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445B1 - 양방향 절단기 - Google Patents

양방향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445B1
KR102269445B1 KR1020200175936A KR20200175936A KR102269445B1 KR 102269445 B1 KR102269445 B1 KR 102269445B1 KR 1020200175936 A KR1020200175936 A KR 1020200175936A KR 20200175936 A KR20200175936 A KR 20200175936A KR 102269445 B1 KR102269445 B1 KR 102269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ut
base plate
units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탁
Original Assignee
강성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탁 filed Critical 강성탁
Priority to KR1020200175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57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movabl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93Cutting members therefor circular cutting discs with a radiussed blunt cutting ed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절단기를 들어 올려 반대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작업없이 절단선의 끝에 맞춰 정확한 절단이 가능함과 아울러 절단면을 고르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절단기는, 상하 양방향으로 관통되며 절단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절단휠 수용홀을 포함하며 피절단물에 지지되어 절단선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 판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각각의 제1,2절단휠(21,31)이 상기 절단휠 수용홀 안에서 일렬로 배열되는 제1,2절단 유니트(20,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2절단 유니트는 제1절단 유니트의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피절단물을 절단한 후 반대 방향인 제2절단 유니트의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피절단물의 나머지 부분을 절단한다. 상기 제1,2절단 유니트는 제1,2절단휠(21,31)이 상기 절단휠 수용홀에 일직선으로 배열되면서 제1,2모터(22,32)가 상기 절단휠 수용홀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먼 쪽이 제1,2축핀을 통해 상기 베이스판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반대쪽이 상기 베이스판을 향하거나 반대로 틸팅된다.

Description

양방향 절단기{TWO WAY CUTTER}
본 발명은 목재나 샌드위치 패널, 석재, 철, 비철금속, 합성수지(아크릴) 등 다양한 소재를 절단하는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기를 들어 올려 반대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작업없이 절단선의 끝에 맞춰 정확한 절단이 가능함과 아울러 절단면을 고르게 하는 양방향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목재, 샌드위치 패널, 석재, 철, 비철금속, 합성수지(아크릴) 등은 건축 자재 등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은 여러 가지 형태로서 공장, 창고, 조립식 건축물 등에 있어서의 벽 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샌드위치 패널은 공지의 샌드위치 패널 제조기에 의하여 난연, 방음, 단열재를 내부에 내재시켜 단열재의 상하 양면에 철판을 덧대어 가압 일체화시켜 연속 제조되며, 최종 공정 라인에서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기 위해, 공지의 패널 절단기에 의해, 배출되는 패널이 파지되어 하부레일 상에서 패널진행을 따라 이동하면서 패널진행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상하에 배치된 커터가 이동되면서 상하면의 철판이 횡으로 절단되게 되어 있다.
한편, 공장에서 제조된 후 공급되는 샌드위치 패널은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재가공된 후 최종 사용되며, 이 과정에서 절단 공정을 필요로 하고, 예를 들어, 넓은 판재에 사각형의 공간을 확보 또는 상기 판재보다 작은 크기의 사각형 판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절단기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절단기는 일방향 작업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절단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샌드위치 패널 안에 4개의 절단선을 형성하여 사각형의 판을 빼내는 경우 이웃하는 절단선들의 끝이 정확하게 일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절단기를 절단선(절단예정선)의 중앙에서 한 쪽 끝(예를 들어 우측 끝)으로 이동하면서 우측을 절단하고 이어서 절단기를 들어 올려 방향을 좌측으로 돌린 후 좌측을 절단하여야 한다.
실용신안공고 제20-1996-0008492호는 프레임상에 절단할 목재를 올려놓는 베드가 정치되고, 프레임의 좌우측단에 세운 기둥에는 승강기구에 의해 하강하여 목재의 요동을 방지하는 누르게가 설치되며 또한 베드 아래쪽 프레임상에는 모터에 의해 기동하는 한 쌍의 체인 스프로켓이 설치되고 여기에 체인을 두르고 이 체인의 일점에는 모터에 의해 고속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톱을 탑재한 캐리지를 고정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의 상면에 브래킷을 설치하고 여기에 회전톱을 탑재한 캐리지을 고정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의 상면에 브래킷을 설치하고 여기에 회전톱이 탑재된 톱다이를 피봇 설치하여 전진 및 복귀방향으로 시이소오 운동이 가능하게 하고, 캐리지와 톱다이와의 사이에는 실린더를 설치하여 그 피스톤의 승강에 따라 톱다이의 좌향경사 또는 우향 경사지게 하므로서 상기 두회전톱의 고, 저자세가 반전되도록 구성한 목재용 절단기이며, 2개의 회전톱이 반드시 상하 위치차를 두고 설치되어 하부의 회전톱은 목재의 하부쪽을 절단하고 상부의 회전톱은 하부의 회전톱이 절단하지 못하는 목재의 상부쪽을 절단하는 것이며 회전톱을 피절단물의 다양한 두께에 맞춰 사용하는 것이 어렵고 하부와 상부의 회전톱이 각각의 영역(하부, 상부)만을 절단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고장 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특허문헌은 피절단물 안에서 사각형의 판을 빼내는 절단 작업에서는 사용될 수 없고, 하부와 상부의 회전톱 방식을 통해 이웃하는 2개의 절단선이 일치되는 절단 작업은 불가능하다.
실용신안공고 제20-1996-000849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절단기를 들어 올려 반대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작업없이 절단선의 끝에 맞춰 정확한 절단이 가능함과 아울러 고른 절단면으로 절단하는 양방향 절단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절단기는, 상하 양방향으로 관통되며 절단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절단휠 수용홀을 포함하며 피절단물에 지지되면서 이동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 판에 분리 및 틸팅이나 승강 가능하게 조립되며, 각각의 제1,2절단휠이 상기 절단휠 수용홀 안에서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제1,2절단 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2절단 유니트는 피절단물의 양쪽 끝 사이에서 시작하여 한 쪽 끝인 상기 제1절단 유니트의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상기 제1절단 유니트로 피절단물을 절단한 후 반대 쪽 끝인 상기 제2절단 유니트의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상기 제2절단 유니트로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절단기에 의하면, 사각형의 판을 절단하여 빼내는 절단 작업 시 절단선의 양쪽 끝 사이에서 절단기를 한 쪽 끝을 향해 이동시키면서 절단한 후 절단기를 반대로 돌려 설치하는 작업없이 반대 쪽 끝을 향해 이동시켜 나머지 절반을 절단함으로써 양쪽 끝에 정확하게 맞춰 절단할 수 있고, 절단 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작업시간도 매우 신속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2개의 절단휠 중에서 후행하는 절단휠이 선행하는 절단휠의 자세를 유지시켜 절단선에 일치하는 절단이 가능하므로 절단면을 고르게 유지할 수 있고, 더불어, 선행하는 절단휠이 절단하지 못한 잔여부분도 절단하여 절단면을 고르게 함으로써 자재의 상품성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2개의 절단휠을 선택하여 베이스판에 분리한 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피절단물에 맞는 다양한 절단 작업이 가능하므로 효용성도 향상되고, 절단휠 각각의 절단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여 피절단물의 두께 등에 적합한 절단기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2개의 절단휠을 동일한 높이로 사용할 수 있어 절단 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모터가 고장 나더라도 나머지 절단휠의 정상동작이 가능하여 피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으므로 고장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고 결국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절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절단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절단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절단기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절단기 2개가 연결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절단기를 이용한 절단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절단기로 절단된 피절단물의 예시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절단기(100)는, 베이스판(10), 전진과 후진의 양방향 절단을 위한 제1,2절단 유니트(20,30)를 구성으로 하며, 피절단물{샌드위치 패널, 목재, 석재, 철, 비철금속, 합성수지(아크릴) 등 다양한 소재}에서 사각형 판을 절단(이 때의 목적물은 사각형 판일 수 있고 또는 사각형 판이 제거되어 사각형 공간을 갖는 판이다)할 때 양쪽 끝 사이에서 절단을 시작하여 한 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절단 유니트(20)를 이용하여 끝선까지 절단하고 그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절단 유니트(30)를 이용하여 반대쪽의 끝까지 절단할 수 있는 절단기이다.
베이스판(10)은 저부가 피절단물(1)의 표면에 지지되고 제1,2절단 유니트(20,30)의 제1,2절단 휠(21,31)이 각각 수용되도록 상하로 관통하는 절단 휠 수용홀이 구비되고, 제1,2절단 휠(21,31)이 각각 수용되도록 단절되는 제1,2절단 휠 수용홀(11,12)을 포함한다. 즉, 제1,2절단휠 수용홀(11,12)은 하나의 홀로도 형성 가능한 것이다.
또한, 제1,2절단 휠(21,31)에 의한 절단 시 발생하는 톱밥 등을 더 잘회수할 수 있도록 제1,2절단휠 수용홀(11,12)의 옆에는 제1,2회수홀(13,14)이 확장 형성된다.
제1,2절단 휠(20,30)은 보관 시 베이스판(10)보다 밑으로 돌출되지 않고 절단 시 피절단물의 두께에 따라 베이스판(10)의 저부로 돌출되도록 조립되며, 바람직하게 베이스판(10)에 틸팅(tilting) 또는 승강 가능하게 조립된다.
제1,2절단 휠(20,30)은 틸팅식이 승강식에 비해 안정감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틸팅식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판(10)의 길이방향의 양쪽 끝에는 제1,2절단 휠(20,30)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힌지브래킷(15,16)이 설치되는 한편 제1,2힌지브래킷(15,16)으로부터 떨어진 곳에는 제1,2가이드레일(17,18)이 설치된다.
제1,2힌지브래킷(15,16)은 제1,2절단 유니트(20,30)의 일측이 제1,2축핀(24a,34a)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제1,2절단 유니트(20,30)의 일측을 각각 조여 고정하는 볼트형의 제1,2조임구(15a,16a)가 포함된다.
제1,2힌지브래킷(15,16)은 제1,2조임구(15a,16a)가 이동할 수 있는 상하 종방향이면서 곡선형인 레일이 포함될 수 있다.
제1,2가이드레일(17,18)은 제1,2힌지브래킷(15,1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제1,2절단 유니트(20,30)의 회전궤적을 따라 곡선형으로 형성되며, 제1,2절단 유니트(20,30)가 피절단물의 두께에 맞는 위치에 고정된다.
제1,2가이드레일(17,18)이 길게 형성되는 것은 제1,2절단 유니트(20,30)를 피절단물의 다양한 두께에 맞춰 공용하기 위함이다.
물론, 제1,2가이드레일(17,18)은 제1,2절단 유니트(20,30)가 절단을 위하여 피절단물을 향해 하강하는 것과 반대로 상승하는 것을 지지하는 기능도 한다.
제1,2절단 유니트(20,30)는 제1,2절단 휠(21,31), 제1,2절단 휠(21,31)을 구동하는 제1,2모터(22,32)를 포함하는 동일한 구조이며, 제1,2절단 휠(21,31)이 베이스판(10)의 제1,2절단휠 수용홀(11,12) 안에서 동일선상의 일렬로 배열되도록 설치되고 그러면서도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제1,2모터(22,32)가 제1,2절단휠 수용홀(11,12)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쪽에 배치되는 대칭형으로 설치된다.
이 때, 제1,2절단 휠(21,31)은 서로 충돌을 일으키지 않는 최소의 간격만을 두고 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절단 휠(21,31)의 회전방향은 예를 들어,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제1절단 휠(21)은 반시계 방향으로, 제2절단 휠(3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방향으로 한다.
이상의 절단 방식에 따르면, 제1,2절단 유니트(20,30)를 초기 위치, 제1,2가이드레일(17,18)의 가장 높은 위치로 복귀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복귀 작업 시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빠르게 복귀 동작이 가능하도록 탄성부재로서 제1,2복귀스프링(26,36)을 포함한다.
제1,2복귀스프링(26,36)은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이 사용 가능하다.
또는, 탄성부재는 고무판 등도 가능하다.
제1절단 유니트(20)의 설치는 다음과 같다.
제1절단 유니트(20)는 제1모터(22)의 하우징에 제1틸팅바(24)가 연장되어 제1힌지브래킷(15)에 제1축핀(24a)으로 연결되고, 제1틸팅바(24)로부터 떨어진 곳에서 볼트형의 제1록커(25)가 제1가이드레일(17)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 되도록 연결되어 고정된다. 제1록커(25)는 제1절단 유니트(20)를 관통하면서 제1가이드레일(17)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제1절단 유니트(20)를 제1가이드레일(17)에 고정하거나 자유상태로 한다.
제2절단 유니트(30)는 제2틸팅바(34)와 제2록커(35)를 포함하여 제1절단 유니트(20)와 동일한 방식을 통해 설치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1,2절단 유니트(20,30)는 2개 중에서 절단 방향에 대해 앞선 곳에 위치한 절단 유니트가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것이고 반면 뒤따르는 절단 유니트는 선행하는 절단 유니트에 의해 절단된 빈 공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선행하는 절단 유니트가 흔들리지 않고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또한, 제1,2절단 유니트(20,30)는 베이스판(10)에 서로 간섭을 주지 않고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교체가 가능하고 필요한 경우 분리하여 절단 작업도 할 수 있으며 그 위치를 서로 구속받지 않고 자유롭게 변경하여 다양한 절단 조건에 대한 대응이 매우 쉽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손이 제1,2절단 유니트(20,30)의 제1,2절단 휠(21,31)에 의해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2보호망(27,37)을 포함한다.
제1,2보호망(27,37)은 작업자의 손이 제1,2절단 휠(21,31)에 닿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베이스판(10)에 제1,2절단 휠(21,31)의 옆을 막는 벽의 형태로 설치된다.
본 발명은 휴대와 운반 등 다양한 취급을 위하여 손잡이(4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40)는 예를 들어 양쪽의 수직부(41)가 베이스판(10)의 폭방향 양쪽에 각각 세워지고 수직부(41)들 사이의 수평부(42)를 파지부의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40)를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1,2절단 유니트(20,30)의 제1,2모터(22,32)에 공급하는 전원을 위한 전원부, 온/오프 조작을 위한 스위치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전원부는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상용 전원부(50) 및 배터리 전원부(60)로 구분된다.
상용 전원부(50)는 제1,2절단 유니트(20,30)의 전원선이 연결되는 콘센트, 상용전원 공급부와 상기 콘센트의 연결을 위한 코드릴이 수납될 수 있다.
배터리 전원부(60)는 배터리(2차 전지 포함)가 수납되고 제1,2절단 유니트(20,30)의 전원선이 연결되는 콘센트, 배터리와 상기 콘센트를 연결하는 회로가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부(70)는 제1,2절단 유니트(20,30)를 함께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치, 제1 또는 제2절단 유니트(20,3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성되고, 이들 스위치의 조작을 알려주는 작동램프가 함께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절단기(100)는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2개가 연결되어 2곳을 동시에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2개(2개 이상도 가능)의 양방향 절단기(100-1,100-2)는 하나 이상의 연결봉(8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봉(80)은 길이방향의 양쪽이 베이스판(10) 또는 손잡이(40)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연결 방식은 예를 들어 베이스판(10) 또는 손잡이(40)에 홀을 형성하여 연결봉(80)의 양쪽을 상기 홀에 관통시킨 후 핀 등을 꽂아 고정하는 방식이 있다.
연결봉(80)은 길이조절식도 가능하다. 연결봉(80)은 나사식의 결합으로 신축되는 구조, 다단의 길이조절공을 포함하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절단기(100)는 손잡이(40)의 수평부(42)에 인양고리(43)가 포함될 수 있다. 양방향 절단기(100)는 공장에 설치된 크레인을 인양고리(43)에 연결하여 상기 크레인을 통해 운반되어 작업자의 운반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양방향 절단기(100)를 연결하면 2번의 절단 작업만으로도 사각형 판을 절단할 수 있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절단기를 이용한 절단 작업은 다음과 같다(도 6 참고).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큰 판재의 모재(1)(목재나 샌드위치 패널)에서 모재(1)의 안쪽에서 사각형 판(2)을 절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사각형을 따라 서로 연결되는 4개의 절단선을 형성함으로써 사각형 판(2)을 절단해낸다.
1. 양방형 절단기 거치.
절단선의 우측 끝과 좌측 끝 사이, 바람직하게 중앙에 양방향 절단기(100)를 거치한다.
양방향 절단기(100)는 베이스판(10)의 저면이 모재(1)의 표면에 지지되어 있고, 제1,2절단 유니트(20,30)의 제1,2절단 휠(21,31)은 베이스판(10)의 저면으로 돌출되지 않는 위치이다.
2. 제1,2절단 휠 삽입.
모재(1)의 두께를 확인하고 이 두께에 맞춰 제1,2절단 휠(21,31)을 다음과 같이 모재(1)에 삽입한다.
제1,2절단 유니트(20,30)를 고정하는 제1,2조임구(15a,16a)를 풀고, 제1,2록커(25,35)를 풀어 제1,2절단 유니트(20,30)를 베이스판(10)에 구속되지 않는 자유상태로 전환한다. 이 때, 제1,2절단 유니트(20,30)는 제1,2축핀(24a,34a)을 통해 베이스판(10)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1,2절단 휠(21,31)이 모재(1)의 면에 닿게 된다. 또한, 제1,2절단 유니트(20,30)는 제1,2복귀스프링(26,36)의 탄성력으로 지지되는 상태이다.
제1,2절단 유니트(20,30)의 제1,2모터(22,32)에 전원을 인가하면, 제1,2절단 유니트(20,30)의 제1,2절단 휠(21,31)이 회전하게 되어 모재(1)를 절단하고, 모재(1)의 절단으로 제1,2절단 유니트(20,30)는 제1,2축핀(24a,34a)의 안내를 받아 틸팅하면서 모재(1)를 관통하게 된다.
제1,2절단 휠(21,31)은 모재(1)의 상하 구분없이 모재(1) 전체를 절단하는 위치이다.
제1,2절단 휠 삽입 공정을 대신하여 제1,2절단 휠(21,31)의 위치를 먼저 셋팅{제1,2절단 휠(21,31)의 하단부가 모재(1)의 표면에 지지되고 베이스판(10)이 모재(1)의 상부에 떠 있음}한 상태에서 모재(1)를 절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3. 우측 절단.
양방향 절단기(10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선행하는 제1절단 휠(21)이 몰재(1)를 절단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이 때, 제1,2절단 휠(21,31) 사이에 있는 부분 "A"는 후행하는 제2절단 휠(31)에 의해 절단된다.
제2절단 휠(31)은 제1절단 휠(21)과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저항을 받지 않고 제1절단 휠(21)에 의해 절단된 틈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절단 휠(21)의 흔들림(비틀림)을 막아준다. 또한, 제2절단 휠(31)은 제1절단 휠(21)에 의해 절단되지 않은 부분도 절단하여 절단면을 고르게 한다.
제1절단 휠(21)에 의해 절단선의 우측 끝까지 절단이 완료되면 우측 이동을 정지한다.
제2절단 휠(31)을 무회전 상태로 하여도 제1절단 휠(21)을 정렬(비틀림 방지, 자세와 방향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우측 이동 시 후행하는 제2절단 휠(31)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4. 좌측 절단.
양방향 절단기(100)를 모재(1)에서 들어올려 뒤집는 작업없이 작업자가 이동 방향만 반대로 하여 우측 끝에 있는 양방향 절단기(100)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우측 절단 과정을 통해 절단된 곳을 통과할 때까지는 제1,2절단 휠(21,31)을 구동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필요 시 제1,2절단 휠(21,31)을 구동하여 우측 절단으로 절단된 곳을 한 번 더 절단할 수 있다.
좌측 이동 시에는 제2절단 휠(31)이 선행하면서 모재(1)를 절단하고, 제1절단 휠(21)은 제2절단 휠(31)에 의해 절단된 부분을 저항없이 통과하면서 제2절단 휠(31)을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 때도, 후행하는 제1절단 휠(21)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절단 휠(31)이 좌측 끝까지 절단하면 제1,2절단 유니트(20,30)의 전원을 차단하여 절단을 마무리한다.
절단 작업을 마무리한 후 양방향 절단기(100)를 보관하거나 다른 곳으로 운반하기 위한 초기화가 필요하고, 먼저, 제1,2절단 유니트(20,30)를 올리며, 이 때, 제1,2복귀스프링(26,36)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제1,2절단 유니트(20,30)를 좀 더 적은 힘으로 올릴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2록커(25,35)를 잠궈 제1,2절단 유니트(20,30)의 일측을 제1,2가이드레일(17,18)에 고정한다.
이어서, 반대쪽의 제1,2조임구(15a,16a)를 조여 제1,2절단 유니트(20,30)를 베이스판(10)에 고정한다.
10 : 베이스판,
11,12 : 제1,2절단휠 수용홀, 13,14 : 제1,2회수홀
15,16 : 제1,2힌지브래킷, 15a,16a : 제1,2조임구
17,18 : 제1,2가이드레일,
20,30 : 제1절단 유니트, 21,31 : 제1,2절단 휠
22,32 : 제1,2모터, 23,33 : 제1,2커버
24,34 : 제1,2틸팅바, 24a,34a : 제1,2축핀
25,35 : 제1,2록커, 26,36 : 제1,2복귀스프링
27,37 : 제1,2보호망,
40 : 손잡이, 50 : 상용 전원부
60 : 배터리 전원부, 70 : 스위치부
80 : 연결봉,

Claims (6)

  1. 피절단물인 모재의 안쪽에 서로 연결되는 절단선을 형성하여 상기 모재보다 작은 판을 절단하는 양방향 절단기로서,
    상하 양방향으로 관통되며 절단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절단휠 수용홀을 포함하며 상기 피절단물의 상면에 지지되면서 이동하는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 판에 분리 및 틸팅 가능하게 조립되며, 각각의 제1,2절단휠(21,31)이 상기 절단휠 수용홀 안에서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제1,2절단 유니트(20,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절단 유니트는 제1,2절단휠이 상기 절단휠 수용홀에 일직선으로 배열되면서 제1,2모터가 상기 절단휠 수용홀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으로 배치되고, 먼 쪽이 축핀을 통해 상기 베이스판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반대쪽이 상기 베이스판을 향하거나 반대로 틸팅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피절단물의 양쪽 끝 사이에 상기 제1,2절단 유니트를 배치하고 상기 제1,2절단 유니트를 구동시켜 상기 피절단물을 절단하면서 관통시킨 후 한 쪽 끝인 상기 제1절단 유니트의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상기 제1절단 유니트로 피절단물을 절단하고 반대 쪽 끝인 상기 제2절단 유니트의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상기 제2절단 유니트로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절단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양쪽 끝에 설치되며 상기 제1,2절단 유니트의 일측이 각각 제1,2축핀을 통해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힌지브래킷(15,16), 상기 제1,2힌지브래킷으로부터 떨어진 곳에 상기 제1,2절단 유니트의 궤적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2절단 유니트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가이드레일(17,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절단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제1,2절단 유니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절단 유니트를 초기 위치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절단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절단 휠의 둘레부를 덮어 보호하는 보호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절단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절단기는 2개 이상이 연결되어 2개의 절단선을 동시에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절단기.
KR1020200175936A 2020-12-16 2020-12-16 양방향 절단기 KR102269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936A KR102269445B1 (ko) 2020-12-16 2020-12-16 양방향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936A KR102269445B1 (ko) 2020-12-16 2020-12-16 양방향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445B1 true KR102269445B1 (ko) 2021-06-24

Family

ID=7660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936A KR102269445B1 (ko) 2020-12-16 2020-12-16 양방향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4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492U (ko) 1994-08-26 1996-03-15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사판식압축기의 워블플레이트
KR20010017597A (ko) * 1999-08-12 2001-03-05 이종현 합판절단장치
KR200296351Y1 (ko) * 2002-08-28 2002-11-23 이종현 합판절단장치의 톱 박스
JP2010036269A (ja) * 2008-07-31 2010-02-18 Hitachi Koki Co Ltd 携帯用切断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492U (ko) 1994-08-26 1996-03-15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사판식압축기의 워블플레이트
KR20010017597A (ko) * 1999-08-12 2001-03-05 이종현 합판절단장치
KR200296351Y1 (ko) * 2002-08-28 2002-11-23 이종현 합판절단장치의 톱 박스
JP2010036269A (ja) * 2008-07-31 2010-02-18 Hitachi Koki Co Ltd 携帯用切断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30912B1 (en) Table saw
EP1941962B1 (en) Table saw
KR102269445B1 (ko) 양방향 절단기
EP0708741A1 (de) Vorrichtung zum teilen von verbundglas
CN201644918U (zh) 电动工具
CN112894366A (zh) 一种建筑板材加工用加工系统及其加工工艺
US4655268A (en) Vertical cut wood shaper
CN110450231A (zh) 一种便于上料的电子开料锯
CN107999849A (zh) 一种减震效果好的剪板机
CN102806389B (zh) 切割机
KR101629351B1 (ko) 통나무 가공장치
US3311103A (en) Masonry saw
US6176768B1 (en) Two surface planer
CN211218470U (zh) 一种建筑用钢筋切割机的夹持装置
CN208133131U (zh) 连续式断料机
KR19990073464A (ko) 철근절단기
CN210263840U (zh) 一种可移动装饰装修装置
CN210025574U (zh) 一种安全型锯床切割装置
KR100963501B1 (ko) 수직 거치형 자전거 거치대
KR200278346Y1 (ko) 목재의 가공장치
CN219859603U (zh) 输纸机的上纸机构
CN210308008U (zh) 一种多功能剪切机
CN2170836Y (zh) 石材切割机
KR102274037B1 (ko) 각형과 판형 겸용 절단 테이블
KR200329148Y1 (ko) 목판 재단기의 위치조정바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