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314A - 아날로그 트렁크 및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 - Google Patents

아날로그 트렁크 및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314A
KR20090085314A KR1020080011142A KR20080011142A KR20090085314A KR 20090085314 A KR20090085314 A KR 20090085314A KR 1020080011142 A KR1020080011142 A KR 1020080011142A KR 20080011142 A KR20080011142 A KR 20080011142A KR 20090085314 A KR20090085314 A KR 20090085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value
erl
parameter
analog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광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1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5314A/ko
Priority to US12/353,718 priority patent/US20090196413A1/en
Publication of KR20090085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8Two-way loud-speaking telephone systems with means for conditioning the signal, e.g. for suppressing echoes for one or both directions of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은, 각 루프 거리별로 Echo Return Loss(ERL) 특성을 최적화시키는 루프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와 각 루프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톤을 발생시키고, 이로부터 ERL 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ERL 값이 최소값을 갖는 루프 파라미터값을 최적화된 루프 파라미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날로그 트렁크 및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ANALOG TRUNK AND METHOD OF OPTIMIZING VOICE QUALITY IN ANALOG TRUNK}
본 발명은 아날로그 트렁크 및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날로그 트렁크(Analog trunk)를 경유하는 VoIP 호에 있어서, 음질을 좌우하는 파라미터를 루프 거리에 따라 최적화하도록 설정하는 아날로그 트렁크 및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향(echo)이란 음원에서 나온 음파가 물체 등에 부딪혀 반사된 후, 다시 관찰자에게 들리는 현상을 말한다. 반향은 크게 음향 반향과 하이브리드 반향으로 분류된다.
음향 반향(Acoustic echo)은 통신 단말에서 원단화자(far-end talker)의 신호가 반향되어, 근단화자(near-end talker)의 전송단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반면 하이브리드 반향(Hybrid echo)은 PSTN 네트워크의 4선/2선(4wired/2wired) 접속 회로인 하이브리드에서 반향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사 설 교환기(Private Branch exchange: PBX)는 아날로그 트렁크를 통하여 국설 교환기 또는 사설 교환기와 연결된다. 이 경우 아날로그 트렁크는 송/수신 신호에 대한 회선을 분리하기 위하여, 4선/2선 접속 회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Internet Protocol(IP) 네트워크를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에 연결하는 경우, 하이브리드 반향이 발생한다.
반향은 그 지연 시간과 크기에 따라 통화 품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킨다. 따라서 상기 반향 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반향 제거기를 사용한다. 반향 제거기(Echo Canceller)는 적응 필터를 이용하여 반향 신호의 경로를 추정하고, 기대 신호에서 잡음과 반향 신호에 의한 영향을 제거한다.
도 1은 국선 루프 길이에 따른 전류량 및 신호 감쇄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국선을 통하여 상대방과 통화하는 경우, 국선 루프의 길이가 변화함에 따라 통화 감도가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국선 루프의 길이 1km당 신호의 감도는 1dB 감소한다. 따라서 국선 루프의 길이가 7km라면, 신호의 감도는 대략 7dB 감소한다. 이러한 신호 감도의 감쇄는 가입자간 통화 시 통화 음량의 감쇄로서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가입자들은 통화 시 상대방의 음성을 정확하게 들을 수 없다.
최근 들어 IP phone 혹은 VoIP 사용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IP phone 혹은 VoIP를 통한 호 형성 시, 호의 경로가 아날로그 트렁크를 경유하는 경우, 아날로그 트렁크 회로의 2W/4W 변환 과정에서 반향이 발생한다. 이 경우 Real Time Protocol (RTP) 패킷을 처리하는 Digital Signal Processor(DSP)의 반향 제거기가 반향을 감쇄시킨다.
이때 DSP가 반향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G.168에 규정되어진 최소한의 Echo Return Loss(ERL)를 아날로그 트렁크에서 보장해야 한다. ITU G.168 standard에 규정되어진 최소한의 ERL 값은 6dB이다.
ERL 특성은 국선의 선로 조건, 상대방과의 거리 등 루프(loop)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즉, ERL 특성은 국선의 선로 길이에 따라 변하며, 특정 루프에 최적화 할 경우, 그 외의 구간에서는 ERL 특성이 나빠진다. ERL 특성이 나빠지는 경우, 반향을 줄이기 위해 반향 제거기의 ERL 파라미터를 조정해야 한다. 이로 인해 원단화자 신호의 반향 신호와 근단화자 신호가 동시에 존재하는 동시 통화(Double Talk) 상황인 경우, 음질은 저하된다.
즉, 기존에 아날로그 트렁크에서 balance 회로를 구성하는 경우, ERL이 루프 상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반향 제거기의 동작을 최적화하기가 어려웠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국선별 거리에 따라 ERL 특성이 최적화될 수 있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국선별 거리에 따라 ERL 최적값을 설정함으로써, 설치된 국선 파라미터 상태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VOIP 호 연결시 최적화된 음질을 제공하는 아날로그 트렁크 및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은, 각 루프 거리별로 Echo Return Loss(ERL) 특성을 최적화시키는 루프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와 각 루프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톤을 발생시키고, 이로부터 ERL 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ERL 값이 최소값을 갖는 루프 파라미터값을 최적화된 루프 파라미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루프 파라미터는, 송신 신호의 세기, 수신 신호의 세기 및 반사 계수(Return Los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루프 거리는 초기 루프 거리가 0km로 설정되고, 이로부터 1km씩 증가하면서 설정된다.
상기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은, 각 루프 파라미터 값에 따라 톤을 생성하는 경우, 실제 음성 대역과 유사한 대역에 해당하는 톤을 생성한다.
상기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은, 각 루프 파라미터 값에 따라 톤을 생성하는 경우, 반향 제거기를 disable 시킨다.
상기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각 루프 파라미터 값에 따라 발생된 톤이 반향되어 돌아오는 경우 이로부터 ERL 값을 측정한다.
상기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최적화된 루프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각 루프 파라미터값에 따른 ERL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ERL값 중 최소값을 선택한 후, ERL의 최소값을 발생시키는 루프 파라미터값을 최적화된 루프 파라미터로 설정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아날로그 트렁크는, 각 루프 거리별로 ERL 특성을 최적화시키는 루프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중앙 처리부와 상기 루프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톤을 생성하는 톤 생성부 및 상기 ERL 값이 최소값을 갖는 루프 파라미터값을 최적화된 루프 파라미터로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아날로그 트렁크에 있어서, 상기 루프 파라미터는, 송신 신호의 세기, 수신 신호의 세기 및 반사 계수(Return Los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아날로그 트렁크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초기 루프 거리를 0km로 설정하고, 이로부터 1km씩 증가하면서 루프 거리를 설정한다.
상기 아날로그 트렁크에 있어서, 상기 톤 생성부는, 각 루프 파라미터 값에 따라 톤을 생성하는 경우, 실제 음성 대역과 유사한 대역에 해당하는 톤을 생성한다.
상기 아날로그 트렁크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톤 생성부가 각 루프 파라미터 값에 따라 톤을 발생시키는 경우, 반향 제거기를 disable 시킨다.
상기 아날로그 트렁크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설정부는, 각 루프 파라미터 값에 따라 발생된 톤이 반향되어 돌아오는 경우, 이로부터 ERL 값을 측정한다.
상기 아날로그 트렁크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설정부는, 상기 톤 생성부가 생성한 톤으로부터, 각 루프 파라미터값에 따른 ERL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ERL값 중 최소값을 선택한 후, ERL의 최소값을 발생시키는 루프 파라미터값을 최적화된 루프 파라미터로 설정한다.
통상적으로 VOIP 시스템에서의 반향 및 동시 통화시의 음 끊김 문제는, 호가 아날로그 트렁크를 경유하는 경우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아날로그 트렁크를 사용하는 VOIP 교환 시스템 혹은 단말에 있어서, 반향 제거 및 동시 통화시의 음질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최적화된 국선 파라미터를 자동적으로 설정하므로, 설치자의 지식 및 능력 여부에 상관없이 음성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각각 아날로그 트렁크의 루프 거리를 0, 1, 2, 4, 6.5 km로 변경시키며 측정한, 거리에 따른 ERL의 특성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단일 파라미터 또는 하드웨어로 최적화하여 시험한 국선 거리별 ERL 특성이다. 루프 거리가 변화하더라도 ERL의 특성은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최적화된 ERL 특성을 가지는 특정 루프 거리를 벗어나면 음질은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음질 최적화 방법에 따라 ERL 특성을 최적화한 후 측정한 국선 거리별 ERL 특성이다.
특정 루프 거리별로 최적화된 ERL 특성을 설정하였으므로, 도 2와는 달리 루프 거리가 변화함에 따라 ERL 특성이 크게 변한다. 한편 이 경우 루프 거리별로 최적화된 ERL 특성을 설정하였으므로, 특정 루프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에도 음질은 저하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트렁크 및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날로그 트렁크에서는 연결된 아날로그 트렁크 라인의 루프 길이에 따라 음성 품질이 변한다. 종래에는 각 Design Automation(DA) 칩의 설계자가 실험을 통하여 최적화된 루프 길이를 얻고, 이에 따른 국선의 ERL값을 DA 칩 설계시 register 값으로 고정하였다.
이 경우 회로가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최적의 특성을 가지는 루프 길이를 벗어나는 경우 음질이 저하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최적의 특성에서 벗어나더라도, 루프 길이와 관계없이 루프 정합값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아날로그 트렁크 라인의 루프 길이에 맞는 최적의 음성 품질을 제공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루프 거리별로 최적화된 ERL 값을 가질 수 있도록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루프 거리에 따라 ERL 최적값을 설정한다.
본 발명은 크게 1) 최적화된 ERL 값을 가질 수 있는 파라미터 설정 과정과 2) 루프 거리에 따라 ERL 최적값을 설정하는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파라미터 설정 과정에 대해서는 도 5와 관련해서, 루프 거리에 따라 ERL 최적값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6과 관련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트렁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중앙 처리부(410), 파라미터 설정부(420) 및 톤 생성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앙 처리부(410)는 특정 루프 거리별로 ERL 특성을 최적화시키는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상기 파라미터에는 Tx부에서의 송신 신호의 세기, Rx부에서의 수신 신호의 세기 및 반사 계수(Return Loss: RL)등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 처리부(410)는 초기 루프 거리를 0km로 설정하고, 루프 거리를 1km씩 증가시켜 가면서, 각 루프 거리별로 ERL 특성을 최적화시키는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중앙 처리부(410)는 이와 같은 과정을 루프 거리가 6km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 이 경우 중앙 처리부(410)가 설정한, 각 루프 거리별로 ERL 특성을 최적화시키는 파라미터를 이하 "루프 파라미터"라고 정의한다.
한편 본원 발명에서는 루프 거리를 1km씩 증가시키는 경우를 가정하였지만, 증가시키는 루프 거리를 더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증가시키는 루프 거리를 세분화 할수록, 루프 거리에 따른 ERL 특성을 더욱 최적화시킬 수 있다.
중앙 처리부는 톤 생성부(430)가 루프 파라미터값에 따른 톤을 발생시키는 경우, 반향 제거기를 disable 시킨다.
파라미터 설정부(420)는 각 루프 파라미터의 최초값(initial value), 최대값(maximum value) 및 증가값(increment)을 설정한다.
파라미터 설정부(420)는 루프 파라미터 값을 상기 최초값(initial value)으로 설정하고, 루프 파라미터값이 최대값(maximum value)이 될 때까지, 루프 파라미터값을 일정값(즉, 증가값)만큼 증가시킨다. 이 경우 파라미터 설정부(420)는 설정된 루프 파라미터 값에 대한 정보를 톤 생성부(430)에 전송한다.
한편 파라미터 설정부(420)는 톤 생성부(430)가 생성한 톤으로부터, 루프 파라미터값에 따른 ERL 값을 측정한다. 파라미터 설정부(420)는 ERL 측정값 중 최소값을 선택하고, ERL의 최소값을 발생시키는 루프 파라미터값을 최적값으로 설정한다.
톤 생성부(430)는 루프 파라미터값에 따른 톤을 생성한다. 이 경우, 톤 생성부(430)는 음성 대역과 유사한 톤, 즉 400Hz~700Hz의 톤을 발생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최적화된 ERL 값을 가질 수 있는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근래 국선의 ERL 값을 register 값으로 조절할 수 있는 D/A 칩이 많이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상용 D/A 칩의 ERL 특성을 루프별로 설정한다. 그러나 각 상용 칩마다 ERL 특성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르다. 즉, ERL 특성 최적화 방법은 DA 칩의 시뮬레이션 또는 하드웨어 설계 방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언급은 생략한다.
파라미터 설정 과정이 시작되면,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초기 루프 거리를 0km로 설정한다(S501). 이 경우 루프 거리가 0km라는 것은, 사용자와 아날로그 트렁크 라인 사이의 루프 길이가 0km라는 것을 의미한다.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설정된 루프 거리에 맞게 ERL 특성을 최적화시킨다(S502). DA 칩별로 ERL 특성 최적화 방안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언급한 바 있다.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ERL 특성이 최적화되었는지 판단한다(S503). 만일 ERL 특성이 최적화되지 않은 경우라면, S502 단계로 되돌아가 ERL 특성을 최적화한다. 그러나 ERL 특성이 최적화 되었다고 판단되면,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ERL 특성을 최적화시키는 파라미터를 설정한다(S504).
초기 루프 거리에 따른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나면,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루프 거리를 1km 증가시킨다(S505). 초기 루프 거리가 0km로 설정되었고, 이로부터 루프 거리가 1km 증가하였다. 따라서 S505 단계를 거치는 경우, 루프 거리는 1km로 재설정된다.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루프 거리가 6km 이상인지 판단한다(S506). 본원 발명에서는 0km~1km, 1km~2km, 2km~3km, 3km~4km, 4km~5km, 5km~6km의 6 단계로 루프 거리를 나누고, 각 단계별로 ERL 특성을 최적화하는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그렇지만 루프 거리를 세분화 할수록 더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루프 거리가 6km 미만인 경우,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S505 단계를 거쳐 재설정된 루프 거리에 따른 ERL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S502 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루프 거리가 6km 이상인 경우,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국선별 거리에 따른 파라미터 설정 과정을 종료한다.
ERL 특성을 최적화하는 파라미터 설정을 통하여, 본원 발명에서는 국선별 거리에 따른 ERL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루프 거리에 따라 최적화된 ERL 값을 가질 수 있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나면, 설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루프 거리에 따라 ERL의 최적값을 설정해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국선별 거리에 따른 ERL 특성을 최적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트렁크(400)에서는 국선을 잡은 후, 각 파라미터별로 실제 톤(tone)을 발생시켜 측정한 ERL값 중 최저값을 나타내는 파라미터값을 최적화 파라미터로 설정한다.
ERL 특성 최적화 과정이 시작되면,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각 루프 파라미터의 최초값(initial value), 최대값(maximum value) 및 증가값(increment)을 설정한다(S601). 이 경우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실제 톤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국선을 연결한다(S602).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루프 파라미터값에 최초값(initial value)을 입력하고(S603), 루프 파라미터값에 따른 톤을 생성한다(S604). 이 경우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음성 대역과 유사한 톤을 발생시킨다. 이는 실제 호 처리시 호의 음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실제 음성과 이에 따른 반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함이다. 실제 음성 대역과 유사한 톤은 400Hz~700Hz 이다. 따라서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상기 음성 대역의 톤을 발생시킨다.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톤 생성부(430)로부터 발생된 톤이 하이브리드 회로에서 돌아오는 ERL 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반향 제거기를 disable 시킨다(S605). 이 경우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반향이 제거되지 않은 톤을 감지하고, ERL 값을 측정한다(S606).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루프 파라미터값이 최대값(maximum value)보다 작은지 판단한다(S607). 만일 루프 파라미터값이 최대값(maximum value)보다 작은 경우,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루프 파라미터값을 증가값(increment)만큼 증가시킨다(S608). 이 경우, 해당 루프 파라미터값에 따른 ERL 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S604 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루프 파라미터값이 최대값(maximum value)과 크거나 같다면,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ERL의 측정값 중 최소값을 선택한다(S609). 이 경우 아날로그 트렁크(400)는 ERL의 최소값을 발생시키는 루프 파라미터값을 최적화된 루프 파라미터로 설정한다(S610).
이로써 국선별 거리에 따른 ERL 특성 최적화 과정이 모두 종료한다.
도 1은 국선 루프 길이에 따른 전류량 및 신호 감쇄량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단일 파라미터 또는 하드웨어로 최적화하여 시험한 국선 거리별 ERL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음질 최적화 방법에 따라 ERL 특성을 최적화한 후 측정한 국선 거리별 ERL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트렁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최적화된 ERL 값을 가질 수 있는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국선별 거리에 따른 ERL 특성을 최적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아날로그 트렁크 410: 중앙 처리부
420: 파라미터 설정부 430: 톤 생성부

Claims (14)

  1. 각 루프 거리별로 Echo Return Loss(ERL) 특성을 최적화시키는 루프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
    각 루프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톤을 발생시키고, 이로부터 ERL 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ERL 값이 최소값을 갖는 루프 파라미터값을 최적화된 루프 파라미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파라미터는,
    송신 신호의 세기, 수신 신호의 세기 및 반사 계수(Return Los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루프 거리는 초기 루프 거리가 0km로 설정되고, 이로부터 1km씩 증가하면서 설정되는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각 루프 파라미터 값에 따라 톤을 생성하는 경우, 실제 음성 대역과 유사한대역에 해당하는 톤을 생성하는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각 루프 파라미터 값에 따라 톤을 생성하는 경우, 반향 제거기를 disable 시키는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각 루프 파라미터 값에 따라 발생된 톤이 반향되어 돌아오는 경우, 이로부터 ERL 값을 측정하는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최적화된 루프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각 루프 파라미터값에 따른 ERL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ERL값 중 최소값을 선택한 후, ERL의 최소값을 발생시키는 루프 파라미터값을 최적화된 루프 파라미터 로 설정하는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
  8. 각 루프 거리별로 ERL 특성을 최적화시키는 루프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중앙 처리부;
    상기 루프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톤을 생성하는 톤 생성부; 및
    상기 ERL 값이 최소값을 갖는 루프 파라미터값을 최적화된 루프 파라미터로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부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트렁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파라미터는,
    송신 신호의 세기, 수신 신호의 세기 및 반사 계수(Return Los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아날로그 트렁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초기 루프 거리를 0km로 설정하고, 이로부터 1km씩 증가하면서 루프 거리를 설정하는 아날로그 트렁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톤 생성부는,
    각 루프 파라미터 값에 따라 톤을 생성하는 경우, 실제 음성 대역과 유사한대역에 해당하는 톤을 생성하는 아날로그 트렁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톤 생성부가 각 루프 파라미터 값에 따라 톤을 발생시키는 경우, 반향 제거기를 disable 시키는 아날로그 트렁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설정부는,
    각 루프 파라미터 값에 따라 발생된 톤이 반향되어 돌아오는 경우, 이로부터 ERL 값을 측정하는 아날로그 트렁크.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설정부는,
    상기 톤 생성부가 생성한 톤으로부터, 각 루프 파라미터값에 따른 ERL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ERL값 중 최소값을 선택한 후, ERL의 최소값을 발생시키는 루프 파라미터값을 최적화된 루프 파라미터로 설정하는 아날로그 트렁크.
KR1020080011142A 2008-02-04 2008-02-04 아날로그 트렁크 및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 KR20090085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142A KR20090085314A (ko) 2008-02-04 2008-02-04 아날로그 트렁크 및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
US12/353,718 US20090196413A1 (en) 2008-02-04 2009-01-14 Analog trunk and method for optimizing voice quality in analog tru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142A KR20090085314A (ko) 2008-02-04 2008-02-04 아날로그 트렁크 및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314A true KR20090085314A (ko) 2009-08-07

Family

ID=40931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142A KR20090085314A (ko) 2008-02-04 2008-02-04 아날로그 트렁크 및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196413A1 (ko)
KR (1) KR200900853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957B1 (ko) * 2009-11-16 2012-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그룹 자원 할당 방법
KR20170017381A (ko) * 2015-08-06 201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및 단말기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4036B1 (en) * 2004-09-14 2010-06-08 Cisco Technology, Inc. Dynamic attenu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voice quality using echo cancellers
US7668232B2 (en) * 2005-07-08 2010-02-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power cutback in communication sys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957B1 (ko) * 2009-11-16 2012-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그룹 자원 할당 방법
KR20170017381A (ko) * 2015-08-06 201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및 단말기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96413A1 (en)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1027B2 (en) Electricity echo cancellation device and method
US56756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ing echo accounting for delay variations
US7366118B2 (en) Echo cancellation
US20020101982A1 (en) Line echo canceller scalable to multiple voice channels/ports
US7787597B1 (en) Automated tools for testing echo cancellers using natural speech excitations
US81212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aining of echo cancellation
KR20090085314A (ko) 아날로그 트렁크 및 아날로그 트렁크의 음질 최적화 방법
US8666058B2 (en) Time domain adaptive filter bank for network echo reduction or cancellation
Cisco Echo Analysis for Voice over IP
US8654967B2 (en) System for conditioning echo response of loop start trunk line
US200702029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embedded echo canceller in wireless network
JP5510288B2 (ja) 適応フィルタ次数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エコーキャンセラ
JP2002280938A (ja) エコーキャンセラ装置
Kadam et al. Adaptive echo cancellation in VoIP network
JP4576847B2 (ja) エコーキャンセラ制御装置及び音声通信装置
Van Phong et al. Removing Long Echo Delay Using Combination of Jitter Buffer and Adaptive Filter
KR20030055750A (ko) 교환 시스템에서 반향 상쇄 장치 및 그 방법
GB2410661A (en) Narrow band tone detection in echo cancelling system
EP1216519B1 (en) Measuring the perceptual quality of speech signals including echo disturbances
SE514015C2 (sv) Förfarande för att uppskatta impulssvaret och ekoreturförlusterna i ett telesystem
JPH03109828A (ja) 平坦遅延長計測方法および装置、反響消去装置ならびに電話端末
Lu et al. Echo cancellation of FXO line card expansion
KR20000043955A (ko) 에코 소거장치의 탭수 결정방법
Bhatia Echo-Cancellation—An application of Adaptive Signal Processing
Curpen et al. PARAMETER CONSIDERATIONS ON DIGITAL TELECOMMUNICATION NETWORK CIRCUITS REGARDING ECHO, STABILITY AND LOCAL EFF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