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848B1 -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 - Google Patents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848B1
KR102263848B1 KR1020210047216A KR20210047216A KR102263848B1 KR 102263848 B1 KR102263848 B1 KR 102263848B1 KR 1020210047216 A KR1020210047216 A KR 1020210047216A KR 20210047216 A KR20210047216 A KR 20210047216A KR 102263848 B1 KR102263848 B1 KR 102263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ringbone
power supply
light emitting
supply memb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성덕
현경수
현진희
Original Assignee
현성덕
현경수
현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성덕, 현경수, 현진희 filed Critical 현성덕
Priority to KR1020210047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6/00Projectiles or missiles specially adapted for projection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e.g. for blow guns, bows or crossbows, hand-held spring or air guns
    • F42B6/02Arrows; Crossbow bolts; Harpoons for hand-held spring or air guns
    • F42B6/04Archery arrows
    • F42B6/06Tail ends, e.g. nocks, fletc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4Details of bows; Accessories for arc shooting
    • F41B5/1442Accessories for arc or bow shooting
    • F41B5/148Accessories and tools for bow shoo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에 관한 것으로써,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일측 끝단에 제1자석이 구비되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시위가 걸릴 수 있도록 시위 홈이 구비되는 걸림부로 구성되되, 상기 걸림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시위 홈과 상기 중공부가 연통되도록 설치공이 형성되는 오늬 몸체와, 상기 끼움부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양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일단에는 상기 제1자석에 탈착될 수 있도록 제2자석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제1단자가 돌출 형성되는 전원공급부재 및 상기 설치공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재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시위 홈쪽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A nock of arrows with luminous function}
본 발명은 발광 기능을 가진 화살의 오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발광에 필요한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시켜 유지 및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은 탄력 있는 재료를 휘어서 활 시위를 걸고 그러한 활 시위에 화살을 걸어 활의 탄력을 이용하여 화살을 날리는 무기로 주로 나무를 재료로 사용하지만, 동물의 뿔이나 뼈, 금속, 플라스틱, 파이버글라스 등이 사용되기도 하며, 활시위는 명주실이나 동물의 힘줄 등이 이용된다.
한국에 전해지고 있는 전통 활은 각궁이며, 각궁은 물쏘뿔, 산뽕나무, 소 힘줄, 민어 부레풀, 참나무, 대나무, 화피, 자작나무껍질 등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만곡 궁으로 길이가 짧고 가벼운 특징이 있다.
화살은 활 시위(srting)에 얹어 쏘기 위한 것으로서, 화살끝(point), 화살촉(pile), 화살대(shaft), 깃대(fletching), 오늬(nock)로 이루어진다.
활은 인류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사냥도구이고 무기 중 하나며, 선사시대로부터 사용된 활은 인간이 먼 거리에서 동물을 사냥할 때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었으나, 이후 활은 전쟁 무기로 발달하다가 총포가 등장하는 근대 이후에는 레저 스포츠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활이 레저 스포츠로 이용되면서 일정한 거리에 과녁을 두고 겨냥하여 쏘아 맞추는 과정을 통해 정신 수양이나 체력 단련 등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국궁장이나 양궁장, 석궁장 등을 찾는 사람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활을 이용하여 화살을 쏘는 경우, 주간에는 바람의 영향을 계산하면서 방향을 잡아 쏘게 되며, 화살의 날아가는 상태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여 발사 방향과 발사 각도 등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야간을 이용하여 활을 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최소의 조명을 갖춘 상태에서 화살을 쏘게 된다.
그러나 야간에는 이용자가 화살의 발사 방향이나 발사 각도를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우며, 이전 화살의 발사 방향이나 발사 각도를 참고할 수 없어, 과녁을 명중시키기가 어렵고, 흥미를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야간에 화살의 방향이나 발사 각도를 확인하면서 활을 쏠 수 있는 발광기능의 가진 오늬가 제안된 바 있으며, 오늬의 내부에 배터리 및 이러한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고, 스위치를 손으로 작동시키거나 활 시위를 걸어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발광 오늬는 스위치가 사용됨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제작이 간편하지 못하고, 제조에 필요한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스위치의 잦은 고장으로 발광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위치의 조작으로 발광 다이오드가 작동된 후에는 스위치를 다시 조작하기 전까지 발광 다이오드가 계속 작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배터리의 불필요한 소모량이 많아지고, 이에 따른 배터리의 잦은 교체로 인해 오늬의 유지 관리가 어려워지며, 경제적인 부담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해 오늬를 화살대의 끝단으로부터 반복적으로 탈착시키는 과정에서 화살대의 끝단이 마모 또는 변형되어 오늬의 결합력을 저하 시키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화살대의 심각한 마모 및 변형으로 인해 화살대가 폐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10790호(2013.01.29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스위치의 사용 없이 구조를 단순화시켜 발광 오늬의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시켜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일측 끝단에 제1자석이 구비되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시위가 걸릴 수 있도록 시위 홈이 구비되는 걸림부로 구성되되, 상기 걸림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시위 홈과 상기 중공부가 연통되도록 설치공이 형성되는 오늬 몸체와,
상기 끼움부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양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일단에는 상기 제1자석에 탈착될 수 있도록 제2자석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제1단자가 돌출 형성되는 전원공급부재 및
상기 설치공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재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시위 홈쪽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설치공의 안쪽으로 연결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구의 중심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재의 제1단자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조명부재의 제1리드선은 상기 끼움공의 내측둘레에 접면되는 상태로 상기 끼움공에 관통되고, 상기 조명부재의 제2리드선은 상기 연결구를 관통하거나 외면에 접면되는 상태로 상기 중공부 내면에 위치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재의 외주면과 접면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부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재는 상기 중공부 내부에서 안내돌기에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중공부의 내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화살대의 끝단 내측둘레에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의 끝단 외측둘레에는 상기 체결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오늬 몸체 전체 또는 상기 걸림부는 투명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부의 외측둘레에는 상기 설치공과 연통되는 빛 배출공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빛 배출공은 상기 걸림부의 외측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환형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단자는 단부에서 안쪽으로 이격되는 외측둘레의 한 지점에 이동방지턱이 구비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조명부재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걸림부 또는 끼움부의 외측둘레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결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은 발광 기능을 가지는 오늬가 화살이 날아가는 과정에서 정지관성에 의해 발광이 이루어지고, 과녁에 맞거나 바닥에 떨어지게 되면 운동관성에 의해 발광이 멈추도록 구성됨에 따라 발광의 작동과 멈춤이 기구적인 수단의 사용 없이 관성에 의한 전원공급부재의 이동에 의해 작동됨으로써, 발광 기능을 가진 오늬의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재의 사용 시간이 늘어나게 되면서 전원공급부재의 잦은 교체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이 줄어들게 되고, 발광 기능을 가지는 오늬의 유지 및 관리의 편의성이 배가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전원공급부재의 교체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화살대와 오늬의 탈착 회수가 줄어들게 되어 화살대와 오늬의 결합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화살대와 오늬의 반복된 탈착을 통해 화살대가 마모 내지 변형되면서 결국 폐기되던 문제점 또한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발광 기능을 가지는 오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발광 기능을 가지는 오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발광 기능을 가지는 오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의 (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발광 기능을 가지는 오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화살이 날아가는 과정을 통해 발광 기능을 가지는 오늬의 발광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화살이 과녁이나 지면에 닿으면서 발광 기능을 가지는 오늬의 발광이 멈춘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발광 기능을 가지는 오늬의 구성을 나타낸 다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되어야 한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는 화살대에 연결되어 활 시위가 걸리게 되는 오늬 몸체와 그러한 오늬 몸체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재와, 전원공급부재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받아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재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늬 몸체(100)는,
화살대(400)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며, 활 시위가 걸릴 수 있도록 시위 홈(121)이 구비된다.
오늬 몸체(100)는 일 예로 도 1과 도 2의 (a)에 예시한 바와 같이 끼움부(110)와 걸림부(1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 한쪽에 끼움부(110)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걸림부(120)가 형성되며, 이러한 끼움부(110)와 걸림부(120)는 일체형 또는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서로 조립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끼움부(110)는 화살대(400)의 내부로 결합되는 부위가 되며,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중공부(111)가 형성되고, 외부는 화살대(400)의 끝단 내부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테이퍼진 형태가 될 수 있다.
끼움부(110)는 화살대(400)와 결합되는 쪽의 단부에 제1자석(112)이 설치되며, 제1자석(112)은 끼움부(110)의 단부에 설치되어 중공부(111)를 폐쇄하게 되면서 중공부(111)로 이물질 또는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1자석(112)은 일 예로 원형의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의 형태가 될 수 있고, 후술 될 전원공급부재(200)에 설치되는 제2자석(220)과 자력을 통해 서로 결합되며, 이때 제2자석(220)은 제1자석(112)에 자력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일정한 범위를 넘어서는 관성의 힘의 의해 전원공급부재(200)가 이동되는 경우, 제1자석(112)으로부터 전원공급부재(200)의 제2자석(220)이 분리되도록 적절한 자력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자석(112)과 제2자석(2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자력이 크지 않은 고무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자석(112)과 제2자석(220) 중 어느 하나는 적절한 자력을 가지는 자석으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그러한 자석에 자력으로 붙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걸림부(120)는 활 시위가 걸리는 부위로 끼움부(11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활 시위가 걸리는 시위 홈(121)이 바깥쪽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설치공(122)이 형성되면서 이러한 설치공(122)의 일측은 끼움부(110)에 형성된 중공부(111)와 연통되고, 타측은 시위 홈(121)과 연통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오늬 몸체(100)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합성수지로 구성되면서 오늬 몸체(100)의 전체가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오늬 몸체(100) 중 끼움부(110)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구성되고, 걸림부(120)는 후술되는 조명부재(300)를 통해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걸림부(120)와 끼움부(110) 모두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오늬 몸체(100)는 화살대(400)의 일측 끝단에 설치됨에 있어서, 화살대(400)의 일측 끝단 내부로 오늬 몸체(100)의 끼움부(110)가 강제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로는 도면으로 예시하지 않았지만, 오늬 몸체(100)의 끼움부(110)와 화살대(400)의 결합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하면서 화살대(400)의 변형 내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화살대(400)의 끝단 내측둘레에는 체결부를 형성하고, 끼움부(110)의 끝단 외측둘레에는 그러한 체결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결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재(200)는,
전술한 오늬 몸체(100)의 끼움부(110) 내부에 설치되며, 걸림부(120)에 설치되는 후술 될 조명부재(300)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전원공급부재(200)는 충전이 불가능한 배터리 또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끼움부(110)의 중공부(111)에 설치될 수 있도록 원통형 배터리로 구성되면서 일측 끝단에는 전술한 끼움부(110)에 구비된 제1자석(112)과 마주하는 상태로 제2자석(220)이 설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재(200)는 후술되는 조명부재(300)와 연결되면서 조명부재(3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전원공급부재(200)의 타측 끝단에는 돌출된 형태의 제1단자(210)가 형성되어 이러한 제1단자(210)가 (+)단자의 역할을 하게 되며, 전원공급부재(200)의 외주면이 (-)단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재(200)는 끼움부(110)의 중공부(1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중공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전원공급부재(200)의 이동 상태에 따라 후술되는 조명부재(3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후술되는 조명부재(300)의 제1리드선(310)이 제1단자(2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리드선(320)이 전원공급부재(200)의 외주면에 닿아 연결되면 전원공급부재(200)의 전원이 조명부재(300)에 인가되어 조명부재(300)가 발광을 하게 되며, 제1리드선(310)이 제1단자(210)에서 분리되면 전원공급부재(200)의 전원은 조명부재(300)에 공급되지 않아 조명부재(300)는 발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전원공급부재(200)는 외주면이 중공부(111)의 내면과 밀착되는 상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재(200)의 외주면과 중공부(111)의 내면이 직접 밀착되는 경우, 접촉면적이 커지게 되면서 전원공급부재(200)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4와 같이 끼움부(110)를 구성하는 중공부(111)의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돌기(113)를 형성하게 되면 중공부(111) 내부에 설치된 전원공급부재(200)가 안내돌기(113)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어 마찰 저항이 감소되면서 전원공급부재(200)가 중공부(111) 내에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안내돌기(113)는 바람직하게 중공부(111)의 내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로 중공부(111)의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이 형성되고, 전원공급부재(20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임홈에 끼워져 이동될 수 있는 레일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재(200)는 일측 끝단에 제2자석(220)이 설치됨으로써, 중공부(111)에 설치된 후, 도 3의 (b)와 같이 한쪽으로 이동되면 오늬 몸체(100)의 끼움부(110)에 설치된 제1자석(112)과 접면되면서 자력에 의해 제1자석(112)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전원공급부재(200)가 걸림부(120)쪽으로 빠르게 이동하려는 관성이 작용되면 그러한 관성에 의해 제1자석(112)으로부터 전원공급부재(200)의 제2자석(220)이 분리됨에 따라 도 3의 (a)와 같이 전원공급부재(200)는 걸림부(120)를 향하여 이동이 가능해 진다.
한편, 전원공급부재(200)가 중공부(111) 내부에서 이동됨에 있어, 중공부(111)의 내부는 한쪽의 제1자석(112)과 다른 한쪽의 후술될 조명부재(300)의 발광부(330)로 인하여 폐쇄된 형태의 공간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중공부(111) 내부는 공기의 유동이 거의 없게 되고, 이러한 이유로 중공부(111)의 내부에서 전원공급부재(200)가 이동될 때, 중공부(111) 내부에서 정체되어 있는 공기의 저항으로 인하여 전원공급부재(200)가 원활하게 이동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로 도 2의 (c)에 예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120)의 바깥면에 중공부(111)를 향하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26)을 형성하여 중공부(11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저항으로 전원공급부재(200)의 원활한 이동이 방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통공(126)은 경사진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화살이 날아가는 과정에서 걸림부(120)의 표면을 타고 이동하는 공기의 영향으로 중공부(111)의 공기가 통공(12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공(126)은 걸림부(120)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끼움부(110)에 표면에서 중공부(110)를 향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조명부재(300)는,
전술한 전원공급부재(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을 하게 되며, 다양한 색을 가지는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될 수 있다.
조명부재(300)는 도 1에서와 같이 발광부(330)와 그러한 발광부(330)에 연결되는 제1리드선(310) 및 제1리드선(310)과 길이가 상이한 제2리드선(3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조명부재(300)는 도 2의 (a)와 같이 걸림부(120)의 설치공(122)에 설치되며, 이때 발광부는 시위 홈(121)을 향하게 되면서 시위 홈(121)을 통해 발광부(330)의 일부분이 노출되고, 발광부(330)와 연결된 제1리드선(310)과 제2리드선(320)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중공부(111)를 향해 설치되며, 이러한 제1리드선(310)과 제2리드선(320)에 전원공급부재(200)의 제1단자(210) 및 외주면이 서로 연결되면 발광부(330)가 발광을 하게 된다.
한편, 전원공급부재(200)의 제1단자(210)와 외주면이 조명부재(300)의 제1리드선(310) 및 제2리드선(320)과 정확하게 연결 내지 분리될 수 있도록 걸림부(120)의 설치공(122) 안쪽에 연결구(123)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구(123)의 중심에는 끼움공(124)이 형성됨에 따라 설치공(122)에 발광부(330)가 끼워진 상태에서 제1리드선(310)은 끼움공(124)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끼움공(124)을 관통하여 중공부(111)쪽으로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끼움공(124)의 내경은 제1단자(210)가 끼어지면서 끼움공(124) 내면에 위치한 제1리드선(310)과 정확하게 접면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직경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리드선(320)은 제1리드선(310)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 상태에서 제1리드선(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연결구(123)를 관통하거나 연결구(123)의 바깥면에 접면되어 중공부(111)쪽으로 설치되되, 중공부(111) 내면에 접면되는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중공부(111)에 위치한 전원공급부재(200)의 외주면과 제2리드선(320)은 접면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재(200)가 중공부(111) 내에서 걸림부(120)쪽으로 이동되는 경우, 전원공급부재(200)의 외주면이 제2리드선(320)과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공급부재(200)의 제1단자(210)가 연결구(123)의 끼움공(124)으로 끼워져 제1리드선(310)에 연결되면 전원공급부재(200)의 전원이 조명부재(300)로 인가되어 조명부재(300)의 발광부(330)가 발광하게 되고, 이러한 발광부(330)의 빛은 시위 홈(121)을 통해 이용자에게 보여지게 된다.
그리고 도 3의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재(200)가 중공부(111) 내에서 걸림부(120)의 반대쪽으로 이동되는 경우, 조명부재(300)의 제2리드선(320)은 전원공급부재(200)의 외주면에 그대로 연결되어 있지만, 전원공급부재(200)의 제1단자(210)가 연결구(123)의 끼움공(124)으로부터 빠져나와 제1리드선(310)과 분리되면 조명부재(300)의 발광부(330)는 발광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단자(210)는 길이방향 끝단에서 안쪽으로 이격되는 외측둘레 한 지점에 이동방지턱을 구비함으로써, 제1단자(210)가 연결구(123)의 끼움공(124)으로 끼워질 때 이동방지턱이 끼움공(124)에 걸려 제1단자(210)의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제1단자(210)가 연결구(123)의 끼움공(124)으로 끼워지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깊이로 끼워져 발광부(330)를 손상시키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조명부재(300)의 발광부(330)가 발광을 하게 되면 시위 홈(121)을 통해 발광부(330)의 빛이 보이게 되며, 시인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도 2의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120)의 외측둘레에 설치공(122)과 연통되도록 빛 배출공(125)을 수직 내지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하게 되면 발광부(330)의 빛이 시위 홈(121)은 물론 걸림부(120)의 외측둘레에서도 보이게 됨에 따라 시인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빛 배출공(125)은 걸림부(120)의 외측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환형으로 설치되면 시인성은 더욱 배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발광 기능을 가진 오늬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늬 몸체(100)에 조명부재(300)와 연결구(123)와 전원공급부재(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화살대(400)의 일측에 오늬 몸체(100)의 끼움부(11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화살의 촉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하거나 화살을 화살통에 넣어두게 되면 도 3의 (b)와 같이 끼움부(110)의 중공부(111) 내에 내재된 전원공급부재(200)는 끼움부(110)의 반대방향인 화살대(4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전원공급부재(200)의 하단에 구비된 제2자석(220)이 끼움부(110)의 끝단에 구비된 제1자석(112)과 자력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화살의 촉이 위쪽을 향하도록 화살을 돌리더라도 제1자석(112)과 전원공급부재(200)의 제2자석(220)이 기본적인 자력에 의해 결합을 그대로 유지함에 따라 화살의 단순한 방향 변경을 통해 중공부(111) 내의 전원공급부재(200)가 걸림부(120)쪽으로 이동되어 조명부재(300)가 작동되면서 전원공급부재(200)의 전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이용자가 걸림부(120)의 시위 홈(121)에 활 시위를 걸고 활 시위를 당긴 후 과녁을 겨냥하여 활을 쏘게 되면 도 3의 (a)와 같이 화살의 날아가는 속도에 의해 중공부(111) 내에 위치한 전원공급부재(200)가 정지관성에 따라 걸림부(120)쪽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발생되고 이러한 힘에 의해 제1자석(112)과 자력을 통해 결합 되어 있는 전원공급부재(200)의 제2자석(220)이 분리되어 전원공급부재(200)는 걸림부(120)의 연결구(123)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결국 전원공급부재(200)의 제1단자(210)가 연결구(123)에 형성된 끼움공(124)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때, 조명부재(300)의 제2리드선(320)은 중공부(111)에 위치한 전원공급부재(200)의 외주면과 항시 연결된 상태이므로 전원공급부재(200)의 제1단자(210)가 연결구(123)의 끼움공(124)으로 끼워져 제1리드선(310)과 연결되면 전원공급부재(200)의 전원이 조명부재(300)에 인가되고, 이에 따라 조명부재(300)의 발광부(330)가 발광을 하게 되며, 이러한 발광부(330)의 발광에 따라 시위 홈(121)을 통해 조명부재(300)의 조명이 보이게 됨으로써, 야간이나 안개가 심하게 끼어 있는 상황에서 이용자는 오늬 몸체(100)의 발광의 통해 활의 발사 방향 및 발사 각도 등을 참고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발사된 화살이 과녁에 맞거나 땅에 떨어진 이후에는 조명부재(300)의 발광이 그대로 유지되면 전원공급부재(200)의 전력 낭비로 인한 여러 가지 폐단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발사된 화살이 과녁에 맞거나 땅에 떨어지는 순간 걸림부(120)쪽으로 이동되어 조명부재(300)를 발광시켜주던 전원공급부재(200)가 운동관성에 의해 걸림부(12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전원공급부재(200)의 제1단자(210)가 연결구(123)의 끼움공(124)으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제1단자(210)와 조명부재(300)의 제1리드선(310)이 분리되어 조명부재(300)의 발광이 멈추게 되고, 전원공급부재(200)의 제2자석(220)은 끼움부(110)의 제1자석(112)에 닿아 서로 결합되면서 도 3의 (a)와 같은 상태가 되어 과녁에 맞거나 땅에 떨어진 화살의 불필요한 발광을 방지할 수 있어 화살의 발광 기능을 장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오늬 몸체 110 : 끼움부
111 : 중공부 112 : 제1자석
113 : 안내돌기 120 : 걸림부
121 : 시위 홈 122 : 설치공
123 : 연결구 124 : 끼움공
125 : 빛 배출공 126 : 통공
200 : 전원공급부재 210 : 제1단자
220 : 제2자석 300 : 조명부재
310 : 제1리드선 320 : 제2리드선
330 : 발광부 400 : 화살대

Claims (11)

  1. 내부에 중공부(111)가 형성되며, 일측 끝단에 제1자석(112)이 구비되는 끼움부(110) 및 상기 끼움부(110)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활 시위가 걸릴 수 있도록 시위 홈(121)이 구비되는 걸림부(120)로 구성되되, 상기 걸림부(120)의 중심부에는 상기 시위 홈(121)과 상기 중공부(111)가 연통되도록 설치공(122)이 형성되는 오늬 몸체(100);
    상기 끼움부(110)의 중공부(111)에 설치되어 양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일단에는 상기 제1자석(112)에 탈착될 수 있도록 제2자석(220)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제1단자(210)가 돌출 형성되는 전원공급부재(200); 및
    상기 설치공(122)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재(200)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시위 홈(121)쪽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재(30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122)의 안쪽으로 연결구(123)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구(123)의 중심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재(200)의 제1단자(2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공(124)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조명부재(300)의 제1리드선(310)은 상기 끼움공(124)의 내측둘레에 접면되는 상태로 상기 끼움공(124)에 관통되고, 상기 조명부재(300)의 제2리드선(320)은 상기 연결구(123)를 관통하거나 외면에 접면되는 상태로 상기 중공부(111) 내면에 위치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재(200)의 외주면과 접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111)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돌기(11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재(200)는 상기 중공부(111) 내부에서 안내돌기(113)에 지지되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113)는 상기 중공부(111)의 내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
  5. 청구항 1에 있어서,
    화살대(400)의 끝단 내측둘레에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110)의 끝단 외측둘레에는 상기 체결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늬 몸체(100) 전체 또는 상기 걸림부(120)는 투명의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20)의 외측둘레에는 상기 설치공(122)과 연통되는 빛 배출공(125)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빛 배출공(125)은 상기 걸림부(120)의 외측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환형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210)는 단부에서 안쪽으로 이격되는 외측둘레의 한 지점에 이동방지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재(300)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20) 또는 끼움부(110)의 외측둘레에는 상기 중공부(111)와 연결되는 통공(1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

















KR1020210047216A 2021-04-12 2021-04-12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 KR102263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216A KR102263848B1 (ko) 2021-04-12 2021-04-12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216A KR102263848B1 (ko) 2021-04-12 2021-04-12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848B1 true KR102263848B1 (ko) 2021-06-11

Family

ID=7637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216A KR102263848B1 (ko) 2021-04-12 2021-04-12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84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5500A (ja) * 2001-05-15 2003-02-07 Yasuhiro Takahashi 矢筈とそれを使用した矢及び矢の射的方法
KR200351661Y1 (ko) * 2004-01-02 2004-06-01 이승규 발광 화살
JP2004163041A (ja) * 2002-11-14 2004-06-10 Yasuhiro Takahashi 矢に用いる発光体アダプターと発光部材、それらを使用した矢、及び矢の射的方法
US20100285721A1 (en) * 2009-05-05 2010-11-11 Chor-Ming Ma Illuminated toy projectile
KR20130010790A (ko) 2011-07-19 2013-01-29 김규천 발광 화살
KR101421620B1 (ko) * 2013-06-11 2014-07-22 (주)우리그린피스 배터리의 장시간 보관이 가능한 led 플래쉬라이트
US10254095B1 (en) * 2017-12-15 2019-04-09 Xiamen Kejiang Industry And Trade Co., Ltd. Lighted nock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5500A (ja) * 2001-05-15 2003-02-07 Yasuhiro Takahashi 矢筈とそれを使用した矢及び矢の射的方法
JP2004163041A (ja) * 2002-11-14 2004-06-10 Yasuhiro Takahashi 矢に用いる発光体アダプターと発光部材、それらを使用した矢、及び矢の射的方法
KR200351661Y1 (ko) * 2004-01-02 2004-06-01 이승규 발광 화살
US20100285721A1 (en) * 2009-05-05 2010-11-11 Chor-Ming Ma Illuminated toy projectile
KR20130010790A (ko) 2011-07-19 2013-01-29 김규천 발광 화살
KR101421620B1 (ko) * 2013-06-11 2014-07-22 (주)우리그린피스 배터리의 장시간 보관이 가능한 led 플래쉬라이트
US10254095B1 (en) * 2017-12-15 2019-04-09 Xiamen Kejiang Industry And Trade Co., Ltd. Lighted nock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1784B2 (en) Archers flame illuminated arrow nock
US7862457B1 (en) Illuminated arrow
US7837580B2 (en) Lighted nock for archery arrow
US5297533A (en) Light holder and stabilizer attachment for bow
US8366573B2 (en) Light-emitting components for arrows
US9903681B2 (en) Toy arrow for use with toy bow
US5134552A (en) Acceleration activated energizing device
US4888905A (en) Enhanced light fishing lure
US6364499B1 (en) Apparatus for illuminating an archer's arrow
US20110036337A1 (en) Archery lighted release aid apparatus
US20110107650A1 (en) Sighting device with microspheres
US20090090342A1 (en) Archery release aid light apparatus
US9429393B2 (en) Illuminated archery bow sight apparatus
KR102263848B1 (ko) 발광 기능을 가지는 화살의 오늬
US6564787B1 (en) Laser aimed slingshot
TW201522896A (zh) 利用發光箭羽提升箭矢之可視性的方法及裝置
US6681754B1 (en) Cable lift arrow rest
US8123636B1 (en) Hunting arrow with phosphorescent indicator
US8302318B2 (en) Aiming system for slingshots and projectile-launching devices
US20050183272A1 (en) Archery bow sight
US7895996B2 (en) Illuminating rear bow sight with self contained power and light source
US8696498B1 (en) Arrow tracking device
JP3759070B2 (ja) 矢筈とそれを使用した矢及び矢の射的方法
KR200489774Y1 (ko) 사격게임용 총
KR102155436B1 (ko) 화살용 발광 오늬 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