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564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564B1
KR102270564B1 KR1020190157593A KR20190157593A KR102270564B1 KR 102270564 B1 KR102270564 B1 KR 102270564B1 KR 1020190157593 A KR1020190157593 A KR 1020190157593A KR 20190157593 A KR20190157593 A KR 20190157593A KR 102270564 B1 KR102270564 B1 KR 102270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osmetic container
receiving groove
cosmetic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705A (ko
Inventor
우숙형
Original Assignee
우숙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숙형 filed Critical 우숙형
Priority to KR1020190157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564B1/ko
Priority to PCT/KR2019/016970 priority patent/WO2021040151A1/ko
Publication of KR20210067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05B11/1084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ea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pumped by a separate pump
    • B05B11/308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83Cylindrical or polygonal containers, e.g. bottles, with two or more substantially axially offset, side-by-side compartments for simultaneous dispensing
    • B65D81/3288Cylindrical or polygonal containers, e.g. bottles, with two or more substantially axially offset, side-by-side compartments for simultaneous dispensing composed of two or more separate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동일한 용기에 수납되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들을 서로 혼합시켜 배출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품 용기는 하부에 수납홈이 형성되고, 내부의 제1화장료를 배출시키는 제1토출노즐 및 상기 제1토출노즐의 상부에 결합되는 토출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제1화장품용기 및 상기 수납홈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내부의 제2화장료를 배출하는 제2토출노즐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스위치와 연결되는 제2화장품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스위치를 가압하면 상기 제1 및 제2 화장료들 각각은 상기 토출스위치의 전방에 형성된 제1 및 제2 배출구들 각각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화장품이 수납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 용기에 수납되어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서로 다른 성분과 기능을 가지는 각기 다른 종류의 화장품들을 혼합하여 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화장품들이 개발된다.
그러나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들을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화장품을 별도로 구입하는 과정에서 비용이 추가되고, 서로 다른 구조때문에 휴대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0408호는 화장품 혼합용기 및 그것을 이용한 모듈 화장품 세트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6163호는 이종화장품혼합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들을 선별해서 편리하게 혼합분사 시키는 기능을 가진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동일한 용기에 수납되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들을 서로 혼합시켜 배출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화장품 용기는 하부에 수납홈이 형성되고, 내부의 제1화장료를 배출시키는 제1토출노즐 및 상기 제1토출노즐의 상부에 결합되는 토출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제1화장품용기 및 상기 수납홈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내부의 제2화장료를 배출하는 제2토출노즐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스위치와 연결되는 제2화장품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스위치를 가압하면 상기 제1 및 제2 화장료들 각각은 상기 토출스위치의 전방에 형성된 제1 및 제2 배출구들 각각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화장품 용기는 일단은 상기 수납홈에서 상기 제1화장품용기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기 내측면과 이격되는 방향 및 하부를 향해 포물선 연장되며, 타단 일측에는 상기 수납홈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화장품용기의 저면에 밀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화장품용기는 전방 일부분이 상기 수납홈을 향해 함몰되어 상기 수납홈 및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스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토출노즐들을 둘러싼 캡형태로 형성되고, 안쪽에는 상기 제1 및 제2 토출노즐들 각각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하부로 연장되는 배출관들이 상기 제1 및 제2 배출구들 각각과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화장품용기는 상기 수납홈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수납홈을 둘러싸는 내측벽, 수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내측벽을 둘러싸는 중앙바디 및 상기 내측벽의 일측과 상기 중앙바디 사이에서 전후방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들을 포함하는 중앙케이스 및 상기 중앙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홈을 둘러싸고 상기 밀폐공간 및 수납공간을 밀폐시키며 상기 토출스위치와 연결되는 내부커버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들 각각은 상기 밀폐공간에서 서로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용기는 일단은 상기 제1화장품용기의 일측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버튼 형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돌기의 일측을 지나 상기 수납홈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화장품용기에 삽입된 상기 제2화장품용기의 하부 일측에 밀착된 걸림턱과 결합되는 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의 일단이 상기 제1화장품용기의 안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탈착부의 타단 및 걸림턱들은 상기 돌기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화장품용기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용기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화장품용기의 하부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동에 따라 상기 수납홈을 커버하거나 상기 수납홈을 개방하도록 형성되는 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스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토출노즐들을 둘러싸는 캡 형태로 형성되고 후방의 일부분이 상하부로 관통되어 수직통로가 형성되는 토출캡, 일단은 상기 수직통로에 삽입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관 형태로 하부를 향해 연장되며, 타단의 전방에 홀이 형성되는 제1배출관 및 상기 수직통로의 안에서 상기 토출캡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수직통로를 밀폐 또는 개방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의 저면에 상기 제1배출관의 일단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홀은 상기 제1배출구 및 상기 수직통로를 연결시키는 통로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품 용기는 상대적으로 큰 부피의 화장품 용기에 상대적으로 작은 형태의 용기를 결합시켜 서로 다른 종류의 화장품들을 혼합시키면서 동시에 분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장품 용기는 원터치로 편리하게 상대적으로 큰 부피의 화장품 용기에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의 용기를 삽입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고, 버튼을 가압시켜 두 종류의 화장품을 동시에 분사시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및 2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들.
도 2 내지 5들은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들.
도 6은 도 1의 I-I'를 따라 화장품 용기를 절단한 단면도.
도 7 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들.
도 8은 도 7의 화장품 용기를 II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도 9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저면도.
도 10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2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2 내지 5들은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I-I'를 따라 화장품 용기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 용기(100)는 제1화장품용기(200), 제2화장품용기(300) 및 탈착부(400)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 용기에 수납되어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서로 다른 성분과 기능을 가지는 각기 다른 종류의 화장품들을 혼합하여 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화장품들이 개발된다.
그러나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들을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화장품을 별도로 구입하는 과정에서 비용이 추가되고, 서로 다른 구조때문에 휴대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화장품 용기(100)는 상대적으로 큰 부피의 화장품 용기에 상대적으로 작은 형태의 용기를 결합시켜 서로 다른 종류의 화장품들을 혼합시키면서 분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장품 용기(100)는 원터치로 편리하게 상대적으로 큰 부피의 화장품 용기에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의 용기를 삽입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고, 버튼을 가압시켜 두 종류의 화장품을 동시에 분사시키는 장점이 있다.
제1화장품용기(200)는 하부케이스(210), 중앙케이스(220), 측면케이스(230), 커버(240), 토출스위치(250) 및 제1토출노즐(260)들을 포함한다.
제1화장품용기(20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에 제2화장품용기(300)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분리 수납되는 제1화장료를 배출시키는 토출노즐이 상부에 형성된다.
제1화장품용기(200)의 상부에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토출스위치가 형성되어 상기 토출노즐과 결합되고, 상기 토출스위치를 하강 시키면 상기 토출노즐에서 상기 제1화장료가 상기 토출스위치 내부의 관을 통해 전방을 향해 분사된다.
또한, 상기 수납홈에 제2화장품용기(3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스위치를 하강시키면, 제2화장품용기(300)의 상부에 형성된 토출노즐이 상기 토출스위치의 하강에 의해 구동하면서 제2화장료가 상기 제1화장료와 함께 상기 토출스위치의 전방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전방을 향해 분사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2들을 참조하면, 하부케이스(210)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사각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케이스(210)의 바닥 전방에는 사각형의 바닥면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수납홈(10)이 형성된다.
하부케이스(210)의 테두리 하부의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사각 격벽 형태로 하부케이스(210)의 하부공간을 둘러싸고, 제2화장품용기(300)는 하부케이스(210)의 하부에서 수납홈(10)을 통해 상부를 향해 이동하여 제1화장품용기(200)의 내부로 삽입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케이스(210)의 전방 테두리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수납홈(10) 및 하부케이스(210)의 전방 공간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후술될 중앙케이스(220)와 연결된 상태에서 중앙케이스(220)에 형성된 통로와 연결된다.
수납홈(10)의 후방에는 하부케이스(210)의 바닥면 일부분이 후방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사각홈안에 탈착부(400)가 배치되고, 탈착부(400)는 제2화장품용기(300)가 제1화장품용기(200)의 내부에 삽입되면 제2화장품용기(300)가 제1화장품용기(2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내벽(212)은 수납홈(10) 및 상기 사각홈의 주변에 해당하는 하부케이스(210)의 바닥면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수납홈(10) 및 상기 사각홈들의 상부 공간을 둘러싸는 격벽 형태로 형성된다.
탈착부(400)는 탄성판(410) 및 걸림턱(420)들을 포함한다.
탈착부(400)의 일단은 수납홈(10)에서 제1화장품용기(200)의 후방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기 후방 내측면과 이격되는 전방방향 및 하부를 향해 포물선 연장되며, 타단 일측에는 수납홈(10)을 향해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다.
제2화장품용기(300)가 수납홈(10)을 통해 제1화장품용기(2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탈착부(400)의 타단은 후방을 향해 탄성 이동되고, 제2화장품용기(300)의 바닥면이 제1화장품용기(200)의 바닥면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면 상기 걸림턱이 전방을 향해 탄성 이동하여 제2화장품용기(300)의 바닥면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탄성판(410)의 일단은 상기 사각홈의 후방에서 내벽(212)의 전면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내벽(212)과 이격되는 전방 방향 및 하부를 향해 포물선 연장되며, 타단 전방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걸림턱(420)이 형성된다.
걸림턱(420)은 타단에서 전방을 향해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되고 상부면은 하부케이스(210)의 바닥면과 평행하며, 제2화장품용기(300)가 제1화장품용기(2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턱(420)의 상부면은 제2화장품용기(300)의 저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2화장품용기(300)가 수납홈(10)을 통해 삽입되어 제1화장품용기(2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판(410)의 타단 및 걸림턱(420)은 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탄성 변형된다.
또한, 제2화장품용기(300)의 바닥면이 하부케이스(210)의 바닥면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면, 걸림턱(420)의 상부면이 제2화장품용기(300)의 바닥면을 향해 이동하여 제2화장품용기(300)의 바닥면과 밀착되고, 걸림턱(420)의 상부면은 제2화장품용기(300)의 하강을 차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케이스(220)는 중앙바디(221) 및 내측벽(222)들을 포함한다.
중앙케이스(220)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에는 중앙케이스(220)의 바닥면 전방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직육면체 형태로 함몰되어 수납홈(12)이 형성된다.
중앙케이스(220)의 내부는 상기 제1화장료가 보관되는 공간과 수납홈(12)을의 공간들이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전방 하부의 일부분이 후방을 향해 함몰되어 수납홈(12)과 연결되는 통로가 형성된다.
중앙케이스(220)의 통로는 하부케이스(210)의 통로와 연결되어 직사각형 형태의 통로(228)가 형성되고, 제2화장품용기(300)가 수납홈(12)에 삽입되면, 제2화장품용기(300)의 일부가 통로(228)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어 제2화장품용기(300)의 식별이 용이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색상에 따라 내부의 화장료의 종류가 다른 제2화장품용기(300)들 중 어느 하나를 제1화장품용기(200)의 내부에 삽입시키면, 통로(228)를 통해 제2화장품용기(300)의 종류를 체크할 수 있다.
중앙바디(221)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테두리의 안쪽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중앙바디(221)의 상단 내측면에는 직사각 프레임 형태의 제1단턱이 형성된다.
내측벽(222)은 중앙바디(221)의 바닥면 전방에 형성된 수납홈(12)의 주변에 해당하는 중앙바디(221)의 바닥면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수납홈(12)의 상부공간을 둘러싸는 격벽 형태로 형성된다.
수납홈(12)의 전방에 해당하는 중앙바디(221)의 전면 하부 일부분은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중앙바디(221)의 전방 공간과 수납홈(12) 상부에 해당하는 공간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중앙케이스(220)가 하부케이스(2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통로들이 연결되어 통로(228)를 형성하고, 내측벽(222) 및 중앙바디(221)의 내측면 사이에는 내측벽(222)을 둘러싸는 'ㄷ'형태의 제1화장료가 수납되는 수납공간(14)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내부커버부(270)는 커버(271), 제1가이드(272), 제2가이드(273), 스토퍼(274) 및 스프링(275)들을 포함한다.
내부커버부(270)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케이스(220)의 내부에서 테두리 저면은 상기 제1단턱에 밀착되고, 저면의 전방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관 형태로 돌출되어 내측벽(222)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단턱과 밀착 결합된다.
내부커버부(270)는 중앙케이스(220)와 결합되어 제1화장료가 수납되는 수납공간(14)을 밀폐시키고, 수납홈(10, 12)들을 통해 삽입되는 제2화장품용기(30)가 관통되도록 수납홈(10, 12)들과 연결되는 사각형의 수납홈(13)이 전방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커버(271)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에는 직사각형 형태의 일부분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수납홈(13)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사각형 형태의 일부분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수납공간(14)과 연결되는 통로(15)가 형성된다.
커버(271)는 중앙케이스(220)의 상부에서 중앙케이스(220)의 내부로 하강하면서 중앙케이스(220)와 결합되면, 커버(271)의 저면 테두리는 상기 제1단턱에 밀착되고, 수납홈(13) 주변의 저면에 형성된 사각관의 테두리는 수납홈(12)에 삽입되어 상기 제2단턱에 밀착된다.
따라서, 수납홈(12, 13)들은 내측벽(222) 및 커버(27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수납홈(12, 13) 안쪽의 공간은 수납공간(14)과 차단되어 제1화장료는 수납공간(14)에 안전하게 수납된다.
제1가이드(272)의 하단부는 수납홈(13)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커버(271)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며, 상단부 일부분은 서로를 향해 절곡되어 수납홈(13)에 삽입된 제2화장품용기(300)의 상부 일부분을 둘러싸며 서로 연결된다.
제1가이드(272)의 상단부 일부분은 제2화장품용기(300)의 상단 외측에 형성되는 지지체(265)의 상부면 일측 및 타측과 밀착되어 지지체(265)가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제2가이드(273)는 통로(15) 주변의 커버(271)의 일부분이 상부 및 하부를 향해 사각관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통로(15)를 둘러싸는 사각관 형태로 형성된다.
제2가이드(273)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의 일부분은 커버(271)의 상부 및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고, 제2가이드(273)의 상단부는 제1토출노즐(260)의 안쪽에 삽입되어 제1토출노즐(260)과 결합된다.
스토퍼(274)의 일단은 제1가이드(272)의 상단부 후방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제2토출노즐(320)의 외측 후방을 둘러싸는 반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후 제2토출노즐(320)의 상부를 둘러싸는 링 형태로 전방을 향해 확장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프링(275)은 스토퍼(274)의 타단에 형성된 링형태의 일부분 및 제2토출노즐(320)의 사이에서 스토퍼(274)의 타단에 결합되고, 제2화장품용기(300)가 제1화장품용기(200)의 내부에 삽입되면, 축소되면서 제2토출노즐(320)의 상부를 압박하여 제2화장품용기(300)의 상승을 탄성력으로 억제한다.
반대로, 걸림턱(420)이 후방을 향해 이동하여 제2화장품용기(300) 및 걸림턱(420)이 서로 분리되면, 스프링(275)이 하부를 향해 확장되면서 탄성력을 통해 제2화장품용기(300)를 제1화장품용기(200)의 하부를 향해 밀어낸다.
도 4 및 6들을 참조하면, 제1토출노즐(260)은 튜브(261), 제1스템(262), 피스톤밸브(263), 제2스템(264) 및 지지체(265)들을 포함하고, 제2토출노즐(320)은 용기(310), 튜브(261), 제1스템(262), 피스톤밸브(263), 제2스템(264) 및 지지체(265)들을 포함한다.
제1토출노즐(260)은 제2가이드(273)의 상단부를 둘러싸면서 커버(271)의 상부에 결합되고, 제1토출노즐(260)의 일부분은 통로(15)를 통해 하부를 향해 삽입되어 제1화장료의 내부로 삽입된다.
제1토출노즐(260)의 상부에 밀착된 제1배출관(253)의 하강으로 제1토출노즐(260)이 구동하면, 상기 제1화장료는 제1토출노즐(260)을 통해 상부를 향해 이동하여 제1배출관(253)의 내부로 유입된다.
제1배출관(253)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제1화장료는 제1배출관(253)을 따라 상부 및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제1배출구(251)에서 제1화장품용기(200)의 전방 공간을 향해 분사된다.
튜브(261)의 일단은 내부공간이 상부 및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수납공간(14)에 삽입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된 후 플랜지 형태로 외측으로 확장되어 지지체(265)의 안쪽에 결합된다.
제1스템(262)의 일단은 튜브(261)의 안쪽에서 피스톤밸브(263)의 하단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피스톤밸브(263)의 안쪽을 관통하여 상부를 향해 원통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외측 상부에는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배출공(44)이 형성된다.
제1스템(262)의 내부공간에서 배출공(44)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제1스템(262)의 내부공간을 분리시키는 원형의 차단판이 형성되어 제1스템(262)의 일단 하부의 수납공간(14)과 제1스템(262)의 타단 상부의 공간을 차단한다.
피스톤밸브(263)의 하단부는 제1스템(262)의 일단 외측 및 튜브(261)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제1스템(262)의 일단 외측을 둘러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면 및 하부면들 각각의 일부분은 하부 및 상부를 향해 링형태로 함몰되어 링 형태의 상부홈 및 하부홈들 각각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홈에는 제1스템(262)의 일단 외측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상부홈에는 제1스템(262)의 타단 외측을 둘러싸는 제2스템(264)의 일단이 삽입된다.
제2스템(264)의 일단은 튜브(261)의 안쪽에서 상기 상부홈에 삽입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제2스템(264)의 중앙부는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며, 타단은 제1배출관(253)의 외측 일부분을 둘러싸면서 확장 연장된다.
제2스템(264)의 중앙부 내측면 일부분은 링 형태로 제2스템(264)의 안쪽을 향해 돌출되어 제1스템(262)의 타단면과 밀착되고, 제2스템(264)의 타단에 해당하는 내측면 일부분은 외측을 향해 원통형태로 함몰되어 제1배출관(253)의 하부 끝단면과 밀착되는 단턱(264a)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체(265)의 타단 내부로 삽입되는 제1배출관(253)의 하부 끝단면은 단턱(264a)과 밀착되고, 제1배출관(253)이 하강하면 지지체(265)가 하강하여 수납공간(14)에 수납된 제1화장료가 제1배출관(253)의 내부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제1토출노즐(260) 및 제2토출노즐(320)들은 에어리스 펌프로서, 지지체(265)가 하강하면, 제1스템(262)이 하강하여 수납공간(14)의 제1화장료를 상부를 향해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제1화장료는 피스톤밸브(263) 및 제1스템(26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부를 향해 이동한 후, 배출공(44)을 통해 제1스템(262)의 타단쪽 내부공간으로 이동하여 제1배출관(253)으로 이동한다.
지지체(265)의 하단부는 도 4에 도시되는 제2가이드(273)의 상단부 외측을 둘러싸는 사각캡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 일부분은 튜브(261)의 내측 및 제2스템(264)의 중앙부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제1화장료가 피스톤밸브(263)를 지나 지지체(265) 및 제2스템(264)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2토출노즐(320)에 형성되는 튜브(261), 제1스템(262), 피스톤밸브(263), 제2스템(264) 및 지지체(265)들 각각은 지지체(265)의 하단부가 용기(310)의 상단 외측을 둘러싸면서 용기(310)와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면, 제1토출노즐(260)의 구조와 동일하다.
용기(310)는 제2화장료가 수납되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사각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 외측면은 지지체(265)의 하단부 내측면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화장품용기(300)가 제1화장품용기(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걸림턱(42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걸림턱(420)은 용기(310)의 바닥면과 밀착되고, 지지체(265)의 상단부 외측면 일부분은 스토퍼(274)의 타단 내측면에 밀착된다.
지지체(265)의 상부 테두리는 스프링(275)의 하단부와 밀착되고, 스프링(275)은 제2화장품용기(300)의 삽입에 의해 수축된 상태로 스토퍼(274)의 타단 및 지지체(265)의 상부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토출스위치(250)가 하강하면, 제1 및 제2 배출관(253, 254)들 각각은 제1 및 제2 토출노즐(260, 320)들 각각의 내부에 위치하는 단턱(264a)들 각각을 하부를 향해 밀어내면, 제1 및 제2 화장료들 각각이 제1 및 제2 배출관(253, 254)들 각각의 내부로 이동한다.
한편, 도 5 및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케이스(230)의 하단부는 직육면체 형태의 공간을 둘러싸는 직사각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원통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측면케이스(230)가 중앙케이스(220)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측면케이스(230)의 하단부 일부분은 중앙케이스(220)의 상부 안쪽에 삽입되어 중앙케이스(220)의 내측면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걸림턱 결합된다.
측면케이스(230)의 상단부는 하단부보다 상대적으로 안쪽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커버(240)의 하단부 외측면과 결합되고, 커버(240)는 측면케이스(230)의 안쪽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된다.
도 1, 5 및 6들을 참조하면, 토출스위치(250)는 토출캡(252), 제1배출관(253) 및 제2배출관(254)들을 포함한다.
토출스위치(250)는 내부의 공간이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캡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케이스(230)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1토출노즐(260) 및 제2토출노즐(320)들을 커버한다.
토출스위치(250)의 안쪽에는 전방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배출구(251, 252)들 각각과 관을 통해 연결되는 수직관들이 후방 및 전방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제1토출노즐(260) 및 제2토출노즐(320)들 각각과 연결된다.
따라서, 토출스위치(250)를 하강시키면, 상기 수직관들이 각각 제1토출노즐(260) 및 제2토출노즐(320)들 각각을 작동시키고, 상기 제1화장료 및 제2화장료들 각각은 제1 및 제2 배출구(251, 252)들 각각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토출캡(252)은 내부의 원기둥 형태의 공간이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상부를 향해 반구형태로 돌출되며, 상부면 중앙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반구형태로 함몰된 홈이 형성된다.
토출캡(252)의 상부면은 전반적으로 후방이 전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전방에서 후방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 형태로 형성된다.
토출캡(252)의 외측면 테두리는 외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토출캡걸림턱이 형성되고, 토출캡(252)이 측면케이스(23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캡걸림턱은 측면케이스(230)의 상단부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의 하부에 배치되어 측면케이스(230)에 고정된다.
토출캡(252)의 상단부 내부에는 일단이 전방 상부에 형성되는 제1배출구(251)와 연결되고, 타단은 토출캡(252)의 저면 후방까지 연장되어 토출캡(252)의 하부공간에서 외부와 연결되는 제1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토출캡(252)의 상단부 내부에는 일단이 제1배출구(251)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배출구(252a)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통로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토출캡(252)의 저면 전방까지 연장되어 토출캡(252)의 하부공간에서 외부와 연결되는 제2통로가 형성된다.
도 1 및 6들을 참조하면, 제1배출관(253)의 일단은 상기 제1통로와 연결되는 관 형태로 토출캡(252)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1토출노즐(260) 내부의 단턱(264a)과 밀착된다.
제2배출관(254)의 일단은 상기 제2통로와 연결되는 관 형태로 토출캡(252)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2토출노즐(320) 내부의 단턱(264a)과 밀착된다.
따라서, 토출캡(252)이 하강하면, 제1 및 제2 배출관(253, 254)들 각각은 단턱(264a)들 각각을 하강시켜 상기 제1 및 제2 화장료들 각각을 제1 및 제2 배출관(253, 254)들 각각을 통해 제1 및 제2 배출구(251, 252)들로 이동시킨다.
커버(240)는 내부의 직육면체 형태의 공간이 하부를 향해 개방된 사각캡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 내측면은 측면케이스(230)의 상단부를 커버하면서 측면케이스(230)의 하단부 외측면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7 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화장품 용기를 II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20)는 제1화장품용기(200)의 중앙케이스(280) 및 하부케이스(600)들과 탈착부(5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6들의 화장품 용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1화장품용기(200)는 하부케이스(600) 및 중앙케이스(280)들을 포함한다.
하부케이스(600)는 내벽(610, 620)들을 포함한다.
하부케이스(600)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사각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 하부에는 제1화장품용기(200)가 삽입되는 수납홈(20)이 형성되며, 수납홈(20)의 주변에는 내벽(610, 620)들이 배치된다.
수납홈(20)의 일측 및 타측에는 하부케이스(600)의 바닥 일부분을 상하부로 관통하는 수납홈(20)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직육면체 형태인 제1 및 제2 슬라이딩홈(21, 22)들이 각각 형성되고, 내벽(610)들은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홈(21, 22)들 각각을 사이에 두고 하부케이스(600)의 바닥면에 결합된다.
내벽(610)은 상대적으로 넓은 측면이 일측 및 타측을 향하고,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수납홈(10)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하부케이스(600)의 바닥면에 결합된다.
수납홈(20)의 일측에 위치한 내벽(610)들 각각의 일단은 제1슬라이딩홈(21)을 사이에 두고 전방 및 후방 각각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하부케이스(600)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수납홈(20)의 타측에 위치한 내벽(610)들 각각의 일단은 제2슬라이딩홈(22)을 사이에 두고 전방 및 후방 각각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하부케이스(600)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내벽(620)의 일단은 수납홈(20)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하부케이스(600)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따라서, 내벽(610, 620)들 각각의 측면들은 수납홈(20)을 통해 삽입되는 제2화장품용기(300)가 제1화장품용기(2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2화장품용기(300)의 외측에 밀착되어 제2화장품용기(3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중앙케이스(280)는 측벽(277a, 277b)들을 더 포함한다.
측벽(277a, 277b)들 각각은 내측벽(222)의 양측 및 중앙바디(221)의 내측면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들에 각각 배치되고, 내측벽(222)의 일측 및 타측에 해당하는 밀폐공간(279a, 279b)들 각각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측벽(277a, 277b)들 각각은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표면이 전방 및 후방을 향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내측벽(222)의 일측에 배치되는 측벽(277a)들 각각의 일단은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중앙바디(221)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의 양측면들 각각은 내측벽(222)의 일측면 및 중앙바디(221)의 일측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측벽(277a)들 각각은 밀폐공간(279a)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전방 및 후방 각각에 배치되고, 중앙케이스(280) 및 내부커버부(270)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측벽(277a)들 각각의 타단은 커버(271)의 저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밀폐공간(279a)은 커버(271)의 저면 일부분, 측벽(277a)들, 내측벽(222)의 일측면 및 중앙바디(221)의 일측 내측면들에 의해 상기 제1화장료가 수납된 수납공간(14)과 차단된다.
구체적으로, 내측벽(222)의 타측에 배치되는 측벽(277b)들 각각의 일단은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중앙바디(221)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의 양측면들 각각은 내측벽(222)의 타측면 및 중앙바디(221)의 타측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측벽(277b)들 각각은 밀폐공간(279b)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전방 및 후방 각각에 배치되고, 중앙케이스(280) 및 내부커버부(270)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측벽(277b)들 각각의 타단은 커버(271)의 저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밀폐공간(279b)은 커버(271)의 저면 일부분, 측벽(277b)들, 내측벽(222)의 타측면 및 중앙바디(221)의 타측 내측면들에 의해 상기 제1화장료가 수납된 수납공간(14)과 차단된다.
밀폐공간(279a, 279b)들 각각의 하부에 해당하는 중앙바디(221)의 저면 일부분들 각각에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의 하부홈(278a, 278b)들 각각이 형성되어 밀폐공간(279a, 279b)들 각각과 중앙바디(221) 하부의 공간을 연결한다.
밀폐공간(279a)의 전방 및 후방쪽에 해당하는 측벽(277a)들 각각의 내측면에는 측벽(277a)들에서 밀폐공간(279a)의 안쪽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돌출된 돌기(276a)들이 각각 형성된다.
밀폐공간(279b)의 전방 및 후방쪽에 해당하는 측벽(277b)들 각각의 내측면에는 측벽(277b)들에서 밀폐공간(279b)의 안쪽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돌출된 돌기(276b)들이 각각 형성된다.
탈착부(500)는 버튼(510a, 510b)들, 버튼스프링(520a, 520b)들, 연장판(530a, 530b)들 및 걸림턱(540a, 540b)들이 형성된다.
탈착부(500)의 상단부는 제1화장품용기(200)의 일측 및 타측 안쪽에서 중앙바디(221)의 일측 및 타측을 향해 버튼 형태로 돌출되고, 하단부는 중앙바디(221)의 하부를 지나 하부케이스(600)의 하부에서 제1화장품용기(200)에 삽입된 제2화장품용기(300)의 바닥과 밀착된다.
따라서, 탈착부(500) 상단부의 버튼들을 누르면 제2화장품용기(300)는 탈착부(500)의 하단부와 분리되어 제1화장품용기(200)와 분리되므로, 버튼들의 조작을 통해 제2화장품용기(300)의 분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버튼(510a)의 일단은 밀폐공간(279a)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밀폐공간(279a)의 일측 방향에 해당하는 중앙바디(221)의 일측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된다.
버튼스프링(520a)의 일단은 버튼(510a)의 일단에 결합되고, 버튼스프링(520a)의 타단은 내측벽(222)을 향해 연장되어 내측벽(222)과 결합되며, 버튼(510a)을 내측벽(222)을 향해 이동시키면 버튼스프링(520a)이 수축하면서 탄성 저항한다.
연장판(530a)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버튼(510a)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돌기(276a)들의 일측, 하부홈(278a) 및 제1슬라이딩홈(21)을 지나 수납홈(20)의 일측 하부까지 연장된다.
걸림턱(540a)은 연장판(530a)의 타단에 결합되고, 하부케이스(600)의 바닥면에서 수납홈(2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제1화장품용기(200)에 삽입된 제2화장품용기(300)의 바닥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버튼(510a)을 내측벽(222)을 향해 누르면, 연장판(530a)의 일단은 내측벽(222)을 향해 이동하고, 연장판(530a)의 타단 및 걸림턱(540a)들은 돌기(276a)들에 의해 지렛대와 같이 제1슬라이딩홈(21)의 안쪽으로 이동한다.
버튼(510b)의 일단은 밀폐공간(279b)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밀폐공간(279b)의 타측 방향에 해당하는 중앙바디(221)의 타측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된다.
버튼스프링(520b)의 일단은 버튼(510b)의 일단에 결합되고, 버튼스프링(520b)의 타단은 내측벽(222)을 향해 연장되어 내측벽(222)과 결합되며, 버튼(510b)을 내측벽(222)을 향해 이동시키면 버튼스프링(520b)이 수축하면서 탄성 저항한다.
연장판(530b)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버튼(510b)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돌기(276b)들의 타측, 하부홈(278b) 및 제2슬라이딩홈(22)을 지나 수납홈(20)의 타측 하부까지 연장된다.
걸림턱(540b)은 연장판(530b)의 타단에 결합되고, 하부케이스(600)의 바닥면에서 수납홈(2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제1화장품용기(200)에 삽입된 제2화장품용기(300)의 바닥면과 밀착된다.
버튼(510b)을 내측벽(222)을 향해 누르면, 연장판(530b)의 일단은 내측벽(222)을 향해 이동하고, 연장판(530b)의 타단 및 걸림턱(540b)들은 돌기(276b)들에 의해 지렛대와 같이 제2슬라이딩홈(22)의 안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버튼(510a, 510b)들 각각을 내측벽(222)을 향해 이동시키면, 걸림턱(540a, 540b)들 각각이 제2화장품용기(300)의 바닥면과 분리되고, 제2화장품용기(300)는 스프링(275)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여 제1화장품용기(200)와 분리된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40)는 제1화장품용기(200)의 하부케이스(700) 및 탈착부(800)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6들의 화장품 용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 용기(140)는 탈착부(800)를 포함하고, 제1화장품용기(200)는 하부케이스(700)를 포함한다.
하부케이스(700)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사각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케이스(700)의 바닥 전방에는 사각형의 바닥면 일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수납홈(10)이 형성된다.
하부케이스(700)의 테두리 하부의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사각 격벽 형태로 하부케이스(700)의 하부공간을 둘러싸고, 제2화장품용기(300)는 하부케이스(700)의 하부에서 수납홈(10)을 통해 상부를 향해 이동하여 제1화장품용기(200)의 내부로 삽입된다.
하부케이스(700)의 전방 테두리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수납홈(10) 및 하부케이스(700)의 전방 공간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중앙케이스(220)와 연결된 상태에서 중앙케이스(220)에 형성된 통로와 연결된다.
탈착부(800)는 제1레일(810), 제2레일(815), 슬라이더(820), 제1스프링(830) 및 제2스프링(835)들을 포함한다.
탈착부(800)는 하부케이스(7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수납홈(10)의 하부를 커버하고, 일부분의 탄성이동에 따라 수납홈(10)을 커버하거나 수납홈(10)과 이격되어 수납홈(10)을 외부에 개방한다.
구체적으로, 제1레일(810)의 상단부는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스틱 형태로 형성되어 수납홈(10)의 일측에 해당하는 하부케이스(700)의 저면에 결합되되고, 하단부는 상단부에서 수납홈(10)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스틱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레일(810)의 하단부는 수납홈(10)의 일측에 인접한 하부케이스(700) 일부분의 하부공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슬라이더(820)의 일측 일부분은 제1레일(810)의 하단부 및 하부케이스(700)의 저면 사이에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제2레일(815)의 상단부는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스틱 형태로 형성되어 수납홈(10)의 타측에 해당하는 하부케이스(700)의 바닥면에 결합되되고, 하단부는 상단부에서 수납홈(10)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스틱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레일(815)의 하단부는 수납홈(10)의 타측에 인접한 하부케이스(700) 일부분의 하부공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슬라이더(820)의 타측 일부분은 제2레일(815)의 하단부 및 하부케이스(700)의 저면 사이에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슬라이더(820)의 일단은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의 일측 및 타측 일부분들은 각각 제1레일(810) 및 제2 레일(28)들 각각의 일단 내측면에 밀착되어 제1 및 제2 레일(810, 820)들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한다.
슬라이더(820)의 타단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은 일측 및 타측을 향해 각각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1스프링(830) 및 제2스프링(835)들 각각과 결합된다.
제1스프링(830)의 일단은 슬라이더(820)의 일측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슬라이더(820)의 타단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하부케이스(700)의 전방 일측 내측면에 결합된다.
제2스프링(835)의 일단은 슬라이더(820)의 타측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슬라이더(820)의 타단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하부케이스(700)의 전방 타측 내측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슬라이더(820)는 제1 및 제2 스프링(830, 835)들 각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납홈(10)의 하부를 커버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으로 슬라이더(820)가 후방을 향해 이동하면, 수납홈(10)이 개방된다.
슬라이더(820)의 후방이동으로 수납홈(10)이 개방된 상태에서, 수납홈(10)을 통해 제2화장품용기(300)가 제1화장품용기(200)의 내부로 삽입되면, 슬라이더(820)가 전방을 향해 탄성 이동하여 자동으로 수납홈(10)을 커버하고, 제2화장품용기(300)는 제1화장품용기(200)의 내부에 고정된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60)는 제1화장품용기(201)의 토출스위치(255)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6들의 화장품 용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 용기(160)는 제1화장품용기(201)를 포함하고, 제1화장품용기(201)는 토출스위치(255)를 포함한다.
토출스위치(255)는 내부의 공간이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캡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부는 측면케이스(230)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1토출노즐(260) 및 제2토출노즐(320)들을 커버한다.
토출스위치(255)의 안쪽에는 전방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배출구(251, 252)들 각각과 관을 통해 연결되는 수직관들이 후방 및 전방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제1토출노즐(260) 및 제2토출노즐(320)들 각각과 연결된다.
따라서, 토출스위치(255)를 하강시키면, 상기 수직관들이 각각 제1토출노즐(260) 및 제2토출노즐(320)들 각각을 작동시키고, 상기 제1화장료 및 제2화장료들 각각은 제1 및 제2 배출구(251, 252)들 각각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토출스위치(255)는 후방에 위치하는 수직관을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수직관의 위치 조절을 통해 토출스위치(255)의 하강에 따른 제1토출노즐(260)의 구동여부가 제어된다.
토출스위치(255)는 토출캡(256), 제1배출관(258), 스토퍼(259) 및 제2배출관(254)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토출캡(256)은 내부의 원기둥 형태의 공간이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캡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상부를 향해 반구형태로 돌출되며, 상부면 중앙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반구형태로 함몰된 홈이 형성된다.
토출캡(256)의 상부면은 전반적으로 후방이 전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전방에서 후방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 형태로 형성된다.
토출캡(256)의 외측면 테두리는 외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토출캡걸림턱이 형성되고, 토출캡(252)이 측면케이스(23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캡걸림턱은 측면케이스(230)의 상단부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의 하부에 배치되어 측면케이스(230)에 고정된다.
토출캡(256)의 상단부 내부에는 일단이 전방 상부에 형성되는 제1배출구(251)와 연결되고, 타단은 토출캡(256)의 저면 후방까지 연장되어 토출캡(256)의 후방에서 외부와 연결되는 제3통로(251a)가 형성된다.
제3통로(251a)의 타단은 토출캡(256)의 후방 상부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직통로(258a)와 연결되고, 수직통로(258a)는 토출캡(256)의 상부 공간 및 하부공간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토출캡(256)의 상단부 내부에는 일단이 제1배출구(251)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배출구(252a)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통로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토출캡(256)의 저면 전방까지 연장되어 토출캡(256)의 하부공간에서 외부와 연결되는 제2통로가 형성된다.
도 1 및 6들을 참조하면, 제1배출관(258)의 일단은 제3통로(251a)의 내부에서 상하부로 연장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1토출노즐(260) 내부의 단턱(264a)과 밀착된다.
제1배출관(258)의 일단 전방에는 제1배출관(258)의 내부공간과 제3통로(251a) 공간을 연결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 안쪽의 상부에는 제1배출관(258)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원형의 제1차단판이 형성된다.
제1배출관(258)의 타단에는 타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밀봉하는 원형의 제2차단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2차단판의 전방에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슬롯홈(259a)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홈(259a)의 상부에 해당하는 토출캡(256)의 상부에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스틱형태로 길게 연장되고 슬롯홈(259a) 및 상기 토출캡(256)의 상부공간을 연결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된다.
스토퍼(259)의 하단부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스틱형태로 길게 연장된 돌출부가 하단부의 상부에 형성된다.
스토퍼(259)의 하단부는 슬롯홈(259a)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스토퍼(259)의 하단부와 함께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한다.
스토퍼(259)의 하단부가 슬롯홈(259a)에서 이탈하여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면 스토퍼(259)의 하단부 저면은 상기 제2차단판의 상부면과 밀착되어 제1배출관(258)의 상부 이동을 차단한다.
반대로, 스토퍼(259)의 하단부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슬롯홈(259a)으로 삽입되면, 수직통로(258a)는 토출캡(256)의 상부공간과 연결되고, 제1배출관(258)은 수직통로(258a)를 따라 토출캡(256)의 상부를 향해 돌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토퍼(259)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슬롯홈(259a)에 삽입된 상태에서, 토출캡(256)을 하강시키면, 제2배출관(254)의 압력에 의한 제2화장료만 제2배출구(252a)를 통해 배출된다.
반대로, 제1배출관(258)이 하강하고, 스토퍼(259)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스토퍼(259)의 하단부 저면이 상기 제2차단판과 밀착되면, 토출캡(256)이 하강하는 경우, 제1 및 제2 화장료들 각각이 제1 및 제2 배출구(251, 252)들을 통해 전방으로 함께 분사된다.
제2배출관(254)의 일단은 상기 제2통로와 연결되는 관 형태로 토출캡(256)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2토출노즐(320) 내부의 단턱(264a)과 밀착된다.
따라서, 토출캡(256)이 하강하면, 제1 및 제2 배출관(258, 254)들 각각은 단턱(264a)들 각각을 하강시켜 상기 제1 및 제2 화장료들 각각을 제1 및 제2 배출관(258, 254)들 각각을 통해 제1 및 제2 배출구(251, 252)들로 이동시킨다.
한편, 사용자는 스토퍼(259)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토출캡(256)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토출캡(256)의 상부에 돌출되는 제1배출관(258)의 일단 하부에 형성된 상기 홀에 약 또는 화장품을 주입시켜 2 종류 이상의 화장품들을 제1배출구(251)를 통해 전방으로 분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에 1종류 이상의 점성이 있는 약 또는 화장품을 주입하고, 토출캡(256)이 상승한 상태에서 스토퍼(259)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다시 토출캡(256)을 하강시키는 경우, 상기 홀에 주입된 약 또는 화장품들과 상기 제1 및 제2 화장료들이 함께 배출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40, 160: 화장품 용기 200: 제1화장품용기
300: 제2화장품용기 400, 500, 800: 탈착부

Claims (7)

  1. 하부에 수납홈이 형성되고, 내부의 제1화장료를 배출시키는 제1토출노즐 및 상기 제1토출노즐의 상부에 결합되는 토출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화장품용기; 및
    상기 수납홈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내부의 제2화장료를 배출하는 제2토출노즐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스위치와 연결되는 제2화장품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스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토출노즐들을 둘러싸고 후방의 일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직통로와 전방에 형성된 제1 및 제2 배출구를 구비하는 토출캡, 일단은 상기 수직통로에 삽입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에 홀이 형성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배출관, 상기 제2배출구와 연결되고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토출노즐과 밀착되는 제2배출관 및 상기 수직통로의 안에서 상기 토출캡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수직통로를 밀폐 또는 개방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관의 타단이 상기 제1토출노즐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배출관의 일단은 상기 수직통로를 밀폐시키는 상기 스토퍼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홀은 상기 제1배출구 및 상기 수직통로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와 연결되며,
    상기 토출스위치를 가압하면 상기 제1 및 제2 배출관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 토출노즐 각각을 구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 화장료 각각을 상기 제1 및 제2 배출구 각각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수납홈에서 상기 제1화장품용기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기 내측면과 이격되는 방향 및 하부를 향해 포물선 연장되며, 타단 일측에는 상기 수납홈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화장품용기의 저면에 밀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장품용기는,
    전방 일부분이 상기 수납홈을 향해 함몰되어 상기 수납홈 및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장품용기의 양측면에 연결된 일부분을 누르면 상기 제1화장품용기 내부에 삽입된 상기 제2화장품용기를 상기 제1화장품용기와 분리시키도록 형성되는 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화장품용기의 하부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동에 따라 상기 수납홈을 커버하거나 상기 수납홈을 개방하도록 형성되는 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삭제
KR1020190157593A 2019-08-27 2019-11-29 화장품 용기 KR102270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593A KR102270564B1 (ko) 2019-11-29 2019-11-29 화장품 용기
PCT/KR2019/016970 WO2021040151A1 (ko) 2019-08-27 2019-12-04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593A KR102270564B1 (ko) 2019-11-29 2019-11-29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705A KR20210067705A (ko) 2021-06-08
KR102270564B1 true KR102270564B1 (ko) 2021-06-29

Family

ID=76399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593A KR102270564B1 (ko) 2019-08-27 2019-11-29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5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21Y1 (ko) * 2009-08-12 2012-05-21 (주)톨리코리아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
KR200468900Y1 (ko) 2012-09-19 2013-09-26 주식회사 하나 화장품용 듀얼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04Y1 (ko) * 2012-06-19 2014-02-27 (주)톨리코리아 색조화장품 수납용 복합용기
KR200477732Y1 (ko) * 2014-07-15 2015-07-15 펌텍코리아 (주)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21Y1 (ko) * 2009-08-12 2012-05-21 (주)톨리코리아 내용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용기
KR200468900Y1 (ko) 2012-09-19 2013-09-26 주식회사 하나 화장품용 듀얼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705A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4831B2 (en) Handheld dispensers for personal use
EP0253577B1 (en) Pump chamber dispenser
KR200475351Y1 (ko)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101477879B1 (ko) 어린이 안전 벌크 용량 분배 유닛
KR200483953Y1 (ko)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측면 가압 콤팩트 용기
KR200482091Y1 (ko)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수직 가압 콤팩트 용기
US20180079584A1 (en) Mixing container for heterogeneous content
KR101817077B1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KR20120136446A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KR101912587B1 (ko)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2270564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2745Y1 (ko) 블로우 용기를 구비한 측면 가압 콤팩트 용기
KR200477732Y1 (ko)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200423196Y1 (ko) 액제 디스펜서
KR20120060043A (ko) 디스펜서용 펌프버튼
KR101271151B1 (ko) 노즐개폐형 화장품 용기
CN109907467B (zh) 化妆品容器
KR102245650B1 (ko) 화장품 용기
KR102607739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JP3177695B2 (ja) 薬液噴射容器
JP2019172273A (ja) 可撓性容器用ホルダー
KR200477427Y1 (ko) 내용물의 인출이 용이한 수납용기
JP2022027165A (ja) ポンプ式注出具
KR200481763Y1 (ko) 알약 케이스
JP2019135172A (ja) 流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