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410B1 - Auxiliary display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and digital keyboard instrument with auxiliary display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 Google Patents
Auxiliary display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and digital keyboard instrument with auxiliary display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0410B1 KR102270410B1 KR1020190172205A KR20190172205A KR102270410B1 KR 102270410 B1 KR102270410 B1 KR 102270410B1 KR 1020190172205 A KR1020190172205 A KR 1020190172205A KR 20190172205 A KR20190172205 A KR 20190172205A KR 102270410 B1 KR102270410 B1 KR 1022704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board instrument
- displayed
- keys
- key
- display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디지털 건반악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instrument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a digital keyboard instrument provided with a keyboard instrument auxiliary display device.
디지털 피아노는 피아노와 같은 건반을 구비하면서 그 소리는 기계음에 의하여 발생시키는 장치이다.A digital piano is a device that has the same keyboard as a piano and generates the sound by a mechanical sound.
디지털 피아노는 주로 건반과 소리를 위주로 그 기술이 발달하여 왔다. 예를 들어, 건반의 경우 종래에는 일반 버튼과 같은 구성에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로 터치 강도를 감지하여 음의 강약을 감지하였다면 최근에는 해머 건반을 도입하여 어쿠스틱 피아노와 매우 유사한 터치감을 제공하면서 음의 강약을 보다 섬세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었다.The digital piano has been developed mainly based on the keyboard and soun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keyboard, conventionally, the strength of a note was sensed by sensing the intensity of a touch with a sensor that detects spe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a general button. Recently, a hammer keyboard has been introduced to provide a touch feeling very similar to that of an acoustic piano, Weaknesses can now be detected more delicately.
소리의 경우 실제 그랜드 피아노의 각 건반의 음을 녹음한 후 이의 디지털화 과정을 거침으로서 디지털 피아노로도 기계음을 넘어선 풍부한 소리를 제공할 수 있게 발전해왔다.In the case of sound, by recording the notes of each key of an actual grand piano and going through the digitization process, digital pianos have developed to provide a richer sound that goes beyond mechanical sounds.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피아노의 표시장치는 별다른 기술적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았었다.Nevertheless, the display device of the digital piano has not been the subject of much technical interest.
최근 스마트폰 관련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디스플레이의 응용이 다양해 짐에 따라 여러 가지 응용기술이 가능해졌다. 발명자는 이를 고려하여 피아노 혹은 디지털 피아노에 적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smartphone-related technologies, various application technologies have become possible as the applications of displays are diversified.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inventor has developed a display device applicable to a piano or a digital piano.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보고 쉽게 눌러야 할 건반을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의 건반악기 학습 효과를 높이거나 연주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디지털 건반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board instrument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a keyboard instrument auxiliary display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user's keyboard instrument learning effect or improve performance efficiency 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identify the key to press by looking at the display. To provide an equipped digital keyboard instrument.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건반악기의 건반 전체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건반악기의 각 건반의 너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너비의 건반들을 형상화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건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건반을 다른 건반과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keyboard instrument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is formed to be at least wider than the entire keyboard width of the keyboard instrument, and the control unit shapes keys having a width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 of each key of the keyboard instrument to form the display unit , and at least one of the displayed keys may be displayed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key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건반들과 눌러야할 건반의 위치와 눌러야할 시점을 표시하는 건반 지시자가 표시되는 영역을 상부와 하부로 구분하여 각각을 표시하고, 상기 건반 지시자는 대응되는 건반을 눌러야할 시점이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건반과 점점 가까워지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key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area where the key indicat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key to be pressed and the time to press the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to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and displays each, The key indicator may be displayed as getting closer to the key as a time point at which a corresponding key should be pressed approach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건반들과 악보가 표시되는 영역을 구분하여 각각을 표시하고, 악보에 표시되는 음표와 해당 음표에 대응하는 건반은 동일한 색으로 표시하되, 적어도 2 이상의 서로 다른 악보상 음표는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divides the key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area in which the sheet music is displayed and displays them respectively, and the notes displayed on the sheet music and the keys corresponding to the notes are displayed in the same color. However, at least two or more different musical score notes may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의 배면에 구비되며, 피아노 뚜껑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각 건반의 위치는 장치와 피아노 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피아노의 각 건반과 나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the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lid of the piano; further comprising, the position of each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the position of the piano in a state in which the device and the piano lid are coupled. It can be set to be side by side with each ke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에 전달할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시작지점, 끝지점 및 건반의 수에 대응하는 건반의 크기를 정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mmand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size of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start point, the end point, and the number of key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표시부; 사운드 출력부; 건반악기의 건반과 같은 형상의 건반이 배열된 건반부; 및 상기 건반부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운드 출력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건반악기의 건반 전체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건반악기의 각 건반의 너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너비의 건반들을 형상화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되, 상기 건반부에 배열된 건반과 나란한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건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건반을 다른 건반과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sound output unit; a keyboard section on which keys having the same shape as those of a keyboard instrument are arrange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keyboard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is formed to be at least wider than an entire keyboard of the keyboard instrument, and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have a width of each key of the keyboard instrument. Key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s ? and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isplayed in a position parallel to the keys arranged on the keyboard unit, and at least one of the displayed keys can be displayed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key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건반들과 눌러야할 건반의 위치와 눌러야할 시점을 표시하는 건반 지시자가 표시되는 영역을 상부와 하부로 구분하여 각각을 표시하고, 상기 건반 지시자는 대응되는 건반을 눌러야할 시점이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건반과 점점 가까워지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key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area where the key indicat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key to be pressed and the time to press the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to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and displays each, The key indicator may be displayed as getting closer to the key as a time point at which a corresponding key should be pressed approach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건반들과 악보가 표시되는 영역을 구분하여 각각을 표시하고, 악보에 표시되는 음표와 해당 음표에 대응하는 건반은 동일한 색으로 표시하되, 적어도 2 이상의 서로 다른 악보상 음표는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divides the key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area in which the sheet music is displayed and displays them respectively, and the notes displayed on the sheet music and the keys corresponding to the notes are displayed in the same color. However, at least two or more different musical score notes may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에 전달할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시작지점, 끝지점 및 건반의 수에 대응하는 건반의 크기를 정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mmand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size of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start point, the end point, and the number of key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본 발명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보고 쉽게 눌러야 할 건반을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의 건반악기의 학습 효과를 높이거나 연주 효율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easily identify a key to be pressed by looking at the display,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learning effect of the keyboard instrument or improving performance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와 피아노 뚜껑의 결합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디지털 건반악기를 나타낸 것이다.1 shows a keyboard instrument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of the keyboard instrument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of the keyboard instrument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keyboard instrument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a piano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keyboard instrument equipped with a keyboard instrument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낸 것이다.1 shows a keyboard instrument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건반악기는 피아노, 파이프오르간, 디지털 피아노, 전자 피아노, 미디 키보드(midi keyboard) 등 다양한 명칭으로 호칭되는 건반으로 연주되는 아날로그, 디지털 악기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하기로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keyboard instrument is to be understood as a concept encompassing both analog and digital musical instruments played with keys called by various names such as piano, pipe organ, digital piano, electronic piano, and midi keyboard. do.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표시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keyboard instrument
표시부(110)는 비교적 얇은 평판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10)는 건반악기 건반의 배치에 대응되도록 가로가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의 얇은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표시부(110)의 너비는 적어도 건반악기의 건반 전체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10)는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적용하고자 하는 건반악기가 61건반인 경우, 76건반인 경우, 88건반인 경우 등 건반의 수가 다른 경우에 각 건반의 총 너비보다는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표시부(110)가 적어도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적용하고자 하는 건반악기의 건반의 위치에 대응하는 각 건반을 건반악기의 건반과 나란하게 표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The width of the
표시부(110)는 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그 표시내용이 정하여 질 수 있다.The
표시부(110)는 엘시디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엘이디(LED)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표시부(110)에는 기본적으로 건반악기의 각 건반에 대응되는 건반들이 표시되며, 그 외의 정보들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The
제어부(120)는 제어부(120)에 연결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거나 이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형의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아두이노(Arduino), 라즈베리파이(Rasberry Pi)와 같은 소형의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형의 컴퓨터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제어부(120)는 표시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표시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와 표시부(110)의 연결은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를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제어부(120)에 의한 표시부(110)의 표시내용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며,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Hereinafter, control of the display contents of the
제어부(120)는 건반악기의 각 건반의 너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너비의 건반들을 형상화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너비라는 것은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건반이 실제 건반보다 작거나 다른 형상(동그라미 등)으로 설정되더라도 그 표시되는 위치는 실제 건반의 너비 내에 표시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기로 한다. 이렇게 표시하는 것은 실제 건반악기의 각 건반과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건반들이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표시부(110)를 보고 눌러야할 건반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제어부(120)는 표시부(110)에 표시된 건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건반을 다른 건반과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건반과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것은 식별하고자 하는 건반을 색을 다르게 하거나, 다른 건반의 표시보다 더 굵은 선에 의하거나, 깜빡이는(blink) 효과를 주어 표시하여 사용자가 쉽게 다른 건반과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FIG. 2 shows the operation of the
도 2에서와 같이, 제어부(120)는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건반(VK)들을 상부, 건반 지시자(KI)가 표시되는 영역을 하부로 구분하여 각각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양자의 구분을 위하여 표시부(110)에 구분선(D)을 표시할 수 있다. 상부와 하부에 표시되는 내용은 서로 바뀔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건반 지시자(KI)는 눌러야할 건반의 위치와 시점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도 2에서와 같이 대략 건반 하나 정도의 길이를 갖는 막대모양으로 표시될 수 있다. 건반 지시자(KI)는 표시되는 각 건반과 매칭되어 나란하게 표시되며, 대응되는 건반을 눌러야할 시점이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건반과 점점 가까워지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key indicator KI indicates the position and timing of a key to be pressed, and may be displayed in a bar shape having a length of approximately one key as shown in FIG. 2 . The key indicator KI may be displayed in parallel with each displayed key, and may be displayed as getting closer to the key as a time point at which a corresponding key should be pressed approache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부(110)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3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도 3에서와 같이, 제어부(120)는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건반들(VK)과 악보가 표시되는 영역을 구분하여 각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와 유사하게, 제어부(120)는 상부에 악보를 표시하고 하부에 건반들(VK)을 표시하였다.As shown in FIG. 3 , the
제어부(120)는 악보에 표시되는 음표 중 적어도 2 이상의 서로 다른 악보상 음표를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악보상 음표는 악보상 위치가 다르거나 악보상 같은 위치라고 하더라도 높낮이가 다른 음표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The
또한, 제어부(120)는 악보에 표시되는 음표와 해당 음표에 대응하는 건반을 동일한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악보에 표시되는 음표에 대응하는 건반이란 그 높낮이에 해당하는 건반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악보상 음표와 이에 대응하는 건반이 동일한 색으로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표시부(110)를 보면서 악보의 각 음표에 해당하는 건반이 무엇인지 즉각적으로 알아차릴 수 있다.Also, the
제어부(120)는 상술한 음표와 건반에 대한 색을 여러 가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색 이외에도 굵기의 차이, 깜빡임 등 다른 구분 방식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피아노 뚜껑의 결합을 나타낸 것이다.4 shows the combination of the keyboard instrument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결합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 the keyboard instrument
결합부(130)는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피아노 뚜껑과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결합부(130)는 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두 접촉면, 두 접촉면이 서로 이격되거나 근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격수단 및 두 접촉면이 피아노 뚜껑의 어느 한 면 모서리 부근을 짚는(grip) 경우 그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예를 들어, 결합부(130)는 배면에 형성된 접착면을 포함하여 피아노 뚜껑 내측에 붙이는 것만으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피아노 뚜껑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도 4b를 참조하면, 결합부(130)에 의하여 결합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피아노 뚜껑의 모습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 the appearance of the keyboard instrument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피아노 뚜껑에 결합된 상태에서,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각 건반의 위치는 피아노의 각 건반과 나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조할 때에 결합부(130), 표시부(110)와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건반의 위치를 피아노의 각 건반과 나란하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물론, 각 피아노의 건반 위치나 설계 오차 등으로 인하여 건반이 정확히 나란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건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과 이에 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keyboard instrument
예를 들어,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keyboard instrument
입력부는 표시부(110)와 일체로 형성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유에스비(USB) 연결을 통한 마우스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input unit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integrally formed with the
입력부는 제어부(120)에 전달할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The input unit may receive a command to be transmitted to the
제어부(120)에 전달할 명령은 예를 들어, 시작지점, 끝지점 및 건반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작지점은 가장 낮은 음높이의 건반이 표시되는 위치를 의미하고, 끝지점은 가장 높은 음높이의 건반이 표시되는 위치를 의미한다.The command to be transmitted to the
제어부(120)는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시작지점, 끝지점 및 건반의 수에 대응하는 건반의 크기를 정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The
제어부(120)의 이러한 동작을 통하여 보정(Calibration)된 건반은 연주하고자 하는 건반악기와 나란하게 표시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keyboard calibrated through this operation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디지털 건반악기(100)를 나타낸 것이다.5 shows a
도 5를 참조하면,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디지털 건반악기(100)는 표시부(110), 제어부(120), 사운드 출력부(140) 및 건반부(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표시부(110) 및 표시부(110)를 제어하는 제어부(120)에 관한 것 중 대부분은 상술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설명한 바와 같거나 유사한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Most of the
제어부(120)는 도 1을 통하여 설명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와는 달리 건반부(150)를 포함하는 몸체의 내부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표시부(11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를 줄여 표시부(110)를 얇게 제조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Unlike the keyboard instrument
제어부(120)는 표시부(110), 사운드 출력부(140) 및 건반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제어부(120)는 건반부(150)의 입력에 대응하여 각 건반에 대응하는 높낮이와 강도 및 입력된 길이 정도의 소리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운드 출력부(140)를 제어한다.The
제어부(120)는 건반악기의 각 건반의 너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너비의 건반들을 형상화하여 상기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0)는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건반을 건반부(150)에 배열된 건반과 나란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에 의하면 사용자는 물리적 형상을 가진 건반과 표시된 건반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부(110)를 보고 쉽게 눌러야할 건반을 대응시켜(mapping) 알아차릴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디지털 피건반악기(100)는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건반과 건반부(150)에 포함된 실제 물리적 건반을 각각 나란하게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표시부(110)의 지시에 따라 건반악기를 연주하는 등 건반악기 학습 효과를 높이거나 연주 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디지털 건반악기(100)는 건반부(150)를 위주로 그 크기와 형상이 설계된 일반 디지털 피아노는 외에도 업라이트(upright)나 그랜드 피아노(grand piano) 형상으로 제조된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의 디지털 피아노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100: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디지털 건반악기
110: 표시부
120: 제어부
130: 결합부
140: 사운드 출력부
150: 건반부100: a keyboard instrument auxiliary display device, a digital keyboard instrument equipped with a keyboard instrument auxiliary display device
110: display unit
120: control unit
130: coupling part
140: sound output unit
150: keyboard
Claims (9)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표시부의 배면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피아노 뚜껑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건반악기의 건반 전체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건반악기의 각 건반의 너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너비의 건반들을 형상화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건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건반을 다른 건반과 식별되도록 표시하며,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각 건반의 위치는 장치와 피아노 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피아노의 각 건반과 나란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결합부는,
피아노 뚜껑과 접촉하는 두 접촉면;
상기 두 접촉면이 서로 이격되거나 근접되도록 조절하는 이격수단; 및
상기 두 접촉면이 피아노 뚜껑을 짚는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nd
It includes a;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iano lid;
The display portion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entire keyboard of the keyboard instrument,
The control unit shapes keys having a width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 of each key of the keyboard instrument and displays them on the display unit, and displays at least one of the displayed key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keys;
The position of each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set to be parallel to each key of the piano in a state where the device and the piano lid are combined,
The coupling part,
two contact surfaces in contact with the piano lid;
spacer means for controlling the two contact surfaces to be spaced apart or close to each other; and
and a fixing means for fixing a state in which the two contact surfaces hold the piano lid.
상기 제어부에 전달할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가장 낮은 음높이의 건반이 표시되는 위치인 시작지점, 가장 높은 음높이의 건반이 표시되는 위치인 끝지점 및 건반의 수에 대응하는 건반의 크기를 정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
인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mmand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size of a key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keys and a start point where the lowest pitch key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is displayed, an end point where the highest pitch key is displayed,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to do
A keyboard instrument auxiliary display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건반들과 악보가 표시되는 영역을 구분하여 각각을 표시하고,
악보에 표시되는 음표와 해당 음표에 대응하는 건반은 동일한 색으로 표시하되, 적어도 2 이상의 서로 다른 악보상 음표는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것
인 건반악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The key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area where the sheet music is displayed are divided and displayed respectively,
A note displayed on a sheet music and a key corresponding to the note are displayed in the same color, but at least two different musical notes ar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A keyboard instrument auxiliary display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2205A KR102270410B1 (en) | 2019-12-20 | 2019-12-20 | Auxiliary display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and digital keyboard instrument with auxiliary display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2205A KR102270410B1 (en) | 2019-12-20 | 2019-12-20 | Auxiliary display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and digital keyboard instrument with auxiliary display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0410B1 true KR102270410B1 (en) | 2021-06-28 |
Family
ID=7660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2205A KR102270410B1 (en) | 2019-12-20 | 2019-12-20 | Auxiliary display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and digital keyboard instrument with auxiliary display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0410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30889A (en) * | 1992-10-22 | 1994-05-13 |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learning function |
JPH11109954A (en) * | 1997-10-01 | 1999-04-23 | Tsutsumi Ongakuin:Kk | Keyboard instrument playing system |
JP2004101576A (en) * | 2002-09-04 | 2004-04-02 |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 Musical performance self-teaching device |
KR20100103275A (en) * | 2009-03-13 | 2010-09-27 | 유비벨록스(주)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ey using virtual keypad |
KR101535814B1 (en) * | 2014-11-06 | 2015-07-15 | 이성준 | Piano capable of making playing piano easy |
-
2019
- 2019-12-20 KR KR1020190172205A patent/KR10227041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30889A (en) * | 1992-10-22 | 1994-05-13 |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learning function |
JPH11109954A (en) * | 1997-10-01 | 1999-04-23 | Tsutsumi Ongakuin:Kk | Keyboard instrument playing system |
JP2004101576A (en) * | 2002-09-04 | 2004-04-02 |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 Musical performance self-teaching device |
KR20100103275A (en) * | 2009-03-13 | 2010-09-27 | 유비벨록스(주)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ey using virtual keypad |
KR101535814B1 (en) * | 2014-11-06 | 2015-07-15 | 이성준 | Piano capable of making playing piano eas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05705B2 (en) | Multi-touch piano keyboard | |
US9024168B2 (en) |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
US10783865B2 (en) | Ergonomic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pseudo-strings | |
US20110088535A1 (en) | digital instrument | |
US20090260508A1 (en) | Electronic fingerboard for stringed instrument | |
EP2517192A1 (en) | Educational string instrument touchscreen simulation | |
US20100294112A1 (en) | Portable chord output device,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US9082384B1 (en) | Musical instrument with keyboard and strummer | |
AU2012287031B2 (en) |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music | |
JP2016177026A (en) |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
US20090114078A1 (en) | Musical Button-Field Layout for Alphanumeric Keyboards | |
US8779270B2 (en) | Operation detection apparatus | |
US20180350337A1 (en) |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separate pitch and articulation control | |
WO2017209201A1 (en) | Electronic musical score device | |
KR102270410B1 (en) | Auxiliary display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and digital keyboard instrument with auxiliary display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 |
JP5771394B2 (en) | Music control device | |
JP2004271783A (en) | Electronic instrument and playing operation device | |
US11024270B2 (en) | Guitar-like digital musical instrument | |
WO2008019089A2 (en) | Musical instrument | |
US20180121004A1 (en) | User interface device | |
US6420641B1 (en) | Multimedia keyboard with instrument playing device | |
JP4054019B2 (en) | Performance parameter input device | |
US20210390936A1 (en) | Key-switch for a music keyboard | |
JP3052497U (en) | Detachable finger-guided piano practice device | |
Vogels | Harmonica-inspired digital musical instrument design based on an existing gestural performance repertoi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