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408B1 - 마스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408B1
KR102266408B1 KR1020200059122A KR20200059122A KR102266408B1 KR 102266408 B1 KR102266408 B1 KR 102266408B1 KR 1020200059122 A KR1020200059122 A KR 1020200059122A KR 20200059122 A KR20200059122 A KR 20200059122A KR 102266408 B1 KR102266408 B1 KR 102266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cutting line
earring
earring ban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준
Original Assignee
황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태준 filed Critical 황태준
Priority to KR1020200059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2/00Multi-step production lines for making cloth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마스크원단을 제공하는 단계; (b) 마스크본체의 윤곽에 대응되는 커팅라인을 상기 마스크원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c) 선행하는 상기 커팅라인과 후행하는 상기 커팅라인 사이에 귀걸이밴드 시트를 배치하는 단계; (d) 선행하는 상기 커팅라인 및 후행하는 상기 커팅라인의 내부영역 중 상기 마스크본체의 측면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귀걸이밴드 시트를 접합하는 단계; 및 (e) 상호 접합된 상기 귀걸이밴드 시트와 상기 마스크원단을 상기 커팅라인을 따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귀걸이밴드를 마스크본체에 접합시키는 공정을 개선함으로써 전체적인 마스크 제조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스크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mask}
본 발명은 마스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마스크의 귀걸이밴드를 더욱 효율적으로 접합할 수 있는 마스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환경 오염이 심각한 수준인바, 생활하는 환경대기에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대거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미세먼지와 황사는 사람의 호흡기로 유입되어 각종 질병을 야기하는 등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에게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에 더하여 대기중에 떠다니면서 비말감염을 일으키는 호흡기 바이러스가 등장하여 전염성 질병의 확산에 대한 우려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호흡기로 유입되는 바이러스 및 미세먼지 등의 유해인자를 차단하기 위해 마스크의 착용이 권장되고 있으며, 마스크에 대한 수요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마스크는 용도에 따라 필터의 종류나 재질에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이 입이나 코와 같은 호흡기를 막아주는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귀끈으로 구성된다.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귀끈은 마스크본체의 양측에 결합되어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귀끈을 사용자의 귀에 걸어서 마스크본체를 호흡기 전방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런데, 폭이 좁은 종래의 귀끈은 착용자의 귀를 압박하기 때문에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 착용자의 귀에 통증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폭이 좁은 종래의 귀끈 대신 넓은 면적의 면형상으로 이루어진 밴드형태의 귀걸이밴드를 구비하는 마스크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상기한 귀걸이밴드를 구비한 마스크의 경우 귀걸이밴드를 마스크본체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최종 형태로 절단된 귀걸이밴드를 미리 절단된 마스크본체의 좌우측에 각각 접합하는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공정은 작업효율이 낮아서 전체적인 제조 속도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72927호(2020.01.28.)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귀걸이밴드를 마스크본체에 접합시키는 공정을 개선하여 전체적인 마스크 제조 속도를 향상시키는 마스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마스크원단을 제공하는 단계; (b) 마스크본체의 윤곽에 대응되는 커팅라인을 상기 마스크원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c) 선행하는 상기 커팅라인과 후행하는 상기 커팅라인 사이에 귀걸이밴드 시트를 배치하는 단계; (d) 선행하는 상기 커팅라인 및 후행하는 상기 커팅라인의 내부영역 중 상기 마스크본체의 측면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귀걸이밴드 시트를 접합하는 단계; 및 (e) 상호 접합된 상기 귀걸이밴드 시트와 상기 마스크원단을 상기 커팅라인을 따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귀걸이밴드 시트는 한 쌍의 귀걸이밴드가 대칭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귀걸이밴드 중 우측에 위치하는 제1 귀걸이밴드는 선행하는 상기 커팅라인의 좌측에 접합되고, 좌측에 위치하는 제2 귀걸이밴드는 후행하는 상기 커팅라인의 우측에 접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단계와 상기 (d)단계 또는 상기 (d)단계와 상기 (e)단계 사이에 상기 마스크원단 상에 위치하는 상기 커팅라인의 외부영역 중 어느 일부분에 상기 귀걸이밴드 시트를 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귀걸이밴드를 마스크본체에 접합시키는 공정을 개선함으로써 전체적인 마스크 제조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귀걸이밴드 시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마스크원단이 제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마스크원단 상에 귀걸이밴드 시트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귀걸이밴드 시트가 마스크원단에 접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귀걸이밴드 시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마스크원단이 제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마스크원단 상에 귀걸이밴드 시트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귀걸이밴드 시트가 마스크원단에 접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마스크(10)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으로, 부직포 등의 재질로 구성된 외피와 내피 및 필터를 구비한 마스크본체(110)와, 마스크본체(110) 내부에 삽입되어 착용자의 코 부분의 윤곽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노즈 와이어(120), 및 마스크본체(110)를 착용자의 귀에 걸어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귀걸이밴드(132,134)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귀걸이밴드 시트(130)는 마스크원단(100)과 함께 절단되기 전의 상태로, 한 쌍의 귀걸이밴드(132,134)가 가운데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한 마스크(1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본체(110)가 합지된 상태의 마스크원단(100)을 제공한다(S10).
이때, 마스크본체(110)는 마스크원단(100)과 일체로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마스크원단(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마스크본체(100)가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컨베이어 등을 통해 공급된다.
여기서 마스크본체(110)는 착용자의 코 부분을 가리는 상부 덮개부, 사용자의 턱 부분을 가리는 하부 덮개부 및 필터가 엠보싱 또는 초음파 접합 방식 등을 통해 마스크원단(100)에 합지되어 마스크본체(110)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물론, 마스크본체(110)는 상기한 형태 외에도 단순히 단일 또는 복수의 마스크원단(100)이 합지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스크본체(110)가 구비된 마스크원단(100)이 제공된 후에는, 마스크본체(110)의 윤곽에 대응되는 커팅라인(112a,112b)을 마스크원단(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정한다(S20).
여기서 커팅라인(112a,112b)은 가상의 라인으로써 후속하는 절단공정(S50)에서 커터 등에 의해 절단될 마스크본체(110)의 윤곽에 대응된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하는 커팅라인(112a)과 후행하는 커팅라인(112b) 사이에 귀걸이밴드 시트(130)를 배치한다(S30).
이때, 귀걸이밴드 시트(130)는 그 중심선이 선행하는 커팅라인(112a)과 후행하는 커팅라인(112b) 사이의 중심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 쌍의 귀걸이밴드(132,134) 중 도 2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제1 귀걸이밴드(132)는 선행하는 커팅라인(112a)의 좌측에 배치되고, 좌측 위치하는 제2 귀걸이밴드(134)는 후행하는 커팅라인(112b)의 우측에 배치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하는 커팅라인(112a) 및 후행하는 커팅라인(112b)의 내부영역 중 마스크본체(110)의 측면에 대응되는 부분인 제1 접합부(140)에 귀걸이밴드 시트(130)를 접합한다(S40).
이와 같은 제1 접합부(140)를 통해 후속하는 S50 단계에서 귀걸이밴드 시트(130)가 절단된 후에 귀걸이밴드(132,134)들이 마스크본체(110)에 접합된 상태로 남게 된다.
한편, S30 단계와 S40 단계 또는 S40 단계와 후속하는 S50 단계 사이에 마스크원단(100) 상에 위치하는 커팅라인(112a,112b)의 외부영역 중 어느 일부분에 귀걸이밴드 시트(130)를 접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단계는 S40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라인(112a,112b)의 외부영역 중 귀걸이밴드 시트(130)의 가운데 부분에 제2 접합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후속하는 S50 단계의 절단과정에서 귀걸이밴드 시트(130)가 지정된 위치에서 임의로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S40 단계 후에는 상호 접합된 귀걸이밴드 시트(130)와 마스크원단(100)을 커팅라인(112a)을 따라 절단한다(S50).
이때, 절단공정의 전단에서는 S10 내지 S40 단계가 반복해서 수행되기 때문에, 절단공정에서는 선행하는 커팅라인(112a) 내부영역의 좌측과 우측에는 이미 귀걸이밴드 시트(130)가 접합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귀걸이밴드 시트(130)와 마스크원단(100)을 절단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마스크(10)가 완성된다.
상기의 마스크 제조 방법은 이미 절단된 상태의 귀걸이밴드(132,134)를 마스크본체(1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접합하는 종래의 제조 방법에 비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귀걸이밴드(132,134)의 접합과정에서 발생하는 제품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어 매우 유용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마스크
100: 마스크원단 110: 마스크본체
112a, 112b: 커팅라인 120: 노즈 와이어
130: 귀걸이밴드 시트 132: 제1 귀걸이밴드
134: 제2 귀걸이밴드 140: 제1 접합부
150: 제2 접합부

Claims (4)

  1. (a) 마스크본체가 합지된 마스크원단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마스크본체의 윤곽에 대응되는 커팅라인을 상기 마스크원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c) 선행하는 상기 커팅라인과 후행하는 상기 커팅라인 사이에 한 쌍의 귀걸이밴드가 대칭된 형태를 갖는 귀걸이밴드 시트를 배치하는 단계;
    (d) 선행하는 상기 커팅라인 및 후행하는 상기 커팅라인의 내부영역 중 상기 마스크본체의 측면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귀걸이밴드 시트를 접합하는 단계; 및
    (e) 상호 접합된 상기 귀걸이밴드 시트와 상기 마스크원단을 상기 커팅라인을 따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마스크본체는 착용자의 코 부분을 가리는 상부 덮개부 및 착용자의 턱 부분을 가리는 하부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덮개부 및 상기 하부 덮개부는 상기 마스크원단에 미리 합지된 상태로 제공되고,
    상기 (c)단계와 상기 (d)단계 또는 상기 (d)단계와 상기 (e)단계 사이에
    상기 마스크원단 상에 위치하는 상기 커팅라인의 외부영역 중 어느 일부분에 상기 귀걸이밴드 시트를 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귀걸이밴드 중
    우측에 위치하는 제1 귀걸이밴드는 선행하는 상기 커팅라인의 좌측에 접합되고,
    좌측에 위치하는 제2 귀걸이밴드는 후행하는 상기 커팅라인의 우측에 접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제조 방법.
  4. 삭제
KR1020200059122A 2020-05-18 2020-05-18 마스크 제조 방법 KR102266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122A KR102266408B1 (ko) 2020-05-18 2020-05-18 마스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122A KR102266408B1 (ko) 2020-05-18 2020-05-18 마스크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408B1 true KR102266408B1 (ko) 2021-06-16

Family

ID=76602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122A KR102266408B1 (ko) 2020-05-18 2020-05-18 마스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40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7119A (ja) * 2015-01-28 2016-08-04 株式会社白鳩 衛生マスク
KR200488303Y1 (ko) * 2017-07-24 2019-01-10 컴포트 챔프 컴퍼니 리미티드 확장 날개를 구비한 마스크
KR20190104703A (ko) * 2018-03-02 2019-09-11 김한주 주름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2019183341A (ja) * 2018-04-13 2019-10-24 花王株式会社 シート状マスクの製造方法
JP2019183342A (ja) * 2018-04-13 2019-10-24 花王株式会社 シート状マスクの製造方法
KR102072927B1 (ko) 2018-11-20 2020-02-03 김창수 마스크 제조 방법 및 장치
JP2020037755A (ja) * 2018-09-05 2020-03-12 スズラン株式会社 マスク、およびマスクの製造方法
CN111248539A (zh) * 2020-03-27 2020-06-09 芜湖悠派护理用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方便快速生产的口罩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7119A (ja) * 2015-01-28 2016-08-04 株式会社白鳩 衛生マスク
KR200488303Y1 (ko) * 2017-07-24 2019-01-10 컴포트 챔프 컴퍼니 리미티드 확장 날개를 구비한 마스크
KR20190104703A (ko) * 2018-03-02 2019-09-11 김한주 주름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2019183341A (ja) * 2018-04-13 2019-10-24 花王株式会社 シート状マスクの製造方法
JP2019183342A (ja) * 2018-04-13 2019-10-24 花王株式会社 シート状マスクの製造方法
JP2020037755A (ja) * 2018-09-05 2020-03-12 スズラン株式会社 マスク、およびマスクの製造方法
KR102072927B1 (ko) 2018-11-20 2020-02-03 김창수 마스크 제조 방법 및 장치
CN111248539A (zh) * 2020-03-27 2020-06-09 芜湖悠派护理用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方便快速生产的口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567B1 (ko) 착용이 용이하면서 김서림을 방지한 방진마스크
KR101918084B1 (ko) 공기챔버 확보형 주름 마스크
KR102568995B1 (ko) 마스크
KR102266408B1 (ko) 마스크 제조 방법
CN206371550U (zh) 一种医用口罩
CN210969211U (zh) 贴合型口罩以及成型切刀
JP7433742B2 (ja) 衛生用マスク
KR102624660B1 (ko) 마스크
WO2023008429A1 (ja) マスク
KR102504653B1 (ko) 착용성이 향상된 마스크
KR20220129221A (ko) 끈 조절 마스크
KR102617198B1 (ko) 착용성이 개선된 입체형 마스크
JP3229636U (ja) フェイスマスク
KR102192507B1 (ko) 거꾸로 착용이 가능한 마스크
KR102648765B1 (ko) 제트폴드타입 접이식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3234589U (ja) フェイスシールド
KR102422550B1 (ko)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620375B1 (ko) 안구 보호 필름이 구비된 마스크
JP3113037U (ja) マスク
KR102422551B1 (ko) 마스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3854416B2 (ja) 防塵マスク
JP2021195636A (ja) マスクカバー
KR200395330Y1 (ko) 마스크
KR20220049324A (ko) 평면형 마스크와 입체형 마스크를 공용으로 제작하는 방법
KR20220116619A (ko) 마스크의 공간 확보용 패치와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