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359B1 -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359B1
KR102270359B1 KR1020190136033A KR20190136033A KR102270359B1 KR 102270359 B1 KR102270359 B1 KR 102270359B1 KR 1020190136033 A KR1020190136033 A KR 1020190136033A KR 20190136033 A KR20190136033 A KR 20190136033A KR 102270359 B1 KR102270359 B1 KR 102270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driving
vehicle
voltage battery
emergency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2663A (ko
Inventor
최용상
김종재
정재훈
김인재
이은중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6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35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Preparing for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8Details of control systems ensuring comfort, safety or stabilit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12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20Drive modes; Transition between modes
    • B60L2260/22Standstill, e.g. zero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04Vehicle s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091Preparing for stop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 완전 방전 시 운전자의 추가 주행 의지를 파악하고, 추가 주행 요청 시 강제로 고전압 배터리를 활성화한 후 저단 운행으로 제어하여 일정 거리를 긴급주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 향상과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 방전 시 긴급 주행 시도신호를 발생하는 시동키 상태 검출부를 통해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발생하면 비상 시동 모드로 전환하여 강제로 고전압 배터리를 동작시킨 상태에서 기어가 저단으로 선택되면 토크 및 속도 제어를 통해 긴급 주행을 제어하여,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 방전 시 긴급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 및 방법{Emergency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full discharge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 완전 방전 시 운전자의 추가 주행 의지를 파악하고, 추가 주행 요청 시 강제로 고전압 배터리를 활성화한 후 저단 운행으로 제어하여 일정 거리를 긴급주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 향상과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는 일반 내연기관 자동차와 달리 전기 모터(전동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한다. 전기 자동차는 전기 모터 구동을 위해서 고전압 전원(배터리)을 사용한다.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는 완전방전 될 경우 성능이 지속적으로 저하되기 때문에 완전방전 상태가 되지 않도록 전기차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즉,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 충전량(SOC)에 따라 운전자에게 충전 또는 정차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띄우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질 경우, 토크/차속, 고전압 부하의 사용을 통제한다.
최종적으로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량이 필수 최소 유지량에 도달할 경우 차량을 강제로 정차시키고, 고전압 릴레이를 Off하여 고전압 배터리를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기 자동차는 고전압 배터리의 필수 충전(최소) 유지량에 도달하는 경우, 도로 환경에 상관없이 차량을 멈추어, 운전자가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유도하는 시간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주행 중 도로 중간에서 정지하더라도,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주행이 금지된다. 주행 금지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정비사가 진단기를 이용하여 강제 해제하여야 한다.
이에 도로 중간에 정지하더라도, 운전자가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여 정차시킬 수 없으며, 차량을 충전소까지 운송하기 위해서는 강제로 견인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전기 자동차에서 비상 운전을 제공하기 위해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은 HCU 페일 발생시 MCU가 자체적으로 브레이크 작동상태 및 현재의 모터속도를 토대로 구한 비상 주행용 모터 크립 토크 지령 값에 따라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모터 구동만으로 차량을 안정적으로 비상 주행 및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2> 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전동식 오일펌프 및 주변 시스템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모터를 이용하여 임시로 유압을 형성시켜 비상 운전이 제공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림프 홈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특허문헌 3> 은 엔진클러치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로컬 컨트롤 유닛 등의 고장 시 비상 운전 모드인 림프 홈 모드의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림프 홈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제어장치 등의 고장 발생시 비상 운전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 방전 시의 주행은 불가능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01564(2009.06.01)(하이브리드 차량의 HCU 페일시 비상 운전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34642(2013.02.13. 등록)(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림프 홈 제어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78365(2015.07.08. 공개)(하이브리드 차량의 림프 홈 제어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 방전 시 차량이 정지되어 발생하는 문제 및 종래기술들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 완전 방전 시 운전자의 추가 주행 의지를 파악하고, 추가 주행 요청 시 강제로 고전압 배터리를 활성화한 후 저단 운행으로 제어하여 일정 거리를 긴급주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 향상과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는, 긴급 주행 시도신호를 발생하는 시동키 상태 검출부;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방전으로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상기 시동키 상태 검출부를 통해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발생하면 비상 시동 모드로 전환하여 강제로 고전압 배터리를 동작시킨 상태에서 기어가 저단으로 선택되면 토크 및 속도 제어를 통해 긴급 주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제어 유닛은 강제로 고전압 배터리를 동작시켜 긴급 주행을 시작하면 내부 주행 카운터를 동작시켜 주행 거리를 검출하고, 검출한 주행거리가 미리 설정된 긴급 주행 거리 이상이 되면 상기 고전압 배터리를 자동으로 비활성화시켜 차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제어 유닛은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방전으로 긴급 주행을 하고, 자동으로 차량을 정차시킨 상태에서 상기 시동키 상태 검출부를 통해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재발생하면 미리 설정된 긴급 주행 가능횟수 내에서는 차량 재시동을 허가하고, 긴급주행 시도횟수가 긴급주행 가능 횟수를 초과하면 고전압 배터리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방법"은, (a) 차량 제어 유닛에서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방전으로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시동키 상태 검출부를 통해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b)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발생하면 비상 시동 모드로 전환하여 강제로 고전압 배터리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c) 상기 고전압 배터리를 강제로 활성화한 상태에서 기어가 저단으로 선택되면 토크 및 속도 제어를 통해 긴급 주행을 제어하는 단계; (d) 강제로 고전압 배터리를 동작시켜 긴급 주행을 시작하면 내부 주행 카운터를 동작시켜 주행 거리를 검출하고, 검출한 주행거리가 미리 설정된 긴급 주행 거리 이상이 되면 상기 고전압 배터리를 자동으로 비활성화시켜 차량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방법"은, (e) 차량 제어 유닛은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방전으로 긴급 주행을 하고, 자동으로 차량을 정차시킨 상태에서 상기 시동키 상태 검출부를 통해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재발생하면 미리 설정된 긴급 주행 가능횟수 내에서는 차량 재시동을 허가하고, 긴급주행 시도횟수가 긴급주행 가능 횟수를 초과하면 고전압 배터리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 완전 방전 시 운전자의 추가 주행 의지를 파악하고, 추가 주행 요청 시 강제로 고전압 배터리를 활성화한 후 저단 운행으로 제어하여 일정 거리를 긴급주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하고,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의 구성도로서, 고전압 배터리 관리부(101), 변속부(102), 시동키 상태 검출부(103), 차량 제어 유닛(104), 에어컨 컴프레셔(105), 캐빈 히터(106), 전동기 제어 유닛(107), 바디 제어 모듈(108) 및 클러스터(109)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 배터리 관리부(101)는 고전압 배터의 온도, 전압, 전류, 충전량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변속기(102)는 기어 변속을 실행해주고 기어 변속 상태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시동키 상태 검출부(103)는 시동키의 시작 조작 상태를 기초로 긴급 주행 시도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 제어 유닛(104)은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방전으로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상기 시동키 상태 검출부(103)를 통해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발생하면 비상 시동 모드로 전환하여 강제로 고전압 배터리를 활성화하고 기어가 저단으로 선택되면 토크 및 속도 제어를 통해 긴급 주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량 제어 유닛(104)은 강제로 고전압 배터리를 동작시켜 긴급 주행을 시작하면 내부 주행 카운터를 동작시켜 주행 거리를 검출하고, 검출한 주행거리가 미리 설정된 긴급 주행 거리 이상이 되면 상기 고전압 배터리를 자동으로 비활성화시켜 차량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 유닛(104)은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방전으로 긴급 주행을 하고, 자동으로 차량을 정차시킨 상태에서 상기 시동키 상태 검출부(103)를 통해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재발생하면 미리 설정된 긴급 주행 가능횟수 내에서는 차량 재시동을 허가하고, 긴급주행 시도횟수가 긴급주행 가능 횟수를 초과하면 고전압 배터리를 비활성화한다.
전동기 제어 유닛(107)은 상기 차체 제어 유닛(104)의 제어에 따라 전동기를 구동하고 감속시 회생제동량의 충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바디 제어 모듈(108)은 상기 차량 제어 유닛(104)의 제어에 따라 공급되는 전원으로 시트 히터 및 스티어링 휠 히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클러스터(109)는 상기 차량 제어 유닛(104)의 제어에 따라 클러스터에 경고 메시지 표시, 긴급 주행 상태, 주행 가능 거리 등을 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전압 배터리 관리부(101)를 통해 검출한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량(SOC)이 차량 운행에 지장이 없는 일정 수준 이상이 경우, 차량 제어 유닛(104)은 차량의 각 부분을 정상적으로 제어하여 차량 운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차량을 정상적으로 운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량이 차량 운행에는 가능하나 전장 부품을 구동하기에는 부족한 상태이면, 차량 제어 유닛(104)은 전동기 제어 유닛(107)과 같이 차량 운행에 필수적인 부품을 제외하고, 나머지 전장 부품의 전원은 차단하여, 차량 운행은 가능하도록 한다.
이어, 다시 차량을 운행하는 도중에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량이 완전방전이 되어 고전압 배터리의 성능 저하가 우려될 경우, 자동으로 전동기 제어 유닛(107) 등을 정지시키고, 차량을 자동으로 정지시킨다.
이때, 운전자는 차량을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거나 충전소까지 운행하기 위해서 긴급 주행을 요청한다.
즉,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방전으로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시동키를 설정시간 이상 길게 눌러 긴급주행 시도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시동키가 설정시간 이상 길게 눌러지면, 시동키 상태 검출부(103)에서 이를 검출하여, 긴급주행 시도신호로 차량 제어 유닛(104)에 전달한다.
차량 제어 유닛(104)은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발생하면 비상 시동 모드로 전환하여 고전압 배터리 관리부(101)를 통해 강제로 고전압 배터리를 활성화시킨다. 이어, 운전자가 변속기를 P 단에서 L 단(저단)으로 이동시키면, 전동기 제어 유닛(107)을 제어하여 토크 및 속도 제어를 통해 저속으로 긴급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로써 운전자는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 방전 시 일정 거리만큼 긴급 주행이 가능하므로,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거나 충전소까지 이동하여 충전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차량 제어 유닛(104)은 긴급 주행을 시작하면, 내부 주행 카운터를 동작시켜 주행 거리를 검출하고, 검출한 주행거리가 미리 설정된 긴급 주행 거리 이상이 되면 상기 고전압 배터리 관리부(101)를 통해 자동으로 고전압 배터리를 다시 비활성화하여, 차량을 정지시킨다.
긴급 주행을 수행한 후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운전자는 상기 시동키를 이용하여 긴급주행 시도를 다시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 유닛(104)은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방전으로 긴급 주행을 하고, 자동으로 차량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시동키 상태 검출부(103)를 통해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재발생하면, 미리 설정된 긴급 주행 가능횟수와 이전에 시도한 긴급주행 시도횟수를 비교하여, 긴급주행 시도횟수가 상기 긴급주행 가능횟수 이내이면 차량 재시동을 허가하고, 다시 일정 거리 긴급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긴급주행 시도횟수가 상기 긴급주행 가능 횟수를 초과한 상태이면, 고전압 배터리를 비활성화하여, 고전압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a) 차량 제어 유닛에서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방전으로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시동키 상태 검출부를 통해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01 - S106), (b)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발생하면 비상 시동 모드로 전환하여 강제로 고전압 배터리를 활성화시키는 단계(S107), (c) 상기 고전압 배터리를 강제로 활성화한 상태에서 기어가 저단으로 선택되면 토크 및 속도 제어를 통해 긴급 주행을 제어하는 단계(S108 - S112), (d) 강제로 고전압 배터리를 동작시켜 긴급 주행을 시작하면 내부 주행 카운터를 동작시켜 주행 거리를 검출하고, 검출한 주행거리가 미리 설정된 긴급 주행 거리 이상이 되면 상기 고전압 배터리를 자동으로 비활성화시켜 차량을 정지시키는 단계(S114), (e) 차량 제어 유닛은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방전으로 긴급 주행을 하고, 자동으로 차량을 정차시킨 상태에서 상기 시동키 상태 검출부를 통해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재발생하면 미리 설정된 긴급 주행 가능횟수 내에서는 차량 재시동을 허가하고, 긴급주행 시도횟수가 긴급주행 가능 횟수를 초과하면 고전압 배터리를 비활성화하는 단계(S11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방법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전압 배터리 관리부(101)를 통해 검출한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량(SOC)이 차량 운행에 지장이 없는 일정 수준 이상이 경우, 차량 제어 유닛(104)은 단계 S102 내지 S103과 같이 차량의 각 부분을 정상적으로 제어하여 차량 운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차량을 정상적으로 운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량이 차량 운행에는 가능하나 전장 부품을 구동하기에는 부족한 상태이면, 차량 제어 유닛(104)은 전동기 제어 유닛(107)과 같이 차량 운행에 필수적인 부품을 제외하고, 나머지 전장 부품의 전원은 차단하여, 차량 운행은 가능하도록 한다.
이어, 차량 제어 유닛(104)은 단계 S101과 같이 다시 차량을 운행하는 도중에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량이 완전방전이 되어 고전압 배터리의 성능 저하가 우려될 경우, 단계 S104 내지 S105로 이동하여 전동기 제어 유닛(107) 등을 정지시키고, 차량을 자동으로 정지시킨다.
이때, 운전자는 차량을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거나 충전소까지 운행하기 위해서 긴급 주행을 요청한다.
즉,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방전으로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단계 S106과 같이 시동키를 설정시간 이상 길게 눌러 긴급주행 시도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시동키가 설정시간 이상 길게 눌러지면, 시동키 상태 검출부(103)에서 이를 검출하여, 긴급주행 시도신호로 차량 제어 유닛(104)에 전달한다.
차량 제어 유닛(104)은 단계 S107에서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발생하면 비상 시동 모드로 전환하여 고전압 배터리 관리부(101)를 통해 강제로 고전압 배터리를 활성화시킨다. 이어, 단계 S108에서 운전자가 변속기를 P 단에서 L 단(저단)으로 이동시키면, 단계 S109 내지 S112에서 전동기 제어 유닛(107)을 제어하여 토크 및 속도 제어를 통해 저속으로 긴급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로써 운전자는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 방전 시 일정 거리만큼 긴급 주행이 가능하므로,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거나 충전소까지 이동하여 충전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차량 제어 유닛(104)은 긴급 주행을 시작하면, 내부 주행 카운터를 동작시켜 주행 거리를 검출하고, 검출한 주행거리가 미리 설정된 긴급 주행 거리 이상이 되면 단계 S114로 이동하여 상기 고전압 배터리 관리부(101)를 통해 자동으로 고전압 배터리를 다시 비활성화하여, 차량을 정지시킨다.
긴급 주행을 수행한 후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운전자는 상기 시동키를 이용하여 긴급주행 시도를 다시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 유닛(104)은 단계 S113에서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방전으로 긴급 주행을 하고, 자동으로 차량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시동키 상태 검출부(103)를 통해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재발생하면, 미리 설정된 긴급 주행 가능횟수와 이전에 시도한 긴급주행 시도횟수를 비교하여, 긴급주행 시도횟수가 상기 긴급주행 가능횟수 이내이면 차량 재시동을 허가하고, 다시 일정 거리 긴급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긴급주행 시도횟수가 상기 긴급주행 가능 횟수를 초과한 상태이면, 고전압 배터리를 비활성화하여, 고전압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1: 고전압 배터리 관리부 102: 변속부
103: 시동키 상태 검출부 104: 차량 제어 유닛
105: 에어컨 컴프레셔 106: 캐빈 히터
107: 전동기 제어 유닛 108: 바디 제어 모듈
109: 클러스터

Claims (5)

  1.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 방전 시 긴급 주행 시도신호를 발생하는 시동키 상태 검출부;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방전으로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상기 시동키 상태 검출부를 통해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발생하면 비상 시동 모드로 전환하여 강제로 고전압 배터리를 동작시킨 상태에서 기어가 저단으로 선택되면 토크 및 속도 제어를 통해 긴급 주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 제어 유닛은 강제로 고전압 배터리를 동작시켜 긴급 주행을 시작하면 내부 주행 카운터를 동작시켜 주행 거리를 검출하고, 검출한 주행거리가 미리 설정된 긴급 주행 거리 이상이 되면 상기 고전압 배터리를 자동으로 비활성화시켜 차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차량 제어 유닛은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방전으로 긴급 주행을 하고, 자동으로 차량을 정차시킨 상태에서 상기 시동키 상태 검출부를 통해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재발생하면 미리 설정된 긴급 주행 가능횟수 내에서는 차량 재시동을 허가하고, 긴급주행 시도횟수가 긴급주행 가능 횟수를 초과하면 고전압 배터리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
  4. 청구항 1과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차량 제어 유닛에서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방전으로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시동키 상태 검출부를 통해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b)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발생하면 비상 시동 모드로 전환하여 강제로 고전압 배터리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c) 상기 고전압 배터리를 강제로 활성화한 상태에서 기어가 저단으로 선택되면 토크 및 속도 제어를 통해 긴급 주행을 제어하는 단계; 및
    (d) 강제로 고전압 배터리를 동작시켜 긴급 주행을 시작하면 내부 주행 카운터를 동작시켜 주행 거리를 검출하고, 검출한 주행거리가 미리 설정된 긴급 주행 거리 이상이 되면 상기 고전압 배터리를 자동으로 비활성화시켜 차량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방법.
  5. 청구항 4에서, (e) 차량 제어 유닛은 고전압 배터리의 완전방전으로 긴급 주행을 하고, 자동으로 차량을 정차시킨 상태에서 상기 시동키 상태 검출부를 통해 긴급주행 시도신호가 재발생하면 미리 설정된 긴급 주행 가능 횟수 내에서는 차량 재시동을 허가하고, 긴급주행 시도횟수가 긴급주행 가능 횟수를 초과하면 고전압 배터리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방법.



KR1020190136033A 2019-10-30 2019-10-30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270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033A KR102270359B1 (ko) 2019-10-30 2019-10-30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033A KR102270359B1 (ko) 2019-10-30 2019-10-30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663A KR20210052663A (ko) 2021-05-11
KR102270359B1 true KR102270359B1 (ko) 2021-06-30

Family

ID=75914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033A KR102270359B1 (ko) 2019-10-30 2019-10-30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3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1830A (ja) * 2003-07-29 2005-02-24 Toyota Motor Corp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自動車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1502A (ja) * 1996-12-20 1998-07-21 Isuzu Motors Ltd 電気自動車走行制御装置
KR100901564B1 (ko) 2007-12-06 2009-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hcu 페일시 비상 운전 방법
KR101234642B1 (ko) 2010-12-07 2013-02-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림프 홈 제어장치
KR20150078365A (ko) 2013-12-30 2015-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림프 홈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1830A (ja) * 2003-07-29 2005-02-24 Toyota Motor Corp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自動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663A (ko)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3668B2 (en) Control device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US8095291B2 (en) Vo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motor vehicle with a stop/start device
JP5541132B2 (ja) 車両用制御装置
US11292440B2 (en) Automatic parking control method and automatic parking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s
CN103661402A (zh) 用于自动起停系统的用户界面和控制用户界面的方法
KR101795299B1 (ko) 주행성능유지를 위한 엔진 기동성 확보 방법 및 하이브리드 차량
US20120283935A1 (en) Method for Informng the Driver of a Vehicle Provided with a System for Automatically Stopping and Restarting the Engine in the Event an Automatic Stop is Unavailable
KR20120062559A (ko) Isg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6254278B2 (ja) 絶縁された高電圧回路装置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28304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기어단 고장시 차량 구동원 제어방법
GB2406362A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rting and stopping, in particular standby mode, of a hybrid vehicle engine
KR101040350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페일세이프 제어장치 및 방법
CN102186691A (zh) 提高混合动力汽车可用性的方法
KR101664698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산소센서 진단 제어 시스템
US20180326972A1 (en) Method for the Quality Assurance of Exhaust Gas Behavior in a Motor Vehicle
KR20190072926A (ko) Isg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1755977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엔진클러치 고장시 운전방법
EP3499010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vehicle including idle stop and go function
KR102270359B1 (ko) 전기 자동차의 완전 방전 시 긴급주행 제어장치 및 방법
US20220388496A1 (en) Emergency 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vehicle with damaged bearing of engine
EP2199170B1 (en) Method for the activation and the deactivation of the stop and start function in a vehicle, and relative device
JP2012111412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US201901937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start during refueling of hybrid vehicle
US9821799B2 (en) Vehicle pump condition response method and assembly
WO2017094841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