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476B1 -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 Google Patents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476B1
KR102270476B1 KR1020190090466A KR20190090466A KR102270476B1 KR 102270476 B1 KR102270476 B1 KR 102270476B1 KR 1020190090466 A KR1020190090466 A KR 1020190090466A KR 20190090466 A KR20190090466 A KR 20190090466A KR 102270476 B1 KR102270476 B1 KR 102270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real
assets
issuance
rese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2549A (ko
Inventor
김종인
최광호
박성욱
김기영
윤두성
Original Assignee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 filed Critical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
Priority to KR1020190090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4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은 발행 시스템이 고객으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신규 발행 주문을 받는 단계, 상기 발행 시스템은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의 예치 보유량에서 신규 발행 주문량에 해당하는 실물자산의 양을 차감하여 예치량 데이터베이스의 예치량에 합산하여 예치량을 신규 발행 주문량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행 시스템은 상기 신규 발행 주문량에 해당하는 디지털 자산을 상기 고객에게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Method of managing digital asset backed by real-asset and platfor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물 자산을 디지털화 하는 디지털 변환(digital-transformation)은 기존의 실물 자산의 물리적 한계를 넘어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특히 최근 블록체인(blockchain)이라는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기술은 이러한 자산의 디지털화를 가속시키고 있다.
블록체인은 전자적인 원장(electronic ledger)으로서 거래기록을 담고 있는 블록들로 구성된 네트워크상의 분산형 시스템으로 구현된다. 각 거래는 블록체인 시스템 내 참가자들 간에 디지털 자산의 제어 전송을 인코딩한 데이터 구조이며, 적어도 하나의 입력과 출력을 포함한다. 각 블록은 이전 블록의 해시를 포함하여 순서에 맞게 배열되기에 블록체인에 기록된 모든 거래기록의 내용과 순서는 영구적으로 수정할 수 없다. 거래들은 입력과 출력에 임베디드된 스크립트로 알려진 작은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어떻게 그리고 누구에 의해 거래들의 출력에 접근할지 여부를 구체화한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플랫폼에서 이러한 스크립트(scripts)는 스택 기반의 스크립팅 언어를 사용하여 작성된다.
블록체인 기술이 디지털 자산과 연관된 기술로만 널리 알려져 있지만, 기업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암호 보안 시스템을 모색하기 시작해왔다. 이러한 솔루션은 영구성, 이벤트의 변조 증거 기록, 분산 처리 등과 같은 블록체인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이더리움은 블록체인을 하나의 가상머신으로 구성하여, 참여자가 자산을 올리고 이를 거래할 수 있는 구조를 직접 프로그래밍 할 수 있게 한 오픈 플랫폼의 형태를 보인다.
사용자는 법정화폐를 이용하여 기관 계좌에 금액을 입금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법정화폐란 원화(KRW), 달러화(USD) 등일 수 있고, 특정 종류의 통화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입금한 금액은 다양한 방식으로 금융권 계좌에 보관되며 플랫폼 내에서는 전자지갑 내 디지털 자산의 형태로 표시된다. 디지털 자산 매수 시 충전된 금액이 차감되며, 매수한 디지털 자산은 전자지갑에 추가된다. 디지털 자산 매도 시 반대의 과정을 따른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실물 자산을 직접 거래하지 않고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을 이용하여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치의 유동성이 있는 실물 자산을 디지털화 한 자산으로 변환한 뒤 이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거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이미 실물 자신이 예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객의 신뢰성과 거래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은 발행 시스템이 고객으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신규 발행 주문을 받는 단계, 상기 발행 시스템은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의 예치 보유량에서 신규 발행 주문량에 해당하는 실물자산의 양을 차감하여 예치량 데이터베이스의 예치량에 합산하여 예치량을 신규 발행 주문량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행 시스템은 상기 신규 발행 주문량에 해당하는 디지털 자산을 상기 고객에게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발행 시스템은 정해진 시점에 상기 실물자산 공급자에게 상기 신규 발행 주문량에 해당하는 실물자산의 매수 금액을 이체하는 단계 및 상기 발행 시스템은 상기 실물자산 공급자로부터 상기 실물 자산이 상기 발행 시스템에 예치되었다는 예치 확인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행 시스템은 예치된 상기 실물 자산을 상기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의 예비 보유량으로 예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해진 시점은 상기 고객으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신규 발행 주문을 받은 이후인 실물 자산에 기반할 수 있다.
상기 신규 발행 주문량에 해당하는 디지털 자산을 상기 고객에게 발행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의 전자지갑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자산에서 상기 디지털 자산의 매수 금액만큼 차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은 디지털 자산의 신규 발행 주문을 받은 후, 상기 발행 시스템은 현재 예비 보유량과 필요 예비 보유량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에서, 현재 예비 보유량이 필요 예비 보유량 보다 많거나 동일하면, 상기 발행 시스템은 상기 예치 보유량에서 신규 발행 주문량에 해당하는 실물자산의 양을 차감하여 예치량 데이터베이스의 예치량에 합산하여 예치량을 신규 발행 주문량만큼 증가시키는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에서, 현재 예비 보유량이 필요 예비 보유량 보다 적으면, 상기 발행 시스템은 상기 실물자산 공급자로 상기 필요 예비 보유량에 해당하는 실물 자산을 매수 요청하는 단계, 상기 실물자산 공급자로 상기 필요 예비 보유량의 매수 금액을 이체하는 단계 및 상기 실물자산 공급자로부터 예치 확인증이 수신되면, 매수된 상기 필요 예비 보유량만큼 상기 예치량 데이터베이스의 예치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에서, 현재 예비 보유량이 필요 예비 보유량 보다 적으면, 상기 발행 시스템은, 현재 부족 실물 자산량에 해당하는 실물 자산을 매수 요청하는 단계, 상기 실물자산 공급자로 상기 현재 부족 실물 자산량의 매수 금액을 이체하는 단계 및 상기 실물자산 공급자로부터 예치 확인증이 수신되면, 매수된 상기 현재 부족 실물 자산량만큼 상기 예치 보유량 데이터베이스의 예치 보유량을 증가시킨 후, 상기 예치 보유량에서 신규 발행 주문량에 해당하는 실물자산의 양을 차감하여 예치량 데이터베이스의 예치량에 합산하여 예치량을 신규 발행 주문량만큼 증가시키는 단계로 넘어가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은 상기 고객으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신규 발행 주문을 받는 단계 이후, 상기 발행 시스템이 상기 실물자산 공급자에게 매수 주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매수 주문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발행 시스템인 상기 실물자산 공급자로부터 상기 매수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은 상기 발행 시스템이 발행된 상기 디지털 자산의 개수만큼 상기 디지털 자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자산의 양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은 상기 발행 시스템이 디지털 자산의 신규 발행 내역을 상기 예비 보유량의 변화량이나 상기 디지털 자산의 변화량과 일대일 페깅(pegg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은 상기 발행 시스템이 상기 실물 자산 공급자의 상기 실물 자산의 기초가격을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 자산의 신규 발행 가격을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은, 상기 발행 시스템의 거래기록은 블록체인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발행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자산의 신규 발행 내역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블록체인을 이용한 디지털 자산을 이용해 실물 자산을 거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자산은 거래시점의 실물 자산의 가치에 맞추어 그 가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미 실물 자신이 예비 보유량으로 예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실물 자산에 기반한 거래가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플랫폼의 운영 업체가 실물 자산의 실제 예치를 행하지 않아 발생하는 고객의 경제적인 손실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플랫폼의 운용 업체에 대한 고객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투자의 안정성 역시 확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의 관리 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발행 시스템이 예비 보유량에서 실물 자산의 차감 및 예치금에 합산하는 단계에 대한 세부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디지털 자산의 발행가를 결정하기 위한 시간 대비 가격의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헷징(hedging)은 국제 금시세 변동의 위험 및 환위험(Exchange Risk)을 회피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현물가격의 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선물이나 옵션등 파생상품을 이용하여 시장에서 현물과 반대되는 포지션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헷징을 하면 현물(주가 · 환율 · 금리 · 금)의 가격이 오르거나 내리더라도 파생상품포지션에서 정반대의 손익이 나타나므로 어느 한쪽의 손익이 다른 쪽의 이익으로 서로 상쇄된다. 따라서 가격변동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페깅(pegging)은 유통시장에서 디지털 자산의 가격이 기초자산으로 삼고 있는 실물자산 가격에 거의 고정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실시간 변동하는 실물자산의 가격을 반영하여 디지털 자산을 구입 또는 판매하거나, 공개 시장에서 디지털 자산을 매수 또는 매도함으로써 가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 시스템은 플랫폼(10), 실물 자산 공급자(30), 고객 거래매체(20) 및 금융 시스템(50)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고객 거래매체(20)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객 거래매체(20)의 수는 복수 개, 즉 고객의 수는 복수일 수 있다.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 시스템은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상의 클라우드 공간에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자원을 구축하고 고객 거래매체(20)가 플랫폼(10)에 접속함으로써 고객 거래매체(20)가 플랫폼(10)과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물 자산으로서 금(gold)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는 한 부동산과 도로, 자동차 등 운송장비, 기계류, 생물자원, 연구개발물, 토지, 지하자원 또는 광물자원 등의 디지털 형태로 자산화가 가능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지털 자산은 임의의 디지털 자산인 '페니골드'(예, 제1 디지털 자산)로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로, 페니골드의 개수는 금의 무게와 가치가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페니골드(예, 1 PennyGold)는 1g의 금에 대응될 수 있다. 즉, 1개의 페니골드는 1g의 금과 가치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디지털 자산은 상술한 명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디지털 자산은 비트코인과 같은 오픈소스 P2P 화폐의 형태 또는 임의의 명칭을 가지는 여러 형태의 디지털 디지털 자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자산으로 지칭하였지만, 디지털 자산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는 다른 종류의 디지털 자산도 본 발명의 디지털 자산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디지털 자산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디지털 화폐가 될 수 있다.
플랫폼(10)은 발행 시스템(11)과 고객 전자지갑(1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10)에서 발행 시스템(11)과 고객 전자지갑(12)은 하나의 서버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른 서버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플랫폼(10)의 발행 시스템(11)과 고객 전자지갑(12)은 연동되어 운용되고, 하나의 운용 업체에 의해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행 시스템(11)은 고객에게 실물 자산과 일대일 페깅(pegging)된 디지털 자산의 발행과 거래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발행 시스템(11)은 디지털 자산의 발행수수료와 디지털 자산의 거래수수료를 수익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 플랫폼(10)이 디지털 자산의 발행 등을 수행한다고 설명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발행 시스템(11)이 디지털 자산의 발행 등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발행 시스템(11)은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DB)(111), 예치량 데이터베이스(112) 및 페니골드 데이터베이스(예, 제1 디지털 자산 데이터베이스)(113)를 구비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는 금에 대한 가격 정보, 고객 정보, 결제정보 등의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데이터베이스부는 발행 시스템(11) 내에 위치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발행 시스템(11)의 외부에 위치하여 별개의 장비로 운영될 수 있다.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는 실물 자산의 예비 보유량을 데이터 형태(예, 디지털 증서)로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예비 보유량은 플랫폼(10)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운용 업체가 정해진 시간 동안의 신규 발행 수량에 해당하는 실물 자산의 양을 의미하며, 초기 예비 보유량은 한 예로 정해진 시간 동안 고객의 신규 발행 수량에 해당하는 양을 기초하여 정해진다.
본 예에서, 신규 발행은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정해진 시간은 운용 업체가 고객의 신규 발행 수량에 해당하는 실물 자산을 예치하기 위해 실물자산 공급자(30)로의 결제를 실시하는 시간 주기에 따라 정해질 수 있고, 한 예로 하루(즉, 24시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용 업체는 매일 신규 발행 주문이 시작되기 전에 실물자신 공급자(30)로부터 실물 자산을 확보하여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에 예비 보유량으로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하루가 시작되면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에 예치되어 있는 예비 보유량은 초기 예비 보유량으로 초기화된다.
예치량 데이터베이스(112)는 신규 발생된 제1 디지털 자산의 양에 해당하는 실물자산이 예치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이 예치량 데이터베이스(112)에 예치된 실물자산은 디지털 증서로서 저장될 수 있다.
예치량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되어 있는 예치량은 고객 거래매체(20)를 통해 새로운 신규 발행 주문이 발생하면,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에 예치되어 있는 예비 보유량에서 주문 요청된 신규 발행 수량에 대응하는 실물자산의 양이 예치량 데이터베이스(112)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고객의 신규 발행 주문 요청에 따라,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에서 예치량 데이터베이스(112)으로 이동한 실물 자산의 양이 1g이면 예치량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되어 있는 실물 자산의 총 예치량은 1페니골드만큼 증가하게 된다.
페니골드 데이터베이스(113)는 고객의 신규 발행 주문에 따라 현재까지 발행되어 있는 총 페니골드가 저장되어 있다.
페니골드의 가치는 실물 자산(예, 금)의 가치와 연동되므로, 페니골드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되어 있는 총 페니골드의 양은 예치량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증서의 양과 비례한다. 따라서, 예치량 데이터베이스(112)에 예치되어 있는 총 예치량은 결국 현재까지 발행 시스템(11)이 발행한 페니골드의 양과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고객 거래매체(20)로부터 신규 발행 주문이 접수되면, 발행 시스템(11)은 신규 발행 수량에 해당하는 양의 실물 자산을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에서 인출하여 예치량 데이터베이스(112)로 옮겨 놓는다.
이로 인해,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에 현재 저장되어 있는 실물 자산의 양은 인출된 양만큼 줄어들고 예치금 데이터베이스(112)에 예치되어 있는 실물자산의 총 예치금은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이동한 양만큼 증가하게 된다.
이처럼, 매일 최초 신규 발행 주문이 이루어지기 전에 플랫폼(10)의 발행 시스템(11)에는 실물자산 공급자(30)로부터 실제로 매수한 실물 자산이 예비 보유량으로 예치되어 있다. 따라서, 발행 시스템(11)은 신규 발행 주문이 이루어지면 이 예비 보유량에서 신규 발행 수량만큼 바로 실물 자산의 차감을 실시하여 해당 고객명으로 페니골드의 발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발행 시스템(11)은 고객으로부터 먼저 자금을 입금 받은 후 이후에 실물자신 공급자(30)로부터 실물 자산을 예치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실물 자산을 예치한 후 고객으로부터 신규 발행 주문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고객은 신규 발행 주문이 이루어지면 이미 확보되어 있는 실물자산을 근거로 해당 양의 페니골드를 발행받게 되므로, 운용 업체의 잘못으로 발생하는 경제적인 사기 피해가 방지된다. 이에 따라, 운용 업체와 투자에 대한 고객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고객 전자지갑(12)은 고객의 자산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고객 전자지갑(12)에는 디지털 자산(예, 제2 디지털 자산)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고객 전자지갑(12)에 저장되는 제2 디지털 자산은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자산과는 다른 종류의 디지털 자산으로서 본 예의 경우 페니캐쉬(penny cash)일 수 있다.
고객 전자지갑(12)은 금융 시스템(50)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이체된 현금을 입금 받아 페니캐쉬로 변환하여 보관할 수 있다.
페니캐쉬란 이미 기술한 것처럼 디지털 자산의 일종으로 다른 페니골드와 같은 다른 디지털 자산으로 변환될 수 있는 디지털 자산일 수 있다. 페니캐쉬는 페니골드와 같이 실물자산과 페깅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현금과 등가적으로 교환될 수 있는 디지털 자산일 수 있다. 이로 인해, 현금 10만은 10만 패니캐쉬일 수 있다.
따라서, 금융 시스템(50)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고객 전자지갑(12)으로의 현금 이체가 이루어지면, 이체된 현금 액수에 해당하는 페니캐쉬가 고객 전자지갑(12)에서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처럼, 고객 전자지갑(12)은 금융 시스템(50)을 통해 고객으로의 현금 이체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고객 전자지갑(12)은 플랫폼(10)과 별개로 존재하는 금융 시스템(50)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고객 전자지갑(12)은 고객에 대응되게 페니캐쉬를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 매체(예, 데이터베이스나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에서, 고객 거래매체(20)가 발행 시스템(11)에 전달하는 제1 디지털 자산의 신규 발행 주문에 대응하여 고객 전자지갑(12)은 발행 시스템(11)과 디지털 자산을 교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객 전자지갑(12)은 신규 발행 주문에 대응하여 페니캐쉬를 발행 시스템(11)에 전달하고 페니골드를 받을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플랫폼(10)의 발행 시스템(11)은 고객 거래매체(20)로부터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 주문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발행 시스템(11)은 고객 거래매체(20)로부터의 신규 발행 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물 자산 공급자(30)로 실물자산인 금을 매수하기 위한 매수 주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10)의 발행 시스템(11)은 고객 거래매체(20)로부터의 신규 발행 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페니골드를 신규 발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랫폼(10)의 발행 시스템(11)은 데이터베이스부를 이용하여 고객 거래매체(20)에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 페니골드 시세 고객 정보, 결제정보 등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금융 시스템(50)은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을 원하는 고객의 계좌에서 플랫폼(10)의 운영업체의 계좌로 현금 이체 동작과 실물자산 공급자(30)로부터 실물자산을 구매하기 위한 운영업체의 계좌에서 실물자산 공급자(30)의 계좌로 현금 이체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금융 시스템(50)은,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고객 계좌(51), 중계 계좌(52) 및 실물자산 공급자 계좌(53)를 구비할 수 있다.
고객 계좌(51)는 고객 거래매체(20)를 이용하여 신규 발행 주문을 행하는 고객의 계좌로서, 통상적인 시중 은행, 저축은행, 증권사 및 보험사 등의 계좌에 해당하며, 가상 계좌가 아닌 실제 계좌일 수 있다.
이러한 고객 계좌(51)에는 법정 화폐인 현금이 예치되어 있을 수 있고, 고객 계좌(51)에 예치된 현금은 중계 계좌(52)를 통해 고객 전자지갑(12)으로 이체될 수 있다.
중계 계좌(52)는 플랫폼(10)을 운용하는 운용 업체의 계좌로서, 개인 계좌 또는 법인 계좌일 수 있다.
이러한 중계 계좌(52)는 고객 계좌(51)와 플랫폼(10)의 고객 전자지갑(12)을 중간에서 중계하여, 고객 계좌(51)에서 고객 전자지갑(12)으로 현금 이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신규 발행 주문을 위한 해당 금액의 현금이 고객 계좌(51)에 입금되면, 금융 시스템(50)의 제어에 따라 고객 계좌(51)의 현금은 중계 계좌(52)를 통해 고객전자 지갑(12)으로 이체된다.
이러한 중계 계좌(52)는 고객 계좌(51)와 동일하게 실제 계좌나 가상 계좌일 수 있다.
실물자산 공급자 계좌(53)는 실물자산 공급자(30)의 계좌로서, 플랫폼(10)의 발행 시스템(11)이 실물자산 공급자(30)로부터 실물자산의 구매를 위해 이용하는 계좌일 수 있다.
따라서, 발행 시스템(11)은 실물자산 공급자(30)로부터 실물 자산을 구매하여 예치할 경우, 실물자산 공급자 계좌(53)로 구입하고자 하는 실물 자산의 양에 해당하는 구매 금액을 금융 시스템(50)을 통해 이체시키고, 실물자산 공급자(30)는 자신의 실물자산 공급자 계좌(53)에 해당 액수의 현금 입금이 확인되면 발행 시스템(11)으로 해당 양의 실물 자산을 넘겨주게 된다. 이때 실물자산 공급자(30)는 해당 양의 실물 자산을 발행 시스템(11)으로 넘겨주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예치 확인증을 발행 시스템(11)에게 발행하게 된다.
플랫폼(10)은 일 실시예로, 서버 또는 클라우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플랫폼(10)은 실물자산 공급자(30), 고객 거래매체(20), 블록체인 메인넷(40) 및 금융 시스템(5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고객 거래매체(20)는 고객이 직접 플랫폼(10)에서 발행하는 페니골드를 매수하기 위한 수단매체일 수 있다. 고객 거래매체(2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랩톱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고객 거래매체(20)는 공지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program)을 탑재하여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플랫폼(10)에 접속하여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자산의 매수 주문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 거래매체(20)는 플랫폼(10)의 발행 시스템(11)으로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 주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 거래매체(20)는 고객 전자지갑(12)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고객 전자지갑(12)은 페니골드 등 디지털 자산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고객 거래매체(20)는 금융 시스템(50)에 존재하는 자신의 계좌 고객 계좌(51)와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의 고객 계좌(51)와 고객 전자지갑(12) 사이에서 현금을 이체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란 통신 및 통신망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사용자 고객 거래매체(20) 및 플랫폼(10)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로, 실물 자산 공급자(30)는 실물 자산을 거래하는 거래 기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물 자산 공급자(30)가 독립적인 거래 기관인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일 실시예로, 실물 자산 공급자(30)은 플랫폼(10)이 신규 발행하는 페니골드의 수량에 맞추어, 실물 자산을 발행 시스템(11),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플랫폼(10)의 운영 업체에 매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물 자산 공급자(30)은 플랫폼(1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실물 자산 공급자(30)은 플랫폼(10)의 매수 주문 데이터가 담긴 거래번호와 거래 내역이 담긴 거래정보를 플랫폼(1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플랫폼(10)은 실물 자산 공급자(30)으로부터 제공받은 거래번호 및 거래정보를 수신하여 거래 확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거래 확인 데이터는 상기 거래번호 및 거래정보를 미리 정해진 암호화 과정을 따라 암호화하여 생성될 수 있다.
플랫폼(10)이 신규 발행한 페니골드의 수량 변동 내역을 상기 거래 확인 데이터와 일대일 페깅(pegging)할 수 있다. 플랫폼(10)은 페깅 데이터를 고객 거래매체(2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 시스템인 플랫폼(10)은 블록체인 메인넷(40)과 연결될 수 있다. 플랫폼(10)은 상기 거래 확인 데이터, 페니골드의 수량 변동 내역, 페깅 데이터 등을 블록체인 메인넷(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로써, 페니골드 플랫폼(10)은 신뢰할 수 있는 거래수단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4를 결부하여,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플랫폼은 이하에서 플랫폼이 주체가 되는 적어도 일부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의 관리 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발행 시스템이 예비 보유량에서 실물 자산의 차감 및 예치금에 합산하는 단계에 대한 세부 순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디지털 자산의 발행가를 결정하기 위한 시간 대비 가격의 그래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페니골드의 신규 매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랫폼(10)에서 행해지는 페니골드 신규 매수 방법은 예비 보유량을 위한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 및 매수 금액 이체 단계(S10), 예비 보유량에 대한 예치 확인증을 수신하는 단계(S20), 예비 보유량을 증가시키는 단계(S30), 페니골드의 발행가를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S40),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 주문을 수신하는 단계(S50), 예비 보유량에서 실물 자산의 차감 및 예치금에 합산하는 단계(S60),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 단계(S70), 페니골드의 수량 변동 내용을 페깅하는 단계(S80), 매수 주문한 실물 자산의 매수 금액을 실물자산 공급자로 이체하는 단계(S90), 실물자산 공급자로부터 예치 확인증을 수신하는 단계(S100),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의 예비 보유량을 초기 예비 보유량으로 예치하는 단계(S110) 및 블록체인 메인넷에 저장하는 단계(S12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에서, 고객은 고객 거래매체(20)을 통하여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 요청을 하기 전에, 미리 고객 거래 매체(20) 등을 이용하여 발행을 원하는 페니골드의 양(즉, 신규 발행 수량)에 해당하는 금액 이상의 현금을 고객 계좌(51)로 입금해야 한다.
한 예로 고객은 고객 거래 매체(20)를 이용하여 금융 시스템(50)으로 자신의 고객 계좌(51)에서 해당 액수의 현금을 중계 계좌(52)로 이체 요청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금융 시스템(50)은 고객 계좌(51)에서 해당 액수의 현금을 중계 계좌(52)로 이체하게 된다.
또한, 플랫폼(10)은 중계 계좌(52)로 이체된 금액을 확인하여 고객 전자지갑(12)에 이체 금액에 대응하는 페니캐쉬를 발행하여 저장한다.
이때, 발행되는 페니캐쉬는 이체 금액과 1:1로 대응될 수 있어, 10만원이 이체되면 10 페니캐쉬가 발행되어 고객 전자지갑(12)에 저장될 수 있다.
고객 전자지갑(12)은 이체 금액에 대응하는 페니캐쉬를 발행하면, 고객 거래매체(20)로 페니캐쉬의 발행 데이터(예, 페니캐쉬 발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페니캐쉬 발행 데이터는 발행일시, 발행매수, 발행 내역, 발행인 및 고객정보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넘어가, 먼저, 예비 보유량을 위한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 및 매수 금액 이체 단계(S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비 보유량을 위한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 및 매수 금액 이체 단계(S10)는 고객의 신규 발행 주문 요청에 무관하게 발행 시스템(11)이 예비 보유량의 실물 자산을 확보하기 위해 실물자산 공급자(30)에게 실물 자산을 매수 주문을 하고 매수 주문량에 해당하는 금액을 금융 시스템(50)을 통해 실물자산 공급자 계좌(53)로 이체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발행 시스템(11)은 매수하고자 하는 양의 실물 자산인 금을 실물자산 공급자(30)에서 주문 요청할 수 있고, 금융 시스템(50)을 통해 요청한 주문량에 해당하는 현금을 실물자산 공급자 계좌(53)로 이체한다.
이때, 발행 시스템(11)은 초기 예비 보유량과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에 현재 저장되어 있는 현재 예비 보유량의 차이만큼의 실물 자산을 매수 주문할 수 있다.
여기서, 매수 주문량에 해당하는 금액은 실시간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에 대응하여 책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플랫폼(10)과 실물자산 공급자(30)간 주문 거래는 24시간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의 구입은 실제 현물 금이거나 또는 증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비 보유량에 대한 예치 확인증을 수신하는 단계(S20)는 발행 시스템(11)이 실물자산 공급자(30)가 발행한 예치 확인서를 실물자산 공급자(3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예치 확인증은 실물자산 공급자(30)가 실물 자산을 발행 시스템(11)에 예치했다는 사실, 즉 발행 시스템(11)이 실물자산 공급자(30)로부터 실물 자산을 매수했다는 사실을 보증하는 보증서일 수 있다. 따라서, 발행 시스템(11)은 예치 확인서를 이용하여 실물자산 공급자(30)로부터 실제 실물자산, 예를 들어, 실제 현물 금으로 교환 받을 수 있다.
예치 확인서는 실물자산의 매수 일시, 실물자산의 매수량, 매수자 정보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비 보유량을 증가시키는 단계(S30)는 발행 시스템(11)이 단계(S10)에서 매수한 양의 실물 자산을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하여,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되어 있는 예비 보유량을 증가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되어 있는 예비 보유량을 초기 예비 보유량이 될 수 있다.
다음, 페니골드의 발행가를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S40)는 플랫폼(10)의 발행 시스템(11)이 실물자산 공급자(30)의 실물 자산 기초가격을 기반으로 페니골드(즉, 제1 디지털 자산)의 발행가를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페니골드의 발행가를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S40)는 발행 시스템(11)이 실물자산 공급자(30) 또는 다른 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은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를 기반으로 페니골드의 발행가를 결정하고 고객 거래매체(20)에 공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플랫폼(10)의 발행 시스템(11)은 실물자산 공급자(30) 또는 다른 기관으로부터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를 제공받을 수 있다. 플랫폼(10)은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 데이터를 고객 거래매체(20)에 전송할 수 있다. 고객은 고객 거래매체(20)를 통해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에 대한 시간 대비 가격은 도 4의 그래프의 실물 자산 시세(Pworld)에 대응될 수 있다.
플랫폼(10)은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와 개인간 금 거래 시세를 연동하여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가(즉, 신규 페니골드 매수 가격)을 결정할 수도 있다.
고객은 고객 거래매체(20)를 통해, 플랫폼(10)이 제공한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 플랫폼(10)으로부터 거래할 수 있는 페니골드 매수 가격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 주문을 수신하는 단계(S50)는 플랫폼(10)의 발행 시스템(11)이 고객으로부터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을 요청받는 단계에 해당한다. 여기서, 플랫폼(10)의 발행 시스템(11)이 고객으로부터의 발행 요청을 받는다고 함은, 고객이 입력수단을 통해 고객 거래매체(20)에 주문을 입력하면, 플랫폼(10)의 발행 시스템(11)은 고객 거래매체(20)로부터 고객의 신규 발행 주문 데이터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고객은 고객 거래매체(20)를 통해 플랫폼(10)의 발행 시스템(11)으로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을 요청할 수 있다. 고객 거래매체(20)는 페니골드 신규 발행 수량과 그에 대응하는 금액을 이미 기술한 것처럼 고객 전자지갑(12)에 이체하여, 이에 대응하여 페니캐쉬가 고객 전자지갑(12)에 예치될 수 있다.
이 때, 발행 시스템(11)뿐만 아니라 고객 전자지갑(12)도 신규 발행 주문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고객 전자지갑(12)은 발행 시스템(11)을 통해 신규 발행 주문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예비 보유량에서 실물 자산의 차감 및 예치금에 합산하는 단계(S60)는 발행 시스템(11)이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에 예치되어 있는 예비 보유량에서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 수량에 해당하는 실물 자산의 양을 차감하고, 차감된 양의 실물자산을 예치량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되어 있는 예치량에 합산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예비 보유량에서 실물 자산의 차감 및 예치금에 합산하는 단계(S60)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현재 예비 보유량과 필요 실물 자산량을 비교하는 단계(S61), 현재 예비 보유량이 필요 실물 자산량 이상이면, 현재 예비 보유량에서 필요 실물자산량을 차감하는 단계(S62), 예치량을 필요 실물 자산량만큼 증가시키는 단계(S63),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을 하는 단계(S64), 실물자산 공급자로부터 매수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65), 현재 예비 보유량이 필요 실물 자산량보다 적은 경우, 발행 시스템(11)이 필요 실물 자산량에 해당하는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을 하는 단계(S66), 실물자산 공급자로부터 매수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67), 필요 실물자산 매수 금액 이체 단계(S68), 예치 확인서 수신 단계(S69) 및 예치량을 필요 실물 자산량만큼 증가시키는 단계(S610)를 포함한다.
현재 예비 보유량과 필요 실물 자산량을 비교하는 단계(S61)는 발행 시스템(11)은 먼저,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에 예치되어 있는 현재 예비 보유량과 페니골드 주문량에 해당하는 실물자산의 양(즉, 필요 실물 자산량)을 비교하는 단계이다.
현재 예비 보유량이 필요 실물 자산량 이상이면, 현재 예비 보유량에서 필요 실물자산량을 차감하는 단계(S62)는 현재 예비 보유량이 필요 실물 자산량과 같거나 많은 경우, 발행 시스템(11)은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에 예치되어 있는 현재 예비 보유량에서 필요 실물자산량을 차감하는 단계이다.
예치량을 필요 실물 자산량만큼 증가시키는 단계(S63)은 발행 시스템(11)이 차감된 양의 실물자산을 예치량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예치량에 합산하여 예치량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예치량을 증가시키는 단계이다.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을 하는 단계(S64)는 플랫폼(10)의 발행 시스템(11)에 고객의 페니골드의 신규 발생 요청에 기반하여 실물자산 공급자(30)에게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을 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플랫폼(10)의 발행 시스템(11)은 고객이 발행 요청한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 수량을 기반으로 하여 매수 주문 데이터를 생성하여 실물자산 공급자(30)에게 전송하여, 고객이 신규 발행 요청한 페니골드의 수량에 대응하는 금의 양을 실물자산 공급자(30)에게 주문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매수 주문 데이터는 매수 요청 명령, 실물 자산의 매수량 및 고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행 요청한 페니골드의 수량에 대응하는 금의 양은 실시간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에 대응하여 책정될 수 있다. 플랫폼(10)의 발행 시스템(11)이 실물자산 공급자(30)로 주문 요청한 금의 양은, 고객이 제공한 현금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자산에서 페니골드 발행 수수료 및 거래 수수료 등 거래비용을 제외한 값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플랫폼(10)과 실물자산 공급자(30)간 주문 거래는 24시간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의 구입은 실제 현물 금이거나 또는 증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금 구입 양은 고객이 제공한 현금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자산에서 페니골드 발행 수수료 및 거래 수수료 등 거래비용을 제외한 값에 대응될 수 있다.
실물자산 공급자로부터 매수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65)는 발행 시스템(11)으로부터 매수 주문 데이터가 전송되면, 실물자산 공급자(30)는 매수 주문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접수되어 해당 양의 금에 대한 매수 주문을 정상적으로 접수되었음을 확인하는 확인 데이터인 매수 확인 데이터를 발행하여 전송함에 따라, 발행 시스템(11)이 실물자산 공급자(30)으로부터 전송된 매수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여 별도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이때, 매수 확인 데이터는 매수 주문 시간, 매수 주문량, 매수 주문자, 매수 주문량에 대응하는 매수 금액, 매수 금액 이체 계좌 정보 및 거래 내역이 담긴 거래 정보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플랫폼(10)은 실물자산 공급자(30)로부터 제공받은 매수 확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거래 확인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거래 확인 데이터는 매수 확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암호화 과정을 따라 암호화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하지만, 단계(S61)에서 현재 예비 보유량이 필요 실물 자산량보다 적으면, 발행 시스템(11)이 필요 실물 자산량에 해당하는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을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예비 보유량이 필요 실물 자산량보다 적은 경우, 발행 시스템(11)이 필요 실물 자산량에 해당하는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을 하는 단계(S66)는 단계(S64)와 유사하게 필요 실물 자산량에 해당하는 매수 주문 데이터를 생성하여 실물자산 공급자(30)에게 전송하여, 필요 실물 자산량에 해당하는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실물자산 공급자(30)로부터 매수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67)는 역시 단계(S55)와 같이 발행 시스템(11)으로부터 매수 주문 데이터가 전송되면, 실물자산 공급자(30)는 매수 주문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접수되어 해당 양의 금에 대한 매수 주문을 정상적으로 접수되었음을 확인하는 확인 데이터인 매수 확인 데이터를 발행하여 전송하고, 이로 인해, 발행 시스템(11)이 실물자산 공급자(30)로부터 전송된 매수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여 별도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필요 실물자산 매수 금액 이체 단계(S68)는 발행 시스템(11)이 금융 시스템(50)을 이용하여 플랫폼(50)의 운영 업체의 금융 계좌에서 실물자산 공급자 계좌(53)로 필요 실물 자산량의 매수 금액을 이체하는 단계이다.
이체 동작이 완료되면, 금융 시스템(50)은 실물자산 공급자(30)와 발행 시스템(11)으로 이체 확인서를 전송할 수 있다.
예치 확인서 수신 단계(S69)는 발행 시스템(11)이 실물자산 공급자(30)로부터 필요 실물 자산량에 대한 예치 확인서(즉, 필요 실물 자산 예치 확인서)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실물자산 공급자(30)는 발행 시스템(11)이 매수 주문한 필요 실물 자산량에 해당하는 실물 자산을 발행 시스템(11)으로 예치시킨 후 예치 확인서는 발행 시스템(11)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실물자산 공급자(30)는 금융 시스템(50)으로부터 이체 확인서를 수신하면 필요 실물 자산 예치 확인서를 발행하여 발행 시스템(1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치량을 필요 실물 자산량만큼 증가시키는 단계(S610)는 실물자산 공급자(30)으로부터 필요 실물 자산량이 예치되면, 발행 시스템(11)은 예치된 필요 실물 자산량을 예치량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되어 있는 예치량과 합산하여, 예치량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예치량을 증가시키는 단계이다.
즉, 필요 현재 부족한 실물 자산의 양이 예치되면, 발행 시스템(11)은 현재 새롭게 예치된 실물자산의 양을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에 예치되어 있는 예비 보유량과 합산시킨 후, 단계(S61)로 넘어가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의 예비 보유량과 예치량 데이터베이스(112)의 예치량을 변화시킨다. 이때, 발행 시스템(11)은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예비 보유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예치량 데이터베이스(112)의 현재 예치량만을 필요 실물 자산량만큼 증가시키게 된다.
본 예에서는 현재 예비 보유량이 필요 실물 자산량보다 작은 경우, 발행 시스템(11)은 필요 실물 자산량에 해당하는 실물 자산을 실물자산 공급자(30)로부터 매수 주문하여 필요 실물 자산량에 해당하는 실물 자산을 구매하였다.
하지만, 이와 달리 대안적인 예에서, 현재 부족한 실물 자산의 양(즉, 필요 실물자산과 예비 보유량의 차이)(현재 부족 실물 자산량)만을 매수한 후, 예비 보유량을 필요 실물 자산량까지 증가시킨 후 단계(S62, S63)의 동작과 동일하게 예비 보유량을 감소시키고 현재 예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발행 시스템(11)은 단계(S63)로 넘어가 실물자산 공급자(30)로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예비 보유량에서 실물 자산의 차감 및 예치금에 합산하는 단계(S60)의 동작이 완료되면, 발행 시스템(11)은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 단계(S70)로 넘어간다.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 단계(S70)는 발행 시스템(11)이 신규 발행 주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발행 요청된 신규 발행 수량만큼의 해당 고객에서 발행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발행 시스템(11)은 고객 전자지갑(12)에서 해당 발행되는 페니골드의 수량에 해당하는 액수만큼의 페니캐쉬를 차감한 후 해당 수량의 페니골드를 발행하여 고객 전자지갑(12)에 예치한다. 이때, 페니캐쉬의 차감 동작은 페니골드의 발행 이후에 행해질 수 있다.
이때, 발행 시스템(11)은 페니골드가 신규 발행되면 페니골드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페니골드의 양을 신규 발행된 페니골드량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발행 시스템(11)은 증가한 페니골드량에 맞게 현재 발행되고 있는 총 페니골드량에 관련된 보유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객 전자지갑(12)에 저장되어 있는 페니캐쉬는 신규 발행된 페니골드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감소하게 된다. 페니골드가 신규 발행되면, 발행 시스템(11)은 신규 발행 일시, 신규 발행 개수, 1 페니골드에 대한 신규 발행가격 및 페니골드 신규 발행 내역 등을 구비하는 페니골드 신규 발행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처럼, 고객으로부터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 주문이 접수되고 그에 대응하는 현금이 플랫폼(10)으로 이체되면, 예비 보유량에서 발행 요청된 페니골드의 양에 해당하는 실물 자산이 예치량으로 바로 이동되므로, 고객은 자신의 신규 발행 주문에 해당하는 실물자산의 확보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짐을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신규 발행 요청된 페니골드에 해당하는 실물 자산의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아 투자금이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고객은 플랫폼(10)에서 운용하는 투자의 안정성을 확신하게 된다.
페니골드의 수량 변동 내용을 페깅하는 단계(S80)는 발행 시스템(11)이 예치량 데이터베이스(112)의 예치량 변화량이나 페니골드 데이터베이스(113)의 페니골드 변화량을 이용하여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 내역을 페깅하는 단계로서, 이러한 페깅 동작에 의해 페깅 내역을 포함하는 페깅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예에서, 페니골드를 발행하는 단계(S70)와 페니골드의 수량 변동 내용을 페깅하는 단계(S80)의 순서를 서로 바뀔 수 있다.
매수 주문한 실물 자산의 매수 금액을 실물자산 공급자로 이체하는 단계(S90)는 발행 시스템(11)이 매수 주문한 실물 자신의 매수 금액을 실물자산 공급자(30)로 이체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발행 시스템(11)은 정해진 시간(예, 정해진 날)이 되면, 금융 시스템(50)에 접속하여 매수 확인 데이터에 기재되어 있는 매수 금액을 해당 금융 계좌, 즉 실물자산 공급자 계좌(53)로 이체한다. 이때, 정해진 시점은 고객 거래매체(20)를 통해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 요청이 발생한 이후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해진 시점은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 요청이 발생한 바로 다음날 정해진 시간(예, 오전 9시)에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발행 시스템(11)은 매일 한번 하루 전날에 발생한 신규 발행 주문에 대응하는 매수 금액의 이체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금융 시스템(50)을 통해, 발행 시스템(11)으로부터 실물자산 공급자 계좌(53)로 정해진 매수 금액에 대한 이체 동작이 이루어지면, 금융 시스템(50)은 발행 시스템(11)과 실물자산 공급자(30)로 이체 확인서를 생성해 전송할 수 있다.
실물자산 공급자(30)로부터 예치 확인증을 수신하는 단계(S100)은 발행 시스템(11)이 실물자산 공급자(30)로부터 예치 확인증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금융 시스템(50)으로부터 이체 확인서를 수신하면, 실물자산 공급자(30)는 이체된 금액에 해당하는 실물자산(즉, 금)을 발행 시스템(11)으로 넘겨주고, 해당 양의 금이 발행 시스템(11)에 예치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예치 확인증을 발행하여 발행 시스템(11)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발행 시스템(11)으로 실물자산 공급자(30)으로부터 해당 양의 금을 매수하였음을 법적으로 인정받게 된다.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의 예비 보유량을 초기 예비 보유량으로 예치하는 단계(S110)는 발행 시스템(11)이 실물자산 공급자(30)로부터 매수한 실물 자산을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의 예비 보유량으로 예치시켜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의 예비 보유량을 초기 예비 보유량 이상으로 채워놓는 단계이다.
이러한 발행 시스템(11)의 동작에 의해,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에 예치되어 있는 예비 보유량은 당일의 신규 발행 주문이 발생하기 전에 항상 초기 예비 보유량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이처럼, 고객으로부터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 주문이 발생하기 전에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111)에는 신규 발행 주문에 필요한 실물 자산이 이미 확보되어 있다.
다음으로, 블록체인 메인넷에 저장하는 단계(S120)에 대해 설명한다.
블록체인 메인넷에 저장하는 단계(S120)는 플랫폼(10)이 보유 데이터와 디지털 자산 발행 내역을 블록체인 메인넷에 저장하는 단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10)은 앞서 고객의 주문에 따라 생성한 거래 확인 데이터, 보유 데이터 및 페니골드 신규 발행 데이터를 블록체인 메인넷(40)에 저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플랫폼(10)은 고객 전자지갑(12)의 페니캐쉬 발행 데이터 등의 데이터도 블록체인 메인넷(40)에 저장할 수 있다.
블록체인 메인넷(40)은 독자적 플랫폼(10)을 가지면서도, 메인 네트워크를 운영이 가능해진 디지털 자산 메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블록체인 메인넷(40)은 이더리움 또는 아이콘 등의 메인넷일 수 있다.
보유 데이터와 페니골드 신규 발행 데이터 등이 블록체인 메인넷(40)에 저장되는 경우, 디지털 자산은 그 생성부터가 정부나 법, 중앙은행 등과 상관이 없는 출발점을 가졌기에, 일 고객과 플랫폼(10)간의 페니골드 거래가 정상적인 거래인지 아니면 해킹 등에 의한 가짜 거래인지 쉽게 판별될 수 있다. 따라서, 일 고객과 플랫폼(10)간의 페니골드 거래는 타 고객들 모두에게 일 고객과 플랫폼(10) 사이의 거래가 있었다는 내용을 암호화하여 전파함으로써 모두가 그 거래를 인정하고 신뢰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메인넷에 저장하는 단계(S120)는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과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플랫폼
11: 발행 시스템
12: 고객 전자지갑
20: 고객 거래매체
30: 실물자산 공급자
40: 블록체인 메인넷
S10: 예비 보유량을 위한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 및 매수 금액 이체 단계
S20: 예비 보유량에 대한 예치 확인증을 수신하는 단계,
S30: 예비 보유량을 증가시키는 단계
S40: 페니골드의 발행가를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
S50: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 주문을 수신하는 단계
S60: 예비 보유량에서 실물 자산의 차감 및 예치금에 합산하는 단계
S70: 페니골드의 신규 발행 단계
S80: 페니골드의 수량 변동 내용을 페깅하는 단계
S90: 매수 주문한 실물 자산의 매수 금액을 실물자산 공급자로 이체하는 단계
S100: 실물자산 공급자로부터 예치 확인증을 수신하는 단계
S110: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의 예비 보유량을 초기 예비 보유량으로 예치하는 단계
S120: 블록체인 메인넷에 저장하는 단계
S61: 현재 예비 보유량과 필요 실물 자산량을 비교하는 단계
S62: 현재 예비 보유량이 필요 실물 자산량 이상이면, 현재 예비 보유량에서 필요 실물자산량을 차감하는 단계
S63: 예치량을 증가시키는 단계
S64: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을 하는 단계
S65: 실물자산 공급자로부터 매수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S66L 현재 예비 보유량이 필요 실물 자산량보다 적은 경우, 발행 시스템이 필요 실물 자산량에 해당하는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을 하는 단계
S67: 실물자산 공급자로부터 매수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S68: 필요 실물자산 매수 금액 이체 단계
S69: 예치 확인서 수신 단계
S610: 예치량을 필요 실물 자산량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Claims (14)

  1.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
    발행 시스템이 고객의 고객 거래매체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신규 발행 주문을 받는 단계;
    상기 발행 시스템은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의 예치 보유량에서 신규 발행 주문량에 해당하는 실물자산의 양을 차감하여 예치량 데이터베이스의 예치량에 합산해 예치량을 신규 발행 주문량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발행 시스템은 상기 신규 발행 주문량에 해당하는 디지털 자산을 상기 고객의 고객 전자지갑에 예치하여 상기 디지털 자산을 상기 고객에게 발행하는 단계;
    상기 발행 시스템은 정해진 시점에 실물자산 공급자에게 상기 신규 발행 주문량에 해당하는 실물자산의 매수 금액을 이체하는 단계;
    상기 발행 시스템은 상기 실물자산 공급자로부터 상기 실물 자산이 상기 발행 시스템에 예치되었다는 예치 확인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발행 시스템은 예치된 상기 실물 자산을 상기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의 예비 보유량으로 예치하여 상기 예비 보유량 데이터베이스의 예비 보유량을 초기 예비 보유량 이상으로 채워 놓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시점은 상기 고객 거래매체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신규 발행 주문을 받은 이후인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발행 주문량에 해당하는 디지털 자산을 상기 고객에게 발행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의 전자지갑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자산에서 상기 디지털 자산의 매수 금액만큼 차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디지털 자산의 신규 발행 주문을 받은 후, 상기 발행 시스템은 현재 예비 보유량과 필요 예비 보유량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현재 예비 보유량이 필요 예비 보유량 보다 많거나 동일하면, 상기 발행 시스템은, 상기 예치 보유량에서 신규 발행 주문량에 해당하는 실물자산의 양을 차감하여 예치량 데이터베이스의 예치량에 합산해 예치량을 신규 발행 주문량만큼 증가시키는 단계로 넘어가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현재 예비 보유량이 필요 예비 보유량 보다 적으면, 상기 발행 시스템은,
    상기 실물자산 공급자로 상기 필요 예비 보유량에 해당하는 실물 자산을 매수 요청하는 단계;
    상기 실물자산 공급자로 상기 필요 예비 보유량의 매수 금액을 이체하는 단계; 및
    상기 실물자산 공급자로부터 예치 확인증이 수신되면, 매수된 상기 필요 예비 보유량만큼 상기 예치량 데이터베이스의 예치량을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현재 예비 보유량이 필요 예비 보유량 보다 적으면, 상기 발행 시스템은,
    현재 부족 실물 자산량에 해당하는 실물 자산을 매수 요청하는 단계;
    상기 실물자산 공급자로 상기 현재 부족 실물 자산량의 매수 금액을 이체하는 단계; 및
    상기 실물자산 공급자로부터 예치 확인증이 수신되면, 매수된 상기 현재 부족 실물 자산량만큼 상기 예치 보유량 데이터베이스의 예치 보유량을 증가시킨 후, 상기 예치 보유량에서 신규 발행 주문량에 해당하는 실물자산의 양을 차감하여 예치량 데이터베이스의 예치량에 합산하여 예치량을 신규 발행 주문량만큼 증가시키는 단계로 넘어가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거래매체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신규 발행 주문을 받는 단계 이후, 상기 발행 시스템이 상기 실물자산 공급자에게 매수 주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매수 주문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발행 시스템인 상기 실물자산 공급자로부터 매수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행 시스템은 발행된 상기 디지털 자산의 개수만큼 상기 디지털 자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자산의 양을 변화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행 시스템은 디지털 자산의 신규 발행 내역을 상기 예비 보유량의 변화량이나 상기 디지털 자산의 변화량과 일대일 페깅(pegging)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행 시스템이 상기 실물 자산 공급자의 상기 실물 자산의 기초가격을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 자산의 신규 발행 가격을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행 시스템의 거래기록은 블록체인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발행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자산의 신규 발행 내역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KR1020190090466A 2019-07-25 2019-07-25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KR102270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466A KR102270476B1 (ko) 2019-07-25 2019-07-25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466A KR102270476B1 (ko) 2019-07-25 2019-07-25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549A KR20210012549A (ko) 2021-02-03
KR102270476B1 true KR102270476B1 (ko) 2021-06-28

Family

ID=74572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466A KR102270476B1 (ko) 2019-07-25 2019-07-25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4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333B1 (ko) 2022-05-16 2023-06-20 김호국 복합 상품을 기반으로 한 다변화 수익창출에 기여하는 사용자화 자산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98859A (ja) * 2017-05-29 2018-12-20 佐藤長八商事株式会社 貴金属の預け入れ、及び交換・売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971A (ko) * 2018-01-15 2019-07-24 김준호 가치를 가진 가상화폐 거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98859A (ja) * 2017-05-29 2018-12-20 佐藤長八商事株式会社 貴金属の預け入れ、及び交換・売却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333B1 (ko) 2022-05-16 2023-06-20 김호국 복합 상품을 기반으로 한 다변화 수익창출에 기여하는 사용자화 자산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549A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4921B2 (en) Exchanging value between a service buyer and a service provider
US202000511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assets among parties through tokenization of assets
US20210118052A1 (en) Cryptocurrency cash gateway
KR20210024994A (ko) 디지털 자산 교환
KR102182072B1 (ko)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
US20210326987A1 (en) Collateral Cryptocurrency Backed Payment
KR20200094531A (ko)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3033399A (ja) 為替集合取引銀行サーバ、為替集合取引方法及び為替集合取引プログラム
KR20180004049A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이종화폐 송금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10008687A (ko)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및 운영방법
US20190318333A1 (en) Real-time network processing nucleus
KR102270476B1 (ko)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KR101138416B1 (ko) 가상 계좌를 이용한 국제 거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37445A (ko) 매출채권의 유통을 중개하는 은행서버 및 그 방법
JP2019191876A (ja) 仮想通貨クリアリングシステム
KR102296991B1 (ko) 블록체인 기반 마일리지 통합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KR20200051202A (ko) 블록체인 주소 확인을 통한 결제 방법 및 결제 매체
KR20200051200A (ko) 블록체인 생태계를 위한 결제 방법 및 결제 매체
KR20200090593A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회원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200124014A (ko) 전자상거래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97134B1 (ko) 가상화폐 유통시스템
KR102620003B1 (ko)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
KR102575124B1 (ko) 환불 절차를 내포하는 가상 화폐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564111B1 (ko) 가상화폐인 사용자의 포인트를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로 교환해주는 시스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KR20190086198A (ko) 클라우드 기반으로 개인 간의 암호 화폐 거래를 중개하는 방법 및 그 거래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