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665B1 - Pot - Google Patents
P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7665B1 KR101457665B1 KR1020120061614A KR20120061614A KR101457665B1 KR 101457665 B1 KR101457665 B1 KR 101457665B1 KR 1020120061614 A KR1020120061614 A KR 1020120061614A KR 20120061614 A KR20120061614 A KR 20120061614A KR 101457665 B1 KR101457665 B1 KR 1014576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ervoir
- nutrient solution
- flowerpot
- pollen
- nutri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형 화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화분 바닥의 구조를 경사지게 함으로서 화분에 적치된 식생토에 공기 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미량의 양액공급만으로도 화분전체가 항시 습윤 상태를 유지하는 적층형 화분을 제공하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ed type flowerpot structure, which enables air communication to a vegetated soil placed on a flowerpot by inclining the structure of the flowerpot floor, and provides a laminated flowerpot that maintains the wet state of the flowerpot all the time even if only a small amount of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직 적층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stacking pot.
본 발명은 벽면녹화나 꽃벽 조성을 위해 수직 적층되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 화분 내부 식생토의 통풍을 원활하게 하여 식물 뿌리성장을 견실하게하며, 미량의 수분 공급으로도 장기간 화분 내에 습기가 유지되도록 하기위하여 화분의 바닥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화분 바닥이 저수부와 공기소통구가 분리되도록 한 수직적층형 화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인구가 밀집되어 도시화가 이루어진 곳에서는 부족한 녹지공간을 확보하고 도시미관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그마한 자투리 공간이라도 녹화에 이용하도록 하며 심지어는 가로변이나 건물의 벽면등에도 조경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386467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20-0309852 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099542 호 등이 있는데 이들 특허는 가로변 화분들을 적층하고 적층된 화분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조경을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 pot that is stacked vertically for the purpose of wall-tinting or forming a flower bed. It is intended to smoothly grow the root of the plant by smoothly venting the inside of the flower pot and to maintain the moisture in the flower pot for a long time, And the bottom of the pot is separated from the air communicating port. In a place where population is concentrated and urbanization is made, even a small space is used for greening in order to secure a lack of green space and to improve the beauty of the city, and landscaping is also performed on the roadside and the wall of a building. In this connec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86467,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09852,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99542, etc. have been proposed. These patents include a means for laminating the horizontal line pollen and supplying water to the laminated pollen So as to perform landscaping.
이들 화분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외부로부터 화분내부로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공급된 물은 하부의 배출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배수가 되도록 되어 있다. A common feature of these pots is that there is a means by which water can be fed continuously from the outside into the pollen, and the supplied water is continuously drained through the lower outlet.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외부 저수조로부터 화분내부로 공급된 양액이 머물지 않고 하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상당량의 양액을 공급해 주어야 되어서 화분의 관리주기(외부 저수조에 양액 보충)를 짧게 하며 이를 막기 위하여 화분의 하단을 밀폐 시킬 수 있는데 , 그렇게 되면 식생토의 통풍이 어렵게 되어 식물 뿌리 성장에 극히 열악한 환경이 된다. 또한, 화분의 바닥이 평면 형태로 되어있고 양액 배수구가 하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배수되는 양액과 하부에 몰려있는 수분으로 인하여 배수구를 통한 공기 소통은 어렵게 되고 식물 뿌리 성장에 한층 더 열악한 환경이 조성되게 되는 문제점들을 안고 있었다. 도1에는 이러한 적층형 화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However, since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from the outer reservoir to the inside of the pot is discharged from the outer reservoir to the bottom,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upply a considerable amount of the nutrient solution to shorten the maintenance period of the pot (water replenishment to the outer reservoir) So that the ventilation of the soil of the vegetation becomes difficult and the environment of the plant roots becomes extremely poor. In addition, since the bottom of the pollen is in a planar shape and the nutrient solution drainage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the continuous flow of the nutrient solution and the water in the lower part makes it difficult to communicate air through the drainage hole, I have had problems that become. Fig. 1 shows an embodiment of such a stacking pot.
본 발명은 종래 기술들이 가지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화분 바닥의 구조를 경사지게 함으로서 화분에 적치된 식생토에 공기 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미량의 양액공급만으로도 화분전체가 항시 습윤 상태를 유지하는 적층형 화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devised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s,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air circulation in a vegetated soil placed on a flowerpot by tilting the structure of a flowerpot floor, And the lik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직 적층형 화분을 제공하는데 상기 수직 적층형 화분은 바닥과 측면이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는 화분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데 상기 화분의 마주보는 한쌍의 면은 경사를 이루고 있어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화분의 단면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작아 지는 것일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ical stacking type flowerpot, wherein the vertical stacking type flowerpot includes at least one flowerpot with the bottom and sides closed and the top open,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re formed,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pollen may become smaller as it goes downward.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중 어느 한쪽 면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통로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pass may be formed on on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air passage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중 어느 한쪽에는 양액저수통이 결합되는데 양액저수통과 화분사이에는 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물이송수단이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On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s coupled to a nursing fluid reservoir, and water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water may be coupled between the nurture reservoir and the pollen.
상기 양액저수통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된 월류관이 형성되는데 상기 월류관의 상단과 하단은 뚫려 있어 양액저수통에 들어오는 물은 월류관의 높이까지만 채워지는 것일 수 있다. A drain pipe projecting i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in the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rain pipe are pierced, so that the water entering the nutrient reservoir can be filled up to the height of the drain pipe.
상기 양액저수통은 한개 이상 적층되며 외부의 최하단의 양액저수통에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제어센서가 설치되어 최하단의 양액저수통이 일정 이상의 수위가 되면 최상단으로 공급되는 양액의 공급이 차단되어 모든 양액저수통마다 일정한 수위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One or more of the nursing fluid reservoirs are stacked, and a liquid level sensor for measuring the liquid level is installed in the bottom nascent liquid reservoir at the bottom of the outside. When the nascent liquid reservoir at the bottom is above a predetermined level, the supply of the nutrient liquid supplied to the top is blocked, It is possible that a constant water level is formed in each cistern.
상기 양액저수통의 상단과 하단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되어 두개이상 적층할때 양액저수통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nutrient solution reservoir may have a concave-convex structure to prevent the nutrient solution reservoir from moving when two or more layers are stacked.
한개이상의 양액저수통은 격자형의 화분결합지지대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One or more nutrient reservoirs may be coupled to a lattice-type potting support.
상기 물이송수단은 물에적신 천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water transfer means may include a water-soaked cloth.
상기한 바와 같은 수직적층형 화분에 의하여 화분에 적치된 식생토에 공기 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미량의 양액공급만으로도 화분전체가 항시 습윤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vertical stacking type pollen as described above facilitates air communication to the vegetated soil deposited on the pollen and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wet pollen state at all times with only a small amount of nutrient supply.
도1은 종래의 적층형 화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2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aminated flower pot
2 to 7 are diagram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적층형화분의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적층형 화분은 옆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마름모꼴 혹은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부로 향한 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아래쪽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태로서 두 개의 면이 서로 마주보며 서로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은 폐쇄되어 있어 안쪽으로 식재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2 shows the structure of a laminated poll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minated poll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homboidal or triangular shape in cross section as viewed from the side and has an open top face and a narrow cross-sectional shape with two faces facing each other and being inclined inward And the lower end is closed to form a planting space inside.
또한, 화분의 정면에서 보이는 제1경사면(10)은 밀폐되어 있으며 반대쪽의 제2경사면은(12) 양액(11)이 저수되는 높이 아래쪽으로는 밀폐되어 있으며 양액(11)이 저수되는 높이 이상은 다수개의 공기소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또한, 제2경사면(12)에는 상단부로부터 양액이 흐를 수 있는 유로(32)가 형성되어 있는데 유로(32)에는 공기소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는 안 된다. 유로(32)는 화분(10)의 후면에 연결된 양액저수통(20)과 연결된다. 유로(32)는 화분의 하단쪽으로 공급되며 화분의 하단은 항상 양액으로 차있을 수 있으며 화분에는 수경재배를 할 수도 있으며 도5 에서와 같이 식생토(61)를 덮어 원하는 식물을 키우도록 할 수도 있다. 식생토(61)를 덮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별도의 덮개를 덮고 그위에 식생토(61)를 덮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덮개가 없더라도 유로(32)는 화분의 하단으로 양액을 공급하고 한쪽경사면으로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식물이 잘 자랄 수 있게 된다.
The second
양액은 양액저수통(20)으로부터 화분의 유로(32)쪽으로 모세관 작용에 의해 심지(31)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양액저수통과 화분은 서로 분리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양액저수통과 화분이 분리되어 있어도 별도의 호스등을 이용하여 화분의 유로와 양액저수통을 연결 한 후 호스안쪽으로 심지를 넣어서 양액을 화분으로 공급할 수 있다.
It is sufficient that the nutrient solution can move from the
양액저수통(20)의 안쪽에는 월류관(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월류관의 높이는 양액저수통(20)의 높이보다 낮아서 외부로부터 양액이 공급될 때 양액의 수위가 월류관(21)의 높이를 상회하게 되면 양액은 월류관을 통하여 하단에 위치한 다른 양액저수통으로 순차적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즉, 월류관(21)은 양액저수통의 바닥쪽으로 뚫려 있는 상태이며 아래쪽에 있는 다른 양액저수통(20)의 다른 월류관과 연결되어 있지는 않다. 또한, 양액저수통이 층층이 쌓여 있을 때 월류관들의 위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월류관(21)들을 모두 관통하여 바닥 쪽으로 양액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A
적층된 양액저수통이외에 별도의 대용량 양액저수통이 있어 최상단의 양액저수통으로 양액을 공급하여 아래쪽의 양액저수통으로 차례차례 양액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최하단에 있는 양액저수통에는 양액수위조절센서가 있어서 최하단의 양액저수통의 양액수위가 일정높이 이상에 이르게 되면 양액공급센서가 작동하여 대용량 양액저주소로부터 양액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양액저수통(20)에는 월류관이나 센서가 작동하는 높이 만큼의 양액이 항상 차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stacke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there is a separate large-capacity nutrient reservoir,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can be supplied to the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t the uppermost stage and the nutrient solution can be supplied to the lower nutrient solution reservoir sequentially. In addition, the nipple reservoir at the bottommost level has a sensor for controlling the nappy fluid level, and when the nappy fluid level of the bottommost nappy reservoir reaches a certain level or higher, the nappy supply sensor is activated to block the supply of the nutrient solution from the navy fluid reservoir . That is, the
종래에는 양액이 계속적으로 순환하도록 하는 형태의 양액 공급장치가 있었는데 이러한 양액공급장치를 통해 양액을 공급하게 되면 계속적인 순환을 위하여 에너지가 계속 소모되며 순환을 위해 고가의 펌프등을 구비하여야 했는데 본 발명에서는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면서도 기계적인 순환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있어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도2에서 하단의 점선으로 된 원부분은 안쪽에 양액(11)이 차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3은 월류관이 없는 형태의 화분과 양액저수통을 도시하며 도4는 외부양액저수통(40)으로부터 공급관(43)을 통하여 양액을 공급하는 형태를 도시한다. 공급관(43)의 시작부분에는 양액공급센서(41)가 있으며 최하단의 양액저수통(20)에는 수위조절센서(42)가 형성되어 있다.
Conventionally, there was a nutrient solution supply device in which the nutrient solution is continuously circulated. When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device, energy is continuously consumed for continuous circulation and an expensive pump is required for circulation. , The water level is kept constant, but the mechanical circulation device is not used,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In Fig. 2, the circled portion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at the bottom shows the
도5는 화분에 식물(61,62)을 심은 형태를 도시한다. 화분에는 양액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면서도 제2경사면에 형성된 공기출입구멍으로는 계속적으로 공기가 드나들기 때문에 식물의 생장이 일반화분보다 훨씬 좋게 된다. 또한, 좁은 공간에 화분을 적층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Fig. 5 shows a plant in which the
도6은 상하로 적층되는 양액저수통의 적층이 용이하도록 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요철을 두어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양액저수통(20)의 상단과 하단에 요철구조(22)를 두어 양액저수통의 상단과 다른 양액저수통의 하단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여 적층을 하였을 때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있다. 즉, 양액저수통의 상단에는 돌출부를 두고 양액저수통의 하단에는 함입부를 두어 몇개의 양액저수통이든지 쌓을 수 있도록 하며 양액저수통이 흔들리지 않고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도7은 화분결합지지틀(51)을 이용하여 양액저수통을 결합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화분결합지지틀(51)은 가로방향봉과 세로방향봉 다수개가 서로 직각을 이루면서 격자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결속수단(52)을 이용하여 화분결합지지틀(51)과 양액저수통을 결합시킨다. 또한 한개이상의 양액저수통과 화분결합지지틀을 한개의 결속수단(52)을 이용해 결합시킴으로써 양액저수통끼리의 결합도 이루어지도록 한다. 결속수단(52)은 도시된 것과 같이 고리형상일 수도 있으며 화분결합지지틀(51)과 양액저수통을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된 것중에서도 어떤 것이나 가능하다.
Fig. 7 shows a shape in which the nappy fluid reservoir is combined using the pollen-binding supporting
10:제1경사면 11: 양액
12:제2경사면 20:양액저수통
21: 월류관 22: 요철구조
31: 심지 32: 유로
40:외부양액저수통 41: 양액공급센서
42:수위조절센서 43:공급관
51:화분결합지지틀 52,53 : 결속수단
61: 식생토 62 : 식물10: first slope 11: nutrient solution
12: second slope 20: nutrient solution reservoir
21: Wall pipe 22: Uneven structure
31: Wick 32: Euro
40: external nutrient reservoir 41: nutrient supply sensor
42: water level sensor 43: supply pipe
51: pollen-binding supporting
61: vegetable soil 62: plant
Claims (8)
바닥과 측면이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는 화분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데
상기 화분의 마주보는 한쌍의 면은 경사를 이루고 있어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화분의 단면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작아지며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중 어느 한쪽 면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통로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형성되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중 어느 한쪽에는 양액저수통이 결합되는데 양액저수통과 화분사이에는 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물이송수단이 결합되며
상기 양액저수통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된 월류관이 형성되는데 상기 월류관의 상단과 하단은 뚫려 있어 양액저수통에 들어오는 물은 월류관의 높이까지만 채워지며
상기 물이송수단은 물에적신 천을 포함하여 화분의 상부로 양액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적층형 화분As the vertical laminated pollen,
It contains one or more pots with the bottom and sides closed and the top open
A pair of opposing faces of the flowerpot are inclined and form a first inclined face and a second inclined face
The cross section of the pollen becomes smaller as it goes downward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pass is formed on either on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air passag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A nutrient solution reservoir is connected to either the first inclined surface or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water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water is coupled between the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nd the flowerpot
A drain pipe projecting i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in the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rain pipe are pierced, so that the water entering the drainage basin is filled up to the height of the drain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transfer means supplies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upper part of the pot including water-soaked cloth,
7. A method according to claim 6,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one nutrient reservoir is coupled to a lattice-shaped poll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1614A KR101457665B1 (en) | 2012-06-08 | 2012-06-08 | P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1614A KR101457665B1 (en) | 2012-06-08 | 2012-06-08 | Po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7918A KR20130137918A (en) | 2013-12-18 |
KR101457665B1 true KR101457665B1 (en) | 2014-11-07 |
Family
ID=4998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1614A KR101457665B1 (en) | 2012-06-08 | 2012-06-08 | P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766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0596B1 (en) * | 2014-03-18 | 2014-11-12 | (주)새텍 | pot for air-conditioning and air-conditioning system with the same |
CN105325205A (en) * | 2015-12-01 | 2016-02-17 | 苏州富通高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Plant wallboard |
KR20200102232A (en) | 2019-02-21 | 2020-08-31 | 석민규 | Plant a fine, which have a good ventilation air law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6467B1 (en) * | 2001-03-22 | 2003-06-18 |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 Dripping Type Flower Pot for Street Beautification |
JP3802445B2 (en) * | 2002-05-10 | 2006-07-26 | 有限会社アスク | Planting pot |
KR100912228B1 (en) * | 2009-02-20 | 2009-08-14 | (유)꽃탑월드 | Water suppplying system for flower tower |
KR20100030315A (en) * | 2008-09-10 | 2010-03-18 | 김철 | Fence for landscape architecture |
-
2012
- 2012-06-08 KR KR1020120061614A patent/KR10145766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6467B1 (en) * | 2001-03-22 | 2003-06-18 |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 Dripping Type Flower Pot for Street Beautification |
JP3802445B2 (en) * | 2002-05-10 | 2006-07-26 | 有限会社アスク | Planting pot |
KR20100030315A (en) * | 2008-09-10 | 2010-03-18 | 김철 | Fence for landscape architecture |
KR100912228B1 (en) * | 2009-02-20 | 2009-08-14 | (유)꽃탑월드 | Water suppplying system for flower tow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7918A (en) | 2013-1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899069B (en) | Multiple potted plant is from irrigation system | |
US9374947B2 (en) | Wall planting module | |
CN202714001U (en) | Plant planting tank | |
KR101282231B1 (en) | Fertigation apparatus operatable without power for plant cultivation system | |
CA3050403C (en) | Hydroponic growth system | |
KR102039379B1 (en) | multi-pot with a water tank which is easy for planting | |
JP3200590U (en) | Wall planting base | |
EP3533319A1 (en) | Verticle grow box module and module and system of vertical grow boxes that incorporates it | |
KR101457665B1 (en) | Pot | |
KR101510463B1 (en) | Multi layer flowerpot | |
KR200472746Y1 (en) | Planting container | |
CN203608615U (en) | Stored water circled flowerpot | |
WO2022224235A1 (en) | Plant apparatus | |
TWM479004U (en) | Automatic water supplying flower pot with water saving function | |
KR101043958B1 (en) | Fabricated 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for Wall | |
KR101650690B1 (en) | Cultivation system | |
WO2014000062A1 (en) | Flower box | |
KR101405539B1 (en) | Cultivation system | |
KR102281940B1 (en) | Laminated Installation Structure of Plant Pot for Wall Installation | |
KR102203079B1 (en) | Multistage automatic plant cultivating equipment | |
JP4543139B2 (en) | A three-dimensional garden laid on the balcony of an apartment house | |
CN206728676U (en) | Anti-blocking overlapping barrier type flowerpot and its esting combine the three-dimensional greening wall surface to be formed | |
KR100827572B1 (en) | Prefabricated flower garden of variableness type forapartment house | |
KR101835770B1 (en) | Flower pot assembly | |
CN105746206B (en) | A kind of water and soil mixing type farm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