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783B1 - 방사선 촬영용 비접촉 두부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 촬영용 비접촉 두부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783B1
KR102270783B1 KR1020190069849A KR20190069849A KR102270783B1 KR 102270783 B1 KR102270783 B1 KR 102270783B1 KR 1020190069849 A KR1020190069849 A KR 1020190069849A KR 20190069849 A KR20190069849 A KR 20190069849A KR 102270783 B1 KR102270783 B1 KR 102270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ubject
laser
laser irradiation
irradi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2710A (ko
Inventor
유승만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9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783B1/ko
Publication of KR2020014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9Setting distance between source unit and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8Auxiliary means for directing the radiation beam to a particular spot, e.g. using light be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방사선 촬영시 피검자 두부를 바르게 정렬하도록 사용되는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비접촉 두부 정렬장치는 촬영베드에 안치된 피검자 두부의 방사선 정측면 영상을 촬영하도록 두부를 정렬하는 장치로서, 상기 촬영베드에 장착되는 일측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레이저 거치부, 및 상기 레이저 거치부에 장착되어 상기 피검자의 안면으로 조사되는 다수의 레이저로 이루어지며, 상기 촬영베드에 피검자의 두부가 회전되게 안치되었는지 판단하도록 한 쌍의 서로 평행한 직선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평행 레이저 조사부와, 상기 촬영베드에 피검자의 두부가 경사지게 안치되었는지 판단하도록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사선 촬영용 비접촉 두부 정렬장치 {Non-contact head arragement appratus for radiography}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시 피검자 두부를 바르게 정렬하도록 사용되는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자 두부나 안면을 접촉하지 않고도 두부의 정측면(True lateral) 영상이 정확하게 촬영될 수 있도록 촬영베드에 안착된 피검자 두부가 일측으로 경사 또는 회전되었는 여부를 판단하여 정측면 영상의 촬영가능한 위치로 정렬하는데 사용되는 두부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내부의 뼈나 조직의 이상유무를 검사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방사선(X-ray)을 이용하여 영상이 촬영되는데, 신체를 투과한 방사선에 의해 신체내부의 단면 사진이 획득된다. 방사선은 두부, 흉부, 복부, 골반, 요추 등과 같이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촬영될 수 있는데, 촬영되는 신체부위 중 두부는 목관절에 연결되어 회전이나 기울임이 가능함에 따라 정확한 자세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영상획득이 어려운 점이 있다.
두부의 방사선 촬영 영상을 용이하게 획득하기 위하여, 방사선 촬영시 두부를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5-028735호와 등록특허 제2015-0014621호와 같은 방사선 촬영용 두부 고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장치는 몸체에 장착되어 이동가능한 누름부재나 헤드 고정대로 엑츄에이터와 같은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두부를 죄어 고정 정렬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두부 고정장치는 누름부재나 헤드 고정대가 두부나 안면을 압박함에 따라 죄여지는 두부나 안면 주변에 불편감을 초래하다. 또한 개시된 상기 장치는 모두 치과 등의 진료를 위해 두부의 정면을 촬영하는 것으로 두부 병변의 유무를 확인하도록 사용되는 두부의 정측면(True latenal)의 촬영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두부 내부의 관자 골절, 뼈의 비후, 두개 봉합의 분리, 혈관구의 확대, 인장의 변화, 이상 석회화상 등의 두부 병변의 유무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도 10(a)와 같이 두부 내부가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정측면(True latenal)이 촬영된다. 이와 같은 두부의 정측면 영상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베드에 피검자의 두부 측면이 상면을 향하도록 안치하여 촬영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촬영베드에 안치된 피검자의 두부가 촬영 정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정확한 영상 획득이 어려운데, 두부가 정위치에서 벗어난 예가 도 10(b), (c)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b)는 피검자의 두부가 촬영베드에 경사지게 안치된 상태에서 촬영한 방사선 영상이고, 도 10(c)는 피검자의 두부가 회전되어 안치된 상태에서 촬영산 방사선 영상이다. 이를 살펴보면, 선명하게 인식되는 도 10(a) 영상과 비교하여, 도 10(b),(c) 영상은 두개골 내부에서 여러 선들이 중첩되어 희미하게 인식되거나, 두개골 내부의 목적부위가 나타나지 않는 등 정확하게 판독하기 어렵다. 이로 인하여 재촬영 확률이 증가되고 환자가 받게 되는 피폭의 양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5-028735호 (의료선 X선 촬영장치 및 환자두부고정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15-0014621호(방사선 영상 촬영용 두부 고정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시 두부나 안면을 접촉 또는 가압하지 않고도 두부가 정위치로부터 경사 및 회전여부를 동시에 판정함으로써 두부의 정확한 정측면 영상을 획득하도록 두부를 정렬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비접촉 두부 정렬장치는 촬영베드에 안치된 피검자 두부의 방사선 정측면 영상을 촬영하도록 두부를 정렬하는 장치로서, 상기 촬영베드에 장착되는 일측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레이저 거치부, 및 상기 레이저 거치부에 장착되어 상기 피검자의 안면으로 조사되는 다수의 레이저로 이루어지며, 상기 촬영베드에 피검자의 두부가 회전되게 안치되었는지 판단하도록 한 쌍의 서로 평행한 직선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평행 레이저 조사부와, 상기 촬영베드에 피검자의 두부가 경사지게 안치되었는지 판단하도록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평행 레이저 조사부로부터 상기 피검자의 안면으로 조사되는 한 쌍의 직선 레이저광이 수평 기준선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조사되는지 여부로 피검자 두부의 회전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로부터 상기 피검자의 안면으로 조사되는 수직 레이저광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수평 레이저광이 피검자의 동공간선에 조사되는지 여부로 피검자 두부의 경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평행 레이저 조사부와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는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평행 레이저 조사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거치부는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평행 레이저 조사부의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를 관통하는 상부 및 하부래크, 및 상기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에 상기 상부 및 하부래크 사이에 개재하여 기어 결합되는 간격조절 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거치부는 상기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의 후방에 형성된 수평이동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래크의 후방에 구비되는 수평위치 조절바, 및 상기 수평위치 조절바의 중공 나사홀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이동 결합부에 결합되는 수평위치 조절나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거치부는 상기 수평위치 조절바의 후방에 일측에 나사부가 형성된 수직이동 결합부가 결합되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수직레일, 및 상기 수직이동 결합부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고정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접적으로 두부나 안면을 접촉하거나 가압하지 않고 피검자 안면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통하여 두부를 바른위치에 정렬함으로써 방사선 촬영시 피검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피검자의 안면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위치로부터 피검자의 두부가 회전 또는 경사되게 촬영베드에 안치되었는지 여부를 동시에 육안으로 확인하여 피검자의 두부를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으며, 조사되는 레이저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정이 가능하여 피검자의 신체에 맞도록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비접촉 두부 정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두부 정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두부 정렬장치에서 레이저 조사부의 간격조절과 높이조절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두부 정렬장치에서 레이저 조사부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 동작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두부 정렬장치의 레이저 조사부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원의 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두부 정렬장치의 평행 레이저 조사부로부터 바른 위치에 두부가 안착된 피검자의 안면으로 조사되는 레이저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두부 정렬장치의 평행 레이저 조사부로부터 피검자의 두부가 회전되어 안착된 안면으로 조사되는 레이저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두부 정렬장치의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로부터 바른 위치에 두부가 안착된 피검자의 안면으로 조사되는 레이저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두부 정렬장치의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로부터 경사지게 두부가 안착된 안면으로 조사되는 레이저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바른 자세로 촬영된 두부 측면 방사선 영상(a), 경사지게 두부가 안치된 상태에서 촬영된 두부 측면 방사선 영상(b), 회전되어 두부가 안치된 상태에서 촬영된 두부 측면 방사선 영상(c)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요소의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비접촉 두부 정렬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정렬장치(100)는 촬영베드(200)에 장착되어 일측으로부터 촬영베드(200)의 상부로 연장되는 레이저 거치부(10)와, 레이저 거치부(10)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레이저가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레이저 조사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레이저 조사부(20)는 수직방향을 따라 상부 및 하부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평행한 직선의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평행 레이저 조사부(21,23)와, 한 쌍의 평행 레이저 조사부(21,23) 사이에 구비되어 수직하게 교차되는 직선의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22)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레이저는 촬영베드(200)에 안치된 피검자의 안면으로 조사되는데 이는 후술토록 한다.
레이저 거치부(10)는 상부 평행 레이저 조사부(21)에 일단이 결합되어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22)의 수직 관통홀(22a)을 관통하여 하부 평행 레이저 조사부(23)의 래크홀(12a)에 타단이 결합되는 상부 래크(11)와, 상부 래크(11)와 대응되게 하부 평행 레이저 조사부(23)에 일단이 결합되어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22)의 수직 관통홀(22a)을 관통하여 상부 평행 레이저 조사부(21)의 래크홀(11a)에 타단이 결합되는 하부 래크(12),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22)의 수평 관통홀(22b)에 상,하부 래크(11,12) 사이에 개재하여 기어 결합되는 간격조절 레버(13)를 구비한다. 따라서, 간격조절 레버(13)를 회전하면 중앙의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22)를 기준으로 상,하부래크(11,1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평행 레이저 조사부(21,23)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상,하부 래크(11,12)의 후방에는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22)의 수평이동 결합부(24)가 삽입되도록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홈(14a)이 형성되는 수평위치 조절바(14)가 구비되며, 수평위치 조절바(14)의 중공 나사홀(14b)에는 수평위치 조절나사(15)가 삽입되어 수평이동 결합부(24)에 결합된다. 따라서, 중공 나사홀(14b)에 나사결합된 수평위치 조절나사(15)를 회전시키면, 상,하부래크(11,12)에 의해 평행 레이저 조사부(21,23)와 결합되는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22)가 가이드홈(14a)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레이저 조사부(20)를 수평방향으로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평위치 조절바(14)의 후방에는 일측에 나사부(16a)가 형성된 수직이동 결합부(16)가 형성되며, 수직이동 결합부(16)가 결합되어 이동하도록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17a)이 형성된 수직레일(17)이 구비된다. 수직이동 결합부(16)의 나사부(16a)에 고정레버(18)가 결합 고정됨에 따라, 고정레버(18)를 회전시키면 평행 레이저 조사부(21,23)와 결합되는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22)가 가이드홈(17a)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레이저 조사부(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수직레일(17)의 하부에는 촬영베드(200)의 상면 및 하면에 결합되어 두부 정렬장치(100)를 고정하는 촬영베드 상면 결합부(19-1)와 촬영베드 하면 결합부(19-2)를 구비한다. 촬영베드 상면 결합부(19-1)는 수직레일(17)의 일단에 촬영베드(20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일단이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바 형태로 형성되며, 촬영베드 하면 결합부(19-2)는 일단이 촬영베드(200)의 하면에 결합되는 결합면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어 상면 결합부(19-1)의 절곡된 바에 나사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며, 타단에 형성된 고정레버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촬영베드 상,하면 결합부(19-1,19-2)는 촬영베드(200)의 원하는 위치에 탈, 장착이 가능함에 따라 방사선 촬영장치와 촬영베드(200)의 배치위치에 따라 설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된 레이저 거치대(10)에 의하여 레이저 조사부(20)의 간격조절,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 동작이 도 3,4에 도시되어 있다.
레이저 조사부(20)는 상,하부 래크(11,12)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평행 레이저 조사부(21,23)와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22)가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촬영베드(200)에 안치된 피검자의 두부 상부에서 몸체방향을 향하여 조사된다. 이때, 평행 레이저 조사부(21,23)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한 직선의 레이저광(L1,L2)이 조사된다. 평행 레이저 조사부(21,23)에 의하여 조사된 피검자의 안면이 도 5,6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데, 도 6은 촬영베드(200)에 바른 위치에 두부가 안착된 피검자의 안면으로 조사되는 레이저광(L1,L2)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피검자의 두부가 회전되어 안착된 안면으로 조사되는 레이저광(L1,L2)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평행 레이저 조사부(21,23)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L1,L2)은 수평 기준선(C)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양쪽 눈썹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각각 조사되는 반면에, 도 7에서는 수평 기준선(C)을 기준으로 피검자의 두부가 소정거리(D)로 회전된 안면으로 조사되는 레이저광(L1,L2)은 일측으로 편향되게 조사된다. 여기서, 수평 기준선(C)는 방사선 장치(미도시)의 위치에 따라 정측면 영상이 촬영되는 위치로 설정된다. 따라서, 피검자의 두부가 정위치에 안착되면 설정된 수평 기준선(C)을 기준으로 평행 레이저 조사부(21,23)가 대칭되게 조사되는 반면에, 피검자의 두부가 일측으로 회전되면 회전 거리만큼 레이저광(L1,L2)이 피검자 안면 일측으로 편향되게 조사됨에 따라, 방사선 촬영을 담당하는 의료기사는 피검자 두부를 회전되지 않은 정위치로 정렬할 수 있다.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22)는 한 쌍의 평행 레이저 조사부(21,23) 사이에 배치되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의 레이저광(L3,L4)이 조사된다.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22)에 의하여 조사된 피검자의 안면이 도 8,9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데, 도 7은 촬영베드(200)에 바른 위치에 두부가 안착된 피검자의 안면으로 조사되는 레이저광(L3,L4)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촬영베드(200)에 경사지게 두부가 안착된 안면으로 조사되는 레이저광(L3,L4)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평 기준선에 조사되는 수평 레이저광(L3)과 피검자 동공사이의 동공간선(Inter pupillary Line. IPL)에 조사되는 수직 레이저광(L4)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게 조사된다. 이와 비교하여 도 9에서는 촬영베드(200)에 소정각도(θ) 경사지게 두부가 안착된 안면으로 수평 레이저광(L3)에 수직으로 조사되는 수직 레이저광(L4)은 피검자의 동공간선으로부터 소정각도(θ)만큼 이격되게 조사된다. 따라서, 피검자의 두부가 정위치에 안착되면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22)로부터 조사되는 수평 레이저광(L3)과 수직으로 교차되는 수직 레이저광(L4)이 피검자의 동공간선에 조사되지만, 피검자의 두부가 경사지게 안착되면 경사각만큼 수직 레이저광(L4)이 이격되게 조사됨에 따라, 의료기사는 피검자 두부를 경사지지 않도록 정위치로 정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원발명은 레이저 조사부(20)에 평행 레이저 조사부(21,23)와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22)를 구비함으로써 촬영베드(200)에 안치되는 피검자의 두부가 회전 또는 경사되게 안치되었는지 여부를 동시에 육안으로 용이하게 판단함으로써 방사선 촬영시 바른 위치로 피검자의 두부를 정렬시킬 수 있으며, 레이저 조사부(20)가 설치되는 레이저 거치대(10)는 촬영베드(200)의 임의의 위치에 탈장착이 가능하고,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피검자의 신체나 방사선 장치의 설치위치에 따라 조사되는 레이저의 간격과 수평위치 및 높이를 조절하여 레이저광을 조사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레이저 거치대 11: 상부 래크
11a,12a: 래크홀 12: 하부 래크
13: 간격조절 레버 14: 수평위치 조절바
14a,17a: 가이드홈 14b: 중공나사홀
15: 수평위치 조절나사 16: 수직이동 결합부
16a: 나사부 18: 고정레버
19-1: 촬영베드 상면 결합부 19-2: 촬영베드 하면 결합부
20: 레이저 조사부 21: 상부 평형 레이저 조사부
22: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 22a: 수직 관통홀
22b: 수평 관통홀 23: 하부 평형 레이저 조사부
100: 두부 정렬장치 200: 촬영베드
C: 수평 기준선 θ: 경사각
L1,L2: 평형 레이저 조사부의 레이저광
L3,L4: 수직교차 레이버 조사부의 레이저광

Claims (8)

  1. 촬영베드에 안치된 피검자 두부의 방사선 정측면 영상을 촬영하도록 두부를 정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베드에 장착되는 일측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레이저 거치부; 및,
    상기 레이저 거치부에 장착되어 상기 피검자의 안면으로 조사되는 다수의 레이저로 이루어지며, 상기 촬영베드에 피검자의 두부가 회전되게 안치되었는지 판단하도록 한 쌍의 서로 평행한 직선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평행 레이저 조사부와, 상기 촬영베드에 피검자의 두부가 경사지게 안치되었는지 판단하도록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평행 레이저 조사부로부터 상기 피검자의 안면으로 조사되는 한 쌍의 직선 레이저광이 수평 기준선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조사되는지 여부로 피검자 두부의 회전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비접촉 두부 정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로부터 상기 피검자의 안면으로 조사되는 수직 레이저광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수평 레이저광이 피검자의 동공간선에 조사되는지 여부로 피검자 두부의 경사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비접촉 두부 정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 레이저 조사부와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는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비접촉 두부 정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평행 레이저 조사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비접촉 두부 정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거치부는,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평행 레이저 조사부의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를 관통하는 상부 및 하부래크; 및,
    상기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에 상기 상부 및 하부래크 사이에 개재하여 기어 결합되는 간격조절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비접촉 두부 정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거치부는,
    상기 수직교차 레이저 조사부의 후방에 형성된 수평이동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래크의 후방에 구비되는 수평위치 조절바; 및,
    상기 수평위치 조절바의 중공 나사홀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이동 결합부에 결합되는 수평위치 조절나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비접촉 두부 정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거치부는,
    상기 수평위치 조절바의 후방에 일측에 나사부가 형성된 수직이동 결합부가 결합되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수직레일; 및,
    상기 수직이동 결합부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고정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비접촉 두부 정렬장치.
KR1020190069849A 2019-06-13 2019-06-13 방사선 촬영용 비접촉 두부 정렬장치 KR102270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849A KR102270783B1 (ko) 2019-06-13 2019-06-13 방사선 촬영용 비접촉 두부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849A KR102270783B1 (ko) 2019-06-13 2019-06-13 방사선 촬영용 비접촉 두부 정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710A KR20200142710A (ko) 2020-12-23
KR102270783B1 true KR102270783B1 (ko) 2021-06-30

Family

ID=7408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849A KR102270783B1 (ko) 2019-06-13 2019-06-13 방사선 촬영용 비접촉 두부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7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6793A (ja) 2000-06-07 2001-12-18 Ge Yokogawa Medical Systems Ltd 被検体位置決め方法及びx線ct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2392A (en) 1994-04-12 1997-06-24 J. Morita Manufacturing Corporation Medical radiographic apparatus and patient's head fixing device
KR20100011301A (ko) * 2008-07-24 2010-02-03 (주)이우테크놀로지 치과용 엑스선촬영장치의 검진자 두부 정렬시스템 및정렬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510859B1 (ko) 2013-07-30 2015-04-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영상 촬영용 두부 고정장치
KR101660129B1 (ko) * 2014-12-15 2016-09-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X선 촬영장치
KR20160126328A (ko) *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바텍 직관적인 정렬을 위한 포지셔닝 가이드를 갖는 ct 촬영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6793A (ja) 2000-06-07 2001-12-18 Ge Yokogawa Medical Systems Ltd 被検体位置決め方法及びx線ct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710A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332B1 (ko) 파노라마, 씨티 및 두부계측 겸용 엑스선 촬영장치
US10835296B2 (en) Spinous process clamp
US7500785B2 (en) X-ray shielding device
US20080081312A1 (en) Patient positioning device of a panoramic dental x-ray apparatus
US10653377B2 (en) Breast computed tomography system comprising a gripper
KR200449959Y1 (ko)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KR101175027B1 (ko)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US10441227B2 (en) Cephalostat
KR102270783B1 (ko) 방사선 촬영용 비접촉 두부 정렬장치
KR101600609B1 (ko) 엑스선 촬영장치의 정렬 바이트 및 이를 갖는 엑스선 촬영장치
TW201436769A (zh) X射線透視裝置
KR101192461B1 (ko) 엑스선을 구강 외부에서 검출하는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KR101660129B1 (ko) X선 촬영장치
KR101660130B1 (ko) X선 촬영장치
KR101437124B1 (ko) 정위 방사선 수술용 고정 프레임
KR100845215B1 (ko) 엑스선 촬영장치 및 그를 이용한 두부계측 촬영방법
KR102504800B1 (ko) 피검체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촬영 시스템
KR101767965B1 (ko) 정렬빔 조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x선 촬영장치
US11253222B2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patient support
EP4205659A1 (en) Head positioning standardization method
CN110573081B (zh) X射线成像设备和患者支撑装置
US20060029187A9 (en) Urological working place
WO2014171833A9 (en) X-ray device, mask and method for taking an x-ray image
KR20210043390A (ko)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IL262864A (en) Clamps for the spinal b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