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806B1 - 차량 이동형 캠핑용 텐트 - Google Patents
차량 이동형 캠핑용 텐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5806B1 KR102265806B1 KR1020210019923A KR20210019923A KR102265806B1 KR 102265806 B1 KR102265806 B1 KR 102265806B1 KR 1020210019923 A KR1020210019923 A KR 1020210019923A KR 20210019923 A KR20210019923 A KR 20210019923A KR 102265806 B1 KR102265806 B1 KR 1022658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t
- safety
- rotation guide
- wagon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60P3/341—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comprising flexible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67—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consisting of articulated or rigidly assembled bars or tubes forming a V-, Y-, or U-shaped draw gear
- B60D1/1675—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consisting of articulated or rigidly assembled bars or tubes forming a V-, Y-, or U-shaped draw gear comprising extendable, retractable or foldable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245—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facilitating push back or parking of trai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collapsible or retractable when not in use, e.g. hide-away hit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61—Foldable, extensible or yielding trail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04H15/08—Trailer awning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이동형 캠핑용 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방에 견인부재가 연결되어 차량을 통한 이동이 가능하며, 텐트가 설치되는 웨건에서 메인부재가 돌출되어 견인 안전부재를 통해 절곡된 상태로 안전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높이의 조절과 독립되게 이동시 간편하게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이동형 캠핑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텐트를 포함하는 박스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텐트 보관부재가 설치된 메인바디는 바디 돌출부에 연결되는 고정부재의 체결공간에 한 쌍의 다리부재를 연결하되;
상기 다리부재는 다리 연결대가 연결되고, 고정부재로 돌출길이가 조절되어 텐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신축부재의 하측으로 캐스터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에 연결되며 다수개의 중앙 연결구멍을 갖는 선단에 회전 안내구가 설치된 메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안내구가 결합하는 회전 안내홈의 상측으로 결합공간에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접혀진 상태로 견인되며 한쪽으로 견인부재가 돌출되어 차량과 연결되는 견인 안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텐트를 포함하는 박스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텐트 보관부재가 설치된 메인바디는 바디 돌출부에 연결되는 고정부재의 체결공간에 한 쌍의 다리부재를 연결하되;
상기 다리부재는 다리 연결대가 연결되고, 고정부재로 돌출길이가 조절되어 텐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신축부재의 하측으로 캐스터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에 연결되며 다수개의 중앙 연결구멍을 갖는 선단에 회전 안내구가 설치된 메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안내구가 결합하는 회전 안내홈의 상측으로 결합공간에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접혀진 상태로 견인되며 한쪽으로 견인부재가 돌출되어 차량과 연결되는 견인 안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이동형 캠핑용 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방에 견인부재가 연결되어 차량을 통한 이동이 가능하며, 텐트가 설치되는 웨건에서 메인부재가 돌출되어 견인 안전부재를 통해 절곡된 상태로 안전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높이의 조절과 독립되게 이동시 간편하게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이동형 캠핑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문화가 활성화 되려면 주 5일 근무 와 국민소득 2만 불이 필수적이며 여기에 1가구 1차량이 형성되면 오토캠핑이 활성화 되며 도심이 복잡해질수록 자연을 찾는 심리로 인해 야외에서 여가를 즐기는 인구는 자연히 늘어나고 있다.
보통 여행지에서는 콘도, 리조트, 호텔 등의 숙박시설을 이용한다. 이는 사람이 몰리는 시즌에는 사용하기 힘들고 비용도 상대적으로 높아 큰 부담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자연과 조금 더 가까운 곳에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주말 및 레저를 즐기려는 수요로 인해 오토캠핑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 하나의 문화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가장 많이 하는 캠핑은 텐트를 이용한 캠핑 방법이 있다. 이는 설치와 해체가 불편하고 바닥 생활로 인해 비가 오는 상황에서는 물고임을 방지해야하며 무거운 캠핑 장비를 집에서 차량으로 차량에서 집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많은 사용자들이 불편해 하는 방식이다.
이로 인해 차량 지붕위에 접이식텐트를 매달고 다니는 이른바 루프탑 텐트가 활성화 되었다. 루프탑 텐트 방식은 접이식 텐트 이외의 캠핑장비를 차량과 집으로 옮기는 반복된 노동을 해야하며 가족과 사용하기에 불편한 좁은 공간과 차량지붕위에 높게 설치된 텐트에 사다리를 이용하여 오르내리기 때문에 안전상의 위험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는 단점이 있다.
근래에는 모든 캠핑장비를 이동 보관하는 카고 트레일러를 활용한 캠핑도 많이 활성화 되었다가 좀 더 편리한 카고 트레일러와 텐트가 조합된 폴딩트레일러(텐트 트레일러)에게 자리를 내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것들보다 좀 더 고가의 장비로는 트레일러에 주택내부와 흡사한 장비를 갖춘 카라반, 차량 자체에 주택내부와 흡사한 장비를 갖춘 모터홈 등이 있다.
견인되는 트레일러와 카라반은 견인차량을 일상의 또 다른 용도로 사용 할 수도 있다는 장점과 모터홈 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 등의 장점이 있지만 주차와 보관문제로 인한 고민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모터홈은 용도가 한정적이며 높은 차고로 인한 지하주차가 불가하며 비싼 가격이 단점이지만 트레일러 견인보다는 운전이 편리하므로 은퇴를 앞둔 분들의 로망으로 불리는 차량이기도하다.
루프탑 텐트의 원래의 용도는 정글이나 밀림 등지를 탐험 시 동물의 위협을 피하기 위해 고안된 형태로서 SUV차량의 높은 지붕위에 설치하여 빠르게 펼쳐서 휴식 및 잠을 자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국내에 서는 많이 개량되어 펼쳐진 텐트아래에 공간을 확장하는 투룸과 투룸에 추가로 공간을 확장하는 쓰리룸 형태로 변화한 것도 있으나 이용 상의 불편함과 협소한 공간, 차량에 적재된 다른 캠핑장비와 일체화된 공간을 제공하기 어렵고 가족이 사용하기에 편리한 공간을 제공하지 못한다.
루프탑은 지붕위에서 펼쳐지는 모습을 보았을 때 차량의 폭 방향으로 펼쳐지는 방식이 일반적이며 이렇게 펼쳐졌을 때 펼쳐진 폭 방향에 사다리를 통한 출입구가 생긴다. 이로 인해 통상적으로 차량의 후방에 트렁크 및 수납공간이 있는데 이를 텐트 공간과 연결하여 일체형으로 사용하기가 힘들다.
루프탑 텐트는 길이방향으로 펼쳐졌을 경우에는 통상 차량의 본넷트 방향 또는 트렁크 공간으로 펼쳐진다. 통상 트렁크방향으로 펼쳐지는 경우 펼쳐진 길이방향에 사다리를 통한 출입구가 생기지만, 이 방식은 텐트의 폭이 차량을 폭을 과도하게 넘어서지 못해 2∼3인용에 그치며 트렁크 방향으로 어닝룸을 확장했을 경우 확장 폭이 매우 좁아지고 중앙에 사다리 구조물이 생겨 추가의 인원이 바닥에서 생활하거나 잠을 자는 공간이 여유롭지 못한 불편함과, 차량이 기울어지게 주차된 경우 바닥면의 수평이 유지되지 않는 불편한 상태에서 사용해야 하거나, 바람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문제점 및 트레일러를 차량에서 분리한 상태로 여행중에 차량만 이용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 또는 노약자와 같은 몸이 불편한 환자가 있는 경우 이용에 많은 제약을 받는 등의 결점이 있다.
일반적인 루프탑은 차량의 지붕 위 루프에 고정한다고 해서 루프탑 텐트라 불려 지며 지붕위에 고정하고 다니므로 미관상 좋지 않은 점과 주행 시 주행 공기 저항에 의한 심한 풍절음과 연비저하 등을 감수해야하며 플라스틱 및 FRP 재질의 외관으로 개선된 제품이 있긴 하지만 이 제품도 한정된 생활공간과 낮은 지하주차장 진입 시제품이 파손되는 사례와 자동 세차장 이용 시 일정 부분만 닦이거나 아예 진입을 하지 못하는 등 여러 가지 불편은 감수하여야 한다.
일반적이고 최근 가장 각광받는 제품인 루프탑텐트 형태의 제품들은 차량의 지붕위에 고정을 하고 다니는 방식이다.
기존 루프탑텐트 방식은 한번 설치하면 60∼100Kg 상당의 무게를 지닌 텐트를 1∼2명이 탈착하기란 불가능하므로 4인이상 또는 설치점에 방문하여 장비를 이용한 탈거 가능하고, 주로 캠핑을 즐기는 캠퍼들의 차량은 높이가 높은 SUV차량을 이용한다. 그 차량에 루프탑텐트를 설치하였을 때 높이가 40∼50cm 가량 높이지면서 아파트 지하주차장이나 마트주차장을 통과에 제약이 따르며, 낫선 환경에서의 건물 출입에 대한 부담감이 높는 것이 단점이다.
자동세차가 불가능하며 손세차를 해야하고 또한 차량의 지붕과 텐트의 사이가 좁아서 차량의 지붕세차는 불가능한 단점과, 상기에서 설명했듯이 1∼2인이 쉽게 탈착 불가능하기 때문에 한번 설치하면 계속 장착을 하고 다녀야하며 약 100kg 상당의 텐트무게와 바람저항으로 인해 매일 2∼4km/L의 손해를 볼 수 있다.
아울러, 바람의 저항과 안전을 위하여 루프탑텐트의 제조사에서 100∼110km이하의 속도를 권장하는 문제점과, 루프탑텐트의 경우 차량의 지붕에 설치되어 있어서 사다리를 타고 오르내리며 캠핑용품을 올리고 내려야하는 번거로움과 위험이 따른다.
캠핑지에서 텐트를 설치하고 난 후에는 차량이 이동을 하려면 다시 텐트를 접고 이동해야 한다. 캠핑지에서 필요한 물건이나 난로 연료, 식품 등이 부족하여 구입하러 갈 경우에는 힘들게 세팅한 텐트를 다시 접은 후에나 차량이 움직일 수 있고, 어르신들은 매우 힘들며 어린 아이들은 항상 위험을 안고 있는 동시에 텐트안에서 아이들이 놀고 있어도 어른중 누군가는 항상 감독을 하고 있어야 한다.
2m 이상의 높이에서 떨어지거나 사다리를 오르내리다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실제로 그러한 사고들이 발생한 사례가 많고, 캠핑을 가면 보통 소량이든 어느 정도의 음주를 하기 마련므로 사다리를 오르내리다가 낙상사고가 일어날 수 있으며, 술을 마시지 않았어도 아침에는 비몽사몽한 상태에서 사다리를 오르내리다가 위험한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차량과 고정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루프탑텐트방식은 차량이 앞/뒤로 기울거나 좌/우로 기울게 된다면 텐트 또한 기울어져 설치가 되기 마련이다. 차량의 위에 설치가 되어있기 때문에 작은 움직임이나 바람에도 휘청휘청하여 바닷가에 거주하는 캠퍼들은 루프탑텐트 설치를 많이 주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루프탑텐트 제품을 차량 지붕이 아닌 랙 시스템에 장착을 하고 이동하며 캠핑지에서 세팅하고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설치후에는 차량을 이동할 수 있고 평소에는 집에 보관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텐트를 보관 및 펼치는 웨건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메인부재와 견인부재 사이의 견인 안전부재에서 여러단계로 안정된 결합상태를 제공하며, 웨건을 상측으로 절곡시켜 세운상태로 운행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텐트를 보관하는 웨건을 독립되게 바닥면에서 굴려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절곡시켜 세워진 웨건을 바닥에 내리기 위해 회전하는 과정에서 중량물임에도 안정된 회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웨건에 차량 번호판과 차폭등 및 안개등과 같은 다양한 안전물이 설치되어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웨건의 높이조절이 가능해 텐트 바닥을 수평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하며, 차량을 이용한 텐트를 설치한 후 차량과 텐트를 분리해 차량의 독립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텐트를 포함하는 박스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텐트 보관부재가 설치된 메인바디는 바디 돌출부에 연결되는 고정부재의 체결공간에 한 쌍의 다리부재를 연결하되;
상기 다리부재는 다리 연결대가 연결되고, 고정부재로 돌출길이가 조절되어 텐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신축부재의 하측으로 캐스터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에 연결되며 다수개의 중앙 연결구멍을 갖는 선단에 회전 안내구가 설치된 메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안내구가 결합하는 회전 안내홈의 상측으로 결합공간에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접혀진 상태로 견인되며 한쪽으로 견인부재가 돌출되어 차량과 연결되는 견인 안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다리부재는 다리 연결대가 연결되고, 고정부재로 돌출길이가 조절되어 텐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신축부재의 하측으로 캐스터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에 연결되며 다수개의 중앙 연결구멍을 갖는 선단에 회전 안내구가 설치된 메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안내구가 결합하는 회전 안내홈의 상측으로 결합공간에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접혀진 상태로 견인되며 한쪽으로 견인부재가 돌출되어 차량과 연결되는 견인 안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텐트를 보관 및 펼치는 웨건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메인부재와 견인부재 사이의 견인 안전부재에서 여러단계로 안정된 결합상태를 제공하여 차량으로부터 웨건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강한 결합력으로 견고한 견인이 가능하며, 바퀴를 사용하지 않고 웨건을 상측으로 절곡시켜 세운상태로 차량의 후방에 독립되게 띄워진 상태로 운행되어 최소한의 면적과 운행에 편리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텐트를 보관하는 웨건을 독립되게 분리해 콘크리트 또는 정리된 바닥면에서 사면에 형성된 바퀴를 힘들이지 않고 굴려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절곡시켜 세워진 웨건을 바닥에 내리기 위해 회전하는 과정에서 중량물임에도 회전 안내구와 회언 안내홈의 호상 결합으로 움직임을 최소화시켜 안정된 회전 이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웨건에 차량 번호판과 차폭등 및 안개등과 같은 다양한 안전물이 설치되어 차량의 운행 및 주차시 웨건의 후방을 통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퀴가 연결되는 부분을 통해 각 방향에서 웨건의 높이조절이 가능해 텐트 바닥을 수평방향으로 설치해 편안하게 즐길수 있도록하며, 차량을 이용한 텐트를 설치한 후 차량과 텐트를 분리해 관광과 시장 등 차량의 독립된 운행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텐트 제거상태의 후레인 연결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웨건에 대한 주요 부부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설치해 보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설치해 보관하는 상태를 나타낸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설치해 보관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설치해 보관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웨건에 대한 펼친상태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웨건에 대한 차량 이동시 접은 상태의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설치해 차량 이동시 접은 상태의 후방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설치해 차량 이동시 접은 상태의 측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웨건에 대한 차량 이동시 접은 상태의 평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웨건에 대한 차량 이동시 접은 상태의 저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견인 안전부재와 견인부재에 대한 펼친상태 평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견인 안전부재와 견인부재에 대한 저면 사시도
도 17 은 본 발명의 견인 안전부재에 대한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 은 본 발명의 메인부재와 견인 안전부재를 결합하기 이전 펼친상태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19 는 본 발명의 메인부재와 견인 안전부재를 연결한 상태의 측면 사시도
도 20 은 본 발명의 메인부재와 견인 안전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21 은 본 발명의 메인부재와 견인 안전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22 는 본 발명의 견인 안전부재에서 메인부재를 세워 연결한 견인상태 요부확대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웨건에 대한 주요 부부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설치해 보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설치해 보관하는 상태를 나타낸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설치해 보관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설치해 보관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웨건에 대한 펼친상태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웨건에 대한 차량 이동시 접은 상태의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설치해 차량 이동시 접은 상태의 후방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설치해 차량 이동시 접은 상태의 측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웨건에 대한 차량 이동시 접은 상태의 평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웨건에 대한 차량 이동시 접은 상태의 저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견인 안전부재와 견인부재에 대한 펼친상태 평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견인 안전부재와 견인부재에 대한 저면 사시도
도 17 은 본 발명의 견인 안전부재에 대한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 은 본 발명의 메인부재와 견인 안전부재를 결합하기 이전 펼친상태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19 는 본 발명의 메인부재와 견인 안전부재를 연결한 상태의 측면 사시도
도 20 은 본 발명의 메인부재와 견인 안전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21 은 본 발명의 메인부재와 견인 안전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22 는 본 발명의 견인 안전부재에서 메인부재를 세워 연결한 견인상태 요부확대 단면도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표현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 사시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텐트 제거상태의 후레인 연결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웨건에 대한 주요 부부의 설치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텐트를 적재하여 보관하거나 펼쳐지도록 하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웨건(100)과,
상기 웨건(100)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메인부재(40)를 견인 안전부재(50)에 연결하며,
상기 견인 안전부재(50)에 견인부재(60)가 설치되어 차량에 연결해 웨건(100)이 부양된 상태에서 견인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웨건(100)은 바닥의 상태에 따라 차량에 의해 견인 또는 인력으로 이동 및 운반과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리부재(30)가 한쌍으로 양쪽에 코너부재(20)를 통하여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방향에 설치된 코너부재(20)에는 다리부재(30)가 각각 연결되거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다리부재(30)는 측면에서 볼 때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후 상측의 코너부재(20)에서 체결공간(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측의 스톱퍼(22)를 통해 펼친상태가 고정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다립재(30)는 다리 연결대(31)를 통하여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하측방향으로 각각 고정부재(33)를 통하여 신축부재(34)의 높이가 조절되어 전체적인 높이와 수평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신축부재(34)의 하측 선단에는 캐스터(32)가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사방의 코너부재(20)에는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메인바디(10)에서 바디 돌출부(11)가 돌출되어 볼트형태의 고정과 용접고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고정되도록 하며, 메인바디(10)의 양쪽 중앙 부분에는 중앙 연결부재(42)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중앙 연결부재(42)의 양쪽을 관통하도록 메인부재(40)가 메인바디(10)와 교차되도록 고정되며, 중앙 연결부재(42)를 관통하는 메인부재(40)는 한쪽에서 돌출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중앙 연결구멍(41)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 연결구멍(41)이 형성된 선단에서 견인 안전부재(50)와 고정핀(44)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부재(40)의 하측 한 부분에는 번호판(45)이 고정되어 있어서 후방에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견인 안전부재(50)는 레버(51)에 의해 내부의 중앙공간(52)으로 메인부재(40)가 접혀질 때 외부에서 고정되도록 하며, 전방으로 견인부재(60)가 돌출된 후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견인구멍(61)이 형성되어 차량에 의해 견인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설치해 보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설치해 보관하는 상태를 나타낸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설치해 보관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설치해 보관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에 나타낸 것이다.
웨건(100)의 메인바디(10) 상부에는 텐트 보관부재(200)를 통하여 접어진 텐트(300)를 일정한 크기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텐트 보관부재(200)의 하측에는 사각형의 박스 고정부재(210) 내부에 격자형태로 보강바(2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텐부 보관부재(200)가 세워져 박스 고정부재(210)가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하측방향에서 양쪽 선단에 차폭등(230)과 방향지시등(240)이 설치되어 차량의 운전 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에 관한 것이다.
웨건(100)이 견인된 후 텐트(300)를 설치할 위치에 정차하여 웨건(100)을 90도 회전시켜 지면에 다리부재(30)가 닿도록 하고, 다리부재(30)의 내부에 있는 신축부재(34)를 돌출시켜 캐스터(32)가 지면에 닿도록 하거나 높이를 조절해 메인바디(10)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고정부재(33)를 통하여 고정시키는 동시에 텐트(300)는 보호 연결구(330)를 축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막 보호대(320)의 펼침을 통하여 장막(310)이 일정한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장막(310)은 보호대 연결구(330)의 전방으로 접은 상태의 2배 정도 내외의 크기에서 확장되며 출입 연결구(350)의 하측에 사다리(360)가 연결되어 지면에 닿아 출입이 허리 정도의 높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출입부분에는 출입 보호대(3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텐트(300)는 메인바디(10)의 상부에 박스 고정부재(210)가 설치되어 슬라이딩되거나 회전 이동에 의해 바닥 면적이 확장 및 축소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웨건에 대한 펼친상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웨건에 대한 차량 이동시 접은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설치해 차량 이동시 접은 상태의 후방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웨건에 텐트를 설치해 차량 이동시 접은 상태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웨건에 대한 차량 이동시 접은 상태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웨건에 대한 차량 이동시 접은 상태의 저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견인 안전부재와 견인부재에 대한 펼친상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메인바디(10)의 사방에 설치되는 코너부재(20)에서 다리부재(30)가 메인바디(10)의 하측으로 필요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며, 메인부재(40)의 선단에 설치한 회전 안내구(43)를 통하여 웨건(100)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세워지도록 한 후 견인 안전부재(50)에서 이중으로 고정시켜 견인부재(60)를 통하여 차량에 연결한 후 웨건(100)이 바닥에 닿지않고 메달린 상태로 견인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견인 안전부재와 견인부재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견인 안전부재에 대한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메인부재와 견인 안전부재를 결합하기 이전 펼친상태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메인부재와 견인 안전부재를 연결한 상태의 측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메인부재와 견인 안전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메인부재와 견인 안전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견인 안전부재에서 메인부재를 세워 연결한 견인상태 요부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견인 안전부재(50)는 견인부재(60)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측으로 메인부재(40)에 설치한 회전 안내구(43)의 선단이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회전 안내구(43)가 결합되어 회전이 안내되는 회전 안내홈(57)에 안전핀 구멍(58)이 설치된 후 고정핀(44)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 안내홈(57)의 상측에는 결합공간(52)이 형성되어 메인부재(40)가 위치하며 중앙 연결구멍(41)고 일치하는 안전구멍(55)이 양쪽에 적어도 2개씩 형성되어 핀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공간(52)의 개방되는 부분에는 안전덮개(54)가 한쪽에서 회전안내축(54a)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안전덮개(54)의 중앙 부분에는 레버(51)가 연결되어 회전 이동하는 걸고리(51a)가 설치되고, 상기 걸고리(51a)를 통하여 고정되거나 이탈되는 안전고리(53)가 설치되어 걸고리(51a)를 통하여 메인부재(40)를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바디(10)의 사방에 형성된 바디 돌출부(11)를 코너부재(20)와 고정하며, 상기 코너부재(20)에는 다리부재(30)가 체결공간(21)에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펼친상태에서 하측의 캐스터(32)를 통해 인력에 의해 건물의 내부 및 복도 등에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힘들이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캐스터(32)는 신축부재(34)와 연결되어 다리부재(30)에서 자유롭게 돌출되므로 돌출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상황에 맞는 높이를 신속하게 조절한 후 고정부재(33)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캐스터(32)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도 있으로 중량물의 웨건(100)을 운반하는데 편리한 것이다.
또한, 코너부재(20)에 체결공간(21)에서 연결하는 다리부재(30)는 회전이 가능하므로 펼쳐 사용하거나 접어서 폭을 줄일 수 있어서 접은 상태로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시에만 노출시켜 사용하게 되고, 텐트(300)를 설치하는 경우 전체적인 높이가 맞지 않게 되더라도 독립되게 높이가 조절되어 신속하게 수평을 유지한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텐트(300)를 설치하기 위해서 웨건(100)의 다리부재(30)를 통해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박스 고정부재(210)를 한쪽 방향으로 노출시켜 바닥면적이 2배 정도로 상승되도록 하고, 텐트 보관부재(200)에서 보호대 연결구(330)를 중심으로 막 보호대(320)가 펼쳐져 텐트(300)가 설치되도록 하며, 텐트(300)는 장막(310)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필요한 경우 출입 보호대(340)를 통하여 한 부분을 개방해 출입이 가능한 것과, 사다리(360)를 설치해 허리 높이의 텐트(300) 내부를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텐트(300)는 고정된 웨건(100)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바닥 면적이 크게 증가되므로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에 사용가능한 바닥을 제공하여 수분으로부터 분리된 공간을 제공하고, 바닥에 낮게 설치되어 바람으로부터 영향을 덜받을 수 있는 동시에 매우 안정적인 바닥공간과 텐트(300)를 제공할 수 있어서 어린이와 노약자 등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웨건(100)은 차량을 사용해 견인한 후 견인부재(60)를 분리함으로써 간편하게 탈거할 수 있게되고, 탈거한 후에는 텐트(300)를 독립적으로 사용하며 차량은 주변 관광이나 쇼핑 등 자유롭게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웨건(100)은 차량을 통한 견인시 견인부재(60)의 견인구멍(61)을 이용해 차량에 연결하고, 텐트(300)가 적재된 상태에서 레버(51)를 통해 안전고리(53)와 걸고리(51a)를 분리해 안전덮개(54)를 개방시킨 후 메인부재(40)의 회전 안내구(43)가 회전 안내홈(57)에 결합되어 안전핀 구멍(58)에 고정핀(44)을 끼워 연결한 상태에서 웨건(100)을 들어올리면 고정핀(44)을 축으로 메인부재(40)가 들리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 안내구(43)의 구형 형태와 회전 안내홈(57)의 구형 보호 구조 및 결합 형태에 따라 부드럽게 회전이동되며 상측으로 90도 회전되어 접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웨건(100)이 회전으로 상승된 후에는 메인부재(40)가 결합공간(52)에 맞춰지게 되므로 견인 안전부재(50)와 메인부재(40)가 일치되며 핀으로 안전구멍(55)과 중앙 연결구멍(41)을 관통시켜 웨건(100)이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웨건(100)을 세워 고정한 후에는 안전덮개(54)를 회전시켜 메인부재(40)의 한 방향을 덮어 결합공간(52)을 보호하고, 레버(51)를 사용해 걸고리(51a)가 안전고리(53)에 고정되도록 하면 회전 안내축(54a)을 통하여 메인부재(40)와 메인 고정부재(50)의 결합으로 고정핀(44)과 안전덮개(54) 및 안전구멍(55)에서 3중 구조로 견고한 결합상태와 다중 안전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웨건(100)을 세워 연결하게 되면, 차량의 뒤에서 노출되는 높이가 자전거를 거치하는 것보다 더 낮게 설치되므로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되며, 웨건(100)이 지면에 닿지 않고 지상에 떠 있는 상태로 견인되는 매우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하여 텐트를 가지고 편리한 운행이 가능하고, 텐트를 사용한 위치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웨건(100)을 세우게 되면 중앙 하측에 번호판(45)이 설치되어 있고, 양쪽의 하측에 차폭등(230)과 방향지시등(240)과 같이 차량의 안전운행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텐트(3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세워진 웨건(100)을 회전시켜 지상으로 내려야 하므로 레버(51)를 사용해 걸고리(51a)가 안전고리(53)와 분리된 후 회전 안내축(54a)을 통하여 안전덮개(54)가 결합공간(52)을 개방시키게 되며, 안전구멍(55)에 있는 핀을 제거하고 웨건(100)을 회전이동시키면 회전 안내구(43)가 구형으로 형성되어 회전 안내홈(57)에 결합된 상태에서 안전핀 구멍(58)과 고정핀(44)의 결합에 의한 회전 안내기능으로 중량물의 웨건(100)이 기우뚱하는 등의 움직임이 없이 그대로 90도 회전 이동되어 지면에 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회전 안내구(43)와 회전 안내홈(57)의 구형 결합에 의해 메인부재(40)가 부드럽게 회전되며 세워지거나 세워진 상태에서 지상에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는 구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누구나 편리하게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텐트(300)가 설치된 웨건(100)은 보관시 견인부재(60)와 메인부재(40)가 연결되는 부분을 90도 절곡시켜 보관할 수 있으며, 다리부재(30)를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이어서 보관 면적을 크게 축소시켜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메인바디 11 : 바디 돌출부
20 : 코너부재 21 : 체결공간
22 : 스톱퍼 30 : 다리부재
31 : 다리 연결대 32 : 캐스터
33 : 고정부재 34 : 신축부재
40 : 메인부재 41 : 중앙 연결구멍
42 : 중앙 연결부재 43 : 회전 안내구
44 : 고정핀 45 : 번호판
50 : 견인 안전부재 51 : 레버
51a : 걸고리 52 : 결합공간
53 : 안전고리 54 : 안전덮개
54a : 회전 안내축 55 : 안전구멍
60 : 견인부재 61 : 견인구멍
100 : 웨건 200 : 텐트 보관부재
210 : 박스 고정부재 220 : 보강바
230 : 차폭등 240 : 방향지시등
300 : 텐트 310 : 장막
320 : 막 보호대 330 : 보도대 연결구
340 : 출입 보호대 350 : 출입 연결구
360 : 사다리
20 : 코너부재 21 : 체결공간
22 : 스톱퍼 30 : 다리부재
31 : 다리 연결대 32 : 캐스터
33 : 고정부재 34 : 신축부재
40 : 메인부재 41 : 중앙 연결구멍
42 : 중앙 연결부재 43 : 회전 안내구
44 : 고정핀 45 : 번호판
50 : 견인 안전부재 51 : 레버
51a : 걸고리 52 : 결합공간
53 : 안전고리 54 : 안전덮개
54a : 회전 안내축 55 : 안전구멍
60 : 견인부재 61 : 견인구멍
100 : 웨건 200 : 텐트 보관부재
210 : 박스 고정부재 220 : 보강바
230 : 차폭등 240 : 방향지시등
300 : 텐트 310 : 장막
320 : 막 보호대 330 : 보도대 연결구
340 : 출입 보호대 350 : 출입 연결구
360 : 사다리
Claims (10)
- 텐트(300)를 포함하는 박스 고정부재(210)로 이루어지는 텐트 보관부재(200)가 설치된 메인바디(10)는 바디 돌출부(11)에 연결되는 고정부재(20)의 체결공간(21)에 한 쌍의 다리부재(30)를 연결하되;
상기 다리부재(30)는 다리 연결대(31)가 연결되고, 고정부재(33)로 돌출길이가 조절되어 텐트(3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신축부재(34)의 하측으로 캐스터(32)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10)에 연결되며 다수개의 중앙 연결구멍(41)을 갖는 선단에 회전 안내구(43)가 설치된 메인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안내구(43)가 결합하는 회전 안내홈(57)의 상측으로 결합공간(52)에 연결구멍(55)이 형성되어 접혀진 상태로 견인되며 한쪽으로 견인부재(60)가 돌출되어 차량과 연결되는 견인 안전부재(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형 캠핑용 텐트.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재(40)는 메인바디(10)에 고정된 중앙 연결부재(42)의 양쪽을 관통하며 한쪽에서 돌출되어 일정한 간격에 중앙 연결구멍(41)이 설치되고 회전 안내홈(57)에 결합하는 회전 안내구(43)의 선단이 구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 안내홈(57)에 안전핀 구멍(58)이 설치된 후 고정핀(44)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형 캠핑용 텐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안전부재(50)는 하측에 회전 안내홈(57)이 회전 안내구(43)를 보호하도록 설치하고, 안전핀 구멍(58)에 고정핀(44)으로 연결하며, 상측에 결합공간(52)이 형성되어 양쪽에 중앙 연결구멍(41)과 핀으로 고정되는 안전구멍(5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형 캠핑용 텐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안전부재(50)는 결합공간(52)에 위치하는 안전덮개(54)가 연결되는 회전 안내축(54a)이 설치되고, 상기 안전덮개(54)가 연결된 레버(51)에 걸고리(51a)가 설치되어 안전고리(53)에 메인부재(4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형 캠핑용 텐트.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10)는 상측에 박스 고정부재(210)가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며, 상측에 텐트(300)가 펼쳐지도록 하고, 돌출된 하측에 사다리(3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형 캠핑용 텐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10)는 사면의 마디 돌출부(11)에 고정되는 코너부재(20)에 체결공간(21)에서 다리부재(30)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연결되며, 다리부재(30)의 외측방향에 스톱퍼(2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형 캠핑용 텐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9923A KR102265806B1 (ko) | 2021-02-15 | 2021-02-15 | 차량 이동형 캠핑용 텐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9923A KR102265806B1 (ko) | 2021-02-15 | 2021-02-15 | 차량 이동형 캠핑용 텐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5806B1 true KR102265806B1 (ko) | 2021-06-16 |
Family
ID=7660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9923A KR102265806B1 (ko) | 2021-02-15 | 2021-02-15 | 차량 이동형 캠핑용 텐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580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1379B1 (ko) | 2022-10-26 | 2023-08-29 | 주식회사 유랑 | 히치 리시버 장착형 에어매트 텐트 |
KR20230169564A (ko) | 2022-06-09 | 2023-12-18 | 이은인 | 히치 리시버 장착형 텐트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17734A (ja) * | 1993-10-27 | 1995-05-09 | Sanyo Kiki Kk | 運搬台 |
US20110260498A1 (en) * | 2008-07-01 | 2011-10-27 | Egbert Berend Holtkamp | Camping Vehicle Comprising A Tent Construction That Can be Folded Out |
KR101384696B1 (ko) | 2013-04-18 | 2014-04-14 | 오완곤 | 차량 장착용 텐트 |
KR101541341B1 (ko) | 2013-07-09 | 2015-08-03 | 주식회사 비 에프 엘 | 텐트의 지면 펼침용 캠핑 트레일러 |
KR20170119512A (ko) * | 2016-04-19 | 2017-10-27 | 박용주 | 접이식 구성의 자동차 탑재형 트레일러 |
KR20190001924U (ko) * | 2018-01-22 | 2019-07-31 | 안종은 | 차량용 접이식 자전거 거치장치 |
KR20190141951A (ko) | 2018-06-15 | 2019-12-26 | 이돈 | 차량 탈부착형 텐트 |
KR20200002445A (ko) | 2018-06-29 | 2020-01-08 | 주식회사 위드어스 | 자전거 발전기용 회전자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 |
-
2021
- 2021-02-15 KR KR1020210019923A patent/KR1022658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17734A (ja) * | 1993-10-27 | 1995-05-09 | Sanyo Kiki Kk | 運搬台 |
US20110260498A1 (en) * | 2008-07-01 | 2011-10-27 | Egbert Berend Holtkamp | Camping Vehicle Comprising A Tent Construction That Can be Folded Out |
KR101384696B1 (ko) | 2013-04-18 | 2014-04-14 | 오완곤 | 차량 장착용 텐트 |
KR101541341B1 (ko) | 2013-07-09 | 2015-08-03 | 주식회사 비 에프 엘 | 텐트의 지면 펼침용 캠핑 트레일러 |
KR20170119512A (ko) * | 2016-04-19 | 2017-10-27 | 박용주 | 접이식 구성의 자동차 탑재형 트레일러 |
KR20190001924U (ko) * | 2018-01-22 | 2019-07-31 | 안종은 | 차량용 접이식 자전거 거치장치 |
KR20190141951A (ko) | 2018-06-15 | 2019-12-26 | 이돈 | 차량 탈부착형 텐트 |
KR20200002445A (ko) | 2018-06-29 | 2020-01-08 | 주식회사 위드어스 | 자전거 발전기용 회전자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69564A (ko) | 2022-06-09 | 2023-12-18 | 이은인 | 히치 리시버 장착형 텐트 |
KR102571379B1 (ko) | 2022-10-26 | 2023-08-29 | 주식회사 유랑 | 히치 리시버 장착형 에어매트 텐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65806B1 (ko) | 차량 이동형 캠핑용 텐트 | |
US5839462A (en) | Extensible and retractable canopy structure for vehicles and the like | |
US20160311478A1 (en) | People & cargo transit systems & vehicles | |
US8590917B2 (en) | Fifth-wheel trailer with an adjustable floor and a method for its use | |
US3375836A (en) | Folding and automobile-transportable camping tent | |
CA2519724C (en) | Portable traffic signalling device | |
US20140251401A1 (en) | Portable sleeping assembly | |
US20170240088A1 (en) | Mini-Camper Attachable to Vehicle Hitch Receiver | |
US20170240089A1 (en) | Mini-Camper Attachable to Vehicle Hitch Receiver | |
KR101502850B1 (ko) | 기능성 캠핑 하우스 | |
US20210129731A1 (en) | Repositionable Deck Device for a Structure | |
US5938261A (en) | Mobile beverage station | |
US5381814A (en) | Canopy for mounting on a vehicle luggage rack | |
US5114202A (en) | Multipurpose trailer | |
KR102365923B1 (ko) | 이동식 캠핑하우스 | |
JP7338092B1 (ja) | キャンピングトレーラー | |
JP7296516B1 (ja) | セパレート型キャンピングトレーラー | |
KR20150098923A (ko) | 자전거용 캠핑 트레일러 | |
US4779391A (en) | Terrace house | |
KR20200002445U (ko) | 픽업 트럭용 폴딩텐트 | |
KR200313333Y1 (ko) | 원격제어 무단주차방지장치 | |
KR200382816Y1 (ko) | 차량용덮개를 겸한 카텐트 | |
AU2015100293B4 (en) | A Portable Sleeping Assembly | |
US9630547B2 (en) | Retractable shelter for providing protected space alongside a recreational vehicle having a slideout compartment | |
CN201694033U (zh) | 安装在汽车保险杆上的便携防晒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