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635B1 - Vertical plan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Vertical plan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635B1
KR102263635B1 KR1020200125870A KR20200125870A KR102263635B1 KR 102263635 B1 KR102263635 B1 KR 102263635B1 KR 1020200125870 A KR1020200125870 A KR 1020200125870A KR 20200125870 A KR20200125870 A KR 20200125870A KR 102263635 B1 KR102263635 B1 KR 102263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vegetation
vertical wall
hole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철홍
박종성
Original Assignee
(주)수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프로 filed Critical (주)수프로
Priority to KR1020200125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6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635B1/en
Priority to PCT/KR2021/009746 priority patent/WO202206565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greening apparatus. In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bar (14) may be installed to extend horizontally from a vertical wall (10) or a vertical column (12) on the front of the vertical wall (10). The support bar (14) may be coupled to a coupling channel (26) formed on both side plates (25) of a vegetation port (20) to support the vegetation port (20). A connection port (30) may also be supported on the support bar (14), and coupling channels (37) may also be formed on both side plates (36) of the connection port (30).

Description

수직벽 녹화장치{Vertical planting apparatus}Vertical pla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직벽 녹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wall recording device.

도시의 삭막한 환경을 식물로 커버하기 위해서 최근에 수직벽면을 녹화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도시의 건물 등의 각종 수직벽면뿐 아니라 각종 인위적인 수직벽면에 식물이 자라도록 하여 수직벽면을 녹화하거나 여러가지 꽃과 나무로 장식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In order to cover the dreary environment of the city with plants, a lot of research has been done recently for greening the vertical wall. That is,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green the vertical wall surface or decorate it with various flowers and trees by allowing plants to grow on various artificial vertical wall surfaces as well as various vertical wall surfaces such as city buildings.

수직벽면에서 식물이 자라도록 하기 위해서는 식생토를 담아 유지하는 식생포트가 필요한데, 이 식생포트는 중력의 영향으로 낙하될 가능성이 크므로, 담겨지는 식생토의 양이 제한될 수 밖에 없어 식물의 뿌리가 자라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603085 호(특허문헌 001)에서는 연결포트를 사용하여 식생포트의 식물에서 뿌리가 연결포트까지 뻗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order for plants to grow on a vertical wall, a vegetation port that contains and maintains vegetation soil is required. Since this vegetation port is highly likely to fall under the influence of gravity, the amount of vegetation soil contained is inevitably limited, so that the roots of plants Sometimes it's not enough to grow.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03085 (Patent Document 001) uses a connection port so that the root can extend from the plant in the vegetation port to the connection port.

하지만, 위의 선행문헌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식생포트와 연결포트를 교대로 배치할 수 밖에 없어서 녹화된 수직벽면을 정면에서 볼 때, 상대적으로 녹화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bove prior literat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egeta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have to b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when the green vertical wall surface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greening rate is relatively low.

그리고, 위의 선행문헌에서는 식생포트와 연결포트의 배면이 수직벽면에 걸어져 설치되고 있어, 식생포트와 연결포트의 자중에 의한 모멘트가 커져서 식생포트와 연결포트의 크기를 크게 만들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And, in the above prior literature, the back surface of the vegeta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is hung on the vertical wall surface, and the moment due to the weight of the vegeta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increases, so that the size of the vegeta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cannot be made large. hav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3085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60308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9119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1911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7503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687503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벽 녹화에 사용되는 식생포트와 연결포트를 상대적으로 용량이 크게 만드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capacity of the vegeta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used for vertical wall greening relatively large.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벽 녹화에 사용되는 식생포트와 연결포트를 전후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installation of the vegeta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used for vertical wall green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벽에서 수직벽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아와, 상기 지지바아가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아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내부에 상부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토가 채워지는 식생포트와, 상기 식생포트의 배면이나 하면에 접촉되고 상기 지지바아가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아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내부에 식생토가 채워지는 연결포트를 포함할 수 있고,상기 지지바아의 폭방향 양측에는 걸이리브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걸이리브의 사이에는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식생포트나 연결포트의 결합채널에 있는 걸이턱이 걸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upport bar extending from the vertical wall toward the front of the vertical wal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upport bar is coupled to both sides to be movably supported along the support bar and has an upper portion inside. A vegetation port in which an open inner space is formed and the vegetation soil in which plants are planted is filled, and the back or lower surface of the vegetation port is contacted, and the support bars are coupled to both sides to be movably supported along the support bars.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 in which vegetation soil is filled, and hanging ribs may be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ar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hanging ribs to connect the vegetation port or connection. Hanging jaws in the coupling channel of the port can be hung.

상기 지지바아는 상기 수직벽에 직접 결합되거나 상기 수직벽의 전면에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수직기둥에 결합될 수 있다.The support bar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vertical wall or coupled to a vertical column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식생포트의 양측에 있는 측면판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채널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포트의 양측에 있는 측면판의 외면에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채널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coupling channel may be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on both sides of the vegetation port, and at least one coupling channel may be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so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ort. have.

상기 식생포트의 전면에는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외부연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An external communication hole for communicating the internal space and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getation port.

상기 식생포트의 배면판에는 배면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포트의 전면판에는 상기 배면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전면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A rear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rear plate of the vegetation port and a front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through hole in the front plate of the connection port.

상기 전면통공과 배면통공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배면통공이나 전면통공으로 연장되어 삽입되는 통수핀이 더 구비될 수 있다.On either side of the front through-hole and the rear through-hole, a water-through pin extending and inserted into the rear through-hole or the front through-hole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식생포트의 배면판과 상기 연결포트의 전면판에는 상기 연결포트의 저수조와 대응되는 위치에 통수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통수공에는 통수부재가 설치되어 수분을 전달할 수 있다.A water passage hole may be formed in the rear plate of the vegetation port and the front plate of the connection por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storage tank of the connection port, and a water passage member is installed in the water passage hole to transfer moisture.

상기 통수공에 인접한 배면판과 전면판에는 결합요철이 형성될 수 있어 상기 통수부재를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Coupling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on the rear plate and the front plate adjacent to the water-through hole, so that the water-through member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식생포트의 배면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채널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coupling channel may be formed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rear plate of the vegetation port.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 녹화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The vertical wall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에서는 지지바아가 식생포트와 연결포트의 양측 측면과 결합되어 식생포트와 연결포트를 지지하므로, 식생포트와 연결포트를 수직벽면에 대해 지지하는 것이 보다 견고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생포트와 연결포트를 상대적으로 크게 만들더라도 충분히 수직벽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식물의 생육을 위한 식생토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수직벽 녹화가 원활하게 될 수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ort bar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vegeta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to support the vegeta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it can be more robust to support the vegeta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against the vertical wall surface. Therefore, even if the vegeta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are made relatively large,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upport the vertical wall surfac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sufficient vegetation soil for the growth of plants, so that the vertical wall greening can be smooth.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식생포트와 연결포트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인 지지바아가 식생포트와 연결포트의 양쪽 측면에 결합되므로, 식생포트의 배면에 연결포트를 겹쳐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식생포트를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수직벽면에 대한 녹화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ort bar, which is a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vegeta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vegeta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connection port overlapping the back surface of the vegetation por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install the vegetation por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greening rate for the vertical wall surface.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식생포트와 연결포트를 지지바아의 자유단부쪽으로 이동시켜서 수직벽 전면에서 분리해 낼 수 있다. 따라서, 교체가 필요한 식생포트만을 선별적으로 분리해서 유지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vegetation port and connection port can be separat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vertical wall by moving toward the free end of the support ba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maintain by selectively separating only the vegetation port that needs replacem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면 녹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식생포트와 연결포트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생포트의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식생포트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생포트의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포트의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포트의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생포트와 연결포트의 서로 접촉되는 면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서 연결포트와 식생포트가 지지바아에 설치되는 것을 보인 작업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연결포트와 식생포트가 설치되는 다양한 형태를 보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녹화장치의 일단부의 마감을 위한 구성을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rtical wall recor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vegeta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getation por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getation por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getation por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por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por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rfac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of the vegeta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working state diagrams showing that the connection port and the vegetation port are installed on the support bar in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showing various forms in which a connection port and a vegetation port are install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closing one end of a recording devi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 실시례의 수직벽 녹화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vertical wall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실시례의 수직벽 녹화장치는 수직벽(10)에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수직벽(10)이라 함은 건물의 외벽, 건물의 실내공간의 벽면, 실외의 사면에 형성되는 벽면 등을 통칭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직벽(10)이라고 해서 반드시 지면에 대해 직교하는 것은 아니며, 지면에 대해 90도에 가까운 경사를 가지는 경우 수직벽(10)이라고 할 수 있다.The vertical wall recording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wall (10). Here, the vertical wall 10 refers to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 wall surface of an indoor space of a building, a wall surface formed on an outdoor slop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vertical wall 10 is not necessari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may be referred to as the vertical wall 10 if it has an inclination close to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상기 수직벽(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기둥(1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기둥(12)은 상기 수직벽(10)의 전방 지면에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나란히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수직기둥(12)이 반드시 수직벽(10)의 전방 지면에 세워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직벽(10) 자체에 수직기둥(12)이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르게는 상기 수직벽(10) 자체에 수직기둥(12)과 같은 기능을 하는 구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기둥(12)을 수직벽(10)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A vertical column 12 as shown in FIG. 2 may be installed on the vertical wall 10 . A plurality of the vertical pillars 12 may be vertically erected side by sid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ground in front of the vertical wall 10 . Of course, the vertical column 12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erected on the ground in front of the vertical wall 10 . A vertical column 12 may be fixed to the vertical wall 10 itself. Alternatively, a configuration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vertical column 12 may be formed on the vertical wall 10 itself. Accordingly, the vertical column 12 may be expressed as a vertical wall 10 .

상기 수직벽(10) 또는 상기 수직기둥(12)에는 지지바아(1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아(14)는 수평으로 설치되거나 상기 수직벽(10)을 향해 약간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바아(14)는 수직벽(10)에서 먼 부분에서 부터 수직벽(10)에 가까운 부분으로 가면서 약간의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바아(14)에는 상면의 폭방향 양단에 각각 걸이리브(16)가 하나 씩 나란히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아(14)의 하면의 폭방향 양단에도 각각 걸이리브(16)가 하나 씩 나란히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리브(16)의 사이에는 채널(17)이 형성될 수 있다.A support bar 14 may be installed on the vertical wall 10 or the vertical column 12 . The support bar 14 may be installed horizontally or inclined slightly downward toward the vertical wall 10 . That is, the support bar 14 may have a slight downward inclination from a portion far from the vertical wall 10 to a portion close to the vertical wall 10 . The support bar 14 may have one hanging rib 16 at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each of the hook ribs 16 may be side by side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14 . A channel 17 may be formed between the hook ribs 16 .

상기 지지바아(14)의 일단부에는 체결부(1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부(18)는 상기 지지바아(14)를 상기 수직벽(10) 또는 수직기둥(12)에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부(18)는 상기 지지바아(14)의 일단부에 다른 부분에 대해 직교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부(18)가 형성되는 것은 상기 지지바아(14)를 상기 수직벽(10) 또는 수직기둥(12)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부(18)는 볼트와 같은 다수개의 체결구(18')에 의해 상기 수직벽(10) 또는 수직기둥(12)에 체결될 수 있다.A fastening part 18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ar 14 . The fastening part 18 is for fastening the support bar 14 to the vertical wall 10 or the vertical column 12 . The fastening portion 18 may be made orthogonal to the other portion at one end of the support bar 14 . The fastening part 18 is formed in this way to more firmly fix the support bar 14 to the vertical wall 10 or the vertical column 12 . The fastening part 18 may be fastened to the vertical wall 10 or the vertical column 12 by a plurality of fasteners 18' such as bolts.

상기 지지바아(14)의 길이는 해당 지지바아(14)에 설치되는 구성에 따라 달리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에서 설명될 하나의 식생포트(20)만 지지되는 경우에 상기 지지바아(14)의 길이가 가장 짧을 수 있고, 식생포트(20)와 연결포트(30) 하나가 지지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포트(30)가 다수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바아(14)의 길이가 더 길어질 수 있다.The length of the support bar 14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installed on the support bar 14 . For example, when only one vegetation port 20 to be described below is supported, the length of the support bar 14 may be the shortest, and when the vegetation port 20 and the connection port 30 are supported. may be relatively long. When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30 are used, the length of the support bar 14 may be longer.

상기 지지바아(14)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벽(10) 또는 수직기둥(12)에 상하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되는 지지바아(14)의 자유단부 사이를 바아연결구(19)로 연결할 수 있다. 도 2에 상기 바아연결구(19)의 구성이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비아연결구(19)는 연결구몸체(19')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돌부(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몸체(19')는 직선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몸체(19')의 양단부에는 상기 결합돌부(19")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결합돌부(19")는 상기 지지바아(14)의 채널(17)에 삽입되어 바아연결구(19)를 상기 지지바아(14)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돌부(19")는 연결구몸체(19')의 단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연결구몸체(19')의 단부에 2개가 한쌍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When the length of the support bar 14 is increased, a bar connector 19 is used to connect between the free ends of the support bar 14 installed adjacent to the vertical wall 10 or the vertical column 12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The configuration of the bar connector 19 is well illustrated in FIG. 2 . The via connector 19 may be provided with coupling protrusions 19"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body 19'. The connector body 19' may be a straight line. The connector body 19' ), the coupling protrusions 19" may be formed at both ends,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19" are inserted into the channels 17 of the support bar 14 to connect the bar connector 19 to the support bar 14. ).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19"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or body 19', respective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are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or body 19' as a pair.

상기 바아연결구(19)는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식생포트(20)와 연결포트(3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바아(14) 사이를 서로 연결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The bar connector 19 is not necessarily used, but can be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support bar 14 to each other in order to more firmly support the vegetation port 20 and the connection port 30. .

상기 바아연결구(19) 대신에 별도의 수직기둥(12)을 상기 지지바아(14)의 선단과 연결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되는 수직기둥(12)은 지면에 고정되어 다수개의 지지바아(14)에 동시에 결합되어 지지바아(14)의 자유단부를 지지할 수도 있다.Instead of the bar connector 19 , a separate vertical column 12 may b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tip of the support bar 14 . The vertical column 12 used at this time may be fixed to the ground and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14 at the same time to support the free end of the support bar 14 .

식생포트(20)는 식생토가 채워진 상태로 식물이 식재되는 부분이다. 상기 식생포트(20)의 내부에는 상부로 개방되게 내부공간(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생포트(20)의 바닥을 바닥판(23)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23)은 사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23)에는 다수개의 바닥통공(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통공(23')은 상기 식생포트(20)의 하부에 있는 다른 식생포트(20) 또는 연결포트(30)로 물과 식물의 뿌리가 통과할 수 있다. Vegetation port 20 is a part in which plants are planted in a state where vegetation soil is filled. An inner space 22 may be formed inside the vegetation port 20 to be opened upward. The bottom plate 23 may form the bottom of the vegetation port 20 . The bottom plate 23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 plurality of bottom through holes 23 ′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late 23 . The bottom through-hole 23 ′ is another vegetation port 20 or connection port 3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egetation port 20 , through which water and plant roots can pass.

상기 바닥판(23)의 선단에는 전면판(2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면판(24)은 식생포트(20)를 측방향에서 볼 때 경사지거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면판(24)의 일부는 경사지고 일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배면판(27)과 평행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24)에는 다수개의 외부연통공(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연통공(24')은 상기 전면판(24)의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연통공(24')은 상기 바닥통공(23')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지는데, 식물의 실뿌리와 수분이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식생포트(20)의 내부공간(22)에 식생토를 채우기 전에, 내부공간(22)의 내면에는 예를 들면 부직포를 설치하므로 식생토가 상기 외부연통공(24')이나 바닥통공(23')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는 없다. 상기 외부연통공(24')은 식물의 실뿌리의 발달을 위한 것으로, 일명 에어 루트 푸르닝(Air Root Pruning)을 위한 것이다. The front end of the bottom plate 23 may have a front plate 24 . The front plate 24 may be inclined or formed in a curved surface when the vegetation port 20 is viewed from the side. In this embodiment, a part of the front plate 24 may be inclined and a part may be parallel to the rear plate 27 to be described below. A plurality of external communication holes 24 ′ may be formed in the front plate 24 . The external communication hole 24 ′ may be formed in the entire area of the front plate 24 . The external communication hole 24 ′ has a relatively small inner diameter compared to the bottom through hole 23 ′, through which a plant root and moisture can pass. Before filling the inner space 22 of the vegetation port 20 with vegetation soil, for example, a nonwoven fabric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22, so that the vegetation soil is formed in the external communication hole 24' or the bottom through hole 23 ') cannot be used to exit to the outside. The external communication hole 24' 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root of the plant, so-called air root pruning.

상기 식생포트(20)의 양측을 측면판(25)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면판(25)은 상기 바닥판(23)의 양측 단부에서 직교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면판(25)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채널(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채널(26)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채널(26)에는 상기 지지바아(14)의 폭방향 절반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채널(26)의 폭방향 양측에는 걸이턱(2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턱(26')은 상기 지지바아(14)의 채널(17)에 안착될 수 있다.The side plates 25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egetation port 20 . The side plate 25 may extend orthogonally from both ends of the bottom plate 23 . At least one coupling channel 26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25 . The coupling channel 26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widthwise half of the support bar 14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channel 26 . Hanging jaws 26 ′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channel 26 in the width direction. The hanging jaw 26 ′ may be seated in the channel 17 of the support bar 14 .

상기 측면판(25)의 하부에서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바닥판(23)의 대응되는 길이와 같지만, 상기 측면판(25)의 상부에서의 전후방향 길이는 하부에서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훨씬 더 길고 상기 전면판(24)의 상단과 배면판(27)의 상단 사이의 길이와 같도록 될 수 있다. The front-to-rear length at the bottom of the side plate 25 is the same as the corresponding length of the bottom plate 23 , but the front-to-back direction at the top of the side plate 25 is much longer than the front-to-back direction at the bottom. It is long and may be equal to the length between the top of the front plate 24 and the top of the back plate 27 .

상기 바닥판(24)과 측면판(25)에 동시에 연결되어서 배면판(27)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배면판(27)은 식생포트(20)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면판(27)에는 좌우방향으로 결합채널(27')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채널(27')은 식생포트(20)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에서 양측 단부의 마감을 위해 식생포트(20)가 상기 지지바아(14)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12에 잘 도시되어 있다.There may be a rear plate 27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24 and the side plate 25 at the same time. The rear plate 27 may form the rear surface of the vegetation port 20 . At least one coupling channel 27 ′ may be formed in the rear plate 27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coupling channel 27 ′ is to allow the vegetation port 20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bar 14 for the finishing of both ends in the vertical wall greening using the vegetation port 20 . This is well illustrated in FIG. 12 .

상기 배면판(27)에는 다수개의 통수공(28)이 있다. 상기 통수공(28)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포트(30)와의 수분 전달을 위한 것이다. 상기 통수공(28)에는 통수부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통수부재(50)는 예를 들면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통수부재(50)는 연결포트(30)의 저수조(32)에 있는 물을 지속적으로 식생포트(20)에 있는 식생토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통수부재(50)의 일단은 상기 내부공간(22)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통수부재(50)의 타단은 상기 통수공(28)을 통해 식생포트(20)의 외부로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The rear plate 27 has a plurality of water-through holes 28 . The water hole 28 is for moisture transfer with the connection port 30 to be described below. A water passage member 50 may be installed in the water passage hole 28 . The water passing member 50 may be, for example, a non-woven fabric. The water passing member 50 may serve to continuously deliver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32 of the connection port 30 to the vegetation soil in the vegetation port 20 . One end of the water passing member 50 may extend into the inner space 22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other end of the water-permeable member 50 may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vegetation port 20 through the water-through hole 28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통수공(28)의 주변에는 가압요철(28t)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요철(28t)은 상기 배면판(27)의 표면에 오목하고 볼록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통수부재(50)에 밀착되어 수분의 전달이 일정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수부재(50)의 타단은 적어도 상기 가압요철(28t)을 덮을 정도로 연장될 수 있다.A pressing unevenness 28t may be formed around the water-through hole 28 . The pressing unevenness 28t is formed to be concave and convex on the surface of the rear plate 27 ,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ter passing member 50 so that moisture can be constantly transferred. The other end of the water passing member 50 may extend to at least cover the pressing unevenness 28t.

상기 배면판(27)에는 다수개의 배면통공(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면통공(28')은 식생포트(20)와 연결포트(30) 사이에서 수분의 이동과 뿌리가 뻗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배면통공(28')은 상기 배면판(27)의 대부분의 영역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면통공(28')은 수분과 뿌리의 통과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rear through-holes 28 ′ are formed in the rear plate 27 . The rear through hole 28 ′ may serve to allow the movement of moisture and the roots to extend between the vegetation port 20 and the connection port 30 . The rear through hole 28 ′ may be formed over most of the area of the rear plate 27 . The rear through-hole 28 ′ may be formed to a size that allows moisture and roots to pass through.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배면통공(28')의 가장자리나 상기 배면통공(28')의 내면에서 연장되게 통수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수핀은 상기 배면판(27)에서 돌출된 것으로, 상기 통수핀은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수핀에서 중력방향 하부 쪽은 직선으로 형성되고, 반대쪽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면통공(28')에서 수분이 통수핀을 타고 통수핀의 선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통수핀의 선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포트(30)의 전면통공(34')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water-through pin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an edge of the rear through-hole 28 ′ or an inner surface of the rear through-hole 28 ′. The water-through pin protrudes from the rear plate 27 , and the water-through pin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tip. For example, in the water-through pin, the lower side in the gravity direction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opposite side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moisture in the rear through-hole 28' rides the water-through pin and moves to the tip of the water-through pin. The tip of the water-through pin may be located inside the front through-hole 34 ′ of the connection port 3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배면판(27)의 내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수직리브(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리브(29)는 상기 배면판(27)의 내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소정 높이만큼 배면판(27)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수직리브(29)는 상기 내부공간(22)에 식생된 식물의 뿌리가 나선형으로 자라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a plurality of vertical ribs 29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plate 27 . The vertical ribs 29 extend vertical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plate 27 and may protrude from the rear plate 27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 vertical ribs 29 may serve to prevent the roots of plants planted in the inner space 22 from growing in a spiral.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식생포트(20)는 수직벽(10)의 전면에 행과 열을 이루도록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녹화장치를 정면에서 볼 때, 식생포트(20)만이 정면으로 보이도록 행과 열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간(22)의 입구는 상기 바닥판(23)의 면적보다 더 크고, 특히 상기 전면판(24)의 상단에서 상기 배면판(27)까지의 거리가 상기 바닥판(23)의 대응되는 거리보다 더 크게 되어 있어서, 식생포트(20)들이 지면에 대해 연직방향으로 적층되더라도 식물이 식생된 부분은 노출되어 정면에서 식재된 식물들을 볼 수 있다. A plurality of vegetation ports 2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10 . In Figure 1, when the gree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the front, only the vegetation port 20 is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so that it is seen from the front. Here, the entrance of the inner space 22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bottom plate 23 , and in particular,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24 to the rear plate 27 corresponds to the bottom plate 23 . Since it is larger than the distance to be, even if the vegetation ports 20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vegetation part is exposed and you can see the plants planted from the front.

연결포트(3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연결포트(30)의 좌우폭은 상기 식생포트(20)의 좌우폭과 같을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연결포트(30)의 좌우폭은 식생포트(20)의 좌우폭과 달리 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상기 식생포트(20)의 좌우폭보다 상기 연결포트(30)의 좌우폭이 정수배만큼 크거나 작게 되는 것이 좋다. The connection port 3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connection port 30 may be the same as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vegetation port 20 . Alternatively,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connection port 30 may be different from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vegetation port 20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connection port 30 is greater or small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vegetation port 20 by an integer multiple.

상기 연결포트(30)의 내부에는 보조식생토공간(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식생토공간(31)에는 식생토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보조식생토공간(31)에는 식생포트(20)에 있는 식물의 뿌리가 연장되어 자랄 수 있다.An auxiliary vegetation soil space 31 may be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port 30 . The auxiliary vegetation soil space 31 may be filled with vegetation soil. In the auxiliary vegetation soil space 31 , the roots of plants in the vegetation port 20 can be extended and grown.

상기 연결포트(30)의 내부에는 저수조(32)도 있을 수 있다. 상기 저수조(32)에는 물이 담겨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저수조(32)에 있는 물은 통수부재(50,50')를 통해 식생포트(20)에 있는 식생토로 전달될 수 있다.There may also be a water storage tank 32 inside the connection port 30 . The water storage tank 32 may contain water.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32 may be transferred to the vegetation soil in the vegetation port 20 through the water passing members 50 and 50'.

상기 연결포트(30)의 전면판(34)은 상기 식생포트(20)의 배면판(27)과 밀접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34)에는 전면통공(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통공(34')은 상기 식생포트(20)의 배면판(27)에 형성된 배면통공(28')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어서, 수분과 뿌리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전면통공(28')에는 상기 식생포트(20)의 배면판(27)에 있는 통수핀이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면통공(34')에도 통수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포트(30)의 전면판(34)에도 통수핀이 있어서 상기 식생포트(20)의 배면판(27)에 형성된 배면통공(28')에 삽입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식생포트(20)와 연결포트(30)의 서로 접촉하는 면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통수핀이 형성되어 수분의 전달을 도울 수 있다.The front plate 34 of the connection port 3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plate 27 of the vegetation port 20 . A front through hole 34 ′ may be formed in the front plate 34 . The front through hole 34 ′ i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through hole 28 ′ formed in the rear plate 27 of the vegetation port 20 , through which moisture and roots can pass. In the front through hole 28 ′, a water passage pin on the rear plate 27 of the vegetation port 20 may be located. Of course, a water-through pin may also be formed in the front through-hole 34 ′. That is, since the front plate 34 of the connection port 30 also has a water-through pin, it can be inserted into the rear through-hole 28 ′ formed in the rear plate 27 of the vegetation port 20 . In summary,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rfac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of the vegetation port 20 and the connection port 30 is formed with a water-through pin to help the transfer of moisture.

상기 전면판(34)에도 통수공(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수공(35)은 상기 식생포트(20)의 통수공(28)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수공(35)은 상기 저수조(32)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통수공(35)에도 통수부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통수부재(50')도 부직포와 같은 것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통수부재(50')는 일단부가 상기 저수조(32)의 내부로 길게 연장되어 저수조(32)의 바닥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식생포트(20)의 통수부재(50)와 상기 연결포트(30)의 통수부재(50')가 서로 접촉되어 수분이 저수조(32)에서 식생포트(20)의 식생토로 전달될 수 있다.A water-through hole 35 may also be formed in the front plate 34 . The water-through hole 3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through hole 28 of the vegetation port 20 . The water-through hole 35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storage tank 32 . A water passing member 50 ′ may be installed also in the water passing hole 35 . The water passing member 50' may also be made of a non-woven fabric. One end of the water passing member 50 ′ may extend into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32 to extend to the bottom of the water storage tank 32 . The water passing member 50 of the vegetation port 20 and the water passing member 50 ′ of the connection port 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moisture can be transferred from the water storage tank 32 to the vegetation soil of the vegetation port 20 .

상기 통수공(35)의 주변에는 요철(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35')은 식생포트(20)의 배면판(27)에 형성된 요철(28t)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어서 통수부재(50,50')의 위치를 고정함과 동시에 수분이 전달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수부재(50')의 타단은 상기 요철(35')을 덮을 정도로 연장될 수 있다.Concave-convex 35 ′ may be formed around the water-through hole 35 . The unevenness 35'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nevenness 28t formed on the back plate 27 of the vegetation port 20, and at the same time fixing the position of the water passing members 50 and 50', moisture can be transmitted. A passageway can be formed. The other end of the water passing member 50' may extend to cover the unevenness 35'.

상기 연결포트(30)의 양측에 있는 측면판(36)에는 좌우 방향으로 결합채널(37)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채널(37)은 상기 식생포트(20)의 결합채널(2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식생포트(20)와 연결포트(30)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결합채널(26)(37)이 서로 같은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결합채널(37)의 폭방향 양단에도 걸이턱(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턱(37')은 상기 지지바아(14)의 채널(17)에 안착될 수 있다.At least one coupling channel 37 may be formed in the side plate 36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ort 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coupling channel 37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channel 26 of the vegetation port 20 . In order for the vegetation port 20 and the connection port 30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have their coupling channels 26 and 37 at the same position. Hanging jaws 37'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channel 37 in the width direction. The hook 37 ′ may be seated in the channel 17 of the support bar 14 .

상기 연결포트(30)의 배면판(38)은 상기 전면판(34)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배면판(38)에는 통수공(39)과 배면통공(3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면판(38)에 통수공(39)과 배면통공(38')이 형성되는 것은 연결포트(30)를 다수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필요하다. 상기 통수공(39)에는 통수부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면통공(38')에도 통수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포트(30)의 배면 구성은 연결포트(30) 2개가 서로 접촉하여 배치될 때, 수분, 뿌리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면부호 39'는 요철이다.The rear plate 38 of the connection port 3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ront plate 34 . A through hole 39 and a rear through hole 38 ′ may be formed in the rear plate 38 . The formation of the through hole 39 and the rear through hole 38 ′ in the rear plate 38 is necessary when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30 are connected and used. A water passage member 50 ′ may be installed in the water passage hole 39 . A water-through pin may also be formed in the rear through-hole 38 ′. The rear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port 30 is such that when the two connection ports 30 are plac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moisture and roots can be connected. Reference numeral 39' denotes irregularities.

한편, 상기 연결포트(30)의 바닥판의 구성은 상기 식생포트(20)의 바닥판(23)의 구성과 같을 수 있다. 즉, 연결포트(30)의 바닥판에도 바닥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bottom plate of the connection port 30 may be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bottom plate 23 of the vegetation port 20 . That is, a bottom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late of the connection port 30 .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수직벽 녹화장치를 수직벽에 설치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vertical wall recor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n a vertical wal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본 발명의 녹화장치에서 사용되는 식물들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1546호의 육묘용 용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3362호의 수목 재배용 용기에서 키워진 것이다. 그리고, 이들 육묘용 용기나 수목 재배용 용기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77호로 만들어질 수 있다. First, the plants used in the gree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rown in the container for seedling of Korean Patent No. 10-0761546 and the container for tree cultivation of Korean Patent No. 10-1363362. And, these containers for seedlings or containers for growing trees can be made with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6477.

본 발명의 녹화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직벽(10) 또는 상기 수직벽(10) 전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수직기둥(12)에 지지바아(14)를 지면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설치한다. 상기 지지바아(14)는 하나의 식생포트(20) 또는 연결포트(30)의 폭에 해당되는 간격으로 녹화하고자 하는 수직벽(10)을 따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아(14)는 또한 수직벽(10) 또는 수직기둥(12)의 높이방향으로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벽(10)의 하부에서 수직벽(10)의 상단까지 설치한다. 상기 수직벽(10)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바아(14)의 간격을 하나의 식생포트(20)나 연결포트(30)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바아(14)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install the recor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ar 14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wall 10 or a plurality of vertical pillars 12 installed in front of the vertical wall 10 in almost parallel to the ground. The support bar 14 may be disposed along the vertical wall 10 to be green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one vegetation port 20 or the connection port 30 . The support bar 14 is also install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wall 10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wall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wall 10 or the vertical column 12 .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bars 14 dispos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wall 10 allows at least one support bar 14 to be coupled to one vegetation port 20 or connection port 30 .

도 12에는 위와 같이 설치된 지지바아(14)에 연결포트(30)들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포트(30)의 측면판(36)에 있는 결합채널(37)중 하나에 상기 지지바아(15)의 일측 걸이리브(16)가 삽입되어 걸어지도록 연결포트(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포트(30)들의 배면판(38)이 수직벽(10)과 마주보도록 하고, 상기 연결포트(30)의 전면판(34)이 전방으로 노출되게 설치한 후에는 상기 식생포트(20)들을 설치한다.12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s 30 are installed on the support bar 14 installed as above. The connection port 30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hook rib 16 of one side of the support bar 15 is inserted and hung in one of the coupling channels 37 on the side plate 36 of the connection port 30 . . In this way, the rear plate 38 of the connection ports 30 faces the vertical wall 10, and after installing the front plate 34 of the connection port 30 to be exposed forward, the vegetation port ( 20) are installed.

상기 식생포트(20)의 측면판(25)에 형성된 결합채널(26)중 하나에 상기 지지부재(14)의 걸이리브(16)가 걸어지도록 상기 지지부재(14)의 선단에서부터 상기 식생포트(20)를 상기 연결포트(30)를 향해 삽입한다. 상기 연결포트(30)의 전면판(34)에 상기 식생포트(20)의 배면판(27)이 밀착되도록 상기 식생포트(20)를 설치한다.The vegetation port from the tip of the support member 14 so that the hanging rib 16 of the support member 14 is hung on one of the coupling channels 26 formed in the side plate 25 of the vegetation port 20 ( 20) is inserted toward the connection port 30. The vegetation port 20 is installed so that the rear plate 27 of the vegetation port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late 34 of the connection port 30 .

이때, 통수핀이 상기 식생포트(20)와 연결포트(30)의 사이에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식생포트(20)의 배면판(27)에 통수핀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통수핀이 상기 연결포트(30)의 전면판(34)에 형성된 전면통공(34') 내부로 들어가 위치된다.At this time, the water-through pin is between the vegetation port 20 and the connection port 30 . For example, if there is a water-through pin on the rear plate 27 of the vegetation port 20, the water-through pin enters into the front through hole 34 ′ formed in the front plate 34 of the connection port 30 and is positioned do.

그리고, 상기 식생포트(20)의 통수공(28)에 있는 통수부재(50)는 상기 연결포트(30)의 통수공(35)에 있는 통수부재(50')와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통수부재(50,50')끼리 서로 접촉해 있으면, 상기 저수조(32)의 물이 통수부재(50,50')를 따라 전달되어 상기 내부공간(22)의 식생토로 전달될 수 있다. And, the water passing member 50 in the water passage hole 28 of the vegetation port 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ter passage member 50 ′ in the water passage hole 35 of the connection port 30 . As such, when the water passing members 50 and 50 ′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32 may be transferred along the water passing members 50 and 50 ′ to the vegetation soil of the inner space 22 .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포트(20)의 배면판(27)이 상기 연결포트(30)의 전면판(34)에 밀착되게 설치되면, 식생포트(20)와 연결포트(30)의 사이에서 수분의 연결과 뿌리의 연결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10, when the rear plate 27 of the vegetation port 20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late 34 of the connection port 30, the vegetation port 20 and the connection port 30 It can be in a state where connection of moisture and connection of roots are possible.

한편, 상기 식생포트(20)와 연결포트(30)의 설치는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다. 도 11에는 다양한 형태로 식생포트(20)와 연결포트(30)를 배치한 것을 보이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tallation of the vegetation port 20 and the connection port 30 may be in various forms. 11 shows that the vegetation port 20 and the connection port 30 are arranged in various forms.

기본적으로, 식생포트(20)의 배면에 연결포트(30)를 설치하고, 이들 식생포트(20)와 연결포트(30)의 조합이 수직벽(10)의 전면에 좌우 상하로 열을 지어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이나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Basically, the connection port 30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getation port 20, and the combination of these vegetation ports 20 and the connection port 30 forms a row on the front side of the vertical wall 10 in left and right up and down and discharged. can be Such a state is shown in FIG. 1 or FIG. 10 .

그리고, 도 11에는 최하층에는 식생포트(20)와 연결포트(30)가 함께 설치되어 있으나, 그 위치에는 연결포트(30)만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포트(30)만 설치되어 있는 층 위에는 2개의 연결포트(30)가 전후방향으로 서로 접촉하게 설치되고, 선단에 식생포트(20)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 식생포트(20)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는 같은 층에 있는 2개의 연결포트(30)와 아랫층에 있는 연결포트(30) 또는 최하층에 있는 연결포트(30)까지 뻗을 수 있다.And, in Figure 11, although the vegetation port 20 and the connection port 30 are installed together on the lowest floor, only the connection port 30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On the floor where only the connection port 30 is installed, two connection ports 30 are install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vegetation port 20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Accordingly, the roots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vegetation port 20 can extend to the two connection ports 30 on the same floor and the connection port 30 on the lower floor or the connection port 30 on the lowest floor.

다음으로, 도 11의 4층과 5층의 구성을 살펴본다. 4층에는 2개의 연결포트(30)가 서로 전후로 접하여 설치되고, 그 위층에는 하나의 식생포트(20)와 하나의 연결포트(3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되면 5층에 있는 식생포트(20)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는 최소한 5층과 4층의 연결포트(30)까지 뻗을 수 있다. 도 11의 가장 상층에는 식생포트(20)만 설치되어 있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fourth and fifth layers of FIG. 11 will be described. On the fourth floor, two connection ports 30 are install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before and after, and one vegetation port 20 and one connection port 30 are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In this way, the roots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vegetation port 20 on the 5th floor can extend to at least the connection port 30 of the 5th and 4th floors. In the uppermost layer of Figure 11, only the vegetation port 20 is installed.

한편, 도 12에는 식생포트(20)를 수직벽 녹화장치의 단부에 설치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수직벽(10)에 대한 녹화를 하기 위해 수직벽(10)의 전면에 설치된 식생포트(20)와 연결포트(30)의 측면을 가리도록 식생포트(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수직기둥(12)중에서 가장 단부에 위치된 것에 설치된 지지바아(14)의 일측 걸이리브(16)가 상기 식생포트(20)의 배면판(27)에 형성된 결합채널(27')에 걸어지도록 한다. 즉, 식생포트(20)의 배면판(27)에 형성된 결합채널(27')을 활용하여 식생포트(2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 경우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별도의 수직기둥(12)을 세우고, 이에 지지바아(14)를 둬서 식생포트(20)의 적어도 일측 측면판(25)에 형성된 결합채널(26)에 지지바아(14)가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1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vegetation port 2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vertical wall greening device. Here, the vegetation port 20 may be installed to cover the side of the vegetation port 20 and the connection port 30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rtical wall 10 in order to green the vertical wall 10 . To this end, one side hanging rib 16 of the support bar 14 installed at the most end of the vertical column 12 is hung on the coupling channel 27 ′ formed on the rear plate 27 of the vegetation port 20 . let it go That is, the vegetation port 20 is installed by utilizing the coupling channel 27 ′ formed on the rear plate 27 of the vegetation port 20 . 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a separate vertical column 12 is erected, and a support bar 14 is placed thereon to provide a support bar 14 to the coupling channel 26 formed on at least one side plate 25 of the vegetation port 20 . ) can be combined.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식생포트(20)중 어느 하나에 식재된 식물을 교체해야 할 필요가 발생하면, 해당 식생포트(20)만을 상기 지지바아(14)를 따라 이동시켜서 지지바아(14)의 자유단부를 지나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주변의 다른 식생포트(20)나 연결포트(30)를 분리하지 않고, 원하는 식생포트(20)만을 분리해서 식물을 교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need to replace the plants planted in any one of the vegetation ports 20, only the corresponding vegetation port 20 is moved along the support bar 14, so that the Separation can be achieved beyond the free en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plant by separating only the desired vegetation port 20, without separating the surrounding other vegetation port 20 or the connection port 30.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 1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연결포트(30)를 원하는 만큼 사용할 수 있다. 즉, 식생포트(20)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해당 식생포트(20)에 인접한 연결포트(30)의 갯수를 달리해서, 식물이 최적의 상태로 자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the connection port 30 can be used as much as desired. That is, by varying the number of connection ports 30 adjacent to the corresponding vegetation port 20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planted in the vegetation port 20, the plant can be grown in an optimal state.

상기 연결포트(30)에 있는 저수조(32)에 저장된 물을 통수부재(50,50')를 통해 소정량 씩 식생포트(20)로 전달될 수 있어서, 식생포트(20)에 있는 식물로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수조(32)로는 별도의 급수구조를 통해서 물이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상부에 있는 연결포트(30)나 식생포트(20)에 주어진 수분이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하부에 있는 연결포트(30)의 저수조(32)로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32 in the connection port 30 can be delivered to the vegetation port 20 by a predetermined amount through the water passage members 50 and 50', so that the plants in the vegetation port 20 are continuously can supply moisture. Water may be deliver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2 through a separate water supply structure. Alternatively, the moisture given to the connection port 30 or the vegetation port 2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may be transferr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2 of the connection port 30 at the lower portion to be stored by descending by gravity.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결포트(30)에 저수조(32)가 있으나, 물이 공급되는 구조에 따라서는 상기 저수조(32)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water storage tank 32 is provided in the connection port 30, but the water storage tank 32 may not be used depending on the structure in which water is supplied.

10: 수직벽 12: 수직기둥
14: 지지바아 16: 걸이리브
17: 채널 19: 바아연결구
19': 연결구몸체 19": 결합돌부
20: 식생포트 22: 내부공간
23: 바닥판 23': 바닥통공
24: 전면판 24': 외부연통공
25: 측면판 26: 결합채널
26': 걸이턱 27: 배면판
27': 결합채널 28: 통수공
28': 배면통공 28t: 결합요철
30: 연결포트 31: 보조식생토공간
32: 저수조 34: 전면판
34': 전면통공 36: 측면판
37: 결합채널 37': 걸이턱
38: 배면판 38': 배면통공
39: 통수공 39': 결합요철
50.50': 통수부재
10: vertical wall 12: vertical column
14: support bar 16: hook rib
17: channel 19: bar connector
19': connector body 19": coupling protrusion
20: vegetation port 22: internal space
23: bottom plate 23': bottom hole
24: front panel 24': external communication hole
25: side plate 26: coupling channel
26': Hanging jaw 27: Back plate
27': coupling channel 28: through hole
28': rear through hole 28t: coupling unevenness
30: connection port 31: auxiliary vegetation soil space
32: water tank 34: front panel
34': front hole 36: side plate
37: binding channel 37': hook jaw
38: rear plate 38': rear through hole
39: through hole 39 ': coupling unevenness
50.50': water passing member

Claims (11)

수직벽에서 수직벽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아와,
상기 지지바아가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아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내부에 상부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토가 채워지는 식생포트와,
상기 식생포트의 배면이나 하면에 접촉되고 상기 지지바아가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아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내부에 식생토가 채워지는 연결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아의 폭방향 양측에는 걸이리브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이리브의 사이에는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식생포트나 연결포트의 결합채널에 있는 걸이턱이 걸어지는 수직벽 녹화장치.
a support bar extending from the vertical wal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front of the vertical wall;
A vegetation port in which the support bar is coupled to both sides to be movably supported along the support bar and an inner space opened upwardly therein is formed to fill the vegetation soil in which plants are planted;
It is in contact with the back or lower surface of the vegetation port, and the support bar is coupled to both sides and is movably supported along the support bar, and includes a connection port in which vegetation soil is filled,
Hanging ribs are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ar in the width direction,
A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hanging ribs, so that the hooking jaws in the coupling channel of the vegetation port or the connection port are hung on a vertical wall record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아는 상기 수직벽에 직접 결합되거나 상기 수직벽의 전면에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수직기둥에 결합되는 수직벽 녹화장치.
The vertical wall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bar is directly coupled to the vertical wall or to a vertical column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포트의 양측에 있는 측면판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채널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포트의 양측에 있는 측면판의 외면에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채널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벽 녹화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At least one coupling channel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on both sides of the vegetation port, at least one or more coupl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ort A vertical wall recording device in which channels ar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포트의 전면에는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외부연통공이 형성되는 수직벽 녹화장치.
[Claim 6] The vertical wall g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n external communication hole for communicating the interior space and the exterior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getation po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포트의 배면판에는 배면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포트의 전면판에는 상기 배면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전면통공이 형성되는 수직벽 녹화장치.
The vertical wall g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rear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rear plate of the vegetation port, and a front through hole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through hole in the front plate of the connection por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통공과 배면통공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배면통공이나 전면통공으로 연장되어 삽입되는 통수핀이 더 구비되는 수직벽 녹화장치.
[8] The vertical wall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water-through pin extending and inserted into the rear through-hole or the front through-hole is further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front through-hole and the rear through-ho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포트의 배면판과 상기 연결포트의 전면판에는 상기 연결포트의 저수조와 대응되는 위치에 통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수공에는 통수부재가 설치되어 수분을 전달하는 수직벽 녹화장치.
The vertical wall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water passage hole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storage tank of the connection port on the rear plate of the vegetation port and the front plate of the connection port, and a water passage member is installed in the water passage hole to transmit moisture recording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공에 인접한 배면판과 전면판에는 결합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통수부재를 서로 밀착시키는 수직벽 녹화장치.
[10] The vertical wall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coupling unevenness is formed on the rear plate and the front plate adjacent to the water passage hole to bring the water passage member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포트의 배면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채널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직벽 녹화장치.
[Claim 6] The vertical wall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t least one coupling channel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rear plate of the vegetation port.
KR1020200125870A 2020-09-28 2020-09-28 Vertical planting apparatus KR1022636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870A KR102263635B1 (en) 2020-09-28 2020-09-28 Vertical planting apparatus
PCT/KR2021/009746 WO2022065659A1 (en) 2020-09-28 2021-07-27 Vertical wall gree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870A KR102263635B1 (en) 2020-09-28 2020-09-28 Vertical plan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635B1 true KR102263635B1 (en) 2021-06-11

Family

ID=7637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870A KR102263635B1 (en) 2020-09-28 2020-09-28 Vertical plan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3635B1 (en)
WO (1) WO2022065659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659A1 (en) * 2020-09-28 2022-03-31 (주)수프로 Vertical wall greening apparatus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533A (en) * 2003-02-18 2004-09-09 Jiro Umehara Planting greening wall
JP2005341905A (en) * 2003-06-26 2005-12-15 Shinichiro Hayashi Wall surface greening member and method for greening wall surface
KR100761546B1 (en) * 2006-05-08 2007-10-04 (주)수프로 Pot for raising seeding
JP2009291098A (en) * 2008-06-04 2009-12-17 Misawa Homes Co Ltd Greening louver
KR20120007277U (en) * 2011-04-13 2012-10-23 안재우 Stationary plant green fence and planting
KR101296738B1 (en) * 2012-08-03 2013-08-20 박정미 Flower pot for wall afforestation and the vertical garden system for wall afforestation using the same
KR101419119B1 (en) 2012-08-07 2014-07-11 벽화수주식회사 Vertical type planting structure
KR101603085B1 (en) 2015-08-03 2016-03-15 박철홍 Connecting block for vertical planting and apparatus for vertical planting using the same
KR101687503B1 (en) 2012-09-12 2016-12-16 타카미 이토 Wall-surface flower bed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wall-surface flower bed
KR20170039860A (en) * 2015-10-02 2017-04-12 정창현 Planting block for vertical planting and apparatus for vertical planting the same
KR20190020606A (en) * 2017-08-21 2019-03-04 서영철 A pot combined with shelf of a window frame installation typ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635B1 (en) * 2020-09-28 2021-06-11 (주)수프로 Vertical plan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533A (en) * 2003-02-18 2004-09-09 Jiro Umehara Planting greening wall
JP2005341905A (en) * 2003-06-26 2005-12-15 Shinichiro Hayashi Wall surface greening member and method for greening wall surface
KR100761546B1 (en) * 2006-05-08 2007-10-04 (주)수프로 Pot for raising seeding
JP2009291098A (en) * 2008-06-04 2009-12-17 Misawa Homes Co Ltd Greening louver
KR20120007277U (en) * 2011-04-13 2012-10-23 안재우 Stationary plant green fence and planting
KR101296738B1 (en) * 2012-08-03 2013-08-20 박정미 Flower pot for wall afforestation and the vertical garden system for wall afforestation using the same
KR101419119B1 (en) 2012-08-07 2014-07-11 벽화수주식회사 Vertical type planting structure
KR101687503B1 (en) 2012-09-12 2016-12-16 타카미 이토 Wall-surface flower bed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wall-surface flower bed
KR101603085B1 (en) 2015-08-03 2016-03-15 박철홍 Connecting block for vertical planting and apparatus for vertical planting using the same
KR20170039860A (en) * 2015-10-02 2017-04-12 정창현 Planting block for vertical planting and apparatus for vertical planting the same
KR20190020606A (en) * 2017-08-21 2019-03-04 서영철 A pot combined with shelf of a window frame installation ty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659A1 (en) * 2020-09-28 2022-03-31 (주)수프로 Vertical wall gree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5659A1 (en)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4298B2 (en) Interlocking plant propagation and display tray and method of use and assembly
US9374947B2 (en) Wall planting module
AU2009338088A1 (en) Post or wall mounted stackable plant pot
JP2004337054A (en) Wall greening unit
JP5453685B2 (en) Green shelf unit
KR102263635B1 (en) Vertical planting apparatus
KR20190137201A (en) Election type garden system
JP5368041B2 (en) Container unit for greening
JP4940089B2 (en) Greening unit
US20210015054A1 (en) Planting panel for vertical garden
WO2014000062A1 (en) Flower box
JP3856681B2 (en) Planting tray
JP4590408B2 (en) Equipment for growing plants
KR101457665B1 (en) Pot
US20220079369A1 (en) Window planter including slidable compartments
WO2014123259A1 (en) Planter for landscaping walls
KR101046650B1 (en) Planting structure, Revetment having the Planting structure and building method of the Revetment
CN210580179U (en) Green wall of wall
KR101603085B1 (en) Connecting block for vertical planting and apparatus for vertical planting using the same
CN216123562U (en) Plant planting toy
CN215872864U (en) Plant is cultivated with growing cabin
KR100777386B1 (en) Outer wall of a buikding with tree planting structure
WO2013182920A1 (en) Modular system for arranging plant compositions
CN212279017U (en) Three-dimensional hanging plate type plant planting flowerpot
JP4747135B2 (en) Planting mat and its lay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