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164B1 - 가요성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가요성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164B1
KR102266164B1 KR1020140129087A KR20140129087A KR102266164B1 KR 102266164 B1 KR102266164 B1 KR 102266164B1 KR 1020140129087 A KR1020140129087 A KR 1020140129087A KR 20140129087 A KR20140129087 A KR 20140129087A KR 102266164 B1 KR102266164 B1 KR 102266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display panel
layer
circuit uni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7297A (ko
Inventor
양승민
곽지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9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164B1/ko
Publication of KR20160037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며 유연한 재질의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에 신호를 인가하는 회로부와, 제1면이 곡면 형상을 갖고 제2면이 상기 회로부에 부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제1면을 따라 구부러지고, 상기 제2면의 반대면인 상기 지지부재의 제3면은 상기 표시패널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요성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가요성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폭이 좁은 베젤을 갖고 신호배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요성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 또한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가 개발되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는 주로 유리와 같은 단단한 물질로 이루어진 기판을 이용하는데, 최근에는, 휴대용 기기 및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등의 발달로, 보다 경량 및 박형이 가능하고 운반이 용이한 표시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진 기판을 이용하는 가요성 표시장치가 각광받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요성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요성 표시장치(10)는 표시패널(20)과 회로부(3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20)은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진 기판(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며, 기판 상에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20a)과 표시영역(20a)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20b)이 정의된다. 기판의 표시영역(20a)에는 다수의 소자(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기판의 비표시영역(20b)에는 다수의 패드(22)가 형성된다.
회로부(30)는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진 베이스 필름(도시하지 않음)과 다수의 신호배선(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회로부(30)의 일단은 표시패널(20)과 중첩하고, 다수의 신호배선이 비표시영역(20b)의 패드(22)와 연결되어 표시패널(20)에 신호를 공급한다.
이러한 가요성 표시장치(10)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영역(20b)은 베젤(bezel)이 된다. 그런데, 비표시영역(20b)의 일측에는 회로부(30)가 부착되므로, 이러한 가요성 표시장치(10)를 제품에 적용할 경우, 베젤 폭은 더 넓어지게 된다.
베젤 폭을 줄이기 위해, 회로부(30)를 구부려 회로부(30)의 타단이 표시패널(20)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회로부(30)의 구부러진(bending) 부분에서 접힌(folding) 부분이 생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로부(30)의 접힌 부분에서 신호배선이 꺾여(cracked)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베젤 폭이 좁으며, 신호배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요성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며 유연한 재질의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에 신호를 인가하는 회로부와, 제1면이 곡면 형상을 갖고 제2면이 상기 회로부에 부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제1면을 따라 구부러지고, 상기 제2면의 반대면인 상기 지지부재의 제3면은 상기 표시패널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플라스틱이나 고무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는 상기 회로부의 길이와 같거나 크고, 상기 지지부재의 폭은 상기 회로부의 폭보다 작다.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회로부 사이에 접착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접착수단의 면적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회로부의 중첩 면적보다 작다.
본 발명은, 곡면을 갖는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회로부를 구부림으로써, 가요성 표시장치의 베젤 폭을 줄이고 회로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의 재질을 플라스틱이나 고무로 형성하여 회로부에 부착하고, 지지부재가 표시패널과 직접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표시패널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질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요성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 각각 평면도와, 단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장치에서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회로부를 구부리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를 일례로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과 회로부(210)와 지지부재(31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310)는 회로부(210)와 접착층(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접착된다.
표시패널(110)은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진 기판(112)을 포함하며, 기판(112) 상에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A1)과 표시영역(A1)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A2)이 정의된다. 기판(112)의 표시영역(A1)에는 다수의 소자가 형성되고, 기판(112)의 비표시영역(A2)에는 다수의 표시패드(148)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표시패널(100)의 기판(112) 상부에는 전면에 버퍼층(114)이 형성된다. 기판(112)은 플라스틱과 같이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기판(112)은 폴리이미드(polyimide)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퍼층(114)은 산화실리콘(SiO2)이나 질화실리콘(SiNx)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14)은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영역(A1)의 버퍼층(114) 상부에는 반도체층(122)이 형성된다. 반도체층(122)은 액티브영역(122a)과 소스영역(122b) 및 드레인영역(122c)을 포함한다. 반도체층(122)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스영역(122b)과 드레인영역(122c)에는 불순물이 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반도체층(122)은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소스 및 드레인영역(122b, 122c)은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반도체층(122)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130)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30)은 산화실리콘(SiO2)이나 질화실리콘(SiNx)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제1기판(110)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액티브영역(122a)에 대응하는 모양을 가지도록 패터닝될 수도 있다.
액티브영역(122a) 상부의 게이트 절연막(130) 위에는 게이트전극(132)이 형성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게이트 절연막(130) 상부에는 게이트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132) 상부에는 층간 절연막(140)이 제1기판(110) 전면에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140)은 게이트 절연막(130)과 함께 소스영역(122b) 및 드레인영역(122c)을 각각 노출하는 제1 및 제2 반도체 컨택홀(140a, 140b)을 가진다. 게이트 절연막(130)이 액티브영역(122a)에 대응하는 모양을 가지도록 패터닝되어 있을 경우, 제1 및 제2 반도체 컨택홀(140a, 140b)은 층간 절연막(140)에만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140)은 산화실리콘(SiO2)이나 질화실리콘(SiNx)과 같은 무기절연물질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이나 포토 아크릴(photo acryl)과 같은 유기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40) 상부에는 소스전극(142)과 드레인전극(144)이 형성된다. 소스 및 드레인전극(142, 144)은 제1 및 제2 반도체 컨택홀(140a, 140b)을 통해 소스 및 드레인영역(122b, 122c)과 각각 접촉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층간 절연막(140) 상부에는 데이터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층(122)과, 게이트전극(132),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전극(142, 144)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룬다. 여기서,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122)의 일측, 즉, 반도체층(122)의 상부에 게이트전극(132)과 소스 및 드레인전극(142, 144)이 위치하는 코플라나(coplanar) 구조를 가진다.
이와 달리,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의 하부에 게이트전극이 위치하고 반도체층의 상부에 소스 및 드레인전극이 위치하는 역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패널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해당하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와 동일한 구조의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가 기판(112) 상에 더 형성되고,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132)은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전극(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또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도시하지 않음)과 소스전극(도시하지 않음)은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각각 연결된다.
소스 및 드레인전극(142, 144) 상부에는 제1 보호막(150)과 제2 보호막(16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제1 보호막(150)과 제2 보호막(160)은 표시영역(A1) 내에만 위치하며, 제2 보호막(160)은 평탄한 표면을 가진다. 제1 보호막(150)과 제2 보호막(160)은 드레인전극(144)을 노출하는 드레인 컨택홀(160a)을 가진다. 제1 보호막(150)은 산화실리콘(SiO2)이나 질화실리콘(SiNx)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형성되고, 제2 보호막(160)은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이나 포토 아크릴(photo acryl)과 같은 유기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호막(160) 상부에는 제1전극(172)이 형성된다. 제1전극(172)은 드레인 컨택홀(160a)을 통해 드레인전극(144)과 접촉한다. 제1전극(172)은 비교적 일함수가 높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나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전극(172)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뱅크층(174)이 형성된다. 뱅크층(174)은 제1전극(172)의 가장자리를 덮으며, 제1전극(172)의 중앙부를 노출한다.
뱅크층(174)에 의해 노출된 제1전극(172) 상부에는 유기물질로 유기발광층(176)이 형성된다. 유기발광층(176)은 제1전극(172) 상부로부터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과, 발광물질층(light-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순으로 적층된 다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정공수송층 하부의 정공주입층(hole injecting layer)과 전자수송층 상부의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층(176) 상부에는 제2전극(178)이 표시영역(A1) 전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2전극(178)은 비교적 일함수가 낮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전극(178) 상부에는 광효율 향상을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굴절률을 갖는 유기/무기물질로 덮개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전극(172)과 유기발광층(176) 및 제2전극(178)은 유기발광다이오드(De)를 이루며, 제1전극(172)은 애노드(anode)의 역할을 하고, 제2전극(178)은 캐소드(cathode)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유기발광층(176)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제2전극(178)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상부 발광 방식(top emission type)일 수 있다. 즉, 제1전극(172) 하부에 반사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빛을 투과시키도록 제2전극(178)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유기발광층(176)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제2전극(178)을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제2전극(178) 상부에는 봉지층(sealing layer, 180)이 형성된다. 봉지층(180)은 표시영역(A1)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막아 표시영역(A1) 내의 소자들을 보호한다. 봉지층(180)은 무기막/유기막/무기막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비표시영역(A2)의 층간 절연막(140) 상부에는 표시패드(148)가 형성된다. 표시패드(148)는 소스 및 드레인전극(142, 144)과 동일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봉지층(180) 상부에는 배리어 필름과, 편광판, 터치패널 및 커버기판이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회로부(210)는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진 베이스 필름(도시하지 않음)과 다수의 신호배선(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회로부(210)의 일단은 표시패널(110)과 중첩하고, 다수의 신호배선이 비표시영역(A2)의 표시패드(148)와 연결되어 표시패널(110)에 신호를 공급한다. 일례로, 회로부(210)의 베이스 필름은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로부(210)는 구동회로 칩(도시하지 않음)이 베이스 필름 상에 장착된 COF(chip on film)이거나, 신호배선과 함께 전기소자가 베이스 필름 상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된 FPC(flexible printed circuit)일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310)가 회로부(210)의 일면에 부착된다. 즉, 지지부재(310)는 접착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회로부(210)의 베이스 필름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패널(110)을 마주대하는 지지부재(310)의 측면은 일정한 곡면이며, 회로부(210)는 지지부재(310)의 곡면을 따라 구부러져, 회로부(210)의 타단이 표시패널(110)의 기판(112)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표시장치의 베젤 폭을 줄이고, 회로부(210)의 신호배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접착수단을 통해 지지부재(310)를 회로부(210)의 일면에 부착하여 회로부(210)를 구부리는데 이용한다. 이와 달리, 지지부재(310)를 표시패널(110)에 부착하여 회로부(210)를 구부리는데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지지부재(310)와 표시패널(110) 사이에 접착수단이 필요하며, 이러한 접착수단에 의해 표시패널(110)에 스트레스가 가해져 표시패널(110)에 주름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하여 구부러진 회로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 각각 평면도와, 단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310)는 일정한 길이(L)와 폭(W) 및 두께(t)를 갖는 육면체 구조이며, 길이(L)는 폭(W)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310)의 일면, 즉, 부착된 회로부(도 2의 210)가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패널(도 2의 110)을 마주대하는 지지부재(310)의 측면은 일정한 곡면이다.
지지부재(310)의 길이(L)는 회로부(도 2의 210)의 길이와 같거나 클 수 있으며, 지지부재(310)의 폭(W)은 회로부(도 2의 210)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특히, 지지부재(310)의 길이(L)가 회로부(도 2의 210)의 길이보다 작을 경우, 회로부(도 2의 210)의 구부러진 부분 양단에서 접히는 부분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재(310)의 두께(t)는 회로부(도 2의 21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일례로, 회로부(도 2의 210)는 COF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부재(310)의 길이(L)는 23.12 mm일 수 있고, 폭(W)은 3.65 mm일 수 있으며, 지지부재(310)의 두께(t)는 0.4 mm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지지부재(310)는 플라스틱(plastic)이나 고무(rub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장치에서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회로부를 구부리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 상부에 배리어 필름(410)과, 편광판(420), 터치패널(430) 및 커버기판(440)이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표시패널(110)과 배리어 필름(410), 편광판(420), 터치패널(430), 그리고 커버기판(440)의 사이에는 접착층(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할 수 있다. 배리어 필름(41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터치패널(430)이 편광판(420) 상부에 위치하나, 터치패널(430)은 편광판(42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은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진 기판(도 3의 112)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일 수 있다.
표시패널(110)의 상면 일측에는 회로부(210)의 일단이 부착된다. 회로부(210)는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진 베이스 필름(도시하지 않음)과 다수의 신호배선(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며, COF나 FPC일 수 있다.
도 5a에서와 같이 회로부(210)가 구부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회로부(210)의 상부면에는 신호배선이 형성되고, 회로부(210)의 하부면에는 제1면이 곡면 형상을 갖는 지지부재(310)가 접착수단(500)을 통해 부착된다. 즉, 회로부(210)의 베이스 필름 일면에 접착수단(500)을 통해 지지부재(310)의 제2면이 부착된다. 이때, 곡면 형상을 갖는 지지부재(310)의 제1면이 표시패널(110)을 향한다.
지지부재(310)는 플라스틱(plastic)이나 고무(rub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플라스틱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일 수 있고, 고무는 8.58 MPa의 인장강도(tensile strength)와 547%의 신율(elongation)을 가지며, 1.29의 100% 모듈러스(modulus), 2.35의 200% 모듈러스 및 3.80의 300% 모듈러스를 갖는 물질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접착수단(500)은 양면 접착 테이프(double-sided adhesive tape)일 수 있다. 접착수단(500)의 면적은 지지부재(310)와 회로부(210)의 중첩 면적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이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310)가 부착된 회로부(210)를 구부려, 회로부(210)의 타단이 표시패널(110)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제2면의 반대면인 지지부재(310)의 제3면은 표시패널(110)의 하면과 직접 접촉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재(310)가 플라스틱이나 고무로 이루어지므로, 지지부재(310)와 표시패널(110)이 직접 접촉하는 경우, 지지부재(310)와 표시패널(110)는 둘 사이의 마찰에 의해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110)와 표시패널(110) 사이에 별도의 접착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10)와 표시패널(110) 사이에 접착수단이 위치할 경우, 접착수단에 의해 표시패널(110)에 스트레스가 가해져 표시패널(110)에 주름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310)가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과 같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경우, 지지부재(310)와 표시패널(110) 사이에는 별도의 접착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진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패널(110)에는 기구적인 압박 및 스트레스(stress)에 의해 물결 모양의 주름(waviness)이 발생하게 되고, 화질을 저하시킨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재(110)와 표시패널(110) 사이에 별도의 접착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표시패널(110)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질 저하를 막을 수 있다.
표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재질과 접착수단의 길이에 따른 잔류 응력을 나타낸다. 여기서, S1과 S2에서는 지지부재가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고, S3에서는 지지부재가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며, S4에서는 지지부재가 앞서 언급한 고무 물질로 이루어진다.
Figure 112014091878855-pat00001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부재가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S3이나 앞서 언급한 고무 물질로 이루어지는 S4의 경우, 잔류 응력이 각각 6.97 MPa 및 0.28 MPa로,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S1 및 S2의 39.1 MPa 및 42.9 MPa에 비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를 폴리카보네이트나 앞서 언급한 고무 물질로 형성할 경우, 표시패널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S1 및 S2에서와 같이, 지지부재가 동일 물질일 경우, 접착수단의 길이가 21 mm에서 24.6 mm로 커진다면, 잔류 응력이 39.1 MPa에서 42.9 MPa로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접착수단의 면적이 작아질수록 잔류 응력이 감소하여 표시패널의 주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회로부를 구부려, 가요성 표시장치의 베젤 폭을 줄이고 회로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의 재질을 플라스틱이나 고무로 형성하여 회로부에 부착함으로써, 표시패널에 발생하는 주름을 방지하고 화질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시패널이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이나 전기영동표시패널일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가요성 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12: 기판 114: 버퍼층
122: 반도체층 130: 게이트 절연막
132: 게이트전극 140: 층간 절연막
140a, 140b: 제1 및 제2 반도체 컨택홀
142: 소스전극 144: 드레인전극
150: 제1 보호막 160: 제2 보호막
172: 제1전극 174: 뱅크층
176: 유기발광층 178: 제2전극
De: 유기발광다이오드 148: 표시패드
A1: 표시영역 A2: 비표시영역
210: 회로부 310: 지지부재

Claims (7)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이 정의되며 유연한 재질의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에 신호를 인가하는 회로부와;
    제1면이 곡면 형상을 갖고 제2면이 상기 회로부에 부착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부는 상기 표시패널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의 제1면을 따라 구부러지고,
    상기 제2면의 반대면인 상기 지지부재의 제3면은 상기 표시패널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플라스틱이나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는 상기 회로부의 길이와 같거나 크고, 상기 지지부재의 폭은 상기 회로부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회로부 사이에 접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의 면적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회로부의 중첩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1부분과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고 구부러진 부분을 가지는 제3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부분은 상기 표시영역 및 상기 비표시영역과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상부에 편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1부분과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고 구부러진 부분을 가지는 제3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부분은 상기 비표시영역 및 상기 편광판과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장치.
KR1020140129087A 2014-09-26 2014-09-26 가요성 표시장치 KR102266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087A KR102266164B1 (ko) 2014-09-26 2014-09-26 가요성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087A KR102266164B1 (ko) 2014-09-26 2014-09-26 가요성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297A KR20160037297A (ko) 2016-04-06
KR102266164B1 true KR102266164B1 (ko) 2021-06-17

Family

ID=5579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087A KR102266164B1 (ko) 2014-09-26 2014-09-26 가요성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1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375B1 (ko) * 2017-10-31 2022-1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4027A (ja) * 2005-06-27 2007-01-11 Optrex Corp 画像表示装置
JP2009075363A (ja) 2007-09-20 2009-04-09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813B1 (ko) * 2013-02-01 2017-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46864B1 (ko) * 2013-03-13 2019-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4027A (ja) * 2005-06-27 2007-01-11 Optrex Corp 画像表示装置
JP2009075363A (ja) 2007-09-20 2009-04-09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297A (ko)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501B1 (ko) 폴더블 표시장치
US11500423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403197B1 (ko) 표시 장치
US10524358B2 (en) Backplate for foldable display devic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0660322B (zh) 显示装置
KR102109140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US20190051858A1 (en) Display device
US10840463B2 (en) Display device
US20210143346A1 (en) Display device
US11051405B2 (en) Flexible display
US10268092B2 (en) Display device
US11532797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glass substrates
KR20110008917A (ko)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22014047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8105977A (ja) 表示装置
JP2019152695A (ja) 表示装置及びカバーパネル
KR102266164B1 (ko) 가요성 표시장치
KR102008324B1 (ko) 가요성 표시장치
US11538895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link line portion
KR20210082061A (ko)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KR20210036037A (ko) 스트레처블 표시장치
KR102392175B1 (ko) 플렉서블 장치
KR20240024397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43572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220043560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