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288B1 -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및 핸드레일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및 핸드레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288B1
KR102267288B1 KR1020200086252A KR20200086252A KR102267288B1 KR 102267288 B1 KR102267288 B1 KR 102267288B1 KR 1020200086252 A KR1020200086252 A KR 1020200086252A KR 20200086252 A KR20200086252 A KR 20200086252A KR 102267288 B1 KR102267288 B1 KR 102267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fabric
width
escalators
fabr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이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호 filed Critical 이성호
Priority to KR1020200086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 B66B23/24Hand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 B66B23/225Lighting system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에 있어서, 우레탄 소재 대신에 서로 다른 패브릭 소재를 직조하여 패브릭 핸드레일을 제작하고, 핸드레일의 지지 가이드를 따라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의 이동속도에 맞게 회전 이동하는 리버싱 체인에 패브릭 핸드레일을 결합시켜 핸드레일을 구현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다양한 패턴의 미려한 외관 구현이 가능하고, 유지 보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및 핸드레일 시스템{MAGNETIC SMART FABRIC HANDRAIL AND HANDRAIL SYSTEM FOR ESCALATORS AND MOVING WALKS}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핸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핸드레일에 있어서, 우레탄 소재 대신에 서로 다른 패브릭 소재를 직조하여 패브릭 핸드레일을 제작하고, 핸드레일의 지지 가이드를 따라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의 이동속도에 맞게 회전 이동하는 리버싱 체인에 패브릭 핸드레일을 결합시켜 핸드레일을 구현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다양한 패턴의 미려한 외관 구현이 가능하고, 유지 보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및 핸드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Escalator) 또는 무빙워크(Moving walkway)는 컨베이어의 일종 으로,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계단형 또는 평판형 발판을 구동시켜 사람 또는 물건을 연속적으로 승강시키는 장치이며, 단시간에 많은 사람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기 때문에, 유동인구가 많은 공항, 백화점, 대형 쇼핑센터, 지하철역, 빌딩 등에 주로 설치된다.
또한, 에스컬레이터나 무빙워크는 그 이동중인 발판위에 위치하여 발판과 함께 이송되는 승객으로 하여금 안정적인 자세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방편으로 발판부의 양편에 설치된 난간형태의 지지가이드 상단부에 발판과 동일한 속도로 이송되는 핸드레일을 장착하여 승객이 이 핸드레일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이송되도록 하고 있다.
이같은 핸드레일은 폐루프 형태로 설치되어 구동원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서 지지가이드의 상면과 미끄럼 접촉을 하면서 일정한 궤도를 반복적으로 순환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핸드레일은 길이방향, 즉 진행방향으로의 굴곡성, 지지가이드를 포함한 이송궤도로부터의 이탈방지를 위한 높은 개구력 및 내굴곡정과 치수안정성, 지지 가이드와의 슬라이딩시 발생하는 마찰열로부터 재료의 손상을 배제하기 위한 내열성 및 성형제작의 용이성등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핸드레일에서 요구되는 제반특성을 감안하여 종래의 핸드레일은 기본적으로 지지가이드와 슬라이딩 접촉을 하는 저면을 직포(woven fabric)로 형성하고 상부는 일정한 두께의 화장고무로 형성하며 그 중간에는 길이방향으로 고강도의 스틸코드등이 매입된 항장고무 및 다수겹의 직포를 개재한 형태의 적층체 구조를 취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핸드레일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핸드레일(1)은 상단부의 양측이 수평으로 돌출되어 대략 T자 형태를 이루는 지지가이드(2)의 주위를 감싸는 대략 C자 형상으로서, 지지가이드(2)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하부에 직포(woven fabric)로 구성된 저면부(3)가 형성되고 그 저면부(3)의 윗쪽으로는 내부에 스틸 코드(4)가 매입된 항장고무(5)을 사이에 두고 한쌍의 보강섬유층(fabric reinforcement ply)(6a)(6b)이 적층되는 한편 이들 적층체의 외측으로는 천연고무나 합성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체로 이루어진 화장고무(7)가 복개되어 일체로 성형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핸드레일에서 저면부(3)는 3겹 또는 그 이상의 다중 직포층으로 구성되고, 보강섬유층(6a)(6b)은 고강도를 나타내는 글라스 파이버등으로 직조되어 핸드레이(2)의 폭방향 내굴곡성 및 개구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항장고무(5)내부에 매입된 스틸 코드(4)는 길이방향의 치수안정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핸드레일(2)의 전체적인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핸드레일은 그 적층체가 재질 및 물성을 서로 달리하고 있는 저면 직포층, 항장포, 코드, 항장고무 및 화장 고무 등의 여러층으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제작 과정이 복잡하고,
제작단계에의 품질관리 요소(factor)가 과다하게 되고 또한 성형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으며, 우레탄 등의 기존 적층제가 친환경적인 재질이 아니어서 환경에 좋지 않고 인체에 장기간 접촉되는 경우 인체에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1632758호(등록일자 2011년 07월 18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핸드레일에 있어서, 우레탄 소재 대신에 서로 다른 패브릭 소재를 직조하여 패브릭 핸드레일을 제작하고, 핸드레일의 지지 가이드를 따라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의 이동속도에 맞게 회전 이동하는 리버싱 체인에 패브릭 핸드레일을 결합시켜 핸드레일을 구현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다양한 패턴의 미려한 외관 구현이 가능하고, 유지 보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및 핸드레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용 핸드레일의 지지 가이드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를 따라 회전하는 리버싱 체인과, 상기 리버싱 체인의 상부에 형성되는 핸드레일 결합부에 결합되는 핸드레일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는, 제1 합성섬유로 직조되어 기설정된 제1 폭으로 형성되는 제1 직물층과, 상기 제1 합성섬유와 함께 직조되며, 상기 제1 직물층의 최하부에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으로 형성되고,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기설정된 제1 개수 만큼 형성되는 자기성 스트립과, 제2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직물층과 함께 직조되며, 상기 제1 직물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직물층과, 제3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직물층과 함께 직조되며, 상기 제2 직물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3 직물층과, 상기 제3 직물층의 상부에 코팅되는 고분자 합성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성 스트립은,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가 열처리를 통해 경화되어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의 결합되는 경우 상기 리버싱 체인과 자기력을 통해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에 기설정된 제1 접착강도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는, 상기 고분자 합성수지에 대한 열처리를 통해 양쪽 끝단에 반원형 형상의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를 통해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에 체결되며, 상기 고분자 합성수지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상기 체결부의 개구력이 기설정된 기준 개구력 범위가 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합성섬유는 복합 합성섬유이며, 상기 제1 직물층은, 1-1.5mm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직물층은, 2-2.5mm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직물층은, 1-1.5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합성섬유는, 상기 복합 합성섬유 중 신도가 0∼0.05인 타겟 복합 합성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겟 복합 합성섬유는, 아라미드 섬유가 10-15% 혼합된 복합 합성섬유이거나 유리 섬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가이드는, 폐루프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가이드의 상부면에는 상기 리버싱 체인이 안착되어 상기 폐루프를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양측면에는 상기 레일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기설정된 높이만큼 돌출되는 베리어가 형성되어 상기 레일에 안착된 상기 리버싱 체인이 상기 레일을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버싱 체인은, 상기 레일과 밀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가 결합되는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가 기설정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이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의 넓이인 제3 폭은, 상기 지지 가이드의 넓이인 제4 폭의 1-1.2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3 폭의 1.5-1.7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은, 상기 제3 합성섬유와 함께 직조되며 상기 제3 직물층에 삽입되는 도전성 스트립과, 상기 제3 직물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도전성 스트립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LED 소자를 포함하는 LED 패턴층과, 상기 LED 패턴층의 일정 영역에 탑재되고, 상기 도전성 스트립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신호의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모듈과, 상기 LED 패턴층의 일정 영역에 탑재되고, 상기 도전성 스트립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LED 소자에 대한 타겟 점등 패턴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LED 패턴층 내부의 각 LED 소자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LED 패턴층은, 상기 고분자 합성수지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타겟 점등 패턴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점등 패턴의 정보를 상기 제어모듈로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겟 점등 패턴은, LED 소자의 점등 제어를 통해 형성 가능한 특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문자 또는 그래픽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은, 상기 LED 패턴층의 일정 영역에 탑재되고, 상기 도전성 스트립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LED 소자와 상기 통신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은, 축전지이고, 상기 핸드레일이 구동되는 시간 동안 무선 방식을 통해 주기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는, 상기 자기성 스트립과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시스템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용 핸드레일의 지지 가이드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를 따라 회전하는 리버싱 체인과, 상기 리버싱 체인의 상부에 형성되는 핸드레일 결합부에 결합되는 핸드레일 베이스와,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로 다양한 패턴의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 모듈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타겟 광조사 패턴 요청에 따라 상기 광조사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타겟 광조사 패턴의 광이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로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는, 제1 합성섬유로 직조되어 기설정된 제1 폭으로 형성되는 제1 직물층과, 상기 제1 합성섬유와 함께 직조되며, 상기 제1 직물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으로 형성되고,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기설정된 제1 개수 만큼 형성되는 자기성 스트립과, 제2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직물층과 함께 직조되며, 상기 제1 직물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직물층과, 제3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직물층과 함께 직조되며, 상기 제2 직물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3 직물층과, 상기 제3 직물층의 상부에 기설정된 제2 폭으로 도포되는 야광도료층과, 상기 야광도료층의 상부에 코팅되는 고분자 합성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야광도료층은, 상기 광조사 모듈로부터 상기 타겟 광조사 패턴에 대응되는 광이 조사되는 경우 상기 타겟 광조사 패턴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상기 타겟 광조사 패턴의 표시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타겟 광조사 패턴이 상기 야광도료층에 상기 표시시간 만큼 잔존될 수 있는 광조사 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광조사 모듈로부터 상기 광조사 시간동안 광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어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타겟 광조사 패턴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타겟 광조사 패턴의 정보를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광조사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타겟 광조사 패턴의 광이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로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야광도료층은,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의 넓이인 제3 폭의 2/3 - 3/4 배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는, 상기 고분자 합성수지에 대한 열처리를 통해 양쪽 끝단에 반원형 형상의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를 통해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에 체결되며, 상기 고분자 합성수지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상기 체결부의 개구력이 2-4 범위가 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합성섬유는 복합 합성섬유이며, 상기 제1 직물층은, 1-1.5mm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직물층은, 2-2.5mm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직물층은, 1-1.5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합성섬유는, 상기 복합 합성섬유 중 신도가 0∼0.05인 타겟 복합 합성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겟 복합 합성섬유는, 아라미드 섬유가 10-15% 혼합된 복합 합성섬유이거나 유리 섬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가이드는, 폐루프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가이드의 상부면에는 상기 리버싱 체인이 안착되어 상기 폐루프를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양측면에는 상기 레일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기설정된 높이만큼 돌출되는 베리어가 형성되어 상기 레일에 안착된 상기 리버싱 체인이 상기 레일을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버싱 체인은, 상기 레일과 밀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가 결합되는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가 기설정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이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의 넓이인 제3 폭은, 상기 지지 가이드의 넓이인 제4 폭의 1-1.2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3 폭의 1.5-1.7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에 있어서, 우레탄 소재 대신에 서로 다른 패브릭 소재를 직조하여 패브릭 핸드레일을 제작하고, 핸드레일의 지지 가이드를 따라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의 이동속도에 맞게 회전 이동하는 리버싱 체인에 패브릭 핸드레일을 결합시켜 핸드레일을 구현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다양한 패턴의 미려한 외관 구현이 가능하고, 유지 보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핸드레일의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의 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의 구조의 단면도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의 구조의 단면도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시스템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200)의 각 구성요소의 구조와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200)은 크게 핸드레일 베이스(210)와 리버싱 체인(22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핸드레일 베이스(210)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베이스(200)의 제작에 있어서, 우레탄 소재로 만들어졌던 종래 핸드레일과는 달리, 합성섬유 등의 패브릭 소재를 사용하여 일정 두께로 직조하고, 직조된 합성섬유의 표면을 고분자 합성수지로 코팅한 후 고분자 합성수지에 대한 열경화 작업을 통해 핸드레일 베이스(210)를 제작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핸드레일 베이스(210)를 본 발명에서와 같이 패브릭 소재로 제작하는 경우, 핸드레일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제작할 수 있고, 핸드레일 베이스(200) 제작에 사용되는 패브릭 소재에 따라 핸드레일 표면을 다양한 패턴의 미려한 외관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우레탄 소재의 핸드레일이 친환경적이지 못한 우레탄 소재로 인해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장시간 접촉시 인체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쳤던 것에 반해, 친환경적이면서 인체에 무해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핸드레일 베이스(210)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직물층(232), 자기성 스트립(230), 제2 직물층(234), 제3 직물층(236), 고분자 합성수지(238) 등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직물층(232)은 제1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제1 폭과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제1 합성섬유는 예를 들어 알아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터 등이 될 수 있으며, 제1 직물층(232)의 두께는 1∼1.5mm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기성 스트립(230)은 도 2에서 보여지는 보아 같이 제1 직물층(232)의 최하부에 위치하여 리버싱 체인(220)과 자기력을 통한 자석 결합을 수행한다.
또한, 자기성 스트립(230)은 제1 직물층(232)을 형성하는 제1 합성섬유와 함께 직조되며, 제1 직물층(232)의 넓이인 제1 폭(w1)보다 작은 제2 폭(w2)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자기성 스트립(230)은 기설정된 제1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자기성 스트립(230)은 핸드레일 베이스(200)가 열처리를 통해 경화되어 핸드레일 결합부(240)의 결합되는 경우 리버싱 체인(220)과 자기력을 통한 자석 결합을 수행하여 핸드레일 결합부(240)에 기설정된 제1 접착강도로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착강도는 사용자가 핸드레일 베이스(210)를 파지하고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를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기준 악력에 의해 핸드레일 베이스(210)가 리버싱 체인(22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미리 계산된 접착강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접착강도를 기반으로 자기성 스트립(230)의 기준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구조에서는 자기성 스트립(230)과 리버싱 체인(220)간 자기력을 통해 핸드레일 베이스(210)가 리버싱 체인(220)에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구조가 간단하며, 핸드레일 베이스(210)의 교체 또는 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제2 직물층(234)은 제2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제1 직물층(232)과 함께 직조되며, 제1 직물층(232)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직물층(234)에 형성에 사용되는 제2 합성섬유는 복합 합성섬유 중 신도(elongation)가 0∼0.05인 복합 합성섬유 즉, 신도가 매우 낮은 복합 합성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직물층(234)에 사용되는 복합 합성섬유는 예를 들어 알아미드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 또는 유리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직물층(234)에 사용되는 복합 합성섬유로서 아라미드 섬유가 사용되는 경우, 해당 복합 합성섬유는 아라미드 섬유가 10∼15% 혼합된 복합 합성섬유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합성섬유는 고탄성저수축(high modulus low shrinkage : HMLS) 즉, 열에 대한 수축력은 낮고 탄성은 높은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2 직물층(234)의 두께는 2∼2.5mm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직물층(236)은 제3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제2 직물층(234)과 함께 직조되며, 제2 직물층(234)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합성섬유는 제1 합성섬유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알아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터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3 직물층(236)의 두께는 1∼1.5mm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분자 합성수지(238)는 제3 직물층(236)의 상부에 기설정된 일정 두께로 코팅되며, 열처리를 통해 경화되는 경우 도 2에서와 같이 핸드레일 베이스(210)의 양쪽 끝단에 반원형 형상의 체결부(250)를 형성하여 이러한 체결부(250)를 통해 핸드레일 베이스(210)가 리버싱 체인(220)의 핸드레일 결합부(24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고분자 합성수지(238)는 예를 들어 ABS(Acrylonitril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AT(Polyalk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A(Polyacrylat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합성수지(238)는 더 바람직하게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 UHMWPE)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우레탄과 비교하여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화학성, 내약품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본 발명의 패브릭 핸드레일이 종래 우레탄 소재를 사용하는 핸드레일보다 우수성 특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고분자 합성수지(238)는 핸드레일 베이스(210)의 위와 같은 반원형 형상의 체결부(250)가 핸드레일 결합부(240)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체결부(250)의 개구력이 기설정된 기준 개구력 범위가 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리버싱 체인(220)의 구조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버싱 체인(220)은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244), 핸드레일 결합부(240), 이격 지지부(242) 등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244)는 리버싱 체인(220)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지지 가이드(270)에 형성되는 레일(262)과 밀착되어 레일(262)을 따라 이동된다.
핸드레일 결합부(240)는 핸드레일 베이스(210)와 결합된다. 앞서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드레일 베이스(210)는 열처리를 통해 양끝단에 반원형 형상의 체결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핸드레일 결합부(240)는 핸드레일 베이스(210)의 체결부(250)와 결합되어 핸드레일 베이스(210)가 리버싱 체인(210)과 함께 이동하는 경우 핸드레일 베이스(210)가 리버싱 체인(2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핸드레일 결합부(240)의 폭은 지지 가이드(270)의 폭의 1-1.2배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직물층(232)의 제1 폭은 핸드레일 결합부(240)의 폭의 1.5-1.7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격 지지부(244)는 베이스부(244)와 핸드레일 결합부(240)가 기설정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이격 지지부(244)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244)와 핸드레일 결합부(240) 사이에 형성되는 받침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위와 같은 베이스부(244), 이격 지지부(242) 등 리버싱 체인(220)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종래 우레탄 소재의 핸드레일을 사용하는 에스컬레이터 등에서는 지지 가이드에 핸드레일의 양끝단이 체결된 후, 지지 가이드 상에서 핸드레일이 이동하는 구조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지지 가이드(270)에 리버싱 체인(220)이 체결되고 리버싱 체인(220)이 지지 가이드(270)에 형성된 레일(262) 상에서 이동되고, 핸드레일 베이스(210)가 리버싱 체인(220)에 자기력으로 결합되어 이동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 가이드(270)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종래와 달리 리버싱 체인(220)이 밀착되어 이동되는 레일(262)이 형성되며, 레일(262)의 양측면에는 레일(262)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기설정된 높이만큼 돌출되는 베리어(260)가 형성되어 레일(262)에 안착된 리버싱 체인(220)이 레일(262)을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가이드(270)는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가 설치된 영역에서 폐루프를 형성하여 리버싱 체인(230)이 지지 가이드(270)를 따라 폐루프상에서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의 이동 속도에 맞게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의 구조의 단면도와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a)는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b)는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핸드레일 베이스(210)에 도전성 스트립(320)과 LED 패턴층(322), 통신모듈(326), 배터리 모듈(324), 제어모듈(328)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도전성 스트립(320)은 제3 합성섬유와 함께 직조되며 제3 직물층(236)에 삽입된다. 이러한 도전성 스트립(320)은 구리, 와이어 등의 도전성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도전성 스트립(320)은 도 3에서는 두 개의 스트립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LED 패턴층(322)은 제3 직물층(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도전성 스트립(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ED 패턴층(322)의 상부는 고분자 합성수지(238)에 의해 코팅되어 LED 패턴층(322)이 보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분자 합성수지(238)는 투명하거나 반투명 수지를 사용하여 LED 패턴층(322)에서 표시되는 문자 또는 그래픽이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LED 패턴층(322)내 각 LED 소자는 제어모듈(328)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ON/OFF)가 제어되어 다양한 점등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다양한 점등 패턴은 예를 들어 LED 소자의 점등 제어를 통해 형성 가능한 특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문자 또는 그래픽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점등 패턴은 예를 들어 특정 회사에 대한 광고인 경우 LED 소자의 점등 제어를 통해 “배달의 민*” 등의 특정 회사명이 표시되는 문자 패턴일 수도 있으며, 특정 회사의 로고에 대응된 그래픽 패턴일 수도 있다.
통신모듈(326)은 LED 패턴층(322)의 일정 영역에 탑재되고, 도전성 스트립(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신호의 무선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선 송수신되는 신호는 LED 소자에서 표시시키고자 하는 타겟 점등 패턴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통신모듈(326)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 서버(330)와 통신을 수행하며, 관리 서버(330)로부터 전송되는 타겟 점등 패턴의 정보를 수신하고, 타겟 점등 패턴의 정보를 제어모듈(328)로 인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 서버(330)는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200)의 동작 제어 및 유지, 보수 등의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관리자는 서버(330)를 통해 LED 소자로 표시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타겟 점등 패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입력된 타겟 점등 패턴에 대한 정보가 관리 서버(330)를 통해 핸드레일 베이스(210)의 통신모듈(326)을 통해 수신되어 제어모듈(328)로 인가될 수 있다.
제어모듈(328)은 LED 패턴층(322)의 일정 영역에 탑재되고, 도전성 스트립(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통신 모듈(326)로부터 수신되는 LED 소자에 대한 타겟 점등 패턴의 정보를 기반으로 LED 패턴층(322) 내부의 각 LED 소자의 점등을 제어한다.
배터리 모듈(324)은 LED 패턴층(322)의 일정 영역에 탑재되고, 도전성 스트립(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LED 소자와 통신모듈(326) 및 제어모듈(328)로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이러한 배터리 모듈(324)은 축전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핸드레일이 구동되는 시간 동안 무선 방식을 통해 주기적으로 충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의 구조의 단면도와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a)는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b)는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핸드레일 베이스(210)에서는 도 2의 핸드레일 베이스(210)를 이루는 구성요소와 함께 야광도료층(410)을 더 포함한다. 또한, 핸드레일 베이스(210)의 표면으로 야광도료층(410)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모듈(450)과 광조사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452), 그리고, 타겟 광조사 패턴(460)의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모듈(454)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모듈(452), 통신모듈(454), 광조사 모듈(450)은 핸드레일 베이스(2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 시스템(500)의 내부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의 구성요소에서 추가로 구현된 야광도료층(410), 광조사 모듈(450), 제어 모듈(452), 통신 모듈(454)의 동작을 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야광도료층(410)은 제3 직물층(238)의 상부에 기설정된 폭으로 도포되어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야광도료층(410)의 폭이 제1 직물층(232)의 제1 폭(w1)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야광도료층(410)은 광조사 모듈(450)로부터 야광도료층(410)에 표시시키고자 하는 특정 문자 또는 그래픽의 타겟 광조사 패턴(460)에 대응되는 광이 조사되는 경우 광이 조사된 영역이 일정 시간 동안 빛을 반사시켜 타겟 광조사 패턴을 표시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또한, 야광도료층(410)은 핸드레일 결합부(240)의 폭의 2/3 - 3/4 배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조사 모듈(450)은 도 4 및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핸드레일 베이스(21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핸드레일 베이스(210)로 다양한 패턴의 광을 조사한다. 이때, 광조사 모듈(450)은 다양한 패턴의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잇다.
통신 모듈(454)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 서버(456)와 통신을 수행하며, 관리 서버(456)로부터 전송되는 타겟 광조사 패턴(460)의 정보를 수신하고, 타겟 광조사 패턴의 정보를 제어모듈로 인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 서버(456)는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의 동작 제어 및 유지, 보수 등의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관리자는 서버(456)를 통해 야광도료층(410)에 표시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타겟 광조사 패턴(460)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입력된 타겟 광조사 패턴에 대한 정보가 관리 서버(456)를 통해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시스템의 통신모듈(454)을 통해 수신되어 제어모듈(452)로 인가될 수 있다.
제어 모듈(452)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타겟 광조사 패턴 요청에 따라 광조사 모듈(450)을 제어하여 타겟 광조사 패턴(460)의 광이 핸드레일 베이스(210)로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452)은 위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타겟 광조사 패턴의 정보를 통신 모듈(454)을 통해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 모듈(452)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타겟 광조사 패턴의 표시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타겟 광조사 패턴이 야광도료층(410)에 상기 표시시간 만큼 잔존될 수 있는 광조사 시간을 산출하여 광조사 모듈(450)로부터 광조사 시간동안 광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에 있어서, 우레탄 소재 대신에 서로 다른 패브릭 소재를 직조하여 패브릭 핸드레일을 제작하고, 핸드레일의 지지 가이드를 따라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의 이동속도에 맞게 회전 이동하는 리버싱 체인에 패브릭 핸드레일을 결합시켜 핸드레일을 구현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다양한 패턴의 미려한 외관 구현이 가능하고, 유지 보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230 : 자기성 스트립 232 : 제1 직물층
234 : 제2 직물층 236 : 제3 직물층
238 : 고분자 합성수지 210 : 핸드레일 베이스
220 : 리버싱 체인 240 : 핸드레일 결합부
242 : 이격 지지부 244 : 베이스부
320 : 도전성 스트립 322 : LED 패턴층

Claims (22)

  1.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로서,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용 핸드레일의 지지 가이드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를 따라 회전하는 리버싱 체인과,
    상기 리버싱 체인의 상부에 형성되는 핸드레일 결합부에 결합되는 핸드레일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는,
    제1 합성섬유로 직조되어 기설정된 제1 폭으로 형성되는 제1 직물층과,
    상기 제1 합성섬유와 함께 직조되며, 상기 제1 직물층의 최하부에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으로 형성되고,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기설정된 제1 개수 만큼 형성되는 자기성 스트립과,
    제2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직물층과 함께 직조되며, 상기 제1 직물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직물층과,
    제3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직물층과 함께 직조되며, 상기 제2 직물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3 직물층과,
    상기 제3 직물층의 상부에 코팅되는 고분자 합성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성 스트립은,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가 열처리를 통해 경화되어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의 결합되는 경우 상기 리버싱 체인과 자기력을 통해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에 기설정된 제1 접착강도로 접착되는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는,
    상기 고분자 합성수지에 대한 열처리를 통해 양쪽 끝단에 반원형 형상의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를 통해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에 체결되며,
    상기 고분자 합성수지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상기 체결부의 개구력이 기설정된 기준 개구력 범위가 되는 두께로 형성되는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합성섬유는 복합 합성섬유이며,
    상기 제1 직물층은,
    1-1.5mm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직물층은,
    2-2.5mm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직물층은,
    1-1.5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합성섬유는,
    상기 복합 합성섬유 중 신도가 0∼0.05인 타겟 복합 합성섬유가 사용되는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복합 합성섬유는,
    아라미드 섬유가 10-15% 혼합된 복합 합성섬유이거나 유리 섬유인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가이드는, 폐루프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가이드의 상부면에는 상기 리버싱 체인이 안착되어 상기 폐루프를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양측면에는 상기 레일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기설정된 높이만큼 돌출되는 베리어가 형성되어 상기 레일에 안착된 상기 리버싱 체인이 상기 레일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버싱 체인은,
    상기 레일과 밀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가 결합되는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가 기설정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이격 지지부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의 너비인 제3 폭은,
    상기 지지 가이드의 너비인 제4 폭의 1-1.2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3 폭의 1.5-1.7배로 형성되는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은,
    상기 제3 합성섬유와 함께 직조되며 상기 제3 직물층에 삽입되는 도전성 스트립과,
    상기 제3 직물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도전성 스트립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LED 소자를 포함하는 LED 패턴층과,
    상기 LED 패턴층의 일정 영역에 탑재되고, 상기 도전성 스트립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신호의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모듈과,
    상기 LED 패턴층의 일정 영역에 탑재되고, 상기 도전성 스트립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LED 소자에 대한 타겟 점등 패턴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LED 패턴층 내부의 각 LED 소자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LED 패턴층은,
    상기 고분자 합성수지에 의해 코팅되는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타겟 점등 패턴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점등 패턴의 정보를 상기 제어모듈로 인가하는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점등 패턴은,
    LED 소자의 점등 제어를 통해 형성 가능한 특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문자 또는 그래픽 패턴인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은,
    상기 LED 패턴층의 일정 영역에 탑재되고, 상기 도전성 스트립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LED 소자와 상기 통신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은,
    축전지이고, 상기 핸드레일이 구동되는 시간 동안 무선 방식을 통해 주기적으로 충전되는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는,
    상기 자기성 스트립과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재질로 형성되는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13.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시스템으로서,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용 핸드레일의 지지 가이드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를 따라 회전하는 리버싱 체인과,
    상기 리버싱 체인의 상부에 형성되는 핸드레일 결합부에 결합되는 핸드레일 베이스와,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로 다양한 패턴의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 모듈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타겟 광조사 패턴 요청에 따라 상기 광조사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타겟 광조사 패턴의 광이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로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는,
    제1 합성섬유로 직조되어 기설정된 제1 폭으로 형성되는 제1 직물층과,
    상기 제1 합성섬유와 함께 직조되며, 상기 제1 직물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으로 형성되고,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기설정된 제1 개수 만큼 형성되는 자기성 스트립과,
    제2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직물층과 함께 직조되며, 상기 제1 직물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직물층과,
    제3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직물층과 함께 직조되며, 상기 제2 직물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3 직물층과,
    상기 제3 직물층의 상부에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의 너비인 제3 폭의 2/3 - 3/4 배의 폭으로 도포되는 야광도료층과,
    상기 야광도료층의 상부에 코팅되는 고분자 합성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야광도료층은,
    상기 광조사 모듈로부터 상기 타겟 광조사 패턴에 대응되는 광이 조사되는 경우 상기 타겟 광조사 패턴을 표시시키는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상기 타겟 광조사 패턴의 표시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타겟 광조사 패턴이 상기 야광도료층에 상기 표시시간 만큼 잔존될 수 있는 광조사 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광조사 모듈로부터 상기 광조사 시간동안 광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어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타겟 광조사 패턴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타겟 광조사 패턴의 정보를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광조사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타겟 광조사 패턴의 광이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로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합성섬유는 복합 합성섬유이며,
    상기 제1 직물층은,
    1-1.5mm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직물층은,
    2-2.5mm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직물층은,
    1-1.5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합성섬유는,
    상기 복합 합성섬유 중 신도가 0∼0.05인 타겟 복합 합성섬유가 사용되는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복합 합성섬유는,
    아라미드 섬유가 10-15% 혼합된 복합 합성섬유이거나 유리 섬유인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시스템.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가이드는, 폐루프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가이드의 상부면에는 상기 리버싱 체인이 안착되어 상기 폐루프를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양측면에는 상기 레일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기설정된 높이만큼 돌출되는 베리어가 형성되어 상기 레일에 안착된 상기 리버싱 체인이 상기 레일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버싱 체인은,
    상기 레일과 밀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핸드레일 베이스가 결합되는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가 기설정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이격 지지부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의 너비인 제3 폭은,
    상기 지지 가이드의 너비인 제4 폭의 1-1.2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3 폭의 1.5-1.7배로 형성되는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시스템.
KR1020200086252A 2020-07-13 2020-07-13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및 핸드레일 시스템 KR102267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252A KR102267288B1 (ko) 2020-07-13 2020-07-13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및 핸드레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252A KR102267288B1 (ko) 2020-07-13 2020-07-13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및 핸드레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288B1 true KR102267288B1 (ko) 2021-06-18

Family

ID=7662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252A KR102267288B1 (ko) 2020-07-13 2020-07-13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및 핸드레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2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0271A (ja) * 1994-06-11 1995-12-19 Kingo Asayama 乗客コンベアの表示装置
JP2002524372A (ja) * 1998-09-11 2002-08-06 ゼムペリッ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ホールディング 手すり
JP2005179018A (ja) * 2003-12-22 2005-07-07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ヤー用移動手摺及びその製造方法
JP5380015B2 (ja) * 2008-08-11 2014-01-08 直 齊數 乗車コンベヤの表示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1632758B1 (ko) 2008-05-21 2016-06-22 인벤티오 아게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용 핸드레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0271A (ja) * 1994-06-11 1995-12-19 Kingo Asayama 乗客コンベアの表示装置
JP2002524372A (ja) * 1998-09-11 2002-08-06 ゼムペリッ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ホールディング 手すり
JP2005179018A (ja) * 2003-12-22 2005-07-07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ヤー用移動手摺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32758B1 (ko) 2008-05-21 2016-06-22 인벤티오 아게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용 핸드레일
JP5380015B2 (ja) * 2008-08-11 2014-01-08 直 齊數 乗車コンベヤの表示装置およびそ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0856B2 (en) Fiber reinforced elevator belt and method of manufacture
EP3388381B1 (en) Elevator belt with additive layer
KR101650718B1 (ko) 카펫에 동적 광 효과들을 제공하기 위한 후방 조명을 갖는 카펫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1351117B1 (ko)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조명 장치와 엘리베이터 내 사람들의안내를 위한 방법
JP5306235B2 (ja) 発光床表面
CN101346501B (zh) 乘客输送装置扶手滑动层的处理
US7597190B2 (en) Belt including a flexible rare earth magnetic strip and conveyor utilizing a belt including a flexible rare earth magnetic strip
DE502006008646D1 (de) Tragmittelsystem mit Treibscheibe und Tragmittel sowie Aufzugsanlage mit einem solchen Tragmittelsystem
EP2318233A2 (en) Safety handrail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s
KR102267288B1 (ko)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자기성 스마트 패브릭 핸드레일 및 핸드레일 시스템
US20060201778A1 (en) Conveyor
CN105358464A (zh) 电梯系统
ES2326329T3 (es) Pasamanos y carril de guia para una instalacion de transporte de personas.
KR102544007B1 (ko)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디지털 핸드레일 시스템
US11365096B2 (en) Continuously conveying passenger transport system, which can be walked on, having a charging possibility for mobile devices
CN109476323B (zh) 安全逃生媒介屏蔽门
US20200095097A1 (en) Variable speed moving walkway systems
CN103663080B (zh) 乘客传送设备的梯级及使用该梯级的乘客传送设备
KR101455808B1 (ko) 표시구를 갖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용 핸드레일
CN105129580B (zh) 隐形电梯及电梯隐形的方法
Al-Kodmany 3 TALL BUILDINGS AND ELEVATORS: NEW SUSTAINABLE DESIGN
CN109230973A (zh) 交互式乘客移动装置特征
Yýlmaz et al. Staff transportation two way on the belt conveyor.
RU2681781C2 (ru) Фотолюминесцентные защищающая от истирания пластина и поручень
CN101497413A (zh) 用于电梯装置的绳索、牵引滑轮及电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