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700B1 - 단말기 및 단말기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단말기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700B1
KR102263700B1 KR1020150111209A KR20150111209A KR102263700B1 KR 102263700 B1 KR102263700 B1 KR 102263700B1 KR 1020150111209 A KR1020150111209 A KR 1020150111209A KR 20150111209 A KR20150111209 A KR 20150111209A KR 102263700 B1 KR102263700 B1 KR 102263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wling
frequency band
information
frequency b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7381A (ko
Inventor
홍준성
지정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1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700B1/ko
Priority to PCT/KR2016/008550 priority patent/WO2017023109A1/ko
Priority to US15/750,739 priority patent/US10735869B2/en
Publication of KR20170017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5Prevention of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04R25/453Prevention of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electroni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preventing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0Arrangements for preventing acoustic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8Two-way loud-speaking telephone systems with means for conditioning the signal, e.g. for suppressing echoes for one or both directions of traffic
    • H04M9/082Two-way loud-speaking telephone systems with means for conditioning the signal, e.g. for suppressing echoes for one or both directions of traffic using echo cance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3Synergistic effects of band splitting and sub-band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eurosurge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간의 음성 통화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가 수행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간에 하울링이 발생하는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여 상기 하울링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단말기의 동작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OPERAING TERMINAL}
단말기 및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연관되며, 구체적으로는 통화 중 단말기 간의 하울링을 억제하는 단말기 및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연관된다.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통신 기술 및 단말기의 발전으로 다자간 통화 및 수백 명이 참가할 수 있는 PTT(Push To Talk) 서비스가 대중화 되고 있다.
PTT(Push To Talk) 서비스는 휴대전화를 워키토키처럼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무전기 서비스로 버튼 하나만 누르면 한 사람이 휴대전화에서 말하는 것을 여러 사람이 동시에 들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즉, PTT 서비스는 버튼을 누르고 말하면서 즉시 간단한 의사 소통이 가능하며, 일반 휴대폰의 대기 시간에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빠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PPT 서비스는 원격 회의뿐만 아니라, 현장 작업에도 사용되고 있다. 특히 다수의 인력이 투입되는 고위험 작업이나, 재난 상황과 같이 위급 상황에서 빠른 의사 소통을 위해 음성 통화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다자간 통화시 사용자들의 단말기가 근거리에 있을 경우 단말기 간의 하울링 경로가 형성되어 증폭 굉음이 발생하고, 이러한 증폭 굉음은 음성 통화를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음성 통화 중 근거리 단말기 간의 하울링을 억제 또는 제거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통화 중인 단말기들 간에 발생된 하울링을 제거 또는 억제하여 단말기의 통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울링을 제거함으로써, 단말기의 음질 열화와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들 간의 거리가 근거리인 경우에 보다 효율적으로 하울링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간의 음성 통화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가 수행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간에 하울링이 발생하는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여 상기 하울링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한 피크 값 및 에너지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가 수행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간에 하울링이 발생하는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의 입력 음성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출력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변화율을 초과하면, 상기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루프 주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루프 주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상기 음성 루프 주기 정보에 따라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울링이 검출된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여 상기 하울링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정보,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루프 주기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 간의 거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울링이 검출된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하울링이 검출된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이 낮아지도록 필터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가 멀어질수록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이 높아지도록 필터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 간의 거리,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통화 지연 시간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음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와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통화 지연 시간 정보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 사이에 형성된 네트워크 및 상기 단말기에 의한 음성 지연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울링이 검출된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여 상기 하울링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노치 필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간의 음성 통화 서비스를 실행하고,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를 결정하고,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가 수행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간에 하울링이 발생하는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고,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여 상기 하울링을 제거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울링이 제거된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한 피크 값 및 에너지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의 입력 음성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출력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변화율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루프 주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음성 루프 주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상기 음성 루프 주기 정보에 따라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정보,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루프 주기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 간의 거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울링이 검출된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이 낮아지도록 필터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가 멀어질수록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이 높아지도록 필터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 간의 거리,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통화 지연 시간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음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노치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치 필터는 상기 하울링이 검출된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여 상기 하울링을 제거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동작 방법은, 상기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간의 음성 통화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가 수행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간에 하울링이 발생하는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여 상기 하울링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들이 음성 통화를 하는 경우 발생되는 하울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하울링 제거를 설명하기 위한 수신 단말기 및 송신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하울링을 제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하울링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하울링"은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이 마이크로폰으로 들어가 앰프에서 증폭되어 스피커로 나와 다시 마이크로폰으로 들어가는 현상을 의미한다. 하울링은 일종의 귀환 발진으로 귀환 루프 중에 신호가 어느 수준 이상이 되면 발생한다. 하울링과 관련된 설명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들이 음성 통화를 하는 경우 발생되는 하울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일 공간의 음향 시스템과 같이 단일 시스템의 마이크 입력이 동일 시스템의 스피커로 출력되고 스피커로 출력된 음향 신호가 다시 동일 시스템의 마이크로 입력되는 현상을 하울링이라 한다.
일반적인 음성 통화는 원거리 사용자간 음성 전달을 목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스피커 출력이 동일 단말기의 마이크로 유입되는 음향 반향(acoustic echo) 신호만 제거하면 통화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를 통한 다자간 통화가 가능해지고, 수백 명이 동시에 참가할 수 있는 PTT(Push To Talk) 서비스가 증가함에 따라 근거리에서도 다수의 사용자가 원격 통화 또는 PTT 서비스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2)의 제1 사용자, 제2 단말기(103)의 제2 사용자 및 제3 단말기(104)의 제3 사용자는 네트워크(109)를 통해 음성 통화 서비스(예를 들면, 다자간 통화)를 실행할 수 있다. 제3 단말기(104)는 제1 단말기(102) 및 제2 단말기(103)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제3 단말기(104)에서는 하울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 그러나, 제1 단말기(102)와 제2 단말기(103) 사이의 물리적인 거리가 가까운 경우, 즉 근거리 그룹(101)인 경우, 제1 단말기(102)에는 제1 사용자의 음성(105)만이 마이크로 입력되어야 하나, 제2 단말기(103)에서 출력된 음성이 제1 단말기(102)의 마이크로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102)와 제2 단말기(103) 간에 하울링 경로(107, 108)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2)는 음성 통화가 수행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하울링이 발생되는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2)는 검출된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여 하울링을 제거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위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상기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서비스(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제1 단말기(102), 제2 단말기(103) 및 제3 단말기(104)를 스마트 폰(Smart phone)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들(102, 103, 104)은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무선 통신이 가능한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기타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은 휴대용 단말 형태를 포함하고, 이외에도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등 이동 통신망(110)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타 가정용 또는 기업용 사회 전반의 다양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성 통화 서비스는 WCDMA 망, WiFi(Wireless Fidelity)망, 및 WiBro 망 등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이동 통신망,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 위치 등록기) 및 무음 통화 서버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음성 통화 서비스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이나 인터넷과도 연동되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음성 통화 서비스는 아날로그 음성 통화 서비스, 디지털 음성 통화 서비스, 3세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및 4세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예를 들면, VoLTE: 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에서는 단말기 간에 발생되는 하울링을 억제 또는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200)는 제어부(210) 및 출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단말기(20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단말기(2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제어부(210)는 단말기(200)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간의 음성 통화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0)는 단말기(200)가 제1 단말기, 제2 단말기 등 복수의 단말기들과 음성 통화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는 단말기(200)와 음성 통화가 실행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제어부(210)는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를 결정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근거리 단말기"는 단말기와의 관계에서 단말기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거리에 존재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단말기들 간의 거리가 근거리일 때, 음성 통화에서의 하울링이 발생할 확률이 높으므로, 제어부(210)는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200)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근거리 단말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범위는 단말기(200)의 위치를 중심으로 20m 반경 내의 범위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범위는 20m 보다 큰 반경 또는 20m 보다 작은 반경 내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음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단말기"는 단말기(200)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단말기(200)를 의미한다.
제어부(210)는 음성 통화 서비스가 수행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할 수 있다. 하울링 주파수 대역은 단말기(200)와 근거리 단말기 간에 하울링이 발생되는 주파수 대역이다.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한 피크 값 및 에너지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의 입력 음성 정보 및 단말기(200)의 출력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에 기초하여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변화율을 초과하면, 제어부(210)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하울링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루프 주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음성 루프 주기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음성 루프 주기 정보에 따라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하울링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여 하울링을 제거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 정보,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루프 주기 정보,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와 단말기(200) 간의 거리 및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울링이 검출된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하울링을 제거하는 데에 이용되는 필터의 계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10)는 근거리 단말기의 마이크 입력에 대한 하울링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 계수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210)는 단말기(200)와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가 가까워질수록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이 낮아지도록 필터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단말기(200)와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가 멀어질수록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이 높아지도록 필터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노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노치 필터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성분만을 제거하는 필터로써, 특정 주파수 대역만 통과하게 하는 밴드 패스 필터의 반대 특성을 나타내는 필터이다. 노치 필터는 간섭파나 고조파와 같은 신호를 제거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노치 필터는 하울링이 검출된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여 하울링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노치 필터 뿐만 아니라, 주파수 대역 별로 이득 값을 제어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20)는 하울링이 제거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20)는 스피커(speaker) 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200)는 통신부(미도시) 및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미도시)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와 단말기(200) 간의 거리,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통화 지연 시간 정보 및 단말기(200)의 음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200)가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와 단말기(200) 간의 거리,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통화 지연 시간 정보 및 단말기(200)의 음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리 단말기와 공유함으로써, 하울링 검출 속도 및 정확도를 높여 최소의 음질 열화로 근거리 단말기와 단말기(200) 간에 발생되는 하울링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무선 네트워크에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미도시)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정보(예를 들면, 하울링 주파수 대역,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 등), 필터의 정보(예를 들면, 필터 계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미도시)는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응되는 메시지들 및 복수의 사용자들의 식별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미도시)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SD,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중앙 연산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제어부(210), 출력부(220), 통신부(미도시) 및 메모리(미도시)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중앙 연산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기(200)가 수행하는 다양한 동작이나 응용들이 설명되는데, 제어부(210), 출력부(220), 통신부(미도시) 및 메모리(미도시) 중 어느 구성을 특정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이해하고 예상할 수 있는 정도의 내용은 통상의 구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특정한 구성의 명칭이나 물리적/논리적 구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하울링 제거를 설명하기 위한 수신 단말기 및 송신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음성 통화 중 제1 시점에 대한 수신 단말기(300) 및 송신 단말기(310)를 나타낸 것이다. 제2 시점에서는 제1 시점에서의 수신 단말기(300)가 송신 단말기(310)이 될 수 있고, 제1 시점에서의 송신 단말기(310)가 수신 단말기(300)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3은 설명 편의를 위해 단말기를 수신 단말기(300) 및 송신 단말기(310)로 구분하여 도시한 것일 뿐이고, 단말기는 수신 단말기(300)의 구성 및 송신 단말기(31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수신 단말기(300)는 위치 판단부(301), 거리 측정부(302), 하울링 억제 모듈(303), 패킷 수신부(307), 디코더(308), 인코더, 패킷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울링 억제 모듈(303)은 하울링 검출부(304), 하울링 억제부(305), 하울링 검출 정보 송수신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수신 단말기(300)는 도 2에 도시된 단말기(200)와 동일 대응될 수 있다. 도 2의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는 도 3의 수신 단말기(300)의 수신 단말기(300)는 위치 판단부(301), 거리 측정부(302), 하울링 억제 모듈(303), 패킷 수신부(307), 디코더(308), 인코더 및 패킷 송신부와 동일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수신 단말기(30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수신 단말기(3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위치 판단부(301)는 수신 단말기(300)의 위치를 파악하고, 수신 단말기(300)와 근거리에 동일 통화의 참가 단말기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위치 판단부(301)는 단말기 간의 시간 동기화를 위해 GPS나 서버 시스템 등의 시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위치 판단부(301)는 GPS, 무선 통신 기지국 또는 WiFi AP(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통신 서버와 공유할 수 있다.
거리 측정부(302)는 하울링이 발생할 수 있는 거리에 존재하는 단말기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 측정부(302)는 사운드 하드웨어나 블루투스 하드웨어를 별도로 구동시켜 추가적인 연산을 해야 하기 때문에 위치 판단부(301)를 통해 거리 측정부(302)의 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위치 판단부(301)에서 근거리에 동일 통화에 참여한 단말이 존재한다고 결정하면, 거리 측정부(302)는 하울링이 발생할 수 있는 거리에 단말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거리 측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거리는 블루투스나 사운드 웨이브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거리 측정을 위해 별도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단말기(300)의 하울링 억제 모듈(303)은 하울링 검출부(304), 하울링 검출 정보 송수신부(306), 하울링 억제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울링 검출부(304)는 주파수 분석 후 발산으로 추정되는 대역을 검출할 수 있다. 단일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하울링과 달리 음성 통화 시스템(예를 들면, 다자간 통화 시스템)은 네트워크 지연이 상당히 길고 불규칙하기 때문에 근거리 단말기 간에 발생하는 하울링은 루프 지연 시간 만큼 지연이 되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근거리 단말기 간의 하울링 검출시 단말기는 네트워크 및 단말기 지연 등을 고려하여 정확하고 빠른 하울링 검출을 할 수 있다.
하울링 검출부(304)는 음성 신호를 사용자의 청각 특성에 따라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고, 각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및 피크 값들의 시간적 통계 분석을 통해 하울링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하울링 검출부(304)는 수신 단말기(300)의 출력 음성과 송신 단말기(310)의 입력 음성을 분석하여 주파수 대역 별 에너지 변화 비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울링 검출부(304)는 획득된 주파수 대역 별 에너지 변화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하울링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이 크다면, 하울링 검출부(304)는 소정 주파수 대역에 하울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하울링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하울링 검출부(304)는 음성 루프 주기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이 주기적으로 변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소정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이 주기적으로 변하면, 하울링 검출부(304)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하울링이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하울링 검출부(304)는 송신 단말기(310)의 사용자 음성도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 입력을 하울링으로 오판할 경우, 수신 단말기(300)의 하울링 억제부(305)가 오동작하여 결과적으로 수신 단말기(300)의 출력 음성에 큰 왜곡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음성은 자음의 경우 화이트 노이즈와 성질이 비슷하여 하울링과 구분이 가능하다. 또한, 모음의 경우 피크 주파수의 주기적 성질을 이용하면 하울링과 구분이 가능하다.
하울링 억제부(305)는 하울링 증폭이 검출된 소정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하울링 발산이 일어나지 않는 수준으로 낮추는 필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울링 억제부(305)는 송신 단말기(310)의 하울링 검출부(304)의 검출 정보를 수신 받아 최적의 이득 값을 찾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하울링 검출부(304)의 검출 정보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자의 청각 특성에 따라 분리한 각 주파수 대역의 피크 값 및 에너지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울링 억제부(305)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수신 단말기(300)와 송신 단말기(310)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하울링이 발생되는 주파수 대역의 이득 값을 낮출 수 있다. 또한, 필터는 수신 단말기(300)와 송신 단말기(310)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하울링이 발생되는 주파수 대역의 이득 값을 높일 수 있다.
하울링 억제부(305)는 수신 단말기(300)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송신 단말기(310)의 수를 하울링을 제거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 단말기(300)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송신 단말기(310)가 증가할수록 송신 단말기(310)의 입력 음성 음량이 커지기 때문에 하울링 증폭 발생 확률도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하울링 억제부(305)는 수신 단말기(300)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송신 단말기(310)의 수에 따라 하울링 억제 필터의 억제율을 높일 수 있다.
하울링 검출 정보 송수신부(306)는 수신 단말기(300)와 송신 단말기(310) 간의 시간 동기화 및 하울링 검출부(304)의 검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하울링 검출 정보 송수신부(306)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예를 들면,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한 피크 값 및 에너지 값), 수신 단말기(300)와 송신 단말기(310) 간의 거리,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통화 지연 시간 정보 및 수신 단말기(300)의 음향(acoustic) 음량 정보 등을 송신 단말기(310)로 전송할 수 있다(324).
한편, 하울링 검출 정보 송수신부(306)가 검출 정보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음성 패킷 전송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하울링 검출 정보 송수신부(306)는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이용하여 하울링 검출 정보 및 동기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D2D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하울링 억제 모듈(303)은 하울링 발생 즉시 신속하게 하울링을 억제 또는 제거를 할 수 있다.
음성 통화 중 사운드 하드웨어는 항상 동작하고 있으므로, 하울링 검출 정보 송수신부(306)는 비가청 대역을 이용한 울트라 사운드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사운드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근거리에 다수의 단말기들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단말기 간의 데이터 분리를 할 수 있다.
패킷 수신부(307)은 송신 단말기(310)으로부터 네트워크(326)를 통해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디코더(308)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패킷 수신부(307)은 음성 신호를 하울링 검출 정보 송수신부(306)로도 전달할 수 있다(322).
도 3의 송신 단말기(310)는 위치 판단부(311), 거리 측정부(312), 하울링 억제 모듈(313), 패킷 송신부(317), 인코더(318), 디코더, 패킷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울링 억제 모듈(313)은 하울링 검출부(314), 음성 지연 예측부(315), 하울링 검출 정보 송수신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단말기(310)의 음성 지연 예측부(315)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수신 단말기(300)의 하울링 억제부(305)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 각각과 동일 대응될 수 있다. 송신 단말기(310)의 위치 판단부(311), 거리 측정부(312), 하울링 검출부(314), 하울링 검출 정보 송수신부(316), 패킷 송신부(317), 인코더(318), 디코더 및 패킷 수신부는 수신 단말기(300)의 위치 판단부(301), 거리 측정부(302), 하울링 검출부(304), 하울링 검출 정보 송수신부(306), 패킷 수신부(307), 디코더(308), 인코더 및 패킷 송신부는 각각 동일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송신 단말기(310)은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송신 단말기(31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송신 단말기(31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음성 지연 예측부(315)는 네트워크 및 단말기 레턴시(latency)를 포함하여 하울링 전체 루프의 주기를 추적할 수 있다. 단말기 레턴시 및 음향 반향에 의한 지연은 통화 환경이 변하지 않는 경우 거의 고정적이지만, 네트워크 지연의 경우 QoS가 보장되지 않는 일반망에서는 매우 불규칙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지연 시간을 추정할 필요가 있다.
음성 지연 예측부(315)는 근거리 단말기들간 동기화된 절대 시간을 기준으로 네트워크 지연, 단말 내부 지연 및 음향(acoustic) 지연을 고려하여 지연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인코더(318)는 패킷 송신부(317)로 음성 신호를 전달하고, 패킷 송신부(317)은 패킷 수신부(307)로 음성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패킷 송신부(317)는 음성 신호를 음성 지연 예측부(315)로 전달할 수 있다(323).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하울링을 제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스피커로 출력되는 x(n)(401) 신호는 스피커 및 마이크의 특성과 공간 음향 반향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을 선형 시스템이라고 가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00)는 스피커로 출력된 x(n)(401)과 마이크로 입력된 d(x)(402)를 이용하고, 예측 알고리즘을 통해 적응 필터(405) h(n)을 생성한다. 단말기(200)는 생성된 h(n) 필터에 x(n)(401)을 입력하여 출력 y(n)(403)을 생성한다. 예측 알고리즘이 정확히 h(n)을 예측하였다면, y(n)(403)과 d(n)(402)은 동일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에러가 발생할 것이다. 단말기(200)는 수집된 에러 e(n)(404)를 이용하여 적응 필터(405) h(n)의 계수를 다시 조정하고, 에러 e(n)(404)가 최소가 되는 h(n) 필터를 유지하여 음향 에코 및 하울링을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단말기(200)에서 하울링을 제거하기 위해 특정 구성들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구성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의 단계 S510에서, 단말기(2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음성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통화 서비스는 아날로그 음성 통화 서비스, 디지털 음성 통화 서비스, 3세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및 4세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예를 들면, VoLTE: 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단말기(2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에 근거리 단말기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가 존재하면, 단말기(200)는 단계 S530을 수행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말기(200)는 단계 S540을 수행한다.
단계 S530에서, 단말기(200)는 단말기(200)와 근거리 단말기 간에 발생하는 하울링을 제거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음성 통화 서비스가 수행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변화율을 초과하면, 단말기(200)는 미리 설정된 변화율을 초과한 주파수 대역을 하울링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여 하울링을 제거할 수 있다. 하울링을 제거하는 방법은 도 6 내지 도 8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S540에서, 단말기(200)는 단말기(200)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 서비스를 종료하였는지를 결정한다. 음성 통화 서비스가 종료되었다면, 단말기(200)의 동작은 종료된다. 또한, 음성 통화 서비스가 종료되지 않았다면, 단말기(200)는 다시 단계 S510부터 수행한다.
도 6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의 단계 S610에서, 단말기(200)는 단말기(200)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간의 음성 통화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 S610은 도 5의 단계 S510과 동일 대응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단말기(200)는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음성 통화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기(200)들 중에는 단말기(200)와 물리적으로 거리가 멀리 떨어진 단말기도 있을 수 있고, 거리가 가까운 단말기도 있을 수 있다. 송신 단말의 출력이 수신 단말의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경우, 수신 단말과 송신 단말의 거리가 가까워 송신 단말의 사용자의 음성이 수신 단말의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경우에 하울링은 발생될 수 있다.
단말기(200)는 단말기(200)를 중심으로 근거리에 있는 단말기에 대하여 하울링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고, 하울링이 검출된다면 하울링을 제거할 수 있다.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2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200)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와 단말기(200)를 근거리 그룹으로 생성하여 하울링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그룹이 생성되면, 단말기(200)는 하울링을 제거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반면에, 근거리 그룹이 해제되면, 단말기(200)는 하울링 제거하는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단말기(20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음성 통화 서비스가 수행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20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울링 주파수 대역은 단말기(200)와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 간에 하울링이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이다.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한 피크 값 및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한 에너지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도 6의 단계 S63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의 단계 S710에서, 단말기(20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의 입력 음성 정보 및 단말기(200)의 출력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단말기(20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에 기초하여,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변화율을 초과하면, 단말기(200)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하울링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는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루프 주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음성 루프 주기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음성 루프 주기 정보에 따라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소정의 대역을 하울링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20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예를 들면,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한 피크 값 또는 에너지 값 등)를 근거리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단말기(200)가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와 단말기(200) 간의 거리,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통화 지연 시간 정보 및 단말기(200)의 음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리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하울링 검출 속도 및 정확도를 높여 최소의 음질 열화로 근거리 단말기와 단말기(200) 간에 발생되는 하울링을 제거할 수 있다.
단계 S640에서, 단말기(200)는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여 하울링을 제거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단계 S64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810에서, 단말기(20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 정보,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루프 주기 정보,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와 단말기(200) 간의 거리 및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울링을 제거하는 데에 이용되는 최적의 필터의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200)와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가 점점 가까워질수록 단말기(200)는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이 낮아지도록 필터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와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가 점점 멀어질수록 단말기(200)는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이 높아지도록 필터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단말기(200)는 근거리 단말기의 개수가 다수인 경우, 하울링 발생 확률이 더 높아지므로, 근거리 단말기의 개수를 반영하여 필터의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200)는 하울링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하울링이 검출되면 다시 필터의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최적의 필터의 계수를 결정하기 위해 송신 단말에서 검출된 마이크 입력의 하울링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단계 S820에서, 단말기(200)는 필터 계수에 기초하여 하울링을 제거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노치 필터를 구성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노치 필터는 하울링이 검출된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여 하울링을 제거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단말기(1000)은 도 2의 단말기(200)과 동일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의 제어부(3300)는 도 2의 제어부(210)과 동일 대응될 수 있고, 도 9의 출력부(3200)는 도 2의 출력부(220)와 동일 대응될 수 있고, 도 9의 통신부(3500)는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통신부(미도시)와 동일 대응될 수 있다.
입력부(310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0)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310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320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3200)는 음향 출력부(3220), 및 진동 모터(323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3210)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전자 장치(1000)는 터치스크린(3210)을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터치스크린(3210)은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3220)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3220)는 전자 장치(10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322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3230)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3230)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3230)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3300)는 전자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전자 장치(10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센싱부(3400)는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체 접촉에 기초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3400)는, 지자기 센서(3410), 무게 센서(3411), 모션 센서(3412), 가속도 센서(3420), 온/습도 센서(3430), 적외선 센서(3440), 자이로스코프 센서(3450), 위치 센서(3460), 기압 센서(3470), 근접 센서(3480) 및 RGB 센서(34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3500)는 전자 장치(1000)와 외부 기기(미도시)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500)는, 근거리 통신부(3510), 이동 통신부(3520), 방송 수신부(3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35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35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전자 장치(1000),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35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0)가 방송 수신부(35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3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3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361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370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3610)는 전자 장치(1000)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3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362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362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3700)는, 제어부(3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0)로 입력되거나 전자 장치(10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3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모듈(3710), UI(User Interface) 모듈(3720), 알림 모듈(37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3710)과 관련하여,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UI 모듈(3720)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전자 장치(10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3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 모듈(3730)은 전자 장치(10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메시지 발생,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3720)은 디스플레이부(3210)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3200)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3230)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간의 음성 통화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가 수행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간에 하울링이 발생하는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여 상기 하울링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한 피크 값 및 에너지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가 수행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간에 하울링이 발생하는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의 입력 음성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출력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변화율을 초과하면, 상기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루프 주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루프 주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상기 음성 루프 주기 정보에 따라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울링이 검출된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여 상기 하울링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정보,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루프 주기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 간의 거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울링이 검출된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하울링이 검출된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이 낮아지도록 필터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가 멀어질수록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이 높아지도록 필터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 간의 거리,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통화 지연 시간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음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와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지연 시간 정보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 사이에 형성된 네트워크 및 상기 단말기에 의한 음성 지연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울링이 검출된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여 상기 하울링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노치 필터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간의 음성 통화 서비스를 실행하고,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를 결정하고,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가 수행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간에 하울링이 발생하는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고,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여 상기 하울링을 제거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울링이 제거된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한 피크 값 및 에너지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의 입력 음성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출력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변화율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하는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루프 주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음성 루프 주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상기 음성 루프 주기 정보에 따라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변화율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하는 단말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정보,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루프 주기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 간의 거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울링이 검출된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는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이 낮아지도록 필터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가 멀어질수록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이 높아지도록 필터 계수를 결정하는 단말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 간의 거리,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음성 통화 지연 시간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음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노치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치 필터는 상기 하울링이 검출된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여 상기 하울링을 제거하는 단말기.
  20.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동작 방법은,
    상기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간의 음성 통화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중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가 수행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단말기간에 하울링이 발생하는 하울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울링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조절하여 상기 하울링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50111209A 2015-08-06 2015-08-06 단말기 및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2263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209A KR102263700B1 (ko) 2015-08-06 2015-08-06 단말기 및 단말기의 동작 방법
PCT/KR2016/008550 WO2017023109A1 (ko) 2015-08-06 2016-08-03 단말기 및 단말기의 동작 방법
US15/750,739 US10735869B2 (en) 2015-08-06 2016-08-03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for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209A KR102263700B1 (ko) 2015-08-06 2015-08-06 단말기 및 단말기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381A KR20170017381A (ko) 2017-02-15
KR102263700B1 true KR102263700B1 (ko) 2021-06-10

Family

ID=5794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209A KR102263700B1 (ko) 2015-08-06 2015-08-06 단말기 및 단말기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35869B2 (ko)
KR (1) KR102263700B1 (ko)
WO (1) WO20170231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988B1 (ko) * 2017-09-01 2021-05-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에코 및 하울링 감지 장치, 방법 및 다자간 통화 장치
CN109756852A (zh) * 2017-11-02 2019-05-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集群通信方法、服务器、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284728B1 (en) * 2018-02-21 2019-05-07 Motorola Solutions, Inc. Adaptive proximity thresholds for dynamic howling suppression
CN110148426B (zh) * 2018-08-01 2024-01-26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啸叫检测方法及其设备、存储介质、电子设备
JP6632043B1 (ja) * 2019-03-13 2020-01-15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電話装置及び電話装置の制御方法
KR102291515B1 (ko) * 2020-03-25 2021-08-20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재난안전통신용 ptt무전 단말기의 하울링 방지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4495A (zh) 2014-12-05 2015-03-04 杨满 用于小型程控扩音器的防啸叫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1190B2 (ja) * 1990-01-16 1995-06-2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ハウリング防止機能を備えた音響装置
JPH11127496A (ja) * 1997-10-20 1999-05-11 Sony Corp ハウリング除去装置
KR100272130B1 (ko) 1998-03-30 2000-11-15 윤종용 전화기에서의 하울링 제거 장치 및 방법
JP4681163B2 (ja) * 2001-07-16 2011-05-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ハウリング検出抑圧装置、これを備えた音響装置、及び、ハウリング検出抑圧方法
KR100904090B1 (ko) 2006-12-26 2009-06-23 한국전력거래소 다가입자 호출&동시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85314A (ko) * 2008-02-04 200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아날로그 트렁크 및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
WO2010035760A1 (ja) 2008-09-24 2010-04-01 ヤマハ株式会社 ループゲイン推定装置およびハウリング防止装置
US8630426B2 (en) 2009-11-06 2014-01-14 Motorola Solutions, Inc. Howling suppression using echo cancellation
KR101671389B1 (ko) 2010-03-05 2016-11-01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변 대역 폭 적응 노치 필터, 및 가변 대역 폭 적응 노치 필터를 이용하여 하울링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US8891786B1 (en) * 2010-05-17 2014-11-18 Marvell International Ltd. Selective notch filtering for howling suppression
EP2512040B1 (en) * 2011-04-14 2013-11-13 Alcatel Lucent A computation saving echo canceller for a wide band audio signal
KR20130039196A (ko) * 2011-10-11 2013-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및 서버
GB201309773D0 (en) * 2013-05-31 2013-07-17 Microsoft Corp Echo removal
GB201309771D0 (en) * 2013-05-31 2013-07-17 Microsoft Corp Echo removal
GB2512413B (en) * 2013-09-18 2015-05-06 Imagination Tech Ltd Acoustic echo cancellation
GB201501791D0 (en) * 2015-02-03 2015-03-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on-linear echo path det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4495A (zh) 2014-12-05 2015-03-04 杨满 用于小型程控扩音器的防啸叫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3109A1 (ko) 2017-02-09
KR20170017381A (ko) 2017-02-15
US20200120429A1 (en) 2020-04-16
US10735869B2 (en) 202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700B1 (ko) 단말기 및 단말기의 동작 방법
US1157602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ranging through UWB
US9847014B2 (en) Proximity-based reminders
CN109684249B (zh) 用于使用电子附件连接的连接属性促进定位附件的主设备
US9668048B2 (en) Contextual switching of microphones
US95884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lligent alarm notification
US10334100B2 (en) Presence-based device mode modification
KR2017007618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CA3065096C (en) Adaptation of the auditory output of an electronic digital assistant in accordance with an indication of the acoustic environment
US10660148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airing electronic devices based upon proximity
US10827489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using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KR20160090231A (ko) 디바이스들 간의 거리를 결정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11601996B2 (en) Proximity-based connection for bluetooth devices
KR10240669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JP6510434B2 (ja) 電子機器、制御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の動作方法
CN109982208B (zh) 一种控制方法及终端设备
TW202248993A (zh) 麥克風定向波束成形調整技術
JP6535289B2 (ja) 電子機器、制御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の動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