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897B1 -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 모듈 - Google Patents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8897B1 KR102268897B1 KR1020190066615A KR20190066615A KR102268897B1 KR 102268897 B1 KR102268897 B1 KR 102268897B1 KR 1020190066615 A KR1020190066615 A KR 1020190066615A KR 20190066615 A KR20190066615 A KR 20190066615A KR 102268897 B1 KR102268897 B1 KR 1022688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graphite layer
- fluororesin
- polyethylene
- composite she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7—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 H01M10/6571—Resistive heat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구현예는 그라파이트층 및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 및 상기 적층 시트의 일면에 형성된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낮은 구동 전압으로 고속 히팅이 가능하거나, 고온의 배터리로부터 효과적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으며, 경량성, 내화학성 및 내오염성과 같은 내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현예는 적층 시트 및 상기 적층 시트의 일면에 형성된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낮은 구동 전압으로 고속 히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온의 배터리로부터 효과적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으며, 경량성, 내화학성 및 내오염성과 같은 내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상품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므로, 다양한 외부 온도의 변화에 따른 배터리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 시스템의 적정 온도 범위인 20℃ 내지 40℃가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기후 조건에서는 우수한 방열 성능을 지니면서도 낮은 온도 환경에서는 배터리의 적정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배터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의 경우, 고속 충전, 고출력, 반복 충전 횟수 등으로 인해 발행하는 열로 인하여 배터리 셀 간의 국부적인 온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는 배터리 시스템은 배터리 셀의 충전 또는 방전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는 방열 성능이 필요하다.
또한, 전기 자동차는 별도의 내연 기관이 없으므로, 전력을 이용한 발열에 의존하는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용량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빠른 시간 안에 적정 온도 범위에 도달할 수 있는 발열 성능이 필요하며, 저온 환경에서의 출력저하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에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방열판 등의 내부에 냉각수를 흐르게 하거나 별도의 제어기를 추가한 배터리 시스템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알루미늄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 재질은 열전도도가 높기 때문에 냉각 효과가 저하되는 것은 물론, 부피 및 중량이 크다는 단점이 있고, 별도의 제어기를 통해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8-0080614호에서는 냉각 매체가 유통되는 열교환 패드가 열전달 효율이 높은 소재(세라믹 파우더)로 이루어져 냉각 효율을 향상시킨 배터리 모듈이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열교환 패드의 냉각 파이프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충분한 방열성, 공간성 및 경량성을 얻기 어렵다.
따라서, 구현예는 낮은 구동 전압으로 고속 히팅이 가능하거나, 고온의 배터리로부터 효과적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으며, 경량성, 내화학성 및 내오염성과 같은 내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 시트는 그라파이트층 및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 및 상기 적층 시트의 일면에 형성된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은 그라파이트층 및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적층 시트의 일면에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배터리 셀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사이에 개재되는 복합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시트가 그라파이트층 및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 및 상기 적층 시트의 일면에 형성된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을 포함한다.
구현예에 따른 복합 시트는 전극층, 그라파이트층 및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이 순서대로 적층되거나, 그라파이트층, 전극층 및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이 순서대로 적층됨으로써, 낮은 구동 전압으로 고속 히팅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고온의 배터리로부터 효과적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으므로, 발열성능과 방열 성능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구현예에 따른 복합 시트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복합 시트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구현예에 따른 그라파이트층의 표면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구현예에 따른 그라파이트층의 표면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구현예에 따른 그라파이트층의 표면을 원자간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복합 시트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구현예에 따른 그라파이트층의 표면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구현예에 따른 그라파이트층의 표면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구현예에 따른 그라파이트층의 표면을 원자간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이하, 구현예를 통해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현예는 이하에서 개시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가 변경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성분의 양, 반응 조건 등을 나타내는 모든 숫자 및 표현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로써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복합 시트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 시트는 그라파이트층 및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 및 상기 적층 시트의 일면에 형성된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이 상기 그라파이트층 상에 형성된다.
도 1은 구현예에 따른 복합 시트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는 전극층 상에 그라파이트층이 적층된 적층 시트의 일면에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이 형성된 복합 시트가 예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층, 그라파이트층 및 불소 수지 함유 수지층이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이 상기 전극층 상에 형성된다.
도 2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복합 시트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는 그라파이트층 상에 전극층이 적층된 적층 시트의 일면에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이 형성된 복합 시트가 예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그라파이트층, 전극층 및 불소 수지 함유 수지층이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른 복합 시트는 전극층, 그라파이트층 및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이 순서대로 적층되거나, 그라파이트층, 전극층 및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이 순서대로 적층됨으로써, 낮은 구동 전압으로 고속 히팅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고온의 배터리로부터 효과적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으므로, 발열성능과 방열 성능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시트는 부피가 크지 않으므로 경량성이 우수하고, 난연성과 같은 내화학성이 우수한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내화학성 및 내오염성과 같은 내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시트의 두께는 10 내지 500 ㎛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 시트의 두께는 50 내지 500 ㎛, 70 내지 500 ㎛, 70 내지 300 ㎛, 10 내지 300 ㎛, 10 내지 250 ㎛, 또는 70 내지 250 ㎛일 수 있다.
그라파이트층
알루미늄이나 구리와 같은 금속 소재의 열전도도는 등방성인 반면, 그라파이트층은 이방성(異方性) 배열을 갖는 그라파이트 입자의 구조로 인해 두께 방향과 면 방향의 열전도도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그라파이트층은 일반적으로 면 방향으로는 100 W/mk 이상의 열전도도를 갖고, 수평 방향으로는 20 W/mk 이하의 열전도도를 갖는다. 따라서, 그라파이트층은 복수의 배터리 셀에서 발생하는 열을 하부의 방열판으로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그라파이트층의 두께 방향의 열전도도에 대한 면 방향의 열전도도의 비가 300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라파이트층의 두께 방향의 열전도도는 1 W/mK 내지 20 W/mK일 수 있고, 면 방향의 열전도도는 800 W/mK 내지 2,000 W/mK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두께 방향의 열전도도는 1 W/mK 내지 18 W/mK, 3 W/mK 내지 20 W/mK 또는 5 W/mK 내지 20 W/mK일 수 있고, 상기 면 방향의 열전도도는 900 W/mK 내지 2,000 W/mK, 1,000 W/mK 내지 1,800 W/mK, 1,200 W/mK 내지 2,000 W/mK 또는 1,200 W/mK 내지 1,800 W/mK 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그라파이트층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흑연층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흑연층이 교대로 적층된 5층 이상의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층은 위사와 경사가 직조된 직물 형태의 표면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라파이트층은 흑연화된 섬유를 포함하는 제1 흑연층과 제2 흑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라파이트층은 흑연화된 섬유를 포함하는 제1 흑연층 및 상기 제1 흑연층의 단면 또는 양면을 덮는 제2 흑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층의 표면 구조는, 제1 흑연층을 이루는 섬유의 표면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섬유는 직물 기재로서, 이를 이용해 제조된 상기 그라파이트층의 표면 구조가 전술한 구조를 갖게 하는 직조 구조의 기재일 수 있다.
상기 제1 흑연층은 복수의 흑연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다발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흑연층은 복수의 흑연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다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 다발은 복수의 흑연 섬유 사이에 형성된 공극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흑연층은 흑연 섬유 또는 흑연 섬유 다발로 이루어진, 위사와 경사가 직조된 직물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흑연층은 천연 섬유 또는 인조 섬유가 흑연화된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흑연층은 천연 섬유 또는 인조 섬유가 탄화 및 흑연화된 섬유일 수 있다.
상기 천연 섬유는 셀룰로오스 섬유, 단백질 섬유 및 광물성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예를 들어, (i) 면 또는 케이폭 등과 같은 종자섬유, (ii) 아마, 저마, 대마, 또는 황마 등과 같은 줄기섬유, (iii) 야자섬유와 같은 과실섬유, 및 (iv) 마닐라마, 아바카 또는 사이잘마와 같은 잎섬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백질 섬유는, 예를 들어, (i) 양모 섬유, (ii) 견 섬유 및 (iii) 헤어 섬유를 들 수 있다. 상기 광물성 섬유는, 예를 들어, (i) 글라스울 및 미네라울과 같은 인조광물섬유, 및 (ii) 유리, 암석, 기타 광물질이 고온에서 액화시켜 섬유화된 석면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 섬유는 면, 마, 모 및 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조 섬유는 유기질 섬유 및 무기질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기질 섬유는, 예를 들어, (i) 레이온, 텐셀(라이오셀), 모달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계 섬유, 또는 단백질계 섬유를 포함하는 재생 섬유, (ii)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반합성 섬유, 또는 (iii)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우레탄계 섬유, 폴리에틸렌계 섬유, 폴리염화비닐계 섬유, 폴리플루오르에틸렌계 섬유,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 아크릴계 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섬유와 같은 합성 섬유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조 섬유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성 섬유; 또는 레이온, 아세테이트 및 트리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흑연층은 피치 20 내지 200 ㎛ 및 폭 60 내지 200 ㎛의 격자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흑연층은 상기 제1 흑연층의 단면 또는 양면을 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흑연층은 제1 흑연층의 일면에 피복되는 제1 흑연 외층과 상기 제1 흑연층의 다른 일면에 피복되는 제2 흑연 외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흑연 외층과 제2 흑연 외층의 일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흑연층은 고분자 수지가 흑연화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흑연층은 천연 흑연 또는 팽창 흑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이미드, 폴리아믹산,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플루오르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 200,000 내지 300,000 g/mol인 폴리이미드, 폴리아믹산 및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라파이트층은 섬유 기재 및 상기 섬유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고분자 코팅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조한 후, 상기 적층체를 일체로 탄화 및 흑연화시켜 제조될 수 있다. 소정의 온도에서 탄화 및 흑연화시키는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적층체를 이루는 섬유 기재 및 고분자 코팅층은 모두 흑연화되며, 이로써 그라파이트층이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적층체를 흑연화시켜 그라파이트층을 제조할 경우, 비교적 두꺼운 두께 및 우수한 열전도도를 갖는 그라파이트층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고분자 코팅층 하나의 두께는 30 내지 5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 코팅층을 상기 섬유 기재의 양면에 형성하는 경우, 이층의 고분자 코팅층의 총 두께는 60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코팅층의 두께가 상기 두께 범위로 형성될 때, 상기 적층체는 탄화 및 흑연화된 이후 상기 그라파이트층의 표면 상에 상기 섬유 기재로부터 유래된 직조 구조가 드러날 수 있다.
상기 섬유 기재는 천연 섬유 및 인조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천연 섬유 및 인조 섬유는 상기 제1 흑연층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고분자 코팅층은 상기 흑연 제2 흑연층의 고분자 수지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그라파이트층은 피치 20 내지 200 ㎛ 및 폭 60 내지 200 ㎛의 격자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그라파이트층은 위사와 경사가 직조된 직물 형태의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사(A) 및 상기 경사(B)는 그 폭(d1, d2)이 각각 20 내지 200 ㎛, 30 내지 170 ㎛ 또는 50 내지 17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사(A) 및 상기 경사(B)는 그 피치(P1, P2)가 각각 20 내지 200 ㎛, 30 내지 170 ㎛ 또는 50 내지 17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파이트층의 표면 구조는 위사(A) X 경사(B)가 80 내지 130 X 100 내지 150 count/inch를 만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라파이트층의 표면 구조는 위사(A) X 경사(B)가 130 X 150 count/inch, 100 X 120 count/inch, 또는 80 X 100 count/inch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층은 전술한 표면 구조를 가짐으로써 표면에 소정의 조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할 때, 상기 그라파이트층의 표면은 상기 위사(A) 및 상기 경사(B)가 중첩되는 부분(C)과 중첩되지 않는 부분(D) 사이의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그라파이트층의 표면 조도(Ra)는 0.5 내지 10 ㎛일 수 있다(도 5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라파이트층의 표면 조도(Ra)는 1 내지 8 ㎛, 또는 2 내지 6 ㎛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그라파이트층의 두께는 10 ㎛ 내지 500 ㎛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라파이트층의 두께는 50 내지 500 ㎛, 70 내지 500 ㎛, 70 내지 300 ㎛, 10 내지 300 ㎛, 10 내지 250 ㎛, 또는 70 내지 250 ㎛일 수 있다. 그라파이트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때, 열용량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층은 5 mm의 곡률 반경(R), 180°의 절곡 각도, 0.98 N의 하중 및 90 회/분의 절곡 속도 조건에서 수행한 MIT 굴곡성 시험 결과, 파단되기까지의 왕복 절곡 횟수가 10,000회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라파이트층은 상기 MIT 굴곡성 시험 결과, 파단되기까지의 왕복 절곡 횟수가 10,000 내지 20,000 회, 10,000 내지 18,000 회, 또는 10,000 내지 15,000 회일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층은 50℃에서의 비열이 0.5 내지 1.0 J/gK, 0.5 내지 0.9 J/gK, 0.6 내지 0.9 J/gK 또는 0.7 내지 0.9 J/gK일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층의 밀도는 0.5 내지 2.5 g/㎤, 0.5 내지 2.0 g/㎤ 또는 0.8 내지 2.0 g/㎤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흑연층의 밀도는 상기 제1 흑연층의 밀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흑연층의 밀도는 1.3 내지 1.5 g/㎤ 또는 1.5 내지 1.9 g/㎤일 수 있고, 제2 흑연층의 밀도는 1.5 내지 1.8 g/㎤ 또는 1.8 내지 2.1 g/㎤일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른 복합 시트는 상기 그라파이트층을 포함함으로써,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금속 소재가 아닌 그라파이트층을 포함함으로써, 금속 소재에 비하여 부피가 작고, 가벼우며 유연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고온의 배터리로부터 효과적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으므로,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극층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극층은 은-나노와이어(Ag-nanowire), 메탈 메시(metal mesh),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극층의 면저항은 50 Ω/□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층이 은-나노와이어(Ag-nanowire) 또는 메탈 메시(metal mesh)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극층의 면저항은 40 Ω/□ 이하, 30 Ω/□ 이하, 20 Ω/□ 이하 또는 10 Ω/□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층이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극층의 면저항은 50 Ω/□ 이하, 40 Ω/□ 이하, 30 Ω/□ 이하, 20 Ω/□ 이하 또는 10 Ω/□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극층의 두께는 1 내지 1000 n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층의 두께는 10 내지 1000 nm, 20 내지 1000 nm, 30 내지 1000 nm, 50 내지 1000 nm, 80 내지 1000 nm, 100 내지 1000 nm, 100 내지 900 nm, 100 내지 800 nm, 150 내지 800 nm, 200 내지 800 nm, 200 내지 600 nm 또는 200 내지 500 nm일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른 복합 시트는 상기 전극층을 포함함으로써, 발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낮은 구동 전압으로 고속 히팅이 가능하므로 발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polychlorotrifluoroethylene), 폴리비닐리덴디블루오라이드(PVDF, polyvinylidenedifluoride), 플로린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FEP, 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 polyethylene-co-tetrafluoroethylene) 및 폴리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ECTFE, polyethylene-co-chlorotrifluoroethyl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은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 탄소섬유 및 그래핀(graph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전도성 고분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의 접촉각은 90°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의 접촉각은 100°이상, 110° 이상 또는 120° 이상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의 두께는 1 내지 1000 n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의 두께는 10 내지 1000 nm, 20 내지 1000 nm, 30 내지 1000 nm, 50 내지 1000 nm, 80 내지 1000 nm, 100 내지 1000 nm, 100 내지 900 nm, 100 내지 800 nm, 150 내지 800 nm, 200 내지 800 nm, 200 내지 600 nm 또는 200 내지 500 nm일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른 복합 시트는 난연성과 같은 내화학성이 우수한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내화학성 및 내오염성과 같은 내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은 그라파이트층 및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적층 시트의 일면에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그라파이트층, 전극층 및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극층은 습식 코팅(wet coating) 공정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은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퍼터링 공정은 RF(radio frequency), MF(middle frequency) 또는 DC(direc current)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 셀 모듈
일 구현예에 따른 배터리 셀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사이에 개재되는 복합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시트가 그라파이트층 및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 및 상기 적층 시트의 일면에 형성된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배터리 셀 모듈은 상기 적층 시트의 타면이 상기 개개의 배터리 셀과 접할 수 있다.
종래의 배터리 셀 모듈은 배터리 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판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복수의 배터리 셀 사이에 냉각핀이 개재되고, 상기 냉각핀을 따라 이동되는 열은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방열판으로 이동됨으로써 배터리 셀 모듈의 관리 온도(20℃ 내지 40℃)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 셀 모듈은 하우징, 냉각핀 및 방열판이 알루미늄 또는 구리와 같이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충분한 방열성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리튬이온 배터리는 저온 환경에서 차량의 출력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10℃ 이하에서부터 출력성능이 저하되기 시작하여, 영하 20℃에서 30%정도 성능이 저하되므로 저온 환경에서 배터리 셀 모듈의 관리온도(20℃ 내지 40℃)로 히팅(heating)할 수 있는 발열 장치가 필요하다.
일 구현예에 따른 배터리 셀 모듈은 전극층, 그라파이트층 및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복합 시트를 포함하거나, 그라파이트층, 전극층 및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복합 시트를 포함함으로써, 낮은 구동 전압으로 고속 히팅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고온의 배터리로부터 효과적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으므로, 발열성능과 방열 성능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에 따른 배터리 셀 모듈은 부피가 크지 않으므로 경량성이 우수한 그라파이트 시트를 포함함으로써, 종래의 배터리 셀 모듈과 동일한 공간에서 배터리 셀의 장착 수량을 늘릴 수 있으므로, 배터리 셀 모듈의 전력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유연성이 뛰어나다.
또한, 일 구현예에 따른 배터리 셀 모듈은 난연성과 같은 내화학성이 우수한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 시트를 포함함으로써, 내화학성 및 내오염성과 같은 내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우징
하우징은 복수의 배터리 셀 및 방열시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 또는 PC+ABS, PA, PP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서, 난연성, 내화학성, 절연성, 내구성 등의 기능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 셀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복수의 배터리 셀은 하우징 내에 병렬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요구되는 전력의 크기에 따라 배터리 셀의 개수가 결정되므로, 배터리 셀이 많이 배치될수록 많은 전력량을 공급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배터리 셀 모듈은 종래의 금속 소재가 아닌 그라파이트층을 포함함으로써, 금속 소재에 비하여 부피가 작다. 따라서, 종래의 배터리 셀 모듈과 동일한 공간에서 배터리 셀의 장착수량을 늘릴 수 있으므로, 배터리 셀 모듈의 전력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금속 소재에 비하여, 가볍고 유연한 장점이 있다.
복합 시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 셀 모듈의 면저항은 50 Ω/□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셀 모듈의 면저항은 40 Ω/□ 이하, 30 Ω/□ 이하, 20 Ω/□ 이하 또는 10 Ω/□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 셀 모듈은 20초 이내에 60℃ 내지 100℃의 온도에 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셀 모듈은 20초 이내에 60℃ 내지 90℃ 또는 60℃ 내지 80℃의 온도에 도달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 셀 모듈의 승온 속도는 1.5 내지 2℃/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셀 모듈의 승온 속도는 1.6 내지 2℃/초 또는 1.5 내지 1.8℃/초일 수 있다.
Claims (18)
- 그라파이트층 및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 및
상기 적층 시트의 일면에 형성된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chlorotrifluoroethylene), 폴리비닐리덴디블루오라이드(polyvinylidenedifluoride), 플로린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ethylene-co-tetrafluoroethylene) 및 폴리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ethylene-co-chlorotrifluoroethyl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그라파이트층이 천연 섬유 또는 인조 섬유가 탄화 및 흑연화된 섬유를 포함하는 제1 흑연층, 및 폴리이미드, 폴리아믹산,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플루오르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가 흑연화된 제2 흑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흑연층의 밀도가 1.3 내지 1.5 g/㎤이고, 상기 제2 흑연층의 밀도가 1.5 내지 1.8 g/㎤인, 복합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파이트층의 두께 방향의 열전도도에 대한 면 방향의 열전도도의 비가 300 이상인, 복합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파이트층의 면 방향의 열 전도도가 800 내지 2,000 W/mK인, 복합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이 상기 전극층 상에 형성된, 복합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이 상기 그라파이트층 상에 형성된, 복합 시트.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이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 탄소섬유 및 그래핀(graph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전도성 고분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합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의 접촉각이 90° 이상인, 복합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이 은-나노와이어(Ag-nanowire), 메탈 메시(metal mesh),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복합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파이트층의 두께가 10 내지 500 ㎛이고,
상기 전극층 및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의 두께가 각각 1 내지 1000 nm인, 복합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시트의 두께가 10 내지 500 ㎛인, 복합 시트. - 그라파이트층 및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적층 시트의 일면에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chlorotrifluoroethylene), 폴리비닐리덴디블루오라이드(polyvinylidenedifluoride), 플로린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ethylene-co-tetrafluoroethylene) 및 폴리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ethylene-co-chlorotrifluoroethyl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그라파이트층이 천연 섬유 또는 인조 섬유가 탄화 및 흑연화된 섬유를 포함하는 제1 흑연층, 및 폴리이미드, 폴리아믹산,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플루오르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가 흑연화된 제2 흑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흑연층의 밀도가 1.3 내지 1.5 g/㎤이고, 상기 제2 흑연층의 밀도가 1.5 내지 1.8 g/㎤인,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이 습식 코팅(wet coating) 공정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이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사이에 개재되는 복합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시트가 그라파이트층 및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 및 상기 적층 시트의 일면에 형성된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불소 수지 함유 코팅층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chlorotrifluoroethylene), 폴리비닐리덴디블루오라이드(polyvinylidenedifluoride), 플로린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ethylene-co-tetrafluoroethylene) 및 폴리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ethylene-co-chlorotrifluoroethyl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그라파이트층이 천연 섬유 또는 인조 섬유가 탄화 및 흑연화된 섬유를 포함하는 제1 흑연층, 및 폴리이미드, 폴리아믹산,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플루오르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가 흑연화된 제2 흑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흑연층의 밀도가 1.3 내지 1.5 g/㎤이고, 상기 제2 흑연층의 밀도가 1.5 내지 1.8 g/㎤인, 배터리 셀 모듈.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시트의 타면이 상기 개개의 배터리 셀과 접하는, 배터리 셀 모듈.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 모듈의 면저항이 50 Ω/□ 이하인, 배터리 셀 모듈.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 모듈이 20초 이내에 60℃ 내지 100℃의 온도에 도달하는, 배터리 셀 모듈.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 모듈의 승온 속도가 1.5 내지 2℃/초인, 배터리 셀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6615A KR102268897B1 (ko) | 2019-06-05 | 2019-06-05 |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6615A KR102268897B1 (ko) | 2019-06-05 | 2019-06-05 |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0002A KR20200140002A (ko) | 2020-12-15 |
KR102268897B1 true KR102268897B1 (ko) | 2021-06-25 |
Family
ID=7378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6615A KR102268897B1 (ko) | 2019-06-05 | 2019-06-05 |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889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13609B (zh) * | 2022-03-30 | 2023-12-08 | 安徽碳华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超级电池表面散热的烯碳复合材料 |
WO2023229388A1 (ko) * | 2022-05-25 | 2023-11-3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 모듈 및 이에 이용되는 이차전지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43478B2 (ja) * | 2008-09-18 | 2013-11-13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グラファイト複合体 |
JP2017168225A (ja) * | 2016-03-14 | 2017-09-21 | 藤森工業株式会社 | 加熱放熱シート及び加熱放熱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449374B (zh) * | 2006-06-08 | 2011-11-09 | 国际商业机器公司 | 高热传导性柔软片及其制造方法 |
KR20130112605A (ko) * | 2012-04-04 | 2013-10-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배터리 셀 모듈용 방열 플레이트 및 이를 갖는 배터리 셀 모듈 |
KR20140052457A (ko) * | 2012-10-24 | 2014-05-07 |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 열차단 및 열확산 기능 일체형 방열필름 |
KR20180080614A (ko) | 2017-01-04 | 2018-07-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기자동차의 수냉식 배터리모듈 |
-
2019
- 2019-06-05 KR KR1020190066615A patent/KR1022688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43478B2 (ja) * | 2008-09-18 | 2013-11-13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グラファイト複合体 |
JP2017168225A (ja) * | 2016-03-14 | 2017-09-21 | 藤森工業株式会社 | 加熱放熱シート及び加熱放熱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0002A (ko) | 2020-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4307B1 (ko) | 배터리 셀 모듈 | |
US10717844B2 (en) | Multilayer conformable composites | |
KR102268897B1 (ko) |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 모듈 | |
EP1145074B1 (en) | Heat transfer unit for a laptop computer | |
US8561934B2 (en) | Lightning strike protection | |
RU2007149271A (ru) | Выдерживающий нагрузки проводящий/резистивный композитный гибридный нагреватель для теплового противообледен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 |
US20130266837A1 (en) | Heat radiation plate for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 |
US20150027132A1 (en) | Cooling device including an electrocaloric composite | |
ES2275130T3 (es) | Telas de grafico a base de brea y fieltros agujeteados para substratos de capa de difusion de gas de celulas de combustible y materiales compuestos reforzados de conductividad termica. | |
KR102149993B1 (ko) | 적층체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 모듈 | |
KR102002365B1 (ko) | 배터리 셀 모듈용 방열 계면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모듈 | |
JP6623011B2 (ja) | 炭素繊維強化炭素複合材および炭素繊維強化炭素複合材の製造方法 | |
CN113337956B (zh) | 三维高导热聚合物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 |
KR102012384B1 (ko) | 전지용 포장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 |
KR101729006B1 (ko) | 탄소섬유가 포함된 방열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
KR102354939B1 (ko) | 배터리 셀 모듈 | |
JP2009188172A (ja) | 熱拡散性シート | |
KR102177752B1 (ko) | 방열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5791701B2 (ja) | 電気化学装置のための拡散層、及びそのような拡散層の製造方法 | |
TWI818959B (zh) | 各向異性導熱性樹脂部件及其製造方法 | |
KR20230071570A (ko) | 피치계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 및 그 제작방법 | |
KR101932424B1 (ko) | 연료전지 분리판용 복합재,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2848385A (zh) | 一种石墨膜导热增强复合材料的制备方法 | |
Chung | Carbon Fibers and Nanofillers | |
JP2001336034A (ja) | 炭素繊維織物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