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506B1 -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epilepsy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epileps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506B1
KR102268506B1 KR1020180170255A KR20180170255A KR102268506B1 KR 102268506 B1 KR102268506 B1 KR 102268506B1 KR 1020180170255 A KR1020180170255 A KR 1020180170255A KR 20180170255 A KR20180170255 A KR 20180170255A KR 102268506 B1 KR102268506 B1 KR 102268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pilepsy
seizure
patient
questionna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2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80621A (en
Inventor
황희
김헌민
유수영
백현영
임가현
임태호
장세균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인바이츠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인바이츠헬스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8017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506B1/en
Priority to PCT/KR2019/018411 priority patent/WO2020138924A2/en
Publication of KR20200080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6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5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뇌전증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신하고, 병원 서버로부터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 및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뇌전증 환자의 뇌전증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관리부; 상기 뇌전증 내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 및 의료진 단말 중 하나 이상에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 및 상기 뇌전증 환자 정보 및 상기 뇌전증 내역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련된다.Embodiments obtain epilepsy-related information and provide a service, and the epilepsy management application is installed, receiving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and data acquisition for receiving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from a hospital server part; a data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of the epilepsy patient related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hospital server; a data providing unit providing the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a user terminal and a medical staff terminal; and a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at least one of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and the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Description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EPILEPSY}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EPILEPSY}

본 발명은 뇌전증 관련 정보를 환자 측 정보 및 병원 진료와 연계하여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뇌전증 환자의 환자기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된 뇌전증 환자기록 정보를 관리하고, 이에 기초하여 의료진에게 환자의 뇌전증 내역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managing epilepsy-related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patient-side information and hospital treatment, and more particularly, a method of providing an epilepsy management application for acquiring patient record information of a patient with epilepsy, and through the application It relates to an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server that manages received epilepsy patient record information and provides medical staff with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of the patient based thereon.

인간의 뇌신경은 정상인 경우 전기적 질서 하에 동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평상시의 전기적 질서가 두 번 이상 반복적으로 깨지는 경우 뇌전증(epilepsy)으로 진단된다. 뇌전증에 걸린 환자는 뇌전증발작(epileptic seizure)(이하, “발작”으로 지칭됨) 또는 경련(seizure)과 같은 증상을 반복적으로 가진다. 이러한 발작은 다양한 트리거 요인들에 의해 유발 및/또는 악화되는데, 상기 트리거 요인들은, 예를 들어, 약물 미복용, 음주, 수면 부족, 심리적 스트레스, 고열 등과 같이 환자별로 매우 다양하다. 여성의 경우 생리 여부도 발작에 영향을 미친다. Human cranial nerves operate under electrical order when normal. However, when this usual electrical order is repeatedly broken twice or more, it is diagnosed as epilepsy. A patient with epilepsy has recurrent symptoms such as epileptic seizur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izures”) or convulsions. These seizures are induced and/or exacerbated by various triggering factors, which vary greatly from patient to patient such as, for example, not taking drugs, drinking, lack of sleep, psychological stress, high fever, and the like. In women, menstruation also affects seizures.

뇌전증은 심할 경우 의식 손실과 같은 의식 장애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뇌전증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치료, 수술치료, 전기자극기를 이용한 치료, 그리고 식이요법 등이 있으며, 통상적으로 뇌전증 환자의 80%는 약물치료만으로 일상 생활의 유지가 가능하다. 상기 약물치료에는 향경련제 등의 약물이 이용되는데, 트리거 요인에 따라 약물 처방이 환자별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약물치료는 일반적으로 수개월 주기로 처방이 진행되어 최소 2 내지 3년의 기간 동안 지속된다. Treatment is very important because epilepsy can have consciousness disorders such as loss of consciousness in severe cases. Epilepsy treatment methods include drug treatment, surgical treatment, treatment using electrical stimulators, and diet. In general, 80% of epilepsy patients can maintain their daily life with only medication. Drugs such as anticonvulsants are used for the drug treatment, and drug prescription may be different for each patient depending on trigger factors. In addition, drug treatment is generally prescribed every several months and lasts for a period of at least 2 to 3 years.

뇌전증 관련 모니터링 장치 또는 모바일 앱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현재까지의 기술은 뇌전증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알람으로 보호자, 간병인, 병원 등에 제공하는 것에 그치고 있을 뿐이다.Epilepsy-related monitoring devices or mobile apps are being developed, but the technology so far is only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epilepsy and providing it as an alarm to guardians, caregivers, hospitals, and the like.

병원 의료진에게 있어서 뇌전증의 정확한 처방과 효과적인 치료 계획 수립 및 치료, 환자 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정확하고 상세한 환자의 증상 기록 및 복용 기록 등을 수집하는 기술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일상 생활 속 기록 정보를 병원 진료와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필요하지만, 현재까지 병원 진료 연계 기반의 뇌전증 관리 솔루션은 없다.For hospital medical staff, accurate prescription of epilepsy, effective treatment plan establishment and treatment, and patient management require technology to collect continuous, accurate and detailed patient symptom records and medication records, as well as the patient's daily life. There is a need for a solution that can manage record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hospital treatment, but there is no epilepsy management solution based on hospital treatment so far.

또한, 병원 의료진 측에게 뇌전증 환자의 일상 생활 기록 등 장기간 동안 수집된 방대한 양의 기록 정보가 효과적으로 분석 제공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시스템 역시 전무하다.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analyzing and providing a vast amount of recorded information collec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such as daily life records of epilepsy patients, to hospital medical staff, but such a system is also non-existent.

특허등록공보 제10-1602033호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602033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병원 진료 정보와 연계하여 뇌전증 증상 또는 복용 기록 등을 포함한 환자의 일상 생활 정보를 정확하고 상세하며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lication capable of accurately, detailed, and continuously collecting daily life information of a patient, including epilepsy symptoms or medication records, through a user terminal in connection with hospital treatment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병원 의료진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장기간 동안 수집된 방대한 양의 환자 뇌전증 관련 정보를 효과적으로 분석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hospital medical staff with a system that can effectively analyze and display a vast amount of patient epilepsy-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rough the applic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존의 병원 환자 정보 시스템에 위와 같은 환자의 뇌전증 관련 정보와 분석 결과가 효율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in which the above-described patient's epilepsy-related information and analysis results can be efficiently combined with an existing hospital patient information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뇌전증 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신하고, 병원 서버로부터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 및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뇌전증 환자의 뇌전증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관리부; 상기 뇌전증 내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 및 의료진 단말 중 하나 이상에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 및 상기 뇌전증 환자 정보 및 상기 뇌전증 내역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는 발작기록 정보, 복약기록 정보, 및 문진기록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는 환자 신원 정보, 처방기록 정보, 및 진료 결과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n apparatus for managing epilepsy-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acquisition unit for receiving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and receiving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from a hospital server; a data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of the epilepsy patient related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hospital server; a data providing unit providing the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a user terminal and a medical staff terminal;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of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and the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wherein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stores at least one of seizure record information, medication record information, and questionnaire record information. Including,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hospital server may include one or more of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scription record information, and treatment result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은, 뇌전증 관련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뇌전증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진행할 수 있는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동작은 실생활에서의 발작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 실생활에서의 복약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 문진에 대한 답변을 획득하기 위한 동작, 및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한 치료 진행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동작 진행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대응하는 동작의 실행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 및 병원 서버에서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epilepsy management application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interface screen for inputting epilepsy-related information or performing one or more operations for providing epilepsy-related information Step - The operation is an operation for acquiring seizure-related information in real life, an operation for acquiring medication-related information in real life, an operation for acquiring an answer to a questionnaire, and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the hospital treatment process. providing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based 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receiving a user input for operation progress through the main interface screen; and execut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wherein the execution of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s performed among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a hospital server. It may be performed based on one or mor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병원 진료 정보와 연계하여 환자의 발작기록, 복용기록, 문진기록, 상태 기록 등과 같은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real life, such as a patient's seizure record, medication record, medical questionnaire, status record, etc., in connection with hospital treatment information by a user through an epilepsy management application. can support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상기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방기록에 기초한 복약 알림, 뇌전증 가이드 정보 및 뇌전증 학술자료 등, 환자의 뇌전증을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riety of information to treat epilepsy of a patient, such as medication notification based on a prescription record, epilepsy guide information, and epilepsy academic data through the epilepsy management application can d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는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내부망의 병원 서버에서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예컨대, 처방기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망의 액세스가 불가능한 사용자에게 내부망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nd manages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real life input through the epilepsy management applic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quir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eg, prescription record information) in the treatment process from the hospital server of the internal network. Accordingly, information on the internal network can be provided to users who cannot access the internal network.

나아가,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 및/또는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뇌전증 환자의 뇌전증 내역 정보를 분석 및 생성하고, 의료진이 뇌전증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Furthermore, based on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real life and/or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the hospital treatment process, it analyzes and generates the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of the epilepsy patient, and helps the medical staff to check the epilepsy patient's status can give

아울러, 병원의 환자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시스템 내에 효율적으로 결합시켜 의료진의 치료 계획 수립에 적합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hospital's patient information system and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application can be efficiently combined in the system to provide a method suit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a treatment plan for the medical staff.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본 발명 또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필요한 도면이 아래에서 간단히 소개된다. 아래의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목적일 뿐 한정의 목적이 아니라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아래의 도면들에서 과장, 생략 등 다양한 변형이 적용된 일부 요소들이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작기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기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기록 정보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기록 정보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한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된 교육자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진 단말에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진 단말에 표시된 뇌전증 내역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In order to more clearly explain the technical solu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prior art, drawings necessary for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briefly introduced below.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drawings are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not for the purpose of limitation. In addition, some elements to which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exaggeration and omission have been applied may be shown in the drawings below for clarity of description.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operation of an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ystem structural diagram of an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n epilepsy management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in interfac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interface screen for acquiring seizure recor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screen for obtaining medication recor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questionnaire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and 1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interface screen on which life record inform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screen on which treatment record inform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screen for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corresponds to an input through the interface screen of FIG. 13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educational materials that have been implemented.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information to a medical staff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displayed on a medical staff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The meaning of "comprising," as used herein,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includ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othe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It does not exclude additions.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though not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ommonly used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are additionally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ated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ly disclosed content, and unless defined,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very formal meaning.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operation of an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00), 의료진 단말(200) 및 상기 의료진 단말(200)에 연동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 includes a user terminal 100 in which an epilepsy management application is installed, a medical staff terminal 200 and an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linked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 300) is included.

실시예들에 따른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100)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100)는 데이터 처리 능력이 구비된 하드웨어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운용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모듈(module)”“장치”,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가능한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epilepsy-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be entirely hardware, entirely software, or partially hardware and partially software. For example,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collectively refer to hardware equipped with data processing capability and operating software for driving the same. As used herein, terms such as “unit”, “module,” “device,” or “system” are intended to refer to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run by the hardware. For example, the hardware may be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data includ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 processing unit (GPU), or another processor. In addition, software may refer to a running process, an object, an executable file, a thread of execution, a program, and the like.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실생활 및/또는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예컨대 발작 관련 정보, 복약 관련 정보, 감정 상태 관련 정보, 뇌전증과 관련있는 동반질환 관련 정보, 검사 결과나 외래 문진 결과를 포함하는 진료 결과 정보, 처방기록 정보, 외래 일정 등)를 획득할 수 있다.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 provides a variety of information (eg, seizure-related information, medication-related information, emotional state-related information, and comorbidity-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epilepsy) related to epilepsy patients in real life and/or in the course of hospital treatment. , medical result information including test results or outpatient interview results, prescription record information, outpatient schedule, etc.) can be acquired.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액세스가 오픈된 외부망(10)의 사용자 단말(100) 등으로부터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획득한다. In one embodiment,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 acquires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real life from the user terminal 100 of the external network 10 to which access is open.

또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내부망(20)의 병원 서버(210) 등으로부터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획득한다.In addition,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 acquires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the hospital treatment process from the hospital server 210 of the internal network 20 .

병원 서버(210)는 병원 자체 내부망(20) 내 네트워크 엔티티만이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서버로서, 사용자 단말(100)은 의료진 단말(200) 및 병원 서버(210)로의 액세스가 차단된다. The hospital server 210 is a server configured to be accessed only by network entities within the hospital's own internal network 20 , and the user terminal 100 is blocked from accessing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and the hospital server 210 .

뇌전증 환자를 보다 정확하게 케어(care)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된 정보 및 병원 서버(210)로부터 획득된 정보 모두가 요구되며,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처리되어 생성된 뇌전증 내역 정보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및 의료진 단말(200)의 의료진에게 효과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In order to more accurately care for a patient with epilepsy, both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hospital server 210 are required, and the epilepsy generated by appropriately processing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The evidence history information should be effectively provided to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medical staff of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병원 서버(210)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를 외부망(10)의 사용자 단말(100) 등 및/또는 내부망(20)의 의료진 단말(200) 등에 제공할 수 있다.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 uses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or the hospital server 210 to the user terminal 100 of the external network 10, etc. and/or internal It may be provided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of the network 20 or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조도이다. 2 is a system structural diagram of an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망 환경에 따라 외부망(10), 내부망(20) 및 DMZ(Demilitarized zone)망(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 includes an external network 10 , an internal network 20 , and a demilitarized zone (DMZ) network 30 according to a network environment.

우선 내부망(20)은 특정 조직 내에서만 활용되어야만 하는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별도의 폐쇄된 네트워크로서, 뇌전증 환자와 관련된 (예컨대, 뇌전증 환자가 진료를 받았거나, 뇌전증 환자의 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병원의 내부망을 지칭한다. 내부망(20)은 병원 자체의 정보가 저장되는 내부 서버(210) 및 의료진이 이용하는 의료진 단말(200)을 포함하며, 내부망(20)의 구성요소(200, 210)는 병원 내부 업무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을 포함한, 병원 정보 시스템(HIS, Hospital Information System)에 액세스 가능하다. First, the internal network 20 is a separate and closed network for sharing information that must be used only within a specific organization, and related to epilepsy patients (eg, epilepsy patients received treatment or information of epilepsy patients) It refers to the internal network of the hospital. The internal network 20 includes an internal server 210 in which information of the hospital itself is stored and a medical staff terminal 200 used by medical personnel, and the components 200 and 210 of the internal network 20 are internal hospital business systems. , for example,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HIS), including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ystems.

의료진 단말(200)은 의료진에게 뇌전증 환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셀룰러 폰,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웨어러블 장치, 디지털 카메라, 태블릿, 랩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medical staff with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epilepsy patients, for example, a smart phone, a cellular phone, a smart glass, a smart watch, a wearable device, a digital camera, a tablet, a lap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 a smart TV, and the like.

일 실시예에서, 의료진 단말(200)은 DMZ망(30)에 액세스하여 DMZ웹을 호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may access the DMZ network 30 and call the DMZ web.

병원 서버(또는 내부 서버)(210)는 환자 신원정보; 검사결과(예컨대, 혈액검사 결과, 뇌 MRT 검사 결과, 뇌파검사 결과 등)나 외래 문진 결과 및/또는 뇌전증 수술이 있었던 경우 수술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하는 진료 결과 정보; 항경련제와 같은 약물 처방 정보나 투약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 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저장한다. The hospital server (or internal server) 210 includes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dical result information including test results (eg, blood test results, brain MRT test results, electroencephalogram results, etc.) or outpatient interview results and/or surgery-related information in the case of epilepsy surgery; Stores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the treatment process, including; prescription record information including drug prescription information or medication information, such as anticonvulsants.

외부망(10)은 액세스가 오픈된 망(network)으로서, 뇌전증 환자 또는 뇌전증 환자의 보호자를 포함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100)을 포함한다. 외부망(10)은 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공중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내부망(20)은 외부망(10)과 분리된 망으로서, 각각의 망 간에는 패킷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망(10)의 사용자 단말(100)은 내부망(20)의 액세스가 불가능하고, 병원 업무 시스템 액세스가 차단된다. The external network 10 is an open access network and includes a user terminal 100 used by a user including an epilepsy patient or a guardian of an epilepsy patient. The external network 10 may include, for example, a public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n the other hand, the internal network 20 is a network separated from the external network 10, and packet data is not transmitted between the respective networks.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100 of the external network 10 cannot access the internal network 20, and access to the hospital business system is blocked.

사용자 단말(100)은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통신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 폰, 셀룰러 폰,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웨어러블 장치, 디지털 카메라, 태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이하,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사용자 단말(100)로 터치 패널을 포함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서술한다.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n epilepsy management application can be installed.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smart phone, a cellular phone, smart glasses, a smart watch, a wearable device, a digital camera, a tablet, and the like. Hereinafter, for clarity of explana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a smartphone including a touch panel as the user terminal 100 .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즉,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의 획득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 may acquir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real life by the user terminal 100 (ie, through an epilepsy management application). Acquisition of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real lif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below.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n epilepsy management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로 전송하기 위한 뇌전증 관련 정보를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 method of providing an epilepsy management applic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100 . The user terminal 100 may generat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300 through the epilepsy management application.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뇌전증 관련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뇌전증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진행할 수 있는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S100). Referring to FIG. 3 , the user terminal 100 provides a main interface screen for inputting epilepsy-related information or performing one or more functions for providing epilepsy-related information ( S100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in interfac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은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은 실생활에서의 발작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101), 실생활에서의 복약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102), 환자의 문진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10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main interface screen is configured to execute a function for inputting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real life. In one embodiment, the main interface screen includes an icon 101 for executing an interface screen for acquiring seizure-related information in real life, and an icon 102 for executing an interface screen for acquiring medication-related information in real life , and an icon 103 for executing an interface screen for acqui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patient's interview.

사용자 단말(100)은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특정 동작 실행을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결정하고,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특정 동작을 수행한다. When receiving an input for executing a specific operation while displaying the main interface screen, the user terminal 100 determin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and performs a specific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이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의 아이콘(101)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아이콘(101)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발작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 실행 명령으로 결정하고, 발작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a touch input for the icon 101 of the main interface screen, an action execution command for obtaining seizure-related information by applying the touch inpu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icon 101 and performs an operation to obtain seizure-related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아이콘(101)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실생활에서의 발작 관련 정보(이하, “발작기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S101). In an embodiment,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a touch input for the icon 101, it may provide an interface screen for acquiring seizure-related information in real life (hereinafter, “seizure record information”) (S101).

상기 발작기록 정보는, 예를 들어, 발작 시각, 발작 지속 시간, 발작 유형, 발작 정도, 발작 유발 또는 악화 요인(trigger), 발작기록 일자, 발작 상세 양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발작기록 정보는 뇌전증 환자의 발작 사진 및/또는 발작 영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작 유형은 뇌전증의 증상인 발작의 유형으로서, 예를 들어, 대발작(Generalized tonic-donic seizure), 소발작(Absence seizure), 강직발작(Tonic seizure), 무긴장발작(Atonic seizure), 근간대발작(Myodonic seizure), 연축(Spasms), 국소발작(Focal seizur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izure history informat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for example, seizure time, seizure duration, seizure type, seizure severity, seizure trigger or aggravation factor, seizure history date, seizure details, and the like. . In some embodiments, the seizure record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 picture of a seizure and/or a seizure image of a patient with epilepsy. Seizure type is a type of seizure that is a symptom of epilepsy, for example, Generalized tonic-donic seizure, Absence seizure, Tonic seizure, Atonic seizure, myoclonic seizure. It may include myodonic seizures, spasms, focal seizures, and the like.

발작 유발 또는 악화 요인(trigger)은 피로, 과도한 육체활동,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 불규칙적인 복약 등과 같은 발작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다양한 인자를 포함한다.Seizure triggers or triggers include various factors that induce or worsen seizure symptoms, such as fatigue, excessive physical activity, mental/physical stress, and irregular medication.

발작 상세 양상은 환자의 발작 당시 신체 증상에 대한 메모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얼굴의 움찔거림, 팔이나 다리 떨림, 혈색 등을 포함한다. The seizure detail aspect includes notes on the patient's physical symptoms at the time of the seizure. For example, facial twitching, arm or leg tremors, complexion, etc.

발작기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은 발작기록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미리 설정된 항목을 포함한 선택창을 표시하고, 선택창에서 선택된 항목을 발작기록 정보로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interface screen for receiving the seizure record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selection window including a preset item for at least a part of the seizure record information, and to acquire the item selected in the selection window as the seizure record information.

예를 들어, 발작기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은 발작 유형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발작 유형과 관련된 미리 설정된 선택창을 표시하고, 선택된 항목의 발작 유형을 발작기록 정보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발작 유형과 관련된 선택창은 예를 들어, 대발작(Generalized tonic-donic seizure), 소발작(Absence seizure), 강직발작(Tonic seizure), 무긴장발작(Atonic seizure), 근간대발작(Myodonic seizure), 연축(Spasms), 국소발작(Focal seizure), 및 미정(unknow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terface screen for receiving the seizure record information may display a preset selection window related to the seizure type to receive an input for the seizure type, and receive the seizure type of the selected item as the seizure history information. The selection window associated with the seizure type is, for example, Generalized tonic-donic seizures, Absence seizures, Tonic seizures, Atonic seizures, Myodonic seizures. , Spasms, focal seizures, and unknown.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하나 이상의 선택창을 표시하고, 하나 이상의 항목 선택 입력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발작기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lso, the user terminal 100 may display one or more selection windows, display an interface screen further configured to obtain one or more item selection inputs, and acquire seizure record information.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선택 입력에 의한 발작기록 정보 수신이 완료된 이후, 추가적인 선택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다른 선택창을 표시하도록 더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발작기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reception of the seizure record information by the selection input is completed, the user terminal 100 may display an interface screen further configured to display another selection window to receive the additional selection input, and obtain the seizure history information.

예를 들어, 발작 유형 선택창 및 발작 유발 또는 악화 요인 선택창이 한 화면에 함께 표시되거나, 화면에 표시된 선택창에서 항목 선택이 완료된 이후 다른 선택창을 표시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izure type selection window and the seizure inducing or exacerbating factor selection window may be displayed together on one screen or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display another selection window after the selection of an item in the selection window displayed on the screen is completed.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작기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interface screen for acquiring seizure recor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100)은 도 5a 및 도 5b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실생활에서의 발작과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을 유도하고, 발작기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may induce a user's input related to seizures in real life by providing the interface screens of FIGS. 5A and 5B and acquire seizure record information.

또한, 발작기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은 발작기록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작기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은, 발작 상세 양상에 대하여, 발작 상세 양상에 대한 메모를 유도하고 (예컨대, 도 5a 및 도 5b의 “발작의 상세 내용 입력하러 가기” 표시), 발작 상세 양상에 대한 사용자 메모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screen for receiving the seizure record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user's text input for at least a part of the seizure recor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nterface screen for receiving seizure record information induces a memo on the detailed seizure pattern (eg, “Go to enter seizure details” in FIGS. 5A and 5B ). ,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user memo for the detailed aspect of the seizure.

상기 발작기록 정보의 획득은 도 5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한 정보 입력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의 정보 수신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발작기록 정보의 경우 (예컨대, 발작 동영상, 발작 이미지 등)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요소(예컨대, 촬영기) 또는 다른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어 획득될 수 있다.The acquisition of the seizure record information is not limited to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screen of FIG. 5 . For example, it may be obtained by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in the case of specific seizure record information (eg, seizure video, seizure image, etc.), it may be obtained and received from a component (eg, a camera) of the user terminal 100 or another external device.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아이콘(102)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실생활에서의 복약 관련 정보(이하, “복약기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S102). In an embodiment,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a touch input for the icon 102 , it may provide an interface screen for acquiring medication-related information in real life (hereinafter, “medication record information”) (S102).

상기 복약기록 정보는, 예를 들어, 복약 여부, 복약 일수, 복약 시간, 복약에 따른 부작용 증상, 복약기록 일자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The medication record information, for example,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whether or not medication is taken, the number of medication days, medication time, side effects according to medication, medication record date, and the like.

부작용 증상은 뇌전증 치료를 위한 약물 복약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으로서, 예를 들어, 피로감, 어지러움, 속이 불편함, 손떨림, 복시, 이명, 자세불안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Side effects are side effects that may occur when taking drugs for the treatment of epilepsy, and may include, for example, fatigue, dizziness, stomach discomfort, hand tremors, double vision, tinnitus, postural instability,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복약기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복약기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획득되면, 자동으로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8년 12월 10일에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복용 여부로서 미복용이 획득된 경우, 복용 여부 획득 시간인 2018년 12월 10일이 자동으로 복용일자로 획득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medication record information may be automatically obtained when at least one of the medication record information is obtained. For example, when the epilepsy management application is executed on December 10, 2018 and non-taking is acquired as whether to take or not, December 10, 2018, which is the time to acquire whether to take or not, may be automatically acquired as the date of taking.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아이콘(101)이 선택된 이후, 감정기록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정기록 정보는 발작이 발생함에 따른 환자의 감정 상태를 선택함으로써 획득된다. 상기 환자의 감정 상태는, 예를 들어, 기쁨, 슬픔, 화남, 무기력, 기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In some embodiments,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obtain the emotion record information after the icon 101 is selected. The emotional record information is obtained by selecting the emotional state of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seizure. The patient's emotional state may include, for example, joy, sadness, anger, helplessness, and jo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기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screen for obtaining medication recor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100)은 도 6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실생활에서의 복약과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을 유도하고, 복약기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may induce a user's input related to medication in real life by providing the interface screen of FIG. 6 , and may obtain medication record information.

이와 같이, 단계(S101 내지 S102)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발작기록 정보 및 복약기록 정보를 포함한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s such, in steps S101 to S102, the user terminal 100 may acquir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real life, including seizure record information and medication record information.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입력 정보 및/또는 액세스가 차단된 병원 서버(210)의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이 정보는 DMZ 망의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를 통해 획득]를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provides information on the epilepsy patient in the treatment process of the hospital server 210 blocked access to input information and/or access of the user terminal 100 [this information is a device for managing epilepsy-related information in the DMZ network. Acquire via 300]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provide via an epilepsy management application.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아이콘(103)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뇌전증 환자와 관련된 문진 정보(이하, “문진기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S103). In one embodiment,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a touch input for the icon 103,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face screen for acquiring the questionnaire information (hereinafter, “question recor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pilepsy patient. There is (S103).

일부 실시예에서, 아이콘(103)의 터치 입력에 의해 제공된 인터페이스 화면은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관련 검사 결과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interface screen provided by the touch input of the icon 103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provide an epilepsy-related test result in a hospital treatment process.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00)은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에 상기 뇌전증 관련 검사 결과를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100 may request and receive the epilepsy-related test result from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300 .

상기 문진 기록 정보는 뇌전증 환자의 외래 방문에 요구되는 문진 (예컨대, 외래용 문진), 뇌전증과 관련된 질환에 대한 문진(예컨대, 동반질환 문진) 등에 대한 답변을 포함한다. 동반질환은 예를 들어, 소아 우울증, 소아 불안증, ADHD 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00)은 하나 이상의 문진을 포함한 문진 선택창을 표시하고, 선택된 문진의 세부 항목을 (즉, 문진 리스트를) 표시한다. The questionnaire record information includes answers to a questionnaire (eg, outpatient questionnaire) required for an outpatient visit of an epilepsy patient, a questionnaire about a disease related to epilepsy (eg, a comorbidity questionnaire), and the like. Co-morbidities include, for example, childhood depression, childhood anxiety, ADHD, and the like.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a paperweight selection window including one or more paperweights, and displays detailed items of the selected paperweight (ie, a list of paperweights).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문진에 대한 답변 입력을 수신한 경우, 각 문진 리스트에 연관된 항목-점수 표를 이용하여 상기 답변에 기초한 문진 점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문진 점수가 산출되는 문진 리스트는 소아 우울과 관련된 문진, 소아 불안과 관련된 문진, 및 ADHD와 관련된 문진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ADHD와 관련된 문진 리스트는 환자에 대한 문진 리스트 및/또는 보호자에 대한 문진 리스트를 나타내며, 이 경우, ADHD 문진 점수는 환자 점수 및/또는 보호자 점수를 포함한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an answer input to the questionnaire, the user terminal 100 calculates a questionnaire score based on the answer by using the item-score table associated with each questionnaire list. For example, the questionnaire list from which the questionnaire score is calculated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questionnaire related to childhood depression, a questionnaire related to childhood anxiety, and a questionnaire list related to ADHD. In some embodiments, the questionnaire list related to ADHD represents a questionnaire list for a patient and/or a questionnaire list for a caregiver, in which case, the ADHD questionnaire score includes a patient score and/or a caregiver score.

도 7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to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questionnaire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100)은 소아 우울 점수를 산출하기 위해 도 7a 내지 7c의 문진 리스트를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각 항목에 연관된 입력을 수신하고, 문진 리스트에 포함된 항목에 있어서, 각 항목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점수 표, 즉 항목-점수 표를 이용하여 소아 우울 점수를 산출한다.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the questionnaire list of FIGS. 7A to 7C in order to calculate the childhood depression score.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an input associated with each item, and for the item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list, a score table preset for each item, that is, an item-score table, is used to calculate a childhood depression score.

항목-점수 표는 각 항목별에 포함된 서브 항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점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소아 우울과 관련된 항목-점수 표는 제1 서브 항목이 선택된 경우 항목에 대해서는 0점, 제2 서브 항목이 선택된 경우 항목에 대해서는 1점, 및 제3 서브 항목이 선택된 경우 항목에 대해서는 2점이 부여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제1 항목의 서브 항목인 “나는 가끔 슬프다”가 선택된 경우, 제1 항목에 대해서는 0점이 부여된다. 반면, 제3 항목의 서브 항목인 “나는 모든 일을 잘 못한다”가 선택된 경우, 제3 항목에 대해서는 2점이 부여된다. 또한, 제13 항목의 서브 항목인 “나는 어떤 일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어렵다”에 대해서는 2점이 부여된다. The item-score table includes preset scores for sub-items included in each item. In one embodiment, the item-score table related to childhood depression is a score of 0 for the item when the first sub-item is selected, 1 point for the item when the second sub-item is selected, and 1 point for the item when the third sub-item is selected. It is configured so that 2 points are given for each. For example, when “I am sometimes sad”, which is a sub-item of the first item shown in FIG. 7A , is selected, 0 points are assigned to the first item. On the other hand, if “I am not good at everything”, which is a sub-item of the third item, is selected, 2 points are given for the third item. Also, 2 points are given for the sub-item of item 13, “I have difficulty making decisions about certain things”.

그러면, 소아 우울 점수는 각 항목에 대해 부여된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산출된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제13항의 서브 항목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문진 리스트의 제13 항목의 점수는 2점으로 결정하고, 나머지 항목에 대해서도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각 항목의 점수를 결정하여 소아 우울 문진에 대한 문진 점수를 결정한다. Then, the childhood depression score is calculated by adding up all the scores given for each item.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7b,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the user input for the sub-item of claim 13, the score of the 13th item of the questionnaire list is determined as 2 points, and the remaining items are Also, the score of each item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ceived user input to determine the questionnaire score for the pediatric depression questionnaire.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소아 불안 점수를 산출하기 위해 도 8a 내지 도 8c의 문진 리스트를 표시하고, 보호자의 ADHD 점수를 산출하기 위해 도 9a 내지 도 9c의 문진 리스트를 표시하며, 환자의 ADHD 점수를 산출하기 위해 도 10a 내지 도 10c의 문진 리스트를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은 각 항목에 연관된 입력을 수신하고, 미리 설정된 항목-점수 표를 이용하여 각각의 문진에 대한 문진 점수를 산출한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the questionnaire list of Figs. 8a to 8c to calculate the child's anxiety score, and displays the questionnaire list of Figs. 9a to 9c to calculate the ADHD score of the guardian, and the patient's ADHD In order to calculate the score, the questionnaire list of FIGS. 10A to 10C is displayed. The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an input associated with each item, and calculates a questionnaire score for each questionnaire using a preset item-score table.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항목-점수 표에 기초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항목 내 서브 항목에 연관된 점수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각 항목에 대한 항목 점수를 결정하고, 문진 리스트에 대한 문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00 may provide the user with an interface screen based on the item-score tab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8 to 10 , 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score associated with a sub-item within each item. Then, the user terminal 100 may determine an item score for each item based on the user's input, and calculate a questionnaire score for the questionnaire list.

그러나, 도 7 내지 도 10의 문진 리스트 및/또는 문진 리스트의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뇌전증에 영향을 주는 동반질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하거나, 상이하거나, 변형된 문진 리스트가 이용될 수 있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However, the interfac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questionnaire list and/or the questionnaire list of FIGS. 7 to 10 is only an example, and various, different, or modified questionnaire lists are used to check whether there is a comorbidity affecting epileps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hat may be.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은 뇌전증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은 환자의 치료 진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104), 및 환자의 뇌전증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105)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4 , the main interface screen is further configured to execute a function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epilepsy. In one embodiment, the main interface screen includes an icon 104 for executing an interface screen for providing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of a patient, and an icon 105 for executing an interface screen for supporting epilepsy education of a patient. 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아이콘(104)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 및/또는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한 치료 진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S104). In an embodiment,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a touch input for the icon 104 ,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is provided based on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real life and/or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a hospital treatment proces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face screen for doing so (S104).

상기 치료 진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은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 및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치료 진행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The interface screen for providing the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provide an interface screen that provides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real life and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a hospital treatment process.

치료 진행 정보 중 생활 기록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획득된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에 의하여 생성된다.Life record information among the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300 based on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real life acquired by the user terminal 100 .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진행 정보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11A and 1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interface screen on which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발작 회수, 복약 일수, 미복약 일수, 부작용 증상, 발작 유발 또는 악화 인자 정보와 같이 실생활에서의 발작 및 복약 관련 정보를 함께 포함하는 생활기록 정보가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에 의하여 생성되고, 상기 생활기록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의 정보 습득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Life record information including seizure and medication-related information in real life, such as the number of seizures, the number of medication days, the number of days not taken, side effect symptoms, seizure inducing or aggravating factor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300 and ,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the life record information from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300 and displays it. In addition, it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display various icons to support the user's acquisition of information.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생활기록 정보를 도 11a 및 도 11b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제공한다. 여기서, 그래프 상부에는 해당 일자에 복약기록 정보가 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 해당 일자에 부작용 증상 정보가 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0 provides life record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screen of FIGS. 11A and 11B . Here, an icon indicating that there is medication record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date and an icon indicating that there is side effect symptom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date are displayed on the upper part of the graph.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시간 범위(예컨대, 주간, 월간 등)에 기초하여 생활기록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S104).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300 may generate life record information based on one or more time ranges (eg, weekly, monthly, etc.)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00 ( S104 ).

사용자 단말(100)은 생활기록 정보를 대시보드 형식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정보 습득에 있어서 높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may display life record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dashboard, thereby providing high convenience for the user in acquiring information.

치료 진행 정보 중 치료기록 정보 역시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 및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에 의하여 생성된다. Among the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treatment record information is also generated by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300 based on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a hospital treatment process and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real life.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치료기록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치료기록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내부망에 포함된 병원 서버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획득된 정보는 예를 들어, 약물 용량, 약물 순응도, 외래문진 결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300 may request and receiv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a hospital treatment process in order to generate treatment record information.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treatment record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hospital server included in the internal network, and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hospital server is, for example, drug dose, medication compliance, and outpatient interview results. and the like.

이에 대해서는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in relation to the apparatus 300 for managing epilepsy-related informa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기록 정보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screen on which treatment record inform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환자 신원정보, 첫발작 일시, 진단명, 발작 상세 양상, 처방기록, 약물 순응도, 동반질환에 대한 문진 정보와 같이 발작, 복약 및 문진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치료기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치료기록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로부터 제공받아 도 12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제공한다(S104).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300 is a treatment record including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irst seizure date and time, diagnosis name, detailed seizure pattern, prescription record, medication compliance, and information on the history of seizures, medication, and questionnaires, such as questionnaire information on comorbidities.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the treatment record information from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300 and provides it through the interface screen of FIG. 12 (S104).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아이콘(104)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문진 일정, 복약 일정 등을 포함한 일정 정보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다이어리 형식으로 일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receiving a touch input for the icon 104 ,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provide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an interview schedule, a medication schedule, and the like. The user terminal 100 may provide schedule information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diary.

일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은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에 일정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 In order to provide schedule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request and receive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300 .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아이콘(105)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교육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S105). In an embodiment,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a touch input for the icon 105, an interface screen for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s may be provided (S105).

교육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은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에 교육자료를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 In order to provide educational materials, the user terminal 100 may request and receive training materials from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300 .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한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된 교육자료를 도시한 도면이다.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screen for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corresponds to an input through the interface screen of FIG. 13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educational materials implemented by

교육자료는 뇌전증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가이드 자료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뇌전증의 유형을 설명하는 교육자료, 뇌전증 분야의 논문, 뇌전증 학회에서 제공하는 배포자료 등을 포함한다. Educational materials include various educational and guide materials related to epilepsy, for example, educational materials explaining types of epilepsy, papers on epilepsy, and distribution materials provided by the Epilepsy Society.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발작의 유형을 설명하는 교육자료(예컨대, 가이드 동영상)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뇌전증의 증상인 발작의 유형은 대발작(Generalized tonic-donic seizure), 소발작(Absence seizure), 강직발작(Tonic seizure), 무긴장발작(Atonic seizure), 근간대발작(Myodonic seizure), 연축(Spasms), 국소발작(Focal seizure), 및 간대발작(clonic seizur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In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educational material (eg, a guide video) explaining the type of seizure. Here, the types of seizures, which are symptoms of epilepsy, include Generalized tonic-donic seizures, Absence seizures, Tonic seizures, Atonic seizures, Myodonic seizures, spasms, focal seizures, and clonic seizures.

사용자 단말(100)은 교육자료 제공 요청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는 도 13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그 후, 도 13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요청 자료(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발작에 대한 동영상 교육 자료)를 결정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요청 자료를 표시한다.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the interface screen of FIG. 13 that induces a user input related to a request for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s. Thereafter, the request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screen of FIG. 13 (as shown in FIG. 13 , video training material for grand seizure) is determined, and as shown in FIG. 14 , the corresponding request display the data.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커스터마이징된 맞춤형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provide a customized message to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00 .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뇌전증 환자의 실생활과 관련된 입력을 획득하고, 사용자에게 뇌전증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입력 정보를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user terminal 100 may obtain an input related to the real life of the epilepsy patient an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epilepsy to the user. Furthermore, the user terminal 100 may transmit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300 .

추가적으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 may acquir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real life through another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0 .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한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예컨대, 갤럭시의 삼성헬스, 아이폰의 애플헬스킷)(110)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user terminal 100 is further installed with a health management application (eg, Samsung Health of Galaxy, Apple Healthkit of iPhone) 110 different from the epilepsy management applica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link the epilepsy management application and the health management application.

추가적으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하나 이상의 통신 전자기기에 의해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 may acquir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real life by one or more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s.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외부망(10)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100) 이외의 다른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에 의해 뇌전증 관련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 may further acquir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by other communicable 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d in the external network 10 .

상기 다른 통신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다른 단말(미도시),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상기 다른 단말(미도시)에 연동된 전자기기(120)를 포함한다. The other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 includes, for example, another terminal (not shown), the user terminal 100 and/or the electronic device 120 interlocked with the other terminal (not shown).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상기 연동기기(120)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와 상이한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 may further acquire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user terminal 100 by the companion device 120 .

예를 들어, 연동기기(120)는 실생활에서의 수면 관련 정보(예컨대, 수면 단계, 수면 시간, 수면 품질 등을 포함한)를 연동기록 정보로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동기기(120)는 수면 관련 정보 이외 정보(예컨대, 걸음 수 등)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mpanion device 120 may be configured to acquire sleep-related information in real life (eg, including sleep stage, sleep time, sleep quality, etc.) as interlocking recor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ompanion device 120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acquire information other than sleep-related information (eg, the number of steps, etc.).

연동기기(120)에 의해 획득된 연동기록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다른 단말(미도시)를 통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Interlocking record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ompanion device 120 may be transmitted to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300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or another terminal (not shown).

이하,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외부망(10)에서의 정보 획득은 사용자 단말(100) 및 연동기기(120)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Hereinafter, for clarity of explana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an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information acquisition in the external network 10 is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companion device 120 .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외부망(10) 및 내부망(20)에 액세스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DMZ망(30)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DMZ망(30)은 외부망(10) 뿐만 아니라 내부망(10)에 모두 액세스 하는데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을 지칭한다.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300 is configured to be accessible to the external network 10 and the internal network 20 . In an embodiment,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300 may be included in the DMZ network 30 . Here, the DMZ network 30 refers to a network that provides services necessary to access both the internal network 10 as well as the external network 10 .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 외부 전자 단말(120), 의료진 단말(200) 및 내부 서버(210)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하면서 뇌전증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하며, 수신된 정보 및/또는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300 receives and processes epilepsy-related information while communicating with one or more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external electronic terminal 120,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and the internal server 210, and store received information and/or processed information.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입력 정보(예컨대,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내부망(20)의 구성요소들(의료진 단말(200), 병원 서버(210))로부터 병원 관련 정보(예컨대,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300 may receive input information (eg,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real life) from the user terminal 100 . In addition,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300 receives hospital-related information (eg,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a hospital treatment process) from components of the internal network 20 (medical staff terminal 200, hospital server 210). ) can be receiv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1)은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가 HL7 표준 규격인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 서버(미도시)와 통신하여 병원 관련 정보(예컨대,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에 액세스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In one embodiment, the system 1 communicates with the HL7 standard FHIR (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 server (not shown) so that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300 communicates with hospital-related information (eg, in the course of hospital treatment).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be accessible.

이와 같이, 상기 시스템(1)에서는 뇌전증 관련 정보 장치(300)가 HL7 표준 규격인 FHIR를 통해 병원 자체 내부망(20)의 구성요소(예컨대, 병원 서버(210))에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집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As such, in the system 1,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device 300 is configured to interwork with the components of the hospital's own internal network 20 (eg, the hospital server 210) through FHIR, which is the HL7 standard, In the course of hospital treatment,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and/or managed.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와 같은 병원 관련 정보는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가 병원 내부망(20)의 구성 요소(예컨대, 병원 서부(210))에 직접 액세스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hospital-related information, such as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the hospital treatment process,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300 is a component of the hospital internal network 20 (eg, the hospital west 210). You can also have direct access.

또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의료진 단말(200) 및/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Also,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300 generates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and/or the user terminal 100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또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수신,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300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store the received and generated information.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데이터 획득부(미도시), 데이터 관리부(310), 데이터 제공부(미도시) 및 저장부(330)를 포함한다. Referring back to FIG. 2 , in one embodiment, the apparatus 300 for managing epilepsy-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 data acquisition unit (not shown), a data management unit 310 , a data providing unit (not shown), and a storage unit 330 . include

데이터 획득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병원 서버(210)로부터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데이터 관리부(310)에 제공한다.The data acquisition unit (not shown) acquires data (or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or the hospital server 210 , and provides it to the data management unit 310 .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획득부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병원 서버(210)로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요구하고, 해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ata acquisition unit requests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the hospital treatment process from the hospital server 210 in response to the request to provide the requeste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obtains the information can do.

다른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획득부는 의료진 단말(200)로부터 요청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요구하고, 해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data acquisition unit requests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real life from the user terminal 100 in response to the request in order to provide the requested information from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and obtains the information. can

데이터 관리부(31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의료진 단말(200) 및/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관리부(310)는 발작기록 관리부(311), 복약기록 관리부(312), 문진기록 관리부(313), 진행기록 관리부(314), 교육자료 관리부(31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데이터 관리부(310)는 병원기록 관리부(316) 및 연동기록 관리부(317)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manager 310 generates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and/or the user terminal 100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In one embodiment, the data management unit 310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izure record management unit 311 , a medication record management unit 312 , an interview record management unit 313 , a progress record management unit 314 , and an educational data management unit 315 . do. In some embodiments, the data management unit 31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of the hospital records management unit 316 and the linked record management unit 317 .

저장부(330)는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에 의해 수신된 정보 및/또는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저 저장 소자로서, 다양한 저장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330 is a data storage device for storing information received and/or generated by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300 , and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storage devices.

발작기록 관리부(311)는 발작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의료진 단말(200)에 전송하기 위해 발작 관련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발작기록 관리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발작기록 정보 및/또는 병원 서버(210)에 저장된 발작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발작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발작 내역 정보는 발작 유형, 발작 회수, 및 발작 시간, 발작 유발 또는 악화 요인, 발작 지속 시간, 발작 중단 후 재발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다른 일부 예에서, 상기 발작 내역 정보는 뇌전증 환자의 발작 사진 및/또는 발작 영상을 더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The seizure record management unit 311 is configured to receive seizure-related information and process the seizure-related information in order to transmit it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 In an embodiment, the seizure record management unit 310 generates seizure history information based on seizure history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or seizure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hospital server 210 . For example, the seizure history information is generated to include one or more of a seizure type, a seizure frequency, and a seizure time, a seizure trigger or aggravating factor, a seizure duration, and whether the seizure recurs after stopping the seizure. In some other examples, the seizure history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to further include a picture of a seizure and/or a seizure image of a patient with epilepsy.

상기 발작 내역 정보는 의료진 단말(200)에 효율적으로 표시되기 위해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작기록 관리부(311)는 환자의 발작 유형, 및 각 발작 유형에 따른 발작 회수가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발작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 The seizure history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to be displayed in time series in order to be efficiently displayed on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 In this case, the seizure record management unit 311 generates seizure history information configured to display the patient's seizure types and the number of seizures according to each seizure type in time series.

복약기록 관리부(312)는 복약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의료진 단말(200)에 전송하기 위해 복약 관련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약기록 관리부(312)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복약기록 정보 및/또는 병원 서버(210)로부터의 처방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복약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약 내역 정보는 약물 명칭, 약물 용량, 복용 일자, 수면 시간, 부작용 증상 등을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The medication record management unit 312 is configured to receive medication-related information and process medication-related information to transmit it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 In an embodiment, the medication record management unit 312 generates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patient based on medication recor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or prescription record information from the hospital server 210 . In one embodiment,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is generated to include a drug name, drug dose, taking date, sleep time, side effects symptoms, and the like.

또한, 상기 복약 내역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외부 기기(120)로부터 획득된 연동기록 정보(예컨대, 수면 관련 정보)에 더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may be further generated based on interlocking record information (eg, sleep-relate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external device 120 .

상기 복약 내역 정보는 의료진 단말(200)에 효율적으로 표시되기 위해 시계열적으로 표시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약기록 관리부(312)는 약물 명칭, 약물 용량, 미복용 여부, 부작용 증상이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복약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to be displayed time-series in order to be efficiently displayed on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 In this case, the medication record management unit 312 may generat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configured to display the name of the drug, the dose of the drug, whether or not to take the drug, and side effects symptoms in time series.

문진기록 관리부(313)는 문진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의료진 단말(200)에 전송하기 위해 문진 관련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기록 관리부(313)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문진기록 정보 및/또는 병원 서버(210)로부터의 진료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문진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medical questionnaire record management unit 313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questionnaire-related information and process the questionnaire-related information to transmit it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 In an embodiment, the medical examination record management unit 313 may generate the questionnaire history information based on the medical examination recor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or the medical record information from the hospital server 210 .

문진 내역 정보는 문진 유형, 문진 유형별 문진 점수, 문진 일자 등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상기 문진 유형은, 예를 들어, 소아 우울 관련 문진, 소아 불안 관련 문진, 환자 및/또는 보호자에 대한 ADHD 관련 문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questionnaire history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type of questionnaire, the score for each type of questionnaire, the date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like. The type of questionnaire includes, for example, one or more of a pediatric depression-related questionnaire, a pediatric anxiety-related questionnaire, and an ADHD-related questionnaire for the patient and/or caregiv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문진 내역 정보는 병원 서버(210)로부터 획득된 외래 문진 결과에 더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래 문진 결과는 전술한 외래용 문진과 상이한 정보로서, 의사가 뇌전증 환자를 직접 문진하는 과정에서 의료진 단말(200)에 입력된 문진결과이다. In an embodiment, the questionnaire history information may be further generated based on the outpatient questionnaire obtained from the hospital server 210 . Here, the outpatient interview result is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outpatient questionnaire, and is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input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in the process of the doctor directly interviewing the epilepsy patient.

일 실시예에서, 문진 내역 정보는 적어도 일부 정보가 시계열적으로 표시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진기록 관리부(313)는 문진 내역 정보의 문진 점수가 시계열적으로 표시되게 문진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의료진에게 효율적으로 문진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questionnaire history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such that at least som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ime series. For example, the questionnaire record management unit 313 may generate the questionnaire history information so that the questionnaire score of the questionnaire history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ime series. For this reason,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300 may efficiently provide medical staff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questionnaire.

진행기록 관리부(314)는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되는 뇌전증 내역 정보로서, 생활기록 정보나 치료 기록 정보와 같은 치료 진행 정보가 표시되도록 지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rogress record management unit 314 may perform an operation to support the display of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such as life record information or treatment record information as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

일 실시예에서, 진행기록 관리부(314)는 병원 서버(210) 및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발작 회수, 복약 일수, 미복약 일수, 부작용 증상, 발작 유발 또는 악화 인자 정보를 포함한 생활기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제공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gress record management unit 314 is based on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hospital server 210 and the user terminal 100, the number of seizures, the number of days taken, the number of days not taken, side effects symptoms, seizure induction or Life record information including aggravation factor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data provid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진행기록 관리부(314)는 병원 서버(210) 및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 신원정보, 첫발작 일시, 진단명, 발작 상세 양상, 약물명 및 용량, 약물 순응도 등을 포함한 처방기록 정보, 또는 외래 문진 결과, 동반질환 문진 결과를 포함한 문진결과를 포함한 정보를 포함한 치료 기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제공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gress record management unit 314 is based on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hospital server 210 and the user terminal 100,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irst seizure date and time, diagnosis name, detailed seizure pattern, drug name and treatment record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including prescription record information including dose, drug compliance, etc., or outpatient interview results and questionnaire results including comorbidity questionnaire results,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data providing unit can do.

일부 실시예에서, 진행기록 관리부(314)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생활기록 정보 및/또는 치료기록 정보 생성을 위한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전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progress record management unit 314 may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upon receiving a request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generating life record information and/or treatment recor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

교육자료 관리부(315)는 교육자료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된 교육자료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The educational material management unit 315 is configured to receive a request for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s, and to provide the requested educational materials.

교육자료는 뇌전증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가이드 자료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뇌전증의 유형을 설명하는 교육자료, 뇌전증 분야의 논문, 뇌전증 학회에서 제공하는 배포자료 등을 포함한다. Educational materials include various educational and guide materials related to epilepsy, for example, educational materials explaining types of epilepsy, papers on epilepsy, and distribution materials provided by the Epilepsy Society.

전술한 바와 같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가 내부망(20)의 병원 서버(210)에 액세스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병원 서버(21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300 may be configured to be accessible to the hospital server 210 of the internal network 20 . In an embodiment, the apparatus 300 for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epilepsy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hospital server 210 .

상기 실시예에서, 병원 서버 관리부(316)는 병원 서버(210)에 저장된 병원 정보를 요청 및/또는 검색하고, 요청 및/또는 검색된 병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병원 서버 관리부(316)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병원 정보 자체 및/또는 병원 정보에 기초한 다른 정보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요청된 정보를 제공한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hospital server management unit 316 may request and/or search for hospital information stored in the hospital server 210 , and receive the requested and/or retrieved hospital information.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providing hospital information itself and/or other information based on hospital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 the hospital server management unit 316 provides the requested informa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병원 정보는 환자의 신원정보, 뇌전증 관련 검사 결과(예컨대, 뇌파검사 결과, 혈액검사 결과 등), 처방기록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hospital information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epilepsy-related test results (eg, EEG results, blood test results, etc.), prescription records, and the like.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이 연동기기(120)를 포함한 경우,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연동기기(120)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 includes the companion device 120 ,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300 may receiv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ompanion device 120 .

상기 실시예에서, 연동기록 관리부(317)는 상기 전자기기(120)에 의해 획득된 연동기록 정보(예컨대, 수면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부(330)에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연동기기 관리부(317)는 복약기록 관리부(312)가 복약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연동기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linked record management unit 317 may receive the linked record information (eg, sleep-related information) obtained by the electronic device 120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330 . Also, in one embodiment, the linked device manager 317 may provide the linked record information so that the medication record manager 312 can use it to generat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데이터 관리부(310)는 수신된 정보 및/또는 생성된 정보를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330)는 카테고리별로 해당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서브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기록 저장부(331), 병원기록 저장부(332), 컨텐츠 저장부(333), 연동기록 저장부(3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 management unit 310 stores the received information and/or the generated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330 . In an embodiment, the storage 330 may include a sub-storage that stor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categor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it may include a patient record storage unit 331 , a hospital record storage unit 332 , a content storage unit 333 , a linked record storage unit 334 , and the like.

환자기록 정보 저장부(331)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된 정보 및/또는 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를 저장한다. 환자기록 정보 저장부(331)는, 예를 들어 발작기록 정보, 복약기록 정보, 문진기록 정보, 감정기록 정보 등을 포함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정보 및/또는 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patient record information storage unit 331 store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or information generated based thereon. The patient record information storage unit 331 stores, for exampl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or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it, including seizure record information, medication record information, medical questionnaire information, emotion record information, and the like. can be saved

일부 실시예에서, 환자기록 정보 저장부(331)는 뇌전증 환자의 발작 사진 및/또는 발작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환자기록 정보 저장부(331)의 사진 및/또는 동영상 저장은 데이터 원본 자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진 및/또는 동영상의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patient record information storage 331 may store a seizure picture and/or a seizure video of the epilepsy patient. In this case, the photo and/or video storage of the patient record information storage unit 331 is not limited to the data source itself, and includes storing metadata of the photo and/or video.

예를 들어, 환자기록 정보 저장부(331)는 원본은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원본의 메타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patient record information storage unit 331 may store the original in an external database and store metadata of the original.

병원기록 정보 저장부(332)는, 예를 들어 환자 신원정보, 외래일정 정보, 검사 결과 정보, 처방(또는 투약) 정보 등을 포함한, 병원 서버(210)로부터 획득된 정보 및/또는 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Hospital record information storage unit 332, for example,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hospital server 210, including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utpatient schedule information, test result information, prescription (or medication) information, and / or this The generated information can be saved.

컨텐츠 정보 저장부(333)는, 컨텐츠는 교육자료, 발작유형 안내 동영상, 외래문진 리스트, 동반질환 리스트 등을 포함한,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하기 위한 다양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The content information storage unit 333, the content may store various contents for servicing the epilepsy management application, including educational materials, seizure type guide video, outpatient questionnaire list, companion disease list, and the like.

연동기록 정보 저장부(334)는 연동기기(12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interworking record information storage unit 334 may stor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nterworking device 120 .

데이터 제공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의료진 단말(200)로부터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The data providing unit (not shown) is configured to provid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provision request when receiving the information provis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or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 제공은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특정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 요청 대상 정보는 해당 특정 영역에 연관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위의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n embodiment, the information provision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touching a specific area on the application interface scree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ovision request targe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used to display a screen related to a corresponding specific area. This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4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의료진 단말(200)의 정보 제공은 특정 뇌전증 환자에 대한 뇌전증 내역 정보에 대한 제공 요청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1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from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may be a request for provision of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for a specific epilepsy patient.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6 below.

이와 같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외부망(10) 및 내부망(20)에 액세스 가능하며, 외부망(10)의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내부망(20)의 병원 서버(21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외부망(10)의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내부망(20)의 의료진 단말(200)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s such,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300 can access the external network 10 and the internal network 20 , and the user terminal 100 of the external network 10 and/or the hospital of the internal network 20 .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server 210 , an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of the external network 10 and/or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of the internal network 20 .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진 단말에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information to a medical staff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신한다(S310). 또한, 병원 서버(210)로부터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더 수신한다(S320). Referring to FIG. 15 ,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300 receives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real life from the user terminal 100 ( S310 ). In addition, it further receives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the hospital treatment process from the hospital server 210 (S320).

일 실시예에서,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는 발작기록 정보, 복약기록 정보, 문진기록 정보, 감정기록 정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발작기록 정보는 발작 유형, 발작 회수, 발작 일자, 발작 지속 시간, 발작 악화 요인 등을 포함한다. 복약기록 정보는 약물 유형, 약물 용량, 부작용 증상 등을 포함한다. 감정기록 정보는 발작 당시, 또는 발작 이후의 환자의 감정 상태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real life includes seizure record information, medication record information, medical questionnaire information, emotion record information, and the like. Here, the seizure record information includes seizure type, number of seizures, date of seizure, duration of seizure, and factors for worsening seizures. Medication record information includes drug type, drug dose, side effect symptoms, and the like. The emotional record information includes the emotional state of the patient at the time of the seizure or after the seizure.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연동기기(120)로부터의 연동기록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연동기록 정보는 수면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apparatus 300 for managing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y further receive interlocking record information from the companion device 120 . The linkage record information may include sleep time.

뇌전증 관련 정보 제공 장치(30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의료진 단말(200)에 제공하기 위한 뇌전증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S330).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generates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S330).

일 실시예에서, 상기 뇌전증 내역 정보는 발작 내역 정보, 복약 내역 정보, 문진 내역 정보, 및 상태 내역 정보 등을 포함한다. In an embodiment, the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includes seizure history information,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questionnaire history information, and state history informa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발작 내역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발작기록 정보(예컨대, 발작 회수, 발작 유형, 발작 일자, 악화 요인 등)를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eizure history information is generated to include seizure history information (eg, number of seizures, seizure type, seizure date, exacerbation factors, etc.) from the user terminal 100 .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제공 장치(300)는 발작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발작 내역 그래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발작 내역 데이터를 포함한 뇌전증 내역 정보를 의료진 단말(200)에 제공한다. In an embodiment,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generates seizure history graph data based on seizure history information, and provides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the seizure history data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

상기 발작 내역 그래프 데이터는 발작 내역 정보를 의료진 단말(200)에서 그래프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로서, 특정 기간 동안 실생활에서 발생한 환자의 발작 관련 정보를 의료진 단말(200)을 통해 의료진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seizure history graph data is data used to display seizure history information as a graph in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and effectively provides the patient's seizure-related information that occurred in real life during a specific period to the medical staff through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configured to do so.

예를 들어, 상기 발작 내역 그래프는 y축은 발작 회수, x축은 일자로 구성되고, 발작 유형별 발작 회수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작 내역 그래프는, 유발 요인 또는 악화 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작 내역 그래프는 악화 요인 유무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악화 요인을 나타내는 아이콘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경우, 악화 요인에 대한 상세 정보가 나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izure history graph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y-axis is the number of seizures, the x-axis is the date, and the number of seizures per seizure type is represented. In addition, the seizure history graph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provide information on a triggering factor or aggravating factor. For example, the seizure history graph may further include an icon indic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ggravating factor, and when a cursor is positioned on the icon indicating the aggravating factor, detailed information on the aggravating factor may be displayed.

전술한 바와 같이, 복약 내역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복약기록 정보(예컨대, 복약 여부, 부작용 기록), 연동기기(120)로부터의 연동기록 정보(예컨대, 수면 시간) 및 병원 서버(210)로부터의 처방기록 정보(예컨대, 약물 명칭, 약물 용량, 환자 몸무게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includes medication recor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eg, whether or not taking medication, side effects records), interlocking record information from the companion device 120 (eg, sleep time), and the hospital server 210 . ) from the prescription record information (eg, drug name, drug dose, patient weight, etc.).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제공 장치(300)는 복약기록 정보, 연동기록 정보, 처방기록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복약 내역 그래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복약 내역 그래프 데이터를 포함한 뇌전증 내역 정보를 의료진 단말(200)에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generates medication history graph data based on one or more of medication record information, linkage record information, and prescription record information, and epilepsy history including the medication history graph data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

상기 복약 내역 그래프 데이터는 복약 내역 정보를 의료진 단말(200)에서 그래프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로서, 특정 기간 동안 실생활에서 이루어진 환자의 복약 관련 정보 및 병원의 처방 기록을 의료진 단말(200)을 통해 의료진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medication history graph data is data used to display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in a graph in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and the medication related information of the patient and the hospital's prescription record made in real life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through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It is structured so that it can be efficiently provided to medical staff.

예를 들어, 상기 복약 내역 그래프는 y축은 약물 용량, x축은 일자로 구성되고, 약물 명칭별 약물 용량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복약 내역 그래프는, 부작용 증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 내역 그래프는 부작용 증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작용 증상을 나타내는 아이콘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경우, 해당 부작용 증상에 대한 상세 정보가 나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medication history graph, the y-axis is the drug dose, the x-axis is the date, and is configured to indicate the drug dose by drug name. In addition, the medication history graph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provide information on side effects symptoms. For example, the medication history graph may further include an icon indicating a side effect symptom, and when a cursor is positioned on the icon indicating the side effect symptom,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ide effect symptom may be displayed.

일 실시예에서, 복약 내역 그래프는 연동기록 정보(예컨대, 수면 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y축은 약물 용량, 제2 y축은 수면 시간으로 구성되고, 일자별 수면 시간을 더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medication history graph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provide linkage record information (eg, sleep-relate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first y-axis is the drug dose, the second y-axis is composed of sleep tim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dicate sleep time per day.

전술한 발작 내역 그래프 및/또는 복약 내역 그래프는 하나 이상의 시간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프들은 3개월, 6개월, 1년 단위의 그래프일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seizure history graph and/or medication history graph may be set to one or more time ranges. For example, the graphs may be graphs in units of 3 months, 6 months, or 1 year.

전술한 바와 같이, 문진내역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병원 서버(210)로부터의 문진기록 정보의 문진 리스트별 문진 점수를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문진내역 정보는 최신 문진 점수에서 소정 범위의 이전 문진 점수를 더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예를 들어, 문진내역 정보에 포함되는 소아 우울 질환에 대한 문진 점수는 최신 문진 점수 및 이로부터 이전의 3개의 문진 점수(총 4개의 문진 점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questionnaire history information is generated to include the questionnaire score for each questionnaire list of the questionnaire recor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or the hospital server 210 . In some embodiments, the questionnaire history information is generated to further include a range of previous questionnaire scores from the latest questionnaire score. For example, the questionnaire score for pediatric depressive diseas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history informat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the latest questionnaire score and three previous questionnaire scores (four questionnaire scores in total) therefrom.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문진 점수에 기초하여 문진 점수 그래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문진 점수 그래프 데이터를 포함한 뇌전증 내역 정보를 의료진 단말(200)에 제공한다. In an embodiment,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300 generates questionnaire score graph data based on the questionnaire score and provides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the questionnaire score graph data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

상기 문진 점수 그래프 데이터는 문진 리스트별 하나 이상의 문진 점수를 의료진 단말(200)에서 그래프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로서, 상기 문진 점수 그래프는 치료 진행 과정에서의 문진 결과를 의료진 단말(200)을 통해 의료진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questionnaire score graph data is data used to display one or more questionnaire scores for each questionnaire list as a graph in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and the questionnaire score graph shows the questionnaire results in the treatment process through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It is structured so that it can be efficiently provided to medical staff.

예를 들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소아 우울에 대한 하나 이상의 문진 점수, 소아 불안에 대한 하나 이상의 문진 점수, 보호자의 ADHD에 대한 하나 이상의 문진 점수, 및 환자의 ADHD에 대한 하나 이상의 문진 점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각각의 문진에 대한 문진 점수 그래프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300 may include one or more questionnaire scores for childhood depression, one or more questionnaire scores for childhood anxiety, one or more questionnaire scores for the guardian's ADHD, and one or more questionnaire scores for the patient's ADHD. One or more of the questionnaire scores may be used to generate data configured to display a questionnaire score graph for each questionnaire.

또한, 문진 내역 정보는 외래 문진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questionnaire history information may include an outpatient interview result.

한편, 상태 내역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감정 상태, 삶의 질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특이 사항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tate history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motional state and quality of life from the user terminal 100 , and may be generated to include information on other specific matters.

뇌전증 관련 정보 제공 장치(300)는 단계(S330)에서 생성된 뇌전증 내역 정보를 의료진 단말(200)에 제공하여, 의료진 단말(200)에서 표시되게 한다(S350).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provides the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in step S330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to be displayed in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S350).

일 실시예에서, 단계(S350)의 뇌전증 내역 정보 제공은 의료진 단말(200)의 요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vision of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in step S350 may be performed at the request of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

예를 들어, 의료진은 의료진 단말(200)에서 로그인을 통해 DMZ망(30)에서 의료진 웹 URL(상기 URL은 의료진 식별 코드(예컨대, 사번 번호) 및 환자 식별 코드(예컨대, 고유 번호)에 기초하여 생성됨)을 호출하여 뇌전증 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medical staff can log in from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to the DMZ network 30 based on the medical staff web URL (the URL is the medical staff identification code (eg, company number) and the patient identification code (eg, unique number)) generated) to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pilepsy patient.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진 단말에 표시된 뇌전증 내역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displayed on a medical staff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의료진 단말(200)은 단계(S350)에서 수신한 뇌전증 내역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내역 정보는 대시보드 형태로 의료진 단말(20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대시보드의 사이즈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특정 사이즈에서는 표시되는 정보의 범위가 상이하거나, 또는 동일한 정보가 표시되는 상태가 상이할 수 있다.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350. In an embodiment, the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in the form of a dashboard. The size of the dashboard may be set in various ways, and accordingly, a range of displayed information may be different in a specific size, or a state in which the same information is displayed may be differ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시보드의 사이즈는 뇌전증 내역 정보에 포함된 정보 전체를 모두 표시하거나, 또는 적어도 정보의 명칭을 모두 표시하기 충분한 사이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시보드의 사이즈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진 단말(200)의 모니터 전체 사이즈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In one embodiment, the size of the dashboard may be large enough to display all of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or at least all the names of th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ize of the dashboard may refer to the overall size of the monitor of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as shown in FIG. 16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6의 대시보드는 발작 내역 정보가 주로 표시되는 영역(A), 복약 내역 정보가 주로 표시되는 영역(B), 문진 내역 정보와 상태 내역 정보가 포함된 영역(C, D)을 보여준다. 또한, 뇌전증 환자의 신원정보가 표시되는 영역(I)를 더 포함한다. The dashboard of FIG. 16 shows an area (A) in which seizure history information is mainly displayed, an area (B) in which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is mainly displayed, and areas (C and D) in which the questionnaire history information and status history information are included. 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n area (I) in which the identity information of the epilepsy patient is displayed.

의료진 단말(200)은 환자의 성명, 성별, 고유 식별 코드 등을 영역(I)에 표시한다.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displays the patient's name, gender,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like in the area (I).

의료진 단말(200)은 수신된 발작 내역 정보 및/또는 발작 내역 그래프에 기초하여 도 16의 발작 내역 그래프에 대한 이미지를 영역(A)에서 표시한다.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displays an image of the seizure history graph of FIG. 16 in the area A based on the received seizure history information and/or the seizure history graph.

상기 영역(A)에는 전체 그래프 중 일부 그래프에 대한 이미지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진 단말(200)이 3개월 동안의 발작 내역 그래프를 제공하도록 설정되어도, 영역(A)에는 3개월 중 일부만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3개월 중 다른 일부에 대한 발작 내역 정보는 프레임 이동 명령 등과 같은 입력에 의해 영역(A)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area (A), only images of some graphs among all graphs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 even if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is set to provide a seizure history graph for 3 months, only a part of the 3 months is displayed in real time in the area A, and the other part of the 3 months is displayed in real time. Seizure history information for can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in the area (A) by an input such as a frame movement command.

일부 실시예에서, 발작 내역 정보가 발작 사진 및/또는 발작 동영상을 포함한 경우, 상기 영역(A)는 발작 사진 및/또는 발작 동영상을 제공 가능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대시보드를 표시하기 위한 발작 내역 정보가 4월 2일자 발작에 대한 발작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의료진 단말(200)의 커서가 도 16의 4월 2일자 그래프에 위치(또는 클릭)하면 발작 이미지가 (예컨대, 팝업창, 드랍 아웃(dropout)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 효과 수단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when the seizure history information includes a seizure photograph and/or a seizure video, the region A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provide a seizure photograph and/or a seizure video. For example, when the seizure history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dashboard of FIG. 16 includes a seizure image for a seizure dated April 2, the cursor of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is positioned on the April 2 graph of FIG. 16 ( or click), the seizure image may be displayed (eg, by various display effect means such as a pop-up window, dropout, etc.).

의료진 단말(200)은 수신된 복약 내역 정보 및/또는 복약 내역 그래프에 기초하여 도 16의 복약 내역 그래프에 대한 이미지를 영역(B)에서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약 내역 그래프에 대한 이미지는 약물 관련 그래프 및 수면 관련 그래프를 포함한다.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displays an image of the medication history graph of FIG. 16 in the area B based on the received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and/or the medication history graph. In an embodiment, the image for the medication history graph includes a drug-related graph and a sleep-related graph.

일부 실시예에서, 영역(B)의 복약 내역 그래프는 약물 용량 단위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의 환자(예컨대, 몸무게가 30kg 이상인 경우)에 대해서는 실제 용량 단위, 제2 그룹의 환자(예컨대, 몸무게가 30kg 미만인 경우)에 대해서는 실제 용량에서 몸무게로 나누어 표시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medication history graph of the region (B) may be set differently for the drug dose unit. For example, the actual dose unit for the first group of patients (eg, when the weight is 30 kg or more) and the actual dose divided by the body weight for the second group of patients (eg, when the weight is less than 30 kg) are displayed.

이와 같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발작 내역 정보 및/또는 발작 내역 그래프와 함께 복약 내역 그래프를 통해 약물 치료 효과를 의료진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 can efficiently provide the effect of drug treatment to the medical staff through the seizure history information and/or the medication history graph together with the seizure history graph.

의료진 단말(200)은 수신된 문진 내역 정보 및/또는 문진 점수 그래프에 기초하여 도 16의 문진 점수 그래프에 대한 이미지를 영역(C)에서 표시한다. 또한, 의료진 단말(200)은 수신된 생활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도 16의 생활 내역 정보와 관련된 이미지를 영역(D)에서 표시한다.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displays an image for the questionnaire score graph of FIG. 16 in the area C based on the received questionnaire history information and/or the questionnaire score graph. Also, the medical staff terminal 200 displays an image related to the life history information of FIG. 16 in the area D based on the received life history information.

이와 같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환자 또는 보호자 측면에서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효율적으로 획득하기 위한 지원을 제공하고, 또한 의료진 측면에서 의료진이 환자의 일상 생활 속 건강 기록윽 효율적으로 확인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As such,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 provides support for efficiently acquiring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in real life from the patient's or guardian's point of view, and from the medical staff's perspective, allows the medical staff to record health records in the patient's daily life. It can provide support to effectively identify and develop a treatment plan.

상기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 또는 이들의 구성요소(100 내지 300)이 본 명세서에 서술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요소(100 내지 3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데이터 엔트리를 위한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 인쇄 또는 다른 데이터 표시를 위한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서술된 동작에 필요한 다른 하드웨어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 or its components (100 to 300) It will be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other components not described herein may be included. For example, the components 100-300 may include network interfaces, input devices for data entry, and output devices for display, printing, or other data presentation, including other hardware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operations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 및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제품과 함께 구현되고, 이는 기술된 임의의 또는 모든 단계, 동작, 또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The operation by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 and the epilepsy management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at least partially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embodied with a program product consisting of a computer-readable medium containing program code, which may be executed by a processor for performing any or all steps, operations, or processes described.

상기 컴퓨터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폰,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고 통합될 수도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대체적이고 특별한 목적의 프로세서, 메모리, 저장공간, 및 네트워킹 구성요소(무선 또는 유선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장치다.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와 호환되는 운영 체제, 애플 OS X 또는 iOS, 리눅스 배포판(Linux distribution), 또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OS와 같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실행할 수 있다.The computer may be any device that may be incorporated into or may be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desktop computer, laptop computer, notebook, smart phone, or the like. A computer is a device having one or more alternative and special purpose processors, memory, storage, and networking components (either wireless or wired). The computer may run, for example, an operating system compatible with Microsoft's Windows, an operating system such as Apple OS X or iOS, a Linux distribution, or Google's Android OS.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신원확인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신원확인 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identification devices in which computer-readable data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identification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and the computer-readable code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belongs.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However,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6)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는 액세스가 오픈된 외부망 및 병원 조직에서만 활용되어야만 하는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폐쇄된 네트워크인 내부망에 모두 액세스 하는데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DMZ 망에 포함되고,
상기 외부망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DMZ 망을 통해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내부망의 병원 서버로부터 상기 DMZ 망을 통해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 및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뇌전증 환자의 뇌전증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관리부;
상기 뇌전증 내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 및 의료진 단말 중 하나 이상에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 및
상기 뇌전증 환자 정보 및 상기 뇌전증 내역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는 발작기록 정보, 복약기록 정보, 및 문진기록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는 환자 신원 정보, 처방기록 정보, 및 진료 결과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뇌전증 환자의 문진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문진기록 관리부; 상기 뇌전증 환자의 발작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발작기록 관리부; 및 상기 뇌전증 환자의 복약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복약기록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작 내역 정보는 적어도 상기 외부망의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뇌전증 환자에 대한 발작기록 정보 및 상기 내부망의 병원 서버로부터의 상기 뇌전증 환자에 대한 환자 신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으로서, 상기 뇌전증 환자의 뇌전증 증상으로서 발작 유형, 발작 회수, 및 발작 유발 또는 발작 악화 요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복약 내역 정보는 적어도 상기 외부망의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뇌전증 환자에 대한 복약기록 정보 및 상기 내부망의 병원 서버로부터의 상기 뇌전증 환자에 대한 환자 신원 정보와 처방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으로서, 상기 뇌전증 환자의 뇌전증 치료를 위한 약물의 복약 여부, 뇌전증 치료를 위한 약물의 부작용 기록, 약물 명칭, 약물 용량, 및 수면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문진 내역 정보는 적어도 상기 외부망의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뇌전증 환자에 대한 문진기록 정보 및 상기 내부망의 병원 서버로부터의 상기 뇌전증 환자에 대한 환자 신원 정보와 진료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으로서, 소아 우울과 관련된 문진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기 뇌전증 환자의 소아 우울 점수, 소아 불안과 관련된 문진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기 뇌전증 환자의 소아 불안 점수, 및 ADHD와 관련된 문진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기 뇌전증 환자의 ADHD 점수 중 하나 이상의 문진 점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In the apparatus for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epilepsy,
The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is included in the DMZ network that provides services necessary to access both an external network that is open to access and an internal network that is a closed network for sharing information that should be used only in hospital organizations,
a data acquisition unit for receiving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of the external network through the DMZ network and receiving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from the hospital server of the internal network through the DMZ network;
a data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of the epilepsy patient related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hospital server;
a data providing unit providing the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a user terminal and a medical staff terminal;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of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and the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The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of seizure record information, medication record information, and medical questionnaire information,
Epilepsy pati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hospital server includes at least one of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scription record information, and treatment result information,
The data management unit includes: a medical examination record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history of the patient with the epilepsy; a seizure record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seizure history information of the epilepsy patient; and a medication record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epilepsy patient,
The seizure history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at least the seizure record information for the epilepsy patient from the user terminal of the external network and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epilepsy patient from the hospital server of the internal network. epilepsy symptoms in a patient with epilepsy, including one or more of seizure type, seizure frequency, and seizure triggering or seizure exacerbating factors;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at least medication record information for the epilepsy patient from the user terminal of the external network and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rescription record information for the epilepsy patient from the hospital server of the internal network. As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whether the drug for the epilepsy treatment of the epilepsy patient is taken, the side effect record of the drug for the epilepsy treatment, the drug name, the drug dose, and the sleep time,
The questionnaire history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at least the questionnaire record information for the epilepsy patient from the user terminal of the external network and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eatment result information for the epilepsy patient from the hospital server of the internal network. As one, the pediatric depression score of the epilepsy patient calculated based on the user input to the questionnaire related to childhood depression, the pediatric anxiety score of the epilepsy patient calculated based on the user input to the questionnaire related to childhood anxiety, and ADH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one or more questionnaire scores among the ADHD scores of the epilepsy patient calculated based on a user input for a questionnaire related to .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획득부는 연동기기로부터 연동기록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연동기록 정보에 더 기초하여 상기 뇌전증 내역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acquisition unit further receives interworking record information from the interworking device,
The data management unit is further configured to generate the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locking record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작 내역 정보는,
상기 뇌전증 환자의 발작 유형, 발작 회수, 및 유발 또는 악화 요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발작 내역 그래프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발작 내역 그래프 데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발작 내역 그래프는 발작 유형별 발작 회수에 대한 그래프로서, 제1 축은 일자, 및 제2 축은 발작 회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izure history information,
seizure history graph data used to display a seizure history graph including one or more of a seizure type, number of seizures, and a trigger or exacerbation factor of the epilepsy patient;
The seizure history graph is a graph for the number of seizures by seizure type, wherein a first axis is a date, and a second axis is a seizure nu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내역 정보는,
상기 복약 여부, 부작용 기록, 약물 명칭, 약물 용량, 및 수면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복약 내역 그래프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복약 내역 그래프 데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복약 내역 그래프는 약물 명칭별 약물 용량에 대한 그래프로서, 제1 축은 일자, 및 제2 축은 약물 용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the medication history graph data used to display the medication history graph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medication status, side effects record, medication name, medication dose, and sleep time,
The medication history graph is a graph for drug dose by drug name, wherein the first axis is the date, and the second axis is the drug dos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내역 그래프는 수면 시간에 대한 그래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edication history grap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raph for sleep ti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 내역 정보는,
각 문진에 대해 하나 이상의 문진 점수를 포함하고, 해당 문진 점수 그래프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문진 점수 그래프 데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문진 점수 그래프는 각 문진 리스트별 문진 점수에 대한 그래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questionnaire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questionnaire scores for each questionnaire, and including questionnaire score graph data used to display the questionnaire score graph;
The questionnaire score grap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graph for the questionnaire score for each questionnaire li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 단말에 제공되는 뇌전증 내역 정보는 발작 내역 정보, 복약 내역 정보 및 문진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pilepsy history information provided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includes seizure history information,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and questionnaire history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70255A 2018-12-27 2018-12-27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epilepsy KR1022685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255A KR102268506B1 (en) 2018-12-27 2018-12-27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epilepsy
PCT/KR2019/018411 WO2020138924A2 (en) 2018-12-27 2019-12-24 Epilepsy-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255A KR102268506B1 (en) 2018-12-27 2018-12-27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epileps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621A KR20200080621A (en) 2020-07-07
KR102268506B1 true KR102268506B1 (en) 2021-06-24

Family

ID=71128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255A KR102268506B1 (en) 2018-12-27 2018-12-27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epileps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8506B1 (en)
WO (1) WO2020138924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342B1 (en) * 2022-10-28 2023-06-01 이승곤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record service for animal with heart disea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568B1 (en) 2014-08-26 2016-12-06 (의료)길의료재단 Breakthrough pain control system for cancer patient and breakthrough pain control method using thereof
KR101846951B1 (en) 2017-02-22 2018-04-09 주식회사 씨씨앤아이리서치 An application for predicting an acute exacerba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KR101852768B1 (en) * 2016-01-27 2018-04-27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Monitor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for pai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6995A (en) * 2001-12-14 2003-07-04 Hitachi Ltd Method for medical examination by interview
KR101879749B1 (en) * 2010-12-24 2018-07-19 주식회사 케이티 Mobile bas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sthma for patient and medical team
KR101534328B1 (en) * 2012-06-22 2015-07-07 주식회사 케이티 Psychometric apparatus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ntal health included in management System for mental health
KR101602033B1 (en) 2014-01-13 2016-03-0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monitoring patients with epileps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568B1 (en) 2014-08-26 2016-12-06 (의료)길의료재단 Breakthrough pain control system for cancer patient and breakthrough pain control method using thereof
KR101852768B1 (en) * 2016-01-27 2018-04-27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Monitor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for pain
KR101846951B1 (en) 2017-02-22 2018-04-09 주식회사 씨씨앤아이리서치 An application for predicting an acute exacerba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621A (en) 2020-07-07
WO2020138924A2 (en) 2020-07-02
WO2020138924A3 (en)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twani et al. A decade of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usability challenges and the path forward
CN104471597B (en)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care's planning management
US11101026B2 (en) Schedule-based electronic medical record modules, applications, and uses thereof
TWI557679B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real-time health care alerts
US20180090231A1 (en) Context-Aware Careflow Engine, Platform,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Gerhardt et al. Systemwide implementation of patient-reported outcomes in routine clinical care at a children's hospital
WO2012071354A2 (en) Disease management system using personalized education, patient support community and telemonitoring
Ayatollahi et al. Type 1 diabetes self-management: developing a web-based telemedicine application
US201603579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of distributed electronic medical record data to detect potential health concerns
US201603579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and management of distributed electronic medical record data
Orsini et al. My smart age with HIV: an innovative mobile and IoMT framework for patient's empowerment
Gonçalves et al. Usability of telehealth systems for noncommunicable diseases in primary care from the COVID-19 pandemic onward: Systematic review
US20150100349A1 (en) Untethered Community-Centric Patient Health Portal
Park et al. A worker-centered personal health record app for workplace health promotion using national health care data sets: design and development study
Hsia Medicare quality improvement: bad apples or bad systems?
KR102268506B1 (en)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epilepsy
JP62520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lores-Vaquero et al. A product-service system approach to telehealth application design
US201603579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distributed electronic medical record data to determine standards compliance
Alkhudairi Technology acceptance issues for a mobile application to support diabetes patients in Saudi Arabia
US201101611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medical support
Buchhalter et al. Creation and implementation of an electronic health record note for quality improvement in pediatric epilepsy: Practical considerations and lessons learned
Wu et al. Principl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a workflow monitoring tool to enable and enhance clinical workflow automation
Burkhart et al. Measuring spiritual care with informatics
KR20220068858A (en) System for providing telemedicine service for health examination and disease prediction using medical ai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