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536B1 -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 - Google Patents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536B1
KR102267536B1 KR1020190176977A KR20190176977A KR102267536B1 KR 102267536 B1 KR102267536 B1 KR 102267536B1 KR 1020190176977 A KR1020190176977 A KR 1020190176977A KR 20190176977 A KR20190176977 A KR 20190176977A KR 102267536 B1 KR102267536 B1 KR 102267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ylinder housing
control unit
fluid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6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mainly during a motion involving steering operation, e.g. cornering,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4End mounts of stabiliser on wheel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80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 B60G2204/83Type of interconnection
    • B60G2204/8302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3Means for adjusting damp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luid viscosity, e.g. electromagnetically
    • F16F9/535Magnetorheological [MR] fluid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개시되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자동차의 쇽업소버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스태빌라이저 바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있어서,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제1실린더 하우징 내부를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에 결합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유압실린더; 유압실린더의 제1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하여 유압실린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조절부; 및 자동차의 ECU와 통신할 수 있는 신호 수신부를 통해 ECU에서 전달된 주행모드 정보에 따라서 유압조절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정차 중은 물로 주행 중에도 자동차의 주행모드 정보에 따라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길이를 조절하여 최적의 주행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Length-adjustable stebiliser link}
본 발명은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주행모드에 따라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관한 것이다.
서스펜션(suspension)은 자동차의 구조장치로서 노면의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게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로서 현가장치(懸架裝置)라고도 한다.
서스펜션은 노면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직접적으로 전해지지 않게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과 타이어를 노면에 확실하게 접지시키는 기능이 주요한 역할이므로, 서스펜션은 탑승자의 승차감과 차량의 조종성 및 안정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스태빌라이저(stabilizer)는 차량의 좌우 진동을 막아 수평을 유지하는 현가장치이다. 독립 현가식에 사용되고 하체 서스펜션의 좌우 휠 트러블의 편차를 막기 위함으로 궁극적으로 주행 성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롤링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태빌라이저는 차체의 하부에서 좌우 바퀴 사이에 배치되는 스태빌라이저 바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양단부와 서스펜션 사이에 결합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포함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131480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는 제1본체, 제2본체, 및 가변부를 포함함으로써, 제2본체가 제1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정도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바의 길이가 가변되고, 가변부가 절개홈부와 체결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본체와 제2본체 사이에 소정 각도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차종에서 요구되는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의 형상을 이룰 수 있고, 하나의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를 각 차종에 적용할 수 있어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131480호는 주행 중에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 및 정차 중에 사용자의 차량 주행모드 변경에 따라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길이를 변화시켜 최적의 주행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자동차의 쇽업소버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스태빌라이저 바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있어서,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제1실린더 하우징 내부를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에 결합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유압실린더; 유압실린더의 제1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하여 유압실린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조절부; 및 자동차의 ECU와 통신할 수 있는 신호 수신부를 통해 ECU에서 전달된 주행모드 정보에 따라서 유압조절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유압조절부는, 제2실린더 하우징; 제2실린더 하우징의 내부를 제1챔버와 제2챔버로 분할하면서 직선 운동하도록 제2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압력판; 일단부는 제1실린더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실린더 하우징에 결합되고 제1실린더 하우징의 내부와 제2챔버를 연결하는 유압라인; 압력판의 가이드 홀에 삽입되고 양단부가 제2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바; 제2실린더 하우징의 제1챔버 내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제1기어; 및 제1기어에 치합되고 가이드 바를 따라 직선 운동하도록 압력판에 결합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제2챔버에 수용된 유체를 제1실린더 하우징에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유압조절부는, 내부가 제1실린더 하우징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제1실린더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실린더 하우징; 제2실린더 하우징의 내부를 제1챔버와 제2챔버로 분할하면서 직선 운동하도록 제2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압력판; 압력판의 가이드 홀에 삽입되고 양단부가 제2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바; 제2실린더 하우징의 제1챔버 내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제1기어; 및 제1기어에 치합되고 가이드 바를 따라 직선 운동하도록 압력판에 결합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제2챔버에 수용된 유체를 제1실린더 하우징에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유체는 엠알(MR) 유체이고, 압력판은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제1코일이 결합되고, 제어부는 제1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1실린더 하우징은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제2코일이 결합되고, 제어부는 제2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스태빌라이저 바는 양단부가 폐쇄된 파이프로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제3코일이 결합되고, 파이프 내부는 엠알(MR) 유체가 수용되고, 제어부는 제3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유압조절부는 제2챔버 내부에 압력판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코일 스프링이 게재될 수 있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유체는 엠알(MR) 유체이고, 제어부는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에 전원을 공급하여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1실린더 하우징은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제2코일이 결합되고, 제어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과 제2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스태빌라이저 바는 양단부가 폐쇄된 파이프로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제3코일이 결합되고, 파이프 내부는 엠알(MR) 유체가 수용되고, 제어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 제2코일 및 제3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하면, 자동차의 쇽업소버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스태빌라이저 바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있어서,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제1실린더 하우징 내부를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에 결합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유압실린더; 유압실린더의 제1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하여 유압실린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조절부; 및 자동차의 ECU와 통신할 수 있는 신호 수신부를 통해 ECU에서 전달된 주행모드 정보에 따라서 유압조절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정차 중은 물로 주행 중에도 자동차의 주행모드 정보에 따라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길이를 조절하여 최적의 주행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하면, 유압조절부는, 제2실린더 하우징; 제2실린더 하우징의 내부를 제1챔버와 제2챔버로 분할하면서 직선 운동하도록 제2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압력판; 일단부는 제1실린더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실린더 하우징에 결합되고 제1실린더 하우징의 내부와 제2챔버를 연결하는 유압라인; 압력판의 가이드 홀에 삽입되고 양단부가 제2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바; 제2실린더 하우징의 제1챔버 내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제1기어; 및 제1기어에 치합되고 가이드 바를 따라 직선 운동하도록 압력판에 결합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제2챔버에 수용된 유체를 제1실린더 하우징에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으므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하면, 유압조절부는, 내부가 제1실린더 하우징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제1실린더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실린더 하우징; 제2실린더 하우징의 내부를 제1챔버와 제2챔버로 분할하면서 직선 운동하도록 제2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압력판; 압력판의 가이드 홀에 삽입되고 양단부가 제2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바; 제2실린더 하우징의 제1챔버 내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제1기어; 및 제1기어에 치합되고 가이드 바를 따라 직선 운동하도록 압력판에 결합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제2챔버에 수용된 유체를 제1실린더 하우징에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으므로, 유압조절부를 유압실린더에 일체로 구성하여 내구성 및 정비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하면, 유체는 엠알(MR) 유체이고, 압력판은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제1코일이 결합되고, 제어부는 제1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길이와 댐핑력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하면, 제1실린더 하우징은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제2코일이 결합되고, 제어부는 2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길이와 댐핑력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하면, 스태빌라이저 바는 양단부가 폐쇄된 파이프로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제3코일이 결합되고, 파이프 내부는 엠알(MR) 유체가 수용되고, 제어부는 제3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스태빌라이저 바의 비틀림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하면, 유압조절부는 제2챔버 내부에 압력판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코일 스프링이 게재될 수 있으므로, 압력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하면, 유체는 엠알(MR) 유체이고, 제어부는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에 전원을 공급하여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코일 스프링을 이용해 자기장을 발생시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댐핑력을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압력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하면, 제1실린더 하우징은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제2코일이 결합되고, 제어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과 제2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길이와 댐핑력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하면, 스태빌라이저 바는 양단부가 폐쇄된 파이프로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제3코일이 결합되고, 파이프 내부는 엠알(MR) 유체가 수용되고, 제어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 제2코일 및 제3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코일 스프링을 이용해 자기장을 발생시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댐핑력을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압력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스태빌라이저 바의 비틀림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포함하는 서스펜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포함하는 서스펜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스태빌라이저 바의 사시도 및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나타난 X, Y, Z 축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정한 것으로, X축이 전(화살표 쪽), 후(화살표 반대쪽) 방향을 지시하고, Y축은 좌, 우방향을 지시하며, Z축은 상, 하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 앞쪽), 후(배, 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이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자동차의 쇽업소버(20)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스태빌라이저 바(30)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40)에 있어서, 스태빌라이저 링크(40)는, 제1실린더 하우징(120) 내부를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140)에 결합되는 로드(160)를 포함하는 유압실린더(100); 유압실린더(100)의 제1실린더 하우징(120)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하여 유압실린더(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조절부(200); 및 자동차의 ECU와 통신할 수 있는 신호 수신부(320)를 통해 ECU에서 전달된 주행모드 정보에 따라서 유압조절부(20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실린더(100)는 자동차의 쇽업소버(20)와 스태빌라이저 바(3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일단부가 자동차의 쇽업소버(2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스태빌라이저 바(30)에 결합된다.
상기 유압실린더(100)는 제1실린더 하우징(120), 제1실린더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유압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140), 피스톤(140)에 결합되는 로드(160)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실린더(100)의 피스톤(140)을 이동시키면 제1실린더 하우징(120) 외부로 드러나는 로드(160)의 길이가 변하므로, 유압실린더(100) 전체의 길이가 변할 수 있다.
상기 유압조절부(200)는 상기 유압실린더(10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제1실린더 하우징(120)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유체를 다시 회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압조절부(200)는, 제2실린더 하우징(210); 제2실린더 하우징(210)의 내부를 제1챔버(212)와 제2챔버(214)로 분할하면서 직선 운동하도록 제2실린더 하우징(210) 내부에 결합되고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압력판(220); 일단부는 제1실린더 하우징(12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실린더 하우징(210)에 결합되고 제1실린더 하우징(120)의 내부와 제2챔버(214)를 연결하는 유압라인(230); 압력판(220)의 가이드 홀에 삽입되고 양단부가 제2실린더 하우징(210) 내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바(240); 제2실린더 하우징(210)의 제1챔버(212) 내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250); 구동모터(250)에 결합되는 제1기어(260); 및 제1기어(260)에 치합되고 가이드 바(240)를 따라 직선 운동하도록 압력판(220)에 결합되는 제2기어(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구동모터(250)를 작동시켜 제2챔버(214)에 수용된 유체를 제1실린더 하우징(120)에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더 하우징(210)은 내부가 압력판(220)에 의해 제1챔버(212)와 제2챔버(214)가 구분되는 공간을 가진다.
상기 제2실린더 하우징(210)은 압력판(220)이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1챔버(212)와 제2챔버(214)의 크기는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더의 제1챔버(212)는 구동모터(250), 구동모터(25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260), 제1기어(260)에 치합되어 직선 운동하는 제2기어(270)가 배치된다.
제1기어(260)와 제2기어(270)는 구동모터(250)의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꿀 수 있는 예를 들면 웜과 웜기어 같은 기어의 조합이다.
상기 제2실린더의 제2챔버(214)는 유체가 채워지고 압력판(220)의 이동에 따라 제1실린더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유체를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더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압력판(220)과 제2기어(270)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2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압력판(220)과 제2기어(270)는 가이드 바(240)가 통과하므로 가이드 바(240)를 따라서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압력판(220)은 가이드 바(240)가 통과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제2기어(270) 역시 가이드 바(240)가 통과하는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2챔버(214)에 수용된 유체는 제2챔버(214)가 확장되도록 압력을 가하므로 압력판(220)과 제2기어(270)는 접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270)는 압력판(220)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압력판(2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유압라인(230)은 제1실린더의 내부와 제2챔버(214)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유압라인(230)은 제1실린더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와 제2챔버(214)에 수용된 유체가 서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이다.
상기 구동모터(250)는 제1챔버(212)에 결합되어 제1기어(260)와 제2기어(270)를 통해 압력판(220)을 직선 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구동모터(250)를 작동시키면 제1기어(260)가 회전하고 제2기어(270)는 직선 운동을 하므로 압력판(220) 역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250)가 압력판(220)을 이동시켜 제2챔버(214)를 축소시키면 유압실린더(100)의 길이는 늘어나고, 제2챔버(214)를 확장시키면 유압실린더(100)의 길이는 줄어든다.
상기 구동모터(250)는 제어부(300)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자동차의 엔진, 변속기 및 전자장비 등의 상태를 컴퓨터로 제어하는 전자장치인 ECU(electronic control unit)과 신호 수신부(3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ECU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신호 수신부(320)와 제어회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ECU에서 전달된 주행모드 정보를 기초로 유압조절부(200)의 구동모터(250)를 작동시켜 유압실린더(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조절부(200)는, 내부가 제1실린더 하우징(12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제1실린더 하우징(120)에 결합되는 제2실린더 하우징(210); 제2실린더 하우징(210)의 내부를 제1챔버(212)와 제2챔버(214)로 분할하면서 직선 운동하도록 제2실린더 하우징(210) 내부에 결합되고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압력판(220); 압력판(220)의 가이드 홀에 삽입되고 양단부가 제2실린더 하우징(210) 내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바(240); 제2실린더 하우징(210)의 제1챔버(212) 내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250); 구동모터(250)에 결합되는 제1기어(260); 및 제1기어(260)에 치합되고 가이드 바(240)를 따라 직선 운동하도록 압력판(220)에 결합되는 제2기어(270)를 포함하고, 제어부(300)는 구동모터(250)를 작동시켜 제2챔버(214)에 수용된 유체를 제1실린더 하우징(120)에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조절부(200)는 유압실린더(10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압조절부(200)와 나머지 구성이 동일하다.
상기 제2실린더 하우징(210)은 내부가 상기 제1실린더 하우징(12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제1실린더 하우징(12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제1실린더 하우징(120)의 상부에 제2실린더 하우징(210)이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실린더 하우징(120)과 제2실린더 하우징(210)이 접하는 부분에는 제1실린더 하우징(120)의 내부와 제2실린더 하우징(210)의 제2챔버(214)를 연결하여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는 엠알(MR) 유체일 수 있고, 압력판(220)은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제1코일(22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제1코일(222)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엠알(MR) 유체란(Magneto-Rheological Fluid) 자기장의 인가에 따라 유체의 점성이 변화하는 유체로서, 낮은 투자율(permeability)의 용매에 상자성(paramagnetic)입자를 분산시킨 유체이다.
엠알(MR) 유체는 자기장 무 부하 시에는 입자의 작용이 없는 등방성(isotropic) 뉴토니안(Newtonian)유체와 같은 거동을 보이나 자기장 부하시에는 입자가 대전되어 체인구조를 형성하여 이방성(anisotropic)특성을 가진다.
즉, 엠알(MR) 유체는 자기장이 가해지면 점도가 급격히 높이지지만 평소에는 점도가 낮아 흐름이 용이하다.
상기 제어부(300)가 제1코일(222)에 전원을 공급하면 제1코일(222)에서 자기장이 발생하여 제1코일(222) 주위의 엠알(MR) 유체의 점도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자동차가 직진하는 경우 제1코일(222)에 자기장을 걸지 않으므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동차가 선회하는 경우 제1코일(222)에 자기장을 걸어 롤을 억제하고 조정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실린더 하우징(120)은 내부에 수용된 엠알(MR) 유체에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제2코일(122)이 결합될 수 있고, 제어부(300)는 제2코일(122)에 전원을 공급하여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가 제2코일(122)에 전원을 공급하면 제2코일(122)에서 자기장이 발생하여 제2코일(122) 주위의 엠알(MR) 유체의 점도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자동차가 직진하는 경우 제2코일(122)에 자기장을 걸지 않으므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동차가 선회하는 경우 제2코일(122)에 자기장을 걸어 롤을 억제하고 조정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제1코일(222)과 제2코일(122)에 동시에 전원을 인가하여 스태빌라이저 링크(40)의 길이 변화를 더 제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30)는 양단부가 폐쇄된 파이프(32)로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제3코일(34)이 결합될 수 있고, 파이프(32) 내부는 엠알(MR) 유체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제3코일(34)에 전원을 공급하여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가 제3코일(34)에 전원을 공급하면 제3코일(34)에서 자기장이 발생하여 제3코일(34) 주위의 엠알(MR) 유체의 점도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 제어부(300)가 제3코일(34)에 전원을 공급하면 제2코일(122)에서 자기장이 발생하여 제3코일(34) 주위의 엠알(MR) 유체의 점도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30) 내부에 수용된 엠알(MR) 유체의 점도가 높아지면 스태빌라이저 바(30)의 비틀림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자동차가 직진하는 경우 제3코일(34)에 자기장을 걸지 않으므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동차가 선회하는 경우 제3코일(34)에 자기장을 걸어 롤을 억제하고 조정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조절부(200)는 제2챔버(214) 내부에 압력판(220)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코일 스프링(280)이 게재될 수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280)은 압력판(220)에 가해이지는 비정상적인 충격을 흡수하여 유압조절부(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코일 스프링(280)에 전원을 공급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챔버(214) 내부의 유체는 엠알(MR) 유체이고, 제어부(300)는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28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가 코일 스프링(280)에 전원을 공급하면 코일 스프링(280)에서 자기장이 발생하여 코일 스프링(280) 주위의 엠알(MR) 유체의 점도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자동차가 직진하는 경우 코일 스프링(280)에 자기장을 걸지 않으므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동차가 선회하는 경우 코일 스프링(280)에 자기장을 걸어 롤을 억제하고 조정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222), 제2코일(122), 제3코일(34) 및 코일 스프링(280)은 독립적으로 구비되거나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제1코일(222), 제2코일(122), 제3코일(34) 및 코일 스프링(280)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제1코일(222), 제2코일(122), 제3코일(34) 및 코일 스프링(280)에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차량의 ECU에서 전달된 주행모드 정보를 기초로 제1코일(222), 제2코일(122), 제3코일(34) 및 코일 스프링(280)에 독립적으로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조정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2: 쇽업소버
3: 스태빌라이저 바
4: 스태빌라이저 링크
20: 쇽업소버
30: 스태빌라이저 바
32: 파이프
34: 제3코일
40: 스태빌라이저 링크
100: 유압실린더
120: 제1실린더 하우징
122: 제2코일
140: 피스톤
160: 로드
200: 유압조절부
210: 제2실린더 하우징
212: 제1챔버
214: 제2챔버
220: 압력판
222: 제1코일
230: 유압라인
240: 가이드 바
250: 구동모터
260: 제1기어
270: 제2기어
280: 코일 스프링
300: 제어부
320: 신호 수신부

Claims (10)

  1. 삭제
  2. 자동차의 쇽업소버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스태빌라이저 바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제1실린더 하우징 내부를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에 결합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의 제1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조절부; 및 상기 자동차의 ECU와 통신할 수 있는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ECU에서 전달된 주행모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유압조절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압조절부는, 제2실린더 하우징; 상기 제2실린더 하우징의 내부를 제1챔버와 제2챔버로 분할하면서 직선 운동하도록 상기 제2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압력판; 일단부는 상기 제1실린더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실린더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제1실린더 하우징의 내부와 제2챔버를 연결하는 유압라인; 상기 압력판의 가이드 홀에 삽입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2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바; 상기 제2실린더 하우징의 제1챔버 내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제1기어; 및 상기 제1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직선 운동하도록 상기 압력판에 결합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제2챔버에 수용된 유체를 상기 제1실린더 하우징에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
  3. 자동차의 쇽업소버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스태빌라이저 바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제1실린더 하우징 내부를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에 결합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의 제1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조절부; 및 상기 자동차의 ECU와 통신할 수 있는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ECU에서 전달된 주행모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유압조절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압조절부는, 내부가 상기 제1실린더 하우징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1실린더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실린더 하우징; 상기 제2실린더 하우징의 내부를 제1챔버와 제2챔버로 분할하면서 직선 운동하도록 상기 제2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압력판; 상기 압력판의 가이드 홀에 삽입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2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바; 상기 제2실린더 하우징의 제1챔버 내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제1기어; 및 상기 제1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직선 운동하도록 상기 압력판에 결합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제2챔버에 수용된 유체를 상기 제1실린더 하우징에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엠알(MR) 유체이고,
    상기 압력판은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제1코일이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 하우징은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제2코일이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는 양단부가 폐쇄된 파이프로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제3코일이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 내부는 엠알(MR) 유체가 수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조절부는 제2챔버 내부에 상기 압력판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코일 스프링이 게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엠알(MR) 유체이고,
    상기 제어부는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 하우징은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제2코일이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는 양단부가 폐쇄된 파이프로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제3코일이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 내부는 엠알(MR) 유체가 수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엠알(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



KR1020190176977A 2019-12-27 2019-12-27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 KR102267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977A KR102267536B1 (ko) 2019-12-27 2019-12-27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977A KR102267536B1 (ko) 2019-12-27 2019-12-27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536B1 true KR102267536B1 (ko) 2021-06-21

Family

ID=7660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977A KR102267536B1 (ko) 2019-12-27 2019-12-27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5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526U (ja) * 1991-09-20 1993-04-06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制御装置
JP2005009548A (ja) * 2003-06-18 2005-01-13 Kayaba Ind Co Ltd オイルダンパー
JP2007513835A (ja) * 2003-12-09 2007-05-31 ザ ティムケン カンパニー 可変ねじり剛性を有するスタビライザバ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526U (ja) * 1991-09-20 1993-04-06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制御装置
JP2005009548A (ja) * 2003-06-18 2005-01-13 Kayaba Ind Co Ltd オイルダンパー
JP2007513835A (ja) * 2003-12-09 2007-05-31 ザ ティムケン カンパニー 可変ねじり剛性を有するスタビライザバ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19929A1 (en) Position sensitive suspension damping with an active valve
EP3461663B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sway bar damping link
RU2408475C2 (ru)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подвески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180222273A1 (en) Suspension with hydraulic preload adjust
US8676440B2 (en) Semi-active snowmobile rear suspension
US11448283B2 (en) Main piston boost valve in a vehicle damper
US20160153516A1 (en) Suspension damper with remotely-operable valve
EP1707407A1 (en) Air suspension and electronically controlled suspension system
US20110315494A1 (en) Bypass for a suspension damper
WO1997011855A2 (en) Variable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JP2020142797A (ja) デュアルレート車両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CN111032383B (zh) 车辆的可切换的稳定器组件
EP3290738A1 (en) Remotely operated bypass for a suspension damper
US11634003B2 (en) Automated control system for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sway bar link
JP3785598B2 (ja) 自動車の後輪サスペンション
KR20170089637A (ko)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2623846B1 (ko) 차량용 댐퍼 제어장치
KR102267536B1 (ko) 길이 자동조절형 스태빌라이저 링크
WO2009073701A2 (en) Variable compliance suspension bushing
KR101339218B1 (ko) 차량의 차고 제어장치
KR101723613B1 (ko)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및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를 가지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1283605B1 (ko) 능동형 롤 제어장치
KR100559888B1 (ko) 자동차의 선회 안정화 시스템
KR100471856B1 (ko) 자동차용 비틀림 강도 가변형 스태빌라이저
KR100610061B1 (ko) 토오션 바아 스프링의 스프링상수 가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