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249B1 -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249B1
KR100727249B1 KR1020050067130A KR20050067130A KR100727249B1 KR 100727249 B1 KR100727249 B1 KR 100727249B1 KR 1020050067130 A KR1020050067130 A KR 1020050067130A KR 20050067130 A KR20050067130 A KR 20050067130A KR 100727249 B1 KR100727249 B1 KR 100727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function
frequency treatment
user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2903A (ko
Inventor
강봉수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067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249B1/ko
Publication of KR20070012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2Electromedical brushes, combs, massag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저주파 치료 기능을 선택하는 키 입력부(100); 발진기(1)로부터 무선통신용 전자파를 입력받아 인체 치료용 저주파로 변환한 후 외부 저주파 치료 기구(2)로 출력하는 저주파 발생부(200); 상기 키 입력부(100)를 통해 저주파 치료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저주파 발생부(200)를 제어하여 인체 치료용 저주파 발생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300); 및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하에 저주파 치료 상황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저주파 발생 기능을 구현하고, 그 저주파 발생 기능과 저주파 치료용 패드, 전자 침 및 발바닥 또는 수지침 패드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저주파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저주파 치료기, MP3, 수지침, 전자 침,

Description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LOW FREQUENCY THERAPY FUNCTION ADDED MOBILE PHO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저주파 발생부와 저주파 치료 기구가 유선 데이터 통신 케이블로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저주파 발생부와 저주파 치료 기구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따른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키 입력부 200 : 저주파 발생부
210 : 저주파 생성부 220 : 저주파 증폭부
230 : 저주파 출력부 300 : 제어부
400 : 디스플레이부 500 : 스피커
본 발명은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저주파 발생 기능을 구현하고, 그 저주파 발생 기능과 저주파 치료용 패드, 전자 침, 발바닥 또는 수지침 패드 등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저주파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주파 치료기는 인체에 미약한 전기(저주파)를 통하게 하여 그 자극으로 근육을 직접 맛사지 하고, 신경을 진정시킴과 동시에 혈행을 촉진시켜 결림 등에 의한 급성 및 만성 통증 등의 완화, 회복을 도와주는 물리치료 기기이다.
이러한 저주파 치료기는 정상 혈액 순환과 급성 및 만성 통증 완화, 피로회복, 근력증진 작용을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병원을 방문해야만 받을 수 있는 물리치료를 가정, 회사, 출장 등의 이동 중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최근 들어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 개발된 저주파 치료기는 일반 사용자들이 휴대하여 사용하기 에는 용량이나 부피가 너무 커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고, 그뿐만 아니라 일반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배터리를 수시로 교체해야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저주파 발생 기능을 구현하고, 그 저주파 발생 기능과 저주파 치료용 패드, 전자 침, 발바닥 또는 수지침 패드 등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저주파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MP3 재생 기능과의 연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곡을 들으면서 저주파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주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저주파 치료시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해 주기 위한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통신용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발진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저주파 치료 기능을 선택하는 키 입력부;
상기 발진기로부터 무선통신용 전자파를 입력받아 인체 치료용 저주파로 변환한 후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저주파 치료 기구로 출력하는 저주파 발생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저주파 치료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저주파 발생부를 제어하여 인체 치료용 저주파 발생 기능을 제어함과 동시에 이에 따른 저주파 치료 상황을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저주파 치료 상황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저주파 치료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1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저주파 치료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다시 리턴하는 한편, 선택되면 사용자에 의해 MP3 재생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2 단계;
상기 제 12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MP3 재생 기능이 선택되면, 인체 치료용 저주파 펄스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저주파 치료 기구로 출력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해당하는 MP3 재생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제 13 단계; 및
사용자가 저주파 치료 기능의 종료 모드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13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선택하면 인체 치료용 저주파 발생 기능과 MP3 재생 기능을 모두 종료하는 제 1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저주파 발생부와 저주파 치료 기구가 유선 데이터 통신 케이블로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저주파 발생부와 저주파 치료 기구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 입력부(100), 저주파 발생부(200), 제어부(300) 및 디스플레이부(4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키 입력부(100)는 사용자가 저주파 치료 기능 또는 MP3 재생 기능을 선택하면 이를 상기 제어부(3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저주파 발생부(2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하에 발진기(1)로부터 무선통신용 전자파를 입력받으면 이를 인체 치료용 저주파로 변환한 후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저주파 치료 기구(2)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저주파 발생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진기(1) 로부터 무선통신을 위한 전자파를 입력받으면 이를 인체 치료용 저주파로 변환한 후 저주파 증폭부(220)로 출력하는 저주파 생성부(210)와, 상기 저주파 생성부(210)로부터 인체 치료용 저주파 신호를 입력받아 치료 효과에 맞도록 증폭한 후 저주파 출력부(230)로 출력하는 저주파 증폭부(220)와, 상기 저주파 증폭부(200)에 의해 증폭된 저주파 신호를 도 2 또는 도 3과 같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저주파 치료 기구(2)로 출력하는 저주파 출력부(23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저주파 발생부(200)와 상기 저주파 치료 기구(2)를 연결하는 도 2와 같은 유선 케이블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케이블(3)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또한, 상기 저주파 발생부(200)와 상기 저주파 치료 기구(2)를 연결하는 도 3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RF(Radio Frequency) 통신 또는 UWB(Ultra Wide-Band)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키 입력부(100)를 통해 저주파 치료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저주파 발생부(200)를 제어하여 인체 치료용 저주파 발생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이에 따른 저주파 치료 상황을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키 입력부(100)를 통해 저주파 치료 기능과 함께 MP3 재생 기능이 선택되면, 저주파 치료 기능과 함께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해당하는 MP3를 스피커(500)를 통해 재생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키 입력부(100)를 통해 저주파 치료에 대한 종료 타이머 기능이 부가적으로 선택되면, 이에 따른 종료 타이머 기능을 추가 로 수행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하에 저주파 치료 상황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주파 발생부(2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사용자 인체에 밀착되어 저주파 치료 기능을 수행하는 저주파 치료 기구(2)는 저주파 치료용 패드, 전자 침, 발바닥 패드 또는 수지침 패드 모두를 적용하여 사용 가능하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100)를 통해 저주파 치료 기능을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11).
이때, 상기 제 11 단계(S11)에서 사용자에 의해 저주파 치료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NO) 상기 제어부(300)는 다시 리턴하는 한편, 선택되면(YES)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100)를 통해 MP3 재생 기능을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
상기 제 12 단계(S12)에서 사용자에 의해 MP3 재생 기능이 선택되면(YES),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200)를 제어하여 인체 치료용 저주파 펄스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저주파 치료 기구(2)로 출력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해당하는 MP3 재생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S13). 따 라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500)를 통해 자신이 선택한 곡을 들으면서 저주파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저주파 치료시 심리적인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3 단계(S13)에서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하에 상기 저주파 발생부(200)가 인체 치료용 저주파 펄스 신호를 상기 저주파 치료 기구(2)로 발생할 때, 사용자가 선택한 곡의 리듬에 맞춰 주파수를 변동시켜 발생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저주파 치료를 받을 때 보다 경쾌하고 재미있게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 후,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100)를 통해 저주파 치료 기능의 종료 모드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S14), 선택하지 않으면(NO) 다시 상기 제 13 단계(S13)로 진행하는 한편, 선택하면(YES) 인체 치료용 저주파 발생 기능과 MP3 재생 기능을 모두 종료한다(S14).
반면에, 상기 제 12 단계(S12)에서 사용자에 의해 MP3 재생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NO),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200)를 제어하여 인체 치료용 저주파 펄스 발생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15).
그런 후,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저주파 치료 기능의 종료 모드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16), 선택하지 않으면(NO) 다시 상기 제 15 단계(S15)로 진행하는 한편, 선택하면(YES) 인체 치료용 저주파 발생 동작을 종료한다(S16).
한편, 상기 제 11 단계(S11)에서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100)를 통해 저주파 치료 기능과 함께 저주파 치료 종료 타이머 기능을 동시에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만큼 내부 타이머를 작동시켜 타이머 종료 시점에서 저주파 치료 기능을 자동으로 종료시키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몇 가지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저주파 발생 기능을 구현하고, 그 저주파 발생 기능과 저주파 치료용 패드, 전자 침, 발바닥 또는 수지침 패드 등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저주파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MP3 재생 기능과의 연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곡을 들으면서 저주파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주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저주파 치료시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해 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사용자가 저주파 치료 기능을 선택하는 키 입력부; 발진기로부터 무선통신용 전자파를 입력받아 인체 치료용 저주파로 변환한 후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저주파 치료 기구로 출력하는 저주파 발생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저주파 치료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저주파 발생부를 제어하여 인체 치료용 저주파 발생 기능을 제어함과 동시에 이에 따른 저주파 치료 상황을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저주파 치료 상황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저주파 치료 기능과 MP3 재생 기능이 함께 선택되면, 상기 저주파 발생부를 제어하여 선택된 곡의 리듬에 맞춰 주파수를 변동시킴으로 저주파 치료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저주파 치료 기구를 연결하는 무선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RF 통신 또는 UWB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9. 사용자에 의해 저주파 치료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1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저주파 치료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다시 리턴하는 한편, 선택되면 사용자에 의해 MP3 재생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2 단계;
    상기 제 12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MP3 재생 기능이 선택되면, 인체 치료용 저주파 펄스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저주파 치료 기구로 출력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해당하는 MP3 재생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제 13 단계; 및
    사용자가 저주파 치료 기능의 종료 모드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13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선택하면 인체 치료용 저주파 발생 기능과 MP3 재생 기능을 모두 종료하는 제 1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MP3 재생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인체 치료용 저주파 펄스 발생 기능만을 제어하여 인체 치료용 저주파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저주파 치료 기구로 출력하는 제 15 단계; 및
    사용자가 저주파 치료 기능의 종료 모드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15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선택하면 인체 치료용 저주파 발생 동작을 종료하는 제 16 단계가 더 추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5 단계에서 상기 저주파 치료 기구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5 단계에서 상기 저주파 치료 기구와 연결된 무선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RF 통신 또는 UWB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단계에서 사용자가 저주파 치료 기능과 함께 저주파 치료 종료 타이머 기능을 동시에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만큼 내부 타이머를 작동시켜 타이머 종료 시점에서 저주파 치료 기능을 자동으로 종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치료 기구는, 저주파 치료용 패드, 전자 침, 발바닥 패드 또는 수지침 패드를 모두 사용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 단계에서 상기 저주파 치료 기구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 단계에서 상기 저주파 치료 기구와 연결된 무선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RF 통신 또는 UWB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 단계에서 인체 치료용 저주파 펄스 신호를 상기 저주파 치료 기구로 발생할 때, 사용자가 선택한 곡의 리듬에 맞춰 주파수를 변동시켜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050067130A 2005-07-25 2005-07-25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27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130A KR100727249B1 (ko) 2005-07-25 2005-07-25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130A KR100727249B1 (ko) 2005-07-25 2005-07-25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903A KR20070012903A (ko) 2007-01-30
KR100727249B1 true KR100727249B1 (ko) 2007-06-11

Family

ID=38012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130A KR100727249B1 (ko) 2005-07-25 2005-07-25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72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706A (ko) * 2003-12-17 2005-06-22 주식회사 팬택 저주파치료기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706A (ko) * 2003-12-17 2005-06-22 주식회사 팬택 저주파치료기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903A (ko) 2007-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058B1 (ko)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저주파자극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AU20182714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ntrol of noninvasive electrotherapy
US20230104064A1 (en) Establishing a secure communication link
US20080033229A1 (en) Music-synchronized low frequency stimulator
US20060074356A1 (en) Probe module for treating prostate diseases and portable prostate medical treatment apparatus
KR101331595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저주파 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6923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파수 물리 치료기 및 그 운용방법
KR102104871B1 (ko) 펄스 미세 전자기장 방식의 키성장 보조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040070952A (ko) 경혈점 자극 치료 시스템
JP2005252449A (ja) 携帯通信端末及び低周波パルス電圧制御方法
KR200388405Y1 (ko) 휴대용 음향기기를 이용한 저주파 음향 귀 경혈자극기
KR100727249B1 (ko)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TWM517612U (zh) 無線控制電療設備
CN112354084A (zh) 按摩脉冲的输出控制方法、装置、按摩设备及存储介质
CN106038245A (zh) 一种智能复合声波通经络养生仪
KR100550673B1 (ko) 치료용 프로브 모듈,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이용한휴대용 의료기기
CN106039559A (zh) 一种遥控式电子针炙装置
CN112704628B (zh) 手指按摩设备的控制方法、相关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R101648195B1 (ko) 오디오형 tens 치료 장치 및 방법
CN206993166U (zh) 一种多功能手机外壳
CN106038273A (zh) 一种经络电子针炙装置
JP7070089B2 (ja) 電気治療器、および治療システム
KR200382649Y1 (ko) 휴대폰의 저주파 안마장치
CN212593511U (zh) 便携式神经肌肉康复治疗设备及包含其的系统
CN214550662U (zh) 一种无线射频遥控的低频电子脉冲按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