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499B1 - Construction method of a heavy module in a building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a heavy module in a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499B1
KR102265499B1 KR1020190041409A KR20190041409A KR102265499B1 KR 102265499 B1 KR102265499 B1 KR 102265499B1 KR 1020190041409 A KR1020190041409 A KR 1020190041409A KR 20190041409 A KR20190041409 A KR 20190041409A KR 102265499 B1 KR102265499 B1 KR 102265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jack
module
horizontal
modu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4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19057A (en
Inventor
김영천
김명중
김정근
구본준
양동민
조동혁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1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499B1/en
Publication of KR20200119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0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4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6Combinations of several jacks with means for interrelating lifting or lower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07Elements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69Elements for special technical purposes, e.g. with a sanitar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04B2001/3588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using special lifting or handling devices, e.g. gantries, overhead conveying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에 배관 모듈과 같은 고하중 모듈을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외부 조립장으로 운반된 단위 모듈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 적치 가능하게 마련된 기단 상부에 거치하여 제1고정부가 구비된 모듈 조립체를 조립하는 제1단계와; 건물 내의 구조물에 상기 모듈 조립체의 제1고정부와 볼트 조립이 이루어지는 제2고정부를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기단의 하단으로 양중 운반장치가 진입하여 상기 모듈 조립체를 건물 내의 설치 위치로 운반하는 제3단계와; 상기 모듈 조립체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 양중 운반장치에 의해 상기 모듈 조립체를 양중하고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서로 볼트 조립하여 고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high-load module such as a piping module in a building, wherein a unit module transported to an external assembly site of a building is mounted on an upper part of a base provided so as to be stackable at a predetermined height or higher from the ground, and the first fixing A first step of assembling an additionally provided module assembly; a second step of installing a first fixing part of the module assembly and a second fixing part in which the bolt assembly is made in a structure in a building; a third step of transporting the module assembly to an installation location in a building by entering a lifting transport device into the lower end of the base; A fourth step of lifting the module assembly by the lifting transport device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module assembly and fixing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by bolting each other by adjusting the position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ncludes

Figure R1020190041409
Figure R1020190041409

Description

건물 내의 고하중 모듈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a heavy module in a building}Construction method of a heavy module in a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내에 배관 모듈과 같은 고하중 모듈을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high load module, such as a piping module, in a building.

일반적으로 플랜트 및 공장 등의 배관시설은 공조배관 및 급수배관 등의 배관을 설치할 때,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설치하고 배관을 설치하게 되며, 이때 여러 개의 배관 지지대 중 일부 지지대를 설치하고, 공조배관 및 급수배관 등의 배관을 지지대에 조립하는 공정을 반복하여 배관시설을 완공하게 된다. 이러한 배관 시설 절차는 지지대를 설치한 후에 배관을 순차적으로 각각 설치하기 때문에 공정시간이 길고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when piping facilities such as plants and factories are installed, when piping such as air conditioning piping and water supply piping is installe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piping is installed and the piping is installed. At this time, some supports among several pipe supports are installed, and the air conditioning piping An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pipe such as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support, the pipe facility is completed. This piping facility procedure has a problem in that the process time is long and work efficiency is lowered because the pipes are sequentially installed after the support is installed.

또한 종래의 파이프랙 설치 작업을 위하여 설치되는 비계는 작업 시에 추락에 의한 사고의 위험이 높으며, 비계 설치 및 해체 비용의 증가와 공사기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caffold installed for the conventional pipe rack installation work has a high risk of an accident due to a fall during the operatio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of installing and dismantling the scaffold increases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ncreases.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691489호와 등록특허공보 제10-1826011호에서는 공장에서 모듈화된 개별 배관모듈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조립하여 배관 시공이 이루어지는 배관일체형 모듈의 설치방법을 제안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91489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26011 propose a method for installing an integrated piping module in which the piping is assembled on site using individual piping modules modularized at the factory. are doing

등록특허공보 제10-1691489호(공고일자: 2016.12.30.)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91489 (Announcement Date: 2016.12.30.) 등록특허공보 제10-1826011호(공고일자: 2018.02.06.)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26011 (Announcement Date: 2018.02.06.)

본 발명은 건물 내에 설치되는 고하중 모듈을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모듈 시공방법에 있어서, 단일 양중 운반장치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고하중 모듈을 건물 내의 구조물까지 운반하고 설치할 수 있는 건물 내의 고하중 모듈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efficiently constructing a high-load module installed in a building, a high-load module in a building that can efficiently transport and install a high-load module to a structure in a building by using a single lift transport devic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of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내의 모듈 시공방법은, 건물의 외부 조립장으로 운반된 단위 모듈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 적치 가능하게 마련된 기단 상부에 거치하여 제1고정부가 구비된 모듈 조립체를 조립하는 제1단계와; 건물 내의 구조물에 상기 모듈 조립체의 제1고정부와 볼트 조립이 이루어지는 제2고정부를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기단의 하단으로 양중 운반장치가 진입하여 상기 모듈 조립체를 건물 내의 설치 위치로 운반하는 제3단계와; 상기 모듈 조립체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 양중 운반장치에 의해 상기 모듈 조립체를 양중하고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서로 볼트 조립하여 고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며, In a module construction method in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module having a first fixing part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provided so that the unit module transported to the external assembly site of the building can be placed at a certain height or higher from the ground. a first step of assembling an assembly; a second step of installing a first fixing part of the module assembly and a second fixing part in which the bolt assembly is made in a structure in a building; a third step of transporting the module assembly to an installation location in a building by entering a lifting transport device into the lower end of the base; A fourth step of lifting the module assembly by the lifting transport device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module assembly and fixing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by bolting each other by adjusting the position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ncludes,

상기 양중 운반장치는, 자체 동력에 의해 주행이 가능한 다축 플랫폼으로 구성된 SPMT와; 상기 SPMT 상부에 구비되어 복수 위치에서 적재물을 수직 방향으로 양중 가능한 복수 개의 잭업 장치와; 상기 SPMT와 상기 잭업 장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잭업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기 위한 수평 위치 조정장치를 포함한다.The lifting transport device, SPMT consisting of a multi-axis platform capable of running by its own power; a plurality of jack-up devices provided on the SPMT to vertically lift the loa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nd a horizontal position adjusting device provided between the SPMT and the jack-up devic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jack-up device in a horizontal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위치 조정장치는, 상기 SPMT와 상기 잭업 장치의 각각에 구비되어 연결빔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수평 조정유니트를 포함하며, 각 수평 조정유니트의 수평 조작력은 연결빔에 의해 인접한 수평 조정유니트로 전달된다.Preferably, the horizontal position adjustment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adjustment units provided in each of the SPMT and the jack-up device and connected by a connecting beam, and the horizontal operation force of each horizontal adjustment unit is adjacent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beam. It is transmitted to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조정유니트는, 상기 SPMT 상부에 고정되는 시트부와; 상기 잭업 장치가 안착 위치하여 상기 시트부 상부에서 전후/좌우 방향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잭업 플레이트와; 상기 시트부에 고정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잭업 장치를 전후 구동하게 되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시트부에 고정되어 상기 잭업 장치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게 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More preferably,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comprises: a seat portion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PMT; a jack-up plate in which the jack-up device is seated so as to be capable of horizontal movement in the front/rear/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portion; a hydraulic cylinder fixed to the seat portion to drive the jack-up device back and forth by hydraulic pressure; It is fixed to the seat portion and includes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jack-up devic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부의 상부면에는 마찰을 저감할 수 있는 테프론 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트부의 저면에는 상기 SPMT와 볼트 조립되어 고정되는 립 부재를 더 포함한다.More 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further includes a Teflon sheet capable of reducing fric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further includes a lip member that is bolted and fixed with the SPMT.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물 내의 구조물은 수평보 또는 수직보이다.Preferably, the structures in the building are horizontal beams or vertical beams.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내의 모듈 시공방법은, 일정 높이 이상에 적치 가능하게 마련된 기단 상부에 모듈 조립체를 조립하고, 모듈 조립체를 양중하여 수평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된 양중 운반장치를 이용하여 기단 상부에 거치된 모듈 조립체를 직접 설치 지점까지 운반하고 설치 위치에서 모듈 조립체를 미세 조정하여 건물 내의 구조물에 볼트 조립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고소 작업 또는 크레인 작업을 배제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안전하게 고하중 모듈 조립체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module construction method in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e assembly is assemb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provided so as to be stackable at a certain height or higher, and the module assembly is lifted to the base using a lifting transport device provided to enable position adjust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features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module assembly mounted on the top directly to the installation point, fine-tuning the module assembly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assembling the bolts to the structure in the building, thereby eliminating work at height or crane work in the field, and quickly and safe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high load module assembly can be made.

도 1의 (a) 내지 (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모듈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모듈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기단 구조물을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기단을 이용하여 모듈 조립체를 조립하는 과정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에서 모듈 조립체의 시공 전의 사전 작업 과정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중 운반장치를 보여주는 사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모듈 시공방법에서 기단에서 조립된 모듈 조립체를 운반하기 위해 양중 운반장치가 기단의 하단으로 진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모듈 시공방법에서 양중 운반장치에 의해 모듈 조립체를 건물 내의 시공 위치까지 운반하는 상태를 예시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모듈 시공방법에서 양중 운반장치에 의해 운반된 모듈 조립체를 건물 내의 설치 위치에 고정 설치하는 것을 예시하여 보여주는 도면.
1 (a) to (i)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ule construction method in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base structure for assembling a module assembly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module assembly using a base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work process before construction of a module assembly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lifting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device enters the lower end of the base to transport the module assembly assembled from the base in the module construction method in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dule assembly is transported to a construction location in a building by a lifting transport device in a module construction method in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fixed installation of the module assembly transported by the lifting device in the module construction method in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in the build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의 (a) 내지 (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의 모듈 시공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고하중 모듈은 건물 내에 설치되는 배관 모듈을 예시하여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1 (a) to (i)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module construction process in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load module exemplifies the piping module installed in the build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의 (a) 내지 (i)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건물 내의 고하중 모듈 시공방법은, 건물의 외부 조립장으로 운반된 단위 모듈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 적치 가능하게 마련된 기단 상부에 거치하여 제1고정부가 구비된 모듈 조립체를 조립하는 제1단계(a)(c)(d)와; 건물 내의 구조물(수평보 및/또는 수직보)에 모듈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부를 설치하는 제2단계(b)와; 기단의 하단으로 양중 운반장치가 진입하여 모듈 조립체를 건물 내의 시공 위치까지 직접 운반하는 제3단계(e)와; 모듈 조립체의 설치 위치에서 양중 운반장치에 의해 모듈 조립체를 양중하고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조작하여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서로 볼트 조립하여 고정하는 제4단계(f)(g)를 포함한다. 한편, 모듈 조립체를 건물 내의 구조물에 설치한 후에 양중 운반장치의 반출 과정(h)과, 건물 내의 구조물에 설치된 복수의 모듈 조립체 간의 조립 및 보강 작업 과정(i)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a) to (i), in the high-load module construction method in the building of this embodiment, the unit module transported to the external assembly site of the building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provided so that it can be placed at a certain height or higher from the ground. a first step (a) (c) (d) of assembling a module assembly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part by mounting; A second step (b) of installing a second fixing part for fixing the module assembly to the structure (horizontal beam and/or vertical beam) in the building; A third step (e) of directly transporting the module assembly to the construction location in the building by entering the lifting transport device to the lower end of the base; A fourth step (f) (g) of lifting the module assembly by a lifting transport device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module assembly and fixing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by bolting each other by manipulating the position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is included. On the other hand, after the module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structure in the building, it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 (h) of carrying out the lifting device and an assembly and reinforcement operation process (i) between the plurality of module assemblies installed in the structure in the building.

구체적으로, 제1단계는 외부 제작장에서 단위 모듈을 제작하며(a), 제작된 단위 모듈을 건물의 외부 조립장(건물 단지 내 조립장)으로 운반하며(c), 이후 건물의 외부 조립장에서 조립(d)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한편, 제2단계는 모듈 조립체의 시공 사전 작업으로, 건물 내에 모듈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설치하는 과정(b)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1단계와 제2단계를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제1단계와 제2단계는 병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Specifically, in the first step, the unit module is manufactured at an external manufacturing site (a), and the manufactured unit module is transported to the external assembly site (assembly site within the building complex) of the building (c), and thereafter, the external assembly site of the building Includ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d). Meanwhile, the second step is a pre-construction work of the module assembly, and includes a process (b) of installing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module assembly in the building.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are separately described to help understanding,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모듈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기단 구조물을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이다.2 is a front view showing a base structure for assembling a module assembly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건물과 인접한 외부 조립장에는 모듈 조립체(100)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기단(20)이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기단(20)은 양중 운반장치(200)가 진입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L) 이상에 모듈 조립체(100)를 거치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조물이다.Referring to FIG. 2 , the base end 20 where the assembly of the module assembly 100 is made is installed in the external assembly site adjacent to the building, and preferably, the base end 20 is located at which the lifting device 200 enters. It is a structure that can be fixed by mounting the module assembly 100 above a certain height (L) from the ground.

모듈 조립체(100)는 수직 포스트(110)의 상단에 제1고정부(11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고정부(111)는 건물의 수평보와 볼트 체결될 수 있는 조립공이 마련된다. 이러한 제1고정부(111)는 수직 포스트(110)의 상단에 별도 조립되어 고정되는 보강판일 수 있다.The module assembly 10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part 111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st 110 , and the first fixing part 111 is provided with an assembly hole that can be bolted to the horizontal beam of the building. The first fixing part 111 may be a reinforcing plate that is separately assembl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st 110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단(20)을 이용하여 모듈 조립체를 조립하는 과정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으로, 외부 제작장으로부터 운송된 단위 모듈(10)들은 기단(20)의 상부에 거치되어 모듈 조립체(100)의 조립이 이루어진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module assembly using the base 2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modules 10 transported from an external manufacturing plant are mounted on the base 20 and are mounted on the module. Assembly of the assembly 100 is made.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에서 모듈 조립체의 시공 전의 사전 작업 과정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work process before construction of a module assembly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제2단계의 모듈 조립체의 시공 사전 작업은 건물 내에 모듈 조립체(100)를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부를 설치하는 과정이며, 이러한 제2고정부는 모듈 조립체(110)에 마련된 제1고정부와 대응되어 볼트 조립이 이루어지는 부재로써 건물 구조물에 구비되는 매립판(embeded plate)과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pre-construction work of the module assembly in the second stage is a process of installing a second fixing part for fixing the module assembly 100 in the building, and this second fixing part is provided in the module assembly 110 . As a member for bolt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part, it may be provided by a fixing member such as an embedded plate provided in a building structure.

구체적으로 건물 내의 상부 수평보(30)에는 제1고정부(1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보강판(gusset plate)이 구비되며, 제1고정부(111)와 보강판은 볼트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horizontal beam 30 in the building is provided with a gusset pl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part 111, and the first fixing part 111 and the reinforcing plate are bolted and fixed. have.

다른 실시예로써, 수직보(40)에는 매립형 볼트(embeded bolt)(41)가 매립될 수 있으며, 모듈 조립체(100)의 시공 과정에서 모듈 조립체(100)의 일부 수직 포스트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부 브라켓(121)과 하부 브라켓(122)이 용접되고 상부 브라켓(121)과 하부 브라켓(122)이 매립형 볼트에 고정되어 모듈 조립체(1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an embedded bolt 41 may be embedded in the vertical beam 40 , respectively, at the top and bottom of some vertical posts of the module assembly 100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module assembly 100 . The upper bracket 121 and the lower bracket 122 are welded, and the upper bracket 121 and the lower bracket 122 are fixed to the embedded bolt to support the load of the module assembly 100 .

이와 같이 제2고정부는 모듈 조립체(100)에 마련된 복수의 제1고정부(111)와 대응되어 건물 내의 수평보(철골보) 및/또는 수직보에 볼트 조립이 가능한 매립판(embeded plate)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second fixing part corresponds to the plurality of first fixing parts 111 provided in the module assembly 100 by an embedded plate that can be bolted to the horizontal beam (cheolgol beam) and/or vertical beam in the building. may be provided.

다음으로, 모듈 조립체(100)의 설치 전의 사전 작업과 함께 기단(20) 상부의 모듈 조립체(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기단(20)의 하단으로 양중 운반장치(200)가 진입하여 모듈 조립체(100)를 건물 내의 시공 위치까지 직접 운반한다(제3단계).Next, when the assembly of the module assembly 100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20 is completed together with the preliminary work before the installation of the module assembly 100 , the lifting device 200 enters the lower end of the base 20 and the module assembly (100) is directly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in the building (step 3).

본 발명에서 양중 운반장치(200)는 기단(20)에서 조립된 모듈 조립체(100)를 설치 위치까지 운반하며, 또한 모듈 조립체(100)의 제1고정부와 건물 내에 사전 설치된 제2고정부를 연결 조립하는 과정에서 모듈 조립체(100)의 위치를 정확히 조정하는 역할을 직접 수행하며, 이하 본 발명의 양중 운반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device 200 transports the module assembly 100 assembled from the base 20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also the first fixing part of the module assembly 100 and the second fixing part installed in the building in advance. Directly serves to precis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module assembly 100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and assembl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중 운반장치를 보여주는 사시 구성도이다.5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양중 운반장치(200)는 자체 동력에 의해 주행이 가능한 다축 플랫폼으로 구성된 차체 추진 모듈 트랜스포터(Self-propelled modular transporter: 이하, "SPMT"라 함)(210)와, SPMT(210) 상부에 구비되어 복수 위치에서 적재물을 수직 방향(z 방향)으로 양중 가능한 복수 개의 잭업 장치(Jack-up system)(220)와, SPMT(210)와 잭업 장치(220) 사이에 구비되어 잭업 장치(220)를 수평 방향(x-y 평면)으로 위치 조정하기 위한 수평 위치 조정장치(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5, the lifting transport device 200 is a body propulsion module transporter (self-propelled modular transpor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MT") composed of a multi-axis platform capable of running by its own power (210), and SPMT A plurality of jack-up devices (Jack-up system) 220 that are provided on the upper part and can lift the load in the vertical direction (z-direction)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nd the SPMT 210 and the jack-up device 220 are provided between and a horizontal positioning device 230 for positioning the jack-up device 220 in a horizontal direction (xy plane).

SPMT(210)는 파워팩(powerpack)이 구비되어 자체 동력에 의해 주행이 가능한 다축 플랫폼 시스템으로 구성된 차체 추진 모듈 트랜스포터(Self-propelled modular transporter: 이하, "SPMT"라 함)에 의해 제공되며, 하중 조건에 따라서 추가가 가능하며, 하나의 모듈은 6개의 바퀴 축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바퀴 축 당 26톤의 적재 용량을 갖는다. The SPMT 210 is provided by a self-propelled modular transpor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MT"), which is provided with a powerpack and configured as a multi-axis platform system capable of driving by its own power, and the load It can be add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ne module is composed of 6 wheel axles and has a load capacity of 26 tons per wheel axle.

잭업 장치(220)는 자립식의 유압식 기구로서 고하중 승강용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잭업 장치(220)는 적재물의 하중을 고려하여 SPMT 상부에 적절히 배치될 수 있으며, 각 단위 잭업 장치는 서로 연동 제어가 가능하며, 승강 제어 높이는 mm 단위로 조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잭업 장치로는 에너팩(Enerpac)의 JS 시리즈가 사용될 수 있다.The jack-up device 220 may be provided by a high-load lifting device as a self-supporting hydraulic mechanism. Preferably, the plurality of jack-up devices 220 may be appropriately disposed on the upper SPMT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of the load, and each unit jack-up device is capable of interlocking control with each other, and the elevation control height is required to be adjusted in mm units. As such a jack-up device, Enerpac's JS series may be used.

수평 위치 조정장치(230)는 모듈 조립체의 수평 방향(x-y 평면)의 미세 조정을 위한 것으로, SPMT(210)와 각 잭업 장치(220) 사이에 구비되어 연결빔(231)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수평 조정유니트를 포함하며, 각 수평 조정유니트의 수평 조작력은 연결빔에 의해 인접한 수평 조정유니트로 전달된다.The horizontal position adjusting device 230 is for fine adjustment of the horizontal direction (xy plane) of the module assembly, and is provided between the SPMT 210 and each jack-up device 220 and is connected by a connecting beam 231 . It includes a horizontal adjustment unit, and the horizontal operation force of each horizontal adjustment unit is transmitted to an adjacent horizontal adjustment unit by a connecting beam.

구체적으로, 수평 조정유니트는 SPMT(210) 상부에 고정되는 시트부(232)와, 잭업 장치(220)가 안착 위치하여 시트부(232) 상부에서 전후/좌우 방향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잭업 플레이트(233)와, 시트부(232)에 고정되어 유압에 의해 잭업 장치(220)를 전후 구동하게 되는 유압 실린더(234)와, 시트부(232)에 고정되어 잭업 장치(22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게 되는 가이드부(235)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has a seat portion 232 fixed on the SPMT 210, and a jack-up device 220 is seated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in the front/rear/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seat portion 232 upper portion. The jack-up plate 233 and the hydraulic cylinder 234 fixed to the seat part 232 to drive the jack-up device 220 back and forth by hydraulic pressure, and the seat part 232 are fixed to the jack-up device 220 before and after It includes a guide portion 235 to guide the movement.

잭업 플레이트(233)는 연결빔(231)에 의해 인접한 수평 조정유니트의 잭업 플레이트와 연결되며, 특정 잭업 플레이트(233)의 수평 이동은 연결빔(231)을 통해 인접한 수평 조정유니트의 잭업 플레이트로 전달되어 특정 수평 조정유니트의 수평 위치 조작에 의해 인접한 수평 조정유니트에 안착된 잭업 장치의 수평 위치 조작이 같이 이루어진다.The jack-up plate 233 is connected with the jack-up plate of the adjacent horizontal adjustment unit by the connecting beam 231,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pecific jack-up plate 233 is transmitted to the jack-up plate of the adjacent horizontal adjustment unit through the connecting beam 231 The horizontal position operation of the jack-up device seated in the adjacent horizontal adjustment unit is performed together by the horizontal position operation of a specific horizontal adjustment unit.

잭업 장치(220)가 안착 위치하게 되는 잭업 플레이트(233)는 시트부(232)에 고정되는 유압 실린더(234)에 의해 전후/좌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이때 가이드부(235)는 잭업 플레이트(233)의 가동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The jack-up plate 233 on which the jack-up device 220 is seated is movable in the front-rear/left-rear direction by the hydraulic cylinder 234 fixed to the seat portion 232 , and in this case, the guide portion 235 is the jack-up plate It serves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233).

바람직하게는, 유압 실린더(234)는 선단에 제1그립 암(234a)이 구비되며, 제1그립 암(234a)은 잭업 플레이트(233)를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다. 가이드부(235)는 선단에 잭업 플레이트(233)를 파지하여 고정하게 되는 제2그립 암(235a)이 마련되고 이 제2그립 암(235a)은 시트부(232)에 지지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정볼트가 마련되어 조정볼트의 조정에 의해 제2그립암(235a)의 전후 변위 조절이 가능하다. Preferably, the hydraulic cylinder 234 is provided with a first grip arm 234a at its distal end, and the first grip arm 234a may grip and fix the jack-up plate 233 . The guide part 235 is provided with a second grip arm 235a that is fixed by gripping the jack-up plate 233 at its distal end, and the second grip arm 235a is supported by the seat part 232 and is adjustable in length. The adjustment bolt is provided so that the front and rear displacement of the second grip arm 235a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djustment bolt.

한편 가이드부(235)는 양중 운반장치의 주행 중에 잭업 플레이트(233)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유압 실린더(234)에 의해 미세 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방향에 위치한 가이드부(235)는 조정볼트를 풀어서 조정하는 값 이상으로 변위 조절을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part 235 serves to fix the jack-up plate 233 so as not to move during the driving of the lifting device, and when the fine adjustment is made by the hydraulic cylinder 234, the guide part 235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s It can play a role in limiting the displacement adjustment beyond the value adjusted by loosening the adjustment bolt.

각 수평 조정유니트에 마련되는 유압 실린더와 가이드부의 배치 또는 숫자는 다양하게 변형 또는 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hydraulic cylinders and guide parts provided in each horizontal adjustment unit may be variously modified or combined.

바람직하게는, 시트부(232)의 상부면에는 잭업 플레이트(233)의 운동 마찰을 저감할 수 있는 테프론(PTFE) 시트(232a)가 구비되며, 이 테프론 시트(232a)에 의해 시트부(232) 상부에서 잭업 플레이트(233)는 전후/좌우 방향의 수평 이동이 허용된다.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232 is provided with a Teflon (PTFE) sheet 232a capable of reducing friction in motion of the jack-up plate 233, and the seat portion 232 by the Teflon sheet 232a. ) The jack-up plate 233 at the top is allowed to move horizontally in the front-back/left-right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시트부(232)의 저면에는 SPMT(210)와 볼트 조립되어 고정되는 립 부재(rib member)가 구비된다.Preferably,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232 is provided with a rib member (rib member) fixed by bolt assembly with the SPMT (21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모듈 시공방법에서 기단(20)에서 조립된 모듈 조립체(100)를 운반하기 위해 양중 운반장치(200)가 기단(20)의 하단으로 진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양중 운반장치(200)는 자체의 양중 능력만으로 모듈 조립체(100)를 들어 올려서 기단(20)으로부터 빠져 나온다.6 is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transport device 200 enters the lower end of the base 20 to transport the module assembly 100 assembled at the base 20 in the module construction method in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ifting transport device 200 lifts the module assembly 100 only with its own lifting capacity and exits from the base 20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모듈 시공방법에서 양중 운반장치(200)에 의해 모듈 조립체(100)를 건물 내 시공 위치까지 운반하는 상태를 예시하여 보여주는 도면으로, 모듈 조립체(100)의 운반 전에 이동경로 상의 지내력과 경사도를 확인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dule assembly 100 is transported to a construction location in a building by a lifting transport device 200 in a module construction method in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e assembly 100 The process of checking the bearing capacity and the inclination on the movement path before transporting can be add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모듈 시공방법에서 양중 운반장치(200)에 의해 운반된 모듈 조립체(100)를 건물 내의 설치 위치에 고정 설치하는 것을 예시하여 보여주는 도면으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양중 운반장치(200)는 수평 위치 조정장치와 잭업 장치(220)에 의해 모듈 조립체(100)의 수평 방향 및/또는 수직 방향의 정밀한 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따라서 모듈 조립체(100)의 제1고정부와 건물 내 구조물(30)(40)에 구비된 제2고정부의 조립 위치를 정확히 조정하여 볼트 조립에 의해 모듈 조립체(100)의 설치가 이루어진다.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fixed installation of the module assembly 100 transported by the lifting device 200 in the module construction method in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in the building, as described above As such, the lifting device 200 is capable of precise positioning in the horizontal and/or vertical direction of the module assembly 100 by the horizontal position adjusting device and the jack-up device 220, and thus the first of the module assembly 100 The module assembly 100 is installed by bolt assembly by accurately adjusting the assembly positions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provided in the structures 30 and 40 in the building.

한편 모듈 조립체(100)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양중 운반장치(200)의 잭업 장치(220)는 하강하고 다른 모듈 조립체의 운송을 위하여 양중 운반장치(200)는 조립장으로 이동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module assembly 100 is completed, the jack-up device 220 of the lifting transport device 200 descends and the lifting device 200 moves to the assembly site for transport of the other module assembl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0 : 단위 모듈 20 : 기단
100 : 모듈 조립체 200 : 양중 운반장치
210 : SPMT 220 : 잭업 장치
230 : 수평 위치 조정장치 231 : 연결빔
232 : 시트부 232a : 테프론 시트
233 : 잭업 플레이트 234 : 유압 실린더
235 : 가이드부
10: unit module 20: air mass
100: module assembly 200: lifting device
210: SPMT 220: jack-up device
230: horizontal position adjusting device 231: connecting beam
232: sheet portion 232a: Teflon sheet
233: jack-up plate 234: hydraulic cylinder
235: guide part

Claims (6)

건물의 외부 조립장으로 운반된 단위 모듈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 적치 가능하게 마련된 기단 상부에 거치하여 제1고정부가 구비된 모듈 조립체를 조립하는 제1단계와;
건물 내의 구조물에 상기 모듈 조립체의 제1고정부와 볼트 조립이 이루어지는 제2고정부를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기단의 하단으로 양중 운반장치가 진입하여 상기 모듈 조립체를 건물 내의 설치 위치로 운반하는 제3단계와;
상기 모듈 조립체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 양중 운반장치에 의해 상기 모듈 조립체를 양중하고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서로 볼트 조립하여 고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양중 운반장치는,
자체 동력에 의해 주행이 가능한 다축 플랫폼으로 구성된 SPMT와;
상기 SPMT 상부에 구비되어 복수 위치에서 적재물을 수직 방향으로 양중 가능한 복수 개의 잭업 장치와;
상기 SPMT와 상기 잭업 장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잭업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기 위한 수평 위치 조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위치 조정장치는,
상기 SPMT와 상기 잭업 장치의 각각에 구비되어 연결빔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수평 조정유니트를 포함하며, 각 수평 조정유니트의 수평 조작력은 연결빔에 의해 인접한 수평 조정유니트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의 고하중 모듈 시공방법.
A first step of assembling a module assembly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part by mounting the unit module transported to the external assembly site of the building on the upper end of the base provided to be stackable at a predetermined height or higher from the ground;
a second step of installing a first fixing part of the module assembly and a second fixing part in which the bolt assembly is made in a structure in a building;
a third step of transporting the module assembly to an installation location in a building by entering a lifting transport device into the lower end of the base;
A fourth step of lifting the module assembly by the lifting transport device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module assembly and fixing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by bolting each other by adjusting the position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ncludes,
The lifting device,
SPMT consisting of a multi-axis platform capable of driving by its own power;
a plurality of jack-up devices provided on the SPMT to vertically lift the loa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nd a horizontal position adjusting device provided between the SPMT and the jack-up devic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jack-up device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horizontal position adjustment device,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adjustment units provided in each of the SPMT and the jack-up device and connected by a connecting beam, wherein the horizontal operation force of each horizontal adjustment unit is transmitted to an adjacent horizontal adjustment unit by the connecting beam. High-load module construction metho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조정유니트는,
상기 SPMT 상부에 고정되는 시트부와;
상기 잭업 장치가 안착 위치하여 상기 시트부 상부에서 전후/좌우 방향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잭업 플레이트와;
상기 시트부에 고정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잭업 장치를 전후 구동하게 되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시트부에 고정되어 상기 잭업 장치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게 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건물 내의 고하중 모듈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a seat portion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PMT;
a jack-up plate in which the jack-up device is seated so as to be capable of horizontal movement in the front-rear/left-right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portion;
a hydraulic cylinder fixed to the seat portion to drive the jack-up device back and forth by hydraulic pressure;
A method of constructing a high-load module in a building including a guide part fixed to the seat part and guid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jack-up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상부면에는 마찰을 저감할 수 있는 테프론 시트를 더 포함하는 건물 내의 고하중 모듈 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art further comprises a Teflon sheet capable of reducing fri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저면에는 상기 SPMT와 볼트 조립되어 고정되는 립 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물 내의 고하중 모듈 시공방법.[Claim 4]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lip member fixed to the SPMT by bolt assembl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의 구조물은 수평보 또는 수직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의 고하중 모듈 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ructure in the building is a horizontal beam or a vertical beam.
KR1020190041409A 2019-04-09 2019-04-09 Construction method of a heavy module in a building KR1022654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409A KR102265499B1 (en) 2019-04-09 2019-04-09 Construction method of a heavy module in a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409A KR102265499B1 (en) 2019-04-09 2019-04-09 Construction method of a heavy module in a bui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057A KR20200119057A (en) 2020-10-19
KR102265499B1 true KR102265499B1 (en) 2021-06-17

Family

ID=7304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409A KR102265499B1 (en) 2019-04-09 2019-04-09 Construction method of a heavy module in a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4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015B1 (en) 2023-01-13 2023-12-06 (주)정도 Hollow-core slab and degradation slab smart modular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structur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489B1 (en) * 2015-06-23 2016-12-30 삼성물산 주식회사 Pipe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899515B1 (en) * 2018-07-25 2018-09-17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Module rack mounting structure of semiconductor fab utilit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011B1 (en) 2015-06-23 2018-02-06 삼성물산 주식회사 Pipe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489B1 (en) * 2015-06-23 2016-12-30 삼성물산 주식회사 Pipe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899515B1 (en) * 2018-07-25 2018-09-17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Module rack mounting structure of semiconductor fab ut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057A (en) 202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43654A (en) Mounting method for steel anchor beam of cable-stayed bridge and assembly jig and cable bent tower mounting platform used in method
KR102265499B1 (en) Construction method of a heavy module in a building
CN114274116A (en) Material increasing and decreasing hybrid manufacturing device of water turbine mobile robot
CN216858783U (en) Material increasing and decreasing mixed repairing device of water turbine mobile robot
CN105464457A (en) Telegraph pole transporting, erecting and removing device
CN105880932A (en) Processing equipment and method for combined derrick
JP2016529424A (en) scaffold
CN112320580B (en) Method for mounting workshop crane beam
CN215561870U (en) Sea vase pier steel reinforcement framework limiting device
JPH04256609A (en) Power feed device of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warehouse
CN211619800U (en) Novel hoisting equipment in narrow and small place
KR100407393B1 (en) A movable working pulley
CN211004170U (en) A frame-type row of hanging for hoisting of overlength pipe gallery land module
CN209894497U (en) Adjustable structural mechanics test platform
JPH09229304A (en) Construction technique of tower type boiler plant
CN110469126A (en) Binding trolley and its binding construction method for concrete reinforcement
CN220233994U (en) Utility tunnel cable installation device
KR200245277Y1 (en) A movable working pulley
KR102046971B1 (en) Boiler panel lifting method for coal fire power plant construction using winch and large size modularity work
CN214520081U (en) Interim frock of placing of frame
CN218433488U (en) Automatic assemblage device of assembled steel component
CN108252219A (en) Bridge hogging moment tensioning vehicle
CN216863592U (en) Adjustable top of heavy transportation of SPMT holds in palm frock
CN221027106U (en) Steel reinforcement cage integral spliced hoisting frame for large caisson structure
CN219906858U (en) Lifting device and lifting system for assembling vehicle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