261)과 경사진 틈새로 형성된 이형지 배출구(A)를 형성할 수 있다. 이형지 배출구(A)로 이형지(FL)가 배출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The separation plate 2262 is disposed to face the end frame 2261 . The separation plate 2262 may be raised and lowered. In this case, the separation plate 2262 may form a release paper outlet (A) formed in a gap between the end frame 2261 and the inclined. The release paper FL is discharged through the release paper outlet A.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분리 플레이트 업다운모듈(2264)은 이송파트 프레임(FR1)에 구비될 수 있다. 분리 플레이트 업다운모듈(2264)은 분리 플레이트(2262)에 결합된다. 분리 플레이트 업다운모듈(2264)은 분리 플레이트(2262)를 승하강시킨다. 분리 플레이트 업다운모듈(2264)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승하강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Separation plate up-down module 2264 may be provided in the transfer part frame (FR1). The separation plate up-down module 2264 is coupled to the separation plate 2262 . The separation plate up-down module 2264 raises and lowers the separation plate 2262 . Separation plate up-down module 2264 may perform an elevating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분리 엣지(2263)는 분리 플레이트(2262)의 일단에 구비된다. 분리 엣지(2263)는 분리 플레이트(2262)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paration edge 2263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paration plate 2262 . A separation edge 2263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separation plate 2262 .

분리 엣지(2263)는 러버 벨트(B)로부터 이형지(FL)를 분리시킬 수 있다. 러버 분리위치에 러버 벨트(B)가 위치한 경우, 분리 엣지(2263)가 이형지(FL)를 가압하여 러버 벨트(B)로부터 이형지(FL)를 분리한다. The separation edge 2263 may separate the release paper FL from the rubber belt B. When the rubber belt B is positioned at the rubber separation position, the separation edge 2263 presses the release paper FL to separate the release paper FL from the rubber belt B.

이 경우, 분리 엣지(2263)는 러버 벨트(B)와 이형지(FL) 사이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분리 엣지(2263)를 기준으로 분리 엣지(2263)의 상측에는 러버(R)가 배치되고, 분리 엣지(2263)의 하측에는 이형지(FL)가 배치될 수 있다. 분리된 이형지(FL)는 이형지 배출구(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In this case, the separation edge 2263 may be inserted between the rubber belt B and the release paper FL. In this case, a rubber R may be disposed above the separation edge 2263 with respect to the separation edge 2263 , and a release paper FL may be disposed below the separation edge 2263 . The separated release paper FL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release paper outlet A.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분리 엣지(2263)에는 러버(R)가 안착된다. 러버(R)는 분리 엣지(2263)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흡착한 전방 세로열에 있는 러버(R)가 안착된다. 분리 엣지(2263)는 승강할 수 있다. 분리 엣지(2263)는 승강하여 분리 엣지(2263)에 안착된 러버(R)를 러버 벨트(B)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A rubber R is seated on the separation edge 2263 . The rubber R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ion edge 2263 . In this case, the rubber R in the front vertical column adsorbed by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is seated. Separation edge 2263 can be raised and lowered. The separation edge 2263 is lifted to separate the rubber R seated on the separation edge 2263 from the rubber belt B.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러버 감지센서(2267)는 엔드 프레임(2261)에 인접되게 배치된다. 러버 감지센서(2267)는 엔드 프레임(2261)에 인입된 러버 벨트(B)를 감지한다.The rubber detection sensor 2267 is disposed adjacent to the end frame 2261 . The rubber detection sensor 2267 detects the rubber belt B introduced into the end frame 2261 .

여기서, 러버 감지센서(2267)는 러버 벨트(B)가 러버 분리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러버 감지센서(2267)는 러버 벨트(B)가 최초로 러버 분리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감지할 있다. 이 경우, 러버 감지센서(2267)는 리프트 포토센서(110S)로 실시되어, 러버 분리위치에 대한 러버(R)의 존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Here, the rubber detection sensor 2267 may detect that the rubber belt B is positioned at the rubber separation position. In addition, the rubber detection sensor 2267 may detect that the rubber belt B is initially positioned at the rubber separation position. In this case, the rubber detection sensor 2267 is implemented as the lift photosensor 110S, and may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rubber R with respect to the rubber separation position.

이형지 롤러(2265)는 엔드 프레임(2261)에 구비된다. 이형지 롤러(2265)는 러버 벨트(B)의 이형지(FL)를 롤링한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이형지(FL)가 러버 벨트(B)로부터 분리되어 이형지 배출구(A)로 배출되면, 이형지 롤러(2265)가 이형지(FL)를 롤링한다.The release paper roller 2265 is provided on the end frame 2261 . The release paper roller 2265 rolls the release paper FL of the rubber belt B.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release paper FL is separated from the rubber belt B and discharged to the release paper outlet A, the release paper roller 2265 rolls the release paper FL.

이하,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러버 분리유닛(220)이 러버(R)를 러버 벨트(B)로부터 분리하는 상세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operation of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separating the rubber R from the rubber belt 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3 .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유닛(220)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유닛(220)의 동작도이다.20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rubber separating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1 to 23 are operational diagrams of the rubber separating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방법은 러버 분리적재단계를 포함한다.20 to 23 , the automatic rubber attachment method for a TV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ubber separation and loading step.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러버 분리적재단계는, 러버 벨트(B)가 러버 분리위치에 위치되는 러버 벨트 투입단계(S221), 분리 엣지(2263)가 승강하는 분리 엣지 승강단계(S222),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하강하여 러버 벨트(B)의 전방 세로열의 러버(R1)를 흡착하는 전방 러버 흡착단계(S223), 러버 푸쉬모듈(225)이 하강하여 러버 벨트(B)의 전방 세로열의 후방 세로열에 있는 러버(RN)를 가압하는 후방 러버 가압단계(S224), 분리 엣지(2263)가 하강하여 러버 벨트(B)의 이형지(FL)를 상기 러버 벨트(B)로부터 분리하는 이형지 분리단계(S225),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흡착된 러버(R)를 이송방향으로 이동시켜, 분리 엣지(2263)에 흡착된 러버(R)를 안착시키는 러버 안착단계(S226), 분리 엣지(2263)가 승강하여, 분리 엣지(2263)에 안착된 러버(R)를 러버 벨트(B)로부터 분리하는 러버 분리단계(S227), 러버(R)가 흡착된 상태로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승강하는 러버 분리노즐모듈 승강단계(S228), 및 러버 푸쉬모듈(225)이 승강하는 러버 푸쉬모듈 승강단계(S229)를 포함한다.Here, the rubber separation and load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ubber belt input step (S221) in which the rubber belt (B) is positioned at a rubber separation position, and a separation edge elevation step (S222) in which the separation edge 2263 is raised and lowered. ), the front rubber adsorption step (S223) in which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descends to adsorb the rubber R1 in the front vertical row of the rubber belt (B), the rubber push module 225 descends to the rubber belt (B) In the rear rubber pressing step (S224) of pressing the rubber (RN) in the rear column of the front column of the, the separation edge 2263 descends to separate the release paper (FL) of the rubber belt (B) from the rubber belt (B) The release paper separation step (S225),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moves the adsorbed rubber (R)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the rubber seating step (S226) in which the adsorbed rubber (R) is seated on the separation edge 2263 , a rubber separation step (S227) of separating the rubber R seated on the separation edge 2263 from the rubber belt B by elevating the separation edge 2263,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with the rubber R adsorbed It includes a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raising/lowering step (S228) in which the module 224 is raised/lowering, and a rubber push module raising/lowering step (S229) in which the rubber push module 225 is raised/lowered.

먼저, 도 21의 (a)와 같이, 러버 벨트 투입단계(S221)에서는 러버 벨트(B)가 엔드 프레임(2261)이 인입된다. 여기서, 러버 벨트(B)는 러버 분리위치로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러버 감지센서(2267)는 러버 벨트(B)가 러버 분리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감지한다. 러버 감지센서(2267)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는 제어부로 전송된다.First, as shown in (a) of FIG. 21 , the end frame 2261 of the rubber belt B is introduced in the rubber belt input step S221 . Here, the rubber belt B may be positioned at a rubber separation position. At this time, the rubber detection sensor 2267 detects that the rubber belt B is positioned at the rubber separation position.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rubber detection sensor 2267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러버 벨트(B)가 러버 분리위치에 위치되면, 도 21의 (a)와 같이 분리 엣지 승강단계(S222)에서 분리 엣지(2263)가 승강된다. 분리 엣지 승강단계(S222)에서는 분리 플레이트 업다운모듈(2264)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분리 플레이트(2262)가 승강한다. 분리 플레이트(2262)가 승강하면, 분리 엣지(2263)가 승강한다. When the rubber belt B is positioned at the rubber separation position, the separation edge 2263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separation edge lifting step S222 as shown in FIG. 21 (a). In the separation edge lifting step (S222), the separation plate up-down module 2264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the separation plate 2262 is raised and lowered. When the separation plate 2262 is raised and lowered, the separation edge 2263 is raised and lowered.

여기서, 분리 엣지(2263)는 이형지(FL)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분리 엣지(2263)는 러버 벨트(B)와 이형지(FL) 사이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분리 엣지(2263)를 기준으로 분리 엣지(2263)의 상측에 러버 벨트(B)가 배치되고, 분리 엣지(2263)의 하측에 이형지(FL)가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separation edge 2263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lease paper FL. Also, the separation edge 2263 may be inserted between the rubber belt B and the release paper FL. In this case, the rubber belt B may be disposed above the separation edge 2263 with respect to the separation edge 2263 , and the release paper FL may be disposed below the separation edge 2263 .

전방 러버 흡착단계(S223)에서는 도 21의 (b)와 같이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하강한다. 전방 러버 흡착단계(S223)에서는 분리유닛 업다운모듈(222)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분리유닛 프레임(223)이 하강한다. 분리유닛 프레임(223)이 하강하면,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러버 벨트(B)의 상면으로 하강한다.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은 러버 벨트(B)의 전방 세로열의 러버(R1)에 접촉된다. In the front rubber adsorption step (S223),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descends as shown in FIG. 21 (b). In the front rubber adsorption step (S223), the separation unit up-down module 222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the separation unit frame 223 is lowered. When the separation unit frame 223 descends,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descend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ubber belt (B).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is in contact with the rubber R1 of the front vertical row of the rubber belt B.

이후,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모듈이 동작한다. 솔레노이드 밸브모듈이 동작하면, 분리노즐(2245)이 흡기상태로 동작한다.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은 접촉된 전방 세로열의 러버(R1)를 흡착한다.Thereafter, the solenoid valve module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When the solenoid valve module operates, the separation nozzle 2245 operates in an intake state.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adsorbs the contacted rubber R1 in the front vertical row.

후방 러버 가압단계(S224)에서는 도 21의 (c)와 같이 러버 푸쉬모듈(225)이 하강한다. 후방 러버 가압단계(S224)에서는 푸쉬 플레이트 업다운모듈(2251)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푸쉬 플레이트(2252)가 하강한다. In the rear rubber pressing step (S224), the rubber push module 225 descends as shown in FIG. 21(c). In the rear rubber pressing step (S224), the push plate up-down module 2251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the push plate 2252 descends.

러버 푸쉬모듈(225)이 하강하면,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전방 세로열의 러버(R1)를 흡착한 상태에서 러버 벨트(B)의 전방 세로열의 후방 세로열에 있는 러버(RN)를 가압한다. 이 경우, 푸쉬 플레이트(2252)가 러버 벨트(B)의 전방 세로열의 후방 세로열에 있는 러버(RN)를 가압한다.When the rubber push module 225 descends,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presses the rubber RN in the rear column of the front column of the rubber belt B in a state where the rubber R1 of the front column is adsorbed. . In this case, the push plate 2252 presses the rubber RN in the rear column of the front column of the rubber belt B.

이형지 분리단계(S225)에서는 하단 분리모듈(226)이 작동한다. 이 경우, 하단 분리모듈(226)은 러버 벨트(B)의 이형지(FL)를 러버 벨트(B)로부터 분리시킨다.In the release paper separation step (S225), the lower separation module 226 operates. In this case, the lower separation module 226 separates the release paper FL of the rubber belt B from the rubber belt B.

보다 상세하게, 이형지 분리단계(S225)에서 도 22의 (d)와 같이 분리 엣지(2263)가 하강한다.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분리 플레이트 업다운모듈(2264)이 작동하여 분리 플레이트(2262)가 하강하고, 분리 엣지(2263)는 분리 플레이트(2262)와 함께 하강한다.In more detail, in the release paper separation step (S225), the separation edge 2263 descends as shown in (d) of FIG. 22 .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the separation plate up-down module 2264 operates to lower the separation plate 2262 , and the separation edge 2263 descends together with the separation plate 2262 .

이때, 러버 벨트 투입단계(S221)에서 분리 엣지(2263)는 이형지(FL)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형지 분리단계(S225)에서는 분리 엣지(2263)가 도 22의 (d)와 같이 하강되어 러버 벨트(B)의 이형지(FL)를 러버 벨트(B)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분리 엣지(2263)는 이형지(FL)를 전방 세로열의 러버(R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분리 엣지(2263)는 이형지(FL)를 전방 세로열의 러버(R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separation edge 2263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lease paper FL in the rubber belt input step S221, the separation edge 2263 is lowered as shown in FIG. 22(d) in the release paper separation step S225. The release paper FL of the rubber belt B is separated from the rubber belt B. In this case, the separation edge 2263 may separate the release paper FL from the rubber R1 of the front column. In this case, the separation edge 2263 may separate the release paper FL from the rubber R1 of the front column.

또한, 실시예에 따라, 분리 엣지(2263)가 러버 벨트(B)와 이형지(FL) 사이로 인입되어 분리 엣지(2263)의 상측에 러버 벨트(B)가 배치되고 분리 엣지(2263)의 하측에 이형지(FL)가 배치될 수 있으므로, 분리 엣지(2263)가 하강되어 러버 벨트(B)의 이형지(FL)를 러버 벨트(B)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parating edge 2263 is drawn between the rubber belt B and the release paper FL so that the rubber belt B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ing edge 2263 and the separating edge 2263 is lower than the separating edge 2263 . Since the release paper FL may be disposed, the separation edge 2263 may be lowered to separate the release paper FL of the rubber belt B from the rubber belt B.

이때, 분리 엣지(2263)는 이형지(FL)를 이형지 배출구(A)로 인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이형지 배출구(A)로 이형지(FL)가 배출된다. 이때, 이형지 롤러(2265)가 작동하여 이형지(FL)를 롤링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paration edge 2263 may lead the release paper FL into the release paper outlet A. In this case, the release paper FL is discharged to the release paper outlet A. At this time, the release paper roller 2265 may operate to roll the release paper FL.

러버 안착단계(S226)에서는 도 22의 (e)와 같이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흡착된 전방 세로열의 러버(R1)를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분리유닛 이동모듈(227)이 동작하여 하우징(221)과 함께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러버 벨트(B)는 러버 분리노즐모듈(224)과 함께 이송방향으로 이동된다. In the rubber seating step (S226), as shown in FIG. 22(e), the rubber R1 in the front vertical row to which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is adsorbed is mov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In this case, the separation unit moving module 227 may operate to move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together with the housing 221 . At this time, the rubber belt (B) is mov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together with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이송방향으로 이동되면,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흡착된 전방 세로열의 러버(R1)를 분리 엣지(2263)에 안착시킨다. 이때, 흡착된 러버(R)는 러버 벨트(B)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is mov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the rubber R1 in the front vertical row to which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is adsorbed is seated on the separation edge 2263 . At this time, the adsorbed rubber R may not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rubber belt B.

이 경우, 이형지 롤러(2265)가 이형지(FL)를 롤링하는 상태에서, 분리 엣지(2263)는 러버 벨트(B)와 이형지(FL) 사이로 인입되어 지속적으로 이형지(FL)를 러버 벨트(B)로부터 분리한다. In this case, in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paper roller 2265 rolls the release paper FL, the separation edge 2263 is drawn between the rubber belt B and the release paper FL to continuously apply the release paper FL to the rubber belt (B). separate from

러버 분리단계(S227)에서는 도 22의 (f)와 같이 분리 엣지(2263)가 승강한다. 이때, 분리 엣지(2263)에 안착된 러버(R)가 러버 벨트(B)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이에 따라, 전방 세로열의 러버(R1)가 러버 벨트(B)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에 흡착되어 이송된다.In the rubber separation step (S227), the separation edge 2263 is raised and lowered as shown in FIG. 22 (f). At this time, the rubber R seated on the separation edge 2263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rubber belt B. Accordingly, the rubber R1 of the front vertical row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rubber belt B, and is adsorbed and transferred to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

또한, 러버 분리단계(S227)에서는 푸쉬 플레이트(2252)가 러버 벨트(B)의 후방 세로열을 지지한 상태로 유지되어, 러버 벨트(B)로부터 전방 세로열의 러버(R1)를 완전하게 분리해내고, 후방 세로열의 러버(R)가 전방 세로열의 러버(R1)를 따라 분리되지 않게 한다. In addition, in the rubber separation step (S227), the push plate 2252 is maintained in a state supporting the rear vertical row of the rubber belt (B), and the rubber (R1) of the front vertical row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rubber belt (B). out, so that the rubber (R) of the rear column is not separated along the rubber (R1) of the front column.

러버 분리노즐모듈 승강단계(S228)에서는 도 23의 (g)와 같이 러버(R)가 흡착된 상태로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승강한다. 이 경우, 도 21의 (b)와 반대로 동작한다.In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raising/lowering step (S228),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is raised and lowered in a state in which the rubber R is adsorbed as shown in FIG. 23(g). In this case, the operation is opposite to that of FIG. 21B.

러버 푸쉬모듈 승강단계(S229)에서는 도 23의 (h)와 같이 푸쉬 플레이트(2252)가 승강한다. 이 경우, 러버 벨트(B)로부터 푸쉬 플레이트(2252)가 이격된다. In the rubber push module elevating step (S229), the push plate 2252 elevates as shown in (h) of FIG. In this case, the push plate 2252 is spaced apart from the rubber belt (B).

이후, 후방 세로열의 러버(R)가 전방 세로열의 러버(R1)가 된 상태로 러버 벨트(B)가 러버 분리위치에 위치되는 러버 벨트 투입단계(S221)가 다시 진행되어, 러버 벨트(B)에서 러버(R)를 모두 분리할 때까지 상술한 단계가 반복된다.After that, the rubber belt input step (S221) in which the rubber belt (B) is positioned at the rubber separation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rubber (R) of the rear column becomes the rubber (R1) of the front column proceeds again, the rubber belt (B) The above steps are repeated until all of the rubber R is removed from the .

이에 따라, 러버 분리유닛(220)이 자동으로 러버 벨트(B)의 전방 세로열의 러버(R1)를 러버 벨트(B)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시켜, 복수개의 러버(R)가 집합된 러버 벨트(B)에서 복수개의 러버(R)를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automatically separates the rubbers R1 in the front vertical row of the rubber belt B individually from the rubber belt B, and a plurality of rubbers R is assembled. ), the plurality of rubbers (R) can be individually separated.

이하,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적재유닛(230)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rubber loading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4 .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적재유닛(230)의 사시도이다.2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loading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부(20)는 상기 러버 분리유닛(220)에서 분리된 상기 러버(R)를 상기 러버 분리유닛(220)이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시키는 러버 적재유닛(2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4 ,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ads the rubber R separated from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so that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is individually spaced apart. It includes a rubber loading unit (230).

러버 적재유닛(230)은 이송파트 프레임(FR1)에 구비된다. 러버 적재유닛(230)은 러버 분리유닛(220)로부터 복수개의 러버(R)를 이송받는다. 이때, 상술한 것과 같이, 러버 분리유닛(220)은 분리된 러버(R)를 러버 적재유닛(230)에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시킨다. 즉, 러버 적재유닛(230)은 러버 분리유닛(220)으로부터 러버(R)가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받는다. 이후, 러버 적재유닛(230)은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된 러버(R)를 러버 부착부(30)로 이송한다. The rubber loading unit 230 is provided in the transfer part frame FR1. The rubber loading unit 230 receives a plurality of rubbers R from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loads the separated rubber R on the rubber loading unit 23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rubber loading unit 230 is loaded with the rubber R separately from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 Thereafter, the rubber loading unit 230 transfers the individually loaded rubbers R to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적재유닛(230)은 외관을 형성하는 적재유닛 프레임(231),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며, 러버(R)를 수용하는 복수개의 러버 수용부(2321)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러버 수용부(2321) 사이에 평탄부(2322)가 형성되는 러버 지그(232), 적재유닛 프레임(231)에 구비되어 러버 지그(232)를 이송방향으로 이송하는 러버 지그 컨베이어(233), 적재유닛 프레임(231)에 구비되어 러버 지그(232)의 위치를 감지하는 포지션센서(234)를 포함한다.Here, the rubber loading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ading unit frames 231 forming the exterior,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rubber accommodating parts for accommodating the rubber (R) ( 2321) is recessed and provided in the rubber jig 232 in which a flat part 2322 is formed between the rubber accommodating parts 2321, the loading unit frame 231, and the rubber jig 232 is transport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The jig conveyor 233 is provided on the loading unit frame 231 and includes a position sensor 234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ubber jig 232 .

적재유닛 프레임(231)은 외관을 형성한다. 적재유닛 프레임(231)은 이송파트 프레임(FR1)에 결합될 수 있다.The loading unit frame 231 forms an exterior. The loading unit frame 231 may be coupled to the transfer part frame FR1.

러버 지그 컨베이어(233)는 적재유닛 프레임(231)에 구비된다. 러버 지그 컨베이어(233)에는 러버 지그(232)가 배치된다. 러버 지그 컨베이어(233)는 러버 지그(232)를 이송방향으로 이송한다.The rubber jig conveyor 233 is provided on the loading unit frame 231 . A rubber jig 232 is disposed on the rubber jig conveyor 233 . The rubber jig conveyor 233 transfers the rubber jig 232 in the transfer direction.

러버 지그(232)는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된다. 러버 지그(232)는 러버(R)를 수용하여 이송방향으로 이송한다.A plurality of rubber jigs 232 are provided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The rubber jig 232 accommodates the rubber R and transports it in the transport direction.

각 러버 지그(232)에는 러버 수용부(2321)와 평탄부(2322)가 형성된다. 러버 수용부(2321)는 러버 지그(232)에 함몰되어 형성된다. 러버 수용부(2321)에는 러버(R)가 수용된다. 평탄부(2322)는 러버 수용부(2321) 사이에 형성된다. 평탄부(2322)에는 러버(R)가 수용되지 않는다. 이 경우, 하나의 러버 지그(232)에는 러버 수용부(2321)와 평탄부(2322)가 교대로 복수개 형성된다.Each rubber jig 232 has a rubber accommodating portion 2321 and a flat portion 2322 are formed. The rubber accommodating part 2321 is formed by being depressed in the rubber jig 232 . The rubber R is accommodated in the rubber accommodating part 2321 . The flat portion 2322 is formed between the rubber receiving portions 2321 . The rubber R is not accommodated in the flat portion 2322 . In this case, a plurality of rubber accommodating portions 2321 and flat portions 2322 are alternately formed in one rubber jig 232 .

여기서, 복수개의 러버 지그(232)에 대하여 전방의 러버 지그(232)의 러버 수용부(2321)는 후방의 러버 지그(232)의 수용부와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다. 즉,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방의 러버 지그(232)의 러버 수용부(2321)는 후방의 러버 지그(232)의 평탄부(23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전방의 러버 지그(232)의 평탄부(2322)는 후방의 러버 지그(232)의 러버 수용부(23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Here,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rubber jigs 232 , the rubber accommodating part 2321 of the front rubber jig 232 is formed to cross each other with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rear rubber jig 232 . That is, as shown in FIG. 22 , the rubber receiving part 2321 of the front rubber jig 23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lat part 2322 of the rear rubber jig 232, and the front rubber jig The flat portion 2322 of 23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ubber receiving portion 2321 of the rear rubber jig 232 .

이에 따라, 복수개의 러버 지그(232)의 러버 수용부(2321)는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러버 수용부(2321)에 적재되는 러버(R)는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ubber accommodating portions 2321 of the plurality of rubber jigs 232 are arranged to be individually spaced apart. In this case, the rubbers R loaded in the rubber receiving part 2321 may be individual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포지션센서(234)는 적재유닛 프레임(231)에 구비된다. 포지션센서(234)는 러버 지그(232)의 위치를 감지한다. 즉, 포지션센서(234)는 러버 지그(232)가 이송방향으로 이송되는 도중에 각도가 틀어지거나 엇갈리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센서(234)는 적재유닛 프레임(231)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1포지션센서(234) 및 적재유닛 프레임(231)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2포지션센서(234)로 실시되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The position sensor 234 is provided on the loading unit frame 231 . The position sensor 234 detects the position of the rubber jig 232 . That is, the position sensor 234 detects that the rubber jig 232 is misaligned or staggered while being transport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The position sensor 23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position sensor 234 provided in front of the loading unit frame 231 and a second position sensor 234 provided in the rear of the loading unit frame 231 . ),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도 25 내지 29를 참조하여, 러버 분리유닛(220)이 러버(R)를 러버 적재유닛(230)에 적재하는 상세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operation of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loading the rubber R on the rubber loading unit 2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5 to 29 .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유닛(220)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26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유닛(220)의 동작도이며,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노즐부(2241) 및 후방 노즐부(2242)의 동작도이고, 도 29는 러버 분리유닛(220)이 러버 적재유닛(230)에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한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25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6 to 27 are operation diagrams of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8 is It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front nozzle part 2241 and the rear nozzle part 224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9 is a rubber separation unit 220 showing the rubber R on the rubber loading unit 230 individually.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cked spaced apart.

도 25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방법은 러버 분리적재단계를 포함한다.25 to 29 , the automatic rubber attachment method for a TV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ubber separation and loading step.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러버 분리적재단계는, 전방 노즐부(2241) 및 후방 노즐부(2242) 모두에 러버(R)가 흡착된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후방의 러버 지그(232)로 이동하는 러버 분리노즐모듈 제1이동단계(S231),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후방의 러버 지그(232)로 하강하는 러버 분리노즐모듈 제1하강단계(S232), 후방의 러버 지그(232)에 후방 노즐부(2242)가 하강하여 후방 노즐부(2242)에 흡착된 러버(R)를 후방의 러버 지그(232)에 적재하는 후방 노즐부 적재단계(S233),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승강하는 러버 분리노즐모듈 제1승강단계(S234), 전방 노즐부(2241)에 러버(R)가 흡착된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전방의 러버 지그(232)로 이동하는 러버 분리노즐모듈 제2이동단계(S235),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전방의 러버 지그(232)로 하강하는 러버 분리노즐모듈 제2하강단계(S236), 전방의 러버 지그(232)에 전방 노즐부(2241)가 하강하여 전방 노즐부(2241)에 흡착된 러버(R)를 전방의 러버 지그(232)에 적재하는 전방 노즐부 적재단계(S237), 및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승강하는 러버 분리노즐모듈 제2승강단계(S238)를 포함한다.Here, in the rubber separation and load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in which the rubber R is adsorbed to both the front nozzle part 2241 and the rear nozzle part 2242 is a rubber jig at the rear The first moving step (S231)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moving to 232, the first lowering step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in which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descends to the rubber jig 232 at the rear (S232), the rear The rear nozzle part loading step (S233) in which the rear nozzle part 2242 descends on the rubber jig 232 and the rubber R adsorbed on the rear nozzle part 2242 is loaded on the rubber jig 232 at the rear (S233), rubber separation In the first lifting step (S234)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in which the nozzle module 224 is raised and lowered,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in which the rubber (R) is adsorbed to the front nozzle part 2241 is moved to the front rubber jig (232). The second moving step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moving (S235), the second lowering step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in which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descends to the front rubber jig 232 (S236), the front rubber jig 232 ), a front nozzle part loading step (S237) of loading the rubber (R) adsorbed on the front nozzle part 2241 to the front rubber jig 232 by descending the front nozzle part 2241, and a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 224) includes a second lifting step (S238)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lifting and lowering.

러버 분리노즐모듈 제1이동단계(S231)에서는 러버(R)가 흡착된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이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에는 전방 노즐부(2241) 및 후방 노즐부(2242) 모두에 러버(R)가 흡착된 상태이다. 즉, 러버 분리노즐모듈 제1이동단계(S231)에서는 도 28의 (A)와 같이 전방 노즐부(2241) 및 후방 노즐부(2242) 모두에 러버(R)가 흡착된 상태이다. In the first moving step (S231)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to which the rubber R is adsorbed moves in the transfer direction. At this time, the rubber R is adsorbed to both the front nozzle part 2241 and the rear nozzle part 2242 in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 That is, in the first moving step (S231)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the rubber R is adsorbed to both the front nozzle part 2241 and the rear nozzle part 2242 as shown in FIG. 28A.

러버 분리노즐모듈 제1이동단계(S231)에서는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도 26의 (a)와 같이 후방의 러버 지그(232)로 이동한다. 즉, 복수개의 러버 지그(232) 중 하나의 러버 지그(232)로 이동하며, 후방의 러버 지그(232)에 이동한다. 이 경우, 최후방의 러버 지그(232)로 이동할 수 있다.In the first moving step (S231)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moves to the rear rubber jig 232 as shown in FIG. 26(a). That is, it moves to one rubber jig 232 among the plurality of rubber jigs 232 , and moves to the rear rubber jig 232 . In this case, it can move to the rearmost rubber jig 232 .

러버 분리노즐모듈 제1하강단계(S232)에서는 도 26의 (b)와 같이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러버 분리노즐모듈 제1이동단계(S231)에서 이동한 후방의 러버 지그(232)로 하강한다. 이 경우, 전방 노즐부(2241) 및 후방 노즐부(2242)는 흡기상태를 유지한다. In the first lowering step (S232)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as shown in FIG. 26 (b),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is moved to the rear rubber jig 232 in the first moving step (S231)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descend In this case, the front nozzle part 2241 and the rear nozzle part 2242 maintain an intake state.

후방 노즐부 적재단계(S233)에서는 도 26의 (c)와 같이 후방 노즐부(2242)가 후방의 러버 지그(232)에 하강한다. 이 경우, 후방 업다운모듈(2222)이 작동하여, 후방 노즐부(2242)를 하강시킨다. 이때, 전방 업다운모듈(2221)은 미작동하여 전방 노즐부(2241)는 현재 위치를 유지한다.In the rear nozzle unit loading step (S233), the rear nozzle unit 2242 descends on the rear rubber jig 232 as shown in FIG. 26(c) . In this case, the rear up-down module 2222 operates to lower the rear nozzle part 2242 . At this time, the front up-down module 2221 does not operate, and the front nozzle part 2241 maintains its current position.

여기서, 상술한 것과 같이, 전방 노즐거치대(2243)와 후방 노즐거치대(2244)가 교차되게 형성되므로, 후방 노즐부(2242)는 하강하고 전방 노즐부(2241)는 현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전방 노즐거치대(2243)의 제1돌출부(22431)와 제1함몰부(22433)에 대해 후방 노즐거치대(2244)의 제2함몰부(22443)와 제2돌출부(22441)가 슬라이딩되어, 후방 노즐거치대(2244)만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방 노즐부(2242)는 하강하고, 전방 노즐부(2241)는 현재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He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ront nozzle holder 2243 and the rear nozzle holder 2244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the rear nozzle unit 2242 may descend and the front nozzle unit 2241 may maintain its current position. That is, the second depression 22443 and the second projection 22441 of the rear nozzle holder 2244 are slid with respect to the first projection 22431 and the first depression 22433 of the front nozzle holder 2243. Only the rear nozzle holder 2244 can be lowered. Accordingly, the rear nozzle unit 2242 descends, and the front nozzle unit 2241 can maintain its current position.

후방 노즐부(2242)가 하강되면, 후방 노즐부(2242)는 후방 노즐부(2242)에 흡착된 러버(R)를 후방의 러버 지그(232)에 적재한다. 이때, 후방 노즐부(2242)는 솔레노이드 밸브모듈의 작동에 의해 흡기상태에서 파기상태로 작동하여, 러버(R)를 후방 노즐부(2242)에서 이탈시켜 러버 지그(232)에 적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방 노즐부(2241)는 흡기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rear nozzle part 2242 is lowered, the rear nozzle part 2242 loads the rubber R adsorbed on the rear nozzle part 2242 on the rear rubber jig 232 . At this time, the rear nozzle part 2242 may operate from the intake state to the discard state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module, and the rubber R may be separated from the rear nozzle part 2242 and loaded on the rubber jig 232 . In this case, the front nozzle part 2241 maintains an intake state.

후방 노즐부 적재단계(S233)에서는 도 28의 (B)와 같이 러버(R)를 러버 지그(232)에 적재한다. 이때, 후방 노즐부(2242)는 후방의 러버 지그(232)의 러버 수용부(2321)에 러버(R)를 수용한다. 이 경우, 전방 노즐부(2241)는 흡기상태를 유지하여 러버(R)가 흡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In the rear nozzle part loading step (S233), the rubber R is loaded on the rubber jig 232 as shown in FIG. 28B. At this time, the rear nozzle part 2242 accommodates the rubber R in the rubber accommodating part 2321 of the rear rubber jig 232 . In this case, the front nozzle part 2241 maintains the intake state and the rubber R is maintained in the adsorbed state.

러버 분리노즐모듈 제1승강단계(S234)에서는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승강한다. 이 경우, 전방 노즐부(2241) 및 후방 노즐부(2242)가 모두 승강한다. In the first lifting step (S234)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is raised and lowered. In this case, both the front nozzle part 2241 and the rear nozzle part 2242 move up and down.

러버 분리노즐모듈 제2이동단계(S235)에서는 러버(R)가 흡착된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이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의 전방 노즐부(2241)에는 러버(R)가 흡착되고, 후방 노즐부(2242)에는 이미 러버(R)가 러버 지그(232)에 적재되어 존재하지 않는다.In the second movement step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 S235 ),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to which the rubber R is adsorbed moves in the transfer direction. At this time, the rubber R is adsorbed to the front nozzle part 2241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 and the rubber R is already loaded in the rubber jig 232 to the rear nozzle part 2242 and does not exist.

러버 분리노즐모듈 제2이동단계(S235)에서는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도 27의 (e)와 같이 전방의 러버 지그(232)로 이동한다. 즉, 후방의 러버 지그(232)에 대한 전방의 러버 지그(232)로 이동한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 최전방의 러버 지그(232)로 이동할 수 있다. In the second movement step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 S235 ),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moves to the front rubber jig 232 as shown in FIG. 27 ( e ). That is, it moves to the front rubber jig 232 with respect to the rear rubber jig 232 .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may move to the frontmost rubber jig 232 .

러버 분리노즐모듈 제2하강단계(S236)에서는 도 27의 (f)와 같이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러버 분리노즐모듈 제2이동단계(S235)에서 이동한 전방의 러버 지그(232)로 하강한다. 이 경우, 전방 노즐부(2241)는 흡기상태를 유지한다. In the second lowering step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S236), as shown in FIG. 27 (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is moved to the front rubber jig 232 in the second moving step (S235)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descend In this case, the front nozzle part 2241 maintains an intake state.

전방 노즐부 적재단계(S237)에서는 도 27의 (g)와 같이 전방 노즐부(2241)가 전방의 러버 지그(232)에 하강한다. 이 경우, 전방 업다운모듈(2221)이 작동하여, 전방 노즐부(2241)를 하강시킨다. 이때, 후방 업다운모듈(2222)은 미작동하여 후방 노즐부(2242)는 현재 위치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술한 것과 같이, 전방 노즐거치대(2243)와 후방 노즐거치대(2244)가 교차되게 형성되므로, 후방 노즐부(2242)는 하강하고 전방 노즐부(2241)는 현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In the front nozzle unit loading step (S237), the front nozzle unit 2241 descends on the front rubber jig 232 as shown in FIG. 27 (g). In this case, the front up-down module 2221 operates to lower the front nozzle part 2241 . At this time, the rear up-down module 2222 does not operate, and the rear nozzle part 2242 maintains its current position. He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ront nozzle holder 2243 and the rear nozzle holder 2244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the rear nozzle unit 2242 may descend and the front nozzle unit 2241 may maintain its current position.

전방 노즐부(2241)가 하강되면, 전방 노즐부(2241)는 전방 노즐부(2241)에 흡착된 러버(R)를 전방의 러버 지그(232)에 적재한다. 이때, 전방 노즐부(2241)는 솔레노이드 밸브모듈의 작동에 의해 흡기상태에서 파기상태로 작동하여, 러버(R)를 전방 노즐부(2241)에서 이탈시켜 러버 지그(232)에 적재할 수 있다.When the front nozzle part 2241 is lowered, the front nozzle part 2241 loads the rubber R adsorbed on the front nozzle part 2241 on the front rubber jig 232 . At this time, the front nozzle part 2241 operates from the intake state to the discard state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module, and the rubber R is separated from the front nozzle part 2241 and loaded on the rubber jig 232 .

전방 노즐부 적재단계(S237)에서는 도 28의 (C)와 같이 러버(R)를 러버 지그(232)에 적재한다. 이때, 전방 노즐부(2241)는 전방의 러버 지그(232)의 러버 수용부(2321)에 러버(R)를 수용한다. In the front nozzle unit loading step (S237), the rubber R is loaded on the rubber jig 232 as shown in FIG. 28C. At this time, the front nozzle part 2241 accommodates the rubber R in the rubber accommodating part 2321 of the front rubber jig 232 .

러버 분리노즐모듈 제2승강단계(S238)에서는 러버 분리노즐모듈(224)이 승강한다. 이 경우, 도 27의 (h)와 같이 전방 노즐부(2241) 및 후방 노즐부(2242)가 모두 승강한다. 이에 따라, 러버 벨트(B)의 세로열에서 분리된 러버(R)가 러버 지그(232)에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된다.In the second lifting step (S238) of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the rubber separation nozzle module 224 is raised and lowered. In this case, both the front nozzle part 2241 and the rear nozzle part 2242 move up and down as shown in FIG. 27(h). Accordingly, the rubber (R) separated from the vertical column of the rubber belt (B) is separately loaded on the rubber jig (232).

이상의 단계들은 완료한 후, 러버 분리유닛(220)은 다시 러버(R)를 러버 벨트(B)로부터 분리한다. 이에 따라, 러버 분리유닛(220)이 자동으로 러버 벨트(B)에서 복수개 러버(R)를 분리하고, 러버 적재유닛(230)에 분리된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할 수 있다.After completing the above steps,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separates the rubber R from the rubber belt B again. Accordingly,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can automatically separate the plurality of rubbers R from the rubber belt B, and separately load the separated rubbers R on the rubber loading unit 230 .

도 29에는 이러한 단계들에 따라 러버 적재유닛(230)에 적재된 러버(R)가 도시되어 있다. 최전방 1열 러버 지그(232)로부터 최후방 N열 러버 지그(232)까지, 복수개의 러버(R)가 러버 지그(232)에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되어 있다.29 shows the rubber R loaded on the rubber loading unit 230 according to these steps. From the frontmost row 1 rubber jig 232 to the rearmost row N rubber jig 232 , a plurality of rubbers R are individually mounted on the rubber jig 232 to be spaced apart.

가로행을 기준으로, 1행(1R)에는 2열(2C), 4열(4C), 6열(6C) 등 짝수열에 러버(R)가 적재되어 있고 2행(2R)에는 1열(1C), 3열(3C), 5열(5C) 등 홀수열에 러버(R)가 적재되어 있다. 다시, 3행(3R)에는 2열(2C)을 포함하여 짝수열에, 4행(4R)에는 1열(1C)을 포함하여 홀수열에 러버(R)가 적재되어 있다. Based on the horizontal row, the first row (1R) is loaded with rubbers (R) in even columns such as the second column (2C), the fourth column (4C), and the sixth column (6C), and the second row (2R) has the first column (1C) ), the 3rd row (3C), the 5th row (5C), and the like, and the rubber (R) is mounted on an odd numbered row. Again, rubbers R are loaded in even columns including the second column 2C in the third row 3R, and the odd columns including the first column 1C in the fourth row 4R.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분리부(20)는 복수개의 러버(R)가 집합된 러버 벨트(B)에서 자동으로 복수개의 러버(R)를 분리한 후 분리된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할 수 있다.Above,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separates the plurality of rubbers (R) from the rubber belt (B) in which the plurality of rubbers (R) are assembled, and then the separated rubber (R) can be individually and spaced apart.

이에 따라, TV스탠드(S)의 각 부착위치(SP)에 부착되어야 할 러버(R)가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되어 있어, 러버(R)의 이송이 용이해지고 러버 부착부(30)가 각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rubber (R) to be attached to each attachment position (SP) of the TV stand (S) is individually and spaced apart, so that the transport of the rubber (R) is facilitated and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is each attached. The rubber R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position SP.

이하, 도 30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부착부(3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0 to 33 .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부착유닛(310)의 사시도이고,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부착유닛(310)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부착유닛(310)의 정면도이고,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핑거(317)의 사시도이다.30 is a perspective view of a rubber attachment uni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rubber attachment uni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front view of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3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ttachment finger 31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5, 도 30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부착부(30)는 러버 분리부(20)로부터 러버(R)를 이송하여 TV스탠드(S)의 복수개의 부착위치(SP)에 상기 러버(R)를 부착한다. 4 to 5 and 30 to 33 ,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the rubber R from the rubber separation part 20 to the TV stand (S). The rubber R is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attachment positions SP.

상술한 것과 같이, 러버 부착부(30)는 부착파트 프레임(FR2)에 구비된다. 러부 부착부는 러버 분리부(20)로부터 러버(R)를 이송한다. 러버 부착부(30)는 러버 분리부(20)로부터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흡착하여 이송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is provided on the attachment part frame FR2. The rubber attachment part transfers the rubber R from the rubber separation part 20 .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separately adsorbs and transports the rubber R from the rubber separation part 20 .

이 경우, 러버(R)는 상술한 것과 같이 러버 분리부(20)에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이격되게 적재되어 있다. 즉, 러버 분리부(20)의 러버 적재유닛(230)에는 가로행을 기준으로, 1행에는 2열, 4열, 6열 등 짝수열에 러버(R)가 적재되어 있고 2행에는 1열, 3열, 5열 등 홀수열에 러버(R)가 적재되어 있다. 다시, 3행에는 2열을 포함하여 짝수열에, 4행에는 1열을 포함하여 홀수열에 러버(R)가 적재되어 있다. In this case, the rubber (R) is individually separated and stacked in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as described above. That is, in the rubber loading unit 230 of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the rubber (R) is loaded in even columns such as 2 columns, 4 columns, and 6 columns in the first row on the basis of the horizontal row, and in the second row, 1 column, Rubber (R) is loaded in odd rows such as 3rd and 5th rows. Again, the rubber (R) is loaded in the even-numbered column including the 2nd column in row 3, and the odd-numbered column including the 1st column in the 4th row.

따라서, 러버 분리부(20)에는 러버(R)가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되어 있으므로, 러버 부착부(30)는 러버 분리부(20)에 적재된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흡착하여 TV스탠드(S)의 부착위치(SP)로 이송한다. 이후, 러버 부착부(30)는 TV스탠드(S)의 각 부착위치(SP)에 각 러버(R)를 개별적으로 부착한다. Therefore, since the rubber R is separately mounted on the rubber separating unit 20, the rubber attaching unit 30 individually adsorbs the rubber R loaded on the rubber separating unit 2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ransfer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of the stand (S). Thereafter,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individually attaches each rubber R to each attachment position SP of the TV stand S.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부착부(30)는 복수개의 부착위치(SP)가 상면에 노출되도록 TV스탠드(S)를 반전하여 지지하는 TV스탠드 지그(320), 및 러버 분리부(20)에 적재된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흡착하여 TV스탠드 지그(320)로 이송한 후, 각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개별적으로 부착하는 러버 부착유닛(310)을 포함한다. Here,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V stand jig 320 for inverting and supporting the TV stand S so that a plurality of attachment positions SP ar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rubber separation part A rubber attachment unit 310 that individually adsorbs the rubber (R) loaded on the 20 and transfers it to the TV stand jig 320, and then individually attaches the rubber (R) to each attachment location (SP). includes

TV스탠드 지그(320)는 부착파트 프레임(FR2)에 구비된다. TV스탠드 지그(320)는 TV스탠드(S)를 지지한다. 이때, TV스탠드 지그(320)는 TV스탠드(S)의 저면에 위치한 부착위치(SP)가 상면에 노출되도록, TV스탠드(S)를 반전시켜 지지한다. 즉, 후술하는 러버 부착유닛(310)이 복수개의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개별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TV스탠드 지그(320)는 TV스탠드(S)를 반전시켜 부착위치(SP)가 상면에 노출되도록 지지한다. TV스탠드 지그(32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The TV stand jig 320 is provided on the attachment part frame FR2. The TV stand jig 320 supports the TV stand (S). At this time, the TV stand jig 320 is supported by inverting the TV stand (S) so that the attachment position (SP)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V stand (S) i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That is, the TV stand jig 320 inverts the TV stand S so that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to be described later can individually attach the rubber R to the plurality of attachment positions SP. ) to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TV stand jig 320 will be described later.

러버 부착유닛(310)은 부착파트 프레임(FR2)에 구비될 수 있다. 러버 부착유닛(310)은 도 27의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 Z축 방향을 승하강 방향으로 정의한다.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may be provided in the attachment part frame FR2.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may move in the X-axis, Y-axis and Z-axis directions of FIG. Hereinafter, the Z-axis direction is defined as an elevation direction.

러버 부착유닛(310)은 러버 분리부(20)에 적재된 러버(R)를 흡착한다. 러버 부착유닛(310)은 러버 적재유닛(230)에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된 러버(R)를 흡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러버 부착유닛(310)은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흡착할 수 있다.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dsorbs the rubber R loaded on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may adsorb the rubbers R individually and spaced apart from the rubber loading unit 230 . In this case,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may adsorb the rubber R to be individu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후, 러버 부착유닛(310)은 러버(R)를 TV스탠드 지그(320)로 이송한다. 러버 부착유닛(310)은 러버(R)를 TV스탠드 지그(320)로 이송한 후 부착위치(SP)에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러버 부착유닛(310)은 각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개별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Thereafter,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transfers the rubber R to the TV stand jig 320 .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may be attached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after transferring the rubber R to the TV stand jig 320 . In this case,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may individually attach the rubber R to each attachment position SP.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부착유닛(310)은 외관을 형성하는 핑거 플레이트(315), 핑거 플레이트(315)에 결합되어, 핑거 플레이트(315)를 회전시키는 회전샤프트(313), 회전샤프트(313)에 결합되어 회전샤프트(313)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인가하는 회전구동부(312), 및 핑거 플레이트(315)의 저면에 결합되고,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흡착한 후 TV스탠드 지그(320)의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부착하는 러버 부착핑거모듈(316)을 포함한다.Here,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nger plate 315 forming an exterior, a rotation shaft 313 coupled to the finger plate 315 and rotating the finger plate 315, After being coupled to the rotary shaft 313 and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ry driving part 312 for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rotate the rotary shaft 313, and the finger plate 315, the rubber R is individually and spaced apart. and a rubbe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 for attaching the rubber R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of the TV stand jig 320 .

핑거 플레이트(315)는 외관을 형성한다. The finger plate 315 forms the exterior.

회전샤프트(313)는 핑거 플레이트(315)에 결합된다. 회전샤프트(313)의 단부가 핑거 플레이트(315)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회전샤프트(313)는 핑거 플레이트(315)를 회전시킨다. The rotating shaft 313 is coupled to the finger plate 315 . An end of the rotating shaft 313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finger plate 315 . The rotating shaft 313 rotates the finger plate 315 .

회전구동부(312)는 회전샤프트(313)에 결합된다. 회전구동부(312)는 회전샤프트(313)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312)는 회전샤프트(313)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회전샤프트(313)에 인가할 수 있다.The rotation driving unit 312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313 . The rotation driving unit 312 may be coupled to an end of the rotation shaft 313 . The rotation driving unit 312 may apply a rotational force for rotating the rotation shaft 313 to the rotation shaft 313 .

회전구동부(312)가 작동하면, 회전샤프트(313)를 회전축으로 핑거 플레이트(315)가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핑거 플레이트(315)는 360° 범위에서 회전될 수 있다.When the rotation driving unit 312 is operated, the finger plate 315 may be rotated with the rotation shaft 313 as a rotation axis. In this case, the finger plate 315 may be rotated in a range of 360°.

러버 부착핑거모듈(316)은 핑거 플레이트(315)의 저면에 구비된다. 러버 부착핑거모듈(316)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복수개의 부착핑거(317)를 포함할 수 있다.The rubbe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nger plate 315 . The rubbe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 may include a plurality of attachment fingers 317 as described below.

러버 부착핑거모듈(316)은 러버(R)를 흡착한다. 이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이,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흡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The rubbe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 adsorbs the rubber R.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rubber R may be individually and spaced apart adsorb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러버 부착핑거모듈(316)은 러버(R)를 흡착한 후 TV스탠드 지그(320)의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부착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After the rubbe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 adsorbs the rubber (R), the rubber (R)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of the TV stand jig (32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핑거 플레이트(315)의 상면에는 핑거 밸브모듈(314)이 구비될 수 있다. 핑거 밸브모듈(314)은 러버 부착핑거모듈(316)에 공압을 포함한 유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핑거 밸브모듈(314)이 러버 부착핑거모듈(316)에 유압을 인가하면 흡기상태로 동작하며, 유압을 해제하면 흡기가 해제된 파기상태로 동작한다. 러버 부착핑거모듈(316)이 흡기상태로 동작하면 러버(R)가 흡착되고, 파기상태로 동작하면 러버 부착핑거모듈(316)에 흡착된 러버(R)가 이탈된다. A finger valve module 314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315 . The finger valve module 314 may supply hydraulic pressure including pneumatic pressure to the rubber-attached finger module 316 . In this case, when the finger valve module 314 applies hydraulic pressure to the rubber-attached finger module 316, it operates in an intake state, and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released, it operates in an abrogated state in which intake air is released. When the rubber-attached finger module 316 operates in the intake state, the rubber R is adsorbed, and when the rubber-attached finger module 316 operates in the discarded state, the rubber R adsorbed to the rubber-attached finger module 316 is released.

핑거 에어실린더(311)는 회전샤프트(313)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핑거 에어실린더(311)는 유압을 공급할 수 있다. 핑거 에어실린더(311)는 핑거 밸브모듈(314)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핑거 밸브모듈(314)은 핑거 에어실린더(311)로부터 유압을 인가받아, 러버 부착핑거모듈(316)을 흡기상태 또는 파기상태로 제어한다. The finger air cylinder 311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rotary shaft 313 . The finger air cylinder 311 may supply hydraulic pressure. The finger air cylinder 311 may be connected to the finger valve module 314 . In this case, the finger valve module 314 receives hydraulic pressure from the finger air cylinder 311 and controls the rubber-attached finger module 316 to an intake state or an exhaust state.

여기서, 러버 부착핑거모듈(316)은 핑거 플레이트(315)의 일측에 복수개의 부착핑거(317)가 일렬로 배치되는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 및 핑거 플레이트(315)의 타측에 복수개의 부착핑거(317)가 일렬로 배치되는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을 포함한다.Here, the rubbe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 includes a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in which a plurality of attachment fingers 317 are arranged in a line on one side of the finger plate 315, and a plurality of attachments on the other side of the finger plate 315. and a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on which the fingers 317 are arranged in a line.

도 30을 기준으로, 정면에 도시된 러버 부착핑거모듈(316)을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로 정의한다.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은 핑거 플레이트(315)의 일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은 일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부착핑거(317)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0 , the rubbe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 shown in the front is defined as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nger plate 315 . In this case,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includes a plurality of attachment fingers 317 arranged in a line.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은 핑거 플레이트(315)의 타측에 배치된다.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은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은 일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부착핑거(317)를 포함한다.The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nger plate 315 . The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 In this case, the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includes a plurality of attachment fingers 317 arranged in a lin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핑거(317)는 외관을 형성하는 핑거 바디(3173), 핑거 플레이트(315)의 저면에 결합되는 브라켓(3171), 브라켓(3171)과 핑거 바디(3173) 사이에 구비되어, 핑거 바디(3173)를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로터리 실린더(3172), 핑거 바디(3173)에 고정 구비되는 승하강 실린더(3174), 승하강 실린더(3174)에 결합되어 승하강 실린더(3174)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하강 피스톤(3175), 및 승하강 피스톤(3175)의 단부에 구비되어 러버(R)를 흡착하는 핑거 노즐(3176)을 포함한다.Here, the attachment finger 31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nger body 3173 forming an exterior, a bracket 3171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nger plate 315, a bracket 3171, and a finger body 3173 ) provided between the rotary cylinder 3172 for rotating the finger body 3173 by a preset angle, the elevating cylinder 3174 fixed to the finger body 3173, the elevating cylinder 3174 is coupled to the win It includes an elevating piston 3175 that is elevated by the lowering cylinder 3174, and a finger nozzle 3176 tha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elevating piston 3175 for adsorbing the rubber (R).

브라켓(3171)은 핑거 플레이트(315)의 저면에 결합된다. 브라켓(3171)은 핑거 플레이트(315)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bracket 3171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nger plate 315 . The bracket 3171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finger plate 315 .

핑거 바디(3173)는 외관을 형성한다. 브라켓(3171)과 핑거 바디(3173) 사이에는 로터리 실린더(3172)가 구비된다. 로터리 실린더(3172)는 브라켓(317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finger body 3173 forms an appearance. A rotary cylinder 3172 is provided between the bracket 3171 and the finger body 3173 . The rotary cylinder 3172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bracket 3171 .

로터리 실린더(3172)는 핑거 바디(3173)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로터리 실린더(3172)는 핑거 바디(3173)를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로터리 실린더(3172)는 서보 유압기구로 실시될 수 있다.The rotary cylinder 3172 rotates the finger body 3173 . In this case, the rotary cylinder 3172 may rotate the finger body 3173 by a preset angle. The rotary cylinder 3172 may be implemented as a servo hydraulic mechanism.

승하강 실린더(3174)는 핑거 바디(3173)에 고정 구비된다. 승하강 실린더(3174)는 유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승하강 실린더(3174)는 유압을 인가받아 승하강 피스톤(3175)을 승하강 시킬 수 있다.The elevating cylinder 3174 is fixedly provided to the finger body 3173 . The elevating cylinder 3174 may receive hydraulic pressure. In this case, the elevating cylinder 3174 may elevate the elevating piston 3175 by receiving hydraulic pressure.

승하강 피스톤(3175)은 승하강 실린더(3174)에 결합된다. 승하강 피스톤(3175)은 승하강 실린더(3174)에 의해 승하강된다.The elevating piston 3175 is coupled to the elevating cylinder 3174 . The elevating piston 3175 is elevated by the elevating cylinder 3174.

핑거 노즐(3176)은 승하강 피스톤(3175)의 단부에 구비된다. 핑거 노즐(3176)은 승하강 피스톤(3175)이 승하강되면, 승하강 피스톤(3175)과 함께 승하강된다.The finger nozzle 3176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elevating piston 3175 . When the elevating piston 3175 is elevating, the finger nozzle 3176 is elevated together with the elevating piston 3175 .

핑거 노즐(3176)에는 유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 핑거 노즐(3176)에는 승하강 실린더(3174)를 통해 유압이 인가될 수 있다. 핑거 노즐(3176)에 유압이 인가되면 흡기상태로 작동하고, 유압이 해제되면 파기상태로 작동한다.Hydraulic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finger nozzle 3176 . In this case, hydraulic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finger nozzle 3176 through the elevating cylinder 3174 . When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nger nozzle 3176, it operates in an intake state, and when hydraulic pressure is released, it operates in a discard state.

핑거 노즐(3176)이 흡기상태로 작동하면 핑거 노즐(3176)은 러버(R)를 흡착할 수 있다. 또한, 핑거 노즐(3176)이 파기상태로 작동하면 평기 노즐에서 러버(R)가 이탈될 수 있다.When the finger nozzle 3176 operates in the intake state, the finger nozzle 3176 may adsorb the rubber R. In addition, when the finger nozzle 3176 operates in the discarded state, the rubber R may be separated from the flat nozzle.

이하, 도 34 내지 41을 참조하여, 러버 부착부(30)의 상세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operation of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4 to 41 .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부착부(30)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부착유닛(310)과 러버 적재유닛(230)의 사시도이며, 도 36은 러버 부착유닛(310) 흡착하는 러버(R)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개략도이고, 도 37은 러버 부착유닛(310) 흡착하는 러버(R)의 또 다른 위치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개략도이며, 도 38은 러버 부착유닛(310)이 러버(R)를 흡착한 후 회전하는 것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39는 러버 부착유닛(310)이 TV스탠드(S)에 러버(R)를 개별적으로 부착하기 위해 TV스탠드(S)에 접근한 것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40은 러버 부착유닛(310)이 TV스탠드(S)의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부착하는 것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41은 러버 부착유닛(310)이 또 다른 TV스탠드(S)의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부착하는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34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rubber attachment un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nd the rubber loading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6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position of the rubber (R) to be adsorbed by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nd FIG. 37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position of the rubber (R) to be adsorbed by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38 is a view showing that the rubber attaching unit 310 rotates after adsorbing the rubber R, and FIG. 39 is the rubber attaching unit 310 individually attaching the rubber (R) to the TV stand (S). It is a view showing that the TV stand (S) is approached to attach it, and FIG. 40 is a view showing that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ttaches the rubber (R)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of the TV stand (S). 41 is a view showing that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ttaches the rubber R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of another TV stand (S).

도 34 내지 도 4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방법은 러버 부착단계를 포함한다.34 to 41 , the automatic rubber attachment method for a TV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ubber attachment step.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부착단계는 러버 분리부(20)에 러버(R)가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되는 적재러버 제공단계(S310), 러버 부착유닛(310)이 러버 분리부(20)에 적재된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흡착하는 적재러버 흡착단계(S320), TV스탠드 지그(320)에 제1TV스탠드(S1) 및 제2TV스탠드(S2)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공되는 TV스탠드 제공단계(S330), 러버 부착유닛(310)이 90°도 회전되어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이 제1TV스탠드(S1)에 위치되고,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이 제2TV스탠드(S2)에 위치되는 러버 부착유닛 회전단계(S340), 및 러버 부착유닛(310)이 각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개별적으로 부착하는 러버 개별 부착단계(S350)를 포함한다.Here, the rubber attach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rubber providing step (S310) in which the rubber (R) is individually stacked on the rubber separating unit 20, and the rubber attaching unit 310 is a rubber separating unit. A loading rubber adsorption step (S320) of separately adsorbing the rubber (R) loaded in the (20), the first TV stand (S1) and the second TV stand (S2)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TV stand jig 320, In the provided TV stand providing step (S330),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is rotated 90 degrees so that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is positioned on the first TV stand S1, and the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is installed on the second TV Rotating the rubber attachment unit positioned on the stand S2 ( S340 ), and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individually attaching the rubber R to each attachment position SP ( S350 ). .

적재러버 제공단계(S310)에서는 러버 적재유닛(230)에 러버(R)가 적재된다. 이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이 러버 지그(232)에 러버(R)가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된다. 러버 적재유닛(230)에는 상술한 것과 같이 가로행을 기준으로, 1행에는 2열, 4열, 6열 등 짝수열에 러버(R)가 적재되어 있고 2행에는 1열, 3열, 5열 등 홀수열에 러버(R)가 적재되어 있다. 다시, 3행에는 2열을 포함하여 짝수열에, 4행에는 1열을 포함하여 홀수열에 러버(R)가 적재된다.In the step of providing the loading rubber ( S310 ), the rubber R is loaded on the rubber loading unit 230 .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rubber R is individually mounted on the rubber jig 232 to be spaced apart. As described above, the rubber loading unit 230 is loaded with rubber (R) in even columns such as 2 columns, 4 columns, and 6 columns in row 1, based on the horizontal row, and in the 2nd row, 1 column, 3 columns, 5 columns. Rubber (R) is loaded in odd rows. Again, the rubber (R) is loaded in the even-numbered column including the 2nd column in row 3, and the odd-numbered column including the 1st column in the 4th row.

적재러버 흡착단계(S320)에서는 러버 부착유닛(310)이 러버 분리부(20)에 적재된 러버(R)를 흡착한다. 이 경우, 러버 부착유닛(310)은 러버 적재유닛(230)에 적재된 러버(R)를 흡착한다. 이때, 러버 부착유닛(310)은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흡착한다.In the loading rubber adsorption step (S320),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dsorbs the rubber R loaded on the rubber separation unit 20 . In this case,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dsorbs the rubber R loaded on the rubber loading unit 230 . At this time,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dsorbs the rubber R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 경우, 핑거 밸브모듈(314)이 작동하여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 및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에 유압을 인가한다.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 및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이 러버 적재유닛(230)에 적재된 러버(R)를 흡착한다.In this case, the finger valve module 314 operates to apply hydraulic pressure to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and the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and the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adsorb the rubber R loaded on the rubber loading unit 230 .

여기서, 도 35와 같이,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은 러버 적재유닛(230)의 가로행에 적재된 러버(R)를 흡착한다. 이 경우,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은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이 흡착한 가로행과 이격된 가로행에 적재된 러버(R)를 흡착한다. 예를 들어, 도 36을 참조하면,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은 14행의 러버(R)를 흡착하고,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은 12행의 러버(R)를 흡착한다.Here, as shown in FIG. 35 ,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adsorbs the rubber R loaded in the horizontal row of the rubber loading unit 230 . In this case, the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adsorbs the rubber R loaded in the horizontal row spaced apart from the horizontal row adsorbed by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6 ,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absorbs the rubber R in the 14th row, and the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absorbs the rubber R in the 12th row.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은 14행의 러버(R)를 흡착하고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은 12행의 러버(R)를 흡착한 후 TV스탠드(S)에 러버(R)를 부착하여 소모한 후, 다시 도 37과 같이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은 13행의 러버(R)를 흡착하고,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은 11행의 러버(R)를 흡착할 수 있다.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adsorbs the rubber (R) in the 14th row, and the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absorbs the rubber (R) in the 12th row, and then attaches the rubber (R) to the TV stand (S). After consumption, as shown in FIG. 37 ,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may adsorb the rubber R in the 13th row, and the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may adsorb the rubber R in the 11th row.

또한, 실시예에 따라,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은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이 흡착한 가로행에 홀수개만큼 이격된 가로행에 적재된 러버(R)를 흡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은 14행의 러버(R)를 흡착하고,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은 3개의 행만큼 이격된 10행의 러버(R)를 흡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8의 (a)와 같이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 및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에 러버(R)가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흡착된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may adsorb the rubbers R loaded in horizontal rows spaced apart by an odd number from the horizontal rows adsorbed by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s 3161 . In this case,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may adsorb the rubber R in 14 rows, and the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may adsorb the rubber R in 10 rows spaced apart by 3 rows. Accordingly, as shown in (a) of FIG. 38 , the rubbers R are separately adsorbed to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and the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

TV스탠드 제공단계(S330)에서는 TV스탠드 지그(320)에 TV스탠드(S)가 제공된다. 이 경우, TV스탠드 지그(320)는 TV스탠드(S)의 부착위치(SP)가 상면에 노출되도록 TV스탠드(S)를 반전하여 지지한다.In the TV stand providing step (S330), the TV stand (S) is provided to the TV stand jig (320). In this case, the TV stand jig 320 is supported by inverting the TV stand (S) so that the attachment position (SP) of the TV stand (S) i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TV스탠드(S)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제1TV스탠드(S1) 및 제2TV스탠드(S2)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0 및 도 41과 같이, 제1TV스탠드(S1) 및 제2TV스탠드(S2)가 TV스탠드 지그(320)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V stands (S) may be provided. In the cas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V stand (S1) and the second TV stand (S2)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40 and 41 , the first TV stand S1 and the second TV stand S2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TV stand jig 320 .

러버 부착유닛 회전단계(S340)에서는 핑거 플레이트(315)가 회전된다. 이 경우, 회전구동부(312)가 작동하여 회전샤프트(313)가 회전되고, 회전샤프트(313)가 핑거 플레이트(315)를 회전시킨다. 핑거 플레이트(315)는 90° 회전된다. In the rubber attachment unit rotation step (S340), the finger plate 315 is rotated. In this case, the rotation driving unit 312 operates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313 , and the rotation shaft 313 rotates the finger plate 315 . The finger plate 315 is rotated 90°.

회전샤프트(313)를 회전축(L)으로 핑거 플레이트(315)가 90° 회전되면, 러버 부착유닛(310)에 러버(R)가 흡착된 도 38의 (a)의 상태에서 (b)와 같이 회전된다. 이 경우,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은 제1TV스탠드(S1)에 위치되고,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은 제2TV스탠드(S2)에 위치된다. When the finger plate 315 is rotated 90° with the rotating shaft 313 as the rotating shaft L, as shown in (b) in FIG. 38 (a) in which the rubber R is adsorbed to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rotated In this case,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is positioned on the first TV stand S1 , and the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is positioned on the second TV stand S2 .

러버 개별 부착단계(S350)에서는 러버 부착유닛(310)이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개별적으로 부착한다. 이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이, 부착위치(SP)가 상면에 노출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러버 부착유닛(310)이 흡착된 러버(R)를 부착위치(SP)에 부착한다.In the individual rubber attachment step (S350),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individually attaches the rubber R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ttachment location SP is disposed to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the rubber R on which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is adsorbed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location SP.

러버 부착유닛(310)은 Z축 방향으로 하강하여 부착위치(SP)에 접근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 및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의 부착핑거(317)가 작동할 수 있다.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may descend in the Z-axis direction to approach the attachment position SP. Here, the attachment fingers 317 of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and the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may operate.

즉, 승하강 실린더(3174)가 작동하여 승하강 피스톤(3175)이 하강하고, 핑거 노즐(3176)에 흡착된 러버(R)가 부착위치(SP)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러버(R)의 저면에 도포된 점착제가 부착위치(SP)에 결합된다. 이때, 핑거 밸브모듈(314)이 작동하여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 및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의 부착핑거(317)에 유압을 해제할 수 있다. That is, the elevating cylinder 3174 operates to lower the elevating piston 3175 , and the rubber R adsorbed to the finger nozzle 3176 may be in contact with the attachment position SP. At this time, the adhesiv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ubber (R) is coupled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At this time, the finger valve module 314 may operate to release hydraulic pressure to the attachment fingers 317 of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and the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

이 경우, 도 39와 같이 TV스탠드(S)의 각 부착위치(SP)에 각 러버(R)가 개별적으로 부착된다. 즉, 도 39의 Y축을 기준으로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 또는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 중 최후단의 부착핑거(317)가 최전단의 부착위치(SP)에 위치된다.In this case, each rubber R is individually attached to each attachment position SP of the TV stand S as shown in FIG. 39 . That is, the last attachment finger 317 of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or the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is located at the frontmost attachment position SP with respect to the Y-axis of FIG. 39 .

이후, 승하강 피스톤(3175)이 하강하여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정위치시키고, 부착핑거(317)의 유압을 해제하여,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부착시킨다. 이때, 각 러버(R)는 각 부착위치(SP)를 따라 순차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을 모든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부착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elevating piston 3175 descends to place the rubber R at the attachment position SP, release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attachment finger 317, and attach the rubber R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 In this case, each rubber R may be sequentially attached along each attachment position SP.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ay be repeated until the rubber R is attached to all the attachment positions SP.

이에 따라, 도 40과 같이, TV스탠드(S)의 부착위치(SP)에 자동으로 러버(R)를 개별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은 제1TV스탠드(S1)에 러버(R)를 부착하고,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은 제2TV스탠드(S2)에 러버(R)를 부착하여, 2대의 TV스탠드(S)에 러버(R)를 동시에 부착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40,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ttach the rubber (R) individually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of the TV stand (S). In this case,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attaches a rubber (R) to the first TV stand (S1), and the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attaches a rubber (R) to the second TV stand (S2), 2 The rubber (R) can be attached to the TV stand (S) of the unit at the same time.

실시예에 따라, 도 41과 같이 부착위치(SP)가 X축 또는 Y축에 교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러버 개별 부착단계(S350)에서는 부착핑거(317)가 상기 교각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41, the attachment position SP may form a pier on the X-axis or the Y-axis. In this case, in the individual rubber attachment step ( S350 ), the attachment finger 317 may be rotated by a preset angle corresponding to the pier.

즉, 러버(R)를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켜 부착위치(SP)에 부착해야 하는 경우, 로터리 실린더(3172)가 작동하여 핑거 바디(3173)를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핑거 노즐(3176)이 흡착된 러버(R)와 함께 회전되어, 러버(R)가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되고, 러버(R)가 부착위치(SP)에 정위치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rubber R is rotated by a preset angle to be attached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the rotary cylinder 3172 operates to rotate the finger body 3173 by a preset angle. Accordingly, the finger nozzle 3176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adsorbed rubber R, the rubber R may be rotated by a preset angle, and the rubber R may be positioned at the attachment position SP.

또한, 도 41과 같이, 부착위치(SP)가 형성하는 교각이 서로 상이할 경우에도, 로터리 실린더(3172)가 각 부착위치(SP)마다 서로 다른 기설정된 각도만큼 핑거 바디(3173)을 회전시켜 부착위치(SP)에 러버(R)가 정위치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1, even when the piers formed by the attachment positions SP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otary cylinder 3172 rotates the finger body 3173 by a different preset angle for each attachment position SP. The rubber R may be positioned at the attachment position SP.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부착부(30)는 자동으로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이송하여, TV스탠드(S)의 저면에 위치한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개별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택트 타임이 감소하여 생산성이 크게 개선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transports the rubber R individual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rubber (R) is located at the attachment position (SP)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V stand (S). can be individually attached, the tact time is reduced and productivity is greatly improved.

또한, 일반적인 부착위치(SP) 뿐만아니라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 부착위치(SP)에도 자동으로 러버(R)를 부착할 수 있으므로 부착 정밀도가 향상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In addition, since the rubber R can be automatically attached not only to the general attachment position SP but also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rotated by a preset angle, the attachment precision is improved and productivity is improved.

또한, 2개의 TV스탠드(S)가 스탠드 지그(320)에 제공된 상태에서,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이 제1TV스탠드(S1)에 러버(R)를 부착하고,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이 제2TV스탠드(S2)에 러버(R)를 부착하여, 2대의 TV스탠드(S)에 러버(R)를 동시에 부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two TV stands (S) are provided on the stand jig 320,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attaches the rubber R to the first TV stand S1, and the rear attachment finger module 3162 By attaching the rubber (R) to the second TV stand (S2), the rubber (R) can be attached to the two TV stands (S) at the same time.

이하, 도 42 내지 5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 지그(32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TV stand jig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2 to 53 .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 지그(320)에 TV스탠드(S)가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S) 지그의 사시도이며, 도 44는 도 42의 정면도이고,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 플레이트(321)의 평면도이고, 도 46은 도 42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42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TV stand (S) is coupled to the TV stand jig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V stand (S)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4 is a front view of FIG. 42 , FIG. 45 is a plan view of the jig plate 3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42 .

도 42 내지 도 4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스탠드 지그(320)는 TV스탠드(S)의 저면이 상면에 노출되도록 TV스탠드(S)가 반전되게 안착되고, 개구부(325)가 형성되는 지그 플레이트(321), 지그 플레이트(321)에 구비되어, TV스탠드(S)의 만곡부(SR)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 지지돌기(322), 지그 플레이트(321)에 구비되고, 지그 플레이트(321)와 TV스탠드(S) 사이의 이격공간(323b)에 배치되어, TV스탠드(S)를 지지하는 고정 블록(323), 및 지그 플레이트(321)에 구비되고 개구부(325)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TV스탠드(S)가 지그 플레이트(321)에 안착 시 TV스탠드(S)의 넥부(SN)를 파지하는 파지모듈(324)을 포함한다.42 to 46 , in the TV stand jig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V stand S is invert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TV stand S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opening 325 is provided. ) is provided on the jig plate 321, the jig plate 321 is formed, the fixed support protrusion 322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curved part SR of the TV stand S, it is provided on the jig plate 321, It is disposed in the spaced space 323b between the jig plate 321 and the TV stand S, the fixing block 323 supporting the TV stand S, and the jig plate 321 are provided in the opening 325. It is provided to protrude and includes a gripping module 324 for gripping the neck portion SN of the TV stand S when the TV stand S is seated on the jig plate 321 .

TV스탠드(S)는 상술한 것과 같이 넥부(SN)와 만곡부(SR)가 형성된다. 만곡부(SR)는 저면이 바닥이나 가구 표면에 지지되며, 넥부(SN)는 만곡부(SR)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술한 것과 같이, TV스탠드(S)의 저면에 복수개의 부착위치(SP)가 형성된다. The TV stand (S) is formed with a neck portion (SN) and a curved portion (SR) as described above. The curved part SR has a bottom supported on a floor or a surface of furniture, and the neck part S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urved part SR and is coupled to the display panel. Here,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attachment positions SP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V stand S.

지그 플레이트(321)에는 TV스탠드(S)가 반전되게 안착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러버 부착부(30)가 부착위치(SP)에 러버(R)를 부착할 수 있게 부착위치(SP)가 상면에 노출되도록, TV스탠드(S)는 지그 플레이트(321)에 반전되게 안착된다.The TV stand S is mounted on the jig plate 321 to be reversed. As described above, the TV stand (S) is attached to the jig plate (321) so that the attachment position (SP) i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rubber attachment part (30) can attach the rubber (R) to the attachment position (SP). installed in revers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 플레이트(321)는 TV스탠드(S)가 접촉되는 상부 지그 플레이트(321a), 상부 지그 플레이트(321a)의 하부에 상부 지그 플레이트(321a)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하부 지그 플레이트(321b)를 포함한다. Here, the jig plate 3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jig plate 321a to which the TV stand S is in contact, and the upper jig plate 321a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jig plate 321a It includes a lower jig plate (321b) that is.

지그 플레이트(321)에는 개구부(325)가 형성된다. 개구부(325)는 상부 지그 플레이트(321a)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325)는 장방형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중앙 개구부(325a), 중앙 개구부(325a)의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 개구부(325b), 및 중앙 개구부(325a)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 개구부(325c)를 포함한다. An opening 325 is formed in the jig plate 321 . The opening 325 may be formed in the upper jig plate 321a. The opening 32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opening 325a formed to be opened in a rectangular shape, a front opening 325b formed in front of the central opening 325a, and a rear opening of the central opening 325a. and a rear opening 325c formed therein.

고정 지지돌기(322)는 지그 플레이트(321)에 구비된다. 고정 지지돌기(322)는 지그 플레이트(32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고정 지지돌기(322)는 상부 지그 플레이트(321a)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support protrusion 322 is provided on the jig plate 321 . The fixing support protrusion 322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jig plate 321 . The fixing support protrusion 32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jig plate 321a.

고정 지지돌기(322)는 TV스탠드(S)의 만곡부(SR)의 일측을 지지한다. 이 경우, 고정 지지돌기(322)는 만곡부(SR)의 일점을 지지할 수 있다. 고정 지지돌기(322)는 2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고정 지지돌기(322) 및 하나의 파지모듈(324)는 TV스탠드(S)를 3점으로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fixing support protrusion 322 supports one side of the curved part SR of the TV stand S. In this case, the fixing support protrusion 322 may support one point of the curved portion SR. Two fixing support protrusions 322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two fixing support protrusions 322 and one gripping module 324 support the TV stand S at three points so that it can be stably supported.

고정 블록(323)은 지그 플레이트(321)에 구비된다. 고정 블록(323)은 지그 플레이트(32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블록(323)은 상부 지그 플레이트(321a)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block 323 is provided on the jig plate 321 . The fixing block 323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jig plate 321 . The fixing block 323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jig plate 321a.

고정 블록(323)은 지그 플레이트(321)와 TV스탠드(S) 사이의 이격공간(323b)을 지지한다. 즉, TV스탠드(S)의 형상에 따라 TV스탠드(S)가 지그 플레이트(321)에 완전히 안착되지 못하고, 도 43과 같이 TV스탠드(S)가 지그 플레이트(321)에 이격되어 이격공간(323b)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xing block 323 supports the separation space 323b between the jig plate 321 and the TV stand (S). That i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V stand (S), the TV stand (S) cannot be completely seated on the jig plate (321), and the TV stand (S) is spaced apart from the jig plate (321) as shown in FIG. ) can be formed.

이때, 고정 블록(323)은 이격공간(323b)에 배치되어 TV스탠드(S)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블록(323)은 상면에 경사면(323a)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323a)은 이격공간(323b)에 삽입된다. 경사면(323a)은 이격공간(323b)의 높이에 대응되는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TV스탠드(S)가 지그 플레이트(321)와 이격공간(323b)을 형성할 경우, 이격공간(323b)의 높이에 대응되는 경사면(323a)이 형성된 고정 블록(323)이 TV스탠드(S)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xing block 323 may be disposed in the separation space 323b to support the TV stand (S). In this case, the fixed block 323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323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inclined surface 323a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space 323b. The inclined surface 323a may form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separation space 323b. Accordingly, when the TV stand (S) forms the jig plate 321 and the separation space 323b, the fixed block 323 having the inclined surface 323a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separation space 323b is formed in the TV stand ( S) can be firmly supported.

파지모듈(324)은 지그 플레이트(321)에 구비된다. 파지모듈(324)은 개구부(325)에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holding module 324 is provided on the jig plate 321 . The gripping module 324 may be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opening 325 .

파지모듈(324)은 TV스탠드(S)가 지그 플레이트(321)에 안착 시 TV스탠드(S)의 넥부(SN)를 파지한다. 이 경우, 넥부(SN)는 개구부(325)에 삽입되어 파지모듈(324)에 삽입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gripping module 324 grips the neck portion SN of the TV stand S when the TV stand S is seated on the jig plate 321 . In this case, the neck part SN may be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325 and inserted into the holding module 324 .

지그 플레이트(321)에 TV스탠드(S)가 반전되게 안착되면, 고정 지지돌기(322)가 만곡부(SR)를 지지하고, 고정 블록(323)이 지그 플레이트(321)와 TV스탠드(S) 사이의 이격공간(323b)에 배치되어 TV스탠드(S)를 지지하며, 파지모듈(324)이 TV스탠드(S)의 넥부(SN)를 파지하므로, TV스탠드(S) 지그가 TV스탠드(S)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TV stand (S) is seated on the jig plate 321 to be reversed, the fixing support protrusion 322 supports the curved portion SR, and the fixing block 323 is between the jig plate 321 and the TV stand (S). is disposed in the space 323b of the TV stand (S) to support the TV stand (S), and the holding module (324) holds the neck portion (SN) of the TV stand (S), the TV stand (S) jig is the TV stand (S) can be firmly supported.

여기서, 상술한 것과 같이 TV스탠드(S)는 제1TV스탠드(S1) 및 제2TV스탠드(S2)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TV스탠드(S1) 및 제2TV스탠드(S2)는 지그 플레이트(321)의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Here, as described above, in the TV stand S, the first TV stand S1 and the second TV stand S2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is case, the first TV stand (S1) and the second TV stand (S2)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jig plate (321).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모듈(324)은 제1TV스탠드(S1)를 파지하는 제1파지모듈(324a), 및 제1파지모듈(324a)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2TV스탠드(S2)를 파지하는 제2파지모듈(324b)을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gripping module 3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parallel to the first gripping module 324a for gripping the first TV stand S1, and the first gripping module 324a to the second TV stand ( S2) includes a second gripping module (324b) for gripping.

제1파지모듈(324a)은 제1TV스탠드(S1)를 파지한다. 제1파지모듈(324a)은 제1TV스탠드(S1)의 넥부(SN)를 지지한다. 제2파지모듈(324b)은 제2TV스탠드(S2)를 파지한다. 제2파지모듈(324b)은 제2TV스탠드(S2)의 넥부(SN)를 지지한다.The first holding module 324a holds the first TV stand S1. The first gripping module 324a supports the neck portion SN of the first TV stand S1. The second holding module 324b holds the second TV stand S2. The second gripping module 324b supports the neck portion SN of the second TV stand S2.

여기서, 제1파지모듈(324a)은 전방 개구부(325b)을 관통하여 돌출되게 배치되고, 제2파지모듈(324b)은 후방 개구부(325c)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제1파지모듈(324a) 및 제2파지모듈(324b)이 전방 개구부(325b) 및 후방 개구부(325c)에 배치되어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된다. Here, the first gripping module 324a is disposed to protrude through the front opening 325b, and the second gripping module 324b is disposed to protrude through the rear opening 325c. In this case, the first gripping module 324a and the second gripping module 324b are disposed in the front opening 325b and the rear opening 325c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이에 따라, 2개의 TV스탠드(S)가 TV스탠드(S) 지그(320)에 제공된 상태에서, 제1파지모듈(324a)이 제1TV스탠드(S1)의 넥부(SN)를 파지하고 제2파지모듈(324b)이 제2TV스탠드(S2)의 넥부(SN)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two TV stands (S) are provided to the TV stand (S) jig 320, the first gripping module 324a grips the neck portion SN of the first TV stand S1 and holds the second gripping module 324a. The module 324b can firmly grip the neck portion SN of the second TV stand S2.

또한, 2개의 TV스탠드(S)가 TV스탠드(S) 지그(320)에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전방 부착핑거모듈(3161)이 제1TV스탠드(S1)에 러버(R)를 부착하고, 후방 부착핑거모듈(3162)이 제2TV스탠드(S2)(S2)에 러버(R)를 부착하여 2대의 TV스탠드(S)에 러버(R)를 동시에 부착하는 경우에도 부착 정밀도가 향상된다. In addition, since the two TV stands (S) are firmly supported on the TV stand (S) jig 320, the front attachment finger module 3161 attaches the rubber (R) to the first TV stand (S1), and the rear attachment Even when the finger module 3162 attaches the rubber R to the second TV stands S2 and S2 and attaches the rubber R to the two TV stands S at the same time, the attachment precision is improved.

이하, 도 47 내지 5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모듈(324)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gripping module 3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7 to 53 .

도 4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모듈(324)의 사시도이고, 도 48은 도 47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49는 도 47의 정면도이고, 도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모듈(3241) 및 링크모듈(3243)의 사시도이며, 도 51 내지 도 5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모듈(324)의 동작도이다.4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ding module 3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47, FIG. 49 is a front view of FIG. 47, and FIG. 5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ripping module 3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ok module 3241 and the link module 3243, and FIGS. 51 to 53 are operation diagrams of the gripping module 3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7 내지 도 5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모듈(324)은 지그 플레이트(321)에 구비되고 개구부(325)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넥부(SN)를 파지하는 후크모듈(3241), 지그 플레이트(321)에 구비되고 후크모듈(3241)에 결합되어 후크모듈(324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모듈(3242), 및 지그 플레이트(321)에 구비되고 후크모듈(3241)에 결합되어 후크모듈(3241)을 지지하는 링크모듈(3243)을 포함한다.47 to 53 , the gripping module 3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jig plate 321 and protrudes from the opening 325 to grip the neck part SN ( 3241), an elastic module 3242 provided on the jig plate 321 and coupled to the hook module 3241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hook module 3241, and a hook module 3241 provided on the jig plate 321 It is coupled to include a link module (3243) for supporting the hook module (3241).

후크모듈(3241)은 지그 플레이트(321)에 구비된다. 후크모듈(3241)은 상부 지그 플레이트(321a)와 하부 지그 플레이트(321b)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후크모듈(3241)은 개구부(325)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후크모듈(3241)은 넥부(SN)를 파지한다.The hook module 3241 is provided on the jig plate 321 . The hook module 324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jig plate 321a and the lower jig plate 321b. The hook module 3241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opening 325 . The hook module 3241 holds the neck part SN.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모듈(3241)은 외관을 형성하는 후크플레이트(32411), 후크플레이트(32411)의 일측에 배치되는 후크로드(32412), 후크로드(32412)가 회동되도록 후크로드(32412)를 지지하는 후크브라켓(32413), 후크브라켓(32413) 및 후크로드(32412)를 일체로 관통하는 후크샤프트(32414), 후크샤프트(32414)를 기준으로 후크로드(32412)의 일단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넥부(SN)를 파지하는 가압바디(32415), 및 후크샤프트(32414)를 기준으로 후크로드(32412)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탄성모듈(3242)이 결합되는 결합샤프트(32416)를 포함한다.Here, the hook module 324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ok plate 32411 forming an exterior, a hook rod 32412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ok plate 32411, and the hook rod 32412 so that the hook rod 32412 is rotated. The hook bracket 32413 for supporting the hook rod 32412, the hook bracket 32413 and the hook shaft 32414 that integrally pass through the hook rod 32412, the hook shaft 32414 of the hook rod 32412 based on the It is provided to protrude at one end and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ook rod 32412 based on the pressure body 32415 for gripping the neck part SN, and the hook shaft 32414, to which the elastic module 3242 is coupled. and a coupling shaft 32416.

후크플레이트(32411)는 외관을 형성한다.The hook plate 32411 forms the exterior.

후크로드(32412)는 후크플레이트(32411)의 일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후크로드(32412)는 후크플레이트(32411)에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측의 후크로드(32412)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한 쌍으로 구성되는 이하의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일측의 구성요소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한 쌍에 대한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로 설명한다.The hook rod 3241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ok plate 32411 . Here, a pair of hook rods 32412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ok plate 32411 . Hereinafter, one side of the hook rod 32412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following components composed of a pair, only one component will be described, and if a description of a pair is necessary, it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후크브라켓(32413)은 후크플레이트(32411)의 일측에 배치된다. 후크브라켓(32413)은 후크로드(32412)를 지지한다. 이 경우, 후크브라켓(32413)은 후크로드(32412)가 후크브라켓(32413)에 회동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The hook bracket 32413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ok plate 32411 . The hook bracket 32413 supports the hook rod 32412 . In this case, the hook bracket 32413 may support the hook rod 32412 to rotate with the hook bracket 32413 .

후크샤프트(32414)는 후크브라켓(32413) 및 후크로드(32412)를 일체로 관통한다. 이 경우, 후크로드(32412)는 후크샤프트(32414)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다.The hook shaft 32414 passes through the hook bracket 32413 and the hook rod 32412 integrally. In this case, the hook rod 32412 may be rotated using the hook shaft 32414 as a rotation axis.

후크샤프트(32414)를 기준으로, 후크로드(32412)의 일단부에는 가압바디(32415)가 구비된다. 가압바디(32415)는 후크로드(32412)의 일단부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가압바다는 후술하는 탄성모듈(3242)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후크모듈(3241)에 안착되는 넥부(SN)를 파지한다. Based on the hook shaft 32414, one end of the hook rod 32412 is provided with a pressing body 32415. The pressing body 32415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hook rod 32412 . The pressurized sea receives elastic force from the elastic module 3242 to be described later and grips the neck portion SN that is seated on the hook module 3241 .

후크샤프트(32414)를 기준으로, 후크로드(32412)의 타단부에는 결합샤프트(32416)가 구비된다. 결합샤프트(32416)에는 탄성모듈(3242)이 결합된다.Based on the hook shaft 32414, the other end of the hook rod 32412 is provided with a coupling shaft 32416. An elastic module 3242 is coupled to the coupling shaft 32416 .

이 경우, 탄성모듈(3242)은 결합샤프트(32416)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탄성력은 결합샤프트(32416)를 탄성모듈(3242)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후크샤프트(32414)를 기준으로 한 쌍의 가압바디(32415)가 서로 인접되는 방향으로 후크로드(32412)가 회동되므로, 후크모듈(3241)에 삽입된 넥부(SN)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elastic module 3242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coupling shaft 32416 . Here, the elastic force acts in the direction of pulling the coupling shaft 32416 in the direction of the elastic module 3242 . Accordingly, since the hook rod 32412 is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pressure bodies 32415 are adjacent to each other based on the hook shaft 32414, the neck part SN inserted into the hook module 3241 can be gripped. there will be

탄성모듈(3242)은 지그 플레이트(321)에 구비된다. 탄성모듈(3242)은 상부 지그 플레이트(321a)와 하부 지그 플레이트(321b)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elastic module 3242 is provided on the jig plate 321 . The elastic module 324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jig plate 321a and the lower jig plate 321b.

탄성모듈(3242)은 후크모듈(3241)에 결합된다. 탄성모듈(3242)은 후크모듈(324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후크모듈(3241)이 탄성모듈(3242)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아 넥부(SN)를 파지할 수 있도록, 탄성모듈(3242)은 후크모듈(324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The elastic module 3242 is coupled to the hook module 3241 . The elastic module 3242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hook module 3241 . That is, the elastic module 3242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hook module 3241 so that the hook module 3241 can grip the neck portion SN by receiving an elastic force from the elastic module 3242 .

이때, 탄성력은 상술한 것과 같이 인력이 작용한다. 이 경우, 탄성모듈(3242)은 결합샤프트(32416)를 끌어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후크로드(32412)가 회동되어, 가압바디(32415)가 넥부(SN)를 파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elastic force acts as an attractive force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elastic module 3242 attracts the coupling shaft 32416 . Accordingly, the hook rod 32412 is rotated, and the pressing body 32415 grips the neck portion SN.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모듈(3242)은 지그 플레이트(321)에 고정 결합되는 스프링지지부(32421), 및 일단이 스프링지지부(32421)에 결합되고 타단이 결합샤프트(32416)에 결합되어 결합샤프트(32416)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2422)을 포함한다. Here, the elastic module 324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ring support part 32421 fixedly coupled to the jig plate 321,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spring support part 32421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shaft 32416. It includes a spring 32422 coupl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coupling shaft (32416).

스프링지지부(32421)는 지그 플레이트(321)에 고정 결합된다. 스프링지지부(32421)는 하부 지그 플레이트(321b)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spring support part 32421 is fixedly coupled to the jig plate 321 . The spring support part 32421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jig plate 321b.

스프링(32422)은 일단이 스프링지지부(32421)에 결합되고, 타단이 결합샤프트(32416)에 결합된다. 스프링(32422)은 결합샤프트(32416)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 경우, 탄성력은 상술한 것과 같이 결합샤프트(32416)를 스프링지지부(32421)로 끌어당기는 인력이 제공된다.One end of the spring 32422 is coupled to the spring support part 32421 ,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shaft 32416 . The spring 32422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coupling shaft 32416 . In this case, the elastic force is provided with an attractive force that pulls the coupling shaft 32416 to the spring support part 32421 as described above.

링크모듈(3243)은 지그 플레이트(321)에 구비된다. 링크모듈(3243)은 후크모듈(3241)에 결합되어 후크모듈(3241)을 지지한다. 즉, 후크모듈(3241)의 회동 시 후크모듈(3241)이 안정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링크모듈(3243)은 후크모듈(3241)을 지지한다. 이 경우, 링크모듈(3243)은 후크로드(32412)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link module 3243 is provided on the jig plate 321 . The link module 3243 is coupled to the hook module 3241 to support the hook module 3241 . That is, the link module 3243 supports the hook module 3241 so that the hook module 3241 can be stably rotated when the hook module 3241 is rotated. In this case, the link module 3243 may be coupled to an end of the hook rod 32412 .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모듈(3243)은 지그 플레이트(321)에 고정 결합되는 링크브라켓(32431), 단부가 결합샤프트(32416)에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격자링크(32432), 링크브라켓(32431) 및 격자링크(32432)의 중앙을 관통하는 링크샤프트(32433)를 포함한다.Here, the link module 324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nk bracket 32431 fixedly coupled to the jig plate 321, an end coupled to the coupling shaft 32416, and a lattice link 32432 having a variable length. ), and a link shaft 32433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link bracket 32431 and the grid link 32432.

링크브라켓(32431)은 지그 플레이트(321)에 고정된다. 링크브라켓(32431)은 하부 지그 플레이트(321b)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link bracket 32431 is fixed to the jig plate 321 . The link bracket 32431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jig plate 321b.

격자링크(32432)는 단부가 결합샤프트(32416)에 결합된다. 이 경우, 한 쌍의 후크로드(32412)에 구비된 결합샤프트(32416)에 격자링크(32432)의 각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The lattice link 32432 has an end coupled to the coupling shaft 32416 . In this case, each end of the lattice link 32432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shaft 32416 provided on the pair of hook rods 32412 .

격자링크(32432)는 길이가 가변된다. 즉, 한 쌍의 가압바디(32415) 사이의 간격이 외력에 의해 벌어지는 경우, 결합샤프트(32416) 사이의 간격은 줄어들게 된다. 이 경우, 결합샤프트(32416) 사이에 구비된 격자링크(32432)는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The lattice link 32432 has a variable length. That is, when the gap between the pair of pressing bodies 32415 is widened by an external force, the gap between the coupling shafts 32416 is reduced.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grid link 32432 provided between the coupling shaft 32416 is reduced.

반대로, 한 쌍의 가압바디(32415)에 작용하는 외력이 사라져 한 쌍의 가압바디(32415)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결합샤프트(32416) 사이의 간격은 늘어나게 된다. 이 경우, 결합샤프트(32416) 사이에 구비된 격자링크(32432)는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pair of pressing bodies 32415 disappear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pressing bodies 32415 is narrowed, the interval between the coupling shafts 32416 is increased. In this case, the lattice link 32432 provided between the coupling shaft 32416 is increased in length.

링크샤프트(32433)는 링크브라켓(32431)과 격자링크(32432)를 일체로 관통한다. 이 경우, 링크샤프트(32433)는 링크브라켓(32431)과 격자링크(32432)의 중앙을 관통한다. 링크샤프트(32433)는 격자링크(32432)의 길이가 가변 시 격자링크(32432)의 중앙 위치를 고정하여, 격자링크(32432)의 중앙을 기준으로 길이가 동일하게 가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각 가압바디(32415)의 위치 변화 시 각 가압바디(32415)가 서로 동일한 범위에서 위치가 변화되도록 한다. The link shaft 32433 passes through the link bracket 32431 and the lattice link 32432 integrally. In this case, the link shaft 32433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link bracket 32431 and the grid link 32432. The link shaft 32433 fixes the central position of the grid link 32432 when the length of the grid link 32432 is variable, so that the length is equally variable based on the center of the grid link 32432 . Accordingly, when the position of each pressing body 32415 is changed, the position of each pressing body 32415 is changed in the same range.

상술한 구성요소를 기초로 넥부(SN)가 파지모듈(324)에 파지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편의상 하나의 TV스탠드(S)에 대하여만 설명하나, 모든 TV스탠드(S)에 적용될 수 있다. An operation in which the neck portion SN is gripped by the gripping module 324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For convenience, only one TV stand (S) will be described, but it may be applied to all TV stands (S).

먼저, 도 51과 같이 TV스탠드(S)가 반전되게 안착되어, 넥부(SN)가 파지모듈(324)에 접근한다. 이 경우, 탄성모듈(3242)은 결합샤프트(32416)에 인력을 제공하여, 한 쌍의 가압바디(32415)가 서로 인접되게 배치된다. First, as shown in FIG. 51 , the TV stand S is seated in an inverted manner so that the neck portion SN approaches the gripping module 324 . In this case, the elastic module 3242 provides an attractive force to the coupling shaft 32416, so that a pair of pressing bodies 32415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이후, 도 52와 같이 외력에 의해 넥부(SN)가 후크모듈(3241)에 일부 삽입된다. 이 경우, 작업자가 외력으로 넥부(SN)를 후크모듈(3241)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넥부(SN)는 한 쌍의 가압바디(32415) 사이에 접촉된다. 이 경우, 후크로드(32412)가 회동되어 결합샤프트(32416)가 스프링(32422)을 끌어당기고, 격자링크(32432)의 길이는 줄어든다. Thereafter, the neck part SN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hook module 3241 by an external force as shown in FIG. 52 . In this case, the operator may insert the neck portion SN into the hook module 3241 by external force. At this time, the neck portion (SN) is in contact between the pair of pressing bodies (32415). In this case, the hook rod 32412 is rotated so that the coupling shaft 32416 pulls the spring 32422, and the length of the lattice link 32432 is reduced.

이때, 링크브라켓(32431)과 격자링크(32432)의 중앙을 관통한 링크샤프트(32433)가 격자링크(32432)의 중앙 위치를 고정하여, 격자링크(32432)의 중앙을 기준으로 길이가 동일하게 가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각 가압바디(32415)의 위치 변화 시 각 가압바디(32415)가 서로 동일한 범위에서 위치가 변화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link shaft 32433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link bracket 32431 and the grid link 32432 fixes the central position of the grid link 32432, and the length based on the center of the grid link 32432 is the same. make it variable Accordingly, when the position of each pressing body 32415 is changed, the position of each pressing body 32415 is changed in the same range.

이후, 도 53과 같이 넥부(SN)가 후크모듈(3241)에 전부 삽입된다. 이때, 넥부(SN)는 가압바디(32415)를 통과하여 후크모듈(324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 스프링(32422)이 결합샤프트(32416)를 끌어당겨 후크로드(32412)가 회동되고, 가압바디(32415)가 넥부(SN)를 견고하게 파지한다. 이때, 격자링크(32432)의 길이가 다시 원래 길이로 늘어난다. 이에 따라, 넥부(SN)가 파지모듈(324) 삽입되어 견고하게 파지된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53 , the neck part SN is fully inserted into the hook module 3241 . At this time, the neck portion (SN)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ook module (3241) through the pressing body (32415). In this case, the spring 32422 pulls the coupling shaft 32416 to rotate the hook rod 32412 , and the pressure body 32415 firmly grips the neck portion SN.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grid link 32432 is increased back to the original length. Accordingly, the neck portion SN is inserted and firmly gripped by the gripping module 324 .

이하, 도 54 내지 6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러버 적재유닛(24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이 있는 구성요소 위주로 설명하고, 설명 또는 도시되지 않은 구성요소는 전술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및 도시된 내용으로 대체한다.Hereinafter, the rubber loading unit 2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4 to 62 . Hereinafter, components with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components not described or illustrated are replaced with descriptions and illustrated contents of the above components.

도 5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러버 적재유닛(240)의 평면도이고, 도 55는 도 54에서 사이드 프레임(2413) 및 베이스 프레임(2411)을 제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러버 적재유닛(240)의 사시도이며, 도 56은 도 55의 측면도이고, 도 57은 도 55에 도시된 핀업실린더(290)의 배치 상태도이다.54 is a plan view of the rubber loading unit 2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5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ide frame 2413 and the base frame 2411 are removed in FIG. A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loading unit 240 , FIG. 56 is a side view of FIG. 55 , and FIG. 57 is an arrangement state diagram of the pin-up cylinder 290 shown in FIG.

도 54 내지 도 5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러버 적재유닛(240)은, 외관을 형성하는 적재유닛 프레임(241), 러버(R)를 수용하는 러버 지그(232)가 구비되는 제1러버 파렛트(251), 제1러버 파렛트(251)와 교환되며 러버 지그(232)가 구비되는 제2러버 파렛트(253), 제1러버 파렛트(251)에 결합되어 제1러버 파렛트(251)를 승하강시키는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260),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260)에 결합되어,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260)을 이동시키는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 제2러버 파렛트(253)에 결합되어, 제2러버 파렛트(253)를 이동시키는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 제1러버 파렛트(251) 또는 제2러버 파렛트(253)를 지지하는 핀업실린더(290)를 포함한다.54 to 57 , the rubber loading unit 2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unit frame 241 forming an exterior, and a rubber jig 232 for accommodating the rubber (R). The provided first rubber pallet 251 and the first rubber pallet 251 are exchanged with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provided with the rubber jig 232,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coupled to the first rubber pallet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260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251, coupled to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260, and a first rodless cylinder 270 for moving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260 , a second rodless cylinder 280 coupled to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to move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the first rubber pallet 251 , or a pinup supporting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a cylinder 290 .

적재유닛 프레임(241)은 러버 적재유닛(240)의 외관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재유닛 프레임(241)은 이송방향(D)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프레임(2413) 및 사이드 프레임(2413)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24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5 및 도 56에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방향(D)이 표시되어 있다. The loading unit frame 241 forms the exterior of the rubber loading unit 240 . The loading unit frame 24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se frame 2411 supporting the side frame 2413 and the side frame 2413 dispos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D). 55 and 56, the transfer direction D is indi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제1러버 파렛트(251)에는 러버(R)를 수용하는 러버 지그(232)가 구비된다. 제1러버 파렛트(251)는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러버 지그(232)(232)는 상술한 러버 지그(232)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provided with a rubber jig 232 for accommodating the rubber (R). The first rubber pallet 251 may be formed to be flat. Since the rubber jigs 232 and 232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rubber jigs 232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러버 파렛트(253)에는 러버 지그(232)가 구비된다. 제2러버 파렛트(253)는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러버 파렛트(253)는 러버 적재유닛(240)에 제1러버 파렛트(251)와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러버 파렛트(253)는 제1러버 파렛트(251)와 교환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provided with a rubber jig 232 .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may be formed to be flat.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n the rubber loading unit 240 .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exchanged with the first rubber pallet 251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술한 것과 같이, 러버 분리유닛(220)은 러버 적재유닛(240)에 러버(R)를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시킬 수 있다. 이때, 러버 분리유닛(220)은 러버(R)를 러버 지그(232)에 적재한다. 이 경우, 러버 분리유닛(220)은 제1러버 파렛트(251) 또는 제2러버 파렛트(253)의 러버 지그(232)에 분리된 러버(R)를 적재할 수 있다. 러버 분리유닛(220)이 러버(R)를 러버 지그(232)에 적재시키는 동작은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may separately load the rubber R on the rubber loading unit 24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loads the rubber R on the rubber jig 232 . In this case,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may load the separated rubber R on the rubber jig 232 of the first rubber pallet 251 or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Since the operation of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to load the rubber R on the rubber jig 232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러버 부착유닛(310)은 상술한 것과 같이 러버 적재유닛(240)에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된 러버(R)를 흡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러버 부착유닛(310)은 제1러버 파렛트(251) 또는 제2러버 파렛트(253)의 러버 지그(232)에 적재된 러버(R)를 흡착한다. 러버 부착유닛(310)이 러버(R)를 러버 지그(232)로부터 흡착하는 동작에 대하여는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may adsorb the rubbers R individually and spaced apart from the rubber loading unit 240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dsorbs the rubber R loaded on the rubber jig 232 of the first rubber pallet 251 or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Since the operation of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dsorbing the rubber R from the rubber jig 232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260)은 제1러버 파렛트(251)에 결합된다.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260)은 제1러버 파렛트(251)를 승하강시킨다. 이 경우, 제1러버 파렛트(251)는 지면을 기준으로 승하강된다. 이하에서, 승하강은 지면을 기준으로 승강 또는 하강되는 것으로 정의한다.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260 is coupled to the first rubber pallet 251 .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260 raises and lowers the first rubber pallet 251 . In this case,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raised and lower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Hereinafter, elevating is defined as being raised or lower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는 적재유닛 프레임(241)에 구비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는 사이드 프레임(2413)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is provided in the loading unit frame 241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frame 2413 .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는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260)에 결합된다.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는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260)을 이동시킨다. 이 경우,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는 이송방향(D)으로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260)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is coupled to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260 .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moves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260 . In this case,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may move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260 in the transfer direction (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260)은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에 결합되는 실린더 지지브라켓(261), 실린더 지지브라켓(261)에 결합되는 파렛트 승하강실린더(263), 및 일측이 파렛트 승하강실린더(263)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1러버 파렛트(251)에 결합되는 파렛트 지지플레이트(265)를 포함한다.Here,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2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er support bracket 261 coupled to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and a pallet elevating/lowering coupled to the cylinder support bracket 261. The cylinder 263,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pallet elevating cylinder 263, the other side includes a pallet support plate 265 coupled to the first rubber pallet (251).

실린더 지지브라켓(261)은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에 결합된다.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는 실린더 지지브라켓(261)을 이송방향(D)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cylinder support bracket 261 is coupled to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may move the cylinder support bracket 261 in the transport direction (D).

파렛트 승하강실린더(263)는 실린더 지지브라켓(261)에 결합된다. 파렛트 승하강실린더(263)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파렛트 승하강실린더(263)는 파렛트 승하강실린더(263)에 결합된 파렛트 지지플레이트(265)를 승하강시킨다.The pallet elevating cylinder 263 is coupled to the cylinder support bracket 261 . The pallet elevating cylinder 263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The pallet elevating cylinder 263 elevates the pallet support plate 265 coupled to the pallet elevating cylinder 263 .

파렛트 지지플레이트(265)의 일측은 파렛트 승하강실린더(263)에 결합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파렛트 승하강실린더(263)는 파렛트 지지플레이트(265)를 승하강시킨다.One side of the pallet support plate 265 is coupled to the pallet elevating cylinder (263). As described above, the pallet elevating cylinder 263 elevates the pallet support plate 265 .

파렛트 지지플레이트(265)의 타측은 제1러버 파렛트(251)에 결합된다. 이 경우, 파렛트 지지플레이트(265)가 승하강되면, 제1러버 파렛트(251)가 함께 승하강된다. The other side of the pallet support plate 265 is coupled to the first rubber pallet 251 . In this case, when the pallet support plate 265 is raised and lowered,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raised and lowered together.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는 적재유닛 프레임(241)에 구비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는 사이드 프레임(2413)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is provided in the loading unit frame 241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frame 2413 .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는 제2러버 파렛트(253)에 결합된다.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는 제2러버 파렛트(253)를 이동시킨다. 이 경우,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는 이송방향(D)으로 제2러버 파렛트(253)를 이동시킬 수 있다.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is coupled to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moves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In this case,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may move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n the transfer direction (D).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와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와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 사이에 이격공간(2401)이 형성된다.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와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는 서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제1러버 파렛트(251)와 제2러버 파렛트(253)는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와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 사이의 이격공간(2401)에서 이송방향(D)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and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a separation space 2401 is formed between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and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and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are disposed horizontally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irst rubber pallet 251 and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move in the transfer direction (D) in the separation space 2401 between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and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 can be move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 또는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는 이송방향(D)으로 배치되는 로드레스 실린더 바디(271), 로드레스 실린더 바디(271)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레스 실린더 플레이트(273), 로드레스 실린더 바디(271)의 단부에 구비되어 로드레스 실린더 플레이트(273)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드레스 실린더 스토퍼(275), 및 로드레스 실린더 스토퍼(275)에 구비되어, 로드레스 실린더 플레이트(273)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로드레스 실린더 조절나사(277)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or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dless cylinder body 271 and a rodless cylinder body 271 arrang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D). ), a rodless cylinder plate 273 movably provided on the ), a rodless cylinder stopper 275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dless cylinder body 271 to prevent the rodless cylinder plate 273 from being separated, and a rodless It is provided on the cylinder stopper 275 and includes a rodless cylinder adjusting screw 277 for limiting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rodless cylinder plate 273 .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 but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

로드레스 실린더 바디(271)는 외관을 형성한다. 로드레스 실린더 바디(271)는 이송방향(D)으로 배치된다. 로드레스 실린더 바디(271)는 적재유닛 프레임(241)에 고정될 수 있다. 로드레스 실린더는 사이드 프레임(2413)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rodless cylinder body 271 forms an exterior. The rodless cylinder body 271 is dispos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D). The rodless cylinder body 271 may be fixed to the loading unit frame 241 . The rodless cylinder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side frame 2413 .

로드레스 실린더 플레이트(273)는 로드레스 실린더 바디(271)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로드레스 실린더 바디(271)가 작동회면, 로드레스 실린더 플레이트(273)가 로드레스 실린더 바디(271)로부터 이동된다. 이 경우, 로드레스 실린더 플레이트(273)는 로드레스 실린더 바디(271)에 슬라이딩될 수 있다.The rodless cylinder plate 273 is movably provided on the rodless cylinder body 271 . When the rodless cylinder body 271 is operated, the rodless cylinder plate 273 is moved from the rodless cylinder body 271 . In this case, the rodless cylinder plate 273 may slide on the rodless cylinder body 271 .

로드레스 실린더 스토퍼(275)는 로드레스 실린더 바디(271)의 단부에 구비된다. 로드레스 실린더 스토퍼(275)는 로드레스 실린더 바디(271)의 양측 단부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로드레스 실린더 스토퍼(275)는 로드레스 실린더 플레이트(273)가 로드레스 실린더 바디(271)에서 이동 중 로드레스 실린더 바디(27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rodless cylinder stopper 275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dless cylinder body 271 . The rodless cylinder stopper 275 may be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rodless cylinder body 271 . The rodless cylinder stopper 275 prevents the rodless cylinder plate 27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odless cylinder body 271 while moving in the rodless cylinder body 271 .

로드레스 실린더 조절나사(277)는 로드레스 실린더 스토퍼(275)에 구비된다. 로드레스 실린더 조절나사(277)는 로드레스 실린더 스토퍼(275)를 관통하여, 단부가 로드레스 실린더 플레이트(273) 방향으로 노출된다.The rodless cylinder adjustment screw 277 is provided in the rodless cylinder stopper 275 . The rodless cylinder adjusting screw 277 passes through the rodless cylinder stopper 275 and the end is ex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rodless cylinder plate 273 .

로드레스 실린더 스토퍼(275)를 관통한 로드레스 실린더 조절나사(277)의 단부는 로드레스 실린더 플레이트(273)가 로드레스 실린더 스토퍼(275)에 접촉되기 전에 먼저 접촉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로드레스 실린더 조절나사(277)의 단부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로드레스 실린더 플레이트(273) 방향으로 인입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The end of the rodless cylinder adjustment screw 277 passing through the rodless cylinder stopper 275 is disposed to contact the rodless cylinder plate 273 before the rodless cylinder stopper 275 comes into contact. In this case, the end of the rodless cylinder adjusting screw 277 may be drawn in or ou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dless cylinder plate 273 by a user's manipulation or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로드레스 실린더 조절나사(277)는 로드레스 실린더 플레이트(273)의 이동거리를 제한한다. 즉, 로드레스 실린더 플레이트(273)가 로드레스 실린더 스토퍼(275) 사이에서 이동될 때, 로드레스 실린더 플레이트(273)가 로드레스 실린더 조절나사(277)의 단부에 접촉되어 정지되므로, 로드레스 실린더 플레이트(273)의 이동거리가 제한된다. The rodless cylinder adjusting screw 277 limits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rodless cylinder plate 273 . That is, when the rodless cylinder plate 273 is moved between the rodless cylinder stoppers 275, the rodless cylinder plate 27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rodless cylinder adjusting screw 277 and stops, so that the rodless cylinder plate 273 is stoppe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plate 273 is limited.

핀업실린더(290)는 적재유닛 프레임(241)에 구비될 수 있다. 핀업실린더(290)은 이격공간(2401)에 배치될 수 있다. 핀업실린더(29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핀업실린더(290)는 제1러버 파렛트(251) 또는 제2러버 파렛트(253)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pin-up cylinder 290 may be provided on the loading unit frame 241 . The pin-up cylinder 290 may be disposed in the separation space 2401 . A plurality of pin-up cylinders 290 may be provided. The pin-up cylinder 290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rubber pallet 251 or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핀업실린더(290)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1러버 파렛트(251) 또는 제2러버 파렛트(253)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핀업실린더(290)는 제1러버 파렛트(251)의 하면 또는 제2러버 파렛트(253)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The pin-up cylinder 290 may support the first rubber pallet 251 or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pin-up cylinder 290 may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rubber pallet 251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업실린더(290)는 제1러버 파렛트(251)의 하부 또는 제2러버 파렛트(253)의 하부에 배치되는 핀업헤드(291), 및 핀업헤드(291)가 구비되어 핀업헤드(291)를 승하강시키는 핀업실린더 바디(293)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핀업실린더(290)에 대하여 설명하나 나머지 핀업실린더(29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Here, the pin-up cylinder 2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n-up head 291 disposed under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rubber pallet 251 or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and the pin-up head 291. is provided and includes a pin-up cylinder body 293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pin-up head 291 . Hereinafter, one pin-up cylinder 290 will be described, but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remaining pin-up cylinders 290 .

핀업실린더 바디(293)는 적재유닛 프레임(241)에 구비될 수 있다. 핀업실린더 바디(293)에는 핀업헤드(291)가 구비된다. 핀업실린더 바디(293)는 핀업헤드(291)를 승하강시킨다. 이 경우, 핀업실린더 바디(293)는 유압으로 핀업헤드(291)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The pin-up cylinder body 293 may be provided on the loading unit frame 241 . A pin-up head 291 is provided on the pin-up cylinder body 293 . The pin-up cylinder body 293 elevates the pin-up head 291 . In this case, the pin-up cylinder body 293 may raise and lower the pin-up head 291 by hydraulic pressure.

핀업헤드(291)는 핀업실린더 바디(293)에 구비된다. 핀업헤드(291)는 제1러버 파렛트(251) 또는 제2러버 파렛트(253)의 하부에 배치된다. 핀업헤드(291)는 핀업실린더 바디(293)에 유압이 인가되면 승하강된다. 핀업헤드(291)가 승강되는 경우, 핀업헤드(291)는 제1러버 파렛트(251) 또는 제2러버 파렛트(253)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업실린더(290)가 제1러버 파렛트(251) 또는 제2러버 파렛트(253)를 지지하게 된다.The pin-up head 291 is provided in the pin-up cylinder body 293 . The pin-up head 291 is disposed under the first rubber pallet 251 or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The pin-up head 291 is raised and lowered when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pin-up cylinder body 293 . When the pin-up head 291 is raised or lowered, the pin-up head 291 may support the first rubber pallet 251 or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Accordingly, the pin-up cylinder 290 supports the first rubber pallet 251 or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여기서, 제1러버 파렛트(251)는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에 인접한 테두리에 제1핀홀(251a)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핀홀(251a)이 형성된 제1러버 파렛트(251)의 테두리는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의 수직방향에 위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직방향으로 가장 먼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핀업헤드(291)가 승강하면 핀업헤드(291)는 제1핀홀(251a)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업헤드(291)가 제1러버 파렛트(251)를 지지할 수 있다.Here, the first rubber pallet 251 may be formed by opening a first pinhole 251a at an edge adjacent to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 The edge of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n which the first pinhole 251a is formed may be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and preferably, it may be positioned at the farthest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when the pin-up head 291 moves up and down, the pin-up head 29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in hole 251a. Accordingly, the pin-up head 291 may support the first rubber pallet 251 .

제2러버 파렛트(253)는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에 인접한 테두리에 제2핀홀(253a)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핀홀(253a)이 형성된 제2러버 파렛트(253)의 테두리는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의 수직방향에 위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직방향으로 가장 먼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핀업헤드(291)가 승강하면 핀업헤드(291)는 제2핀홀(253a)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업헤드(291)가 제2러버 파렛트(253)를 지지할 수 있다.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may be formed by opening a second pinhole 253a at an edge adjacent to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 The rim of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on which the second pinhole 253a is formed may be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and preferably, it may be positioned furthes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when the pin-up head 291 moves up and down, the pin-up head 291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in hole 253a. Accordingly, the pin-up head 291 may support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여기서, 도 5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업실린더(290)는 전방에 배치되고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핀업실린더(290a), 전방에 배치되고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핀업실린더(290b), 후방에 배치되고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핀업실린더(290c), 및 후방에 배치되고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4핀업실린더(290d)를 포함한다.Here, referring to FIG. 57 , the pin-up cylinder 2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front and 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disposed in the front and a second pin-up cylinder 290b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a third pin-up cylinder 290c disposed at the rear and adjacent to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and at the rear and a fourth pin-up cylinder 290d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

제1핀업실린더(290a)는 전방에 배치된다. 이때, 전방은 이송방향(D)의 전방을 가리키는 것으로, 후방은 이송방향(D)의 후방을 가리키는 것으로 정의한다.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is disposed in the front. At this time, the front is defined as pointing to the front of the transport direction (D), and the rear is defined as pointing to the rear of the transport direction (D).

제1핀업실린더(290a)는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와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 사이에 배치된다. 제1핀업실린더(290a)와 동일하게, 제2핀업실린더(290b) 내지 제4핀업실린더(290d)는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와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제1핀업실린더(290a)는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and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the second pin-up cylinder 290b to the fourth pin-up cylinder 290d are described as being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and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do. Here, 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

제1핀업실린더(290a)는 한 쌍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5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핀업실린더(290a)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핀업실린더(290)로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2핀업실린더(290b) 내지 제4핀업실린더(290d)도 제1핀업실린더(290a)와 동일하게 한 쌍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2핀업실린더(290b)는 전방에 배치되고,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3핀업실린더(290c)는 후방에 배치되고,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4핀업실린더(290d)는 후방에 배치되고,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may be implemented as a pair. 57, 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may be implemented as two pin-up cylinders 290 facing each other.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second pin-up cylinder 290b to the fourth pin-up cylinder 290d are also implemented as a pair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In addition, the second pin-up cylinder 290b is disposed in the front,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 The third pin-up cylinder 290c is disposed at the rear and adjacent to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 The fourth pin-up cylinder 290d is disposed at the rear and adjacent to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

여기서, 제1핀업실린더(290a)와 제3핀업실린더(290c)는 승하강 시 동시에 승하강될 수 있다. 즉, 제1핀업실린더(290a)가 승강할 때 제3핀업실린더(290c)도 승강하고, 제1핀업실린더(290a)가 하강할 때 제3핀업실린더(290c)도 하강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and the third pin-up cylinder 290c may be raised and lowered at the same time when 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and the third pin-up cylinder 290c are raised and lowered. That is, when 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moves up and down, the third pin-up cylinder 290c also moves up and down, and when 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moves down, the third pin-up cylinder 290c also moves down.

또한, 제2핀업실린더(290b)와 제4핀업실린더(290d)는 승하강 시 동시에 승하강될 수 있다. 즉, 제2핀업실린더(290b)가 승강할 때 제4핀업실린더(290d)도 승강하고, 제2핀업실린더(290b)가 하강할 때 제4핀업실린더(290d)도 하강할 수 있다. Also, the second pin-up cylinder 290b and the fourth pin-up cylinder 290d may be raised and lowered at the same time when the second pin-up cylinder 290b and the fourth pin-up cylinder 290d are raised and lowered. That is, when the second pin-up cylinder 290b moves up and down, the fourth pin-up cylinder 290d also moves up and down, and when the second pin-up cylinder 290b moves down, the fourth pin-up cylinder 290d also moves down.

한편, 제1핀업실린더(290a)가 승강 시 제2핀업실린더(290b)는 별도의 동작을 하지 않고 그대로 존치된다. 이에 따라, 제1핀업실린더(290a)가 승강 시, 제2핀업실린더(290b)는 존치, 제3핀업실린더(290c)는 승강, 제4핀업실린더(290d)는 존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is raised and lowered, the second pin-up cylinder 290b is maintained as it is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Accordingly, when 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is lifted, the second pin-up cylinder 290b may remain, the third pin-up cylinder 290c may be lifted, and the fourth pin-up cylinder 290d may remain.

마찬가지로, 제2핀업실린더(290b)가 승강 시 제1핀업실린더(290a)는 별도의 동작을 하지 않고 그대로 존치된다. 이에 따라, 제2핀업실린더(290b)가 승강 시, 제3핀업실린더(290c)는 존치, 제4핀업실린더(290d)는 승강, 제1핀업실린더(290a)는 존치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second pin-up cylinder 290b moves up and down, 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remains as it is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Accordingly, when the second pin-up cylinder 290b is raised and lowered, the third pin-up cylinder 290c may remain, the fourth pin-up cylinder 290d may be raised and lowered, and 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may remain.

나머지, 제3핀업실린더(290c) 및 제4핀업실린더(290d)도 동일하게 작동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rest, the third pin-up cylinder 290c and the fourth pin-up cylinder 290d also operate in the same manner,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 도 58 내지 도 63을 참조하여, 제1러버 파렛트(251) 및 제2러버 파렛트(253)에 러버(R)가 적재되기 위해 수평하게 배치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in which the rubber R is horizontally arranged to be loaded on the first rubber pallet 251 and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8 to 63 .

도 58 내지 도 60은 제1러버 파렛트(251)에 러버(R)가 적재되기 위해 제1러버 파렛트(251)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동작도이고, 도 61 내지 63는 제2러버 파렛트(253)에 러버(R)가 적재되기 위해 제2러버 파렛트(253)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동작도이다.58 to 60 are operation views in which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horizontally arranged in order to load the rubber R on the first rubber pallet 251, and FIGS. 61 to 63 are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t is an operation diagram in which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horizontally arranged to be loaded with the rubber R.

상술한 것과 같이 러버 분리유닛(220)은 러버(R) 벨트로부터 러버(R)를 분리한 후 러버 적재유닛(240)에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시킨다. 이때, 러버 분리유닛(220)은 분리된 러버(R)를 제1러버 파렛트(251) 또는 제2러버 파렛트(253)의 러버 지그(232)에 러버(R)를 적재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separates the rubber (R) from the rubber (R) belt and then separately loads it on the rubber loading unit 240 . At this time,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loads the separated rubber R on the rubber jig 232 of the first rubber pallet 251 or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도 58 내지 도 60을 참조하여, 러버 분리유닛(220)이 제1러버 파렛트(251)에 러버(R)를 적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A case in which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loads the rubber R on the first rubber pallet 25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8 to 60 .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는 도 58과 같이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260)을 이동시킨다. 이 경우, 제1러버 파렛트(251)는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26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된다.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moves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260 as shown in FIG. 58 . In this case,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moved rearward together with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260 .

러버(R)가 제1러버 파렛트(251)의 러버 지그(232)에 적재될 때 러버 분리유닛(220)이 러버(R)를 러버 지그(232)에 안정적으로 적재하려면, 제1러버 파렛트(251)가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제1러버 파렛트(251)의 일측은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260)에 의해 지지되는데, 제1러버 파렛트(251)의 타측이 지지되지 않아 자중에 의해 지면으로 처질 수 있다.When the rubber (R) is loaded on the rubber jig 232 of the first rubber pallet 251,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stably loads the rubber (R) on the rubber jig 232, the first rubber pallet ( 251) should be placed horizontally to the ground. Here, one side of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supported by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260 , bu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not supported and may droop to the ground by its own weight.

이때, 도 59 및 도 60과 같이, 제1러버 파렛트(251)는 하강하고 제4핀업실린더(290d)는 승강한다. 제1러버 파렛트(251)는 러버 분리유닛(220)이 러버 지그(232)에 러버(R)를 적재할 수 있도록 하강되고, 제1러버 파렛트(251)의 하부에 배치된 제4핀업실린더(290d)는 승강하여 제1러버 파렛트(251)를 지지한다. 제4핀업실린더(290d)는 도 60과 같이 제1러버 파렛트(251)의 지지되지 않은 타측을 지지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59 and 60 , the first rubber pallet 251 descends and the fourth pin-up cylinder 290d moves up and down.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lowered so that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can load the rubber R on the rubber jig 232, and a fourth pin-up cylinder disposed under the first rubber pallet 251 ( 290d) lifts and supports the first rubber pallet 251. The fourth pin-up cylinder 290d supports the other unsupported side of the first rubber pallet 251 as shown in FIG. 60 .

이에 따라, 제1러버 파렛트(251)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러버 분리유닛(220)이 러버(R)를 적재하기 위해 러버 지그(232)에 접촉될 때, 제4핀업실린더(290d)가 제1러버 파렛트(251)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해준다. Accordingly, the first rubber pallet 251 can be arranged horizontally. In addition, when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ubber jig 232 to load the rubber R, the fourth pin-up cylinder 290d supports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n the upward direction.

이 경우, 제4핀업실린더(290d)의 핀업헤드(291)는 제1핀홀(251a)에 결합될 수 있다. 제1핀홀(251a)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의 수직방향에 위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직방향으로 가장 먼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승강된 핀업헤드(291)는 제1핀홀(251a)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러버 파렛트(251)의 처짐이 방지된다. In this case, the pinup head 291 of the fourth pinup cylinder 290d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inhole 251a.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inhole 251a may be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and preferably may be located at the furthest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lifted pinup head 29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inhole 251a. Accordingly, sagging of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prevented.

한편, 도 61을 참조하여, 러버 분리유닛(220)이 제2러버 파렛트(253)에 러버(R)를 적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 61 , a case in which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loads the rubber R on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will be described.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는 도 61과 같이 제2러버 파렛트(253)를 이동시킨다. 이 경우, 제2러버 파렛트(253)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moves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as shown in FIG. 61 . In this case,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moved rearward.

제1러버 파렛트(251)와 마찬가지로, 러버(R)가 제2러버 파렛트(253)의 러버 지그(232)에 적재될 때 러버 분리유닛(220)이 러버(R)를 러버 지그(232)에 안정적으로 적재하려면 제2러버 파렛트(253)가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제2러버 파렛트(253)의 일측은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에 의해 지지되는데, 제2러버 파렛트(253)의 타측이 지지되지 않아 자중에 의해 지면으로 처질 수 있다.Like the first rubber pallet 251 , when the rubber R is loaded on the rubber jig 232 of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attaches the rubber R to the rubber jig 232 . In order to be loaded stably,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should be horizont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Here, one side of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supported by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bu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not supported, so it may droop to the ground by its own weight.

이때, 도 62 및 도 63과 같이, 제3핀업실린더(290c)가 승강한다. 제3핀업실린더(290c)는 도 63과 같이 제2러버 파렛트(253)의 지지되지 않은 타측을 지지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62 and 63, the third pin-up cylinder 290c moves up and down. The third pin-up cylinder 290c supports the other unsupported side of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as shown in FIG. 63 .

이에 따라, 제1러버 파렛트(251)와 마찬가지로, 제2러버 파렛트(253)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핀업실린더(290d)가 제2러버 파렛트(253)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해준다. Accordingly, like the first rubber pallet 251 ,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can be horizontally arranged. In addition, the third pin-up cylinder 290d supports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n the upward direction.

이 경우, 제3핀업실린더(290c)의 핀업헤드(291)는 제2핀홀(253a)에 결합될 수 있다. 제2핀홀(253a)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의 수직방향에 위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직방향으로 가장 먼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승강된 핀업헤드(291)는 제2핀홀(253a)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러버 파렛트(253)의 처짐이 방지된다. In this case, the pinup head 291 of the third pinup cylinder 290c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inhole 253a.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inhole 253a may be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and preferably may be located at the farthest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lifted pinup head 291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inhole 253a. Accordingly, sagging of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prevented.

이하에서, 도 64 내지 도 67을 참조하여, 제1러버 파렛트(251) 및 제2러버 파렛트(253)로부터 러버(R)가 흡착되기 위해 수평하게 배치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in which the rubber R is horizontally arranged to be adsorbed from the first rubber pallet 251 and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4 to 67 .

도 64 내지 도 65는 제1러버 파렛트(251)로부터 러버(R)가 흡착되기 위해 제1러버 파렛트(251)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동작도이고, 도 66 내지 도 67은 제2러버 파렛트(253)로부터 러버(R)가 흡착되기 위해 제2러버 파렛트(253)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동작도이다.64 to 65 are operation views in which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horizontally arranged in order for the rubber R to be adsorbed from the first rubber pallet 251, and FIGS. 66 to 67 are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is an operation diagram in which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horizontally arranged in order for the rubber R to be adsorbed from it.

상술한 것과 같이 러버 부착유닛(310)은 러버 적재유닛(240)에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된 러버(R)를 흡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러버 부착유닛(310)은 제1러버 파렛트(251) 또는 제2러버 파렛트(253)의 러버 지그(232)에 적재된 러버(R)를 흡착한다. 이때, 러버 부착유닛(310)은 제1러버 파렛트(251) 또는 제2러버 파렛트(253)로부터 러버(R)를 흡착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rubber attaching unit 310 may adsorb the rubber R individually and spaced apart from the rubber loading unit 240 . In this case,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dsorbs the rubber R loaded on the rubber jig 232 of the first rubber pallet 251 or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At this time,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dsorbs the rubber R from the first rubber pallet 251 or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도 64 내지 도 65를 참조하여, 러버 부착유닛(310)이 제1러버 파렛트(251)로부터 러버(R)를 흡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A case in which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dsorbs the rubber R from the first rubber pallet 25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4 to 65 .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는 도 64와 같이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260)을 이동시킨다. 이 경우, 제1러버 파렛트(251)는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26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된다.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moves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260 as shown in FIG. 64 . In this case,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moved forward together with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260 .

러버(R)가 제1러버 파렛트(251)의 러버 지그(232)로부터 흡착될 때, 러버 부착유닛(310)이 러버(R)를 러버 지그(232)로부터 안정적으로 흡착하려면 적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러버 파렛트(251)가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제1러버 파렛트(251)의 일측은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260)에 의해 지지되는데, 제1러버 파렛트(251)의 타측이 지지되지 않아 자중에 의해 지면으로 처질 수 있다.When the rubber R is adsorbed from the rubber jig 232 of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n order for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to stably adsorb the rubber R from the rubber jig 232, as in the case of loading The first rubber pallet 251 should be arrang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Here, one side of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supported by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260 , bu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not supported and may droop to the ground by its own weight.

이때, 도 65와 같이, 제1러버 파렛트(251)는 하강하고 제1핀업실린더(290a)는 승강한다. 제1러버 파렛트(251)는 러버 부착유닛(310)이 러버 지그(232)로부터 러버(R)를 흡착할 수 있도록 하강되고, 제1러버 파렛트(251)의 하부에 배치된 제1핀업실린더(290a)는 승강하여 제1러버 파렛트(251)를 지지한다. 제1핀업실린더(290a)는 도 58(c)와 마찬가지로 제1러버 파렛트(251)의 지지되지 않은 타측을 지지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5 , the first rubber pallet 251 descends and 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ascends and descends.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lowered so that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can adsorb the rubber R from the rubber jig 232, and a first pin-up cylinder disposed under the first rubber pallet 251 ( 290a) is raised and lowered to support the first rubber pallet 251. 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supports the other unsupported side of the first rubber pallet 251 as in FIG. 58(c).

이에 따라, 제1러버 파렛트(251)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러버 부착유닛(310)이 러버(R)를 흡착하기 위해 러버 지그(232)에 접촉될 때, 제1핀업실린더(290a)가 제1러버 파렛트(251)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해준다.Accordingly, the first rubber pallet 251 can be arranged horizontally. In addition, when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is in contact with the rubber jig 232 to adsorb the rubber R, 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supports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n the upward direction.

이 경우, 제1핀업실린더(290a)의 핀업헤드(291)는 제1핀홀(251a)에 결합될 수 있다. 제1핀홀(251a)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의 수직방향에 위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직방향으로 가장 먼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승강된 핀업헤드(291)는 제1핀홀(251a)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러버 파렛트(251)의 처짐이 방지된다. In this case, the pinup head 291 of 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inhole 251a.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inhole 251a may be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and preferably may be located at the furthest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lifted pinup head 29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inhole 251a. Accordingly, sagging of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prevented.

한편, 도 66 내지 도 67을 참조하여, 러버 부착유닛(310)이 제2러버 파렛트(253)로부터 러버(R)를 흡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Meanwhile, a case in which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adsorbs the rubber R from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6 to 67 .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는 도 66과 같이 제2러버 파렛트(253)를 이동시킨다. 이 경우, 제2러버 파렛트(253)는 전방으로 이동된다.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moves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as shown in FIG. 66 . In this case,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moved forward.

제1러버 파렛트(251)와 마찬가지로, 러버(R)가 제2러버 파렛트(253)의 러버 지그(232)로부터 흡착될 때 러버 부착유닛(310)이 러버(R)를 러버 지그(232)로부터 안정적으로 흡착하려면, 제2러버 파렛트(253)가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제2러버 파렛트(253)의 일측은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에 의해 지지되는데, 제2러버 파렛트(253)의 타측이 지지되지 않아 자중에 의해 지면으로 처질 수 있다.Like the first rubber pallet 251 , when the rubber R is adsorbed from the rubber jig 232 of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removes the rubber R from the rubber jig 232 . In order to be adsorbed stably,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should be horizont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Here, one side of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supported by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bu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not supported, so it may droop to the ground by its own weight.

이때, 도 67과 같이, 제2핀업실린더(290b)가 승강한다. 제2핀업실린더(290b)는 도 63과 마찬가지로 제2러버 파렛트(253)의 지지되지 않은 타측을 지지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7, the second pin-up cylinder 290b moves up and down. The second pin-up cylinder 290b supports the other unsupported side of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as in FIG. 63 .

이에 따라, 제1러버 파렛트(251)와 마찬가지로, 제2러버 파렛트(253)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러버 부착유닛(310)이 러버(R)를 흡착하기 위해 러버 지그(232)에 접촉될 때, 제2핀업실린더(290b)가 제2러버 파렛트(253)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해준다.Accordingly, like the first rubber pallet 251 ,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can be horizontally arranged. In addition, when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is in contact with the rubber jig 232 to adsorb the rubber R, the second pin-up cylinder 290b supports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n the upward direction.

이 경우, 제2핀업실린더(290b)의 핀업헤드(291)는 제2핀홀(253a)에 결합될 수 있다. 제2핀홀(253a)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의 수직방향에 위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직방향으로 가장 먼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승강된 핀업헤드(291)는 제2핀홀(253a)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러버 파렛트(253)의 처짐이 방지된다. In this case, the pinup head 291 of the second pinup cylinder 290b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inhole 253a.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inhole 253a may be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and preferably may be located at the farthest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lifted pinup head 291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inhole 253a. Accordingly, sagging of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prevented.

이하에서, 도 68 내지 도 70을 참조하여, 제1러버 파렛트(251)와 제2러버 파렛트(253)가 교환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in which the first rubber pallet 251 and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are exchang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8 to 70 .

도 68 내지 도 70은 제1러버 파렛트(251)와 제2러버 파렛트(253)가 서로 교환되는 동작도이다. 68 to 70 are operation diagrams in which the first rubber pallet 251 and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are exchanged with each other.

도 68 내지 도 7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러버 파렛트(251)는 제2러버 파렛트(253)와 교환된다. 이 경우, 제1러버 파렛트(251)는 승강한 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제2러버 파렛트(253)는 제1러버 파렛트(251)가 승강하기 전의 위치로 이동된다. 68 to 70 , the first rubber pallet 25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hanged with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In this case,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after moving up and down, and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moved to a position before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moved up and down.

제1러버 파렛트(251)가 후방에 위치되고, 제2러버 파렛트(253)가 전방에 위치된 경우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제1러버 파렛트(251)는 러버(R)의 적재가 완료되고, 제2러버 파렛트(253)는 러버(R)의 흡착이 완료된 상태로 가정하여 설명한다.A case in which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located at the rear and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located at the fro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loading of the rubber R is completed on the first rubber pallet 251 and the adsorption of the rubber R is completed on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도 68과 같이, 제1러버 파렛트(251)는 후방에 위치된다. 제1러버 파렛트(251)에 러버(R)의 적재가 완료된다. 러버(R)의 적재가 완료되면,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260)이 작동하여, 제1러버 파렛트(251)를 승강시켜, 제1러버 파렛트(251)가 승강한다. 이때, 제4핀업실린더(290d)는 하강한다. 이 경우, 제1핀홀(251a)로부터 핀업헤드(291)가 이탈된다. 68,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located at the rear. The loading of the rubber R on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completed. When the loading of the rubber R is completed,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260 operates to elevate the first rubber pallet 251, thereby elevating the first rubber pallet 251. At this time, the fourth pin-up cylinder 290d descends. In this case, the pinup head 291 is separated from the first pinhole 251a.

제2러버 파렛트(253)는 전방에 위치된다. 제2러버 파렛트(253)는 러버 분리유닛(220)에 의해 러버(R)의 흡착이 완료된다. 러버(R)의 흡착이 완료되면, 제2핀업실린더(290b)가 하강한다. 이 경우, 제2핀홀(253a)로부터 핀업헤드(291)가 이탈된다. 이때, 제2핀업실린더(290b)와 제4핀업실린더(290d)는 상술한 것과 같이 동시에 하강할 수 있다.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located in the front. The adsorption of the rubber R is completed on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by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 When the adsorption of the rubber R is completed, the second pin-up cylinder 290b descends. In this case, the pinup head 291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pinhole 253a. At this time, the second pin-up cylinder 290b and the fourth pin-up cylinder 290d may descend 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above.

이후, 도 69와 같이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 및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가 작동한다. 제1로드레스 실린더(270)는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26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러버 파렛트(251)는 승강 후 전방으로 이동된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69 ,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and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operate. The first rodless cylinder 270 moves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260 forward. Accordingly,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moved forward after lifting.

제2로드레스 실린더(280)는 제2러버 파렛트(253)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제2러버 파렛트(253)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러버 파렛트(253)는 제1러버 파렛트(251)가 승강하기 전의 위치로 이동된다. 이 경우, 제1러버 파렛트(251)가 승강되어 있으므로, 제1러버 파렛트(251)와 제2러버 파렛트(253)가 충돌하지 않고 위치가 서로 교환될 수 있게 된다. The second rodless cylinder 280 moves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rearward.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moved rearward. At this time,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moved to a position before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lifted.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raised and lowered, the positions of the first rubber pallet 251 and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do not collide and can be exchanged.

이후, 도 70과 같이 제1러버 파렛트(251)가 하강한다.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260)이 작동하여, 제1러버 파렛트(251)를 하강시킨다. 이때, 제1핀업실린더(290a)는 승강하여 제1러버 파렛트(251)를 지지한다. 이 경우, 러버 부착유닛(310)이 제1러버 파렛트(251)에 적재된 러버 지그(232)를 안정적으로 흡착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the first rubber pallet 251 descends as shown in FIG. 70 .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260 operates to lower the first rubber pallet 251 . At this time, 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is raised and lowered to support the first rubber pallet 251 . In this case, the rubber attachment unit 310 can stably adsorb the rubber jig 232 loaded on the first rubber pallet 251 .

제2러버 파렛트(253)는 후방에 위치된다. 이때, 제3핀업실린더(290c)가 승강하여 제2러버 파렛트(253)를 지지한다. 이 경우, 러버 분리유닛(220)이 제2러버 파렛트(253)에 러버(R)를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핀업실린더(290a)와 제3핀업실린더(290c)는 상술한 것과 같이 동시에 승강할 수 있다.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located at the rear. At this time, the third pin-up cylinder 290c moves up and down to support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In this case, the rubber separation unit 220 can stably load the rubber R on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 At this time, the first pin-up cylinder 290a and the third pin-up cylinder 290c may be simultaneously raised and lowered as described above.

이에 따라, 제2러버 파렛트(253)가 전방에 위치되고 제1러버 파렛트(251)가 후방에 위치되므로, 제1러버 파렛트(251)가 전방에 위치되고 제2러버 파렛트(253)가 후방에 위치된 초기 위치에서 서로 위치가 교환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located in the front and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located in the rear,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located in the front and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located in the rear Positions may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at the initially located positions.

이상의 동작을 역순으로 하여, 러버(R)의 흡착이 완료된 제1러버 파렛트(251)가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고, 러버(R)의 적재가 완료된 제2러버 파렛트(253)가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여, 연속적으로 러버(R)의 적재 및 흡착이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찬가지로, 제1러버 파렛트(251)는 승강한 후 후방으로 이동되고, 제2러버 파렛트(253)는 제1러버 파렛트(251)가 승강하기 전의 위치로 이동되어, 연속적으로 러버(R)의 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By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s in the reverse order, the first rubber pallet 251 on which the adsorption of the rubber R is completed moves to the rear again, and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on which the loading of the rubber R is completed moves forward again. , the loading and adsorption of the rubber (R) may proceed continuously. In this case, similarly,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moved to the rear after lifting, and the second rubber pallet 253 is moved to the position before the first rubber pallet 251 is raised and lowered, and the rubber R ) can be transferred.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 러버 벨트 로딩부 20 : 러버 분리부
30 : 러버 부착부 R : 러버
10: rubber belt loading part 20: rubber separation part
30: rubber attachment part R: rubber

Claims (10)

러버 벨트 로딩부로부터 상기 러버 벨트를 이송받는 러버 이송유닛; 상기 러버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러버 벨트에서 상기 복수개의 러버를 개별적으로 분리하는 러버 분리유닛; 및 상기 러버 분리유닛에서 분리된 상기 러버를 상기 러버 분리유닛이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적재시키는 러버 적재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러버 적재유닛은, 상기 러버를 수용하는 러버 지그가 구비되는 제1러버 파렛트; 상기 제1러버 파렛트와 교환되며, 상기 러버 지그가 구비되는 제2러버 파렛트; 상기 제1러버 파렛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러버 파렛트를 승하강시키는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 상기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을 이동시키는 제1로드레스 실린더; 상기 제2러버 파렛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2러버 파렛트를 이동시키는 제2로드레스 실린더; 및 상기 제1러버 파렛트 또는 상기 제2러버 파렛트를 지지하는 핀업실린더; 를 포함하는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
a rubber conveying unit receiving the rubber belt from the rubber belt loading unit; a rubber separation unit for individually separating the plurality of rubbers from the rubber belt transferred from the rubber transfer unit; and a rubber loading unit for loading the rubber separated from the rubber separation unit so that the rubber separation uni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cluding,
The rubber loading unit may include: a first rubber pallet provided with a rubber jig for accommodating the rubber; a second rubber pallet exchanged with the first rubber pallet and provided with the rubber jig; a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coupled to the first rubber pallet to elevate the first rubber pallet; a first loadless cylinder coupled to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to move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a second rodless cylinder coupled to the second rubber pallet to move the second rubber pallet; and a pin-up cylinder supporting the first rubber pallet or the second rubber pallet. Automatic rubber attachment device for TV stand includ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업실린더는,
상기 제1러버 파렛트의 하부 또는 상기 제2러버 파렛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핀업헤드; 및
상기 핀업헤드가 구비되고 상기 핀업헤드를 승하강시키는 핀업실린더 바디;
를 포함하는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in-up cylinder is
a pin-up head disposed under the first rubber pallet or under the second rubber pallet; and
a pin-up cylinder body having the pin-up head and elevating the pin-up head;
Automatic rubber attachment device for TV stand includ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러버 파렛트는 상기 제2로드레스 실린더에 인접한 테두리에 제1핀홀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러버 파렛트는 상기 제1로드레스 실린더에 인접한 테두리에 제2핀홀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ubber pallet is formed by opening a first pinhole at an edge adjacent to the second rodless cylinder,
The second rubber pallet is an automatic rubber attachment device for a TV stand in which a second pin hole is opened at an edge adjacent to the first rodless cylin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러버 파렛트 업다운모듈은,
상기 제1로드레스 실린더에 결합되는 실린더 지지브라켓;
상기 실린더 지지브라켓에 결합되는 파렛트 승하강실린더; 및
일측이 상기 파렛트 승하강실린더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러버 파렛트에 결합되는 파렛트 지지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ubber pallet up-down module,
a cylinder support bracket coupled to the first rodless cylinder;
a pallet elevating cylinder coupled to the cylinder support bracket; and
a pallet support plate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pallet elevating cylinder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first rubber pallet;
Automatic rubber attachment device for TV stand includ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업실린더는,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로드레스 실린더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핀업실린더;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로드레스 실린더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핀업실린더;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로드레스 실린더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핀업실린더; 및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로드레스 실린더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4핀업실린더;
를 포함하는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in-up cylinder is
a first pin-up cylinder disposed in front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rodless cylinder;
a second pin-up cylinder disposed in front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rodless cylinder;
a third pin-up cylinder disposed at the rear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rodless cylinder; and
a fourth pin-up cylinder disposed at the rear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rodless cylinder;
Automatic rubber attachment device for TV stand includ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가 상기 제1러버 파렛트의 상기 러버 지그에 적재될 때, 상기 제1러버 파렛트는 하강하고 상기 제4핀업실린더는 승강하여 상기 제1러버 파렛트를 지지하는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rubber is loaded on the rubber jig of the first rubber pallet, the first rubber pallet is lowered and the fourth pin-up cylinder is raised and lowered to support the first rubber palle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가 상기 제2러버 파렛트의 상기 러버 지그에 적재될 때, 상기 제3핀업실린더는 승강하여 상기 제2러버 파렛트를 지지하는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rubber is loaded on the rubber jig of the second rubber pallet, the third pin-up cylinder is raised and lowered to support the second rubber palle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가 상기 제1러버 파렛트의 상기 러버 지그로부터 흡착될 때, 상기 제1러버 파렛트는 하강하고 상기 제1핀업실린더는 승강하여 상기 제1러버 파렛트를 지지하는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rubber is adsorbed from the rubber jig of the first rubber pallet, the first rubber pallet descends and the first pin-up cylinder ascends and descends to support the first rubber palle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가 상기 제2러버 파렛트의 상기 러버 지그로부터 흡착될 때, 상기 제2핀업실린더는 승강하여 상기 제2러버 파렛트를 지지하는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rubber is adsorbed from the rubber jig of the second rubber pallet, the second pin-up cylinder is raised and lowered to support the second rubber palle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러버 파렛트는 승강한 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러버 파렛트는 상기 제1러버 파렛트가 승강하기 전의 위치로 이동되는 TV스탠드용 러버 자동부착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rubber pallet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after ascending and descending,
The second rubber pallet is an automatic rubber attachment device for a TV stand that is moved to a position before the first rubber pallet is lifted.
KR1020190151080A 2019-11-22 2019-11-22 apparatus for auto attaching rubber of TV stand KR1022710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080A KR102271032B1 (en) 2019-11-22 2019-11-22 apparatus for auto attaching rubber of TV 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080A KR102271032B1 (en) 2019-11-22 2019-11-22 apparatus for auto attaching rubber of TV st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880A KR20210062880A (en) 2021-06-01
KR102271032B1 true KR102271032B1 (en) 2021-06-30

Family

ID=7637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080A KR102271032B1 (en) 2019-11-22 2019-11-22 apparatus for auto attaching rubber of TV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03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611B1 (en) 2012-10-23 2014-02-11 한용현 Apparatus for exchanging wafer tray and the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234B1 (en) * 2011-12-26 2017-08-07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Tray exchanging modul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611B1 (en) 2012-10-23 2014-02-11 한용현 Apparatus for exchanging wafer tray and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880A (en)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7078B2 (en) Test tube labeling unit and test tube prepar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4999771B (en) Full-automatic jacking attaching device
CN107527847B (en) Automatic diaphragm assembling equipment
JP2007000940A (en) Method and apparatus of loading pallet with glass plate
KR101496360B1 (en) Preparation device for test tube
CN107042677B (en) Veneer rolling type film laminating production equipment
CN112193871B (en) Conveying device, conveying system and printing equipment
CN217405497U (en) Automatic rubberizing equipment of sheet stock film
KR102271032B1 (en) apparatus for auto attaching rubber of TV stand
CN116296210A (en) Spare part test equipment is used in production of nanometer blackboard
KR102173442B1 (en) apparatus for auto attaching rubber of TV stand
CN116605639B (en) Material receiving equipment for chip test
CN211444099U (en) Stacking production equipment
KR1020910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 attaching rubber of TV stand
KR102091039B1 (en) apparatus for auto attaching rubber of TV stand
KR102091042B1 (en) apparatus for auto attaching rubber of TV stand
JP3924595B2 (en) Multiwell plate transfer device
CN112317966A (en) High-precision camera printing and film pasting device
KR101191439B1 (en) Apparatus for paper supply
CN111908080A (en) Adhesive tape type mat laying tool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CN113443448B (en) Plank processing feeding system
CN112744574A (en) Stacking production equipment
TWI586497B (en) Substrate transport arm and substrate transfer method
CN113829052B (en) Counter counting assembly assembling system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CN216503273U (en) High-speed rotation assembly mechanism for lens and lens assembly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