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267B1 -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받침판 및 용기 - Google Patents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받침판 및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267B1
KR102262267B1 KR1020200110499A KR20200110499A KR102262267B1 KR 102262267 B1 KR102262267 B1 KR 102262267B1 KR 1020200110499 A KR1020200110499 A KR 1020200110499A KR 20200110499 A KR20200110499 A KR 20200110499A KR 102262267 B1 KR102262267 B1 KR 102262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mer
mold
melamine resin
cavity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
Original Assignee
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 filed Critical 조현
Priority to KR1020200110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3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 A47G23/0313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0Remov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2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1For cooking of foo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1/00Us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79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받침판 및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단하고 열에 강한 멜라민수지의 내측에 구비된 워머모듈로 구성된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멜라민수지의 내측에 구비된 워머모듈을 통해 음식, 다과, 음료 등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따뜻하게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 음식물의 맛과 풍미를 용이하게 즐길 수 있음은 물론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고, 나아가, 터치동작을 통해 손쉽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손우려가 없고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어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으며, 아울러, 결합강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받침판 및 용기{Flame-retardant warmer having a light-emitting func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 base plate and a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단하고 열에 강한 멜라민수지의 내측에 구비된 워머모듈로 구성된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멜라민수지의 내측에 구비된 워머모듈을 통해 음식, 다과, 음료 등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따뜻하게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 음식물의 맛과 풍미를 용이하게 즐길 수 있음은 물론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고, 나아가, 터치동작을 통해 손쉽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손우려가 없고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어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으며, 아울러, 결합강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받침판 및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숍이나 음식점 등에서 제공되는 음식, 다과, 음료 등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은 적정온도가 유지되어야 더욱 맛과 풍미를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음식물은 대게 컵, 그릇 등의 용기에 담겨지게 되는데, 시간이 경과될 수록 점차 식게 되어 음식물의 맛과 풍미를 즐기기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가열코일이 내장되고 접속단자가 형성된 찻잔과, 이에 대응되는 접속단자를 가지고 있어 컵이 끼움조립되면 컵에 전원을 공급하는 잔받침대 및 받침대를 포함하는 찻잔 보온장치가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2-0063970호로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2-0063970호에 제안된 찻잔은 일반찻잔으로서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2-006397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단단하고 열에 강한 멜라민수지의 내측에 구비된 워머모듈로 구성된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멜라민수지의 내측에 구비된 워머모듈을 통해 음식, 다과, 음료 등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따뜻하게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 음식물의 맛과 풍미를 용이하게 즐길 수 있음은 물론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고, 나아가, 터치동작을 통해 손쉽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손우려가 없고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어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으며, 아울러, 결합강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받침판 및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기판과, 상기 기판에 구비되어 무선충전수신부와, 상기 무선충전수신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기판에 구비되는 발열부와, 상기 기판에 구비되는 발광부와, 상기 기판에 구비되어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와, 상기 터치센서의 터치 동작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발광부와 상기 발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워머모듈을 준비하는 워머모듈 준비단계와; b) 제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멜라민수지가 1차 충진되는 1차 멜라민수지 충진단계와, 제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상기 워머모듈이 수용되는 워머모듈수용단계와, 상기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멜라민수지가 2차 충진되는 2차 멜라민수지충진단계와, 상기 제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충진된 멜라민수지를 압착 및 가열하여 예비성형체를 성형하는 압착 및 가열단계로 이루어지는 예비성형단계와; c)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멜라민수지가 1차 충진되는 1차 멜라민수지충진단계와, 상기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상기 예비성형체가 수용되는 예비성형체수용단계와, 상기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멜라민수지가 2차 충진되는 2차 멜라민수지충진단계와, 상기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충진된 멜라민수지를 압착 및 가열하여 워머를 성형하는 압착 및 가열단계로 이루어지는 2차성형단계와; d)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서 성형완료된 워머를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a)워머모듈 준비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티치센서의 터치 회수를 근거로 상기 발광부의 작동과 작동 중지 및 상기 발광부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워머모듈 준비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센서의 터치 회수를 근거로 상기 발열부의 작동과 작동 중지 및 상기 발열부의 발열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a)워머모듈 준비단계에서 상기 워머모듈은 빛을 발광하여 상기 무선충전수신부의 전류수신여부를 알리기 위한 제 1보조발광부와, 빛을 발광하여 상기 발열부로의 전류공급여부를 알리기 위한 제 2보조발광부로 이루어지는 보조발광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a)워머모듈 준비단계에서의 상기 워머모듈의 기판에 멜라민수지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b)예비성형단계에서 상기 제 1금형의 케비티의 바닥면에 상기 예비성형체를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을 형성하기 위해 제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1차 충진되는 멜라민수지 일부가 유입되는 유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c)2차성형단계에서의 상기 제 2금형의 상형의 하부에 상기 제 2금형의 상형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워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
또한, 상기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워머로 이루어진 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본 발명은 단단하고 열에 강한 멜라민수지의 내측에 구비된 워머모듈로 구성된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를 예비성형단계와 2차성형단계를 통해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멜라민수지의 내측에 구비된 워머모듈을 통해 음식, 다과, 음료 등 다용한 종류의 음식물을 따뜻하게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 음식물의 맛과 풍미를 용이하게 즐길 수 있음은 물론 음식물을 따뜻하게 적정온도로 유지시키는 과정 중에 상기 워머모듈의 발광부를 통해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워머모듈의 발광부와 발열부를 터치동작을 통해 손쉽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워머모듈이 내열성, 내수성, 방수성 및 기계강도 등이 우수한 멜라민수지의 내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워머모듈이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상기 멜라민수지의 내측으로 물 등이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어 스며든 물 등으로 인해 상기 워머모듈에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고, 아울러, 멜라민수지의 우수한 접착강도로 인해 예비성형단계와 2차성형단계에서 열경화성수지인 멜라민수지가 분리될 우려가 없어 결합강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워머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워머모듈의 기판에 유입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7은 제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멜라민수지가 1차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제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워머모듈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제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멜라민수지가 2차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제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충진된 멜라민수지를 압착 및 가열하여 예비성형체를 성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제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서 예비성형체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멜라민수지가 2차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예비성형체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멜라민수지가 2차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충진된 멜라민수지를 압착 및 가열하여 워머를 성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서 워머로 이루어진 받침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다른예의 제 2금형의 하형으로부터 다른예의 제 2금형의 상형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다른예의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충진된 멜라민수지를 압착 및 가열하여 워머를 성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9는 다른예의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서 워머로 이루어진 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0은 받침판의 상부에 따뜻하게 적정온도로 유지시키고자 하는 음식물이 내부에 수용된 다른 용기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제조방법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a) 워머모듈 준비단계(이하, 'a)단계'라 한다.), b) 예비성형단계(이하, 'b)단계'라 한다.), c) 2차성형단계(이하, 'c)단계'라 한다.) 및 d) 분리단계(이하, 'd)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워머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워머모듈의 기판에 유입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a)단계는 컵 등의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 다과, 음료 등 다용한 종류의 음식물로 열을 발산하여 음식물을 따뜻하게 적정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워머모듈(11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워머모듈(110)은 일예로,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기판(111), 무선충전수신부(112), 발열부(113), 발광부(114), 터치센서(115)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기판(111)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1)의 내면 일측에는 상기 기판(111)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일측연장기판(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1)의 내면 타측에는 상기 기판(111)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타측연장기판(11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1)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유입공(118)이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상기 b)단계에서 제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의 내부에 충진되는 멜라민수지의 일부가 상기 기판(111)의 복수의 상기 유입공(118)으로 유입되어 상기 기판(111)의 복수의 유입공(118)에 충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접착강도가 우수한 멜라민수지와 상기 기판(111)의 결합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선충전수신부(112)의 타측이 상기 기판(111)의 타측연장기판(111b)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무선충전수신부(112)는 상기 기판(111)의 하부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113)는 일측 중간부가 개방된 'C'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열선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열부(113)가 상기 무선충전수신부(112)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기판(111)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열부(113)를 이룰 수 있는 열선의 일측 중간부가 상기 기판(111)의 일측연장기판(111a)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114)는 상기 기판(111)의 상부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LED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115)는 상기 기판(111)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머모듈(110)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센서(115)가 위치하는 멜라민수지부위를 터치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센서(115)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115)는 일예로, 물리적인 압력을 감지하여 터치를 판정할 수 있는 감압식 터치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터치를 판정하는 정전식 터치센서, 적외선 영역의 위치를 계산하여 터치를 판정하는 적외선식 터치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111)에 구비되는 마이컴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일예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충전패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충전부(5)에 구비될 수 있는 무선충전송신부(51)가 송신하는 전류를 상기 무선충전수신부(112)가 수신할 경우, 상기 제어부(116)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무선충전수신부(112)가 수신한 전류는 상기 발열부(113)로 공급되어 상기 발열부(113)가 열을 발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6)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무선충전수신부(112)가 수신한 전류는 상기 발광부(114)로 공급되어 상기 발광부(114)가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다른예로,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터치센서(115)의 터치 동작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발광부(114)와 상기 발열부(113)를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터치센서(115)의 터치 회수를 근거로 상기 발광부(114)의 작동과 작동 중지 및 상기 발광부(114)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터치센서(115)의 터치 회수를 근거로 상기 발열부(113)의 작동과 작동 중지 및 상기 발열부(113)의 발열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터치센서(115)를 1회 터치할 경우, 상기 발광부(114)와 상기 발열부(113)가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116)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무선충전수신부(112)가 수신한 전류가 상기 발광부(114)와 상기 발열부(113)로 공급되어 상기 발광부(114)가 빛을 발광 및 상기 발열부(113)가 열을 발산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114)가 빛을 발광 및 상기 발열부(113)가 열을 발산하고 있는 과정 중에 사용자가 상기 터치센서(115)를 1회 터치할 경우, 상기 발광부(114)와 상기 발열부(113)가 작동 중지되도록 상기 제어부(116)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무선충전수신부(112)에서 상기 발광부(114) 및 상기 발열부(113)로의 전류공급이 각각 차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터치센서(115)를 일정시간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터치하는 횟수가 늘어날수록 상기 제어부(116)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무선충전수신부(112)에서 상기 발광부(114) 및 상기 발열부(113)로 각각 공급되는 전류공급세기가 점차 커지면서 상기 발광부(114)의 휘도세기가 점차 커짐과 더불어 상기 발열부(113)의 발열온도가 점차 상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워머모듈(110)의 기판(111)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는 상기 터치센서(115)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보조발광부(1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발광부(119)는 제 1보조발광부(119a)와 제 2보조발광부(119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있다.
상기 제 1보조발광부(119a)는 상기 터치센서(115)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기판(111)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구비되는 LED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보조발광부(119b)는 상기 제 1보조발광부(119a)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기판(111)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구비되는 LED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충전부(5)에 구비될 수 있는 무선충전송신부(51)가 송신하는 전류를 상기 무선충전수신부(112)가 수신할 경우, 상기 제어부(116)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보조발광부(119a)는 상기 무선충전수신부(112)가 수신한 전류를 공급받아 빛을 발광하여 상기 무선충전수신부(112)의 전류수신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부(5)에 구비될 수 있는 무선충전송신부(51)가 송신하는 전류를 상기 무선충전수신부(112)가 수신할 경우, 상기 제어부(116)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2보조발광부(119b)는 상기 무선충전수신부(112)로부터 상기 발열부(113)로 공급되는 전류를 전류분배수단을 통해 분배받아 빛을 발광하여 상기 발열부(113)로의 전류공급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다른예로,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터치센서(115)의 터치 동작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보조발광부(119)의 제 2보조발광부(119b)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터치센서(115)를 터치할 경우, 상기 제 2보조발광부(119b)는 상기 제어부(116)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2보조발광부(119b)는 상기 무선충전수신부(112)로부터 상기 발열부(113)로 공급되는 전류를 전류분배수단을 통해 분배받아 빛을 발광하여 상기 발열부(113)로의 전류공급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제 1보조발광부(119a)와 상기 제 2보조발광부(119b)는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도 7은 제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멜라민수지가 1차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는 멜라민수지(101)와; 상기 멜라민수지(101)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워머모듈(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예비성형체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상기 b)단계는 일예로, 크게, b1) 1차 멜라민수지충진단계(이하, 'b1)단계'라 한다.), b2) 워머모듈수용단계(이하, 'b2)단계'라 한다.), b3) 2차 멜라민수지충진단계(이하, 'b3)단계'라 한다.) 및 b4) 압착 및 가열단계(이하, 'b4)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b1)단계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금형(3)의 하형(32)의 내부에 형성되는 케비티(321)에 멜라민수지(101)가 1차 충진되는 단계이다.
상기 제 1금형(3)의 하형(32)의 케비티(321)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 1금형(3)의 하형(32)의 케비티(321)에 1차 충진되는 멜라민수지(101)의 일부가 유입되는 유입홈(322)이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홈(322)에 유입되는 일부 멜라민수지(101)를 통해 예비성형체의 하부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지지턱(10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턱(103)으로 인해 상기 예비성형체의 하부방향으로 후술할 멜라민수지(102)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제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워머모듈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b2)단계는 멜라민수지(101)가 제 1금형(3)의 하형(32)의 케비티(321)에 1차 충진된 상태에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금형(3)의 하형(32)의 케비티(321)에 상기 워머모듈(110)을 수용시키는 단계이다.
도 9는 제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멜라민수지가 2차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b3)단계는 상기 멜라민수지(101)가 1차 충진된 제 1금형(3)의 하형(32)의 케비티(321)에 상기 워머모듈(110)이 수용된 상태에서 멜라민수지(101)의 내측에 상기 워머모듈(110)이 구비되도록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금형(3)의 하형(32)의 케비티(321)에 멜라민수지(101)가 2차 충진되는 단계이다.
도 10은 제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충진된 멜라민수지를 압착 및 가열하여 예비성형체를 성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b4)단계는 제 1금형(3)의 상형(31)과 하형(32)의 합형 및 제 1금형(3)의 상형(31)에 구비될 수 있는 히터부재를 이용하여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금형(3)의 하형(32)의 케비티(321)에 1차 및 2차 충진된 멜라민수지(101)를 압착 및 가열하여 예비성형체(100)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도 11은 제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서 예비성형체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제 1금형(3)의 하형(32)의 케비티(321)에 1차 및 2차 충진된 멜라민수지(101)를 일정압력으로 압착 및 일정시간동안 가열한 후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금형(3)의 하형(32)으로부터 상기 제 1금형(3)의 상형(31)이 탈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금형(3)의 하형(32)의 케비티(321)로부터 예비성형완료된 예비성형체(100)가 작업자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도 12는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멜라민수지가 2차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는 상기 예비성형체(100)의 외주면에 멜라민수지(102)가 2차 성형된 워머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상기 c)단계는 일예로, 크게, c1) 1차 멜라민수지충진단계(이하, 'c1)단계'라 한다.), c2) 예비성형체수용단계(이하, 'c2)단계'라 한다.), c3) 2차 멜라민수지충진단계(이하, 'c3)단계'라 한다.) 및 c4) 압착 및 가열단계(이하, 'c4)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c1)단계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금형(4)의 하형(42)의 내부에 형성되는 케비티(421)에 멜라민수지(102)가 1차 충진되는 단계이다.
도 13은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예비성형체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c2)단계는 멜라민수지(102)가 제 2금형(4)의 하형(42)의 케비티(421)에 1차 충진된 상태에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금형(4)의 하형(42)의 케비티(421)에 상기 예비성형체(100)를 수용시키는 단계이다.
도 14는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멜라민수지가 2차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c3)단계는 상기 예비성형체(100)가 멜라민수지(102)가 1차 충진된 제 2금형(4)의 하형(42)의 케비티(421)에 수용된 상태에서 멜라민수지(102)의 내측에 상기 예비성형체(100)가 구비되도록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금형(4)의 하형(42)의 케비티(421)에 멜라민수지(102)가 2차 충진되는 단계이다.
도 15는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충진된 멜라민수지를 압착 및 가열하여 워머를 성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c4)단계는 제 2금형(4)의 상형(41)과 하형(42)의 합형 및 제 2금형(4)의 상형(41)에 구비될 수 있는 히터부재를 이용하여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금형(4)의 하형(42)의 케비티(421)에 1차 및 2차 충진된 멜라민수지(102)를 압착 및 가열하여 워머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도 16은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서 워머로 이루어진 받침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제 2금형(4)이 하형(42)의 케비티(421)에 1차 및 2차 충진된 멜라민수지(102)를 일정압력으로 압착 및 일정시간동안 가열한 후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금형(4)의 하형(421)으로부터 상기 제 2금형(4)의 상형(41)이 탈형된 상태에서 상기 제 2금형(4)의 하형(42)의 케비티(421)로부터 성형완료된 워머가 작업자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멜라민수지(101)와, 상기 멜라민수지(101)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워머모듈(110)로 구성되는 예비성형체(100)와; 상기 예비성형체(100)의 외주면에 2차 성형되는 멜라민수비(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워머로 구성되는 받침대(10)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에서의 상기 제 2금형(4)의 상형(41)의 하부에는 상기 제 2금형(4)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돌출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 2금형(4)의 상형(41)과 하형(42)이 합형될 경우, 상기 제 2금형(4)의 돌출부(411)의 외측면이 상기 제 2금형(4)의 하형(42)의 케비티(421)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금형(4)의 상형(41)의 돌출부(411)의 외경(도 13의 R)크기는 상기 제 2금형(4)의 하형(42)의 케비티(421)의 내경(도 13의 B)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다른예의 제 2금형의 하형으로부터 다른예의 제 2금형의 상형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다른예의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충진된 멜라민수지를 압착 및 가열하여 워머를 성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른예로, 상기 제 2금형(4)의 돌출부(411)의 외경(R)크기는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금형(4)의 하형(42)이 케비티(421)의 내경(B)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예의 제 2금형(4)의 상기 하형(42)의 내부에 2차 충진되는 상기 멜라민수지(102)의 충진량은 일예의 제 2금형(4)의 상기 하형(42)의 내부에 2차 충진되는 상기 멜라민수지(102)의 충진량보다 많을 수 있다.
다른예의 상기 제 2금형(4)의 상형(41)이 제 2금형(4)의 하형(42)과 합형되는 과정 중에 상기 제 2금형(4)의 상형(41)의 돌출부(411)는 상기 2금형(4)의 하형(42)의 내부에 1차 및 2차 충진된 멜라민수지(102)를 압착할 수 있다.
이때,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2금형(4)의 하형(42)의 내부에 1차 및 2차 충진된 멜라민수지(102)가 상기 돌출부(411) 외측면과 상기 제 2금형(4)의 하형(42)의 케비티(421)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환형의 측벽(11)을 이룰 수 있다.
도 19는 다른예의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서 워머로 이루어진 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른예의 제 2금형(4)의 상기 하형(42)의 내부에 2차 충진된 상기 멜라민수지(102)를 일정압력으로 압착 및 일정시간동안 가열한 후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예의 제 2금형(4)의 하형(42)으로부터 상기 상형(41)이 탈형될 수 있다.
상기 b)단계와 상기 c)단계를 통해 상기 멜라민수지(101)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어 성형용이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는 일예와 다른예의 상기 제 2금형(4)의 하형(42)의 케비티(421)에서 상기 제 2금형(4)의 상형(41)이 탈형된 상태에서 상기 제 2금형(4)의 하형(42)의 케비티(421)로부터 성형완료된 워머를 분리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워머로 구성되는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의 상부 가장자리에 환형형상으로 수직형성되는 측벽(11);으로 이루어진 용기(1)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20은 받침판의 상부에 따뜻하게 적정온도로 유지시키고자 하는 음식물이 내부에 수용된 다른 용기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테이블 등 집기류(7)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무선충전송신부(51)가 구비된 충전부(5)가 일정깊이로 삽입되거나 테이블 등의 집기류(7)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충전부(5)의 상부에는 상기 받침판(10) 또는 상기 용기(1)가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판(10)의 상부 또는 상기 용기(1)의 내측에는 음식, 다과, 음료 등 다용한 종류의 음식물(91)이 내부에 수용된 컵 등의 다른 용기(9)가 안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단단하고 열에 강한 멜라민수지(101, 102)의 내측에 구비된 워머모듈(110)로 구성된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를 예비성형단계와 2차성형단계를 통해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멜라민수지(101, 102)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워머모듈(110)을 통해 음식, 다과, 음료 등 다용한 종류의 음식물을 따뜻하게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 음식물(91)의 맛과 풍미를 용이하게 즐길 수 있음은 물론 음식물(91)을 따뜻하게 적정온도로 유지시키는 과정 중에 상기 워머모듈(110)의 발광부(114)를 통해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워머모듈(110)의 상기 발광부(114)와 상기 발열부(113)를 터치동작을 통해 손쉽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워머모듈(110)이 내열성, 내수성, 방수성 및 기계강도 등이 우수한 멜라민수지(101, 102)의 내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워머모듈(110)이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상기 멜라민수지(101, 102)의 내측으로 물 등이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어 스며든 물 등으로 인해 상기 워머모듈(110)에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멜라민수지(101, 102)의 우수한 접착강도로 인해 예비성형단계와 2차성형단계에서 열경화성수지인 멜라민수지(101, 102)가 분리될 우려가 없어 결합강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용기, 10; 받침판,
100; 예비성형체, 101; 멜라민수지,
110; 워머모듈.

Claims (9)

  1. a) 기판과, 상기 기판에 구비되는 무선충전수신부와, 상기 무선충전수신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기판에 구비되는 발열부와, 상기 기판에 구비되는 발광부와, 상기 기판에 구비되어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와, 상기 터치센서의 터치 동작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발광부와 상기 발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워머모듈을 준비하는 워머모듈 준비단계와;
    b) 제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멜라민수지가 1차 충진되는 1차 멜라민수지 충진단계와, 제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상기 워머모듈이 수용되는 워머모듈수용단계와, 상기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멜라민수지가 2차 충진되는 2차 멜라민수지충진단계와, 상기 제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충진된 멜라민수지를 압착 및 가열하여 예비성형체를 성형하는 압착 및 가열단계로 이루어지는 예비성형단계와;
    c)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멜라민수지가 1차 충진되는 1차 멜라민수지충진단계와, 상기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상기 예비성형체가 수용되는 예비성형체수용단계와, 상기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멜라민수지가 2차 충진되는 2차 멜라민수지충진단계와, 상기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충진된 멜라민수지를 압착 및 가열하여 워머를 성형하는 압착 및 가열단계로 이루어지는 2차성형단계와;
    d) 제 2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서 성형완료된 워머를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워머모듈 준비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센서의 터치 회수를 근거로 상기 발광부의 작동과 작동 중지 및 상기 발광부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워머모듈 준비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센서의 터치 회수를 근거로 상기 발열부의 작동과 작동 중지 및 상기 발열부의 발열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워머모듈 준비단계에서 상기 워머모듈은 빛을 발광하여 상기 무선충전수신부의 전류수신여부를 알리기 위한 제 1보조발광부와, 빛을 발광하여 상기 발열부로의 전류공급여부를 알리기 위한 제 2보조발광부로 이루어지는 보조발광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워머모듈 준비단계에서의 상기 워머모듈의 기판에 멜라민수지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예비성형단계에서 상기 제 1금형의 케비티의 바닥면에 상기 예비성형체를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을 형성하기 위해 제 1금형의 하형의 케비티에 1차 충진되는 멜라민수지 일부가 유입되는 유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2차성형단계에서의 상기 제 2금형의 상형의 하부에 상기 제 2금형의 상형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워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판.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워머로 이루어진 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200110499A 2020-08-31 2020-08-31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받침판 및 용기 KR102262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499A KR102262267B1 (ko) 2020-08-31 2020-08-31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받침판 및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499A KR102262267B1 (ko) 2020-08-31 2020-08-31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받침판 및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267B1 true KR102262267B1 (ko) 2021-06-08

Family

ID=7639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499A KR102262267B1 (ko) 2020-08-31 2020-08-31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받침판 및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2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970A (ko) 2001-01-31 2002-08-07 양병일 찻잔보온장치
KR20110136293A (ko) * 2010-06-14 2011-12-21 한국과학기술원 음료 온도 표시형 텀블러
KR101339789B1 (ko) * 2012-02-27 2013-12-11 한국과학기술원 조명 기능이 구비된 컵 워머
KR20160029787A (ko) * 2016-03-02 2016-03-15 주식회사 제이엠씨파트너 센서 작동 방식의 컵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970A (ko) 2001-01-31 2002-08-07 양병일 찻잔보온장치
KR20110136293A (ko) * 2010-06-14 2011-12-21 한국과학기술원 음료 온도 표시형 텀블러
KR101339789B1 (ko) * 2012-02-27 2013-12-11 한국과학기술원 조명 기능이 구비된 컵 워머
KR20160029787A (ko) * 2016-03-02 2016-03-15 주식회사 제이엠씨파트너 센서 작동 방식의 컵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70523B (zh) 用于由透明面板覆盖的烹饪炉台的烹饪区元件的一种照明装置以及对应的烹饪区元件和烹饪炉台
CN2922666Y (zh) 保温杯
KR19980014328U (ko) 발광컵
CN101902940B (zh) 用于食品和/或饮料制备的家电设备的加热容器和加热装置
US20080169280A1 (en) Slow Cooker with Nestable Containers
US11317478B2 (en) Pad device
KR101632742B1 (ko) 인덕션 조리기
KR102262267B1 (ko) 발광기능을 가진 난연성 워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받침판 및 용기
US6818866B2 (en) Liquid heating vessel
KR20150052166A (ko) 조명식 컵 홀더 조립체
KR20110136293A (ko) 음료 온도 표시형 텀블러
CN111713936A (zh) 一种茶饮自动冲泡方法、茶饮包及其智能冲调壶
KR101038590B1 (ko) 음식용 접시
CN202698839U (zh) 带led灯的玻璃电热水壶
CN204427742U (zh) 烹饪器具的内锅
KR102123679B1 (ko) 전기밥솥 및 이의 제어방법
CN108652412B (zh) 分体式烹饪器具及其识别方法
CN204427624U (zh) 食品料理装置
KR101090652B1 (ko) 발광용기
WO2000065967A1 (en) Liquid container
JP3216988U (ja) 容器発光装飾具
WO2019196772A1 (zh) 一种led发光杯垫
CN214905703U (zh) 一种感温控制快客杯
KR20230106364A (ko) 보온기능을 가지는 흡착식 식판
CN217185571U (zh) 一种儿童用发光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