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534B1 -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534B1
KR102263534B1 KR1020190062343A KR20190062343A KR102263534B1 KR 102263534 B1 KR102263534 B1 KR 102263534B1 KR 1020190062343 A KR1020190062343 A KR 1020190062343A KR 20190062343 A KR20190062343 A KR 20190062343A KR 102263534 B1 KR102263534 B1 KR 102263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ignal
customized
management server
stim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603A (ko
Inventor
김무창
김원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상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상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상테크
Priority to KR1020190062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534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603A/ko
Priority to KR1020210072692A priority patent/KR102343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61N2001/083Monitoring integrity of contacts, e.g. by impedance measur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관리서버가 전기 자극기로부터 사용상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상태신호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신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상기 전기 자극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기 자극기를 가변동작모드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AL STIMULATOR FOR PROVIDING A CUSTOMIZEF ELECTRICAL STIMULATION SERVICE TO USER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전기 자극을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사용자 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치료란 인체에 미세한 전류를 통하게 함으로써 각종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전기요법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전기치료는 주파수의 파형, 전류의 세기, 적용부위 등에 따라 그 기능이나 용도가 다양하다.
최근에는 인가되는 주파수에 따라 고주파 전기치료와 저주파 전기치료기가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저주파 전기치료는 수 Hz 내지 1,000Hz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중주파 전기치료는 1KHz 내지 10KHz를 사용하며 고주파 전기치료는 100KHz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또한 초음파 치료는 20KHz~10M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인체심부조직에 진동을 가하며 열효과를 이용하여 연부 조직 손상의 회복 등의 치료에 이용되기도 하고 진동에너지로 피부를 통하여 약물을 조직내로 주입시키는 치료에도 사용된다. 또한 광치료는 광선의 파장대별 적용이 다르나 적외선 파장대의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LD)로 피부에 조사하여 혈관을 확장시켜 환부를 치료하거나 통증치료, 600nm내외의 적광을 조사하여 염증을 치료하고 400nm내외의 광선을 조사하여 피부질환을 치료하는데에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으로 통증 완화 및 요통, 관절염, 척추염, 스포츠손상등 각종 근골격계 질환의 회복용으로 사용하는 치료기에는 저주파, 중주파, 고주파등의 전기적 치료 및 초음파, 광상치료기 등이 도입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패드를 이용하여 간섭파, 레이저 초음파 및 LED에 의한 광조사 등 복합기능의 치료효과를 갖는 복합기능을 갖는 치료기가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1620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치료기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상관없이 기 저장된 매뉴얼을 이용하여 신체의 여러 부분에 접촉하여 사용되었다. 이는 사용자의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고 고정된 자극 패턴만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층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16200호, 2011.02.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은 상기 관리서버가 전기 자극기로부터 사용상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상태신호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신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상기 전기 자극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기 자극기를 가변동작모드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는 동작모드, 자극세기, 동작부위, 동작시간, 반복주기 등의 가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상태신호 및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신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기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상태신호에 대응하는 사용패턴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상태신호 및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상기 전기 자극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와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확인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상기 전기 자극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상기 전기 자극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와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선택 가능한 복수의 사용자 맞춤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가능한 복수의 사용자 맞춤신호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확인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선택된 사용자 맞춤신호를 상기 전기 자극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상기 전기 자극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와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사용자 입력신호에 대한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전기 자극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기 자극기를 가변동작모드로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 자극기가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리셋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전기 자극기가 동작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상기 전기 자극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관리서버는 원거리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전기 자극기와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원거리 통신 및 상기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전기 자극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관리서버가 실시간으로 동기화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전기 자극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개인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기 자극기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부위에 다양한 형태의 자극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중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피부 접착면에 영향을 적게 주면서 원하는 부위에 적절한 자극을 전달해줌으로써, 혈액순화촉진, 피부탄력개선, 지방분해, 통증완화에 의해 근육 마시지 효과는 물로 미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전기 자극을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사용자 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기기를 조작할 필요없이 전기 자극기와 사용자 단말기를 연동하여 전기 자극기를 제어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극기와 전기 자극기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만이 서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함으로써, 사람이 밀집한 공간에서 사용자에게 원활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형태의 자극 패턴이 개발된 경우 이를 관리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블루투스를 통해 전기 자극기에 전송하고 적용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업그레이드된 전기 자극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충전가능한 내장형 전원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불필요한 배터리의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일반 휴대 단말기 충전기로 충전이 가능하여, 손쉽게 충전이 가능하고 별도의 충전기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어 경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자극기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4(a)는 도 2(b)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상태요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2(a)에 도시된 전기 자극기가 사용상태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도 2(b)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2(c)에 도시된 관리서버가 사용자 맞춤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사용자 맞춤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로서,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자극기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장치는 전기 자극기(1), 사용자 단말기(2) 및 관리서버(3)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본 개시에서 사용자 단말기(2)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2)에서 전기 자극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서버 또는 관리서버(3)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에서 전기 자극기(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기 자극기(1)의 사용자가 아닌 제3자가 소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기 자극기(1), 사용자 단말기(2) 및 관리서버(3)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극기(1)와 사용자 단말기(2)는 근거리 통신 방식이 지원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2)와 관리서버(3)는 원거리 통신 방식이 지원될 수 있으며, 전기 자극기(1)와 관리서버는 근거리/원거리 통신 방식이 지원될 수 있다. 무선통신망은 다양한 원거리 통신 방식이 지원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BLE(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RF(Radio Frequency), LoRa(Long Range)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널리 알려진 다양한 무선통신 또는 이동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극기(1)는 본체부(10) 및 구동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자극기(1)는 사용자의 수동동작에 의해 제어되거나 사용자 단말기(2)의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통신모듈(100), 근거리통신모듈(101), 입력모듈(102), 표시모듈(103), 메모리모듈(104), 전원모듈(105), 주파수생성모듈(106) 및 제어모듈(107)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00)은 관리서버(3)로 사용상태신호를 전송하고, 관리서버(3)로부터 사용자 맞춤신호 및 피드백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와 달리, 통신모듈(100)은 사용상태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2)로투버 관리서버(3)에서 생성된 사용자 맞춤신호 및 피드백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통신모듈(100)은 관리서버(3)와 원거리 통신 및/또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상태신호에는 전기 자극기(1)의 동작유무, 전기 자극기(1)의 동작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기 자극기(1)의 동작정보에는 동작모드정보, 동작부위정보, 자극세기정보, 작동시간정보, 생체인식정보, 배터리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동작모드정보에는 미용동작모드, 통증동작모드, 가변동작모드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지방제거모드 또는 근육이완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변동작모드는 사용자 단말기(2) 또는 관리서버(3)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맞춤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신호는 사용자 입력신호, 사용자 기본정보 및 사용패턴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생성되거나,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신호이거나, 사용자 입력신호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신호는 동작모드, 자극세기, 동작부위, 동작시간, 반복주기 등이 포함된 가변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가변 데이터는 n-바이트(byte) 길이로 이루질 수 있다. 가변 데이터가 n-바이트 길이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가변 데이터의 양에 상관없이 다양한 가변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기 자극기(1)의 작동이 사용자에게 맞도록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 기본정보에는 개인정보 예를 들어, 성별, 나이, 몸무게, 키, BMI 지수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모드선호정보 예를 들어, 강한자극선호, 주무름기능선호, 다리마시지선호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사용장소, 사용시간대, 사용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패턴정보에는 사용자별로 전기 자극기(1)의 사용패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단일 사용자가 전기 자극기(1)를 사용하는 것으로 개시하였지만,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전기 자극기(1)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별로 사용패턴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백 신호에는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사용자의 실시간 반응이 포함된 피드백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근거리통신모듈(101)은 사용자 단말기(2)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블루투스(Bluetooth™방식으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모듈(101)은 마스터 블루투스 모듈(master bluetooth module)로써, 사용자 단말기(2)의 슬레이브 통신부(22)와만 블루투스 페어링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밀집한 공간에서 사용상태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 맞춤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2)를 제외한 나머지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더라도 전기 자극기(1)와 자동으로 페어링이 이루어지지 않고 무시하도록 설정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활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모듈(102)은 전기 자극기(1)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을 수동으로 설정하는 수단으로서, 구동부(12)의 자극수단(120)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동작설정모드(미도시), 자극수단(120)의 동작유무를 설정하는 온/오프(ON/OFF) 스위치모드(미도시), 자극수단(120)의 자극세기를 설정하는 자극세기설정모드(미도시), 자극수단(120)의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작동시간설정모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입력모듈(102)은 자극수단(120)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103)은 전기 자극기(1)의 현재 동작상태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수단으로서, 동작상태에 따라 기호, 문자, 숫자 등을 화면에 출력할 수 디스플레이, 색변화 또는 깜빡임으로 출력하는 램프, 또는 오디오로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모듈(104)은 통신모듈(100)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와 전기 자극기(1)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모듈(104)은 전기 자극기(1)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기 자극기(1)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전원모듈(105)은 제어모듈(107)의 제어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전기 자극기(1)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모듈(105)은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며, 배터리 잔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220V 상용전원이나 노트북이나 컴퓨터에 USB를 연결하여 충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부는 휴대폰용 배터리이며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2차전지인 3.7V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여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로도 배터리 충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주파수생성모듈(106)은 중주파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중주파 또는 사인파를 통해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인 중주파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중주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주파수생성모듈(106)은 4KHz의 중주파 신호를 생성하는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모듈(107)은 입력모듈(102)의 출력신호 및 주파수생성모듈(106)을 통해 생성된 중주파 신호를 대응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12)를 미용동작모드 또는 통증동작모드로 제어하거나, 사용자 맞춤신호 및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중주파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가변동작모드로 구동부(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모듈(107)은 수동 동작중에 사용자 맞춤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동작 세기를 리셋하여 순차적으로 동작 세기가 증가할 수 있도록 구동부(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모듈(107)은 사용자 맞춤신호 및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중주파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가변동작모드로 구동부(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에 피드백 신호가 입력되면, 피드백 신호에 대한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동작 세기가 가변된 경우 구동부(12)의 동작은 리셋될 수 있다.
제어모듈(107)은 구동부(12)의 센서수단(122)을 통해 수신된 온도정보를 확인하여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값보다 높은 경우 구동부(12)의 자극수단(120)의 작동을 자동으로 중지하는 자동오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모듈(107)은 자동오프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자극수단(120)과 피부 사이의 과열에 의한 저온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12)는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하는 자극수단(120) 및 센서수단(122)을 포함할 수 있다.
자극수단(120)은 제어모듈(107)의 제어하에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중주파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자극수단(120)의 수는 임으로 변경가능하고, 자극위치도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센서수단(122)은 HR센서(1220), 근접센서(1221) 및 온도센서(1222)를 포함할 수 있다.
HR센서(1220)는 적외선 센서 또는 별도의 장치센서로서, 사용자의 생체인식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HR센서(1220)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체지방, 혈중 알코올 농도, 혈압, 맥박, 혈당, 콜레스테롤, 철분수치, 간수치, 혈류 등의 생체인식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생체인식정보에 의해 사용자가 전기 자극기(1)를 사용할 때 전기 자극기(1)의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미리 방지하고 사용자에게 맞게 전기 자극기(1)를 제어할 수 있다.
근접센서(1221)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자극수단(120)의 내측면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와 자극수단(120) 사이의 거리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접센서(1221)는 구동제어신호에 의해 자극수단(120)이 작동할 때 사용자의 피부와 자극수단(120) 사이를 감지하여 자극수단(120)이 사용자의 피부에 잘 부착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자극수단(120)에서 발생되는 중주파 전류를 통전시켜 사용자의 심부 깊숙이 중주파 전류를 전달시키며 동시에 심부 깊숙이 중주파 전류를 집중시켜 중주파 전류 치료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온도센서(1222)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자극수단(120)의 내측면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중주파 신호를 발생하는 자극수단(120)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극수단(120)과 부착면 사이의 온도 상승을 감지하여 지난친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전기 자극기(1)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는 신호생성부(20), 통신부(22), 디스플레이부(24) 및 단말기제어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생성부(20)는 전기 자극기(1)에 대한 사용상태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사용자 입력신호를 생성하며,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확인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며, 복수의 사용자 맞춤신호 중 선택된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확인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신호, 피드백 신호 및 확인신호는 복수개로 생성될 수 있다.
통신부(22)는 전기 자극기(1)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관리서버(3)와 원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은 블루투스(Bluetooth™방식으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은 무선랜(Wireless LAN: WLAN)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는 전기 자극기(1)와 근거리 통신이 되는 경우, 전기 자극기(1)와 블루투스 페어링(pairing)되는 슬레이브 블루투스 (Slave Bluetooth)로써,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기 자극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기(2) 내에서 실행되는 경우, 필수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또한, 통신부(22)는 관리서버(3)와 원거리 통신이 되는 경우 관리서버(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기(2) 내에서 실행되는 경우, 필수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부(24)는 사용상태신호, 사용자 맞춤신호 및 사용자 가이드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가이드정보에는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응하는 전기 자극기(1)의 사용자료, 실시간 업데이트되는 전기 자극기(1)의 사용자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상태신호에 따라 전기 자극기(1)의 작동상태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기 자극기(1)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2)를 통해 전기 자극기(1)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전기 자극기(1)의 작동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인식정보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전기 자극기(1)의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미리 방지하고 사용자에게 맞게 전기 자극기(1)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 자극기(1)의 새로운 사용자 맞춤신호 및 피드백 신호를 반영하여 이에 따른 사용자 가이드 정보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단말기제어부(26)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신호생성부(20)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입력신호, 피드백 신호, 확인신호와 사용자 기본정보를 관리서버(3)로 전송하고, 관리서버(3)로부터 사용상태신호, 사용자 맞춤신호 및 사용자 가이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전기 자극기(1)의 제어가 시작된 경우, 단말기제어부(26)는 관리서버(3)로 해당 전기 자극기(1)의 사용상태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상태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된 사용자 맞춤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서버(3)로 전송하고, 관리서버(3)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맞춤신호에 따른 확인신호 또는 새로운 사용자 맞춤신호 및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관리서버(3)로 전송하며, 관리서버(3)로부터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가이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2)는 전기 자극기(1) 및 관리서버(3)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각종 휴대 가능한 전자통신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테블릿(Tablet),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등 포함) 및 각종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과 같은 다양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3)는 원거리통신부(30), 데이터베이스부(32), 모니터링부(34) 및 제어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원거리통신부(30)는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전기 자극기(1)의 사용상태요청신호 및 사용자 기본정보를 원거리 통신 방식으로 수신한 경우 전기 자극기(1)로부터 수신된 사용상태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생성된 사용자 맞춤신호 및 사용자 가이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확인신호 및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전기 자극기(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3)는 사용자 단말기(2)와는 전기 자극기(1)와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원거리통신부(30)는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확인신호 및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32)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기 자극기(1)와 사용자 단말기(2)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32)는 관리서버(3)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32)는 관리서버(3)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리서버(3)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34)는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전기 자극기(1)의 사용상태요청신호 및 사용자 기본정보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2)의 조작에 따른 전기 자극기(1)의 작동상태, 전기 자극기(1)와 사용자 단말기(2) 사이의 송수신 되는 신호 및 데이터 등을 화면을 통해 모니터링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6)는 사용상태신호 및 사용패턴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기본정보 및 사용자 입력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6)는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전기 자극기(1)의 사용상태요청신호 및 사용자 기본정보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 기본정보와 사용패턴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맞춤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된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2)가 확인신호를 전송하면 전기 자극기(1)로 전송하여 생성된 사용자 맞춤신호에 따라 전기 자극기(1)를 가변동작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는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전기 자극기(1)의 사용상태요청신호 및 사용자 기본정보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 기본정보와 사용패턴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맞춤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된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2)가 새로운 사용자 입력신호를 전송하면, 새로운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새로운 사용자 맞춤신호를 전송하고, 새로운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2)가 확인신호를 전송하면 전기 자극기(1)로 전송하여 생성된 새로운 사용자 맞춤신호에 따라 전기 자극기(1)를 가변동작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맞춤신호를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는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사용자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신호를 전기 자극기(1)로 전송하여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전기 자극기(1)를 가변동작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6)는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피드백 신호에 따라 전기 자극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리서버(3)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에 대한 도면이고, 도 4(a)는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상태요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b)는 전기 자극기가 사용상태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a)는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b)는 관리서버가 사용자 맞춤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전기 자극기(1)가 수동으로 동작되는 경우(S10), 관리서버(3)는 전기 자극기(1)의 동작에 따른 사용상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0). 여기서, 관리서버(3)는 사용자에 의해 전기 자극기(1)가 수동으로 조절되어 작동된 경우 생성된 사용상태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용패턴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전기 자극기(1)는 사용자의 수동제어에 의해 시작 및 종료될 수 있다.
다음, 사용자 단말기(2)에서 전기 자극기(1)를 제어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S20), 관리서버(3)는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전기 자극기(1)에 대한 사용상태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1). 여기서, 전기 자극기(1)와 사용자 단말기(2)는 전기 자극기(1)의 근거리통신모듈(101)과 사용자 단말기(2)의 통신부(22)에 의해 블루투스 페어링될 수 있다. 이때, 전기 자극기(1)는 사용자의 수동제어에 의해 작동중일 수 있지만, 사용자 단말기(2)의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이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에서 생성된 사용상태요청신호가 통신부(22)를 통해 원거리 통신 방식으로 관리서버(3)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 관리서버(3)는 사용상태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전기 자극기(1)로부터 생성된 사용상태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할 수 있다(S32).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극기(1)의 근거리통신모듈(101)을 통해 사용상태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상태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 전기 자극기(1)의 사용상태신호를 관리서버(3)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2)는 사용자 기본정보 및 사용자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21).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는 동작모드, 동작부위, 자극세기, 동작시간, 반복횟수 등이 사용자에 맞게 조절된 사용자 입력신호를 생성한 후, 사용자 기본정보 및 사용자 입력신호를 관리서버(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신호는 동작모드, 자극세기, 동작부위, 동작시간, 반복주기 등이 포함된 가변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가변 데이터는 n-바이트(byte) 길이로 이루질 수 있다. 가변 데이터가 n-바이트 길이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전기 자극기(1)의 작동이 사용자에게 맞도록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가 자극세기를 0~10 단계 사이로 변경 요청한 가변 데이터가 포함된 사용자 입력신호를 관리서버(3)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기본정보는 S21 단계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다음, 관리서버(3)는 사용자 기본정보와 사용패턴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맞춤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33).
구체적으로, 전기 자극기(1)와 사용자 단말기(2)는 블루투스 통신을 기반으로 서로 연결되므로 근거리통신모듈(101)과 통신부(22)을 통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3)가 사용자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맞춤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 전기 자극기(1)는 생성된 사용자 맞춤신호를 관리서버(3)로부터 수신받는 경우(S11), 전기 자극기(1)의 동작상태가 리셋될 수 있다(S12).
구체적으로, 전기 자극기(1)가 사용자의 수동제어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사용자 맞춤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동작 세기를 리셋하여 순차적으로 동작세기가 자동으로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새로운 사용자 맞춤신호에 따라 전기 자극기(1)가 구동될 때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극기(1)의 동작 세기가 3으로 동작중일 때 사용자 맞춤신호에 포함된 동작 세기가 5로 가변된 경우, 동작 세기는 0으로 리셋되어 순차적으로 0-1-2-3-4-5 순으로 증가할 수 있다.
다음, 전기 자극기(1)는 사용자 맞춤신호 및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된 중주파 신호에 대한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3).
다음,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전기 자극기(1)가 가변동작모드로 실행될 수 있다(S14).
다음, 사용자 단말기(2)는 가변동작모드에 의해 실행되는 전기 자극기(1)의 작동 상태 즉,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22).
이때, 사용자 단말기(2)에 의해 생성된 피드백 신호는 관리서버(3)에 저장되어 새로운 사용자 맞춤신호로 이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관리서버(3)는 전기 자극기(1)와 사용자 단말기(2) 사이의 송수신 되는 신호 및 데이터 등을 화면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다(S34). 즉, 실시간 모니터링함으로써, 전기 자극기(1)의 작동 오류 또는 사용자 단말기(2)의 사용 오류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전기 자극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맞춤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33)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의 도 6에서는 S33 단계를 제외한 도 3에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우선, 도 6을 참조하면 관리서버(3)는 사용자 기본정보와 사용패턴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맞춤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40).
이와 달리, 사용자 맞춤신호 및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중주파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가변동작모드로 구동부(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2)가 수신된 사용자 맞춤신호가 사용자 입력신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 맞춤신호와 사용자 입력신호가 일치하는 경우(S41), 사용자 단말기(2)는 관리서버(3)로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S42).
마지막으로, 사용자 맞춤신호에 따라 전기 자극기(1)가 가변동작모드로 실행될 수 있다(S43).
한편, 사용자 단말기(2)가 수신된 사용자 맞춤신호가 사용자 입력신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 맞춤신호와 사용자 입력신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S41), 사용자 단말기(2)는 관리서버(3)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맞춤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S44).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 맞춤신호 중 사용자 입력신호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2)가 복수의 사용자 맞춤신호 중 선택된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서버(3)로 전송할 수 있다(S45).
이와 달리,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 맞춤신호 중 사용자 입력신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2)는 사용자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46).
생성된 사용자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맞춤신호에 따라 전기 자극기(1)가 가변동작모드로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신호는 S33 단계시 생성된 사용자 맞춤신호에 적용된 사용자 입력신호를 그대로 전송할 수도 있고, 새로운 사용자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전기 자극기(1)가 수동으로 동작되는 경우(S50), 사용자 단말기(2)는 전기 자극기(1)로부터 사용상태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S51). 관리서버(3)는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수신된 사용상태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용패턴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전기 자극기(1)와 사용자 단말기(2)는 전기 자극기(1)의 근거리통신모듈(101)과 사용자 단말기(2)의 통신부(22)에 의해 블루투스 페어링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2)와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2)의 통신부(22)와 관리서버(3)의 원거리통신부(30)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전기 자극기(1)는 사용자의 수동제어에 의해 시작 및 종료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2)는 사용자 기본정보 및 사용자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서버(3)로 전송할 수 있다(S52).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는 동작모드, 동작부위, 자극세기, 동작시간, 반복횟수 등이 사용자에 맞게 조절된 사용자 입력신호를 생성한 후, 사용자 기본정보 및 사용자 입력신호를 관리서버(3)로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단말기(2)는 관리서버(3)가 사용자 기본정보와 사용패턴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맞춤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자극기(1)로 전송할 수 있다(S53).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전기 자극기 10 :본체부
12 : 구동부
2 : 사용자 단말기 3 : 관리서버

Claims (10)

  1. 관리서버가 전기 자극기로부터 사용상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상태신호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신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상기 전기 자극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기 자극기를 가변동작모드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상기 전기 자극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관리서버는 원거리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전기 자극기와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원거리 통신 및 상기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전기 자극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관리서버가 실시간으로 동기화되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는 동작모드, 자극세기, 동작부위, 동작시간, 반복주기의 가변 데이터를 포함하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상태신호 및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신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기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상태신호에 대응하는 사용패턴정보와 상기 사용자 기본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상태신호 및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상기 전기 자극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와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확인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상기 전기 자극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상기 전기 자극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와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선택 가능한 복수의 사용자 맞춤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가능한 복수의 사용자 맞춤신호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확인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선택된 사용자 맞춤신호를 상기 전기 자극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상기 전기 자극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와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사용자 입력신호에 대한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전기 자극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기 자극기를 가변동작모드로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 자극기가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리셋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전기 자극기가 동작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맞춤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전기 자극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
KR1020190062343A 2019-05-28 2019-05-28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 KR102263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343A KR102263534B1 (ko) 2019-05-28 2019-05-28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
KR1020210072692A KR102343948B1 (ko) 2019-05-28 2021-06-04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343A KR102263534B1 (ko) 2019-05-28 2019-05-28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692A Division KR102343948B1 (ko) 2019-05-28 2021-06-04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603A KR20200136603A (ko) 2020-12-08
KR102263534B1 true KR102263534B1 (ko) 2021-06-10

Family

ID=737789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343A KR102263534B1 (ko) 2019-05-28 2019-05-28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통신체계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제어방법
KR1020210072692A KR102343948B1 (ko) 2019-05-28 2021-06-04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692A KR102343948B1 (ko) 2019-05-28 2021-06-04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635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950B1 (ko) * 2021-01-13 2021-12-16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의료용 조합 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15811B1 (ko) * 2021-05-18 2023-03-30 주식회사 코어무브먼트 수중에서 사용 가능한 전기 자극 시스템
CN115835803A (zh) * 2021-05-18 2023-03-21 核心发展有限公司 可在水下使用的电刺激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941A (ko) * 2007-06-29 2009-01-08 가천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운동 추천 서비스
KR20110016200A (ko) 2009-08-11 2011-02-17 (주)비겐의료기 복합기능을 갖는 치료기
KR20180057194A (ko) * 2016-11-22 2018-05-30 주식회사 에이치엘메디텍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133062A (ko) *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달콤 날씨 및 사용자에 따라 선택된 커피 메뉴를 추천하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26274B1 (ko) * 2017-09-26 2020-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 주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72446B1 (ko) * 2017-11-03 2023-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장치 및 그 센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948B1 (ko) 2021-12-27
KR20200136603A (ko) 2020-12-08
KR20210068384A (ko)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948B1 (ko) 맞춤식 전기 자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2969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ntrol of noninvasive electrotherapy
US20140222102A1 (en) Smart phone application for providing neuro/muscular electro-stimulation
US10589119B2 (en) Smartphone interface device for phototherapy
EP3068361A2 (en) At-home light-emitting diode and massage device for vaginal rejuvenation
US9731140B1 (en) Controller interface for an implantable stimulator device
CN102805898A (zh) 一种无线经络治疗仪
KR20140089720A (ko) 휴대형 스마트 통신기기에 구비된 색광 치료 구동장치
US20220134097A1 (en)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190100655A (ko) 광선을 포함한 자가 프로그래밍 저주파 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00016408A1 (en) Controller interface for an implantable stimulator device
EP1627474A1 (en) Probe module for treating prostate diseases and portable prostate medical treatment apparatus
CN212547967U (zh) 云端式电刺激频谱的电疗系统
KR20200020106A (ko)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헬스케어 플랫폼
CN112704628B (zh) 手指按摩设备的控制方法、相关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R20210089585A (ko) 피부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21367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ENS function
CN106038273A (zh) 一种经络电子针炙装置
KR102521974B1 (ko)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727249B1 (ko)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4191710A (zh) 云端式电刺激频谱的电疗系统
CN107982647A (zh) 超声治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