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856B1 - Terminal cradle - Google Patents

Terminal cra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856B1
KR102265856B1 KR1020140114224A KR20140114224A KR102265856B1 KR 102265856 B1 KR102265856 B1 KR 102265856B1 KR 1020140114224 A KR1020140114224 A KR 1020140114224A KR 20140114224 A KR20140114224 A KR 20140114224A KR 102265856 B1 KR102265856 B1 KR 102265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radle
holder
pl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2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6182A (en
Inventor
김종곤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4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856B1/en
Priority to PCT/KR2014/010710 priority patent/WO2016032056A1/en
Publication of KR20160026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1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8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of the integrated keyboard independently from the main bod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를 거치하는 단말기 거치대로서, 길 안내 및 GPS 안내를 수행하는 단말기를 거치하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네비게이션 정보가 출력되는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네비게이션 정보와 다른 네비게이션 정보가 출력되는 정보 출력부; 흡착 패드를 가져 사물체의 벽면에 흡착 가능한 흡착부; 및 상기 거치부와 흡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radle for holding a terminal, and to a terminal cradle for holding a terminal that performs road guidance and GPS guidanc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dle on which a terminal on which navigation information is output can be mounted; an information output unit coupled to the cradle and outputting navigation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navig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terminal; an adsorption unit capable of adsorbing on the wall of an object having a suction pad;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mounting part and the adsorption part.

Description

단말기 거치대{Terminal cradle}Terminal cradle {Terminal cradle}

본 발명은 단말기를 거치하는 단말기 거치대로서, 길 안내 및 GPS 안내를 수행하는 단말기를 거치하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radle for holding a terminal, and to a terminal cradle for holding a terminal that performs road guidance and GPS guidance.

차량에 설치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신호를 GPS로부터 수신받아 맵 데이터를 적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의 보급이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장치에는 그 활용 가능 범위에 따라 차량 전용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네비게이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dissemination of a navigation system that is installed in a vehicle and receives a coordinate signal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from a GPS and guides route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by applying map data is becoming popular. Such a navigation device may be divided into a vehicle-only navigation device and a navigation device driven by a smart phone according to a usable range.

차량 전용 네비게이션은 화면이 크기 때문에 시인성이 좋고 접속 케이블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설치 후 차량 내부가 깔끔하게 정리가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전용의 네비게이션만의 기능을 사용하기에 성능 대비 가격이 비싸고 사용 빈도나 낮으며 맵 데이터의 업그레이드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되는 스마트폰 네비게이션은, 별도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개인이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점에서 설치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스마트폰 네비게이션의 경우에는, 차량의 전방에 부착한 단말기 거치대에 스마트폰을 거치시켜야 한다.Vehicle-exclusive navigation has the advantage of having good visibility because of the large screen and not requiring a separate connection cable, s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neatly organized after installation. It is low,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upgrade the map data. On the other hand, smartphone navigation driven by a naviga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does not require a separate navigation device and requires little installation cost in that it utilizes a smartphone carried by an individual. There are advantages. In the case of smartphone navigation, the smartphone must be mounted on a terminal cradl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vehicle.

그런데 단말기 거치대의 경우,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거치시키는 용도로만 사용될 뿐 네비게이션 정보를 직접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terminal cradle,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used only for mounting a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nd cannot directly provide navigation information.

한국공개특허 10-2014-0035209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10-2014-0035209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운전자가 손쉽게 주행 경로를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 거치대에 단말기 이외에 네비게이션 정보 출력 수단을 별도로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cradle that allows a driver to easily recognize a driving route. In addition, 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e navigation information output means in addition to the terminal in the terminal cradle.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네비게이션 정보가 출력되는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네비게이션 정보와 다른 네비게이션 정보가 출력되는 정보 출력부; 흡착 패드를 가져 사물체의 벽면에 흡착 가능한 흡착부; 및 상기 거치부와 흡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dle on which a terminal on which navigation information is output can be mounted; an information output unit coupled to the cradle and outputting navigation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navig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terminal; an adsorption unit capable of adsorbing on the wall of an object having a suction pad;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mounting part and the adsorption part.

상기 거치부는,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후면을 가지는 거치 하우징; 상기 거치 하우징의 전면에 위치하며, 단말기의 후면이 거치되는 거치 플레이트판; 상기 거치 플레이트판의 양측면에서 각각 돌출된 복수의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의 양측면을 탄성 복원력으로 파지하는 단말기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unit may include: a mounting housing having a rear surface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a mounting plate plate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unting housing and on which the rear side of the terminal is mounted; a plurality of elastic bodies each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plate; and a terminal holder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astic body to grip both sides of the terminal with an elastic restoring force.

상기 단말기 홀더는, 상기 탄성체의 돌출 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탄성체에 연결된 홀더 후면판; 상기 홀더 후면판과 마주보며 이격 대향된 홀더 전면판; 및 상기 홀더 전면판과 홀더 후면판을 연결하는 홀더 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holder may include a holder rear plate extending in a protruding direction of the elastic body and connected to the elastic body; a holder front plate facing away from the holder back plate; and a holder connecting plate connecting the holder front plate and the holder back plate.

상기 거치부는, 상기 홀더 연결판의 전면에 위치하며, 네비게이션 안내 모드에 따라서 점등 형태를 다르게 하여 점등하는 알람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radle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holder connecting plate, and according to the navigation guidance mode, the alarm light is turned on in a different lighting form; may include.

상기 홀더 연결판의 전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 표시판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t may be characterized as a display panel integral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er connection plate.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홀더 연결판의 전면에 결합된 플레이트판인 홀딩판; 상기 홀딩판의 전면에 홈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분리형 와치 모듈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홀딩판의 전면에 파여진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분리형 와치 모듈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unit may include: a holding plate which is a plate plate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holder connecting plate; an insertion groove dug in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ing plate so that a groove in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ing plate can be inserted into a detachable watch module capable of display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and a detachable means capable of detaching the detachable watch modul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상기 분리형 와치 모듈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detachable watch module may receive and output naviga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r may receive and output naviga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cradl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연결부는, 복수개의 연결암이 힌지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nnection arms are hinged.

상기 연결부는, 신축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재질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stretched and deformed.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말기 거치대에 마련된 정보 출력 수단에서 길 안내 정보 및 GPS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손쉽게 주행 경로 안내를 인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road guidance information and GPS guidance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output means provided in the terminal cradle,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the driving route guida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상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분리형 와치 모듈이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분리형 와치 모듈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길 안내 모드로서 단말기 거치대의 정보 출력부에 길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GPS 안내 모드로서 단말기 거치대의 정보 출력부에 GPS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1 is a side view of a terminal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th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etachable watch module mounted on a terminal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chable watch module.
5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road guidanc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n information output unit of a terminal cradle in a road guidanc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GPS guidanc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n information output unit of a terminal cradle in a GPS guidanc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ompletely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상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분리형 와치 모듈이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분리형 와치 모듈을 도시한 그림이다.1 is a side view of a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th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etachable watch module mounted on a terminal cradle according to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chable watch module.

본 발명의 단말기 거치대(200)는, 흡착부(210), 연결부(220), 거치부(230), 정보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알람등(2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hold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dsorption unit 210 , a connection unit 220 , a holder unit 230 , and an information output unit 240 . In addition, an alarm light 250 may be included.

흡착부(210)는 흡착 패드를 가져 사물체의 벽면에 흡착될 수 있도록 한다. 흡착 패드는 고정하고자 하는 부분, 즉, 차량의 전면 유리, 차량 대쉬 보드 상면 등에 흡착력으로 부착될 수 있다. 흡착부(210)는 흡착 패드 대신에 양면 테이프 또는 벨크로(소위, 찍찍이) 등으로 구현되어, 차량의 전면 유리, 차량 대쉬 보드 상면 등에 부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The adsorption unit 210 has a suction pad to be adsorb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object. The suction pad may be attached to a portion to be fixed, ie, a windshield of a vehicle, an upper surface of a vehicle dashboard, or the like by an absorption force. The adsorption unit 210 may be implemented with a double-sided tape or Velcro (so-called clasp) instead of a suction pad, and may be implemented to be attached to the windshield of a vehicle, the upper surface of the vehicle dashboard, or the like.

연결부(220)는 거치부(230)의 거치 하우징(233)과 흡착부(210)를 연결하는 연결체로서, 거치부(230)를 운전자의 시선 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22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한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연결암(connection arm)이 힌지 결합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연결암을 상술하면, 다수의 연결암(221,222)은 흡착부(210)와 거치부(230) 사이에서 상호 간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연결암들(221,222)로 인해 거치부(230)가 운전자 쪽으로 좀 더 돌출되게 접근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편의를 위해 2개의 제1연결암(221) 및 제2연결암(222)을 개시하였지만 도시된 것을 벗어나 연결부(220)의 개수는 3개 이상일 수도 있다.The connection unit 220 is a connector that connects the mounting housing 233 of the mounting unit 230 and the adsorption unit 210 , and may direct the mounting unit 230 in the driver's gaze direction. The connection unit 22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as shown in FIGS. 1 to 3 , a plurality of connection arms may be implemented to be hinged. In detail of the connection arm, the plurality of connection arms 221 and 222 are parts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between the adsorption unit 210 and the mounting unit 230 . Due to these connecting arms 221 and 222, the mounting portion 230 may be approached to protrude more toward the dri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wo first connecting arms 221 and the second connecting arms 222 are disclosed for convenience, but the number of the connecting parts 220 may be three or more outside the illustration.

제1연결암(221)은 흡착부(210)와 제1힌지(H1)로 연결된다. 따라서 흡착부(210)에 대해 제1연결암(221)의 틸팅(tilting)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힌지(H1)로서 통상의 스텝 힌지가 적용될 수 있다. 암 연결부는 제1연결암(221) 및 제2연결암(222)에 결합되며, 이러한 암 연결부는 제2힌지(H2)로 연결되며, 통상의 스텝 힌지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암(221)에 대해 제2연결암(222)이 단계별로 회동하여 접혀져 길이가 축소되거나 또는 펼쳐져서 확장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arm 221 is connected to the adsorption unit 210 by a first hinge H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tilting angle of the first connecting arm 221 with respect to the adsorption unit 210 . Here, a conventional step hinge may be applied as the first hinge H1. The female connection part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arm 221 and the second connection arm 222 , and the femal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H2 , and a conventional step hinge may be applied. Accordingly, the second connection arm 222 may be rotated step-by-step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on arm 221 to be folded to reduce the length or to expand and expand.

이밖에 연결부(220)는 복수개의 연결암의 힌지 결합 구조가 아닌 플렉서블 재질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신축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재질로 연결부(220)를 구현함으로써, 연결부(220)를 구부리게 휘어서 운전자의 시선 방향과 거치부(230)가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22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flexible material rather than a hinge coupling structure of a plurality of connection arms. By implementing the connection part 220 with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stretched and deformed, the connection part 220 can be bent so that the driver's gaze direction and the mounting part 230 coincide with each other.

거치부(230)는, 네비게이션 정보가 출력되는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다. 단말기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100), 네비게이션 단말기, 다양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edia player) 등과 같이 네비게이션이 구동되어 길 안내를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경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목적지까지 경로 정보인 네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하여 길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네비게이션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아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출고 당시에 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으며, 또는 구글 마켓 등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 역시 자동적으로 실행되어, 단말기 거치대(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후술할 분리형 와치 모듈(3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unting unit 230 may be mounted on a terminal to which navigation information is output. The terminal may include any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road guidance by driving navigation,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uch as a smart phone, a navigation terminal, variou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portable media player (PMP), etc. . In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a navigation application may be executed to output navigation information that is route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to perform route guidance. The navigation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program that executes navigation, and is an application that receives a destination from a user and guides a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Such a navigation application may be loaded with a program at the time of ship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r may be downloaded and installed from Google Market. In addition, when the navigation application is executed, the termi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also automatically executed, so that the terminal cradle 200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are made. In additio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ay be made with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to be described later.

거치부(230)가 단말기를 거치하는 방식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단말기를 거치하는 예시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거치부(230)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수 없다. 예컨대, 자석식이 사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The manner in which the mounting unit 230 mounts the terminal describes an example in which the terminal is mount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f the mounting unit 230 is only one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magnetic type may be used.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단말기를 거치하는 본 실시예에서의 거치부(230)는, 한 쌍의 단말기 홀더(231)가 단말기를 파지하게 된다. 즉, 거치 플레이트판(234)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단말기 홀더(231)가 상호간 좁혀지는 방향으로 탄성 동작될 수 있다. 때문에 사용자는 한 쌍의 단말기 홀더(231)를 벌려 그 사이에 단말기를 배치한 후에, 벌린 한 쌍의 단말기 홀더(231)를 놓으면 한 쌍의 단말기 홀더(231)가 탄성적으로 접근되면서 단말기를 집어 고정시킬 수 있다.A pair of terminal holders 231 hold the terminal in the holder 230 in this embodiment, which holds the terminal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at is, the pair of terminal holders 231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234 may be elastically operated in a mutually narrowing direction. Therefore, the user opens the pair of terminal holders 231 and places the terminal between them, and then releases the pair of opened terminal holders 231, the pair of terminal holders 231 are elastically approached and pick up the terminal. can be fixed.

이를 위하여 거치부(230)는, 연결부(220)와 결합되는 후면을 가지는 거치 하우징(233)과, 거치 하우징(233)의 전면에 위치하며 단말기의 후면이 거치되는 거치 플레이트판(234)과, 거치 플레이트판(234)의 양측면에서 형성되어 단말기의 양측면을 파지할 수 있는 단말기 홀더(2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230)는 거치 플레이트판(234)의 양측면과 홀더 후면판(231a)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체(2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탄성체(232)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거치 플레이트판(234)의 양측면에서 각각 돌출된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홀더가 단말기의 양측면을 탄성 복원력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거치 하우징(233)은 연결부(220)와 결합될 때, 연결부(220)와 회전 가능하도록 볼(ball) 타입 또는 톱니 결합 타입으로 결합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mounting unit 230 includes a mounting housing 233 having a rear surface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220, a mounting plate plate 234 located in front of the mounting housing 233 and o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is mounted, I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plate 234 and may include a terminal holder 231 capable of holding both sides of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mounting part 230 may include an elastic body 232 formed betwee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plate 234 and the holder back plate 231a. That is, the elastic body 232 may have a spring-like elastic restoring force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each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plate 234 . Accordingly, the terminal holder can hold both sides of the terminal with elastic restoring force. When the mounting housing 233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220 , it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220 in a ball type or a sawtooth coupling type so as to be rotatable.

단말기 홀더(231)는, 탄성체(232)의 돌출 방향으로 확장되어 탄성체(232)에 연결된 홀더 후면판(231a)과, 홀더 후면판(231a)과 마주보며 이격 대향된 홀더 전면판(231c)과, 홀더 전면판(231c)과 홀더 후면판(231a)을 연결하는 홀더 연결판(231b)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 후면판(231a)과 홀더 전면판(231c) 사이에 단말기가 놓이며, 거치 플레이트판(234)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홀더 연결판(231b)이 상호간 좁혀지는 방향으로 탄성 동작될 수 있다. The terminal holder 231 extends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elastic body 232 and faces the holder back plate 231a connected to the elastic body 232, the holder back plate 231a and the holder front plate 231c facing away from each other and , it may include a holder connecting plate 231b connecting the holder front plate 231c and the holder rear plate 231a. The terminal is placed between the holder back plate 231a and the holder front plate 231c, and a pair of holder connecting plates 231b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plate 234 can be elastically operated in a mutually narrowing direction. have.

홀더 전면판(231c)의 전면에는 알람등(250)이 위치할 수 있다. 알람등(250)은 네비게이션 안내 모드에 따라서 점등 형태를 다르게 하여 점등 및 점멸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단말기 거치대(200)가 서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드로 연동된 경우에는 파란색으로 점등하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단말기 거치대(200)가 무선 연동되지 않은 경우 빨간색의 점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An alarm light 250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of the holder front plate 231c. The alarm lamp 250 lights and flickers in a different lighting form according to the navigation guidance mode. For examp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terminal cradle 20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in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de, they are lit in blu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terminal cradle 200 are not wirelessly interlocked Lighting of red may be made.

또한 알람등(250)은 차량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점등 온/오프의 점멸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GPS 위치 정보로부터 차량 속도를 계산하여, 차량 속도가 현재 도로에서의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점멸 동작을 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 현재 속도를 색상 구분을 통하여 정속/과속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현재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정속인 경우에는 알람등(250)을 초록색으로 표시하며, 반대로 차량 현재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한 과속인 경우에는 알람등(250)을 빨간색으로 점멸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larm lamp 250 may warn the user by flickering on/off lighting when the vehicle speed exceeds the speed limit. The vehicle speed is calculated from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vehicle speed exceeds the speed limit on the current road, a flash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warn the us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visually display whether the vehicle is speeding or not through color classification of the current speed. For example, if the current vehicle speed is a constant speed that does not exceed the speed limit, the alarm light 250 is displayed in green. On the contrary, if the current vehicle speed is overspeed exceeding the speed limit, the alarm light 250 is displayed in red. can be set to blink.

정보 출력부(240)는, 거치부(230)에 결합되어 네비게이션 정보가 출력된다. 정보 출력부(240)에서 출력되는 네비게이션 정보는,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네비게이션 정보(제1네비게이션 정보)와 다른 네비게이션 정보(제2네비게이션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길 안내 정보이며, 정보 출력부(240)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GPS 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is coupled to the mounting unit 230 to output navigation information. The navig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may output navigation information (first navigation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navig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terminal 100 (second navig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terminal 100 may be road guidanc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utput from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may correspond to GPS information.

정보 출력부(240)에서 출력되는 네비게이션 정보는, 길 안내 정보, GPS 안내 정보를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길 안내 정보는,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안내 정보, 목적지까지의 주행 중에 휴게소 안내 등을 포함하는 안내 정보이다. 즉, 길 안내 정보라 함은 단말기(100)의 네비게이션에서 생성되어 수신한 정보로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정보, 휴게소 안내 정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 밖에 길 안내 정보는 차선 안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100m 앞에서 우회전 또는 좌회전을 해야 하는 경우, 1,2차선을 이용하라는 차선 정보 안내가 해당될 수 있다.The navig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may include road guidance information and GPS guidance information. Here, the road guide information is guide information including travel route guide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service area guide while driving to the destination, and the like. That is, the road guide information is information generated and received by the navigation of the terminal 100 , and may correspond to route guide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service area guide inform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road guidance information may include lane guidance information. For example, if you need to turn right or left 100m ahead, lane information guidance to use lanes 1 and 2 may correspond.

GPS 안내 정보는 현재 위치에서 시설물(예컨대, 단속 카메라 등)까지의 거리, 현재 속도, 시간 등을 포함하는 안내 정보이다. 즉, GPS 안내 정보라 함은,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100)가 거치된 차량의 단속 카메라 등의 위치가 차량 현재 위치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를 나타내는 시설물 거리 안내 정보,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현재 속도, 현재 시간, 현재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GPS 안내 정보 중에서 단속 카메라까지의 거리를 안내하기 위하여, 단말기 거치대(200)는 단속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단속 카메라의 위치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될 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The GPS guide information is guide information including a distance, a current speed, and a time from a current location to a facility (eg, a surveillance camera). That is, the GPS guide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that can be generated using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indicates how far away the loca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of the vehicle o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mounted is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Distance guide information, current speed calculated using GPS location information, current time, current location, etc. may be included. For reference, in order to guide the distance from the GPS guide information to the intercept camera, the terminal cradle 200 sto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ception camera.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mittent camera may be updated when interwork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정보 출력부(240)는 두 가지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데, 하나의 방식은, 홀더 전면판(231c)의 전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 표시판으로 구현할 수 있다. LCD, LED 등의 정보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표시판을 홀더 전면판(231c)의 전면에 일체형으로 마련하여, 디스플레이 표시판을 통하여 길 안내 정보, GPS 안내 정보 등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may be implemented in two forms. One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panel integral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er front plate 231c. A display panel capable of outputting information such as LCD and LED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er front panel 231c, so that navigation information such as road guidance information and GPS guidance information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panel.

이밖에 네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240)의 다른 하나의 방식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 전면판(231c)의 전면에 삽입홈(242)이 형성된 홀딩판(241)을 두어서 홀딩판(241)의 삽입홈(242)에 분리형 와치 모듈(300)을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분리형 와치 모듈(300)은 삽입홈(242)에서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정보 출력부(240)는, 홀더 전면판(231c)의 전면에 결합된 플레이트판인 홀딩판(241)과,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분리형 와치 모듈(3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홀딩판(241)의 전면에 파여진 삽입홈(242)과, 삽입홈(242)에 삽입된 분리형 와치 모듈(300)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착탈 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컨대, 분리형 와치가 삽입 홈에 삽입된 후 별도의 체결체로 고정시킬 수 있다. 분리시에는 체결체를 해제하여 분리형 와치를 삽입 홈에서 이탈시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착탈 수단의 다른 실시 구현예로서, 홀딩판(241)의 삽입홈(242)의 상면을 제1극성(N극)을 가지는 자성체로 구현하며, 분리형 와치 모듈(300)의 바닥면을 제2극성(S극)을 가지는 자성체로 구현하여, 분리형 와치 모듈(300)의 바닥면이 삽입 홈의 상면에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method of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for outputting navigation information is to place a holding plate 241 having an insertion groove 242 formed on the front of the holder front plate 231c as shown in FIG. 2 . It can be implemented by inserting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into the insertion groove 242 of the holding plate 241 .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may be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insertion groove 242 . To this end,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includes a holding plate 241, which is a plate plat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holder front plate 231c, and a detachable watch module 300 capable of displaying navigation information, to be inserted. It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242 cut in the front of the holding plate 241 and a detachable means (not shown) capable of detaching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42 . This detachable mean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fter the detachable watch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t may be fixed with a separate fastener. During separation, the fastener can be released to separate the detachable watch from the insertion groove. 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detachable means,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242 of the holding plate 241 is implemented with a magnetic material having a first polarity (N pol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is formed with a second By implementing a magnetic material having a polarity (S pole), the bottom surface of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by magnetic force.

여기서 분리형 와치 모듈(3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 타입으로 구현되어, 시계줄(310)에 결합된 안착판(320)에서 분리시킨 분리형 와치 모듈(300)이 단말기 거치대(200)의 홀딩판(241)의 삽입홈(242)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시계 타입의 분리형 와치 모듈(3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단말기 거치대(200)로부터 GPS 안내 정보와 같은 네비게이션 정보를 무선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Here,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is implemented as a watch type as shown in FIG. 4 , and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separated from the seating plate 320 coupled to the watch strap 310 is a terminal holder 200 . I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42 of the holding plate 241 of the. The watch-typ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may inclu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g,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o wirelessly receive and display navigation information such as GPS guid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cradle 200 .

이밖에 분리형 와치 모듈(300)은,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되는 안드로이드 웨어(Android wear)와 같은 웨어러블(wearable) 장치인 스마트 와치(smart watch)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길 안내 정보 등이 근거리 무선 통신(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 와치로 제공되며, 단말기 거치대(200)의 삽입홈(242)에 삽입된 스마트 와치에서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 안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watch, which is a wearable device such as Android wear that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ir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navigation appl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provided to the smart watch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and displayed on the smart watch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42 of the terminal holder 200 . Alternatively, voice guidance may be provid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terminal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기 거치대(200)는,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 거치대 GPS 모듈(292), 거치대 제어부(295), 전력 제공부(293), 충전 단자부(29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 거치대 GPS 모듈(292), 거치대 제어부(295), 전력 제공부(293), 충전 단자부(294)는 거치부(230)의 하우징에 매립 또는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terminal cradle 200 may include a crad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91 , a cradle GPS module 292 , a cradle control unit 295 , a power supply unit 293 , and a charging terminal unit 294 . The crad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91 , the cradle GPS module 292 , the cradle controller 295 , the power providing unit 293 , and the charging terminal 294 may be embedded or protruded from the housing of the cradle 230 . have.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길 안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NFC 모듈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이루어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rad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91 may receive route guidanc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y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The cradl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91 includ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an NFC module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정보 출력부(240)가 일체형 디스플레이 표지판이 아닌 분리형 와치 모듈(300)로 구현되는 경우,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는, 분리형 와치 모듈(300)내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길 안내 정보를 분리형 와치 모듈(300)에 무선 중계할 수 있으며, 또는 단말기 거치대(200)에서 자체적으로 생성한 GPS 안내 정보를 분리형 와치 모듈(300)에 무선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is implemented as a detachable watch module 300 rather than an integrated display sign, the crad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91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 Thus,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n be wirelessly relayed to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or the GPS gui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terminal cradle 200 can be transmitted to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Can be transmitted wirelessly.

거치대 GPS 모듈(292)은, 적어도 세 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이하에서는, 단말기 거치대(200)에 마련된 거치대 GPS 모듈(292)에서 산출한 GPS 위치 정보를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라 칭하기로 한다.
The cradle GPS module 292 receives GPS data from at least three or more GPS satellites and calculates GPS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received GPS data. Hereinafter, GPS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radle GPS module 292 provided in the terminal cradle 200 will be referred to as cradle calculated GPS location information.

거치대 제어부(295)는, 단말기 연동 모드, 단말기 미연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안내 모드로서 정보 출력부(240)인 디스플레이 표시판 또는 분리형 와치 모듈(300)을 통하여 출력하는데,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블루투스 연결) 여부에 따라서 다음 두 가지 형태로서 동작될 수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단말기 거치대(200)간의 근거리 무선 연동 여부에 따라 정보 출력부(240)에서 출력되는 정보 출력 형태가 단말기 연동 모드 또는 단말기 미연동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하면, 거치대 제어부(295)는,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를 통하여 무선 연동된 경우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를 통하여 수신한 길 안내 정보 또는 거치대 GPS 모듈(292)에서 자체적으로 산출한 GPS 안내 정보를 정보 출력부(240)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말기 연동 모드,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간에 무선 연동되지 않은 경우 단말기 거치대의 거치대 GPS 모듈(292)에서 자체적으로 산출한 GPS 안내 정보를 정보 출력부(240)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말기 미연동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로서 동작할 수 있다.The cradle control unit 295 outputs through the display panel or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that is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as a guide mode of any one of the terminal interworking mode and the terminal non-interworking mode, and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Bluetooth connection). ) or not, it can be operated in the following two forms. That is, the information output form output from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may be determined as a terminal interworking mode or a terminal non-interworking mode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terminal cradle 200 are interworking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nnection. In more detail, the cradle control unit 295, when wirelessly interwork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crad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91 through the cradl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91,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or the cradle GPS module 292 ) in the terminal interlocking mode for outputting the GPS guide information calculated by itself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crad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91 is not wirelessly linked, the cradle GPS module of the terminal cradle It may operate as any one of the terminal non-interlocking modes in which the GPS guide information calculated by itself at 292 is output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

단말기 연동 모드란,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와 단말기 거치대(200)의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간에 근거리 무선 링크가 연결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단말기 연동 모드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180)은 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에 연동된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를 통하여 길 안내 정보를 전송하며, 단말기 거치대(200)의 거치대 제어부(295)는 정보 출력부(24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단말기 연동 모드로서 정보 출력부(240)의 분리형 와치 모듈(300)에 길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예시를 도시한 그림이다. 단말기 연동 모드로 동작시에 분리형 와치 모듈(300)에는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방향을 간략하게 표시하여, 운전자가 직관적으로 주행 경로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terminal interworking mode refers to a state in which short-range wireless link-connected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termi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holde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91 of the terminal cradle 200 . In the terminal interworking mode state, the navigation application 18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route guidance information through the crad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91 linked to the termi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and the terminal holder 200 of the cradle control unit 295 may output the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of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in the terminal interworking mode. When operating in the terminal interlocking mode, the driving route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may be briefly displayed on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so that the driver can intuitively know the driving route.

이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단말기 거치대(200)간의 근거리 무선 연동이 이루어지는 단말기 연동 모드에는, 거치대 제어부(295)는 수신한 길 안내 정보 또는 자체적으로 생성한 GPS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기 연동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목적지 설정이 있는 경우 주행 경로를 안내하거나 휴게소 등을 안내하거나 차선 정보를 안내하는 길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속도, 현재 위치, 현재 시간 등을 표시하거나 단속 카메라가 근접하는 경우에 단속 카메라 경고 표시하는 GPS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참고로, GPS 안내 정보는 거치대 GPS 모듈(292)에서 자체적으로 산출한 GPS 안내 정보가 해당될 수 있으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GPS 안내 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연동 모드로 동작시에 길 안내 정보가 아닌 GPS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180)에서 보내주는 표시 명령 정보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erminal interworking mode in which short-range wireless interworking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terminal cradle 200 is performed, the cradle control unit 295 outputs the received road guidance information or GPS guidance information generated by itself in a terminal interworking mode. can operate as For example, when driving on a road, if there is a destination setting, road guidance information for guiding a driving route, guiding a rest area, or guiding lane information may be output. In addition, GPS guidance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current speed, the current location, the current time, etc. or displaying the intercept camera warning when the interception camera approaches may be output. For reference, the GPS guide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GPS guid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radle GPS module 292 , or may correspond to GPS gui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In addition, when GPS guidance information, not road guidance information, is displayed when operating in the terminal interlocking mode, it may be determined by display command information sent from the navigation application 18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결국, 단말기 연동 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표시되는 길 안내 정보를 분배하여 단말기 거치대(200)의 정보 출력부(240)의 디스플레이 표시판이나 분리형 와치 모듈(300)을 통해 출력할 수 있게 되어, 화면 영역의 최적화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좁은 화면에 표시되는 여러 정보 중에서 시인성이 필요한 중요한 길 안내 정보(방향, 거리 등)는 단말기 거치대(200)의 정보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거치대(200)의 정보 출력부(240)에 표시되는 길 안내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화면 영역이 최적화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operating in the terminal interworking mode,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distributed and output through the display panel of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of the terminal holder 200 or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 Thus,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screen area and improve visibility. For example, important route guidance information (direction, distance, etc.) requiring visibility among variou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narrow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output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of the terminal holder 200 . have. Therefore, since there is no need to display the road guid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of the terminal holder 200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screen are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n be optimized. .

한편,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블루투스 연결) 여부에 따른 두 번째 형태는,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되지 않아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길 안내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단말기 미연동 모드의 동작 형태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form according to whether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Bluetooth connection) or no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the terminal non-interlocking mode It is an action form.

단말기 미연동 모드란,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와 단말기 거치대(200)의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간에 근거리 무선 링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 데이터 통신이 단절된 상태이다. 단말기 미연동 모드에서는, 거치대 제어부(295)는 거치대 GPS 모듈(292)에서 자체적으로 산출한 GPS 안내 정보를 정보 출력부(24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단말기 미연동 모드로서 정보 출력부(240)의 분리형 와치 모듈(300)에 GPS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GPS 안내 정보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위치에서 단속 카메라까지의 거리가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단속 카메라는 차량 등의 주행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지를 단속하는 카메라이다. 또한 GPS 안내 정보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속도, 현재 시간, 현재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In the terminal non-interlocking mode, the short-range wireless link is not connected between the termi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crad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91 of the terminal cradle 200, so data communication is cut off. In the terminal non-interlocking mode, the cradle controller 295 may output the GPS guid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radle GPS module 292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GPS guid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of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in a terminal non-interlocking mode. The GPS guide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the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intermittent camera as shown in FIG. 7( a ). Here, the enforcement camera is a camera that controls whether the traveling speed of a vehicle or the like exceeds a speed limit. In addition, the GPS guide information may display the current speed, the current time, and the current location as shown in FIG. 7(b) .

따라서 이러한 단말기 미연동 모드인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거치 여부와 관계없이, 거치대 제어부(295)는, 정보 출력부(240)를 통하여 자체적으로 생성한 GPS 안내 정보만을 출력할 수 있다. 즉,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단말기 미연동 모드인 경우에는, 단말기 거치대(200)에서 자체적으로 생성한 GPS 안내 정보만을 분리형 와치 모듈(3000을 통해 출력하는 단말기 미연동 모드로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such a terminal non-interlocking mode, regardless of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the cradle control unit 295 may output only the GPS guide information generated by itself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 That is, in the case of the terminal non-interlocking mode to whi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not connected, only the GPS gui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terminal cradle 200 itself can be operated as a terminal non-interlocking mode that is output through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0. .

한편, 단말기 미연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거치대 제어부(295)는, 단말기 거치대(200)에서 산출한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수신한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작 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거치대의 GPS 모듈을 저가의 제품으로 구현할 경우,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가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보다 더 정확하기 때문에,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가 아닌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안 된 경우에는, 거치대에서 자체적으로 산출한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참고로,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할 시에는, 시설물 위치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 시설물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시설물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참고로,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할 시에는, 단속 카메라와 같은 시설물의 위치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시설물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시설물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operating in the terminal non-interlocking mode, the cradle controller 295 uses the cradle calculated GPS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terminal cradle 200 or the terminal calculated GPS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You can create GPS guidance information. When the terminal calculated GPS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GPS guid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using the terminal calculated GPS location information. If the GPS module of the cradle is implemented as a low-cost product in order to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terminal is more accurate than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radle, To generate guide information. However, if the terminal calculated GPS locat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GPS guid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using the cradle calculated GPS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re not connected, GPS guide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the cradle calculated GPS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radle itself. For reference, when generating GPS guide information, a distance to a specific facility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by using a facility location database storing data on location of the facility. For reference, when generating GPS guide information, a distance to a specific facility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by using a facility location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on location points of facilities such as a surveillance camera.

전력 제공부(293)는, 외부 전력을 제공받아 구동 전력으로 변환하여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 거치대 GPS 모듈(292), 거치대 제어부(295)에 각각 제공한다. 또한 단말기 거치대(200)는, 분리형 와치 모듈(300)을 유선 또는 무선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부(294)를 구비한다. 충전 단자부(294)는, 단말기 홀더(231)의 전면에 마련되어, 마련되어, 전력 제공부(293)의 구동 전력으로 단말기 홀더(231)에 거치된 분리형 와치 모듈(300)의 배터리에 무선 충전 또는 유선 충전을 수행한다. 참고로, 무선 충전의 경우에는 무선충전 패드를 통한 전자파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하는 방식이며, 유선 충전의 경우에는 단자핀 접촉을 통하여 충전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93 receives external power, converts it into driving power, and provides it to the crad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91 , the cradle GPS module 292 , and the cradle controller 295 ,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erminal holder 200 includes a charging terminal 294 for wired or wireless charging of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 The charging terminal unit 294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holder 231 , and is wirelessly charged or wired to the battery of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 231 with the driving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293 . perform charging. For reference, in the case of wireless charging, it is a method of wireless charging using electromagnetic wave energy through a wireless charging pad, and in the case of wired charging, it can be implemented by charging through a terminal pin contact.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부(230)에 거치된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하여 표시되는 전자 지도상에 길 안내 정보를 상세하게 디스플레이하며, 속도 위반, 휴게소 안내 등의 간단한 GPS 안내 정보를 정보 출력부(240)의 일체형으로 된 디스플레이 표시판이나 분리형으로 된 분리형 와치 모듈(30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운전자의 주행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네비게이션이 동작되지 않더라도 정보 출력부(240)를 통하여 GPS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운전자가 통화나 다른 용도로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사용하더라도 정보 출력부(240)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GPS 안내 정보 등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As a result, the terminal crad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 displays detailed directions for guidance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map display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ounted on the cradle 230 . In addition, by displaying simple GPS guidance information, such as speed violations and service area guidance, through the integrated display panel of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or the detachable watch module 300 , it is possible to assist the driver in driving. In addition, GPS guidanc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even if the navig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not operated, so even if the driver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calls or other purposes, the information output unit ( 240),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rovide navigation information such as GPS guide information.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variously change and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0:이동통신단말기 200:단말기 거치대
210:흡착부 220:연결부
230:거치부 240:정보 출력부
300:분리형 와치 모듈
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erminal holder
210: adsorption unit 220: connection unit
230: cradle 240: information output unit
300: detachable watch module

Claims (8)

네비게이션 정보가 출력되는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PS 신호를 거치대 산출 네비게이션 정보로 산출하는 GPS 모듈;
상기 단말기로부터 출력하는 네비게이션 정보 또는 거치대의 GPS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거치대를 연동 및 비연동 모드로 설정하는 거치대 제어부;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동 또는 비연동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네비게이션 정보 또는 GPS모듈에서 출력되는 네비게이션 정보가 출력되는 정보 출력부;
상기 정보출력부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분리형 와치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형 와치 모듈은,
상기 거치대 제어부가 연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비연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단말기 거치대의 GPS 모듈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네이게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흡착 패드를 가져 사물체의 벽면에 흡착 가능한 흡착부; 및
상기 거치부와 흡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a cradle on which a terminal on which navigation information is output can be mounted;
a GPS module for calculating a GPS signal received from a GPS satellite as cradle-calculated navigation information;
a cradle controller configured to selectively receive navig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terminal or navig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a GPS module of the cradle to set the cradle to interlocking and non-interlocking modes;
an information output unit coupled to the cradle and outputting navig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terminal or navig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GPS module according to the interlocking or non-interlocking mode;
The information output unit,
It consists of a detachable watch module capable of display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The detachable watch module,
When the cradle control unit is set to the interlocking mode, it receives and outputs naviga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hen it is set to the non-interlocked mode, receives and outputs the naviga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module of the terminal cradl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zed by,
an adsorption unit capable of adsorbing on the wall of an object having a suction pad;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holding part and the adsorption part;
A terminal cradl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단말기의 후면이 거치되는 거치 플레이트판; 및
상기 거치 플레이트판의 양측면에서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의 양측면을 파지할 수 있는 단말기 홀더;
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ing portion,
a mounting plate on which the rear of the terminal is mounted; and
a terminal hold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to hold both sides of the terminal;
A terminal cradle comprising a.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 플레이트판의 양측면과 상기 단말기 홀더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홀더가 상기 단말기의 양측면을 탄성 복원력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Including; an elastic body formed betwee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plate and the terminal holder;
a termina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holder can grip both sides of the terminal with an elastic restoring force;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홀더는,
홀더 후면판;
상기 홀더 후면판과 마주보며 이격 대향된 홀더 전면판; 및
상기 홀더 전면판과 상기 홀더 후면판을 연결하는 홀더 연결판;
을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3, wherein the terminal holder,
holder backplane;
a holder front plate facing away from the holder back plate; and
a holder connecting plate connecting the holder front plate and the holder rear plate;
A terminal cradle comprising a.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홀더 전면판에 위치하여 네비게이션 안내 모드에 따라서 점등 형태를 다르게 하여 점등하는 알람등;을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nd an alarm lamp positioned on the front plate of the holder to turn on a different lighting type according to the navigation guidance mod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홀더 전면판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 표시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information output unit,
The termina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panel integrally coupled to the holder front pane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홀더 전면판에 결합된 플레이트판인 홀딩판;
상기 분리형 와치 모듈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홀딩판의 전면에 파여진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분리형 와치 모듈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 수단;
을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information output unit,
a holding plate which is a plate plate coupled to the front plate of the holder;
an insertion groove cut in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ing plate so that the detachable watch module can be inserted; and
a detachable means for detaching the detachable watch modul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 terminal cradle comprising a.
삭제delete
KR1020140114224A 2014-08-29 2014-08-29 Terminal cradle KR1022658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224A KR102265856B1 (en) 2014-08-29 2014-08-29 Terminal cradle
PCT/KR2014/010710 WO2016032056A1 (en) 2014-08-29 2014-11-07 Terminal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224A KR102265856B1 (en) 2014-08-29 2014-08-29 Terminal cra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182A KR20160026182A (en) 2016-03-09
KR102265856B1 true KR102265856B1 (en) 2021-06-16

Family

ID=5539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224A KR102265856B1 (en) 2014-08-29 2014-08-29 Terminal crad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5856B1 (en)
WO (1) WO2016032056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445Y1 (en) 2023-02-15 2023-11-09 주식회사 엠피지오 Cradle for mobi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120B1 (en) * 2018-02-27 2019-06-05 유영상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465A (en) * 2007-05-31 2008-12-04 주식회사 엑스로드 Navigation device having direction indicator
KR200448942Y1 (en) * 2008-04-25 2010-06-09 (주)디코인 Cradle for mounting navigation having internal antenna
KR20110012104A (en) * 2009-07-29 2011-02-09 박승복 Apparatus and method of indicating direction for navigation system
KR101219089B1 (en) * 2010-10-04 2013-01-11 임재중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with indicator of direction
KR20130049860A (en) * 2011-11-07 2013-05-15 김성훈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KR101468023B1 (en) 2012-09-13 2015-01-29 (주)애니토이 Uphold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445Y1 (en) 2023-02-15 2023-11-09 주식회사 엠피지오 Cradle for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182A (en) 2016-03-09
WO2016032056A1 (en)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46345A (en) Controller of vehicle and the vehicle including the controller of vehicle
JP2011156895A (en) Mirror device, and mirror system
EP2733005A2 (en) Vehicular display system
JP6531299B2 (en) Multifunctional smart backpack
CN103676153A (en) Wirelessly controlled heads-up display
JP2014094647A (en) Vehicle display device
US20200148382A1 (en) Aerial vehic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KR102265856B1 (en) Terminal cradle
KR20150110986A (en) Car warning triangle
WO2015124994A1 (en) Mounting for a mobile device
KR20130068357A (en) Display system of front glass for vehicle
US20200215968A1 (en) Messaging display apparatus
KR101886084B1 (en) Gesture recognition apparatus for vehicle
CN103105715B (en) Display device with projecting apparatus
JP4829387B1 (en) Terminal hol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103105722A (en) Transportation tool with projecting apparatus
CN204286449U (en) A kind of guider for navigating
KR20110024945A (en) Cradle having gps function in portable device
CN115891644A (en) Display method, device, vehicle and storage medium
KR102174799B1 (en) Apparatus for navigation information
KR102231777B1 (en) Apparatus for terminal cradle
CN103112522A (en) Lighting device with projective device
JP5651898B2 (en)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KR20160021474A (en) Apparatus for wireless charge
WO2017208056A1 (en) Traffic inform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