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268B1 - 회선 상태를 기반으로 다중으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 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회선 상태를 기반으로 다중으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 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268B1
KR102263268B1 KR1020200011600A KR20200011600A KR102263268B1 KR 102263268 B1 KR102263268 B1 KR 102263268B1 KR 1020200011600 A KR1020200011600 A KR 1020200011600A KR 20200011600 A KR20200011600 A KR 20200011600A KR 102263268 B1 KR102263268 B1 KR 102263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cket
current node
neighboring nodes
node
n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퀀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퀀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퀀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11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04L45/128Shortest path evaluation for finding disjoint paths
    • H04L45/1287Shortest path evaluation for finding disjoint paths with disjoint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6Route discovery pac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7Interaction among intermediate nodes, e.g. hop by h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2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iscarding or delaying data units, e.g. packet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선의 상태를 기반으로 다중으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현재 노드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이웃 노드들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이웃 노드들로 상기 현재 노드에 대한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이웃 노드들로부터 이웃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노드에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상기 현재 노드에서 상기 등록된 이웃 노드들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선 상태를 기반으로 다중으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 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ple data packet based on circuit state}
본 발명은 다중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으로서, 회선의 상태를 기반으로 다중으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신 관련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대한 전송의 신뢰를 높일 수 있는 요구가 늘어가고 있다.
특히, 네트워크 망에서 각종 통신장치, IoT기기 및 통신회선(유무선)은 네트워크를 위한 기본 요소로서, 통신회선의 장애로 인한 데이터 송수신 실패 시 정보시스템의 장애로 이어져 IT서비스전반의 문제로 확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회선의 장애로 인해 데이터 패킷이 유실되거나, 병목현상이 발생하거나 통신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 등이 발생함으로써 전체적인 네트워크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회선의 상태에 따른 경로 우회, 디지털/아날로그 전환을 통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 통신 기술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37863호 "통신망 관리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회선 서비스를 위한 장애 전송로 우회 절체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10-1995-0023139호 "노드 교환 통신망에서의 통화 중 우회경로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104332호 "우회로 통신기능이 구비된 통합 폐색시스템"
본 발명은 통신회선의 상태에 따른 경로 우회, 디지털/아날로그 전환을 통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 통신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현재 노드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이웃 노드들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이웃 노드들로 상기 현재 노드에 대한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이웃 노드들로부터 이웃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노드에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상기 현재 노드에서 상기 등록된 이웃 노드들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 받은 등록된 이웃 노드들에서, 기등록된 이웃 노드들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특정 이웃 노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상기 현재 노드로부터 전송된 후 되돌아 오는 데이터 패킷인 경우, 상기 되돌아 온 데이터 패킷을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재 노드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이웃 노드들을 인식하는 단계는, 홉(hop) 수를 기준으로 최저 홉 수가 카운팅 되는 동일 레벨 또는 인접 레벨의 이웃 노드들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재 노드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이웃 노드들을 인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노드들 중에서 물리적으로 가장 가까우면서 동일 레벨 또는 인접 레벨의 노드들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현재 노드에서 상위 레벨의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저장하도록 요청하여, 상기 상위 레벨의 이웃 노드에 등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이웃 노드들을 인식하는 이웃 노드 인식부, 상기 인식된 이웃 노드들로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는 등록 요청부, 상기 인식된 이웃 노드들로부터 이웃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등록하는 등록 처리부, 및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기등록된 이웃 노드들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 받은 등록된 이웃 노드들에서는, 기등록된 이웃 노드들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 패킷 처리부는, 특정 이웃 노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상기 현재 노드로부터 전송된 후 되돌아 오는 데이터 패킷인 경우, 상기 되돌아 온 데이터 패킷을 폐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웃 노드 인식부는, 홉(hop) 수를 기준으로 최저 홉 수가 카운팅 되는 동일 레벨 또는 인접 레벨의 이웃 노드들을 인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웃 노드 인식부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노드들 중에서 물리적으로 가장 가까우면서 동일 레벨 또는 인접 레벨의 노드들을 인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회선의 상태에 따른 경로 우회, 디지털/아날로그 전환을 통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 통신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적용된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적용되어 장애가 발생한 상황에서의 데이터 패킷의 전달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장치(1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장치(100)는 통신회선의 상태에 따른 경로 우회, 디지털/아날로그 전환을 통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 통신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회선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데이터 패킷을 목적지까지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장치(100)는 이웃 노드 인식부(110), 등록 요청부(120), 등록 처리부(130), 및 데이터 패킷 처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웃 노드 인식부(110)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이웃 노드들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웃 노드 인식부(110)는 노드의 홉(hop) 수를 기준으로 최저 홉 수가 카운팅 되는 동일 레벨 또는 인접 레벨의 노드들을 이웃 노드들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이웃 노드 인식부(110)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노드들 중에서 물리적으로 가장 가까우면서 동일 레벨 또는 인접 레벨의 노드들을 이웃 노드들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노드라 함은, 네트워크 망을 구성하기 위해 통신회선으로 연결되는 엔티티로서, 게이트웨이, IoT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다음으로, 등록 요청부(120)는 인식된 이웃 노드들로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등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등록 처리부(130)는 인식된 이웃 노드들로부터 이웃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웃 노드들과의 등록이 완료되면, 현재 노드는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에 인접한 이웃 노들에 전달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패킷 처리부(140)는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기등록된 이웃 노드들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을 전송 받은 등록된 이웃 노드들에서는, 기등록된 이웃 노드들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즉, 기등록된 이웃 노드들을 통해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고, 최종적으로는 목적지 노드까지 데이터 패킷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현재 노드에서 이웃 노드로 전송한 데이터 패킷은 다시 현재 노드로 되돌아 올 수 있다. 즉,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노드는 데이터 패킷을 이웃 노드들로 다시 전송하므로, 현재 노드가 전송한 데이터 패킷이 다시 되돌아 올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노드는 직전에 자신이 전송한 데이터 패킷인 경우, 되돌아온 데이터 패킷을 폐기 처분할 수 있다. 일례로, 데이터 패킷에 대한 소스 주소와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고, 현재 노드가 직전에 전송했던 데이터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적용된 전체 시스템(2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체 시스템(200)을 살펴보면, 각 노드들은 '1'과 '2'의 과정을 통해 최초 통신망 설정 시 이웃 노드를 인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노드의 구체적인 예로, 게이트웨이와 IoT 기기를 통해 본 발명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전체 시스템(200)에서는 인근 주변의 게이트웨이 및 IoT 기기의 이웃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최소 2회선 이상 등록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노드(게이트웨이 또는 IoT 기기)들은 개별 기기 내 및 구성관리서버에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2의 경우, 게이트웨이 1과 3이 이웃 노드임을 인식하고 이웃 노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웃 노드로의 설정을 위해서는, 게이트웨이 2에서 게이트웨이 1과 3으로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고, 게이트웨이 1과 3으로부터 전달되는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회신하여 이웃 노드의 등록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웨이뿐만 아니라, IoT B의 경우에도 IoT A와 C를 이웃 노드로 인식하고, 이웃 노드로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웃 노드로의 설정을 위해서는, IoT B에서 IoT A와 C로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고, IoT A와 C로부터 전달되는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회신하여 이웃 노드의 등록을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도 3에서는 등록된 이웃 노드를 통해 회선 장애시의 데이터 패킷 전달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적용되어 장애가 발생한 상황에서의 데이터 패킷의 전달 과정을 설명하는 실시예(300)이다.
실시예(300)를 살펴보면, 게이트웨이 3에서 IoT C로 직접적으로 향하고 '4'로 식별되는 통신 회선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통신 회선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적인 환경에서는 이웃한 디바이스에게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고, 이를 목적지 노드까지 전파함으로써 데이터 패킷의 신뢰있는 전달이 가능하다.
실시예(30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 3에서 IoT B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려는 상황이라면, 게이트웨이 3은 사전이 이웃 노드로 등록된, 게이트웨이 1, 게이트웨이 4, IoT B, IoT C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통신 회선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첫 번째 스텝에서 데이터 패킷의 목적지 노드인 게이트웨이 3에서 IoT B로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고 신뢰도 있는 통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통신 회선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일례로, 게이트웨이 3에서 IoT C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려는 상황에서 게이트웨이 3과 IoT C 간의 통신 회선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게이트웨이 3은 사전이 이웃 노드로 등록된, 게이트웨이 1, 게이트웨이 4, IoT B, IoT C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첫 번째 스텝에서 데이터 패킷의 목적지 노드인 게이트웨이 3에서 IoT C로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게이트웨이 3으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전달 받은 게이트웨이 1, 게이트웨이 4, IoT B는 또 다시 자신의 이웃 노드들에게 IoT C로 전달하려는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이 경우, IoT B에서 IoT B의 이웃 노드들 중 하나인 IoT C로 상기 데이터 패킷이 전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게이트웨이 4와 IoT D를 경유하여 IoT C로 상기 데이터 패킷이 전달될 수 있다.
IoT C는 시간차를 두고 전달되는 데이터 패킷들을 수집하거나, 가장 먼저 수집된 데이터 패킷을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패킷을 폐기 처분할 수 있다.
일례로, IoT C는 가장 먼저 수집된 데이터 패킷의 품질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나머지 데이터 패킷을 폐기 처분할 수 있다.
특히, 데이터 패킷을 보내는 노드는 등록된 이웃 노드들 모두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수신 받은 노드는 다시 이웃 노드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여 최종 목적지까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 내 디바이스 식별정보는 목적지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신의 패킷인 경우 노드는 이웃 노드로 재전송하지 않고 해당 데이터 패킷을 폐기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현재 노드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이웃 노드들을 인식할 수 있다(단계 401).
예를 들어, 현재 노드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이웃 노드들을 인식하기 위해, 홉(hop) 수를 기준으로 최저 홉 수가 카운팅 되는 동일 레벨 또는 인접 레벨의 이웃 노드들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노드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이웃 노드들을 인식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노드들 중에서 물리적으로 가장 가까우면서 동일 레벨 또는 인접 레벨의 노드들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식된 이웃 노드들로 상기 현재 노드에 대한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고(단계 402), 인식된 이웃 노드들로부터 이웃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등록할 수 있다(단계 403).
일례로, 현재 노드에서 상위 레벨의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저장하도록 요청하여, 상위 레벨의 이웃 노드에 등록을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현재 노드에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현재 노드에서 등록된 이웃 노드들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단계 404).
이에,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되돌아 온 데이터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405).
만약,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되돌아 온 데이터 패킷이라면 해당 데이터 패킷을 폐기 처리할 수 있다(단계 406). 한편,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되돌아 온 데이터 패킷이 아니라면 단계 404로 분기하여 이웃 노드들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여 목적지 노드까지 전파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면 통신회선의 상태에 따른 경로 우회, 디지털/아날로그 전환을 통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 통신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처리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처리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처리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처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처리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현재 노드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이웃 노드들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이웃 노드들로 상기 현재 노드에 대한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이웃 노드들로부터 이웃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노드에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상기 현재 노드에서 상기 등록된 이웃 노드들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 받은 등록된 이웃 노드들에서, 기등록된 이웃 노드들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한 소스 주소와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노드가 직전에 전송했던 데이터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특정 이웃 노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상기 현재 노드가 직전에 전송했던 데이터 패킷인 경우, 상기 현재 노드가 직전에 전송했던 데이터 패킷을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등록된 이웃 노드들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특정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현재 노드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려는 상황에서 상기 특정 게이트웨이와 상기 현재 노드의 통신 회선에 장애가 발생하고, 상기 특정 게이트웨이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전달 받은 인접한 게이트웨이와 상기 특정 이웃 노드가 다시 상기 현재 노드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고,
    상기 현재 노드가 직전에 전송했던 데이터 패킷을 폐기하는 단계에서, 가장 먼저 수집된 데이터 패킷을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패킷을 폐기 처분하되, 상기 가장 먼저 수집된 데이터 패킷의 품질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나머지 데이터 패킷을 폐기 처분하는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노드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이웃 노드들을 인식하는 단계는,
    홉(hop) 수를 기준으로 최저 홉 수가 카운팅 되는 동일 레벨 또는 인접 레벨의 이웃 노드들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노드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이웃 노드들을 인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노드들 중에서 물리적으로 가장 가까우면서 동일 레벨 또는 인접 레벨의 노드들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노드에서 상위 레벨의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저장하도록 요청하여, 상기 상위 레벨의 이웃 노드에 등록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방법.
  7. 다중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이웃 노드들을 인식하는 이웃 노드 인식부;
    상기 인식된 이웃 노드들로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등록 요청하는 등록 요청부;
    상기 인식된 이웃 노드들로부터 이웃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등록하는 등록 처리부; 및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기등록된 이웃 노드들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 처리부를 포함하고,
    특정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해당하는 현재 노드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려는 상황에서 상기 특정 게이트웨이와 상기 현재 노드의 통신 회선에 장애가 발생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 받은 등록된 이웃 노드들에서는, 기등록된 이웃 노드들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다시 전송 - 상기 특정 게이트웨이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전달 받은 인접한 게이트웨이와 특정 이웃 노드가 다시 상기 현재 노드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 - 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한 소스 주소와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노드가 직전에 전송했던 데이터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특정 이웃 노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상기 현재 노드가 직전에 전송했던 데이터 패킷인 경우, 상기 현재 노드가 직전에 전송했던 데이터 패킷을 폐기하고,
    상기 현재 노드가 직전에 전송했던 데이터 패킷을 폐기함에 있어, 가장 먼저 수집된 데이터 패킷을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패킷을 폐기 처분하되, 상기 가장 먼저 수집된 데이터 패킷의 품질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나머지 데이터 패킷을 폐기 처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노드 인식부는,
    홉(hop) 수를 기준으로 최저 홉 수가 카운팅 되는 동일 레벨 또는 인접 레벨의 이웃 노드들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노드 인식부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노드들 중에서 물리적으로 가장 가까우면서 동일 레벨 또는 인접 레벨의 노드들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상태 기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1020200011600A 2020-01-31 2020-01-31 회선 상태를 기반으로 다중으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 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63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600A KR102263268B1 (ko) 2020-01-31 2020-01-31 회선 상태를 기반으로 다중으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 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600A KR102263268B1 (ko) 2020-01-31 2020-01-31 회선 상태를 기반으로 다중으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 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268B1 true KR102263268B1 (ko) 2021-06-10

Family

ID=76378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600A KR102263268B1 (ko) 2020-01-31 2020-01-31 회선 상태를 기반으로 다중으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 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26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139A (ko) 1993-12-18 1995-07-28 김광호 노드 교환 통신망에서의 통화중 우회경로 방법
KR20000037863A (ko) 1998-12-02 2000-07-05 이계철 통신망 관리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회선 서비스를 위한 장애 전송로 우회 절체 방법
KR20020018522A (ko) * 2000-09-02 2002-03-08 최동환 다중 장애 허용망 구조를 이용한 패킷 처리 방법
KR101043320B1 (ko) 2009-04-07 2011-06-21 주식회사 혁신전공사 우회로 통신기능이 구비된 통합 폐색시스템
KR20120006134A (ko) * 2010-07-12 2012-01-1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홉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015170A (ko) * 2012-07-27 2014-0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노드, 서비스 식별자 할당 장치 및 이들의 동작 방법
KR101374519B1 (ko) * 2010-12-21 2014-03-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의 이웃 노드 발견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139A (ko) 1993-12-18 1995-07-28 김광호 노드 교환 통신망에서의 통화중 우회경로 방법
KR20000037863A (ko) 1998-12-02 2000-07-05 이계철 통신망 관리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회선 서비스를 위한 장애 전송로 우회 절체 방법
KR20020018522A (ko) * 2000-09-02 2002-03-08 최동환 다중 장애 허용망 구조를 이용한 패킷 처리 방법
KR101043320B1 (ko) 2009-04-07 2011-06-21 주식회사 혁신전공사 우회로 통신기능이 구비된 통합 폐색시스템
KR20120006134A (ko) * 2010-07-12 2012-01-1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홉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374519B1 (ko) * 2010-12-21 2014-03-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의 이웃 노드 발견 방법
KR20140015170A (ko) * 2012-07-27 2014-0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노드, 서비스 식별자 할당 장치 및 이들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8511B2 (ja) 障害検知方法、ノード装置、通信システム
CN110061914B (zh) 一种报文转发方法及装置
US8514885B2 (en) Using variable length packets to embed extra network control information
CN108206753B (zh) 一种检测时延的方法、装置及系统
CN107707628B (zh) 用于传输数据处理请求的方法和装置
CN104052574A (zh) 在网络控制器和交换机之间控制数据的传输的方法和系统
CN109586959B (zh) 一种故障检测的方法及装置
US10326681B2 (en) System and method to analyze route information in a network
US9298660B2 (en) Super speed USB hub and traffic management method thereof
US7245613B1 (en) Arrangement in a channel adapter for validating headers concurrently during reception of a packet for minimal validation latency
CN114143283A (zh) 一种隧道自适应配置方法、装置,中心端设备及通信系统
CN111026324A (zh) 转发表项的更新方法及装置
US20100082875A1 (en) Transfer device
KR102263268B1 (ko) 회선 상태를 기반으로 다중으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 하는 장치 및 방법
US759332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nodes on a fault tolerant network
WO2022110387A1 (zh) 路由装置及片上网络的路由设备
JP2014022761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中継装置、及びパケット配信方法
US77616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arkers, data integrity fields and digests
CN117354253A (zh) 一种网络拥塞通知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80069790A1 (en) Packet transfer device and packet transfer method
CN116915708A (zh) 路由数据包的方法、处理器及可读存储介质
JP5887324B2 (ja) 中継装置および中継方法
RU2651186C1 (ru) Способ обмена данными и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яющего узла сети
CN113568863A (zh) 数据传输方法、路由节点、众核系统、计算机可读介质
CN113992561A (zh) 一种报文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