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727B1 - Table Lift Having Wheel Support Apparatus - Google Patents

Table Lift Having Wheel Suppor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727B1
KR102268727B1 KR1020200166539A KR20200166539A KR102268727B1 KR 102268727 B1 KR102268727 B1 KR 102268727B1 KR 1020200166539 A KR1020200166539 A KR 1020200166539A KR 20200166539 A KR20200166539 A KR 20200166539A KR 102268727 B1 KR102268727 B1 KR 102268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hock
lift
whee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5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반세호
Original Assignee
반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세호 filed Critical 반세호
Priority to KR102020016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7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7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lift having a wheel chock, which is automatically installed when a table is lifted, thereby eliminating a need for installation of a separate wheel chock to provide user convenience. The table lift having a wheel chock comprises: a base where wheels are installed; a bellows-type lifting device install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ase; a tabl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lifting device; and a wheel chock automatically placed against the wheel as the table is lifted, wherein the wheel chock includes: a first link having the top support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a second link having a bottom end connected to the chock toward the wheel; a post erected and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a third link installed on the post to be able to rotate, which has one end to which the first link is rotatably connected and the other end to which the second link is rotatably connected; a fourth link installed on the post to be able to rotate and parallel to the third link, which has one end to which the first link is rotatably connected and the other end to which the second link is rotatably connected; and an elastic support means for making the top of the first link supported elastically by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Accordingly, when the table is lifte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nks behave like a four-bar linkage mechanism, thereby enabling the wheel chock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to be inserted into a gap between the wheel and the ground.

Description

고임목 장치를 갖는 테이블 리프트{Table Lift Having Wheel Support Apparatus}Table Lift Having Wheel Support Apparatus

본 발명은 테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고소작업용으로 사용되는 테이블 리프트에서 테이블이 상승시 자동적으로 고임목이 설치됨으로써 별도로 고임목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고임목 장치를 갖는 테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lift, and more specifically, to a table lift having a chock device that provides the convenience of not having to install a separate chock by automatically installing a chock when the table is raised in a table lift used for high-place work. it's about

고소작업을 위한 기본적인 수단으로서 사다리가 있다. 사다리는 무동력으로서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차량에 싣고 다닐 수 있어 이동성이 좋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작업공간에 제약이 있어 편하고 안전하게 작업하기 어렵고, 사용 가능한 높이에 많은 제한이 있다. A ladder is a basic means of working at height. Ladder can be used economically as non-motorized and has the advantage of good mobility because it can be carried on a vehicle, but it is difficult to work comfortably and safely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work space, and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 usable height.

그래서 기계식으로 된 고소작업장치가 보급되게 되었다. 고소작업장치에도 여러가지 방식이 있는데, 본 발명이 대상으로 삼는 것은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테이블 형태로 된 작업발판이 자바라식으로 상승하는 방식의 테이블 리프트이다. 테이블 리프트는 짐을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내리는 작업을 포함하며, 작업자가 딛고 서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refore, mechanical high-altitude working devices became popular. There are various methods in the high-place work apparatu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ble lift in which wheels are installed, which have mobility, and the work platform in the form of a table is raised in a bellows type. The table lift includes an operation of raising or lowering a load, and is for allowing an operator to stand on their feet and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테이블 리프트는 작업위치에 고정되어 있도록 작업자가 테이블에 올라서기 전에 고임목으로 위치를 고정시키게끔 되어 있다. 종래에는 목재로 된 고임목을 널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작업위치를 옮길 때마다 고임목을 바퀴에서 분리하고 다시 설치하고 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롭다. 작업자가 혼자서 작업해야 하는 경우는 그 불편함이 더욱 클 수밖에 없다. The table lift is designed to be secured in position with a chock before the operator is placed on the table so that it is secured in the working position. Conventionally, wooden stanchions have been widely used. However, it is very cumbersome to remove the chock from the wheel and reinstall it every time the working position is moved. When an operator has to work alone, the inconvenience is inevitably greater.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25275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25275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30794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5-0030794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은 바퀴가 달린 테이블형 고소작업장치에 있어서 고임목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 안전성을 높이고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고임목 장치를 갖는 테이블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In response to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table lift having a chock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work safety and improving convenience of work by facilitating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a chock in a wheeled table-type high-place work device. There is this.

위와 같은 목적은, 저면에 바퀴가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자바라식 리프트 장치; 상기 리프트 장치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이 상승함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상기 바퀴를 받치기 위한 고임목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고임목 장치는,The above purpose, the base on which the wheel is installed on the bottom; a bellows-type lift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 table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lift device and provides a footrest on which the operator can stand; a chocking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orting the wheels as the table rises; The chock tree device,

상단이 상기 테이블의 저면에 지지되며 하단은 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링크; 하단에는 상기 바퀴를 향한 방향으로 고임목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단은 직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링크;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직립 고정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 상기 제1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제2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 상기 제3링크와 평행하도록 포스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 상기 제1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제2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 상기 제1링크의 상단이 상기 테이블의 저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지지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테이블이 상승할 때 상기 제1,2,3,4링크가 4절링크기구와 같이 거동하면서 상기 제2링크에 연결된 상기 고임목이 상기 바퀴와 지면 사이의 틈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임목 장치를 갖는 테이블 리프트에 의해 달성된다.a first link whose upper end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and whose lower end extends in a direct downward direction; A chock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wheel and the upper end is a second link extending in a direct upward direction; a post fixed upright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a third link rotatably installed on the post, the first link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second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a fourth link rotatably installed on the post so as to be parallel to the third link, the first link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second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By including an elastic support means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link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nks behave like a four-bar link mechanism when the table rises. It is achieved by a table lift having a ch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ock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is fitted in the gap between the wheel and the ground while doing so.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링크의 상단에는 상기 테이블의 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구름운동하는 지지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roller for rolling motion in a state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link.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2링크는 각각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links may be capable of length adjustment,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임목 장치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좌우 대칭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ocking device may be installed in a left-right symmetrical form with respect to the base.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작업발판이 되는 테이블이 상승함에 따라 제1,2,3,4링크가 링크운동을 하게 되고 그 결과로 고임목이 자동적으로 바퀴를 지지하게 되는 고임목 장치를 갖는 테이블 리프트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s the table, which is the work platform, rises,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nks link motion, and as a result, a table lift having a chock device that automatically supports the wheels is provided. d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임목 장치를 갖는 테이블 리프트의 측부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임목 장치를 갖는 테이블 리프트의 사용상태의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임목 장치를 갖는 테이블 리프트의 측부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임목 장치를 갖는 테이블 리프트의 제2링크의 측부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임목 장치를 갖는 테이블 리프트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1 is a side configuration view of a table lift having a ch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side views of main parts of a table lift having a ch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use.
5 is a side configuration view of a table lift having a ch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configuration view of a second link of a table lift having a ch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table lift using a ch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나머지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mainly to FIGS. 1 to 5 . The remaining drawings will be cited where necessar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임목 장치를 갖는 테이블 리프트는 베이스(10), 테이블(20), 리프트 장치(30), 및 고임목 장치(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요소는 고임목 장치(100)에 있으며 나머지 구성요소는 종래의 것과 크게 다름 없다. 그러므로 이들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A table lift with a ch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0 , a table 20 , a lift device 30 , and a chock device 100 . A characteristic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chocking device 100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ior art. Therefore, these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베이스(10)의 저면에 바퀴(11)가 설치된다. 소정의 구동장치에 의해 베이스(10)가 지면에서 기동되도록 할 수 있다. 바퀴(11)는 베이스(10) 저면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A wheel 11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0 . The base 10 may be activated on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driving device. The wheel 11 may be installed in a corn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0 and may be composed of four.

리프트 장치(30)가 베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된다. 리프트 장치(30)는 자바라식으로 되어 있다. 리프트 장치(30)는 기계식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공지의 장치이다. 리프트 장치(30)의 리프팅 방식은 자바라식이 아닌 다른 방식이 될 수도 있다. The lifting device 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 The lift device 30 is a bellows type. The lift device 30 is a device known to be mechanically operated. The lifting method of the lifting device 30 may be a method other than the bellows type.

테이블(20)이 리프트 장치(30)의 상단에 설치됨으로써 리프트 장치(30)에 의하여 승하강된다. 테이블(20)은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며 안전을 위한 난간(21)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The table 2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lift device 30 so that the table 20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lift device 30 . The table 20 provides a footrest on which the operator can stand and may optionally be provided with a handrail 21 for safety.

고임목 장치(100)는 테이블(20)이 상승함에 따라서 고임목(121)으로 하여금 자동적으로 바퀴(11)를 받치기 위한 것이다. 반대로 테이블(20)이 하강함에 따라서 고임목(121)은 바퀴에서 분리될 수 있다. The chock device 100 is for automatically supporting the wheel 11 by the chock 121 as the table 20 rises. Conversely, as the table 20 descends, the chock 121 may be separated from the wheel.

이하, 고임목 장치(100)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4를 주로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hock tree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mainly to FIGS. 2 to 4 .

고임목 장치(100)는 제1,2,3,4링크(110,120,140,150)와 포스트(130)를 포함한다. 제1,2,3,4링크(110,120,140,150)는 4절링크기구로 거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2,3,4링크(110,120,140,150)는 항상 평행사변형을 유지하게끔 되어 있다. The chocking device 100 includes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nks 110 , 120 , 140 , 150 and a post 130 .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nks (110, 120, 140, 150) are connected to be able to act as a four-bar link mechanism. Accordingly,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nks 110, 120, 140, and 150 are always designed to maintain a parallelogram.

제1링크(110)는 상단이 테이블의 저면(22)에 지지되며 하단은 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링크(110)는 지면에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상하로 기동한다. The first link 110 has an upper en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table and a lower end extending in a direct downward direction. The first link 110 moves up and down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제2링크(120) 역시 지면에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상하로 기동한다. 제2링크(120)의 하단에는 바퀴(11)를 향한 방향으로 고임목(121)이 연결되어 있다. 제2링크(120)의 상단은 직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The second link 120 also moves up and down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chock 121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nk 120 in a direction toward the wheel 11 .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nk 120 extends in the direct upward direction.

고임목(121)은 지면에 접촉하는 바닥면(123) 및 경사면(122)을 가짐으로써 쐐기 형태로 바퀴(11)와 지면 사이의 틈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chock 121 is configured to be fitted into the gap between the wheel 11 and the ground in a wedge shape by having a bottom surface 123 and an inclined surface 122 in contact with the ground.

포스트(130)가 베이스의 상면(12)에 직립되게 고정 설치된다. 포스트는 수직대(131)와 수평받침대(13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평받침대(132)는 볼트나 용접으로 베이스의 상면(12)에 고정될 수 있다. The post 13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12 of the base. The post may be composed of a vertical support 131 and a horizontal support 132, and the horizontal support 132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12 of the base by bolts or welding.

제3링크(140)는 포스트(13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142) 연결된다. 제3링크(140)의 일단에 제1링크(110)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141) 연결되고 타단에 제2링크(120)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143) 연결된다. The third link 140 is rotatably hinged 142 connected to the post 130 . The first link 110 is rotatably hinged 141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link 140 and the second link 120 is rotatably hinged 143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ereof.

제4링크(150)는 제3링크(140)와 평행하도록 포스트(13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152) 연결된다. 제4링크(150)의 일단에 제1링크(110)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151) 연결되고 타단에 제2링크(120)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153) 연결된다. The fourth link 150 is rotatably hinged 152 connected to the post 130 so as to be parallel to the third link 140 . The first link 110 is rotatably hinged 151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ourth link 150 and the second link 120 is rotatably hinged 153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ereof.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각 링크는 자유도가 다음과 같이 제한된다. 즉, 제3,4링크(140,150)는 포스트(130)와의 각 연결점을 중심으로 회전운동만을 하게 되며, 제1,2링크(110,120)는 수직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하 및 전후운동을 하게 된다.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each link has a limited degree of freedom as follows. That is, the third and fourth links 140 and 150 only rotate around each connection point with the post 130 , and the first and second links 110 and 120 move up and down and back and forth while maintaining verticality.

한편, 제1링크(110)의 상단이 테이블의 저면(22)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지지수단이 더 포함된다. 테이블(20)이 상승함에 따라 제1링크(110)가 도 3의 화살표(K) 방향을 따라 회전 상승하고 이 결과로써 제2링크(120)가 회전 하강하면서 바퀴와 지면 사이의 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On the other hand, an elastic support means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link 110 on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table is further included. As the table 20 rises, the first link 110 rotates and ris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K in FIG. 3, and as a result, the second link 120 rotates and descends to fit into the gap between the wheel and the ground. in order to be able to

즉 탄성지지수단에 의해 테이블(20)이 상승할 때 상기 제1,2,3,4링크(110,120,140,150)가 4절링크기구와 같이 거동하면서 제2링크(120)에 연결된 고임목(121)이 바퀴(11)의 측하부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table 20 is raised by the elastic support means,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nks 110, 120, 140, and 150 behave like a four-bar link mechanism, and the chock 121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120 is a wheel. (11) is to be fitted to the lower side.

탄성지지수단은 일단은 제3링크(140)에 연결되고 비스듬히 연장된 상태에서 타단은 제4링크(150)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코일스프링(16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지지수단은 경우에 따라서 일단은 제1링크의 하단(112)에 지지되고 타단은 베이스의 상면(12)에 지지되는 스프링(미도시됨)일 수도 있다. The elastic support means may include one or more coil springs 16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hird link 14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ourth link 150 in an obliquely extended state. In some cases, the elastic support means may be a spring (not shown) that has one end supported on the lower end 112 of the first link and the other e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12 of the ba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링크(110)의 상단에는 테이블의 저면(22)에 지지된 상태에서 구름운동하는 지지롤러(111)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롤러(111)는 제1링크(110)와 테이블(20)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마련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roller 111 that rolls in a state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table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link 110 . The support roller 111 is provided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first link 110 and the table 20 .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1링크(110) 또는 제2링크(12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을 수 있다. 고임목 장치(100)를 실제로 적용하고자 하는 테이블 리프트의 구체적 상황에 맞추어 정확한 길이를 세팅하기 위한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link 110 or the second link 120 may be capable of length adjustment. This is to set the correct length according to the specific situation of the table lift to which the chocking device 100 is actually applied.

도 6은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제2링크(120)의 구성을 도시한다. 제2링크는 힌지연결부(143,153)를 갖는 메인관(124)과 메인관(124)에서 인출되는 인출관(125)과, 메인관(124)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손이나 공구로써 조이거나 풀 수 있는 조정구(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링크(120)의 길이는 제2링크(120)가 최대한 하강한 상태에서 고임목(121)의 저면이 지면(E)에 닿을 정도로 세팅하면 될 것이다. 6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link 120 in which the length adjustment is possible. The second link is a main pipe 124 having hinged connection parts 143 and 153, a pull-out pipe 125 drawn out from the main pipe 124, and installed in the main pipe 124, which can be tightened or loosened by hand or a tool. It may include an adjuster 126 . The length of the second link 120 will be set to such a degree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hock 121 touches the ground (E)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link 120 is descended as much as possible.

도 2 내지 도 4는 고임목 장치의 작용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테이블(20)이 상승하면서 제1링크(110)가 화살표(K) 방향으로 회전 상승하게 되며, 제2링크(120) 역시 회전 하강하게 된다. 도 4와 같이 테이블(20)이 더 상승하여 고임목 장치(100)에서 이격되면 제2링크(120)는 완전히 하강하게 되어 고임목(121)이 바퀴(11)를 지지하게 된다. 2 to 4 ar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anchion device step by step. As shown in FIG. 2 , as the table 20 rises, the first link 110 rotates upwar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K, and the second link 120 also rotates downward. As shown in FIG. 4 , when the table 20 further rises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chock device 100 , the second link 120 is completely lowered and the chock 121 supports the wheel 11 .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테이블(20)이 하강하면서 테이블 저면(22)이 제1링크에 닿기 시작한 때부터 고임목(121)은 바퀴(11)에서 분리되며, 바퀴가 구를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 the chock 121 is separated from the wheel 11 from the time when the table bottom 22 starts to contact the first link while the table 20 descends, so that the wheel can be rolled. do.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고임목 장치(100,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에 대하여 좌우 대칭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앞뒤 바퀴(11) 모두에 고임목(121,121')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ocking devices 100 and 100 ′ may be installed in a left-right symmetrical form with respect to the base 10 as shown in FIG. 5 . This is to enable the chocks 121 and 121' to be install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wheels 11.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본 실시예는 제2링크(120)에 대하여 고임목(121)의 수평방향으로의 위치를 어느 정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고임목(121)의 상면에는 가이드홈(127)이 마련되어 있고, 제2링크의 하단(120a)은 이 가이드홈(127)에 끼워진 상태에서 화살표(M)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도 7(a)의 상태에서 테이블 리프트가 유동하게 되면, 고임목(121)은 고정된 상태에서 바퀴만 회전 이동하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단단하게 바퀴(11)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hock 121 with respect to the second link 120 can be adjusted to some extent. To this end, a guide groove 127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ock 121, and the lower end 120a of the second link may slid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M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7. When the table lift flows in the state of FIG. 7( a ), the chock 121 rotates and moves only the wheels in the fixed state to more firmly fix the wheels 11 as shown in FIG. 7( b ). there will be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a few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using the illustrated bar without going beyo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ed through the claims. For example, all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freely combin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ny combina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베이스 11 : 바퀴
20 : 테이블 21 : 난간
30 : 리프트 장치 100 : 고임목 장치
110,120,140,150 : 제1,2,3,4링크
111 : 지지롤러 130 : 포스트
160 : 코일스프링
10: base 11: wheel
20: table 21: handrail
30: lift device 100: chock device
110,120,140,150: Links 1, 2, 3, 4
111: support roller 130: post
160: coil spring

Claims (5)

저면에 바퀴가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자바라식 리프트 장치; 상기 리프트 장치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이 상승함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상기 바퀴를 받치기 위한 고임목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고임목 장치는,
상단이 상기 테이블의 저면에 지지되며 하단은 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링크;
하단에는 상기 바퀴를 향한 방향으로 고임목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단은 직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링크;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직립 고정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 상기 제1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제2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
상기 제3링크와 평행하도록 포스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 상기 제1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제2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
상기 제1링크의 상단이 상기 테이블의 저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지지수단;
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테이블이 상승할 때 상기 제1,2,3,4링크가 4절링크기구와 같이 거동하면서 상기 제2링크에 연결된 상기 고임목이 상기 바퀴와 지면 사이의 틈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임목 장치를 갖는 테이블 리프트.
Base on which wheel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a bellows-type lift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 table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lift device and provides a footrest on which the operator can stand; a chocking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orting the wheels as the table rises; The chock tree device,
a first link whose upper end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and whose lower end extends in a direct downward direction;
A chock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wheel and the upper end is a second link extending in a direct upward direction;
a post fixed upright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a third link rotatably installed on the post, the first link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second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a fourth link rotatably installed on the post so as to be parallel to the third link, the first link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second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elastic support means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link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By including,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nks behave like a four-bar link mechanism when the table is raised, and the chock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wheel and the ground. A table lift with a chock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의 상단에는 상기 테이블의 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구름운동하는 지지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임목 장치를 갖는 테이블 리프트.
According to claim 1,
A table lift having a ch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roller for rolling motion while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li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임목 장치를 갖는 테이블 리프트.
The table lift with a ch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link is adjustable in leng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수단은 일단은 상기 제3링크에 연결되고 비스듬히 연장된 상태에서 타단은 상기 제4링크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코일스프링(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임목 장치를 갖는 테이블 리프트.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support means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third link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ourth link in an obliquely extended state and includes one or more coil springs (16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임목 장치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좌우 대칭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임목 장치를 갖는 테이블 리프트.
According to claim 1,
The table lift having a ch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ocking device is installed in a symmetrical form with respect to the base.
KR1020200166539A 2020-12-02 2020-12-02 Table Lift Having Wheel Support Apparatus KR1022687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539A KR102268727B1 (en) 2020-12-02 2020-12-02 Table Lift Having Wheel Suppor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539A KR102268727B1 (en) 2020-12-02 2020-12-02 Table Lift Having Wheel Suppor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727B1 true KR102268727B1 (en) 2021-06-24

Family

ID=7660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539A KR102268727B1 (en) 2020-12-02 2020-12-02 Table Lift Having Wheel Suppor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72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284A (en) * 2021-11-24 2023-05-31 현대제철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evention safety accident of fork lift trucks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008A (en) * 1994-12-29 1996-07-18 한승준 Chock of automobile wheel
KR970040421A (en) * 1995-12-29 1997-07-24 한승준 Chock of automobile wheel
KR19990027793A (en) * 1997-09-30 1999-04-15 양재신 Parking assistance device of car
KR20000011001U (en) * 1998-11-28 2000-06-26 이구택 Unloading driving stump removal device
KR20060025275A (en) 2004-09-15 2006-03-21 주식회사 디지털텍 Apparatus for coating electrode active material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employing device for identifying foreign material on inner roll
KR100942593B1 (en) * 2009-07-27 2010-02-25 주식회사 수성 Pothole bar for a vehicle having an aerial work platform
KR20110006377U (en) * 2009-12-17 2011-06-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crane automatic the neck system being
KR20130028494A (en) * 2011-09-09 2013-03-19 (주)신우테크 Elevating work platform
KR20130028495A (en) * 2011-09-09 2013-03-19 (주)신우테크 Carrier for elevating work platform
KR20130007441U (en) * 2012-06-19 2013-12-30 원세길 high place work plate having crash preventing apparatus
KR20190096063A (en) * 2018-02-08 2019-08-19 우혜진 Automamtic locking device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008A (en) * 1994-12-29 1996-07-18 한승준 Chock of automobile wheel
KR970040421A (en) * 1995-12-29 1997-07-24 한승준 Chock of automobile wheel
KR19990027793A (en) * 1997-09-30 1999-04-15 양재신 Parking assistance device of car
KR20000011001U (en) * 1998-11-28 2000-06-26 이구택 Unloading driving stump removal device
KR20060025275A (en) 2004-09-15 2006-03-21 주식회사 디지털텍 Apparatus for coating electrode active material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employing device for identifying foreign material on inner roll
KR100942593B1 (en) * 2009-07-27 2010-02-25 주식회사 수성 Pothole bar for a vehicle having an aerial work platform
KR20110006377U (en) * 2009-12-17 2011-06-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crane automatic the neck system being
KR20130028494A (en) * 2011-09-09 2013-03-19 (주)신우테크 Elevating work platform
KR20130028495A (en) * 2011-09-09 2013-03-19 (주)신우테크 Carrier for elevating work platform
KR20130007441U (en) * 2012-06-19 2013-12-30 원세길 high place work plate having crash preventing apparatus
KR20190096063A (en) * 2018-02-08 2019-08-19 우혜진 Automamtic lock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284A (en) * 2021-11-24 2023-05-31 현대제철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evention safety accident of fork lift trucks
KR102628647B1 (en) * 2021-11-24 2024-01-23 현대제철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evention safety accident of fork lift truc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6230B2 (en) Exercise machine support system
US5203065A (en) Toilet fixture installation apparatus
US4084790A (en) Multi-purpose vehicle service hoist
JPH09511291A (en) Roller assembly lift mechanism
US3999491A (en) Elevationally adjustable folding stage
KR102268727B1 (en) Table Lift Having Wheel Support Apparatus
US20180222037A1 (en) Adjustable Height Creeper
KR101326793B1 (en) Elevating work platform
KR20140002915U (en) Height controllable ladder of working at block of ship
JPH10277967A (en) Lift device
KR101667157B1 (en) High 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e
KR101911931B1 (en) Agricultural elevation workbench with tilt adjustment in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JP2015214423A (en) Lifting platform apparatus
US4008507A (en) Axle mountings
US2168624A (en) Automobile lift platform
US11666792B2 (en) Exercise machine support system
WO2007113441A3 (en) Lifting vehicle for goods and persons working at height
CA2557985A1 (en) Fall arrest system with a deformable link
SE0301696D0 (en) Height and adjustable bed
CN107882501B (en) A kind of moving lifting ladder
KR20140006078U (en) A workbench
KR20070100478A (en) A caster and a portable ladder and chair utilizing thereof
CN111335606A (en) Indoor decoration walking device
CN110054095A (en) Movable curtain wall is sat on the fence hanging device
CN114319816B (en) Lifting table for interior dec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