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908B1 -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908B1
KR102265908B1 KR1020217006363A KR20217006363A KR102265908B1 KR 102265908 B1 KR102265908 B1 KR 102265908B1 KR 1020217006363 A KR1020217006363 A KR 1020217006363A KR 20217006363 A KR20217006363 A KR 20217006363A KR 102265908 B1 KR102265908 B1 KR 102265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omponent
packet
fiel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7539A (ko
Inventor
오세진
문경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7017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24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1Multimode Transmission, e.g. transmitting basic layers and enhancement layers of the content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or transmitting with different error corrections, different keys or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04N21/42638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involving a hybrid front-end, e.g. analog and digital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5Gathering content from different sources, e.g. Internet and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1Recovering the multiplex stream from a specific network, e.g. recovering MPEG packets from ATM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2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errestrial transmission, e.g. DVB-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0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for transferring content from a first network to a second network,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04N21/8402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involving a version number, e.g. version number of EP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06Content authoring involving a specific file format, e.g. MP4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장치 및 송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는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제 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부,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제 2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부, 여기서, 상기 방송 신호는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방송 신호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추출하는 시그널링 정보 처리부,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정보 테이블은 하나의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들 각각을 식별하는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컴포넌트 식별자 디스크립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컴포넌트 식별자 디스크립터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컴포넌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컴포넌트들로 구성되는 상기 방송 서비스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방송 서비스를 디코딩 및 재생하는 오디오/비디오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ERVICE IN HYBRID BROADCAST SYSTEM ON BASIS OF CONNECTION OF TERRESTRIAL BROADCAST NETWORK AND INTERNET PROTOCOL NETWORK}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또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향후 DTV 서비스에서 활용될 유력한 application 중에 하나로 인터넷 프로토콜망과의 연동을 통한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를 꼽을 수 있다.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는 지상파 방송망을 통해서 전송되는 방송 A/V 컨텐츠와 연관된 enhancement data 또는 방송 A/V 컨텐츠의 일부를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컨텐츠를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는 프로토콜 계층으로 표현된다. 다양한 계층의 프로토콜을 모두 합하여 프로토콜 스택 (protocol stack)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프로토콜 스택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트랜스포트 계층, 네트워크 계층, 링크 계층 및/또는 물리 계층으로 구성된다. 송신단에서는 최상위 계층인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프로토콜 스택의 아래로 데이터가 보내지는데, 각 계층을 지날 때마다 각 계층에서 사용될 추가 정보가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다. 이와 반대로, 수신단에서는 최하위 계층인 물리 계층으로부터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로 데이터가 보내진다.
한편, 기존의 방송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 또는 방송 컴포넌트 등을 보다 빠르게 수신하기 위해서 방송 신호에 시그널링 데이터를 포함시켜 함께 전송하였다. 시그널링 데이터는 전송되는 방송 서비스 등을 구성하는 각 스트림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방송 서비스 등의 명칭과 같은 부가 정보를 포함한다.
하나의 방송망만을 통하여 방송 신호를 전송하였던 기존의 방송 시스템에서 진일보 한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는 그만큼 다양한 방송 서비스 및 컴포넌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다양한 방송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전송되어야 하는 데이터의 용량 또한 많아지게 되었고, 이는 방송 서비스의 수신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가 다양해 짐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방송 채널 변경의 횟수가 잦아지게 되었고 이 경우 수신기가 선택된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더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송신하는 방법 및 수신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 적합한 시그널링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는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제 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부,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제 2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부, 여기서, 상기 수신한 제 1 방송 신호 및 제 2 방송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송 신호는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한 제 1 방송 신호 및 제 2 방송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송 신호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추출하는 시그널링 정보 처리부,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정보 테이블은 하나의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들 각각을 식별하는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컴포넌트 식별자 디스크립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컴포넌트 식별자 디스크립터는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들 각각을 식별하는 컴포넌트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컴포넌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컴포넌트들로 구성되는 상기 방송 서비스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방송 서비스를 디코딩 및 재생하는 오디오/비디오 처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정보 테이블은, 상기 방송 서비스의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데이터 경로 디스크립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경로 디스크립터는, 상기 방송 서비스가 전송되는 네트워크 타입을 나타내는 전송 네트워크 타입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경로 디스크립터는, 상기 전송 네트워크 타입 정보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의 구체적인 전송 경로를 나타내는 데이터 경로 정보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상기 전송 네트워크 타입 정보에 따른 지상파 방송망에 해당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는 상기 전송 네트워크 타입 정보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망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정보 테이블은, 상기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인코딩 타입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컴포넌트 타입 디스크립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컴포넌트 타입 디스크립터는, ISO base media file format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ISO base media file format 정보는, ISO base media file format 규격의 버전 정보 및 ISO base media file format 스트림의 프로파일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 송신 방법은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코딩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정보 테이블은 하나의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컴포넌트 식별자 디스크립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컴포넌트 식별자 디스크립터는 상기 컴포넌트들을 식별하는 컴포넌트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전송 프로토콜에 의해 패킷화하는 단계, 상기 패킷화된 데이터를 제 1 네트워크 및 제 2 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정보 테이블은, 상기 방송 서비스의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데이터 경로 디스크립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경로 디스크립터는, 상기 방송 서비스가 전송되는 네트워크 타입을 나타내는 전송 네트워크 타입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경로 디스크립터는, 상기 전송 네트워크 타입 정보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의 구체적인 전송 경로를 나타내는 데이터 경로 정보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상기 전송 네트워크 타입 정보에 따른 지상파 방송망에 해당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는 상기 전송 네트워크 타입 정보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망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정보 테이블은,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전송하는 컴포넌트의 인코딩 타입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컴포넌트 타입 디스크립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컴포넌트 타입 디스크립터는, ISO base media file format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ISO base media file format 정보는, ISO base media file format 규격의 버전 정보 및 ISO base media file format 스트림의 프로파일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및 컴포넌트를 식별하는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및 컴포넌트의 획득 경로를 시그널링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및 컴포넌트의 인코딩 타입을 시그널링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및 컴포넌트를 보다 빠르게 수신/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의 수신 장치를 통해서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패킷 (Transport Packet)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의 수신 장치를 통해서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필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맵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맵 테이블의 service_category 필드의 각 필드 값에 대한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앙상블 (Ensemble) 관련 필드가 추가된 서비스 맵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식별자 디스크립터 (stream_identifier_descriptor)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경로 디스크립터 (data_path_descriptor)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각 필드 값에 대한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0"인 경우에 data_path()의 Syntax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1"인 경우에 data_path()의 Syntax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2"인 경우에 data_path()의 Syntax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3"인 경우에 data_path()의 Syntax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4"인 경우에 data_path()의 Syntax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5"인 경우에 data_path()의 Syntax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6"인 경우에 data_path()의 Syntax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7"인 경우에 data_path()의 Syntax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타입 디스크립터 (component_descriptor)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omponent_type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omponent_type 리스트에서 ISO base media file format stream component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 component_type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omponent_type이 ISO base media file format인 경우에 component_data()의 Syntax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서비스 또는 컨텐츠 획득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 송신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간 방송 A/V (Audio/Video) 컨텐츠 및 데이터는 RTP (Real time Transport Protocol), UDP (User Datagram Protocol) 및 IP (Internet Protocol)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지상파 방송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비실시간 방송 A/V (Audio/Video) 컨텐츠 및 데이터는 FLUTE (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UDP (User Datagram Protocol) 및 IP (Internet Protocol)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지상파 방송망을 통하여 비실시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통해서는 MPEG-DASH (MPEG-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A/V (Audio/Video) 컨텐츠 및 데이터를 스트리밍 할 수 있다. 이 때, 각 계층 별로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및 IP (Internet Protocol)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Physical layer는 지상파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지상파 방송 신호를 적절한 형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Encapsulation은 Physical layer에서 획득된 정보로부터 IP 데이터그램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IP 데이터그램을 특정 프레임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프레임에는 RS Frame (Reed Solomon Frame), GSE-lite (Generic Stream Encapsulation-lite) 또는 GSE (Generic Stream Encapsulation) 등이 해당될 수 있다.
TPC (Transmission Parameter Channel)는 Physical layer와 IP 데이터그램 간의 매핑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TPC는 Physical layer와 프레임 간의 매핑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FIC (Fast Information Channel)는 서비스 및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및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에는 서비스 ID와 프레임 간의 매핑 정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Signaling은 서비스 및 컨텐츠의 효과적인 획득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맵 테이블, 컴포넌트 식별자 디스크립터, 컴포넌트 식별 정보, 데이터 경로 디스크립터, 전송 네트워크 타입 정보, 데이터 경로 정보, 컴포넌트 타입 디스크립터, ISO base media file format 정보, ISO base media file format 규격의 버전 정보 및 ISO base media file format 스트림의 프로파일 정보 등이 Signaling에 해당될 수 있다.
RTP (the Real time Transport Protocol)/RTCP (the RTP Control Protocol)은 A/V 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에 해당한다.
ALC (the Asynchronous Layered Coding)/LCT (the Layered Coding Transport)는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또는 NRT(Non Real time Transport) 서비스와 같은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 및 데이터의 비실시간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에 해당한다.
FLUTE (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는 파일들의 단방향 전송 (Unidirectional delivery)을 위한 프로토콜로서 멀티캐스트 네트워크에 적합한 프로토콜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또는 보조 데이터는 도 1에 도시된 프로토콜에 의하여 패킷화될 수 있고, 패킷화된 데이터는 Physical layer 또는 Broadband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는 도 1의 프로토콜 스택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조합해서 Interactive 서비스, Second screen 서비스 등 다양한 Enhanced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세션 기반 전송 프로토콜 중 FLUTE 프로토콜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는, 제 1 수신부 (2010), 제 2 수신부 (2020), 채널 동기부 (Channel Synchronizer; 2030), 채널 이퀄라이저 (Channel Equalizer; 2040), 채널 디코더 (Channel Decoder; 2050), 시그널링 디코더 (Signaling Decoder; 2060), 베이스밴드 작동 제어부 (Baseband Operation Controller; 2070), 트랜스포트 패킷 인터페이스 (Transport Packet Interface; 2080), 브로드밴드 패킷 인터페이스 (Broadband Packet Interface; 2090), 공통 프로토콜 스택 (Common Protocol Stack; 2100), 어플리케이션 처리부 (Application Processor; 2110), 서비스 가이드 처리부 (Service Guide Processor; 2120), 오디오/비디오 처리부 (A/V Processor; 2130),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 처리 버퍼 및 파서 (Service Signaling Channel Processing Buffer and Parser; 2140), 서비스 맵 데이터베이스 (Service Map DB; 2150) 및/또는 서비스 가이드 데이터 베이스 (Service Guide DB; 2160)를 포함한다.
제 1 수신부 (2010)는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네트워크에는 지상파 방송망이 해당될 수 있고, 상기 제 1 수신부 (2010)는 채널 동기부 (Channel Synchronizer; 203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1 수신부 (2010)가 포함된 채널 동기부 (2030)를 통합해서 제 1 수신부라고 명명할 수 있다.
제 2 수신부 (2020)는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2 네트워크에는 인터넷 프로토콜망이 해당될 수 있고, 상기 제 2 수신부 (2020)는 브로드밴드 패킷 인터페이스 (Broadband Packet Interface; 209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2 수신부 (2020)가 포함된 브로드밴드 패킷 인터페이스 (2090)를 통합해서 제 2 수신부라고 명명할 수 있다.
채널 동기부 (Channel Synchronizer; 2030)는 베이스밴드에서 적절한 디코딩이 가능하도록 심볼 주파수와 시간(timing)을 동기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채널 동기부는 제 1 수신부 (2010)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이퀄라이저 (Channel Equalizer; 2040)는 수신된 신호가 Multipath, Doppler effect 등으로 인해 왜곡되었을 경우 이를 보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채널 디코더 (Channel Decoder; 2050)는 수신된 신호를 의미를 가지는 데이터로 복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FEC (Forward Error Correction)를 수행할 수 있다.
시그널링 디코더 (Signaling Decoder; 2060)는 채널로부터 전달되는 시그널링 데이터를 추출하고 디코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그널링 데이터는 시그널링 디코더 (2060)에서 추출 및 디코딩될 수도 있고, 후술할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 처리 버퍼 및 파서 (Service Signaling Channel Processing Buffer and Parser; 2140)에서 추출 및 디코딩될 수도 있다.
베이스밴드 작동 제어부 (Baseband Operation Controller; 2070)는 베이스밴드에 관련된 여러 가지 처리 과정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랜스포트 패킷 인터페이스 (Transport Packet Interface; 2080)는 채널 디코더 (2050)로부터 수신한 방송 스트림에서 트랜스포트 패킷 (Transport Packet)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트랜스 포트 패킷으로부터 시그널링 또는 IP 데이터그램 (IP datagram)등을 조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브로드밴드 패킷 인터페이스 (Broadband Packet Interface; 2090)는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통해 획득된 패킷 (Packet)을 추출하고 해당 패킷으로부터 시그널링 또는 A/V 데이터 등을 조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브로드밴드 패킷 인터페이스 (2090)는 제 2 수신부 (20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수신부 (2020)가 포함된 브로드밴드 패킷 인터페이스 (2090)를 통합해서 제 2 수신부라고 명명할 수 있다.
공통 프로토콜 스택 (Common Protocol Stack; 2100)은 도 1의 프로토콜 스택에 해당할 수 있다. 공통 프로토콜 스택 (2100)에서 패킷 단위로 묶인 데이터들은 프로토콜의 각 계층을 거치면서 시그널링,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서비스 가이드 데이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 (Application Processor; 2110)는 수신 신호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추출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가이드 처리부 (Service Guide Processor; 2120)는 수신 신호로부터 어나운스먼트 (Announcement)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후술할 서비스 가이드 데이터 베이스 (Service Guide Database; 2160)를 관리할 수 있으며, 서비스 가이드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처리부 (A/V Processor; 2130)는 수신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재생 (Presentation)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 처리 버퍼 및 파서 (Service Signaling Channel Processing Buffer and Parser; 2140)는 IP 데이터그램 등으로부터 서비스 또는 컨텐츠의 스캔 및 획득 등과 관련된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하고 파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 처리 버퍼 및 파서 (2140)는 전술한 시그널링 디코더 (20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그널링 디코더 (2060)다 포함된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 처리 버퍼 및 파서 (2140)는 시그널링 정보 처리부라고 명명될 수 있으며, 시그널링 디코더 (2060, 시그널링 채널 처리 버퍼 및 파서 (2140) 각각을 시그널링 정보 처리부라고 명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컴포넌트 식별 정보, 전송 네트워크 타입 정보, 데이터 경로 정보, ISO base media file format 규격의 버전 정보 및/또는 ISO base media file format 스트림의 프로파일 정보는 방송 서비스의 획득과 관련된 시그널링 정보로서 시그널링 정보 처리부에 의해서 추출되고 파싱될 수 있다.
서비스 맵 데이터베이스 (Service Map DB; 2150)는 시그널링 디코더 (2060),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 처리 버퍼 및 파서 (2140)또는 시그널링 정보 처리부에 의해 디코딩된 시그널링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가이드 데이터베이스 (Service Guide DB; 2160)는 서비스 가이드 처리부 (2120)를 통해 추출 및 처리된 서비스 가이드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의 수신 장치를 통해서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패킷 (Transport Packet)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트 패킷은, 네트워크 프로토콜 (Network Protocol; 3010), 에러 인디케이터 (Error Indicator; 3020), 스터핑 인디케이터 (Stuffing Indicator; 3030), 포인터 필드 (Pointer Field; 3040), 스터핑 바이트 (Stuffing Bytes; 3050) 및/또는 페이로드 (Payload; 306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프로토콜 (Network Protocol; 3010)은 트랜스포트 패킷의 페이로드가 어떤 네트워크 프로토콜 타입 (network protocol type)을 가지는 지 나타낼 수 있다.
에러 인디케이터 (Error Indicator; 3020)는 해당 트랜스포트 패킷에 에러가 검출되었는 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에러 인디케이터 값이 "0"이면 에러가 검출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고, 에러 인디케이터 값이 "1"이면 에러가 검출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스터핑 인디케이터 (Stuffing Indicator; 3030)는 해당 트랜스포트 패킷에 스터핑 바이트 (stuffing byte)가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스터핑 인디케이터 값이 "0"이면 스터핑 바이트 (Stuffing byte)를 포함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고, 스터핑 인디케이터 값이 "1"이면 페이로드 (Payload) 앞에 길이 필드 (length field)와 스터핑 바이트 (stuffing byte)를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포인터 필드 (Pointer Field; 3040)는 해당 트랜스포트 패킷의 페이로드 (payload)상에 위치한 새로운 네트워크 프로토콜 패킷 (network protocol packet)의 시작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포인터 필드 값이 최대값 (The maximum value, 0x7FF)이면 새로운 네트워크 프로토콜 패킷의 시작부분이 없음을 나타낼 수 있고, 포인터 필드 값이 최대값이 아닌 다른 값 (Any other value)이면 헤더의 마지막 부분부터 새로운 네트워크 프로토콜 패킷의 시작부분까지의 오프셋 (offset)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스터핑 바이트 (Stuffing Bytes; 3050)는 스터핑 인디케이터 (stuffing indicator; 3030) 값이 "1"일 때 헤더 (header)와 페이로드 (payload) 사이를 채워주는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트 패킷에서에서 페이로드 (payload; 3060)는 IP 데이터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IP 데이터그램은 GSE (Generic Stream Encapsulation) 등을 이용하여 캡슐화 (encapsulation) 및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전송되는 특정 IP 데이터그램은 수신기로 하여금 서비스 또는 컨텐츠 스캔 및 획득 등을 가능하게 하는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의 수신 장치를 통해서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필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프로토콜 값이 "000"이면 해당 트랜스포트 패킷의 페이로드가 IPv4 (conforming to RFC STD05 [5])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타입을 가짐을 나타낼 수 있고, 네트워크 프로토콜 값이 "001-110"이면 ATSC에 관한 reserved 값을 나타낼 수 있고, 네트워크 프로토콜 값이 "111"이면 해당 트랜스포트 패킷의 페이로드가 프레임 패킷 타입 (framed packet type)을 가짐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맵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맵 테이블 (Service Map Table)은, table_id 필드, section_syntax_indicator 필드, private_indicator 필드, section_length 필드, table_id_extension 필드, SMT_protocol_version 필드, version_number 필드, current_next_indicator 필드, section_number 필드, last_section_number 필드, num_services 필드, service_id 필드, service_status 필드, SP_indicator 필드, short_service_name_length 필드, short_service_name 필드, service_category 필드, num_components 필드, essential_compoent_indicator 필드, num_component_level_descriptors 필드, component_level_descriptor() 필드, num_service_level_descriptors 필드 및/또는 service_level_descriptor() 필드를 포함한다.
table_id 필드는 해당 테이블이 서비스 및 컨텐츠의 상세 정보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임을 나타낸다.
section_syntax_indicator 필드는 해당 섹션의 포맷을 나타내는 필드로서 필드 값이 "1"인 경우 일반적인 테이블 syntax 포맷을 따름을 나타내고, 필드 값이 "0"인 경우 "short form" 포맷을 따름을 나타낸다.
private_indicator 필드의 필드 값이 "1"인 경우 해당 섹션은 4바이트의 CRC_32로 끝남을 나타낸다.
section_length 필드는 해당 섹션의 길이를 나타낸다.
table_id_extension 필드는 해당 테이블을 식별하는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필드를 나타낸다.
SMT_protocol_version 필드는 해당 테이블인 SMT의 프로토콜 버전을 나타낸다.
version_number 필드는 해당 섹션의 버전을 나타낸다.
current_next_indicator 필드는 1 비트 필드로서 해당 필드의 필드 값이 "1"인 경우 현재 전송되는 테이블이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필드 값이 "0"인 경우 현재는 유효하지 않지만 다음에 유효할 것을 나타낸다.
section_number 필드는 해당 테이블에서 현재 섹션이 위치하는 섹션 번호를 나타낸다.
last_section_number 필드는 해당 테이블을 구성하는 마지막 섹션의 번호를 나타낸다.
num_services 필드는 해당 테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의 개수를 나타낸다.
service_id 필드는 각 서비스를 가리키는 식별자를 나타내고, 이는 하나의 방송 범위에서 고유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service_status 필드는 해당 서비스가 active인지 inactive인지 그리고 hidden 인지 아닌지를 나타낸다.
SP_indicator 필드는 해당 서비스에 service protection의 적용 여부를 나타낸다.
short_service_name_length 필드는 서비스의 이름에 대한 길이를 나타낸다.
short_service_name 필드는 서비스의 이름을 나타낸다.
service_category 필드는 서비스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며 이에 대한 필드 값은 후술한다.
num_components 필드는 각 서비스와 연관된 컴포넌트의 개수를 나타낸다.
*essential_component_indicator 필드는 서비스 내에서 해당 컴포넌트가 필수적인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num_component_level_descriptor 필드는 연관된 컴포넌트 레벨의 descriptor 개수를 나타낸다.
component_level_descriptor() 필드는 복수의 컴포넌트가 하나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경우에 각각의 컴포넌트에 해당하는 개별적인 내용을 기술할 수 있는 디스크립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들 각각을 식별하는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컴포넌트 식별자 디스크립터, 방송 서비스의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데이터 경로 디스크립터 및/또는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인코딩 타입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컴포넌트 타입 디스크립터는 컴포넌트 레벨 디스크립터 (component_level_descriptor)에 해당할 수 있다.
num_service_level_descriptor 필드는 연관된 서비스 레벨의 descriptor 개수를 나타낸다.
service_level_descriptor() 필드는 하나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전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용을 기술할 수 있는 디스크립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식별자 디스크립터, 데이터 경로 디스크립터 및/또는 컴포넌트 타입 디스크립터는 서비스 레벨 디스크립터 (service_level_descriptor)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맵 테이블은 서비스 정보 테이블이라고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맵 테이블이 포함하고 있는 서비스 및 컨텐츠의 획득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들은 Table 형태뿐만 아니라,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또는 Bits Stream의 형태로도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맵 테이블은 섹션 (Section)단위, 메시지 (Message) 또는 프래그먼트 (Fragment)단위로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맵 테이블의 service_category 필드의 각 필드 값에 대한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service_category 필드의 필드 값이 "0x00"이면 해당 서비스는 카테고리화 되지 않음을 나타내고, "0x01"이면 해당 서비스가 Basic TV, "0x02"이면 해당 서비스가 Basic Radio, "0x03"이면 해당 서비스가 RI service - Rights Issuer service, "0x08"이면 해당 서비스가 Service Guide, "0x09"이면 해당 서비스가 Emergency Alerting, "0x04~0x07, 0x0A"이면 현재 구체화되지 않은 서비스 카테고리 임을 나타내고, "0x0B~"0xFF"이면 앞으로 사용될 것을 대비하여 Reserved된 필드임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앙상블 (Ensemble) 관련 필드가 추가된 서비스 맵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앙상블 (Ensemble)이란 하나 이상의 서비스가 동일한 FEC (Forward Error Correction)가 적용되어 전송이 되는 경우에 이러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당해 도면은 전술한 서비스 맵 테이블에 포함될 수 있는 필드, ensemble_id 필드, multi_ensemble_service 필드, num_ensemble_level_descriptors 필드 및/또는 ensemble_level_descriptor() 필드를 포함한다.
전술한 서비스 맵 테이블에 포함될 수 있는 필드와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필드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ensemble_id 필드는 해당 테이블이 연관된 ensemble에 대한 ID를 나타낼 수 있다.
multi_ensemble_service 필드는 해당 서비스가 현재 ensemble에서 사용 가능한 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num_ensemble_level_descriptors 필드는 앙상블 레벨에서의 디스크립터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ensemble_level_descriptor() 필드는 하나의 앙상블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내용을 기술하는 디스크립터를 나타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식별자 디스크립터 (stream_identifier_descriptor)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식별자 디스크립터 (stream_identifier_descriptor)는 서비스 맵 테이블 내에서 서비스 및 컨텐츠의 컴포넌트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컴포넌트 식별자 디스크립터는 서비스 맵 테이블 내의 서비스 레벨 디스크립터 또는 컴포넌트 레벨 디스크립터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식별자 디스크립터는 descriptor_tag 필드, descriptor_length 필드 및/또는 component_tag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or_tag 필드는 해당 descriptor가 컴포넌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descriptor 임을 나타낸다.
descriptor_length 필드는 해당 필드 이후부터 계산한 해당 descriptor의 전체 길이를 나타낸다.
component_tag 필드는 8 비트 필드로서 컴포넌트 레벨의 디스크립터에 기술된 내용과 관련 있는 컴포넌트 스트림을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서비스 맵 테이블의 섹션 마다 각 컴포넌트 식별자 디스크립터는 다른 component_tag 필드 값을 가질 수 있다.
해당 component_tag 필드의 필드 값은 서비스 맵 테이블 내에서 고유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transport stream 에 대한 식별자, 서비스의 아이디, 그리고 component_tag 값을 조합하여야 전체 transport stream에 있어서, 유일한 스트림을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omponent_tag 필드는 컴포넌트 식별 정보라고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식별 정보에 의하여 서비스 및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들이 식별될 수 있고, 컴포넌트 식별 정보에 의하여 해당 컴포넌트를 전송하는 스트림, 세션 등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는 특정 서비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신 장치는 서비스 맵 테이블에 포함된 서비스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장치는 컴포넌트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식별된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를 식별할 수 있다. 서비스 맵 테이블에는 컴포넌트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컴포넌트에 대한 전송 정보 등의 부가 정보가 기술되어 있고, 이러한 부가 정보를 참조하여 수신 장치는 해당 컴포넌트를 획득할 수 있으며 복수의 컴포넌트로 이루어진 해당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경로 디스크립터 (data_path_descriptor)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경로 디스크립터 (data_path_descriptor)는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의 수신 장치로 하여금 방송망 및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통해 서비스 및 컨텐츠를 획득 및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 경로 디스크립터는 서비스 및 컨텐츠의 획득 경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경로 디스크립터는 데이터 경로 디스크립터는 서비스 맵 테이블의 서비스 레벨 디스크립터 또는 컴포넌트 레벨 디스크립터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경로 디스크립터는 (data_path_descriptor)는 descriptor_tag 필드, descriptor_length 필드, delivery_network_type 필드 및/또는 data_path(delivery_network_typ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or_tag 필드는 해당 descriptor가 서비스 및 컨텐츠 획득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descriptor 임을 나타낸다.
descriptor_length 필드는 해당 필드 이후부터 계산한 해당 descriptor의 전체 길이를 나타낸다.
delivery_network_type 필드는 서비스 및 컨텐츠 획득이 가능한 네트워크 타입을 나타내는 필드로서 후술할 도 10과 같은 필드 값을 가진다. 자세한 내용은 도 10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후술한다.
data_path(delivery_network_type) 필드는 서비스 및 컨텐츠 획득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로서,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값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11 내지 도 18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는 전송 네트워크 타입 정보라고 명명될 수 있으며 data_path(delivery_network_type) 필드는 데이터 경로 정보라고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delivery_network_type 필드를 이용하여 서비스 및 컨텐츠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 각각의 전송 네트워크 환경을 알 수 있고, data_path(delivery_network_type) 필드를 이용하여 특정 전송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비스 및 컨텐츠의 전송 경로를 미리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장치는 전송 네트워크 타입 정보 및 데이터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 및 컨텐츠를 보다 빠르게 획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각 필드 값에 대한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해당 필드 값이 "0x00"인 경우, 서비스 또는 컨텐츠가 동일한 broadcaster가 전송하는 IP 스트림 혹은 cellular network를 통하여 전달됨을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0x01"인 경우, 서비스 또는 컨텐츠가 다른 broadcaster가 전송하는 IP 스트림을 통하여 전달됨을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0x02"인 경우, 서비스 또는 컨텐츠가 같은 방송 스트림의 ACL/LCT 혹은 FLUTE 등 세션 기반 전송 프로토콜을 통하여 전송됨을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0x03"인 경우, 서비스 또는 컨텐츠가 다른 방송 스트림의 ACL/LCT 혹은 FLUTE 등 세션 기반 전송 프로토콜을 통하여 전송됨을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0x04"인 경우, 서비스 또는 컨텐츠가 다른 broadcast의 MPEG-2 TS 스트림 형태로 전송됨을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0x05"인 경우, 서비스 또는 컨텐츠가 다른 broadcast의 패킷 기반 스트림을 통해 전송됨을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0x06"인 경우, 서비스 또는 컨텐츠가 IP 기반 방송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패킷 기반 스트림을 통해 전송됨을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0x07"인 경우,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URL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0x08 ~ 0xFF"인 경우, 해당 필드는 리서빙 (Reserved)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에 따라 서비스 또는 컨텐츠가 지상파 방송망을 통해서 전송되는 지 아니면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통해서 전송되는 지 알 수 있다.
도 10에서 나타낸 필드 값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네트워크 타입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일 뿐이고, 도 10에 도시된 타입 이외의 다양한 네트워크 타입들이 Reserved된 필드 값에 새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0"인 경우에 data_path()의 Syntax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0"인 경우 서비스 및 컨텐츠는 동일한 broadcast 스트림 내의 IP 데이터그램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0"인 경우 data_path()는 IP_version_flag 필드, source_IP_address_flag 필드, 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 source_IP_address 필드, destination_IP_address 필드, port_num_count 필드 및/또는 destination_UDP_port_num 필드를 포함한다.
IP_version_flag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IP datagram의 IP 주소 형식을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0"인 경우 IPv4 형식을 사용함을 나타내고, 해당 필드 값이 "1"인 경우 IPv6 주소 형식을 사용함을 나타낸다.
source_IP_address_flag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IP datagram이 source IP address 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1"이면 IP datagram이 source IP address 을 포함함을 나타낸다.
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IP datagram이 destination IP address 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1"이면 IP datagram이 destination IP address 을 포함함을 나타낸다.
source_IP_address 필드는 source_IP_address_flag 값이 "1"인 경우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IP datagram의 source IP address 을 나타낸다.
destination_IP_address 필드는 destination_IP_address_flag 값이 "1"인 경우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IP datagram의 destination IP address 을 나타낸다.
port_num_count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IP datagram의 flow의 포트 개수를 나타낸다.
destination_port_number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IP datagram의 UDP 포트 번호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1"인 경우에 data_path()의 Syntax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1"인 경우 서비스 및 컨텐츠는 다른 broadcast 스트림 내의 IP 데이터그램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1"인 경우 data_path()는 transport_stream_id 필드, IP_version_flag 필드, source_IP_address_flag 필드, 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 source_IP_address 필드, destination_IP_address 필드, port_num_count 필드 및/또는 destination_UDP_port_num 필드를 포함한다.
transport_stream_id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IP 데이터그램을 전송하는 Transport stream에 대한 ID을 나타낸다. 여기서, transport_stream_id 필드는 방송국을 식별하는 필드인 broadcast_id 필드와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IP_version_flag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IP datagram의 IP 주소 형식을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0"인 경우 IPv4 형식을 사용함을 나타내고, 해당 필드 값이 "1"인 경우 IPv6 주소 형식을 사용함을 나타낸다.
source_IP_address_flag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IP datagram이 source IP address 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1"이면 IP datagram이 source IP address 을 포함함을 나타낸다.
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IP datagram이 destination IP address 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1"이면 IP datagram이 destination IP address 을 포함함을 나타낸다.
source_IP_address 필드는 source_IP_address_flag 값이 "1"인 경우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IP datagram의 source IP address 을 나타낸다.
destination_IP_address 필드는 destination_IP_address_flag 값이 "1"인 경우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IP datagram의 destination IP address 을 나타낸다.
port_num_count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IP datagram의 flow의 포트 개수를 나타낸다.
destination_port_number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IP datagram의 UDP 포트 번호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2"인 경우에 data_path()의 Syntax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2"인 경우 서비스 및 컨텐츠는 동일한 broadcast 스트림 내의 ACL/LCT 혹은 FLUTE 등 세션 기반 전송 프로토콜에 따른 전송 세션통해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2"인 경우 data_path()는 IP_version_flag 필드, source_IP_address_flag 필드, source_IP_address 필드, destination_IP_address 필드, destination_UDP_port_num 필드 및/또는 tsi 필드를 포함한다.
IP_version_flag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IP datagram의 IP 주소 형식을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0"인 경우 IPv4 형식을 사용함을 나타내고, 해당 필드 값이 "1"인 경우 IPv6 주소 형식을 사용함을 나타낸다.
source_IP_address_flag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IP datagram이 source IP address 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1"이면 IP datagram이 source IP address 을 포함함을 나타낸다.
source_IP_address 필드는 source_IP_address_flag 값이 "1"인 경우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IP datagram의 source IP address 을 나타낸다.
destination_IP_address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IP datagram의 destination IP address 을 나타낸다.
destination_port_number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IP datagram의 UDP 포트 번호를 나타낸다.
tsi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전송 세션의 TSI (Transport Session Identifier)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3"인 경우에 data_path()의 Syntax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3"인 경우 서비스 및 컨텐츠는 다른 broadcast 스트림 내의 ACL/LCT 혹은 FLUTE 등 세션 기반 전송 프로토콜에 따른 전송 세션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3"인 경우 data_path()는 transport_stream_id 필드, IP_version_flag 필드, source_IP_address_flag 필드, source_IP_address 필드, destination_IP_address 필드, destination_UDP_port_num 필드 및/또는 tsi 필드를 포함한다.
transport_stream_id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Transport stream에 대한 ID을 나타낸다. 여기서, transport_stream_id 필드는 방송국을 식별하는 필드인 broadcast_id 필드와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IP_version_flag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IP datagram의 IP 주소 형식을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0"인 경우 IPv4 형식을 사용함을 나타내고, 해당 필드 값이 "1"인 경우 IPv6 주소 형식을 사용함을 나타낸다.
source_IP_address_flag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IP datagram이 source IP address 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1"이면 IP datagram이 source IP address 을 포함함을 나타낸다.
source_IP_address 필드는 source_IP_address_flag 값이 "1"인 경우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IP datagram의 source IP address 을 나타낸다.
destination_IP_address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IP datagram의 destination IP address 을 나타낸다.
destination_port_number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IP datagram의 UDP 포트 번호를 나타낸다.
tsi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전송 세션의 TSI (Transport Session Identifier)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4"인 경우에 data_path()의 Syntax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4"인 경우 서비스 및 컨텐츠는 다른 broadcast의 MPEG-2 transport stream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4"인 경우 data_path()는 transport_stream_id 필드 및/또는 pid 필드를 포함한다.
transport_stream_id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MPEG-2 transport stream을 전송하는 Transport stream에 대한 ID을 나타낸다. 여기서, transport_stream_id 필드는 방송국을 식별하는 필드인 broadcast_id 필드와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pid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MPEG-2 transport stream packet의 PID 값을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5"인 경우에 data_path()의 Syntax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5"인 경우 서비스 및 컨텐츠는 다른 broadcast의 패킷 기반 스트림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패킷 기반 스트림은 MPEG-2 transport stream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5"인 경우 data_path()는 transport_stream_id 필드 및/또는 packet_id 필드를 포함한다.
transport_stream_id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MPEG-2 transport stream을 전송하는 Transport stream에 대한 ID을 나타낸다. 여기서, transport_stream_id 필드는 방송국을 식별하는 필드인 broadcast_id 필드와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packet_id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의 ID 값을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6"인 경우에 data_path()의 Syntax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6"인 경우 서비스 및 컨텐츠는 IP 기반 방송 네트워크에서 패킷 기반 스트림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IP 기방 방송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의미할 수 있고, 패킷 기반 스트림은 MPEG-2 transport stream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6"인 경우 data_path()는 IP_version_flag 필드, source_IP_address_flag 필드, source_IP_address 필드, destination_IP_address 필드, destination_UDP_port_num 필드 및/또는 packet_id 필드를 포함한다.
IP_version_flag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하는 IP datagram의 IP 주소 형식을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0"인 경우 IPv4 형식을 사용함을 나타내고, 해당 필드 값이 "1"인 경우 IPv6 주소 형식을 사용함을 나타낸다.
source_IP_address_flag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하는 IP datagram이 source IP address 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해당 필드 값이 "1"이면 IP datagram이 source IP address 을 포함함을 나타낸다.
source_IP_address 필드는 source_IP_address_flag 값이 "1"인 경우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하는 IP datagram의 source IP address 을 나타낸다.
destination_IP_address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하는 IP datagram의 destination IP address 을 나타낸다.
destination_port_number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하는 IP datagram의 UDP 포트 번호를 나타낸다.
packet_id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의 ID 값을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7"인 경우에 data_path()의 Syntax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7"인 경우 서비스 및 컨텐츠는 URL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livery_network_type 필드의 필드 값이 "0x07"인 경우 data_path()는 URL_length 필드 및/또는 URL_char 필드를 포함한다.
URL_length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URL에 대한 길이를 나타낸다.
URL_char 필드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URL의 실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타입 디스크립터 (component_descriptor)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타입 디스크립터 (component_descriptor)는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의 수신 장치로 하여금 방송망 및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통해 서비스 및 컨텐츠를 획득 및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컴포넌트 타입 디스크립터는 서비스 및 컨텐츠에 대한 컴포넌트 타입 및 타입에 대한 부가 정보를 시그널링 해줄 수 있다. 또한, 컴포넌트 타입 디스크립터는 서비스 맵 테이블 내의 서비스 레벨 디스크립터 또는 컴포넌트 레벨 디스크립터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컴포넌트 타입 디스크립터에 포함된 내용은 bitstream, XML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타입 디스크립터 (component_descriptor)는 descriptor_tag 필드, descriptor_length 필드, component_type 필드, component_encryption_flag 필드, num_STKM_streams 필드, STKM_stream_id 필드, STKM_stream_id 필드, transport_parameters_text_length 필드, transport_parameters_text() 필드 및/또는 component_data(component_type) 필드를 포함한다.
descriptor_tag 필드는 해당 descriptor가 컴포넌트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descriptor 임을 나타낸다.
descriptor_length 필드는 해당 필드 이후부터 계산된 해당 descriptor의 전체 길이를 나타낸다.
component_type 필드는 해당 컴포넌트의 인코딩 타입을 나타낸다. component_type 필드는 transport packet, IP 데이터그램에 포함된 RTP 패킷 등의 payload의 타입을 나타내며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20에서 후술한다.
component_encryption_flag 필드는 1비트 필드로서 해당 필드의 필드 값이 "1"이면 해당 컨텐츠가 인크립션 되었음(encrypted)을 나타낸다.
num_STKM_streams 필드는 8비트 필드로서 해당 컴포넌트와 관련 있는 STKM 스트림의 개수를 나타낸다.
STKM_stream_id 필드는 16비트 필드로서 보호된 컴포넌트를 디크립션하여 획득하는데 필요한 STKM 스트림의 ID를 나타낸다.
transport_parameters_text_length 필드는 transport_parameters_text() 문자열 (character string)의 길이를 나타낸다. 해당 필드의 이니셜 릴리스 (initial release)는 "0" 값을 가질 수 있다.
transport_parameters_text() 필드는 후술할 component_data() 필드와 연관된 컴포넌트의 전송 파라미터 (transport parameters)를 식별하는 문자열 (text string)을 나타낸다. 해당 필드에는 이니셜 릴리스 (initial release)와 다른 미래 전송 제약 (transport constraints)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래 전송 제약 (transport constraints)으로 버퍼 모델 (buffer model), MTU siz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component_data(component_type) 필드는 인코딩 파라미터 (encoding parameters) 및/또는 해당 컴포넌트를 랜더링 (rendering)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파라미터들 (parameters)을 나타낸다. 해당 필드의 구조는 component_type 필드의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해당 필드는 현재 정의된 component_type 필드의 값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omponent_type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component_type이 "35"이면, 해당 컴포넌트가 H.264/AVC 비디오 스트림 컴포넌트 이거나 H.264/SVC 베이스 레이어 스트림 (base layer stream)컴포넌트임을 나타낸다.
component_type이 "36"이면, 해당 컴포넌트가 SVC 인핸스먼트 레이어 스트림 (enhancement layer stream)컴포넌트임을 나타낸다.
component_type이 "37"이면, 해당 컴포넌트가 HE AAC v2 오디오 스트림 컴포넌트임을 나타낸다.
component_type이 "38"이면, 해당 컴포넌트가 FLUTE 파일 전송 세션 (FLUTE file delivery session)임을 나타낸다.
component_type이 "39"이면, 해당 컴포넌트가 STKM 스트림 컴포넌트임을 나타낸다.
component_type이 "40"이면, 해당 컴포넌트가 LTKM 스트림 컴포넌트임을 나타낸다.
component_type이 "41"이면, 해당 컴포넌트가 OMA-RME DIMS 스트림 컴포넌트임을 나타낸다.
component_type이 "42"이면, 해당 컴포넌트가 NTP 타임베이스 (timebase) 스트림 컴포넌트임을 나타낸다.
component_type "43 내지 70"은 IANA에 의해 할당되어 있지 않고 (Unassigned) 미래 사용가능성을 위해 ATSC에 의해 리서빙 (Reserved)되어 있다.
component_type "71 내지 76"은 IANA에 의해 리서빙 (Reserved)되어 있다.
component_type "77 내지 95"는 IANA에 의해 할당되어 있지 않다 (Unassigned).
component_type "96 내지 127"은 유동적 사용을 위해서 IANA에 의해 지정 (Designated)되어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omponent_type 리스트에서 ISO base media file format stream component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 component_type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는 방송 스트림 상에 전송되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 컴포넌트가 ISO base media file format으로 전송되는 경우에도 서비스 또는 컨텐츠 컴포넌트를 디코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component_descriptor의 component_type에 해당 컴포넌트가 ISO base media file format으로 인코딩된 스트림임을 나타내 줄 수 있는 값을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0의 component_type 리스트와 달리, component_type이 "71"이면, 해당 컴포넌트가 ISO base media file format 스트림 컴포넌트임을 나타내고, component_type "72 내지 76"은 IANA에 의해 리서빙 (Reserved)되어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omponent_type이 ISO base media file format인 경우에 component_data()의 Syntax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omponent_data()는 version 필드 및/또는 profil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version 필드는 8비트 필드로서 ISO base media file format의 버전을 나타낸다.
profile 필드는 ISO base media file format 스트림의 구체적인 프로파일 (profile)을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서비스 또는 컨텐츠 획득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또는 컨텐츠의 획득 과정은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 IP 스트림 (Service Signaling Channel IP Stream; 23010), 서비스 0을 전송하는 IP 스트림 (Service 0; 23020), 서비스 0을 전송하는 전송 계층 (23030), 서비스 1을 전송하는 IP 스트림 (Service 1; 23040), 서비스 1을 전송하는 전송 계층 (23050), 서비스 N을 전송하는 IP 스트림 (Service N; 23060), 서비스 N의 비디오 1을 전송하는 전송 계층 (23070) 및/또는 서비스 N의 오디오 1을 전송하는 인터넷 프로토콜망 (Broadband; 23080)간의 데이터 흐름으로 표현될 수 있다.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 IP 스트림 (Service Signaling Channel IP Stream; 23010)은 서비스 맵 테이블 (SMT)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맵 테이블 (SMT)에는 서비스 0 (Service 0)을 구성하는 컴포넌트인 비디오 1 (video 1)과 오디오 1 (Audio 1)의 데이터 경로 정보 (data path)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맵 테이블 (SMT)에는 서비스 N (Service N)을 구성하는 컴포넌트인 비디오 1 (video 1)과 오디오 1 (Audio 1)의 데이터 경로 정보 (data path)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경로 정보 (data path)는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각 컴포넌트의 구체적인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서비스 0을 전송하는 IP 스트림 (Service 0; 23020)은 각각 하나의 video와 audio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video와 audio는 지상파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IP stream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즉, video 1과 Audio 1을 전송하는 각각의 IP 스트림은 서비스 0을 전송하는 전송 계층 (23030)에서 PLP 0과 PLP 1에 포함되어 지상파 방송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서비스 1을 전송하는 IP 스트림 (Service 1; 23040)은 각각 하나의 video와 audio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video와 audio는 지상파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IP stream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 1의 경우에는 video 1과 Audio 1을 전송하는 각각의 IP 스트림이 서비스 1을 전송하는 전송 계층 (23050)에서 PLP 0에 함께 포함되어 지상파 방송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서비스 N을 전송하는 IP 스트림 (Service N; 23060)은 각각 하나의 video와 audio로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N의 경우 video는 지상파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되지만 audio는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즉, video 1을 전송하는 IP 스트림은 전송 계층 (23070)에서 PLP 0에 포함되어 지상파 방송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Audio 1을 전송하는 IP 스트림은 인터넷 프로토콜망 (23080)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 송신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 송신 방법은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코딩하는 단계 (S24010), 인코딩된 데이터를 전송 프로토콜에 의해 패킷화하는 단계 (S24020) 및/또는 패킷화된 데이터를 제 1 네트워크 및 제 2 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S2403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코딩하는 단계 (S24010)에서 서비스 정보 테이블은 서비스 맵 테이블이라고 명칭될 수 있으며, 서비스 정보 테이블은 하나의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컴포넌트 식별자 디스크립터를 포함할 수 있고, 컴포넌트 식별자 디스크립터는 컴포넌트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정보 테이블은 방송 서비스의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데이터 경로 디스크립터를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 경로 디스크립터는 방송 서비스가 전송되는 네트워크 타입을 나타내는 전송 네트워크 타입 정보와 네트워크 타입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에서 방송 서비스의 구체적인 전송 경로를 나타내는 데이터 경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테이블은 방송 서비스를 전송하는 컴포넌트의 인코딩 타입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컴포넌트 타입 디스크립터를 포함할 수 있고, 컴포넌트 타입 디스크립터는 ISO base media file forma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SO base media file format 정보는 ISO base media file format 규격의 버전 정보 및 ISO base media file format 스트림의 프로파일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된 데이터를 전송 프로토콜에 의해 패킷화하는 단계 (S24020)에서 전송 프로토콜에는 RTP (Real time Transport Protocol), RTCP (Real 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ALC (the Asynchronous Layered Coding)/LCT (the Layered Coding Transport), FLUTE (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 (User Datagram Protocol) 및 IP (Internet Protocol)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가 지상파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 데이터는 UDP에 의해 패킷화되고,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 데이터는 PCT에 의해 패킷화 될 수 있다.
패킷화된 데이터를 제 1 네트워크 및 제 2 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S2420)에서 제 1 네트워크는 지상파 방송망에 해당할 수 있고, 제 2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망에 해당할 수 있다. 패킷화된 데이터들은 서비스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데이터 경로 정보에 의하여 지상파 방송망 및 인터넷 프로토콜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 처리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로 상술되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방송 산업 전반에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14)

  1. 트랜스미터(transmitter)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의 콤포넌트(component) 및 시그널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 및 상기 콤포넌트의 획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콤포넌트는 비디오 콤포넌트 또는 오디오 콤포넌트를 포함함;
    상기 서비스의 콤포넌트 및 시그널링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패킷은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헤더는 상기 패킷의 타입이 IP(Internet Protocol) 패킷 타입임을 나타내는 패킷 타입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생성된 패킷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신호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네트워크 또는 브로드밴드(broadband)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상기 서비스의 상태가 액티브 또는 인액티브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상태 (status) 정보, 상기 서비스의 이름을 표시하는 네임 정보, 상기 콤포넌트를 위한 딜리버리 모드에 관한 딜리버리 방법 타입 정보, 상기 콤포넌트를 전달하는 전송 세션을 위한 IP 주소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전송 세션의 식별자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딜리버리 모드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 또는 상기 브로드밴드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패킷을 포함하는 제1방송 신호는 제1 PLP (physical layer pipe) ID 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반면, 제2패킷을 포함하는 제2 방송 신호는 제2 PLP ID 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LP ID 는 상기 제2 PLP ID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의 콤포넌트를 요청하기 위한 로케이션(location)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적어도 하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패킷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신호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네트워크 또는 브로드밴드(broadband)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하는 튜너, 상기 패킷은 서비스의 콤포넌트(component) 및 시그널링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패킷은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는 상기 패킷의 타입이 IP(Internet Protocol) 패킷 타입임을 나타내는 패킷 타입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 및 상기 콤포넌트의 획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콤포넌트는 비디오 콤포넌트 또는 오디오 콤포넌트를 포함함;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콤포넌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상기 서비스의 상태가 액티브 또는 인액티브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상태 (status) 정보, 상기 서비스의 이름을 표시하는 네임 정보, 상기 콤포넌트를 위한 딜리버리 모드에 관한 딜리버리 방법 타입 정보, 상기 콤포넌트를 전달하는 전송 세션을 위한 IP 주소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전송 세션의 식별자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딜리버리 모드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 또는 상기 브로드밴드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제1패킷을 포함하는 제1방송 신호는 제1 PLP (physical layer pipe) ID 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반면, 제2패킷을 포함하는 제2 방송 신호는 제2 PLP ID 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LP ID 는 상기 제2 PLP ID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의 콤포넌트를 요청하기 위한 로케이션(location)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9. 적어도 하나의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방송 트랜스미터(broadcast transmitter)에 있어서,
    서비스의 콤포넌트(component) 및 시그널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 및 상기 콤포넌트의 획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콤포넌트는 비디오 콤포넌트 또는 오디오 콤포넌트를 포함함; 및
    트랜스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상기 서비스의 상태가 액티브 또는 인액티브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상태 (status) 정보, 상기 서비스의 이름을 표시하는 네임 정보, 상기 콤포넌트를 위한 딜리버리 모드에 관한 딜리버리 방법 타입 정보, 상기 콤포넌트를 전달하는 전송 세션을 위한 IP 주소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전송 세션의 식별자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의 콤포넌트 및 시그널링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패킷은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헤더는 상기 패킷의 타입이 IP(Internet Protocol) 패킷 타입임을 나타내는 패킷 타입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미터는, 상기 생성된 패킷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신호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네트워크 또는 브로드밴드(broadband)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딜리버리 모드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 또는 상기 브로드밴드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트랜스미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1패킷을 포함하는 제1방송 신호는 제1 PLP (physical layer pipe) ID 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반면, 제2패킷을 포함하는 제2 방송 신호는 제2 PLP ID 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PLP ID 와 상기 제2 PLP ID 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트랜스미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의 콤포넌트를 요청하기 위한 로케이션(location)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트랜스미터.
  12. 적어도 하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패킷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신호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네트워크 또는 브로드밴드(broadband)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패킷은 서비스의 콤포넌트(component) 및 시그널링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패킷은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는 상기 패킷의 타입이 IP(Internet Protocol) 패킷 타입임을 나타내는 패킷 타입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 및 상기 콤포넌트의 획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콤포넌트는 비디오 콤포넌트 또는 오디오 콤포넌트를 포함함; 그리고 및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콤포넌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상기 서비스의 상태가 액티브 또는 인액티브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상태 (status) 정보, 상기 서비스의 이름을 표시하는 네임 정보, 상기 콤포넌트를 위한 딜리버리 모드에 관한 딜리버리 방법 타입 정보, 상기 콤포넌트를 전달하는 전송 세션을 위한 IP 주소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전송 세션의 식별자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딜리버리 모드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 또는 상기 브로드밴드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1패킷을 포함하는 제1방송 신호는 제1 PLP (physical layer pipe) ID 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반면, 제2패킷을 포함하는 제2 방송 신호는 제2 PLP ID 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PLP ID 와 상기 제2 PLP ID 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의 콤포넌트를 요청하기 위한 로케이션(location)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
KR1020217006363A 2013-06-27 2014-06-27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265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17884A KR102340240B1 (ko) 2013-06-27 2014-06-27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39872P 2013-06-27 2013-06-27
US61/839,872 2013-06-27
PCT/KR2014/005740 WO2014209057A1 (ko) 2013-06-27 2014-06-27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0157025827A KR102225948B1 (ko) 2013-06-27 2014-06-27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827A Division KR102225948B1 (ko) 2013-06-27 2014-06-27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884A Division KR102340240B1 (ko) 2013-06-27 2014-06-27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539A KR20210027539A (ko) 2021-03-10
KR102265908B1 true KR102265908B1 (ko) 2021-06-16

Family

ID=5214230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827A KR102225948B1 (ko) 2013-06-27 2014-06-27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0217006364A KR102265909B1 (ko) 2013-06-27 2014-06-27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0217017884A KR102340240B1 (ko) 2013-06-27 2014-06-27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0217006363A KR102265908B1 (ko) 2013-06-27 2014-06-27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827A KR102225948B1 (ko) 2013-06-27 2014-06-27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0217006364A KR102265909B1 (ko) 2013-06-27 2014-06-27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0217017884A KR102340240B1 (ko) 2013-06-27 2014-06-27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10110941B2 (ko)
EP (1) EP3016380A4 (ko)
KR (4) KR102225948B1 (ko)
CN (1) CN105165018B (ko)
CA (1) CA2907789C (ko)
WO (1) WO20142090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5318B2 (ja) 2013-08-29 2019-12-2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JP6505996B2 (ja) 2013-08-30 2019-04-2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受信方法、及び、受信装置
JP2015073245A (ja) * 2013-10-04 2015-04-16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WO2015099409A1 (en) * 2013-12-23 2015-07-0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broadcast content via one or more networks
US10743082B2 (en) * 2014-04-11 2020-08-11 Sony Corporatio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US20150373075A1 (en) * 2014-06-23 2015-12-24 Radia Perlman Multiple network transport sessions to provide context adaptive video streaming
JPWO2016111176A1 (ja) 2015-01-07 2017-10-12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EP3247085A4 (en) * 2015-01-18 2018-07-11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iving method
WO2016114510A1 (ko) * 2015-01-18 2016-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WO2016117904A1 (ko) * 2015-01-21 201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US10212478B2 (en) 2015-01-29 2019-02-19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device, broadcast signal receiving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iving method
WO2016122269A1 (ko) 2015-01-29 201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US10341036B2 (en) 2015-02-10 2019-07-02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ption apparatus,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KR101975343B1 (ko) 2015-03-01 201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EP3267689B1 (en) * 2015-03-01 2019-08-14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 signal reception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WO2016144031A1 (ko) 2015-03-11 2016-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102387881B1 (ko) * 2015-04-17 2022-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030344A1 (ko) * 2015-08-17 2017-02-23 엘지전자(주)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9212318A1 (ko) * 2018-05-04 2019-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EP3836553B1 (en) * 2018-08-09 2024-05-15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apparatus
CN114128301B (zh) * 2019-07-19 2024-04-16 Lg电子株式会社 广播信号发送设备、广播信号发送方法、广播信号接收方法和广播信号接收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0859A2 (ko) 2010-11-23 2012-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에서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6305A (en) * 1996-11-05 1999-06-29 Shomiti Systems, Inc. Pattern recognition in data communications using predictive parsers
KR20070084775A (ko) 2006-02-21 2007-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셋탑박스 및 방송 서비스 제공방법
KR101419287B1 (ko) * 2006-07-07 201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Ipdc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및 ipdc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56002B1 (ko) * 2007-06-26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486357B1 (ko) * 2007-07-12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US8302133B2 (en) 2007-08-24 2012-10-30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20090022894A (ko) 2007-08-31 200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스위칭 방식을 이용한 rf 신호 스위칭 장치,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KR101429767B1 (ko) 2007-09-21 201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서비스 가이드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디지털방송 시스템
US8250619B2 (en) * 2008-06-09 2012-08-2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ceiving a broadcasting signal and receiving system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ignal
US8520057B2 (en) * 2008-11-04 2013-08-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3-dimensional broadcasting service
CA2751711C (en) * 2009-03-15 2016-01-26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 / receiving systems and broadcasting signal processing method
WO2011027494A1 (ja) 2009-09-01 2011-03-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送信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送受信システム
WO2013025035A2 (ko) * 2011-08-12 2013-0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송수신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0859A2 (ko) 2010-11-23 2012-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에서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37277A1 (en) 2021-02-04
KR102340240B1 (ko) 2021-12-16
CN105165018B (zh) 2018-10-12
US20160037199A1 (en) 2016-02-04
US20190037262A1 (en) 2019-01-31
EP3016380A1 (en) 2016-05-04
CN105165018A (zh) 2015-12-16
US10110941B2 (en) 2018-10-23
EP3016380A4 (en) 2017-02-22
CA2907789C (en) 2018-07-24
KR102265909B1 (ko) 2021-06-16
US11234035B2 (en) 2022-01-25
US10511876B2 (en) 2019-12-17
WO2014209057A1 (ko) 2014-12-31
KR20210027540A (ko) 2021-03-10
KR102225948B1 (ko) 2021-03-10
US10848812B2 (en) 2020-11-24
KR20160026826A (ko) 2016-03-09
US20200092597A1 (en) 2020-03-19
KR20210072158A (ko) 2021-06-16
KR20210027539A (ko) 2021-03-10
CA2907789A1 (en)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4035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ervice in hybrid broadcast system on basis of connection of terrestrial broadcast network and internet protocol network
US118052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rocesses of a broadcast signal
KR101757302B1 (ko)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신호를 송신/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3171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ervice signaling for broadcasting service
CN107529090B (zh) 用于在广播系统中配置控制消息的装置
US9118975B2 (en) Method for mapping signaling information to announcement information and broadcast receiver
US20230038527A1 (e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US10237196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KR20090002818A (ko) 서비스 가이드 정보 수신 방법 및 서비스 가이드 정보 수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